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90454A -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90454A
KR20100090454A KR1020090009738A KR20090009738A KR20100090454A KR 20100090454 A KR20100090454 A KR 20100090454A KR 1020090009738 A KR1020090009738 A KR 1020090009738A KR 20090009738 A KR20090009738 A KR 20090009738A KR 20100090454 A KR20100090454 A KR 201000904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transparent conductive
conductive film
pressure sensor
minimum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97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37879B1 (ko
Inventor
도기훈
백명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097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7879B1/ko
Priority to US12/689,996 priority patent/US8363022B2/en
Priority to EP10000941.4A priority patent/EP2216708A3/en
Publication of KR201000904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04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78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78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force sensing means to determine a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3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associated to a digitizer, e.g. laptops that can be used as pen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4Multi-touch detection in digitiser, i.e. details about the simultaneous detection of a plurality of touching locations, e.g. multiple fingers or pen and fing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5Pressure sensors for measuring the pressure or force exerted on the touch surface without providing the touch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6Multi-sensing digitiser, i.e. digitiser using at least two different sensing technologies simultaneously or alternatively, e.g. for detecting pen and finger, for saving power or for improving position det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터치신호에 의해 전하량이 변화하며, 전하량이 변하는 최소 단위 셀 사이가 전기적으로 분리되어 있는 투명 도전막, 투명 도전막과 겹쳐지도록 배치되며, 터치신호에 의한 압력값을 계산하여 압력위치를 확인하는 압력센서, 및 투명 도전막에서 전하량이 변화된 최소 단위 셀이 둘 이상인 경우, 전하량이 변화된 최소 단위 셀의 위치에 대응하는 동작을 실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멀티터치가 입력되는 경우에도 압력센서를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압력센서, ITO, 투명 도전막

Description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Mobile terminal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압력센서를 이용하여 둘 이상의 터치신호를 감지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휴대 단말기는 휴대가 가능하면서 음성 및 영상 통화를 수행할 수 있는 기능, 정보를 입출력할 수 있는 기능,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기능 등을 하나 이상 갖춘 휴대용 기기이다.
이러한 멀티미디어 기기의 형태로 구현된 휴대 단말기는, 복잡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적 측면에서 새로운 시도들이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다. 특히 키패드를 통한 신호 입력방식이 줄어들고,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신호 입력방식이 늘어나고 있으며, 터치스크린을 통해 입력되는 터치신호를 감지하기 위해 정압식 센서, 정전식 센서 뿐 아니라 압력센서도 개발되고 있다.
압력센서는 터치신호에 의해 전달되는 압력을 측정하는 센서로서, 압력을 감지하는 최소 단위 셀의 크기가 작아 입력되는 터치신호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 다.
그러나 둘 이상의 터치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압력센서는 각각의 터치신호에 의해 발생하는 압력값을 계산하고, 상기 압력값의 편차를 계산하여 중간값이 계산되는 영역, 즉 각각의 터치신호가 입력된 위치가 아닌 각각의 터치신호의 중간 위치를 터치신호가 입력된 위치로 판단한다. 따라서 둘 이상의 터치신호를 입력해야 하는 경우, 압력센서의 효용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세밀하고 정확하게 터치신호를 감지할 수 있는 압력센서를 멀티터치에서도 이용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압력센서를 투명 도전막에 겹쳐지도록 배치함으로써, 둘 이상의 터치신호를 각각 구분하여 감지하고, 각각의 터치신호에 대응하는 동작을 실행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로서, 터치신호에 의해 전하량이 변화하며, 전하량이 변하는 최소 단위 셀 사이가 전기적으로 분리되어 있는 투명 도전막, 상기 투명 도전막과 겹쳐지도록 배치되며, 상기 터치신호에 의한 압력값을 계산하여 압력위치를 확인하는 압력센서, 및 상기 투명 도전막에서 전하량이 변화된 최소 단위 셀이 둘 이상인 경우, 상기 전하량이 변화된 최소 단위 셀의 위치에 대응하는 동작을 실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 동작방법으로서, 터치신호에 의해 전하량이 변화하며, 전하량이 변하는 최소 단위 셀 사이가 전기적으로 분리되어 있는 투명 도전막, 및 상기 투명 도전막과 겹쳐지도록 배치되며, 터치신호에 의한 압력값을 계산하여 압력위치를 판단하는 압력센서를 구비하는 단계, 터치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투명 도전막에서 전하량이 변화된 최소 단위 셀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된 최소 단위 셀이 둘 이상인 경우, 상기 확인된 최소 단위 셀의 위치에 대응하는 동작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터치신호를 세밀하고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는 압력센서를 멀티터치가 입력되는 경우에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휴대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블럭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기능에 따른 구성요소 관점에서 살펴보겠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휴대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요소들은 실제 응용에서 구현될 때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3), 무선 인터넷 모듈(115), 근거리 통신 모듈(117), 및 GPS 모듈(119)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 방송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한다. 이때,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 방송 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나,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 방송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방송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방송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이동통신 모듈(113)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방송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방송수신 모듈(111)은, 각종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데, 특히,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방송수신 모듈(111)은, 이와 같은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방송 신호를 제공하는 모든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방송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3)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서,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5)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무선 인터넷 모듈(115)은 휴대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7)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는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119)은 복수 개의 GPS 인공위성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3)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단말기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123)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3)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23)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사용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하여 입력하는 키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핑거 마우스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터치 패드가 후술하는 디스플레이부(151)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룰 경우, 이를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이라 부를 수 있다.
