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89620A - 문자 입력 방법 및 그 단말기 - Google Patents

문자 입력 방법 및 그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89620A
KR20100089620A KR1020090008953A KR20090008953A KR20100089620A KR 20100089620 A KR20100089620 A KR 20100089620A KR 1020090008953 A KR1020090008953 A KR 1020090008953A KR 20090008953 A KR20090008953 A KR 20090008953A KR 20100089620 A KR20100089620 A KR 201000896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acter
terminal
information
input
stro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89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53411B1 (ko
Inventor
허성민
Original Assignee
허성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성민 filed Critical 허성민
Priority to KR10200900089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3411B1/ko
Publication of KR201000896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96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34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34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46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the device orientation or free movement in a 3D space, e.g. 3D mice, 6-DOF [six degrees of freedom] pointers using gyroscopes, accelerometers or tilt-sen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33Hand-held trans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문자 입력 방법 및 그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문자 입력 기능을 제공하는 단말기에 있어서, 단말기는 마우스 장치, 모션센서 및 문자 인식 장치를 내장형으로 포함하되, 문자 인식 장치는, 마우스 장치 및 모션센서를 통해, 사용자 필기의 패턴 정보를 감지하고, 감지된 패턴 정보에 근거하여 문자를 인식하고, 인식된 문자에 대한 입력 처리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기능을 제공하는 단말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버튼 형식의 키패드를 사용하지 않는 것은 물론, 마우스나 스타일러스 펜 등의 입력 장치를 외장형으로 단말기와 함께 구비하지 않고도, 실제로 종이에 문자를 필기하는 방식으로 문자 입력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단말기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문자 입력, 마우스, 모션센서

Description

문자 입력 방법 및 그 단말기{Method and Terminal for Inputting Character}
본 발명은 문자 입력 방법 및 그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버튼 형식의 키패드를 사용하지 않는 것은 물론, 마우스나 스타일러스 펜 등의 입력 장치를 외장형으로 단말기와 함께 구비하지 않고도, 실제로 종이에 문자를 필기하는 방식으로 문자 입력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문자 입력 방법 및 그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요즈음, 많은 사용자들은 휴대폰 등의 단말기에 장착된 키패드를 통해 문자 메시지, 메모 등의 문자를 입력하는 기능을 빈번히 사용한다. 이러한 사용자들 중에는 휴대폰 등의 단말기에 장착된 키패드의 조작에 대해 불편함을 느끼는 사용자들이 많이 있다. 특히, 단말기에 장착된 키패드는 단말기 제조사마다 키패드 구조, 즉, 문자 할당 방식이 각기 다르기 때문에, 설사 키패드의 조작이 익숙한 사용자라 할지라도 제조사가 다른 단말기에서 문자 입력을 하는 경우에는 문자 입력에 대하여 불편함을 느낄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요즈음, PDA, 휴대폰 등의 단말기 중에는, 필기 인식 기능을 통한 문 자 입력 방법을 제공하는 단말기가 있는데, 이 경우, 사용자가 마우스 또는 스타일러스 펜 등의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단말기의 화면에 실제로 글씨를 종이에 쓰는 것처럼 필기하면, 이러한 단말기는 필기 인식 기능을 수행하여 사용자가 화면에 필기한 문자를 인식하여 문자 입력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하지만, 이러한 필기 인식 기능을 제공하는 단말기를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수단이 되는 마우스 또는 스타일러스 펜 등의 입력 장치를 해당 단말기와 함께 항상 구비해야만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만약 사용자가 마우스 또는 스타일러스 펜 등의 입력 장치를 분실한 경우에는 문자 입력을 하기 어려운 문제점을 초래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필기 인식 기능을 통한 문자 입력 방법은, 기본적으로 단말기에 터치 스크린 방식의 화면이 구비된 경우에만 가능하다는 제한적인 특징이 있기 때문에, 터치 스크린 방식의 화면을 구비하지 못한 단말기에는 이러한 필기 인식 기능을 통한 문자 입력 방법을 적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버튼 형식의 키패드를 사용하지 않는 것은 물론, 마우스나 스타일러스 펜 등의 입력 장치를 외장형으로 단말기와 함께 구비하지 않고도, 실제로 종이에 문자를 필기하는 방식으로 문자 입력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단말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버튼 형식의 키패드를 사용하지 않는 것은 물론, 터치 스크린 방식의 화면이 구비되지 않은 단말기에서도, 실제로 종 이에 문자를 필기하는 방식으로 문자 입력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단말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문자 입력 기능을 제공하는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마우스 장치, 모션센서 및 문자 인식 장치를 내장형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문자 인식 장치는, 상기 마우스 장치 및 상기 모션센서를 통해, 사용자 필기의 패턴 정보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패턴 정보에 근거하여 문자를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문자에 대한 입력 처리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단말기가 제공하는 문자 입력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에 내장형으로 포함된 마우스 장치 및 모션센서를 통해, 감지된 사용자 필기의 패턴 정보에 근거하여 문자를 인식하는 문자 인식 단계; 및 상기 인식된 문자에 대한 입력 처리를 수행함으로써 상기 인식된 문자는 화면에 출력하는 문자 입력 처리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가 제공하는 문자 입력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문자 입력 기능을 제공하는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입력 장치, 단말기 움직임 감지 장치 및 문자 인식 장치를 내장형으로 포함하되, 상기 문자 인식 장치는, 상기 입력 장치 및 상기 단말기 움직임 감지 장치를 통해 감지된 사용자 필기의 패턴 정보를 근거로 하여 문자를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기능을 제공하는 단말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문자 입력 기능을 제공하는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 측면 또는 타 측면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부 및 키패드 와, 상기 몸체의 모서리에 구비되는 입력장치를 포함하는 문자 입력 기능을 제공하는 단말기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버튼 형식의 키패드를 사용하지 않는 것은 물론, 마우스나 스타일러스 펜 등의 입력 장치를 외장형으로 단말기와 함께 구비하지 않고도, 실제로 종이에 문자를 필기하는 방식으로 문자 입력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단말기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버튼 형식의 키패드를 사용하지 않는 것은 물론, 터치 스크린 방식의 화면이 구비되지 않은 단말기에서도, 실제로 종이에 문자를 필기하는 방식으로 문자 입력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단말기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통상적으로, 문자 입력 기능을 제공하는 단말기는, 사용자가 잡고 사용하는 마우스나 스타일러스 펜 등과 같은 외부의 입력 장치를 통해, 단말기 내부의 문자 인식 장치가 사용자 필기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아 문자를 인식하여 출력함으로써, 문자 입력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에 비해, 본 발명에 따른 문자 입력 기능을 제공하는 단말기는 입력 장치를 문자 인식 장치와 함께 "내장형"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추가로 단말기 움직임 감지 장치를 "내장형"으로 포함한다.
여기서, 입력 장치는 단말기의 하나 이상의 모서리에 장착되어 사용자가 단말기를 오른손 또는 왼손으로 잡고 종이, 손바닥 등의 다른 물체에 대고 필기할 때 사용자 필기의 패턴 정보를 감지한다. 이러한 입력 장치는 광마우스, 볼마우스 또는 트랙 포인트 등의 마우스 기능을 적용한 마우스 장치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입력 장치의 장착 위치는, 단말기의 몸체 어디에도 장착이 가능하고, 바람직하게는, 단말기 화면의 위치를 토대로 정해질 수 있으며, 단말기가 오른손잡이 사용자 및/또는 왼손잡이 사용자에 대한 문자 입력 기능 제공을 위해, 입력 장치의 장착 위치를 달리하여 장착할 수도 있다.
마우스 장치와 같은 입력 장치만으로 문자 입력을 하는 경우에는, 사용자 필기시, 하나의 획을 그리는 것과 획 사이를 이동하는 것을 구분하기가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다른 획으로 이동하는 것과 실제로 획을 그리는 것을 구분하기 위해서, 하나의 획을 필기하는 동안은 마우스의 버튼을 누르고 획 사이를 이동하는 동안 마우스의 버튼을 띄는 등의 동작과 같은 불필요한 동작을 필요로 한다. 또한, 마우스 장치 등을 통해서는, 획 사이를 이동하는 것이, 하나의 문자에 포함된 다른 획으로의 이동인지 다른 문자로의 이동인지를 판단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문자 입력 기능을 위해, 마우스 장치 등과 같은 입력 장치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의 단말기는 단말기 움직임 감지 장치를 내장형으로 포함한다. 물론, 마우스 장치 등과 같은 입력 장치는, 숫자 또는 문자의 전체 획을 모두 하나의 패턴으로 입력받아 처리하기 때문에 한 획의 시작과 끝을 표시하지 못하고, 단말기의 작은 움직임에 대한 감지는 정밀하지 못하여 작은 크기의 문자 필기에는 문자 인식률이 떨어지는 단말기 움직임 감지 장치의 단점을 보완해준다. 즉, 마우스 장치 등과 같은 입력 장치는 사용자 필기시 획을 추적하여 획 궤적정보를 감지 하는 역할을 하고, 모션센서는 하나 문자 내 초성, 중성, 종성을 구분하거나, 문자와 문자를 구분하는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이러한 단말기 움직임 감지 장치는, 단말기에 하나 이상이 장착될 수 있으며, 모션센서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모션센서는 움직임 센서, 가속도 센서(Accelerometer) 및 자이로센서(Gyroscope) 중 하나 이상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단말기 움직임 감지 장치의 장착 위치는 사용자가 단말기를 잡고 필기할 때 되도록 많은 움직임이 발생할 수 있는 위치가 적당하다. 예를 들어, 단말기 움직임 감지 장치가 단말기의 PCB 보드에 장착되는 경우, 사용자가 단말기를 잡은 지점으로부터 가장 먼곳에 장착할 수 있다.
