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88835A - 컨테이너 도어 개폐 감지 장치 - Google Patents

컨테이너 도어 개폐 감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88835A
KR20100088835A KR1020090007953A KR20090007953A KR20100088835A KR 20100088835 A KR20100088835 A KR 20100088835A KR 1020090007953 A KR1020090007953 A KR 1020090007953A KR 20090007953 A KR20090007953 A KR 20090007953A KR 20100088835 A KR20100088835 A KR 201000888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container door
main body
detection device
closing det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79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03497B1 (ko
Inventor
최형림
김재중
이재기
홍순구
김채수
곽광훈
이강배
강무홍
신중조
손정락
이재익
김희윤
이은규
Original Assignee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900079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3497B1/ko
Priority to US12/634,482 priority patent/US20100194579A1/en
Priority to CN200910265772A priority patent/CN101792045A/zh
Publication of KR201000888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88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34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34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008Doors for containers, e.g. ISO-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02Large containers rigid
    • B65D88/12Large containers rigid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11/00Anti-theft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13/00Safety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 개폐 감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컨테이너 도어에 설치되어 도어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도어 개폐 감지장치는 컨테이너 본체 벽면과 컨테이너 도어의 결합부분에 설치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컨테이너 도어의 개폐에 따라 상기 컨테이너 도어 또는 컨테이너 벽면과 접촉하여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딩 부와, 상기 본체부에 대해 상기 슬라이딩 부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슬라이딩 부의 이동을 감지하는 이동 감지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컨테이너, 도어, 잠금, 감지, 개폐

Description

컨테이너 도어 개폐 감지 장치{Apparatus for detecting door open/close of the container}
본 발명은 도어 개폐 감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컨테이너 도어에 설치되어 도어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화물 운송 산업에서 사용되는 컨테이너(container)는 국제표준화기구(ISO)에서는 프레이트 컨테이너(freight container), 미국규격협회(ANSI)에서는 카고 컨테이너(cargo container)라는 말로 사용되며, 그 재료는 목재, 합판, 강철, 알루미늄, 경합금, 섬유강화플라스틱(FRP) 등 다양한 소재로 만들어지고, 사용목적에 따라 일반 건화물용 컨테이너(Dry Cargo Container), 보온 컨테이너, 벌크 컨테이너, 배고컨테이너(HIGH CUBE CONTAINER), 냉동 컨테이너(Reefer Container), 오픈 탑 컨테이너 (Open Top Container), 통풍 컨테이너 (VENTILATED CONTAINER), 플랫트랙 컨테이너 (Flat Rack Container), 펜 컨테이너 (Live Stock Container), 보냉 컨테이너, 하우스용컨테이너, 피혁용 컨테이너(Hide Container), 산화물 컨테이너, 카 컨테이너(car container)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러한 컨테이너를 이용한 화물 운송 산업에서 화물의 수송 못지않게 중요하 게 인식되는 것은 바로 화물의 안전인데 현재의 컨테이너 설계는 컨테이너 및 그 내용물의 안전을 모니터링 할 수 있는 메커니즘을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이에 화물 운송 회사 및 그 고객은 선적 컨테이너의 운송상태를 끊임없이 염려하고 감시하고 안전하게 화물을 운송할 수 있는 수단을 강구해 왔으며 정부 기관역시 컨테이너를 통해 마약이나 대량 살상 무기와 같이 금지되거나 해로운 물질이 반입되는 것을 막기위해 여러 방지 수단을 강구해 왔다.
즉, 화물 운송 회사 및 정부 기관은 수송 컨테이너에 불법적인 접근을 방지하기 위한 모든 노력의 일환으로, 한개 또는 그 이상의 도어 걸쇠 메커니즘(door hasp mechanisms) 즉, 자물쇠, 플라스틱 및 금속 루프 봉인 및 케이블 봉인, 볼트 봉인과 같은 안전 장치를 사용한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컨테이너를 이용한 화물 운송은 화물 적입, 트럭운송, 게이트인, 선적, 항해, 하선, 게이트 아웃, 트럭운송, 하적 등의 여러 단계를 거쳐 이루어지고 운송기간 또한 수개월에 걸쳐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도어 걸쇠 메카니즘을 이용하여 도어를 봉인한다고 하더라도 운송과정에서 도어 걸쇠 메카니즘이 해체되고 화물을 강탈당하는 일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일이 발생한다고 하더라도 쉽게 이를 인지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고객, 화물 운송 회사 및 정부 기관에서는 수송 컨테이너를 추적할 수 있는 안전 태그 및 메모리 버튼 또는 전자 봉인을 컨테이너에 설치하여 컨테이너의 보안 및 상태를 모니터링한다.
