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92864A - 목 지지부재를 가진 환자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목 지지부재를 가진 환자 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92864A
KR20100092864A KR1020090129645A KR20090129645A KR20100092864A KR 20100092864 A KR20100092864 A KR 20100092864A KR 1020090129645 A KR1020090129645 A KR 1020090129645A KR 20090129645 A KR20090129645 A KR 20090129645A KR 20100092864 A KR20100092864 A KR 201000928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ient
neck support
neck
support device
support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96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씨. 스톤 크리스토퍼
제이알. 해롤드 할보슨
알. 제이콥스 에드워드
알바레즈 제이슨
Original Assignee
아-덱,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덱,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아-덱,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000928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286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5/00Operating chairs; Dental chairs;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work stands
    • A61G15/02Chairs with means to adjust position of patient; Control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5/00Operating chairs; Dental chairs;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work stands
    • A61G1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5/00Operating chairs; Dental chairs;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work stands
    • A61G1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15/12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fee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Accommodation For Nursing Or Treatment Tables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직립 상태와 뉘어진 상태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환자 지지장치는, 하부 부분과 상부 부분을 가지는 단일 완충부재, 목 지지 수용영역 및 목 지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 부분은, 환자가 환자 지지장치에 안착할 때 환자의 등 하부 중 적어도 일부와 접촉하도록 구성되고, 상부 부분은 환자가 환자 지지장치에 안착할 때 환자의 머리 중 적어도 일부와 접촉하도록 구성된다. 단일 완충부재는 또한 하부 부분과 상부 부분 사이의 중간 부분을 가질 수 있다. 목 지지부재는 전방부와 후방부를 가지고, 전방부는 환자의 목 뒤 중 적어도 일부와 접촉하도록 구성되며, 후방부 중 일부는 목 지지 수용영역 내에 수용되도록 구성된다.
환자 지지장치, 완충부재, 슬롯, 연장부재

Description

목 지지부재를 가진 환자 지지장치{Patient support apparatus with neck support member}
본 발명은 새로운 환자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환자의 안락함을 향상시키며 작동자의 편의성을 증가시키는 새로운 치과용 의자에 관한 것이다.
치과용 의자들과 같은 환자 지지장치들은, 일반적으로, 의자를 상승시키고 하강시키는 매커니즘(mechanism)과, 직립 상태(upright configuration)로부터 뉘어진 상태(reclined configuration)로 의자를 조정하기 위한 의자의 등받이 틸팅 매커니즘(tilting mechanism)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환자는 통상적으로 직립 상태로 있는 의자에 앉고, 치과의사 또는 전문가(이하, '조작자'라 함)는 자신들의 시술을 수행하기에 가장 편안하거나 적절한 위치로 환자를 이동시키기 위해 의자를 조정할 것이다. 환자의 안락함 및 환자가 직립 위치로부터 뉘어진 위치로 이동될 수 있는 용이함이 중요하다. 이에 따라, 환자 지지장치 및 환자 지지장치 내의 환자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매커니즘들의 개량이 항상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환자를 안락하게 하면서, 환자의 위치를 용이하게 조정하기 위한 환자 지지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환자의 안락함 및 조작자의 편의성을 증가시키는 개량된 환자 지지장치의 실시형태들이 이하에서 기술된다.
일 실시형태에서, 환자 지지장치는 직립 상태와 뉘어진 상태 사이에서 이동가능하다. 환자 지지장치는 상부 부분과 하부 부분을 가지는 단일 완충부재를 포함한다. 하부 부분은, 환자가 환자 지지장치에 안착할 때 환자의 등 하부 중 적어도 일부분과 접촉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상부 부분은 환자가 환자 지지장치에 안착할 때 환자의 머리 중 적어도 일부분과 접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단일 완충부재는 또한 상부 부분과 하부 부분 사이에 중간 부분을 가질 수 있다. 환자 지지장치는 또한 전방부와 후방부를 가지는 목 지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목 지지부재의 전방부는 환자의 목 뒤 중 적어도 일부분과 접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환자 지지장치는 또한 단일 완충부재의 중간 부분에 위치된 목 지지 수용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목 지지부재의 후방부 중 적어도 일부분은 목 지지 수용영역 내에 수용되고, 목 지지부재는 복수의 세로 위치들(longitudinal positions) 사이에서 이동가능할 수 있다.
특정 실시형태들에서, 목 지지부재는, 환자 지지장치가 직립 상태와 뉘어진 상태 사이에서 이동하는 동안 이동가능하다. 다른 특정 실시형태들에서, 목 지지 수용영역은 긴 슬롯 부분(elongated slot portion)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특정 실시형태들에서, 목 지지부재는, 목 지지부재의 후방부로부터 연장되고 긴 슬롯 부분 내에 수용되도록 구성된 연장부재를 가진다.
다른 특정 실시형태들에서, 목 지지부재는, 제 1 방향과 제 2 방향으로 목 지지 수용영역 내에 수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 2 방향은 제 1 방향으로부터 목 지지부재를 약 180도만큼 선회시킴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다른 특정 실시형태들에서, 목 지지부재는, 목 지지 수용영역 내에서 목 지지부재를 탈착가능하게 고정하도록 구성된 탈착가능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특정 실시형태들에서, 목 지지부재의 전방부는 완충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직립 상태와 뉘어진 상태 사이에 이동가능한 환자 지지장치가 제공된다. 환자 지지장치는 환자의 몸 상부 중 적어도 일부분을 지지하기 위한 프레임부재(frame member)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부재는 프레임부재를 따라 실질적으로 세로로 연장되는 목 지지 수용영역을 가질 수 있다. 환자 지지장치는 또한 전방부와 후방부를 가지는 목 지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목 지지부재의 전방부는 환자의 목 뒤 중 적어도 일부분과 접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목 지지부재는, 목 지지부재의 후방부로부터 연장되고 목 지지 수용영역 내에 미끄러지게 수용되도록 구성된 연장부재를 가질 수 있다.
특정 실시형태들에서, 목 지지 수용영역은 긴 슬롯을 포함한다. 다른 특정 실시형태들에서, 연장부재는 긴 슬롯 내에 수용될 수 있고, 연장부재는 긴 슬롯 내 에서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까지 이동가능할 수 있다. 다른 특정 실시형태들에서, 목 지지부재는 제 1 방향과 제 2 방향 중 하나로 목 지지 수용영역 내에 수용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제 2 방향은 제 1 방향으로부터 약 180도만큼 목 지지부재를 선회시킴으로써 얻어진다.
다른 특정 실시형태들에서, 연장부재는 목 지지부재의 후방부의 측면 중심선으로부터 오프셋(offset)될 수 있다. 다른 특정 실시형태들에서, 연장부재는 목 지지 수용영역과 고정되게 맞물릴 수 있고, 연장부재와 목 지지 수용영역은 조작에 의해 탈거가 가능하도록 서로 맞물려 있다. 다른 특정 실시형태들에서, 목 지지부재는, 목 지지 수용영역 내에서 연장부재를 탈착가능하게 고정하도록 구성되는 탈착가능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특정 실시형태들에서, 목 지지부재의 전방부는 완충부재를 포함한다. 완충부재는 환자의 목 뒤와 접촉가능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완충부재는, 환자의 목 뒤와 접촉할 때 환자의 머리 뒤의 상부와 접촉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특정 실시형태들에서, 프레임부재는 상단부와 하단부를 가질 수 있다. 프레임부재는 실질적으로 하단부로부터 상단부까지 목 지지 수용영역 주위를 연장하는 단일 연속 완충부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부재의 하단부를 덮는 단일 연속 완충부의 일부분은 환자의 등 하부 중 적어도 일부분과 접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환자 지지장치 내에 환자를 수용하기 위한 목 지지부 재 조정방법이 제공된다. 이러한 목 지지부재 조정방법은, 목 지지 수용영역을 가지는 프레임부재 및 목 지지 수용영역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되는 이동가능 목 지지부재를 가지는 환자 지지장치를 제공하는 단계; 프레임부재의 하부가 환자의 등 중 적어도 일부분과 접촉하며 프레임부재의 상부가 환자의 머리 중 적어도 일부분과 접촉하도록, 환자 지지장치 내에 환자를 수용하는 단계; 및 적어도 부분적으로, 목 지지부재가 목 지지 수용영역 내에서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까지 이동하도록,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까지 상기 프레임부재를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른 특정 실시형태들에서, 환자 지지장치 내에 환자를 수용하는 단계 이전에, 목 지지부재가 약 180도만큼 선회하여 슬롯 부분으로부터 탈거되고, 목 지지 수용영역 내에 재위치함으로써, 목 지지부재와 환자 사이에 다른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른 특정 실시형태들에서, 제 1 방향으로부터 제 2 방향으로 프레임부재를 이동시키는 단계는 프레임부재를 실질적으로 수직인 형태로부터 실질적으로 뉘어진 상태로 선회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른 특정 실시형태들에서, 다양한 피봇 매커니즘들 및 구성요소들(pivoting mechanisms and elements)이, 이상에서 논의된 목 지지부재, 환자 지지장치 및 목 지지부재 조정방법과 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형태에서, 선회가능 환자 지지장치가 제공된다. 환자 지지장치는 상부 프레임부재, 상부 프레임부재에 결합된 피봇부재(pivot member), 피봇 베이스부재(pivot base member), 및 액 츄에이터 어셈블리(actuator assembly)를 포함할 수 있다. 피봇 베이스부재는 피봇부재에 결합될 수 있고, 피봇부재는 피봇축(pivot axis)을 중심으로 피봇 베이스부재에 대하여 선회가능할 수 있다. 액츄에이터 어셈블리는, 제 1 단과 제 2 단 사이의 세로 거리가 제 1 형태와 제 2 형태에서 다르도록, 제 1 형태와 제 2 형태 사이에서 이동가능할 수 있다. 액츄에이터 어셈블리의 제 1 단은 피봇축의 측면 영역에서 피봇부재와 결합될 수 있고, 액츄에이터 어셈블리의 제 2 단은 피봇 베이스부재와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 1 형태로부터 제 2 형태로의 액츄에이터 어셈블리의 이동은 피봇부재가 피봇축을 중심으로 선회하게 할 것이다.