또한, 문자 인식 장치는, 단말기를 잡은 사용자에 의해, 입력 장치가 장착된 모서리가 다른 물체에 닿거나 떨어짐에 따라, 입력 장치 및 단말기 움직임 감지 장치를 통해 사용자 필기의 패턴 정보를 감지하고, 감지된 사용자 필기의 패턴 정보를 근거로 하여 문자를 인식한다. 본 명세서에서, '문자'란, 한글의 경우 한 음절의 텍스트로 정의한다. 예를 들어, "ㄱ. 강가의 돌맹이"에서는, 'ㄱ', '.', '강', '가', '의', '돌', '맹' 및 '이'를 각각 하나의 문자로 정의하고, 이러한 각 문자를 합한 것을 '글자'라고 정의한다. 그리고, 각각의 문자는 하나 이상의 획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영문의 경우, '문자'는 알파벳 각각을 하나의 문자로 정의하고, 숫자의 경우, '문자'는 0 내지 9까지의 10개의 숫자 각각을 하나의 문자로 정의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버튼 형식의 키패드를 사용하지 않는 것은 물론, 마우스나 스타일러스 펜 등의 입력 장치를 외장형으로 구비하지 않고도, 실제로 종이에 문자를 필기하는 방식으로 문자 입력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단말기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버튼 형식의 키패드를 사용하지 않는 것은 물론, 터치 스크린 방식의 화면이 구비되지 않은 단말기에서도, 실제로 종이에 문자를 필기하는 방식으로 문자 입력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단말기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문자 입력 기능을 제공하는 단말기 및 단말기가 제공하는 문자 입력 방법은,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이하에서는, 위에서 언급한 입력 장치를 그 일 예인 마우스 장치로 설명하고, 단말기 움직임 감지 장치를 그 일 예인 모션센서로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기능을 제공하는 단말기(100)에 대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기능을 제공하는 단말기(100)는, 마우스 장치(110), 모션센서(120) 및 문자 인식 장치(130)를 "내장형"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에 도시된 단말기(100)에 내장된 문자 인식 장치(130)는, 사용자가 단말기(100)를 오른손 또는 왼손으로 잡고 단말기(100)의 모서리(마우스 장치(110)가 장착된 위치)를 손바닥이나 종이와 같은 다른 물체에 대고 문자를 적게 되면, 마우스 장치(110) 및 모션센서(120)를 통해, 사용자 필기의 패턴 정보를 감지하고, 감지된 패턴 정보에 근거하여 문자를 인식하고, 인식된 문자에 대한 입력 처리를 제공한다. 이렇게 입력 처리된 문자는 화면에 출력됨으로써, 문자 입력 기능이 수행되는 것이다.
이러한, 문자 인식 장치(130)는, 단말기(100)의 모서리(마우스 장치(110)가 장착된 위치)를 손바닥이나 종이와 같은 다른 물체에 대고 문자를 적는 방법을 통해 입력되는 여러 가지의 패턴 정보를 마우스 장치(110) 및 모션센서(120)를 통해 감지하여 이러한 감지된 패턴 정보를 가공하여 최종적으로 기계가 인식할 수 있는 디지털 코드를 생성하여 출력함으로써 문자 인식을 통한 입력 처리를 수행한다.
이때, 문자 인식 장치(130)가 문자를 인식하는 방법은 크게 아래와 같은 2가지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첫 번째 방법은, 문자 인식 장치(130)가, 마우스 장치(110)와 모션센서(120)를 통해 감지된 사용자 필기의 패턴 정보에 근거하여 문자 형태 이미지를 생성하고, 필기체 인식 알고리즘에 근거하여, 생성된 문자 형태 이미지에 대한 데이터를 문자코드로 변환됨으로써, 생성된 문자 형태 이미지에 대한 데이터로부터 문자를 인식하여, 인식된 문자에 대한 입력 처리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이 방법은 마우스 장치(110)와 모션센서(120)를 통해 감지된 사용자 필기의 패턴 정보를 그림으로 그려서 그림 데이터를 문자의 입력 처리를 위해 그대로 넘겨주는 방식이다.
두 번째 방법은, 문자 인식 장치(130)가, 마우스 장치(110)와 모션센서(120)를 통해 감지된 패턴 정보를 기반으로 손바닥, 종이 등의 다른 물체에 쓰인 문자가 어떤 것인지를 파악하여 이를 문자코드로 만들어 출력하는 방식으로서, 출력된 문자코드는 다시 가공하거나 변환할 필요없이 키패드의 입력처럼 사용할 수 있다. 즉, 이 방법은 입력 패턴을 분석하여 어떤 문자인지를 알아내어 문자코드로 변환하여 문자의 입력 처리를 위해 넘겨주는 방식이다.
전술한 첫 번째 방법은 단말기(100)의 움직임 정보를 그림으로 표현하고, 필기체 인식 프로그램을 통해 그림으로 표현된 움직임 정보로부터 문자를 인식하기 때문에 비교적 간단하게 문자 인식이 수행될 수 있다.
이에 비해, 두 번째 방법은, 입력 패턴을 분석하여 어떤 문자인지를 알아내는 과정이 있기 때문에 첫 번째 방법에 비해 다소 복잡한 절차를 거치게 된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문자 인식 장치(130)에서의 문자 인식 방법이 두 번째 방법으로 수행되는 것을 중점적으로 설명한다. 그렇다고 해서, 본 발명에서의 단말기(100)가 제공하는 문자 인식 방법에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문자 인식 장치(130)는, 마우스 장치(110)가 다른 물체(예를 들어, 종이, 지면, 손바닥 등)와 닿은 상태로 움직인 정보인 '획 궤적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필기에 대한 '패턴 정보'를 마우스 장치(110)를 통해 감지한다.
여기서, '획 궤적정보'는 사용자가 단말기(100)를 오른손 또는 왼손으로 잡고 단말기(100)에 포함된 마우스 장치(110)가 장착된 부분을 다른 물체에 대고 문자를 씀에 따라서 감지되는 획 그리기 정보 또는 획 긋는 정보이다. 이와 같은 끊김 없이 연속하는 획에 대한 그리기 정보인 획 궤적 정보는, 방향정보 및 거리정보를 포함한다. 방향정보는 상하 방향(위에서 아래로, 아래에서 위로), 좌우 방향(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사선 방향(왼쪽 아래로, 왼쪽 위로, 오른쪽 아래로, 오른쪽 위로), 시계방향 및 반 시계방향의 동그라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모션센서(120)는, 사용자가 단말기(100)를 잡고 있는 자세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단말기(100)의 기울기와, 3축 방향으로의 단말기(100)의 움직임 방향(이동 방향)과 움직임 속도(이동속도) 등의 이동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모션센서(120)를 단말기(100)가 장착하여 문자 인식에 이용함으로써, 사용자가 단 말기(100)를 어느 위치, 어떤 자세로 잡고 사용하더라도, 문자 입력 기능의 구현이 가능하게 된다. 심지어는, 누워서 천정을 보고 손바닥에 글자를 적는 경우에도 문자 입력을 문제없이 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문자 인식 장치(130)는, 모션센서(120)를 통해 감지된 단말기(100)의 기울기 정보를 기준으로, 마우스 장치(110)를 통해 감지된 획 궤적정보에 근거하여, 한글, 영문, 숫자 및 기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문자를 인식할 수 있다.
전술한 문자 인식 장치(130)는 도 2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기능을 제공하는 단말기(100)에 포함된 문자 인식 장치(130)는, 마우스 장치(110)를 통해 마우스 장치(110)가 다른 물체에 닿은 것이 감지되면, 사용자 필기의 시작으로 인식하는 사용자 필기 시작 인식부(210); 마우스 장치(110)를 통해 마우스 장치(110)가 다른 물체에서 떨어지기 전까지의 획 궤적정보를 감지하고, 획 궤적정보에 근거하여, 연속하는 하나의 획을 인식하는 획 인식부(220); 마우스 장치(110)를 통해 마우스 장치(110)가 다른 물체에서 떨어진 것이 감지되면, 모션센서(120)를 통해 단말기(100)의 이동정보를 감지하는 단말기 이동정보 감지부(230); 및 감지된 이동정보에 근거하여, 하나의 문자에 포함된 다음 획이 시작될 것인지, 아니면 다른 문자가 시작될 것인지에 대한 이동 유형을 판단하는 단말기 이동 유형 판단부(240) 등을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기능을 제공하는 단말기(100)에 포함된 문자 인식 장치(130)는, 단말기 이동 유형 판단부(240)에서 다른 문자가 시작될 것으로 판단될 때까지, 획 인식부(220)에서의 획 인식 기능, 단말기 이동정보 감지부(230)에서의 이동정보 감지 기능 및 단말기 이동 유형 판단부(240)에서의 이동 유형 판단 기능을 반복적으로 수행한다. 이렇게 반복적으로 각 기능들을 수행한 이후, 단말기 이동 유형 판단부(240)에서 다른 문자가 시작될 것으로 판단되면, 획 인식부(220)에서의 반복적인 획 인식의 수행에 따라 인식된 획을 조합하여 하나의 문자를 인식하여 완성하는 문자 완성부(250)를 문자 인식 장치(130)가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문자 완성부(250)는, 획 인식부(220)에서의 반복적인 수행에 따라 인식된 획에 대한 획수 및 각 획에 대한 획 궤적정보를 토대로, 각 획을 조합하여 하나의 문자를 인식할 수 있다. 여기서, 획 궤적정보는, 여러 가지의 방향정보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러한 방향정보는 상하 방향(위에서 아래로, 아래에서 위로), 좌우 방향(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사선 방향(왼쪽 아래로, 왼쪽 위로, 오른쪽 아래로, 오른쪽 위로), 시계방향 및 반 시계방향의 동그라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문자 인식 장치(130)에서의 단말기 이동 유형 판단부(240)는, 일 예로서, 모션센서(120)를 통해 감지된 단말기(100)의 이동정보가 오른쪽 방향 또는 아래 방향으로의 이동방향정보를 포함한다면, 하나의 문자에 포함된 다음 획이 시작될 것으로 판판단하고, 그렇지 않고, 모션센서(120)를 통해 감지된 단말기(100)의 이동정보가 왼쪽 상단 방향으로의 이동방향정보를 포함한다면, 다른 문자가 시작될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전술한 문자 인식 장치(130)는, 한글 입력 모드, 영문 입력 모드, 숫자 입력 모드 및 기호 입력 모드 등에서 하나 이상의 문자 입력 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문자 인식 장치(130)는, 사용자 필기에 대하여 인식된 문자를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문자 입력 모드에 구분없이 화면에 출력함으로써, 사용자가 화면에 출력된 문자 중에서 선택할 수 있도록 하여, 선택된 문자에 입력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문자 인식 장치(130)는, 사용자 필기에 대하여 인식된 문자 중,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문자 입력 모드 중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문자 입력 모드에 적합한 문자를 선별하여 화면에 출력함으로써, 사용자가 화면에 출력된 문자 중에서 선택할 수 있도록 하여, 선택된 문자에 입력 처리를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전술한 문자 인식 장치(130)는, 한글, 영문, 숫자 및 기호 등에서 하나 이상의 문자를 인식하기 위한 '필기 규칙 정보'를 저장하고, 저장된 필기 규칙에 근거하여 문자를 인식할 수 있다. 여기서, '필기 규칙 정보'는, 한글, 영어, 숫자 및 기호 등의 문자를 사용자가 필기할 때, 하나의 문자에 대한 획수, 획을 그리는 순서 및 획을 그리는 궤적 등에서 하나 이상에 대한 규칙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문자 인식 장치(130)는, 문자가 한글인 경우, 저장된 한글 자모의 조합 원리 정보, 한글 맞춤법 정보 및 한글 표기법 중 하나 이상을 참조하여, 문자를 인식할 수도 있다.
