KR20100093270A - 프로브 홀더 - Google Patents

프로브 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93270A
KR20100093270A KR1020090012385A KR20090012385A KR20100093270A KR 20100093270 A KR20100093270 A KR 20100093270A KR 1020090012385 A KR1020090012385 A KR 1020090012385A KR 20090012385 A KR20090012385 A KR 20090012385A KR 20100093270 A KR20100093270 A KR 201000932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nting
base portion
probe holder
fixing
fol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23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62161B1 (ko
Inventor
안준영
김기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메디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메디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메디슨
Priority to KR10200900123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2161B1/ko
Priority to EP10151758A priority patent/EP2218402A1/en
Priority to JP2010026845A priority patent/JP2010188126A/ja
Priority to US12/706,597 priority patent/US8052108B2/en
Publication of KR201000932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32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21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21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8/00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9/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Visualisation of the interior of objects by transmitting ultrasonic or sonic waves through the object
    • G01N29/22Details, e.g. general constructional or apparatus details
    • G01N29/24Prob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8/00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61B8/42Details of probe positioning or probe attachment to the patient
    • A61B8/4209Details of probe positioning or probe attachment to the patient by using holders, e.g. positioning fram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48/00Supports
    • Y10S248/917Video display screen support
    • Y10S248/918Ancillary device support associated with a video display scree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Immu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ltra Sonic Daignosis Equipment (AREA)

Abstract

프로브 홀더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발명은: 베이스부; 및 베이스부에 절첩되게 설치되는 거치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필요시 거치부를 접철하여 진단장치가 차지하는 부피를 감소시킴으로써, 초음파 진단장치의 이동 및 보관을 용이하게 할 뿐 아니라, 초음파 진단장치 이동시 벽 또는 다른 사물에 의해 파손될 우려가 적고, 벽 또는 다른 사물을 파손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초음파, 프로브, 홀더

Description

프로브 홀더{PROBE HOLDER}
본 발명은 프로브 홀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초음파 진단장치에 구비되는 프로브 홀더에 관한 것이다.
초음파 진단장치는 대상체의 체표로부터 체내의 소망 부위를 향하여 초음파 신호를 조사하고, 반사된 초음파 신호(초음파 에코신호)의 정보를 이용하여 연부조직의 단층이나 혈류에 관한 이미지를 무침습으로 얻는 장치이다. 이 장치는 X선 진단장치, CT스캐너(Computerized Tomography Scanner), MRI(Magnetic Resonance Image), 핵의학 진단장치 등의 다른 영상진단장치와 비교할 때, 소형이고 저렴하며, 실시간으로 표시 가능하고, X선 등의 피폭이 없어 안전성이 높은 장점이 있어, 심장, 복부, 비뇨기 및 산부인과 진단을 위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초음파 진단장치는 장치의 주요 구성요소를 수납하는 카트 형태의 본체와, 초음파를 송수신하는 프로브와, 장치의 조작에 필요한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각종 스위치 및 키 등을 구비한 컨트롤패널 및 초음파 진단 결과를 영상으로 구현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한다.
이러한 초음파 진단장치를 사용하여 피검사체에 초음파 진단을 수행함에 있어서, 작업자는 한 손에는 프로브를 쥐고 피검사체의 표면에 프로브를 접촉시켜 이동시키면서, 다른 한 손으로는 컨트롤패널을 조작하여 초음파 진단을 수행한다. 이처럼 수행된 초음파 진단에 의해 얻어진 결과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영상으로 구현된다.
상기와 같은 초음파 진단장치는 프로브를 거치하기 위한 거치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프로브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프로브를 거치대에 거치하고, 프로브를 사용할 때에는 거치대에 거치된 프로브를 꺼내어 사용한다. 이러한 거치대는 일반적으로 본체 또는 컨트롤패널의 외측에 돌출되게 구비된다.
