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91605A - Generator system on road - Google Patents

Generator system on roa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91605A
KR20100091605A KR1020090010885A KR20090010885A KR20100091605A KR 20100091605 A KR20100091605 A KR 20100091605A KR 1020090010885 A KR1020090010885 A KR 1020090010885A KR 20090010885 A KR20090010885 A KR 20090010885A KR 20100091605 A KR20100091605 A KR 201000916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elastic body
force
power generation
generation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088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017221B1 (en
Inventor
신민호
Original Assignee
신민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민호 filed Critical 신민호
Priority to KR10200900108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7221B1/en
Publication of KR201000916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160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72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722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G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MECHANICAL-POWER PRODUCING DEVICES OR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USING ENERGY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G7/00Mechanical-power-produc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using energy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G7/08Mechanical-power-produc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using energy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covering energy derived from swinging, rolling, pitching or like movements, e.g. from the vibrations of a machine
    • F03G7/081Mechanical-power-produc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using energy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covering energy derived from swinging, rolling, pitching or like movements, e.g. from the vibrations of a machine recovering energy from moving road or rail vehicles, e.g. collecting vehicle vibrations in the vehicle tyres or shock absor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G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MECHANICAL-POWER PRODUCING DEVICES OR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USING ENERGY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G7/00Mechanical-power-produc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using energy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G7/08Mechanical-power-produc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using energy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covering energy derived from swinging, rolling, pitching or like movements, e.g. from the vibrations of a machi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G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MECHANICAL-POWER PRODUCING DEVICES OR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USING ENERGY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G3/00Other motors, e.g. gravity or inertia m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41/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B41/02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reservoi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8Structural association of electric generators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e.g. with turbines

Abstract

PURPOSE: A generator system on a road is provided to improve generation efficiency by reducing manufacturing costs and enable a user to assembly and disassembly the system conveniently. CONSTITUTION: A generator system on a road comprises a direction changing elastic body, an air compressive part(140), an air tank(160), a pneumatic pressure injection part(164) and a generator(190). The direction changing elastic body converts the power of a vertical direction by the weight of the vehicle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force. The air compressive part compresses the air by using the horizontal direction force of the direction changing elastic body. The air tank accumulates the pneumatic pressure. The pneumatic pressure injection part injects the pneumatic pressure by the air which the air compressive part compresses to the air tank.

Description

도상 발전 시스템{GENERATOR SYSTEM ON ROAD}In-phase power generation system {GENERATOR SYSTEM ON ROAD}

본 발명은 주행하는 차량의 역학적 에너지를 이용하여 발전하는 도상 발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wer generation system that generates power using the mechanical energy of a traveling vehicle.

차량 주행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하거나, 보행자를 보호 등 다양한 목적을 위해 과속 방지턱이 도로상에 설치되어 있다.Speed bumps are installed on the road to secure vehicle driving safety or to protect pedestrians for various purposes.

일반적으로, 과속 방지턱을 설치하는 목적은 주택가나 어린이 보호구역에 설치하여 차량의 과속을 방지하여 과속차량으로 인한 소음 및 인명사고를 미연에 방 지하고자 하는데 있다. 그리고 사고 다발 지점인 경사로, 내리막길 및 고갯길에 아스콘을 적층하여 과속 방지턱을 설치하여 효과적으로 차량 속도를 감속시킨다. In general, the purpose of installing the speed bumps is to prevent the speeding of vehicles by installing them in residential or child protection areas to prevent noise and human accidents caused by speeding vehicles. In addition, ascon is stacked on slopes, downhills, and hills, which are points of accidents, and speed bumps are installed to effectively reduce vehicle speed.

도로상에 과속 방지턱이 설치되어 있으면, 상기 과속 방지턱을 지나가기 위하여, 차량은 감속 및 가동을 수행하여야 하므로, 에너지의 낭비를 초래한다. 그러나, 차량의 과속 방지에 따른 안전 효과 및 보행자 보호 효과가 에너지 절감보다 우선하므로, 과속 방지턱의 설치는 불가피하다. If the speed bump is installed on the road, in order to pass the speed bump, the vehicle must perform deceleration and operation, which causes waste of energy. However, since the safety effect and the pedestrian protection effect according to the overspeed prevention of the vehicle have priority over the energy saving, installation of the overspeed bumps is inevitable.

한편, 상기 과속 방지턱을 지나는 차량의 무게는 상당하므로, 이를 이용하여 발전을 수행하면, 과속 방지턱의 존재로 인해 낭비되는 에너지를 상당량 회수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weight of the vehicle passing through the speed bumps is considerable, when power generation is performed using the speed bumps, it is possible to recover a considerable amount of energy wasted due to the presence of the speed bumps.

이에 따라, 상기 과속 방지턱을 이용하여 발전을 수행하기 위해 대한민국 실용신안 공보 1993-3686호 기재 발명, 대한민국 특허공보 2004-0051448호 기재의 발명과 같은 발명이 수회 제안되었다.Accordingly, the invention as described in the 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1993-3686 and the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04-0051448 has been proposed several times in order to perform power generation using the speed bumps.

그러나, 현재까지 제안된 발명들은 다음 문제점들을 극복하지 못하였다.However, the inventions proposed to date do not overcome the following problems.

첫째 문제점은, 복잡한 구조로 인한 과속 방지턱의 제조 비용이 증가되는 것이다. The first problem is an increase in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speed bumps due to the complicated structure.

둘째 문제점은, 차량에 의한 기계적 에너지는 간헐적으로 인가됨에 따라, 발전 효율이 낮아지는 것이다. The second problem is that as the mechanical energy by the vehicle is applied intermittently, the power generation efficiency is lowered.

셋째 문제점은, 다른 상용 발전 장치에 비하여 발전에 이용되는 에너지가 작아, 발전 효율이 낮아지는 것이다. The third problem is that the energy used for power generation is smaller than other commercial power generation devices, and the power generation efficiency is lowered.

마지막 문제점은, 발전을 수행하는 과속 방지턱이 도로에 매설되는 형태를 가진 제안의 경우, 도로의 하부를 파내야 하므로 설치 및 유지 관리가 곤란하다는 것이다.The last problem is that, in the case of the proposal in which the speed bumps to generate power are buried in the road, the lower part of the road must be dug, so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are difficult.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제작 비용이 저렴한 과속 방지턱형 도상 발전 시스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overspeed bump-type phase-generating power generation system with low manufacturing cost.

또한, 본 발명은 발전 효율을 높일 수 있는 과속방지턱형 도상 발전 시스템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overspeed bump-type phase-generating power generation system capable of increasing power generation efficiency.

또한, 본 발명은 설치 및 해제가 용이한 과속방지턱형 도상 발전 시스템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overspeed bump-type phase-generating power generation system that is easy to install and releas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도상 발전 시스템은, 차량의 무게에 의한 상하 방향의 힘을 수평 방향 힘으로 전환하고, 과속 방지턱의 복원력을 부여하는 방향 전환용 탄성체; 상기 방향 전환용 탄성체의 수평 방향 힘을 이용하여 공기를 압축하는 공기 압축 유닛; 공기압을 축적하는 공기 탱크; 상기 공기 압축 유닛이 압축한 공기에 의한 공압을 상기 공기 탱크로 주입하기 위한 공기압 주입 유닛; 및 상기 공기 탱크에 축적된 공기압으로 구동하여 전기를 발생시키는 발전기를 포함한다.In accordance with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ower generation system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rection switching elastic body that converts a force in a vertical direction by a weight of a vehicle into a horizontal force and provides a restoring force of a speed bump; An air compression unit for compressing air by using a horizontal force of the direction change elastic body; An air tank for accumulating air pressure; An air pressure injection unit for injecting air pressure by air compressed by the air compression unit into the air tank; And a generator for generating electricity by driving with the air pressure accumulated in the air tank.