또한, 전술한 문자 인식 장치(130)는, 앞서 인식된 문자를 참조하여 현재의 문자를 인식할 수도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기능을 제공하는 단말기(100)는, 사용자 필기를 위해 사용자가 단말기(100)를 잡는 자세에 대한 입력 자세 정보를 설정하는 입력 자세 정보 설정부(15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입력 자세 정보는 오른손잡이 및 왼손잡이에 대한 설정 정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기능을 제공하는 단말기(100)는, 마우스 장치(110), 모션센서(120) 및 문자 인식 장치(130)를 "내장형"으로 포함하는 것을 주된 특징으로 한다. 즉, 사용자는 단말기(100)를 오른손 또는 왼손으로 잡고 마우스 장치(110)가 장착된 모서리를 종이, 책상면, 손바닥 등의 다른 물체에 대고 글쓰기를 하면서 문자를 입력하고, 이와 동시에, 사용자는 입력되는 문자를 단말기(100)의 화면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단말기(100)에 대한 주된 특징 때문에, 마우스 장치(110)는 단말기(100)의 화면의 위치 및 입력 자세 정보 설정부(150)에서 설정된 입력 자세 정보 중 하나 이상에 근거하여, 단말기(100)의 하나 이상의 모서리에 장착되어야 한다.
또한, 이러한 마우스 장치(110)는 광마우스, 볼마우스 및 트랙포인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휴대폰 등에 적용될 수 있는 단말기(100)의 두께는 매우 얇기 때문에 PC에서 사용하는 마우스보다는 훨씬 작은 크기로 구현될 필요가 있다.
휴대폰 등의 작은 단말기(100)에 적용될 수 있는 작은 광마우스("핑거 마우 스"라고도 함)를 적용할 수 있다.
이러한 마우스 장치(110)의 구동은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제어될 수도 있다. 단말기(100)의 사용자가 문자를 입력하고자 하는 시점은, 단말기(100)의 특정 메뉴를 선택하여 입력모드로 진입한 이후가 되기 때문에, 이러한 마우스 장치(110)에 대해 전원을 공급하고 관련 소프트웨어를 구동하는 시점은, 사용자에 의한 입력모드 진입 시점을 근거로 하여 매우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배터리 전원 관리를 가장 중요하게 고려하는 휴대폰 등의 휴대형 단말기(100)의 환경에서, 마우스 장치(110)의 불필요한 동작으로 인한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고 필요한 시점에서만 마우스 장치(110)에 대한 전원 공급 및 관련 소프트웨어의 동작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마우스 장치(110)는, 마우스 장치(110)가 다른 물체에 닿은 것을 감지하는 압력 센서와, 마우스 장치(110)가 다른 물체에 일정 거리 이하로 근접한지를 감지하는 근접 센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근접 센서에는 초음파 센서 및 적외선 센서 등이 있다.
한편, 전술한 본 발명의 단말기(100)에 대한 주된 특징 때문에, 모션센서(120)도, 마우스 장치(110)가 장착된 위치, 단말기(100)의 화면의 위치 및 입력 자세 정보 중 하나 이상에 근거하여, 단말기(100)에 한 개 이상이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모션센서(120)의 장착 위치는 사용자가 단말기(100)를 잡고 필기할 때 되도록 많은 움직임이 발생할 수 있는 위치가 적당하다. 예를 들어, 모션센서(120)가 단말기(100)의 PCB 보드에 장착되는 경우, 사용자가 단말기(100)를 잡은 지점으로 부터 가장 먼곳에 장착할 수 있다.
이러한 모션센서(120)는 가속기(Accelerometer)라고도 불리며, 작은 크기의 직접회로(IC) 칩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이러한 모션센서(120)는 X,Y,Z 축의 3축 방향의 가속기 변화량을 감지하여 디지털 데이터로 출력한다.
이러한 직접회로 칩으로 만들어질 수 있는 모션센서(120)는, 일 예로서, MEMS(Microelectromechanial Systems) 기술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는데, 반도체 칩 내부에 움직임이 가능한 작은 구조물들을 빽빽하게 만들고, 이 구조물들이 중력이나 외부 힘에 의해 움직이는 것을 전기적인 신호로 바꾸고 이를 가공하여 특정 방향의 가속도 값을 계산해 내고, 이를 외부로 출력한다.
이러한 모션센서(120)의 반도체 칩이 단말기(100)의 PCB 보드의 어느 위치에 납땜이 되어 있는지가 사용자 필기에 대한 동작을 인식하여 패턴 정보를 감지하는 데 큰 영향을 끼치고 궁극적으로는, 문자 인식의 정확도에 큰 영향을 끼칠 수가 있다. 따라서, 작은 움직음을 세밀하게 측정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 사용자가 단말기(100)를 잡고 글쓰기를 할 때, 큰 움직임이 발생할 수 있는 부분에 모션센서(120)의 반도체 칩을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모션센서(120)도, 마우스 장치(110)와 같이, 24시간 항상 전원을 공급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단말기(100)는 문자 입력이 기능이 시작되는 시점에 모션센서(120)로 전원을 공급했다가 문자 입력 기능이 종료되면 모션센서(120)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기능을 제 공하는 단말기(100)는, 복수 개의 마우스 장치(110) 및 복수 개의 모션센서(120)를 단말기(100)의 다른 위치에 장착한 경우이면, 오른손잡이 또는 왼손잡이 등의 입력 자세 정보를 근거하여, 복수 개의 마우스 장치(110) 및 복수 개의 모션센서(120)를 포함하는 감지 장치에 대한 구동을 제어하는 감지 장치 제어부(16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자세 정보가 오른손잡이에 대한 설정정보인 경우, 복수 개의 마우스 장치(110) 중에서 오른손잡이에 맞는 마우스 장치(즉, 화면의 좌측 상단의 모서리에 장착됨)가 구동되고 나머지 마우스 장치는 동작이 정지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기능을 제공하는 단말기(100)는, 모션센서(120)를 통해 단말기의 흔들림 정보를 감지하거나, 단말기에 장착된 핫 키(Hot Key)로부터 입력된 정보를 입력받으면, 특정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특정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단말기의 흔들림 정보는 문자 인식 중에서 단말기의 이동정보와는 구별되는 정보로서 단말기(100)가 일정 수준 이상으로 크게 흔들리는 정보이다. 또한, 특정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핫 키는 사용자가 단말기를 잡을 때 손가락이 닿는 부분에 하나 이상이 장착되어 사용될 수 있으며, 단말기의 측면에 있는 볼륨 키, 카메라 키 등의 기능키를 그대로 이용할 수도 있다.
감지된 단말기의 흔들림 정보 또는 핫 키를 통해 입력된 정보를 통해 수행할 수 있는 특정 기능은, 사용자가 오른손잡이인지 왼손잡이인지 판단하는 기능; 문자 띄우기(Space Bar) 기능; 줄 바꾸기(Enter) 기능; 문자 입력 모드 변경 기능; 및 기 입력된 문자를 삭제하는 기능 등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기능을 제공하는 단말기(100)는 휴대폰, PDA 및 전자사전 등과 같은 휴대형 전자 기기일 수 있다.
이상에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기능을 제공하는 단말기(100)에 의해서 제공되는 문자 입력 방법은 도 6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기능을 제공하는 단말기(100)에 포함된 마우스 장치(110) 및 모션센서(120)의 장착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기능을 제공하는 단말기(100)는, 마우스 장치(110), 모션센서(120) 및 문자 인식 장치(130)를 "내장형"으로 포함하는 것을 주된 특징으로 한다. 즉, 사용자는 단말기(100)를 오른손 또는 왼손으로 잡고 마우스 장치(110)가 장착된 모서리를 종이, 책상면, 손바닥 등의 다른 물체에 대고 글쓰기를 하면서 문자를 입력하고, 이와 동시에, 사용자는 입력되는 문자를 단말기(100)의 화면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본 발명의 단말기(100)에 대한 주된 특징 때문에, 마우스 장치(110)의 장착 위치는, 단말기(100)의 화면의 위치와, 사용자가 단말기(100)를 오른손으로 잡고 사용할지 아니면 왼손으로 잡고 사용할지를 고려하여, 결정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오른손잡이의 사용자 및 왼손잡이의 사용자 모두에게 사용가능하도록 하려면, 마우스 장치(110)는 단말기(100)의 두 모서리인 모서리 A(310) 및 모서리 B(320)에 장착되어야 한다. 모서리 A(310)에 장착되는 마우스 장치(110)는 오른손잡이 사용자를 위해 장착되는 마우스 장치이고, 모서리 B(320)에 장착되는 마우스 장치(110)는 왼손잡이 사용자를 위해 장착되는 마우스 장치이다. 물론, 하나의 마우스 장치(110)가 장착될 수도 있고, 단말기(100)의 형태 또는 화면 위치 등에 따라서, 모서리 A(310) 및 모서리 B(320)를 제외한 다른 모서리에도 장착될 수도 있다.