다른 실시형태들에서, 환자 지지장치의 높이는 이상에서 논의된 목 지지부재 및 환자 지지장치와 결합되어 조정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형태에서, 제 1 높이로부터 제 2 높이까지 이동가능한 환자 지지장치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유체 제어 시스템이 제공된다. 유체 제어 시스템은 리프트 암(lift arm)과 실질적으로 직립인 실린더 어셈블리를 포함할 수 있다. 리프트 암은 제 1 단과 제 2 단을 가질 수 있고, 리프트 암의 제 1 단은 베이스부재에 선회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리프트 암의 제 2 단은 의자 구조에 결합될 수 있다. 실질적으로 직립인 실린더 어셈블리는 리프트 암과 접촉하고 리프트 암을 지지하도록 구성된 베이스부재 및 연장부재를 가질 수 있다. 연장부재는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까지 이동가능할 수 있다. 실린더 어셈블리의 베이스부는 상부 저장소 및 하부 저장소를 포함할 수 있고, 상부 저장소와 하부 저장소 내에 함유된 전체 유체 체적은 연장부재의 위치에 상관없이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유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술하거나 다른 대상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기술되는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환자를 안락하게 하면서, 환자의 위치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는 환자 지지장치가 제공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된 것처럼, 단수형 "a", "an" 및 "the"는, 문맥에서 명확히 다르게 진술되지 않는 한 복수형을 포함한다. 게다가, "include"와 "comprise"는 모두 "포함하다"라는 의미로 사용된다. 또한, 용어 "연결된(coupled)" 및 "관련된(associated)"은 일반적으로, 전기적으로, 전자기적으로, 그리고/또는 물리적으로(즉, 기계적이거나 화학적으로) 연결됨을 의미하고, 연결되거나 관련된 아이템들 사이의 중간 구성요소들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간결함을 위하여, 첨부된 도면들은, 본 시스템, 방법 및 장치가 다른 시스템들, 방법들 및 장치들과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는 (당업자에 의해 본 명세서에 의하여 쉽게 인식될 수 있는) 다양한 방식들을 도시하지 않는다. 또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생성하다" 및 "제공하다"와 같은 용어들을 사용한다. 이러한 용어들은 수행될 수 있는 실제 동작들의 고도의 축약적 표현이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응하는 실제 동작들은 특정 실시형태에 기초하여 변화될 수 있고, 본 명세서에 기초하여 당업자에 의해 쉽게 인식될 수 있다.
도 1 내지 6은 본 명세서에 따른 치과용 의자(10)의 일 실시형태의 다양한 도면들을 도시한다. 치과용 의자(10)는 하부 몸체 완충부(20) 및 상부 몸체 완충부(30)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완충부(cushion)"는, 환자의 몸의 일부분과 접촉하며, 전형적으로, 치과용 의자(10)에 일정량의 패딩(padding) 및/또는 충격 흡수재를 제공하는 구조를 의미한다.
하부 몸체 완충부(20)는 하부 몸체 프레임(40)에 연결되거나 부착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하부 몸체 완충부(20)는 바람직하게는 하부 몸체 프레임(40)의 길이 전체에 대하여 연장되지 않는다. 오히려, 하부 몸체 완충부(20)는 바람직하게는 하부 몸체 프레임의 길이 중 일부만을 덮도록 연장됨으로써 노출부(50)를 형성한다. 노출부(50)는 바람직하게는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발판에 위치된다. 도시된 것처럼, 노출부(50)는 하부 몸체 완충부(20)에 의해 덮혀지지 않는다. 노출부(50)에는, 환자가 치과용 의자(10)에 진입하고 그리고/또는 위치하는 동안 발로 밀거나 잡는 데에 사용되는 파지면을 제공하는 선택적인 홈들(60)이 형성되어 있다. 노출부(50)에는, 환자의 발( 또는 신발)과 접촉하고 환자의 발( 또는 신발)을 파지하는 능력을 증가시키는 다양한 오목부들 및/또는 볼록부들과 같은 불규칙하고 그리고/또는 불연속적인 다른 표면이 형성될 수 있다. 발판 영역은 바람직하게는 환자가 치과용 의자에 진입하고 치과용 의자로부터 나오는 동안 생길 수 있는 변색, 자국 및 다른 흠을 최소화하는 조직 및 색상으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발판은, 회색으로 형성되고, 변색, 스크래치들(scratches) 및 다른 흠을 숨기는 데에 도움이 되는 재료로 이루어진 얼룩무늬와 몰딩된 융기부로 형성될 수 있다.
적어도 하부 몸체 프레임(40)의 노출부(50)는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어 고밀 도 폴리에틸렌(HDPE; high-density polyethylene)과 같은 견고한 내마모성 물질로 형성된다. 노출부를 견고한 내마모성 플라스틱으로 형성함으로써, 하부 몸체 프레임 중 발판부가 노출되는 것(즉, 겉천을 댄 완충부 또는 다른 피복 물질로 덮히지 않는 것)이 가능하다. 하부 몸체 프레임(40)의 일부분이 노출되기 때문에, 하부 몸체 완충부(20)의 길이는 감소되어, 치과용 의자(10)의 생산에 필요한 재료량을 감소시킨다. 또한, 노출부(50)가 피복되지 않음으로써, 환자의 몸 하부(다리와 발)와 접촉하는 물질이 더 적게 되어, 환자는, 치과용 의자에 진입하거나 위치할 때 더욱 용이하게 다리를 측면에서 치과용 의자를 지나 미끄러지게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전체 하부 몸체 프레임(하부 프레임부재; 40)은 HDPE와 같은 단일 재료로 형성된다. 단일 재료를 이용함으로써, 하부 몸체 프레임(40)의 제작이 단순화될 수 있고, 구조적 완전성이 향상된다. 물론, 복수의 재료들이 특정 응용례에 적합하다면 사용될 수도 있다.
상부 몸체 완충부(30)는 도 4에 바람직하게 도시된 상부 몸체 프레임(상부 프레임부재; 70)에 연결되거나 부착되어 있다. 상부 몸체 프레임(70)은 도 1 내지 6에 도시된 것처럼 상부 몸체 완충부(30)의 모양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모양을 가질 수 있다. 즉, 완충부는 상부 몸체 프레임을 넘어 돌출되어 있지 않고, 상부 몸체 프레임은 상부 몸체 완충부(30)의 최외곽 범위와 상부 몸체 프레임(70)의 최외곽 범위 사이의 좁은 가장자리만큼 환자의 측면에 최소로 노출되어 있다. 선택적으로, 상부 몸체 프레임(70)은 상부 몸체 완충부(30)의 모양과 다른 모양을 가질 수 있다.
도 7, 8 및 9를 참조하면, 상부 몸체 완충부(30) 및 상부 몸체 프레임(70)이 더욱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상부 몸체 완충부(30) 및 상부 몸체 프레임(70)에는, 모두, 각각 목 지지부재(76)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개구들(또는 긴 슬롯들; 72, 74)과 같은 개구들이 형성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상부 몸체 프레임(70)은 후방면에 슬롯부재들(90)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슬롯부재들(90)은 도 11에 도시된 것처럼 상부 몸체 프레임(70)을 등 지지부재(94)에 의해 (이하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될) 피봇부재(92)에 연결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상부 몸체 완충부(30)는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상부 몸체 프레임(70)의 하단부로부터 상단부까지 연장되어 있는 단일 연속 완충부를 포함한다. 상부 프레임부재의 하단부를 덮는 연속 완충부의 일부분은 환자의 등 하부 중 적어도 일부분과 접촉하도록 구성되고, 상부 프레임부재의 상단부를 덮는 연속 완충부의 일부분은 환자의 머리 뒤 중 적어도 일부분과 접촉하도록 구성된다.
다른 완충부 및 의자 등받이 배열들도 또한 가능하다. 일 실시예로서, 도 27에 도시된 것처럼, 상부 몸체 프레임은 서로 연결되어 있는 별개의 상단부(75)와 하단부(77)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2개의 개별적 완충부들은 상부 몸체 프레임의 상단부(75)와 하단부(77)를 덮을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상부 몸체 완충부(30)는, 개구들(72, 74)이 서로 실질적으로 일렬이 되도록 상부 몸체 프레임(70)에 연결될 수 있다. 슬롯부재(78)는, 상부 몸체 완충부(30)가 상부 몸체 프레임(70)에 연결된 이후에 개구들(72, 74) 내로 위치될 수 있다. 슬롯부재(78)는 또한 목 지지부재(76)가 수용되는 개구를 형성할 수 있다. 슬롯부재는, (환자의 등의 일부분과 접촉하는) 완충부의 하단부와 (환자의 머리 뒤 중 일부분과 접촉하는) 완충부의 상단부 사이의 중간 영역 내에 위치될 수 있다. 그러므로, 슬롯부재 내에 수용되는 목 지지부재(76)는 환자의 목 뒤와 접촉할 수 있다. 슬롯부재(78)는, 또한 목 지지부재(76)가, 목 지지부재(76)의 일부분이 슬롯부재(78) 내에 수용될 때 슬롯부재(78) 내에 미끄러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0은 목 지지부재(76)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것처럼, 목 지지부재(76)는 목 완충부(80) 및 목 지지프레임(82)을 포함한다. 목 지지프레임(82)은 목 지지프레임(82)으로부터 연장되는 연장부재(84)를 포함할 수 있다. 연장부재(84)는 슬롯부재(78) 내로 수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필요하다면, 연장부재(84)는, 슬롯부재(78)로부터 목 지지부재(76)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슬롯부재(78) 내에 목 지지부재(76)를 탈착가능하게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들(86)이 (연장부재(84)의 각 측면에 하나씩) 구성될 수 있다. 고정부재들(86)은 슬롯부재(78)의 레일(rail)을 따라 철컥하고 잠기도록 구성될 수 있어, 임시로 목 지지부재(76)를 슬롯부재(78) 내에 고정시킨다. 선택적으로, 스냅 고정(snap fit)을 형성하는 대신에, 고정부재(86)는 간단하게 마찰 고정(friction fit)을 제공할 수도 있다. 목 지지부재(76)와 슬롯부재(78) 중 하나 또는 양쪽에 있는 자석 돌출부와 같이, 슬롯부재(78) 내에 목 지지부재(76)를 수용하거나 수용하는 것을 돕기 위한 다른 매커니즘들이 제공될 수 있다.
목 지지부재(76)가 스냅 고정, 마찰 고정 또는 다른 결합 매커니즘에 의해 슬롯부재(78) 내에 고정되는지 여부에 상관없이, 목 지지부재(76)는 바람직하게는 슬롯부재(78) 내에서 세로로 이동시킬 수 있는 방식으로 슬롯부재(78) 내에서 지지되도록 구성된다. 슬롯부재(78)의 길이는 목 지지부재(76)에 대하여 필요한 이동량에 따라서 변화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슬롯부재(78) 내의 세로 이동량은 약 5 내지 15 인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9 인치이다. 게다가, 추가적이고 효과적인 이동량을 얻기 위하여, 목 지지부재(76)는 되돌아갈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것처럼, 연장부재(84)는 목 지지부재(82)의 중앙 위치로부터 오프셋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연장부재(84)는, 목 지지부재(76)의 이동길이가 증가될 수 있도록 오프셋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에 도시된 구성에서, 목 지지부재(76)는 상부 몸체 완충부(30)에 대한 하부 위치에 위치될 수 있기 때문에, (키가) 더 작은 사람이 치과용 의자(10)에 수용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큰 사람을 수용하기 위해, 목 지지부재(76)는, 목 완충부(80)가 상부 몸체 완충부(30)에 대하여 더 높은 높이에 도달할 수 있게 제 2 방향으로 180도 역전될 수 있다(상측을 밑으로 뒤집을 수 있다). 편의를 위하여, 목 지지부재가 큰 사람을 위한 구성인지 작은 사람을 위한 구성인지를 가리키는 표시(88)가 목 지지부재(76)에 위치될 수 있다. 연장부재(84)를 이상에서 논의된 방식으로 오프셋함으로써, 목 완충부(80)의 추가적이고 효과적인 이동량이 달성될 수 있다. 추가적인 이동량은 목 지지부재(76)의 형태에 따라 변화할 수 있지만, 최소 이동량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약 1 인치이다. 이동량은 1 인치를 초과할 수 있고, 약 1 내지 4 인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형태에서, 목 완 충부(80)의 효과적인 위치는, (도 10에 도시된 구성과 같이) 작은 사람들에 대하여 구성될 때 약 1 인치 더 낮은 높이에 도달할 수 있고, (도 10에 도시된 구성이 역전될 때와 같이) 큰 사람들에 대하여 구성될 때 약 1 인치 더 높은 높이에 도달할 수 있다.