센싱부(140)는 휴대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휴대 단말기(100)의 위치, 사 용자 접촉 유무 등과 같이 휴대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과 관련된 센싱 기능을 담당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압력센서(141)를 포함할 수 있다. 압력센서(141)는 터치스크린을 통해 입력되는 터치신호, 즉 압력을 갖는 신호를 감지하여 압력값을 계산하고, 계산된 압력값을 통해 터치신호가 입력된 압력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다수의 압력값이 존재하는 경우, 압력값의 편차를 계산하여 중간값을 결정하여 중간값을 갖는 위치를 압력위치로 확인할 수도 있다. 압력센서(141)에 대해서는 하기 도 4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출력부(15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또는 알람(alarm) 신호의 출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51)와 음향출력 모듈(153), 알람부(155)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휴대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100)가 통화 모드 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 인 경우, 촬영되거나 수신된 영상을 각각 혹은 동시에 표시할 수 있으며, UI, GUI를 표시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패드가 상호 레이어 구조 를 이루어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만일, 디스플레이부(151)가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터치 스크린 패널, 터치 스크린 패널 제어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터치 스크린 패널은 외부에 부착되는 투명한 패널로서, 휴대 단말기 내부의 버스에 연결될 수 있다. 터치 스크린 패널은 접촉 결과를 주시하고 있다가, 터치입력이 있는 경우 대응하는 신호들을 터치 스크린 패널 제어기로 보낸다. 터치 스크린 패널 제어기는 그 신호들을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하여, 제어부(180)가 터치입력이 있었는지 여부와 터치스크린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를 알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가 2개 이상 존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100)에 외부 디스플레이부(미도시)와 내부 디스플레이부(미도시)가 동시에 구비될 수 있다.
음향출력 모듈(153)은 호 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음향출력 모듈(153)은 휴대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 예를 들어, 호 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 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출력 모듈(153)에는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155)는 휴대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휴대 단말기(100)에서 발생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5)는 오디오 신호나 비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예를 들면, 진동 형태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호 신호가 수신되거나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이를 알리기 위해 알람부(155)는 진동을 출력할 수 있다. 또는, 키 신호가 입력된 경우, 키 신호 입력에 대한 피드백으로 알람부(155)는 진동을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진동 출력을 통해 사용자는 이벤트 발생을 인지할 수 있다. 물론, 이벤트 발생 알림을 위한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나 음향출력 모듈(153)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다.
메모리(160)는 제어부(1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력되거나 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 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 상에서 메모리(15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를 운영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휴대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수행한다. 휴대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외부기기의 예로는, 유/무선 헤드셋, 외부 충전기,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SIM/UIM card 등과 같은 카드 소켓, 오디오 I/O(Input/Output) 단자, 비디오 I/O(Input/Output) 단자, 이어폰 등이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러한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휴대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할 수 있고, 휴대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통상적으로 상기 각부의 동작을 제어하여 휴대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재생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재생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하드웨어로 구성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소프트웨어로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이상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를 기능에 따른 구성요소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이하에서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를 외형에 따른 구성요소 관점에서 더욱 살펴보겠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폴더 타입, 바 타입, 스윙타입, 슬라이더 타입 등과 같은 여러 타입의 휴대 단말기들 중에서 전면 터치스크린이 구비되고, 슬라이더형 키패드가 구비되어 있는, 슬라이더 타입 휴대 단말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슬라이더 타입의 휴대 단말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전술한 타입을 포함한 모든 타입의 휴대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휴대 단말기는 제1 바디(100A), 및 제1 바디(100A)에 적어도 일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성된 제2 바디(100B)를 포함한다.
