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86030A - 광대역 무선 통신 시스템들에서 qos 플로우들의 스케줄링 - Google Patents

광대역 무선 통신 시스템들에서 qos 플로우들의 스케줄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86030A
KR20100086030A KR1020107012392A KR20107012392A KR20100086030A KR 20100086030 A KR20100086030 A KR 20100086030A KR 1020107012392 A KR1020107012392 A KR 1020107012392A KR 20107012392 A KR20107012392 A KR 20107012392A KR 20100086030 A KR20100086030 A KR 201000860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et
flows
wireless communication
packets
burs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123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87826B1 (ko
Inventor
알납 다스
리테시 마단
선딥 랑간
산자이 샤크코타이
시드하르쓰 라이
Original Assignee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000860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60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78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78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24Traffic characterised by specific attributes, e.g. priority or QoS
    • H04L47/2441Traffic characterised by specific attributes, e.g. priority or QoS relying on flow classification, e.g. using integrated services [IntServ]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4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 H04W72/543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based on requested quality, e.g. Qo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28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in relation to timing considerations
    • H04L47/283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in relation to timing considerations in response to processing delays, e.g. caused by jitter or round trip time [RT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3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in combination with information about buffer occupancy at either end or at transit n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70Admission control; Resource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70Admission control; Resource allocation
    • H04L47/76Admission control; Resource allocation using dynamic resource allocation, e.g. in-call renegotiation requested by the user or requested by the network in response to changing network conditions
    • H04L47/762Admission control; Resource allocation using dynamic resource allocation, e.g. in-call renegotiation requested by the user or requested by the network in response to changing network conditions triggered by th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70Admission control; Resource allocation
    • H04L47/80Actions related to the user profile or the type of traffic
    • H04L47/803Application awa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70Admission control; Resource allocation
    • H04L47/82Miscellaneous aspects
    • H04L47/824Applicable to portable or mobile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53Resources in frequency domain, e.g. a carrier in FD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04W8/04Registration at HLR or HSS [Home Subscriber Ser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4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 H04W72/542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using measured or perceived qua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무선 통신 시스템을 위한 강화된 자원 스케줄링을 용이하게 하는 시스템들 및 방법들이 설명된다. 여기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플로우와 연관된 리딩 패킷에 후속하는 미리 결정된 시간 기간 내에 도착하는 공통 플로우와 연관된 패킷들은 각각의 패킷 버스트들로 그룹핑될 수 있다. 후속적으로, 시스템 대역폭, 송신 전력 및/또는 다른 통신 자원들은 각각의 패킷 버스트들의 분석에 기초하여 스케줄링될 수 있다. 여기에서 제공되는 바와 같이, 개별 패킷들 대신에 각각의 패킷 버스트들을 분석함으로써, 자원 스케줄링에 요구되는 계산 및 자원 오버헤드는 현저히 감소될 수 있다. 여기에서 설명되는 일 예에서, 자원 스케줄은 플로우들과 각각 연관된 패킷 버스트들의 분석에 기초하여 복수의 플로우들 중에서 대역폭이 할당될 하나 이상의 플로우들을 선택함으로써 결정된다. 충분한 대역폭은 각각 연관된 패킷 버스트들의 전송을 위해서 선택된 플로우들에 대하여 후속적으로 스케줄링될 수 있다.

Description

광대역 무선 통신 시스템들에서 QOS 플로우들의 스케줄링{SCHEDULING QOS FLOWS IN BROADB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들을 스케줄링하기 위한 기법들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은 미국 출원 번호가 제60/985,614호이고, 출원일이 2007년 11월 5일이며, 발명의 명칭이 "SCHEDULING QOS FLOWS IN BROADB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이고, 전체 내용이 여기에 참조로 포함되는 미국 가출원의 우선권을 주장한다.
무선 통신 시스템들은 다양한 통신 서비스들을 제공하기 위해서 널리 배치되고, 예를 들어, 이러한 무선 통신 시스템들을 통해 음성, 비디오, 패킷 데이터, 브로드캐스트 및 메시징 서비스들이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시스템들은 가용 시스템 자원들을 공유함으로써 다수의 단말들에 대한 통신을 지원할 수 있는 다중-액세스 시스템들일 수 있다. 이러한 다중-액세스 시스템들의 예들은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CDMA) 시스템들, 시분할 다중 액세스(TDMA) 시스템들,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FDMA) 시스템들,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OFDMA) 시스템들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무선 다중-액세스 통신 시스템은 다수의 무선 단말들에 대한 통신을 동시에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시스템에서, 각각의 단말은 순방향 및 역방향 링크들 상에서의 전송들을 통해 하나 이상의 기지국들과 통신할 수 있다. 순방향 링크(또는 다운링크)는 기지국들로부터 단말들로의 통신 링크를 지칭하고, 역방향 링크(또는 업링크)는 단말들로부터의 기지국들로의 통신 링크를 지칭한다. 이러한 통신 링크는 단일-입력-단일-출력(SISO), 다중-입력-단일-출력(MISO) 또는 다중-입력-다중-출력(MIMO) 시스템을 통해 설정될 수 있다.
광대역 무선 통신 시스템들 및/또는 다른 통신 시스템들에서, 자원들은 다양한 인자들에 기초하여 시스템을 이용하는 하나 이상의 플로우들에 대하여 스케줄링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원들은 채널 품질, 패킷 지연 및/또는 다른 적합한 인자들에 기초하여 지연 제약들을 가지는 플로우들에 대하여 스케줄링될 수 있다. 전통적으로, 이러한 인자들은 전송될 각각의 큐잉된(queued) 패킷에 대하여 패킷-단위 기반으로 분석된다. 그러나, 높은 시스템 대역폭 및/또는 많은 수의 플로우들을 이용하는 시스템들, 짧은 시간 구간들(예를 들어, 1ms 이하) 내에서 자원 할당들을 결정하는 시스템들, 및/또는 다른 무선 통신 시스템들을 위해서, 불완전한 큐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동작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자원 스케줄링 기법들을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다음의 설명은 청구되는 본 발명의 다양한 양상들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서 이러한 양상들의 간략화된 요약을 제공한다. 이러한 요약은 모든 양상들의 포괄적인 개요는 아니며, 이러한 양상들의 핵심 또는 중요한 엘리먼트들을 식별하거나, 이러한 양상들의 범위를 서술하고자 의도되지도 않는다. 이러한 요약의 목적은 후에 제시되는 보다 상세한 설명에 대한 도입부로서 간략화된 형태로 설명된 양상들의 일부 개념들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일 양상에 따르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들을 스케줄링하기 위한 방법이 여기에서 설명된다. 상기 방법은 아직 대역폭이 할당되지 않은 하나 이상의 플로우들을 식별하는 단계; 상기 하나 이상의 플로우들과 각각의 패킷 버스트들을 연관시키는 단계 ― 상기 패킷 버스트들 각각은 연관된 플로우에 대한 리딩 패킷(leading packet), 및 상기 리딩 패킷의 미리 결정된 시간 기간 내에 도착하는 상기 연관된 플로우에 대한 하나 이상의 패킷들을 포함함 ― ; 상기 각각의 패킷 버스트들을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각각의 패킷 버스트들의 분석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플로우들에 대역폭이 할당될 순서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양상은 통신 자원들이 할당될 하나 이상의 플로우들과 관련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는 무선 통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무선 통신 장치는 플로우에 대한 헤드 패킷 및 상기 헤드 패킷 다음에 미리 구성된 시간 구간 내에 도착하는 상기 플로우에 대한 하나 이상의 패킷들을 각각 포함하는 각각의 플로우들에 대한 패킷들의 버스트들을 분석하고, 그리고 상기 하나 이상의 플로우들에 각각 대응하는 패킷들의 버스트들의 분석에 기초하여 통신 자원들의 할당을 수신하기 위해서 플로우를 식별하도록 구성되는 프로세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3 양상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버스트-기반 패킷 스케줄링을 용이하게 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장치는 미리 결정된 시간 기간 내에 버퍼링된 패킷들의 버스트와 관련된 채널 품질 파라미터들 또는 지연 파라미터들 중 하나 이상을 식별하기 위한 수단; 및 식별된 지연 파라미터들 또는 식별된 채널 품질 파라미터들 중 하나 이상의 함수로서 선택되는 패킷들의 버스트의 전송을 위한 자원들을 할당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제 4 양상은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에 관한 것이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은 통신을 위한 자원들이 할당될 하나 이상의 패킷들과 연관시키는 하나 이상의 플로우들을 식별하기 위한 코드; 각각의 패킷 버스트들로 미리 결정된 시간 구간 내에 발신(originate)된 공통 플로우와 연관된 패킷들을 그룹핑(grouping)하기 위한 코드; 상기 각각의 패킷 버스트들과 연관된 채널 품질 파라미터들 또는 지연 파라미터들 중 하나 이상을 식별하기 위한 코드; 및 상기 각각의 패킷 버스트들과 연관된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들의 함수로서 패킷 버스트의 통신을 위한 자원들을 할당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제 5 양상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자원 스케줄링을 위한 컴퓨터-실행가능 명령들을 실행하는 집적 회로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명령들은 아직 대역폭이 할당되지 않은 복수의 플로우들 중에서, 헤드-오프-라인(head-of-line) 지연 및 큐 길이의 최고(highest) 함수를 가지는 플로우를 선택하는 것; 선택된 플로우와 연관된 리딩 패킷 및 상기 리딩 패킷에 후속하는 미리 구성된 시간 구간 내에 발신된 상기 선택된 플로우와 연관된 하나 이상의 패킷들의 전송을 스케줄링하는 것; 및 상기 스케줄링된 전송을 위한 대역폭을 할당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양상에 따르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피드백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방법이 여기에서 설명된다. 상기 방법은 패킷 버스트로의 공통 플로우 상에서의 전송을 위해서 미리 결정된 시간 기간 내에 버퍼링된 하나 이상의 패킷들을 그룹핑하는 단계; 상기 패킷 버스트의 길이를 결정하는 단계; 및 서빙 기지국으로 상기 패킷 버스트의 길이를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양상은 공통 플로우 및 시간 구간과 연관된 하나 이상의 패킷들과 관련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는 무선 통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무선 통신 장치는 상기 공통 플로우와 연관된 리딩 패킷으로부터 상기 시간 구간 내에 발신된 상기 공통 플로우와 연관된 패킷들의 양을 결정하고, 제어 시그널링의 전송 내에서 상기 결정된 패킷들의 양을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프로세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양상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패킷 버스트 피드백을 용이하게 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장치는 각각의 버스트들로 미리 구성된 사이즈의 시간 윈도우 내에 도착하는 패킷들을 그룹핑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각각의 버스트들의 길이들 및 상기 각각의 버스트들과 연관된 채널 품질 파라미터들 또는 지연 파라미터들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피드백를 전달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양상은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에 관한 것이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은 플로우에 대하여 지정된 리딩 패킷 및 상기 리딩 패킷의 미리 구성된 시간 내에 발신된 상기 플로우에 대한 하나 이상의 패킷들을 포함하는 패킷 버스트를 식별하기 위한 코드; 상기 패킷 버스트와 관련된 하나 이상의 피드백 파라미터들을 결정하기 위한 코드 ― 상기 피드백 파라미터들은 상기 패킷 버스트의 길이를 포함함 ― ; 및 상기 하나 이상의 피드백 파라미터들을 포함하는 제어 시그널링을 전송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양상은 무선 통신 디바이스와 관련된 피드백을 관리하기 위한 컴퓨터-실행가능 명령들을 실행하는 집적 회로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명령들은 플로우에 대하여 지정된 헤드 패킷의 미리 구성된 시간 구간 내에서의 발신 시간들을 가지는 상기 플로우에 대하여 지정된 패킷들의 그룹핑을 식별하는 것; 상기 식별된 그룹핑 내의 다수의 패킷들을 결정하는 것; 및 서빙 기지국으로 상기 플로우에 대하여 지정된 헤드 패킷과 관련된 피드백과 결합하여 상기 결정된 수의 패킷들을 전달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목적 및 관련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청구되는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양상들은 이하에서 충분히 설명되고, 특히 청구항들에서 특정되는 특징들을 포함한다. 다음의 설명 및 관련 도면들은 청구되는 본 발명의 특정한 예시적인 양상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러한 양상들은 청구되는 본 발명의 원리들이 사용될 수 있는 몇 가지 다양한 방식들을 나타내지만 예시일 뿐이다. 또한, 기재되는 양상들은 이러한 모든 양상들 및 그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도 1은 여기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양상들에 따른 무선 다중-액세스 통신 시스템을 예시한다.
