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3855B1 - 기류 유도타입의 풍력 및 화력 복합형 발전 시스템 - Google Patents

기류 유도타입의 풍력 및 화력 복합형 발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3855B1
KR101273855B1 KR1020120144369A KR20120144369A KR101273855B1 KR 101273855 B1 KR101273855 B1 KR 101273855B1 KR 1020120144369 A KR1020120144369 A KR 1020120144369A KR 20120144369 A KR20120144369 A KR 20120144369A KR 101273855 B1 KR101273855 B1 KR 1012738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generation
air flow
wind
airflow
guide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43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엄명섭
Original Assignee
엄명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엄명섭 filed Critical 엄명섭
Priority to KR10201201443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38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38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3855B1/ko
Priority to PCT/KR2013/010638 priority patent/WO2014092356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9/00Adaptations of wind motor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wind motors with apparatus driven thereby; Wind motor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particular locations
    • F03D9/30Wind motor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particular locations
    • F03D9/34Wind motor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particular locations on stationary objects or on stationary man-made structures
    • F03D9/35Wind motor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particular locations on stationary objects or on stationary man-made structures within towers, e.g. using chimney effe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9/00Adaptations of wind motor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wind motors with apparatus driven thereby; Wind motor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particular lo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1/00Wind motors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 F03D1/04Wind motors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having stationary wind-guiding means, e.g. with shrouds or chan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3/00Wind motors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 F03D3/02Wind motors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having a plurality of r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3/00Wind motors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 F03D3/04Wind motors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having stationary wind-guiding means, e.g. with shrouds or chan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40/00Components
    • F05B2240/10Stators
    • F05B2240/13Stators to collect or cause flow towards or away from turbines
    • F05B2240/131Stators to collect or cause flow towards or away from turbines by means of vertical structures, i.e. chimney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Wind turbines with rotation axis in wind dir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8Onshore wind turbin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4Wind turbines with rotation axis perpendicular to the wind dir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70/00Other energy conversion or management systems reducing GHG emissions
    • Y02E70/30Systems combining energy storage with energy generation of non-fossil orig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Wind Motors (AREA)

Abstract

이 발명의 기류 유도타입의 풍력 및 화력 복합형 발전 시스템은, 채광이 가능한 소재로 터널 형태로 구성해 태양열의 온도 및 기압차를 이용해 기류를 형성하는 한 쌍의 기류형성수단(110)과, 한 쌍의 기류형성수단에 의해 각각 형성된 기류를 유동시키는 통로를 제공하는 한 쌍의 제1 기류유도수단(120)과, 한 쌍의 제1 기류유도수단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연통하도록 형성되어 상승기류를 유도하는 제2 기류유도수단(130)과, 한 쌍의 제1 기류유도수단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각각 설치되어 한 쌍의 제1 기류유도수단을 따라 유도되는 기류의 바람을 이용해 풍력발전하는 다수개의 풍력발전수단(140), 및 한 쌍의 제1 기류유도수단과 제2 기류유도수단의 연통부위에 설치되어 한 쌍의 제1 기류유도수단을 따라 유도되는 기류와 원료를 이용해 화력발전하는 화력발전수단(150)을 갖도록 구성된다. 이 발명은 태양열의 온도 및 기압차를 이용한 강력한 자연대류현상을 유도하여 풍력발전 및 화력발전을 동시에 수행함으로써, 자연 환경에 구애받지 않고 연중무휴, 일일 24시간 풍력발전 및/또는 화력발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기류 유도타입의 풍력 및 화력 복합형 발전 시스템{Airflow induction type wind and thermal hybrid power generation system}
이 발명은 풍력 및 화력 복합형 발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태양열의 온도 및 기압차를 이용한 강력한 자연대류현상을 유도하여 풍력발전 및 화력발전을 동시에 수행하는 기류 유도타입의 풍력 및 화력 복합형 발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력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다른 많은 양의 에너지 자원이 요구되며, 발전을 위한 설비구축이 난해하고 많은 자본과 기술력이 요구된다.