제1 바디(100A)가 제2 바디(100B)와 중첩되게 배치된 상태를 닫힌 상태(closed configuration)라 칭할 수 있으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바디(100A)가 제2 바디(100B)의 적어도 일부분을 노출한 상태를 열린 상태(open configuration)라 칭할 수 있다.
휴대 단말기(100)가 닫힌 상태에서 주로 대기 모드(Standby Mode)로 작동하지만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대기 모드가 해제되기도 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100)가 열린 상태에서 주로 통화 모드 등으로 작동하지만, 사용자의 조작 또는 소정 시간의 경과에 의해 대기 모드로 전환되기도 한다.
제1 바디(100A)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는, 제1 프론트 케이스(100A-1)와 제1 리어 케이스(100A-2)에 의해 형성된다. 제1 프론트 케이스(100A-1)와 제1 리어 케이스(100A-2)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제1 프론트 케이스(100A-1)와 제1 리어 케이스(100A-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들 이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제1 바디(100A), 구체적으로 제1 프론트 케이스(100A-1)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제 1 음향출력모듈(153a) 및 제1 카메라(121a)이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은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부(151)에는 터치패드가 레이어 구조로 중첩됨으로써, 디스플레이부(151)가 터치 스크린으로 동작하여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보의 입력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제 1 음향출력 모듈(153a)은 리시버 또는 스피커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제1 카메라(121a)은 사용자 등에 대한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기에 적절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제2 바디(100B)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는 제2 프론트 케이스(100B-1)와 제2 리어 케이스(100B-2)에 의해 형성된다. 제2 바디(100B), 구체적으로 제2 프론트 케이스(100B-1)의 전면(front face)에는 제1 조작부(130a)가 배치될 수 있다. 제2 프론트 케이스(100B-1) 또는 제2 리어 케이스(100B-2)) 중 적어도 하나에는 제2 사용자 입력부(130c), 마이크(123), 인터페이스부(170)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사용자 입력부(130a)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는다. 제1 사용자 입력부(130a)에는 조이스틱 키, 터치 패트, 트랙볼, 포인팅 스틱, 핑거 마우스 등과 같이 마우스 기능에 대응하는 기능을 갖는 입력 키가 구비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사용자 입력부(130a, 130c)는 사용자 입력부(manipulating portion)(130)라 통칭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주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의 푸시 또는 터치 조작에 의해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돔 스위치 또는 터치 패드로 구현되거나, 키를 회전시키는 휠 또는 조그 방식이나 조이스틱과 같이 조작하는 방식 등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면에서, 제1 사용자 입력부(130a)는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 숫자 또는 문자, 심볼(symbol) 등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제2 사용자 입력부(130c)는 상기 휴대단말기 내의 특수한 기능을 활성화하기 위한 핫 키(hot-key)로서 작동할 수 있다.
마이크(123)은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받기에 적절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가 외부 기기와 데이터 교환 등을 할 수 있게 하는 통로가 된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부(17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이어폰과 연결하기 위한 접속단자, 근거리 통신을 위한 포트, 또는 휴대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 단자들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또는 UIM(user identity module) 등과 같은 사용자 인증모듈, 정보 저장을 위한 메모리 카드 등의 외장형 카드를 수용하는 카드 소켓일 수도 있다.
제2 리어 케이스(100B-2) 측에는 휴대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190)가 장착된다. 전원공급부(190)는, 예를 들어 충전 가능한 배터리로서,충전 등을 위하여 제2 바디(100B)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3를 참조하면, 제2 바디(100B)의 제2 리어 케이스(100B-2)의 후면에는 제2 카메라(121b)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제2 카메라(121b)는 제1 카메라(121a)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제1 카메라(121a)와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카메라(121a)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화소를 가지며, 제2 카메라(121b)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기에 고 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 바디(100B)의 제2 리어 케이스(100B-2)의 후면에는 제3 사용자 입력부(130d)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제3 사용자 입력부(130d)는 휠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휴대단말기 내에서 스크롤 등의 특수한 기능 키로서 작동할 수 있다.