하지만, 전자 봉인의 경우 컨테이너 외부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도어 걸쇠 메 카니즘과 마찬가지로 외부인에 의한 파손 위험이 있어 컨테이너 내부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내부에는 설치하기가 용지하지 않으며 컨테이너 내부에 설치되는 감지 장치는 대부분이 압력 센서를 구비한 압력 감지 장치가 대부분으로서 외부 압력이 컨테이너에 가해지는 것을 감지하는 간접적인 수단에 불과하다.
또한, 컨테이너는 수송화물에 따라 컨테이너의 규격이 틀려지며 컨테이너가 규격에 따라 제작된다고 하여도 제작환경에 따라 컨테이너의 치수에 오차가 발생할 수 있으며 또한 제작된 후 사용되면서 변형이 발생할 수도 있는데 종래에는 이러한 여러 요건을 만족시키며 공통적으로 모든 컨테이너에 적용 가능한 컨테이너 도어 감지 장치가 제공하지 못했다.
또한, 기존의 감지 장치는 컨테이너가 선박 또는 차량등에 적재되거나 하적될 시 충격 등으로 인하여 컨테이너 개폐 감지 장치가 오작동 될 염려가 있다.
또한, 기존의 감지 장치는 컨테이너 내부에 설치될 시 컨테이너가 철제 등으로 제작되기 때문에 외부와의 통신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을 염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컨테이너 내부에 간단하게 설치되어 컨테이너 도어의 개폐 여부를 직접 감지할 수 있는 컨테이너 도어 개폐 감지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규격이 틀린 여러 컨테이너 또는 동일한 컨테이너라도 제작시 소정의 오차가 발생한 경우나 사용되면서 변형에 의해 오차가 발생하더라도 공통적으로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컨테이너 도어 개폐 감지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컨테이너에 가해지는 충격 등으로 인하여 컨테이너 도어 개폐 감지 장치가 오작동하는 것으로 방지할 수 있는 컨테이너 도어 개폐 감지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철제로 구성되는 컨테이너 내부에 컨테이너 도어 개폐 감지 장치가 설치되더라도 외부와의 통신을 원활히 할 수 있는 컨테이너 도어 개폐 감지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도어 개폐 감지장치는 컨테이너 본체 벽면과 컨테이너 도어의 결합부분에 설치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컨테이너 도어의 개폐에 따라 상기 컨테이너 도어 또는 컨테이너 벽면과 접촉하여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딩 부와, 상기 본체 부에 대해 상기 슬라이딩 부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슬라이딩 부의 이동을 감지하는 이동 감지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본체부는 컨테이너 도어의 가장자리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부는 컨테이너 본체의 가장자리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딩 부는 일측은 상기 탄성수단에 지지되고 타측은 상기 본체부의 외측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돌출되도록 구비되는 바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본체부 내측에 형성된 슬라이딩 가이드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이동 감지 수단은 상기 바의 일측에 형성되는 복수의 걸림돌기와, 상기 걸림돌기의 걸림을 감지하여 상기 슬라이딩 부의 이동을 감지하는 마이크로 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이동 감지 수단은 상기 슬라이딩 부의 슬라이딩 운동에서 일방향 운동만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본체부의 일측면은 상기 컨테이너 도어의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부착되며 상기 컨테이너 도어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부착되는 상기 본체부의 일측면에는 충격감지를 위한 충격 감지 센서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부의 일측부에는 온도 및 습도 감지를 위한 센서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컨테이너 도어 개폐 감지 장치에는 상기 이동 감지 수단에 의해 측정된 데이타에 따라 상기 컨테이너의 상태를 판단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서 판단한 상기 컨테이너의 상태를 외부로 송신할 수 있는 통신모듈이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통신모듈은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형성된 돌출부에 구비되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컨테이너 본체와 컨테이너 도어의 결합부 사이에 인입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도어 개폐 감지 장치는, 컨테이너 내부에 간단하게 설치되어 컨테이너 도어의 개폐 여부를 직접 감지할 수 있는 컨테이너 도어 개폐 감지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도어 개폐 감지 