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86373A - 회오리바람 발생장치 및 그를 이용한 풍력 발전기 - Google Patents

회오리바람 발생장치 및 그를 이용한 풍력 발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86373A
KR20100086373A KR1020090005709A KR20090005709A KR20100086373A KR 20100086373 A KR20100086373 A KR 20100086373A KR 1020090005709 A KR1020090005709 A KR 1020090005709A KR 20090005709 A KR20090005709 A KR 20090005709A KR 20100086373 A KR20100086373 A KR 201000863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air
housing
generator
base
whirlwi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57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철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057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86373A/ko
Publication of KR201000863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637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9/00Adaptations of wind motor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wind motors with apparatus driven thereby; Wind motor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particular locations
    • F03D9/30Wind motor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particular locations
    • F03D9/34Wind motor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particular locations on stationary objects or on stationary man-made structures
    • F03D9/35Wind motor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particular locations on stationary objects or on stationary man-made structures within towers, e.g. using chimney effects
    • F03D9/37Wind motor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particular locations on stationary objects or on stationary man-made structures within towers, e.g. using chimney effects with means for enhancing the air flow within the tower, e.g. by heating
    • F03D9/39Wind motor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particular locations on stationary objects or on stationary man-made structures within towers, e.g. using chimney effects with means for enhancing the air flow within the tower, e.g. by heating by circulation or vortex form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9/00Adaptations of wind motor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wind motors with apparatus driven thereby; Wind motor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particular locations
    • F03D9/20Wind motors characterised by the driven apparatus
    • F03D9/25Wind motors characterised by the driven apparatus the apparatus being an electrical genera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20/00Application
    • F05B2220/70Application in combination with
    • F05B2220/706Application in combination with an electrical genera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40/00Components
    • F05B2240/10Stators
    • F05B2240/13Stators to collect or cause flow towards or away from turbines
    • F05B2240/131Stators to collect or cause flow towards or away from turbines by means of vertical structures, i.e. chimne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40/00Components
    • F05B2240/10Stators
    • F05B2240/13Stators to collect or cause flow towards or away from turbines
    • F05B2240/132Stators to collect or cause flow towards or away from turbines creating a vortex or tornado effec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40Solar thermal energy, e.g. solar towers
    • Y02E10/46Conversion of thermal power into mechanical power, e.g. Rankine, Stirling or solar thermal engin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Wind turbines with rotation axis in wind dir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ind Mo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오리바람 발생장치 및 그를 이용한 풍력 발전기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회오리바람 발생장치는 상부가 개방되는 원통형 벽체(Cylinderical Wall)와, 원통형 벽체의 주위에 배치되며, 바닥에는 광흡수 물질이 배치되는 베이스(Base)와, 베이스를 덮으며, 광투과성을 갖는 커버(Cover) 및 베이스와 커버의 사이 공간과 원통형 벽체의 내부를 통풍시키는 통풍 게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회오리바람 발생장치 및 그를 이용한 풍력 발전기{Atmospheric Vortex Generator and Wind Power Generator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회오리바람 발생장치 및 그를 이용한 풍력 발전기에 대한 것이다.
회오리바람 발생장치는 주위의 공기를 덥혀 상승기류를 발생시키고, 이러한 상승기류를 이용하여 회오리바람을 발생시키는 장치이다.
이러한 회오리바람 발생장치를 풍력 발전기에 적용할 수 있다.
풍력 발전기는 바람의 힘의 이용하여 터빈을 회전시키고, 이러한 터빈의 회전에 의해 전력을 생산할 수 있는 장치이다.
본 발명은 외부로부터 추가적인 에너지를 공급하지 않아도 회오리바람을 형성시킬 수 있도록 입사되는 태양광으로 물을 가열하여 더운 공기를 발생시키고, 이러한 더운 공기를 이용하여 회오리바람을 발생시키는 회오리바람 발생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한 회오리바람 발생장치를 포함하는 풍력 발전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회오리바람 발생장치는 상부가 개방되는 원통형 벽체(Cylinderical Wall)와, 원통형 벽체의 주위에 배치되며, 바닥에는 광흡수 물질이 배치되는 베이스(Base)와, 베이스를 덮으며, 광투과성을 갖는 커버(Cover) 및 베이스와 커버의 사이 공간과 원통형 벽체의 내부를 통풍시키는 통풍 게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에는 물이 채워질 수 있다.
또한, 원통형 벽체의 하부에는 디플렉터(Deflector)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른 회오리바람 발생장치는 상부가 개방된 하우징(Housing)과, 외부로부터 입사되는 광(Light)으로 소정의 액체를 가열하여 외부보다 온도가 높으며 수증기를 포함하는 더운 공기를 발생시키는 더운 공기 발생부 및 더운 공기를 하우징의 하부로 공급하는 더운 공기 공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은 원통형 벽체(Cylinderical Wall)일 수 있다.
또한, 소정의 액체는 물일 수 있다.
또한, 광은 태양광일 수 있다.
