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92394A - 개선된 운영 정보 애플리케이션 - Google Patents

개선된 운영 정보 애플리케이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92394A
KR20100092394A KR1020100012987A KR20100012987A KR20100092394A KR 20100092394 A KR20100092394 A KR 20100092394A KR 1020100012987 A KR1020100012987 A KR 1020100012987A KR 20100012987 A KR20100012987 A KR 20100012987A KR 20100092394 A KR20100092394 A KR 201000923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terminal
user
information
channel
operational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29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47081B1 (ko
Inventor
안티 라우니오
베사 크레메티넌
Original Assignee
이에이디에스 시큐어 네트웍스 오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에이디에스 시큐어 네트웍스 오와이 filed Critical 이에이디에스 시큐어 네트웍스 오와이
Publication of KR201000923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23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70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70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18Processing of user or subscriber data, e.g. subscribed services, user preferences or user profiles; 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 H04W8/20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20Services signaling; Auxiliary data signalling, i.e. transmitting data via a non-traffic channel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05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cluding pedestrian guidance indicat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2Network 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4Terminal devices adapted for relaying to or from another terminal or u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통신 시스템에서의 운영 정보의 애플리케이션을 개선시키기 위한 방법이 제시된다. 채널(CH)이 사용자 단말기(UT1)와 적어도 하나의 다른 사용자 단말기(UT2)사이의 연결을 위해 할당된다. 사용자 단말기(UT1)의 사용자에 대한 운영 정보(posi)가 결정되어 사용자 평면 시그널링 메시지의 데이터 아이템(DI)에 포함된다. 사용자 평면 시그널링 메시지는 상기 연결에 대해 할당된 채널(CH)로부터 스틸링된 타임슬롯 내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된다. 사용자들 사이의 운영 정보의 운반은, 사용자 단말기들 사이의 무선 인터페이스에 본질적으로 추가적인 부하를 야기함이 없이, 감소된 오버헤드를 가지고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Description

개선된 운영 정보 애플리케이션{ENHANCED APPLICATION OF OPERATIONAL INFORMATION}
본 발명은 텔레커뮤니케이션에 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는 텔레커뮤니케이션 시스템에서 운영 정보의 애플리케이션에 관한 것이다.
배경기술에 대한 하기의 설명은 본 발명에 대한 고찰, 발견, 이해 또는 개시, 또는 본 발명에 선행하는 관련 기술분야에서는 알려지지 않았으나 본 발명에 의해서 제공되는 개시와의 연관사항들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그러한 몇가지 이점들이 하기에 구체적으로 제시되며, 본 발명의 다른 그러한 이점들은 본 내용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운영 정보(operational information), 예를 들어 단말 사용자(terminal user)의 유효성(availability), 위치, 또는 상태는 통상적으로 중간 노드(intermediate node), 예를 들어, 프레즌스 서버(presence server) 또는 디스패쳐 애플리케이션(dispatcher application)을 통해 다른 사용자들에게 운반된다. 제1 사용자는 미리 정해진 기법을 통해 자신의 운영 정보를 중간 노드에 업데이트하고, 제2 사용자는 상기 노드로부터 상기 정보를 검색한다. 상기 업데이트는 일반적으로 트래픽 채널 상에서 운반되거나 신호 채널 상에서 단문 데이터 메시지로서 전송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기는, 때때로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를 결정하고 단문 메시지로 그 좌표(coordinates)를 기관(organization)의 디스패쳐에 의해 운영되는 제어 룸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자동 차량 위치 요소(automatic vehicle location element)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패쳐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의 위치를 동시에 모니터링하고 최적의 방식으로 오퍼레이션들을 관리하기 위해 상기 위치를 사용한다. 다른 사용자들에게 이러한 타입의 정보는 일반적으로 간접적으로 사용가능한바, 예를 들어, 제2 사용자는 디스패쳐에게 제1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구두로(verbally) 요구하거나, 또는 이 정보를 위치 애플리케이션 서버로부터 다운로드할 수 있다. 이것에 대한 이유는 기본적으로 무선 자원의 관리에 있는바, 많은 경우들에서, 단문 메시지들의 사용은 무선 인터페이스, 특히 공통 제어 채널에 부하를 부가하게 된다. 이는 매우 바람직하지 않은 것인바, 사용자 단말기들에서 다른 사용자들의 위치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들이 거의 사용되지 않는 이유가 바로 이때문이다.
다른 한편으로, 패킷 기반의(packet-based) 시스템에서는 제1 사용자가, 예를 들어, 오퍼레이션들에 대한 그의 유효성을 프레즌스 서버에 업데이트할 수 있다. 프레즌스 서버로부터, 제1 사용자의 프레즌스 정보를 구독하는 다수의 사용자들에게 프레즌스 정보가 배포될 수 있다.
이 두가지 예에서, 중간 노드는 무선 인터페이스 상에서 다수의 소스들로부터 운영 정보를 수집하여 그것을 복수의 다른 사용자들이 사용할 수 있게 해준다. 노드에 대한 업데이트 및 노드에 의한 출력에서 모두, 적어도 전송 또는 수신 사용자의 신원이 업데이트 메시지 내에 포함되어 운반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 단말기의 운영 정보 애플리케이션을 개선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독립 청구항들에 기재된 사항들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사용자 단말기, 통신 시스템, 그리고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종속 청구항들에 개시된다.
본 발명은 동적으로 변하는 운영 정보를, 제1 사용자 단말기과 제2 사용자 단말기 사이의 연결에 할당된 트래픽 채널로부터 스틸링(stealing)된 타임슬롯 내에서, 사용자 평면 시그널링 메시지(user plane signalling message)로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제2 사용자 단말로 운반하는 것을 바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은 사용자들 사이에서의 운영 정보의 운반이 사용자 단말기들 사이의 무선 인터페이스에 필연적으로 추가적인 부하를 발생시키지 않고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오버헤드, 예를 들어 헤더 및 신원 데이터의 양은 종래의 운영 정보 운반시의 오버헤드보다 본질적으로 적다. 본 발명의 또다른 이점은 예시적인 실시예들의 기술에서 보다 자세히 논의된다.
하기에서, 첨부의 도면들을 참조로, 실시예들이 보다 구체적으로 기술될 것이다.
도 1은 TETRA 통신 시스템의 기본적인 요소들을 도시한다.
도 2는 구현된 사용자 단말 장치에 대한 예시적인 하드웨어 구성을 도시한다.
도 3은 TETRA 시스템의 프레임 구조를 도시한다.
도 4 및 도 5는 TETRA 시스템에서의 업링크 및 다운링크 버스트(burst)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6은 층 2, 3 및 그 위의 층들에 대한 서비스 액세스 포인트이다.
도 7은 예시적인 애플리케이션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을 도시한다.