장치는 규격이 틀린 여러 컨테이너 또는 동일한 컨테이너라도 제작시 소정의 오차가 발생한 경우나 사용되면서 변형에 의해 오차가 발생하더라도 공통적으로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컨테이너 도어 개폐 감지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도어 개폐 감지 장치는 컨테이너 도어의 열림만을 감지하게 구성되어 컨테이너에 가해지는 충격으로 인한 진동 등에 의한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도어 개폐 감지 장치는 통신모듈이 컨테이너 본체와 컨테이너 도어의 결합부 사이에 구비됨으로써 철제로 구성되는 컨테이너 내 부에 설치되더라도 외부와의 통신을 원활히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바람직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및 제 2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도어 개폐 감지장치의 전체적인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도어 개폐 감지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도어 개폐 감지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그리고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및 제 2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도어 개폐 감지장치가 컨테이너에 부착된 모습을 나타낸 참조도이고,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및 제 2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도어 개폐 감지장 치가 컨테이너 도어에 부착되어 작동되는 모습을 나타낸 참조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및 제 2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도어 개폐 감지장치의 전체적인 모습에 대하여 살펴본 후, 컨테이너 도어 개폐 감지장치의 자세한 구성 및 구성요소, 그리고 이와 같은 컨테이너 도어 개폐 감지장치를 이용한 컨테이너 도어의 개폐 감지의 작동에 대하여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및 제 2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도어 개폐 감지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본체부와(110), 슬라이딩 부(130), 돌출부(150), 그리고 각각의 센서들로 이루어져 있다.
먼저, 본체부(110)에 대하여 살펴보면, 상기 본체부(1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테이너 도어(210)의 돌출된 부분(230)에 밀착되어 부착될 수 있도록 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하지만,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서는 상기 본체부(110)를 상기 컨테이너 도어(210)의 다른 부분에 부착할 수 있도록 형상을 변경하여 줄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부(110)의 내부에는 이동 감지 수단이 구비되는데 상기 이동 수단은 아래에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부(110)에는 충격 감지 센서(미도시), 온도 및 습도 감지 센서(16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슬라이딩 부(130)는 상기 컨테이너의 도어(210) 개폐시 상기 도어(210)와의 접촉에 의해 상기 본체부(110) 내측 또는 외측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것으로서 이를 위해 상기 슬라이딩 부(130)는 바(Bar) 형태로 구비되며 내측 끝단은 상기 탄성수단에 지지되고 외측은 일부가 돌출되어 있는 형태로 구비된다. 상기 본체부(110)에는 상기 슬라이딩 부(130)의 슬라이딩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138)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돌출부(150)는 외부와의 통신을 위한 것으로 상기 돌출부(150)에는 통신모듈(미도시) 및 제어부(미도시)가 구비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되는 도 2 및 도 3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및 제 2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도어 개폐 감지 장치(100)의 내부 구성 즉, 이동 감지 수단에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도어 개폐 감지 장치(100)의 내부에 구비되는 이동 감지 수단은 도 2의 상측 원호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 부의 일측에 연장되어 형성된 바(132), 상기 바(132)의 일측면에 형성된 톱날 형태의 복수의 걸림돌기(134), 상기 바(132)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지그재그 형태의 판 스프링(136), 상기 걸림돌기(134)의 걸림을 감지하여 이를 마이크로 스위치(140)로 전달하는 센싱가이드(144)와 마이크로 스위치(140)로 구성된다.