도 2는 다양한 양상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들을 스케줄링하기 위한 시스템의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3은 다양한 양상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전달될 패킷 버스트들을 분석하기 위한 시스템을 예시한다.
도 4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버스트-기반 패킷 스케줄링을 위한 방법의 흐름 다이어그램이다.
도 5는 다양한 양상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버스트-기반 패킷 스케줄링을 위한 기법을 예시한다.
도 6은 다양한 양상들에 따른 다수의 주파수 서브-대역들 상에서 전달될 패킷 버스트들을 분석하기 위한 시스템의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7-8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을 위한 자원들을 스케줄링하기 위한 각각의 방법들의 흐름 다이어그램들이다.
도 9는 패킷 버스트와 관련된 피드백을 생성 및 전달하기 위한 방법의 흐름 다이어그램이다.
도 10은 여기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양상들이 동작할 수 있는 예시적인 무선 통신 시스템을 예시하는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11-12는 여기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양상들을 구현하도록 동작가능한 예시적인 무선 디바이스들을 예시하는 블록 다이어그램들이다.
도 13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버스트-기반 패킷 스케줄링을 용이하게 하는 장치의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14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패킷 버스트 피드백을 용이하게 하는 장치의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이하, 청구되는 본 발명의 다양한 양상들이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되며, 여기서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본 명세서 전반에 걸쳐 동일한 엘리먼트들을 지칭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다음의 설명에서, 예시를 위하여, 다양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이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서 설명된다. 그러나, 이러한 실시예(들)은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도 실시될 수 있음이 명백할 수 있다. 다른 경우들에서, 잘-알려진 구조들 및 디바이스들은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블록 다이어그램 형태로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들 "컴포넌트", "모듈", "시스템" 등은 컴퓨터-관련 엔티티, 하드웨어, 펌웨어,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의 조합, 소프트웨어, 또는 실행 중인 소프트웨어를 지칭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예를 들어, 컴포넌트는 프로세서 상에서 실행되는 프로세스, 집적 회로, 객체, 실행가능성(excutable), 실행 스레드, 프로그램, 및/또는 컴퓨터일 수 있지만,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컴퓨팅 디바이스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 및 컴퓨팅 디바이스 모두가 컴포넌트일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들은 프로세스 및/또는 실행 스레드 내에 상주할 수 있고, 하나의 컴포넌트는 하나의 컴퓨터 내에 로컬화될 수 있고, 그리고/또는 2개 이상의 컴퓨터들 사이에 분배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컴포넌트들은 그 내부에 저장된 다양한 데이터 구조들을 가지는 다양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로부터 실행할 수 있다. 컴포넌트들은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데이터 패킷들을 가지는 신호(예를 들면, 로컬 시스템, 분산 시스템에서 다른 컴포넌트와 그리고 신호에 의해 다른 시스템들과 네트워크 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해 상호작용(interact)하는 하나의 컴포넌트로부터의 데이터)에 따라 로컬 및/또는 원격 프로세스들을 통해 통신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양상들이 무선 단말 및/또는 기지국과 관련하여 여기에서 설명된다. 무선 단말은 사용자에게 음성 및/또는 데이터 접속성(connectivity)을 제공하는 디바이스를 지칭할 수 있다. 무선 단말은 랩톱 컴퓨터 또는 데스크톱 컴퓨터와 같은 컴퓨팅 디바이스에 연결될 수 있고, 이는 개인용 디지털 보조기(PDA)와 같은 자급식 디바이스일 수 있다. 무선 단말은 시스템, 가입자 유닛, 가입자국, 이동국, 모바일, 원격국, 액세스 포인트, 원격 단말, 액세스 단말, 사용자 단말, 사용자 에이전트, 사용자 디바이스 또는 사용자 장비로 지칭될 수도 있다. 무선 단말은 가입자국, 무선 디바이스, 셀룰러 전화, PCS 전화, 코드리스 전화, 세션 개시 프로토콜(SIP) 전화, 무선 로컬 루프(WLL) 스테이션, 개인용 디지털 보조기(PDA), 무선 접속 능력을 구비한 핸드헬드 디바이스, 또는 무선 모뎀에 접속되는 다른 프로세싱 디바이스일 수 있다. 기지국(예를 들어, 액세스 포인트)은 하나 이상의 섹터들을 통해 무선-인터페이스 상에서 무선 단말들과 통신하는 액세스 네트워크 내의 디바이스를 지칭할 수 있다. 기지국은 수신된 무선-인터페이스 프레임들을 IP 패킷들로 변환함으로써, 무선 단말과 액세스 네트워크(인터넷 프로토콜(IP) 네트워크를 포함함)의 다른 단말들 사이에서 라우터로 작용할 수 있다. 기지국은 또한 무선 인터페이스에 대한 속성들에 대한 관리를 조정한다.
또한, 여기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기능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 임의의 조합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는 경우, 상기 기능들은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상에 하나 이상의 명령들 또는 코드로서 저장되거나, 또는 이들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하나의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컴퓨터 프로그램의 이전을 용이하게 하는 임의의 매체를 포함하는 통신 매체 모두를 포함한다. 저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RAM, ROM, EEPROM, CD-ROM 또는 다른 광학 디스크 저장 매체, 자기 디스크 저장 매체 또는 다른 자기 저장 디바이스들, 또는 희망하는 프로그램 코드를 명령들 또는 데이터 구조들의 형태로 전달 또는 저장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고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매체를 포함하지만,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임의의 연결 수단은 적절히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로 지칭된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가 웹사이트, 서버, 또는 다른 원격 소스로부터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트위스티드 페어(twisted pair), 디지털 가입자 회선(DSL), 또는 적외선 라디오, 및 마이크로웨이브와 같은 무선 기술들을 통해 전송되는 경우, 이러한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트위스티드 페어, DSL, 또는 적외선 라디오, 및 마이크로웨이브와 같은 무선 기술들이 이러한 매체의 정의 내에 포함된다. 여기서 사용되는 disk 및 disc은 컴팩트 disc(CD), 레이저 disc, 광 disc, 디지털 다목적 디스크(DVD), 플로피 disk, 및 블루-레이 disc를 포함하며, 여기서 disk들은 통상적으로 데이터를 자기적으로 재생하지만, disc들은 레이저들을 통해 광학적으로 데이터를 재생한다. 상기 조합들 역시 컴퓨터-판독가능 매체의 범위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여기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기법들은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CDMA) 시스템들, 시분할 다중 액세스(TDMA) 시스템들,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FDMA) 시스템들,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OFDMA) 시스템들, 단일 캐리어 FDMA(SC-FDMA) 시스템들 및 다른 이러한 시스템들과 같은 다양한 무선 통신 시스템들에 사용될 수 있다. 용어 "시스템" 및 "네트워크"는 종종 상호 교환가능하게 여기에서 사용된다. CDMA 시스템은 유니버셜 지상 무선 액세스(UTRA), CDMA2000 등과 같은 무선 기술을 구현할 수 있다. UTRA는 광대역-CDMA(W-CDMA) 및 CDMA의 다른 변형들을 포함한다. 추가적으로, CDMA2000은 IS-2000, IS-95, 및 IS-856 표준들을 커버한다. TDMA 시스템은 글로벌 이동 통신 시스템(GSM)과 같은 무선 기술을 구현할 수 있다. OFDMA 시스템은 개선형 UTRA(E-UTRA), 울트라 모바일 광대역(UMB), IEEE 802.11(Wi-Fi), IEEE 802.16(WiMAX), IEEE 802.20, 플래시-OFDM® 등과 같은 무선 기술을 구현할 수 있다. UTRA 및 E-UTRA는 유니버셜 모바일 통신 시스템(UMTS)의 일부이다. 3GPP 롱 텀 에벌루션(LTE)은 다운링크 상에서 OFDMA를 사용하고 업링크 상에서 SC-FDMA를 사용하는, E-UTRA를 사용하는 향후 릴리스이다. UTRA, E-UTRA, UMTS, LTE 및 GSM은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라고 지칭되는 기구로부터의 문헌들에 기술된다. CDMA2000 및 UMB는 "3GPP2(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2)"라고 지칭되는 기구로부터의 문헌들에 기술된다.
다수의 디바이스들, 컴포넌트들, 모듈들 등을 포함할 수 있는 시스템들에 대하여 다양한 양상들이 제시될 것이다. 다양한 시스템들은 추가적인 디바이스들, 컴포넌트들, 모듈들 등을 포함할 수 있고, 그리고/또는 도면들과 관련하여 논의되는 디바이스들, 컴포넌트들, 모듈들 등 모두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이러한 방식들의 조합이 사용될 수도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 도 1은 다양한 양상들에 따른 무선 다중-액세스 통신 시스템(100)의 예시도이다. 일 예에서, 무선 다중-액세스 통신 시스템(100)은 다수의 기지국들(110) 및 다수의 단말들(120)을 포함한다. 또한, 하나 이상의 기지국들(110)은 하나 이상의 단말들(120)과 통신할 수 있다. 비-제한적인 예로서, 기지국(110)은 액세스 포인트, 노드 B(예를 들어, 개선형 노드 B 또는 eNB), 및/또는 다른 적절한 네트워크 엔티티일 수 있다. 각각의 기지국(110)은 특정한 지리적 영역(102)에 대한 통신 커버리지를 제공한다. 여기에서 그리고 당해 기술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셀"은 용어가 사용되는 문맥에 따라 기지국(110) 및/또는 그 커버리지 영역(102)을 지칭할 수 있다.
시스템 용량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기지국(110)에 대응하는 커버리지 영역(102)은 다수의 보다 작은 영역들(예를 들어, 영역들(104a, 104b 및 104c))로 분할될 수 있다. 보다 작은 영역들(104a, 104b 및 104c) 각각은 각각의 기지국 트랜시버 서브시스템(BTS, 미도시)에 의해 서빙될 수 있다. 여기에서 그리고 당해 기술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섹터"는 용어가 사용되는 문맥에 따라 BTS 및/또는 그 커버리지 영역을 지칭할 수 있다. 또한, 여기에서 그리고 당해 기술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셀"은 용어가 사용되는 문맥에 따라 BTS의 커버리지 영역을 지칭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도 있다. 일 예에서, 셀(102) 내의 섹터들(104)은 기지국(110)에서 안테나들의 그룹들(미도시)에 의해 형성될 수 있고, 여기서 안테나들의 각각의 그룹은 셀(102)의 일부분 내의 단말들(120)과의 통신을 담당한다. 예를 들어, 기지국(110) 서빙 셀(102a)은 섹터(104a)에 대응하는 제 1 안테나 그룹, 섹터(104b)에 대응하는 제 2 안테나 그룹, 및 섹터(104c)에 대응하는 제 3 안테나 그룹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여기에서 기재되는 다양한 양상들은 섹터화된 그리고/또는 섹터화되지 않은 셀들을 가지는 시스템에서 사용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임의의 수의 섹터화된 그리고/또는 섹터화되지 않은 셀들을 가지는 모든 적합한 무선 통신 네트워크들은 여기에 첨부되는 청구항들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의도됨이 이해되어야 한다. 간략함을 위해서, 여기에서 사용되는 용어 "기지국"은 셀을 서비스하는 스테이션 뿐만 아니라 섹터를 서빙하는 스테이션 모두를 지칭할 수 있다.
