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93178A - 소변 배출량 자동 측정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소변 배출량 자동 측정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93178A
KR20100093178A KR1020090012239A KR20090012239A KR20100093178A KR 20100093178 A KR20100093178 A KR 20100093178A KR 1020090012239 A KR1020090012239 A KR 1020090012239A KR 20090012239 A KR20090012239 A KR 20090012239A KR 20100093178 A KR20100093178 A KR 201000931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rine
flow rate
drop
tank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22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16371B1 (ko
Inventor
김상화
Original Assignee
김상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화 filed Critical 김상화
Priority to KR10200900122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6371B1/ko
Publication of KR201000931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31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63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63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483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 G01N33/487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of liquid biological material
    • G01N33/493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of liquid biological material ur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04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ody liquids
    • A61B10/007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ody liquids for taking urine samp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507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specially adapted for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ther than bloo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5/00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 G01N35/00584Control arrangements for automatic analys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mat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easuring Volume Flow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변 배출량 자동 측정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인체로 유입되는 수분에 대해 배출되는 소변의 양을 자동 측정하는 소변 배출량 자동 측정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소변 배출량 자동 측정 장치는 인체의 요도에 삽입된 호스를 통해 소변의 드롭을 감지하는 드롭 센서; 소변을 임시 저장하는 계량용 소변탱크; 계량용 소변탱크에 저장된 소변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 센서; 및 드롭 센서와 수위 센서를 이용해서 유량 변화량를 측정하여 측정된 유량 변화량을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특히 인체에서 배출되는 소변의 양을 자동 측정하여 측정된 정보를 외부로 표시함으로써 의료인은 시간에 제한받지 않고 어느 시간에도 환자의 소변량을 알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소변, 자동 측정

Description

소변 배출량 자동 측정 장치 및 방법{Urine discharge auto-mesurement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은 소변 배출량 자동 측정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인체로 유입되는 수분에 대해 배출되는 소변의 양을 자동 측정하는 소변 배출량 자동 측정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의료 수술은 수술 부위 또는 환자 상태에 따라 수술 전에 척추 마취, 국소 마취, 전신 마취를 마친 후 행해진다. 의료인은 환자에게 폐를 통해 마취약을 투입하거나 마취약을 주사하여 전신 마취를 행한다. 전신 마취의 경우 의료인은 환자의 의식이 없는 관계로 환자의 상태를 감시하는 환자 감시 장치를 사용하여 환자의 심전도, 대동맥 압력, 체온, 맥박, 산소 포화도, 소변량을 체크한다.
의료인은 환자 수술 전에 환자에게 금식하도록 지시한 후 환자에게 투입되는 총 물의 양과 소변으로 배출되는 물의 양을 서로 비교하여 두 물의 양이 서로 일치할 때 수술을 진행한다. 만약 두 물의 양이 서로 일치하지 않으면 의료인은 수술을 진행하지 않는다.
