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88872A - Bookmark - Google Patents

Bookmar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88872A
KR20100088872A KR1020090008005A KR20090008005A KR20100088872A KR 20100088872 A KR20100088872 A KR 20100088872A KR 1020090008005 A KR1020090008005 A KR 1020090008005A KR 20090008005 A KR20090008005 A KR 20090008005A KR 20100088872 A KR20100088872 A KR 201000888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okmark
read
book
line
displa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800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원식
Original Assignee
최원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원식 filed Critical 최원식
Priority to KR10200900080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88872A/en
Publication of KR201000888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8872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9/00Bookmarkers; Spot indicators; Devices for holding books open; Leaf turners
    • B42D9/001Devices for indicating a page in a book, e.g. bookmarkers
    • B42D9/004Devices for indicating a page in a book, e.g. bookmarkers removably attached to the boo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9/00Bookmarkers; Spot indicators; Devices for holding books open; Leaf turners
    • B42D9/008Devices for indicating a spot on a she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PINDEXING SCHEME RELATING TO BOOKS, FILING APPLIANCES OR THE LIKE
    • B42P2221/00Books or filing appliances with additional arrangements
    • B42P2221/02Books or filing appliances with additional arrangements with indicating means

Landscapes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PURPOSE: A bookmark is provided to locate a display unit of the bookmark to point a page to read, and to locate the end of the display unit to point out a line to read. CONSTITUTION: A bookmark(10) comprises the following: a display unit(13) marking a page for a user to read; a supporting unit(14) pointing out a line to read on both sides of the display unit. The supporting unit is formed on the same horizontal line. The left and right width of the bookmark is the same or bigger than the black portion of the page.

Description

책갈피{Bookmark}Bookmarks {Bookmark}

본 발명은 책갈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책의 읽어야 하는 페이지 뿐만 아니라 읽을 라인까지 정확히 표시해 주는 책갈피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bookmarks, and more particularly, to bookmarks that accurately mark not only pages to be read but also lines to read.

일반적으로, 책은 대개의 경우 책갈피가 없는 형태로 제본되어 출간되기 때문에, 독서 후 읽던 곳이나 또는 읽어야 하는 곳을 표시하기 위해 책장을 접어서 표시하거나 또는 책 자체에 꼬임되어 설치된 색실이나 합성수지재의 시트로 된 책갈피를 꽂아두는 방법으로 표시하였다.In general, books are bound and published in the form of no bookmarks, so the bookshelf is folded and displayed to indicate the place to be read or read after reading, or it is a sheet of colored yarn or synthetic resin installed twisted into the book itself. Marked bookmarks were plugged in.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방법 중 책장을 접는 경우는, 책이 훼손되어 미관상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책장에 인쇄된 글자 등의 인쇄물이 볼품없이 훼손되고 책의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when the bookshelf is folded in the conventional method, the book is damaged and not only aesthetically unfavorable, but also printed matters such as letters printed on the bookcase are damaged without a tame and the life of the book is shortened.

그리고, 책에 설치된 색실이나 시트로 된 책갈피를 사용하는 경우는, 책의 읽던 부분 즉 읽어야 하는 부분은 찾을 수 있으나, 펼쳐진 책의 양 페이지 중 읽던 페이지 또는 읽어야 하는 페이지(이하 "읽어야 하는 페이지" 라 한다)가 어딘지는 쉽게 찾을 수 없을 뿐만 아니라 특히 읽던 라인 또는 읽어야 하는 라인(이하 "읽을 라인" 이라 한다)은 별도로 표시해 두지 않으면 찾기 매우 어렵기 때문에, 펼쳐진 책의 양 페이지를 처음부터 다시 읽어야 하므로 불편하고 번거로운 단점이 있었다.In addition, when using a bookmark of colored threads or sheets installed in the book, the part of the book that is to be read, that is, the part to be read, can be found, but the page to be read or the page to be read (hereinafter referred to as "page to read") Not only easy to find, but especially the lines you have read or the lines you need to read (hereinafter referred to as "read lines") are very difficult to find unless you mark them separately. There was a cumbersome disadvantage.

