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92791A - 입체 방향 표시기 - Google Patents

입체 방향 표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92791A
KR20100092791A KR1020090012088A KR20090012088A KR20100092791A KR 20100092791 A KR20100092791 A KR 20100092791A KR 1020090012088 A KR1020090012088 A KR 1020090012088A KR 20090012088 A KR20090012088 A KR 20090012088A KR 20100092791 A KR20100092791 A KR 201000927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pixels
display device
lamp
lenticu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20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철훈
Original Assignee
(주)다위실업정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다위실업정공 filed Critical (주)다위실업정공
Priority to KR10200900120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92791A/ko
Publication of KR201000927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27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 G02B30/26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autostereoscopic type
    • G02B30/27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autostereoscopic type involving lenticular array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6Lenses, e.g. microlenses or Fresnel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4Direct backlight with lamp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입체 방향 표시기에 관한 것으로, 렌티큘러스크린과 방향 표시 이미지가 구비된 디스플레이 장치, 그리고 직하형 백라이트 어셈블리로 구성하여 다시점 입체 영상을 표시하게 하여 보행자가 진행하는 방향에 따라 향후 진행할 방향을 다시 관찰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편하게 이동할 수 있고, 비상구나 유도등과 같은 곳에 설치하면 서로 다른 각도에서도 복잡한 미로의 출입구를 보다 쉽게 찾을 수가 있어 인명 등의 손실을 최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입체영상, 렌티큘러, 방향표시, 백라이트, 비상구, 유도등

Description

입체 방향 표시기{THREE DIMENSIONAL DIRECTION GUIDE}
본 발명은 입체 영상 표시기에 관한 것으로, 유도등이나 방향 표시등과 같이 복잡한 미로를 표기하는 곳에 설치하여 보행자의 진행 방향에 따라 진행할 방향을 보다 구체적으로 제시하여 보행을 쉽게 할 수 있게 하는 입체 방향 표시기에 관한 것이다.
입체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시스템에 대한 요구는 많은 분야에서 매우 절실히 요구되어 지고 있다.
이러한 것들로는 의학계의 영상시스템, 정찰 시스템. 관측 및 측정 시스템, 오락을 위한 영상시스템, 그리고 로보트 조작을 위한 영상시스템 등이 있다.
이러한 입체영상 시스템에 대한 요구는 입체영상이 2차원의 영상에 비하여 자연스러울뿐만 아니라 관찰자에게 새로운 물체에 대한 인식을 보다 용이하게 하여 주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인간이 3차원의 물체를 인식하는 데는 수평적으로 일정한 거리에 위치하고 있는 두 눈에 입사하는 화상들이 서로 다름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양안시 차(Binocular Disparity)를 이용하여 물체에 대한 깊이감, 두 눈동자를 움직여서 물체의 한 지점에 초점을 모을 수 있는 수렴능력, 그리고 눈의 수정체를 조절하여 서로 다른 위치에 존재하는 화상평면들을 인식할 수 있는 능력들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입체 영상 시스템에는 편광, anaglygh, 광셔터, chromostereoscopic, 프리즘 효과들이 사용되고, chromostereoscopic 입체 영상에는 stereogram, 렌티큘러 렌즈, parallax barrier, scanning slit등이 사용된다.
stereoscopic 입체영상시스템은 관찰자가 직접적으로 스크린을 주시하게 되어 기존의 시스템 중에서 지금까지 많은 연구가 행해지고 있다.
특히 stereoscopic 입체영상시스템 중에서 특히 렌티큘러 렌즈를 이용한 방법은 다른 방법에 대하여 화면이 밝기 때문에 지금까지 많은 연구가 행하여 진다.
도 1에 일반적인 렌티큘러 렌즈를 이용한 방법이 개재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2개의 카메라가 이용되는 2안 방식의 렌티큘러 입체영상 시스템을 나타내고 있다. 2개의 카메라는 각각 관찰자의 왼쪽 눈과 오른쪽 눈을 대치한다고 가정하므로, 2 카메라 사이의 거리는 보통 사람들의 양눈사이의 거리인 65mm로 주어지고 2개의 카메라는 한 조가 되어 이동하면서, 마치 관찰자의 머리가 이동하는 것과 같이, 물체에 대한 화상을 기록하게 된다. 만약에 하나의 3차원 물체가 주어졌다고 가정하면 2개의 카메라는 서로 다른 화상을 기록하게 된다. 이것은 관찰자가 어떤 3차원의 물체를 쳐다볼 대에 그 관찰자의 왼쪽 눈과 오른쪽 눈에 비치는 화상이 서로 다르므로 인하여 3차원의 물체를 인식하게 되는 원리를 이용하는 것이다.
