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90207A - 표시 장치, 구동 방법 및 조명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구동 방법 및 조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90207A
KR20100090207A KR1020100010340A KR20100010340A KR20100090207A KR 20100090207 A KR20100090207 A KR 20100090207A KR 1020100010340 A KR1020100010340 A KR 1020100010340A KR 20100010340 A KR20100010340 A KR 20100010340A KR 20100090207 A KR20100090207 A KR 201000902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pulse width
display device
demultiplexer
emitting di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03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헤겐 도미니크
Original Assignee
이큐 컨트롤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큐 컨트롤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이큐 컨트롤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000902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020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20Controlling the colour of the ligh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30Driver circuits
    • H05B45/37Converter circu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40Details of LED load circuits
    • H05B45/44Details of LED load circuits with an active control inside an LED matrix
    • H05B45/46Details of LED load circuits with an active control inside an LED matrix having LEDs disposed in parallel lines

Landscapes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Led Devices (AREA)
  • Control Of El Displays (AREA)

Abstract

표시 장치가 제공되며, 상기 표시 장치는 펄스 폭 변조 회로(1); 적어도 하나의 신호 입력부(21) 및 적어도 2개의 신호 출력부들(22)을 포함하는 역 다중화기(2); 그리고 상기 역 다중화기의 신호 출력부(22)와 각각 결합된 적어도 2개의 발광 다이오드들(3)을 포함하고, 이 때 상기 신호 입력부(21)는 상기 펄스 폭 변조 회로(1)와 결합된다.

Description

표시 장치, 구동 방법 및 조명 장치{DISPLAY APPARATUS, OPERATING METHOD AND LIGHTING APPARATUS}
표시 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그러한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도 제공된다. 마지막으로, 그러한 표시 장치 및 적어도 하나의 등(lamp)을 포함한 조명 장치도 제공된다.
표시 장치와, 구동 방법 및 조명 장치에 대한 기술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특히 전류 절약적으로 구동할 수 있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과제는 특히 전류 절약적인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기도 하다.
표시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표시 장치를 이용하면, 예컨대, 연결된 기구의 동작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표시 장치는, 사용자가 기구를 작동시키고 제어할 수 있기 위해 사용하는 작동 장치(operating apparatus)의 일부일 수 있다.
표시 장치의 적어도 일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는 펄스 폭 변조 회로를 포함한다. 펄스 폭 변조 회로는 펄스 폭 변조된 신호를 생성한다. 펄스 폭 변조된 신호는, 연결된 기구가 펄스 폭 변조 회로에 의해 전류를 공급받는 턴온 시간 및 상기 연결된 기구가 예컨대 전류를 공급받지 못하는 턴오프 시간을 포함한다.
표시 장치의 적어도 일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는 역 다중화기(demultiplexer)를 포함한다. 역 다중화기는 적어도 하나의 신호 입력부 및 적어도 2개의 신호 출력부들을 포함한다. 예컨대, 역 다중화기는 정확히 하나의 신호 입력부 및 다수의 신호 출력부들을 포함한다. 어느 경우에서도, 역 다중화기는 신호 입력부보다 신호 출력부를 더 많이 포함한다. 역 다중화기를 이용하면, 입력 신호는 복수 개의 출력부들 중 정확히 하나에 접속된다.
표시 장치의 적어도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역 다중화기는 신호 입력부에서 펄스 폭 변조 회로와 결합된다. 즉, 펼스 폭 변조 회로로부터 생성되는 펄스 폭 변조된 신호는 신호 입력부를 경유하여 역 다중화기에 주입된다.
표시 장치의 적어도 일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는 적어도 2개의 발광 다이오드들을 포함하며, 상기 발광 다이오드들 각각은 역 다중화기의 신호 출력부와 결합된다. 즉, 발광 다이오드는 역 다중화기에 의해 동작 전류를 공급받는다. 역 다중화기는 펄스 폭 변조 회로의 입력 신호를 발광 다이오드와 결합된 신호 출력부들 중 하나에 접속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발광 다이오드들은 펄스 폭 변조된 신호를 이용하여 전류를 공급받는다.