의료인은 수술 전에 환자에게 투입되는 총 물의 양과 소변으로 배출되는 물의 양을 체크해야 하는데 이 체크 작업을 수작업으로 진행하고 있다. 의료인은 매 시간 또는 일정 분마다 진행해야 하는 체크 작업을 수작업으로 진행해야 함에 따라 소요 인력이 발생하고 일정 시간마다 체크 작업이 진행되어야 하므로 시간 관리에 정밀함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인체로 유입되는 수분에 대해 인체에서 배출되는 소변의 양을 자동으로 측정하여 측정된 정보를 출력하는 소변 배출량 자동 측정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소변 배출량 자동 측정 장치는 인체의 요도에 삽입된 호스를 통해 소변의 드롭을 감지하는 드롭 센서; 소변을 임시 저장하는 계량용 소변탱크; 계량용 소변탱크에 저장된 소변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 센서; 및 드롭 센서와 수위 센서를 이용해서 유량 변화량를 측정하여 측정된 유량 변화량을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소변 배출량 자동 측정 장치는 소변의 총량, 동작 시간, 유량 속도, 유량의 증가/감소 중 하나 이상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는 유량 변화량을 참조하여 표시부에 표시되는 정보를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소변 배출량 자동 측정 장치는 계량용 소변탱크에 저장된 소변의 수위가 미리 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면 저장된 소변을 저장용 소변탱크로 배출하는 펌프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는 펌프에 의해 계량용 소변탱크에 저장된 소변이 배출되는 시간 동안 계량용 소변탱크로 유입되는 소변의 유량을 참조하여 유량 변화량을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는 계량용 소변탱크로 유입되는 소변의 유량을 소변의 한 드롭 당 유량과 드롭 수를 곱하여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소변 배출량 자동 측정 방법은 (a) 소변의 드롭을 드롭 센서에 의해 감지하는 단계; (b) 일정 시간동안 드롭 센서에 의해 감지된 소변량을 계산해서 유량 속도를 계산하는 단계; (c) 수위 센서를 이용하여 계량용 소변탱크에 저장된 소변의 수위를 계산하는 단계; (d) 소변의 수위가 미리 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면 펌프를 동작시키고 유량 속도를 보정하는 단계; 및 (e) 드롭 센서와 수위 센서에 의해 감지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소변의 총량, 동작 시간, 유량 속도, 유량의 증가/감소의 하나 이상을 계산해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소변 배출량 자동 측정 방법은 약물 주입 속도에 대응하여 유량 속도의 단위를 세팅하는 단계; 세팅된 유량 속도의 단위를 참조하여 소변의 유량 속도를 계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d) 단계는 펌프에 의해 계량용 소변탱크에 저장된 소변이 저장용 소변탱크로 배출되는 시간 동안 계량용 소변탱크로 유입되는 소변의 유량에 대해 유량 변화량을 계산하여 유량 속도를 보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d) 단계에서 유량 변화량의 계산은 소변의 한 드롭 당 유량과 드롭 수를 곱하여 계산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인체에서 배출되는 소변의 양을 자동 측정하여 측정된 정보를 외부로 표시함으로써 의료인은 시간에 제한받지 않고 어느 시간에도 환자의 소변량을 알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소변 배출량 자동 측정 장치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소변 배출량 자동 측정 장치는 인체로부터 배출되는 소변의 양을 자동으로 측정한다. 소변 배출량 자동 측정 장치의 구성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소변 배출량 자동 측정 장치는 기본 구성으로 드롭(drop) 센서(10), 계량용 소변탱크(20), 수위 센서, 제어부(30), 표시부(40)를 포함한다. 이러한 장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드롭 센서(10)는 인체의 요도에 삽입된 호스를 통해 배출되는 소변의 드롭을 감지한다. 드롭 센서(10)는 호스로부터 소변이 맺어 떨어지는 소변의 드롭을 감지한다. 드롭 센서(10)는 호스를 감싸는 구조를 구비해서 상단에서 하단으로 떨어지는 소변을 감지한다.
계량용 소변탱크(20)는 호스로부터 방울로 맺어 떨어지는 소변을 임시 저장한다. 계량용 소변탱크(20)에는 수위 센서가 구비되어 있으며 수위 센서는 계량용 소변탱크에 소변이 채워져서 어느 정도 수위에 도달했는지 여부를 감지한다.
제어부(30)는 드롭 센서(10)에 의해 소변의 드롭 사건이 발생함을 인지하고, 수위 센서에 의해 계량용 소변탱크의 소변 수위를 인지한다. 제어부(30)는 드롭 센서(10)에 의해 감지된 소변의 드롭 수와 수위 센서에 의해 감지된 계량용 소변탱크의 소변 수위를 참조하여 유량 변화량을 측정한다. 제어부(30)는 유량 변화량을 측정하여 소변의 총량, 유량 속도, 유량의 증가/감소의 계산에 이용한다.
제어부(30)는 표시부(40)를 통해 소변의 총량, 동작 시간, 유량 속도, 유량의 증가/감소를 표시한다. 제어부(30)는 수위 센서에 의해 감지된 계량용 소변탱크(20)의 소변 수위를 참조하여 소변의 총량을 계산해서 계산된 소변의 총량을 표시한다. 제어부(30)는 소변량을 측정한 시작 시점부터 경과한 시간을 산출하여 동작 시간을 계산하고 계산된 동작 시간을 표시부(40)를 통해 표시한다. 제어부(30)는 드롭 센서(10)와 수위 센서를 이용하여 일정 시간 동안의 소변의 유량 속도를 측정해서 측정된 유량 속도를 표시한다. 제어부(30)는 일정 시간마다 측정된 유량 속도를 비교하여 유량이 증가했는지 감소했는지를 판단해서 유량의 증가/감소를 표시한다.