도 8a 및 8b는 사용자 단말의 스크린에서의 예시적인 디스플레이를 도시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또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하기의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으로 이해된다. 또한, 상세한 설명의 여러 곳에서 "일", "하나의", 또는 "몇 개의" 실시예(들)을 참조할 수 있지만, 반드시 동일한 실시예(들), 또는 피쳐들을 참조해야하는 것은 아니며, 단일 실시예에만 적용되는 것도 아니다. 서로 다른 실시예들의 단일 피쳐들이 결합되어 또 다른 실시예들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두개의 사용자 단말기들이 서로 운영 정보를 공유할 수 있게 해주는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다양한 통신 기법들에 적용되는 다양한 시스템 구성들이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하여 개별적으로 또는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통신 시스템과 기술은 계속적으로 발전되는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업자에게 기본적으로 명백한 다수의 변형들을 필요로 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명세서의 모든 단어 및 표현들은 그것들이 단지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의도된 것이고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므로, 광의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다음의 원리들은 TETRA(Terrestrial Trunked Radio) 기술을 적용하는 통신 시스템을 통해 기술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은 유럽 텔레커뮤니케이션 표준 ETSI EN 300 392-2; 유럽 표준 (통신 시리즈); TETRA(Terrestial Trunked Radio); 음성 플러스 데이터(V+D); 파트 2; 무선 인터페이스(AI), 그리고 ETSI TR 102 580; TETRA(Terrestrial Trunked Radio); 릴리즈 2; 디자이너 가이드; TETRA 고속 데이터(HSD); TEDS(TETRA Enhanced Data Service)에 명시된 것과 같은 TETRA 무선 인터페이스의 용어 및 요소들을 사용하여 기술되지만, 본 발명을 이것들 중 한 무선 시스템 기술로 제한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이 사용자 평면 시그널링 메시지를 전달하는 임의의 통신 기술에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명백하다.
도 1은 TETRA 통신 시스템의 기본 요소들을 도시한다. TETRA 표준 정의를 적용하는 이동국들(mobile stations)(100, 102, 104)은 스위칭 및 관리 인프라스트럭쳐(SwMI: switching and management infrastructure)에 연결될 수 있으며, 사용자에게, 회로 모드 호출 및 짧은 데이터와 인터넷 프로토콜(IP) 패킷 데이터의 전달을 제공할 수 있다. 패킷 데이터는 이동국들(100, 102, 104) 내에서 직접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들에 의해 사용될 수 있거나, 또는 TETRA 표준에서 정의된 PEI(주변 장치 인터페이스(Peripheral Equipment Interface))를 통해 이동국들(100, 102, 104)과 통신할 수 있는 외부 데이터 단말기(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에, PEI는 애플리케이션과 연결된 이동 기지국과의 사이에서 패킷 데이터를 전달한다.
TETRA 기술은 그 자체로 완전히 문서화되어있으며 당업자에게 잘 알려져 있다. 유럽 텔레커뮤니케이션 표준 기관(ETSI) 표준 EN 300 392-2 V3.2.1은 고속 데이터(HSD: High-Speed Data) 인핸스먼트(enhancement)를 통합한 TETRA 표준의 첫번째 버전으로서, 일반적으로 "TEDS" 또는 TETRA 인핸스드 데이터 서비스로 지칭된다. 이 통합의 결과가 TETRA 릴리즈 2 무선 인터페이스로 알려져 있는 개선된 무선 인터페이스이다. 통합의 기준(measure)으로서, HSD 채널에 대한 엑세스는 TETRA 릴리즈 1 제어 채널만을 통해 허용된다. 또한, 무선 인터페이스의 4-슬롯 TDMA 엑세스 구조와 그것의 TDMA 프레임의 합, 슬롯들, 그리고 서브슬롯들은 유지된다. 새로운 HSD 채널들은 추가적인 새로운 변조, 채널 코딩 및 다양한 코딩율을 사용한다.
따라서, 도 1은 종래의 TETRA 1 인프라스트럭쳐(110) 및 종래의 TETRA 1과 고속 데이터 인핸스드 인프라스트럭를 더한 것(112)을 포함하는 통합 TETRA 네트워크(10) 형태로 구현된 시스템을 도시한다. 종래의 인프라스트럭쳐(110)와 인핸스드 인프라스트럭쳐(112)는 시스템간 인터페이스(ISI: inter-system interface) 및 인터네트워크 패킷 인터페이스(IPI: Internetwork Packet Interface)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인핸스드 인프라스트럭쳐(112) 내의 고속 데이터 IP 패킷 분포와 TETRA 릴리즈 1에 대해 공통 라우터들(120, 121, 122)이 표시되었다. 통합된 TETRA 네트워크는 또한 다른 TETRA 네트워크들(TETRA), 외부 GPRS/3G 네트워크 (EGPRS/3G), 또는 외부 IP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IP)로의 통상적인 외부 상호연결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두 사용자 단말기(그 중 적어도 하나는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통신함) 사이의 통신의 무선 인터페이스에서 실시되는 메커니즘에 관한 것이다. 도 2는 구현된 무선 사용자 단말기 장치에 대한 예시적이 하드웨어 구성을 도시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로부터 벗어남 없이 임의의 타입의 사용자 단말기들이 적용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TETRA 시스템에서, 다양한 타입의 디스패쳐 워크스테이션들 및 디스패칭 애플리케이션들을 실행하는 플래폼들이 사용자 단말기로서 고려될 수 있다.
장치는 통신 유닛(21)을 포함하는바, 상기 통신 유닛(21)은 상기 장치의 내부 프로세스들에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입력 유닛과 상기 장치의 내부 프로세스들로부터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출력 유닛을 구비한다. 통신 유닛은 일반적으로, 송신기 및 수신기를 포함하는 무선 송수신기 유닛(22)을 포함하고, 또한 프로세싱 유닛(23)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무선 송수신기 유닛(22)의 송신기는 프로세싱 유닛(23)으로부터 비트스트림을 수신하고, 안테나(24)를 통해 송신하기 위하여 상기 비트스트림을 무선 신호로 변환한다. 이에 상응하여, 안테나(24)에 의해 수신된 무선 신호들은 무선 송수신기 유닛(22)의 수신기로 향하며, 상기 수신기는 상기 무선 신호들을 비트스트림으로 변환하고, 상기 비트스트림은 추가적인 처리를 위해 프로세싱 유닛(23)으로 포워딩된다. 송신에 있어서, 프로세싱 유닛(23)에 의해 실시되는 기능들은 일반적으로 인코딩, 재배열, 인터리빙(interleaving), 스크램블링(scrambling), 채널 다중화(channel multiplexing), 그리고 버스트 빌딩(burst building)을 포함한다. 통신 유닛에서, 장치는 일반적으로 키패드, 터치 스크린, 마이크로폰, 또는 사용자로부터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등가물들, 그리고 스크린, 터치 스크린, 라우드스피커, 또는 사용자에게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등가물들을 포함한다.
통신 유닛(21)은 데이터에 대한 오퍼레이션들의 시스템적인 실행을 수행하기 위하여 프로세싱 유닛(23)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프로세싱 유닛(23)은 필수적으로 산술 로직 유닛, 다수의 특수기능 레지스터(special register) 그리고 제어 회로들을 포함하는 중앙 요소이다. 컴퓨터 판독가능 데이터 또는 프로그램들, 또는 사용자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는 데이터 매체인 메모리 유닛(25)은 일반적으로 프로세싱 유닛(23)에 통합되거나 프로세싱 유닛(23)으로 연결된다. 메모리 유닛(25)은 일반적으로,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하는바, 예를 들어, EEPROM, ROM, PROM, RAM, DRAM, SRAM, 펌웨어, 프로그램가능 로직등을 포함한다.