상기와 같은 초음파 진단장치에 따르면, 프로브가 거치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도 거치대가 초음파 진단장치에서 돌출된 상태로 공간을 점유하므로, 이동 및 보관에 제한을 받을 뿐 아니라, 이동시 거치대가 벽이나 다른 사물에 걸리게 되어 벽 또는 다른 사물을 파손시키거나 거치대가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초음파 진단장치의 이동 및 보관이 용이하고, 초음파 진단장치 이동시 벽 또는 다른 사물에 의해 파손될 우려가 적으며, 벽 또는 다른 사물을 파손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조를 개선한 프로브 홀더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브 홀더는: 베이스부; 및 상기 베이스부에 절첩되게 설치되는 거치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거치부는 일점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상기 베이스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거치부는 상기 베이스부에 구비되는 접힘위치와 프로브가 거치되는 거치위치 사이에서 회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거치부에 구비되어 상기 거치부를 상기 거치위치로 탄 성 바이어스시키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펼침시 상기 거치부가 상기 베이스부에 간섭되어 지지되도록 상기 거치부에는 지지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접힘위치에서 상기 거치부를 상기 베이스부에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상기 거치부에 구비되는 제1고정부재; 및 상기 베이스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고정부재가 고정되는 제2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거치부는, 상부거치공을 구비하며, 상기 베이스부의 상측에 설치되는 상부거치부재; 및 하부거치공을 구비하며, 상기 베이스부의 하측에 설치되는 하부거치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부거치부재가 상기 상부거치부재와 맞물려 접히도록 상기 상부거치부재와 상기 하부거치부재에는 맞물림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맞물림부는, 상기 상부거치공으로 돌출되게 상기 상부거치부재에 형성되는 맞물림부재; 및 상기 맞물림부재와 맞물리도록 상기 하부거치부재에 형성되는 맞물림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프로브 홀더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상측에 절첩되게 설치되는 상부거치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의 하측에 절첩되게 설치되는 하부거치부재와; 상기 상부거치부재와 상기 하부거치부재가 펼쳐지도록 상기 상부거치부재와 상기 하부거치부재를 탄성 바이어스시키는 탄성부재와; 상기 하부거치부 재가 상기 상부거치부재와 맞물려 접히도록 상기 상부거치부재와 상기 하부거치부재에 구비되는 맞물림부; 및 상기 상부거치부재와 상기 하부거치부재가 상기 베이스부에 선택적으로 고정되도록 상기 상부거치부재에 구비되는 제1고정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에 구비되는 제2고정부재를 구비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프로브 홀더에 따르면, 필요시 거치부를 접철하여 초음파 진단장치가 차지하는 부피를 감소시킴으로써, 초음파 진단장치의 이동 및 보관이 용이할 뿐 아니라, 초음파 진단장치 이동시 벽 또는 다른 사물에 의해 파손될 우려가 적고, 벽 또는 다른 사물을 파손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접철시 본체부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고, 본체부의 외측면과 동일한 평면에 위치되므로, 초음파 진단장치의 이동 및 보관을 더욱 용이하게 할 뿐 아니라, 초음파 진단장치의 외관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프로브 홀더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 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브 홀더를 구비하는 초음파 진단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브 홀더(100)는 초음파 진단장치(10)에 구비된다. 초음파 진단장치(10)는 본체부(12)와, 디스플레이부(14) 및 컨트롤패널부(16)를 포함한다.
본체부(12)는 초음파 진단장치(10)의 외관을 형성하며, 초음파 진단장치(10)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다수의 구성을 포함한다. 이러한 본체부(12)는, 프로브(미도시)를 통해 송신되는 초음파 신호를 송신 집속시키고 프로브를 통해 수신되는 초음파 신호를 수신 집속시키는 빔 포머(미도시)와, 빔 포머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프레임 데이터를 형성하는 데이터 형성부(미도시)와, 프레임 데이터에 기초하여 대상체의 2차원 또는 3차원 영상을 형성하는 프로세서(미도시)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미도시) 등을 내부에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4)는 본체부(12)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디스플레이부(14)는 본체부(1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본체부(12)에서 처리된 데이터 및 영상을 본체부(12)로부터 입력받아 디스플레이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부(14)는 본체부(12)에 절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컨트롤패널부(16)는 초음파 진단장치(10)를 구동시키거나 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복수의 조작키(미도시) 등을 포함하며, 본체부(12)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컨트롤패널부(16)는 디스플레이부(14)에 힌지 결합됨으로써 디스플레이부(14)와 함께 본체부(12)에 절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프로브 홀더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프로브 홀더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프로브 홀더(100)는 본체부(12)에 구비된다. 이러한 프로브 홀더(100)는 베이스부(110)와, 거치부(120)와, 탄성부재(130) 및 고정부(140)를 포함한다.