소변 배출량 자동 측정 장치는 계량용 소변탱크(20)에 저장된 소변을 저장용 소변 탱크(60)로 배출하는 펌프(50)를 더 포함한다. 제어부(30)의 제어를 받는 펌프(50)는 계량용 소변탱크(20)에 저장된 소변의 수위가 미리 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면 저장된 소변을 저장용 소변탱크(60)로 배출한다. 이때, 제어부(30)는 펌프(50)에 의해 계량용 소변탱크(20)에 저장된 소변이 배출되는 시간 동안 계량용 소변탱크(20)로 유입되는 소변의 유량을 참조하여 유량 변화량을 보정한다. 제어부(30)는 유량 변화량을 보정해서 소변의 총량, 유량 속도, 유량의 증가/감소에 반영한다.
제어부(30)는 펌프(50)가 동작할 때 계량용 소변탱크(20)로 유입되는 소변의 유량을 계산하고자 최초로 펌프(50)가 동작하기 전에 계량용 소변탱크(20)에 저장된 소변량과 드롭 센서(10)에 의해 측정된 드롭 수를 참조하여 소변의 한 드롭당 소변량을 계산한다. 환자 상태에 따라 소변에 포함되는 노폐물과 염도가 달라지고 이로 인해 표면 장력이 달라져서 한 드롭당 소변량이 달라지므로 환자에 따라 소변의 한 드롭당 소변량을 계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소변의 한 드롭당 소변량을 실험적으로 측정해서 미리 설정된 한 드롭당 소변량을 총 소변량 계산에 사용할 수 있다. 펌프(50)가 동작하는 시간 동안 계량용 소변 탱크(20)로 유입되는 소변량을 계산해서 총 소변량을 보정한다. 이러한 보정 동작은 소변 배출량 자동 측정 장치를 소형화하는데 필요하다.
다른 실시예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변 배출량 자동 측정 장치는 계량용 소변탱크(20)를 두 개(20-1, 20-2)로 구성하여 하나의 계량용 소변탱크(20-1)에 저장된 소변을 소변배출 스위치(80)를 제어하여 소변 배출구를 열어 펌프로 배출할 때 소변입구 스위치(70)를 제어하여 계량용 소변탱크(20-1)의 소변 입구를 차단하고 다른 하나의 계량용 소변탱크(20-2)의 소변 입구를 열어 유입되는 소변을 저장하는 동작을 실행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처럼 두 개의 소변 탱크를 사용하여 제작하는 것은 장치 구성이 복잡하고 개당 단가가 높아져서 설계상 바 람직하지 못하다.
본 발명에서 제어부(30)는 계량용 소변탱크(20)로 유입되는 소변의 유량을 계산할 때 소변의 한 드롭 당 유량과 드롭 수를 곱하여 소변의 유량을 획득한다. 제어부(30)는 획득된 소변의 유량을 유량 변화량에 반영하여 소변의 총량, 유량 속도, 유량의 증가/감소를 계산한다.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표시부에서 소변 배출에 관련된 정보를 출력하는 구성을 보인 예시도이다.
제어부는 소변 배출에 관련된 정보를 계산하여 표시부를 통해 계산된 정보를 외부로 출력한다.
제어부는 유속의 변화를 산출하여 유속이 증가하는지 감소하는지에 따라 표시부에 유속에 따라 떨어지는 물방울 속도(101)를 달리한다. 그리고 제어부는 유속이 증가/감소하고 있음을 상하 증감을 나타내는 부호(102)로 표시한다.
제어부는 소변의 유량을 측정하는 시점부터 경과된 시간을 계산하여 총 동작 시간을 산출해서 산출된 총 동작 시간(103)을 표시부에 표시한다.
제어부는 계량용 소변탱크에 구비된 수위 센서에 의해 측정된 소변 수위와 계량용 소변탱크에 구비된 펌프에 의해 배출된 소변량을 참조하여 소변의 총량을 계산해서 계산된 소변의 총량(104)을 표시부에 표시한다.
제어부는 드롭 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소변의 드롭 수와 계량용 소변탱크의 수위 센서에 의해 측정되는 소변의 수위를 참조하여 유량 속도를 계산한다. 이때, 제어부는 설정된 유량 속도의 단위(106)에 맞게 유량 속도의 수치(105)를 가공하여 표시부에 표시한다.