상기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도상 발전 시스템를 실시하면, 과속방지턱형 도상 발전 시스템의 제작 비용을 절감하여, 실용화를 앞당길 수 있다.By implementing the in-phase power genera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speed bump-type in-phase power generation system, and to advance the practical use.

또는, 본 발명의 도상 발전 시스템은, 발전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Or the island-based power generation system of this invention has the advantage which can raise power generation efficiency.

또는, 본 발명의 도상 발전 시스템은, 설치 및 해제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Or the island-based power generation system of this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it is easy to install and remove.

과속 방지턱의 상부를 통과하는 차량들은, 과속 방지턱에 대하여 중력 방향의 힘을 인가하며,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도상 발전 시스템은 상기 중력 방향의 힘을 이용하여 발전을 수행하고자 한다.Vehicles passing through the speed bumps apply a force in the direction of gravity to the speed bumps, and the in-phase power gener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ntends to perform power generation using the force in the direction of gravity.

그런데, 중력 방향의 힘을 원래 방향 그대로 받는 기계적 구조는, 아래방향으로 충분한 크기를 가져야 하므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중력 방향의 힘을 도로에 평행한 방향으로 전환하는 구조를 제안한다. 여기서 상기 도로에 평행한 방향은 차량이 다니지 않는 방향으로 힘을 전달하기 위해, 차량 진행 방향에 수직인 방향인 것이 바람직하다.By the way, since the mechanical structure that receives the force in the gravity direction as it is, should have a sufficient magnitude in the downward direc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structure for converting the force in the gravity direction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road. Here, the direction parallel to the road is preferably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vehicle traveling direction, in order to transmit the force in the direction that the vehicle does not travel.

한편,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도상 발전 시스템의 차량 에너지 수령 장치를 이루는 과속 방지턱은, 차량의 중력에 의해 변형되었다가 차량이 지나가면 다시 원상으로 회복하기 위한 탄성력을 부여하는 구조가 필요하다.On the other hand, the speed bumps constituting the vehicle energy receiving device of the in-vehicle power gener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needs a structure that is deformed by the gravity of the vehicle and gives an elastic force to restore to the original state when the vehicle passes.

상기 힘의 방향을 전환하기 위한 구조 및 상기 탄성력 부여 구조를 모두 구비한다면, 상기 과속 방지턱의 제조 비용이 크게 증대되어, 실용화에 큰 장애가 될 것은 자명하다.If both the structure for changing the direction of the force and the elastic force provision structure is provided, it is obvious that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speed bumps is greatly increased, which will be a major obstacle to practical use.

본 발명에서는 상기 힘의 방향을 전환하기 위한 구조 및 상기 탄성력 부여 구조를 하나의 구조물로 저렴하게 구현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structure for inexpensively implementing the structure for changing the direction of the force and the elastic force applying structure as a single structure.

도 1a 및 1b는 본 발명의 도상 발전 시스템에 사용될 수 있는 방향 전환용 탄성체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1A and 1B illustrate one embodiment of a reversible elastomer that can be used in the in-phase power genera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한 방향 전환용 탄성체(1001)는, 탄성 물질로 이루어진 직사각형 판의 일정 영역을 평행한 가로선들로 절개한 다음, 상기 절개에 따라 형성된 띠형 구조물을 상/하 방향으로 교번하는 방식으로 휘어서 구현한 일종의 판 스프링이다. 즉, 판 스프링의 상하방향으로 다수개의 아치형 구조들(1101, 1201)을 가지는 주름형 판 스프링이다. 도시한 1101, 1201 구조는 삼각형에 가깝지만, 반원, 삼각형, 사인파 형상들을 아치형으로 통칭하겠다.The illustrated reversible elastic body 1001 cuts a predetermined area of a rectangular plate made of an elastic material into parallel horizontal lines, and then bends the belt-shaped structure formed according to the cut in a manner of alternating up and down directions. It is a kind of leaf spring. That is, it is a corrugated leaf spring having a plurality of arcuate structures 1101 and 1201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leaf spring. Although the illustrated 1101 and 1201 structures are close to triangles, the semicircle, triangle, and sinusoidal shapes will b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arches.

상기 방향 전환용 탄성체(1001)는, 다수개의 아치형 구조들(1101, 1201)의 각 아치형 구조의 꺾인 중심점(PP)으로, 상하 방향(PV)으로 인가하는 힘을 접수한다.The reversible elastic body 1001 receives a force applied in an up-down direction PV to the center point PP of each of the arcuate structures of the plurality of arcuate structures 1101 and 1201.

도시한 방향 전환용 탄성체(1001)는, PV 방향으로 힘을 인가하면, PH 방향으로 길이가 확장되며, PV 방향으로 인가된 힘을 제거하면, 자체 탄성에 의해 PH 방향으로 확장된 부분이 원래의 위치로 복귀한다.In the illustrated direction change elastic body 1001, when a force is applied in the PV direction, the length is extended in the PH direction, and when the force applied in the PV direction is removed, the portion extended in the PH direction by its own elasticity is original. Return to position

보다 구체적으로, 일단(HA)이 고정된 방향 전환용 탄성체(1001)는, PV 방향 힘을 PH 방향의 힘으로 전환하며, 고정되지 않은 경우 방향 전환용 탄성체(1001)는, PV 방향 힘을 PD1 및 PD2 방향의 힘들로 전환한다.More specifically, the direction change elastic body 1001 in which one end HA is fixed converts the PV direction force into a force in the PH direction, and when it is not fixed, the direction change elastic body 1001 converts the PV direction force into PD1. And forces in the PD2 direction.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과속 방지턱의 상면에 차량의 바퀴가 위치하면 차량의 무게에 의해 과속 방지턱이 납작하게 변형된다. 상기 변형시 상기 과속 방지턱 의 상면은 아래로 이동하고, 이에 따라 과속 방지턱 내의 방향 전환용 탄성체가 아래로 압축되며, 상기 방향 전환용 탄성체와 연결된 중심봉이 도로 바깥쪽으로 돌출된다. 상기 돌출되는 중심봉은 상기 과속 방지턱의 외부로 기계적 에너지를 전달할 수 있다.As illustrated, when the wheel of the vehicle is loc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peed bump, the speed bump is flatly deformed by the weight of the vehicle. In the deformation, the upper surface of the speed bumps is moved downward, thereby compressing the direction change elastic body in the speed bumps downward, and the center rod connected to the direction change elastic body protrudes outward from the road. The protruding center rod may transfer mechanical energy to the outside of the speed bump.

차량의 이동에 따라, 상기 과속 방지턱의 상면에 위치한 차량의 바퀴가 제거되면, 상기 방향 전환용 탄성체의 탄성력에 의해 납작하게 변형된 상기 과속 방지턱의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되고, 외부로 돌출된 상기 중심봉은 다시 원래의 위치로 복귀한다.As the vehicle moves, when the wheel of the vehicle loc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peed bump is removed, the center rod is restored to the original shape of the speed bump, which is flatly deforme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reversing elastic body, and protrudes to the outside. Returns to its original position.

