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87045A - 디지털 방송 기록 장치 - Google Patents

디지털 방송 기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87045A
KR20100087045A KR1020107014129A KR20107014129A KR20100087045A KR 20100087045 A KR20100087045 A KR 20100087045A KR 1020107014129 A KR1020107014129 A KR 1020107014129A KR 20107014129 A KR20107014129 A KR 20107014129A KR 20100087045 A KR20100087045 A KR 201000870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ording
unit
program
permission information
reco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141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37572B1 (ko
Inventor
다케시 야마네
Original Assignee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870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70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75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75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13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for scrambling ; for copy prot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3Content storage operation, e.g. storage operation in response to a pause request, caching operations
    • H04N21/4334Recording oper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2Content or additional data management, e.g. creating a master electronic program guide from data received from the Internet and a Head-end, controlling the complexity of a video stream by scaling the resolution or bit-rate based on the client capabilities
    • H04N21/4627Rights management associated to the cont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3Generation or processing of protective or descriptive data associated with content; Content structuring
    • H04N21/835Generation of protective data, e.g. certificates
    • H04N21/8355Generation of protective data, e.g. certificates involving usage data, e.g. number of copies or viewings allow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디지털 방송 기록 장치(100)는, 디지털 방송을 기록하는 기록 유닛(160)과, 디지털 방송에서 기록이 금지되어 있는 프로그램의 스트림으로부터, 기록이 허가되어 있는 부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패킷을 검출하는 검출 유닛(170)과, 기록 유닛(160)이 기록이 금지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경우에, 검출 유닛(170)에 의해 검출된 패킷에 포함되는 정보에 근거하여, 기록이 허가되어 있는 부분을 기록하도록 기록 유닛(160)을 제어하는 제어 유닛(140)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디지털 방송 기록 장치{DIGITAL BROADCAST RECORDING APPARATUS}
관련 출원으로의 크로스 레퍼런스
본 출원은 2007년 12월 27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07-337060호의 우선권의 이익을 주장하여, 이들 전체 내용은 참조로써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의 기록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록이 금지되어 있는 프로그램에서, 기록이 허가되는 부분을 기록할 수 있는 기록 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방송의 수신기는, 시청중인 프로그램을 기록하기 위한 기록 기능과, 프로그램의 한 장면을 기록하기 위한 기능, 이른바 정지 영상 캡쳐 기능을 갖는다. 그러나, 저작권 보호, 프로그램 제작자(콘텐츠 홀더)의 이익 보호 등의 관점에서, 디지털 방송 프로그램 콘텐츠는 프로그램의 송신측에 의해 미리 내장된 카피 제어 정보에 근거해서 제어되고 있다. 예컨대, 기록된 프로그램을 1차 저장소(DVD 레코더)로부터 2차 저장소(HDD 등)로 카피하는 것을 제한하는, 이른바 카피 원스(copy once) 또는 카피 불가(copy never) 방식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이 현재 운용되고 있다. 이러한 카피 제어 정보는, 프로그램 콘텐츠를 제공하는 콘텐츠 공급자 및 서비스 공급자에 의해 설정된다. 이들 종래 기술에 의한 카피 원스 및 카피 불가 등의 카피 제어는, 예컨대 디지털 방송의 경우에, PMT(Program Map Table)에 있어서의 카피 제어 기술자(descriptors)에 의해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BS/CS 디지털 방송 등의 경우에서는, 방송 신호를 스크램블하여 카피를 제한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예컨대, 일부 콘텐츠는 스크램블되지 않고서 무료로 시청될 수 있고, 과금이 필요한 일부 콘텐츠는 스크램블되며, 대금을 지불하고 콘텐츠의 스크램블을 해제하는 키 데이터(key data)를 취득한 사용자에 의해서만 시청될 수 있도록 제어가 수행된다.
또한, 정지 영상 캡쳐 기능은, 비디오의 1프레임을 기록한다고 하는 점에서, 기록 기능과 유사한 기능을 가지므로, 기록 기능과 동일한 방식으로 카피 제어 정보에 의한 제한이 적용된다. 또한, 정지 영상 캡쳐 기능으로서, 프로그램을 시청하고 있는 사용자가, 임의의 타이밍에서 상기 기능을 이용하여 기록 조작을 수행함으로써, 비디오를 캡쳐(기록)한다. 그러나, 사용자는 캡쳐하기 위해 항상 화면을 보고 있어야 되어서, 유용성이 떨어진다. 또한, 캡쳐 조작에 있어서의 시간차(time lag) 때문에, 사용자가 소망하는 타이밍에서 캡쳐를 수행할 수 없는 경우가 종종 있을 수 있다. 한편, 미리 캡쳐된 비디오 데이터로부터 사용자가 소망하는 장면을 제시하도록,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제시 시간에 대응하는 비디오 데이터를 찾기 위해서, 비디오의 제시 시간(시간 스탬프(time stamp))에 근거하여 캡쳐를 수행하는 기술이 있다(특허 문헌 1 참조). 이 종래 기술에 관련하여, 사용자가 항상 화면을 보아야 한다는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도록, 예컨대, 비디오의 한 장면 또는 하나의 프레임과 같은 비디오의 일부분을 미리 기록하여 저장하도록 레코더를 프로그래밍하는 방법이 있다. 일례로서, 사용자가 하나의 장면 또는, 예를 들어 음악 프로그램의 하나의 노래와 같이 일부분만을 기록하고자 하는 경우, 채널 번호와, 기록 시작 시간 및 기록 종료 시간을 지정함으로써, 콘텐츠를 기록하도록 레코더를 프로그래밍하는 방법이 생각되었다. 그러나, 방송은 1방향의 송신이기 때문에, 사용자가 캡쳐하고자 하는 정지 영상의 포인트를 미리 인지할 수 없다. 따라서, 예를 들어 분단위로 시간을 세밀하게 지정하더라도, 소망하는 비디오나 비디오의 1프레임을 캡쳐할 수 없을 가능성이 높다.