표시 장치의 적어도 일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는 펄스 폭 변조 회로 및 역 다중화기를 포함하고, 상기 역 다중화기는 적어도 하나의 신호 입력부 및 적어도 2개의 신호 출력부들을 포함하며, 상기 신호 입력부는 펄스 폭 변조 회로와 결합된다. 표시 장치는 적어도 2개의 발광 다이오드들을 더 포함하며, 상기 발광 다이오드들은 각각 역 다중화기의 신호 출력부와 결합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표시 장치는 특히 이하의 개념을 이용한다: 예컨대 복수 개의 연결된 기구들의 동작 상태를 표시해야 할 표시 장치는 동작 상태의 표시를 위해 다수의 발광 다이오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제 표시 장치의 전체 발광 다이오드들이 동시에 전류를 공급받으면, 표시 장치는 상대적으로 높은 전력을 소모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표시 장치는 특히, - 잔상(persistence of vision)으로 인해- 표시 장치의 발광 다이오드들이, 관찰자가 상기 발광 다이오드들에 대해 동시에 발광하고 있는 것으로 인지하도록 하기 위해, 반드시 동시에 동작할 필요는 없다는 인식에 근거한다. 오히려, 발광 다이오드들 중 하나만 동작하고, 반면 나머지 발광 다이오드들이 전류 공급되지 않는 것으로도 충분하다.
표시 장치의 발광 다이오드들은 각각 교번적으로 동작하고, 상기 발광 다이오드들의 동작이 빠른 순서로 구현되면, 관찰자에게는 표시 장치의 전체 발광 다이오드들이 동시에 발광하는 것으로 인지된다. 그러나, 실제로 하나의 발광 다이오드만 발광하는 것이므로, 이 때의 전력 소비는, 전체 발광 다이오드들이 동시에 동작할 때 있을 수 있는 표시 장치의 전력 소비의 1/n로 감소한다. 이 때 n은 표시 장치의 발광 다이오드들의 수이다.
표시 장치의 적어도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역 다중화기는 제어 입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입력부는 펄스 폭 변조 회로의 제어 입력부와 결합된다. 역 다중화기 및 펄스 폭 변조 회로의 결합에 의해, 역 다중화기 및 펄스 폭 변조 회로가 서로 동기화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예컨대, 표시 장치의 각 발광 다이오드가 상기 발광 다이오드를 위해 결정된 펄스 폭 변조된 신호로 동작하는 것이 보장될 수 있다. 또한, 역 다중화기가 신호 출력부로부터 그 다음 차례의 신호 출력부로, 즉 하나의 발광 다이오드로부터 그 다음 차례의 발광 다이오드로 접속되는 단계는 펄스 폭 변조된 신호의 턴오프 시간동안 실행되는 것이 보장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발광 다이오드의 턴온 시 불편한 눈부심이 방지될 수 있다.
표시 장치의 적어도 일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의 각 발광 다이오드는 적어도 2개의 발광 다이오드칩들을 포함한다. 예컨대, 각 발광 다이오드는 적색광을 방출하는 발광 다이오드칩, 녹색광을 방출하는 발광 다이오드칩 및 청색광을 방출하는 발광 다이오드칩을 포함한다. 각 발광 다이오드칩은 역 다중화기의 신호 출력부와 일대일 방식으로 결합된다. 즉, 상기 실시예에서, 역 다중화기의 각 신호 출력부에 정확히 하나의 발광 다이오드칩이 부속하고, 각 발광 다이오드칩에는 역 다중화기의 정확히 하나의 신호 출력부가 부속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발광 다이오드의 발광 다이오드칩들은 상호 간에 무관하게 동작할 수 있다. 예컨대, RGB 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하면, 발광 다이오드로부터 생성된 광의 특정한 색도 좌표를 조절할 수 있다.
표시 장치의 적어도 일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의 전력 소모가 최대 0.5 W이다. 표시 장치는 8 개 이상의 발광 다이오드들을 포함한다. 이는 특히, 표시 장치의 발광 다이오드들이 동시에 동작하지 않고, 순차적으로 동작함으로서 가능해진다.
또한, 적어도 2개의 발광 다이오드들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표시 장치는 예컨대 본 명세서에 기재된 표시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즉, 표시 장치와 관련하여 기술된 전체 특징들은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과 관련하여서도 개시되고, 그 반대의 경우도 가능하다.
