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91044A - 전동기 제어반 - Google Patents

전동기 제어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91044A
KR20100091044A KR1020090010319A KR20090010319A KR20100091044A KR 20100091044 A KR20100091044 A KR 20100091044A KR 1020090010319 A KR1020090010319 A KR 1020090010319A KR 20090010319 A KR20090010319 A KR 20090010319A KR 20100091044 A KR20100091044 A KR 201000910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ase
latch
motor control
control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03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해진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103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91044A/ko
Publication of KR201000910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104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0Cabinet-type 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2Mounting of devices therein
    • H02B1/34Racks
    • H02B1/36Racks with withdrawable uni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015Boards, panels, desk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04Mounting thereon of switches or of other devices in general, the switch or device having, or being without, cas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0Bus-bar or other wiring layouts, e.g. in cubicles, in switchy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atch Boards (AREA)

Abstract

전동기 제어반이 개시된다. 개시되는 전동기 제어반은 전원측과 부하측 전로(電路)부가 구비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인출 가능하게 수납되며 상기 전원측 전로부와 부하측 전로부를 선택적으로 연결시키는 단위유닛; 및 상기 단위유닛의 인출시 상기 케이스로부터 단위유닛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유닛;을 포함함으로써, 상기 이탈방지유닛에 의해, 케이스로부터 단위유닛을 인출할 때, 과도한 힘에 의해 단위유닛이 케이스로부터 완전히 이탈되는 것을 방지되므로, 단위유닛의 소손을 줄이고 인명을 보호하여, 사용자의 제품 신뢰도를 향상시키는 이점을 가지게 된다.
전동기 제어반, 이탈방지유닛, 걸림쇠, 해제레버