일 양상에 따르면, 단말들(120)은 시스템(100) 전반에 걸쳐 분산될 수 있다. 각각의 단말(120)은 고정형 또는 이동형일 수 있다. 비-제한적인 예로서, 단말(120)은 액세스 단말(AT), 이동국, 사용자 장비(UE), 가입자국, 및/또는 다른 적절한 네트워크 엔티티일 수 있다. 단말(120)은 무선 디바이스, 셀룰러 전화, 개인용 디지털 보조기(PDA), 무선 모뎀, 핸드헬드 디바이스, 또는 다른 적절한 디바이스일 수 있다. 또한, 단말(120)은 임의의 주어진 순간에 임의의 수의 기지국들(110)과 통신하거나, 어떤 기지국들(110)과도 통신하지 않을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시스템(100)은 하나 이상의 기지국들(110)에 커플링될 수 있는 시스템 제어기(130)를 사용함으로써 집중화된 아키텍쳐를 이용하고 기지국들(110)에 대한 조정 및 제어를 제공할 수 있다. 대안적인 양상들에 따르면, 시스템 제어기(130)는 단일 네트워크 엔티티 또는 네트워크 엔티티들의 집합일 수 있다. 추가적으로, 시스템(100)은 기지국들(110)로 하여금 필요에 따라 서로 통신하도록 하기 위해서 분산된 아키텍쳐를 이용할 수 있다. 일 예에서, 시스템 제어기(130)는 다수의 네트워크들로의 하나 이상의 접속들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네트워크들은 인터넷, 다른 패킷 기반 네트워크들, 및/또는 시스템(100) 내의 하나 이상의 기지국들(110)과 통신하여 단말들(120)로 정보를 제공하고 그리고/또는 단말들(120)로부터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는 회선 교환 음성 네트워크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시스템 제어기(130)는 단말들(120)로의 전송들 그리고/또는 단말들(120)로부터의 전송들을 스케줄링할 수 있는 스케줄러(미도시)를 포함하거나 이와 커플링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스케줄러는 각각의 개별 셀(102), 각각의 섹터(104) 또는 이들의 조합에 상주할 수 있다.
도 1에 추가적으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시스템(100) 내의 각각의 섹터(104)는 섹터(104) 내의 단말들(120)로부터 "희망하는" 전송들 뿐만 아니라 다른 섹터들(104) 내의 단말들(120)로부터 "간섭하는" 전송들을 수신할 수 있다. 주어진 섹터(104)에서 관측되는 총 간섭은 동일한 섹터(104) 내의 단말들(120)로부터의 섹터-내 간섭 및 다른 섹터들(104) 내의 단말들(120)로부터의 섹터-간 간섭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서, 섹터-내 간섭은 동일한 섹터(104) 내의 상이한 단말들(120)의 전송들 사이의 직교성(orthogonality)을 보장하는 단말들(120)로부터의 OFDMA 전송을 사용하여 실질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다른 섹터 간섭(OSI)으로도 당해 기술에서 알려져 있는 섹터-간 간섭은 하나의 섹터(104) 내의 전송들이 다른 섹터들(104) 내의 전송들과 직교하지 않을 때 발생할 수 있다.
도 2는 여기에서 제공되는 다양한 양상들에 따라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들을 스케줄링하기 위한 시스템(200)의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일 양상에 따르면, 시스템(200)은 각각의 안테나들(211 및/또는 221)을 통해 업링크 및/또는 다운링크 상에서 서로 통신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기지국들(210) 및 하나 이상의 단말들(220)을 포함할 수 있다. 시스템(200)은 임의의 수의 기지국들(210) 및/또는 단말들(220)을 포함할 수 있고, 이들 각각은 임의의 수의 안테나들(211 및/또는 221)을 통해 시스템(200) 내의 다른 엔티티들과 통신할 수 있음이 이해될 수 있다.
일 예에서, 시스템(200) 내의 기지국(210) 및 단말(220)은 상기 통신을 위해서 발행되는 하나 이상의 자원 할당들에 따라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스템(200)에 의해 예시되는 바와 같이, 기지국(210)은 단말(220)로부터 이와 연관된 피드백 관리기(224)를 통해 획득되는 피드백 전부 또는 일부에 기초하는 통신을 위하여 기지국(210) 및/또는 단말(220)에 의해 이용될 자원들을 스케줄링하기 위해서 자원 스케줄러(212)를 이용할 수 있다. 일 예에서, 피드백 관리기(224)는 채널 품질, 전송 큐 길이, 지연 정보 및/또는 단말(220)에 의해 관측되는 다른 정보와 관련된 피드백의 통신을 생성 및/또는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그러나, 자원 스케줄러(212)는 기지국(210)에 도시되는 반면, 피드백 관리기(224)는 단말(220)에 도시되고, 시스템(200) 내의 각각의 기지국들(210) 및 단말들(220)은 자원 스케줄러(212) 또는 피드백 관리기(224)의 기능성을 가질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일 양상에 따르면, 자원 스케줄러(212)는 다양한 인자들에 기초하는 시스템(200)을 이용하는 하나 이상의 플로우들에 대한 전력 및/또는 대역폭과 같은 자원들의 할당을 계산하기 위해서 시스템(200) 내에서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원 스케줄러(212)는 플로우들 사이의 공평성을 보장하기 위해서, 서비스 품질(QoS) 제약들을 충족시키기 위해서, 다중 사용자 다이버시티를 이용하기 위해서, 그리고 그 외의 목적을 위해서, 다양한 플로우들에 자원들을 할당할 수 있다. 일 예에서, 자원 스케줄러(212)가 자원들을 스케줄링할 수 있는 플로우들은 최선의 노력(best effort) 또는 "탄성" 플로우들, 지연 QoS-민감 또는 "비탄성" 플로우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지연 민감 플로우는 각각의 패킷이 스케줄링을 위한 엄격한 도착 기한(deadline)과 연관되는 플로우이며, 이로써 패킷이 자신의 도착 기한을 지나친 이후에는 쓸모없는 것으로 가정된다. 일 예에서, 지연 민감 플로우에 대한 자원들을 스케줄링하기 위해서, 자원 스케줄러(212)는 채널 품질, 패킷 지연 등과 같은 파라미터들을 고려할 수 있다.
많은 기존의 무선 통신 시스템들에서, 상기 목적들의 달성을 위해서 구성되는 알고리즘을 스케줄링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주어진 시간에 단일 플로우에 전체 시스템의 대역폭을 제공하는 것에 적합하도록 설계된다. 또한, 상기 파라미터들의 분석은 전송될 각각의 큐잉된 패킷들에 대하여 패킷 단위를 기초로 수행된다. 그러나, 광대역 시스템들에 대하여, 규정되는 스케줄링 정책의 유효성을 보장하기 위해서, 주어진 시간에 대역폭이 종종 다수의 플로우들 사이에 분배됨이 이해될 수 있다. 또한, 높은 시스템 대역폭 및/또는 많은 수의 플로우들을 이용하는 시스템들에 대하여, 자원 스케줄링을 위한 패킷 단위의 분석은 계산적으로 고가이고, 결과적으로 시스템 효율성의 손실을 초래할 수 있음이 이해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패킷 단위의 분석은 짧은 시간 구간들(예를 들어, 1ms 이하) 내에서 자원 할당들을 결정하는 시스템들 및/또는 다른 유사한 무선 통신 시스템들에 대하여 엄청나게 고가일 수 있다.
적어도 상기 설명을 고려하여, 시스템(200) 내의 기지국(210) 및/또는 단말(220)은 여기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양상들에 따른 각각의 버스트 분석기들(214 및/또는 222)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서, 버스트 분석기들(214 및/또는 222)은 개별 패킷들 자체들보다는 오히려 서로의 미리 결정된 시간 기간 내에 도착하는 패킷들의 각각의 그룹들(또는 버스트들)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고, 이에 의해 개별 패킷들의 분석과 연관된 계산적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또한, 충분히 작은 시간 윈도우 내에 도착하는 패킷들은 실질적으로 유사한 도착 기한들 및/또는 다른 속성들을 가질 수 있음이 이해될 수 있다. 따라서, 버스트 분석기들(214 및/또는 222)은 버스트 내의 모든 패킷들에 적용시키기 위해서 상대적인 우선순위를 결정하도록 버스트 내의 헤드 또는 리딩 패킷을 분석할 수 있다.
일 양상에 따르면, 기지국(210)의 버스트 분석기(214)는 시스템(200)에서의 통신에 이용되는 하나 이상의 플로우들에 대하여 최적인 자원 스케줄을 결정하기 위해서 개별적으로 그리고/또는 자원 스케줄러(212)와 협력하여 이용될 수 있다. 기지국(210)은 자원 스케줄러(212) 및/또는 버스트 분석기(214)로서 작용하기 위해서 그리고/또는 자원 스케줄러(212) 및/또는 버스트 분석기(214)의 기능성을 구현하기 위해서 프로세서(216) 및/또는 메모리(218)를 추가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다른 양상에 따르면, 단말(220)의 버스트 분석기(222)는 기지국(210) 및/또는 다른 적절한 네트워크 엔티티로의 각각의 분석된 버스트들에 관한 피드백을 생성 및 전달하기 위해서 개별적으로 그리고/또는 피드백 관리기(224)와 협력하여 이용될 수 있다. 피드백 관리기(224)에 의해 제공되는 피드백은 예를 들어, 버스트 사이즈들, 각각의 패킷 버스트들과 연관된 헤드-오프-라인(head-of-line) 지연 파라미터들 및/또는 다른 적합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220)은 버스트 분석기(222) 및/또는 피드백 관리기(224)로서 작용하기 위해서 그리고/또는 버스트 분석기(222) 및/또는 피드백 관리기(224)의 기능성을 구현하기 위해서 프로세서(226) 및/또는 메모리(228)를 이용할 수도 있다.
다른 양상에서, 시스템(200)에 도시되지 않지만, 기지국(210)은 단말(220) 및/또는 시스템(200) 내의 다른 엔티티로의 피드백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버스트 분석기(214)를 이용할 수 있고, 단말(220)은 단말(220) 및/또는 시스템(200) 내의 다른 엔티티들에 대한 자원 스케줄링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버스트 분석기(222)를 이용할 수 있다.
이하, 도 3을 참조하면, 다양한 양상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전달될 패킷 버스트들을 분석하기 위한 시스템(300)이 예시된다. 도 3이 예시하는 바와 같이, 시스템(300)은 각각의 패킷 버스트들에 대한 통신 자원들의 스케줄링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무선 통신 시스템(예를 들어, 기지국(210) 및/또는 단말(220)) 내의 하나 이상의 엔티티들에 의해 이용될 수 있는 버스트 분석기(302)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서, 버스트 분석기(302)는 버스트 분석기(302)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구성 모듈(310) 뿐만 아니라, 각각의 패킷 버스트들의 다양한 양상들을 분석하기 위한 채널 분석기(320), 지연 분석기(330) 및/또는 버퍼 사이즈 분석기(34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양상에 따르면, 구성 모듈(310)은 수신된 패킷들이 패킷 버스트들로 그룹핑되는 서브 프레임들의 수 및/또는 미리 정의된 시간의 양을 표현하는 버스트 분석기(302)에 대한 버스트 길이 세팅(312)을 조정하기 위해서 이용될 수 있다. 일 예에서, 버스트 길이 세팅(312)은 정보와 복잡도 사이의 트레이드오프(tradeoff)를 용이하게 하도록 버스트 분석기(302)에 의한 사용을 위해서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긴 버스트 길이(예를 들어, 25ms)는 정보의 대가로 복잡도의 감소를 용이하게 하고, 짧은 버스트 길이(예를 들어, 5ms)는 복잡도의 대가로 보다 많은 정보의 수집을 용이하게 한다.
다른 양상에 따르면, 구성 모듈(310)에 의해 제공되는 세팅들에 기초하여, 버스트 분석기(302)는 각각의 관측되는 패킷 버스트들과 관련된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버스트 분석기(302)는 관측되는 플로우(들) 상에서의 각각의 버스트들의 사이즈들과 관련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서 하나 이상의 플로우들을 관측할 수 있다. 일 예에서, 버스트 사이즈는 헤드-오프-라인 패킷으로부터의 (예를 들어, 버스트 길이 세팅(312)에 의해 제공되는 바와 같은) 서브프레임들 및/또는 시간 상의 버스트 길이 τ 내에 도착하는 캐싱(cache)되었던 주어진 플로우 i에 대한 다수의 바이트들로서 결정될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버스트 사이즈는
Figure pct00001
로서 표현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채널 분석기(320)는 버스트 분석기(302)와 연관된 디바이스가 통신하는 하나 이상의 서브-대역들과 관련된 채널 품질 정보(CQI)를 획득하기 위해서 이용될 수 있다. 시스템 자원들이 주파수에 의해 제공되는 일 예에서, 시스템에 의해 이용되는 총 주파수 대역은 자원 블록(RB)들{RB0, ..., RBj, ..., RBm -1}에 의해 각각 핸들링되는 M개의 서브-대역들 j로 분할되는 것으로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전력의 균일한 분배를 가정하면, 채널 분석기(320)는
Figure pct00002
로서 표시될 수 있는 하이브리드 자동 재전송 요구(H-ARQ) 종료 타겟 H에 대한 서브-대역 j 내의 시간 t에서 플로우 i에 대하여 달성가능한 변조 및 코딩 방식(MCS)에 대응하는 (예를 들어, 심볼 당 비트들 내의) 스펙트럼 효율성을 계산할 수 있다. 특정 예로서, H-ARQ 종료 타겟 H는 0부터 5까지 변할 수 있다. 일 예에서, 각각의 플로우들은 (예를 들어, 그 QoS 타입들에 따라) 대응하는 미리-고정된 종료 타겟들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종료 타겟 H에 대한 의존성(dependency)은 채널 분석기(320)에 의해 억제될 수 있고, 스펙트럼 효율성은
Figure pct00003
로 표시될 수 있다. 일 예에서, 스펙트럼 효율성은 버스트 분석기(302)와 연관된 디바이스에 의해 데이터를 전달하는데 이용되는 전송 모드 및 주어진 서브-대역 상에서 보고되는 CQI의 함수로서 결정될 수 있다.