상기 센싱가이드(144)는 판형태로 일측은 축(148)에 결합되어 회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걸림돌기(132)와 대응되는 면측에는 상기 걸림돌기(134)가 걸리는 걸림부(146)가 형성되어 있으며 타측에는 상기 센싱가이드(144)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미도시)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바(132)가 슬라이딩 이동하게 되면 상기 센싱가이드(144)는 상 기 걸림돌기(134)들에 걸려 눌려지게 되는데 이와 같이 눌려지게 되면 상기 센싱가이드(144)는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140)의 마이크로 스위치핀(142)을 누르게 되어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140)는 상기 바(132)의 이동을 감지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톱날 형태의 걸림돌기(134)가 형성되는 간격 및 톱날의 크기를 조절하여 상기 슬라이딩 부의 이동 감지 세밀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상기 톱날 형태의 걸림돌기(134)도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원기둥형상 등으로 자유롭게 실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걸림돌기(134) 및 마이크로 스위치(140) 형태로 이동 감지 수단이 구비되면 컨테이너마다 컨테이너 본체(200)와 컨테이너 도어(210) 사이의 이격 거리가 달라지더라도 이에 맞추어 상기 컨테이너 도어 개폐 감지 장치(100)를 설치하여 상기 컨테이너 도어(210)의 개폐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서는 상기 이동 감지 수단을 상기와 같은 걸림돌기(134) 및 마이크로 스위치가(140)아닌 다른 형태 즉, 상기 바(132)의 일측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마크를 해주고 이 마크를 인식할 수 있는 센서를 구비하여 주는 형태로도 실시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도어 개폐 장치(100)의 설치 및 작동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도어 개폐 장치(10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테이너 벽면(200)과 컨테이너 도어(210)의 결합부분에서 컨테이너 도어(210)의 내측 가장자리 부분에 설치된다.
이때 상기 컨테이너 도어 개폐 감지 장치(100)는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컨테이너 도어(210)의 가장자리 부분에 형성된 돌출된 부분(230)에 부착된다. 그리고 상기 통신모듈이 구비되어 있는 돌출부(150)는 컨테이너 본체(200) 벽과 컨테이너 도어(210)의 결합부 사이에 인입되되 일측면은 고무 개스킷(220)에 밀착되는 형태로 구비된다.
이와 같이 상기 돌출부(150)가 상기 컨테이너 본체(200) 벽과 도어(210)의 결합부 사이에 구비됨으로써 외부와 근접하게 되어 상기 컨테이너 도어 개폐 감지장치(100)는 별도의 안테나 없이 외부와의 통신을 원활히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150)가 상기 고무 개스킷(220) 부분에 구비되기 때문에 상기 컨테이너 도어(210)가 닫히더라도 상기 돌출부(150)에는 충격이 가해져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컨테이너 도어(210)에 설치된 컨테이너 도어 개폐 장치(100)는 상기 컨테이너 도어(210)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상기 슬라이딩 부(120)가 열린 상태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딩 부(130)의 일부가 본체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로 있게 된다.
이후 컨테이너 도어(210)를 닫게 되면 상기 슬라이딩 부(130)는 상기 컨테이너 본체(200) 벽면과 접촉하게 되고 그 반력에 따라 닫혀진 상태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딩 부(130)가 본체부(100)측으로 밀려들어가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슬라이딩 부(130)가 본체부(100)측으로 밀려 들어가게 되면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140)는 상기 슬라이딩 부(130)의 이동을 측정하여 측정된 데 이터를 상기 제어부로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슬라이딩 부(130)가 열린 상태를 기준으로 하여 일정 값 이상이 측정되면 컨테이너 도어(210)가 닫히는 상태로 인식하고 이후 데이터의 변화가 없어지면 완전히 닫힌 상태로 인식한다.
그리고 상기 컨테이너 도어(210)가 닫힌 상태에서 열려지면 상기 슬라이딩 부(120)는 상기 탄성수단에 의해 닫힌 상태에서 열린 상태 즉, 외측으로 밀려나게 되는데 이때도 상기와 마찬가지로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140)는 이를 측정하여 측정된 데이타를 제어부로 전송한다.
