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6356A - 생체 임피던스를 이용하여 잔뇨를 모니터링하는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생체 임피던스를 이용하여 잔뇨를 모니터링하는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6356A
KR20190036356A KR1020170125479A KR20170125479A KR20190036356A KR 20190036356 A KR20190036356 A KR 20190036356A KR 1020170125479 A KR1020170125479 A KR 1020170125479A KR 20170125479 A KR20170125479 A KR 20170125479A KR 20190036356 A KR20190036356 A KR 201900363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bioimpedance
residual
correlation
urin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54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13418B1 (ko
Inventor
송지영
두경연
Original Assignee
다인기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인기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다인기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254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3418B1/ko
Priority to PCT/KR2018/010997 priority patent/WO2019066357A1/ko
Publication of KR201900363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63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34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34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5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diagnosis by means of electric currents or magnetic fields; Measuring using microwaves or radio waves 
    • A61B5/053Measuring electrical impedance or conductance of a portion of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71Specific aspects of physiological measurement analysis
    • A61B5/7275Determining trends in physiological measurement data; Predicting development of a medical condition based on physiological measurements, e.g. determining a risk fact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hysiology (AREA)
  • Psychiatr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 Measurement And Recording Of Electrical Phenomena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Living Body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생체 임피던스를 이용하여 잔뇨를 모니터링하는 방법으로서, 복수의 시점에서의 사용자의 잔뇨량 및 생체 임피던스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잔뇨량 및 생체 임피던스 사이의 상관 관계를 캘리브레이션함으로써 상기 사용자에 대하여 개인화된 상관 관계를 도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에게 개인화된 상관 관계 및 상기 사용자로부터 측정되는 제1 생체 임피던스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생체 임피던스가 측정되는 시점에서의 상기 사용자의 잔뇨량을 추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생체 임피던스를 이용하여 잔뇨를 모니터링하는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METHOD,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MONITORING RESIDUAL URINE USING BIOIMPEDANCE}
본 발명은 생체 임피던스를 이용하여 잔뇨를 모니터링하는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척수 손상, 척수 수술 등으로 인하여 요의(micturition desire)를 느끼지 못하는 환자들의 경우, 스스로 배뇨(urination) 및 도뇨(catheterization) 시점을 판단하기가 어려우므로 방광 내 소변량을 모니터링하여 적절한 시점에 배뇨를 실시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만약 적절한 빈도와 시점에 적정량의 배뇨 및 도뇨를 하지 못하면 빈뇨, 요실금, 요정체와 같은 가벼운 방광 기능 장애부터 요로감염, 수신증, 방광요관 역류와 같은 합병증까지 유발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종래에는 환자가 병원에 내원한 후, 초음파 장비를 활용하여 해당 환자의 방광의 용적 및 소변량을 측정할 수는 있었으나, 초음파 프로브의 정확한 위치를 선정하기가 어렵고, 가격이 고가였기 때문에, 자가 모니터링의 용도로 활용되기에는 적합하지 않았다. 또한, 종래의 생체 임피던스 정보에 기초하여 방광과 관련된 기능을 감지할 수는 있으나 별도의 시술이 요구되는 이식형 의료 기기를 통한 방법이었고, 전기 임피던스 단층 촬영(EIT; Electrical Impedance Tomography)을 통한 임피던스 분포 영상(impedance distribution image)을 분석하기 위한 고가의 장비를 필요로 하였기 때문에 자가 모니터링 용도로 사용되기는 어려웠다.