이렇게 왼쪽 카메라와 오른쪽 카메라에 기록된 서로 다른 2개의 화상은 도 1에서 처럼 다중화기를 통하여 하나의 LCD 위에 겹쳐져서 동시에 표시된다. 이 경우 LCD 위의 기본 소자(element)들은 좌우의 2개가 한쌍이 되어 하나의 화소(pixel)를 나타낸다. 즉 주어진 한 쌍의 LCD 기본소자 중에서 하나는 오니쪽 눈에 비치게 되는 화상을 표시하여 주는 기본 화소이고, 또 다른 하나는 오른쪽 눈에 비치게 되는 화상을 표시하여 주는 기본 화소를 나타낸다.
이러한 기본 소자들은 LCD위에 2차원적으로 배열되어지는데 일반적으로 홀수 번째의 LCD 기본소자열들은 오른쪽 눈에 대한 2차원의 화상을 표시하여 주고, 짝수 번재의 LCD기본소자열들은 왼쪽 눈에 대한 2차원의 화상을 표시하여 준다.
그 다음, 이러한 LCD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티큘러 렌즈로 불리는 원통렌즈가 주기적으로 위치하게 된다.
이 경우 대략적으로 렌티큘러 렌즈가 한 쌍의 LCD기본 소자들을 포함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하여 하나의 렌티큘러 렌즈는 그것에 포함된 2개의 LCD 기본소자들을 서로 분리하여 그들을 LCD로부터 일정한 위치에 떨어져서 위치하고 있는 관찰자의 오른쪽 눈과 왼쪽 눈으로 각각 투사하여 준다.
그러므로 관찰자의 오른쪽 눈은 홀수번째의 LCD기본 소자들만을 바라보게 되어 하나의 2차원 화상을 바라보게 되고 왼쪽 눈은 짝수 번째의 LCD 기본소자들만을 바라보게 되어 또 다른 2차원의 화상을 바라보게 되어 상술한 바와 같이 관찰자는 3차원의 물체를 인식하게 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이러한 입체영상 시스템은 이용상의 불편함때문에 상업용으로 이용되 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따라서, 다시점 방식의 렌티큘러 렌즈 영상 시스템을 이용하여 방향을 제시하는 입체 방향 표시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렌티큘러스크린, 상기 렌티큘러스크린에 대면 합착되고 방향 표시 이미지가 구비된 디스플레이 장치, 다수의 램프가 표시면에 대해 평면으로 배열되어 있고, 상기 램프의 상부에 확산판을 형성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광원을 확산하도록 구비된 직하형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입체 방향 표시기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상기 방향 표시 이미지는 좌측에서 정면, 그리고 우측으로의 이동 방향에 따라 진행 방향을 표시하는 다른 형상의 이미지가 표시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렌티큘러스크린는 3개의 시점을 가지는 렌티큘러 렌즈로 구성되고 한 픽셀 그룹을 형성하는 4 개의 픽셀들 각각 모두가 다른 시역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상세하게 렌티큘러스크린은 상기 서로 다른 제 1 내지 제 3 시점에서 각각 컬러입체영상을 관찰할 수 있도록 RGB 화소가 시점별로 구분 배열되며, 상기 제 1 시점의 관찰자의 좌안에는 R1,G1,B1 화소 그리고 우안에는 R2,G2,B2화소의 화상이 보여지고, 제 2 시점의 관찰자의 좌안에는 R3,G3,B3 화소 그리고 우안에는 R4,G4,B4 화소의 화상이 보여지며, 제 3 시점의 관찰자의 좌안에는 R1,G2,B1 화소 그리고 우안에는 R2,G2,B2 화소의 화상이 보여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입체 방향 표시기는 다수의 램프가 표시면에 대해 평면으로 배열되어 있고, 상기 램프의 상부에 확산판을 형성하여 광원을 확산하도록 구비된 직하형 백라이트 어셈블리, 상기 직하형 백라이트 어셈블리로부터 확산된 광원으로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을 3차원 영상으로 변환하는 렌티큘러스크린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영상은 방향을 표시하는 이미지로서, 좌측에서 정면, 그리고 우측으로의 이동 방향에 따라 진행 방향을 표시하는 다른 형상의 이미지가 표시되도록 구성되도록 하고, 상기 렌티큘러스크린은 3개의 시점을 가지는 렌티큘러 렌즈로 구성되고 한 픽셀 그룹을 형성하는 4 개의 픽셀들 각각 모두가 다른 시역을 가지고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렌티큘러스크린은 