제어부는 동작 전원을 배터리 또는 외부 전원으로부터 공급받는다. 제어부는 배터리 전원의 전압을 측정하여 잉여 전원의 양을 배터리 아이콘(107)으로 표시한다. 제어부는 외부 전원으로 동작 전원을 공급받으면 외부 전원 아이콘(108)을 표시한다.
제어부는 동작 중 오류가 발생하면 알람 아이콘(109)을 표시하고 경고음을 출력한다.
[도 4]은 본 발명에 따른 소변 배출량 자동 측정 방법의 동작 흐름도이다.
이하, 소변 배출량 자동 측정 장치를 측정 장치로 표기한다.
측정 장치는 전원 버튼을 일정 시간 동안 누르면 전원이 온하여 동작하고, 전원이 온된 상태에서 다시 전원 버튼을 일정 시간 동안 누르면 전원이 오프한다.
측정 장치는 전원 온된 상태에서 소변의 유량을 측정하기 전에 사전 준비 단계로 배터리의 충전 전압을 체크하고, 드롭 센서의 포토 센서에 전기 신호를 출력하여 드롭 센서의 올바른 동작 유무를 체크하고, 수위 센서를 체크하여 계량용 소변탱크에 저장된 소변량을 체크하고, 펌프를 동작시켜 수위 센서의 감지값이 영이될 때까지 계량용 소변탱크에 저장된 액체를 모두 제거한다.
측정 장치는 업/다운 버튼의 입력을 감지하여 약물 주입 속도를 선택받는다. 약물 주입 속도의 단위는 ml/hr, ml/30min, ml/10min, ml/min, ml/sec이고, 약물 주입 속도에 비례하여 소변 배출량도 결정된다.
측정 장치는 약물 주입 속도의 단위를 설정한 후 엔터 버튼을 누르면 동작을 시작한다(ST10). 측정 장치는 약물 주입 속도가 빠르면 유속에 따라 떨어지는 물방울 속도를 달리한다.
측정 장치는 두 개의 드롭 센서를 이용하여 소변 물방울이 떨어지는 것인지 아니면 소변 물방울이 튀어 오는 것인지를 판단한다(ST20). 측정 장치는 상부측 드롭 센서가 동작한 다음 하부측 드롭 센서가 동작한 것이면 소변 물방울이 떨어진 것으로 인식한다.
측정 장치는 소변 물방울의 드롭 간의 시간 간격을 저장하고, 일정 시간 동안의 드롭 수를 저장한다. 측정 장치는 드롭 센서를 이용하여 인지한 소변 물방울의 드롭 정보를 사용하여 소변 물방울의 드롭 간의 시간 간격과 일정 시간 동안의 드롭 수를 계산해서 저장한다.
측정 장치는 드롭 센서를 이용함에 있어 주변의 밝기 변화에 따른 드롭 센서의 오동작을 방지해야 한다. 측정 장치는 드롭 센서의 오동작 방지 대책으로 두 개의 드롭 센서가 순차적으로 동작하는지 여부를 체크하여 소변 물방울의 떨어짐을 인지한다. 다른 실시예로, 측정 장치는 주변의 밝기를 주기적으로 체크하여 드롭 센서의 밝기 변화에 대한 감도를 조정해서 소변 물방울의 떨어짐을 인지한다.
측정 장치는 수위 센서를 이용하여 계량용 소변탱크의 수위가 미리 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면 소변의 초기 측정 시점부터 임계치를 초과할 때까지의 시간을 산출하여 유량 속도를 계산한다(ST30). 측정 장치는 드롭 센서에 의해 측정되는 소 변 물방울의 드롭 속도에 의한 수위 변화와 수위 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수위 변화를 비교하여 두 수위 변화 값이 소정의 임계치를 벗어나면 에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에러 발생이 큰 경우 에러를 표시한다.
측정 장치는 약물 투입 속도가 낮아 배출되는 소변의 양이 적어 수위 센서의 변화량이 적은 경우 드롭 센서에 의해 측정되는 소변 물방울의 드롭 수와 실험적으로 얻은 소변 물방울의 양을 곱하여 소변의 유량 속도를 계산한다. 이때, 측정 장치는 수위 센서에 의해 측정되는 유량 속도를 이용하여 드롭 센서에 의해 측정되는 유량 속도를 보정하는 보조 수단으로 사용한다.
