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91764A -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91764A
KR20100091764A KR1020090011113A KR20090011113A KR20100091764A KR 20100091764 A KR20100091764 A KR 20100091764A KR 1020090011113 A KR1020090011113 A KR 1020090011113A KR 20090011113 A KR20090011113 A KR 20090011113A KR 20100091764 A KR20100091764 A KR 201000917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lection
user interface
selection window
group
counter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11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52309B1 (ko
Inventor
한지영
조장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111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2309B1/ko
Priority to US12/701,942 priority patent/US20100205538A1/en
Publication of KR201000917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17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23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23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 H04M1/7243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for text messaging, e.g. short messaging services [SMS] or e-m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4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different network devices
    • H04W92/08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different network devices between user and terminal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인스턴트 메신저 실행 시 화면 전체 또는 일부를 변경하기 위해 기 설정된 선택 메뉴들이 링크된 선택창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은 타 메신저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및 타 상대방과의 대화창으로 화면 변경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고,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에 특정 그룹만을 표시할 수 있어 인스턴트 메신저 이용 시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휴대 단말기, 인스턴트 메신저, 사용자 인터페이스, Instant Messenger, UI

Description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METHOD FOR OFFERING USER INTERFACE OF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인스턴트 메신저(Instant Messenger) 이용 시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현대인의 필수품이 된 휴대 단말기는 기술 발전으로 고유의 음성 통화 서비스뿐만 아니라 각종 데이터 전송 서비스와 다양한 부가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예를 들면, 상기 휴대 단말기는 디지털 방송 서비스, 무선 인터넷 서비스, 문자 메시지 서비스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휴대 단말기는 기존의 PC(Personal Computer)에서만 가능하던 인스턴트 메신저(Instant Messenger 이하 IM)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휴대 단말기는 복수의 IM을 이용할 수도 있다. 즉, 휴대 단말기 사용자는 동시에 둘 이상의 IM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하지만 상기 IM의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이하 UI)는 휴대 단말기의 표시부 크기 및 성능 제약으로 인하여 일반 PC와 동일하지 않다. 이로 인하여 종래 IM의 UI는 일반 PC 환경의 UI에 익숙한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줄 수 있다. 예 를 들어 종래 IM의 UI는 특정 상대방과 대화 중 새로운 대화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상기 새로운 대화 메시지를 확인하기 위해 대화 상대를 선택할 수 있는 화면으로 복귀하여 상기 대화 메시지를 송신한 상대방을 선택해야 한다. 즉, 종래 IM의 UI는 상기 대화 메시지를 확인하기 위해 다수의 단계를 거쳐야하는 불편함이 존재한다. 또한, 종래 IM의 UI는 기 설정된 다수의 그룹을 한 화면에 모두 표시하고 있다. 즉, 종래 IM의 UI는 모든 그룹을 한 화면에 표시하는 경우 화면의 크기 제약으로 상대방 정보(예컨대 상대방 아이디(IDentification) 또는 닉네임(Nickname))를 인식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IM의 UI는 상기 휴대 단말기가 다수의 IM 서비스를 지원하는 경우 특정 IM 이용 중 타 IM으로 변경하기 위해 IM 선택 화면으로 복귀하여 타 IM을 선택해야 한다. 