이에, 본 발명자는, 잔뇨량과 생체 임피던스 사이의 상관 관계를 캘리브레이션함으로써 도출되는 환자의 개인화된 상관 관계에 기초하여 환자가 쉽게 자신의 잔뇨량을 모니터링 할 수 있는 기술을 제안하는 바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모두 해결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잔뇨량 및 생체 임피던스 사이의 개인화된 상관 관계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잔뇨량을 간편하게 추정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추정되는 잔뇨량에 기초하여 배뇨 또는 도뇨 시점, 요속 검사 추천 시점, 방광 기능 이상 여부 또는 배뇨 행동 치료에 관한 가이드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추정되는 잔뇨량에 기초하여 배뇨 일지를 생성 및 관리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대표적인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생체 임피던스를 이용하여 잔뇨를 모니터링하는 방법으로서, 복수의 시점에서의 사용자의 잔뇨량 및 생체 임피던스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잔뇨량 및 생체 임피던스 사이의 상관 관계를 캘리브레이션함으로써 상기 사용자에 대하여 개인화된 상관 관계를 도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에게 개인화된 상관 관계 및 상기 사용자로부터 측정되는 제1 생체 임피던스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생체 임피던스가 측정되는 시점에서의 상기 사용자의 잔뇨량을 추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르면, 생체 임피던스를 이용하여 잔뇨를 모니터링하는 시스템으로서, 복수의 시점에서의 사용자의 잔뇨량 및 생체 임피던스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생체 정보 관리부, 상기 획득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잔뇨량 및 생체 임피던스 사이의 상관 관계를 캘리브레이션함으로써 상기 사용자에 대하여 개인화된 상관 관계를 도출하는 관계 도출부, 및 상기 사용자에게 개인화된 상관 관계 및 상기 사용자로부터 측정되는 제1 생체 임피던스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생체 임피던스가 측정되는 시점에서의 상기 사용자의 잔뇨량을 추정하는 잔뇨 추정부를 포함하는 시스템이 제공된다.
이 외에도,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다른 방법, 다른 시스템 및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더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잔뇨량 및 생체 임피던스 사이의 개인화된 상관 관계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잔뇨량을 간편하게 추정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의 추정되는 잔뇨량에 기초하여 배뇨 또는 도뇨 시점, 요속 검사 추천 시점, 방광 기능 이상 여부 또는 배뇨 행동 치료에 관한 가이드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의 추정되는 잔뇨량에 기초하여 배뇨 일지를 생성 및 관리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잔뇨를 모니터링 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잔뇨 모니터링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상세하게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의 잔뇨가 모니터링 되는 과정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잔뇨량 및 생체 임피던스 사이의 개인화된 상관 관계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잔뇨량 및 생체 임피던스 사이의 상관 관계를 캘리브레이션함으로써 개인화된 상관 관계가 도출되는 과정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러한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일 실시예로부터 다른 실시예로 변경되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도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행하여지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들이 청구하는 범위 및 그와 균등한 모든 범위를 포괄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야 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여러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전체 시스템의 구성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잔뇨를 