또한, 모션센서(120)도, 마우스 장치(110)가 장착된 위치(310 및/또는 320), 단말기(100)의 화면의 위치 및 입력 자세 정보 중 하나 이상에 근거하여, 단말기(100)에 한 개 이상이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모션센서(120)의 장착 위치는 사용자가 단말기(100)를 잡고 필기할 때 되도록 많은 움직임이 발생할 수 있는 위치가 적당하다. 만약, 모션센서(120)가 단말기(100)의 PCB 보드에 장착되는 경우, 사용자가 단말기(100)를 잡은 지점으로부터 가장 먼곳에 장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른손잡이의 사용자를 위해서 모서리 A(310)에 마우스 장치(110)가 장착된다면, 모서리 B(320) 주변의 PCB 보드에 모션센서(120)를 장착할 수도 있으며, 왼손잡이의 사용자를 위해서 모서리 B(320)에 마우스 장치(110)가 장착된다면, 모서리 A(310) 주변의 PCB 보드에 모션센서(120)를 장착할 수도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기능을 제공하는 단말기(100)는, 복수 개의 마우스 장치(110) 및 복수 개의 모션센서(120)를 단말기(100)의 다른 위치에 장착한 경우이면, 오른손잡이 또는 왼손잡이 등의 입력 자세 정보를 근거하여, 각기 다른 위치에 장착될 수 있는 복수 개의 마우스 장치(110) 및 복수 개의 모션센서(120)를 포함하는 감지 장치에 대한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과 같이, 모서리 A(310) 및 모서리 B(320) 각각에 마우스 장치(110)가 장착된 것을 가정하고, 입력 자세 정보가 오른손잡이에 대한 설정정보인 경우, 복수 개의 마우스 장치(110) 중에서 오른손잡이에 맞는 마우스 장치(즉, 화면의 좌측 상단의 모서리인 모서리 A(310)에 장착됨)가 구동되고 나머지의 마우스 장치(즉, 모서리 B(320)에 장착됨)는 동작이 정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100)는, 모션센서(120)를 통해, 단말기(100)가 수평방향(오른쪽에서 왼쪽 방향, 또는 왼쪽에서 오른쪽 방향)으로의 흔들림 정보를 감지하면, 감지된 수평방향으로 기 입력된 문자를 삭제할 수 있다. 이때 흔들림 정보는 속도정보 또는 가속도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때의 속도정보 또는 가속도정보는, 정상적인 문자 입력을 위해 이동하는 단말기(100)의 속도나 가속도보다는 기정의된 일정한 값 이상으로 큰 값을 가진다.
또한, 도 3을 참조하면, 문자 입력시 빈번히 사용될 수 있는 특정 기능은, 단말기(100)를 일정 수준 이상으로 흔들어서 모션센서(120)를 통해 감지되는 단말기의 흔들림 정보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고, 단말기(100)에 장착된 핫 키(Hot Key)(330, 340)로부터 입력된 정보를 입력받아 수행될 수도 있다.
문자 입력시 빈번히 사용될 수 있는 특정 기능에는, 사용자가 오른손잡이인지 왼손잡이인지 판단하는 기능; 문자 띄우기(Space Bar) 기능; 줄 바꾸기(Enter) 기능; 영문, 한글, 숫자 및 기호 등에 대한 문자 입력 모드를 변경할 수 있는 문자 입력 모드 변경 기능; 및 앞에서 입력된 글자 또는 획 등을 삭제하는 기능 등이 있다.
특정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핫 키(330, 340)는 사용자가 단말기를 잡을 때 손가락이 닿는 부분에 하나 이상이 장착되어 사용될 수 있으며, 오른손잡이 및 왼손잡이를 고려하여 우측면 및 좌측면에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100)의 화면 우측에 장착된 핫 키(340)를 누르면, 오른손잡이의 사용자에 대한 문자 입력이 개시됨을 인지하고, 단말기(100)의 화면 좌측에 장착된 핫 키(343)를 누르면, 왼손잡이의 사용자에 대한 문자 입력이 개시됨을 인지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오른손잡이의 사용자가 문자 입력을 하던 도중에, 단말기(100)의 화면 우측에 장착된 핫 키(340)를 누르면, 이를 인지하여, 문자 띄우기(Space Bar) 기능 및 줄 바꾸기(Enter) 기능 중 하나를 수행할 수 있으며, 또한, 왼손잡이의 사용자가 문자 입력을 하던 도중에, 단말기(100)의 화면 좌측에 장착된 핫 키(343)를 누르면, 이를 인지하여, 문자 띄우기(Space Bar) 기능 및 줄 바꾸기(Enter) 기능 중 하나를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핫 키(330 또는 340)를 통해, 영문, 한글, 숫자 및 기호 등에 대한 문 자 입력 모드를 변경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기능을 제공하는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문자 입력 시, 오른손잡이 사용자가 단말기(100)를 잡는 자세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의 (a), (b) 및 (c)에서는, 사용자가 단말기(100)를 잡는 자세가 달라서, 단말기(100)의 기울기 정보가 모션센서(120)를 통해 다르게 감지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기능을 제공하는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문자 입력 시, 왼손잡이 사용자가 단말기(100)를 잡는 자세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의 (a), (b) 및 (c)에서는, 사용자가 단말기(100)를 잡는 자세가 달라서, 단말기(100)의 기울기 정보가 모션센서(120)를 통해 다르게 감지된다.
도 4 및 도 5에서 점선의 원으로 표시된 부분은 단말기(100)에서 마우스 장치(110)가 장착된 모서리에 해당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방법은, 단말기(100)에 내장형으로 포함된 마우스 장치(110) 및 모션센서(120)를 통해, 감지된 사용자 필기의 패턴 정보에 근거하여 문자를 인식하는 문자 인식 단계(S600); 및 인식된 문자에 대한 입력 처리를 수행함으로써 인식된 문자는 화면에 출력하는 문자 입력 처리 단계(S602) 등을 포함한다.
전술한 문자 인식 단계(S600)에서는, 마우스 장치(110)가 다른 물체와 닿아 움직인 정보인 획 궤적정보를 포함하는 패턴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획 궤적정보는 끊김 없이 연속하는 획에 대한 그리기 정보이고, 방향정보 및 거리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문자 인식 단계(S600)는, 크게 아래와 같은 2가지 방법으로 문자 인식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첫 번째 방법은, 마우스 장치(110)와 모션센서(120)를 통해 감지된 사용자 필기의 패턴 정보에 근거하여 문자 형태 이미지를 생성하고, 필기체 인식 알고리즘에 근거하여, 생성된 문자 형태 이미지에 대한 데이터를 문자코드로 변환함으로써, 생성된 문자 형태 이미지에 대한 데이터로부터 문자를 인식하는 방식이다. 즉, 이 방법은 마우스 장치(110)와 모션센서(120)를 통해 감지된 사용자 필기의 패턴 정보를 그림으로 그려서 그림 데이터를 문자의 입력 처리를 위해 그대로 넘겨주는 방식이다.
두 번째 방법은, 문자 인식 장치(130)가, 마우스 장치(110)와 모션센서(120)를 통해 감지된 패턴 정보를 기반으로 손바닥, 종이 등의 다른 물체에 쓰인 문자가 어떤 것인지를 파악하여 이를 문자코드로 만들어 문자를 인식하는 방식으로서, 출력된 문자코드는 다시 가공하거나 변환할 필요없이 키패드의 입력처럼 사용할 수 있다. 즉, 이 방법은 입력 패턴을 분석하여 어떤 문자인지를 알아내어 문자코드로 변환하여 문자의 입력 처리를 위해 넘겨주는 방식이다.
전술한 첫 번째 방법은 단말기(100)의 움직임 정보를 그림으로 표현하고, 필기체 인식 프로그램을 통해 그림으로 표현된 움직임 정보로부터 문자를 인식하기 때문에 비교적 간단하게 문자 인식이 수행될 수 있다. 이는 도 8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이에 비해, 두 번째 방법은, 입력 패턴을 분석하여 어떤 문자인지를 알아내는 과정이 있기 때문에 첫 번째 방법에 비해 다소 복잡한 절차를 거치게 된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문자 인식 단계(130)에서의 문자 인식 방법은 두 번째 방법으로 수행되는 것을, 도 7을 참조하여 중점적으로 설명한다. 그렇다고 해서, 문자 인식 방법이 두 번째 방법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7을 참조하면, 문자 인식 단계(S600)는, 마우스 장치(110)를 통해 마우스 장치(110)가 다른 물체에 닿은 것이 감지되면, 사용자 필기의 시작으로 인식하는 사용자 필기 시작 인식 단계(S700); 마우스 장치(110)를 통해 마우스 장치(110)가 다른 물체에서 떨어지기 전까지의 획 궤적정보를 감지하고, 획 궤적정보에 근거하여, 연속하는 하나의 획을 인식하는 획 인식 단계(S702); 마우스 장치(110)를 통해 마우스 장치(110)가 다른 물체에서 떨어진 것을 감지되면, 모션센서(120)를 통해 단말기(100)의 이동정보를 감지하는 단말기 이동정보 감지 단계(S704); 및 감지된 이동정보에 근거하여, 하나의 문자에 포함된 다음 획이 시작될 것인지, 아니면 다른 문자가 시작될 것인지를 판단하는 단말기 이동 유형 판단 단계(S706) 등을 포함하되, 단말기 이동 유형 판단 단계(S706)에서 다른 문자가 시작될 것으로 판단될 때까지, 획 인식 단계(S702), 단말기 이동정보 감지 단계(S704) 및 단말기 이동 유형 판단 단계(S706)를 반복적으로 수행한다. 이렇게 반복 수행한 이후, 단말기 이동 유형 판단 단계(S706)에서 다른 문자가 시작될 것으로 판단되면, 획 인식 단 계(S702)의 반복적인 수행에 따라 인식된 획을 조합하여 하나의 문자를 완성하여 인식한다. 문자 인식 단계(S600)는 이처럼 인식된 획을 조합하여 하나의 문자를 완성하고, 완성된 문자를 인식하는 문자 완성 단계(S70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단말기 이동 유형 판단 단계(S706)는, 모션센서(120)를 통해 감지된 단말기(100)의 이동정보가 오른쪽 방향 또는 아래 방향으로의 이동방향정보를 포함한다면, 하나의 문자에 포함된 다음 획이 시작될 것으로 판단한다.