또한, 더운 공기 공급부는 하우징의 하부에 형성되며, 더운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통풍 게이트(Gate)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더운 공기 공급부는 통풍 게이트를 닫을 수 있는 차단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더운 공기 발생부는 소정의 액체가 채워지는 베이스(Base) 및 베이스부의 상부에 배치되며, 외부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투과하는 커버(Cover)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커버는 유리 재질 또는 플라스틱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커버와 베이스간의 간격은 하우징에 근접할수록 증가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의 바닥은 실질적으로 검은색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베이스의 바닥에는 흑색 물질(Dark Colored Material)을 포함하는 광흡수층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의 바닥에는 외부로부터 입사되는 광으로 전력을 생산할 수 있는 태양전지(Solar Cell)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더운 공기 발생부는 베이스로 소정의 액체를 공급하는 펌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회오리바람 발생장치는 상부가 개방된 하우징(Housing)과, 외부보다 온도가 높은 더운 공기를 발생시키는 더운 공기 발생부와 더운 공기를 하우징의 하부의 측면으로 공급하는 더운 공기 공급부 및 하우징의 하부에 배치되며, 더운 공기의 진행 방향을 수평방향에서 수직 방향으로 전환하는 디플렉터(Deflector)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플렉터의 표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부(Guide Portion)가 배치되고, 가이드부는 사선 또는 나선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디플렉터의 빗면은 곡선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더운 공기 발생부는 외부로부터 입사되는 광(Light)으로 소정의 액체를 가열하여 더운 공기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더운 공기 공급부는 하우징의 하부에 형성되는 통풍 게이트(Gate)를 포함하고, 디플렉터의 꼭대기(Top)는 게이트의 꼭대기보다 높거나 실질적으로 동일한 위치에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풍력 발전기는 상부가 개방된 하우징(Housing)과, 외부로부터 입사되는 광(Light)으로 소정의 액체를 가열하여 외부보다 온도가 높으며 수증기를 포함하는 더운 공기를 발생시키는 더운 공기 발생부와, 더운 공기를 하우징의 하부로 공급하는 더운 공기 공급부 및 더운 공기의 흐름에 따라 회전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터빈(Turbine)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터빈은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더운 공기 공급부는 하우징의 하부에 형성되는 통풍 게이트(Gate)를 포함하고, 터빈은 통풍 게이트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른 풍력 발전기는 상부가 개방된 하우징(Housing)과, 외부보다 온도가 높은 더운 공기를 발생시키는 더운 공기 발생부와, 더운 공기를 하우징의 하부의 측면으로 공급하는 더운 공기 공급부와, 하우징의 하부에 배치되며, 더운 공기의 진행 방향을 수평방향에서 수직 방향으로 전환하는 디플렉터(Deflector) 및 더운 공기의 흐름에 따라 회전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터빈(Turbine)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풍력 발전기는 상부가 개방되는 원통형 벽 체(Cylinderical Wall)와, 원통형 벽체의 주위에 배치되며, 바닥에는 광흡수층이 배치되는 베이스(Base)와, 베이스를 덮으며, 광투과성을 갖는 커버(Cover)와, 베이스와 커버의 사이 공간과 원통형 벽체의 내부를 통풍시키는 통풍 게이트와, 통풍 게이트에 배치되는 터빈(Turbine)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에는 물이 채워질 수 있다.
또한, 원통형 벽체의 하부에는 디플렉터(Deflector)가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회오리바람 발생장치는 외부로부터 입사되는 태양광으로 물을 가열하여 더운 공기를 발생시키고, 이러한 더운 공기를 이용하여 회오리바람을 발생시킴으로써, 외부로부터 추가적인 에너지를 공급받지 않아도 회오리바람을 발생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회오리바람 발생장치는 디플렉터를 사용함으로써 보다 용이하게 회오리바람을 발생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풍력 발전기는 상기한 회오리바람 발생장치를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함으로써 외부로부터 추가적인 에너지를 공급받지 않아도 풍력 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으며, 전력 생산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풍력 발전기는 물이 있는 곳이라면 어디든지 설치가 가능함으로써 발전소 설치의 환경적 제약이 적어서 설치가 용이하다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회오리바람 발생장치 및 그를 이용한 풍력 발전기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회오리바람 발생장치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1을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회오리바람 발생장치는 상부가 개방된 하우징(Housing, 100)과, 외부로부터 입사되는 광(Light)으로 소정의 액체(130)를 가열하여 외부보다 온도가 높으며 수증기를 포함하는 더운 공기를 발생시키는 더운 공기 발생부(110) 및 더운 공기 발생부(110)가 발생시킨 더운 공기를 하우징(100)의 하부로 공급하는 더운 공기 공급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하우징(100)은 도 2와 같이 상부가 개방되는 원통형 벽체(Cylinderical Wall)의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으며, 아울러 더운 공기 발생부(110)는 하우징(100)의 주위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더운 공기 발생부(110)는 하우징(100)을 중심으로 하는 동심원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소정의 액체(130)는 물(H2O)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고, 아울러 광은 태양광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아울러, 더운 공기 공급부(120)는 하우징(100)의 하부에 형성되며, 더운 공기 발생부(110)에서 발생한 더운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통풍 게이트(Gate)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통풍 게이트는 더운 공기 발생부(110)와 하우징(100)의 내부 를 통풍시킬 수 있다.