즉, 종래 IM의 UI는 타 IM으로 변경하기 위해 다수의 단계를 거쳐야하는 불편함이 존재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인스턴트 메신저 이용 시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 시킬 수 있는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은 인스턴트 메신저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인스턴트 메신저가 활성화되는 과정; 화면 전체 또는 일부를 변경하기 위해 기 설정된 선택 메뉴가 링크된 선택창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인스턴트 메신저 서비스를 제공하는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있어서, 상기 인스턴트 메신저를 이용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들이 표시되는 정보 표시 영역; 및 화면 전체 또는 일부를 변경하기 위해 기 설정된 선택 메뉴가 링크된 선택창이 표시되는 선택창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은 선택창을 이용하여 화면 변경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 면에 선택된 특정 그룹만을 표시함으로써, 상대적으로 많은 수의 상대방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도 1a 내지 도 1d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기 도 1a 내지 도 1d를 참조하면, 상기 휴대 단말기는 인스턴트 메신저(Instant Messenger 이하 IM) 서비스가 실행되면, 휴대 단말기가 제공하는 다수의 IM들을 표시하는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상기 휴대 단말기는 IM 서비스가 실행되면 상기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IM "A", "B", "C"를 표시할 수 있다. 이후, 휴대 단말기는 사용자가 상기 다수의 IM 중 "A"를 선택하면 선택된 IM "A"에 해당하는 리스트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즉, 상기 도 1b 와 같은 리스트 화면을 표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리스트 화면은 정보 표시 영역(600)과 선택창 표시 영역(5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보 표시 영역(600)은 상기 다수의 IM 중 사용자가 선택한 IM "A"를 이용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들을 표시하는 영역으로써, 인디게이터(Indicator) 영역(40), IM 로고(Logo) 표시 영역(10), 사용자 정보 표시 영역(20), 상대방 정보 표시 영역(30) 및 메뉴 표시 영역(5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인디게이터 영역(40)은 일반적으로 휴대 단말기의 수신 상태, 배터리 잔량, 알람 설정 여부 등을 알리는 아이콘을 표시하기 위한 영역이다. 상기 도 1b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인디게이터 영역(40)은 IM 서버로부터 대화 메시지 수신 시 이를 알리는 이미지(예컨대 말풍선 아이콘)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IM 로고 표시 영역(10)은 사용자에게 현재 활성화된 IM의 종류를 알리기 위해 IM의 로고(Logo)가 표시되는 영역이다. 상기 IM의 로고는 이미지 또는 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로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정보 표시 영역(20)은 IM을 이용하는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영역으로써, 일반적으로 사용자의 아이디(IDentification 이하 ID) 또는 닉네임(Nick-name) 중 적어도 하나가 표시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자 ID가 표시되는 것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상대방 정보 표시 영역(30)은 사용자가 IM에 등록한 상대방 정보들을 표시하는 영역이다. 상기 상대방 정보들은 상대방의 ID 또는 닉네임 중 적어도 하나가 표시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대방 ID가 표시되는 것 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이때, 상기 상대방 ID들은 기 설정된 그룹별로 분류되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대방 ID들은 대화(Conversation), 온라인(Online) 및 오프라인(Offline) 그룹으로 각각 분류되어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가 상기 상대방 ID들 중 하나를 선택하면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선택된 상대방과 대화 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는 대화 창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대화 창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4a 내지 도 4f를 참조하여 후술 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상대방 정보 표시 영역(30)의 상대방 ID가 표시된 영역 일 측에 상대방에 대한 관리 메뉴를 활성화하기 위한 관리 메뉴 아이콘(31)을 표시할 수 있다. 즉, 휴대 단말기는 상기 관리 메뉴 아이콘(31)이 활성화(예컨대 터치)되면 팝업창 형태로 관리 메뉴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관리 메뉴는 선택된 상대방에 대한 프로필 정보를 요청하는 "Buddy Info", 선택된 상대방을 리스트에서 삭제하는 "Delete Buddy" 및 선택된 상대방의 대화 메시지 수신을 거부하기 위한 "Block Buddy"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현재 선택된 사용자 ID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도 1c같이 상단에 상대방 ID "Alex"를 표시하고, 상기 상대방 ID 하측에 상기 관리 메뉴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Delete Buddy" 메뉴를 선택하는 경우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상대방 ID를 리스트 화면에서 삭제할 수 있다. 즉, 휴대 단말기는 상기 도 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스트 화면의 대화 그룹에서 "Alex"를 삭제하고, 이전에 표시되지 않았던 "Bora80"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기는 상기 대화 그룹에 속한 상대방 숫자를 "4"에서 "3"으로 변경할 수 있다.