방법의 적어도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방법은 펄스 폭 변조된 신호가 생성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신호는 턴온 시간 및 턴오프 시간을 포함한다. 특히, 펄스 폭 변조된 신호는 여러 턴온 및 턴오프 시간을 포함하고, 상기 시간은 예컨대 주기적으로 연속한 순서를 가진다.
예컨대, 적어도 2개의 발광 다이오드들은 펄스 폭 변조된 신호를 이용하여 동작한다.
턴온 시간에는 발광 다이오드들 중 하나가 순방향 전압으로 전류 공급받고, 턴오프 시간에는 발광 다이오드가 전류 공급받지 않거나, 적은 전류 세기로 역방향으로 전류 공급받는다. 펄스 폭 변조된 신호는 펄스 폭 변조 회로를 이용하여 생성된다.
방법의 적어도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방법은 펄스 폭 변조된 신호가 역 다중화기로 안내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예컨대, 펄스 폭 변조 회로의 신호 출력부는 역 다중화기의 신호 입력부와 결합된다.
방법의 적어도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방법은 펄스 폭 변조 회로 및 역 다중화기가 동기화되되, 역 다중화기로부터의 펄스 폭 변조된 신호가 턴오프 시간 동안 적어도 2개의 발광 다이오드들 중 하나의 발광 다이오드에 안내되도록 동기화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즉, 역 다중화기는 예컨대 순차적으로 표시 장치의 발광 다이오드들을 상호 접속시키며, 상기 발광 다이오드들을 각각 상기 역 다중화기의 신호 출력부들과 결합시킨다. 일 발광 다이오드로부터 다른 발광 다이오드로의 접속은 펄스 폭 변조된 신호의 턴오프 시간동안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방식으로, 일 발광 다이오드가 그 다음 차례의 발광 다이오드로 접속될 때 불편한 눈부심이 방지될 수 있다.
즉, 방법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일 발광 다이오드로부터 그 다음 차례의 발광 다이오드로 접속되는 중에 눈부심이 발생하지 않는다. 상기 다음 차례의 발광 다이오드는 시간적으로 상기 접속 이후에 비로소 펄스 폭 변조된 신호에 의해 턴온되고, 선행한 발광 다이오드로부터 그 다음 차례의 발광 다이오드로 접속되는 동안에는 턴온되지 않는다.
적어도 2개의 발광 다이오드들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에 대한 적어도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방법은 이하의 단계들을 포함하며, 특히 이하의 순서대로 포함한다:
- 펄스 폭 변조 회로를 이용하며 턴온 시간 및 턴오프 시간을 포함하는 펄스 폭 변조된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 상기 펄스 폭 변조된 신호를 역 다중화기에 안내하는 단계;
- 상기 펄스 폭 변조 회로 및 역 다중화기를 동기화하여, 상기 역 다중화기로부터의 펄스 폭 변조된 신호를 턴오프 시간동안 일 발광 다이오드로부터 상기 적어도 2개의 발광 다이오드들로 안내하는 단계.
방법의 적어도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발광 다이오드들 중 적어도 하나는 적어도 2개의 발광 다이오드칩들을 포함한다. 예컨대, 표시 장치의 전체 발광 다이오드들은 소위 RGB 발광 다이오드들을 의미하며, 상기 발광 다이오드들은 각각 적색광, 청색광 및 녹색광을 방출하는 발광 다이오드칩을 포함한다. 발광 다이오드칩마다, 펄스 폭 변조된 신호가 발광 다이오드에 안내된다. 이 때, 동시에 발광 다이오드의 각 발광 다이오드칩에 하나의 펄스 폭 변조된 신호가 전달됨으로써, 발광 다이오드의 발광 다이오드칩들이 동시에 동작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펄스 폭 변조 회로는 예컨대, 3개의 서로 다른 펄스 폭 변조된 신호들을 동시에 생성하기에 적합하다. 일 발광 다이오드로부터 그 다음 차례의 발광 다이오드로의 접속 시, 3개의 펄스 폭 변조된 신호들은 역 다중화기의 3개의 제1신호 출력부들로부터 역 다중화기의 3개의 제2신호 출력부들에 위치한다.