그 결과, 차량이 하나씩 상기 과속 방지턱의 상면을 지날 때마다, 상기 중심봉은 왕복 운동을 하게 된다.As a result, each time the vehicle passes the upper surface of the speed bump, the center rod is reciprocated.

도 2a 및 2b는 본 발명의 도상 발전 시스템에 사용될 수 있는 방향 전환용 탄성체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2A and 2B show another embodiment of the reversible elastic body that can be used in the in-phase power genera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한 방향 전환용 탄성체(1002)는, 탄성 물질로 이루어진 직사각형 판의 일정 영역을 평행한 가로선들로 절개한 다음, 상기 절개에 따라 형성된 띠형 구조물을 상향으로 휘는 구조(1102)와, 서로 겹치는 구조(1702, 1802)를 교번하여 구현한 일종의 판 스프링이다. 즉, 다수개의 상향 아치형 구조들을 가지는 주름형 판 스프링이다.The illustrated turning elastic body 1002 cuts a predetermined area of a rectangular plate made of an elastic material into parallel horizontal lines, and then overlaps the structure 1102 that bends upwards a band-shaped structure formed according to the cutting. (1702, 1802) is a kind of leaf spring alternately implemented. That is, a corrugated leaf spring having a plurality of upward arcuate structures.

도 1a/b의 경우와 비교할 때, 도 2a/b에 도시한 방향 전환용 탄성체(1002) 는, 상하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고 제거될 때 중심평면의 위치가 고정되어, 후속 구조의 설치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Compared with the case of Fig. 1A / B, the reversible elastic body 1002 shown in Fig. 2A / B has a fixed position of the center plane when a force is applied and removed in the up-down direction, so that installation of subsequent structures is easy. Has the advantage.

도 2a/b의 경우와 비교할 때, 도 1a/b에 도시한 방향 전환용 탄성체(1001)는, 내구성이 높은 장점이 있다. As compared with the case of Fig. 2A / B, the direction change elastic body 1001 shown in Fig. 1A / B has an advantage of high durability.

도 3a 및 3b는 본 발명의 도상 발전 시스템에 사용될 수 있는 방향 전환용 탄성체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3A and 3B show another embodiment of a reversible elastic body that can be used in the in-phase power genera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한 방향 전환용 탄성체(1003)는 도 1a/b의 경우와 유사한 구조를 가지나, 각 아치형 구조(1103)의 중심점(PP)에 마찰 감소 수단으로서 롤러(1403) 및 베어링(미도시)을 구비하는 것에 차이가 있다. 상기 베어링은 상기 롤러(1403)의 안쪽 축과의 접촉면에 위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The illustrated reversible elastic body 1003 has a structure similar to that of FIG. 1A / B, but has a roller 1403 and a bearing (not shown) as a friction reducing means at the center point PP of each arcuate structure 1103. There is a difference. The bearing is generally located on the contact surface with the inner shaft of the roller 1403.

상기 롤러(1403) 및 베어링에 의해, 방향 전환용 탄성체(1003)와, 이를 내장하는 과속 방지턱의 케이스 간의 마찰을 감소시킬 수 있다. By the roller 1403 and the bearing, the friction between the direction switching elastic body 1003 and the case of the speed bumps therein can be reduced.

도 4는 본 발명의 도상 발전 시스템에 사용될 수 있는 방향 전환용 탄성체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Figure 4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reversible elastic body that can be used in the in-phase power genera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한 방향 전환용 탄성체(1004)는 도 2a/b의 경우와 유사한 구조를 가지나, 각 아치형 구조의 중심점(PP)에 마찰 감소 수단으로서 롤러(1403) 및 베어링(미도시)을 구비하고, 서로 겹치는 부분(1704, 1804)에 이탈 방지 구조(1904, 1724, 1824)를 구비함에 차이가 있다.The illustrated reversible elastic body 1004 has a structure similar to that of Fig. 2A / B, but includes a roller 1403 and a bearing (not shown) as friction reducing means at the center point PP of each arcuate structure. The difference is that the overlapping portions 1704 and 1804 are provided with the anti-separation structures 1904, 1724 and 1824.

도 5는 본 발명의 도상 발전 시스템에 사용될 수 있는 방향 전환용 탄성체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Figure 5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reversible elastic body that can be used in the in-phase power genera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한 방향 전환용 탄성체(1005)는, 도 1a/b의 경우와 유사한 구조를 가지나, 각 아치형 구조(1105, 1205)가 사인파 형상을 가지고 있는 점에 차이가 있다.The illustrated turning elastic body 1005 has a structure similar to that of FIG. 1A / B, but differs in that each arcuate structure 1105 and 1205 has a sinusoidal shape.

방향 전환용 탄성체(1005)의 일단(HA)은 고정되고, 반대편 타단에는 공기 펌프나, 동력 전달 수단을 구동하기 위한 중심봉(1505)이 구비될 수 있다.One end HA of the reversible elastic body 1005 is fixed, and the other end thereof may be provided with an air pump or a center rod 1505 for driving the power transmission means.

도 6은 도 3a/b의 방향 전환용 탄성체를 구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과속 방지턱의 측단면도이다. Figure 6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speed bum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reversible elastic body of Figure 3a / b.

도시한 과속 방지턱(2001)은, 주행중인 차량을 감속시키며, 차량의 주행에 따라 상승/하강하는 장애면을 형성하며, 상기 방향 전환용 탄성체를 상하 방향으로 가압하는 덮개판(2401)과,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차폐막(2601)을 구비하는 외부 프레임을 구비한다.The illustrated speed bumps 2001 may decelerate a vehicle that is being driven, form an obstacle surface that rises and descends as the vehicle travels, and covers a cover plate 2401 that presses the elastic body for direction change in an up and down direction, and the inside thereof. The outer frame is provided with a shielding film 2601 for preventing foreign matter from entering.

상기 외부 프레임 내부에는, 상기 덮개판(2401)의 상승 및 하강시 이를 떠 받치며, 상승을 위한 탄성력을 부여하는 도 1에 도시한 방향 전환용 탄성체(1000)가 위치한다. 또한, 상기 방향 전환용 탄성체(1000)는 지면에 평행하고, 차량의 진행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확장 및 축소될 수 있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향 전환용 탄성체(1000)가 탄성력을 인가하는 방향은, 상기 덮개판(2401)의 상승 및 하강에 따른 이동 방향과 일치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Inside the outer frame, the cover plate 2401 is supported by the lifting and lowering of the cover plate 2401, the elastic body 1000 for changing the direction shown in FIG. In addition, the direction change elastic body 1000 may be installed to be extended and reduc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ground, perpendicular to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vehicle. In addition, a direction in which the direction change elastic body 1000 applies an elastic force may be installed to coincide with a moving direction according to the rising and falling of the cover plate 2401.

상기 차폐막(2601)은, 합성 섬유로 구성된 천(cloth)이나, 솔(brush) 형태 등 잦은 변형에 대하여 내구성이 높은 재질 및 구조로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hielding film 2601 may be implemented with a material and a structure having high durability against frequent deformation, such as a cloth made of synthetic fibers or a brush.

상기 과속 방지턱(2001)의 경우, 차량이 좌측에서 우측으로 진행하고, 도시한 과속 방지턱의 상부에 접한 차량의 무게에 의해, 아래 방향으로 힘이 가해진다. 상기 아래 방향의 힘은 상기 방향 전환용 탄성체(1000)에 의해 도면과 수직인 방향의 힘으로 전환된다. In the case of the speed bumps 2001, the vehicle travels from left to right, and a force is applied downward by the weight of the vehicle in contact with the upper part of the speed bumps illustrated. The downward force is converted into a forc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rawing by the direction change elastic body 1000.