상기한 바와 같이, 현재 상황에서, 기록(비디오 및 오디오 기록)된 프로그램 콘텐츠의 카피가 제어되고 있지만, 프로그램 콘텐츠의 실시간 기록 및 비디오 캡쳐는 금지되어 있지 않다. 그러나, 장차, 지상 디지털 방송으로의 유료 TV의 도입 또는 각 방송국의 운용에 따라, 실시간 기록 또는 캡쳐는 제한될 수 있다. 그 경우에, ARIB(Association of Radio Industries and Businesses)에 의한 현행의 규격, 즉, PMT에 카피 제어 기술자가 포함되는 방식에 의하면, 기록의 제한 범위는 프로그램 레벨, 즉 ES(Elementary Stream) 레벨로만 지정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콘텐츠 홀더나 서비스 공급자는, 프로그램의 일부분의 기록 또는 소정의 한 장면의 캡쳐와 같은 유연한 기록 제한을 운용할 수 없다. 즉, 시청자가 기록이 금지되어 있는 프로그램에서의 CM과, 프로그램의 일부로서 방송되는 증정품 응모권 주소와 같은 시청자에게 있어서 유용한 정보를 기록할 수 없다. 따라서, 유용성이 떨어진다. 또한, 사용자에 의한 정보의 기록으로부터의 이익(CM 상품을 시장에 알리는 것)을 프로그램 제작자가 얻을 수 없다는 문제점을 갖는다.
실시간 기록이 금지되면, 기록이 금지되어 있는 프로그램의 정지 영상의 캡쳐도 마찬가지로 금지되는 것이 분명하다. 프로그램의 일부분의 기록이 허용되더라도, 그 정보가 사용자에게 미리 제공될 수 없으면, 사용자는 상기의 경우에서와 같이 시간을 지정함으로써 상기 프로그램의 일부분을 기록하도록 레코더를 프로그래밍할 수 없다. 즉, 사용자가 시간을 지정함(프로그램)으로써 소정의 프로그램의 일부분을 기록하도록 레코더를 프로그래밍하더라도, 기록할 프로그램 앞에 스케쥴링된 프로그램의 방송 시간이 연장될 수 있어, 사용자가 기록하고자 하는 프로그램의 방송 시간과 프로그래밍된 시간이 상이해질 우려가 있다. 따라서, 지정된 시간에 대응하는 부분이, 기록이 금지되어 있는 부분에 걸칠 수 있다. 예컨대, 기록하기 위해 프로그래밍된 시간 기간을 길게 설정하면, 기록이 허가된 소망하는 부분을 기록할 수 있다. 그러나, 기록이 금지되어 있는 부분은 예컨대 검은색 화면 또는 스크램블된 화면과 같이 적절하게 기록될 수 없고, 이에 따라 사용자의 눈에 거슬리게 될 뿐만 아니라, 기록 장치의 메모리를 불필요하게 점유하게 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특허 문헌 1 : 일본 특허 공개 제2004-080476호 공보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프로그램 콘텐츠를 보호하도록, 디지털 방송의 프로그램 콘텐츠의 기록을 금지하면서, 사용자 및 콘텐츠 홀더의 양쪽에 있어서 유용한 정보를 사용자가 유용성이 우수한 방법으로 기록할 수 있도록 하는, 디지털 방송의 새로운 방식, 즉 디지털 방송의 프로그램 콘텐츠의 기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도록,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기록 장치는, 디지털 방송을 기록하는 기록 유닛과, 디지털 방송에서 기록이 금지되어 있는 프로그램(방송 범위)의 스트림으로부터, 기록이 금지되어 있는 프로그램 내에서 기록이 허가되어 있는 부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패킷을 검출하는 검출 유닛과, 기록 유닛이 기록이 금지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경우에, 검출 유닛에 의해 검출된 패킷에 포함된 정보에 근거하여, 기록이 허가되어 있는 부분을 기록하도록 기록 유닛을 제어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기록 장치에 있어서, 검출 유닛은, 기록이 허가되어 있음을 나타내는 플래그를 헤더에 포함하는 PES 패킷을 검출하고, 제어 유닛은, 기록이 금지되어 있는 프로그램 내에서, 헤더에 플래그를 포함하는 PES 패킷에 포함된 콘텐츠(비디오 프레임 및/또는 오디오 프레임)를 기록하도록 기록 유닛을 제어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 기록 장치에 있어서, 기록이 허가되어 있는 부분에 관한 정보는, 기록이 허가되어 있는 부분의 제시 시간에 관한 정보이며, 제어 유닛은, 기록이 금지되어 있는 프로그램에서, 제시 시간에 제시되는 부분을 기록하도록 기록 유닛을 제어한다.
게다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디지털 방송 기록 장치는, 디지털 방송을 기록하는 기록 유닛과, 디지털 방송 프로그램 내에 기록이 금지되어 있는 프로그램(방송 범위)에 있어서 기록이 허가되어 있는 부분을 나타내는 기록 허가 정보를 취득하는 취득 유닛과, 취득 유닛에 의해 취득된 기록 허가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 유닛과, 기록 유닛이 기록이 금지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경우에, 저장 유닛에 저장된 기록 허가 정보에 근거하여, 기록이 허가되어 있는 부분을 기록하도록 기록 유닛을 제어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 기록 장치에 있어서, 기록 허가 정보는 기록이 허가되어 있는 부분의 제시 시간에 관한 정보이며, 제어 유닛은, 기록이 금지되어 있는 프로그램에서, 제시 시간에 제시되는 부분을 기록하도록 기록 유닛을 제어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디지털 방송의 기록을 프로그램 단위로 금지하는 경우에, 프로그램의 일부분의 기록이 허가될 수 있기 때문에, 콘텐츠 홀더에 의해 콘텐츠를 보호하면서, 사용자는 사용자와 콘텐츠 홀더의 양쪽에 있어서 유용한 정보를 유용성이 우수한 유연한 방법으로 기록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디지털 방송 기록 장치, 이것에 방송파를 제공하는 송신 장치(방송국), 및 네트워크를 통해서 각종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로 구성되는 방송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기록 장치의 실시예의 블록도,
도 3은 기록 장치(100A)의 기록 처리의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록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
도 5는 기록 장치(100B)의 기록 처리의 흐름도,
도 6은 기록 허가 정보의 일례,
도 7은 기록 허가 정보의 다른 예,
도 8은 도 7의 기록 허가 정보에 근거하여 서버(300)에 의해서 형성된 EPG의 표시예,
도 9는 시청중인 콘텐츠가 기록가능한지 여부를 나타내는 표시 유닛의 일례,
도 10은 송신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
도 11은 기록 허가 정보를 포함하는 PES 패킷의 개략도,
도 12는 서버의 개략적인 블록도.