또는, 발광 다이오드의 발광 다이오드칩들이 순차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즉, 역 다중화기는 개별 발광 다이오드들간을 상호 접속시킬뿐만 아니라, 개별 발광 다이오드칩들간에도 상호 접속시킨다. 이러한 방식으로, 각각 하나의 단일 발광 다이오드칩만 특정한 시간에 전류를 공급받으므로, 표시 장치는 매우 에너지 절약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방법의 적어도 일 실시예에 따르면, 펄스 폭 변조된 신호는 역 다중화기로부터 순차적으로 상기 적어도 2개의 발광 다이오드들로 안내된다. 즉, 표시 장치의 발광 다이오드들은 차례로 개별 동작하며, 표시 장치의 발광 다이오드들 중 어떠한 것도 표시 장치의 다른 발광 다이오드와 동일한 시간에 동작하지 않는다. 이 때,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발광 다이오드들의 발광 다이오드칩들도 마찬가지로 개별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방법의 적어도 일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의 적어도 2개의 발광 다이오드들의 발광 다이오드칩들은 펄스 폭 변조된 신호의 턴온 시간동안 각각 최대 허용 전류 세기로 동작한다. 표시 장치의 발광 다이오드들 및/또는 발광 다이오드칩들의 순차적 동작에 의해, 상기 발광 다이오드로부터 생성된 광은, 전체 발광 다이오드들이 동시에 동작하는 경우보다 전체적으로 덜 밝게 보인다.
이러한 밝기차를 보상하기 위해, 발광 다이오드들은 상기 발광 다이오드들이 동작하는 짧은 시간동안 상기 발광 다이오드를 위해 허용된 최대 전류 세기로 동작한다. 발광 다이오드 내지 발광 다이오드칩의 동작은 항상 짧게 이루어지므로, 발광 다이오드의 유효 수명은 거의 또는 전혀 부정적 영향을 받지 않는다.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순차적 동작에 따른 밝기 손실도 이러한 처리 방안에 의해, 관찰자가 밝기 감쇄를 거의 확인할 수 없을 정도로 보상될 수 있다.
또한, 조명 장치 및 표시 장치도 제공된다. 이는 바람직하게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표시 장치를 의미하므로, 상기 표시 장치와 관련하여 기재된 전체 특징들은 조명 장치와 관련하여서도 개시된다.
조명 장치는 표시 장치외에 상기 표시 장치와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등을 포함하며, 이 때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등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도록 예쩡된다. 이 때, 표시 장치는 예컨대 상기 등에 의해 생성된 광의 색도 좌표, 색 온도 및/또는 밝기를 표시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의 표시 장치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2는 본 실시예의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이하, 본 명세서에 기재된 표시 장치, 본 명세서에 기재된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및 본 명세서에 기재된 조명 장치는 실시예들 및 그에 속한 도면들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된다.
동일하거나, 동일한 종류이거나 동일하게 작용하는 부재들은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 번호를 가진다. 도면들 및 상기 도면들에 도시된 부재들의 상호 간 크기 비율은 축척에 맞는 것으로 볼 수 없다. 오히려, 개별 부재들은 더 나은 표현 및/또는 더 나은 이해를 위해 과장되어 확대 도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표시 장치의 제1실시예를 개략도로 도시한다. 표시 장치는 펄스 폭 변조 회로(1)를 포함한다. 펄스 폭 변조 회로(1)는 신호 출력부(12) 및 제어 입력부(13)를 포함한다.
펄스 폭 변조 회로(1)는 펄스 폭 변조된 신호(10)를 생성한다. 펄스 폭 변조된 신호(10)는 턴온 시간(t1) 및 턴오프 시간(t2)을 포함한다. 예컨대, 펄스 폭 변조된 신호(10)는 장방형 임펄스(rectangular impulse) 방식으로 형성된다.
표시 장치는 역 다중화기(2)를 더 포함한다. 역 다중화기(2)는 신호 입력부(21)를 포함한다. 또한, 역 다중화기(2)는 다수의 신호 출력부들(22)을 포함한다. 마지막으로, 역 다중화기는 제어 입력부(23)를 포함한다.
펄스 폭 변조 회로(1) 및 역 다중화기(2)는 펄스 폭 변조 회로(1)의 신호 출력부(12) 및 역 다중화기(2)의 신호 입력부(21)에 의해 상호 결합된다.