목 완충부(80)는 바람직하게는 축을 중심으로 대칭이다. 그러므로, 목 완충부(80)는, 바람직하게는, 도 10에 도시된 형태의 방향으로 있는지 또는 도 10에 도시된 형태와 대향하는 방향으로 있는지 여부에 상관없이 실질적으로 대칭이다. 그러나, 필요하다면, 목 완충부(80)는, 제 1 형태의 제 1 안락방향 및 제 2 역전형태의 제 2 안락방향을 가지도록 비대칭으로 구성될 수 있다.
(목 지지부재(76)를 수용하기 위한) 목 지지 수용영역은 상부 프레임부재를 따라 세로로 연장되는 개구일 수 있다.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개구는 긴 슬롯이다. 그러나, 목 지지 수용영역은, 예를 들어, 상부 프레임부재 및/또는 상부 몸체 완충부를 통과하거나 통과하지 않는 홈들 또는 채널(channel)들과 같은 다른 세로 개구들을 포함할 수 있다.
목 지지부재는 동작 중에 자체적으로 조정될 수 있다. 상부 프레임부재의 하부 부분이 환자의 등 중 적어도 일부와 접촉하도록 환자가 의자 내에 위치할 때, 목 지지부재는, 의자가 직립 상태로부터 뉘어진 상태로, 그리고 역으로 이동하는 동안 환자의 목 뒤를 향하여 위치하도록 유지될 것이다. 예를 들어, 상부 몸체 프레임(70)이 뉘어짐에 따라, 목 지지부재는, 상부 몸체 프레임(70)에 대하여 환자의 목의 위치를 자동적으로 수용하도록 슬롯부재 내에서 아래로 이동할 수 있다. 그러 므로, 자체조정 목 지지부재는, 환자와의 접촉을 유지함으로써 의자가 재위치됨에 따라 조작자가 개별조정할 필요 없이 환자의 안락함을 증가시킨다.
도 11은, 피봇부재(92)와 같은, 치과용 의자의 하부 부분에 상부 몸체 프레임(70)을 연결시키기 위한 일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상부 몸체 프레임(70)은, 예를 들어, 나사들(96)에 의해 피봇부재(92)에 연결될 수 있는 등 지지부재(94)에 연결될 수 있다. 상부 몸체 프레임(70)은, 슬롯부재들(90)과 암수결합하는 크기를 가진 볼트들(97)을 이용하여 등 지지부재에 탈착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다(도 8 참조).
도 12 및 13은 피봇부재(92)를 팔걸이들(98)과 상부 구조 부재(피봇 베이스부재; 100)에 연결시키기 위한 방법을 도시한다. 피봇부재(92)는, 상부 부분 및 하부 부분을 가지는 실질적으로 평면인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 부분은 액츄에이터 어셈블리 연결영역(예를 들어, 이하에서 논의되는 개구들(138))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분(예를 들어, 연장부(102))은 하부 부분으로부터 외부로 연장될 수 있고, 피봇포인트 연결영역(예를 들어, 이하에서 논의되는 개구들(108)) 및 하부프레임 연결영역(예를 들어, 이하에서 논의되는 개구들(120))을 포함할 수 있다. 피봇부재(92)의 하부 부분으로부터 하부프레임 연결영역까지의 거리는 피봇포인트 연결영역으로부터 피봇부재(92)의 하부 부분까지의 거리보다 더 크다.
팔걸이들(98)은, 팔걸이들(98)로부터 연장되며, 피봇부재 연장부(102) 내의 칼라들(collars; 106) 및 개구(108)를 통과하는 핀들(104)에 의해 피봇부재 연장부들(102)에 부착될 수 있다. 칼라들(106)은, 바람직하게는 핀들(104)이 칼라들(106) 내에서 용이하게 선회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핀들(104)은 홈들 또는 수용영역 들(150) 내에 삽입되어 있도록 구성된다. 수용영역들(150)은 "v" 또는 "u" 모양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핀들(104)은 "v" 또는 "u" 모양 형태의 수용영역들 내에 삽입되어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피봇부재(92)는 핀들(104)과 수용영역들(150)에 의해 생성된 피봇축을 중심으로 선회할 수 있다. 핀들(104)은, 나사 또는 다른 고정 매커니즘(도시되지 않음)을 핀들(104) 내의 개구들(152)과 수용영역들(150) 내의 대응 개구(도시되지 않음)를 통하여 고정함으로써 수용영역 내에 고정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형태에 도시된 것처럼, 팔걸이들(98)은, 의자가 일반적으로 직립인 형태에 있을 때에는 팔걸이들(98)의 일부만이 환자에게 이용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지만(도 2 참조), 의자가 더 뉘어진 상태에 있을 때에는 팔걸이들(98) 전부가 환자에게 이용가능하다(도 19 참조). 즉, 도 2를 참조하면, 예를 들어, 직립 상태에서, 팔걸이(98)의 일부는 의자 등받이(예를 들어, 완충부(30))의 위치 뒤로 연장될 수 있고, 이러한 일부는 환자가 이용할 수(예를 들어, 기댈 수) 없게 된다. 그러나, 의자가 뉘어진 위치로 선회함에 따라, 환자는 도 19에 도시된 팔걸이들의 전체 길이에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팔걸이들(98)은, 의자가 직립 상태로 있을 때 부분적으로 의자 등받이를 넘어 위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팔걸이들(98)을 이러한 방식으로 구성함으로써, 환자가 의자에 진입하도록 구성된 측면의 팔걸이는, 환자가 의자에 앉고 의자에서 일어나는 동작을 방해하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의자가 완전히 기울어지면, 환자는 팔걸이들(98) 전체를 사용할 것이다.
팔걸이들(98)은 또한 피봇부재(92)와 함께 또는 피봇부재(92)와 독립적으로 선회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도 14 및 15를 참조하면, 팔걸이들(98)은, 피봇부재(92)와 연결된 이후에 선회하거나 기울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4에 도시된 것처럼, 팔걸이(98)의 주요 부분(main portion; 110)은 핀(104)에 대하여 이동가능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주요 부분(110)은 슬롯부(112)를 가질 수 있고, 나사(114)는 슬롯부(112)와 핀(104)의 일부분을 통과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팔걸이(98)의 주요 부분(110)은 슬롯부(112) 내에서 선회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팔걸이들(98)은 약 45도 내지 135도,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75도 내지 105도로 선회할 수 있다. 필요하다면, 마찰 조정부재(155)가, 팔걸이들(98)이 선회할 수 있는 용이함을 조정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마찰 조정부재(155)를 조이거나 느슨하게 함으로써, 팔걸이(98)는 각각 덜 용이하거나 더욱 용이하게 선회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마찰 조정부재(155)는, 예를 들어, 분할 부싱(split bushing)에 대하여 조여질 수 있는 나사를 포함하여, 힘이 핀(104)에 가해지게 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도 15에 도시된 것처럼, 팔걸이들(98)은, 피봇부재(92)가 선회할 때 고정되고 선회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나사(114)는, 핀(104)에 대하여 고정된 위치로 팔걸이(98)의 주요 부분(110)을 지지하도록 비슬롯부(non-slotted section)에 위치될 수 있다. 필요하다면, 각각의 팔걸이(98)는, 하나의 측면은 슬롯부를 가지고(도 14) 나머지의 측면은 비슬롯부를 가지도록(도 15) 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각각의 팔걸이(98)는, 나사(114)가 하나의 측면 또는 나머지 측면에 이용되는지 여부에 따라서, 선회가능하기도 하고 선회불가능하기도 한 구성을 가질 수 도 있다. 2개의 다른 동작 모드들로 구성될 수 있는 단일 팔 걸이는, 우위 및/또는 수행되는 특정 과정에 근거하여 팔걸이들의 구성을 선택하고 그리고/또는 조정할 수 있게 하기 때문에 도움이 된다.
도 12 및 13을 참조하면, 하부 몸체 프레임(40)은 피봇부재 연장부분들(102)에서 피봇부재(92)에 부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부 몸체 프레임(40)은, 하부 몸체 프레임(40) 내의 개구들(118)과 피봇부재(92) 내의 개구들(120)을 통과하는 고정 핀들(116)(또는 다른 고정 부재들)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피봇부재(92)는 캠들(cams; 126)(또는 지지부재들)에 선회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각각의 캠(126)의 제 1 단은 바람직하게는 등받이 피봇(92)의 일부분에 연결될 수 있는 개구(124)를 가진다. 예를 들어, 각각의 개구(124)는 핀(122)을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핀(122)은, 각각의 캠(126)을 피봇부재(92)에 선회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해 피봇부재(92) 내의 개구(128)를 통과할 수 있다. 하부 몸체 프레임(40)의 하부 부분은 캠들(126)에 의해 지지된다. 각각의 캠(126)은 실질적으로 직선인 부분 및 곡선 또는 비직선인 부분으로 구성될 수 있다. 각각의 캠의 일부분이 곡선 또는 비직선인 부분을 가지도록 함으로써, 하부 몸체 프레임(40)은 이하에서 더욱 구체적으로 논의되는 것처럼, 피봇부재(92)가 이동함에 따라 하부 몸체 프레임(40)이 지면과 이루는 각도를 변화시킬 수 있다.
피봇부재(92)가 선회함에 따라, 하부 몸체 프레임(40)은 또한 이동하고, 지면에 대한 하부 몸체 프레임(40)과의 관계는, 캠들(126)의 모양 및 하부 몸체 프레임(40)과 캠들(126) 사이의 접촉점에 따라서 변화할 것이다. 2개의 캠들(126)은, 바람직하게는 구조적 안정성을 기하고 하부 몸체 프레임(40)을 더 지지하기 위해 트롤리 핀 또는 바(trolley pin or bar; 170)와 서로 연결된다. 바(170)는, 바(170)가 캠들(126)의 곡선 말단의 개구들(172)을 통과하게 함으로써 양쪽의 캠들(126)과 연결될 수 있다. 바(170)는, 또한 하부 몸체 프레임(40)을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롤러들(rollers; 174)과 연결될 수 있다. 롤러들(174)은 바(170)의 중심이 캠들(126) 사이에 유지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필요하다면, 하부 몸체 프레임(40)의 하면은 롤러들(174) 및/또는 바(170)를 수용하기 위해 오목부들, 홈들 및/또는 트랙들이 형성될 수 있다.
