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0238B1 - Bookmark - Google Patents

Bookmar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0238B1
KR102000238B1 KR1020180153702A KR20180153702A KR102000238B1 KR 102000238 B1 KR102000238 B1 KR 102000238B1 KR 1020180153702 A KR1020180153702 A KR 1020180153702A KR 20180153702 A KR20180153702 A KR 20180153702A KR 102000238 B1 KR102000238 B1 KR 1020002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o
bookmark
present
fold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370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민지
권송이
공석희
Original Assignee
김민지
권송이
공석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민지, 권송이, 공석희 filed Critical 김민지
Priority to KR10201801537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0238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02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023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9/00Bookmarkers; Spot indicators; Devices for holding books open; Leaf turners
    • B42D9/001Devices for indicating a page in a book, e.g. bookmarkers
    • B42D9/004Devices for indicating a page in a book, e.g. bookmarkers removably attached to the book
    • B42D9/005Devices for indicating a page in a book, e.g. bookmarkers removably attached to the book clamped on the she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21/00Indexing means; Indexing tabs or protectors therefor
    • B42F21/06Tabs detachably mounted on sheets, papers, cards, or suspension fi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3/00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involving perforations; Means therefor; Sheet details therefor
    • B42F3/003Perforated or punched sheets

Landscapes

  • Sheet Holders (AREA)

Abstra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bookmark comprises: an attachment unit having a first bonding unit on at least one side surface; a folding unit having at least one folding line; and a memo unit having a memo space that has a predetermined size or more and a second bonding unit.

Description

책갈피{BOOKMARK}Bookmark {BOOKMARK}

본 발명은 책갈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메모공간을 구비하는 책갈피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ookmark, and more particularly to a bookmark having a memo space.

일반적으로 발행되는 책에는 책갈피가 없는 형태로 제본되어 출간되기 때문에, 독서 후 읽던 부분 또는 읽어야하는 페이지 등을 표시하기 위해서는 책장을 접어서 표시하거나 혹은 책을 제본시 마련된 색실 등을 사용하여 페이지를 표시하였다.In general, published books are bound and published in the form of no bookmarks, so the pages that are to be read after reading or the pages to be read are folded and displayed, or pages are displayed using a coloring thread provided when the books are bound. .

책갈피와 관련된 종래의 선행기술에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0-0088872에 개시된 바와 같이 책갈피(1)를 책에 꽂아 둠으로써 책에 꽂혀져 있는 책갈피(1)를 보고 책의 읽을 페이지를 신속하면서도 정확하게 찾을 수 있는 효과가 있었다.Prior art related to bookmarks includes a bookmark (1) plugged into a book, as disclosed in Korean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10-2010-0088872, to quickly and accurately find the page to be read in a book. It was effective.

하지만, 상기 종래의 선행기술의 경우 책과 분리된 채로 관리가 되어 분실에 대한 위험이 존재하였고, 아울러 책갈피(1)가 꽂혀진 책을 가지고 이동하는 경우 종래의 선행기술은 쉽게 이탈이 될 수 있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prior art, there is a risk of loss because it is managed separately from the book, and the conventional prior art can be easily separated when moving with the book with the bookmark 1 inserted therein. There was a problem.

또한, 종래의 책갈피(1)의 경우 책 밖으로 돌출되는 부분이 있어 미관상 깔끔하지 못하다는 문제점 역시 존재하였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bookmark (1) there was also a problem that there is a part that protrudes out of the book aesthetically not neat.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0-0088872호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0-0088872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책에 부착할 수 있는 책갈피와, 나아가 책 밖으로 돌출되는 부분이 없는 책갈피를 제공하고자 한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to provide a bookmark that can be attached to the book, and furthermore a bookmark that does not protrude out of the book.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적어도 일측면에 제1 접착부를 포함하는 부착부, 한 개 이상의 절첩선을 포함하는 절첩부, 메모공간과 제2 접착부를 구비하는 메모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2 접착부는 상기 메모공간의 반대면에 형성되고, 상기 부착부, 절첩부 그리고 상기 메모부는 연속하여 형성되며, 상기 메모부는 기재할 문자 수에 맞추어 메모공간의 크기를 다양하게 절취할 수 있는 복수의 절취선이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절취선은 메모부를 가로지르는 횡방향 절취선과 상기 접철부와 인접한 부분에 세로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 종방향 절취선과 상기 제1 종방향 절취선과 간격을 두고 메모부의 최측단을 향하는 방향에 나란하게 형성되는 제2 종방향 절취선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 접착부는 상기 메모부의 최측단과 상기 제2 종방향 절취선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one side includes an attachment portion including a first adhesive portion, a folding portion including one or more fold lines, a memo portion having a memo space and a second adhesive portion, wherein the second adhesive portion Is form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memo space, the attachment portion, the folding portion and the memo portion is formed continuously, the memo portion has a plurality of perforations that can be variously cut the size of the memo space in accordance with the number of characters to be described And a plurality of cutout lines extending toward the outermost end of the memo portion at intervals from the first longitudinal cutout line and a first longitudinal cutout line formed vertically at a portion adjacent to the fold portion and a transverse cutout line crossing the memo portion. And a second longitudinal cut line formed in parallel to each other, and the second adhesive part is formed at the extreme end of the memo portion and the second longitudinal cut line. It is characterized by.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접착부를 통해 책에 부착됨으로써 책으로부터 책갈피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the bookmark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book by being attached to the book through the adhesive portion.