Description

전동기 제어반{MOTOR CONTROL CENTER}
본 발명은 전동기 제어반(motor control center)에 관한 것으로, 특히 케이스의 내부에 적층 수납되는 단위유닛의 인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동기 제어반(motor control center, 이하 'MCC'라 약칭함)는, 전동기의 개폐 및 보호를 목적으로 하는 장치로, 회로 개폐 및 감시제어 기구 등이 단위 회로마다 구비된 단위 장치(unit)를 폐쇄된 케이스에 집합적으로 조립 수납된 장치이다.
전동기 제어반(MCC)은,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구비되며 전원측에 연결된 전원측 전로(電路)부, 상기 전원측 전로부로부터 전원을 입력받아 부하측에 전달하는 단위 장치(unit)가 구비된다.
상기 전원측 전로부는 수평모선과 수직모선으로 구성되며, 일반적으로 부스바(bus bar)로 구비된다.
상기 수평모선은 판넬과 판넬이 열반할 때 주로 사용이 되며 상기 수직모선은 단위 장치로 전기 통전로를 구성한다.
상기 수직모선의 부스바에는 단위 장치의 구성품인 전원측 클립 장치가 결합 되어 통전로를 형성한다.
상기 전원측 클립 장치는 회로의 개폐 및 차단을 할 수 있는 배선용 차단기(MCCB)를 경유하여 전동기 부하측과 통전되는 부하측 클립 장치와 통전로를 형성한다.
상기 단위 장치(unit)는, 상기 전원측 클립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전원측 클립 어셈블리와, 상기 전원측 클립 장치와 배선용 차단기(MCCB)를 연결하는 부스바 또는 케이블, 상기 배선용 차단기와 상기 전동기 부하측의 통전로를 구성하는 부하측 클립 장치를 포함하는 부하측 클립 어셈블리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는 복수 개의 단위유닛이 적층 수납되며 인 입출가능하게 장착되며, 이를 위해 상기 단위유닛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는 인 입출을 위한 장치가 구비된다.
그러나, 종래의 전동기 제어반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로부터 단위유닛 인출시 사용자에 의해 과도한 힘이 가해지는 경우 사용자가 의도와 달리 단위유닛이 케이스의 외부로 완전히 이탈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하게 된다.
이에 의해, 단위유닛이 바닥으로 떨어져 손상되거나, 사용자가 단위유닛에 부딪혀 피해를 입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케이스로부터 단위유닛을 인출할 때, 과도한 힘에 의해 단위유닛이 케이스로부터 완전히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탈방지유닛이 구비된 전동기 제어반의 제공을 일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전동기 제어반은, 전원측과 부하측 전로(電路)부가 구비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인출 가능하게 수납되며 상기 전원측 전로부와 부하측 전로부를 선택적으로 연결시키는 단위유닛; 및 상기 단위유닛의 인출시 상기 케이스로부터 단위유닛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전동기 제어반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는, 복수 개의 단위유닛이 적층 수납되도록 수평으로 구비되며 상하방향으로 복수 개가 구비되는 구획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전동기 제어반에 있어서, 상기 단위유닛은, 상기 구획부재의 상면에 수납되며 슬라이딩 운동하여 인 입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전동기 제어반에 있어서, 상기 단위유닛은, 상기 단위유닛의 외면 및 이에 대응되게 위치되는 상기 케이스의 내면 중 어느 일 방에 구비되는 구름부재와 타 방에 구비되는 가이드에 의해 슬라이딩 운동되는 것을 특징 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전동기 제어반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유닛은, 상기 단위유닛의 외면 및 이에 대응되게 위치되는 상기 케이스의 내면 중 어느 일 방에 구비되는 걸림쇠; 타 방에 구비되는 걸림돌기; 및 상기 걸림쇠와 걸림돌기의 결합을 해제시키는 걸림해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전동기 제어반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유닛은, 상기 단위유닛의 양 측면에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전동기 제어반에 있어서, 상기 걸림쇠는, 상기 단위유닛의 외면 및 이에 대응되게 위치되는 상기 케이스의 내면 중 어느 일 방의 면에 평행하게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걸림해제부는, 상기 걸림쇠를 회전시켜 걸림돌기와의 결합을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전동기 제어반에 있어서, 상기 걸림쇠와 상기 걸림돌기의 결합은, 상기 단위유닛의 무게중심이 상기 케이스 내부에 위치되는 상태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전동기 제어반에 있어서, 상기 걸림해제부는, 상기 걸림쇠가 구비되는 면에 구비되는 해제레버; 상기 해제레버에 의해 상하운동되게 구비되는 제1 링크부재; 및 상기 제1 링크부재에 일 단부가 핀 결합되며, 타 단은 상기 걸림쇠의 일 단과 접촉되고, 중앙부가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제2 링크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전동기 