상기 관리 메뉴는 선택된 상대방의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 상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온라인 된 상대방에 대한 관리 메뉴는 "대화하기" 메뉴를 포함할 수 있지만, 오프 라인된 상대방에 대한 관리 메뉴는 상기 "대화하기" 메뉴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고, 메시지 수신이 거부된 상대방 정보의 관리 메뉴를 활성화하는 경우 상기 "Block Buddy" 메뉴는 상기 메시지 수신 거부를 해제할 수 있는 "Unblock Buddy"메뉴로 변경되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메뉴 표시 영역(50)은 상기 리스트 화면에서 실행 가능한 메뉴를 표시하는 영역이다. 예를 들면, 상기 메뉴 표시 영역(50)은 상기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 갱신을 요청하는 "Refresh List" 메뉴, 친구를 추가하기 위한 "Add Buddy" 메뉴 및 기타 메뉴를 포함하는 "More" 메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상기 메뉴 표시 영역(50)에 포함된 "Add Buddy" 메뉴를 이용하여 IM에 대화 상대를 추가할 수 있고, 상기 "More" 메뉴를 이용하여 메신저를 선택할 수 있는 상기 도 1a 화면으로 복귀할 수 있다.
상기 선택창 표시 영역(500)은 화면 전체 또는 일부를 변경하기 위해 기 설정된 선택 메뉴들이 링크된 선택창을 표시하는 영역이다. 상기 선택 메뉴는 메신저 선택메뉴, 그룹 선택 메뉴, 대화 상대 선택 메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상기 선택창(11)에 링크된 메신저 선택 메뉴를 이용하여 상기 도 1a와 같은 메신저 선택 화면으로 복귀하지 않고 상기 리스트 화면에서 타 메신저의 리스트 화면으로 변경할 수 있고, 상기 그룹 선택메뉴를 이용하여 상기 리스트 화면에 표시되는 그룹명을 선택할 수 있으며, 상기 대화 상대 선택 메뉴를 이용 하여 휴대 단말기의 화면 크기 제약으로 인하여 화면에 표시되지 않은 대화 상대를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 시킬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선택창(11)을 이용한 메신저 선택, 대화 상대 선택 및 그룹 선택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도 1a에서는 상기 휴대 단말기가 세 종류의 IM 메신저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즉, 상기 휴대 단말기는 하나 이상의 IM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휴대 단말기가 하나의 IM 만을 제공하는 경우 상기 IM 서비스가 실행되면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도 1a 화면을 표시하지 않고, 리스트 화면 또는 접속 화면(로그인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개략적으로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a 내지 도 2c는 상기 선택창을 이용한 메신저 선택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이다.
상기 도 2a 내지 도 2c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리스트 화면에서 상기 선택창(11)을 활성화하면 상기 선택창(11)은 도 2a와 같이 메신저 선택, 그룹 선택, 대화 상대 선택 등 기 설정된 선택 메뉴들을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메신저 선택 메뉴를 활성화 하면 상기 선택창(11)은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휴대 단말기가 제공하는 다수의 IM에 해당하는 색인 "A", "B", "C"를 드랍 다운(Drop-down)방식으로 출력할 수 있다. 이후, 타 IM "B"가 선택되면,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도 2c와 같이 IM "B"의 리스트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B"의 리스트 화 면 역시 상술한 바와 같이 정보 표시 영역(600)과 선택창 표시 영역(50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도 2a와 도 2c를 비교하면 상기 IM의 로고가 "A"에서 "B"로 변경되고, 상기 사용자 ID가 상기 "MIKE"에서 "Jiyoung"으로 변경되었으며, 상대방 ID들이 "Jane", "hagi", "Mickyoon", "Joohyun", "Boram"으로 변경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각 IM마다 자신의 ID를 다르게 설정할 수 있으며, 등록한 상대방이 다를 수 있기 때문이다.
이상에서는 상기 선택창(11)을 이용한 메신저 선택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상기 선택창(11)을 이용한 그룹 선택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a 내지 도 3c는 선택창을 이용한 그룹 선택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이다.