현재, 동력원으로 사용되고 있는 화석에너지(석유)는 사용과정에서 인체 및 환경에 유해한 배기가스가 다량으로 발생하고, 배기가스가 지구의 대기에 누적됨으로 인해 지구의 온난화 현상, 집중호우, 기후의 아열대화 현상들이 지구 곳곳에서 나타나고 있는바, 이러한 지구 온난화 현상을 막기 위해 최근에는 이산화탄소 억제를 위한 각종 규제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한편, 발전을 위한 동력원으로는 태양력, 수력, 풍력 등 자연력을 이용한 대체 에너지를 모색하고 있으나, 각 지역에서의 자연환경이 다르고, 설비 제작 및 설치에 따른 어려움을 안고 있다. 전력을 발전함에 있어서, 풍력을 이용한 풍력발전기는 태양력이나 수력을 이용하는 발전기에 비해 바람이 부는 자연조건만 충족하면 되므로, 쉽게 설치가 가능하고 관리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설치시에 장비가 많이 소요되지 않아 지역적으로 많이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발전을 위해서는 자연조건 즉, 바람이 필요하므로 바람이 불어주지 않으며 발전을 할 수 없는 단점을 갖고 있다.
상기의 풍력발전기와 같이 자연조건을 이용하지 않고 인위적인 방법으로 발전을 위한 방법으로는 태양력, 수력, 화력 등의 발전방법이 있으나, 이 중에서도 가장 간편하고 용이하며 자연환경에 구애받지 않고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발전방법으로는 화력을 이용한 발전이다. 화력발전기는 발전을 위한 매개체로 연소방식을 이용하므로, 각종 나무나 연료 등을 연소시켜 인위적인 방법으로 쉽게 화력을 얻을 수 있는 장점을 갖고 있다.
현재, 전력을 발전하기 위한 풍력발전시스템과 화력발전시스템 등의 많은 발전시스템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주로 대량의 발전과 전력공급을 큰 규모의 발전소가 설치되어 발전이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지금까지의 발전시스템은 사용하고자 하는 원료 즉, 바람에 의한 풍력, 화력, 수력, 원자력, 태양력 등을 이용한 발전시스템이 각각의 자연환경에 적합한 위치에 설치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국내의 경우 국토가 좁고 산이 많으며 발전시스템을 설치하기 위한 자연환경 조건이 충족하지 못한 실정이므로, 보다 간편하고 편리하며 효율적으로 전력을 발전할 수 있는 발전시스템의 연구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따라서, 이 발명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태양열의 온도 및 기압차를 이용한 강력한 자연대류현상을 유도하여 풍력발전 및 화력발전을 동시에 수행함으로써, 자연 환경에 구애받지 않고 연중무휴, 일일 24시간 풍력발전 및/또는 화력발전할 수 있는 기류 유도타입의 풍력 및 화력 복합형 발전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이 발명의 기류 유도타입의 풍력 및 화력 복합형 발전 시스템은, 채광이 가능한 소재로 터널 형태로 구성해 태양열의 온도 및 기압차를 이용해 기류를 형성하는 한 쌍의 기류형성수단과, 상기 한 쌍의 기류형성수단에 의해 각각 형성된 기류를 유동시키는 통로를 제공하는 한 쌍의 제1 기류유도수단과, 상기 한 쌍의 제1 기류유도수단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연통하도록 형성되어 상승기류를 유도하는 제2 기류유도수단과, 상기 한 쌍의 제1 기류유도수단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각각 설치되어 상기 한 쌍의 제1 기류유도수단을 따라 유도되는 기류의 바람을 이용해 풍력발전하는 다수개의 풍력발전수단, 및 상기 한 쌍의 제1 기류유도수단과 상기 제2 기류유도수단의 연통부위에 설치되어 상기 한 쌍의 제1 기류유도수단을 따라 유도되는 기류와 원료를 이용해 화력발전하는 화력발전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 발명에 따르면, 상기 기류형성수단은 다수개의 기류형성터널을 포함하며, 상기 다수개의 기류형성터널은 그 일측이 방사형으로 펼쳐진 형태로 배치되고, 타측이 서로 연결되는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제1 기류유도수단과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 기류유도수단에는 상기 풍력발전수단 사이에 설치되어 기류의 바람을 보다 원활하게 이송시키는 송풍수단이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 기류유도수단에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각각 설치되어 상기 다수개의 풍력발전수단에 각각 공급되는 바람에 와류가 형성되지 않도록 방지하는 다수개의 와류방지부재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 발명에 따르면, 상기 한 쌍의 제1 기류유도수단은 산을 관통하는 터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2 기류유도수단의 일부구간에는 상승기류 내에 포함된 열을 회수하는 열회수수단이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 발명에 따르면, 상기 풍력발전수단은 풍력발전용 블레이드와, 상기 풍력발전용 블레이드의 동력을 이용해 전기를 생산하는 발전기를 포함하며, 상기 발전기는 상기 기류형성수단의 하부 지하에 매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 기류유도수단은 상기 화력발전수단 쪽을 향해 상향 경사진 계단구조의 통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 기류유도수단은 상기 화력발전수단 쪽을 향해 상향 경사각 구조의 통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발명은 