이하에,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디지털 방송 기록 장치, 이것에 방송파를 제공하는 송신 장치(방송국), 및 네트워크를 통해서 각종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로 구성되는 방송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방송 시스템은, 디지털 방송 기록 장치(100), 송신 장치(200), 및 네트워크 NET를 통해서 디지털 방송 기록 장치(100)에 각종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300A, 300B)로 구성된다. 서버(300A, 300B)에 의해 제공되는 각종 서비스는, 예컨대, 송신 장치(200)에 의해 방송되는 프로그램의 정보, EPG(Electric Program Guide) 등을 포함한다. EPG는 방송 장치(200)로부터의 방송파에서 취득할 수도 있다. 또한, 도 1 및 이하의 설명에서는, 디지털 방송 기록 장치(100)를 이동통신 단말로 가정하고 있지만, 디지털 방송을 기록하는 임의의 장치일 수 있다. 또한, 기록 장치로서, 휴대 전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ce), 휴대용 게임기, 휴대용 비디오 플레이어, 휴대용 전자책 뷰어 등의 휴대용 전자 기기에 폭넓게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지상 디지털 방송으로서는, 원세그먼트(one-segment) 방송인 것으로 설명하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의 "기록 장치"는, "디지털 방송 기록 장치"를 지칭한다. 게다가, "기록"은, 예컨대 프로그램의 시작부터 종료까지 기록하는 연속 기록과, 정지 영상 캡쳐 기능과 같이 1프레임만 기록하거나 또는 연속적인 캡쳐를 포함한다.
먼저, 송신 장치(방송 장치)(200)에 대해서 이하에 설명한다. 도 10은 송신 장치(방송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송신 장치(200)는, 프로그램 정보 취득 유닛(210), 기록 허가 정보 작성 유닛(220), 스트림 생성 유닛(230), 송신 유닛(240), 메모리(250), 및 안테나(260)를 포함한다. 송신 장치(200)는 프로그램 콘텐츠를 포함하는 스트림을 수신하고, 프로그램 콘텐츠에 관한 정보는 프로그램 정보 취득 유닛(210)에 의해 취득된다. 이 정보는, 프로그램 콘텐츠의 기록이 금지되어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고, 기록이 금지되면 기록이 허가되는 부분이 존재하는지 여부와, 기록이 허가되는 부분이 어디인지 등을 나타내며, 이러한 정보는 콘텐츠 제작자에 의해 원하는 대로 설정될 수 있다. 취득된 정보는 메모리(250)에 저장되거나, 기록 허가 정보 작성 유닛(220)에 직접 출력된다. 기록 허가 정보 작성 유닛(220)은, 프로그램 정보 취득 유닛(210)으로부터 출력되거나 또는 메모리(250)로부터 판독된 정보에 근거하여, 프로그램 콘텐츠에서 기록이 허가되는 부분을 나타내는 기록 허가 정보를 작성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기록 허가 정보는, 예컨대 프로그램 콘텐츠에서 기록이 허가되는 부분이 제시되는 시간(시간 스탬프)의 리스트와 같이, 기록이 허가되는 부분(비디오/오디오 프레임)을 판별할 수 있는 정보이다. 스트림 생성 유닛(230)은, 기록 허가 정보 작성 유닛(220)에 의해 작성된 기록 허가 정보가 PES 패킷의 패킷 헤더에 포함되도록 스트림을 생성한다. 그 후, 스트림 생성 유닛은, 생성된 스트림에 대해 적절한(사전 결정된) 처리를 수행하여, TS(Transport Stream)를 생성하고, 그 TS를 송신 유닛(240)에 출력한다. 그 이후에, 송신 유닛(240)은, 안테나(260)로부터 방송파(RF 신호)를 통해서, 스트림 생성 유닛(230)에 의해 생성된 스트림을 송신(방송)한다.
도 11은 기록 허가 정보를 포함하는 PES 패킷의 개략도를 나타낸다. PES 패킷은, 압축 부호화된 비디오의 1프레임(1픽쳐) 또는 오디오 프레임을 포함하는 패킷화된 ES이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PES 헤더 및 페이로드로 구성된다. 페이로드는 ES 자체를 포함한다. PES 헤더는 PES 패킷의 헤드를 나타내는 패킷 시작 부호 프리픽스(packet start code prefix), PES 패킷의 데이터 식별자인 스트림 ID, 포함되는 비디오/오디오 프레임의 제시 시간을 나타내는, MPEG-2 시스템(ITU-T H.222.0, ISO/IEC 13818-1)으로 규정되는 PTS(Presentation Time Stamp) 등을 포함한다. 기록 허가 정보 작성 유닛(220)에 의해 작성된 기록 허가 정보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PES 헤더의 보류된 영역 RA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스트림 생성 유닛(230)은 복수의 비디오/오디오 프레임에 대한 기록 허가 정보(해당 프레임의 기록이 허가되어 있는지 여부에 관한 정보)를 단일의 PES 패킷의 헤더에 포함시킬 수 있지만, 기록이 허가되는 비디오/오디오 프레임을 포함하는 각 PES 패킷에도, 기록 허가 정보를 포함시킬 수 있다. 예컨대, 기록이 허가되어 있는 비디오/오디오 프레임을 포함하는 PES 패킷의 각 PES 헤더에, 기록이 허가됨을 나타내는 플래그를 포함시킬 수 있다. 상기한 2개의 기술에 의하면, 기록이 허가되고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가 각 프레임에 부가되고, 이에 따라, 콘텐츠 홀더는 프레임 단위로 기록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음에, 기록 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기록 장치의 실시예의 블록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기록이 금지되어 있는 디지털 방송 프로그램(방송 범위)의 시청중에, 프로그램에서 기록이 허가되는 부분만을 실시간으로 기록한다. 기록 장치(100A)는 안테나 ANT1, 방송 수신 유닛(110), 디멀티플렉서(120), 디코더(130), 제어 유닛(140A), 데이터 저장 유닛(150), 기록 유닛(160), 검출 유닛(170), 기록 허가 정보 저장 유닛(180), 입력 유닛 KEY, 표시 유닛 DIS 및 오디오 출력 유닛 SP를 포함한다. 또한, 제어 유닛(140A)은 판정 유닛(142A)을 갖는다.