제어반에 있어서, 상기 해제레버는, 상기 걸 림쇠가 구비되는 면에 힌지 결합되어 회전되게 구비되며, 상기 제1 링크부재는, 상기 해제레버의 일 측에 핀 결합되어 상하 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전동기 제어반에 있어서, 상기 제1 링크부재와 제2 링크부재는 핀 결합되어 접촉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전동기 제어반에 의하면, 상기 이탈방지유닛에 의해, 케이스로부터 단위유닛을 인출할 때, 과도한 힘에 의해 단위유닛이 케이스로부터 완전히 이탈되는 것을 방지되므로, 단위유닛의 소손을 줄이고 인명을 보호하여, 사용자의 제품 신뢰도를 향상시키는 이점을 가지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기 제어반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기 제어반의 외관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A-A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보인 단면도, 도 3은 도 2에서 단위유닛이 인출되는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기 제어반(MCC)(100)은, 케이스(101), 상기 케이스(101)에 인 입출 가능하게 장착되는 단위유닛(110), 상기 단위유닛(110)에 구비되어 전원측 및 부하측에 각각 연결되는 전원측 단자(115) 및 부하측 단자(117), 그리고 상기 단위유닛(110)의 인출시 상기 케이스(101)로부터 단위유닛(110)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유닛(140)을 포함하 여 구성된다.
상기 케이스(101)는, 상기 전동기 제어반(100)의 외관을 형성하며, 통상 1개 ~ 9개의 단위유닛(110)이 내장된다.
상기 케이스(101)에는 전원측 전로(電路)부(105)와 부하측 전로(電路)부(107)가 구비되며, 상기 전원측 전로부(105)와 상기 부하측 전로부(107)는 부스바(bus bar)로 구비된다.
상기 케이스(101)의 내부에는, 복수 개의 단위유닛(110)이 적층 수납되도록 수평으로 구비되며 상하방향으로 복수 개가 구비되는 구획부재(103)가 구비된다.
상기 단위유닛(110)은, 상기 구획부재(103)의 상면에 수납되며 슬라이딩 운동하여 인 입출되게 구비되며, 내부에 각종의 전기기기가 장착된 단위유닛 케이스(111), 상기 단위유닛(110)에 구비되며 상기 전원측 전로부(105) 및 부하측 전로부(107)와 각각 연결되는 전원측 단자(115) 및 부하측 단자(117), 상기 전원측 단자(115)와 부하측 단자(117)를 연결하는 케이블(113) 및 상기 케이블(113)에 구비되어 상기 전원측과 부하측의 연결을 개폐 또는 차단하는 배선용 차단기(123)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 상기 케이블(113)은 부스바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단위유닛(110)의 인 입출 동작은, 상기 단위유닛(110)이 수납되는 상기 케이스(101)의 내부 양측면 또는 상기 구획부재(103)의 양측면과, 상기 단위유닛 케이스(111)의 외부 양측면에 서로 대응되게 롤러와 가이드 등과 같은 상대운동 장치가 구비됨으로써 가능해진다.
상기 전원측 단자(115) 및 부하측 단자(117)는 상기 단위유닛 케이스(111)의 후면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며, 상기 단위유닛 케이스(111)의 전면에는 상기 배선용 차단기(123)의 상태를 회전에 의해 조절하는 조절레버(120)가 외부로 노출되게 구비되며, 상기 단위유닛 케이스(111)의 전면 하측에는 상기 단위유닛(110)의 인 입출 동작시 사용자의 편의를 위한 손잡이(130)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이탈방지유닛(140)은, 상기 단위유닛(110)의 인출시 상기 케이스(101)로부터 단위유닛(110)이 완전히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단위유닛(110)의 이동을 제한하게 된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기 제어반에서 이탈방지유닛을 보인 단위유닛의 측면도, 도 5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기 제어반에서 이탈방지유닛을 분리하여 보인 사시도, 도 6 내지 도 8은 도 4에 있어서 단위유닛이 인출될 때 이탈방지유닛의 동작을 보인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전동기 제어반(100)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유닛(140)은 걸림쇠(144), 걸림돌기(145), 둘 사이의 결합을 해제시키는 걸림해제부(14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걸림쇠(144)와 상기 걸림돌기(145) 중 어느 하나는 상기 단위유닛(110)의 외면에 구비되며, 나머지 하나는 상기 단위유닛(110)의 외면에 대응되게 위치되는 상기 케이스(101) 또는 구획부재(103)의 내면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단위유닛(110)이 인출되는 과정에서 상기 걸림쇠(144)와 걸림 돌기(145)가 결합되게 되며, 이에 의해 상기 단위유닛(110)이 케이스(101)로부터 완전히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걸림해제부(146)는 상기 단위유닛(110)을 상기 케이스(101)로부터 완전히 이탈시킬 필요성이 있는 경우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동작되어 상기 단위유닛(110)의 이동을 재개시키도록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이탈방지유닛(140)은 상기 단위유닛(110)의 양 측면에 각각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걸림쇠(144)는, 상기 단위유닛(110)의 외면 및 이에 대응되게 위치되는 상기 케이스(101) 또는 구획부재(103)의 내면 중 어느 일 방의 면과 평행하게 회전가능하게 구비된다.