태양열의 온도 및 기압차를 이용한 강력한 자연대류현상을 유도하여 풍력발전 및 화력발전을 동시에 수행함으로써, 자연 환경에 구애받지 않고 연중무휴, 일일 24시간 풍력발전 및/또는 화력발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이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기류 유도타입의 풍력 및 화력 복합형 발전 시스템의 구성관계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풍력 및 화력 복합형 발전 시스템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풍력 및 화력 복합형 발전 시스템을 구성하는 풍력발전수단의 구성관계를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풍력 및 화력 복합형 발전 시스템을 구성하는 기류형성수단의 구성관계를 도시한 개념도이며,
도 5 및 도 6은 이 발명의 제2, 제3 실시예에 따른 기류 유도타입의 풍력 및 화력 복합형 발전 시스템의 구성관계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아래에서, 이 발명에 따른 기류 유도타입의 풍력 및 화력 복합형 발전 시스템의 양호한 실시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이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기류 유도타입의 풍력 및 화력 복합형 발전 시스템의 구성관계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측면도 및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풍력 및 화력 복합형 발전 시스템을 구성하는 풍력발전수단의 구성관계를 도시한 개념도이며,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풍력 및 화력 복합형 발전 시스템을 구성하는 기류형성수단의 구성관계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 따른 기류 유도타입의 풍력 및 화력 복합형 발전 시스템은 태양열의 온도 및 기압차를 이용해 강력한 자연대류현상의 기류를 형성하는 한 쌍의 기류형성수단(110)과, 한 쌍의 기류형성수단(110)에 의해 형성된 후 모인 기류가 유동하는 통로를 각각 제공하는 한 쌍의 제1 기류유도수단(120)과, 한 쌍의 제1 기류유도수단(120)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연통하도록 형성되어 상승기류를 유도하는 제2 기류유도수단(130)과, 한 쌍의 제1 기류유도수단(120)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각각 설치되어 제1 기류유도수단(120)을 따라 유도되는 기류의 바람을 이용해 풍력발전하는 다수개의 풍력발전수단(140)과, 제1 기류유도수단(120)을 따라 유도되는 기류와 폐목재 등의 원료를 이용해 화력발전하는 화력발전수단(150), 및 다수개의 풍력발전수단(140)과 화력발전수단(150) 등을 전체적으로 제어하는 중앙제어수단(도시안됨)을 갖도록 구성된다.
한 쌍의 기류형성수단(110)은 태양열의 온도 및 기압차를 이용해 강력한 자연대류현상의 기류를 형성하는 것으로서, 태양열에 의해 온도가 상승하여 기류를 형성하도록 빛이 투과하는 비닐이나 유리로 제작된 터널로 구성된다. 즉, 기류형성수단(110)은 태양열에 따른 열에너지의 팽창기류 및/또는 기압차에 따른 기류가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기류형성수단(110)은 다수개의 기류형성터널(111)로 구성된다. 이때, 다수개의 기류형성터널(111)은 그 일측이 방사형으로 펼쳐진 형태로 배치되고, 타측이 서로 연결되는 형태로 구성된다. 여기서, 기류형성터널(111)의 일측은 외부와 연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다수개의 기류형성터널(111)에서 형성된 기류가 한 곳으로 모인 후 제1 기류유도수단(120)으로 각각 유동할 수 있게 된다.
한 쌍의 제1 기류유도수단(120)은 한 쌍의 기류형성수단(110)에 의해 형성된 후 모인 기류를 유동시키는 통로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기류가 원활하게 유동할 뿐만 아니라 그 내부에 설치되는 풍력발전수단(140)의 용량과 개수를 고려해 그 크기 및 길이를 결정하면 된다. 이때, 한 쌍의 제1 기류유도수단(120)은 그 일측과 타측이 일직선의 수평형태로 관통할 수도 있으나, 그 중앙에 위치하는 화력발전수단(150)에 대해 상향 경사진 경사부분을 갖는 형태로 관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경사진 부분을 갖는 것은 화력발전수단(150)에 그 효율을 향상시키는 기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한 쌍의 제1 기류유도수단(120)은 그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각각 설치되어 다수개의 풍력발전수단(140)에 각각 공급되는 바람에 와류가 형성되지 않도록 방지하는 다수개의 와류방지부재(121)를 갖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와류방지부재(121)는 제1 기류유도수단(120)의 상부 및/또는 하부에 형성되되, 바람의 유동방향에 대해 풍력발전수단(140)의 전단에 설치되어 와류가 형성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한 쌍의 제1 기류유도수단(120)에는 풍력발전수단(140)들 간의 사이에 설치되어 기류의 바람을 보다 원활하게 이송시키는 송풍수단(160)을 더 갖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송풍수단(160)은 일반적으로 송풍팬으로 구성하면 된다. 이때, 송풍수단(160)은 풍력발전수단(140)들 사이에 일정 주기마다 설치하면 된다.