기록 장치(100A)의 각 유닛의 기능을 상세히 설명한다. 방송 수신부(110)는, 예컨대 송신 장치(200)로부터 송신된, 디지털 방송의 프로그램 콘텐츠를 포함하는 RF(무선 주파수) 신호 중에서 원하는 주파수(채널)의 신호를, 안테나(ANT1)를 통해서 수신하여, TS의 추출과 같은 처리를 수행한다. 이 RF 신호에는, 비디오 데이터, 오디오 데이터, 데이터 방송용 데이터 캐러셀(data-carousel), 제어 데이터, 및 자막 데이터 등이 다중화되어 있다. 디멀티플렉서(120)는 방송 수신 유닛(110)에 의해 추출된 TS를 구성하는 각 패킷으로부터 필요한 데이터를 추출한다. 즉, 디멀티플렉서(120)는 방송 수신 유닛(110)으로부터 추출된 TS를 비디오 데이터, 오디오 데이터, 자막 데이터, 데이터 방송용 데이터 캐러셀, 및 제어 데이터를 포함하는 PES 패킷으로 분리하여, 각 PES 패킷의 페이로드에 포함되는 데이터를 데이터 저장 유닛(150)에 출력한다. 검출 유닛(170)은, 디멀티플렉서(120)에 의해 분리된 PES 패킷 중에서, 헤더에 기록 허가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PES 패킷을 검출한다. 기록 허가 정보 저장 유닛(180)은 검출 유닛(170)에 의해서 검출된 PES 패킷에 포함되는 기록 허가 정보를 저장한다. 또한, 디멀티플렉서(120)는 각 데이터의 제시 시간을 나타내는 PTS도 추출하여, 각 데이터와 연관시켜서 데이터 저장 유닛(150)에 출력한다. 데이터 저장 유닛(150)은 출력된 PTS도 저장한다.
디코더(130)는 디멀티플렉서(120)에 의해 추출된 각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비디오, 자막, 및 데이터 방송 콘텐츠를 표시 유닛 DIS에 출력하고, 또한, 오디오 콘텐츠를 오디오 출력 유닛 SP에 출력한다. 제어 유닛(140A)은 데이터 저장 유닛(150)에 저장된 PTS에 근거하여, 비디오, 자막, 및 데이터 방송 콘텐츠를 표시하도록 표시 유닛 DIS를 제어하고, 또한, 오디오 콘텐츠를 출력하도록 오디오 출력 유닛 SP를 제어한다. 게다가, 제어 유닛(140A)은, 예컨대 키패드나 버튼으로 구성된 입력 유닛 KEY를 통한 사용자로부터의 지시에 근거하여, 프로그램 콘텐츠(비디오/오디오 프레임)를 기록하도록 기록 유닛(160)을 제어한다. 기록 시작 시간이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어, 기록 유닛(160)에 설정 정보가 기록되면, 제어 유닛(140A)은 설정 조건에 근거하여 자동적으로 프로그램 콘텐츠를 기록하도록 기록 유닛(160)을 제어한다. 이때, 판정 유닛(142A)은, 기록 허가 정보 저장 유닛(180)에 저장된 기록 허가 정보에 근거하여, 기록해야 할 프레임이 기록이 허가된 부분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도 6은 기록 허가 정보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록 허가 정보에 있어서, 예컨대, 기록이 허가된 부분이 시간 스탬프의 리스트 L1로 표시되어 있다. 판정 유닛(142A)은, 기록해야 할 비디오/오디오 프레임의 제시 시간(PTS에 기술됨)이 기록 허가 정보로 나타내어진 시간 스탬프에 상당하는지 여부에 근거하여, 비디오/오디오 프레임이 기록이 허가된 부분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제어 유닛(140)은, 판정 유닛(142A)의 판정 결과에 근거하여, 프로그램 콘텐츠에서 기록이 허가된 부분만을 기록하도록 기록 유닛(160)을 제어한다. 도 6에서, 기록 허가 정보로서 "방송국명", "방송 채널" 등이 기술되어 있다. 그러나, 이는 기록 허가 정보가 EPG로부터 수신된다는 가정을 예시로 하고 있음을 유의해야 하고, 이러한 예시 이외에, 기록 장치(100A)가 시간 스탬프 리스트 L1의 정보를 인지하도록 하는 임의의 정보가 사용될 것이다.
다른 실시예로서, 기록 허가 정보는, 기록이 허가되어 있는 비디오/오디오 프레임을 포함하는 PES 패킷의 각 PES 헤더에 플래그 등으로서 포함될 수 있다. 이 경우, 판정 유닛(142A)이 각 패킷의 헤더에 플래그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제어 유닛(140A)은, 판정 유닛(142A)의 판정 결과에 근거하여, 플래그를 갖는 패킷에 포함되는 프레임만을 기록하도록, 기록 유닛(160)을 제어할 수 있어, 상기한 바와 같이, 기록 유닛(160)은 기록이 허가되어 있는 비디오/오디오 프레임만을 기록할 수 있다.
도 2에서의 기록 장치(100A)의 기록 처리에 대해서 흐름도를 이용해서 설명한다. 도 3은 기록 장치(100A)의 기록 처리의 흐름도이다. 기록 장치(100A)는, 사용자에 의해 프로그래밍된 기록에 의해 트리거되는 기록 처리를 시작하여, 루프1(단계 S12~S18)을 시작한다(단계 S11). 먼저, 프로그래밍된 기록의 시작 시간에, 방송 수신 유닛(110)이 안테나 ANT1을 통해서 디지털 방송을 수신하고, TS를 추출한다(단계 S12). 그 후, 디멀티플렉서(120)는 방송 수신 유닛(110)에 의해 추출된 TS를 역다중화하여, PES 패킷으로 분리한다. 검출 유닛(170)은, 분리된 PES 패킷 중에서, 기록 허가 정보를 포함하는 PES 패킷을 검출하여, 포함되어 있는 기록 허가 정보를 추출한다(단계 S13). 추출된 기록 허가 정보는 기록 허가 정보 저장 유닛(180)에 저장된다. 또한, 디멀티플렉서(120)는 TS로부터 각 데이터의 제시 시간을 나타내는 PTS도 추출하여, 데이터 저장 유닛(150)에 출력한다. 제어 유닛(140A)은, 데이터 저장 유닛(150)에 저장된 PTS에 근거하여, 표시 유닛 DIS 및 오디오 출력 유닛 SP로부터 비디오 및 오디오가 각각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이때, 판정 유닛(142A)은 출력하는 비디오/오디오 프레임이 기록이 허가된 기록가능한 프레임인지 여부를, 기록 허가 정보에 근거하여 판정한다(단계 S14). 기록가능한 프레임으로 판정되면, 제어 유닛(140A)은 수신중인 디지털 방송이 기록 유닛(160)에 의해 기록되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15). 기록되고 있다고 판정되면, 처리는 단계 S19로 진행한다. 기록되고 있지 않다고 판정되면, 처리는 단계 S16으로 진행하고, 제어 유닛(140A)은 처리중인 비디오/오디오 프레임의 기록을 시작하도록 기록 유닛(160)을 제어한다.