상기 도 3a 내지 도 3c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리스트 화면에서 상기 선택창(11)을 활성화하면 상기 선택창(11)은 상기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신저 선택, 그룹 선택, 대화 상대 선택 등 기 설정된 선택 메뉴들을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그룹 선택 메뉴를 활성화 하면 상기 선택창(11)은 상기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그룹(예컨대 대화, 온라인, 오프라인, 전체)명들을 표시할 수 있다. 이후, 상기 다수의 그룹명 중 특정 그룹명이 선택되면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상대방 정보 표시 영역(30)에 선택된 그룹명과 그룹에 속하는 상대방 정보들만 표시할 수 있다. 즉,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선택된 그룹이 온라인인 경우 온라인 그룹명과 온라인 그룹에 속한 사용자 ID "Eric", "Tomas", "Ginny", "Jeny", "Sweet", "Jerry", "Amy", "Rogan", "Bora 80"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많은 수의 그룹이 등록되어 있더라도 상기 상대방 정보 표시 영역(30)에 사용자가 선택한 그룹명과 상기 선택된 그룹에 속하는 상대방 정보만을 표시할 수 있어 종래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많은 수의 상대방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상기 선택창(11)을 이용한 메신저 선택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과 그룹 선택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상기 선택창(11)을 이용한 대화 상대 선택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a 내지 도 4f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선택창을 이용한 대화 상대 선택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 이다.
상기 도 4a 내지 도 4f를 참조하면, 상기 리스트 화면에서 사용자가 상기 선택창(11)을 활성화 하면 상기 선택창(11)은 상기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신저 선택, 그룹 선택, 대화 상대 선택 등 기 설정된 선택 메뉴들을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대화 상대 선택 메뉴를 활성화 하면 상기 선택창(11)은 도 4b와 같이 현재 대화 가능한 상대방 ID들을 나열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가 특정 대화 상대를 선택하면,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특정 대화 상대(예컨대 "Alex")와 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는 제1대화 창을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는 상기 도 1b의 설명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리스트 화면에서 상대방 ID를 선택하여 상기 제1대화 창을 출력시킬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제1대화 창 역시 일 측에 상기 선택창(11)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타 상대방으로부터 새로운 대화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디게이터 영역(40)에 이를 알리는 이미지(예컨대 말풍선 아이콘, 41)를 표시할 수 있다. 이를 확인한 사용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선택창(11)을 활성화한 후 대화 상대 선택 메뉴를 활성화하면, 상기 휴대 단말기는 대화 그룹에 속한 상대방 ID들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선택창(11)이 활성화 되면 상기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화 그룹에 속한 상대방의 ID "Alex", "Grace", "Eric", "Bora80"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휴대 단말기는 사용자가 확인하지 않은 메시지를 송신한 상대방 ID를 시각적으로 구분 가능하도록 표시할 수 있다. 즉, 휴대 단말기는 상기 메시지를 송신한 상대방 ID의 글자색, 명도, 글자 크기 등을 다르게 표시하거나 깜박거리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휴대 단말기는 대화 그룹에 속한 상대방 ID를 실시간으로 갱신할 수 있다. 즉, 상기 휴대 단말기는 대화 그룹에 속하지 않은 타 상대방이 대화 요청을 하는 경우 상기 대화 그룹에 대화를 요청한 상대방 ID를 추가할 수 있다. 이후, 상기 휴대 단말기는 메시지를 송신한 상대방 ID(예컨대 "Eric")가 선택되면 상기 도 4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된 상대방과의 대화 메시지 송수신을 위한 제2대화 창을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도 4e를 참조하면, 상기 인디게이터 영역(40)에 도시되었던 말풍선 아이콘(41)이 사라지고, 상대방 ID가 "Eric"으로 변경되었으며, 상기 "Eric"이 송신한 메시지 "Hello"가 출력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상기 도 4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대화 창의 우측 하단에 표시된 "More" 메뉴를 활성화하고, 이때 표시되는 메뉴 중 "Go to List" 메뉴를 선택하여 상기 리스트 화면으로 복귀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상기 선택창(11)을 이용하여 대화 상대 선택 메뉴 활성화 시 상기 휴대 단말기가 대화 그룹에 속한 상대방 ID를 표시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즉, 상기 선택창(11)을 이용하여 대화 상대 선택 메뉴 활성화 시 상기 휴대 단말기는 온라인 그룹에 속한 상대방 ID들을 더 표시할 수도 있다. 이는 사용자가 특정 상대방과 대화 중 온라인 그룹에 속한 대화 상대에게 메시지를 전송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리스트 화면으로 복귀하지 않고 상기 선택창(11)을 이용하여 상기 온라인 그룹에 속한 대화 상대에게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는 대화 창을 출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이상에서는 선택창(11) 활성화 시 메신저 선택, 대화 상대 선택, 그룹 선택 메뉴를 모두 활성화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휴대 단말기는 현재 선택할 수 있는 대화 상대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상기 선택창(11) 활성화 시 상기 대화 상대 선택 메뉴를 표시하지 않거나, 사용자가 선택할 수 없도록 비활성화 시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메신저 선택 메뉴, 대화 상대 선택 메뉴, 그룹 선택 메뉴 등이 상기 선택창(11)에 링크되어 있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즉, 본 발명은 메신저 선택, 그룹 선택, 대화 상대 선택 메뉴를 구분하여 복수의 영역에 각각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휴대 단말기는 도 5에 도 시된 바와 같이 메신저를 선택할 수 있는 메신저 선택창(111) 및 그룹명을 선택할 수 있는 그룹 선택창(121)으로 각각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메신저 선택창(111)을 상기 IM 로고 표시 영역(10)에 표시하고, 상기 그룹 선택창(121)을 상기 사용자 정보 표시 영역(20)에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메신저 선택 또는 그룹 선택을 위하여 상기 선택창(11)을 활성화하는 단계를 생략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휴대 단말기는 대화 상대를 선택할 수 있는 대화 상대 선택창을 상기 대화창의 일측에 표시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 이다.