제2 카메라(121b)에 인접하게는 플래쉬(125)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플래쉬(125)는 제2 카메라(121b)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상기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제2 프론트 케이스(100B-1) 또는 제2 리어 케이스(100B-2)의 내부에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제2 리어 케이스(100B-2)의 일 측에는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105)가 배치될 수 있다. 안테나(105)는 제2 바디(100B)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제1 바디(100A)의 제1 리어 케이스(100A-2) 측에는 제1 바디(100A)와 제2 바디(100B)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는 슬라이드 모듈(100C)의 일 부분이 배치된다. 슬라이드 모듈(100C)의 다른 부분은 제2 바디(100B)의 제2 프론트 케이스(100B-1) 측에 배치되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부로 드러나지 않는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제2 리어 케이스(100B-2)의 일 측에는 특정 기능에 대한 선택 또는 확인 키의 역할을 하는 제4 사용자 입력부(130e)가 배치될 수 있다. 제4 사용자 입력부(130e)는 상기 휴대단말기 내의 특수한 기능을 활성화하기 위한 핫 키(hot-key)로서 작동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제2 카메라(121b) 등이 제2 바디(100B)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2 카메라(121b) 등과 같이 제2 리어 케이스(100B-2)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한 구성들(105, 121b, 125)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제1 바디(100A), 주로는 제1 리어 케이스(100A-2)에 장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구성하는 경우, 닫힌 상태에서 제1 리어케이스(100A-2)에 배치되는 구성들이 제2 바디(100B)에 의해 보호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제2 카메라(121b)이 별도로 구비되지 않더라도, 제1 카메라(121a)을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제2 카메라(121b)의 촬영 방향까지 촬영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4는 종래 휴대 단말기에서 압력센서의 배치를 나타내는 일실시예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력센서(141)는 투명창(400)에 밀착되도록 배치된다. 일반적으로 복수 개의 압력센서(141)는 투명창(400)의 둘레영역과 겹쳐지도록 배치되며, 압력센서(141)와 겹쳐지지 않는 투명창(400)의 내부영역은 디스플레이부(151)의 디스플레이 영역의 역할을 한다. 따라서, 투명창(400)의 내부영역을 통해 메뉴의 실행화면, 이미지, 메뉴아이콘 등이 표시될 수 있다.
압력센서(141)는 투명창(400)을 통해 압력을 갖는 신호, 즉 터치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투명창(400)을 통해 전달되는 압력값을 계산하여 터치신호가 입력되는 압력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둘 이상의 터치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압력값의 편차를 계산하여 중간값을 갖는 위치를 압력위치로 확인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서 압력센서의 배치를 나타내는 일실시예이다.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 도전막(500)에 밀착되도록 배치된다. 일반적으로 복수 개의 압력센서(141)는 투명 도전막(500)의 둘레영역과 겹쳐지도록 배치되며, 압력센서(141)와 겹쳐지지 않는 투명 도전막(500)의 내부영역은 디스플레이부(151)의 디스플레이 영역의 역할을 한다.
투명 도전막(500)은 터치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전하량이 변화하는 투명한 막으로서, 주로 ITO(Indium-Tin-Oxide)를 이용한다. 또한 투명 도전막(500)은 에칭(etching) 등으로 전기적으로 분리된 패턴을 갖는다. 즉, 전하량이 변화할 수 있는 최소 단위 셀(cell)은 서로 절연된 상태이다.
투명 도전막(500)을 구성하는 최소 단위 셀은 압력센서(141)가 압력신호를 감지할 수 있는 최소 단위 셀보다 클 수 있다. 따라서 압력센서(141)가 투명 도전막(500)보다 터치신호를 더 미세하고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으므로, 하나의 터치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압력센서(141)만으로 확인된 압력위치에 대응하는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투명 도전막(500)에서 전하량이 변화하는 최소 단위 셀의 위치를 확인하고, 전하량이 변화하는 최소 단위 셀이 둘 이상인지 확인한다. 전하량이 변화하는 최소 단위 셀이란, 전하량이 소정 범위 이상으로 변화된 최소 단위 셀을 의미할 수 있다.