상기 과속 방지턱(2001)의 외부 프레임은, 지면에 설치될 수 있는 하판(2201)과, 상기 덮개판(2401)과 하판(2201)을 연결시키는 핀(2421)을 구비할 수 있다.The outer frame of the speed bumps 2001 may include a lower plate 2201 that may be installed on the ground, and a pin 2421 that connects the cover plate 2401 and the lower plate 2201.

상기 덮개판(2401)과 상기 방향 전환용 탄성체(1000)의 사이, 및 상기 하판(2201)과 상기 방향 전환용 탄성체(1000)의 사이에는 마찰을 감소시키기 위한 롤러(1400) 및 베어링이 구비될 수 있다.A roller 1400 and a bearing for reducing friction may be provided between the cover plate 2401 and the direction changing elastic body 1000 and between the lower plate 2201 and the direction changing elastic body 1000. Can be.

도 7a는 도 3a/b의 방향 전환용 탄성체를 구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과속 방지턱의 측단면도이다. Figure 7a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speed bump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the reversible elastic body of Figure 3a / b.

도시한 과속 방지턱(2002)은, 주행중인 차량을 감속시키며, 차량의 주행에 따라 상승/하강하는 장애면을 형성하며, 방향 전환용 탄성체(1000)를 상하 방향으로 가압하는 덮개판(2402)과, 지면에 설치될 수 있는 하판(2202)과, 상기 덮개판(2402)과 하판(2202)을 연결시키는 제1 핀(2422) 및 제2 핀(2442)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핀(2422)은 위치가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제2 핀(2442)은 상기 하판(2202)에 형성된 가이드 홈(2242)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The illustrated speed bumps 2002 may decelerate a driving vehicle, form an obstacle surface that rises / falls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vehicle, and covers a cover plate 2402 that presses the direction change elastic body 1000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lower plate 2202 may be installed on the ground, and a first pin 2422 and a second pin 2442 connecting the cover plate 2402 and the lower plate 2202 may be provided. The first pin 2422 is fixed in position, and the second pin 2442 may move along the guide groove 2242 formed in the lower plate 2202.

상기 과속 방지턱(2002)의 경우, 차량이 좌측에서 우측으로 진행하고, 도시한 과속 방지턱의 상부에 접한 차량의 무게에 의해, 아래 방향으로 힘이 가해진다. 그러면, 상기 덮개판(2402)은 그 자체 유연성에 의해 평면에 가깝게 변형되고, 상기 덮개판(2402)의 변형에 의해 상기 제2 핀(2442)의 위치가 변경된다.In the case of the speed bumps 2002, the vehicle travels from left to right, and a force is applied downwards by the weight of the vehicle in contact with the upper part of the speed bumps shown. Then, the cover plate 2402 is deformed close to the plane by its own flexibility, and the position of the second pin 2442 is changed by the deformation of the cover plate 2402.

도 7b는 도 3a/b의 방향 전환용 탄성체를 구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과속 방지턱의 측단면도이다. Figure 7b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speed bump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reversible elastic body of Figure 3a / b.

도시한 과속 방지턱(2003)은, 주행중인 차량을 감속시키며, 차량의 주행에 따라 상승/하강하는 장애면을 형성하며, 방향 전환용 탄성체(1000)를 상하 방향으로 가압하는 덮개판(2403)과, 지면에 설치될 수 있는 하판(2203)과, 상기 덮개판(2403)과 하판(2203)을 연결시키는 제1 핀(2423) 및 제2 핀(2443)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핀(2423)은 상기 하판(2203)에 형성된 가이드 홈(2223)을 따라 이동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핀(2443)은 상기 하판(2202)에 형성된 가이드 홈(2243)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The illustrated speed bumps (2003), the cover plate 2403 for decelerating the running vehicle, to form an obstacle surface to rise / descend according to the running of the vehicle, and to press the elastic body 1000 for changing direc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lower plate 2203, which may be installed on the ground, and the first and second pins 2423 and 2443 connecting the cover plate 2403 and the lower plate 2203 may be provided. The first pin 2423 may move along the guide groove 2223 formed in the lower plate 2203, and the second pin 2443 may move along the guide groove 2243 formed in the lower plate 2202. have.

도시한 과속 방지턱(2003)은, 차량이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진행하거나,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진행할 때, 모두 적용할 수 있음에 특징이 있다.The illustrated speed bumps 2003 are characterized in that they can be applied when the vehicle proceeds from left to right or from right to left.

즉, 상기 과속 방지턱(2003)의 경우, 차량이 좌측에서 우측으로 진행하면, 상기 덮개판(2403)의 변형에 의해 상기 제2 핀(2443)의 위치가 변경되고, 차량이 우측에서 좌측으로 진행하면, 상기 덮개판(2403)의 변형에 의해 상기 제1 핀(2423)의 위치가 변경된다.That is, in the case of the speed bumps 2003, when the vehicle proceeds from left to right, the position of the second pin 2443 is changed by the deformation of the cover plate 2403, and the vehicle proceeds from right to left. The position of the first pin 2423 is changed by the deformation of the cover plate 2403.

도 8은 도 3a/b의 방향 전환용 탄성체를 구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과속 방지턱의 측단면도이다. FIG. 8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speed bump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reversible elastic body of FIGS. 3A / B.

도시한 과속 방지턱(2004)은, 주행중인 차량을 감속시키며, 차량의 주행에 따라 상승/하강하는 장애면을 형성하며, 방향 전환용 탄성체(1000)를 상하 방향으로 가압하는 덮개판(2404)과, 지면에 설치될 수 있는 하판(2204)을 구비한다.The illustrated speed bumps 2004 may decelerate a vehicle that is driving, form an obstacle surface that rises / falls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vehicle, and covers the cover plate 2404 that presses the direction change elastic body 1000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lower plate 2204 that can be installed on the ground.

상기 덮개판(2404)과 하판(2204)의 일측 연결 부분은, 제1 핀(2422), 제3 핀(2424) 및 제1 연결판(2314)을 통해 연결되며, 타측 연결 부분은, 제2 핀(2344), 제4 핀(2454) 및 제2 연결판(2534)을 통해 연결된다.One side connecting portion of the cover plate 2404 and the lower plate 2204 is connected through a first pin 2422, a third pin 2424, and a first connecting plate 2314, and the other connecting portion is a second It is connected through the pin 2344, the fourth pin 2454, and the second connecting plate 2534.

상기 덮개판(2404)과, 제1 연결판(2314) 및 제2 연결판(2534)은, 탄성력 및 유연성을 가진 소재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차량이 상기 과속 방지턱(2004)의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지나가거나,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지나가면, 상기 덮개판(2404) 및 제1/제2 연결판(2314, 2534)이 상하방향으로 변형되고, 그 결과 과속 방지턱(2004)에 내장된 방향 전환용 탄성체(1000)가 상하방향의 힘을 받게 된다.The cover plate 2404, the first connecting plate 2314, and the second connecting plate 2534 may be made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and flexibility. When the vehicle passes from the left to the right of the speed bump 2004 or from the right to the left, the cover plate 2404 and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ng plates 2314 and 2534 are de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s a result, the elastic body 1000 for changing direction embedded in the speed bumps 2004 receives a vertical force.