단계 S14에서, 출력하는 비디오/오디오 프레임이 기록 불가능한 프레임이라고 판정된 경우는, 처리는 단계 S17로 진행하고, 제어 유닛(140A)은 수신중인 디지털 방송이 기록 유닛(160)에 의해 기록되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기록되고 있다고 판정되면, 처리는 단계 S18로 진행하고, 제어 유닛(140A)은 기록을 정지하도록 기록 유닛(160)을 제어한다. 기록 장치(100A)는, 프로그래밍된 기록 종료 시간이 될 때까지, 또는, 디지털 방송의 기록을 정지하라는 지시가 주어질 때까지, 단계 S12~S18의 기록 처리를 계속한다. 단계 S19에서, 예컨대 사용자로부터의 지시에 의해, 또는, 기록 시간 기간의 경과로 인해, 기록을 종료하라는 명령이 있는 경우에, 제어 유닛(140A)은 루프 1을 끝내고 나서 기록 유닛(160)에 의한 기록을 종료한다. 즉, 사용자가 프로그램 콘텐츠를 기록하는 경우에, 본 발명에 따른 기록 장치는, 기록이 허가된 비디오/오디오 프레임만을 기록하고, 기록이 허가되어 있지 않은 프레임은 기록하지 않는다.
상기 흐름도에 있어서, 기록 장치는 프로그램 콘텐츠를 기록하면서, 기록된 디지털 방송의 프로그램 콘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따라서, 기록된 프로그램 콘텐츠를 반드시 재생할 필요는 없다. 또한, 사용자는 프로그램 콘텐츠를 기록하면서, 수신중인 디지털 방송의 프로그램 콘텐츠를 실시간으로 볼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에 따른 기록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기록이 금지되어 있는 디지털 방송의 프로그램(방송 범위) 중에서, 기록이 허가되어 있는 부분에 관한 정보를 서버 등으로부터 네트워크 등을 통해서 미리 취득하고, 그 정보에 근거하여, 기록이 허가되는 부분을 기록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기록이 허가되는 부분을 사용자가 미리 알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상기 부분을 기록하도록 기록 장치를 미리 프로그래밍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기록 장치를 설명하기 전에, 기록 허가 정보를 작성하여 기록 장치에 공급하는 서버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2는 서버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버(300)는 기록 허가 정보 취득 유닛(310), EPG 작성 유닛(320), 및 메모리(330)를 포함한다. 기록 허가 정보 취득 유닛(310)은, 예컨대 콘텐츠 제작자 또는 방송 장치(200)로부터, 네트워크를 통해서 송신되는 기록 허가 정보를 취득한다. 기록 허가 정보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컨대 방송국명, 방송 채널, 프로그램명, 방송 시간, 및 기록 가능 포인트의 시간 스탬프 리스트 L1이 기술되어 있다. EPG 작성 유닛(32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록 허가 정보 취득 유닛(310)에 의해 취득된 기록 허가 정보에 근거하여, EPG를 작성한다. 또한, 작성된 EPG는 네트워크를 통해서 제공된다. EPG에 대해서는 나중에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기록 장치의 설명으로 되돌아간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기록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록 장치(100B)는 방송 수신 유닛(110), 디멀티플렉서(120), 디코더(130), 제어 유닛(140B), 데이터 저장 유닛(150), 기록 유닛(160), 기록 허가 정보 저장 유닛(180), 통신 유닛(190), 안테나 ANT1, ANT2, 입력 유닛 KEY, 표시 유닛 DIS, 및 오디오 출력 유닛 SP를 포함한다. 또한, 제어 유닛(140B)은 판정 유닛(142B)을 포함한다. 상기 유닛들은 도 2에 도시된 기록 장치(100A)와 동일한 참조 번호를 갖기 때문에, 그 설명을 생략한다.
기록 장치(100B)에 있어서 고유한 요소의 기능에 대해서 설명한다. 통신 유닛(190)은 안테나 ANT2를 통해서 서버(300) 등에 의해 제공되는 기록 허가 정보(EPG 등)를 취득한다. 통신 유닛(190)에 의해서 취득된 기록 허가 정보는 기록 허가 정보 저장 유닛(180)에 저장된다. 이 기록 허가 정보는 시간을 지정함으로써 기록 가능한 부분을 나타낸다. 따라서, 판정 유닛(142B)은, PTS에 기술된 기록해야 할 비디오/오디오 프레임의 제시 시간이 기록 허가 정보에 의해 나타내어진 시간과 일치하는지 여부에 근거하여, 비디오/오디오 프레임이 기록가능한지 여부를 판정한다. 즉, 기록 장치(100A)의 경우에서와 같이, 제어 유닛(140B)은 프로그램 콘텐츠(비디오/오디오 데이터)를 기록하도록 기록 유닛(160)을 제어한다. 이때, 판정 유닛(142B)에 의한 판정 결과에 근거하여, 제어 유닛(140B)은, 프로그램 콘텐츠에 있어서 기록이 허가된 제시 시간에 상당하는 부분만을 기록하도록, 기록 유닛(160)을 제어한다. 즉, 제어 유닛(140B)은, 프레임의 제시 시간이 기록 허가 정보 저장 유닛(180)에 저장되어 있는 기록 허가 정보에 기술된 시간에 상당하면, 기록해야 할 비디오/오디오 프레임을 기록가능한 프레임으로서 기록하도록 기록 유닛(160)을 제어하고, 그렇지 않으면, 기록이 금지되어 있는 프레임으로서 프레임을 기록하지 않도록 기록 유닛(160)을 제어한다.