제 3 예에서, 지연 분석기(330)는 버스트 분석기(302)와 연관된 디바이스에 의해 통신이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플로우들에 대응하는 헤드-오프-라인 지연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서 이용될 수 있다. 특정 예로서, 플로우에서의 헤드-오프-라인 패킷이 매체 접근 제어(MAC) 계층에 의해 수신된 이래로 시간이 만료됨에 따라 헤드-오프-라인 지연은 지연 분석기(330)에 의해 계산될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헤드-오프-라인 지연은 시간 t에서의 플로우 i에 대하여
Figure pct00004
로 표시될 수 있다.
제 4 예에서, 버퍼 사이즈 분석기(340)는 버스트 분석기(302)와 연관된 네트워크 엔티티에 의해 통신이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플로우들과 관련된 버퍼 사이즈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서 이용될 수 있다. 버퍼 사이즈는 예를 들어, 캐싱된 바이트들을 전송하기 위한 추정된 오버헤드들(예를 들어, 헤더들) 및 주어진 플로우에 대하여 캐싱된 바이트들의 수의 합으로서 버퍼 사이즈 분석기(340)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플로우 i에 대한 시간 t에서의 버퍼 사이즈는
Figure pct00005
로서 표시된다.
일 양상에 따르면, 자원들은 다양한 방식들로 지연 민감 플로우들에 대하여 스케줄링될 수 있다. 제 1 예에서, 스케줄링은 할당 함수
Figure pct00006
를 최소화시키기 위해서 플로우 i에 할당될 RB들의 수를 계산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고, 여기서 g()는 컨벡스 함수(convex function)를 단순히 증가시키고, bi는 플로우 i에 할당되는 대역폭을 나타내며, ci은 플로우 i에 대응하는 상수이다. 이러한 스케줄링 정책은 상대적으로 높은 채널 품질을 가지는 UE에 대응하는 플로우들에게 보다 낮은 채널 품질을 가지는 UE에 대응하는 플로우들보다 더 높은 우선순위를 부여한다는 것이 이해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스케줄링 정책은 보다 많은 수들의 버퍼링된 바이트들을 가지는 플로우들에게 보다 높은 우선순위를 부여하는 것이 이해될 수 있다.
일 예에서, 상수들 ci는 다양한 플로우 클래스들로 차별화된 서비스들을 제공하기 위해서 선택될 수 있는 반면, 함수 g는 플로우들 사이의 지연의 분배를 조정(tailor)하기 위해서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케줄링은 주어진 시간에
Figure pct00007
의 최고 값을 가지는 플로우에 스펙트럼 자원의 다음 가용 피스(piece)가 주어지도록 수행될 수 있고, 여기서 g'()는 함수 g()의 시간 도함수를 나타낸다. 일 예에서, 이것은 다음의 최적화 문제를 해결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Figure pct00008
(bi ≥ 0, i = 1, ..., n) 그리고
Figure pct00009
(i = 1, ..., n)가 되도록,
Figure pct00010
여기서, bi는 플로우 i에 할당되는 대역폭을 나타내고, B는 총 시스템 대역폭을 나타낸다. 상기 최적화 문제로부터, 상기 최적화 문제에 기초하는 스케줄링 정책은 헤드-오프-라인 지연
Figure pct00011
이 플로우들을 우선순위화하기 위해서 사용되지 않는다는 사실로 인하여 근사적 지연 보장들을 제공하기 위해서 단지 이용될 수 있음이 이해될 수 있다.
제 2 예에서, 엄격한 지연 보장들은 채널 품질 및 헤드-오프-라인 지연 모두의 최고 함수를 가지는 플로우에 최고 우선순위를 부여하는 스케줄링 정책에 기초하여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스케줄링 정책의 일 예에서, 상기 함수를 최대화시키는 플로우로부터의 패킷이 항상 스케줄링되도록, 보다 양호한 채널 및/또는 보다 높은 헤드-오프-라인 지연을 가지는 플로우 및/또는 사용자에게 우선순위를 부여하는 함수가 이용될 수 있다. 일 예에서, 이러한 정책은 스케줄러에게 각각의 플로우의 버퍼 내의 모든 패킷들을 검사하도록 요구한다.
상기 설명을 고려하여, 버스트 분석기(302) 및/또는 이와 유사하게 적합한 버스트 분석기는 버스트 단위를 기초로 자원 스케줄링을 제공하기 위해서 이용될 수 있고, 이에 의해 각각의 플로우의 헤드-오프-라인 지연에 기초하는 근사적 스케줄링 정책을 제공하고, 전통적인 패킷-기반 스케줄링 기법들의 계산적 복잡도를 완화시킬 수 있다. 일 양상에 따르면, 버스트 분석기(302)는 도 4의 방법(400)에 의해 예시되는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지연-민감 플로우들에 대한 자원들을 스케줄링할 수 있다. 설명의 간략함을 위해서, 방법(400)은 일련의 동작들로서 도시되고 설명되지만, 일부 동작들이 하나 이상의 양상들에 따라 여기에서 도시되고 설명되는 것과는 다른 동작들과 동시에 그리고/또는 이와 상이한 순서들로 발생할 수 있으므로, 방법(400)이 동작들의 순서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당업자들은 방법이 상태 다이어그램에서와 같이 일련의 상관된 상태들 또는 이벤트들로서 대안적으로 표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모든 예시되는 동작들이 하나 이상의 양상들에 따라 방법(400)을 구현하도록 요구되지 않을 수 있다.
일 양상에 따르면, 방법(400)은 블록(402)에서 시작하고, 여기서 스케줄링될 N개의 플로우들의 세트가 식별된다. 이후, 방법(400)은 블록(404)로 진행할 수 있고, 여기서 블록(402)에서 식별된 N개의 플로우들에 대하여, 아직 대역폭이 할당되지 않은 블록(402)에서 식별된 세트 사이의 플로우들로부터의 헤드-오프-라인 지연 및 큐 길이의 주어진 함수를 최대화시키는 플로우가 선택된다. 블록(404)에서 플로우를 선택하면, 대역폭은 선택된 플로우에 할당될 수 있다. 예를 들어, RB들의 충분한 양은 플로우의 헤드에서 패킷 버스트를 빼내기 위해서(drain out) 선택된 플로우에 할당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블록(404)에서의 플로우 선택은 헤드-오프-라인의 주어진 함수의 내림차순으로 블록(402)에서 식별된 플로우들의 세트를 소팅(sort)하고, 후속적으로 소팅된 세트에서 제 1 플로우를 선택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그 다음, 블록(406)에서, 스케줄링될 대역폭 및 플로우들 모두가 남아있는지의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대역폭 및 스케줄링되지 않은 플로우들 모두가 남아있는 경우, 방법(400)은 블록(404)으로 리턴하여 새로운 플로우에 대한 대역폭을 스케줄링할 수 있다. 그렇지 않으면, 방법(400)은 블록(408)으로 진행하여 모든 플로우들이 스케줄링됨에도 불구하고 대역폭이 남아있는지의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어떤 대역폭도 남아있지 않는 경우, 방법(400)은 종료한다. 그렇지 않으면, 블록(402)에서 식별된 모든 플로우들을 통과한 이후 할당될 대역폭이 남아있다고 블록(408)에서 결정되는 경우, 방법(400)은 종료하기 전에 블록(410)으로 진행할 수 있고, 여기서 나머지 대역폭이 블록(402)에서 식별된 N개의 플로우들 사이에 분배된다. 일 양상에 따르면, 대역폭은 블록(410)에서 할당되어 현재 프레임의 끝에서 큐 길이들의 제곱들의 합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다른 양상에 따르면, 버스트 사이즈를 초과하는 큐에 대한 추가 정보의 부재시에, 큐의 길이는 지연의 대신으로서 방법(400)에서 이용될 수 있음이 이해될 수 있다.
이하, 도 5를 참조하면, 다양한 양상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버스트-기반 패킷 스케줄링을 위한 예시적인 기법을 예시하는 다이어그램(500)이 제공된다. 다이어그램(500)이 예시하는 바와 같이, 버스트-기반 패킷 스케줄링은 큐 길이 업데이트 블록(502), 최적 길이 계산 블록(504), 할당 알고리즘 블록(506) 및 총 인터레이스 대역폭 블록(508) 사이의 일련의 상호작용들로서 구현될 수 있다.
일 예에서, 큐 길이 업데이트 블록(502)은 최적 대역폭 계산 블록(504)에 대한 헤드-오프-라인(HOL) 지연 및 큐 길이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서 이용될 수 있다. 큐 길이 업데이트 블록(502)으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최적 대역폭 계산 블록(504)은 할당 알고리즘 블록(506)으로 하나 이상의 최적의 대역폭 파라미터들 Bopt을 제공하기 위해서 이용될 수 있다. 큐 길이 업데이트 블록(502)에 의해 제공되는 큐 길이 정보, 최적 대역폭 계산 블록(504)으로부터의 최적의 대역폭 파라미터들 및 총 인터레이스 대역폭 블록(508)으로부터의 총 대역폭 파라미터 Btot에 기초하여, 할당 알고리즘 블록(506)은 총 인터레이스 대역폭 블록(508)으로 하나 이상의 대역폭 파라미터들 B를 그리고 큐 길이 업데이트 블록(502)으로 하나 이상의 레이트 파라미터들 r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도 6을 참조하면, 다양한 양상들에 따른 다수의 주파수 서브-대역들 상에서 전달될 패킷 버스트들을 분석하기 위한 시스템(600)이 예시된다. 일 예에서, 시스템(600)은 여기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양상들에 따라 버스트-기반 자원 스케줄링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버스트 분석기(602)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양상에 따르면, 버스트 분석기(602)는 시스템(600)에 의해 이용되는 주파수 서브-대역들의 세트 상에서 자원 스케줄링을 수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모듈들(61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시스템(600)에서 이용되는 각각의 서브-대역에 대한 개별 모듈(610)을 도시하지만, 임의의 적합한 수의 모듈들(610)이 임의의 적합한 수의 서브-대역들 상에서 자원들을 스케줄링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다른 양상에 따르면, 버스트 분석기(602)는 다수의 서브-대역 경우에 대하여 단일 서브-대역 상에서 자원 스케줄링에 이용되는 기법들과 유사한 기법들을 일반화함으로써 다수의 주파수 서브-대역들에 대한 자원 스케줄을 최적화할 수 있다. 따라서, 일 양상에서, 단일 서브-대역에 대하여 전술되는 바와 같이 큐 길이들의 함수 g에 기초하여 자원들을 스케줄링하기 위한 최적화 문제는 다음과 같이 다수의 서브-대역 경우에 대하여 일반화될 수 있다.
Figure pct00012
(bi ≥ 0, i = 1, ..., n) 그리고
Figure pct00013
(i = 1, ..., n)가 되도록,
Figure pct00014
상기 최적화 문제는 여기에서 설명되고 그리고/또는 당해 기술에서 일반적으로 공지된 하나 이상의 기법들을 이용하여 해결될 수 있는 컨벡스 최적화 문제임이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서브-대역들 j에 대한 스펙트럼 효율성들
Figure pct00015
는 모든 적용가능한 서브-대역들 상에서 모든 적용가능한 플로우들에 대하여 어떤 스케줄링이 수행될 것인지에 기초하여 계산될 수 있다.