또한, 펄스 폭 변조 회로(1) 및 역 다중화기(2)는 제어 입력부들(13, 23)에 의해 결합된다. 이를 통해, 펄스 폭 변조 회로(1) 및 역 다중화기(2) 사이에 조정 회로(4)가 생성된다.
또한, 표시 장치는 다수의 발광 다이오드들(3)을 포함한다. 상기에서 발광 다이오드들(3)이란, 3개의 발광 다이오드칩들(30)을 포함하고 상기 발광 다이오드칩들 중 하나는 동작 시 적색광을, 하나는 청색광을, 그리고 하나는 녹색광을 생성하는 RGB 발광 다이오드들을 의미한다. 신호 출력부들(22)에 의해, 발광 다이오드칩(30) 각각은 역 다중화기(2)와 일대일 방식으로 결합된다. 즉, 신호 출력부들(22)의 수는 예컨대 표시 장치의 발광 다이오드들(3)의 수의 3배에 상응한다.
표시 장치의 동작 시, 펄스 폭 변조 회로(1)로부터 펄스 폭 변조된 신호(10)가 생성된다. 펄스 폭 변조된 신호(10)는 신호 입력부(21)에 의해 역 다중화기(2)에 주입되며, 상기 역 다중화기는 펄스 폭 변조된 신호(10)를 신호 출력부들(22) 중 정확히 하나에 접속시킴으로써, 접속된 상태의 펄스 폭 변조된 신호(20)는 발광 다이오드칩들(30) 중 하나에 송출된다.
조정 회로(4)에 의해, 역 다중화기(2) 및 펄스 폭 변조 회로(1)는 상호 동기화됨으로써, 일 발광 다이오드칩(30)으로부터 그 다음 차례의 발광 다이오드칩(30)으로의 전환은 각각 턴오프 시간(t2)동안 수행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전환 공정 시, 발광 다이오드칩들(30)에 따른 불편한 눈부심이 방지된다. 발광 다이오드칩들(30)은 차례로, 즉 순차적으로, 빠른 순서로 각각 펄스 폭 변조된 신호를 받음으로써, 관찰자는 잔상에 의해 상기 접속을 인지하지 못한다.
도 1과 관련하여 기재된 실시예와 달리, 펄스 폭 변조 회로(1)는 복수 개의 펄스 폭 변조된 신호들(10)을 생성할 수 있고, 이 때 신호들(10)의 수는 발광 다이오드마다 발광 다이오드칩(30)의 수에 상응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단일 발광 다이오드의 발광 다이오드칩들(30)은 각각 동시에 동작할 수 있어서, 개별 발광 다이오드칩들간의 순차적 전환이 아니라, 개별 발광 다이오드들간의 순차적 전환이 실행된다.
도 2와 관련하여, 본 명세서에 기재된 조명 장치의 실시예가 상세히 설명된다.
도 2는 예컨대 도 1과 관련하여 상세히 설명된 바와 같은 표시 장치(100)를 도시한다. 표시 장치(100)는 12개의 개별 발광 다이오드들(3)을 포함하고, 상기 발광 다이오드들은 각각 관찰창(140) 뒤에 배치된다. 표시 장치는 작동 부재들(120)이 배치되어 있는 작동 영역(31)을 포함하고, 상기 작동 부재들은 작동 영역(31)의 접촉을 이용하여 활성화될 수 있다. 예컨대, 작동 영역(31)은 유리 표면을 의미하는데, 상기 유리 표면의 후측에서 캐패시터 스위치들(capacitive switchs)이 작동 부재들(120)의 영역에 배치되어 있다. 그러한 작동 영역을 포함한 작동 장치는 예컨대 문헌 DE 10 2005 059 067 A1 및 DE 10 2007 017 335 A1에 상세히 설명되어 있으며, 이는 명백하게 참조로 포함된다.
표시 장치는 하나 이상의 등(200)과 결합되고, 상기 등은 각각 다수의 발광 다이오드들(201)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장치의 발광 다이오드들(3)을 이용하면 상기 등(200)의 동작 상태가 표시될 수 있다. 예컨대, 각각의 작동 부재에는 정확히 하나의 등이 부속할 수 있고, 상기 등의 동작 상태는 발광 다이오드(3)를 통해 표시된다.