아울러, 더운 공기 발생부(110) 자체가 통풍 게이트일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회오리바람 발생장치는 소정의 광, 바람직하게는 태양광의 에너지를 이용하여 회오리바람을 발생시킬 수 있기 때문에, 외부로부터 인위적으로 추가적인 에너지가 공급되지 않아도 회오리바람을 발생시킬 수 있다.
자세하게는, 외부로부터 태양광이 입사되면 더운 공기 발생부(110)에 채워지는 소정의 액체(130), 바람직하게는 물(130)이 태양광에 의해 가열될 수 있다.
그러면, 물(130)의 온도가 상승함으로써 더운 공기 발생부(110) 내부의 수증기압이 높아지며, 아울러 온도가 상승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더운 공기 발생부(110)의 내부에서 수증기를 포함하는 더운 공기가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더운 공기 발생부(110)의 내부에서 발생한 더운 공기는 더운 공기 공급부(120)를 통해 하우징(100)의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 여기서, 회오리바람의 발생 효율을 높이기 위해 더운 공기 공급부(120)는 하우징(100)의 하부의 측면에 배치되며, 더운 공기 발생부(110)에서 발생한 더운 공기는 하우징(100)의 하부로 공급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하우징(100)은 그 높이가 충분히 높기 때문에, 하우징(100)의 상부와 하부의 기압차이가 충분히 클 수 있다.
따라서 하우징(100)에 수증기를 포함하는 더운 공기가 공급되면 하우징(100)의 하부와 상부의 기압차이 및 하우징(100)의 상부의 공기 밀도와 더운 공기의 밀도의 차이에 의해 더운 공기가 하우징(100)의 내부에서 상승하게 된다.
여기서, 더운 공기가 상승하면서 하우징(100)의 원주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하우징(100)의 내부에서 회오리바람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회오리바람은 실질적으로 토네이도(Tornado)와 유사할 수 있다.
아울러, 더운 공기는 하우징(100)의 내부에서 상승하면서 단열 팽창을 하게 되고, 이에 따라 더운 공기의 온도가 낮아질 수 있다. 그러면 더운 공기의 포화 수증기량이 감소하게 되고, 이에 따라 포화된 수증기는 액체로 바뀌게 된다.
여기서, 수증기가 액체로 바뀌면서 액화열을 방출하게 되고, 이로 인해 하우징(100) 내부에서 발생한 회오리바람에 계속하여 열에너지가 제공될 수 있다. 그러면 회오리바람은 토네이도성의 강력한 회오리바람으로 성장할 수 있다.
일단 하우징(100) 내부에서 토네이도성의 회오리바람이 형성되면, 하우징(100)의 하부의 기압이 낮아지게 되고, 이에 따라 주위의 공기를 끌어당기게 된다.
따라서 더운 공기 발생부(110)에 물 등의 소정의 액체(130)만 채워져 있는 상태라면 태양광 등의 소정의 광이 조사되지 않더라도 하우징(100) 내부에서 발생한 토네이도성의 회오리바람은 계속해서 포화수증기압의 수증기를 공급될 수 있기 때문에 그 세력이 약해지지 않을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우징(100)의 내부에서 발생한 토네이도성의 회오리바람은 하우징(100)의 내부에서 통제가 가능하며, 이에 따라 터빈(Turbine) 등의 발전 장비를 이용하여 풍력 발전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회오리바람 발생장치는 외부로부터 입사되는 태양광으로 물을 가열하여 더운 공기를 발생시키고, 이러한 더운 공기를 이용하여 토네이도성의 강력한 회오리바람을 발생시킬 수 있기 때문에 외부로부터 인위적으로 에너지를 공급받지 않아도 회오리바람을 발생시킬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발생시킨 회오리바람을 이용하여 풍력 발전을 하는 경우에는 외부로부터 인위적인 에너지의 공급을 생략하여도 전력생산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회오리바람 발생장치는 태양광과 물을 이용하여 회오리바람을 발생시킬 수 있어서 태양광이 비치고 물이 있는 장소라면 어디든지 설치가 가능하기 때문에 설치 장소의 제약이 상대적으로 적을 수 있다.
만약, 공장 등에서 발생한 폐열을 이용하여 회오리바람을 발생시키는 비교예를 가정하여 보자.
자세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회오리바람 발생장치에서는 예를 들면 태양광을 이용하여 물을 가열하여 수증기를 포함하는 더운 공기를 발생시키고, 이러한 더운 공기를 이용하여 토네이도성의 회오리바람을 발생시키는데 반해, 비교예에서는 공장 등에서 발생하는 폐열을 수집하고, 수집한 폐열을 이용하여 물을 가열함으로써 수증기를 포함하는 더운 공기를 발생시키는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다.