모니터링 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체 시스템은, 통신망(100), 잔뇨 모니터링 시스템(200), 사용자 디바이스(300) 및 생체 임피던스 측정 디바이스(40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망(100)은 유선 통신이나 무선 통신과 같은 통신 양태를 가리지 않고 구성될 수 있으며,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도시권 통신망(MAN; Metropolitan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등 다양한 통신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명세서에서 말하는 통신망(100)은 공지의 인터넷 또는 월드와이드웹(WWW; World Wide Web)일 수 있다. 그러나, 통신망(100)은, 굳이 이에 국한될 필요 없이, 공지의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 공지의 전화망 또는 공지의 유무선 텔레비전 통신망을 그 적어도 일부에 있어서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통신망(100)은 무선 데이터 통신망으로서, 와이파이(WiFi) 통신,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Direct) 통신, 롱텀 에볼루션(LTE; Long Term Evolution) 통신, 블루투스 통신(예를 들면, 저전력 블루투스(BLE; Bluetooth Low Energy) 통신), 적외선 통신, 초음파 통신 등과 같은 종래의 통신 방식을 적어도 그 일부분에 있어서 구현하는 것일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잔뇨 모니터링 시스템(200)은 통신망(100)을 통하여 후술할 사용자 디바이스(300) 및 생체 임피던스 측정 디바이스(400)와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고, 복수의 시점에서의 사용자의 잔뇨량 및 생체 임피던스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고, 그 획득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잔뇨량 및 생체 임피던스 사이의 상관 관계를 캘리브레이션함으로써 해당 사용자에 대하여 개인화된 상관 관계를 도출하고, 해당 사용자에게 개인화된 상관 관계 및 해당 사용자로부터 측정되는 제1 생체 임피던스에 기초하여 그 제1 생체 임피던스가 측정되는 시점에서의 해당 사용자의 잔뇨량을 추정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잔뇨 모니터링 시스템(200)의 구성과 기능에 관하여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자세하게 알아보기로 한다. 한편, 잔뇨 모니터링 시스템(200)에 관하여 위와 같이 설명되었으나, 이러한 설명은 예시적인 것이고, 잔뇨 모니터링 시스템(200)에 대하여 요구되는 기능이나 구성요소의 적어도 일부가 필요에 따라 사용자 디바이스(300), 생체 임피던스 측정 디바이스(400) 또는 다른 외부 시스템(미도시됨) 내에서 실현되거나 사용자 디바이스(300), 생체 임피던스 측정 디바이스(400) 또는 다른 외부 시스템(미도시됨)에 포함될 수도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디바이스(300)는 통신망(100)을 통해 잔뇨 모니터링 시스템(200) 또는 생체 임피던스 측정 디바이스(400)에 접속한 후 통신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디지털 기기로서,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과 같이 메모리 수단을 구비하고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탑재하여 연산 능력을 갖춘 휴대 가능한 디지털 기기라면 얼마든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디바이스(300)로서 채택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디바이스(300)는, 본 발명에 따른 잔뇨 모니터링 기능을 지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애플리케이션은 잔뇨 모니터링 시스템(200) 또는 외부의 애플리케이션 배포 서버(미도시됨)로부터 다운로드된 것일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생체 임피던스 측정 디바이스(400)는, 통신망(100)을 통해 잔뇨 모니터링 시스템(200) 또는 사용자 디바이스(300)에 접속한 후 통신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디지털 기기로서, 사용자의 인체에 미세한 전류를 인가하고, 해당 전류에 의해 사용자의 인체에 형성되는 생체 임피던스를 측정하는 방식 등을 이용하는 공지의 생체 임피던스 측정 센서(미도시됨)를 포함하는 디바이스일 수 있다. 한편, 생체 임피던스 측정 디바이스(400)에 관하여 위와 같이 설명되었으나, 이러한 설명은 예시적인 것이고, 생체 임피던스 측정 디바이스(400)에 대하여 요구되는 기능이나 구성요소의 적어도 일부가 필요에 따라 사용자 디바이스(300) 내에서 실현되거나 사용자 디바이스(300)에 포함될 수도 있다.