상기 서로 다른 제 1 내지 제 3 시점에서 각각 컬러입체영상을 관찰할 수 있도록 RGB 화소가 시점별로 구분 배열되며, 상기 제 1 시점의 관찰자의 좌안에는 R1,G1,B1 화소 그리고 우안에는 R2,G2,B2화소의 화상이 보여지고, 제 2 시점의 관찰자의 좌안에는 R3,G3,B3 화소 그리고 우안에는 R4,G4,B4 화소의 화상이 보여지며, 제 3 시점의 관찰자의 좌안에는 R1,G2,B1 화소 그리고 우안에는 R2,G2,B2 화소의 화상이 보여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직하형 백라이트 어셈블리는 광을 발생하는 다수의 램프, 상기 램프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램프의 빛을 반사하는 반사 시트, 상기 램프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램프의 빛을 확산하는 확산 부재, 상기 확산 부재 상부에 위치하는 확산시트로 구성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음극선관, 액정표시장치와 같이 평면 영상을 표시하는 장치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보행자가 진행하는 방향에 따라 향후 진행할 방향을 다시 표시하기 때문에 보다 편하게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비상구나 유도등과 같은 곳에 설치하면 서로 다른 각도에서도 복잡한 미로의 출입구를 보다 쉽게 찾을 수가 있어 인명 등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입체 방향 표시기의 예시도로서, 입체 방 향 표시기는 액정표시장치(100)와 렌티큘러스크린(11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액정표시장치(100)는 광원에 의하여 LCD UNIT에 형성된 이미지를 렌티큘러스크린(110)에 투사되도록 구성한다.
이러한 액정표시장치(100)는 유전 이방성을 가지는 액정물질에 인가되는 전계를 제어하여 광을 투과 또는 차단하여 화상 또는 영상을 표시하게 된다. 또한, 액정표시장치(100)는 일렉트로 루미네센스(Electro-luminescence), 음극선관(Cathode Ray Tube),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등과 같이 스스로 광을 발생하는 표시소자들과는 달리, 스스로 광을 발생하지 않고 외부광을 이용하게 된다.
따라서, 액정표시장치(100)는 액정패널의 후면에 백라이트 어셈블리(backlight assembly)를 광원으로 부착하여 화상을 디스플레이시킨다.
도 4는 직하형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구성 단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직하형 백라이트 장치는 광을 발생하는 다수의 램프(112)와, 램프(112)의 하부에 위치하여 램프(112)의 빛을 반사하는 반사판(111), 램프(112)의 상부에 위치하여 양면 또는 어느 한 면에 집광을 하기 위한 패턴이 형성되어 집광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고휘도 확산 부재(113) 및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장치(116)와 확산 부재(113) 사이에 위치하며 표시장치에 광을 공급하는 휘도 향상용 확산시트(11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반사판(111)은 백라이트 장치의 바닥부에 위치하고, 그 위에 램프(112)가 위치하도록 구성하여 램프(112)에서 바닥부로 발산된 광을 확산 부재(113) 쪽으로 반 사시키도록 구성하여 램프(112)에서 발생되는 광의 효율을 향상시킨다.
램프(112)는 냉음극형광램프(CCFL)를 주로 사용하게 되며 통상 램프홀더(미도시)에 의해 반사판(111)에 고정되어 소정 위치에 고정되어 방사되는 광이 상부에 위치한 고휘도 확산 부재(113)로 입사된다.
확산 부재(113)는 PMMA 수지로 이루어지며 램프(112) 사이의 휘도 차이를 제거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그 두께는 램프(112)와의 거리와 광효율을 고려하여 결정하게 되며, 램프(1120)에서 방사된 광과 반사판(111)에 의해 반사된 광을 확산 시트(113)로 방사하여 표시장치의 전면방향으로 향하게 하고, 넓은 범위의 각도에서 입사할 수 있게 한다.