장치는 또한, 사용자 단말기와 관련된 운영 정보를 결정하고, 결정된 운영 정보를 표시하는 데이터 요소를 생성하도록 된 운영 정보 요소(operational information element)(26)를 포함한다. 본 내용에서, 운영 정보는 사용자와 관련된 동적으로 변하는 특성을 기술하는, 하나 이상의 순간 값들(momentary values)을 지칭한다. 순간 값들은 운영 정보 요소(operational information element)(26)에 의해 측정될 수 있거나, 운영 정보 생성 요소(26)와 인터페이스되는 소스로부터의 정보 입력을 근거로 운영 정보 생성 요소에서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운영 정보는, 정의된 포맷으로 코딩된 좌표(coordinates)의 형태로 전송된다. 운영 정보의 예는 포지셔닝 요소에 의해 생성된 지형적 위치이다. 위치 요소는 일반적으로 그것의 현재의 로컬 위치를 결정하기 위하여 외부 무선 신호들을 사용한다. 상기 신호들은 무선 송수신기 유닛(22)을 통해 수신될 수 있다. 무선 송수신기 유닛은 제1 송신기 및 상기에서 논의된 수신기로부터의 신호들을 사용하거나, 또는 상기 무선 송수신기 유닛(22)이 위치 목적을 위하여 추가의 외부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추가적인 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위치 요소의 예는 장치 내에 통합될 수 있는 위성 위치확인 시스템(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디바이스이다. 다른 타입의 운영 정보 또는 위치확인 방법들이 본 발명의 보호 범위로부터 벗어남 없이 적용될 수 있다.
프로세싱 유닛(23), 메모리 유닛(25), 통신 유닛(21) 및 운영 정보 요소(26)는 전기적으로 상호연결되어, 사용자 단말기에 필수적으로 프로그램된, 미리정해진 프로세스들에 따라 수신 및/또는 저장된 데이터에 대한 오퍼레이션들의 시스템적인 실행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솔루션에서, 오퍼레이션들은 기지국 셀 내의 하나 이상의 이동국들로부터의 운영 정보 전송을 제어하기 위한 기능들을 포함한다. 상기 오퍼레이션들은 도 3 내지 10에 보다 자세히 기술된다.
장치의 유닛 및 블록들은 ASIC과 같은 하나 이상의 집적 회로로서 구현될 수 있다. 개별적인 논리 소자들로 형성된 회로와 같은 다른 하드웨어의 실시예들 또한 가능하다. 이러한 서로 다른 것들의 조합(hybrid) 또한 적용될 수 있다. 실시예의 기능을 실시하기 위한 모든 수정 및 구성은, 추가된 또는 업데이트된 소프트웨어 루틴, ASIC, 및/또는 프로그램가능 회로로서 실시될 수 있는 루틴들로서 수행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루틴들은 장치 내로 다운로드될 수 있다.
본 실시예를 개시하기 위해 필요한 요소들만이 도 2에 도시되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당업자에게는, 사용자 단말기들이, 여기에 명시적으로 도시되지 않은 복수의 추가적인 요소들 및 기능들을 포함한다는 것이 자명할 것이다. 추가적으로, 블록들은, 하나 이상의 물리적 유닛들 -비록 상기 물리적 유닛들이 도 2에서 하나 이상의 블록들로 표시되었다 하더라도- 로 구현될 수 있는 논리적 또는 기능적 유닛들을 도시한다.
컴퓨터 프로그램들은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에 의해 판독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 배포 매체 상에 저장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매체는, 예를 들어 전기, 자기, 광학, 적외선 또는 반도체 시스템, 디바이스 또는 전송 매체일 수 있으나, 이것들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컴퓨터 프로그램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프로그램 저장 매체, 기록 매체, 컴퓨터 판독가능 메모리, 랜덤 엑세스 메모리, 소거가능하고 프로그램가능한 판독 전용 메모리, 컴퓨터 판독가능 소프트웨어 배포 패키지, 컴퓨터 판독가능 시호, 컴퓨터 판독가능 텔레커뮤니케이션 신호, 컴퓨터 판독가능 인쇄물, 그리고 컴퓨터 판독가능 압축 소프트웨어 패키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종래의 위치 서비스에서,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최종 위치를 표시해주는 정보를 시스템에게 송신한다. 위치 서비스는 사용자에게 출력되거나 또는 다른 애플리케이션들을 위해 입력될 수 있는 사용자 단말기의 지형적 위치에 대한 양호한 추적을 통해 상기 정보를 처리한다. 위치 솔루션들에서,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 업데이트는 또다른 디바이스에 의해 요청되거나 또는 사용자 단말기가 몇가지 미리정해진 기준에 근거하여 자동적으로 그 위치 정보 업데이트를 송신할 수 있다. 두 모드 모두에서, 요청 디바이스 및 위치 업데이트의 수신기는 모바일 무선 시스템, 맵 애플리케이션 또는 또 다른 무선 단말기일 수 있다. 제1의 대안적인 예에서, 위치 기록은 일반적으로 사용자 단말기로 요청을 송신하는 또 다른 디바이스로부터 요청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사용자 단말기의 현재 위치 정보를 다시 송신함으로써 상기 요청에 대한 수신확인 메시지를 송신한다. 후자의 대안적인 예에서, 사용자 단말기는 일반적으로 시간, 거리, 시간과 거리 간격의 결합, 상태, 우선권(priority), 또는 속도에 근거하여 미리정해진 혹은 구성가능한 보고 설정들(reporting settings)에 따라, 수시로 위치 보고를 시스템에게 송신한다.
위치 정보는 일반적으로 단문 데이터 메시지로 전송되기 때문에, 위치 정보가 사용자 단말기들 사이에서 자유롭게 교환되는 애플리케이션들은 상대적으로 드물다.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들로부터의 복수의 메시지들의 운반은 무선 인터페이스 및 공통 제어 채널들에 추가적인 부하를 발생시킨다. 특히, 적용된 무선 인터페이스가 그룹 메시징을 허용한다면, 사용자-대-사용자 애플리케이션들의 그룹 내에서 교환된 메시지들의 수는 빠르게 현저한 양(significant figures)으로 축적될 것이고, 공통 제어 채널을 혼잡화하여 전체 시스템의 오퍼레이션들을 잠재적으로 중단(disruption)시킬 수 있다.
구현된 솔루션에서, 이 문제는, 사용자 단말기들 사이의 사용자 정보의 전송을 위해 할당되었으며 신호전송 목적으로 임시적으로 스틸링된 트래픽 채널 내에서 위치 정보를 교환함으로써 방지된다. 이로 인하여, 사용자는 위치 정보의 전송을 위하여 무선 자원에 액세스하기 위한 추가적인 과정이 필요하지 않게 된다. 또한, 채널이 이미 할당되었으므로, 전송의 종점이 알려지고, 기본적으로 위치 정보의 좌표들만이 전송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위치 정보를 운반하기 위해 요구되는 관련된 오버헤드가 현저히 감소된다.