잔뇨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성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현을 위하여 중요한 기능을 수행하는 잔뇨 모니터링 시스템(200)의 내부 구성과 각 구성요소의 기능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잔뇨 모니터링 시스템(200)의 내부 구성을 상세하게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잔뇨 모니터링 시스템(200)은, 생체 정보 관리부(210), 상관 관계 도출부(220), 잔뇨 추정부(230), 추천 정보 결정부(240), 배뇨 일지 생성부(250), 통신부(260) 및 제어부(27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생체 정보 관리부(210), 상관 관계 도출부(220), 잔뇨 추정부(230), 추천 정보 결정부(240), 배뇨 일지 생성부(250), 통신부(260) 및 제어부(270)는 그 중 적어도 일부가 외부의 시스템과 통신하는 프로그램 모듈일 수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은 운영 시스템, 응용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프로그램 모듈의 형태로 잔뇨 모니터링 시스템(200)에 포함될 수 있고, 물리적으로는 여러 가지 공지의 기억 장치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은 잔뇨 모니터링 시스템(200)과 통신 가능한 원격 기억 장치에 저장될 수도 있다. 한편,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은 본 발명에 따라 후술할 특정 업무를 수행하거나 특정 추상 데이터 유형을 실행하는 루틴, 서브루틴, 프로그램, 오브젝트, 컴포넌트, 데이터 구조 등을 포괄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 정보 관리부(210)는, 복수의 시점에서의 사용자의 잔뇨량 및 생체 임피던스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생체 정보 관리부(210)는, 사용자의 배뇨 또는 도뇨 이전 시점 및 사용자의 배뇨 또는 도뇨 이후 시점을 포함하는 복수의 시점에서 해당 사용자로부터 측정되는 잔뇨량 및 생체 임피던스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생체 정보 관리부(210)는 사용자의 배뇨 또는 도뇨 이전의 잔뇨량과 배뇨 또는 도뇨 이후의 잔뇨량에 관한 정보를 공지의 초음파 측정 디바이스(미도시됨)로부터 획득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관 관계 도출부(220)는, 생체 정보 관리부(210)에 의해 획득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잔뇨량 및 생체 임피던스 사이의 상관 관계를 캘리브레이션함으로써 해당 사용자에 대하여 개인화된 상관 관계를 도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관 관계 도출부(220)는, 잔뇨량 및 생체 임피던스 사이의 일반화된 또는 기설정된 상관 관계를 사용자의 복수의 시점에서의 잔뇨량 및 생체 임피던스에 매칭되는 방향으로 캘리브레이션함으로써, 해당 사용자에게 적용될 수 있는 개인화된 상관 관계를 도출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관 관계 도출부(220)는, 잔뇨량 및 생체 임피던스 사이의 상관 관계를 수학적으로 정의하는 함수의 계수, 상수, 매개 변수 등을 캘리브레이션함으로써, 해당 사용자에게 적용될 수 있는 개인화된 상관 관계를 도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의 잔뇨량 및 생체 임피던스 사이의 일반화된 또는 기설정된 상관 관계는, 복수의 사용자의 잔뇨량 및 생체 임피던스를 분석(예를 들면, 통계적 분석)하여 도출된 상관 관계, 잔뇨량 및 생체 임피던스 사이의 공지의 상관 관계(예를 들면, 생체 전기 임피던스 분석법(BIA; Bioelectrical Impedance Analysis)에 따른 반비례 관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관 관계 도출부(220)는, 사용자의 개인 정보(예를 들면, 사용자의 나이, 성별, 국가, 인종, 키, 몸무게 등)를 참조하여 잔뇨량 및 생체 임피던스 사이의 복수의 일반화된 상관 관계 중 해당 사용자의 개인 정보와 연관되는 상관 관계를 캘리브레이션의 대상이 되는 잔뇨량 및 생체 임피던스 사이의 일반화된 또는 기설정된 상관 관계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관 관계 도출부(220)는, 사용자의 나이가 20대인 경우에, 복수의 사용자 중 나이가 20대인 사용자의 잔뇨량 및 생체 임피던스를 분석하여 도출된 잔뇨량 및 생체 임피던스 사이의 상관 관계를 캘리브레이션의 대상이 되는 잔뇨량 및 생체 임피던스 사이의 일반화된 또는 또는 기설정된 상관 관계로 결정하거나, 잔뇨량 및 생체 임피던스 사이의 공지의 복수의 일반화된 또는 기설정된 상관 관계 중 20대 나이와 연관되는 잔뇨량 및 생체 임피던스 사이의 상관 관계를 캘리브레이션의 대상이 되는 잔뇨량 및 생체 임피던스 사이의 일반화된 또는 기설정된 상관 관계로 결정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관 관계 도출부(220)는, 사용자의 복수의 시점에서의 잔뇨량 및 