전하량이 변화하는 최소 단위 셀이 둘 이상인 경우, 제어부(180)는 전하량이 변화하는 최소 단위 셀의 위치에 대응하는 동작을 실행한다. 한편, 전하량이 변화하는 최소 단위 셀이 하나인 경우, 제어부(180)는 압력센서(141)를 통해 확인된 압력위치에 대응하는 동작을 실행한다. 또한, 제어부(180)는 압력센서(141)를 통해 계산된 압력값의 크기에 따라 서로 다른 동작을 실행할 수도 있다.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둘 이상의 터치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투명 도전막(500)에서 전하량이 변화하는 최소 단위 셀이 둘 이상인지 확인하고, 전하량이 변화하는 최소 단위 셀의 위치를 각각 확인한다. 다음 제어부(180)는 전하량이 변화하는 최소 단위 셀의 위치에 대응하는 동작을 실행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압력센서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력센서(141) 및 압력센서(141)와 밀착되어 배치되는 투명 도전막(500)이 구비된다(S600). 다음, 투명 도전막(500)을 통해 터치신호가 입력된다(S605).
다음 제어부(180)는 투명 도전막(500)에서 전하량이 변화되는 최소 단위 셀이 둘 이상인지 판단한다(S610).
S610 판단 결과, 전하량이 변화되는 최소 단위 셀이 둘 이상인 경우, 제어부(180)는 투명 도전막(500)에서 전하량이 변화된 최소 단위 셀의 위치를 각각 확인한다(S615). 제어부(180)는 전하량이 변화된 최소 단위 셀에 대응하는 동작을 실행한다(S620). 예를 들어, 제1 최소 단위 셀의 위치 및 제2 최소 단위 셀의 위치에 해당하는 각각의 동작을 동시에 실행할 수도 있으며, 사용자 설정에 따라 제1 최소 단위 셀의 위치 및 제2 최소 단위 셀의 위치가 동시에 선택되는 경우에만 정의되는 동작을 실행할 수도 있다.
한편, S610 판단 결과, 전하량이 변화되는 최소 단위 셀이 하나인 경우, 제어부(180)는 압력센서(141)를 통해 터치신호의 압력값을 계산하고, 압력위치를 확인한다(S625). 다음, 제어부(180)는 확인된 압력위치에 대응하는 동작을 실행한다(S630). 확인된 압력위치에 대응하는 동작은 S625 단계에서 계산된 압력값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즉, 확인된 압력위치가 동일하더라도 계산된 압력값에 따라 서로 다른 동작이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압력값이 0 내지 1 범위인 경우, 계산된 압력값이 0.2인 경우 음향 출력 모듈(153)의 볼륨값이 작게 조절되며, 계산된 압력값이 0.8인 경우 음향 출력 모듈(153)의 볼륨값이 크게 조절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동작방법을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화면과 함께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의 (a)는 종래 휴대 단말기에서 동작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터치신호가 각각 제1 영역(700) 및 제2 영역(705)을 통해 입력되는 경우, 압력센서를 통해 압력값이 계산되어 제3 영역(710)이 압력위치로 확인되므로, 제3 영역(710)에 표시된 이미지가 선택된다.
도 7의 (b)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서 동작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터치신호가 각각 제1 영역(700) 및 제2 영역(705)을 통해 입력되는 경우, 투명 도전막에서 제1 영역(700) 및 제2 영역(705)에 해당하는 최소 단위 셀의 전하량이 변화하므로, 제1 영역(700) 및 제2 영역(705)에 표시된 이미지가 각각 선택된다. 만약 제1 영역(700)을 통해 하나의 터치신호만 입력되는 경우, 투명 도전막에서 제1 영역(700)에 해당하는 최소 단위 셀의 전하량이 변화하므로, 압력센서에 의해 확인된 압력위치, 즉 제1 영역(700)에 표시된 이미지가 선택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은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은 MSM(Mobile Station Modem) 등과 같이 휴대 단말기에 구비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 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프로세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인터넷을 통한 전송 등과 같은 캐리어 웨이브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블럭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한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
도 4는 종래 휴대 단말기에서 압력센서의 배치를 나타내는 일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서 압력센서의 배치를 나타내는 일실시예,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압력센서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동작방법을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화면과 함께 나타내는 도면이다.