캠들(126)의 일부분은, 바람직하게는 상부 구조(100)와 연결되는 롤러들(154)에 머무르도록 위치되어 있다. 도 13에 잘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롤러들(154)은, 핀들(156)이 롤러들(154)과, 상부 구조(100)의 측면의 개구(158)와, 상부 구조(100)의 하면으로부터 연장되는 또 다른 개구(160)를 통과하게 함으로써 상부 구조(100)에 고정될 수 있다. 롤러들(154)은, (이하에서 더욱 상세히 논의되는 것처럼) 피봇부재(92)가 이동하거나 선회할 때 캠들(126)이 상부 구조(100)를 따라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선회한다.
액츄에이터 어셈블리(130)는 피봇부재(92)가 선회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액츄에이터 어셈블리(130)는 제 1 말단과 제 2 말단을 포함할 수 있고 제 1 형태와 제 2 형태 사이에서 이동가능할 수 있다. 액츄에이터 어셈블리(130)가 2개의 형태들 사이에서 이동함에 따라, 제 1 말단과 제 2 말단 사이의 세로 길이에 의해 정의되는 액츄에이터 어셈블리의 길이는 피봇부재가 선회하도록 변화할 수 있다. 액츄에이터 어셈블리(130)는 바람직하게는 피봇부재(92)와 상부 구조(100) 모두에 연결 된다. 도 12 및 13에 도시된 것처럼, 핀(132)은 액츄에이터 어셈블리(130)의 제 1 말단(예를 들어, 베이스 부분)을 피봇부재(92)에 고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또 다른 핀(134)은 액츄에이터(130)의 제 2 말단(예를 들어, 연장가능 부분)을 상부 구조(100)에 고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핀(132)은, (도 13에 도시된 것처럼) 액츄에이터 어셈블리(130)의 제 1 말단의 개구(136)와, 피봇부재(92)의 한쌍의 개구들(138)을 통과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핀(134)은 액츄에이터 어셈블리(130)의 제 2 말단의 개구(140)를 통과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액츄에이터 어셈블리(130)의 로드 또는 피스톤 부분(rod or piston portion; 142) 내에 개구(140)가 형성된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논의된 것처럼, 액츄에이터 어셈블리(130)의 제 1 말단은 바람직하게는 베이스 부분을 포함하고, 제 2 말단은 바람직하게는 (로드 또는 피스톤과 같은) 연장가능 부분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액츄에이터 어셈블리(130)는, 비연장 위치(non-extended position)와 연장 위치 사이에서 약 50 내지 150 mm,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00 내지 120 mm 연장(이동)될 수 있는 리니어 액츄에이터(linear actuator)일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액츄에이터 어셈블리(130)의 제 2 말단을 상부 구조(100)에 부착하는 일 실시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로드(rod; 142)는 상부 구조의 일부분에 있는 오목부(162) 내에 위치되어 있다. 핀(134)은 액츄에이터 어셈블리(130)의 로드(142)와 오목부(162)의 측면들에 있는 2개의 개구들을 통과한다. 이-클립(e-clip; 164) 또는 다른 고정 수단은 핀(134)을 상부 구조(100)에 부착시키거나 고정시킨다. 하나 이상의 수용 탭들(retaining tabs; 166)은 로드(142) 밑에 위치되고 나사들(168)에 의해 상부 구조(100)에 나사결합할 수 있어, 로드(142)를 상부 구조(100)에 더 고정한다.
제 1 직립 위치로부터 제 2 뉘어진 위치로 이동하도록 고안된 치과용 의자 또는 다른 의자와 같은 의자의 피봇운동(pivot motion)은, 바람직하게는, 사람의 엉덩이의 피봇위치(pivot position)를 모방하는 방식으로 선회한다. 의자 등받이를 올리거나 눕히고, 동시에 의자 시트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단일 매커니즘으로 의자를 구성함으로써, 사람의 엉덩이의 자연적인 피봇위치를 따르는 단순하고 효과적인 방법이 달성될 수 있다.
도 17은 이상에서 기술된 것처럼 형성된 의자(10)의 피봇포인트들(pivot points)을 도시한다. 피봇부재(92)는, 연장된 위치에 있는 액츄에이터 어셈블리(130)와 함께 직립 위치로 도시되어 있다(도 18 참조). 즉, 로드(142)는, 피봇부재(92)와 상부 몸체 프레임(70)이 직립이거나 실질적으로 직립인 위치에 있게 하는 최대연장(full-extended)(또는 실질적인 최대연장) 위치에 있다. (도 12에 도시된 것처럼) 팔걸이들(98)의 핀(104)이 수용영역들(150) 내에 수용될 때, 피봇부재(92)는 개구(108) 내에 수용되는 핀(104)에 의해 정의되는 축을 중심으로 선회한다.
이상에서 도시된 것처럼, 복수의 구성요소들은, 핀(104)에 대한 피봇부재의 피봇포인트로부터 오프셋되는 포인트들에서 피봇부재(92)에 연결된다. 도 17을 참조하면, 핀(116)은 하부 몸체 프레임(40)을 피봇부재(92)에 부착하기 위해 개구(120)를 통과한다. 이에 따라, 하부 몸체 프레임(40)은 핀(104)에 대하여 피봇포인트로부터 오프셋되고, 핀(104)에 대한 피봇부재(92)의 이동은 하부 몸체 프레 임(40)의 편심(eccentric) 이동을 일으킨다.
액츄에이터 어셈블리(130)의 부착포인트는 또한 핀(104)에 대하여 피봇부재(92)의 피봇포인트로부터 오프셋되어 있다. 도 13에 도시된 것처럼, 핀(132)은, 액츄에이터 어셈블리(130)의 제 1 말단의 개구(136)와 피봇부재(92)의 한쌍의 개구들(138)을 통과한다. 도 17을 참조하면, 액츄에이터 어셈블리(130)를 연결하는 핀(132)이, 핀(104)에 대한 피봇부재(92)의 피봇포인트로부터 오프셋되어 있음을 볼 수 있다.
피봇부재(92)에 대한 캠들(126)의 부착포인트들은, 또한 바람직하게는 핀(104)에 대한 피봇부재(92)의 피봇포인트의 위치로부터 오프셋되어 있다. 도 17에 도시된 것처럼, 캠들(126)은 핀(122)을 개구(128)에 고정함으로써 피봇부재에 연결된다.
도 12 및 13에 도시된 것처럼, 핀(132)은 액츄에이터 어셈블리(130)의 제 1 말단을 피봇부재(92)에 고정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고, 또 다른 핀(134)은 액츄에이터 어셈블리(130)의 제 2 말단을 상부 구조(100)에 고정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핀(132)은, 액츄에이터 어셈블리(130)의 제 1 말단의 개구(136)와 피봇부재(92)의 한쌍의 개구들(138)을 통과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핀(134)은 액츄에이터 어셈블리(130)의 제 2 말단의 개구(140)를 통과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개구(140)는 바람직하게는 액츄에이터 어셈블리(130)의 로드 또는 피스톤 부분(142) 내에 형성된다.
피봇부재(92)의 피봇축, 및 피봇축에 대하여 다른 구성요소들을 연결하기 위한 영역들의 위치가 도 17에 도시되어 있다. 피봇부재(92)는 서로 세로 길이(149) 만큼 떨어져 있는 제 1 말단(145)과 제 2 말단(147)을 가진다. (예를 들어, 상부 프레임부재(70)를 수용하기 위한) 제 1 프레임 연결영역은 제 1 말단(145) 근처에 연결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액츄에이터 어셈블리(130)를 수용하기 위한) 액츄에이터 어셈블리 연결영역은 제 2 말단(147) 근처에 연결될 수 있다.
이상에서 기술된 것처럼, 피봇부재(92)는 제 1 말단(145)과 제 2 말단(147) 사이에 위치된 피봇축 부착영역(개구(108))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할 수 있다. 피봇축은 또한 제 1 말단과 제 2 말단 사이의 측면에 위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봇부재(92)는 제 1 말단(145)과 제 2 말단(147) 사이의 피봇부재(92)로부터 외부로 연장하는 연장부분(102)을 가진다. 연장부분(102)은 또한 하부 프레임부재(40)를 수용하기 위한 프레임 연결영역(예를 들어, 개구(120))을 가진다. 이러한 프레임 연결영역(개구(120))은 피봇포인트 연결영역을 지나 연장되는 영역에 위치되어 있다.
도 18 및 19는, 직립 상태(도 18)와 뉘어진 상태(도 19)의 상부 몸체 프레임을 가진 의자(10)를 도시하는 의자(10)의 단면도들이다. 도 17 및 18을 참조하면, 직립 상태에서, 액츄에이터 어셈블리(130)는 로드(142)가 실질적으로 최대한 연장되어 있는 연장형태에 있다. 액츄에이터 어셈블리(130)가 연장형태로부터 수축형태로 이동함에 따라, 제 1 말단의 액츄에이터 어셈블리 부착포인트와 제 2 말단의 액츄에이터 어셈블리 부착포인트 사이의 거리는 감소되어, 피봇부재(92)는 핀(104)의 피봇포인트를 중심으로 선회하게 된다.
도 19에 도시된 것처럼, 액츄에이터 어셈블리(130)가 비연장 형태(non- extended configuration)로 이동하게 되면, 하부 몸체 프레임(40)의 부착포인트가 피봇부재의 피봇포인트로부터 오프셋되어 있기 때문에, 하부 몸체 프레임(40)은, 피봇부재(92)가 뉘어진 상태로 후방으로 선회함에 따라 후방으로 이동한다. 하부 몸체 프레임(40)의 이러한 후방 이동은, 환자의 등이 바로 누운 위치로 뉘어짐에 따라 환자의 엉덩이의 이동을 모방하면서, 환자가 의자에서 적절한 위치를 유지하는 것을 돕는다.
동시에, 캠들(126)은, 피봇부재(92)의 또 다른 오프셋 부분(즉, 핀(122))에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전방으로 이동한다. 도 18과 도 19를 비교하면, 캠들(126)은, 하부 몸체 프레임(40)의 전방으로 이동할 때 하부 몸체 프레임(40)이 캠들(126)의 말단에 위치된 롤러들(174)을 따라 이동하기 때문에 하부 몸체 프레임(40)을 더 높게 상승시킨다는 것을 명확히 알 수 있다.
도 20a 및 20b는 실질적으로 직립인 형태(도 18)와 실질적으로 뉘어진 상태(도 19) 사이의 중간 형태에 있는 의자(10)를 도시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환자 지지장치들은, 본 명세서에 구체적으로 도시된 실질적으로 직립인 형태(도 18)와 실질적으로 뉘어진 상태(도 19)를 넘어서는 연장된 위치들뿐만 아니라, 실질적으로 직립인 형태와 실질적으로 뉘어진 상태 사이의 다양한 형태들로 이동하고 위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20b의 단면도에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하부 몸체 프레임(40)은, 의자가 하나의 형태로부터 또 다른 형태로 이동함에 따라 캠들(126)의 말단에 있는 롤러들(174)과 접촉하며 롤링(rolling)한다.