상기 도 6을 참조하면, 휴대 단말기는 S101 단계에서 IM가 활성화를 감지할 수 있다. 이후, 상기 휴대 단말기는 S103 단계에서 상기 IM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예컨대 리스트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은 일측에 상술한 선택창(1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휴대 단말기는 S105 단계에서 상기 선택창이 활성화 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상기 S015 단계에서 상기 선택창이 활성화되지 않으면 상기 휴대 단말기는 S107 단계로 진행하여 해당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휴대 단말기는 사용자 선택에 따라 친구 추가, 친구 삭제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S105 단계에서 상기 선택창이 활성화 되면 상기 휴대 단말기는 S109 단계로 진행하여 선택창에 의해 선택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선 택창에 의해 선택된 기능이 메신저 선택인 경우 휴대 단말기는 사용자가 선택한 인스턴트 메신저의 인터페이스 화면으로 전환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선택창에 의해 선택된 기능이 그룹 선택인 경우 휴대 단말기는 상기 인스턴트 메신저의 리스트 화면에 사용자가 선택한 그룹명과 상기 그룹에 속한 상대방 정보만을 표시할 수 있다.
이후, 상기 휴대 단말기는 S111 단계에서 종료 신호가 입력되는지 확인하고, 종료 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S105 단계로 복귀하여 상술한 과정을 반복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S111 단계에서 종료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IM을 종료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개략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상기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제어부(110), 저장부(120), 표시부(130) 및 무선 통신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 통신부(140)는 데이터 통신 및 음성 통화를 위하여 기지국과 통화채널을 형성하고, 상기 통화채널을 이용하여 타 휴대 단말기와 음성 통화를 수행하거나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무선 통신부(140)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무선 주파수 송신부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 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무선 주파수 수신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부(140)는 제어부(110)의 제어 하에 정보통신망(예컨대 인터넷망)을 통해 인스턴트 메신저(Instant Messenger 이하 IM) 서버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휴대 단말기(100)가 다수의 IM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무선 통신부(140)는 다수의 IM 서버와 각각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12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그램, 상기 휴대 단말기(100)를 부팅시키는 운영체제(Operating System : OS) 및 멀티미디어 컨텐츠 재생 등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부(120)는 상기 휴대 단말기(100)의 사용에 따라 발생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저장부(120)는 다수의 IM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다수의 응용프로그램들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IM의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이하 UI)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부(120)는 설정된 그룹명, 각 그룹에 속한 상대방 정보들 및 아이콘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130)는 휴대 단말기(100)의 각종 메뉴 화면을 비롯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사용자 데이터, 기능 설정 정보 또는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다양한 정보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표시부(130)는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 LCD), 유기발광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 OLED)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부(130)가 터치스크린으로 형성될 경우 상기 표시 부(130)는 입력 수단으로 동작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표시부(130)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IM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UI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표시부(130)는 상기 UI 화면의 일 예로써, 상기 도 1a 내지 도 5와 같은 UI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휴대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 및 내부 블록들 간 신호 흐름을 제어하고, 데이터 처리 기능 등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10)는 사용자가 IM를 활성화하면 IM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예컨대 리스트 화면)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리스트 화면에 포함된 선택창을 이용하여 메신저 선택 메뉴가 활성화 되면 휴대 단말기에서 제공되는 IM들을 표시하고, 사용자가 특정 IM을 선택하면 선택된 IM에 해당하는 UI 화면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10)는 사용자가 로그인을 하지 않은 경우 상기 선택된 IM의 로그인 화면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는 