다른 양상에 따르면, 버스트 분석기(602) 및/또는 모듈들(610)은 전통적인 패킷-기반 스케줄링의 확장으로서 버스트-기반 자원 스케줄링을 수행하기 위해서 여기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은 다양한 기법들을 이용할 수고, 이에 의해 전통적인 패킷-기반 스케줄링과 연관된 계산적 복잡도를 완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버스트 분석기(602)는 방법(400) 및/또는 패킷 버스트 정보에 기초하여 다수의 주파수 서브-대역들 상에서 스케줄링을 수행하기 위한 임의의 다른 적합한 기법을 이용할 수 있다.
도 7-9를 참조하면, 다양한 양상들에 따라 수행될 수 있는 방법들이 예시된다. 설명의 간략함을 위해서, 방법들은 일련의 동작들로서 도시되고 설명되지만, 일부 동작들이 하나 이상의 양상들에 따라 여기에서 도시되고 설명되는 것과는 다른 동작들과 동시에 그리고/또는 이와 상이한 순서들로 발생할 수 있는 것과 같이, 방법들이 동작들의 순서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당업자들은 방법이 상태 다이어그램에서와 같이 일련의 상관된 상태들 또는 이벤트들로서 대안적으로 표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모든 예시되는 동작들이 하나 이상의 양상들에 따라 방법을 구현하도록 요구되지 않을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무선 통신 시스템(예를 들어, 시스템(200))에서 통신을 위한 자원들을 스케줄링하기 위한 방법(700)이 예시된다. 방법(700)은 예를 들어, 노드 B(예를 들어, 기지국(210)) 및/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네트워크 엔티티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방법(700)은 블록(702)에서 시작하고, 여기서 시스템 대역폭이 할당될 하나 이상의 플로우들이 식별된다. 그 다음, 블록(704)에서, 미리 정의된 기간 내에 도착한 블록(702)에서 식별된 플로우 상의 하나 이상의 패킷들을 각각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패킷 버스트들이 식별된다. 일 양상에 따르면, 블록(704)에서 이용되는 미리 결정된 시간 기간은 고정되고 그리고/또는 상이한 네트워크 상태들에 대하여 조정가능할 수 있고, 복잡도 및 패킷 정보의 완성도(completeness) 사이의 밸런싱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리 결정된 시간 기간은 보다 낮은 복잡도를 희망하는 경우 실질적으로 클 수 있고, 세부화된 정보를 희망하는 경우 실질적으로 작을 수 있다. 일 예에서, 패킷 버스트들은 다른 네트워크 엔티티들로부터의 그리고/또는 다른 적절한 수단에 의한 전송들의 관측으로부터의 패킷 버스트들과 관련된 정보를 추론함으로써, 로컬 전송 버퍼에 존재하는 패킷들에 기초하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디바이스들(예를 들어, 단말들(220))로부터의 피드백에 기초하여 블록(704)에서 식별될 수 있다.
블록(704)에서 설명된 동작들을 완료하면, 방법(700)은 블록(706)으로 진행할 수 있고, 여기서 상기 시스템 대역폭이 블록(704)에서 식별된 패킷 버스트들에 할당될 순서가 패킷 버스트들과 각각 연관된 채널 품질 및 지연 파라미터들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일 예에서, 블록(706)에서 이용되는 파라미터들은 하나 이상의 주파수 서브-대역들, 헤드-오프-라인 지연 정보, 큐 및/또는 버스트 길이 정보 등과 연관된 스펙트럼 효율성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순서는 패킷 버스트들이 블록(706)에서 이용되는 파라미터들의 함수로서 도착하는 플로우들을 소팅함으로써, 저스트-인-타임(just-in-time) 방식으로 상기 할당들 이전의 각각의 대역폭 할당들을 위한 최적의 플로우들을 결정함으로써, 그리고/또는 다른 적합한 수단에 의해 블록(706)에서 결정될 수 있다.
이후, 방법(700)은 블록(708)에서 종료할 수 있고, 여기서 시스템 대역폭이 블록(706)에서 결정된 순서로 블록(704)에서 식별된 패킷 버스트들을 전송하기 위해서 할당된다. 일 양상에 따르면, 블록(708)에서 수행된 대역폭 할당들은 시스템 대역폭이 남아있는 한 계속될 수 있다. 일 예에서, 총 가용 시스템 대역폭이 소진되기 전에 블록(704)에서 식별된 패킷 버스트들에 대역폭이 할당되는 경우, 나머지 대역폭의 일부 또는 전부는 임의의 적합한 방식으로 블록(702)에서 식별된 플로우들 사이에서 할당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나머지 대역폭은 블록(702)에서 식별된 플로우들을 통해 보여지는 전체 지연이 최적화되도록 할당될 수 있다.
도 8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통신을 위한 자원들을 스케줄링하기 위한 다른 방법(800)을 예시한다. 방법(800)은 예를 들어, 노드 B 및/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방법(800)은 블록(802)에서 시작하고, 여기서 대역폭이 할당될 복수의 플로우들이 식별된다. 그 다음, 블록(804)에서, 블록(802)에서 식별된 플로우들에서의 각각의 리딩 패킷들과 연관된 관련 채널 품질 및/또는 지연 파라미터들이 결정된다. 일 예에서, 블록(804)에서의 파라미터들의 결정은 연관된 통신 시스템 내의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들로부터 획득된 피드백, 방법(800)을 수행하는 엔티티와 연관된 하나 이상의 전송 버퍼들의 상태, 및/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인자들에 기초할 수 있다.
블록(804)에서 설명된 동작들을 완료하면, 방법(800)은 블록(806)으로 진행할 수 있고, 여기서 블록(802)에서 식별된 플로우들이 블록(804)에서 결정된 바와 같이, 그들 각각의 채널 품질 및/또는 지연 파라미터들에 따라 소팅된다. 후속적으로, 방법(800)은 블록(808)으로 진행할 수 있고, 여기서 대역폭이 플로우에서의 리딩 패킷 및 상기 리딩 패킷의 미리 결정된 시간 기간(예를 들어, 버스트 길이) 내에 도착한 하나 이상의 다른 패킷들의 전송을 위한 (블록(806)에서의 소팅에 따른) 가장 높게 소팅된 플로우에 할당된다.
일 예에서, 블록(808)에서 설명된 동작들을 완료하면, 방법(800)은 종료할 수 있다. 대안적인 예에서, 방법(800)은 블록(810)으로 진행할 수 있고, 여기서 대역폭이 블록(808)에서의 할당 이후에 남아있는지의 여부가 결정된다. 블록(810)에서 어떤 대역폭도 남아있지 않는다고 결정되는 경우, 방법(800)은 종료할 수 있다. 그렇지 않으면, 방법(800)은 추가 대역폭 할당을 위해서 블록(804)로 리턴할 수 있다.
도 9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패킷 버스트와 관련된 피드백을 생성 및 전달하기 위한 방법(900)의 흐름 다이어그램이다. 방법(900)은 예를 들어, UE(예를 들어, 단말(220)) 및/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네트워크 엔티티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방법(900)은 블록(902)에서 시작하고, 여기서 공통 플로우 상에서의 전송을 위한 미리 결정된 시간 기간 내에 버퍼링된 하나 이상의 패킷들이 패킷 버스트로 그룹핑된다.
블록(902)에서 설명된 동작들을 완료하면, 방법(900)은 블록(904)으로 진행할 수 있고, 여기서 블록(902)에서 생성된 패킷 버스트의 헤드 패킷과 관련된 하나 이상의 피드백 파라미터들이 결정된다. 블록(904)에서 결정된 피드백 파라미터들은 예를 들어, 스펙트럼 효율성 데이터, 헤드 패킷과 연관된 헤드-오프-라인 지연, 및/또는 다른 적합한 인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그 다음, 블록(906)에서, 블록(904)에서 결정된 피드백 파라미터들은 블록(902)에서 생성된 패킷 버스트의 길이와 함께 서빙 노드 B로 제공된다. 하나의 양상에 따르면, 이러한 방식으로 패킷 버스트와 관련된 피드백을 제공함으로써, 방법(900)을 수행하는 디바이스는 패킷 단위 피드백을 수행하는 디바이스보다 더 적은 피드백 전송을 위한 자원들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블록(906)에 의해 제공되는 바와 같이 버스트-기반 피드백을 제공하는 것은 여기에서의 다양한 양상들에 따라 설명되는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더 적은 계산적 복잡도를 가지는 방법(900)을 수행하는 디바이스에 대한 자원 스케줄링을 용이하게 할 수 있음이 이해될 수 있다.
블록(906)에서 피드백을 제공한 이후, 방법(900)은 종료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방법(900)은 종료하기 전에 블록(908)으로 선택적으로 진행할 수 있고, 여기서 블록(902)에서 식별된 패킷 버스트를 전송하기 위한 자원들에 대한 할당이 (예를 들어, 블록(906)에서 피드백을 제공한 서빙 노드 B로부터) 수신된다.
이하, 도 10을 참조하면, 여기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양상들이 동작할 수 있는 예시적인 무선 통신 시스템(1000)을 예시하는 블록 다이어그램이 제공된다. 일 예에서, 시스템(1000)은 송신기 시스템(1010) 및 수신기 시스템(1050)을 포함하는 다중-입력 다중-출력(MIMO) 시스템이다. 그러나, 송신기 시스템(1010) 및/또는 수신기 시스템(1050)은 다중-입력 단일-출력 시스템에 적용될 수도 있고, 여기서 예를 들어, 다수의 송신 안테나들(예를 들어, 기지국)은 단일 안테나 디바이스(예를 들어, 이동국)로 하나 이상의 심볼 스트림들을 전송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추가적으로, 여기에서 설명되는 송신기 시스템(1010) 및/또는 수신기 시스템(1050)의 양상들은 단일 출력 단일 입력 안테나 시스템과 관련하여 이용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일 양상에 따르면, 송신기 시스템(1010)에서 다수의 데이터 스트림들에 대한 트래픽 데이터가 데이터 소스(1012)로부터 송신(TX) 데이터 프로세서(1014)로 제공된다. 일 예에서, 각각의 데이터 스트림은 이후 각각의 송신 안테나(1024)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TX 데이터 프로세서(1014)는 코딩된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해서 각각의 개별 데이터 스트림에 대하여 선택되는 특정 코딩 방식에 기초하여 각각의 데이터 스트림에 대한 트래픽 데이터를 포맷, 인코딩 및 인터리빙할 수 있다. 일 예에서, 각각의 데이터 스트림에 대한 코딩된 데이터는 이후 OFDM 기법들을 사용하여 파일럿 데이터를 이용하여 멀티플렉싱될 수 있다. 파일럿 데이터는 예를 들어, 공지된 방식으로 프로세싱되는 공지된 데이터 패턴일 수 있다. 또한, 파일럿 데이터는 채널 응답을 추정하기 위해서 수신기 시스템(1050)에서 사용될 수 있다. 송신기 시스템(1010)으로 되돌아가면, 각각의 데이터 스트림에 대한 멀티플렉싱된 파일럿 및 코딩된 데이터는 변조 심볼들을 제공하기 위해서 각각의 개별 데이터 스트림에 대하여 선택되는 특정 변조 방식(예를 들어, BPSK, QSPK, M-PSK 또는 M-QAM)에 기초하여 변조(즉, 심볼 매핑)될 수 있다. 일 예에서, 각각의 데이터 스트림에 대한 데이터 레이트, 코딩 및 변조는 프로세서(1030) 상에서 수행되고 그리고/또는 프로세서(1030)에 의해 제공되는 명령들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그 다음, 모든 데이터 스트림들에 대한 변조 심볼들은 (예를 들어, OFDM을 위한) 변조 심볼들을 추가적으로 프로세싱할 수 있는 TX 프로세서(1020)로 제공될 수 있다. 이후, TX MIMO 프로세서(1020)는 NT개의 트랜시버들(1022a 내지 1022t)로 NT개의 변조 심볼 스트림들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예에서, 각각의 트랜시버(1022)는 하나 이상의 아날로그 신호들을 제공하기 위해서 각각의 심볼 스트림을 수신 및 프로세싱할 수 있다. 이후, 각각의 트랜시버(1022)는 MIMO 채널을 통한 전송에 적합한 변조된 신호를 제공하기 위해서 아날로그 신호들을 추가적으로 조정(예를 들어, 증폭, 필터링 및 상향변환)할 수 있다. 따라서, 트랜시버들(1022a 내지 1022t)로부터의 NT개의 변조된 신호들은 이후 NT개의 안테나들(1024a 내지 1024t)로부터 각각 전송될 수 있다.