측정 장치는 유량 속도를 표시부에 표시함에 있어 미리 설정된 단위 시간을 주기로 유량 속도를 표시한다.
측정 장치는 수위 센서를 체크하여(ST40) 계량용 소변탱크에 소변이 완전히 찬 상태로 놓여 있는지 아니면 완전히 빈 상태로 놓여 있는지를 판단한다(ST50). 측정 장치는 계량용 소변탱크에 소변이 완전히 찬 상태로 놓여 있는 것으로 판단하면 펌프를 동작시켜(ST60) 계량용 소변탱크에 저장된 소변을 완전히 저장용 소변탱크로 배출시켜 계량용 소변탱크를 완전히 비운다.
측정 장치는 펌프를 동작시켜 계량용 소변탱크를 비우는 동안 계량용 소변탱크로 소변이 유입됨을 감안하여 펌프가 동작하는 시간 동안 드롭 센서에 의해 측정되는 드롭 수와 실험적으로 얻은 소변의 물방울 양을 곱하여 유량 변화량 및 유량 속도를 보정한다(ST70).
다른 실시예로 측정 장치는 펌프가 동작할 때 계량용 소변탱크로 유입되는 소변의 유량을 계산하고자 최초로 펌프가 동작하기 전에 계량용 소변탱크에 저장된 소변량과 드롭 센서에 의해 측정된 드롭 수를 참조하여 소변의 한 드롭당 소변량을 계산한다. 측정 장치는 펌프가 동작하는 시간 동안 소변의 한 드롭당 소변량과 드롭 수를 곱한 값을 이용하여 유량 변화량 및 유량 속도를 보정한다.
측정 장치는 드롭 센서에 의해 측정되는 소변 물방울의 드롭 수가 많은 경우 수위 센서를 기준으로 유량 속도를 계산하고, 소변 물방울의 드롭 수가 적은 경우 드롭 센서를 기준으로 유량 속도를 계산한다.
측정 장치는 엘씨디 화면에 동작 시간, 소변의 총량, 유량 속도를 표시한다(ST80).
측정 장치는 동작 시작 시점부터 경과한 시간을 계산하여 얻은 동작 시간을 엘씨디 화면에 표시한다.
측정 장치는 계량용 소변탱크에 구비된 수위 센서에 의해 측정된 소변 수위와 계량용 소변탱크에 구비된 펌프에 의해 배출된 소변량을 참조하여 소변의 총량을 계산해서 계산된 소변의 총량을 엘씨디 화면에 표시한다. 측정 장치는 약물 주입량에 따라 소수점의 위치를 달리해서 소변의 총량을 표시한다.
측정 장치는 드롭 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소변의 드롭 수와 계량용 소변탱크의 수위 센서에 의해 측정되는 소변의 수위를 참조하여 유량 속도를 계산한다. 이때, 측정 장치는 설정된 유량 속도의 단위에 맞게 유량 속도의 수치를 가공하여 엘씨디 화면에 표시한다.
측정 장치는 전원 공급 소스로 배터리인지 외부 전원인지에 따라 배터리 아 이콘 또는 외부 전원 아이콘을 엘씨디 화면에 표시한다.
측정 장치는 유량 속도의 변화를 산출하여 유량 속도가 증가하는지 감소하는지에 따라 엘씨디 화면에 유량 속도에 따라 떨어지는 물방울 속도를 달리한다. 그리고 측정 장치는 유량 속도가 증가/감소하고 있음을 상하 증감을 나타내는 부호로 표시한다.
측정 장치는 드롭 센서에 의해 측정되는 유량 속도와 수위 센서에 의해 측정되는 유량 속도 간에 값의 차이가 클 경우 에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알람을 울린다. 측정 장치는 배터리의 전원 상태가 로우 배터리 상태인 경우 알람을 울려 배터리 교환 및 충전을 외부에 알린다.
측정 장치는 소변 측정에 소요된 동작 시간, 소변의 총량, 유량 속도를 일정 시간 단위로 저장한다(ST90). 측정 장치는 메모리 용량을 감안하여 메모리에 저장될 데이터의 시간 단위를 결정한다.