디지털 무선 시스템에서, 물리 채널은 실질적으로 가입자 단말기와 네트워크 사이의 인터페이스에서의 링크를 제공한다. 물리 채널은 실질적으로, 선택된 다양한 엑세스 기법의 프레임 파트, 특정한 가입자 단말기와 네트워크 사이의 데이터 전송에 할당되는 프레임 파트를 포함한다. 따라서, 물리 채널은, 예를 들어, 구체적인 주파수 범위에 할당된 하나 이상의 TDMA 프레임 타임 슬롯들, 또는 CDMA 프레임 코드에 의해 분리된 프레임 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물리 채널들은 다양한 다중화(multiplexing) 기법들에 의해 사용될 수 있는바, 상기 기법들에 의해서 물리 링크 위에 논리 채널들이 생성된다. 용어 '논리 채널'은 두개 이상의 파티들 간의 논리 데이터 전송 버스를 지칭하며, 상기 버스는 프로토콜과 무선 시스템 사이의 인터페이스에 매핑된다. 무선 통신 시스템 또는 그것의 부분은 따라서, 서로 다른 타입의 논리 채널들을 포함할 수 있다. 논리 채널들은 일반적으로 트래픽 채널들(TCH)로 분할되며, 상기 트래픽 채널들은 서로 다른 종류의 트래픽 중계 채널(traffic relaying channel), 방송 제어 채널, 공통 제어 채널, 그리고 전용 제어 채널들을 포함하는 제어 채널(CCH)을 포함한다. 음성 데이터 및 회로-스위치된 데이터는 실질적으로 트래픽 채널들 상의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송되며, 시그널링 데이터 및 패킷 데이터는 제어 채널 상에서 전송된다.
대개, 수신된 신호와 관련된 논리 채널은 사용된 다중화 기법으로부터 결정지어질 수 있으나, 이것이 항상 적용되는 것은 아니다. 다수의 모바일 통신 시스템들은 시그널링이, 예를 들어 트래픽 채널들 상에서도 전달될 수 있게 해준다. 트래픽 채널에서 전송될 버스트(burst)는 일반적으로 시그널링 또는 트래픽 데이터의 전송이 발생하는지를 표시해주는 정보를 포함한다. 이 과정은 이하에서, 스틸링(stealing)으로 지칭될 것이다.
도 3은 TETRA 시스템 트렁크 모드(trunked mode) 통신에 적용된 예시적인 프레임 구조를 도시한다. ETSI 규격에 따르면, 상기 통신 시스템은 무선 인터페이스에서 기본 TETRA 4-슬롯 TDMA를 사용한다. 하이퍼프레임 레벨은 상위레벨(top-level) 프레임 계층을 정의한다. 하나의 하이퍼프레임(30)은 60개의 멀티프레임들(22)로 분할되고, 하나의 멀티프레임(32)은 18개의 프레임들로 분할된다. 멀티프레임 내의 18번째 프레임은 제어 프레임이다. 한 프레임은 4개의 타임 슬롯들(36)로 나누어지고, 170/3ms≒56.67ms의 지속기간(duration)을 갖는다. 통상적인 위상 변조에서, 타임슬롯(69)은 각각 500/9㎲≒55.56㎲의 지속기간을 갖는 255개의 심볼 지속기간에 대응한다. 고속 데이터 전송에 적용되는 QAM(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에서, 상기 타임슬롯은 각각 5/12ms≒416.7㎲의 지속기간을 가진 34 변조 심볼 지속기간으로 분할된다. 업링크 타임슬롯들은 두 개의 타임슬롯들(38, 39)로 분할될 수 있다.
TETRA 고속 무선 인터페이스는 캐리어당 4개의 타임슬롯을 사용하는 이러한 기본적인 TETRA 시분할 다중 액세스(TDMA) 구조를 유지한다. 업링크 및 다운링크 무선 주파수들의 쌍(pair)과 관련된 업링크 및 다운링크 타임슬롯들의 쌍은 물리 채널을 형성한다. 상기 물리 채널은 트래픽과 시그널링 메시지를 논리 채널들(상위층 프로토콜들과 고속 데이터 무선 서브시스템 사이의 인터페이스)의 형태로 운반한다.
버스트는 캐리어 데이터 플로우에 의해 변조된 시퀀스이며, 타임 슬롯의 물리적 내용을 기술한다. TETRA 시스템에서, 8개의 서로다른 버스트들이 결정된다. 하기에서는, 기지국으로의 데이터 전송을 위해 가입자 단말기가 사용하는 Normal Uplink Burst NUB; 그리고 가입자 단말기로의 데이터 전송을 위해 기지국이 사용하는 연속 Normal Downlink Burst NDB를 검토할 것이다. 상기 버스트들은 일반적으로 버스트의 중간에 정규 트레이닝 시퀀스(normal training sequence)과, 상기 트레이닝 시퀀스의 각 측부에 트래픽 또는 제어 채널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는 블록들로 이루어진다. 도 4 및 도 5는 TETRA 시스템에서의 업링크 버스트와 다운링크 버스트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업링크 버스트 NUB는 균등화(equalisation) 목적 및 버스트의 시작 및 끝에서 필터 과도 응답(filter transient response)을 감소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2개의 4비트 테일(41, 45)을 포함한다. 버스트의 중간에는, 버스트 블록들이 하나의 논리 채널 또는 두개의 논리 채널들을 포함하는지를 나타내 주는 정규 22-비트 시퀀스(43)가 있다. 상기 트레이닝 시퀀스는 또한 제1 버스트 블록 또는 두 블록들이 모두 트래픽 데이터 대신에 시그널링 데이터를 포함하는지를 함축적으로(implicitly) 표시해준다. 테일들과 트레이닝 시퀀스들의 사이에는 216-비트 데이터 비트 블록들(42, 44)이 남겨진다.
다운링크 버스트 NDB는 복수의 필드들을 포함하고, 또한 이 버스트는 실질적으로 그 중간에 정규 트레이닝 시퀀스(55)를 포함한다. 정규 트레이닝 시퀀스(55)의 각 측부에는 블록(53, 57)이 있고, 상기 블록(53, 57)은, 상술한 바와 같이, 트래픽 데이터 또는 제어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버스트는 제3의 22-비트 트레이닝 시퀀스(51)로 시작되거나 종료되는바, 상기 제3의 22-비트 트레이닝 시퀀스는 두개의 버스트들 사이의 인터페이스에서, 시작부에 12 비트가 있고 버스트 종료부에 10비트가 있도록 분할될 수 있다. 2개의 위상 제어 비트(42)가 제3 트레이닝 시퀀스(51)의 뒤에 오며, 상기 위상 제어 비트 뒤에는, 216-비트 데이터 비트 블록(53)과 14개의 브로드캐스트 비트(54)가 온다. 정규 트레이닝 시퀀스(55)는 버스트의 중간에 위치하며, 따라서, 16개의 브로드캐스트 비트들(56), 216-비트 데이터 비트 블록(57), 위상 제어 비트(58), 그리고 제3 트레이닝 시퀀스(59)가 그 뒤를 따른다.