그럼 상기 제어부는 측정된 데이타 값에 따라 일정 수준 이상의 데이타가 측정되면 상기 컨테이너 도어(210)가 개방되는 것으로 판단한고 이후 데이타 변화가 측정되지 않으면 완전히 개방된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도어 개폐 감지 장치(100)에는 상기와 같은 이동 감지 수단이외에 부가적으로 충격 감지 센서(미도시) 그리고 온도 및 습도 감지 센서(160)가 더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충격 감지 센서(150)는 상기 본체부(110)가 상기 컨테이너 도어(210)에 밀착되게 부착되는 면 쪽에 구비되는데 이는 상기와 같이 구비됨으로서 상기 컨테이너 도어(210)에 구비되어 있는 도어 잠금장치(미도시)에 외력을 가해 잠금을 해제하려는 경우 이를 바로 감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기 온도 및 습도 감지 센서(160)는 상기 컨테이너 내부의 온도 및 습도를 잘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부(110)의 외측 둘레 부분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충격 감지 센서와 온도 및 습도 감지 센서(160)로부터 측정된 데이터는 상기 제어부로 전송되며 상기 제어부는 이들 데이터와 상기 이동 감지 수단에 의해 측정된 데이터를 포함하여 종합적으로 컨테이너의 상태를 판단하며 이와 같이 판단된 컨테이너의 상태는 통신모듈을 통해 외부로 송신된다. 상기 통신 모듈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는데 컨테이너 도어 감지 장치는 Ad-hoc 모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실시예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설명에서는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실시에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생략하며 제 1실시예와 구별되는 특징에 대해서만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도어 개폐 감지장치(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실시예와 동일한 형태로 구성되지만 내부의 이동 감지 수단은 제 1실시예와 달리 센싱가이드(144)가 없으며 마이크로 스위치(140)의 위치가 변형된 형태로 구비된다.
즉,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도어 개폐 감지 장치(100)의 내부에 구비되는 이동 감지 수단은 슬라이딩 부(130)의 일측에 연장되어 형성된 바(132), 상기 바(132)의 일측면에 형성된 톱날 형태의 복수의 걸림돌기(134), 상기 바(132)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수단, 그리고 마이크로 스위치(140)로 구성된다.
상기 탄성수단은 제 1실시예와 달리 원기둥(137)에 감겨진 스프링(136)과 상 기 원기둥(137)은 관통 가능하지만 상기 스프링(136)은 걸리게 되는 관통홀(미도시)이 형성된 탄성지지부재(138) 형태로 구비된다. 이와 같은 구성은 다양한 탄성수단의 실시형태를 나타내기 위한 것으로 제 1실시예에 사용된 탄성수단 형태로도 사용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하게 실시가 가능하다.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140)는 걸림핀(144)이 구비된 형태로 상기 걸림돌기(134)의 걸림을 직접 감지하는 형태로 구비되며 상기 제 1실시예와 비교하여 대략 90°회전된 상태로 설치된다. 이와 같이 설치되는 이유는 상기 슬라이딩 부(130)의 슬라이딩 운동에서 일방향 운동만을 측정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132)가 상기 본체 부(110) 내측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경우에는 상기 걸림핀(144)이 상기 걸림돌기(134)에 걸리더라도 상기 바(132)의 이동 방향인 외측으로 밀려지기 때문에 마이크로 스위치(140)의 마이크로 스위치핀(142)이 눌려지지 않아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140)는 상기 슬라이딩 부(130)의 이동이 감지하지 못한다.
하지만 상기 바(132)가 상기 본체부(110) 외측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림핀(144)이 상기 바(132)의 걸림돌기(134)에 걸려 눌려지며 이와 같이 상기 걸림핀(144)이 눌려지면 상기 걸림핀(144)은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140)의 마이크로 스위치핀(142)을 누르기 때문에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140)는 상기 슬라이딩 부(130)의 이동을 감지한다.