베이스부(110)는 본체부(12)의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본체부(12)의 일측에 구비된다. 베이스부(110)는, 본체부(12)와 별물로 형성되어 본체부(12)에 오목하게 형성된 홈부(부호생략)에 삽입되는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고, 본체부(12)와 일체로 형성되는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베이스부(110)의 내부에는 수용부(112)가 형성된다. 수용부(112)는, 수용부(112)를 통해 본체부(12)가 노출되지 않도록 베이스부(110)의 내부에 오목하게 파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고, 수용부(112)를 통해 본체부(12)가 노출되도록 베이스부(110)의 내부를 관통한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베이스부(110)가 본체부(12)와 별물로 구비되고, 수용부(112)가 베이스부(110)의 내부에 오목하게 파인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거치부(120)는 베이스부(110)에 절첩되게 설치된다. 이러한 거치부(120)는 상부거치부재(121)와 하부거치부재(125)를 포함한다.
상부거치부재(121)는 베이스부(110)의 상측에 절첩되게 설치된다. 그리고 하부거치부재(125)는 베이스부(110)의 하측에 절첩되게 설치된다.
거치부(120), 즉 상부거치부재(121) 및 하부거치부재(125)는 각각 "일점"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베이스부(110)에 설치된다. 여기서 "일점"은 베이스부(110) 자체가 될 수도 있고, 상부거치부재(121) 및 하부거치부재(125) 각각에 구비되는 회전축(부호생략)이 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부거치부재(121) 및 하부거치부재(125)가 각각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거치부(120)는 베이스부(110)에 구비되는 접힘위치와 프로브(미도시)가 거치되는 거치위치 사이에서 회동될 수 있다. 여기서, 접힘위치란 거치부(120)가 절첩되어 베이스부(110)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는 위치를 의미하며, 거치위치란 거치부(120)가 프로브를 거치할 수 있도록 펼쳐지는 위치를 의미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부거치부재(121)는 접힘위치에서 상부 방향으로 회동되어 거치위치까지 회동될 수 있으며, 하부거치부재(125)는 접힘위치에서 하부 방향으로 회동되어 거치위치까지 회동될 수 있다. 거치위치로 회동된 상부거치부재(121) 및 하부거치부재(125)는 서로 상하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거치부(120), 즉 상부거치부재(121) 및 하부거치부재(125)가 수용부(112)에 "수용"되는 위치에 위치함으로써 "접힘위치에 위치"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접힘위치에 위치"되는 거치부(120)가 수용부(112)가 아닌 베이스부(110)의 외 부에 위치될 수도 있는 등 본 발명에 기재된 "접힘위치에 위치"의 기술적 의미는 "수용"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상부거치부재(121)는 상부거치공(122)을 구비한다. 그리고 하부거치부재(125)는 하부거치공(126)을 구비한다. 상부거치공(122)은 상부거치부재(121)의 내부에 관통되게 형성되며, 하부거치공(126)은 하부거치부재(125)의 내부에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부거치부재(121) 및 하부거치부재(125)가 거치위치에 위치되어 있을 때, 상부거치공(122)과 하부거치공(126)에는 프로브가 거치될 수 있다.
즉, 상부거치공(122)에는 프로브의 상부가 거치되고, 하부거치공(126)에는 프로브가 하부가 거치되며, 이에 따라 프로브는 상부와 하부 두 부분이 지지됨으로써, 거치부(120)에 안정적으로 거치될 수 있다.
상기 상부거치부재(121)는 접힘위치에서 수용부(112)에 수용될 수 있도록 수용부(112)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하부거치부재(125)는 접힘위치에서 상부거치공(122)에 수용될 수 있도록 상부거치공(122)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부거치부재(121)와 하부거치부재(125)는, 거치부(120) 접철시 접힘위치에 위치될 때, 본체부(12)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고, 본체부(12)의 외측면과 동일한 평면에 위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수용부(112)와 상부거치부재(121)는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부거치공(122)과 하부거치부재(125)는 원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와 다른 다양한 변형 실시예가 있을 수 있다.