생체 임피던스 중 소정 오차 범위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시점에서의 잔뇨량 및 생체 임피던스만이 위의 매칭 대상에 포함되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관 관계 도출부(220)는, 복수의 시점에서 사용자로부터 실제로 측정되는 잔뇨량 및 생체 임피던스를 참조하여 그 사용자의 잔뇨량 및 생체 임피던스 사이의 적어도 하나의 상관 관계를 추정하고, 그 추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상관 관계 중 위의 실제로 측정되는 잔뇨량 및 생체 임피던스와 매칭되는 빈도가 높은 상관 관계를 그 사용자에게 적용될 수 있는 개인화된 상관 관계인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관 관계 도출부(220)는, 사용자의 잔뇨량 및 생체 임피던스 사이의 상관 관계를 추정하기 위하여, 통계적 분석, 머신 러닝(또는 딥 러닝) 분석 등의 공지의 상관 관계 분석 기술을 통해 복수의 시점에서 사용자로부터 측정되는 잔뇨량 및 생체 임피던스를 분석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잔뇨 추정부(230)는, 상관 관계 도출부(220)에 의해 도출되는 사용자의 개인화된 상관 관계 및 해당 사용자로부터 측정되는 제1 생체 임피던스에 기초하여 그 제1 생체 임피던스가 측정되는 시점에서의 해당 사용자의 잔뇨량을 추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잔뇨 추정부(230)는, 사용자에 대하여 개인화된 잔뇨량 및 생체 임피던스 사이의 상관 관계를 이용하여 해당 사용자로부터 측정된 생체 임피던스에 대응되는 잔뇨량을 추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잔뇨 추정부(230)는, 사용자에 대하여 개인화된 잔뇨량 및 생체 임피던스 사이의 상관 관계가 반비례 관계인 경우에, 잔뇨량이 50ml이고, 그때의 생체 임피던스가 200Ω인 관계를 가지는 경우에, 해당 사용자로부터 측정되는 제1 생체 임피던스가 100Ω이면, 그 제1 생체 임피던스에서의 잔뇨량을 100ml로 추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추천 정보 결정부(240)는, 잔뇨 추정부(230)에 의해 추정되는 잔뇨량을 참조하여, 사용자에게 제공될 배뇨 또는 도뇨 추천 시점 또는 요속 검사 추천 시점을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추천 정보 결정부(240)는, 사용자의 추정되는 잔뇨량이 소정 수준 이상이 되거나, 소정 수준 이상의 잔뇨량이 소정 시간 이상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시점을, 해당 사용자에게 제공될 배뇨 또는 도뇨 추천 시점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추천 정보 결정부(240)는 사용자의 추정되는 잔뇨량이 소정 수준 이상(예를 들면, 150ml 이상)인 경우에 요속 검사 추천 시점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추천 정보 결정부(240)는, 사용자의 추정되는 잔뇨량을 참조하여, 해당 사용자에게 제공될 사용자의 방광 기능 이상 여부 또는 사용자의 배뇨 행동 치료에 관한 가이드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배뇨 행동 치료에 관한 가이드는, 사용자가 요의가 느껴지더라도 소정 시간 더 참으면서 방광 근육의 힘을 기르도록 하는 등과 같이 배뇨 치료 또는 훈련과 관련하여 특정 시점에서의 사용자의 특정 행위에 관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추천 정보 결정부(240)는, 사용자의 방광 기능 이상 여부 또는 배뇨 행동 치료에 관한 가이드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해당 사용자의 추정된 잔뇨량의 변동 패턴을 방광 기능 이상 패턴과 비교하여 분석함으로써, 해당 사용자에게 제공될 방광 기능 이상 여부에 관한 정보를 결정할 수 있고, 해당 사용자의 잔뇨량의 변동 패턴을 정상 배뇨 패턴 또는 배뇨 치료 행동 패턴과 비교하여 분석함으로써, 해당 사용자에게 제공될 배뇨 행동 치료에 관한 가이드를 결정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추천 정보 결정부(240)는, 적어도 하나의 방광 기능 이상(또는 정상) 패턴, 적어도 하나의 정상 배뇨 패턴 또는 적어도 하나의 배뇨 치료 행동 패턴에 관한 머신 러닝(machine learning) 또는 딥 러닝(deep learning)을 통해 산출되는 패턴에 관한 정보를 참조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배뇨 일지 생성부(250)는, 사용자의 복수의 추정되는 잔뇨량에 기초하여, 해당 사용자에 대한 배뇨 일지(void diary)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뇨 일지는, 사용자의 배뇨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기록(구체적으로는, 시계열적으로 기록)한 대장으로서, 배뇨 횟수, 잔뇨량, 배뇨량, 배뇨 시각, 배뇨 패턴 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부(260)는 생체 정보 관리부(210), 상관 관계 도출부(220), 잔뇨 추정부(230), 추천 정보 결정부(240) 