다른 양상에 따르면, 전송된 변조된 신호들은 NR개의 안테나들(1052a 내지 1052r)에 의해 수신기 시스템(1050)에서 수신될 수 있다. 이후, 각각의 안테나(1052)로부터 수신된 신호는 각각의 트랜시버들(1054)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예에서, 각각의 트랜시버(1054)는 각각의 수신된 신호를 조정(예를 들어, 필터링, 증폭 및 하향변환)하고, 샘플들을 제공하기 위해서 조정된 신호를 디지털화하며, 이후 대응하는 "수신된" 심볼 스트림을 제공하기 위해서 상기 샘플들을 프로세싱할 수 있다. 이후, RX MIMO/데이터 프로세서(1060)는 NT개의 "검출된" 심볼 스트림들을 제공하기 위해서 특정 수신기 프로세싱 기법에 기초하여 NR개의 트랜시버들(1054)로부터 NR개의 수신된 심볼 스트림들을 수신 및 프로세싱할 수 있다. 일 예에서, 각각의 검출된 심볼 스트림은 대응하는 데이터 스트림에 대하여 전송되는 변조 심볼들의 추정치들인 심볼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후, RX 프로세서(1060)는 대응하는 데이터 스트림에 대한 트래픽 데이터를 복원하기 위해서 각각의 검출된 심볼 스트림을 복조, 디인터리빙 및 디코딩함으로써 적어도 부분적으로 각각의 심볼 스트림을 프로세싱할 수 있다. 따라서, RX 프로세서(1060)에 의한 프로세싱은 송신기 시스템(1010)에서의 TX MIMO 프로세서(1020) 및 TX 데이터 프로세서(1014)에 의해 수행되는 프로세싱과 상보적일 수 있다. RX 프로세서(1060)는 데이터 싱크(1064)로 프로세싱된 심볼 스트림들을 추가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일 양상에 따르면, RX 프로세서(1060)에 의해 생성된 채널 응답 추정은 수신기에서의 공간/시간 프로세싱을 수행하고, 전력 레벨들을 조정하며, 변조 레이트들 또는 방식들을 변화시키고, 그리고/또는 다른 적절한 액션들을 취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RX 프로세서(1060)는 예를 들어, 검출된 심볼 스트림들의 신호-대-잡음-간섭-비(SNR)들과 같은 채널 특성들을 추가로 추정할 수 있다. 이후, RX 프로세서(1060)는 프로세서(1070)로 추정된 채널 특성들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예에서, RX 프로세서(1060) 및/또는 프로세서(1070)는 시스템에 대한 "유효(operating)" SNR의 추정을 추가적으로 유도할 수 있다. 프로세서(1070)는 통신 링크 및/또는 수신된 데이터 스트림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는 채널 상태 정보(CSI)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는 예를 들어, 유효 SNR을 포함할 수 있다. 이후, CSI는 TX 데이터 프로세서(1018)에 의해 프로세싱되고, 변조기(1080)에 의해 변조되며, 트랜시버들(1054a 내지 1054r)에 의해 조정되고 그리고 송신기 시스템(1010)으로 다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수신기 시스템(1050)의 데이터 소스(1016)는 TX 데이터 프로세서(1018)에 의해 프로세싱될 추가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송신기 시스템(1010)으로 되돌아가면, 수신기 시스템(1050)으로부터 변조된 신호들은 이후, 수신기 시스템(1050)에 의해 보고된 CSI를 복원하기 위해서 안테나들(1024)에 의해 수신되고, 트랜시버들(1022)에 의해 조정되며, 복조기(1040)에 의해 복조되고, 그리고 RX 데이터 프로세서(1042)에 의해 프로세싱될 수 있다. 일 예에서, 보고된 CSI는 이후, 프로세서(1030)로 제공되고, 데이터 레이트들 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데이터 스트림들에 사용될 코딩 및 변조 방식들을 결정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이후, 결정된 코딩 및 변조 방식들은 수신기 시스템(1050)으로의 추후 전송들에서의 양자화 및/또는 사용을 위해서 트랜시버들(1022)로 제공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그리고/또는 대안적으로, 보고된 CSI는 TX 데이터 프로세서(1014) 및 TX MIMO 프로세서(1020)에 대한 다양한 제어들을 생성하기 위해서 프로세서(1030)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RX 데이터 프로세서(1042)에 의해 프로세싱된 CSI 및/또는 다른 정보는 데이터 싱크(1044)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예에서, 송신기 시스템(1010)의 프로세서(1030) 및 수신기 시스템(1050)의 프로세서(1070)는 그들 각각의 시스템들에서의 동작을 지시(direct)한다. 추가적으로, 송신기 시스템(1010)의 메모리(1032) 및 수신기 시스템(1050)의 메모리(1072)는 프로세서들(1030 및 1070)에 의해 사용되는 프로그램 코드들 및 데이터에 대한 저장을 각각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수신기 시스템(1050)에서, 다양한 프로세싱 기법들은 NT개의 전송된 심볼 스트림들을 검출하기 위해서 NR개의 수신된 신호들을 프로세싱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수신기 프로세싱 기법들은 등화 기법들이라고 지칭될 수도 있는 시-공간 수신기 프로세싱 기법들, 및/또는 "연속적 간섭 소거" 또는 "연속적 소거" 수신기 프로세싱 기법들이라고 지칭될 수도 있는 "연속적 널링(nulling)/등화 및 간섭 소거" 수신기 프로세싱 기법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1은 여기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양상들에 따라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자원 스케줄링을 용이하게 하는 시스템(1100)의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일 예에서, 시스템(1100)은 기지국 또는 노드 B(1102)를 포함한다. 예시되는 바와 같이, 노드 B(1102)는 신호(들)를 하나 이상의 수신(Rx) 안테나들(1106)을 통해 하나 이상의 UE들(1104)로부터 수신하고, 하나 이상의 송신(Tx) 안테나들(1108)을 통해 하나 이상의 UE들(1104)로 전송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노드 B(1102)는 수신 안테나(들)(1106)로부터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기(111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서, 수신기(1110)는 수신된 정보를 복조하는 복조기(Demod)(1112)와 동작적으로 연관될 수 있다. 이후, 복조된 심볼들은 프로세서(1114)에 의해 분석될 수 있다. 프로세서(1114)는 코드 클러스터들, 액세스 단말 할당들, 이에 관련된 룩업 테이블들, 고유한 스크램블링 시퀀스들과 관련된 정보 및/또는 다른 적합한 타입들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1116)에 커플링될 수 있다. 일 예에서, 노드 B(1102)는 프로세서(1114)를 사용하여 방법들(400, 700, 800) 및/또는 다른 유사한 그리고 적절한 방법들을 수행할 수 있다. 노드 B(1102)는 송신 안테나(들)(1108)를 통한 송신기(1120)에 의한 전송을 위해서 신호를 멀티플렉싱할 수 있는 변조기(1118)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 12는 여기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양상들에 따라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패킷 버스트 피드백의 생성 및 전달을 용이하게 하는 시스템(1200)의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일 예에서, 시스템(1200)은 모바일 단말(1202)을 포함한다. 예시되는 바와 같이, 모바일 단말(1202)은 신호(들)를 하나 이상의 안테나들(1208)을 통해 하나 이상의 기지국들(1204)로부터 수신하고, 하나 이상의 기지국들(1204)로 전송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모바일 단말(1202)은 안테나(들)(1208)로부터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기(121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서, 수신기(1210)는 수신된 정보를 복조하는 복조기(Demod)(1212)와 동작적으로 연관될 수 있다. 이후, 복조된 심볼들은 프로세서(1214)에 의해 분석될 수 있다. 프로세서(1214)는 모바일 단말(1202)과 관련된 데이터 및/또는 프로그램 코드들을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1216)에 커플링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모바일 단말(1202)은 프로세서(1214)를 사용하여 방법(900) 및/또는 다른 유사한 그리고 적절한 방법들을 수행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1202)은 안테나(들)(1208)를 통한 송신기(1220)에 의한 전송을 위해서 신호를 멀티플렉싱할 수 있는 변조기(1218)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 13은 무선 통신 시스템(예를 들어, 시스템(200))에서 버스트-기반 패킷 스케줄링을 용이하게 하는 장치(1300)를 예시한다. 프로세서,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예를 들어, 펌웨어)에 의해 구현되는 기능들을 나타내는 기능적 블록들일 수 있는 기능적 블록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표현됨이 이해되어야 한다. 장치(1300)는 노드 B(예를 들어, 기지국(210)) 및/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네트워크 엔티티에서 구현될 수 있고, 미리 결정된 시간 기간 내에 버퍼링된 패킷들의 버스트와 관련된 지연 및 채널 품질 파라미터들을 식별하기 위한 모듈(1302) 및 상기 식별된 지연 및 채널 품질 파라미터들의 함수로서 선택되는 버스트의 전송을 위한 자원들을 할당하기 위한 모듈(1304)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4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패킷 버스트 피드백을 용이하게 하는 장치(1400)를 예시한다. 장치(1400)는 프로세서,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예를 들어, 펌웨어)에 의해 구현되는 기능들을 나타내는 기능적 블록들일 수 있는 기능적 블록들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표현됨이 이해되어야 한다. 장치(1400)는 모바일 단말(예를 들어, 단말(220)) 및/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네트워크 엔티티에서 구현될 수 있고, 각각의 버스트들로 미리 구성된 사이즈의 시간 윈도우 내에 도착하는 패킷들을 그룹핑하기 위한 모듈(1402) 및 각각의 버스트들의 헤드 패킷들과 연관된 지연 및/또는 채널 품질과 관련된 피드백을 제공하기 위한 모듈(1404)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여기에서 설명되는 양상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미들웨어, 마이크로코드,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시스템들 및/또는 방법들이 소프트웨어, 펌웨어, 미들웨어 또는 마이크로코드, 프로그램 코드 또는 코드 세그먼트들에서 구현되는 경우, 그들은 저장 컴포넌트와 같은 기계-판독가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코드 세그먼트는 처리 절차, 함수, 서브프로그램, 프로그램, 루틴, 서브루틴, 모듈, 소프트웨어 패키지, 클래스, 또는 명령들, 데이터 구조들 또는 프로그램 명령문들의 임의의 조합을 나타낼 수 있다. 코드 세그먼트는 정보, 데이터, 인수들, 파라미터들, 또는 메모리 컨텐츠를 전달 및/또는 수신함으로써 다른 코드 세그먼트 또는 하드웨어 회로에 커플링될 수 있다. 정보, 인수들, 파라미터들, 데이터 등은 메모리 공유, 메시지 전달, 토큰 전달, 및 네트워크 전송 등을 포함하는 임의의 적합한 수단을 사용하여 전달, 포워딩, 또는 전송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구현에 대하여, 여기에서 설명된 기법들은 여기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모듈들(예를 들어, 처리 절차들, 함수들 등)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들은 메모리 유닛들 내에 저장되고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메모리 유닛은 프로세서 내에서 또는 프로세서 외부에서 구현될 수 있고, 이 경우, 메모리 유닛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공지된 바와 같이 다양한 수단을 통해 프로세서에 통신가능하게 커플링될 수 있다.
전술되었던 발명은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예들을 포함한다. 물론, 전술한 양상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컴포넌트들 또는 방법론들의 모든 조합을 설명하는 것은 불가능하지만, 당업자는 다양한 양상들의 다양한 추가 조합들 및 치환들이 가능하다는 점을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설명된 양상들은 첨부된 청구항들의 범위에 속하는 이러한 모든 변경들, 변형들 및 변화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또한, 용어 "포함하다(include)"는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항들에 사용된다는 점에서, 이 용어는 청구항 내의 과도적 단어로서 사용되는 경우로 해석되는 용어 "구비하는(comprising)"과 유사한 방식으로 포괄되는 것으로 해석된다. 게다가,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항들에 사용되는 용어 "또는"은 "배타적이지 않은 또는"으로 해석된다.