TETRA 시스템에서, 서로 다른 두개의 정규 22-비트 트레이닝 시퀀스가 정의된다. 트레이닝 시퀀스들은 버스트 블록들이 하나 또는 두개의 논리 채널들을 가지는지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지만, 트래픽 채널로부터의 스틸링 또한 트레이닝 시퀀스를 사용하여 표시된다. 버스트가 트레이닝 시퀀스 1을 포함할 때, 스틸링은 사용되지 않는 것으로 해석되고, 버스는 트래픽 채널 데이터를 전체적으로 포함한다. 버스트가 트레이닝 시퀀스 2를 포함할 때, 버스트가 매핑된 타임 슬롯은 시그널링 목적으로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스틸링(stealing)된 것으로 해석된다. 제1 하프 슬롯(half slot) 내의 MAC(매체 엑세스 제어) 헤더는 제2 하프 슬롯 또한 스틸링되었는지 여부를 표시해준다. 이러한 메커니즘은 업링크 및 다운링크 전송 모두에 적용된다.
사용자 단말기가 또다른 종점으로의 연결을 확립할 때, 트래픽 채널이 상기 연결에 할당된다. 예를 들어, TETRA 사용자 단말기는 랜덤 엑세스 프로토콜을 통해 트랜잭션을 개시한다. 초기 액세스후, 기지국은 특정 연결을 위해 특정 사용자 단말기에 할당되는 트래픽 채널을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슬롯들을 예약(reservation)한다. 연결이 존재하는 한, 트래픽 채널이 사용자 단말기에 대해 예약되고, 사용자 단말기는 전송된 정보 내 연결의 다른 종점의 어드레스를 포함하지 않고 상기 트래픽 채널의 타임슬롯(들) 내에서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제어 평면(C-plane)은 일반적으로, 시그널링 정보를 운반하는 매체 트래픽(media traffic)을 지칭한다. 여기에서 사용자 정보는, 제어 평면 메시지가 아닌 다른 임의의 정보를 지칭하는 것으로 고려되며, 매체 트래픽이 운반하는 사용자 정보는 따라서, U-평면으로서 지칭된다. 예를 들어, TETRA에서, 음성 또는 데이터 애플리케이션들에 대해, 그리고 서로 다른 데이터 메지시 속도에 대해, 서로 다른 트래픽 채널들이 정의되어왔다. 또한, 상위 층들에서는, 서로 다른 프로토콜들이 C-평면 및 U-평면에 적용된다. 도 6은 C-평면 및 U-평면 메지시의 운반을 위하여 TETRA 시스템에 적용되는 프로토콜 스택을 도시한다. TETRA는 광범위하게 문서화되어있으며, 그것의 프로토콜들은 따라서 당업자에게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기술은 구현된 솔루션에 관련된 부분들에 집중한다.
도 6은 층 2, 3 그리고 상기 층들 위에 있는 상기 층들에 대한 서비스 액세스 포인트(SAP)를 도시한다. 일반적으로, 프로토콜 스택을 구현하는 통신 시스템 요소는 이 서비스 엑세스 포인트들에 대한 엑세스를 가지며, 이 엑세스 포인트들을 통해, 통신 시스템의 하위 층 프로시져에 엑세스하는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프로토콜 모델에서, TETRA 사용자 단말기는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I) 상에서 애플리케이션 층(AL)과 인터페이스하는 다수의 단말기 애플리케이션들(APP1, APP2, APP3, APP4)을 포함한다. 도 6의 예에서, 모든 애플리케이션들이 동일한 인터페이스 API를 사용하는 것으로 가정되지만, 애플리케이션 층과 인터페이스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들이 본 발명의 보호 범주로부터 벗어남 없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조업자에 의해 제공된 시스템 애플리케이션들은 추후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기에 인스톨되거나 다운로드되는 단말기 애플리케이션들로서 다른 API를 적용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층의 통상적인 태스크들 중 하나는 연결들, 및 단말기 애플리케이션들에 대한 상기 연결들의 어쏘씨에이션(association)을 관리하는 서비스 기능(serving function)을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서비스 기능은 사용자 단말기의 모든 애플리케이션들(APP1, APP2, APP3, APP4)을 인식하며, 하위층 SAP들을 통해 수신된 정보를 모니터링하고, 하위층 SAP들로부터 온 정보를 애플리케이션들(APP1, APP2, APP3, APP4)에 배포하고, 애플리케이션들(APP1, APP2, APP3, APP4)로부터 온 정보를 적용가능한 하위층 SAP들에 배포한다. 서비스 기능은 또한 애플리케이션들(APP1, APP2, APP3, APP4) 사이에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종래의 AL 서비스 기능들 및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의 구현은 널리 적용되며, 당업자에게 잘 알려져 있다.
구현된 사용자 단말기에서, 실제 사용자 트래픽은 층 2로부터 애플리케이션층으로 전송되고, 시그널링 메지시들이 특정 SAP들을 통해 층 3으로부터 애플리케이션 층으로 전달된다. 사용자 트래픽의 트렁크 모드 전달에서, 사용자 단말기는 TMD-SAP를 적용하고, 사용자 트래픽의 다이렉트 모드 전달에서는 DMD-SAP를 적용한다. 제어 평면 메시지는 CC-SAP, DMCC-SAP, SDS-SAP, 그리고 SNDCP-SAP를 통해 애플리케이션층에 도착한다. 하기에서, TMD-SAP를 적용하는 통신이 보다 자세히 기술된다. 그러나, TMD-SAP와 DMD-SAP의 U-평면 시그널링의 과정은 서로 대응하며, 따라서, 본 기술은 DMD-SAP 및 다이렉트 모드 통신들에도 적용된다.
TMD-SAP는 음성 프레임 또는 회로 모드 데이터의 전달에 사용될 수 있으나, 또한, 애플리케이션(APP)이 C-평면 시그널링 또는 U-평면 시그널링을 송신하기 위해 트래픽 용량(capacity)을 스틸링하는 경우에도 사용될 수 있다. U-평면 시그널링은 사용자-대-사용자 시그널링을 지칭하며, 여기서 사용자 데이터 아이템은 사용자들간의 연결을 위해 할당된 채널로부터 스틸링된 타임슬롯 내에서 전송된다. 층 2 과정들은 U-평면 시그널링의 목적을 인식하지 않는다. 트래픽 모드에서 슬롯을 전송할 때, U-평면 애플리케이션 APP는 TMD-SAP의 TMD-UNITDATA 요구 프리미티브(request primitive)내에서 개별적으로 하프 슬롯들을 층 2에 제공한다. APP의 하프 슬롯들은 U-평면 트래픽, 또는 U-평면 시그널링을 포함할 수 있다. 수신측에서, 각각의 하프 슬롯에 대해, 층 2는 임의의 U-평면 정보(TCH 또는 STCH)를 포함하는 TMD-UNITDATA 지시 프리미티브(indication primitive)를 U-평면 애플리케이션에 발행할 것이며, 하프 슬롯이 C-평면 시그널링을 위해 스틸링되었는지, U-평면 시그널링을 위해 스틸링 되었는지, 또는 스틸링되지 않았는지를 표시할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APP1)은 사용자 단말기의 통합된 포지셔닝 요소(PE: positioning element)이다. APP1은 사용자 단말기의 현재 위치를 표시하는 좌표 데이터를 생성하며, 그것을 AL을 통해 APP2로 운반한다. 그후, 정의된 시간간격(interval)들에서, APP2는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를 다른 사용자 단말기에 의해 적용가능한 형태로 표시해주는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아이템을 생성하도록 되어있다. 데이터 아이템은, 예를 들어, 정의된 애플리케이션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APP-PDU)으로서 구현될 수 있으며, 도 7에 도시된다.