및 배뇨 일지 생성부(250)으로부터의/로의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270)는 생체 정보 관리부(210), 상관 관계 도출부(220), 잔뇨 추정부(230), 추천 정보 결정부(240), 배뇨 일지 생성부(250) 및 통신부(260) 간의 데이터의 흐름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270)는 잔뇨 모니터링 시스템(200)의 외부로부터의/로의 데이터 흐름 또는 잔뇨 모니터링 시스템(200)의 각 구성요소 간의 데이터 흐름을 제어함으로써, 생체 정보 관리부(210), 상관 관계 도출부(220), 잔뇨 추정부(230), 추천 정보 결정부(240), 배뇨 일지 생성부(250) 및 통신부(260)에서 각각 고유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의 잔뇨가 모니터링 되는 과정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잔뇨량 및 생체 임피던스 사이의 개인화된 상관 관계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디바이스(300)에 본 발명에 따른 잔뇨 모니터링 시스템(200)이 포함(예를 들면, 본 발명에 따른 잔뇨 모니터링 시스템(200)이 애플리케이션의 형태로 사용자 디바이스(300)에 포함)되는 경우를 가정해 볼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디바이스(300)는 사용자의 배뇨 이전 시점과 배뇨 이후 시점을 포함하는 복수의 시점에서 해당 사용자로부터 측정되는 잔뇨량 및 생체 임피던스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그 다음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디바이스(300)는 위의 획득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잔뇨량 및 생체 임피던스 사이의 상관 관계를 캘리브레이션함으로써, 해당 사용자에 대하여 개인화된 잔뇨량 및 생체 임피던스 사이의 상관 관계를 도출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그 개인화된 상관 관계는 반비례 관계(401)일 수 있다.
그 다음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디바이스(300)는 생체 임피던스 측정 디바이스(400)를 통해 위의 사용자로부터 생체 임피던스를 획득할 수 있고, 위의 사용자에 대하여 개인화된 상관 관계 및 그 획득된 생체 임피던스에 기초하여 그 생체 임피던스에서의 해당 사용자의 잔뇨량을 추정할 수 있다.
그 다음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디바이스(300)는 위의 추정되는 잔뇨량에 기초하여 해당 사용자의 배뇨 추천 시점, 요속 검사 추천 시점, 방광 기능 이상 여부 및 배뇨 행동 치료에 관한 가이드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디바이스(300)는 위의 추정되는 사용자의 잔뇨량에 기초하여 해당 사용자에 대한 배뇨 일지를 생성함으로써, 해당 사용자의 배뇨 패턴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잔뇨량 및 생체 임피던스 사이의 상관 관계를 캘리브레이션함으로써 개인화된 상관 관계가 도출되는 과정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시점에서 사용자로부터 측정되는 잔뇨량 및 생체 임피던스에 관한 정보(502)가 획득될 수 있다.
그 다음에, 잔뇨량 및 생체 임피던스 사이의 일반화된 또는 기설정된 상관 관계(501)가 위의 획득된 복수의 시점에서의 잔뇨량 및 생체 임피던스(502) 중 소정 오차 범위 이내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시점에서의 잔뇨량 및 생체 임피던스(504)에 매칭되는 방향(예를 들면, 평행 이동, 회전 이동 등)으로 캘리브레이션함(507)으로써 해당 사용자에 대하여 개인화된 상관 관계(503)가 도출될 수 있다.
그 다음에, 위의 도출된 개인화된 상관 관계(503) 및 해당 사용자로부터 측정되는 제1 생체 임피던스(505)에 기초하여 그 제1 생체 임피던스(505)가 측정되는 시점에서의 해당 사용자의 잔뇨량(506)이 추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시점에서 사용자로부터 측정되는 잔뇨량 및 생체 임피던스에 관한 정보(602)가 획득될 수 있다.
그 다음에, 위의 획득되는 정보(602)에 기초하여 그 사용자의 잔뇨량 및 생체 임피던스 사이의 복수의 상관 관계(즉, 제1 상관 관계(601), 제2 상관 관계(603), 제3 상관 관계(605))가 추정될 수 있고, 그 추정되는 복수의 상관 관계 중 위의 측정되는 잔뇨량 및 생체 임피던스와 매칭되는 빈도가 높은 상관 관계(605)가 그 사용자에 대하여 개인화된 상관 관계(605)인 것으로 도출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위의 측정되는 사용자의 잔뇨량 및 생체 임피던스(602) 중 제1 상관 관계(601) 및 제2 상관 관계(603)와 잔뇨량 및 생체 임피던스가 1회씩 매칭되고, 위의 측정되는 잔뇨량 및 생체 임피던스(602) 중 제3 상관 관계(605)와 잔뇨량 및 생체 임피던스가 4회 매칭되므로, 위의 측정되는 잔뇨량 및 생체 임피던스와 매칭 빈도가 가장 높은 제3 상관 관계(605)가 해당 사용자의 개인화된 상관 관계(605)로서 도출될 수 있다.