아울러, 거치부(120)는 지지부(123,127)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지지부(123,127)는 거치부(120) 펼침시 거치부(120)가 베이스부(110)에 간섭되어 지지되도록 상부거치부재(121) 및 하부거치부재(125)에 각각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지지부(123,127)는 베이스부(110)와 인접한 상부거치부재(121)의 일측과 베이스부(110)와 인접한 하부거치부재(125)의 일측에 각각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러한 지지부(123,127)는 거치부(120) 펼침시 베이스부(110)에 간섭되어 거치부(120)의 상부거치부재(121) 및 하부거치부재(125)가 거치위치에 각각 고정되도록 지지한다.
탄성부재(130)는 거치부(120)에 구비되어 거치부(120)를 거치위치로 탄성 바이어스시키도록 구비된다. 즉, 탄성부재(130)는 상부거치부재(121) 및 하부거치부재(125)에 각각 구비되어 상부거치부재(121) 및 하부거치부재(125)가 거치위치로 펼쳐지도록 탄성 가압하는 역할을 한다. 바람직하게는, 탄성부재(130)는 토션 스프링(Torsion spring)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탄성부재(130)는 상부거치부재(121) 및 하부거치부재(125)를 회동시키는 가압력을 제공할 수 있다.
고정부(140)는 접힘위치에서 거치부(120)를 베이스부(110)에 고정시키도록 구비된다. 이러한 고정부(140)는 제1고정부재(141)와 제2고정부재(145)를 포함한다.
제1고정부재(141)는 거치부(120)에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제1고정부재(141)는 상부거치부재(121)에 구비된다. 제1고정부재(141)는 접힘위치에서 베이스부(110)의 수용부(112)와 대면하는 상부거치부재(121)의 일측으로부터 베이스 부(110)의 수용부(112)를 향해 돌출되게 구비된다.
제2고정부재(145)는 베이스부(110)에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제2고정부재(145)는 베이스부(110)의 수용부(112)에 구비되며, 거치부(120) 절첩시 제1고정부재(141)의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이러한 제2고정부재(145)에는 제1고정부재(141)가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고정부재(141)는 후크이고, 제2고정부재(145)는 제1고정부재(141)가 삽입되는 토글(Toggle) 방식의 잠금부재인 것으로 예시된다.
이러한 방식의 제1고정부재(141) 및 제2고정부재(145)에 따르면, 사용자가 상부거치부재(121)를 눌러 제1고정부재(141)를 삽입시키면 제1고정부재(141)가 제2고정부재(145)에 고정되고,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부거치부재(121)를 한 번 더 눌러주면 제1고정부재(141)와 제2고정부재(145)의 고정상태가 해제되어 제1고정부재(141)가 제2고정부재(145)로부터 이탈되는 잠금방식이 적용된다. 이러한 잠금방식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 상세한 구조는 당업자에게 널리 알려진 사항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와 같은 제1고정부재(141)와 제2고정부재(145)는 상부거치부재(121)와 하부거치부재(125)가 접힘위치에서 베이스부(110)에 선택적으로 고정되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는 본 발명의 제1고정부재(141) 및 제2고정부재(145)는 상기한 형태 외에도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한편, 본 실시예의 프로브 홀더(100)는 맞물림부(15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맞물림부(150)는 하부거치부재(125)가 상부거치부재(121)와 맞물려 접히도록 상부 거치부재(121)와 하부거치부재(125)에 구비된다. 이러한 맞물림부(150)는 맞물림부재(151)와 맞물림홈(155)을 포함한다.
맞물림부재(151)는 상부거치공(122)으로 돌출되게 상부거치부재(121)에 형성된다. 그리고 맞물림홈(155)은 맞물림부재(151)와 맞물리도록 하부거치부재(125)에 형성된다.
이러한 맞물림부(150)에 따르면, 거치부(120) 접철시 맞물림부재(151)가 맞물림홈(155)에 맞물림에 따라 상부거치부재(121)와 하부거치부재(125)가 서로 맞물리게 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상부거치부재(121)가 접힘위치에서 고정부(140)에 의해 베이스부(110)에 고정되면, 상부거치부재(121)와 맞물린 하부거치부재(125)도 접힘위치에서 베이스부(110)에 고정될 수 있다.