Claims (45)

  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들을 스케줄링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아직 대역폭이 할당되지 않은 하나 이상의 플로우들을 식별하는 단계;
    상기 하나 이상의 플로우들과 각각의 패킷 버스트들을 연관시키는 단계 ― 상기 패킷 버스트들 각각은 연관된 플로우에 대한 리딩 패킷(leading packet), 및 상기 리딩 패킷의 미리 결정된 시간 기간 내에 도착하는 상기 연관된 플로우에 대한 하나 이상의 패킷들을 포함함 ― ;
    상기 각각의 패킷 버스트들을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각각의 패킷 버스트들의 분석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플로우들에 대역폭이 할당될 순서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원들을 스케줄링하기 위한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하는 단계는 상기 각각의 패킷 버스트들과 연관된 지연 파라미터들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대역폭이 할당될 순서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결정되는 지연 파라미터들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플로우들에 대역폭이 할당될 순서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원들을 스케줄링하기 위한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 파라미터들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각각의 패킷 버스트들과 연관된 각각의 리딩 패킷들에 대한 헤드-오브-라인(head-of-line) 지연 값들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원들을 스케줄링하기 위한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하는 단계는 상기 각각의 패킷 버스트들에 대응하는 플로우들에 대한 각각의 버퍼링된 정보량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대역폭이 할당될 순서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결정된 버퍼링된 정보량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플로우들에 대역폭이 할당될 순서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원들을 스케줄링하기 위한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하는 단계는 상기 각각의 패킷 버스트들과 연관된 채널 품질 파라미터들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대역폭이 할당될 순서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결정된 채널 품질 파라미터들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플로우들에 대역폭이 할당될 순서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원들을 스케줄링하기 위한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품질 파라미터들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각각의 패킷 버스트들에 대응하는 플로우들에 대한 스펙트럼 효율 값들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원들을 스케줄링하기 위한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스펙트럼 효율 값들을 결정하는 단계는 복수의 주파수 서브-대역들에 대한 스펙트럼 효율 값들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원들을 스케줄링하기 위한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된 순서에 기초하여 플로우에 대응하는 패킷 버스트의 전송을 위해서 상기 플로우에 대역폭을 할당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자원들을 스케줄링하기 위한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대역폭이 할당될 순서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각각의 패킷 버스트들의 분석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플로우들을 소팅(sort)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대역폭을 할당하는 단계는 상기 소팅에 의해 결정되는 순서로 하나 이상의 플로우들에 각각 대응하는 패킷 버스트들의 전송을 위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플로우들에 가용 대역폭을 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원들을 스케줄링하기 위한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대역폭을 할당하는 단계는,
    하나 이상의 플로우들에 각각 대응하는 패킷 버스트들의 전송을 위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플로우들에 대역폭을 할당한 후 대역폭이 남아있는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대역폭이 남아있다고 결정되면 상기 하나 이상의 플로우들 사이에 나머지 대역폭을 분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자원들을 스케줄링하기 위한 방법.
  11. 제 8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사용자 디바이스들로 대역폭의 할당을 전달(communicate)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자원들을 스케줄링하기 위한 방법.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하는 단계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디바이스들로부터 각각의 패킷 버스트들과 관련된 피드백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원들을 스케줄링하기 위한 방법.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관시키는 단계는 희망하는 정보 상세 레벨(desired level of information detail) 또는 희망하는 복잡도 레벨(desired level of complexity) 중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상기 미리 결정된 시간 기간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원들을 스케줄링하기 위한 방법.
  14. 무선 통신 장치로서,
    통신 자원들이 할당될 하나 이상의 플로우들과 관련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플로우에 대한 헤드 패킷 및 상기 헤드 패킷 다음에 미리 구성된 시간 구간 내에 도착하는 상기 플로우에 대한 하나 이상의 패킷들을 각각 포함하는 각각의 플로우들에 대한 패킷들의 버스트들을 분석하고, 그리고
    상기 하나 이상의 플로우들에 각각 대응하는 패킷들의 버스트들의 분석에 기초하여 통신 자원들의 할당을 수신하기 위해서 플로우를 식별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각각의 패킷들의 버스트들과 연관된 지연들을 결정하고, 그리고
    상기 각각 결정된 지연들에 기초하여 통신 자원들의 할당을 수신하기 위해서 플로우를 식별하도록 추가적으로 구성되는,
    무선 통신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들은 상기 각각의 플로우들에 대한 헤드 패킷들과 연관된 헤드-오브-라인 지연 파라미터들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각각의 플로우들에 대하여 큐잉된 각각의 정보량의 함수로서 상기 지연들을 결정하도록 추가적으로 구성되는,
    무선 통신 장치.
  18.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각각의 패킷들의 버스트들과 연관된 채널 품질 정보를 결정하고, 그리고
    상기 각각 결정된 채널 품질 정보에 기초하여 통신 자원들의 할당을 수신하기 위해서 플로우를 식별하도록 추가적으로 구성되는,
    무선 통신 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품질 정보는 상기 하나 이상의 플로우들과 각각 연관된 스펙트럼 효율들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주파수에서의 복수의 서브-대역들 상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플로우들과 연관된 스펙트럼 효율들을 결정하도록 추가적으로 구성되는,
    무선 통신 장치.
  21.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식별된 플로우와 연관된 패킷들의 버스트의 통신을 위한 자원들을 할당하도록 추가적으로 구성되는,
    무선 통신 장치.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하나 이상의 플로우들과 연관된 각각의 패킷들의 버스트들의 통신을 위한 자원들을 할당한 이후 할당될 통신 자원들이 남아있는지의 여부를 결정하고, 그리고
    할당될 통신 자원들이 남아있다고 결정되면 상기 하나 이상의 플로우들 사이에 나머지 통신 자원들을 분배하도록 추가적으로 구성되는,
    무선 통신 장치.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하나 이상의 플로우들에서의 큐 길이들의 제곱들의 합이 최소화되도록 상기 하나 이상의 플로우들 사이에 나머지 통신 자원들을 분배하도록 추가적으로 구성되는,
    무선 통신 장치.
  24.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무선 단말로 통신 자원들의 할당을 전달하도록 추가적으로 구성되는,
    무선 통신 장치.
  2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하나 이상의 무선 단말들로부터 하나 이상의 플로우들에 각각 대응하는 패킷들의 버스트들과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도록 추가적으로 구성되는,
    무선 통신 장치.
  2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패킷 정보에 대한 타겟 상세 레벨 또는 타겟 복잡도 레벨 중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상기 미리 구성된 시간 구간을 조정하도록 추가적으로 구성되는,
    무선 통신 장치.
  27.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버스트-기반 패킷 스케줄링을 용이하게 하는 장치로서,
    미리 결정된 시간 기간 내에 버퍼링된 패킷들의 버스트과 관련된 채널 품질 파라미터들 또는 지연 파라미터들 중 하나 이상을 식별하기 위한 수단; 및
    식별된 지연 파라미터들 또는 식별된 채널 품질 파라미터들 중 하나 이상의 함수로서 선택되는 패킷들의 버스트의 전송을 위한 자원들을 할당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버스트-기반 패킷 스케줄링을 용이하게 하는 장치.
  28.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으로서,
    상기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통신을 위한 자원들이 할당될 하나 이상의 패킷들과 연관시키는 하나 이상의 플로우들을 식별하기 위한 코드;
    각각의 패킷 버스트들로 미리 결정된 시간 구간 내에 발신(originate)된 공통 플로우와 연관된 패킷들을 그룹핑(grouping)하기 위한 코드;
    상기 각각의 패킷 버스트들과 연관된 채널 품질 파라미터들 또는 지연 파라미터들 중 하나 이상을 식별하기 위한 코드; 및
    상기 각각의 패킷 버스트들과 연관된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들의 함수로서 패킷 버스트의 통신을 위한 자원들을 할당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
  29.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자원 스케줄링을 위한 컴퓨터-실행가능 명령들을 실행하는 집적 회로로서,
    상기 명령들은,
    아직 대역폭이 할당되지 않은 복수의 플로우들 중에서, 헤드-오프-라인(head-of-line) 지연 및 큐 길이의 최고(highest) 함수를 가지는 플로우를 선택하는 것;
    선택된 플로우와 연관된 리딩 패킷(leading packet) 및 상기 리딩 패킷에 후속하는 미리 구성된 시간 구간 내에 발신된 상기 선택된 플로우와 연관된 하나 이상의 패킷들의 전송을 스케줄링하는 것; 및
    상기 스케줄링된 전송을 위한 대역폭을 할당하는 것을 포함하는,
    집적 회로.
  30.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피드백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패킷 버스트로의 공통 플로우 상에서의 전송을 위해서 미리 결정된 시간 기간 내에 버퍼링된 하나 이상의 패킷들을 그룹핑하는 단계;
    상기 패킷 버스트의 길이를 결정하는 단계; 및
    서빙 기지국으로 상기 패킷 버스트의 길이를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드백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방법.
  31.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 버스트의 헤드 패킷과 연관된 지연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빙 기지국으로 상기 결정된 지연을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피드백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방법.
  32.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 버스트와 연관된 플로우와 연관된 채널 품질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빙 기지국으로 상기 결정된 채널 품질 정보를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피드백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방법.
  33.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품질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는 복수의 주파수 서브-대역들에 대한 채널 품질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드백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방법.
  34.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빙 기지국으로 상기 패킷 버스트의 길이를 전달하면 상기 서빙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패킷 버스트의 전송을 위한 스케줄링된 자원들의 할당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피드백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방법.
  35.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줄링된 자원들을 사용하여 상기 패킷 버스트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피드백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방법.
  36. 제 30 항에 있어서,
    희망하는 정보 상세 레벨 또는 희망하는 복잡도 레벨 중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상기 미리 결정된 시간 기간을 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피드백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방법.
  37. 무선 통신 장치로서,
    공통 플로우 및 시간 구간과 연관된 하나 이상의 패킷들과 관련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공통 플로우와 연관된 리딩 패킷으로부터 상기 시간 구간 내에 발신된 상기 공통 플로우와 연관된 패킷들의 양을 결정하고, 제어 시그널링의 전송 내에서 상기 결정된 패킷들의 양을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
  38.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리딩 패킷과 연관된 지연을 결정하고, 상기 제어 시그널링의 전송 내에서 상기 결정된 지연을 전달하도록 추가적으로 구성되는,
    무선 통신 장치.
  39.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공통 플로우와 연관된 채널 품질 정보를 결정하고, 그리고
    상기 제어 시그널링의 전송 내에서 상기 결정된 채널 품질 정보를 전달하도록 추가적으로 구성되는,
    무선 통신 장치.
  40. 제 39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주파수에서의 복수의 서브-대역들에 대한 상기 채널 품질 정보를 결정 및 전달하도록 추가적으로 구성되는,
    무선 통신 장치.
  41.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어 시그널링의 전송에 응답하여 통신 스케줄을 수신하고, 그리고
    상기 통신 스케줄에 기초하여 상기 공통 플로우와 연관된 리딩 패킷으로부터 상기 시간 구간 내에 발신된 상기 공통 플로우와 연관된 상기 패킷들을 전달하도록 추가적으로 구성되는,
    무선 통신 장치.
  42.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희망하는 정보 상세 레벨 또는 희망하는 복잡도 레벨 중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상기 시간 구간을 조정하도록 추가적으로 구성되는,
    무선 통신 장치.
  43.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패킷 버스트 피드백을 용이하게 하는 장치로서,
    각각의 버스트들로 미리 구성된 사이즈의 시간 윈도우 내에 도착하는 패킷들을 그룹핑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각각의 버스트들의 길이들 및 상기 각각의 버스트들과 연관된 채널 품질 파라미터들 또는 지연 파라미터들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피드백을 전달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패킷 버스트 피드백을 용이하게 하는 장치.