상기 하판(2204)은, 상기 덮개판(2404)과 대칭적으로 변형되는 하부 덮개판(2124) 및 상기 제1 연결판(2314) 및 제2 연결판(2534)의 과도한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제한턱(2214, 2224)을 구비할 수 있다.The lower plate 2204 is limited to prevent excessive deformation of the lower cover plate 2124 and the first connecting plate 2314 and the second connecting plate 2534 that are symmetrically deformed from the cover plate 2404. Jaws 2214 and 2224 may be provided.

도 9는 도 4의 방향 전환용 탄성체를 구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과속 방지턱의 측단면도이다. 9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speed bump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reversible elastic body of FIG. 4.

도시한 과속 방지턱(2005)의 덮개판(2405)과 하판(2205)의 연결구조는 도 7a의 경우와 유사하므로 상세 설명을 생략한다.Since the connecting structure of the cover plate 2405 and the lower plate 2205 of the speed bumps 2005 shown in FIG. 7A is similar to that of FIG. 7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시한 과속 방지턱(2005)의 내부에는 방향 전환용 탄성체(1004)가 차량의 주행 방향으로 확장되는 형태로 장착된다. 그 결과, 차량의 진행에 따른 상하 방향으로 가해지는 힘은, 상기 방향 전환용 탄성체(1004)에 의해 차량의 주행 방향의 힘으로 변환된다.In the illustrated speed bumps 2005, a direction change elastic body 1004 is mounted to extend in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vehicle. As a result, the force applied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along the progress of the vehicle is converted into the force in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vehicle by the direction switching elastic body 1004.

또한, 도시한 과속 방지턱(2005)의 내부에는, 동력 전달 수단으로서 유압 전달관(120)의 일단(119)이 위치할 수 있다. 이는 상기 방향 전환용 탄성체(1004)에 의한 차량의 주행 방향의 힘을 공기 펌프를 설치하기에 적합한 장소로 전달하기 위함이다.In addition, one end 119 of the hydraulic transmission pipe 120 may be positioned as a power transmission means in the speed bumps 2005 shown. This is to transfer the force in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vehicle by the direction switching elastic body 1004 to a place suitable for installing the air pump.

도시한 경우, 과속 방지턱의 구조가 복잡해지는 단점이 있으나, 역학적 에너지의 접수 효율이 높고, 과속 방지턱의 외부 케이스 및 내부의 방향 전환용 탄성체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the illustrated case,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the structure of the speed bump is complicated, but the efficiency of receiving the mechanical energy is high, and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durability of the outer case of the speed bump and the reversible elastic body inside is increased.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과속 방지턱을 이용한 도상 발전 시스템을 도시한다.10 illustrates an in-phase power generation system using a speed bum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한 발전 시스템은, 차량의 무게에 의한 상하 방향의 힘을 수평 방향 힘으로 전환하고, 과속 방지턱(110)의 복원력을 부여하는 방향 전환용 탄성체; 상기 방향 전환용 탄성체의 수평 방향 힘을 이용하여 공기를 압축하는 공기 압축 유닛으로서 공기 펌프(140); 공기압을 축적하는 공기 탱크(160); 상기 공기 펌프(160)가 압축한 공기에 의한 공기압을 상기 공기 탱크로 주입하기 위한 공기압 주입 유닛으로서 상기 공기 압축 수단에서 압축된 공기를 상기 공기 탱크 내부로 분사하는 분사 노즐(164); 및 상기 공기 탱크(160)에 축적된 공기압으로 구동하여 전기를 발생시키는 발전기(19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향 전환용 탄성체의 수평 방향 힘을 상기 공기 펌프(140)로 전달하기 위한 동력 전달 유닛으로서 유압 전달관(1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illustrated power generation system includes a direction switching elastic body that converts a force in a vertical direction due to the weight of the vehicle into a horizontal force and imparts a restoring force of the speed bumps 110; An air pump 140 as an air compression unit that compresses air by using a horizontal force of the direction change elastic body; An air tank 160 for accumulating air pressure; An injection nozzle (164) for injecting air compressed by the air compression means into the air tank as an air pressure injection unit for injecting the air pressure by the air pump 160 into the air tank; And it may include a generator 190 for generating electricity by driving with the air pressure accumulated in the air tank 160. A hydraulic transmission pipe 120 may be further included as a power transmission unit for transmitting a horizontal force of the reversible elastic body to the air pump 140.

도시한 과속 방지턱(110)은, 상기 방향 전환용 탄성체와, 내부에 상기 방향 전환용 탄성체를 구비하며, 과속 방지턱의 외형을 형성하는 외부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 프레임은, 도로 상부로의 돌출면을 형성하며 상기 방향 전환용 탄성체를 상하 방향으로 가압하는 덮개판과,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차폐막을 포함할 수 있다.The illustrated speed bump 110 may include an outer frame including the direction change elastic body and the direction change elastic body therein and forming an outer shape of the speed bump. In addition, the outer frame may include a cover plate forming a protruding surface to the top of the road and pressurizing the elastic body for the direction change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shielding film for preventing foreign matter from flowing into the inside.

여기서, 상기 방향 전환용 탄성체는, 상기 상하 방향 힘에 의해 펴지는 형상의 판 스프링 구조, 즉, 도 1a 내지 도 9에 도시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Here, the direction switching elastic body may have a leaf spring structure of a shape that is unfolded by the vertical force, that is, the structure shown in Figs. 1A to 9.

도시한 상기 공기 펌프(140)는 차량의 무게에 의해 상기 방향 전환용 탄성체가 확장되는 힘을 전달받아 피스톤(144)을 왕복 운동시키며, 상기 피스톤(144)에 의해 압축된 공기가 상기 공기 탱크(160)로 전달된다. 관리의 편의를 위해 공기 펌프(160)를 과속 방지턱(110)에서 거리가 떨어진 지점에 위치시키는 경우, 도시한 바와 같이 유압 전달관(120)을 이용할 수 있다.The illustrated air pump 140 reciprocates the piston 144 by receiving a force for expanding the direction change elastic body by the weight of the vehicle, and the air compressed by the piston 144 is the air tank ( 160). For convenience of management, when the air pump 160 is positioned at a point away from the speed bump 110, a hydraulic transmission pipe 120 may be used as shown.

상기 피스톤(144)은, 차량의 무게에 의한 상기 방향 전환용 탄성체의 확정되는 힘에 의해 공기를 압축하며, 상기 방향 전환용 탄성체의 탄성력에 의해 원 위치로 복귀하는 왕복 운동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공기 펌프(140)로 압축할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체크 밸브식 흡기 밸브(148)를 구비할 수 있다.The piston 144 compresses air by the force determined by the elastic body for direction change by the weight of the vehicle, and performs the reciprocating motion to return to the original position by the elastic force of the direction elastic body. A check valve type intake valve 148 may be provided to suck air to be compressed by the air pump 140.

상기 피스톤(144)에 의해 압축된 공기는 도시한 분사 노즐(164)을 경유하여, 상기 공기 탱크 내부로 유입된다. 상기 분사 노즐(164)에는 유입된 공기가 역방향으로 누출되지 않도록 차단 구조로서 체크 밸브(168)를 구비한다.The air compressed by the piston 144 is introduced into the air tank via the spray nozzle 164 shown. The injection nozzle 164 is provided with a check valve 168 as a blocking structure so that the introduced air does not leak in the reverse direction.