이와 같은 형태로 이동 감지 수단이 구비되면 상기 컨테이너 개폐 감지 장치(100)는 상기 컨테이너 도어(210)가 닫힐 때에는 이를 감지하지 않지만 상기 컨테이너 도어(210)가 닫힌 상태에서 개방될 때에는 이를 감지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이유는 마이크로 스위치(140)가 상기 컨테이너 도어(210)의 개, 폐 모두를 감지하게 되면 약한 진동에도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140)가 반응하여 감지오류를 나타낼 수 있는데 이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마이크로 스위치(140)의 진동에 의한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할 수 있으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컨테이너 도어 개폐 감지 장치가 컨테이너 도어에 설치되는 것으로 예시하였지만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서는 컨테이너 본체에 설치되는 방식으로도 실시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특정되는 것이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및 제 2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도어 개폐 감지장치의 전체적인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도어 개폐 감지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도어 개폐 감지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구성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및 제 2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도어 개폐 감지장치가 컨테이너에 부착된 모습을 나타낸 참조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및 제 2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도어 개폐 감지장치가 컨테이너 도어에 부착되어 작동되는 모습을 나타낸 참조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컨테이너 도어 개폐 감지 장치 110: 본체부
130: 슬라이딩 부 140: 마이크로스위치
200: 컨테이너 본체 210: 컨테이너 도어

Claims (10)

  1. 컨테이너 본체 벽면과 컨테이너 도어의 결합부분에 설치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컨테이너 도어의 개폐에 따라 상기 컨테이너 도어 또는 컨테이너 벽면과 접촉하여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딩 부와,
    상기 본체부에 대해 상기 슬라이딩 부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슬라이딩 부의 이동을 감지하는 이동 감지 수단을 포함하는 컨테이너 도어 개폐 감지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컨테이너 도어의 가장자리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도어 개폐 감지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컨테이너 본체의 가장자리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도어 개폐 감지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부는 그 일측은 상기 탄성수단에 지지되고 타측은 상기 본체 부의 외측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돌출되도록 구비되는 바(bar)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본체부 내측에 형성된 슬라이딩 가이드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도어 개폐 감지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감지 수단은 상기 바(bar)의 일측에 형성되는 복수의 걸림돌기와, 상기 걸림돌기의 걸림을 감지하여 상기 슬라이딩 부의 이동을 감지하는 마이크로 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도어 개폐 감지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감지수단은 상기 슬라이딩 부의 슬라이딩 운동에서 일방향 운동만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도어 개폐 감지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일측면은 상기 컨테이너 도어의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부착되며 상기 컨테이너 도어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부착되는 상기 본체부의 일측면에는 충격감지를 위한 충격 감지 센서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도어 개폐 감지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일측부에는 온도 및 습도 감지를 위한 센서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도어 개폐 감지 장치.
  9. 제 1항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 도어 개폐 감지 장치에는 상기 이동 감지 수단에 의해 측정된 데이타에 따라 상기 컨테이너의 상태를 판단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서 판단한 상기 컨테이너의 상태를 외부로 송신할 수 있는 통신모듈이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도어 개폐 감지 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모듈은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형성된 돌출부에 구비되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컨테이너 본체와 컨테이너 도어의 결합부 사이에 인입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도어 개폐 감지 장치.