이러한 비교예의 경우에는 설치 장소의 제약이 상대적으로 클 수 있다. 자세하게는, 비교예의 경우에는 대형 공정 등의 폐열을 발생시키는 폐열 발생원의 근처에 회오리바람 발생장치를 설치해야만 한다.
반면에, 본 발명에 따른 회오리바람 발생장치는 태양광과 물이 있는 장소라면 어디든지 설치가 가능하기 때문에 설치 장소의 제약이 상대적으로 덜 한 것이 다.
한편, 하우징(100)은 토네이도성의 회오리바람의 발생을 더욱 촉진하기 위해 그 높이(H)가 대략 20m~100m 정도로서 충분히 높을 수 있으며, 아울러 그 직경도 대략 10m~20m 정도로 충분히 큰 것이 가능하다.
아울러, 더운 공기 발생부(110)의 크기(W)는 하우징(100)의 높이(H)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만약, 하우징(100)의 높이(H) 및 직경이 충분히 큰 경우에는 하우징(100)에 충분한 수증기 및 더운 공기를 공급하기 위해서 더운 공기 발생부(110)의 크기도 충분히 커야한다.
도 3 내지 도 6은 더운 공기 발생부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3을 살펴보면 더운 공기 발생부(110)는 소정의 액체, 바람직하게는 물이 채워지는 베이스(Base, 310)와 베이스(310)의 상부에 배치되어 베이스(310)를 덮는 커버(3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커버(320)는 입사되는 광을 투과할 수 있는 광투과성을 가질 수 있으며, 실질적으로 투명한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커버(320)는 유리 재질 또는 플라스틱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더운 공기 발생부(110)는 외부로부터 소정의 액체, 바람직하게는 물을 끌어들여 베이스(310)에 공급하는 펌프(300)를 더 포함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베이스(310)에 액체가 채워지고, 베이스(310)의 상부에 실질적으로 투명한 커버(320)가 배치되면, 온도가 낮은 겨울에도 용이하게 수증기를 포함하 는 더운 공기를 발생시킬 수 있으며, 베이스(310)에 채워지는 액체가 외부로 증발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더운 공기 발생부(110)는 도 4의 경우와 같이 바닥에 광흡수층(400)이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광흡수층(400)은 흑색 물질(Dark Colored Material)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흑색 물질은 검은색의 자갈, 검은색의 모래, 아스팔트 등 다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베이스(310)의 바닥은 실질적으로 검은색을 띌 수 있다.
또는, 베이스(310)의 바닥에 실질적으로 검은색의 페인트를 칠하는 방법 등을 이용하여 베이스(310)의 바닥의 색을 실질적으로 검은색으로 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베이스(310)의 바닥에 광흡수층(130)이 형성되거나 혹은 베이스(310)의 바닥이 실질적으로 검은색인 경우에는 외부에서 입사되는 광을 보다 효과적으로 흡수하여 베이스(310)에 채워진 액체(130), 바람직하게는 물을 보다 효과적으로 덥혀 수증기를 포함하는 더운 공기의 발생을 촉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외부에서 입사되는 광의 양이 적은 경우, 예컨대 날씨가 흐려서 태양광의 양이 적은 경우에도 하우징(100)의 내부에서 보다 용이하게 토네이도성의 회오리바람을 발생시킬 수 있다.
아울러, 공기 역학적인 관점에서는 도 5의 경우와 같이 커버(320)와 베이스(310)간의 간격은 하우징(100)에 근접할수록 증가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더운 공기 발생부(110)에서 하우징(100)에 근접한 부분에서의 커버(320)와 베이스(310) 사이의 간격(d2)은 외부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는 부분에서의 커버(320)와 베이스(310) 사이의 간격(d1)보다 더 큰 것이다.
이러한 구조에서는 더운 공기 발생부(110)에서 발생한 더운 공기가 보다 효과적으로 더운 공기 공급부(120)를 통해 하우징(100)에 공급될 수 있다.
한편, 베이스(310)의 바닥에 외부로부터 입사되는 광으로 전력을 생산할 수 있는 태양전지(Solar Cell)가 배치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태양전지의 표면은 상대적으로 어두운 색을 갖기 때문에 외부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흡수하는데 효과적일 수 있다. 따라서 베이스(310)에 채워지는 액체(130)를 보다 효과적으로 덥힐 수 있다.
또한, 베이스(310)의 바닥에 태양전지를 배치하게 되면, 태양광의 열에너지를 베이스(310)에 채워지는 액체(130)에 전달하여 액체(130)의 온도를 효과적으로 높일 수 있을 뿐 아니라, 태양전지 자체가 입사되는 광을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할 수 있기 때문에 발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자세하게는, 태양전지는 입사되는 태양광을 100% 전력으로 변환하지 못하며, 일반적으로 대략 5~30% 정도의 변환 효율을 갖고, 나머지는 열에너지 형태로 방출할 수 있다. 따라서 베이스(310)의 바닥에 태양전지를 배치하게 되면, 태양전지가 태양광을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하며, 아울러 베이스(310)에 채워지는 액체(130)의 온도를 용이하게 상승시킬 수 있는 것이다.