도 4에 도시된 기록 장치(100B)의 기록 처리에 대해서 흐름도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5는 기록 장치(100B)의 기록 처리의 흐름도이다. 먼저, 기록 장치(100B)는 통신 유닛(190)을 통해서 기록 허가 정보를 취득하고(단계 S21), 그 후 루프 2(단계 S23~S28)를 시작한다(단계 S22). 루프 2에서는, 예컨대 사용자에 의해 프로그래밍된 기록을 트리거함으로써, 프로그래밍된 기록의 시작 시간이 되면, 기록 처리를 시작하기 위해서, 먼저 방송 수신 유닛(110)은 안테나 ANT1을 통해서 디지털 방송을 수신하여, TS를 추출한다(단계 S23). 여기서, 디멀티플렉서(120)는 TS로부터 각 데이터의 제시 시간을 나타내는 PTS도 추출하여, 데이터 저장 유닛(150)에 출력한다. 제어 유닛(140B)은, 데이터 저장 유닛(150)에 저장된 PTS에 근거하여, 표시 유닛 DIS 및 오디오 출력 유닛 SP로부터 비디오 및 오디오가 각각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이때, 판정 유닛(142B)은, 출력되는 비디오 또는 오디오 프레임의 제시 시간이 기록 허가 정보 저장 유닛(180)에 저장되어 있는 기록 허가 정보에 기술된 기록가능한 포인트에 상당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24). 즉, 판정 유닛(142B)은, 출력되는 프레임의 제시 시간이 기록 허가 정보 저장 유닛(180)에 저장된 시간에 상당하면, 프레임을 기록가능한 프레임으로 판정하고, 그렇지 않으면, 프레임을 기록이 금지되어 있는 프레임으로 판정한다.
단계 S25~S28의 처리는, 도 3에 도시된 기록 장치(100A)의 단계 S15~S18와 동일하기 때문에, 그 설명을 생략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단계 S29에서, 프로그래밍된 기록의 종료 시간에, 또는 기록을 종료하라는 지시가 주어진 경우에, 또는, 단계 S21에서 취득한 기록 허가 정보가 오래되어 갱신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루프 2를 종료한다. 그 이후에, 단계 S30에서, 판정 유닛(142B)은 기록 허가 정보를 취득할 필요가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필요가 있다고 판정 유닛(142B)이 판정하면, 처리는 단계 S21로 되돌아가서, 통신 유닛(190)으로부터 새롭게 기록 허가 정보를 취득하고, 필요가 없다고 판정되면, 처리를 종료한다.
또한, 상기의 흐름도에 있어서, 기록된 프로그램 콘텐츠를 항상 재생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기록을 하면서, 수신중인 디지털 방송의 프로그램 콘텐츠를 실시간으로 볼 수 있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기록 장치(100B)는 통신 유닛(190)으로부터 미리 기록 허가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따라서, 기록 가능한 부분을 사용자에게 미리 통지할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을 갖는다. 이하에서, 이점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6과 마찬가지로, 도 7은 기록 허가 정보의 내용을 나타낸다. 도 6과 달리, 도 7에서는, 기록 가능한 포인트를 나타내는 시간 스탬프 리스트 L2는, 상기 시간 스탬프에 상당하는 시간에 제시되는 콘텐츠의 속성 정보(장르, 키워드 등)를 포함한다. 예컨대, 도 7에서는, 기록이 금지된 "○○○ 음악 채널"의 프로그램에 대해서, 게스트 1 및 게스트 2가 등장하여 연주하는 장면과, 자동차의 광고가 기록이 허가되어 있음을 사용자에게 미리 통지할 수 있다. 이에 반하여, 도 6에 도시된 기록 허가 정보의 경우에, 기록 장치(100A)는 정보를 실시간으로 취득하기 때문에, 기록가능한 포인트에서 제시되는 콘텐츠의 상세 내용을 사용자에게 미리 통지할 수 없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기록 허가 정보에 근거하여, EPG 작성 유닛(320)을 통해서 서버(300)에서 작성되는 EPG를, 표시 유닛 DIS 상에서의 표시예로서 나타낸다. 도 8에서의 기록 가능한 시간 리스트 L3는, 도 7에서의 기록 허가 정보의 시간 스탬프 리스트 L2에 상당한다. 사용자는, 표시 유닛 DIS 상에 표시된 EPG에서, 기록하고자 하는 콘텐츠를 예컨대 커서 CUR을 이용해서 선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기록가능한 부분을 그 콘텐츠와 함께 알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종래의 방식에서와 같이 프로그래밍된 시간 기간을 길게 설정할 필요가 없다. 또한, 사용자는 원하는 장르나 키워드를 미리 지정하여, 그 장르나 키워드에 관련되는 비디오/오디오 프레임만을 캡쳐할 수 있다. 게다가, 사용자는 PTS에 의해 지정된 콘텐츠의 제시 시간에 근거하여 콘텐츠를 기록하도록 기록 장치(100B)를 프로그래밍한다. 따라서, 물리적인 시간을 설정하는 종래의 방법과는 달리, 기록해야 할 콘텐츠의 시간과 프로그래밍된 시간 사이의 차이에 의해, 원하는 콘텐츠를 기록할 수 없다는 문제가 야기되지 않기 때문에, 유용성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불필요한 부분이 기록되지 않기 때문에, 기록 장치의 메모리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기록 장치(100A, 100B)의 실시예에서는, 기록이 금지되어 있는 프로그램에 있어서, 기록이 허가되어 있는 부분을 모두 기록하는 기법을 설명하였다. 그러나, 사용자가 프로그램을 시청하면서 원하는 부분(비디오/오디오 프레임)만을 기록하고자 하는 경우도 종종 있을 수 있다. 이 경우는, 미리 취득한 기록 허가 정보에 근거하거나, 또는 PES 헤더에 포함된 기록 가능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의 유무 등에 근거하여, 출력중인 비디오/오디오 프레임이 기록 가능한지의 여부를 표시 유닛 DIS 상에 표시할 수 있다. 도 9는 그 일례를 나타낸다. 도 9(a)에서, 기록이 허가되어 있지 않은 비디오가 표시 유닛 DIS에 출력되어 있고, 예컨대, 패드락(padlock)이 잠겨져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마크 MK1가 표시되어 있다. 이에 반하여, 기록이 허가되어 있는 비디오의 경우는, 도 9(b)에 있어서의 마크 MK2와 같이, 패드락이 해제된 상태가 표시 유닛 DIS 상에 표시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시청중인 비디오가 기록 가능한지 여부를 즉시 알 수 있다.