이에,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책갈피의 일면에 동일선상으로 형성된 지시부를 갖는 표시부를 형성함으로써 책의 읽어야 하는 페이지 뿐만 아니라 읽을 라인까지 정확히 표시해 줌으로써 책의 읽어야 할 곳을 신속하면서도 정확하게 찾을 수 있도록 한 책갈피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by forming a display unit having an indication portion formed in the same line on one side of the bookmark to accurately display not only the page to be read but also the line to be read. Its purpose is to provide a bookmark that allows you to quickly and accurately find where to read.

상술한 목적은, 책에 꽂아 읽던 곳을 표시하기 위한 책갈피에 있어서, 상기 책갈피는 그 일면에 읽을 페이지를 표시하는 표시부가 형성되고, 상기 표시부의 양측에는 읽을 라인을 가리키는 지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갈피에 의해 달성된다.The above-mentioned objec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bookmark for displaying the place to be inserted into the book, the bookmark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play portion for displaying the page to be read on one side, the indicator portion indicating the line to be read on both sides of the display portion is formed Is achieved by a bookmark.

그리고, 상기 책갈피의 지시부는 동일한 수평선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indication portion of the bookmark is preferably formed on the same horizontal line.

또한, 상기 책갈피의 양단부와 양 지시부 사이의 좌우 폭은 책장의 좌우 여백과 같거나 더 큰 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되고, 상기 지시부와 근접한 책갈피의 상단부 또는 하단부와 지시부 사이의 폭은 책장의 상부 여백 또는 하부 여백과 같거나 더 큰 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left and right widths between the both ends of the bookmark and both indicators are formed to be spaced apart at the same or larger interval than the left and right margins of the bookshelf, and the width between the upper or lower end of the bookmark and the indicator adjacent to the indicator is the upper margin of the bookshelf or It is preferably formed spaced at interval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bottom margin.

한편, 상기와 같이 형성된 책갈피는 종이, 가죽, 플라스틱, 철판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고, 특히 표면에 약간의 점성을 가지는 재질이 더욱 바람직하고, 상기 책갈피에는 줄이 연결되어 설치되되, 상기 줄은 독립적인 줄일 수 있고, 또는 책에 설치된 줄일 수도 있으며, 책에 설치된 줄인 경우에는 책갈피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bookmark is formed as described above is preferably formed of any one material of paper, leather, plastic, iron plate, more preferably a material having a slight viscosity on the surface, the bookmark is connected to the line is installed, The line can be reduced independently, or can be reduced installed in the book, in the case of the line installed in the book has the advantage of preventing the loss of the bookmark.

본 발명의 책갈피에 따르면, 책에 책갈피를 꽂을 때, 책갈피의 표시부가 읽어야 하는 페이지를 향하도록 함과 아울러 표시부 단부의 지시부가 읽을 라인을 가리키도록 위치되게 하여 책갈피를 책에 꽂아 둠으로써 책에 꽂혀져 있는 책갈피를 보고 책의 읽을 페이지와 읽을 라인을 신속하면서도 정확하게 찾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bookmark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bookmark is placed on the book, the bookmark of the bookmark is directed to the page to be read, and the indicator at the end of the display is positioned to point to the line to be read so that the bookmark is placed in the book. By looking at the bookmarks, you can quickly and accurately find the pages and lines to read.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책갈피의 다양한 실시예와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1 to 7 are views illustrating various embodiments of a bookmark and a state of u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책갈피(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일면에만 표시부(13)가 형성되고, 상기 책갈피의 재질은 종이나 가죽 또는 얇은 플라스틱이나 얇은 철판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얇은"이라는 용어는, 책갈피(10)가 책의 읽어야 하는 페이지에 꽂혀있을 때, 특별한 외력이 적용되지 않는 책의 직립 상태에서 책갈피의 자유로운 운동이 불가능한 정도를 의미한다.As shown in Figure 1, the bookmark 1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portion 13 is formed only on one surface, the material of the bookmark may be formed of paper or leather or thin plastic or thin iron plate. The term "thin" as used herein refers to the extent to which the free movement of the bookmark is impossible in the upright state of the book to which no special external force is applied when the bookmark 10 is inserted in the page to be read of the book.