또한, 종래의 책갈피와 달리 책 밖으로 돌출되는 부분이 존재하지 않아 외관상 깔끔함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unlike a conventional bookmark, there is no part protruding out of the book, thereby providing a neat appearance.

도 1은 종래기술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적용된 모습에 대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배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prior art
Figure 2 is a front view of the appearance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3 is a front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id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rear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ront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책갈피에 대해 상술한다.Hereinafter, a bookma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인 책갈피(100)는 부착부(110), 절첩부(120), 그리고 메모부(130)를 포함한다.The bookmarke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ttachment part 110, a folding part 120, and a memo part 130.

부착부(1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책 가장 뒷 페이지측에 부착되는 부분으로, 본 발명인 책갈피(100)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부착부(1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일측면에 제1 접착부(112)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접착부(112)를 통해 상기 부착부(110)는 책에 고정될 수 있다.Attachment 110 is a portion that is attached to the back side of the book as shown in Figure 2, serves to fix the bookmark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ttachment part 110 includes a first adhesive part 112 on at least one side as shown in FIG. 4. The attachment part 110 may be fixed to a book through the first adhesive part 112.

제1 접착부(112)는 본 발명인 책갈피(100)가 묶음으로 판매될 경우를 대비하여, 부착부(110) 일측면에서 길이방향의 양측단 중 절첩부(120)로부터 먼 곳에 위치한 최측단에 구성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최측단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제1 접착부(112)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제1 접착부(112)와 상기 최측단과의 사이에 일정간격이 생긴 공간을 통해 본 발명인 책갈피(100)를 보다 쉽게 묶음으로부터 떼어내어 사용할 수 있다.The first adhesive portion 112 is configured in the outermost end located far from the folded portion 120 of both sides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one side of the attachment portion 110 in case the bookmark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old in a bundle. It is preferable not to. Since the first adhesive portion 112 is provid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from the outermost end, the bookmark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ore easily bundled through a space in which a predetermined interval is formed between the first adhesive portion 112 and the outermost end. I can remove it and use it.

절첩부(120)는 절첩선(122)이 구비된 부분으로서, 상기 절첩선(122)을 한 개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절첩선(122)을 통해 본 발명인 책갈피(100)는 사용자가 보다 쉽게 접혀질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절첩선(122)은 측면에서 봤을 때 대략 'V'자 홈과 유사한 형태를 띈다. The fold part 120 is a portion provided with the fold line 122 and may include one or more fold lines 122. The bookmark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the fold line 122 can be folded more easily by the user. Referring to FIG. 4,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d line 122 has a shape similar to a 'V' groove when viewed from the side.

상기 절첩부(120)는 경우에 따라서는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절첩선(122)을 복수 개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절첩부(120)의 크기와 상기 절첩선(122)의 개수는 책의 두께에 따라 달라질 수 있기에, 본 발명을 실시하고자 하는 자는 절첩부(120)의 크기와 절첩선(122)의 개수를 다양하게 설정하여 제작할 수 있다.In some cases, the foldable part 120 may include a plurality of fold lines 122 spaced apart at regular intervals. Since the size of the fold 120 and the number of the fold lines 122 may vary according to the thickness of the book, those who wish to practice the present invention may determine the size of the fold 120 and the number of fold lines 122. Various settings can be made.