도 20b에 도시된 것처럼, 의자 구조(예를 들어, 상부 구조(100), 하부 몸체 프레임(40) 및 상부 몸체 프레임(70))의 높이의 상승과 하강은, 리프트 암(182)의 일부분에 상향력을 인가하는 실린더 어셈블리(180)를 제공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리프트 암(182)은, 상부 구조(100)의 좌측과 우측의 개구들(186; 도 17)에 고정된 숄더 볼트들(shoulder bolts; 184)에 의해 상부 구조(100)에 선회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타단에서, 리프트 암(182)은 2개의 타워부재들(tower members; 188)과 같은 베이스부재에 연결될 수 있다. 타워부재들(188)은 베이스플레이트(base plate; 190)로부터 위로 연장되고, 하나의 타워부재(188)는 리프트 암(182)의 각각의 측면에 있는 리프트 암(182)에 부착되어 있다. 리프트 암(182)은 바람직하게는 타워부재들(188)에 선회가능하게 부착되어, 실린더 어셈블리(180)가 리프트 암을 위로 밀고(도 20b), 리프트 암(182)은 부착포인트(192)를 중심으로 선회한다. 리프트 암(182)은, 실린더 어셈블리(180)에 의해 인가된 리프트 암(182)에 대한 상향력을 제거하거나 감소시키고 중력이 리프트 암(182)을 더 낮은 높이로 이동하게 하는 것을 허용함으로써 하강될 수 있다.
링크 암(link arm; 194)은, 의자가 수직이동을 함에 따라 의자 구조를 안정화하고 견고한 수준으로 유지하기 위해 제공된다. 도 19에 도시된 것처럼, 예를 들어, 링크 암(194)은 리프트 암(182)의 (우측과 같은) 적어도 하나의 측부에 제공될 수 있고, 일단의 부착포인트(196)에서 하나의 타워부재(188)에, 타단의 부착포인트(198)에서 상부 구조(100)에 선회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다.
도 21은 의자의 부분도를 도시한다. 실린더 어셈블리(180)는 베이스 부분(200)과 연장가능 부분(예를 들어, 피스톤 또는 로드; 202)을 포함한다. 베이스 부분(200)은 베이스플레이트(190)에 고정되거나 부착될 수 있고, 연장가능 부분은 일단에 개구(204)가 제공될 수 있다. 개구(204)는, 나사들(208)을 이용하여 리프트 암(182)의 하부 부분에 고정되는 핀(206)을 수용할 수 있다. 실린더 어셈블리(180)가 동작함에 따라, 연장가능 부분(202)은 위(또는 아래)로 이동하여 리프트 암(182)이 상승(또는 하강)하게 된다. 개구(204)는 핀(206)을 수용할 만한 크기를 가지며, 리프트 암(182)이 하나의 높이로부터 또 다른 높이로 이동함에 따라 핀(206)이 개구(204)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게 한다. 필요하다면, (도 22에 도시된) 슬리브 베어링(220)이, 연장가능 부분(202)과 핀(206)의 상대적 이동을 돕기 위하여 개구(204) 내에 제공될 수 있다. 연장가능 부분(202)은 또한 개구(204)를 정의하는 (도 22에 도시된) 피봇 부분(222)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20b를 참조하면, 실린더 어셈블리(180)는 수직으로 또는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위치될 수 있다.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을 갖는 실린더 어셈블리(180)는 지면에 대한 의자의 "접지면"을 감소시킨다. 그러므로, 의자는 더욱 콤팩트(compact)하게 될수 있고, 의자 구조 밑에 더욱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위에서 언급하였듯이, 리프트 암(182)은 바람직하게는 베이스부재(예를 들어, 2개의 타워부재들(188))에 연결된다. 이러한 피봇포인트의 높이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약 9인치,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0 인치 이상이다. 더 높은 피봇포인트를 가짐으로써, 의자는 전방 또는 후방으로 많이 움직이지 않아도 위로 상승될 수 있다. 이것은 의자 주위의 필요한 동작 간격(available operating clearance)을 감소시키는 것을 돕는다. 이에 반하여, 많은 종래의 리프트 매커니즘들은 의자 밑의 공간을 실질적 으로 채우는 복잡한 기계적 시스템들을 필요로 하고, 그리고/또는 의자가 위로 상승하는 동안 많이 앞으로(환자의 발 방향으로) 이동하게 한다.
연장가능 부분(202)은, 위로 이동함에 따라 리프트 암(182)을 위로 이동시킨다. 리프트 암(182)은 연장가능 부분(202)과 각도를 이루고 있기 때문에, 연장가능 부분(202)이 조금만 이동하더라도 의자(10)의 높이가 크게 변화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연장가능 부분(202)이 약 3 내지 5 인치만큼 이동하는 경우, 리프트 암(182)과 이루는 각도에 따라서 약 10 내지 30 인치의 높이 변화를 일으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시스템의 접지면을 감소시키고 이동거리 대 높이(travel-to-height) 변화를 최대로 하기 위하여, 실린더 어셈블리는 바람직하게는 타단보다 일단에 더 가까운 부분에서 리프트 암(182)과 접촉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실린더 어셈블리(180)는, 바람직하게는 상부 구조(100)에 연결되어 있는 리프트 암(182)의 영역보다 타워부재들(188)에 연결되어 있는 영역에 더 가깝게 위치된다. 실린더 어셈블리(180)는, 바람직하게는 약 50 psi 내지 1500 psi,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75 psi 내지 500 psi의 압력으로 동작할 수 있는 단일 구동 실린더(single acting cylinder)로서 구성된다.
도 22는 실린더 어셈블리(180)의 일 실시형태의 세부도를 도시한다. 이상에서 논의된 것처럼, 실린더 어셈블리(180)는 베이스 부분(200)과 연장가능 부재(202)를 포함한다. 연장가능 부재(202)는 실린더 어셈블리(180) 내에서 이동가능한 피스톤 리프트 실린더(218)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2는 최대 연장 상태에 있는 실린더 어셈블리(180)를 도시한다. 불필요한 튜빙(tubing)을 제거하고 실린더 어셈 블리(180)의 접지면을 감소시키기 위해, 실린더 어셈블리(180)는 바람직하게는 외부 저장소가 없는 구성을 가진다. 즉, 실린더 어셈블리는, 베이스 부분의 상부 저장소와 하부 저장소 내에 실린더 어셈블리의 동작 유체 중 거의 전부를 보유하도록 구성된다. 물론, 외부 저장소가 없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일정량의 유체가 상부 저장소와 하부 저장소의 외부에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유체는 펌프, 유압 피팅(hydraulic fitting), 튜빙 등에 수용될 수 있지만; 외부 저장소가 없기 때문에, 상부 저장소와 하부 저장소 내에 저장되는 전체 동작 유체의 체적은 연장가능 부재의 위치에 상관없이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유지된다.
드롭 튜브(drop tube; 210)와 유압 피팅(hydraulic fitting; 212)은 모두 모터/펌프(214)에 연결된다. 연장가능 부분(202)을 상승시키기 위해, 유압 유체는 상부 저장소(221)로부터 드롭 튜브(210)와 모터/펌프(214)와 유압 피팅(212)을 거쳐 하부 저장소(219) 내로 흐른다. 연장가능 부분(202)을 하강시키기 위해, 유체는 역으로 흐른다. 유체는, 솔레노이드 밸브(solenoid valve; 223)에 의해 방출되면, 하부 저장소(219)로부터 유압 피팅(212)과 모터/펌프(214)와 드롭 튜브(210)를 통하여 상부 저장소(221) 내로 흐를 수 있다. 솔레노이드 밸브(223)가 베이스 부분(200) 내에 위치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을지라도, 솔레노이드 밸브와 (연장가능 부재의 위치를 유지하도록 제공된 로드 홀드 체크 밸브(rod hold check valve)와 같은) 다른 유량 제어 밸브들이 베이스 부분(200)의 외부에 제공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외부 다기관(external manifold; 도시되지 않음)은 펌프로부터 상부 저장소 및 하부 저장소로의 유량을 조정하기 위해 펌프와 실린더 어셈블리(180) 사이에 위치되는 다양한 밸브들을 포함할 수 있다.
통상의 유압 시스템들에서, 연장가능 부분(202)이 너무 높게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고 연장가능 부분(202)이 연장 상태에서 잠기는 것(locking)을 방지하는 이동 한계들이 전자 제어 시스템에서 전형적으로 설정된다. 즉, 연장가능 부분이 너무 멀리 이동한다면, 유압 시스템은 최대 연장 상태에서 "움직이지 않을(freeze up)" 즉, 잠겨질 수 있다. 유압 시스템이 연장 상태에서 움직이지 않게 되거나 잠겨진다면, 시스템 내의 압력을 경감시키기 위해 하나 이상의 호스들을 제거하는 것이 필요할 수 있다. 그러나, 전자 제어 시스템들은 고장나서, 시스템이 움직이지 않게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적 이동 제어 한계들이 제공되지 않을지라도, 연장가능 부분에 의해 허용되는 이동량을 자체조정할 수 있는 유압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실린더 어셈블리는, 바람직하게는 특정 조건들이 충족될 때 유체가 상부 저장소와 하부 저장소 사이에서 흐르게 할 수 있도록 구성된 밸브를 포함한다. 즉, 의자의 동작 동안 상부 저장소와 하부 저장소 사이에서 유체의 사용자 제어 흐름과 관련되는 다양한 밸브들에게 흔히 있는 일이지만, 밸브가 개방될 조건들은 예정되고, 말단 사용자에 의해 결정되지 않는다. 도시된 실시형태들에서, 연장가능 부분이 특정 예정 위치에 도달할 때 또는 저장소들 중 하나의 압력이 특정 예정량에 도달할 때에 개방되어 2개의 저장소들 사이에서 흐름을 허용하도록 구성되는 밸브들을 포함하는 특정된 예정 조건들 하에서 개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는 밸브를 볼 수 있다.
도 22에 도시된 것처럼, 연장가능 부분(202)의 잠금을 방지하기 위해, 바이패스 밸브(bypass valve; 216)는, 피스톤 리프트 실린더(218)가 특정된 예정 높이에 도달할 때, 주요 부분(200) 내에서 연장가능 부분(202)과 함께 이동하고 동작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바이패스 밸브(216)는, 연장가능 부분(202)이 특정 높이에 도달할 때 바이패스 밸브(216)가 동작되도록 구성되어, 유체가 피스톤 리프트 실린더(218)의 일단으로부터 타단까지 흐를 수 있다. 따라서, 바이패스 밸브(216)가 동작되면, 바이패스 밸브(216)는 유체가 주요 부분(200) 내에서 하부 저장소(219)로부터 상부 저장소(221)까지 (그리고 역으로) 흐르게 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의 유체 통과는, 연장가능 부분(202)이 너무 멀리 이동하여 실린더 어셈블리(180)가 잠기는 형태에 도달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한다. 바이패스 밸브가 동작될 때, 유체는 시스템 내에서 간단히 재활용되고 연장가능 피스톤은 더 이상 연장되지 않을 것이다.