이와 같은 표시부(13)는 책갈피(10)의 양면 중 어느 한쪽 면에만 형성되어, 표시부(13)가 있는 면을 도 5에서와 같이 책(1)의 양 페이지 중 읽어야 하는 페이지 측으로 향하도록 하여 책갈피(10)를 꽂아둔다.The display unit 13 is formed on only one side of both sides of the bookmark 10, and the surface with the display unit 13 faces the page to be read out of both pages of the book 1 as shown in FIG. Plug in (10).

따라서, 책(1)을 펼쳤을 때, 책갈피(10)의 표시부(13)가 향하는 면이 읽어야 하는 페이지가 되므로 손쉽게 읽을 페이지를 찾을 수 있게 된다.Therefore, when the book 1 is opened, the surface facing the display portion 13 of the bookmark 10 becomes a page to be read, so that it is easy to find a page to read.

그리고, 상기 표시부(13)의 양측에는 지시부(14)가 형성되고, 상기 지시부(14)는 읽어야 하는 페이지의 읽을 라인을 가리키도록 위치된다. 물론, 이때 상기 표시부(13)와 지시부(14)는 읽던 페이지와 읽던 마지막 라인을 가리켜도 무방하나, 이하에서는 읽어야 하는 페이지와 읽을 라인으로 통일하여 설명한다.In addition, the indicators 14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display unit 13, and the indicators 14 are positioned to indicate lines to be read of the page to be read. Of course, the display unit 13 and the indicator unit 14 may indicate the page to be read and the last line to be read. Hereinafter, the display unit 13 and the indicator unit 14 will be uniformly described as a page to be read and a line to be read.

따라서, 상기 지시부(14)에 의해서 읽어야 하는 라인을 신속하면서도 정확하 게 찾을 수 있게 된다.Therefore, the line to be read by the indicating unit 14 can be found quickly and accurately.

또한, 상기와 같이 책갈피(10)의 일면에 형성되는 표시부(13)는 책갈피(10)에 인쇄되거나 또는 스티커와 같이 부착되어 형성될 수 있고, 표시부(13)가 형성되지 않는 반대면은 광고나 메모를 할 수도 있으나, 보다 바람직하게는 표시부(13) 반대면에는 책(1)에 꽂혀진 책갈피(10)가 움직이지 않도록 점착성을 갖는 부착부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부착부의 점착성은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기성품인 포스트잇과 같은 정도의 점착성이면 만족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동물성 천연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들면, 최근 도마뱀붙이 발바닥에서 유래되는 천연재료는 건성 점착력을 가지는 시트로 활용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참조. ScienceDaily, October 10, 2008, http://www.sciencedaily.com/release/2008/10/081009143704.htm).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the display unit 13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bookmark 10 may be formed by being printed on the bookmark 10 or attached as a sticker, and the opposite surface on which the display unit 13 is not formed may be an advertisement or Although it is possible to take notes, it is more preferable that an adhesive part having an adhesive property is formed on the opposite surface of the display part 13 so that the bookmark 10 inserted in the book 1 does not move. The adhesiveness of such an attachment part satisfies the adhesiveness of the grade similar to the post-it which is a ready-made product normally used. More preferably, animal natural materials can be used. For example, it has recently been found that natural materials derived from lizard soles can be used as sheets with dry adhesion (see ScienceDaily, October 10, 2008, http://www.sciencedaily.com/release/2008). /10/081009143704.htm).