메모부(130)는 본 발명인 책갈피(100)의 사용자가 메모를 할 수 있는 공간인 메목공간을 제공하는 부분으로서, 일정크기 이상의 메모공간(132)과 제2 접착부(133)를 구비한다. 상기 제2 접착부(133)는 상기 메모공간(132)의 반대면에 형성됨으로써, 절첩선(122)을 통해 접혀진 본 발명인 책갈피의 메모부(130)는 책 종이면 상에서 상기 제2 접착부(133)를 통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2 접착부(133)는 후술할 제2 종방향 절취선(134b)에 따른 절취를 통해 이동성이 있는 메모지, 예컨대 포스트-잇과 같이 사용될 수 있다.The memo unit 130 is a part for providing a memok space which is a space for a user of the bookmark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ake a memo, and includes a memo space 132 and a second adhesive part 133 having a predetermined size or more. The second adhesive part 133 is formed on the opposite surface of the memo space 132, the memo part 130 of the bookmark of the present invention folded through the fold line 122 is the second adhesive part 133 on the book paper surface Can be fixed through. The second adhesive part 133 may be used as a removable memo paper, for example, a post-it, by cutting along the second longitudinal cutting line 134b to be described later.

상기 제2 접착부(133)는 책 종이면 상에서 메모부(130)의 최측단이 확실히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제2 접착부(133)는 상기 메모부(130) 최측단에 구비될 수 있다. 만약 상기 제2 접착부(133)가 메모부(130) 최측단에 구비되지 않는 경우, 메모부(130) 최측단이 책 종이면과 이격됨으로써 메모부(130)가 책 종이면으로부터 쉽게 이탈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최측단은 메모부(130) 내에서 접철부(120)로부터 가장 먼 측단을 의미한다.The second adhesive part 133 may be provided at the side of the memo part 130 so that the most extreme end of the memo part 130 may be fixed on the book paper surface. If the second adhesive part 133 is not provided at the extreme end of the memo unit 130, the memo unit 130 may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book paper surface by being spaced apart from the book paper surface. Because there is. The outermost end means the side end farthest from the foldable part 120 in the memo part 130.

메모부(130)는 단수 혹은 복수 개의 절취선(13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절취선(134)을 통해 상기 메모부(130)는 본 발명인 책갈피(10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원하는 경우, 상기 메모부(130)를 포스트-잇과 같은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 개의 절취선(134)을 통해 절취된 메모부들이 타 공간에 접착될 수 있도록 절취된 모든 메모부들은 제2 접착부(133)를 포함할 수 있다.The memo unit 130 may include a singular or plural cut lines 134. The memo unit 130 may be separated from the bookmark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the cut line 134. Therefore, if desired by the user, the memo unit 130 may be used in the form of a post-it. In addition, all the memo portions cut through the plurality of cut lines 134 may include a second adhesive portion 133 so that the memo portions cut through the plurality of cut lines 134 may be bonded to other spaces.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복수 개의 절취선(134)이 메모부(130)에 격자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상기 복수 개의 절취선(134)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첨부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자형으로 상기 복수 개의 절취선(134)이 형성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여 메모부(130)를 절취한 경우, 대략 직사각형과 유사한 형태의 절취된 메모부를 구비할 수 있다.As illustrated in FIG. 3, in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lurality of cutout lines 134 may be formed in a memo 130 in a lattice shape, but the plurality of cutout lines 134 are not limited thereto. As shown in FIG. 3, when the plurality of cutting lines 134 are formed in a lattice shape, the user cuts the memo unit 130 in a desired manner, the memo unit 130 may have a cut memo unit having a shape that is substantially rectangular. .

삭제delete

또한, 복수 개의 절취선(134)이 구비됨으로써 형성되는 메모공간(132)들의 크기가 동일하지 않게끔 상기 복수 개의 절취선(134)이 메모부에 형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사용자는 보다 다양한 크기의 메모공간(132)을 통해 효율적인 메모활용이 가능하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cutting lines 134 may be formed in the memo unit such that the memo spaces 132 formed by the plurality of cutting lines 134 are not the same in size. Accordingly, the user can efficiently utilize the memo through the memo space 132 of various sizes.

구체적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절취선(134)은 메모부를 가로지르는 횡방향 절취선(134c)과 상기 접철부(120)와 인접한 부분에 세로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 종방향 절취선(134a)과 상기 제1 종방향 절취선(134a)과 간격을 두고 메모부의 최측단을 향하는 방향에 나란하게 형성되는 제2 종방향 절취선(134b)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복수 개의 절취선(134)을 형성함으로써 절취된 메모부에서 다양한 크기의 메모공간(132)이 확보될 수 있고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종방향 절취선(134a)이 절첩부 인접부분에 형성됨으로써 절취된 메모부의 공간을 최대한으로 확보할 수 있다.Specifically, as shown in FIG. 3, the plurality of cutout lines 134 may include a transverse cutout line 134c crossing the memo part and a first longitudinal cutout line 134a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at a portion adjacent to the foldable part 120. ) And a second longitudinal cut line 134b which is formed in parallel with the first longitudinal cut line 134a in a direction toward the innermost end of the memo portion. By forming a plurality of perforations 134 as described above, a memo space 132 having various sizes can be secured in the cut-out memo part, and as shown in FIG. 3, the first longitudinal cut line 134a is adjacent to the fold part. By forming in the part, the space of the memo part cut off can be ensured to the maximum.