바이패스 밸브(216)를 개방하는 매커니즘은 변화가능하다.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실린더 스페이서(cylinder spacer; 225)는 연장가능 부분(202)의 로드 부재를 둘러싸고, 피스톤 리프트 실린더(218)와 함께 위 아래로 이동한다. 연장가능 부분(202)이 예정된 높이에 도달할 때, 스페이서(225)는, 더 이상 위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실린더의 전방 머리(227)와 접촉하고, 스페이서(225)의 하부 부분은 (도 22에 도시된 것처럼) 바이패스 밸브(216)와 접촉하고 동작한다. 필요하다면, 스프링 와셔(spring washer; 229)가, 바이패스 밸브(216)가 미리 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스페이서(225)와 피스톤 리프트 실린더(218)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바이패스 밸브(216)는 다양한 형태들로 베이스 부분(200) 내에 위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2에 도시된 것처럼, 바이패스 밸브는, 연장가능 부분과 함께 이동가능하고, 연장가능 부분이 예정된 연장 한계에 도달할 때 베이스 부분 내의 정지부재(stationary member)와 접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28a 및 28b는 (도 22에 도시된) 연장가능 부분과 함께 이동하도록 구성된 바이패스 밸브의 개략도를 도시하고, 도 29a 및 29b는 베이스 부분 내에 정지되도록 구성된 바이패스 밸브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일반적으로, 외부 튜빙을 설치할 필요를 없애기 위해, 바이패스 밸브가 연장가능 부분과 함께 이동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8a 및 28b를 참조하면, 피스톤 리프트 실린더(218)를 포함하는 연장가능 부분(202)이 제 1 비연장 위치(도 28a)와 제 2 연장 위치(도 28b)로 도시된다. 실린더 어셈블리(180)의 주요 부분(200)은 하부 저장소(219)와 상부 저장소(221)를 포함하고, 바이패스 밸브(216)는, 연장가능 부분(202)이 예정된 높이에 도달할 때 유체가 2개의 저장소들 사이에서 흐를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28b에 도시된 것처럼, 연장가능 부분(202)이 예정된 높이에 도달할 때, 바이패스 밸브(216)는 개방되고, 유체가 하부 저장소(219)로부터 상부 저장소(221)로 흐를 수 있게 한다.
도 29a 및 29b를 참조하면, 피스톤 리프트 실린더(218)를 포함하는 또 다른 연장가능 부분(202)이 제 1 비연장 위치(도 29a)와 제 2 연장 위치(도 20b)로 도시되어 있다. 편의를 위하여, 드롭 튜브(210)가 도 29a, 29b, 31a 및 31b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도 22와 관련하여 이상에서 논의된 방식으로 유체를 순환시키기 위해, 드롭 튜브 또는 다른 피팅(fitting)이 필요할 것이다.
도 29a와 29b에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실린더 어셈블리(180)의 주요 부분(200)은 하부 저장소(219)와 상부 저장소(221)를 포함하고, 바이패스 밸브(216)는, 연장가능 부분(202)이 예정된 높이에 도달할 때 2개의 저장소들 사이에서 흐를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28b와 달리, 도 29b는 연장가능 부분(202)에 대하여 정지된 바이패스 밸브(216)를 도시한다. 바이패스 밸브(216)가 연장가능 부분(202)의 상부에 위치되기 때문에, (점선(231)에 의해 개략적으로 도시된) 추가적인 튜빙은, 유체가 하부 저장소(219)와 상부 저장소(221) 사이에서 흐르는 데에 필요할 수 있다. 도 29b에 도시된 것처럼, 바이패스 밸브(216)가 개방될 때, 유체는 하부 저장소(219)와 상부 저장소(221) 사이에서 튜빙(231)을 통하여 흐른다. 이에 따라, 바이패스 밸브(216)가 동작(또는 개방)되는 동안 (도 22와 관련하여 이상에서 기술된 것처럼) 유체가 유압 피팅(212) 내로 펌핑된다면, 유체는 도 29b에 도시된 것처럼 상부 저장소와 하부 저장소를 통하여 간단히 순환될 것이다.
적합한 밸브들은, 본 명세서에 기술된 유압 시스템에 내재된 압력들을 취급할 수 있고, 일단에서 기계적 압력을 적용할 때 유체가 밸브의 2개의 말단들 사이에서 흐를 수 있게 하는 밸브들이다. 다양한 종래의 밸브들이, 슈레더-브릿지포트 인터내셔날사(Schrader-Bridgeport International, Inc.)를 통하여 이용가능한 특정 밸브들을 포함하여 이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밸브는 이상에서 논의된 압력(예를 들어, 적어도 약 500 psi까지, 바람직하게는 1500 psi 이상까지)을 취급하도록 평가될 것이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밸브는, 바이패스 밸브 대신에 또는 바이패스 밸브와 결합하여 사용될 수 있는 릴리프 밸브(relief valve)를 포함할 수 있다. 릴리프 밸브는, 연장가능 부분(202)이 연장가능 부분(202)의 잠금이 일어날 수 있는 위치 또는 높이에 도달하는 것을 방지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0a 및 30b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것처럼, 릴리프 밸브(237)는 연장가능 부분(202)과 함께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임의의 실린더 스트로크 또는 위치(cylinder stroke or position)에서, 하부 저장소(219) 내의 압력이 예정된 수준에 도달한다면, 릴리프 밸브(237)는 개방되고, (도 30b에 도시된 것처럼) 유체가 하부 저장소(219)로부터 상부 저장소(221)로 흐르게 할 수 있다.
도 31a 및 31b를 참조하면, 릴리프 밸브(237)는 (바이패스 밸브를 가진 도 29a 및 29b에 도시된 실시형태들과 유사하게) 연장가능 부분(202)에 대하여 정지되도록 위치된 것으로 도시된다. 릴리프 밸브(237)는, 하부 저장소 내의 압력이 예정된 수준에 도달할 때 개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29a 및 29b와 관련하여 이상에서 기술된 것처럼, 추가적인 튜빙(231)은, 유체가, 릴리프 밸브가 개방될 때 2개의 저장소들 사이에서 흐를 수 있도록 하부 저장소(219)와 상부 저장소(221)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형태들에 도시된 릴리프 밸브들의 예정된 압력 한계들은 특정 응용례에 따라 변화할 수 있다. 그러나,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릴리프 밸브는 바람직하게는 하부 저장소 내의 압력이 약 750 psi를 초과할 때 개방될 것이다.
도 20b를 참조하면, 커버(230)는, 모터/펌프(214)와 전력공급기(232)를 포함하여, 의자(10)의 하부 부분 중 일부분을 덮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커버(230)는, 하부 부분(235)보다 작은 폭을 가진 상부 부분(233)과 함께 상부 부분(233)과 하부 부분(235)을 가진다. 커버(230)는, 전력공급기(232)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쌀 수 있는 범프 링부재(bump ring member; 234)와 탈착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도 23을 참조하면, 의자의 하부 부분이 더욱 상세하게 기술된다. 베이스플레이트(190)는 바람직하게는 (도 20b에 도시된 것처럼) 의자(10)의 하부 부분의 밑에서 후방으로 연장된다. 베이스플레이트(190)는 바람직하게는 리프트 암(182)이 베이스플레이트(190) 위의 머리공간 내로 연장될 수 있게 하는 낮은 모양(low profile)을 가진다. 또한, 베이스플레이트(190)의 낮은 모양은 의자의 하측에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게 하고, 동시에, 조작자의 몸 및/또는 지지 의자(예를 들어, 바퀴달린 걸상)가 베이스플레이트(190) 위의 머리공간 내로 들어가서 조작자에게 부상을 입히는 것을 방지한다. 베이스플레이트(190)는 넓은 영역(240)과 후방의 좁은 영역(242)을 가지며, 그들 사이가 곡선형태를 이룰 수 있다. 좁은 영역(242)은 조작자(예를 들어, 치과의사)가 환자에게 더 가깝게 지지 의자(도시되지 않음)를 위치시키는 것을 허용한다. 베이스플레이트(190)는 또한 의자(10)의 일부분을 바닥에 설치하기 위한 설치영역(243)을 정의하는 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4에 도시된 것처럼, 설치 매커니즘은, 예를 들어 바닥에 고정될 수 있는 클리트(cleat)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클리트(245)는, 의자의 위치가 볼트 또는 다른 고정부재를 바닥에 고정시킨 이후에 조정될 수 있게 하는 슬롯 부분(248)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볼트는 클리트(245)의 슬롯 부분(248)을 통과할 수 있고, 볼트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느슨하게 함으로써, 의자(10)의 위치는 또 다른 볼트 위치를 다시 드릴링하지 않더라도 조정될 수 있다.
범프 링부재(234)는 바람직하게는 전력원 수용영역(236)의 적어도 일부(예를 들어, 전력 공급기(232) 및/또는 모터/펌프(214))를 둘러싸며 베이스플레이트(190)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된다. 범프 링부재(234)는 (도 23에 도시된 것처럼) 베이스플레이트(190)로부터 분리되어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베이스플레이트(19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3에 도시된 것처럼, 범프 링부재(234)는, 분리되어 형성된 구조인 경우에 예를 들어 나사 부재들(238)을 이용하여 베이스플레이트(190)와 연결될 수 있다.
범프 링부재(234)는 바람직하게는 상면에 레지 부분(ledge portion; 246)을 가지는 반경방향 연장 부분(244)을 포함한다. 레지 부분(246)은 커버(230)의 하부 부분을 수용하고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24에 도시된 것처럼, 범프 링부재(234)는 범프 링부재(234)로부터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들(250)을 또한 포함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커버(230)에는, 커버(230)가 범프 링부재(234)의 레지 부분(246)에 위치될 때 돌출부들(250)을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개구들(252)이 형성될 수 있다. 동작 중에, 커버(230)는 레지 부분(246) 상에 위치되고, 하나 이상의 돌출부들(250)을 대응하는 개구들(252) 내로 연장함으로써 레지 부분(246) 상에 고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범프 링부재(234)에는, 오목 부분(254)이 돌출부들(250)의 위치 밑에 형성된다. 이에 따라, 커버(230)는, 손가락을 오목 부분(254) 내에 위치시키고 돌출부(250)를 개구(252)로부터 탈거시키기 위 해 커버(230)를 바깥으로 잡아당김으로써, 도구 없이 범프 링부재(234)로부터 탈거될 수 있다. 따라서, 범프 링부재는 커버와 확고하게 맞물리고 수동적으로 탈거될 수 있다.