베이스(310)의 바닥에 배치될 수 있는 태양전지의 구조의 일례가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도 6을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회오리바람 발생장치에 적용될 수 있는 태양전지는 실리콘(Si)층(200), 반사방지층(210), p+층(220), n+층(230), 패시베이션층(Passivation Layer, 240), 제 1 전극(250), 제 2 전극(260)을 포함할 수 있다.
실리콘층(200)에는 n형 또는 p형 불순물이 도핑될 수 있다. 또한, 실리콘층(200)은 결정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진 실리콘 웨이퍼(Wafer)일 수 있다.
p+층(220)과 n+층은 실리콘층(200)의 일면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p+층(220)은 p형 불순물이 도핑된 영역이고, n+층(230)은 n형 불순물이 도핑된 영역이다.
아울러, p+층(220) 및 n+층(230)의 상부에는 패시베이션층(240)이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패시베이션층(240)은 p+층(220), n+층(230) 및 실리콘층(200)을 보호할 수 있다.
아울러, p+층(220)의 상부에는 제 1 전극(250)이 배치되고, n+층(230)의 상부에는 제 2 전극(260)이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전극(250)과 제 2 전극(260)은 패시베이션층(240)에 의해 전기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한편, 실리콘층(200)의 타면에는 반사방지층(210)이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실리콘층(200)의 일면에 p+층(220)과 n+층(230)이 함께 배치되고, 아울러 제 1 전극(250)과 제 2 전극(260)이 함께 배치되면, 태양전지의 수광면을 넓히는 효과를 획득할 수 있기 때문에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실리콘층(200)의 일면에 제 1 전극(250) 및 제 2 전극(260)을 함 께 배치하는 구조를 후면 접합 태양전지(Back Contact Solar Cell)라고 할 수 있다.
외부로부터 광(Light)이 입사되면 입사되는 광은 반사방지층(210)을 투과하여 실리콘층(200)에 도달할 수 있다. 그러면, 실리콘층(200)과 p+층(220) 또는 실리콘층(200)과 n+층(230)의 사이에서 전자-정공 쌍이 형성되고, 이러한 전자-정공 쌍에 의해 전력이 생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회오리바람 발생장치에 적용될 수 있는 태양전지는 도 6에 도시된 구조의 태양전지 뿐 아니라 후면 접합 태양전지라면 어떤 것이든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외부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흡수하여 베이스(310)에 채워지는 액체(130)를 효과적으로 덥히기 위해서는 도 6과 같은 구조의 후면 접합 태양전지가 본 발명에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극이 전면에 배치되는 구조의 태양전지가 베이스(310)의 바닥에 배치되는 경우에는 전극이 일반적으로 알루미늄(Al), 은(Ag) 등 반사율이 높은 재질로 구성되기 때문에 외부로부터 입사되는 광이 전극에 의해 반사됨으로써 베이스(310)에 채워지는 액체(130)의 온도를 빠르게 상승시키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그러나 도 6과 같은 구조의 후면 접합 태양전지를 베이스(310)의 바닥에 배치하게 되면 전극이 태양전지의 후면에 배치됨에 따라 태양전지에 의한 전력 생산 효율을 높일 수 있을 뿐 아니라, 외부에서 입사되는 광의 열에너지를 보다 효과적으로 흡수함으로써 베이스(310)에 채워지는 액체(130)의 온도를 보다 효과적으로 상승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전력 생산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도 7 내지 도 12는 디플렉터(Deflector)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7을 살펴보면 하우징(100)의 하부에는 디플렉터(Deflector, 700)가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디플렉터(700)는 더운 공기 발생부(110)에서 발생하여 하우징(100)으로 공급된 더운 공기의 진행 방향을 수평방향에서 수직 방향으로 전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디플렉터(700)를 사용하게 되면 보다 용이하게 상승 기류를 발생시킬 수 있기 때문에 회오리바람의 발생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아울러, 디플렉터(700)는 회오리바람의 생성을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해 도 8의 경우와 같이 표면에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부(Guide Portion, 80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아울러, 가이드부(800)는 도 8의 경우와 같이 나선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더운 공기 발생부(110)로부터 하우징(100)으로 유입된 더운 공기가 디플렉터(700)에 의해 수직 방향으로 그 진행방향이 변경될 뿐 아니라, 더운 공기는 디플렉터(700)의 표면에 배치되는 가이드부(800)를 타고 진행하면서 회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회오리바람이 보다 용이하게 생성될 수 있는 것이다.
또는, 디플렉터(700)의 표면에 배치되는 가이드부(800)는 도 9의 경우와 같이 사선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자세하게는, 가이드부(800)의 진행방향이 디플렉터(700)의 중심축과 만나지 않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회오리바람의 생성이 용이해질 수 있다.
한편, 디플렉터(700)의 수직방향으로의 단면의 형상은 도 10의 (a)와 같이 다각형 형태를 갖는 것이 가능하다.