한편, 상기와 같은 지시부(14)를 갖는 표시부(13)는 책갈피(10)의 일면 중 상단부 또는 하단부 중 어느 한쪽에 근접되게 형성되되, 이하에서는 표시부(13)가 책갈피(10)의 상단부에 근접 형성된 것을 그 일례로 들어 설명하고, 상기 표시부(13)의 양측부에 형성된 양 지시부(14)는 동일한 수평선상으로 형성되어야 한다.On the other hand, the display unit 13 having the indication unit 14 as described above is formed to be close to either one of the upper end or the lower end of one surface of the bookmark 10, hereinafter the display unit 13 is close to the upper end of the bookmark 10 As an example, what is formed will be described, and both indicator portions 14 formed on both sides of the display portion 13 should be formed on the same horizontal line.

이와 같은 표시부(13)가 형성된 책갈피(10)는 도 6a 및 도 7a에서와 같이 책(1)의 상부측에 꽂는 경우에는 표시부(13)가 위로 올라가도록 한 후 책갈피(10)를 꽂고, 도 6b 및 도 7b에서와 같이 책(1)의 하부측에 꽂는 경우에는 책갈피(10)를 180도로 회전시켜 위쪽에 있던 표시부(13)를 아래쪽으로 위치시킨 후 책갈 피(10)를 꽂는다.When the bookmark 10 having the display portion 13 formed as described above is inserted into the upper side of the book 1 as shown in FIGS. 6A and 7A, the bookmark portion 10 is raised upward and the bookmark 10 is inserted therein. 6b and 7b, when the book 1 is inserted into the lower side of the book 1, the bookmark 10 is rotated by 180 degrees to place the display unit 13 on the upper side, and then the bookmark 10 is inserted.

이는, 상기 책갈피(10)의 사용 시, 책갈피(10)의 일면에 형성된 표시부(13)가 책갈피(10)의 상부측에 형성되기 때문에, 책갈피(10)를 책(1)의 상부측에 꽂는 경우는 원형 그대로 꽂고, 하부측에 꽂는 경우에는 반드시 책갈피(10)를 180도 회전시켜 위쪽에 있던 표시부(13)를 아래쪽으로 위치시킨 후 꽂아야만 책(1)에 꽂혀진 책갈피(10)의 돌출량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This is because when the bookmark 10 is used, since the display portion 13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bookmark 10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bookmark 10, the bookmark 10 is inserted into the upper side of the book 1. In the case of plugging in a circular shape, in case of plugging in the lower side, the bookmark 10 must be rotated 180 degrees, and then the display part 13 located at the upper side must be inserted downward, and then inserted into the protruding part of the bookmark 10 inserted in the book 1. The amount can be minimized.

또한, 도 2 내지 도 4는 책갈피의 각기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표시부와 근접한 책갈피의 상단부에는 걸이구멍(11)을 천공하고, 이 걸이구멍(11)에는 줄(12)을 연결하여 설치할 수 있다.2 to 4 illustrate different embodiments of the bookmark, and the hook hole 11 is drilled in the upper end of the bookmark adjacent to the display portion, and the hook hole 11 is connected to the hook hole 11 to be installed. Can be.

이때, 상기 줄(12)은 책(1)과는 무관한 독립된 형태의 줄이거나 또는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책(1) 자체에 형성된 줄을 연결한 형태일 수도 있으며, 이와 같이 책(1) 자체에 형성된 줄을 연결하는 경우에는 줄을 통해 책갈피(10)가 책(1)에 일체로 설치됨으로써 책갈피(10)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In this case, the string 12 may be a form of an independent form unrelated to the book 1 or may be a form of connecting the lines formed on the book 1 itself,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and thus the book 1 itself. In the case of connecting a line formed in the bookmark 10 through the line is integrally installed in the book (1)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loss of the bookmark (10).

그리고, 상기 표시부(13)는 다양한 형상이나 모양 또는 기호 등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지시부(14)는 지시선, 화살표, 삼각형, 마름모 형상 등과 같이 통상적으로 가리키는데 사용되는 기호나 도형 등과 같은 군에서 하나 또는 두 개 이상이 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splay unit 13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shapes, or symbols, and the indicator unit 14 may be formed in a group such as a symbol or a figure that is commonly used to indicate a leader line, an arrow, a triangle, a rhombus shape, or the like. One or two or more may be formed in combination.