범프 링부재(234)는, 바닥에 인접하게 위치됨에 따라 조작자 의자 바퀴들, 바닥 청소 장비 (및 관련 화학 제품) 등과 접촉할 가능성이 커지게 된다. 이에 따라, 범프 링부재(234)는 바람직하게는 커버(230)보다 더 딱딱하고 덜 유연하다. 예를 들어, 범프 링부재(234)는, 상대적으로 높은 강도와 강성을 가지고 광범위한 화학약품들, 유기용제들, 오일들 및 그리스들(greases)에 대하여 내식성을 가지는 PBT(polybutylene terephthalate)로 형성될 수 있고, 커버(230)는 아크릴 폴리비닐 클로라이드(acrylic polyvinyl chloride)로 형성될 수 있다. 물론, 다른 물질들이 범프 링부재와 커버 모두에 대하여 이용될 수 있지만; 범프 링은 더 큰 힘을 받기 때문에, 범프 링부재를 형성하는 재료는 바람직하게는 커버를 형성하는 재료보다 더 딱딱하고 덜 유연하다.
커버(230)는 바람직하게는 또한 내마모성을 가진다. 커버(230)의 모양은, 환자 옷에 걸리거나 환자의 몸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날카로운 가장자리들을 제거하는 것뿐만 아니라 매력적인 미적 요소를 제공하도록 부드럽게 곡선을 이룰 수 있다. 커버는, 의자의 내부 구조에 손상을 줄 수 있는 먼지, 흙, 및 다른 가능한 오염물들로부터 내부 구조를 보호하도록 기능할 수 있다. 이상에서 기술된 툴이 없는 부착방법은, 또한 바람직하게는 커버(230)와 범프 링부재(234) 사이를 폐쇄함으로써, 오염물들이 들어올 수 있는 잠재적인 개구들을 더 감소시킨다.
도 24를 참조하면, 포스트 마운트(post mount; 256)는 하나 이상의 타워부재들(188)로부터 연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포스트 마운트(256)는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나사들(258)을 이용하여 타워부재(188)에 고정될 수 있다. 포스트 마운트(256)는 도 1에 도시된 컷아웃(cut-out; 253)과 같은 커버(230) 내의 개구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필요하다면, 포스트 마운트(256)에는, 포스트 마운트(256)의 일부분을 수용하고, 포스트 마운트(256)와 함께 설치되거나, 연결되거나, 관련되는 구성요소들에 대한 안정된 베이스를 제공하는 베이스 부분(260)이 제공될 수 있다. 도 24에 도시된 것처럼, 베이스 부분(260)은, 포스트 마운트(256)를 베이스 부분(260)에 연결시키기 위해 베이스 부분(260)의 상부 부분 내의 오목부들 내로 연장부재들(262)을 수용할 수 있다. 포스트 마운트(256)는, 포스트(post; 266)를 자체-레벨링(self-leveling; 예를 들어, 자체배관(self-plumbing)) 방식으로 수용하기 위한 테이퍼된 소켓(tapered socket; 264)을 포함할 수 있다. 포스트(266)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자체-레벨링되기 때문에, 포스트(266)( 및 관련 지지 구성요소들)의 설치 및 조정은 단순화되고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다.
도 25를 참조하면, 포스트(266)가 포스트 마운트(256)의 소켓(264) 내에 수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포스트(266)는, 바람직하게는 다양한 연결들, 와이어들(wires), 튜빙 등이 포스트(266)를 통과할 수 있도록 적어도 부분적으로 속이 비어있다. 예를 들어, 도 25에 도시된 것처럼, 포스트(266)는, 포스트(266)의 세로 길이 중 적어도 일부를 움직이는 하나 이상의 개구들을 가질 수 있다. 배관 및 전선과 같은 실용적인 라인들(utility lines)은 포스트(266)의 세로 개구들을 통과할 수 있다. 포스트(266)는, 치과용 라이트들(dental lights), 제어 패널들(control panels), 터치 패드들(touch pads), 급수(water distribution) 시스템들(예를 들어, 타구들(cuspidors)) 및 다른 치과용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는 (실용적인 라인들을 가지거나 가지지 않는) 다양한 치과용 장비를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포스트(266)는, 바람직하게는 포스트(266)가 바닥에 수직이 되도록 포스트 마운트(256)에 연결된다. 이러한 수직성을 얻기 위하여, 소켓(264)은 도 26에 도시된 것처럼 테이퍼될 수 있다. 테이퍼된 소켓(264)의 하부 부분은, 안쪽으로 연장되고 포스트(266)를 지지하는 립 부분(272)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바닥과 이루는 포스트(266)의 각도는, (도 24에 도시된) 개구들(269)을 통과하는 복수의 설정 나사들(268)을 조정함으로써 변화될 수 있다. 설정 나사들(268)은, 테이퍼된 소켓(264) 내에 수용될 때 포스트(266)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싼다. 설정 나사들의 개수가 변화할 수 있지만; 포스트(266)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이도록 적어도 3개의 설정 나사들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5에는, 서로 90도의 간격을 이루고 있는 4개의 설정 나사들(268)이 있다. 설정 나사들(268)이 소켓(264) 내로 연장되는 거리를 조정함으로써, 포스트(266)의 수직 정렬이 조정될 수 있다.
볼트와 같은 방향부재(270)는 포스트 마운트 내의 개구(271) 내로 연장될 수 있고, 포스트(266)의 경로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될 수 있다. 포스트(266)에는, 포스트(266)가 테이퍼된 소켓(264) 내에 수용될 때, 포스트(266)의 하단으로부터 방향부재(270)를 지나 위로 연장되는 슬롯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포스트(266)는, 와이어들 또는 다른 구성요소들이 포스트(266) 내에 수용되고 지지 되도록 구성되는 경우 바람직할 수 있는 일 방향으로 소켓(264) 내에 수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형태들의 원리들이 적용되는 많은 가능한 실시형태들에서, 도시된 실시형태들은 바람직한 실시예들이고 보호범위를 제한하지 않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보호범위는 다음의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고, 이러한 청구항들의 범위와 사상 내에 있는 모든 것이 청구된다.
도 1은 환자 지지장치의 일 실시형태의 우측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환자 지지장치의 우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환자 지지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환자 지지장치의 배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환자 지지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환자 지지장치의 저면도이다.
도 7은 환자 지지장치의, 상부 프레임부재를 포함하는 상부 부분의 정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환자 지지장치의 배면도이다.
도 9는 도 7에 도시된 환자 지지장치의 분해도이다.
도 10은 환자 지지장치의 목 지지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환자 지지장치의 일부분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는 환자 지지장치의 또 다른 부분의 위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은 환자 지지장치의 또 다른 부분의 아래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4는 환자 지지장치의 팔걸이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환자 지지장치의 팔걸이의 또 다른 사시도이다.
도 16은 액츄에이터 어셈블리를 보여주는, 환자 지지장치의 일부분의 사시도이다.
도 17은 액츄에이터 어셈블리를 보여주는, 환자 지지장치의 일부분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8은 직립 상태에서 상부 프레임부재와 함께 도시된, 환자 지지장치의 일부분의 좌측 부분 단면도이다.
도 19는 뉘어진 상태에서 상부 프레임부재와 함께 도시된, 환자 지지장치의 일부분의 좌측 부분 단면도이다.
도 20a는 부분적으로 뉘어진 상태에서 상부 프레임부재와 함께 도시된, 환자 지지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20b는 도 20a의 선 20B-20B에 대하여 얻어진 단면도이다.
도 21은 실린더 어셈블리를 도시하는 환자 지지장치의 일부분의 부분도이다.
도 22는 도 21에 도시된 실린더 어셈블리의 일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23은 환자 지지장치의 베이스 플레이트와 범프 링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4는 포스트 마운트 어셈블리에 결합된 환자 지지장치의 일부분의 사시도이다.
도 25는 포스트 마운트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환자 지지장치의 베이스의 일부분을 도시하는 도이다.
도 26은 포스트 마운트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환자 지지장치의 베이스의 단면도이다.
도 27은 투-피스 등받이를 가진 환자 지지장치의 일 실시형태의 우측 사시도이다.
도 28a는 바이패스 밸브가 폐쇄 위치에 있는 실린더 어셈블리의 일부분의 단 면도이다.
도 28b는 바이패스 밸브가 개방 위치에 있는 실린더 어셈블리의 일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29a는 바이패스 밸브가 폐쇄 위치에 있는 실린더 어셈블리의 일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29b는 바이패스 밸브가 개방 위치에 있는 실린더 어셈블리의 일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30a는 릴리프 밸브가 폐쇄 위치에 있는 실린더 어셈블리의 일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30b는 릴리프 밸브가 개방 위치에 있는 실린더 어셈블리의 일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31a는 릴리프 밸브가 폐쇄 위치에 있는 실린더 어셈블리의 일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31b는 릴리프 밸브가 개방 위치에 있는 실린더 어셈블리의 일부분의 단면도이다.

Claims (20)

  1. 직립 상태(upright configuration)와 뉘어진 상태(reclined configuration)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환자 지지장치로서,
    상기 환자 지지장치는:
    환자가 상기 환자 지지장치에 안착할 때 상기 환자의 등 하부 중 적어도 일부분과 접촉하도록 구성된 하부 부분, 상기 환자가 상기 환자 지지장치에 안착할 때 상기 환자의 머리 중 적어도 일부분과 접촉하도록 구성된 상부 부분, 및 상기 하부 부분과 상기 상부 부분 사이에 중간 부분을 가지는 단일 완충부재;
    상기 환자의 목 뒤 중 적어도 일부분과 접촉하도록 구성된 전방부, 및 후방부를 가지는 목 지지부재; 및
    상기 단일 완충부재의 중간 부분 내에 위치된 목 지지 수용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목 지지부재의 후방부 중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목 지지 수용영역 내에 수용되고, 상기 목 지지부재는 복수의 세로 위치들(longitudinal positions)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지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목 지지부재는, 상기 환자 지지장치가 직립 상태와 뉘어진 상태 사이에서 이동하는 동안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지지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목 지지 수용영역은 긴 슬롯 부분(elongated slot portion)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지지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목 지지부재는 상기 목 지지부재의 후방부로부터 연장되는 연장부재를 가지며, 상기 연장부재는 상기 긴 슬롯 부분 내에 수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지지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목 지지부재는, 제 1 방향과 제 2 방향으로 상기 목 지지 수용영역 내에 수용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2 방향은 상기 제 1 방향으로부터 약 180도만큼 상기 목 지지부재를 선회시킴으로써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지지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목 지지부재는 탈착가능 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목 지지 수용영역 내에서 상기 목 지지부재를 탈착가능하게 고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지지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목 지지부재의 전방부는 완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지지장치.