본 발명은 실시예들에 의거한 기재에 의해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오히려 본 발명은 각각의 새로운 특징 및 특징들의 각 조합을 포함하고, 이는 특히 특허 청구 범위에서의 특징들의 각 조합을 포함하며, 비록 이러한 특징 또는 이러한 조합이 그 자체로 명백하게 특허 청구 범위 또는 실시예들에 제공되지 않더라도 그러하다.
본 특허 출원은 독일 특허 출원 10 2009 007 504.6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이의 개시 내용은 참조로 포함된다.

Claims (10)

  1. 적어도 2개의 발광 다이오드들(3)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에 있어서,
    - 펄스 폭 변조 회로(1)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턴온 시간(t1) 및 적어도 하나의 턴오프 시간(t2)을 포함하는 펄스 폭 변조된 신호(10)를 생성하는 단계;
    - 상기 펄스 폭 변조된 신호(10)를 역 다중화기(2)에 안내하는 단계; 및
    - 상기 펄스 폭 변조 회로(1) 및 역 다중화기(2)를 동기화하여, 상기 역 다중화기(2)로부터의 펄스 폭 변조된 신호(10)를 상기 펄스 폭 변조된 신호(10)의 턴오프 시간(t2) 동안 상기 적어도 2개의 발광 다이오드들 중 하나의 발광 다이오드(3)에 안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다이오드들(3) 중 적어도 하나는 적어도 2개의 발광 다이오드칩들(30)을 포함하고, 발광 다이오드칩(30) 마다 펄스 폭 변조된 신호(10)는 상기 발광 다이오드(3)에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펄스 폭 변조된 신호(10)는 상기 역 다중화기(2)로부터 순차적으로 상기 적어도 2개의 발광 다이오드들(3)에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2개의 발광 다이오드들(3)의 발광 다이오드칩들(30)은 상기 펄스 폭 변조된 신호(10)의 턴온 시간(t1)에 각각 최대 허용 전류 세기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펄스 폭 변조 회로(1);
    적어도 하나의 신호 입력부(21) 및 적어도 2개의 신호 출력부들(22)을 포함하는 역 다중화기(2); 및
    - 상기 역 다중화기의 신호 출력부(22)와 각각 결합된 적어도 2개의 발광 다이오드들(3)을 포함하고, 상기 신호 입력부(21)는 상기 펄스 폭 변조 회로(1)와 결합되고, 상기 역 다중화기(2)는 상기 신호 입력부들(21)보다 더 많은 수의 신호 출력부들(2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역 다중화기(2)는 상기 펄스 폭 변조 회로(1)의 제어 입력부(13)와 결합되는 제어 입력부(2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각각의 발광 다이오드(3)는 적어도 2개의 발광 다이오드칩들(30)을 포함하고, 상기 각각의 발광 다이오드칩(30)은 상기 역 다중화기(2)의 신호 출력부(22)와 일대일 방식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8.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는 적어도 8개의 발광 다이오드들(3)을 포함하고, 전력 소모는 최대 0.5 W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9. - 제5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표시 장치(100); 및
    - 상기 표시 장치(100)와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등(200)을 포함하고, 상기 표시 장치(10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등(200)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도록 예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장치.