이처럼 고정된 상부거치부재(121) 및 하부거치부재(125)는, 거치부(120) 접철시 접힘위치에 위치될 때, 본체부(12)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고, 본체부(12)의 외측면과 동일한 평면에 위치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도 2에 도시된 프로브 홀더의 절첩 과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프로브 홀더가 절첩된 초음파 진단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 내지 도 10은 도 2에 도시된 프로브 홀더의 펼침 과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도 2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프로브 홀더의 작동관계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부(120)가 거치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 는 거치부(120)에는 프로브가 거치될 수 있다. 이때, 상부거치부재(121)와 하부거치부재(125) 각각에 구비된 지지부(123,127)가 각각 베이스부(110)에 걸려 간섭되면서 상부거치부재(121)와 하부거치부재(125) 각각은 거치위치에 고정된다. 바람직하게는, 거치위치에 각각 위치된 상부거치부재(121)와 하부거치부재(125)는, 지지부(123,127)에 의해 각각 베이스부(110)와 직각을 이루도록 펼쳐진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프로브를 거치부(120)로부터 꺼낸 후 거치부(120)를 접철하고자 할 경우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거치부재(121) 및 하부거치부재(125)를 눌러 접힘위치를 향해 회동시킨다. 이때, 하부거치부재(125)는 상부거치부재(121)보다 접힘위치에 먼저 도달하도록 회동됨이 바람직하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거치부재(121)와 하부거치부재(125)의 회동이 완료되면, 상부거치부재(121)와 하부거치부재(125)는 접힘위치에 위치된다. 이때, 상부거치부재(121)는 제1고정부재(141; 도 4 참조)와 제2고정부재(145; 도 4 참조)의 결합에 의해 접힘위치에서 베이스부(110)에 고정되며, 하부거치부재(125)는 맞물림부재(151)와 맞물림홈(155; 도 4 참조)의 맞물림에 의해 상부거치부재(121)에 걸려지면서 접힘위치에서 상부거치공(122; 도 4 참조)에 수용된 상태로 베이스부(110)에 고정된다.
이에 따라 거치부(12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거치부재(121)와 하부거치부재(125)가 본체부(12)의 외측면과 동일한 평면에 위치될 수 있으며, 초음파 진단장치(10)에는 프로브 홀더(100)에 의해 돌출된 부분이 없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거치부(120)를 거치위치로 펼치고자 할 경우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거치부재(121)를 눌러주되, 바람직하게는 고정부(140; 도 4 참조)가 위치된 부분을 눌러준다. 이처럼 상부거치부재(121)를 눌러주면, 제1고정부재(141; 도 4 참조)와 제2고정부재(145; 도 4 참조)의 결합이 해제되면서,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거치부재(121) 및 하부거치부재(125)는 각각 탄성부재(130; 도 3 참조)의 가압력에 의해 거치위치를 향해 회동된다.
이때, 상부거치부재(121)는 하부거치부재(125)보다 거치위치에 먼저 도달하도록 회동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상부거치부재(121)에 가압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130)는 하부거치부재(125)에 가압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130)보다 강한 가압력을 제공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상부거치부재(121)가 하부거치부재(125)보다 거치위치에 먼저 도달하도록 회동되면, 상부거치부재(121)와 하부거치부재(125) 간에 간섭이 발생되지 않고 상부거치부재(121)와 하부거치부재(125)의 회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거치부재(121)와 하부거치부재(125)의 회동이 완료되면, 상부거치부재(121)와 하부거치부재(125)는 거치위치에 위치된다. 이때, 상부거치부재(121)와 하부거치부재(125) 각각에 구비된 지지부(123,127)가 각각 베이스부(110)에 걸려 간섭되면서 상부거치부재(121)와 하부거치부재(125) 각각은 거치위치에 고정된다.