상기 피스톤(144)의 공기 압축 방향과 수직인 단면적이, 상기 분사 노즐(164)의 끝 부분의 공기 분사 방향과 수직인 단면적 보다 훨씬 넓은 구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적어도 상기 피스톤(144) 단면적이 상기 분사 노즐(164) 단면적 보다 4배 이상이 것이 적합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cross-sectional area perpendicular to the air compression direction of the piston 144 has a structure that is much larger than the cross-sectional area perpendicular to the air injection direction of the end of the injection nozzle 164. (At least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piston 144. 4 times or more tha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said injection nozzle 164 is suitable.)

이에 따라, 상기 공기 펌프(140)는, 상기 공기 펌프(140)의 피스톤(144)을 미는 압력보다 높은 내부 기압을 가지는 상기 공기 탱크(160)의 내부로, 공기를 유입할 수 있다. 이는 상기 공기 펌프(140)의 피스톤(144)의 압축은 넓은 면적으로 수행하므로 작은 힘으로 가능한 반면, 압축되어 노즐(164)을 통과하는 공기의 부피는 작아서 높은 압력을 가지기 때문이다.Accordingly, the air pump 140 may introduce air into the air tank 160 having an internal air pressure higher than the pressure pushing the piston 144 of the air pump 140. This is because the compression of the piston 144 of the air pump 140 is possible because of the large area, while the volume of air compressed and passed through the nozzle 164 is small and has a high pressure.

상기 구조의 공기 펌프(140)는 구조가 매우 간단하여 제작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e air pump 140 of the structure has the advantage that the structure is very simple to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상기 발전기(190)와 공기 탱크(160) 사이에, 상기 공기 탱크(160) 내부의 압축공기로 회전하는 공기 모터(180)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 탱크(160) 와 공기 모터(180) 사이에 상기 공기 탱크(160) 내부의 압축 공기를 방출/단속하는 공기 밸브(170)가 구비될 수 있다.An air motor 180 may be provided between the generator 190 and the air tank 160 to rotate the compressed air inside the air tank 160. In addition, an air valve 170 may be provided between the air tank 160 and the air motor 180 to release / regulate the compressed air in the air tank 160.

다른 구현에서는, 상기 발전기(190)로부터 생산된 전기를 보관하기 위한 충전용 배터리(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battery 190 may further include a rechargeable battery (not shown) for storing electricity generated from the generator 190.

다른 구현에서는, 상기 공기 펌프(140)로서, 진공 펌프용 등으로 사용되는 로터리 콤프레셔를 적용할 수 있다. 또는, 다른 공기 펌프나 진공 펌프를 적용할 수 있다. 상기 로터리 콤프레셔와 같은 회전식 공기 펌프를 이용하는 경우, 구조가 복잡해지는 단점이 있으나, 상기 공기 탱크에 보다 높은 기압의 공기압을 축적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nother embodiment, as the air pump 140, a rotary compressor used for a vacuum pump or the like may be applied. Alternatively, other air pumps or vacuum pumps may be applied. When using a rotary air pump such as the rotary compressor,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the structure is complicated, but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accumulate a higher air pressure in the air tank.

도 11a는 도 10의 도상 발전 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는 다른 실시예의 공기 펌프 구동 구조를 도시한다.FIG. 11A illustrates another embodiment of the air pump drive structure applicable to the on-grid power generation system of FIG. 10.

도시한 공기 펌프 구동 구조는, 방향 전환용 탄성체를 구비한 과속 방지턱(110); 공기 펌프(140); 및 상기 방향 전환용 탄성체의 힘을 상기 공기 펌프로 전달하기 위한 동력 전달 수단으로서 유니버셜 커플링(조인트)(4201)를 구비한다. 도시한 공기 펌프 구동 구조는 매우 간단한 구조를 가지고 있으나, 더욱 간단한 구조를 가지는 경우, 상기 유니버셜 커플링(조인트)(4201)를 생략하고, 단순한 막대형 물체로 상기 방향 전환용 탄성체와 공기 펌프(140)를 연결할 수 있다.The illustrated air pump drive structure includes a speed bump 110 having an elastic body for changing direction; Air pump 140; And a universal coupling (joint) 4201 as a power transmission means for transmitting the force of the turning elastic body to the air pump. The illustrated air pump drive structure has a very simple structure, but when it has a simpler structure, the universal coupling (joint) 4201 is omitted, and the reversible elastic body and the air pump 140 are simple rod-shaped objects. ) Can be connected.

도 11b는 도 10의 도상 발전 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는 다른 실시예의 공기 펌프 구동 구조를 도시한다. FIG. 11B illustrates another embodiment of the air pump drive structure applicable to the on-grid power generation system of FIG. 10.

도시한 과속 방지턱(110')은 차량의 무게에 의한 힘을 방향 전환용 탄성체의 양단으로 확장되는 방향으로 변환한다. 상기 방향 전환용 탄성체의 양단으로 가해지는 힘은, 3포트형 유압 전달관(4302), 유니버셜 커플링(조인트)(4201), 크랭크 암(4512), 크랭크(4502)를 경유하여, 회전식 공기 펌프(4802)를 구동한다.The illustrated speed bump 110 'converts the force due to the weight of the vehicle into a direction extending to both ends of the direction switching elastic body. The force exerted on both ends of the resilient elastic body is a rotary air pump via the three-port hydraulic transmission pipe 4302, the universal coupling (joint) 4201, the crank arm 4512, and the crank 4502. Drive (4802).

도 11c는 도 10의 도상 발전 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는 또 다른 실시예의 공기 펌프 구동 구조를 도시한다. FIG. 11C illustrates another embodiment of the air pump drive structure applicable to the on-grid power generation system of FIG. 10.

도시한 과속 방지턱(110)은 차량의 무게에 의한 힘을, 방향 전환용 탄성체가 오른쪽을 확장되는 힘으로 변환한다. 상기 방향 전환용 탄성체가 가하는 힘은, 유압 전달관(120), 유니버셜 커플링(조인트)(4203), 크랭크 암(4513), 크랭크(4503)를 경유하여, 회전력으로 변환된다. 상기 회전력은 변속기(4603)에 의해 적당한 회전수로 변환되어 회전식 공기 펌프(4803)를 구동한다.The illustrated speed bump 110 converts a force due to the weight of the vehicle into a force for extending the right side of the elastic body for direction change. The force exerted by the resilient body for change of direction is converted into rotational force via the hydraulic transmission pipe 120, the universal coupling (joint) 4203, the crank arm 4513, and the crank 4503. The rotational force is converted to an appropriate rotational speed by the transmission 4603 to drive the rotary air pump 4803.

즉, 도시한 공기 펌프 구동 구조는, 상기 회전식 공기 펌프(4803)와 상기 방향 전환용 탄성체 간의 변속비를 조절하기 위한 변속 장치로서 변속기(4603)를 구비한다. 도시한 경우, 상기 유압 전달관(120), 유니버셜 커플링(조인트)(4203), 크랭크 암(4513), 크랭크(4503) 및 변속기(4603)는, 동력 전달 유닛을 구성한다.That is, the illustrated air pump drive structure includes a transmission 4603 as a transmission for adjusting the transmission ratio between the rotary air pump 4803 and the directional elastic body. In the figure, the hydraulic transmission pipe 120, the universal coupling (joint) 4203, the crank arm 4513, the crank 4503, and the transmission 4603 constitute a power transmission unit.