경우에 따라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취선(134) 길이가 미절취선(136)보다 길 수 있다. 절취선(134) 길이를 미절취선(136)보다 길게함으로써 메모부 내 미절취선(136) 개수를 줄일 수 있어 메모부 절취에 따라 생길 수 있는 보풀과 같은 종이 절단면상의 잔여물을 최소한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절취선(134) 길이를 미절취선(136)보다 길게함으로써 사용자가 절취를 할 때, 보다 쉽게 메모부(130) 절취를 할 수 있다.In some cases, as illustrated in FIG. 6, the length of the cut line 134 may be longer than that of the non-cut line 136. By making the length of the cutout line 134 longer than the uncut line 136, the number of the cutout lines 136 in the memo portion can be reduced, thereby minimizing the residue on the paper cut surface such as fluff that may occur due to the memo cutout. In addition, when the length of the cutting line 134 is longer than that of the non-cutting line 136, the user may cut the memo unit 130 more easily when cutting.

도 2는 본 발명인 책갈피가 사용된 모습을 도시한다. 부착부(110)를 책 가장 뒤쪽에 위치한 책 종이면에 제1 접착부(112)를 통해 부착할 수 있다. 다만, 상기 부착부(110)를 부착하는 위치는 전술한 바대로 책 가장 뒤쪽에 위치한 책 종이면으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책갈피(100)가 부착된 상태에서 본 발명인 책갈피(100)를 사용하는 자는 본인이 원하는 책 종이면까지 상기 책갈피(100)를 위치시킬 수 있다.Figure 2 shows a state in which the inventor bookmark is used. The attachment part 110 may be attached to the book paper surface located at the back of the book through the first adhesive part 112. However, the position at which the attachment portion 110 is attached is not limited to the book paper surface located at the back of the book as described above. A person using the bookmark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tate in which the bookmark 100 is attached may position the bookmark 100 up to a book paper surface desired by the user.

상기 책 종이면에서 상기 책갈피(100)의 절곡이 필요한 바, 접철부(120)에 구비된 접철선(122)을 통해 사용자는 쉽게 상기 책갈피(100)를 절곡시킬 수 있다.Bar bending of the bookmark 100 is required in the book paper surface, the user can easily bend the bookmark 100 through the fold line 122 provided in the folding portion (120).

제2 접착부(133)를 통해 책 종이면상에서 메모부(130) 고정을 시킬 수 있다. 보다 확실한 고정을 위해 메모부(130) 최측단에 상기 제2 접착부(133)가 구비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memo part 130 may be fixed on the book paper through the second adhesive part 133. The second adhesive part 133 may be provided at the extreme end of the memo part 130 for a more secure fixing,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사용자는 원하는 경우 본 발명인 책갈피의 메모부(130)에 필기 등의 메모를 할 수 있다. 나아가, 메모를 한 후에 메모부(130)의 이동을 사용자가 원하는 경우 메모부(130)에 구비되어 있는 절취선(134)을 통해 메모부(130)를 이탈시켜 사용자가 원하는 장소에 절취된 메모부를 부착시킬 수 있다. 메모부(130)가 절취되더라도 메모부(130) 반대면에 제2 접착부(133)가 존재하여 상기와 같은 부착이 가능하다.If desired, the user may take notes, such as handwriting, in the memo unit 130 of the present inventors bookmark. Furthermore, if the user wants to move the memo unit 130 after taking a memo, the memo unit cut out at a desired place by leaving the memo unit 130 through the perforation line 134 provided in the memo unit 130 is provided. Can be attached. Even if the memo unit 130 is cut off, the second adhesive unit 133 is present on the opposite side of the memo unit 130, and thus the attachment may be performed.