한편, 제1 기류유도수단(120)의 하부 지하에는 주류를 저장하고 숙성시키는 제1 저장공간(도시안됨)과, 농산물(식품)을 저장하고 숙성시키는 제2 저장공간(도시안됨)을 더 갖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제1 저장공간 및 제2 저장공간은 제1 기류유도수단(120)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고 제1 기류유도수단(120)의 하부 지하에 매설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제1 기류유도수단(120)의 양측에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레일(122)을 각각 더 설치할 수도 있다. 여기서, 레일(122)은 레일 바이크(123)를 통한 관광, 견학, 농산물 운반 등에 활용된다.
상기와 같은 기류형성수단(110)은 태양열을 이용해야 하기 때문에, 태양빛이 조사되는 영역에 설치해야 하지만, 한 쌍의 제1 기류유도수단(120)은 기류를 유도하는 역할을 하므로 산을 관통하는 터널을 이용해 구성할 수도 있고, 일반 평지에 설치 구성할 수도 있다.
제2 기류유도수단(130)은 제1 기류유도수단(120)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연통하도록 형성되어 상승기류를 유도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제1 기류유도수단(120)을 경유해 유동하는 상승기류가 원활하게 유동할 수 있는 크기 및 길이를 갖도록 구성된다. 한편, 제2 기류유도수단(130)의 일부구간에는 상승기류 내에 포함된 열을 회수해 지역난방으로 공급하는 열회수수단(170)을 더 갖도록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열회수수단(170)은 일반적인 원리를 이용해 상승기류에 포함된 열을 회수해 지역난방 등의 열원으로 공급하도록 구성하면 된다.
풍력발전수단(140)은 한 쌍의 제1 기류유도수단(120)을 따라 유도되는 기류의 바람을 이용해 풍력발전하는 것으로서, 일반적인 풍력발전 장치와 동일 개념으로 구성된다. 즉, 풍력발전수단(140)은 풍력발전용 블레이드(141)와, 풍력발전용 블레이드(141)의 동력을 이용해 전기를 생산하는 발전기(142) 등을 갖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풍력발전수단(140)은 한 쌍의 제1 기류유도수단(120)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개 설치된다.
한편, 풍력발전수단(140)은 보다 효율적으로 한 쌍의 제1 기류유도수단(120)을 활용하기 위해, 풍력발전용 블레이드(141) 부분은 제1 기류유도수단(120) 내에 배치되고 발전기(142) 부분은 제1 기류유도수단(120)의 하부 지하에 매설하는 형태로 배치된다. 즉, 발전기(142) 부분이 차지하는 면적을 제1 기류유도수단(120) 내에 위치시키지 않고 그 하부 지하에 매설시킴으로써, 그에 해당하는 면적만큼에 해당하는 제1 기류유도수단(120)의 크기를 축소할 수 있어 그에 따른 비용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발전기(142) 부분이 제1 기류유도수단(120)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음에 따라 보다 원활한 바람의 유동을 가능하게 하는 장점이 있다.
한편, 이 실시예의 발전기(142)는 슈퍼발전기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슈퍼발전기는 발전 효율, 즉 에너지의 효율이 기존 발전기의 발전 효율에 비해 약 2배 이상 향상시킨 발전기로서, 자기력 개폐식 발전 방식과 새로운 개념의 설계방식(JS 양극평행이론)을 적용하여 에너지의 손실율을 현저하게 줄여, 기존의 발전 시스템에서는 기대할 수 없었던 다양한 특징과 장점을 보유한 발전기를 의미한다.