Claims (10)

  1. 터치신호에 의해 전하량이 변화하며, 전하량이 변하는 최소 단위 셀 사이가 전기적으로 분리되어 있는 투명 도전막;
    상기 투명 도전막과 겹쳐지도록 배치되며, 상기 터치신호에 의한 압력값을 계산하여 압력위치를 확인하는 압력센서; 및
    상기 투명 도전막에서 전하량이 변화된 최소 단위 셀이 둘 이상인 경우, 상기 전하량이 변화된 최소 단위 셀의 위치에 대응하는 동작을 실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투명 도전막에서 전하량이 변화된 최소 단위 셀이 하나인 경우, 상기 압력센서를 통해 확인된 압력위치에 대응하는 동작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센서를 통해 확인된 압력위치에 대응하는 동작은 상기 압력센서를 통해 계산된 압력값에 따라 달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도전막은 ITO(Indium-Tin-Oxid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최소 단위 셀은 상기 압력센서가 압력신호를 감지할 수 있는 최소 단위 셀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최소 단위 셀은 에칭(ETCHING)에 의해 서로 전기적으로 분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7. 터치신호에 의해 전하량이 변화하며, 전하량이 변하는 최소 단위 셀 사이가 전기적으로 분리되어 있는 투명 도전막, 및 상기 투명 도전막과 겹쳐지도록 배치되며, 터치신호에 의한 압력값을 계산하여 압력위치를 판단하는 압력센서를 구비하는 단계;
    터치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투명 도전막에서 전하량이 변화된 최소 단위 셀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된 최소 단위 셀이 둘 이상인 경우, 상기 확인된 최소 단위 셀의 위치에 대응하는 동작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동작방법.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된 최소 단위 셀이 하나인 경우, 상기 압력센서를 통해 확인된 압력위치에 대응하는 동작을 실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동작방법.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센서를 통해 확인된 압력위치에 대응하는 동작은 상기 압력센서를 통해 계산된 압력값에 따라 달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동작방법.
  10.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도전막은 ITO(Indium-Tin-Oxid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동작방법.
KR1020090009738A 2009-02-06 2009-02-06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1016378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9738A KR101637879B1 (ko) 2009-02-06 2009-02-06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US12/689,996 US8363022B2 (en) 2009-02-06 2010-01-19 Mobile terminal and operating method of the mobile terminal
EP10000941.4A EP2216708A3 (en) 2009-02-06 2010-01-29 Mobile terminal and operating method of the mobi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9738A KR101637879B1 (ko) 2009-02-06 2009-02-06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0454A true KR20100090454A (ko) 2010-08-16
KR101637879B1 KR101637879B1 (ko) 2016-07-08

Family

ID=418189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9738A KR101637879B1 (ko) 2009-02-06 2009-02-06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363022B2 (ko)
EP (1) EP2216708A3 (ko)
KR (1) KR10163787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23328B2 (en) 2012-10-19 2016-04-26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Touch panel providing tactile feedback in response to variable pressur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18146B2 (en) * 2010-05-10 2014-12-23 Microsoft Corporation Automatic gain control based on detected pressure
CN102402320B (zh) * 2010-09-10 2014-04-09 中国移动通信有限公司 手持终端的控制方法及手持终端
JP5654665B2 (ja) * 2011-02-24 2015-01-14 京セラ株式会社 電子機器
EP2679074A4 (en) * 2011-02-25 2017-06-07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TW201317848A (zh) * 2011-10-24 2013-05-01 Rich Ip Technology Inc 用以整合多組感測平面資料之控制系統
WO2013192539A1 (en) 2012-06-21 2013-12-27 Nextinput, Inc. Wafer level mems force dies
EP2870445A1 (en) 2012-07-05 2015-05-13 Ian Campbell Microelectromechanical load sensor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the same
WO2015106246A1 (en) 2014-01-13 2015-07-16 Nextinput, Inc. Miniaturized and ruggedized wafer level mems force sensors
US9542037B2 (en) * 2015-03-08 2017-01-10 Apple Inc. Device, method, and user interface for processing intensity of touch contacts
CN107848788B (zh) 2015-06-10 2023-11-24 触控解决方案股份有限公司 具有容差沟槽的加固的晶圆级mems力传感器
KR20160149941A (ko) * 2015-06-19 2016-12-2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US11255737B2 (en) 2017-02-09 2022-02-22 Nextinput, Inc. Integrated digital force sensors and related methods of manufacture
WO2018148510A1 (en) 2017-02-09 2018-08-16 Nextinput, Inc. Integrated piezoresistive and piezoelectric fusion force sensor
WO2019018641A1 (en) 2017-07-19 2019-01-24 Nextinput, Inc. STACK OF STRAIN TRANSFER IN A MEMS FORCE SENSOR
WO2019023309A1 (en) 2017-07-25 2019-01-31 Nextinput, Inc. FORCE SENSOR AND INTEGRATED FINGERPRINTS
WO2019023552A1 (en) 2017-07-27 2019-01-31 Nextinput, Inc. PIEZORESISTIVE AND PIEZOELECTRIC FORCE SENSOR ON WAFER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THE SAME
WO2019079420A1 (en) 2017-10-17 2019-04-25 Nextinput, Inc. SHIFT TEMPERATURE COEFFICIENT COMPENSATION FOR FORCE SENSOR AND STRAIN GAUGE