상기 변속기(4603)를 이용하면, 상기 공기 탱크 내부의 기압에 따라, 상기 회전식 공기 펌프(4803)를 구동시키는 변속비를 다르게 설정하여, 에너지 축적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공기 탱크는, 그 내부의 기압을 측정하기 위한 기압 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When the transmission 4603 is used, the transmission ratio for driving the rotary air pump 4803 can be set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air pressure in the air tank, thereby increasing energy storage efficiency. Here, the air tank may be provided with an air pressure sensor for measuring the air pressure therein.

즉, 상기 공기 탱크 내부의 기압이 낮은 경우, 상기 방향 전환용 탄성체의 1회 왕복당 상기 회전식 공기 펌프(4803)의 회전수를 많게 하고, 상기 공기 탱크 내부의 기압이 높은 경우, 상기 방향 전환용 탄성체의 1회 왕복당 상기 회전식 공기 펌프(4803)의 회전수를 적게 제어할 수 있다.That is, when the air pressure inside the air tank is low, the rotation speed of the rotary air pump 4803 is increased per one reciprocation of the directional elastic body, and when the air pressure inside the air tank is high, the direction change The rotation speed of the rotary air pump 4803 can be controlled less per one round trip of the elastic body.

다른 구현에서는, 상기 도 10의 왕복식 공기 펌프를 위한 동력 전달 유닛에 변속 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In another implementation, a transmission may be provided in the power transmission unit for the reciprocating air pump of FIG. 10.

도 12a는 도 10의 도상 발전 시스템에서 발전기 구동 구조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12A illustrates another embodiment of a generator drive structure in the on-grid power generation system of FIG. 10.

도시한 구조에서는 공기 모터(6201)와 발전기(190) 사이에 변속기(6401)를 구비한다. 이는 공기 탱크(160)에서 분출되는 압축 공기의 압력이 시간에 따라 변동이 심하여, 공기 모터(6201)와 발전기(190)를 직접 연결하면 발전기(190)의 발전 효율을 떨어뜨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 변속기(6401)는 상기 공기 탱크(160)의 압력에 따라 발전에 적합한 변속비로 설정될 수 있다.In the illustrated structure, a transmission 6401 is provided between the air motor 6201 and the generator 190. This is because the pressure of the compressed air ejected from the air tank 160 fluctuates with time, so that the direct connection between the air motor 6201 and the generator 190 prevents the power generation efficiency of the generator 190 from dropping. . That is, the transmission 6401 may be set to a transmission ratio suitable for power generation according to the pressure of the air tank 160.

도 12b는 도 10의 도상 발전 시스템에서 발전기 구동 구조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FIG. 12B illustrates another embodiment of a generator drive structure in the on-grid power generation system of FIG. 10.

도 12b에 도시한 구현에서 상기 공기 탱크는 2중 실린더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즉, 이 경우 공기 탱크는, 상기 공기 펌프로부터 공기를 유입받는 입력 탱크(7101) 및 상기 공기 모터(180)로 내부 공기를 유출하는 출력 탱크(7201)를 구비하고, 상기 입력 탱크(7101)와 출력 탱크(7201) 사이에는 밸브나 체크 밸브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밸브 또는 체크 밸브를 중간 밸브(7301)라 칭하겠다.In the implementation shown in FIG. 12B, the air tank may have a double cylinder structure. That is, in this case, the air tank includes an input tank 7101 that receives air from the air pump, and an output tank 7201 for outputting internal air to the air motor 180. A valve or a check valve can be provided between the output tanks 7201. The valve or check valve will be referred to as an intermediate valve 7301.

공기압을 축적하는 중에는 상기 중간 밸브(7301)를 열어두어, 상기 입력 탱크(7101)와 출력 탱크(7201)의 내부 기압이 동일하다. 상기 출력 탱크(7201)에 축적된 내부 기압이 발전가능한 기준치를 초과하면, 상기 중간 밸브(7301)를 닫은 후, 발전 밸브(170)를 열어서, 공기 모터(180)로 내부 공기를 유출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 발전 밸브(170)가 열린 상태에서도 상기 입력 탱크(7101)는 밀폐된 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공기 펌프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를 계속 축적할 수 있다. 이후, 발전이 종료되면 상기 발전 밸브(170)를 닫은 후 중간 밸브(7301)를 열어둘 수 있다.While accumulating air pressure, the intermediate valve 7301 is kept open, and the internal air pressure of the input tank 7101 and the output tank 7201 are the same. When the internal air pressure accumulated in the output tank 7201 exceeds the reference value for generation, the intermediate valve 7301 is closed, and then the power generation valve 170 is opened to allow the internal air to flow out to the air motor 180. Accordingly, even when the power generation valve 170 is opened, the input tank 7101 may be kept in a closed state to continuously accumulate air introduced from the air pump. Thereafter, when the power generation ends, the intermediate valve 7301 may be opened after closing the power generation valve 170.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It should be noted that the above embodiment is for the purpose of illustration and not for the purpose of limitation. In addi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embodiment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a 및 1b는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방향 전환용 탄성체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및 단면도.Figures 1a and 1b is a perspective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one embodiment of the direction change elastic body that can be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a 및 2b는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방향 전환용 탄성체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및 단면도.Figure 2a and 2b is a perspective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direction change elastic body that can be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a 및 3b는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방향 전환용 탄성체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및 단면도.Figure 3a and 3b is a perspective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direction change elastic body that can be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방향 전환용 탄성체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direction change elastic body that can be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방향 전환용 탄성체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direction change elastic body that can be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과속 방지턱 구조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speed bump structure that can be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a 및 7b은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과속 방지턱 구조의 다른 실시예들을 도시한 단면도.Figure 7a and 7b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other embodiments of the speed bumps structure that can be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과속 방지턱 구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Figure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speed bumps structure that can be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과속 방지턱 구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Figure 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speed bumps structure that can be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0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도상 발전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블 록도.10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an on-grid power gener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a 내지 11c는 도 10의 도상 발전 시스템에서 공기 펌프 구동 구조에 대한 각 실시예들을 도시한 블록도.11A-11C are block diagrams illustrating respective embodiments of an air pump drive structure in the in-phase power generation system of FIG. 10.

도 12a 및 12b는 도 10의 도상 발전 시스템에서 발전기 구동 구조에 대한 각 실시예들을 도시한 블록도.12A and 12B are block diagrams illustrating respective embodiments of a generator drive structure in the on-grid power generation system of FIG. 10.

Claims (11)