그렇지 않고, 모션센서(120)를 통해 감지된 단말기(100)의 이동정보가 좌측 상단 방향 또는 중앙 상단 방향으로의 이동방향정보를 포함한다면, 단말기 이동 유형 판단 단계(S706)는 다른 문자가 시작될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 이러한 단말기 이동 유형 판단 결과를 이용하면, 한글에서 종성이 복자음인 경우, 복자음에서의 2개의 자음이 종성과 다음 문자의 초성으로 오인식될 수 있는 문제점을 피할 수 있다. 왜냐하면, 복자음에 포함된 2개의 자음은 모두 좌측 상단 방향 또는 중앙 상단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고 쓰이기 때문이다. 물론, 전술한 단말기 이동 유형 판단 결과를 이용하지 않고도, 복자음에 포함된 2개의 자음을 각각 앞의 문자에 포함된 종성과 다음에 오는 문자에 포함된 초성으로 오인하는 문제점은 한글 표기법 또는 한글의 조합 원리 등에 근거하여 해결할 수도 있다.
모션센서(120)를 통해 감지된 단말기(100)의 이동정보가 좌측 상단 방향 또는 중앙 상단 방향으로의 이동방향정보를 포함한다면, 단말기 이동 유형 판단 단계(S706)는 다른 문자가 시작될 것으로 판단한다고 전술하고 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일뿐, 구현 방식에 따라서는, 모션센서(120)를 통해 감지된 단말기(100)의 이동정보가 좌측 상단 방향 또는 중앙 상단 방향으로의 이동방향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다른 새로운 문자의 시작이 아니라, 새로운 글자(하나 이상의 문자가 합쳐진 것)가 시작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위에서도 정의한바 있지만, 본 명세서에서는 '문자'를 한글의 경우 한 음절의 텍스트로 정의하고, 이러한 각 문자를 합한 것을 '글자'라고 정의하여 구분해서 기술하고 있다.
전술한 사용자 필기 시작 인식 단계(S700)에서는, 획 인식 단계(S702)에서 획을 인식하기 위한 기준 정보로서, 모션센서(120)를 통해 단말기(100)의 기울기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단말기(100)의 움직임 정보를 그림으로 표현하고, 필기체 인식 프로그램을 통해 그림으로 표현된 움직임 정보로부터 문자를 인식하는 첫 번째 문자 인식 방법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절차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방법에서의 문자 인식 단계(S600)는, 사용자 필기의 패턴 정보를 감지하는 패턴 정보 감지 단계(S800); 감지된 패턴 정보에 근거하여 문자 형태 이미지를 생성하는 문자 형태 이미지 생성 단계(S802); 및 필기체 인식 알고리즘에 근거하여, 생성된 문자 형태 이미지에 대한 데이터를 문자 코드로 변환함으로써, 문자를 인식하는 문자 코드 변환 단계(S804) 등을 포함한다.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방법은, 문자 인식 단계(S600) 이전에, 사용자 필기를 위한 단말기를 잡는 자세에 대한 정보를 오른손잡 이 및 왼손잡이 중 하나에 대하여 설정하는 '입력 자세 정보 설정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방법은, 문자 인식 단계(S600) 이전에, 복수 개의 마우스 장치(110) 및 복수 개의 모션센서(120)를 단말기(100)의 다른 위치에 장착한 경우이면, 입력 자세 정보 설정 단계에서 설정된 정보에 따라, 복수 개의 마우스 장치(110) 및 복수 개의 모션센서(120)에 대한 구동을 제어하는 '감지 장치 제어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방법 및 이를 제공하는 단말기(100)에 대하여, 도 9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도 9는 한글에 대한 문자 인식을 설명하기 위해, 하나의 한글로 된 글자인 문자에서 초성, 중성 및 종성으로 사용되는 한글의 자모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의 (a)를 참조하면, 한글의 자음 중,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ㅊ, ㅋ, ㅌ, ㅍ, ㅎ" 을 포함한 14개의 기본 자음은 그 획수와 획 궤적을 감지하여 인식한다.
도 9의 (a)를 참조하면, 기본 자음 중, "ㄱ, ㄴ, ㄷ, ㄹ, ㅁ, ㅂ, ㅌ, ㅍ"은, 사용자 필기에 대해 감지된 패턴 정보에 포함된 획 궤적 정보가 상하방향(수직선) 및 좌우(수평선)방향으로의 방향정보만을 포함한다.
도 9의 (a)를 참조하면, 기본 자음 중, "ㅇ, ㅎ"은, 사용자 필기에 대해 감지된 패턴 정보에 포함된 획 궤적 정보가 동그라미 궤적 정보를 포함하고, 단지 획 수가 다르다.
도 9의 (a)를 참조하면, 기본 자음 중, "ㅅ, ㅈ, ㅊ, ㅋ"은, 사용자 필기에 대해 감지된 패턴 정보에 포함된 획 궤적 정보가 사선 궤적 정보를 포함한다. "ㅅ, ㅈ"은 그 획수가 2개로 동일하며 사선 궤적 정보를 포함하며, 죄우방향(수평선) 방향의 방향정보를 포함여부에 따라 구분될 수 있다. 또한, "ㅈ, ㅊ"은 그 획수가 2개와 3개로 달라서 획수로 구분할 수 있다. "ㅋ"은 "ㅅ, ㅈ, ㅊ"에 비해, 사선 궤적 정보가 1개 적기 때문에 쉽게 구분할 수 있다.
도 9의 (a)에 나타낸 기본 자음의 인식 방법을 토대로, 기본 자음을 2개 이상 사용한 복자음 등의 변형된 자음을 인식할 수 있다.
한편, 도 9의 (b)를 참조하면, 한글의 모음 중, "ㅏ, ㅑ, ㅓ, ㅕ, ㅗ, ㅛ, ㅜ, ㅠ, ㅡ, ㅣ" 을 포함한 10개의 기본 모음은 그 획수와 획 궤적을 감지하여 인식할 수 있다. 모음은 모두 상하(수직선) 방향, 좌우(수평선)방향의 궤적 정보만으로 구성되므로, 획 궤적 순서 및 획수를 토대로 쉽게 구분될 수도 있다.
도 9의 (b)에 도시된 10개 기본 모음에 대한 문자 인식을 토대로, 2개 이상의 기본 모음을 조합하여 만들어질 수 있는, ㅐ, ㅒ, ㅔ, ㅖ, ㅘ, ㅝ, ㅙ, ㅞ, ㅟ, ㅢ 등의 모음도 기본 모음을 인식하는 방식과 동일한 방식으로 인식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문자 입력 방법에서는, 필기 규칙 정보에 근거하여 문자를 인식할 수 있는데, 이는 사용자마다 글자를 쓰는 방식이 다를 수 있기 때문에 발생할 수 있는 문자의 오인식을 줄이기 위함이다. 이러한, '필기 규칙 정보'는, 한글, 영어, 숫자 및 기호 등의 문자를 사용자가 필기할 때, 하나의 문자에 대한 획수, 획 을 그리는 순서 및 획을 그리는 궤적 등에서 하나 이상에 대한 규칙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만약, 문자가 한글인 경우, 필기 규칙 정보는 한글 자모의 조합 원리 정보, 한글 맞춤법 정보 및 한글 표기법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 10은 한글에 대한 문자 오인식을 방지하기 위한 필기 규칙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으로, 하나의 자음 "ㅈ"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는, 필기규칙의 일 예로서, 기본 자음 중, "ㅈ"은, 3개의 획수를 가지는 도 10의 (a)를 지양하고, 2개의 획수를 가지는 도 10의 (b)를 필기 규칙으로 한다. 물론, 필기 규칙은 사전에 정의만 되면 되고, 굳이 도의 (b)를 택할 필요는 없다.
도 11은 한글에 대한 문자 오인식을 방지하기 위한 필기 규칙을 설명하기 위한 다른 예시적인 도면으로서, 하나의 자음과 하나의 모음으로 이루어진 하나의 문자 "바"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는, 필기규칙의 일 예로서, 기본 자음 중, "ㅂ"은, 2개의 획수를 가지는 도 11의 (a)를 지양하고, 4개의 획수를 가지는 도 11의 (b)를 필기 규칙으로 한다. 또한, 기본 모음 중, "ㅏ"는, 1개의 획수를 가지는 도 11의 (a)를 지양하고, 2개의 획수를 가지는 도 11의 (b)를 필기 규칙으로 한다. 따라서, "ㅂ"과 "ㅏ"로 이루어진 "바"라는 문자는, 도 11의 (b)와 같이, 총 6개의 획으로 또박또박 필기하는 것을 필기 규칙으로 정하고, 이러한 필기 규칙에 적합하도록 사용자가 글쓰기 한 경우에만 정확한 문자 인식을 허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획 궤적(획의 움직임)과 획수를 기준으로 문자를 인식하기 때 문에, 도 11의 (a)와 같이 비정상적인 쓰기는 허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물론, 필기 규칙을 고려하지 않고 비정상적인 쓰기도 허용하여 문자 인식을 수행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감지된 사용자 필기의 패턴 정보로부터 가장 유사한 하나 이상의 문자를 인식하여 사용자 선택에 의해 최종적으로 입력 처리해야 한다. 이처럼, 필기 규칙을 고려하지 않고 비정상적인 쓰기도 허용하여 문자 인식을 수행할 수도 있지만, 터치 스크린 방식의 화면에 글자를 적어 사용하는 종래의 필기체 인식 시스템의 경우에서도, 실제로 많은 사용자는 되도록 문자를 또박또박 쓰려고 무의식중에 노력하는 것을 고려한다면, 획수 등의 필기 규칙을 지켜가면서 입력하게끔 하는 제약이 실제 사용자에게 별다른 불편함을 초래하는 요소로 판단되지는 않는다. 그렇다고, 본 발명에서는, 필기 규칙을 정하고, 그에 따라 입력되는 것을 문자로 인식할 수 있는 것으로 제한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전술한 한글에서의 자음과 모음에 대한 인식과, 필기 규칙에 따라, "강"이라는 1개의 문자를 입력하는 것을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2는 한글에 대한 문자 인식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이를 참조하여, 단계별로 설명한다.