  10.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청구항 5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표시 장치(100)를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100010340A 2009-02-05 2010-02-04 표시 장치, 구동 방법 및 조명 장치 KR2010009020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9007504A DE102009007504A1 (de) 2009-02-05 2009-02-05 Anzeigevorrichtung, Betriebsverfahren und Beleuchtungsvorrichtung
DE102009007504.6 2009-02-0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0207A true KR20100090207A (ko) 2010-08-13

Family

ID=420914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0340A KR20100090207A (ko) 2009-02-05 2010-02-04 표시 장치, 구동 방법 및 조명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358219B2 (ko)
EP (1) EP2217040B1 (ko)
KR (1) KR20100090207A (ko)
CN (1) CN101800028B (ko)
DE (1) DE10200900750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7102467A1 (de) 2017-02-08 2018-08-09 Osram Opto Semiconductors Gmbh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lichtemittierenden Vorrichtung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83553A (en) * 1975-05-12 1976-09-28 General Motors Corporation Appliance remote touch-control panel with sound system
CA2063744C (en) * 1991-04-01 2002-10-08 Paul M. Urbanus Digital micromirror device architecture and timing for use in a pulse-width modulated display system
US5351685A (en) * 1991-08-05 1994-10-04 Nellcor Incorporated Condensed oximeter system with noise reduction software
AU667199B2 (en) * 1991-11-08 1996-03-14 Physiometrix, Inc. EEG headpiece with disposable electrodes and apparatus and system and method for use therewith
EP0844464B1 (en) * 1996-11-21 2003-05-07 Omron Corporatio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measured variables
US6188181B1 (en) * 1998-08-25 2001-02-13 Lutron Electronics Co., Inc. Lighting control system for different load types
DE29816331U1 (de) * 1998-09-15 1998-12-10 Dambach Werke Gmbh Leuchtdiodenmatrix-Anzeigevorrichtung
US6217188B1 (en) * 1999-03-04 2001-04-17 Ani-Motion, Inc. Color changeable fiber-optic illuminated display
DE10140331C2 (de) * 2001-08-16 2003-11-06 Siemens Ag Lichtzeichen zur Verkehrssteuerung und Verfahren zur Funktionsüberwachung eines solchen Zeichens
DE102004003698B4 (de) * 2004-01-24 2005-11-24 Preh Gmbh Schaltungsanordnung zur Ansteuerung von Leuchtmitteln
US20050269580A1 (en) * 2004-06-04 2005-12-08 D Angelo Kevin P Single wire serial protocol for RGB LED drivers
US20060261794A1 (en) * 2005-05-17 2006-11-23 May Marcus W Method & apparatus for DC-DC regulation with improved transient function
KR100661661B1 (ko) * 2005-07-01 2006-12-2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DE102005059067B4 (de) 2005-12-08 2014-07-10 FELA GmbH Kapazitive Tastatureinrichtung
KR20080073464A (ko) * 2007-02-06 2008-08-11 삼성전자주식회사 광원 구동 장치,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들의구동 방법
DE102007017335C5 (de) 2007-04-11 2017-04-27 FELA GmbH Beleuchtungseinheit mit einer transparenten Trägerplatte und daraufsitzender Leuchtdiode
US20090033612A1 (en) * 2007-07-31 2009-02-05 Roberts John K Correction of temperature induced color drift in solid state lighting displays
DE102007040111B3 (de) 2007-08-24 2008-10-23 Siemens Ag Verfahren zur Inbetriebsetzung eines Beleuchtungssystem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217040A1 (de) 2010-08-11
DE102009007504A1 (de) 2010-08-12
CN101800028B (zh) 2014-08-20
CN101800028A (zh) 2010-08-11
US20100194580A1 (en) 2010-08-05
US8358219B2 (en) 2013-01-22
EP2217040B1 (de) 2013-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81230B2 (ja) 制御される発光体のアレイを有する照明装置
US8994615B2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driving solid-state illumination sources
JP4602194B2 (ja) バックライト駆動回路及びこれを具備した液晶表示装置
KR101006381B1 (ko) 발광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042772B1 (ko) 색상 램프 구동 방법 및 그 장치
US20060125774A1 (en) Lighting devic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mobile terminal device and its controlling method
TWI450250B (zh) 顯示裝置之背光模組及其控制方法
KR20090009436A (ko) 엘이디 백라이트
WO2014017384A1 (ja) 表示装置
RU2012120342A (ru) Способ регулирования мощности светоизлучающего устройства для отображения изображений, светоизлуча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тображения изображений, устройство отображения и телевизионный приемник
KR20050051071A (ko) 백라이트 구동회로
US20040042234A1 (en) Backlight device
JP4207986B2 (ja) 蛍光表示装置とその駆動方法
TWI723837B (zh) 電流驅動裝置
US20100194792A1 (en) Illumination unit and method for driving the illumination unit
KR20100090207A (ko) 표시 장치, 구동 방법 및 조명 장치
JP2008276038A (ja) Led駆動素子、バックライト装置、及びバックライト装置の駆動方法
JP6080710B2 (ja) 表示器
KR20100051343A (ko) Led 조명 시스템
TWI606749B (zh) 發光控制電路及具有該發光控制電路之主機板
CN101101403A (zh) 视频控制led背光源及其控制方法
US9642228B2 (en) Light-emitting element driving circuit system
CN220020584U (zh) 背光源、背光系统、显示装置及抬头显示装置
JP2017111545A (ja) 表示装置
TW202115707A (zh) 畫素陣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