그룹 선택 메뉴가 활성화 되면 사용자가 접속한 IM에 등록된 그룹명들을 표시하고, 사용자가 특정 그룹을 선택하면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그룹명과 상기 선택된 그룹에 속한 상대방 정보들만 상대방 정보 표시 영역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는 상대방으로부터 새로운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이를 알리는 이미지(예컨대 말풍선 아이콘)를 인디게이터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10)는 사용자가 인식하기 용이하도록 상기 이미지를 깜박이도 록 제어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대화 상대 선택 메뉴가 활성화 되면 대화 그룹에 속한 상대방 정보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10)는 사용자가 메시지를 송신한 상대방을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상기 상대방 정보 중 상기 새로운 메시지를 송신한 상대방 ID의 색, 크기, 명암 등을 다르게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새로운 메시지를 송신한 상대방 ID를 깜박이도록 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상대방 정보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선택된 상대방과의 대화를 위한 대화창을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상기 대화 상대 선택 메뉴 활성화 시 제어부(110)가 대화 그룹에 속한 상대방 ID를 표시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즉,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대화 상대 선택 메뉴 활성화 시 온라인 그룹에 속한 상대방 ID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진 않았으나,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이미지 또는 동영상 촬영을 위한 카메라 모듈, 방송 수신을 위한 방송 수신 모듈, 스피커와 같은 오디오 신호 출력장치, 마이크로폰과 같은 음성 신호 입력 장치, MP3 모듈과 같은 디지털 음원 재생 모듈 등의 부가 기능을 갖는 구성 요소들을 선택적으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 요소들은 디지털 기기의 컨버전스(convergence) 추세에 따라 변형이 매우 다양하여 모두 열거할 수는 없으나,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는 상기 언급된 구성 요소들과 동등한 수준의 구성 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본 명세서 및 도면을 통해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전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양한 실시 예가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도 1a 내지 도 1d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
도 2a 내지 도 2c는 메신저 선택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
도 3a 내지 도 3c는 그룹 선택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
도 4a 내지 도 4f는 대화 상대 선택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

Claims (13)

  1. 인스턴트 메신저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인스턴트 메신저가 활성화되는 과정;
    화면 전체 또는 일부를 변경하기 위해 기 설정된 선택 메뉴가 링크된 선택창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메뉴는
    메신저 선택 메뉴, 그룹 선택 메뉴 또는 대화 상대 선택 메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창을 이용하여 대화 상대 선택 메뉴를 활성화 하는 과정;
    상기 인스턴트 메신저에 등록된 상대방 정보들을 표시하는 과정;
    상기 표시된 상대방 정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과정;
    상기 선택된 상대방과의 대화를 위한 대화창을 출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방 정보들을 표시하는 과정은
    대화 메시지를 송신한 상대방 정보들을 시각적으로 구분 가능하도록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방 정보들을 표시하는 과정은
    상기 인스턴트 메신저에 온라인 중인 상대방 정보들을 표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창을 이용하여 그룹 선택 메뉴를 활성화 하는 과정;
    상기 그룹 선택 메뉴 활성화 시 상기 인스턴트 메신저에 등록된 다수의 그룹명을 출력하는 과정;
    상기 출력된 다수의 그룹명 중 특정 그룹명을 선택하는 과정;
    상기 선택된 특정 그룹명과 상기 특정 그룹에 포함된 상대방 정보를 출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창을 이용하여 메신저 선택 메뉴를 활성화 하는 과정;
    상기 메신저 선택 메뉴 활성화 시 상기 휴대 단말기가 제공하는 다수의 인스턴트 메신저에 해당하는 색인들을 출력하는 과정;
    상기 다수의 색인들 중 어느 하나의 색인을 선택하는 과정;
    상기 선택된 색인에 해당하는 인스턴트 메신저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출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8. 인스턴트 메신저 서비스를 제공하는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있어서,
    상기 인스턴트 메신저를 이용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들이 표시되는 정보 표시 영역; 및
    화면 전체 또는 일부를 변경하기 위해 기 설정된 선택 메뉴가 링크된 선택창이 표시되는 선택창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창 표시 영역은
    대화 메시지를 송신한 상대방 정보들을 드랍 다운 방식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창 표시 영역은
    상기 대화 메시지를 송신한 상대방 정보를 시각적으로 구분 가능하도록 표시하는 것을 특징을 하는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창 표시 영역은
    상기 인스턴트 메신저에 등록된 그룹명들을 드랍 다운 방식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창 표시 영역은