즉, 확산 부재(113) 상부에는 휘도 향상을 위한 확산시트(114)가 위치하기 때문에 확산 부재(113)로부터 출사된 광은 확산광으로서 시야각이 크기 때문에 확산시트(114)를 이용하여 시야각을 좁게 함으로써 표시장치의 전면 휘도를 향상시키고 소비전력을 줄일 수 있다.
그리고 프리즘시트(115)는 휘도를 높이기 위하여 사용된다.
또한, 확산 부재(113)는 산란 및 확산의 기능을 가지는 홀로그램 패턴을 형성하여 균일 면광원화함으로써 보다 높은 휘도를 갖게 할 수 있다. 이러한 홀로그램 패턴 확산 부재는 소형 단말기 화면을 시각적으로 확대시킬 수가 있으며, 또한 확산부재의 상부 표면에 미세 프리즘 요철을 형성하여 휘도를 상향시킬 수가 있다.
이러한 표시장치로서는 음극선관(Cathode Ray Tube : CRT)이나 LCD 패널(Liquid Crystal Display Pannel) 등의 평면영상을 표시하는 모든 종류의 디스플 레이 장치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렌티큘러스크린(110)은 액정표시장치(100) 위에 원통의 렌티큘러(Lenticular) 렌즈를 세로로 배열시켜 좌우 화상을 굴절시켜 양 눈으로 각각의 화상을 보내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의 렌티큘러스크린(110)은 기존의 2개 시점 렌티큘러 방식이 아닌 다시점 렌티큘러 방식으로 구성된다.
도 3의 렌티큘러 스크린의 3시점 좌우안 픽셀 그룹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을 참조하면, 3개의 시점을 가지는 렌티큘러 디스플레이로서 한 픽셀 그룹을 형성하는 네 개의 픽셀들 각각 모두가 다른 시역을 가지고 있음을 볼 수 있다. 두 시점 렌티큘러 디스플레이 방식과 마찬가지로 이 시스템도 시점이 각각 고정되어 있지만 3개로 증가하였고 시역이 전체 디스플레이의 영역에 걸쳐 픽셀을 따라 좌우로 정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3 방향에서 컬러입체영상을 관찰할 수 있도록 액정표시장치(100) 상의 RGB 화소가 각 시점별로 구분되어 있다.
일반적인 다시점 렌티큘러방식 컬러입체영상표시장치는 동일형태의 렌티큘러렌즈가 규칙적으로 배열된 렌티큘러 스크린을 이용하는 것은 마찬가지이지만, 임의로 서로 다른 제 1 내지 제 3 시점(10,20,30)에서 각각 컬러입체영상을 관찰할 수 있도록 액정표시장치(100)의 RGB 화소가 시점별로 구분 배열되며, 그 결과 제 1 시점(10)의 관찰자의 좌안에는 R1,G1,B1 화소 그리고 우안에는 R2,G2,B2화소의 화상이 보여지고, 제 2 시점(20)의 관찰자의 좌안에는 R3,G3,B3 화소 그리고 우안에는 R4,G4,B4 화소의 화상이 보여지며, 제 3 시점(30)의 관찰자의 좌안에는 R1,G2,B1 화소 그리고 우안에는 R2,G2,B2 화소의 화상이 보여지는 것이다.
이때 R1,R2,R3,G1 G2,G3,B1,B2,B3 화소는 각각 좌우안용으로 또 다시 구분된다.
그 결과 메인표시장치(100)로부터 출사된 빛은 렌티큘러스크린(110)의 작용에 의해 보행자의 좌우안에 각각 도달되고, 이를 통해 보행자는 진행 방향에 따라 서로 다른 입체 영상을 관찰할 수 있는 것이다.
즉, 3방향의 서로 다른 위치에서 각각 컬러입체영상을 관찰할 수 있는 이른바 다시점 렌티큘러방식 입체 방향 표시기가 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의 동작을 살펴보면 램프(112)에 불이 들어오게 되면 반사판(111)은 바닥부로 발산된 광을 확산 부재(113) 쪽으로 반사시켜 광이 상부에 위치한 고휘도 확산 부재(113)로 입사된다.