과속 방지턱을 이용한 도상 발전 시스템에 있어서,In the in-phase power generation system using a speed bump, 차량의 무게에 의한 상하 방향의 힘을 수평 방향 힘으로 전환하고, 과속 방지턱의 복원력을 부여하는 방향 전환용 탄성체;A direction switching elastic body that converts the force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the weight of the vehicle into the horizontal force and provides a restoring force of the speed bump; 상기 방향 전환용 탄성체의 수평 방향 힘을 이용하여 공기를 압축하는 공기 압축 유닛;An air compression unit for compressing air by using a horizontal force of the direction change elastic body; 공기압을 축적하는 공기 탱크;An air tank for accumulating air pressure; 상기 공기 압축 유닛이 압축한 공기에 의한 공기압을 상기 공기 탱크로 주입하기 위한 공기압 주입 유닛; 및An air pressure injection unit for injecting air pressure by air compressed by the air compression unit into the air tank; And 상기 공기 탱크에 축적된 공기압으로 구동하여 전기를 발생시키는 발전기Generator to generate electricity by driving with the air pressure accumulated in the air tank 를 포함하는 발전 시스템.Power generation system comprising a.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방향 전환용 탄성체의 수평 방향 힘을 상기 공기 압축 유닛으로 전달하기 위한 동력 전달 유닛을 더 포함하는 발전 시스템.And a power transmiss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horizontal force of the turning elastic body to the air compression unit.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과속 방지턱의 돌출면을 형성하며, 상기 방향 전환용 탄성체를 상하 방향으로 가압하는 덮개판과,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차폐 수단을 구비하는 외부 프레임An outer frame forming a protruding surface of the speed bump and having a cover plate for urging the elastic body for changing direction in a vertical direction and a shielding means for preventing foreign matter from flowing into the inside. 을 더 포함하는 발전 시스템.Power generation system further comprising.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공기압 주입 유닛은,The pneumatic injection unit, 상기 공기 압축 수단에서 압축된 공기를 상기 공기 탱크 내부로 분사하는 분사 노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 시스템.And an injection nozzle for injecting the air compressed by the air compression means into the air tank.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방향 전환용 탄성체는,The direction switching elastic body, 상기 상하 방향 힘에 의해 펴지는 형상의 판 스프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 시스템.And a leaf spring having a shape that is unfolded by the vertical force. 제 5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판 스프링은 아치형 구조를 가지며,The leaf spring has an arched structure, 상기 아치형 구조의 중심부에는 마찰 감소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 시스템.And a friction reducing means at the center of the arcuate structur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발전기는, The generator, 압축공기로 회전하는 공기 모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 시스템.A power generation system comprising an air motor rotating with compressed air.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공기 압축 유닛은, 왕복 운동하는 피스톤을 구비하는 공기 펌프이며,The air compression unit is an air pump having a piston for reciprocating motion, 상기 피스톤의 공기 압축 방향과 수직인 단면적이, 상기 공기 펌프의 분사 노즐의 끝 부분의 공기 분사 방향과 수직인 단면적 보다 넓은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 시스템.And a cross-sectional area perpendicular to the air compression direction of the piston has a structure larger than the cross-sectional area perpendicular to the air injection direction of the end of the injection nozzle of the air pump.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공기 압축 유닛은, The air compression unit, 회전식 콤프레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 시스템.A power gener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rotary compressor. 과속 방지턱을 이용한 도상 발전 시스템에 있어서,In the in-phase power generation system using a speed bump, 차량의 무게에 의한 상하 방향의 힘을 수평 방향 힘으로 전환하고, 과속 방지턱의 복원력을 부여하는 방향 전환용 탄성체; 및A direction switching elastic body that converts the force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the weight of the vehicle into the horizontal force and provides a restoring force of the speed bump; And 상기 방향 전환용 탄성체의 수평 방향 힘을 이용하여 전기를 발생시키는 발전기 블록Generator block for generating electricity by using the horizontal force of the elastic body for the change of direction 을 포함하는 발전 시스템.Power generation system comprising a. 차량의 무게에 의한 상하 방향의 힘을 외부로 전달하는 과속 방지턱;Speed bumps for transmitting the force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the weight of the vehicle to the outside; 상기 과속 방지턱으로부터 전달되는 힘을 이용하여 공기를 압축하는 공기 압축 유닛;An air compression unit compressing air by using a force transmitted from the speed bump; 공기압을 축적하는 공기 탱크;An air tank for accumulating air pressure; 상기 공기 압축 유닛이 압축한 공기에 의한 공기압을 상기 공기 탱크로 주입하기 위한 공기압 주입 유닛; 및An air pressure injection unit for injecting air pressure by air compressed by the air compression unit into the air tank; And 상기 공기 탱크에 축적된 공기압으로 구동하여 전기를 발생시키는 발전기Generator to generate electricity by driving with the air pressure accumulated in the air tank 를 포함하는 발전 시스템.Power generation system comprising a.
KR1020090010885A 2009-02-11 2009-02-11 Generator system on road KR10101722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0885A KR101017221B1 (en) 2009-02-11 2009-02-11 Generator system on roa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0885A KR101017221B1 (en) 2009-02-11 2009-02-11 Generator system on roa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1605A true KR20100091605A (en) 2010-08-19
KR101017221B1 KR101017221B1 (en) 2011-02-28

Family

ID=427567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0885A KR101017221B1 (en) 2009-02-11 2009-02-11 Generator system on roa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7221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6447B1 (en) * 2011-04-28 2013-04-19 한국도로공사 Centrifugal power generator and centrifugal power grmerator using speed bump
KR101258233B1 (en) * 2011-04-28 2013-04-25 한국도로공사 Electric generator using speed bump
CN111188291A (en) * 2020-01-19 2020-05-22 曹淯翔 Floating deceleration strip
KR102173366B1 (en) * 2020-04-22 2020-11-03 윤상덕 Power generator using compressed air and speed bump equipped with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53030A (en) 1999-11-29 2001-06-05 Kazumi Maekawa Power generator continuously using gravity energy of vehicle
KR20030043858A (en) * 2003-05-03 2003-06-02 남시범 Air compression generating system using vehicle weight
KR20080046617A (en) * 2008-05-02 2008-05-27 강황국 Uses the road and on air and the method which produces a war potential stably unlimtedly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6447B1 (en) * 2011-04-28 2013-04-19 한국도로공사 Centrifugal power generator and centrifugal power grmerator using speed bump
KR101258233B1 (en) * 2011-04-28 2013-04-25 한국도로공사 Electric generator using speed bump
CN111188291A (en) * 2020-01-19 2020-05-22 曹淯翔 Floating deceleration strip
KR102173366B1 (en) * 2020-04-22 2020-11-03 윤상덕 Power generator using compressed air and speed bump equipped with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17221B1 (en) 2011-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29698B2 (en) Traffic-actuated electrical generator apparatus
EP1656500B1 (en) A fluid device for recovery of the kinetic energy of a vehicle
KR101017221B1 (en) Generator system on road
US5355674A (en) Installation for generating utilizable energy from potential energy
GB2461860A (en) Driving an electricity generator using the kinetic, gravitational or air pressure forces present in the flow of vehicular or pedestrian traffic or sea waves
WO2010065045A1 (en) Road vehicle actuated energy device
CN201354994Y (en) Energy-saving power supply device of road lamps
CN101285455B (en) Road speed bump generating set
CN202100401U (en) Oil pressure driving power generation device of road deceleration strip
CN205062721U (en) Can avoid road surface to clean impaired device of hull brush yoke motor
CN106564368A (en) Hybrid power drive system and vehicle
WO2013120364A1 (en) Hydraulic electromagnetic generation device for collecting idle kinetic energy of vehicles
KR101091097B1 (en) Electric generating device using car weight force at the speeding bump
CN205154521U (en) Piano type deceleration strip that can generate electricity
CN203729228U (en) Hydraulic guardrail board cleaning system
CN101463806B (en) Energy-saving power supply device
KR100979617B1 (en) Pumping generator using load of passing vehicle
CN104195973A (en) Urban road separation system
WO2014169385A1 (en) Railroad kinetic energy harnessing apparatus
CN201206537Y (en) Generating set of road deceleration zone
CN202768317U (en) Energy storage type water lifting device
CN105041590A (en) Oil-pressure-driving power generating device utilizing highway deceleration strips
KR101167991B1 (en) High-efficiency road electric power generation system using hydraulic pressure
KR20100024181A (en) Apparatus producing compressed air and wind power generating system thereby
KR20110079929A (en) An electric power generating method by making use of useless kinetic energy accruing in between frame and axle of running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