즉, 상기 단위유닛(110)의 외면 및 이에 대응되게 위치되는 상기 케이스(101) 또는 구획부재(103)의 내면 중 어느 일 방의 면으로부터 수직하게 돌출된 축에 회전가능하게 끼워져 구비된다. 이를 이해 상기 걸림쇠(144)에는 결합홀(144a)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걸림돌기(145)와 결합되는 후크부(144b)가 일 단부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걸림해제부(146)는, 상기 걸림쇠(144)를 회전시켜 걸림돌기(145)와의 결합이 해제되도록 구비된다.
이를 위해, 상기 걸림해제부(146)는, 상기 걸림쇠(144)가 설치되는 면에 구비되는 해제레버(141), 상기 해제레버(141)에 의해 상하운동되게 구비되는 제1 링크부재(142), 상기 제1 링크부재(142)에 일 단부가 핀 결합되며, 타 단은 상기 걸 림쇠(144)의 일 단과 접촉되고, 중앙부(143a)가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제2 링크부재(14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해제레버(141)는, 상기 걸림쇠(144)가 구비되는 면에 힌지 결합되어 도 5에서 B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1 링크부재(142)는, 상기 해제레버(141)의 일 측에 핀 결합되어 상하 운동(도 5에서 B 방향)되어 상기 제1 링크부재(142)를 회전시키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걸림쇠(144)의 동작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제1 링크부재(142)와 제2 링크부재(143)는 핀 결합되어 접촉을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걸림쇠(144)와 상기 걸림돌기(145)의 결합은, 상기 단위유닛(110)의 무게중심이 상기 케이스(101) 내부에 존재하는 상태에서 이루어지게 상기 이탈방지유닛(140)이 구비되는 위치를 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기 제어반에 있어서 이탈방지유닛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단위유닛(110)이 수납된 상태에서 단위유닛(110)의 인출동작은 상기 손잡이(130)를 도 6을 기준으로 우측으로 잡아당김으로써 개시된다.
상기 단위유닛(110)이 인출되면서 상기 걸림쇠(144)의 후크부(144b)와 상기 걸림돌기(145)가 결합되게 되어 상기 단위유닛(110)의 이동이 제한되게 된다.
이때, 상기 단위유닛(110)을 상기 케이스(101)로부터 완전히 분리시키기 위 해서는, 상기 해제레버(141)를 상기 도 8을 기준으로 상측으로 들어오려 상기 힌지 축(141a)을 중심으로 회전시킴으로서 가능해진다.
즉, 상기 해제레버(141)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해제레버(141)에 핀 결합된 제1 링크부재(142)가 상측으로 이동되며, 상기 제1 링크부재(142)의 타 단에 핀 결합된 제2 링크부재(143)를 그 중앙부(143a)를 중심으로 회전(도 8을 기준으로 반시계방향)시키게 된다.
이에 의해, 상기 제2 링크부재(143)의 타 단과 접촉이 유지된 상기 걸림쇠(144)의 일 단에 힘을 가하게 되며, 이에 의해 상기 걸림쇠(144)가 결합홀(144a)을 중심으로 회전(도 8을 기준으로 시계방향)되어 상기 걸림쇠(144) 상기 걸림돌기(145)의 결합이 해제되고 상기 단위유닛(110)이 상기 케이스(101)로부터 완전히 분리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되고 설명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그 사상 또는 본질적인 특징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므로,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는 그 상세한 설명의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아야 하며, 또한, 앞서 기술한 상세한 설명에서 일일이 나열되지 않은 실시예라 하더라도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서 정의된 그 사상과 범위 내에서 넓게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범위와 그 균등범위 내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및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포섭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기 제어반의 외관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A-A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보인 단면도,
도 3은 도 2에서 단위유닛이 인출되는 상태를 보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기 제어반에서 이탈방지유닛을 보인 단위유닛의 측면도,
도 5 내지 도 7은 도 4에 있어서 단위유닛이 인출될 때 이탈방지유닛의 동작을 보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기 제어반에서 이탈방지유닛을 분리하여 보인 사시도이다.