바람직하게는, 거치위치에 각각 위치된 상부거치부재(121)와 하부거치부재(125)는, 지지부(123,127)에 의해 각각 베이스부(110)와 직각을 이루도록 펼쳐진 상태로 고정될 수 있으며, 이처럼 거치부(120)가 거치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는 거치부(120)에는 프로브가 거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실시예의 프로브 홀더(100)는, 필요시 거치부(120)를 접철하여 초음파 진단장치(10; 도 6 참조)가 차지하는 부피를 감소시킴으로써, 초음파 진단장치(10)의 이동 및 보관을 용이하게 할 뿐 아니라, 초음파 진단장치(10) 이동시 벽 또는 다른 사물에 의해 파손될 우려가 적고, 벽 또는 다른 사물을 파손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프로브 홀더(100)는, 접철시 본체부(12)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고, 본체부(12)의 외측면과 동일한 평면에 위치되므로, 초음파 진단장치(10)의 이동 및 보관을 더욱 용이하게 할 뿐 아니라, 초음파 진단장치(10)의 외관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브 홀더를 구비하는 초음파 진단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프로브 홀더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프로브 홀더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도 2에 도시된 프로브 홀더의 절첩 과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프로브 홀더가 절첩된 초음파 진단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 내지 도 10은 도 2에 도시된 프로브 홀더의 펼침 과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프로브 홀더 110 : 베이스부
112 : 수용부 120 : 거치부
121 : 상부거치부재 122 : 상부거치공
123,127 : 지지부 125 : 하부거치부재
126 : 하부거치공 130 : 탄성부재
140 : 고정부 141 : 제1고정부재
145 : 제2고정부재 150 : 맞물림부
151 : 맞물림부재 155 : 맞물림홈

Claims (11)

  1. 베이스부; 및
    상기 베이스부에 절첩되게 설치되는 거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브 홀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는 일점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상기 베이스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브 홀더.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는 상기 베이스부에 구비되는 접힘위치와 프로브가 거치되는 거치위치 사이에서 회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브 홀더.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에 구비되어 상기 거치부를 상기 거치위치로 탄성 바이어스시키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브 홀더.
  5. 제3항에 있어서,
    펼침시 상기 거치부가 상기 베이스부에 간섭되어 지지되도록 상기 거치부에 는 지지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브 홀더.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접힘위치에서 상기 거치부를 상기 베이스부에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브 홀더.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거치부에 구비되는 제1고정부재; 및
    상기 베이스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고정부재가 고정되는 제2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브 홀더.
  8. 제3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는,
    상부거치공을 구비하며, 상기 베이스부의 상측에 설치되는 상부거치부재; 및
    하부거치공을 구비하며, 상기 베이스부의 하측에 설치되는 하부거치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브 홀더.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거치부재가 상기 상부거치부재와 맞물려 접히도록 상기 상부거치부재와 상기 하부거치부재에는 맞물림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브 홀더.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맞물림부는,
    상기 상부거치공으로 돌출되게 상기 상부거치부재에 형성되는 맞물림부재; 및
    상기 맞물림부재와 맞물리도록 상기 하부거치부재에 형성되는 맞물림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브 홀더.
  11.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상측에 절첩되게 설치되는 상부거치부재;
    상기 베이스부의 하측에 절첩되게 설치되는 하부거치부재;
    상기 상부거치부재와 상기 하부거치부재가 펼쳐지도록 상기 상부거치부재와 상기 하부거치부재를 탄성 바이어스시키는 탄성부재;
    상기 하부거치부재가 상기 상부거치부재와 맞물려 접히도록 상기 상부거치부재와 상기 하부거치부재에 구비되는 맞물림부; 및
    상기 상부거치부재와 상기 하부거치부재가 상기 베이스부에 선택적으로 고정되도록 상기 상부거치부재에 구비되는 제1고정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에 구비되는 제2고정부재를 구비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브 홀더.