APP-PDU는 헤더(70)를 포함하는바, 상기 헤더는 AL의 서비스 기능이 메시지가 APP2와 관련된다는 것을 결정할 수 있게 해준다. 헤더 정보는 추가적으로 APP2에 의해 적용되어, APP-PDU 내에 포함된 정보의 타입을 식별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APP-PDU는 실제 운영 정보(여기서는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되는 포맷으로 코딩된 위치 데이터)를 포함하는 필드(71)를 포함할 수 있다. APP-PDU가 위치 정보의 기원 또는 목적지를 표시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할 필요는 없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이것들 모두는 APP2와 관련된 연결을 바탕으로 서비스 기능에서 사용가능하다. 서비스 기능은 슬롯이 U-평면 시그널링으로 스틸링된 채널을 인지한다. 유입되는 운영 정보에 대해, 서비스 기능은 슬롯이 U-평면 시그널링으로 스틸링된 채널을 식별하며, 그 연결을 인지하고, 그것을 APP2와 연관(association)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명세서에서 위치 정보는 동적으로 변하는 다양한 운영 정보 중의 일례로서 사용된 것이며, 이 한가지 운영 정보 타입만을 사용함으로써 현저한 이점이 달성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타입의 동적 정보를 유사하게 배포함으로써 유사한 이점들이 달성될 수 있다. 이를 보여주기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 APP-PDU는 또한 사용자의 현재 상태를 표시하는 운영 데이터를 운반하는 상태 데이터 필드(72)를 포함한다.
통상적인 시스템에서, 운영 상태 정보는, 사용자에 의해 각각의 단말기들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태 메시지들을 입력하는 디스패쳐 애플리케이션들에서 사용가능하다. 많은 상황에서, 그러한 정보의 사용가능성은 플리트의 구성원들(members of the fleets)에게 유용할 것이다. 그러나, 모든 사용자가 그들의 상태 정보를 종래의 방식으로 몇몇 다른 사용자들에게 전송한다면, 무선 인터페이스는 곧 다량의 상태 메시지들에 의해 차단될 것이다.
따라서, APP2는 또한 사용자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애플리케이션(APP3)에 연결되며, 사용자로부터 사용자의 운영 상태를 표시하는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는, 예를 들어, 사전 코딩된 운영 상태 표시들의 리스트를 사용하여, 사용자 단말기의 키패드를 통해 그것을 타이핑함으로써 코드를 입력한다. APP PDU 내에 이러한 상태 정보를 포함시킴으로써, 무선 인터페이스에 부하량을 추가함이 없이, 운영 정보가 하나 이상의 다른 사용자들, 예를 들어, 통신 그룹의 회원들에게 사용가능해지게 된다.
하나의 장소 및 사전 코딩된 운영 상태를 표시하기 위해 요구되는 데이터의 양은 매우 작으므로, 대부분의 애플리케이션들에서는, 그 목적을 위해 단지 하나의 하프 슬롯만이 스틸링될 필요가 있다. 운영 정보는 채널 할당 후 어느 때라도 전송될 수 있다. 유익하게, 위치 정보는 처음에는 연결 설정 후 매우 일찍, 그리고 그 후에는 정의된 시간간격들에서 전송되며, 따라서, 수신 사용자 단말 내의 대응 애플리케이션이 그것의 정보를 적절하게 업데이트할 수 있다. 무선 자원을 불필요하게 낭비하지 않는 효율적인 전송 메커니즘으로 인하여, 간격은 상대적으로 짧아질 수 있다. 이는 모바일 사용자 단말기의 동적으로 변화하는 장소를 정확하게 모니터링할 수 있게 해준다.
상기 메커니즘의 이점은 1 대 1 통신에서 이미 달성되지만, 그룹 통신을 허용하는 시스템들에 적용될 때는 더욱더 현저한 이점을 가진다. 예를 들어, 예시적인 TETRA 실시예에서, U-평면 시그널링은 개별 호출들 및 그룹 호출들 모두에서 사용가능하다. 도 8은 세 개의 무선 단말기 사용자들(RT1, RT2, RT3)의 플리트(fleet)가 인터랙티브하게 관리되는 경우, 오퍼레이션들이 잠재적으로 서로에게 보완적인 플리트를 형성하는 상황을 도시한다. 일반적으로, 운영 상황들에 관련된 사용자들은 그들의 단말기를 다룰 충분한 시간을 소비하지 못하며, 따라서, 인터랙티브한 관리를 위해 요구되는 운영 정보는 바람직하게는 참여하는 사용자들(RT1, RT2, RT3)의 단말기에서 자동적으로 그리고 국지적으로(locally) 처리되어야 한다. 종래의 시스템에서는, 세 명의 사용자들 중 어느 한명은 다른 두 사용자 단말기에 단문 메시지를 보내야 했을 것이며, 이는 대부분의 경우에 불가능한바, 그 이유는 그러한 작업들은 사용자에게 너무 많은 주의를 요구하기 때문이다. 또한, 무료인 실질적으로 무제한적인 자원이 있는 시스템에서, 이러한 텍스트 메시지의 양은 가능할 것이나, 다른 환경에서는, 그러한 구성은 비실용적일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들 각각이 그들의 운영 정보, 예를 들어, 위치 정보와 사용자의 운영 상태 표시를 포함하는 운영 정보를 U-평면 시그널링 메시지로 다른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한 후, RT1, RT2, RT3의 플리트가 그룹 호출을 개시할 수 있다. 운영 정보는 호출의 시작시에 운반되거나 그룹 호출 동안의 시간간격들에서 운반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타입의 정보가 운반되는 경우에, 애플리케이션은 서로 다른 정보 타입에 대해 서로 다른 전송 방식을 따르도록 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서, 운영 상태 표시는 오퍼레이션의 나중 단계에서는 의미 없는 것을 수 있으며, 또는 사용자가 상기 오퍼레이션과 관련된 후에는 키보드를 통해 어떠한 정보도 입력할 수 없을 수 있다. 반면, 위치 정보에 대한 업데이트는 오퍼레이션 전체에 걸쳐 계속적으로 필요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은, 예를 들어, 정의된 시간간격들마다 위치 정보의 업데이트를 송신하고 그룹 호출의 시작시에 운영 상태 정보를 송신하도록 될 수 있다.
수신단에서, 상기 과정은 유사하게 실행된다. 기지국은 U-평면 시그널링 메시지를 목적지로 전달하고, 다운링크 MAC-U-SIGNAL PDU는 전송국으로부터 수신된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스틸링은 트레이닝 시퀀스를 근거로 검출되며, 수신측 사용자 단말기는, TMD-SAP의 TMD-UNITDATA 요구 프리미티브를 바탕으로, 수신된 U-평면 시그널링을 식별한다. APP-PDU의 헤더 필드 내의 정보를 바탕으로, 서비스 기능(serving function)은 그것이 운영 정보를 수신하였는지를 결정한후, 또 다른 애플리케이션을 위하여 상기 운영 정보를 APP2로 포워딩한다.