이상에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소변 배출량 자동 측정 장치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계량용 소변탱크의 실시예를 보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표시부에서 소변 배출에 관련된 정보를 출력하는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소변 배출량 자동 측정 방법의 동작 흐름도이다.

Claims (13)

  1. 인체의 요도에 삽입된 호스를 통해 소변의 드롭을 감지하는 드롭 센서;
    상기 소변을 임시 저장하는 계량용 소변탱크;
    상기 계량용 소변탱크에 저장된 소변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 센서; 및
    상기 드롭 센서와 상기 수위 센서를 이용해서 유량 변화량를 측정하여 측정된 유량 변화량을 표시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소변 배출량 자동 측정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소변 배출량 자동 측정 장치는 소변의 총량, 동작 시간, 유량 속도, 유량의 증가/감소 중 하나 이상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유량 변화량을 참조하여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는 정보를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 배출량 자동 측정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소변 배출량 자동 측정 장치는 상기 계량용 소변탱크에 저장된 소변의 수위가 미리 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면 저장된 소변을 저장용 소변탱크로 배출하는 펌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펌프에 의해 상기 계량용 소변탱크에 저장된 소변이 배출되는 시간 동안 상기 계량용 소변탱크로 유입되는 소변의 유량을 참조하여 상기 유량 변화량을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 배출량 자동 측정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계량용 소변탱크로 유입되는 소변의 유량을 소변의 한 드롭 당 유량과 드롭 수를 곱하여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 배출량 자동 측정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드롭 센서는 두 개로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부측 드롭 센서가 동작한 다음 하부측 드롭 센서가 동작한 것이면 소변 물방울이 떨어진 것으로 인식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 배출량 자동 측정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드롭 센서의 밝기 변화에 대한 감도를 조정해서 소변 물방울이 떨어짐을 인식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 배출량 자동 측정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계량용 소변탱크는,
    저장된 소변을 펌프로 배출할 때 소변 입구를 차단하는 제 1 계량용 소변탱크; 및
    상기 제 1 계량용 소변탱크에서 저장된 소변이 펌프로 배출될 때 소변 입구를 열어 유입되는 소변을 저장하는 제 2 계량용 소변탱크;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 배출량 자동 측정 장치.
  8. (a) 소변의 드롭을 드롭 센서에 의해 감지하는 단계;
    (b) 일정 시간동안 상기 드롭 센서에 의해 감지된 소변량을 계산해서 유량 속도를 계산하는 단계;
    (c) 수위 센서를 이용하여 계량용 소변탱크에 저장된 소변의 수위를 계산하는 단계;
    (d) 상기 소변의 수위가 미리 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면 펌프를 동작시키고 유량 속도를 보정하는 단계; 및
    (e) 상기 드롭 센서와 수위 센서에 의해 감지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소변의 총량, 동작 시간, 유량 속도, 유량의 증가/감소의 하나 이상을 계산해서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소변 배출량 자동 측정 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소변 배출량 자동 측정 방법은
    약물 주입 속도에 대응하여 유량 속도의 단위를 세팅하는 단계;
    상기 세팅된 유량 속도의 단위를 참조하여 소변의 유량 속도를 계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 배출량 자동 측정 방법.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펌프에 의해 상기 계량용 소변탱크에 저장된 소변이 저장용 소변탱크로 배출되는 시간 동안 상기 계량용 소변탱크로 유입되는 소변의 유량에 대해 유량 변화량을 계산하여 유량 속도를 보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 배출량 자동 측정 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에서 유량 변화량의 계산은 소변의 한 드롭 당 유량과 드롭 수를 곱하여 계산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 배출량 자동 측정 방법.
  12.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두 개로 구성된 드롭 센서에서 상부측 드롭 센서가 동작한 다음 하부측 드롭 센서가 동작한 것이면 소변 물방울이 떨어진 것으로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 배출량 자동 측정 방법.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드롭 센서의 밝기 변화에 대한 감도를 조정해서 소변 물방울이 떨어짐을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 배출량 자동 측정 방법.