화력발전수단(150)은 한 쌍의 제1 기류유도수단(120)을 따라 유도되는 기류와 폐목재 등의 원료를 이용해 화력발전하는 것으로서, 일반적인 화력발전 장치와 동일 개념으로 구성된다. 즉, 화력발전수단(150)은 폐목재나 폐자재 등의 펠렛 원료를 연소시키는 연소기와, 연소기에서 연소시에 생성되는 동력을 이용해 전기를 생산하는 발전기 등을 갖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화력발전수단(150)은 쓰레기를 소각함에 따른 열원을 이용할 수도 있다.
중앙제어수단은 다수개의 풍력발전수단(140)과 화력발전수단(150) 등을 전체적으로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하지만, 풍력발전수단(140)과 화력발전수단(150)을 구성함에 있어서 각각 제어기능을 갖도록 구성할 경우, 이러한 중앙제어수단을 반드시 포함할 필요는 없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이 실시예의 기류 유도타입의 풍력 및 화력 복합형 발전 시스템은 풍력발전과 화력발전을 함께 이용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태양빛이 조사되는 낮에는 풍력을 이용해 풍력발전하고, 태양빛이 조사되지 않는 밤에는 화력을 이용해 화력발전하며, 필요에 따라 풍력발전과 화력발전을 동시에 운전하는 복합형으로 이용할 수가 있다.
도 5 및 도 6은 이 발명의 제2, 제3 실시예에 따른 기류 유도타입의 풍력 및 화력 복합형 발전 시스템의 구성관계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기류 유도타입의 풍력 및 화력 복합형 발전 시스템은 제1 기류유도수단을 화력발전수단 쪽을 향해 경사진 계단구조의 통로를 갖도록 구성한 것을 제외하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하게 구성된다. 이러한 구조의 제1 기류유도수단은 폐광산을 활용해 구성하면 효과적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기류 유도타입의 풍력 및 화력 복합형 발전 시스템은 한 쌍의 제1 기류유도수단을 상기 화력발전수단 쪽을 향해 상향 경사각 구조의 통로로 구성하고, 또한 화력발전수단의 하부에서 수직방향의 또다른 제1 기류유도수단 및 기류형성수단을 더 갖도록 구성한 것을 제외하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하게 구성된다.
이상에서 이 발명의 기류 유도타입의 풍력 및 화력 복합형 발전 시스템에 대한 기술사항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이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다. 따라서, 이 발명이 상기에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므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 또한 이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10 : 기류형성수단 120 : 제1 기류유도수단
130 : 제2 기류유도수단 140 : 풍력발전수단
150 : 화력발전수단 160 : 송풍수단
170 : 열회수수단

Claims (9)

  1. 채광이 가능한 소재로 터널 형태로 구성해 태양열의 온도 및 기압차를 이용해 기류를 형성하는 한 쌍의 기류형성수단과,
    상기 한 쌍의 기류형성수단에 의해 각각 형성된 기류를 유동시키는 통로를 제공하는 한 쌍의 제1 기류유도수단과,
    상기 한 쌍의 제1 기류유도수단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연통하도록 형성되어 상승기류를 유도하는 제2 기류유도수단과,
    상기 한 쌍의 제1 기류유도수단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각각 설치되어 상기 한 쌍의 제1 기류유도수단을 따라 유도되는 기류의 바람을 이용해 풍력발전하는 다수개의 풍력발전수단, 및
    상기 한 쌍의 제1 기류유도수단과 상기 제2 기류유도수단의 연통부위에 설치되어 상기 한 쌍의 제1 기류유도수단을 따라 유도되는 기류와 원료를 이용해 화력발전하는 화력발전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기류유도수단에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각각 설치되어 상기 다수개의 풍력발전수단에 각각 공급되는 바람에 와류가 형성되지 않도록 방지하는 다수개의 와류방지부재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류 유도타입의 풍력 및 화력 복합형 발전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류형성수단은 다수개의 기류형성터널을 포함하며,
    상기 다수개의 기류형성터널은 그 일측이 방사형으로 펼쳐진 형태로 배치되고, 타측이 서로 연결되는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제1 기류유도수단과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류 유도타입의 풍력 및 화력 복합형 발전 시스템.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기류유도수단에는 상기 풍력발전수단 사이에 설치되어 기류의 바람을 보다 원활하게 이송시키는 송풍수단이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류 유도타입의 풍력 및 화력 복합형 발전 시스템.
  4. 삭제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제1 기류유도수단은 산을 관통하는 터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류 유도타입의 풍력 및 화력 복합형 발전 시스템.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 기류유도수단의 일부구간에는 상승기류 내에 포함된 열을 회수하는 열회수수단이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류 유도타입의 풍력 및 화력 복합형 발전 시스템.