진보된 애플리케이션들에서의 기능들은 동적으로 변하는 데이터에 대한 다양한 사용을 가능하게 해준다. 흥미로운 실시예들중 하나는 위치 정보와 관련된다. 대부분의 통신에서, 통신 파티들의 위치에 대한 정보는 알려져야 한다. 현재 위치는, 가장 캐쥬얼한 대화에서 조차, 통신 파티들간에 일반적으로 교환되는 흥미로운 사실이다. 운영 활동들(operational activities)에서, 활동 장소(place of action)까지의 물리적 거리 및/또는 참여하는 사용자들 사이의 물리적 거리에 대한 정보가 그 상황과 관련된 모든 파티에게 매우 중요하다. 위치 정보를 적용하는 유익한 방식은, 따라서, 위치 정보를 많은 다른 관련된 정보와 결합하고, 그 결합된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위치 데이터가 선택된 지도 정보와 통합되어 사용자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에 보여질 수 있다. 도 8a의 예시적인 디스플레이는 호출된 사용자의 위치와 발신자의 위치를 보여준다. 그룹 호출에서, 그룹 호출의 모든 구성원들의 위치는 화면에 동시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을 것임이 명백하다.
대안적으로, 수신된 위치 정보는 사용자 고유의 위치 정보와 통합될 수 있으며,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사용자까지의 상대적인 거리가 사용자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에 보여질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상기 방법은 도 1의 구현 시스템에서 동작가능한 사용자 단말기 UT1에 제공되며, 도 2 내지 8로 설명된 구현 장치들에서 보여진것과 같이 실시된다. 따라서, 그러한 설명의 일부는 도 1 내지 8의 개시로부터 참조될 수 있다. 간략화를 위하여, 상기 과정은 개별 호출에 대하서 기술된다. 앞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위치 정보는 다양한 다른 타입의 동적으로 변화하는 운영 정보를 나타내는 예로서 사용되었다. 상기 설명을 바탕으로, 다른 타입의 운영 정보 및 그룹 호출에 대한 구현 방법의 실시는 당업자에게는 간단한 것일 것이다.
UT1의 과정은 사용자 단말기가 스위치 온되고 통신을 위해 동작하는 단계에서 시작한다. 임의의 시점에서, UT1은 또다른 사용자 단말기 UT2로의 연결을 설정한다(단계(90)). 그때, 트래픽 채널(CH)은 연결의 지속기간 동안 U1에 할당된다(단계(91)). 정의된 시점에서, 유익하게는 채널 할당 직후,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 요소는 운영 정보의 내용(여기서는, 사용자 단말기의 현재 위치(posi))을 결정하며(단계(92)), 그 위치에 대한 표시를 포함하는 데이터 아이템 DI(posi)를 생성한다(단계(93)).
사용자 단말기는 생성된 데이터 아이템(DI)를 포함하는 U-평면 시그널링 메시지 UP-S(DI)를 생성하고(단계(94)), CH로부터 스틸링된 타임슬롯을 통해 상기 U-평면 시그널링 메시지를 다른 사용자 단말기 UT2에 송신한다. 사용자 단말기가 재전송 기법(retransmission scheme)에 따라 그것의 운영 정보를 전송하도록 조정된다면(단계(96)), 상기 과정은 상기 기법을 적용하도록 이동된다(단계(97)). 상기 기법은, 예를 들어, 운영 정보의 각각의 전송 후에 리셋되는 타이머(TIM)의 사용을 포함할 수 있다. 타이머 TIM의 카운트가 정의된 임계값을 초과할 때, 상기 과정은 운영 정보의 내용, 예를 들어, 운영 정보가 결정되는 단계(92)로 이동한다. 그렇지 않다면, 상기 과정은 종료되며, 사용자 단말기는 그것의 정규 오퍼레이션으로 돌아온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또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상기 방법은 사용자 단말기 UT2에 제시되는바, 상기 사용자 단말기 UT2 또한 도 1의 구현 시스템에서 동작가능하며, 도 2 내지 8에 기술된 구현 장치에 따라 실시된다. 또한, 여기에서, 설명의 세부사항들은 도 1 내지 8을 참조할 수 있다,
UT2의 과정은 사용자 단말기가 스위치 온되고 통신을 위해 동작되는 단계에서 시작한다. 어떤 시점에서, UT2는 또 다른 사용자 단말기 UT1에 대한 연결을 설정한다(단계(100)). 그 때, 트래픽 채널(CH)이 연결 지속기간 동안 U2에 할당된다(단계(102)). 어떤 시점에서, 유익하게는 채널 할당 직후, 사용자 단말기 UT2는 CH로부터 스틸링된 타임슬롯에서, UT2는 데이터 아이템 DI를 포함하는 U-평면 시그널링 메시지 UP-S(DI)를 수신한다(단계(104)). 사용자 단말기는 시그널링 메시지로부터 데이터 아이템 DI를 추출하고(단계(106)), 그 정보(여기에서는 UT1의 위치)를 UT1의 운영 정보로서 적용한다(단계(108)).
도 9 및 도 10의 방법들이 다양한 타입의 운영 정보 및 다른 재전송 기법들에 적용되는 것임은 자명하다. 상술된 과정을 통해, 사용자 종점들에서의 동적으로 변화하는 정보는 무선 인터페이스에 불필요한 부하 및/또는 교환된 메시지들 내에 오버헤드를 야기함이 없이, 직접 교환될 수 있다.
도 9 및 10에서 설명된 단계/포인트, 시그널링 메시지, 그리고 관련 기능들은 절대적인 순서로 된 것이 아니며, 몇몇 단계들/포인트들은 동시에 수행되거나, 설명된 것과는 다른 순서로 수행될 수 있다. 다른 기능들이 또한 상기 단계들/포인트들 사이에서 실행될 수 있으며 또는 상기 단계들/포인트들 그리고 설명된 메시지들 간에 송신된 다른 시그널링 메시지들 내에서 실행될 수 있다. 몇몇 단계들/포인트들 또는 상기 단계들/포인트들의 일부는 또한 생략되거나 대응하는 단계/포인트 또는 그 일부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 오퍼레이션들은 하나 이상의 물리적 또는 논리적 엔티티들에서 실시될 수 있는 과정을 설명한다. 시그널링 메시지들은 단지 예시적인 것이며, 동일한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몇개의 별개의 메시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메시지들은 또한 다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기술의 진보에 따라, 본 발명의 개념이 다양한 방식으로 실시될 수 있음을 은 당업자에게는 명백할 것이다. 본 발명 및 그 실시예들은 위에서 설명된 예에 국한되지 않으며, 청구항의 범주 내에서 변경될 수 있다.