    상기 휴대 단말기가 제공하는 인스턴트 메신저들의 색인을 드랍 다운 방식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창 표시 영역은
    타 인스턴트 메신저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으로 전환하기 위한 메신저 선택창 영역;
    상기 정보 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그룹을 선택할 수 있는 그룹 선택창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KR1020090011113A 2009-02-11 2009-02-11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KR1015523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1113A KR101552309B1 (ko) 2009-02-11 2009-02-11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US12/701,942 US20100205538A1 (en) 2009-02-11 2010-02-08 Method of providing a user interface for a mobi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1113A KR101552309B1 (ko) 2009-02-11 2009-02-11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1764A true KR20100091764A (ko) 2010-08-19
KR101552309B1 KR101552309B1 (ko) 2015-09-11

Family

ID=425414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1113A KR101552309B1 (ko) 2009-02-11 2009-02-11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00205538A1 (ko)
KR (1) KR10155230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1892B1 (ko) * 2022-11-01 2024-04-29 문효정 문자 서비스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10502B2 (ja) * 2010-10-20 2016-04-27 日本電気株式会社 データ処理端末、データ検索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CN102637125A (zh) * 2011-02-12 2012-08-15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宫格界面的显示方法及移动终端
KR101917691B1 (ko) * 2012-06-07 2018-1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US9374429B2 (en) 2012-12-18 2016-06-21 Sony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sharing event information using icons
US20140173458A1 (en) * 2012-12-18 2014-06-19 Sony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sharing event information using icons
TWI489410B (zh) * 2013-07-25 2015-06-21 Wistron Corp 即時通訊服務的管理方法與電子裝置
US9727752B2 (en) * 2013-09-25 2017-08-08 Kairos Social Solutions, Inc. Device, system, and method of identifying a specific user from a profile image containing multiple people
CN104580691B (zh) * 2014-12-02 2018-06-19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短信删除方法及终端
DK201870353A1 (en) * 2018-05-07 2019-12-04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RECOMMENDING AND CONSUMING CONTENT ON AN ELECTRONIC DEVICE
CN110456948B (zh) * 2018-05-07 2023-04-18 苹果公司 用于推荐和消费电子设备上的内容的用户界面
CN114730580A (zh) 2019-11-11 2022-07-08 苹果公司 基于时间段的精选播放列表的用户界面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04051A (en) * 1993-11-19 1997-12-30 Lane; Ronald S. Hierarchical menu bar system with dynamic graphics and text windows
AU2514495A (en) * 1994-05-13 1995-12-18 Apple Computer, Inc. Unified hierarchical and tear-off menus in a graphical, event-driven computer system
US20030122877A1 (en) * 2001-12-31 2003-07-0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Graphical user interface tools for specifying preferences in e-commerce applications
US7631331B2 (en) * 2002-03-29 2009-12-08 Starz Entertainment, Llc Cross-channel interstitial program promotion
US20040100504A1 (en) * 2002-05-24 2004-05-27 Jored Sommer Item selection systems and methods of displaying the same
US7933957B2 (en) * 2002-09-17 2011-04-26 At&T Intellectual Property Ii, L.P. Tracking email and instant messaging (IM) thread history
US7356565B2 (en) * 2003-06-27 2008-04-08 Logitech Europe S.A. Camera based instant messenger client
US7310659B1 (en) * 2003-06-27 2007-12-18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Interface and method for extending a target application over an instant message link of a communication network
US7418670B2 (en) * 2003-10-03 2008-08-26 Microsoft Corporation Hierarchical in-place menus
US7673001B1 (en) * 2003-11-21 2010-03-02 Microsoft Corporation Enterprise management of public instant message communications
WO2005069200A2 (en) * 2004-01-09 2005-07-28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Two panel navigation