확산 부재(113)로부터 출사된 광은 확산시트(140)에 의하여 시야각이 좁게 되고, 확산시트(140)를 통과한 빛은 프리즘시트(115)에 의하여 휘도가 향상되어 표시장치(116)로 투사하게 되면 표시장치(116)에 형성된 이미지가 렌티큘러스크린(110)에 투사하게 되고 관찰자의 위치에 따라 다른 이미지를 관찰할 수 있는 것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5는 제1시점에서의 입체 방향 표시기의 이미지 형상도, 도 6은 제2시점에서의 입체 방향 표시기의 이미지 형상도 그리고 도 7은 제3시점에서의 입체 방향 표시기의 이미지 형상도이다.
예시로서, 본 발명의 입체 방향 표시기를 직각으로 구부러진 복도에 설치할 경우, 제1시점의 위치 ①에서 바라보면 계속 진행하여야 할 방향표시기로서 "상방향"화살표가 보이게 되고, 이후 진행함에 따라 제2시점의 위치 ②에 다다르게 되면 계속 진행을 표시하는 "우방향" 화살표가 관찰되고, 꺽어진 위치 즉 제2시점의 위치 ③에[ 다다르게 되면 우측으로 급히 꺽어진 화살표를 보행자가 보게 됨으로써 구부러진 복도를 손쉽게 안내받을 수가 있는 것이다.
즉, 다시점에서 볼 수 있도록 서로 다른 입체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2시점 입체 영상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입체 방향 표시기의 예시도,
도 3은 렌티큘러스크린의 3시점 좌우안 픽셀 그룹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직하형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구성 단면도,
도 5는 제1시점에서의 입체 방향 표시기의 이미지 형상도,
도 6은 제2시점에서의 입체 방향 표시기의 이미지 형상도,
그리고,
도 7은 제3시점에서의 입체 방향 표시기의 이미지 형상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액정표시장치 110 : 렌티큘러 어레이
110a,110b,110c : 3시점 이미지 111 : 반사판
112 : 램프 113 : 확산판
114 : 확산시트 115 : 프리즘시트
116 : LCD 패널

Claims (10)

  1. 렌티큘러스크린;
    상기 렌티큘러스크린에 대면 합착되고 방향 표시 이미지가 구비된 디스플레이 장치; 및
    다수의 램프가 표시면에 대해 평면으로 배열되어 있고, 상기 램프의 상부에 확산판을 형성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광원을 확산하도록 구비된 직하형 백라이트 어셈블리;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입체 방향 표시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 표시 이미지는
    좌측에서 정면, 그리고 우측으로의 이동 방향에 따라 진행 방향을 표시하는 다른 형상의 이미지가 표시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방향 표시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렌티큘러스크린은
    3개의 시점을 가지는 렌티큘러 렌즈로 구성되고 한 픽셀 그룹을 형성하는 4 개의 픽셀들 각각 모두가 다른 시역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방향 표시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렌티큘러스크린은
    상기 서로 다른 제 1 내지 제 3 시점에서 각각 컬러입체영상을 관찰할 수 있도록 RGB 화소가 시점별로 구분 배열되며, 상기 제 1 시점의 관찰자의 좌안에는 R1,G1,B1 화소 그리고 우안에는 R2,G2,B2화소의 화상이 보여지고, 제 2 시점의 관찰자의 좌안에는 R3,G3,B3 화소 그리고 우안에는 R4,G4,B4 화소의 화상이 보여지며, 제 3 시점의 관찰자의 좌안에는 R1,G2,B1 화소 그리고 우안에는 R2,G2,B2 화소의 화상이 보여지도록 구성되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방향 표시기.