  44.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으로서,
    상기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플로우에 대하여 지정된 리딩 패킷 및 상기 리딩 패킷의 미리 구성된 시간 내에 발신된 상기 플로우에 대한 하나 이상의 패킷들을 포함하는 패킷 버스트를 식별하기 위한 코드;
    상기 패킷 버스트와 관련된 하나 이상의 피드백 파라미터들을 결정하기 위한 코드 ― 상기 피드백 파라미터들은 상기 패킷 버스트의 길이를 포함함 ― ; 및
    상기 하나 이상의 피드백 파라미터들을 포함하는 제어 시그널링을 전송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
  45. 무선 통신 디바이스와 관련된 피드백을 관리하기 위한 컴퓨터-실행가능 명령들을 실행하는 집적 회로로서,
    상기 명령들은,
    플로우에 대하여 지정된 헤드 패킷의 미리 구성된 시간 구간 내에서의 발신 시간들을 가지는 상기 플로우에 대하여 지정된 패킷들의 그룹핑을 식별하는 것;
    상기 식별된 그룹핑 내의 다수의 패킷들을 결정하는 것; 및
    서빙 기지국으로 상기 플로우에 대하여 지정된 헤드 패킷과 관련된 피드백과 결합하여 상기 결정된 수의 패킷들을 전달하는 것을 포함하는,
    집적 회로.
KR1020107012392A 2007-11-05 2008-11-05 광대역 무선 통신 시스템들에서 qos 플로우들의 스케줄링 KR1011878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98561407P 2007-11-05 2007-11-05
US60/985,614 2007-11-05
US12/264,051 US8923157B2 (en) 2007-11-05 2008-11-03 Scheduling QOS flows in broadb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US12/264,051 2008-11-03
PCT/US2008/082448 WO2009061794A2 (en) 2007-11-05 2008-11-05 Scheduling qos flows in broadb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8743A Division KR101187828B1 (ko) 2007-11-05 2008-11-05 광대역 무선 통신 시스템들에서 qos 플로우들의 스케줄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6030A true KR20100086030A (ko) 2010-07-29
KR101187826B1 KR101187826B1 (ko) 2012-10-09

Family

ID=4062362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8743A KR101187828B1 (ko) 2007-11-05 2008-11-05 광대역 무선 통신 시스템들에서 qos 플로우들의 스케줄링
KR1020107012392A KR101187826B1 (ko) 2007-11-05 2008-11-05 광대역 무선 통신 시스템들에서 qos 플로우들의 스케줄링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8743A KR101187828B1 (ko) 2007-11-05 2008-11-05 광대역 무선 통신 시스템들에서 qos 플로우들의 스케줄링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923157B2 (ko)
EP (2) EP2247046A1 (ko)
JP (1) JP5175360B2 (ko)
KR (2) KR101187828B1 (ko)
CN (1) CN101849396B (ko)
TW (1) TW200939706A (ko)
WO (1) WO2009061794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1613B1 (ko) 2015-07-21 2016-12-01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분산 병렬 데이터 전송 시스템에서 자원들을 스케줄링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02123B2 (ja) * 2007-03-07 2011-10-26 富士通株式会社 情報送信装置、情報送信方法、情報送信プログラムおよび該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ES2357631B1 (es) * 2009-06-12 2012-03-08 Vodafone España, S.A.U Método para programar tr�?fico en un canal de comunicaciones.
KR101084912B1 (ko) * 2009-11-25 2011-11-17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무선 메쉬망 기반 다중채널 tdma mac 프로토콜에서의 채널 할당 방법
US8761060B2 (en) 2010-02-12 2014-06-24 Qualcomm Incorporated Controlling access point transmit power based on received access terminal messages
US8958838B2 (en) 2010-02-12 2015-02-17 Qualcomm Incorporated Multi-stage transmit power control scheme for access point
US9094326B2 (en) 2010-11-02 2015-07-28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communicating in a network
US8849990B2 (en) * 2011-02-03 2014-09-30 Disney Enterprises, Inc. Optimized video streaming to client devices
EP2698028B1 (en) * 2011-04-14 2018-04-0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Qoe-aware traffic delivery in cellular networks
US9565596B2 (en) * 2011-08-29 2017-02-07 Commscope Technologies Llc Configuring a distributed antenna system
US9184810B2 (en) * 2012-04-13 2015-11-10 Qualcomm Incorporated Scheduling algorithms for multi-user (MU)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MIMO) communication systems
GB2507124A (en) * 2012-10-22 2014-04-23 St Microelectronics Grenoble 2 Controlling data transmission rates based on feedback from the data recipient
US9160665B2 (en) * 2013-04-25 2015-10-13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 and system of transmission management in a network
US10334588B2 (en) * 2013-12-11 2019-06-25 Qualcomm Incorporated Carrier sense adaptive transmission (CSAT) coordination in unlicensed spectrum
WO2015118648A1 (ja) 2014-02-06 2015-08-13 富士通株式会社 基地局装置、及び無線アクセスシステム
US20160037363A1 (en) * 2014-07-29 2016-02-04 Qualcomm Incorporated Interference management in a bursty-interference environment
US9730094B2 (en) 2014-07-29 2017-08-08 Qualcomm Incorporated Bursty-interference-aware interference management
US9674726B1 (en) 2014-11-21 2017-06-06 Google Inc. Methods and systems for improved bandwidth estimation
US20160295579A1 (en) * 2015-03-31 2016-10-06 Alcatel-Lucent Canada Inc. Systems and methods for enhancing real-time quality of experience in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s and long term evolution communications networks
KR102433530B1 (ko) * 2015-12-09 2022-08-19 한국전자기술연구원 동적 큐 기반의 저전력 무선 통신 방법 및 시스템
US11146367B2 (en) * 2016-05-27 2021-10-12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apparatus for frequency selective scheduling in OFDMA based WLANs
CN107870820B (zh) * 2016-09-23 2023-10-13 北京忆恒创源科技股份有限公司 在固态驱动器中提供服务质量
KR102146696B1 (ko) * 2016-10-07 2020-08-2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단말기 무선자원의 스케줄링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1957992B1 (ko) * 2018-10-17 2019-03-13 국방과학연구소 가상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버퍼 관리 방법 및 그 장치
US20230413117A1 (en) * 2022-04-21 2023-12-21 Raytheon Bbn Technologies Corp. Searchlight distributed qos management
WO2024080595A1 (ko) * 2022-10-12 2024-04-18 삼성전자주식회사 스레드 네트워크 내에서 외부 전자 장치와의 연결을 제어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02310A (en) * 1996-05-30 1998-09-0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data channel queue control in a communications network
US6018663A (en) * 1997-01-28 2000-01-2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Frequency packing for dynamic frequency allocation in a radiocommunication system
US6452933B1 (en) * 1997-02-07 2002-09-17 Lucent Technologies Inc. Fair queuing system with adaptive bandwidth redistribution
US6452915B1 (en) 1998-07-10 2002-09-17 Malibu Networks, Inc. IP-flow classification in a wireless point to multi-point (PTMP) transmission system
US7406098B2 (en) * 1999-01-13 2008-07-29 Qualcomm Incorporated Resource allocation in a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application flows having quality of service requirements
US6522628B1 (en) 1999-03-01 2003-02-18 Cisco Technology, Inc.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transmission resource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7142563B1 (en) * 2001-02-20 2006-11-28 At&T Corp. Service interface for QoS-driven HPNA networks
US7065046B2 (en) * 2001-04-06 2006-06-20 Lucent Technologies Inc. Scalable weight-based terabit switch scheduling method
EP1417807B1 (en) * 2001-08-16 2006-04-12 BRITISH TELECOMMUNICATIONS public limited company Burst reservation multiple access scheme with free and on demand bandwidth assignment
US7586909B1 (en) * 2002-03-06 2009-09-08 Agere Systems Inc. Striping algorithm for switching fabric
WO2004066661A1 (ja) * 2003-01-23 2004-08-05 Fujitsu Limited 通信資源管理装置
JP4025659B2 (ja) 2003-02-14 2007-12-26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無線基地局、移動局、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無線通信方法
US7369549B2 (en) 2003-03-25 2008-05-06 Qualcomm Incorporated Adaptive rate prioritizing
US7529252B2 (en) * 2003-06-27 2009-05-05 Broadcom Corporation Weighted queuing scheme for managing datagrams within a network device using single port double buffer (ping-pong) memory
US7773365B2 (en) 2004-04-30 2010-08-10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Dielectric material
US7675926B2 (en) 2004-05-05 2010-03-09 Cisco Technology, Inc. Hierarchical QoS behavioral model
WO2006098550A1 (en) 2005-02-04 2006-09-21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packet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N1949934B (zh) * 2005-07-19 2010-09-22 三星电子株式会社 通信系统中调度数据的装置和方法
US7920586B2 (en) * 2005-09-29 2011-04-05 Meshnetworks, Inc. System and method for selecting a medium access technique for transmitting packets over a network
US7558201B2 (en) 2005-12-01 2009-07-07 Nec Laboratories America, Inc. Measurement-based admission control for wireless packet data services
US8204005B2 (en) * 2006-03-09 2012-06-19 Intel Corporatio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for dynamic bidirectional aggregation of MAC frames with delayed channel access in a wireless network
JP4127709B2 (ja) * 2006-05-30 2008-07-30 株式会社東芝 無線通信装置及び送信制御方法
JP5091319B2 (ja) * 2007-08-21 2012-12-05 テレフオンアクチーボラゲット エル エム エリクソン(パブル) 無線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スケジューリン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1613B1 (ko) 2015-07-21 2016-12-01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분산 병렬 데이터 전송 시스템에서 자원들을 스케줄링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849396A (zh) 2010-09-29
JP5175360B2 (ja) 2013-04-03
KR101187828B1 (ko) 2012-10-08
EP2210375A2 (en) 2010-07-28
WO2009061794A3 (en) 2009-06-25
KR20120002554A (ko) 2012-01-05
KR101187826B1 (ko) 2012-10-09
US20090122717A1 (en) 2009-05-14
US8923157B2 (en) 2014-12-30
CN101849396B (zh) 2014-03-05
EP2247046A1 (en) 2010-11-03
WO2009061794A2 (en) 2009-05-14
TW200939706A (en) 2009-09-16
JP2011504327A (ja) 2011-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7826B1 (ko) 광대역 무선 통신 시스템들에서 qos 플로우들의 스케줄링
KR100831544B1 (ko) 서비스 품질의 측정치를 판정하여 사용자 장비로부터 기지국으로의 업링크 전송을 스케줄링하기 위한 방법 및 이에 대응하는 기지국, 사용자 장비 및 통신 시스템
JP4971444B2 (ja) 高速ダウンリンクパケットアクセス(hsdpa)チャネルのカバレージ向上
KR101019001B1 (ko) 스케쥴링 정보를 효율적으로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JP4397928B2 (ja) ワイヤレス通信ネットワークの資源を、ネットワークのチャネルを介してユーザ機器に送信すべきトラヒックに割り当てる方法
US9642156B2 (en) Transmitting radio node and method therein for scheduling service data flows
EP2918129B1 (en) Transmitting radio node and method for scheduling service data flows
US20090067335A1 (en) Congestion control in a transmission node
JP2008543134A (ja) 無線接続システムにおけるパケットをスケジューリングする方法
Radhakrishnan et al. A review of downlink packet scheduling algorithms for real time traffic in LTE-advanced networks
Monikandan et al. A review of MAC scheduling algorithms in LTE system
Esswie et al. Analysis of outage latency and throughput performance in industrial factory 5G TDD deployments
Yang et al. Traffic split scheme based on common radio resource management in an integrated LTE and HSDPA networks
Escheikh et al. Performance analysis of a novel downlink scheduling algorithm for LTE systems
US11153891B2 (en) Method for scheduling data by network node aggregated with LTE and Wi-Fi protocol stacks
Fiandrino et al. Pdcell: An end-to-end transport protocol for mobile edge computing architectures
Khalaf et al. Backhaul-Aware Scheduling for LWA with Energy-Throughput Tradeoff for an In-Order Packet Arrivals
Yerima et al. An enhanced buffer management scheme for multimedia traffic in HSDPA
Yerima et al. End-to-end QoS improvement of HSDPA end-user multi-flow traffic using RAN buffer management
Góra et al. 3GPP Mobile Communications: LTE/SAE and LTE‐A
Vulkán et al. Adaptive qos control in hsdpa systems
Iwamura et al. DiffServ-aware priority queuing improves IP QoS support on HSDPA
Li et al. Performance of enhanced proportional fair scheduling in HSDPA for multimedia service streaming
Al-Begain et al. Packet Scheduling and Buffer Management in HSDP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