즉, 상기 표시부(13)와 지시부(14)는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화살표로 형성될 수 있고, 도 3에서와 같이 원형의 표시부(13')와 지시선의 지시부(14')로 형 성될 수도 있으며, 도 4에서와 같이 마름모 형상의 표시부(13")와 마름모 양단부에 형성된 삼각형의 지시부(14")로 형성될 수도 있다.That is, the display unit 13 and the indicator unit 14 may be formed by arrows as shown in FIGS. 1 and 2, and are formed as a circular display unit 13 ′ and an indicator unit 14 ′ of the leader line as shown in FIG. 3. As shown in FIG. 4, a rhombic display portion 13 ″ and a triangular indicator portion 14 ″ formed at both ends of the rhombus may be formed.

이와 같이 표시부(13)(13')(13")와 지시부(14)(14')(14")는 통상적으로 가리키는데 사용되는 기호나 도형이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기호나 도형, 형상, 모양 등으로 실현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도 1 및 도 2의 화살표 형태를 상기한 표시부(13)와 지시부(14)의 일례로 설명한다.As such, the display portions 13, 13 ′, 13 ″ and the indicating portions 14, 14 ′, 14 ″ are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long as they are symbols or figures commonly used to indicate. It may be realized by a figure, a shape, a shape, or the like. Hereinafter, the arrow shapes of FIGS. 1 and 2 will be described as examples of the display unit 13 and the indicator unit 14.

또한, 도 6a 내지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책갈피(10)의 양단부와 양 지시부(14) 사이의 폭(l)은 책장의 좌우 여백(L)과 같거나 더 큰 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되고, 상기 지시부(14)와 근접한 책갈피(10)의 상단부 또는 하단부와 지시부(14) 사이의 폭(h)은 책장의 상부 여백(H) 또는 하부 여백(H)과 같거나 더 큰 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6A to 7B, the width l between both ends of the bookmark 10 and both indicators 14 is formed to be spaced at a distance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left and right margins L of the bookcase. The width h between the upper or lower end of the bookmark 10 and the indicator 14 adjacent to the indicator 14 is spaced at an interval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upper margin H or lower margin H of the bookcase. Is preferably formed.

상기와 같이 형성된 책갈피(10)의 양단부와 양 지시부(14) 사이의 폭(l)은 도 6a 내지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책갈피(10)를 책장 사이에 꽂을 때 책장의 좌우 여백(L)만큼 책갈피(10)와 지시부(14) 사이에 이격된 공간이 확보되므로 지시부(14)가 책장 사이에 삽입되어 묻히지 않고 문장의 라인을 정확히 지시하게 된다.The width l between both ends of the bookmark 10 and both indicators 14 formed as described above is shown in FIGS. 6A to 7B, when the bookmark 10 is inserted between the bookshelves, left and right margins L of the bookshelf. Since the space spaced between the bookmark 10 and the indicating unit 14 is secured by), the indicating unit 14 is inserted between the bookshelves to accurately indicate the line of the sentence without being buried.

그리고, 상기와 같이 형성된 책갈피(10)와 지시부(14) 사이의 상부 폭(h) 또는 하부 폭(h)은 책갈피(10)를 문장의 상부 첫라인 또는 하부 마지막 라인을 가리키도록 꽂을 때 책갈피(10)의 단부가 책(1) 외측으로 약간 돌출되게 함으로써 책장 사이에 끼워진 책갈피(10)의 위치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게 한다.And, the upper width (h) or lower width (h) between the bookmark 10 and the indicator portion 14 formed as described above is the bookmark when the bookmark 10 is inserted so as to point to the upper first line or the lower last line of the sentence. By allowing the end of 10 to project slightly out of the book 1, it is possible to easily check the position of the bookmark 10 sandwiched between the bookshelves.