US20070022213A1 (en) * 2005-07-20 2007-01-25 Research In Motion Limited Scheme for sharing IM message history
CN1949161B (zh) * 2005-10-14 2010-05-26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多层次菜单显示装置及显示控制方法
US20070239353A1 (en) * 2006-03-03 2007-10-11 David Vismans Communication device for updating current navigation contents
US7890875B2 (en) * 2006-04-12 2011-02-15 Research In Motion Limited IM conversation management
US7861175B2 (en) * 2006-09-29 2010-12-28 Research In Motion Limited IM contact list entry as a game in progress designate
WO2008093632A1 (ja) * 2007-01-29 2008-08-07 Access Co., Ltd. 動画処理方法、動画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動画処理装置
US8060568B2 (en) * 2007-05-29 2011-11-15 SAP Portal Israel Ltd. Real time messaging framework hub to intercept and retransmit messages for a messaging facility
US7885641B2 (en) * 2007-06-18 2011-02-08 Research In Motion Limited Method and system for using subjects in instant messaging sessions on a mobile device
KR20090015592A (ko) * 2007-08-09 2009-02-1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인스턴트 메신저 기반의 개인 방송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US20090089673A1 (en) * 2007-09-27 2009-04-02 Allen Jr Lloyd W System and Method for Persisting Hover Help
US20090167553A1 (en) * 2007-12-30 2009-07-02 Jin Hong Open Mobile Online Reservation and Ordering Systems
US8320943B2 (en) * 2008-02-27 2012-11-27 Research In Motion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enabling instant messages to be exchanged between mobile devices
US8032125B2 (en) * 2008-05-09 2011-10-04 Research In Motion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updating presence information in instant messaging applications on a mobile device
US8706811B2 (en) * 2008-09-30 2014-04-22 Lenovo (Singapore) Pte. Ltd. Preventing redirection loops during collaborative web browsing
US20100217809A1 (en) * 2009-02-26 2010-08-26 Research In Motion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switching between messaging client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1892B1 (ko) * 2022-11-01 2024-04-29 문효정 문자 서비스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205538A1 (en) 2010-08-12
KR101552309B1 (ko) 2015-09-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2309B1 (ko)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CN110061901B (zh) 提供状态信息的方法和装置
EP2787790B1 (en) Method, mobile terminal and system for establishing bluetooth connection
CN109361817B (zh) 一种管理移动终端上的呼叫的方法及其移动终端
EP3114832B1 (en) Displaying video call data
US9749282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s of updating and managing application status information in the electronic device
WO2021036566A1 (zh) 信息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介质
KR101520108B1 (ko) 리모콘 기반 인스턴트 메시징
CN107896272B (zh) 一种通话控制方法和装置
KR101306134B1 (ko) 모바일 인스턴트 메신저에서의 사용자 상태 정보 변경 방법및 이를 이용한 단말기
US20100131858A1 (en) User interface
CN108781236B (zh) 音频播放方法及电子设备
US10652287B2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managing information recommendation
US2013007217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nformation about a call recipient at a user device
JP2017517904A (ja) ビデオベースの対話方法、端末、サーバ、およびシステム
CN106470148A (zh) 群组聊天内容显示方法及装置
US20080075049A1 (en) Thin client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WO2015085951A1 (zh) 邀请好友观看视频的方法、终端、服务器及系统
TW201531945A (zh) 基於應用的服務提供方法、裝置及系統
US2012010989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gistering sns information
CN110825979A (zh) 一种备注方法、装置及移动终端
WO2020042080A1 (zh) 一种呼叫提示方法及终端
CN114268691A (zh) 通话方法、装置、终端设备及可读存储介质
JP5993999B2 (ja) 携帯端末送信装置、携帯端末受信装置、携帯端末送信プログラムおよび携帯端末受信プログラム
KR20120071838A (ko) 인스턴트 메신저에서 상태 정보 갱신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휴대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3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