  5. 다수의 램프가 표시면에 대해 평면으로 배열되어 있고, 상기 램프의 상부에 확산판을 형성하여 광원을 확산하도록 구비된 직하형 백라이트 어셈블리;
    상기 직하형 백라이트 어셈블리로부터 확산된 광원으로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을 3차원 영상으로 변환하는 렌티큘러스크린;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입체 방향 표시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영상은
    방향을 표시하는 이미지로서, 좌측에서 정면, 그리고 우측으로의 이동 방향에 따라 진행 방향을 표시하는 다른 형상의 이미지가 표시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방향 표시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렌티큘러스크린은
    3개의 시점을 가지는 렌티큘러 렌즈로 구성되고 한 픽셀 그룹을 형성하는 4 개의 픽셀들 각각 모두가 다른 시역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방향 표시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렌티큘러스크린은
    상기 서로 다른 제 1 내지 제 3 시점에서 각각 컬러입체영상을 관찰할 수 있 도록 RGB 화소가 시점별로 구분 배열되며, 상기 제 1 시점의 관찰자의 좌안에는 R1,G1,B1 화소 그리고 우안에는 R2,G2,B2화소의 화상이 보여지고, 제 2 시점의 관찰자의 좌안에는 R3,G3,B3 화소 그리고 우안에는 R4,G4,B4 화소의 화상이 보여지며, 제 3 시점의 관찰자의 좌안에는 R1,G2,B1 화소 그리고 우안에는 R2,G2,B2 화소의 화상이 보여지도록 구성되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방향 표시기.
  9. 제 1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직하형 백라이트 어셈블리는
    광을 발생하는 다수의 램프;
    상기 램프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램프의 빛을 반사하는 반사 시트;
    상기 램프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램프의 빛을 확산하는 확산 부재;
    상기 확산 부재 상부에 위치하는 확산시트;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방향 표시기.
  10. 제 1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음극선관, 액정표시장치와 같이 평면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방향 표시기.
KR1020090012088A 2009-02-13 2009-02-13 입체 방향 표시기 KR2010009279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2088A KR20100092791A (ko) 2009-02-13 2009-02-13 입체 방향 표시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2088A KR20100092791A (ko) 2009-02-13 2009-02-13 입체 방향 표시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2791A true KR20100092791A (ko) 2010-08-23

Family

ID=427575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2088A KR20100092791A (ko) 2009-02-13 2009-02-13 입체 방향 표시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92791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8722A (ko) * 2016-12-30 2018-07-10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램프
KR20180078725A (ko) * 2016-12-30 2018-07-10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램프
CN108534091A (zh) * 2018-05-10 2018-09-14 华域视觉科技(上海)有限公司 具有立体点灯效果的车灯及汽车
KR102312562B1 (ko) * 2021-04-23 2021-10-14 주식회사 선세이브 방향표시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8722A (ko) * 2016-12-30 2018-07-10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램프
KR20180078725A (ko) * 2016-12-30 2018-07-10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램프
CN108534091A (zh) * 2018-05-10 2018-09-14 华域视觉科技(上海)有限公司 具有立体点灯效果的车灯及汽车
KR102312562B1 (ko) * 2021-04-23 2021-10-14 주식회사 선세이브 방향표시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21711B2 (en) 2D-3D image switching display system
JP3930021B2 (ja) 表示装置および表示装置を備えた電子機器
KR101724065B1 (ko) 지향성 도광판, 지향성 면광원 및 지향성 면광원을 채용한 3d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US9087470B2 (en) 3D image display apparatus and driving method thereof
JP5073156B2 (ja) 2次元及び3次元映像の互換が可能な多視点3次元映像システムの映像表示部
JP6714514B2 (ja) ホログラフィック光学素子を使用する裸眼立体視3d表示装置
US9274346B2 (en) Multi-view auto-stereoscopic display
KR20120111401A (ko) 입체 영상 표시 장치
CN107850804A (zh) 广角成像定向背光源
CN104049370A (zh) 图像显示装置
JP2013015619A (ja) 表示装置
WO2015043098A1 (zh) 一种多视角裸眼立体显示系统及其显示方法
JP2010237416A (ja) 立体表示装置
KR20060096228A (ko) 2차원 겸용 3차원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KR20140144617A (ko) 공간 영상 투영 장치
JP4503619B2 (ja) 携帯機器
TW201734519A (zh) 背光單元及包含該背光單元的自動立體3d顯示裝置
US6727866B2 (en) Parallax barrier type autostereoscopic display device
KR102130133B1 (ko) 백 라이트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3차원 영상 표시 장치
KR20100092791A (ko) 입체 방향 표시기
CN108735168B (zh) 一种背光模组、3d显示装置及其驱动方法
US8786684B2 (en) Method of displaying stereoscopic image and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for performing the same
TWI447436B (zh) 多視角立體顯示器
CN100371787C (zh) 立体影像成像系统
KR20030022581A (ko) 2d/3d 겸용 디스플레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