첫 번째, 사용자가 단말기(100)의 모서리, 즉 마우스 장치(110)가 장착된 위치를 손바닥 및 종이 등의 다른 물체에 대고 'ㄱ' 획을 그린다. 이에 따라, 단말기(100)는, 단말기(100)의 모서리, 즉 마우스 장치(110)가 손바닥, 종이 등의 다른 물체에서 떨어지는 감지하고, 다른 물체에 닿고 있는 동안의 마우스 장치(110)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분석하여 'ㄱ' 형태의 입력이 있었음을 인식한다.
두 번째, 사용자가 'ㅏ'를 그리기 위해, 단말기(100)를 이동하는 동안, 단말기(100)는 모션센서(120)를 이용하여 단말기(100)의 이동 방향이 'ㄱ' 끝점의 우측 상단 방향인 것을 인식하여, 한 문자에 포함된 다음 획수가 시작된다는 것을 판단한다.
세 번째, 사용자가 단말기(100)의 모서리, 즉 마우스 장치(110)가 장착된 위치를 손바닥 및 종이 등의 다른 물체에 다시 닿아 'ㅣ' 획을 긋고, 손바닥 및 종이 등의 다른 물체로부터 다시 단말기(100)를 떨어뜨리면, 단말기(100)는 이를 감지하여, 다시 닿아서 떨어지기 전까지의 마우스 장치(110)로부터 감지된 패턴 정보로부터 획 궤적을 분석하여 'ㅣ'의 입력을 인식한다.
네 번째, 이후, 사용자가 단말기(100)를 'ㅣ' 획을 그은 우측 상단으로 이동하면, 단말기(100)는 이를 모션센서(120)를 통해 인식하여 다음 획수가 시작됨을 감지한다.
다섯 번째, 이후, 사용자가 단말기(100)의 모서리, 즉 마우스 장치(110)가 장착된 위치를 손바닥 및 종이 등의 다른 물체에 다시 닿아, 'ㅏ'에서의 수평 획 'ㅡ'을 그으면, 역시 같은 방식으로 'ㅡ' 획을 인식한다.
여섯 번째, 종성인 'ㅇ'을 그리기 위해, 사용자가 단말기(100)를 'ㅏ'를 그은 위치에서 좌측 하단 방향으로 이동하면, 단말기(100)는 모션센서(120)를 통해, 새로운 획수의 시작임을 인식하고 획 입력을 기다린다.
일곱 번째, 사용자가 단말기(100)의 모서리, 즉 마우스 장치(110)가 장착된 위치를 손바닥 및 종이 등의 다른 물체에 대고 'ㅇ'을 그리면, 단말기(100)는 이에 대한 패턴 정보를 마우스 장치(110)를 통해 감지하여 'ㅇ' 획을 인식한다.
여덟 번째, 이후, 인식된 초성, 중성 및 종성에 대한 획인 'ㄱ', 'ㅏ', 'ㅇ' 을 조합하여 하나의 문자 "강"을 완성한다.
만약, 이후, "산"이란 문자를 추가로 입력받는 경우, 동일한 절차로 수행하면 된다. 이때, "강" 입력 이후, 다른 문자 "산"을 입력할 때는 다른 문자를 입력한다는 것을 인식해야하는데, 이는, 모션센서(120)를 통해 감지된 단말기(100)의 이동정보가 좌측 상단 방향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새로운 문자인 "산"에서의 새로운 초성이 시작되는 것으로 판단함으로써, 가능하다. 이러하게 하여 "강"과 동일한 방식으로 "산"을 완성하면, 다시 "강"과 "산"을 조합하여 "강산"이라는 글자를 입력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전술한 문자 인식의 예시적인 설명을, 마우스 장치(110) 및 모션센서(120)의 관점에서 단계별로 다시 설명한다. 여기서, 사용자가 "강" 및 "가"라는 2개의 문자로 구성된 "강가"라는 하나의 글자를 입력하고자 하는 것을 가정한다.
(1) 글쓰기 시작 단계
① 마우스 장치(110)는, 단말기(100)의 모서리가 다른 물체에 닿았음을 감지한다. 이를 통해, 단말기(100)에서의 문자 인식 장치(130)는 글쓰기(사용자 필기)의 시작을 인식한다.
② 모션센서(120)는, 글쓰기 시작 단계에서의 휴대폰의 기울기 정보를 감지한다. 이는 이후 행해지는 모든 움직임 분석의 기준이 되는 정보이다.
(2) 'ㄱ' 초성 인식 단계
① 마우스 장치(110)는, 단말기(100)의 모서리가 다른 물체에 닿았음을 감지한다. 이를 통해, 문자 인식 장치(130)는 획 인식이 시작됨을 인식한다.
② 마우스 장치(110)는 초성인 'ㄱ' 획의 움직임 정보를 감지한다. 이때 감된 움직임 정보(즉, 패턴 정보)는 좌우방향과 상하방향에 대한 방향정보(즉, 옆으로 이동했다가 아래 방향(약간 왼쪽으로 기울어지는)으로 움직였다는 이동정보)를 포함한다.
③ 마우스 장치(110)는 단말기(100)의 모서리가 다른 물체에서 떨어졌음을 감지한다. 이를 통해, 문자 인식 장치(130)는 하나의 획이 끝났음을 인식한다. 따라서, 문자 인식 장치(130)는 앞에서 감지된 움직임 정보(즉, 패턴 정보)에 근거하여 'ㄱ' 초성을 인식한다.
(3) 'ㅏ' 중성 인식 단계
① 모션센서(120)는 단말기(100)가 초성 'ㄱ'에 대한 패턴 정보가 감지된 위치에 비해, 왼쪽 상단으로 이동하지 않았음을 감지한다. 이를 통해, 문자 인식 장치(130)는 새로운 문자의 시작이 아닌 한 문자 내의 다음 획이 진행될 것임을 인식할 수 있다.
②마우스 장치(110)는 단말기(100)의 모서리가 다른 물체에 다시 닿았음을 감지한다. 이를 통해, 문자 인식 장치(130)는 다음 획의 시작을 인식한다.
③ 마우스 장치(110)는 감지된 상하방향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필기의 패턴 정보를 감지한다. 이를 통해, 문자 인식 장치(130)는 'ㅏ' 모음에서 상 하방향의 수직선 'ㅣ' 움직임 정보(즉, 패턴 정보)를 감지한다. 여기서, 'ㅣ' 움직임 정보는 상하 방향(위에서 아래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따라서, 문자 인식 장치(130)는 'ㅣ' 획이 위에서 아래로 그어진 것을 인식한다.
④ 마우스 장치(110)는 단말기(100)의 모서리가 다른 물체에서 다시 떨어졌음을 감지한다. 따라서, 문자 인식 장치(130)는 하나의 획이 끝났음을 인식한다.
⑤ 모션센서(120)는 단말기(100)가 'ㅣ'에 대한 패턴 정보가 감지된 위치에 비해, 왼쪽 상단으로 이동하지 않았음을 감지한다. 따라서, 문자 인식 장치(130)는 새로운 문자의 시작이 아닌 한 문자 내의 다음 획이 진행될 것임을 인식할 수 있다.
⑥ 마우스 장치(110)는 단말기(100)의 모서리가 다른 물체에 다시 닿았음을 감지한다. 따라서, 문자 인식 장치(130)는 다음 획의 시작을 인식한다.
⑦ 마우스 장치(110)는 왼쪽에서 오른쪽으로의 좌우방향의 수평선 'ㅡ'에 대한 패턴정보를 포함하는 새로운 사용자 필기의 패턴 정보를 감지한다. 이를 통해, 문자 인식 장치(130)는 'ㅏ' 모음의 수평선 'ㅡ' 획을 인식한다.
⑧ 마우스 장치(110)는 단말기(100)의 모서리가 다른 물체에서 다시 떨어졌음을 감지한다. 이를 통해, 문자 인식 장치(130)는 하나의 획이 끝났음을 인식한다.
(4) 'ㅇ' 종성 인식 단계
① 모션센서(120)는 단말기(100)가 왼쪽 상단으로 이동하지 않았음을 감지한다. 이를 통해, 문자 인식 장치(130)는 새로운 문자의 시작이 아닌 한 문자 내의 다음 획이 진행됨을 인식한다.
② 마우스 장치(110)는 단말기(100)의 모서리가 다른 물체에 다시 닿았음을 감지한다. 따라서, 문자 인식 장치(130)는 다음 획의 시작을 인식한다.
③ 마우스 장치(110)는 'ㅇ' 자음의 움직임 정보를 포함하는 패턴 정보를 감지하고, 이를 통해, 문자 인식 장치(130)는 동그랗게 그려진 'ㅇ' 획(자음)을 인식할 수 있다.
④ 마우스 장치(110)는 단말기(100)의 모서리가 다른 물체에서 다시 떨어졌음을 감지한다. 문자 인식 장치(130)는 하나의 획이 끝났음을 인식한다.
(5) 한 문자 완성 단계
① 모션센서(120)는 단말기(100)가 왼쪽 상단으로 이동했음을 감지한다. 이를 통해, 문자 인식 장치(130)는 한 문자인 '강'에 인식이 완료되고, 다음 문자에 대한 입력이 시작될 것을 판단하고, '강'이라는 하나의 문자를 완성한다.
이후, '가'라는 또 다른 문자는 '강'이라는 전술한 문자 인식 과정과 동일한 절차를 거쳐서 완성될 수 있다.
전술한 (1) 글쓰기 시작 단계는, 도 7에서의 사용자 필기 시작 인식 단계(S700)에 해당되는 단계이다.