한편,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책갈피(10)는, 독서의 중단 후 책갈피(10) 일면에 형성된 표시부(13)를 이후 계속해서 읽어야 하는 페이지 측으로 향하도록 한 상태에서 도 6a 내지 도 7b에서와 같이 표시부(13)의 지시부(14)를 읽을 라인에 맞춰 책갈피(10)를 책장 사이에 꽂아둔다.On the other hand, the bookmark 10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s shown in Figs. 6a to 7b in a state that the display unit 13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bookmark 10 after the interruption of reading to the side to continue reading later Likewise, the bookmark 10 is inserted between the bookcases in accordance with the line to read the indication portion 14 of the display portion 13.

따라서, 후에 다시 책(1)을 읽고자 할 때는, 책(1)에 꽂아둔 책갈피(10)의 표시부(13)와 지시부(14)를 통해서 읽어야 할 페이지와 읽을 라인을 정확하면서도 신속하게 찾을 수 있게 된다.Therefore, when the book 1 is to be read again later, the pages to be read and the lines to be read can be found accurately and quickly through the display unit 13 and the indicator unit 14 of the bookmark 10 inserted in the book 1. Will be.

그리고, 책갈피(10)를 책장의 상부측에 꽂아두는 경우에는 도 6a 및 도 7a에서와 같이 표시부(13)가 책갈피(10)의 위쪽으로 위치되게 한 후 책장 사이에 꽂아두고, 책장의 하부측에 꽂아두는 경우에는 도 6b 및 도 7b에서와 같이 책갈피(10)를 180도 회전시켜 즉 위쪽에 있던 표시부(13)를 아래쪽으로 위치되도록 책갈피(10)를 회전시킨 후 책장 사이에 꽂는다.When the bookmark 10 is inserted into the upper side of the bookshelf, the display unit 13 is positioned above the bookmark 10 as shown in FIGS. 6A and 7A, and the bookmark 10 is placed between the bookcases and the lower side of the bookcase. 6B and 7B, the bookmark 10 is rotated by 180 degrees, that is, the bookmark 10 is rotated to be positioned downward so that the bookmark 10 is positioned downward, and then inserted between the bookcases.

즉, 도 6a에서와 같이 읽어야 할 곳이 왼쪽 페이지의 상부측 라인인 경우에는 책갈피(10)의 왼쪽 지시부(14)가 왼쪽 페이지의 상부측 라인을 가리키도록 설치되고, 도 6b에서와 같이 읽어야 할 곳이 왼쪽 페이지의 하부측 라인인 경우에는 책갈피(10)를 180도로 회전시켜 꽂음으로써 최초 오른쪽에 있던 지시부(14)가 왼편으로 위치 이동되어 왼쪽 페이지의 하부측 라인을 가리키게 된다.That is, when the place to be read as shown in FIG. 6A is the upper line of the left page, the left indicator 14 of the bookmark 10 is installed to point to the upper line of the left page, and should be read as shown in FIG. 6B. If the place to be the lower line of the left page by inserting the bookmark 10 by rotating the 180 degrees, the indication portion 14, which was on the first right, is moved to the left to point to the lower line of the left page.

따라서, 읽어야 할 페이지와 읽을 라인을 혼돈없이 정확하면서도 신속하게 찾을 수 있는 것이다.Thus, the pages to be read and the lines to be read can be found quickly and accurately without confus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책갈피의 기본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the basic structure of a bookma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책갈피를 각각 도시한 도면이다.2 to 4 are diagrams each showing a bookmar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책갈피가 책에 꽂혀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bookmark is inserted into a boo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책갈피가 책에 꽂혀진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로서, 도 6a 및 도 7a는 책의 상측부에 꽂혀진 책갈피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b 및 도 7b는 책의 하측부에 꽂혀진 책갈피를 도시한 도면이다.6 and 7 are diagrams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ookmark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erted into a book, and FIGS. 6A and 7A show bookmarks inserted in an upper portion of a book, and FIGS. 6B and 7B are books. It is a figure which shows the bookmark inserted in the lower part of the.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책 L : 책장의 좌우 여백1: book L: left and right margins of the bookcase