또한, 사용자는 본인이 이동시킬 장소의 크기를 고려하여, 복수 개의 절취선(134)으로 형성된 메모공간(132)이 동일하지 않다는 점을 이용하여 상기 장소에 알맞은 크기의 절취된 메모부를 부착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user may attach the cut-out memo unit having a suitable size to the place by using the fact that the memo space 132 formed of the plurality of cutting lines 134 is not the same in consideration of the size of the place to be moved by the user. .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As mentioned above, althoug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add, change, delete, or add components within the scope no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dified and changed in various ways, etc., which will also be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 종래 책갈피
100 : 책갈피
110 : 부착부
120 : 절첩부
130 : 메모부
1: conventional bookmarks
100: Bookmark
110: attachment portion
120: folding part
130: memo unit

Claims (7)

적어도 일측면에 제1 접착부를 포함하는 부착부, 한 개 이상의 절첩선을 포함하는 절첩부, 메모공간과 제2 접착부를 구비하는 메모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2 접착부는 상기 메모공간의 반대면에 형성되고,
상기 부착부, 절첩부 그리고 상기 메모부는 연속하여 형성되며,
상기 메모부는 기재할 문자 수에 맞추어 메모공간의 크기를 다양하게 절취할 수 있는 복수의 절취선이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절취선은 메모부를 가로지르는 횡방향 절취선과 상기 절첩부와 인접한 부분에 세로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 종방향 절취선과 상기 제1 종방향 절취선과 간격을 두고 메모부의 최측단을 향하는 방향에 나란하게 형성되는 제2 종방향 절취선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 접착부는 상기 메모부의 최측단과 상기 제2 종방향 절취선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갈피.
At least one side includes an attachment portion including a first adhesive portion, a fold portion including one or more fold lines, a memo portion having a memo space and the second adhesive portion,
The second adhesive portion is formed on the opposite surface of the memo space,
The attachment portion, the folded portion and the memo portion are formed continuously,
The memo unit has a plurality of perforations to cut the size of the memo space in accordance with the number of characters to be written, wherein the plurality of perforations are vertical to the transverse cut line crossing the memo portion and the portion adjacent to the folded portion. A first longitudinal cut line formed and a second longitudinal cut line formed parallel to a direction toward the outermost end of the memo part at intervals from the first longitudinal cut line;
And the second adhesive portion is formed at the outermost end of the memo portion and the second longitudinal cut lin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절첩선은 간격을 두고 이격되는 복수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절첩선의 절첩작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V'자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갈피.

According to claim 1,
The fold line is made of a plurality of configurations spaced apart at intervals, the bookmark characterized in that the 'V' groove is formed so that the folding action of the fold line can be made smoothly.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80153702A 2018-12-03 2018-12-03 Bookmark KR10200023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3702A KR102000238B1 (en) 2018-12-03 2018-12-03 Bookmar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3702A KR102000238B1 (en) 2018-12-03 2018-12-03 Bookmark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0238B1 true KR102000238B1 (en) 2019-10-01

Family

ID=682080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3702A KR102000238B1 (en) 2018-12-03 2018-12-03 Bookmar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0238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30743U (en) * 1995-03-29 1996-10-22
KR20080099374A (en) * 2007-05-09 2008-11-13 오세영 Book marker
KR20100088872A (en) 2009-02-02 2010-08-11 최원식 Bookmark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30743U (en) * 1995-03-29 1996-10-22
KR20080099374A (en) * 2007-05-09 2008-11-13 오세영 Book marker
KR20100088872A (en) 2009-02-02 2010-08-11 최원식 Bookmark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56532B2 (en) Band type file sheet envelope
KR102000238B1 (en) Bookmark
US11541681B2 (en) Integrated document holder
DE202020001944U1 (en) Foldable multi-part transparent brochure cover with stitching for multi-page documents
JP2001353992A (en) Tab forming means and fixture for forming the means
JP3151530U (en) Books, file binders, bookmarks and bookmark sets
KR200339972Y1 (en) Cover of book using bookmarker
JP7360137B1 (en) writing book
KR20140001344U (en) Wired-ring binding books with spine
JP3202351U (en) Paper books
JP5600198B1 (en) Booklets with a connected structure
KR200494801Y1 (en) Bookshelf with writing utensils
KR200234028Y1 (en) The binding structure of a separate volume
KR102157122B1 (en) Elevator Emergency Operator
KR102022335B1 (en) Book of bookbinding using a ring with a disclosed backbone
JPH0617570Y2 (en) Postcard storage
KR101126794B1 (en) Sticker type Autobookmarker
JP3113516U (en) Binding for books and bookmarks
JP2016193577A (en) Indexed sheet and binder
JP2010094820A (en) Flat file
JP5171698B2 (en) Document binding method and binding tool
JP2003145960A (en) Book name displaying implement
KR20170002304U (en) Notebook
JP2016112684A (en) Booklet with bookmark
JP2020062748A (en) Paper sheet provided with index par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