KR1020090012385A 2009-02-16 2009-02-16 프로브 홀더 KR1010621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2385A KR101062161B1 (ko) 2009-02-16 2009-02-16 프로브 홀더
EP10151758A EP2218402A1 (en) 2009-02-16 2010-01-27 Probe holder
JP2010026845A JP2010188126A (ja) 2009-02-16 2010-02-09 プローブホルダー
US12/706,597 US8052108B2 (en) 2009-02-16 2010-02-16 Probe hold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2385A KR101062161B1 (ko) 2009-02-16 2009-02-16 프로브 홀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3270A true KR20100093270A (ko) 2010-08-25
KR101062161B1 KR101062161B1 (ko) 2011-09-05

Family

ID=422117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2385A KR101062161B1 (ko) 2009-02-16 2009-02-16 프로브 홀더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052108B2 (ko)
EP (1) EP2218402A1 (ko)
JP (1) JP2010188126A (ko)
KR (1) KR10106216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14173B2 (ja) 2010-08-25 2014-10-29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8573668B2 (en) * 2011-11-21 2013-11-0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Retracting storage tray system with locking trunnion
KR101387935B1 (ko) * 2012-02-17 2014-04-29 삼성메디슨 주식회사 휴대용 초음파 진단장치
TWM438103U (en) * 2012-03-28 2012-09-21 Intuitive Cube Inc Mobile device supporting device
US20160107668A1 (en) * 2014-10-16 2016-04-21 Daniel Robins Foldable case including cup and mobile device holder
USD778635S1 (en) * 2015-12-03 2017-02-14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Holder
US10315321B2 (en) * 2017-06-28 2019-06-11 Harvey L Frierson Clipper holder
KR102375904B1 (ko) * 2021-05-10 2022-03-17 텐텍 주식회사 고주파 의료기기 함체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40547A (en) * 1976-03-01 1977-08-09 Dickey Ralph E Apparatus for holding a microphone
JPH03215254A (ja) * 1990-01-22 1991-09-20 Toshiba Corp 超音波診断装置
JP3141319B2 (ja) * 1995-08-31 2001-03-05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折畳式カップホルダー
US5603477A (en) * 1995-09-20 1997-02-18 Marinco Apparatus for supporting a beverage container
JPH10278653A (ja) 1997-03-31 1998-10-20 Piolax Inc カップホルダー
KR20000005869A (ko) * 1998-06-29 2000-01-25 중 유겐, 말리 래이너 음료용기용홀더
CA2258203C (en) * 1999-01-08 2002-03-26 Pei-Hsiu Huang Improved vehicle-use foldable beverage holder
US6427960B1 (en) * 2000-10-07 2002-08-06 Collins & Aikman Products Co. Container holding assembly
US6821250B2 (en) * 2002-05-23 2004-11-23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Diagnostic ultrasound system cart with movable probe holders
GB2407558B (en) * 2003-10-29 2008-01-30 John Mfg Ltd Drink-item holding apparatus and a portable cooler box incorporating the same
US7559520B2 (en) * 2004-08-06 2009-07-14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Apparatuses and methods for supporting peripheral devices
US20070090136A1 (en) * 2005-10-25 2007-04-26 Stowell James D Belt buckle cup holder
EP2078495A1 (fr) * 2008-01-14 2009-07-15 Nathalie Grimaldi Porte sonde échographique ultrasonore pour gestes echo guides
US7828258B2 (en) * 2008-08-04 2010-11-09 Shigio Linda T Personal accessory hang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0188126A (ja) 2010-09-02
US8052108B2 (en) 2011-11-08
US20100213322A1 (en) 2010-08-26
KR101062161B1 (ko) 2011-09-05
EP2218402A1 (en) 2010-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2161B1 (ko) 프로브 홀더
US5129397A (en) Ultrasonic diagnosing apparauts
US9999403B2 (en) Medical device
EP2138100A1 (en) Portable ultrasonic diagnostic apparatus
JPWO2014192815A1 (ja) 超音波診断装置
JP5830597B2 (ja) 超音波診断装置用プローブホルダ及び超音波診断装置
TWM524693U (zh) 全乳房超音波影像擷取裝置
KR101071298B1 (ko) 의료기기
KR20100116431A (ko) 프로브 거치대
KR100992445B1 (ko) 초음파 진단장치
KR101010598B1 (ko) 초음파 진단장치
JP2010178907A (ja) 超音波診断装置
US6958577B2 (en) Apparatus for imaging the inner part of a body, particularly for diagnostic imaging thereof
KR102513474B1 (ko) 초음파 영상장치 및 이에 적용되는 이동 유닛
KR101150416B1 (ko) 각도조절장치
US20220096051A1 (en) Scanning assembly for ultrasonic imaging device and ultrasonic imaging device
JP5972428B1 (ja) 超音波診断装置
CN114431892B (zh) 一种超声成像系统及超声成像方法
JP2010246917A (ja) 生検器具及びこれを備えた生検器具一体型超音波診断装置
JP2005143734A (ja) 超音波診断装置
KR100978539B1 (ko) 초음파 진단기
JP6050859B2 (ja) 超音波診断装置
JPH03210246A (ja) 超音波診断装置
KR20100054978A (ko) 의료기기
US20100274137A1 (en) Ultrasonic Diagnostic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