전술한 (2) 'ㄱ' 초성 인식 단계, (3) 'ㅏ' 중성 인식 단계 및 (4) 'ㅇ' 종성 인식 단계는, 도 7에서의 획 인식 단계(S702), 단말기 이동정보 감지 단 계(S704) 및 단말기 이동 유형 판단 단계(S706)의 반복을 통해 획을 인식하는 단계이다.
전술한 (5) 한 문자 완성 단계는, 도 7에서의 문자 완성 단계(S708)에 해당하는 단계이다.
도 13은 숫자에 대한 문자 인식을 설명하기 위해 숫자를 획수별로 분류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문자 중 숫자의 경우에도, 획수와 획 궤적정보를 토대로, 각각 구분하여 인식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0, 1, 2, 3, 4, 5, 6, 7, 8, 9"를 포함한 10개의 기본 숫자 중 "1, 2, 3, 6, 8, 9, 0"의 경우에는 한 개의 획수를 가지고, "4, 5"는 2개의 획수를 가지며, "7"은 3개의 획수를 가진다.
도 13을 참조하면, 이렇게 획수로 구분이 되고 나면, 동일한 획수를 가지는 숫자들은 다시 획 궤적정보를 토대로 구분되어 인식될 수 있다.
이러한 숫자는 한글 또는 영문과 혼동을 막기 위해, 문자 입력 모드를 달리하여 문자 인식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개시하는 문자 입력 기능을 제공하는 단말기는, 단말기의 몸체와, 몸체의 일 측면 또는 타 측면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부(화면), 키패드 및 입력장치를 포함하기만 하면, 본 발명에서 개시하는 문자 입력 방법의 적용이 단말기의 형상이나 타입에 따라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서 개시하는 문자 입력 방법은, 폴더 타입의 단말기, 슬라이드 타입의 단말기, 바(Bar) 타입의 단말기 및 플립 타입의 단말기 등의 모든 타입의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마우스 장치 등과 같은 입력장치는 단말기의 몸체 어디에도 장착(구비)할 수 있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한 일 예로서, 본 명세서에서는 입력장치에 대한 장착 위치를 단말기의 몸체의 모서리로 가정하여 설명하였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버튼 형식의 키패드를 사용하지 않는 것은 물론, 마우스나 스타일러스 펜 등의 입력 장치를 외장형으로 단말기와 함께 구비하지 않고도, 실제로 종이에 문자를 필기하는 방식으로 문자 입력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단말기(100)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버튼 형식의 키패드를 사용하지 않는 것은 물론, 터치 스크린 방식의 화면이 구비되지 않은 단말기에서도, 실제로 종이에 문자를 필기하는 방식으로 문자 입력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단말기(100)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제공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 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저장매체로서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캐리어 웨이브 매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 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기능을 제공하는 단말기에 대한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기능을 제공하는 단말기에 포함된 문자 인식 장치에 대한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기능을 제공하는 단말기에 포함된 마우스 장치 및 모션센서의 장착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기능을 제공하는 단말기를 이용하여 문자 입력 시, 오른손잡이 사용자가 단말기를 잡는 자세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기능을 제공하는 단말기를 이용하여 문자 입력 시, 왼손잡이 사용자가 단말기를 잡는 자세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방법에 대한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문자 입력 방법에서 문자 인식 단계에 대한 예시적인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방법에서 문자 인식 단계에 대한 다른 예시적인 흐름도,
도 9는 한글에 대한 문자 인식을 설명하기 위해 한글의 자모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한글에 대한 문자 오인식을 방지하기 위한 필기 규칙을 설명하기 위 한 예시적인 도면,
도 11은 한글에 대한 문자 오인식을 방지하기 위한 필기 규칙을 설명하기 위한 다른 예시적인 도면,
도 12는 한글에 대한 문자 인식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3은 숫자에 대한 문자 인식을 설명하기 위해 숫자를 획수별로 분류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단말기
110: 마우스 장치
120: 모션센서
130: 문자 인식 장치
140: 화면
150: 입력 자세 정보 설정부
160: 감지 장치 제어부
210: 사용자 필기 시작 인식부
220: 획 인식부
230: 단말기 이동정보 감지부
240: 단말기 이동유형 판단부
250: 문자 완성부

Claims (31)

  1. 문자 입력 기능을 제공하는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마우스 장치, 모션센서 및 문자 인식 장치를 내장형으로 포함하되,
    상기 문자 인식 장치는,
    상기 마우스 장치 및 상기 모션센서를 통해, 사용자 필기의 패턴 정보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패턴 정보에 근거하여 문자를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문자에 대한 입력 처리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기능을 제공하는 단말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 인식 장치는,
    상기 마우스 장치가 다른 물체와 닿은 상태로 움직인 정보인 획 궤적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패턴 정보를 감지하되,
    상기 획 궤적정보는 끊김 없이 연속하는 획 그리기 정보로서, 방향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기능을 제공하는 단말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 인식 장치는,
    상기 모션센서를 통해 감지된 상기 단말기의 기울기 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마우스 장치를 통해 감지된 상기 획 궤적정보에 근거하여, 한글, 영문, 숫자 및 기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상기 문자를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기능을 제공하는 단말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 인식 장치는,
    상기 마우스 장치를 통해 상기 마우스 장치가 상기 다른 물체에 닿은 것이 감지되면, 상기 사용자 필기의 시작으로 인식하는 사용자 필기 시작 인식부;
    상기 마우스 장치를 통해 상기 마우스 장치가 상기 다른 물체에서 떨어지기 전까지의 상기 획 궤적정보를 감지하고, 상기 획 궤적정보에 근거하여, 연속하는 하나의 획을 인식하는 획 인식부;
    상기 마우스 장치를 통해 상기 마우스 장치가 상기 다른 물체에서 떨어진 것이 감지되면, 상기 모션센서를 통해 상기 단말기의 이동정보를 감지하는 단말기 이동정보 감지부; 및
    상기 감지된 이동정보에 근거하여, 하나의 문자에 포함된 다음 획이 시작될 것인지, 아니면 다른 문자가 시작될 것인지에 대한 이동 유형을 판단하는 단말기 이동 유형 판단부
    를 포함하되,
    상기 단말기 이동 유형 판단부에서 상기 다른 문자가 시작될 것으로 판단될 때까지, 상기 획 인식부에서의 획 인식 기능, 상기 단말기 이동정보 감지부에서의 이동정보 감지 기능 및 상기 단말기 이동 유형 판단부에서의 이동 유형 판단 기능을 반복적으로 수행하고,
    상기 획 인식부에서의 반복적인 수행에 따라 인식된 획을 조합하여 하나의 문자를 인식하여 완성하는 문자 완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기능을 제공하는 단말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 완성부는,
    상기 획 인식부에서의 반복적인 수행에 따라 인식된 획에 대한 획수 및 각 획에 대한 획 궤적정보를 토대로, 각 획을 조합하여 하나의 문자를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기능을 제공하는 단말기.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이동 유형 판단부는,
    상기 모션센서를 통해 감지된 상기 단말기의 이동정보가 오른쪽 방향 또는 아래 방향으로의 이동방향정보를 포함한다면, 상기 하나의 문자에 포함된 다음 획이 시작될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모션센서를 통해 감지된 상기 단말기의 이동정보가 좌측 상단 방향 또는 중앙 상단 방향으로의 이동방향정보를 포함한다면, 상기 다른 문자가 시작될 것 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기능을 제공하는 단말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 인식 장치는,
    한글 입력 모드, 영문 입력 모드, 숫자 입력 모드 및 기호 입력 모드 중 하나 이상의 문자 입력 모드를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필기에 대하여 인식된 문자를 상기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문자 입력 모드에 구분없이 화면에 출력하거나,
    상기 사용자 필기에 대하여 인식된 문자 중, 상기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문자 입력 모드 중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문자 입력 모드에 적합한 문자를 선별하여 상기 화면에 출력함으로써,
    상기 사용자가 상기 화면에 출력된 문자 중에서 선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선택된 문자에 입력 처리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기능을 제공하는 단말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 인식 장치는,
    한글, 영문, 숫자 및 기호 중 하나 이상의 문자를 인식하기 위한 필기 규칙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필기 규칙에 근거하여 상기 문자를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기능을 제공하는 단말기.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 인식 장치는,
    상기 문자가 한글인 경우, 저장된 한글 자모의 조합 원리 정보, 한글 맞춤법 정보 및 한글 표기법 중 하나 이상을 참조하여, 상기 문자를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기능을 제공하는 단말기.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 인식 장치는,
    앞서 인식된 문자를 참조하여 현재의 문자를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기능을 제공하는 단말기.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 인식 장치는,
    상기 감지된 사용자 필기의 패턴 정보에 근거하여 문자 형태 이미지를 생성하고, 필기체 인식 알고리즘에 근거하여, 상기 생성된 문자 형태 이미지에 대한 데이터로부터 상기 문자를 인식하여, 상기 인식된 문자에 대한 입력 처리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기능을 제공하는 단말기.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사용자 필기를 위해 사용자가 상기 단말기를 잡는 자세에 대한 입력 자세 정보를 설정하는 입력 자세 정보 설정부를 추가로 포함하되, 상기 입력 자세 정보는 오른손잡이 및 왼손잡이에 대한 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기능을 제공하는 단말기.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마우스 장치는,
    상기 단말기의 화면의 위치 및 상기 입력 자세 정보 중 하나 이상에 근거하여, 하나 이상의 모서리에 장착되고, 광마우스 및 볼마우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기능을 제공하는 단말기.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마우스 장치는,
    상기 마우스 장치가 다른 물체에 닿은 것을 감지하는 압력 센서와, 상기 마우스 장치가 상기 다른 물체에 일정 거리 이하로 근접한지를 감지하는 근접 센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기능을 제공하는 단말기.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모션센서는,
    상기 마우스 장치가 장착된 위치, 상기 단말기의 화면의 위치 및 상기 입력 자세 정보 중 하나 이상에 근거하여, 상기 단말기에 한 개 이상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기능을 제공하는 단말기.