WO2019090057A1 (en) 2017-11-02 2019-05-09 Nextinput, Inc. Sealed force sensor with etch stop layer
US11874185B2 (en) 2017-11-16 2024-01-16 Nextinput, Inc. Force attenuator for force sensor
CN108287649A (zh) * 2017-11-30 2018-07-17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的操作方法、装置和移动终端
US10962427B2 (en) 2019-01-10 2021-03-30 Nextinput, Inc. Slotted MEMS force senso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035461A1 (en) * 2000-10-27 2002-05-02 Elo Touchsystems, Inc. Dual sensor touchscreen utilizing projective-capacitive and force touch sensors
KR20040062956A (ko) * 2001-11-01 2004-07-09 임머숀 코퍼레이션 촉각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040063142A (ko) * 2001-11-08 2004-07-12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멀티포인트 터치 패드
KR20070011450A (ko) * 2004-05-06 2007-01-24 애플 컴퓨터, 인크. 다지점 인식 터치 화면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15285A (en) * 1993-01-21 1999-06-22 Optical Coating Laboratory, Inc. Transparent strain sensitive devices and method
US6377685B1 (en) * 1999-04-23 2002-04-23 Ravi C. Krishnan Cluster key arrangement
US7009663B2 (en) * 2003-12-17 2006-03-07 Planar Systems, Inc. Integrated optical light sensitive active matrix liquid crystal display
NZ582991A (en) * 2004-06-04 2011-04-29 Keyless Systems Ltd Using gliding stroke on touch screen and second input to choose character
US9019209B2 (en) * 2005-06-08 2015-04-28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Touch location determination involving multiple touch location processes
US7920225B2 (en) * 2006-02-09 2011-04-05 Nissha Printing Co., Ltd. Electronic apparatus with protective panel
US7511702B2 (en) * 2006-03-30 2009-03-31 Apple Inc. Force and location sensitive display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035461A1 (en) * 2000-10-27 2002-05-02 Elo Touchsystems, Inc. Dual sensor touchscreen utilizing projective-capacitive and force touch sensors
KR20040062956A (ko) * 2001-11-01 2004-07-09 임머숀 코퍼레이션 촉각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040063142A (ko) * 2001-11-08 2004-07-12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멀티포인트 터치 패드
KR20070011450A (ko) * 2004-05-06 2007-01-24 애플 컴퓨터, 인크. 다지점 인식 터치 화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23328B2 (en) 2012-10-19 2016-04-26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Touch panel providing tactile feedback in response to variable pressur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363022B2 (en) 2013-01-29
EP2216708A2 (en) 2010-08-11
EP2216708A3 (en) 2014-04-09
US20100201643A1 (en) 2010-08-12
KR101637879B1 (ko) 2016-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7879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101480559B1 (ko) 휴대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 이용한 정보 표시 방법
KR101443341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제어 방법
US8423089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the same
KR20090032559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00025360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20100081161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20090111040A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기능 수행 방법
KR20090117025A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정보 알림 방법
KR20100050319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101488991B1 (ko) 휴대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화면 제공 방법
KR20090112440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101521220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20100034592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101415764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메뉴 위치 이동 방법
KR101595381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의 제스처 입력 처리방법
KR20150041917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090122010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101507813B1 (ko) 터치 센서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20090075529A (ko) 터치스크린의 감도를 조절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 및 그제어방법
KR20100133245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10013766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제어 방법
KR20140147530A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150045264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00027503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50305

Effective date: 20160412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