또한, 기록 허가 정보는 PMT와 같은 PSI/SI 정보에 포함되어서 송신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카피 제어 기술자라고 불리는 카피 제어 정보가 원래는 PMT에 포함되지만, 프로그램 단위 또는 ES 단위로만 카피를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카피 제어 기술자를 확장하여, 기록이 허가된 부분의 비디오/오디오 프레임의 제시 시간을 지정할 수 있고, 기록 허가 정보로서 PMT의 보류된 영역에 포함시킬 수 있다. 따라서, PMT에서 지정된 카피 제어 기술자에 근거하여, 전체적으로 기록이 금지된 프로그램에 있어서 부분적인 기록 제어가 수행될 수 있다.
또한, 기록 허가 정보에 의해 지정된 제시 시간에 표시되어야 할 프레임을 포함하는 패킷이 손실될 수도 있음을 생각한다. 이 경우, 패킷에 포함되는 프레임을 기록할 수 없다. 대책으로서, 기록 장치(100A, 100B)의 제어 유닛(140A, 140B)이 각각 기록 허가 정보에 의해 지정된 제시 시간에 표시되어야 할 프레임을 포함하는 패킷이 손실된 것을 검출한 경우, 직전의 P프레임 또는 직후의 I프레임을 기록하도록 기록 유닛(160)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정지 영상으로서 사용자가 기록(캡쳐)하고 싶은 비디오 프레임이 손실되더라도, 원하는 비디오 프레임을 캡쳐할 수 있다.
게다가, 기록 허가 정보는 디지털 방송의 방송파와 다중화되는 데이터 방송에 포함되어서 송신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방송에 포함되는 기록 허가 정보를 취득하는 경우에, 기록 허가 정보 저장 유닛(180)에 기록 허가 정보를 기록 장치가 저장하도록 하는 스크립트는, 예컨대 데이터 방송의 BML(Broadcast Markup Language)로 기술된다. 이 처리는, 예컨대, ARIB STD-B24로 규정되는 각 방송사에 대한 고유의 정보를 비휘발성 메모리 RAM(NVRAM)에 저장하는 기능과 유사하다. 따라서, 기록 장치는 기록 허가 정보를 사전에 취득할 수 있어, 기록 가능 여부를 판정할 때에 기록 허가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기록 허가 정보에 있어서, 기록 가능한 범위를 지정하는 제시 시간으로서, H.264/MPEG-4 AVC(ISO/IEC 14496-10)로 규정되는 IDR 픽쳐의 제시 시간을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비디오/오디오 콘텐츠를 제시(복구)할 수 있는 확률은, 사전에 IDR 픽쳐의 정보의 수신을 요구하는 P픽쳐의 기록과 비교해서 상승한다. 따라서, 패킷 손실과 같은 에러에 대한 내성을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점을 다시 설명한다. 종래 기술에 따른 카피 제어 기술자에 의하면, 카피 제한의 범위는 프로그램 레벨, 즉 ES 레벨만으로 지정할 수 있다. 따라서, 장래에 도입될 것으로 예상되는 지상 디지털 방송의 유료 방송의 기록(비디오 및 오디오 기록)의 제한에 상기 기술을 적용하더라도, 콘텐츠 홀더나 서비스 공급자는 프로그램의 일부분의 기록 또는 한 장면만의 캡쳐 등의, 카피 제한을 유연하게 운용할 수 없을 것이다. 따라서, 시청자는 유용한 정보를 기록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반하여, 본 발명에서는, 디지털 방송을 프로그램 단위로 기록하는 것을 금지하는 경우에, 프로그램의 일부분을 기록하는 것이 허가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유용한 정보를 기록할 수 있고, 유용성이 우수한 유연한 방식을 이용하여, 콘텐츠 보호를 관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PTS에 의해 지정된 콘텐츠의 제시 시간에 근거하여 기록이 프로그래밍되기 때문에, 물리적인 시간을 지정하는 종래의 방법과는 달리, 기록해야 할 콘텐츠의 방송 시간과 프로그래밍된 시간 사이의 차이 때문에 원하는 콘텐츠를 기록할 수 없다는 문제가 없고, 그에 따라, 유용성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불필요한 부분이 기록되지 않기 때문에, 기록 장치의 메모리를 쓸데없이 사용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여러 가지 도면 및 실시예에 근거해서 설명했지만, 당업자에 의해 본 개시 내용에 근거하여 용이하게 여러 가지의 변형 및 수정을 행할 수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따라서,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예컨대, 각 부 및 각 구성요소에 포함되는 기능 등은 논리적으로 모순되지 않도록 재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구성요소는 조합되거나 분할될 수 있다.
예컨대, 실시예의 설명에서는, 기록 허가 정보에 의해 지정되는 기록가능한 부분 모두를 자동적으로 기록하는 관점을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 관점에 한정되지 않음을 유의해야 한다. 예컨대, 자동적으로 기록되는 부분을 사용자가 미리 선택할 수 있거나, 또는 그 사이에 기록가능한 부분을 모두 캡쳐하고, 디스플레이 상에 메시지를 표시함으로써 그 부분을 저장(기록)할지를 사용자에게 물어본 후에 캡쳐된 부분을 기록할 수 있다.
100A, B: 기록 장치, 110: 방송 수신 유닛, 120: 디멀티플렉서, 130: 디코더, 140A, B: 제어 유닛, 142A, B: 판정 유닛, 150: 데이터 저장 유닛, 160: 기록 유닛, 170: 검출 유닛, 180: 기록 허가 정보 저장 유닛, 190: 통신 유닛, 200: 방송 장치, 210: 프로그램 정보 취득 유닛, 220: 기록 허가 정보 작성 유닛, 230: 스트림 생성 유닛, 240: 송신 유닛, 250: 메모리, 260: 안테나, 300A, B: 서버, 310: 기록 허가 정보 취득 유닛, 320: EPG 작성 유닛, 330: 메모리, NET: 네트워크, ANT1, 2: 안테나, DIS: 표시 유닛, SP: 오디오 출력 유닛, KEY: 입력 유닛, L1, L2: 시간 스탬프 리스트, L3: 기록가능한 시간 리스트, CUR: 커서, MK1, MK2: 마크, RA: 예약된 영역

Claims (5)

  1. 디지털 방송을 기록하는 기록 유닛과,
    상기 디지털 방송에서 기록이 금지되어 있는 프로그램의 스트림으로부터, 상기 기록이 금지되어 있는 프로그램에서 기록이 허가되어 있는 부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패킷을 검출하는 검출 유닛과,
    상기 기록 유닛이 상기 기록이 금지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경우에, 상기 검출 유닛에 의해 검출된 상기 패킷에 포함되는 상기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기록이 허가되어 있는 부분을 기록하도록 상기 기록 유닛을 제어하는 제어 유닛
    을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 기록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유닛은, 기록이 허가되어 있음을 나타내는 플래그를 헤더에 포함하는 PES 패킷을 검출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기록이 금지되어 있는 프로그램에서, 상기 플래그를 상기 헤더에 포함하는 상기 PES 패킷에 포함되는 콘텐츠를 기록하도록 상기 기록 유닛을 제어하는
    디지털 방송 기록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이 허가되어 있는 부분에 관한 정보는, 상기 기록이 허가되어 있는 부분의 제시 시간(presentation time)에 관한 정보이며,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기록이 금지되어 있는 프로그램에서, 상기 제시 시간에 제시되는 부분을 기록하도록 상기 기록 유닛을 제어하는
    디지털 방송 기록 장치.