  16.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복수 개의 상기 마우스 장치 및 복수 개의 상기 모션센서를 상기 단말기의 다른 위치에 장착한 경우이면, 상기 입력 자세 정보를 근거하여, 상기 복수 개의 마우스 장치 및 상기 복수 개의 모션센서를 포함하는 감지 장치에 대한 구동을 제어하는 감지 장치 제어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기능을 제공하는 단말기.
  1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모션센서를 통해 상기 단말기의 흔들림 정보를 감지하거나, 상기 단말기에 장착된 핫 키로부터 정보를 입력받으면, 특정 기능을 수행하되,
    상기 핫 키는 사용자가 상기 단말기를 잡을 때 손가락이 닿는 부분에 하나 이상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기능을 제공하는 단말기.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기능은,
    사용자가 오른손잡이인지 왼손잡이인지 판단하는 기능; 문자 띄우기 기능; 줄 바꾸기 기능; 문자 입력 모드 변경 기능; 및 기 입력된 문자를 삭제하는 기능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기능을 제공하는 단말기.
  1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휴대폰, PDA 및 전자사전을 포함하는 휴대형 전자 기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기능을 제공하는 단말기.
  20. 단말기가 제공하는 문자 입력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에 내장형으로 포함된 마우스 장치 및 모션센서를 통해, 감지된 사용자 필기의 패턴 정보에 근거하여 문자를 인식하는 문자 인식 단계; 및
    상기 인식된 문자에 대한 입력 처리를 수행함으로써 상기 인식된 문자는 화면에 출력하는 문자 입력 처리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가 제공하는 문자 입력 방법.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 인식 단계는,
    상기 마우스 장치가 다른 물체와 닿아 움직인 정보인 획 궤적정보를 포함하 는 상기 패턴 정보를 감지하되,
    상기 획 궤적정보는 끊김 없이 연속하는 획 그리기 정보로서, 방향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가 제공하는 문자 입력 방법.
  22.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 인식 단계는,
    상기 마우스 장치를 통해 상기 마우스 장치가 상기 다른 물체에 닿은 것이 감지되면, 상기 사용자 필기의 시작으로 인식하는 사용자 필기 시작 인식 단계;
    상기 마우스 장치를 통해 상기 마우스 장치가 상기 다른 물체에서 떨어지기 전까지의 상기 획 궤적정보를 감지하고, 상기 획 궤적정보에 근거하여, 연속하는 하나의 획을 인식하는 획 인식 단계;
    상기 마우스 장치를 통해 상기 마우스 장치가 상기 다른 물체에서 떨어진 것을 감지되면, 상기 모션센서를 통해 상기 단말기의 이동정보를 감지하는 단말기 이동정보 감지 단계; 및
    상기 감지된 이동정보에 근거하여, 하나의 문자에 포함된 다음 획이 시작될 것인지, 아니면 다른 문자가 시작될 것인지를 판단하는 단말기 이동 유형 판단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단말기 이동 유형 판단 단계에서 상기 다른 문자가 시작될 것으로 판단될 때까지, 상기 획 인식 단계, 상기 단말기 이동정보 감지 단계 및 상기 단말기 이동 유형 판단 단계를 반복적으로 수행하고,
    상기 획 인식 단계의 반복적인 수행에 따라 인식된 획을 조합하여 상기 하나의 문자를 완성하여 인식하는 문자 완성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가 제공하는 문자 입력 방법.
  23.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이동 유형 판단 단계는,
    상기 모션센서를 통해 감지된 상기 단말기의 이동정보가 오른쪽 방향 또는 아래 방향으로의 이동방향정보를 포함한다면, 상기 하나의 문자에 포함된 다음 획이 시작될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모션센서를 통해 감지된 상기 단말기의 이동정보가 왼쪽 상단 방향으로의 이동방향정보를 포함한다면, 상기 다른 문자가 시작될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가 제공하는 문자 입력 방법.
  24.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필기 시작 인식 단계는,
    상기 획 인식 단계에서 획을 인식하기 위한 기준 정보로서, 상기 모션센서를 통해 상기 단말기의 기울기 정보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가 제공하는 문자 입력 방법.
  25.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 인식 단계 이전에,
    상기 사용자 필기를 위한 상기 단말기를 잡는 자세에 대한 정보를 오른손잡이 및 왼손잡이 중 하나에 대하여 설정하는 입력 자세 정보 설정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가 제공하는 문자 입력 방법.
  26.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 인식 단계 이전에,
    복수 개의 상기 마우스 장치 및 복수 개의 상기 모션센서를 상기 단말기의 다른 위치에 장착한 경우이면, 상기 입력 자세 정보 설정 단계에서 설정된 정보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마우스 장치 및 상기 복수 개의 모션센서에 대한 구동을 제어하는 감지 장치 제어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가 제공하는 문자 입력 방법.
  27.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 인식 단계는,
    상기 사용자 필기의 패턴 정보를 감지하는 패턴 정보 감지 단계;
    상기 감지된 패턴 정보에 근거하여 문자 형태 이미지를 생성하는 문자 형태 이미지 생성 단계; 및
    필기체 인식 알고리즘에 근거하여, 상기 생성된 문자 형태 이미지에 대한 데 이터를 문자 코드로 변환함으로써, 상기 문자를 인식하는 문자 코드 변환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가 제공하는 문자 입력 방법.
  28. 문자 입력 기능을 제공하는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입력 장치, 단말기 움직임 감지 장치 및 문자 인식 장치를 내장형으로 포함하되, 상기 문자 인식 장치는,
    상기 입력 장치 및 상기 단말기 움직임 감지 장치를 통해 감지된 사용자 필기의 패턴 정보를 근거로 하여 문자를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기능을 제공하는 단말기.
  29. 제 28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장치는 상기 단말기의 모서리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기능을 제공하는 단말기.
  30. 제 29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 인식 장치는,
    상기 단말기를 잡은 사용자에 의해, 상기 모서리가 다른 물체에 닿거나 떨어짐에 따라, 상기 입력 장치 및 상기 단말기 움직임 감지 장치를 통해 상기 사용자 필기의 패턴 정보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기능을 제공하는 단말기.
  31. 문자 입력 기능을 제공하는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 측면 또는 타 측면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부 및 키패드와, 상기 몸체의 모서리에 구비되는 입력장치를 포함하는 문자 입력 기능을 제공하는 단말기.
KR1020090008953A 2009-02-04 2009-02-04 문자 입력 방법 및 그 단말기 KR1010534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8953A KR101053411B1 (ko) 2009-02-04 2009-02-04 문자 입력 방법 및 그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8953A KR101053411B1 (ko) 2009-02-04 2009-02-04 문자 입력 방법 및 그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9620A true KR20100089620A (ko) 2010-08-12
KR101053411B1 KR101053411B1 (ko) 2011-08-01

Family

ID=427554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8953A KR101053411B1 (ko) 2009-02-04 2009-02-04 문자 입력 방법 및 그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341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35835B2 (en) 2012-08-27 2016-05-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KR102132035B1 (ko) * 2019-01-03 2020-07-08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자이로센서를 포함하는 봉을 이용한 언어 교육시스템
KR20200140869A (ko) * 2018-07-11 2020-12-16 차이나 유니온페이 컴퍼니 리미티드 모션 궤적의 특징 처리 방법, 장치 및 컴퓨터 저장 매체
CN113986030A (zh) * 2021-11-29 2022-01-28 神思电子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鼠标的字符输入方法、设备及介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5679B1 (ko) 2013-06-26 2015-01-28 길재수 모션 센서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0504B1 (ko) 1999-04-30 2006-10-31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장치의 문자인식 장치 및 방법
KR100715593B1 (ko) * 2006-01-05 2007-05-10 (주) 엘지텔레콤 펜 타입 메시지입력이 가능한 휴대형 단말기 및 그제어방법
KR100884900B1 (ko) * 2007-05-04 2009-02-19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필기 인식 가능한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필기 인식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35835B2 (en) 2012-08-27 2016-05-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KR20200140869A (ko) * 2018-07-11 2020-12-16 차이나 유니온페이 컴퍼니 리미티드 모션 궤적의 특징 처리 방법, 장치 및 컴퓨터 저장 매체
US11222431B2 (en) 2018-07-11 2022-01-11 China Unionpay Co., Ltd. Feature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for motion trajectory, and computer storage medium
KR102132035B1 (ko) * 2019-01-03 2020-07-08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자이로센서를 포함하는 봉을 이용한 언어 교육시스템
CN113986030A (zh) * 2021-11-29 2022-01-28 神思电子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鼠标的字符输入方法、设备及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53411B1 (ko) 2011-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59101B2 (en) Swipe gestures for touch screen keyboards
JP4213414B2 (ja) 機能の実現方法及び装置
KR100856203B1 (ko) 지문 인식 센서를 이용한 사용자 입력 장치 및 방법
JP5802667B2 (ja) ジェスチャ入力装置およびジェスチャ入力方法
TWI290690B (en) Selective input system based on tracking of motion parameters of an input device
KR101947034B1 (ko) 휴대 기기의 입력 장치 및 방법
KR100806241B1 (ko) 기록된 그래픽 장치용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RU2415463C2 (ru) Устройство ввода с многорежимной переключательной функцией
KR101636705B1 (ko)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단말의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
US20070103431A1 (en) Handheld tilt-text computing system and method
US2010022559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s/numerals for communication terminal
US20040239624A1 (en) Freehand symbolic input apparatus and method
US20140115543A1 (en) Method and device of stroke based user input
US20110291940A1 (en) Data entry system
US8456436B2 (en) Input device and input method
JP2006524955A (ja) タッチスクリーン及び縮小型キーボードのための曖昧でないテキスト入力方法
US20150100911A1 (en) Gesture responsive keyboard and interface
KR101053411B1 (ko) 문자 입력 방법 및 그 단말기
US2017019246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ambiguating information input to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20160143428A (ko) 펜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80103547A (ko) 휴대 장치 및 휴대 장치의 화면 제어방법
JP2009099041A (ja) ペン型入力装置
JP2003005902A (ja) 文字入力装置、情報処理装置、文字入力装置の制御方法、及び記憶媒体
Ballagas et al. The design space of ubiquitous mobile input
JP2006079221A (ja) 文字入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