그 다음에, 위의 도출된 개인화된 상관 관계(605) 및 해당 사용자로부터 측정되는 제1 생체 임피던스(606)에 기초하여 그 제1 생체 임피던스(606)가 측정되는 시점에서의 해당 사용자의 잔뇨량(607)이 추정될 수 있다.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실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하여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 변경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과 변경을 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또는 이로부터 등가적으로 변경된 모든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통신망
200: 잔뇨 모니터링 시스템
210: 생체 정보 관리부
220: 상관 관계 도출부
230: 잔뇨 추정부
240: 추천 정보 결정부
250: 배뇨 일지 생성부
260: 통신부
270: 제어부
300: 사용자 디바이스
400: 생체 임피던스 측정 디바이스

Claims (7)

  1. 생체 임피던스를 이용하여 잔뇨를 모니터링하는 방법으로서,
    복수의 시점에서의 사용자의 잔뇨량 및 생체 임피던스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잔뇨량 및 생체 임피던스 사이의 상관 관계를 캘리브레이션함으로써 상기 사용자에 대하여 개인화된 상관 관계를 도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에게 개인화된 상관 관계 및 상기 사용자로부터 측정되는 제1 생체 임피던스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생체 임피던스가 측정되는 시점에서의 상기 사용자의 잔뇨량을 추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 단계에서, 상기 복수의 시점은, 상기 사용자의 배뇨 또는 도뇨 이전 시점과 상기 사용자의 배뇨 또는 도뇨 이후 시점을 포함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정되는 잔뇨량을 참조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될 배뇨 또는 도뇨 추천 시점 및 요속 검사 추천 시점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정되는 잔뇨량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한 배뇨 일지(void diary)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정되는 잔뇨량을 참조하여, 상기 사용자의 방광 기능 이상 여부 또는 상기 사용자의 배뇨 행동 치료에 관한 가이드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6. 제1항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7. 생체 임피던스를 이용하여 잔뇨를 모니터링하는 시스템으로서,
    복수의 시점에서의 사용자의 잔뇨량 및 생체 임피던스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생체 정보 관리부,
    상기 획득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잔뇨량 및 생체 임피던스 사이의 상관 관계를 캘리브레이션함으로써 상기 사용자에 대하여 개인화된 상관 관계를 도출하는 관계 도출부, 및
    상기 사용자에게 개인화된 상관 관계 및 상기 사용자로부터 측정되는 제1 생체 임피던스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생체 임피던스가 측정되는 시점에서의 상기 사용자의 잔뇨량을 추정하는 잔뇨 추정부를 포함하는
    시스템.