  8. 직립 상태와 뉘어진 상태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환자 지지장치로서,
    상기 환자 지지장치는:
    환자의 몸 상부 중 적어도 일부분을 지지하기 위한 프레임부재(frame member); 및
    전방부와 후방부를 가지는 목 지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부재는 목 지지 수용영역을 가지고, 상기 목 지지 수용영역은 상기 프레임부재를 따라 실질적으로 세로로 연장되며,
    상기 목 지지부재의 전방부는 상기 환자의 목 뒤 중 적어도 일부분과 접촉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목 지지부재는 상기 목 지지부재의 후방부로부터 연장되는 연장부재를 가지며, 상기 연장부재는 상기 목 지지 수용영역 내에 미끄러지게 수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지지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목 지지 수용영역은 긴 슬롯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지지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재는, 상기 연장부재가 상기 긴 슬롯 내에 수용될 때 상기 긴 슬롯 내에서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지지장치.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목 지지부재는 제 1 방향과 제 2 방향 중 하나로 상기 목 지지 수용영역 내에 수용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2 방향은 상기 제 1 방향 으로부터 약 180도만큼 상기 목 지지부재를 선회시킴으로써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지지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재는 상기 목 지지부재의 후방부의 측면 중심선으로부터 오프셋(offset)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지지장치.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재는 상기 목 지지 수용영역과 고정되게 맞물리고, 상기 연장부재와 상기 목 지지 수용영역은 조작에 의해 탈거가 가능하도록 서로 맞물려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지지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목 지지부재는, 상기 목 지지 수용영역 내에서 상기 연장부재를 탈착가능하게 고정하도록 구성되는 탈착가능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지지장치.
  15.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목 지지부재의 전방부는 완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지지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환자의 목 뒤와 접촉가능한 크기를 가지며,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환자의 목 뒤와 접촉할 때 상기 환자의 머리 뒤의 상부와 접촉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지지장치.
  17.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재는 상단부와 하단부를 가지며, 상기 프레임부재는 실질적으로 상기 하단부로부터 상기 상단부까지 상기 목 지지 수용영역 주위를 연장하는 단일 연속 완충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부재의 하단부를 덮는 단일 연속 완충부의 일부분은 상기 환자의 등 하부 중 적어도 일부분과 접촉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지지장치.
  18. 환자 지지장치 내에 환자를 수용하기 위한 목 지지부재 조정방법으로서,
    상기 목 지지부재 조정방법은:
    목 지지 수용영역을 가지는 프레임부재 및 상기 목 지지 수용영역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되는 이동가능 목 지지부재를 가지는 환자 지지장치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프레임부재의 하부가 환자의 등 중 적어도 일부분과 접촉하며 상기 프레임부재의 상부가 상기 환자의 머리 중 적어도 일부분과 접촉하도록, 상기 환자 지지장치 내에 환자를 수용하는 단계; 및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목 지지부재가 상기 목 지지 수용영역 내에서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까지 이동하도록,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까지 상기 프레임부재를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지지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 지지장치 내에 환자를 수용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목 지지부재가 약 180도만큼 선회하여 상기 슬롯 부분으로부터 탈거되고, 상기 목 지지 수용영역 내에 재위치함으로써, 상기 목 지지부재와 상기 환자 사이에 다른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지지장치.
  20. 제 18 항에 있어서, 제 1 방향으로부터 제 2 방향으로 상기 프레임부재를 이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프레임부재를 실질적으로 직립인 형태로부터 실질적으로 뉘어진 상태로 선회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지지장치.
KR1020090129645A 2009-02-13 2009-12-23 목 지지부재를 가진 환자 지지장치 KR2010009286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371,331 US20100205742A1 (en) 2009-02-13 2009-02-13 Patient support apparatus with neck support member
US12/371,331 2009-02-1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2864A true KR20100092864A (ko) 2010-08-23

Family

ID=421548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9645A KR20100092864A (ko) 2009-02-13 2009-12-23 목 지지부재를 가진 환자 지지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00205742A1 (ko)
EP (1) EP2218430B1 (ko)
JP (1) JP2010188127A (ko)
KR (1) KR20100092864A (ko)
CN (1) CN101822603A (ko)
AU (1) AU200922783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62333B1 (en) * 2009-05-11 2022-10-04 Bruce A. Lev Telemedical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medical services remotely
US20190355457A1 (en) * 2009-05-11 2019-11-21 Bruce A. Lev Telemedical apparatus, system, & method for providing medical services remotely
USD680223S1 (en) * 2011-10-19 2013-04-16 Reliance Medical Products, Inc. Examination chair
CN105943301A (zh) * 2016-07-19 2016-09-21 李凤彩 消化内科食道涂药用座椅
CN106137667A (zh) * 2016-08-10 2016-11-23 佛山市中创医疗器械有限公司 一种新型的牙科治疗椅
US11369539B2 (en) * 2019-05-13 2022-06-28 David J. Ahearn Dental chair
US11730655B2 (en) 2019-05-13 2023-08-22 David J. Ahearn Dental chair
JP2020185142A (ja) * 2019-05-14 2020-11-19 株式会社モリタ東京製作所 診療用椅子

Family Cites Families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251737B2 (de) * 1972-10-21 1978-04-13 Siemens Ag, 1000 Berlin Und 8000 Muenchen Zahnarztlicher Patientenstuhl mit Parallelogrammtragarm
DE2429457A1 (de) * 1974-06-19 1976-01-08 Haeberle & Co Patientenstuhl, autositz oder dergleichen
USD268149S (en) * 1980-12-29 1983-03-08 Syntex (U.S.A.) Inc. Dental chair
US4634176A (en) * 1984-10-01 1987-01-06 Scott Gregory M Back support assembly for vehicle seat
US4832401A (en) * 1988-04-01 1989-05-23 General Motors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of a seat with a floating lumbar
NO165054C (no) * 1988-09-07 1990-12-19 Asbjoernsen & Jan Lade A S Sve Anordning ved omstillbar ryggstoepute paa stol.
US5190349A (en) * 1990-03-29 1993-03-02 A-Dec, Inc. Dental chair
USD336381S (en) * 1990-03-29 1993-06-15 A-Dec, Inc. Dental chair
US5131717A (en) * 1990-09-28 1992-07-21 The Pelton & Crane Company Reclining chair having a movable seat back and a movable seat bottom
US5244252A (en) * 1990-10-29 1993-09-14 Hector Serber Seat assembly and method
USD333736S (en) * 1991-04-30 1993-03-09 A-Dec, Inc. Dental chair
US5340953A (en) * 1992-11-19 1994-08-23 A-Dec, Inc. Switch controller
US5374136A (en) * 1992-12-11 1994-12-20 A-Dec. Inc. Mounting mechanism
US5405115A (en) * 1993-02-02 1995-04-11 A-Dec, Inc. Mounting bracket assembly
US5342007A (en) * 1993-02-11 1994-08-30 A-Dec, Inc. Frame for post-supported dental equipment
USD357834S (en) * 1993-06-10 1995-05-02 A-Dec, Inc. Headrest
USD347946S (en) * 1993-06-10 1994-06-21 A-Dec, Inc. Dental chair
USD361438S (en) * 1993-10-21 1995-08-22 Mdt Corporation Dental patient chair
CA2122294A1 (en) * 1994-04-27 1995-10-28 Peter C. Boetzkes Dental patient's chair
US5601331A (en) * 1995-04-06 1997-02-11 A-Dec, Inc. Integrated dental chair and post-mounted delivery system
US5823699A (en) * 1995-04-06 1998-10-20 A-Dec, Inc. Post height adjustment for dental equipment
USD378961S (en) * 1995-09-27 1997-04-29 A-Dec, Inc. Chair for dental patients
US5634688A (en) * 1996-04-18 1997-06-03 Homecrest Industries, Incorporated Reclining chair
US5935160A (en) * 1997-01-24 1999-08-10 Cardiac Pacemakers, Inc. Left ventricular access lead for heart failure pacing
JPH11196973A (ja) * 1998-01-08 1999-07-27 Nagano Interior Kogyo Kk 椅 子
DE29804358U1 (de) * 1998-03-12 1998-07-09 Grammer Ag Sitz, insbesondere Fahrzeugsitz
US6154899A (en) * 1998-10-19 2000-12-05 Hill-Rom, Inc. Resident transfer chair
USD420225S (en) * 1999-02-15 2000-02-08 Den-Tal-Ez, Inc. Dental chair
JP3583068B2 (ja) * 2000-11-28 2004-10-27 株式会社長田中央研究所 歯科治療椅子
US6814409B2 (en) * 2001-04-12 2004-11-09 A-Dec, Inc. Hydraulic drive system
US6802564B2 (en) * 2001-10-12 2004-10-12 Midmark Corporation Examination and treatment chair
US6893096B2 (en) * 2002-09-05 2005-05-17 A-Dec, Inc. Headrest support and adjustment mechanism
USD525443S1 (en) * 2003-07-15 2006-07-25 Takara Belmont Corporation Dental chair
US7290836B2 (en) * 2003-08-28 2007-11-06 A-Dec, Inc. Patient chair
JP2005087287A (ja) * 2003-09-12 2005-04-07 Osada Res Inst Ltd 歯科治療用椅子
US7195219B2 (en) * 2003-12-10 2007-03-27 A-Dec, Inc. Modular dental chair equipment mounting system
CN2693091Y (zh) * 2004-04-05 2005-04-20 汪禄财 带有活动颈垫的椅子
USD542064S1 (en) * 2005-03-16 2007-05-08 Midmark Corporation Dental chair back
USD578787S1 (en) * 2007-10-01 2008-10-21 Brusaferri & C.S.R.L. Podiatry chai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205742A1 (en) 2010-08-19
EP2218430B1 (en) 2012-09-26
EP2218430A2 (en) 2010-08-18
JP2010188127A (ja) 2010-09-02
AU2009227839A1 (en) 2010-09-02
EP2218430A3 (en) 2010-08-25
CN101822603A (zh) 2010-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61664B2 (en) Base and support system for a patient support apparatus
KR20100092864A (ko) 목 지지부재를 가진 환자 지지장치
US7506385B2 (en) Submersing bathing and transfer chair
US5785384A (en) Arrangement in an adjustable chair
US4821351A (en) Bed and/or chair device
US9010787B2 (en) Tilt-in-space wheelchair using multiple controlling paths
US9084708B2 (en) Modular chair
JP7015849B2 (ja) 歩行補助用車椅子
US10857049B2 (en) Reclining armchair with lifting seat and extending footrest
CN105795755A (zh) 纹身期间用于支承的设备
US11602469B2 (en) Lifting mechanism and chairs
US9775757B1 (en) Lift chair and seat
US7472920B2 (en) Retractable bed mechanism
US6811220B2 (e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raising and lowering a seat
CN109431140A (zh) 升降折叠办公椅
US8297564B2 (en) Fluid control system for use with a patient support apparatus
WO1992014432A1 (en) Elevating chair
EP1912536B1 (en) Bed assembly
KR101058333B1 (ko) 접이식 의자
ITMI20012036A1 (it) Sedile anatomico amovibile
KR20120066748A (ko) 의자용 발 받침대
CN106108443B (zh) 一种可调节的椅子
WO2010093367A1 (en) Patient support apparatus
US10918247B1 (en) Toilet lift seat
NO171945B (no) Elektrisk drevet og trinnloes hoeyderegulerbar rullesto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