  7.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풍력발전수단은 풍력발전용 블레이드와, 상기 풍력발전용 블레이드의 동력을 이용해 전기를 생산하는 발전기를 포함하며,
    상기 발전기는 상기 기류형성수단의 하부 지하에 매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류 유도타입의 풍력 및 화력 복합형 발전 시스템.
  8.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기류유도수단은 상기 화력발전수단 쪽을 향해 상향 경사진 계단구조의 통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류 유도타입의 풍력 및 화력 복합형 발전 시스템.
  9.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기류유도수단은 상기 화력발전수단 쪽을 향해 상향 경사각 구조의 통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류 유도타입의 풍력 및 화력 복합형 발전 시스템.
KR1020120144369A 2012-12-12 2012-12-12 기류 유도타입의 풍력 및 화력 복합형 발전 시스템 KR1012738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4369A KR101273855B1 (ko) 2012-12-12 2012-12-12 기류 유도타입의 풍력 및 화력 복합형 발전 시스템
PCT/KR2013/010638 WO2014092356A1 (ko) 2012-12-12 2013-11-21 기류 유도타입의 풍력 및 화력 복합형 발전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4369A KR101273855B1 (ko) 2012-12-12 2012-12-12 기류 유도타입의 풍력 및 화력 복합형 발전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73855B1 true KR101273855B1 (ko) 2013-06-11

Family

ID=488668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4369A KR101273855B1 (ko) 2012-12-12 2012-12-12 기류 유도타입의 풍력 및 화력 복합형 발전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273855B1 (ko)
WO (1) WO2014092356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9926B1 (ko) * 2006-04-26 2007-11-30 이관희 풍력과 화력을 이용한 발전방법 및 장치
KR20100086373A (ko) * 2009-01-22 2010-07-30 엘지전자 주식회사 회오리바람 발생장치 및 그를 이용한 풍력 발전기
KR20110133334A (ko) * 2010-06-04 2011-12-12 표식만 공기 대류를 이용한 풍력발전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9915B1 (ko) * 2011-04-11 2013-08-27 박종훈 풍력발전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9926B1 (ko) * 2006-04-26 2007-11-30 이관희 풍력과 화력을 이용한 발전방법 및 장치
KR20100086373A (ko) * 2009-01-22 2010-07-30 엘지전자 주식회사 회오리바람 발생장치 및 그를 이용한 풍력 발전기
KR20110133334A (ko) * 2010-06-04 2011-12-12 표식만 공기 대류를 이용한 풍력발전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092356A1 (ko) 2014-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l-Kayiem et al. Historic and recent progress in solar chimney power plant enhancing technologies
AU2012101943A4 (en) Power generation system
Zhou et al. A review of solar chimney power technology
US9574551B2 (en) Power tower—system and method of using air flow generated by geothermal generated heat to drive turbines generators for the generation of electricity
US20050150225A1 (en) Power generation by solar/pneumatic cogeneration in a large, natural or man-made, open pit
US20090152370A1 (en) Chimney device and methods of using it to fight global warming, produce water precipitation and produce electricity
CN202450809U (zh) 热气流发电装置
Lodhi Application of helio-aero-gravity concept in producing energy and suppressing pollution
Papageorgiou Floating solar chimney technology
CN101033732B (zh) 山体竖井式烟囱太阳能热气流发电系统
Nuraliyev et al. Prospect for the use of the solar updraft tower project for the generation of electrical energy in the republic of Uzbekistan
KR20110133334A (ko) 공기 대류를 이용한 풍력발전 방법
CN102003346A (zh) 大气梯度温差与人造旋风综合发电的装置
CN100432426C (zh) 风力发电方法
KR101273855B1 (ko) 기류 유도타입의 풍력 및 화력 복합형 발전 시스템
Kalash et al. A review of sloped solar updraft power technology
Schlaich et al. Solar Updraft Towers
RU2444645C2 (ru) Горная воздушно-тяговая электростанция
US10859066B2 (en) Sub-terranean updraft tower (STUT) power generator
RU2546366C1 (ru) Ветровая электростанция
Eryener Solar chimneys: Technology and their role for transition to 100% renewable energy
RU92484U1 (ru) Ветровая электростанция
KR101296617B1 (ko) 터널형 풍력발전 시스템
CN104389743A (zh) 人工龙卷风热气流发电装置
RU2504690C2 (ru) Ветровая электростанци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