Claims (15)

  1. 사용자 단말기(UT1)와 적어도 하나의 다른 사용자 단말기(UT2) 사이의 연결을 위해 채널(CH)을 할당하는 단계(91)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UT1)의 사용자에 대한 운영 정보(operational information)(posi)를 결정하는 단계(92)와;
    상기 유도된 운영 정보(posi)를 운반하는 데이터 아이템(DI)을 포함하는 사용자 평면 시그널링 메시지(user plane signaling message)를 생성하는 단계(93)와;
    상기 연결에 할당된 채널(CH)로부터 스틸링(stealing)된 타임슬롯 내에서, 상기 사용자 평면 시그널링 메시지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9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아이템은, 상기 사용자의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를 표시하는 위치 정보,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사용자에 의해 타이핑된 운영 상태 정보(operational status information)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평면 시그널링 메시지를 생성하는 것은 미리 정해진 기법에 따라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 항 또는 제2 항 또는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UT1)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사용자 단말기(UT2) 사이의 연결은 그룹 호출(group cal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선행하는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운영 정보는 상기 사용자와 관련된 동적으로 변하는 특성(dynamically varying characteristic)을 표시하는 하나 이상의 값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사용자 단말기(UT2)와 적어도 하나의 다른 사용자 단말기(UT1) 사이의 연결을 위하여 채널(CH)을 할당하는 단계(102)와;
    상기 연결에 할당된 상기 채널(CH)로부터 스틸링된 타임슬롯 내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사용자 단말기(UT2)로부터의 사용자 평면 시그널링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104)와;
    상기 시그널링 메시지로부터 데이터 아이템(DI)을 추출(extraction)하는 단계(106)와;
    상기 데이터 아이템(DI) 내에 포함된 정보(posi)를 상기 다른 사용자 단말기(UT1)에 대한 운영 정보로서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아이템은 상기 다른 사용자의 위치를 표시하는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UT1)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사용자 단말기(UT2) 사이의 연결은 그룹 호출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7 항 또는 제8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다른 사용자들의 위치들이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사용자 단말기(UT1)로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UT1)와 적어도 하나의 다른 사용자 단말기(UT2) 사이의 연결을 위하여 채널(CH)을 할당하도록 된 통신 유닛(21)과;
    상기 사용자 단말기(UT1)의 사용자에 대한 운영 정보(posi)를 결정하도록 된 운영 정보 요소(26)와;
    상기 유도된 운영 정보(posi)를 운반하는 데이터 아이템(DI)을 포함하는 사용자 평면 시그널링 메시지를 생성하도록 된 프로세싱 유닛(23)과;
    상기 연결에 할당된 채널(CH)로부터 스틸링된 타임 슬롯 내에서, 상기 시그널링 메시지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된 통신 유닛(2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기(UT1).
  11. 사용자 단말기(UT2)로서,
    사용자 단말기(UT2)와 적어도 하나의 다른 사용자 단말기(UT1) 사이의 연결을 위해 채널(CH)을 할당하고, 상기 연결에 할당된 상기 채널(CH)로부터 스틸링된 타입슬롯 내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사용자 단말기(UT2)로부터의 사용자 평면 시그널링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된 통신 유닛과;
    상기 시그널링 메시지로부터 데이터 아이템(DI)을 추출하고 상기 데이터 아이템(DI) 내에 포함된 정보(posi)를 상기 다른 사용자 단말기(UT1)에 대한 운영 정보로서 적용하는 프로세싱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기(UT2).
  12. 제10 항 또는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운영 정보는 사용자와 관련된 동적으로 변하는 특성을 나타내는 하나 이상의 값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기.
  13. 제10 항 또는 제11 항 또는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들(APP1, APP2, APP3, APP4) 및 상기 애플리케이션들과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연결들 사이의 어쏘시에이션(association)을 제어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 층 서비스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기.
  14. 제10 항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와 제11 항에 따른 또 다른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15. 컴퓨터 상에서 실행될 때, 제1 항 내지 제9 항 중 임의의 한 항의 단계들을 수행하도록 된 프로그램 코드 수단(program code means)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100012987A 2009-02-12 2010-02-11 개선된 운영 정보 애플리케이션 KR1016470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9152669.9A EP2219396B1 (en) 2009-02-12 2009-02-12 Enhanced application of operational information
EP09152669.9 2009-02-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2394A true KR20100092394A (ko) 2010-08-20
KR101647081B1 KR101647081B1 (ko) 2016-08-09

Family

ID=408521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2987A KR101647081B1 (ko) 2009-02-12 2010-02-11 개선된 운영 정보 애플리케이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2219396B1 (ko)
KR (1) KR101647081B1 (ko)
CN (1) CN10180836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85747A (ko) 2014-01-16 2015-07-2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Wpan 통신 시스템의 송신 방법 및 장치
EP2978189A1 (en) * 2014-07-21 2016-01-27 Cassidian Finland OY Sharing context information of a user apparatus in a Professional Mobile Radio network
EP3024156A1 (en) 2014-11-19 2016-05-25 Motorola Solutions, Inc.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transmitting short data during an active TDMA call
WO2016099300A1 (en) * 2014-12-16 2016-06-23 Motorola Solutions, Inc. Methods and systems for augmented direct-mode detection of emergency signals and selective conveyance of emergency notification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114842A1 (en) * 2006-04-03 2007-10-11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Push-to-talk event for triggering of mobile station location based service applications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085050A1 (en) * 2001-04-17 2002-10-24 Nokia Corporation One-to-one communication, where the system having different control plane and user plane logical entities
FI20040037A0 (fi) * 2004-01-13 2004-01-13 Nokia Corp Paikkainformaation tuottamine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114842A1 (en) * 2006-04-03 2007-10-11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Push-to-talk event for triggering of mobile station location based service applications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ETSI ETR 300-1, 1997.05. *
ETSI TR 102 580 V1.1.1, 2007.10.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7081B1 (ko) 2016-08-09
EP2219396B1 (en) 2016-04-13
CN101808367A (zh) 2010-08-18
EP2219396A1 (en) 2010-08-18
CN101808367B (zh) 2014-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172077C2 (ru) Система радиосвязи, использующая радиочастотный сигнал, модулированный в режиме множественного доступа с кодовым разделением каналов, совместно с сетевым протоколом связи а-интерфейса стандарта gsm
CN100349480C (zh) 用于在移动电话终端之间建立数据传送路径的系统
JP4405471B2 (ja) セルラー無線通信システム、基地局、無線端末および無線通信方法
US6240077B1 (en) Dynamic wireless multiplexing — switching hub for providing two-way communications with subscriber units
EP0617875B1 (en) A random access method in a radio system
GB2485355A (en) Compatible channel for efficient coexistence of voice and data traffic
US9185472B2 (en) Delivery of identification information
US7821990B2 (en) Method of transmitting service information, and radio system
MX2007011787A (es) Sistema y metodo para llamada simultanea de voz y datos sobre una infraestructura inalambrica.
CN1190520A (zh) 用于语音和数据传输的蜂窝式移动无线电网络中按包数据业务的数据包传输方法
KR101647081B1 (ko) 개선된 운영 정보 애플리케이션
US6377572B1 (en) Virtual resource alloc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wireless data communication systems
US8774161B2 (en) Coordinated integration of secondary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s into a primary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EP0899899B1 (en) An apparatus and method for sharing a signaling channel
CN101184267B (zh) 业务接入方法及系统
CN103582032A (zh) 可实现多优先级业务的无线话音与数据通信系统及方法
CN113766516B (zh) 上行配置方法、系统、基站和存储介质
CN100388659C (zh) 实现异种网络间加密通信的装置、系统及方法
CN101543127A (zh) 基站和通信方法
US7050411B2 (en) Dynamic DCCH/FCH switching
JP2000514263A (ja) Tdmaメッセージ通信サービスマイクロセル
CN110661592B (zh) 信令传输方法以及系统、集中单元、分布单元、存储介质
KR100940392B1 (ko) 이동통신망의 단문 메시지 서비스 방법
US8254406B1 (en) Early termin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overhead cycles
JP3440927B2 (ja) 多方向時分割多重無線データ通信システム及びこのシステムにおけるデータ通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