KR1020090007953A 2009-02-02 2009-02-02 컨테이너 도어 개폐 감지 장치 KR1010034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7953A KR101003497B1 (ko) 2009-02-02 2009-02-02 컨테이너 도어 개폐 감지 장치
US12/634,482 US20100194579A1 (en) 2009-02-02 2009-12-09 Container security device, container security system, and security management method
CN200910265772A CN101792045A (zh) 2009-02-02 2009-12-31 货柜保全装置、货柜保全系统、以及保全管理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7953A KR101003497B1 (ko) 2009-02-02 2009-02-02 컨테이너 도어 개폐 감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8835A true KR20100088835A (ko) 2010-08-11
KR101003497B1 KR101003497B1 (ko) 2010-12-30

Family

ID=427548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7953A KR101003497B1 (ko) 2009-02-02 2009-02-02 컨테이너 도어 개폐 감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3497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5771B1 (ko) * 2011-06-14 2013-04-18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물리적 잠금을 갖는 컨테이너 상태 관리 장치
KR101275764B1 (ko) * 2011-11-11 2013-06-17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컨테이너 보안용 컨테이너 도어 개폐 감지장치
KR101515913B1 (ko) * 2013-08-28 2015-04-30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컨테이너 보안용 컨테이너 도어 개폐 감지장치
WO2016129749A1 (ko) * 2015-02-10 2016-08-18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문 개폐 감지장치 및 그것이 적용된 냉동 컨테이너
KR20200044589A (ko) * 2018-10-19 2020-04-29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힌지 일체형 도어 리미트 스위치
KR102586881B1 (ko) * 2023-01-03 2023-10-06 신석주 스마트 냉동 컨테이너의 모니터링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7406B1 (ko) 2011-11-11 2013-04-23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컨테이너 도어 개폐 감지장치
KR20140021135A (ko) * 2012-08-08 2014-02-20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컨테이너의 봉인 감지 시스템 및 장치
KR101412182B1 (ko) * 2014-02-05 2014-06-25 (재)한국승강기안전기술원 도어 운동에너지 측정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0810B1 (ko) 2000-10-16 2003-04-26 주식회사 길건축사사무소 도어 댐퍼
KR200329242Y1 (ko) * 2003-07-18 2003-10-08 주식회사 세이퍼 디지털 도어록용 도어개폐 감지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5771B1 (ko) * 2011-06-14 2013-04-18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물리적 잠금을 갖는 컨테이너 상태 관리 장치
KR101275764B1 (ko) * 2011-11-11 2013-06-17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컨테이너 보안용 컨테이너 도어 개폐 감지장치
KR101515913B1 (ko) * 2013-08-28 2015-04-30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컨테이너 보안용 컨테이너 도어 개폐 감지장치
WO2016129749A1 (ko) * 2015-02-10 2016-08-18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문 개폐 감지장치 및 그것이 적용된 냉동 컨테이너
KR20200044589A (ko) * 2018-10-19 2020-04-29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힌지 일체형 도어 리미트 스위치
KR102586881B1 (ko) * 2023-01-03 2023-10-06 신석주 스마트 냉동 컨테이너의 모니터링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03497B1 (ko) 2010-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3497B1 (ko) 컨테이너 도어 개폐 감지 장치
US20080245791A1 (en) Reusable Container with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Seal
US7436298B2 (en) Container security and monitoring
EP1850079B1 (en) Refrigerated container
CA2766819A1 (en) Sensing a signal to sense security of a container
US20160217665A1 (en) Device for electronically sealing container using proximity wireless communication, and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US20060021423A1 (en) Tank container with electronic monitoring device
US731738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creased container security
EA006864B1 (ru) Моноблочная тросовая пломба
KR20150037777A (ko) 컨테이너 보안을 위한 엠투엠 데이터 통신 장치 및 방법
KR101275764B1 (ko) 컨테이너 보안용 컨테이너 도어 개폐 감지장치
CN101529483A (zh) 用于确保集装箱的装载物安全的传感装置
KR20150094578A (ko) 컨테이너 전자봉인 장치 운영 시스템 및 방법
KR101257406B1 (ko) 컨테이너 도어 개폐 감지장치
TWI637099B (zh) 掛鎖
KR20140021135A (ko) 컨테이너의 봉인 감지 시스템 및 장치
KR101028588B1 (ko) 컨테이너에 구비되는 통신장치
KR101255771B1 (ko) 물리적 잠금을 갖는 컨테이너 상태 관리 장치
CN109416861A (zh) 用于监视容器的打开的方法
KR101484143B1 (ko) 근접 무선 통신을 이용한 컨테이너 도어 봉인 장치 및 방법
KR102605584B1 (ko) 스마트 컨테이너의 도어 봉인 장치 상태 인식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200484160Y1 (ko) 컨테이너 위치추적 및 보안용 컨테이너 도어 개폐 감지장치
RU2307401C2 (ru) Электронное запорно-блокирово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KR102605588B1 (ko) 스마트 컨테이너의 도어 봉인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50032383A (ko) 컨테이너 전자봉인 장치 운영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