KR1020170125479A 2017-09-27 2017-09-27 생체 임피던스를 이용하여 잔뇨를 모니터링하는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KR1020134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5479A KR102013418B1 (ko) 2017-09-27 2017-09-27 생체 임피던스를 이용하여 잔뇨를 모니터링하는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PCT/KR2018/010997 WO2019066357A1 (ko) 2017-09-27 2018-09-18 생체 임피던스를 이용하여 잔뇨를 모니터링하는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5479A KR102013418B1 (ko) 2017-09-27 2017-09-27 생체 임피던스를 이용하여 잔뇨를 모니터링하는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6356A true KR20190036356A (ko) 2019-04-04
KR102013418B1 KR102013418B1 (ko) 2019-08-22

Family

ID=659020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5479A KR102013418B1 (ko) 2017-09-27 2017-09-27 생체 임피던스를 이용하여 잔뇨를 모니터링하는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13418B1 (ko)
WO (1) WO201906635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66550A (zh) 2018-08-10 2021-03-26 C·R·巴德股份有限公司 自动化尿排出量测量系统及其方法
US11931151B2 (en) 2020-12-22 2024-03-19 C. R. Bard, Inc. Automated urinary output measuring system
US20240081708A1 (en) * 2021-02-23 2024-03-14 C. R. Bard, Inc. Self-Learning and Non-Invasive Bladder Monitoring Systems and Methods
WO2022186607A1 (ko) 2021-03-02 2022-09-09 다인기술 주식회사 정확도 높은 배뇨 정보 획득 방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19397A (ko) * 2004-08-27 2006-03-03 송철규 요도 카테터 및 휴대용 요역동학 모니터링 장치
KR20080072987A (ko) * 2007-02-05 2008-08-08 김거식 모바일 장치를 이용한 휴대용 방광기능 검사 방법
KR20100093178A (ko) * 2009-02-16 2010-08-25 김상화 소변 배출량 자동 측정 장치 및 방법
KR101431051B1 (ko) 2012-12-31 2014-08-21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휴대용 방광 내압 모니터링 장치
KR101606896B1 (ko) * 2015-10-13 2016-03-28 주식회사 큐라코 사용자의 배뇨/배변 상태를 분석하는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장치,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장치를 이용한 사용자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모니터링 방법
KR20160110477A (ko) * 2014-01-16 2016-09-21 더말 디바이시스 인코퍼레이티드 헬스 모니터링 시스템
WO2017017426A1 (en) * 2015-07-27 2017-02-02 University Of Central Lancashire Methods and apparatuses for estimating bladder status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19397A (ko) * 2004-08-27 2006-03-03 송철규 요도 카테터 및 휴대용 요역동학 모니터링 장치
KR20080072987A (ko) * 2007-02-05 2008-08-08 김거식 모바일 장치를 이용한 휴대용 방광기능 검사 방법
KR20100093178A (ko) * 2009-02-16 2010-08-25 김상화 소변 배출량 자동 측정 장치 및 방법
KR101431051B1 (ko) 2012-12-31 2014-08-21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휴대용 방광 내압 모니터링 장치
KR20160110477A (ko) * 2014-01-16 2016-09-21 더말 디바이시스 인코퍼레이티드 헬스 모니터링 시스템
WO2017017426A1 (en) * 2015-07-27 2017-02-02 University Of Central Lancashire Methods and apparatuses for estimating bladder status
KR101606896B1 (ko) * 2015-10-13 2016-03-28 주식회사 큐라코 사용자의 배뇨/배변 상태를 분석하는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장치,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장치를 이용한 사용자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모니터링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066357A1 (ko) 2019-04-04
KR102013418B1 (ko) 2019-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12332B2 (en) Hydration status monitoring
JP5682876B2 (ja) 血中代謝物濃度の非侵襲的監視
US10971271B2 (en) Method and system for personalized blood flow modeling based on wearable sensor networks
CN107530007B (zh) 电子设备及系统
KR20190036356A (ko) 생체 임피던스를 이용하여 잔뇨를 모니터링하는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US8965497B2 (en) Electrophysiological analysis system and method
US20080287823A1 (en) Index Determination
KR20050079235A (ko) 아동성장발육 관리시스템 및 방법
JP2012106143A (ja) 監視システム
KR20190019397A (ko) 개인 맞춤형 건강 관리 시스템 및 방법
JP5970476B2 (ja) 組織量指標の決定
US11295858B2 (en) Health data collection device, health evaluation method using the same, and health evaluation system including the health data collection device
US20200405216A1 (en) Cognitive function evaluation device, cognitive function evaluation system, cognitive function evaluation method, and recording medium
JP2023171493A (ja) 指標の決定
US20220007956A1 (en) Evaluating impedance measurements
KR20190074061A (ko) 피부상태 관리 시스템 및 방법
US20130172776A1 (en) Tissue indicator determination
KR101430817B1 (ko) 체형 정보를 이용한 혈액 정보 판단 모델을 생성하는 장치 및 그 방법, 혈액 정보 판단 모델을 이용한 혈액 정보 판단 장치 및 그 방법
CN118000690A (zh) 一种基于健康一体机的信息采集方法及系统
AU2006301927B2 (en) Hydration status monitoring
JP2023530283A (ja) 浮腫の検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