Claims (11)

  1. 전원측과 부하측 전로(電路)부가 구비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인출 가능하게 수납되며 상기 전원측 전로부와 부하측 전로부를 선택적으로 연결시키는 단위유닛; 및
    상기 단위유닛의 인출시 상기 케이스로부터 단위유닛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유닛;을 포함하는 전동기 제어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는,
    복수 개의 단위유닛이 적층 수납되도록 수평으로 구비되며 상하방향으로 복수 개가 구비되는 구획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기 제어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유닛은,
    상기 구획부재의 상면에 수납되며 슬라이딩 운동하여 인 입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기 제어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유닛은,
    상기 단위유닛의 외면 및 이에 대응되게 위치되는 상기 케이스의 내면 중 어느 일 방에 구비되는 구름부재와 타 방에 구비되는 가이드에 의해 슬라이딩 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기 제어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유닛은,
    상기 단위유닛의 외면 및 이에 대응되게 위치되는 상기 케이스의 내면 중 어느 일 방에 구비되는 걸림쇠;
    타 방에 구비되는 걸림돌기; 및
    상기 걸림쇠와 걸림돌기의 결합을 해제시키는 걸림해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기 제어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유닛은,
    상기 단위유닛의 양 측면에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기 제어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쇠는, 상기 단위유닛의 외면 및 이에 대응되게 위치되는 상기 케이스의 내면 중 어느 일 방의 면에 평행하게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걸림해제부는, 상기 걸림쇠를 회전시켜 걸림돌기와의 결합을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기 제어반.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쇠와 상기 걸림돌기의 결합은,
    상기 단위유닛의 무게중심이 상기 케이스 내부에 위치되는 상태에서 이루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기 제어반.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해제부는,
    상기 걸림쇠가 구비되는 면에 구비되는 해제레버;
    상기 해제레버에 의해 상하운동되게 구비되는 제1 링크부재; 및
    상기 제1 링크부재에 일 단부가 핀 결합되며, 타 단은 상기 걸림쇠의 일 단과 접촉되고, 중앙부가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제2 링크부재;를 포함하는 전동기 제어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레버는, 상기 걸림쇠가 구비되는 면에 힌지 결합되어 회전되게 구비되며,
    상기 제1 링크부재는, 상기 해제레버의 일 측에 핀 결합되어 상하 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기 제어반.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링크부재와 제2 링크부재는 핀 결합되어 접촉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기 제어반.
KR1020090010319A 2009-02-09 2009-02-09 전동기 제어반 KR2010009104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0319A KR20100091044A (ko) 2009-02-09 2009-02-09 전동기 제어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0319A KR20100091044A (ko) 2009-02-09 2009-02-09 전동기 제어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1044A true KR20100091044A (ko) 2010-08-18

Family

ID=427563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0319A KR20100091044A (ko) 2009-02-09 2009-02-09 전동기 제어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9104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6344B1 (ko) * 2014-06-09 2014-12-26 주식회사 광명전기 Mcc에 대한 function unit의 interlock 장치의 구조
CN104375493A (zh) * 2014-12-03 2015-02-25 南阳防爆集团电气系统工程有限公司 一种高压电机智能监测系统及监测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6344B1 (ko) * 2014-06-09 2014-12-26 주식회사 광명전기 Mcc에 대한 function unit의 interlock 장치의 구조
CN104375493A (zh) * 2014-12-03 2015-02-25 南阳防爆集团电气系统工程有限公司 一种高压电机智能监测系统及监测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16223B1 (en) Cradle with a door interlock device for a withdrawable vacuum circuit breaker
JP5108086B2 (ja) 回路遮断器
KR100576952B1 (ko) 전기 기구 모듈용 로킹 장치를 구비한 저전압 스위치 기어
KR101150330B1 (ko) 전원차폐형 자동접속 모터 컨트롤 센터
KR20040092599A (ko) 진공차단기의 주회로 인입출 장치
KR101099420B1 (ko) 도어 인터록 유닛을 구비한 배전반
JP4387577B2 (ja) スイッチギヤ
KR20160052730A (ko) 회로 차단기 장치
BRPI1107045A2 (pt) dispositivo de travamento projetado para impedir acesso À caixa de junÇço de um cubÍculo elÉtrico e cubÍculo elÉtrico compreendendo tal dispositivo
KR101126941B1 (ko) 배전반의 차단기 도어 인터록장치
EP3518359B1 (en) Switchgear
CA3079901A1 (en) Locking device for circuit breaker operation device
KR20100091044A (ko) 전동기 제어반
KR101756726B1 (ko) 비상 인터록 해제장치가 구비된 배전반의 도어 잠금장치
WO2015028413A1 (en) Door locking means for an electrical switchboard cabinet
KR102431932B1 (ko) 패널 유니트가 구비된 mcc
KR101602920B1 (ko) 배전반용 셔터 배리어
KR100954559B1 (ko) 이단 인입/인출 구조를 갖는 동작표시형 배전반
JP5344052B2 (ja) コントロールセンター
EP2482399A2 (en) Interlocks for withdrawable breakers
KR20150086066A (ko) 모터 컨트롤 센터의 셔터 배리어
KR200461615Y1 (ko) 배전반 차단기의 도어 잠금 장치
JP5338926B2 (ja) コントロールセンター
CN101882539B (zh) 一种欠电压继电器和脱扣器的锁扣装置
KR101961308B1 (ko) 배전반용 도어핸들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