H : 책장의 상하 여백 10 : 책갈피H: Top and bottom margin of the bookcase 10: Bookmark

11 : 걸이구멍 12 : 줄11: hook hole 12: string

13,13',13" : 표시부 14,14',14" : 지시부13,13 ', 13 ": Display 14,14', 14": Display

l : 책갈피의 양단부와 지시부 사이의 좌우 폭l: left and right width between the both ends of the bookmark and the indicator

h : 지시부와 근접한 책갈피의 상단부 또는 하단부와 지시부 사이의 폭h: Width between the top or bottom of the bookmark and the indicator near the indicator

Claims (5)

책에 꽂아 읽던 곳을 표시하기 위한 책갈피에 있어서, In the bookmark to mark the place where you read in the book, 상기 책갈피는 그 일면에 읽을 페이지를 표시하는 표시부가 형성되고, 상기 표시부의 양측에는 읽을 라인을 가리키는 지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갈피.The bookmark is a bookmark, characterized in that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page to be read on one surface thereof, the indicator indicating the line to read on both sides of the display unit.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책갈피의 지시부는 동일한 수평선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갈피.The bookmark of the bookmark,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on the same horizontal line.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책갈피의 양단부와 양 지시부 사이의 좌우 폭은 책장의 좌우 여백과 같거나 더 큰 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되고, The left and right widths between both ends of the bookmark and both indicators ar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the same or greater distance than the left and right margins of the bookcase. 상기 지시부와 근접한 책갈피의 상단부 또는 하단부와 지시부 사이의 폭은 책장의 상부 여백 또는 하부 여백과 같거나 더 큰 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갈피.And a width between an upper end portion or a lower end portion of the bookmark adjacent to the indicator portion, and the indicator portion, the width of which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upper or lower margin of the bookcase.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책갈피는 종이, 가죽, 플라스틱, 철판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갈피.The bookmark is a bookmark,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of any one of paper, leather, plastic, iron plate material.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책갈피에는 줄이 연결되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갈피.The bookmark, characterized in that the line is connected to the bookmark installed.
KR1020090008005A 2009-02-02 2009-02-02 Bookmark KR20100088872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8005A KR20100088872A (en) 2009-02-02 2009-02-02 Bookmar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8005A KR20100088872A (en) 2009-02-02 2009-02-02 Bookmark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8872A true KR20100088872A (en) 2010-08-11

Family

ID=427549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8005A KR20100088872A (en) 2009-02-02 2009-02-02 Bookmar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88872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2083Y1 (en) * 2013-02-28 2014-04-10 최원식 Booklinemark
KR102000238B1 (en) 2018-12-03 2019-10-01 김민지 Bookmark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2083Y1 (en) * 2013-02-28 2014-04-10 최원식 Booklinemark
KR102000238B1 (en) 2018-12-03 2019-10-01 김민지 Bookmark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88872A (en) Bookmark
JP2008188915A (en) Paper holder
KR200476994Y1 (en) A note with a plurality of the inner paper
KR200472083Y1 (en) Booklinemark
KR200475848Y1 (en) Post-it type note label
CN102152689A (en) Hanging file folder having fold-up label features
KR101073755B1 (en) Bookmark using magnet
JP2011115947A (en) Paper holder
RU75988U1 (en) BOOK MAGNET TAB
JP3151530U (en) Books, file binders, bookmarks and bookmark sets
KR20150029953A (en) Bookmark
JP6418599B2 (en) ruler
KR200190203Y1 (en) Book mark
KR20160004149U (en) Name tag for ring-note
CN204622883U (en) English teaching bookmark
JP4101151B2 (en) Double clip index and double clip with this attached to the back plate
KR20130005150U (en) Line Pointing Bookmark
KR200284481Y1 (en) Sticker type bookmarker
KR200421096Y1 (en) Easy pages to turn
KR200434189Y1 (en) Ribbon Bookmark
JP2006175795A (en) Index for double clip and double clip having this fitted on back plate
JP3203446U (en) tag
CN202219667U (en) File folder
KR20100008793U (en) improved book marker
CN201728925U (en) Positioning book mar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