또는, 도 10의 (b)와 같이 디플렉터(700)의 빗면은 곡선 형태를 갖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아울러, 디플렉터(700)의 크기는 더운 공기 공급부(120)의 크기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디플렉터(700)의 꼭대기(Top)는 더운 공기 공급부(120)의 꼭대기보다 높거나 실질적으로 동일한 위치에 있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즉, 도 11의 경우와 같이 디플렉터(700)의 꼭대기는 더운 공기 공급부(120)의 상부 끝단보다 t1만큼 크거나, 혹은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디플렉터(700)의 꼭대기는 더운 공기 공급부(120)의 상부 끝단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위치에 있을 수 있다. 여기서, 더운 공기 공급부(120)는 더운 공기 발생부(110)와 하우징(100)의 통풍을 위한 통풍 게이트일 수 있고, 이에 따라 디플렉터(700)의 꼭대기가 통풍 게이트의 꼭대기보다 높거나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으로 볼 수 있는 것이다.
이와는 다르게, 도 12의 경우와 같이 디플렉터(700)의 꼭대기가 더운 공기 공급부(120)의 상부 끝단보다 대략 t2만큼 낮은 경우에는 더운 공기 공급부(120)의 상부를 통과하여 하우징(100)에 공급되는 더운 공기는 더운 공기 공급부(120)의 하부를 통과하여 하우징(100)에 공급되는 더운 공기에 비해 하우징(100)의 상부로 상승하는 힘이 상대적으로 약할 수 있다.
반면에, 도 11의 경우와 같이 디플렉터(700)의 꼭대기가 더운 공기 공급 부(120)의 상부 끝단보다 t1만큼 크거나 혹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경우에는 더운 공기 공급부(120)의 상부를 통과하여 하우징(100)에 공급되는 더운 공기도 도 12의 경우에 비해 하우징(100)의 상부로 상승하는 힘이 충분히 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회오리바람의 생성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3은 또 다른 가이드부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앞선 도 8 내지 도 9에서 설명한 디플렉터에 형성된 가이드부를 제 1 가이드부라고 하고, 여기 도 13에서의 또 다른 가이드부를 제 2 가이드부라고 가정하여 설명한다.
도 13을 살펴보면, 하우징(100)의 하부에서 더운 공기 공급부(120)와 디플렉터(700)의 사이에는 제 2 가이드부(1100)가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 2 가이드부(1100)는 도 13과 같이 나선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제 2 가이드부(1100)는 더운 공기 공급부(120)를 통해서 하우징(100)으로 유입되는 더운 공기가 디플렉터(700)에 도달하기 이전에 진행방향을 회전이 용이하도록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회오리바람의 형성이 용이해질 수 있다.
도 14는 더운 공기 공급부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를 살펴보면, 더운 공기 공급부(120)는 통풍을 위한 통풍 게이트(1210)와 통풍 게이트(1210)를 닫을 수 있는 차단부(1200)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차단부(1200)를 이용하여 통풍 게이트(1210)를 닫게 되면, 하우징(100)으로 수증기를 포함하는 더운 공기의 공급이 차단될 수 있고, 이에 따라 하우징(100) 내부에서 발생한 토네이도성의 회오리바람의 세기를 약하게 하거나 혹은 소멸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하우징(100) 내부에서 발생한 토네이도성의 회오리바람의 세력이 과도하게 강해지거나 혹은 회오리바람 발생장치의 보수가 필요한 경우에 토네이도성의 회오리바람을 소멸시키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도 15 내지 도 16은 풍력 발전기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앞서 회오리바람 발생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으므로, 이하에서는 회오리바람 발생장치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회오리바람 발생장치에 전력 생산을 위한 터빈(Turbine)을 장착하게 되면 풍력 발전기(Wind Power Generator)가 될 수 있다.
이러한 터빈은 더운 공기 발생부(120)와 하우징(100)의 사이에 배치되어, 더운 공기 발생부(120)로부터 하우징(100)으로 유입되는 더운 공기의 흐름에 따라 회전하여 전력을 생산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도 15의 경우와 같이 하우징(100)에는 통풍을 위한 통풍 게이트(1510)가 형성되고, 이러한 통풍 게이트(1510)에 터빈(1500)이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에는, 더운 공기 발생부(120)로부터 하우징(100)으로 더운 공기가 유입될 때, 터빈(1500)이 회전하여 전력을 생산할 수 있다.
또는, 도 16의 경우와 같이 하우징(100) 내부에 터빈(1600)이 배치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터빈(1600)이 하우징(100) 내부에서 회오리바람이 발생할 때 회전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 내지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회오리바람 발생장치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 내지 도 6은 더운 공기 발생부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 내지 도 12는 디플렉터(Deflector)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3은 또 다른 가이드부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4는 더운 공기 공급부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5 내지 도 16은 풍력 발전기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

Claims (28)

  1. 상부가 개방되는 원통형 벽체(Cylinderical Wall);
    상기 원통형 벽체의 주위에 배치되며, 바닥에는 광흡수 물질이 배치되는 베이스(Base);
    상기 베이스를 덮으며, 광투과성을 갖는 커버(Cover); 및
    상기 베이스와 상기 커버의 사이 공간과 상기 원통형 벽체의 내부를 통풍시키는 통풍 게이트;
    를 포함하는 회오리바람 발생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에는 물이 채워지는 회오리바람 발생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벽체의 하부에는 디플렉터(Deflector)가 배치되는 회오리바람 발생장치.