  4. 디지털 방송을 기록하는 기록 유닛과,
    상기 디지털 방송에서 기록이 금지되어 있는 프로그램에서, 기록이 허가되어 있는 부분을 나타내는 기록 허가 정보를 취득하는 취득 유닛과,
    상기 취득 유닛에 의해 취득된 상기 기록 허가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 유닛과,
    상기 기록 유닛이 상기 기록이 금지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경우에, 상기 저장 유닛에 저장된 상기 기록 허가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기록이 허가되어 있는 부분을 기록하도록 상기 기록 유닛을 제어하는 제어 유닛
    을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 기록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허가 정보는 상기 기록이 허가되어 있는 부분의 제시 시간에 관한 정보이며,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기록이 금지되어 있는 프로그램에서, 상기 제시 시간에 제시되는 부분을 기록하도록 상기 기록 유닛을 제어하는
    디지털 방송 기록 장치.
KR1020107014129A 2007-12-27 2008-12-26 디지털 방송 기록 장치 KR1012375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337060A JP5649768B2 (ja) 2007-12-27 2007-12-27 デジタル放送記録装置
JPJP-P-2007-337060 2007-12-27
PCT/JP2008/073846 WO2009084679A1 (ja) 2007-12-27 2008-12-26 デジタル放送記録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7045A true KR20100087045A (ko) 2010-08-02
KR101237572B1 KR101237572B1 (ko) 2013-02-26

Family

ID=408243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4129A KR101237572B1 (ko) 2007-12-27 2008-12-26 디지털 방송 기록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483548B2 (ko)
JP (1) JP5649768B2 (ko)
KR (1) KR101237572B1 (ko)
WO (1) WO200908467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72069B2 (ja) * 2011-03-04 2015-09-02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9152807B2 (en) 2012-03-08 2015-10-06 Marvell World Trade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udio or video capture functionality according to a security policy
US10104214B2 (en) * 2012-05-11 2018-10-16 Qualcomm Incorporated Seamless in-call voice notes
US10360139B2 (en) * 2013-03-12 2019-07-23 Entit Software Llc Identifying transport-level encoded payloads
CN106797501B (zh) * 2014-10-15 2020-03-20 麦克赛尔株式会社 广播接收装置和广播接收方法以及广播接收程序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44455B2 (ja) * 1994-09-29 2005-04-27 ソニー株式会社 番組情報放送方式、番組情報表示方法および受信装置
US6298196B1 (en) * 1996-09-05 2001-10-02 Sony Corporation Digital recording apparatus and copyright protection method thereof
JPH10269752A (ja) * 1997-03-21 1998-10-0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テレビ番組記録システム及び放送受信装置
JP2000341156A (ja) 1999-05-27 2000-12-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放送受信装置
US6802074B1 (en) * 1999-05-31 2004-10-05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Recording apparatus, transmitting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JP2003134456A (ja) * 2001-10-26 2003-05-0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デジタル記録装置、デジタル記録方法及びデジタル記録方法をコンピュータに実現させるプログラム並びに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JP2003333492A (ja) * 2002-05-13 2003-11-21 Kenwood Corp 番組の視聴・録画制御方法
JP2004080476A (ja) 2002-08-20 2004-03-11 Sanyo Electric Co Ltd ディジタル映像再生装置
JP4717499B2 (ja) * 2004-06-08 2011-07-06 キヤノン株式会社 放送受信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9159438A (ja) 2009-07-16
US20110019971A1 (en) 2011-01-27
WO2009084679A1 (ja) 2009-07-09
US8483548B2 (en) 2013-07-09
JP5649768B2 (ja) 2015-01-07
KR101237572B1 (ko) 2013-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65217B2 (en) Method for managing advertising detection in an electronic apparatus, such as a digital television decoder
KR100731189B1 (ko) 신호처리장치, 화상표시장치 및 화상표시방법
KR100379878B1 (ko)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080060818A (ko) 데이터 방송 신호 수신 장치 및 데이터 방송 신호를처리하는 방법
KR101063648B1 (ko) 방송 시스템 및 수신 장치, 방송 데이터의 보호 방법 및수신 방법
KR20060009225A (ko) 컨텐츠 배신 시스템, 컨텐츠 배신 장치, 컨텐츠 기록 재생장치 및 컨텐츠 기록 재생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1237572B1 (ko) 디지털 방송 기록 장치
US11438661B2 (en)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KR20040077794A (ko) Tv 애니타임 crid 임베딩
JP2012110050A (ja) 放送送信装置、放送受信装置及び放送送信方法
US20070266419A1 (en) Digital television signal, digital television receiver, and method for processing digital television signal
US20190238929A1 (en)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for receiving program contents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US10965981B2 (en) Broadcast receiving system
KR100762555B1 (ko) 방송 프로그램 정보 가이드 장치 및 방법
JP6722333B2 (ja) 放送受信装置およびコンテンツ保護処理方法
JP6726341B2 (ja) 放送受信装置およびコンテンツ保護処理方法
JP6727383B2 (ja) コンテンツ保護処理方法
KR101567601B1 (ko) 영상표시장치 및 상기 영상표시장치의 예약녹화 방법
CA2568377C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dummy event in digital television receiver
JP2007129329A (ja) テレビ受信システム
KR20100047734A (ko) 방송 수신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영상 재생 방법
JP2001333406A (ja) ディジタル放送受信装置
KR20050119319A (ko) 디지털 방송 시스템의 시청 제한 장치 및 방법
KR20100115145A (ko) 비디오 신호의 버퍼 체류 시간을 이용한 방송 신호 녹화 및 재생 장치 및 방법
KR20110015173A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