KR1020090012239A 2009-02-16 2009-02-16 소변 배출량 자동 측정 장치 및 방법 KR1010163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2239A KR101016371B1 (ko) 2009-02-16 2009-02-16 소변 배출량 자동 측정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2239A KR101016371B1 (ko) 2009-02-16 2009-02-16 소변 배출량 자동 측정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3178A true KR20100093178A (ko) 2010-08-25
KR101016371B1 KR101016371B1 (ko) 2011-02-18

Family

ID=427576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2239A KR101016371B1 (ko) 2009-02-16 2009-02-16 소변 배출량 자동 측정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637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67395A2 (ko) * 2010-11-15 2012-05-24 Kim Seong Geun 소변량에 따른 인퓨전 펌프의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WO2015152514A1 (ko) * 2014-04-04 2015-10-08 (주)엠큐브테크놀로지 환자 모니터링 장치 및 신장 기능 모니터링 장치
KR20190036356A (ko) * 2017-09-27 2019-04-04 다인기술 주식회사 생체 임피던스를 이용하여 잔뇨를 모니터링하는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8347B1 (ko) 2017-11-27 2020-09-21 김도헌 소변 정보 수집 및 제공 방법
KR102241002B1 (ko) 2019-09-23 2021-04-20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체액 배출량 측정 장치
KR20210106830A (ko) 2020-02-21 2021-08-31 경남도립거창대학산학협력단 소변 배출량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소변 배출량 측정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6669A (en) 1978-07-24 1980-02-05 Terumo Corp Intravenous drip measuring device
US4314484A (en) 1979-10-09 1982-02-09 University Of Utah Research Foundation Self-compensating optical drop count apparatus for measuring volumetric fluid flow
WO1987001025A1 (en) 1984-04-10 1987-02-26 Bio-Flow, Inc. Monitor for liquid level and urine flow
KR100395342B1 (ko) * 2000-10-04 2003-08-21 한메딕스 주식회사 집뇨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67395A2 (ko) * 2010-11-15 2012-05-24 Kim Seong Geun 소변량에 따른 인퓨전 펌프의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WO2012067395A3 (ko) * 2010-11-15 2012-08-23 Kim Seong Geun 소변량에 따른 인퓨전 펌프의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WO2015152514A1 (ko) * 2014-04-04 2015-10-08 (주)엠큐브테크놀로지 환자 모니터링 장치 및 신장 기능 모니터링 장치
KR20190036356A (ko) * 2017-09-27 2019-04-04 다인기술 주식회사 생체 임피던스를 이용하여 잔뇨를 모니터링하는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WO2019066357A1 (ko) * 2017-09-27 2019-04-04 다인기술 주식회사 생체 임피던스를 이용하여 잔뇨를 모니터링하는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16371B1 (ko) 2011-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6371B1 (ko) 소변 배출량 자동 측정 장치 및 방법
US7758562B2 (en) Patient hydration system with a redundant monitoring of hydration fluid infusion
CN105960642B (zh) 带图形用户界面的输液泵
US7837667B2 (en) Patient hydration system with abnormal condition sensing
US6238366B1 (en) System for fluid retention management
US20020032403A1 (en) System for fluid retention management
KR101576900B1 (ko) 환자 모니터링 장치 및 신장 기능 모니터링 장치
US10619795B2 (en) Monitoring apparatus for pressure vessels
CN103111000A (zh) 一种基于悬臂梁测力传感器的输液报警装置及其方法
JP3822639B2 (ja) 流体保持管理のためのシステム
CN108310597A (zh) 一种球囊扩张系统
JP5028067B2 (ja) 輸液供給システム及び輸液供給装置
KR100592468B1 (ko) 휴대용 수액 주입장치
US11197973B2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filling status of a vaporizer reservoir in an anesthetic vaporizer system
CN109621084A (zh) 一种智能输液的方法及系统
US20220016385A1 (en) System and method for tracking anesthetic agent in a vaporizer reservior
US20220316657A1 (en) Container for pressurized fluid with electronic device for calculating remaining fluid
CN206756832U (zh) 体液引流检测系统
US11583638B2 (en) Infusion tube assembly, infusion device, and infusion method
ES2614412T3 (es) Sistema de hidratación de pacientes con detección de estado anómalo
US20220299169A1 (en) Container for pressurized fluid with electronic device for calculating and updated displaying of remaining fluid
CN112393772B (zh) 胰岛素泵计量校准装置
CN215690417U (zh) 一种可计量的膀胱冲洗用集尿器
WO2009144628A1 (en) System for determining a medication dosage in airway disorders
KR200368270Y1 (ko) 휴대용 수액 주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3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