  4. 상부가 개방된 하우징(Housing);
    외부로부터 입사되는 광(Light)으로 소정의 액체를 가열하여 외부보다 온도가 높으며 수증기를 포함하는 더운 공기를 발생시키는 더운 공기 발생부; 및
    상기 더운 공기를 상기 하우징의 하부로 공급하는 더운 공기 공급부;
    를 포함하는 회오리바람 발생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원통형 벽체(Cylinderical Wall)인 회오리바람 발생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액체는 물인 회오리바람 발생장치.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광은 태양광인 회오리바람 발생장치.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더운 공기 공급부는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더운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통풍 게이트(Gate)를 포함하는 회오리바람 발생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더운 공기 공급부는 상기 통풍 게이트를 닫을 수 있는 차단부를 더 포함하는 회오리바람 발생장치.
  10.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더운 공기 발생부는
    상기 소정의 액체가 채워지는 베이스(Base); 및
    상기 베이스부의 상부에 배치되며, 외부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투과하는 커버(Cover);
    를 포함하는 회오리바람 발생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유리 재질 또는 플라스틱 재질을 포함하는 회오리바람 발생장치.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와 상기 베이스간의 간격은 상기 하우징에 근접할수록 증가하는 회오리바람 발생장치.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바닥은 실질적으로 검은색을 갖는 회오리바람 발생장치.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바닥에는 흑색 물질(Dark Colored Material)을 포함하는 광흡 수층이 배치되는 회오리바람 발생장치.
  15.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바닥에는 외부로부터 입사되는 광으로 전력을 생산할 수 있는 태양전지(Solar Cell)가 배치되는 회오리바람 발생장치.
  16.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더운 공기 발생부는
    상기 베이스로 상기 소정의 액체를 공급하는 펌프를 더 포함하는 회오리바람 발생장치.
  17. 상부가 개방된 하우징(Housing);
    외부보다 온도가 높은 더운 공기를 발생시키는 더운 공기 발생부;
    상기 더운 공기를 상기 하우징의 하부의 측면으로 공급하는 더운 공기 공급부; 및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더운 공기의 진행 방향을 수평방향에서 수직 방향으로 전환하는 디플렉터(Deflector);
    를 포함하는 회오리바람 발생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디플렉터의 표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부(Guide Portion)가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부는 사선 또는 나선 형태를 갖는 회오리바람 발생장치.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디플렉터의 빗면은 곡선 형태를 갖는 회오리바람 발생장치.
  20.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더운 공기 발생부는 외부로부터 입사되는 광(Light)으로 소정의 액체를 가열하여 상기 더운 공기를 발생시키는 회오리바람 발생장치.
  21.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더운 공기 공급부는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형성되는 통풍 게이트(Gate)를 포함하고,
    상기 디플렉터의 꼭대기(Top)는 상기 게이트의 꼭대기보다 높거나 실질적으로 동일한 위치에 있는 회오리바람 발생장치.
  22. 상부가 개방된 하우징(Housing);
    외부로부터 입사되는 광(Light)으로 소정의 액체를 가열하여 외부보다 온도가 높으며 수증기를 포함하는 더운 공기를 발생시키는 더운 공기 발생부;
    상기 더운 공기를 상기 하우징의 하부로 공급하는 더운 공기 공급부; 및
    상기 더운 공기의 흐름에 따라 회전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터빈(Turbine);
    을 포함하는 풍력 발전기.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터빈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풍력 발전기.
  24.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더운 공기 공급부는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형성되는 통풍 게이트(Gate)를 포함하고,
    상기 터빈은 상기 통풍 게이트에 배치되는 풍력 발전기.
  25. 상부가 개방된 하우징(Housing);
    외부보다 온도가 높은 더운 공기를 발생시키는 더운 공기 발생부;
    상기 더운 공기를 상기 하우징의 하부의 측면으로 공급하는 더운 공기 공급부;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더운 공기의 진행 방향을 수평방향에서 수직 방향으로 전환하는 디플렉터(Deflector); 및
    상기 더운 공기의 흐름에 따라 회전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터빈(Turbine);
    을 포함하는 풍력 발전기.
  26. 상부가 개방되는 원통형 벽체(Cylinderical Wall);
    상기 원통형 벽체의 주위에 배치되며, 바닥에는 광흡수층이 배치되는 베이스(Base);
    상기 베이스를 덮으며, 광투과성을 갖는 커버(Cover);
    상기 베이스와 상기 커버의 사이 공간과 상기 원통형 벽체의 내부를 통풍시키는 통풍 게이트;
    상기 통풍 게이트에 배치되는 터빈(Turbine);
    을 포함하는 풍력 발전기.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에는 물이 채워지는 풍력 발전기.
  28.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벽체의 하부에는 디플렉터(Deflector)가 배치되는 풍력 발전기.
KR1020090005709A 2009-01-22 2009-01-22 회오리바람 발생장치 및 그를 이용한 풍력 발전기 KR2010008637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5709A KR20100086373A (ko) 2009-01-22 2009-01-22 회오리바람 발생장치 및 그를 이용한 풍력 발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5709A KR20100086373A (ko) 2009-01-22 2009-01-22 회오리바람 발생장치 및 그를 이용한 풍력 발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6373A true KR20100086373A (ko) 2010-07-30

Family

ID=426449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5709A KR20100086373A (ko) 2009-01-22 2009-01-22 회오리바람 발생장치 및 그를 이용한 풍력 발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86373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74926A (ko) * 2010-12-28 2012-07-06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중저온 폐열 발전 장치
KR101273855B1 (ko) * 2012-12-12 2013-06-11 엄명섭 기류 유도타입의 풍력 및 화력 복합형 발전 시스템
KR101296617B1 (ko) * 2012-11-27 2013-08-22 엄명섭 터널형 풍력발전 시스템
KR101634251B1 (ko) * 2016-02-05 2016-06-28 비즈 주식회사 태양열 굴뚝 타워 및 열수집 장치
KR101691866B1 (ko) * 2016-05-09 2017-01-03 비즈 주식회사 태양열 굴뚝발전소의 터빈부 윈드터널에 대한 장치
KR102198716B1 (ko) * 2019-07-22 2021-01-05 이성호 태양열을 이용한 건물형 공기 정화 시스템
CN113614368A (zh) * 2019-04-08 2021-11-05 徐在源 太阳能发电装置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74926A (ko) * 2010-12-28 2012-07-06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중저온 폐열 발전 장치
KR101296617B1 (ko) * 2012-11-27 2013-08-22 엄명섭 터널형 풍력발전 시스템
WO2014084548A1 (ko) * 2012-11-27 2014-06-05 Eum Myoung-Seub 터널형 풍력발전 시스템
KR101273855B1 (ko) * 2012-12-12 2013-06-11 엄명섭 기류 유도타입의 풍력 및 화력 복합형 발전 시스템
WO2014092356A1 (ko) * 2012-12-12 2014-06-19 Eum Myoung-Seub 기류 유도타입의 풍력 및 화력 복합형 발전 시스템
KR101634251B1 (ko) * 2016-02-05 2016-06-28 비즈 주식회사 태양열 굴뚝 타워 및 열수집 장치
KR101691866B1 (ko) * 2016-05-09 2017-01-03 비즈 주식회사 태양열 굴뚝발전소의 터빈부 윈드터널에 대한 장치
WO2017195975A1 (ko) * 2016-05-09 2017-11-16 비즈 주식회사 태양열 굴뚝발전소의 터빈부 윈드터널에 대한 장치
CN113614368A (zh) * 2019-04-08 2021-11-05 徐在源 太阳能发电装置
CN113614368B (zh) * 2019-04-08 2024-01-09 徐在源 太阳能发电装置
KR102198716B1 (ko) * 2019-07-22 2021-01-05 이성호 태양열을 이용한 건물형 공기 정화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86373A (ko) 회오리바람 발생장치 및 그를 이용한 풍력 발전기
AU2001267224B2 (en) Solar chimney wind turbine
CN101255852B (zh) 太阳能热风风力发电方法
AU2001267224A1 (en) Solar chimney wind turbine
JP4627700B2 (ja) 風力発電装置
CN103956963B (zh) 太阳能和风能发电组合装置
CN201215068Y (zh) 一种太阳能热风风力发电装置
CN101225800A (zh) 聚光太阳能风力发电方法
CN105508141B (zh) 依附于建筑物外墙的发电装置
CN108365793A (zh) 一种利用太阳能光伏发电余热及风力制热的温差发电装置
US20140054896A1 (en) Hybrid solar-wind powered power station
WO2014194017A1 (en) Solar power tower
KR101362447B1 (ko) 풍력 발전기가 구비된 태양광 가로등
CN205533015U (zh) 依附于建筑物外墙的发电装置
CN106452292B (zh) 一种光伏光热一体化太阳能塔
JP2005083327A (ja) 複合発電装置
CN106014863A (zh) 聚光太阳能风力发电方法
US20100259051A1 (en) Solar-initiated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CN102213187B (zh) 无耗水风及太阳光热能综合一体集成发电装置
CN105546838A (zh) 太阳能空中发电系统
AU780068B2 (en) Improvements to solar heat engines and industrial chimneys
KR101053031B1 (ko) 태양열 발전기
CN201180624Y (zh) 一种太阳能风力发电装置
CN103994025B (zh) 一种风管发电装置
CN202091121U (zh) 无耗水风及太阳光热能综合一体集成发电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