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85963A - 쾌적한 보호 의복 - Google Patents

쾌적한 보호 의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85963A
KR20100085963A KR1020107009933A KR20107009933A KR20100085963A KR 20100085963 A KR20100085963 A KR 20100085963A KR 1020107009933 A KR1020107009933 A KR 1020107009933A KR 20107009933 A KR20107009933 A KR 20107009933A KR 20100085963 A KR20100085963 A KR 201000859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rment
layer
fabric
panel
functional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099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티모시 제이 스미스
Original Assignee
고어 엔터프라이즈 홀딩즈,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어 엔터프라이즈 홀딩즈,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고어 엔터프라이즈 홀딩즈,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000859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596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2Layered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4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 or use
    • A41D31/10Impermeable to liquids, e.g. waterproof; Liquid-repellent
    • A41D31/102Waterproof and breathabl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20Pockets; Making or setting-in pocke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00Overgarments
    • A41D3/02Overcoats
    • A41D3/04Raincoa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HAPPLIANCES OR METHODS FOR MAKING CLOTHES, e.g. FOR DRESS-MAKING OR FOR TAIL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1H43/00Other methods, machines or applianc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HAPPLIANCES OR METHODS FOR MAKING CLOTHES, e.g. FOR DRESS-MAKING OR FOR TAIL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1H43/00Other methods, machines or appliances
    • A41H43/04Joining garment parts or blanks by gluing or welding ; Gluing pr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0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Garment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Manufacturing Of Multi-Layer Textile Fabrics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 Glo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능층 및 기능층에 부착되고 복수의 직물(이 중 2 이상은 상이한 직물임)로 형성된 내부층을 갖는 의복 구조체 및 이로부터 제조된 의복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쾌적한 보호 의복{COMFORTABLE PROTECTIVE GARMENTS}
본 발명은 기능층 및 기능층에 부착되고 복수의 직물(이 중 2 이상은 상이한 직물임)로 형성된 내부층을 갖는 의복 구조체(garment construct) 및 이로부터 제조된 의복에 관한 것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의복 구조체 또는 이로부터 제조된 의복은 내층에 대향하는 기능층 면에 부착된 외부층을 구비한다.
보통 액체인 물이 침투할 수 있는 외부 보호층 및 외부 보호층의 내부에 부착된 방수 통기성 층을 구비하는 의복이 개시되어 왔다. 임의로, 이들 구조체에는 인접하지만 부착되지 않은 내부 라이너 직물이 제공된다.
의복은 또한, 일반적으로 시트로부터 컷팅된 다음 전형적으로 봉합에 의하여 솔기에서 함께 접합된 패턴 조각으로부터 형성되는 방수성 라이닝을 사용하여 제조되었다. 이러한 라이닝은 일반적으로 외부층의 내측에 대하여 느슨하게 배치된다. 그러나, 외부층 및 방수 라이닝 사이의 에어갭은 수증기 투과성 및 열전달을 감소시킨다. 또한, 모든 봉합된 솔기는 기능성 방수층의 표면에서 솔기에 솔기 테이프를 제공함으로써 방수처리되어야 한다.
의복의 패턴 조각을 컷팅하기 전에 기능성 방수층에 외피 재료를 부착시킨 의복이 개시되었다. 이 실시양태에서, 기능층은 아플리케에 필요한 솔기 및 장식적 솔기를 포함하는 외피 재료에 요구되는 만큼의 다수의 유공 솔기를 가져야 한다. 따라서, 이들 의복의 라이닝 면은 보기 싫고 신체와의 접촉시 마찰을 야기하며 신체에 대하여 비빌 경우 터질 수 있는 많은 솔기 봉합 테이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물품은 방수성, 수증기 투과성의 기능성 재료로 된 복수의 조각으로 이루어진 기능층 부분에 연속 또는 불연속 접착제 층을 통하여 부착된 외피 재료 부분을 포함하도록 개시되었다. 외피 재료 및 기능성 재료 복합재는 외피 재료 부분을 향하여 배향된 기능층 표면에 놓인 방수성 솔기 봉합 테이프에 의하여 각각 방수 처리된 바늘땀 솔기로 함께 접합된다.
발명의 개요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제1면 및 제2면을 갖는 기능층; 불균일 표면을 형성하는 복수의 상이한 직물 조각을 포함하는 내부 직물층; 및 상기 기능층의 제1면에 상기 내부 직물층을 고정시키는 불연속 접착제 층을 포함하는 의복(garment) 또는 의복 패널(garment panel)에 관한 것이다. 상기 내부 직물층의 상이한 직물 조각은 서로 인접하거나 적어도 서로 접촉하지 않는 부분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의복 또는 의복 패널은 상기 기능층의 제2면에 부착된 외부 직물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외부 직물층은 무봉형(seamless)이거나 또는 함께 인접하여 불균일 표면을 형성하는 복수의 상이한 직물 조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측면은 제1면 및 제2면을 갖는 기능층; 불균일 표면을 형성하는 복수의 상이한 직물 조각을 포함하는 내부 직물층; 및 상기 기능층의 제1면에 상기 내부 직물층을 고정시키는 불연속 접착제 층을 포함하는 의복 또는 의복 패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측면은 의복 구조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방법에서는, 제1면과 제2면 및 외부 둘레를 갖는 기능층을 제공한다. 이후 복수의 직물 조각(이 중 2 이상은 상이함)을 포함하는 내부 직물층을 불연속 접착제 층을 통하여 기능층의 제1면에 고정시켜 불균일 표면을 형성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이 방법은 기능층의 제2면에 외부 둘레를 갖는 외부 직물층을 고정시키는 것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측면은 의복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방법에서는, 제1면 및 제2면을 갖는 기능층이 제공된다. 외부 직물층을 기능층의 제2면에 부착시켜 겉감 또는 접착성 외피 재료 또는 적층체를 형성한다. 이어서 겉감 재료를 컷팅하여 의복 구조체를 형성한다. 2 이상이 상이한 복수의 직물 조각은 또한 의복 구조체의 내부층에 제공된다. 내부층 직물 조각을 컷팅하여 소정의 패턴을 형성한다. 이후 이들 내부층 직물 조각을 불연속 접착제 층에 의하여 겉감 의복 또는 의복 패널의 기능층의 제1면에 소정 패턴으로 부착시킨다. 이들 의복 구조체는 솔기를 통하여 합해져 완성된 의복을 형성한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의복 또는 의복 패널의 제조에 유용한 예시적인 접착성 외피에서 층들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도트 형태의 불연속 접착제 층을 먼저 박리층에 도포한 다음 기능층의 제1면에 옮긴 접착성 외피의 층의 측면도이다.
도 3은 접착성 외피 및 두 상이한 라이너 직물로 형성된 의복 구조체의 층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봉합된 포켓을 포함하고 내부 직물층으로 형성된 예시적 의복 부분의 층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복수의 상이한 직물 조각, 즉 단열재-충전 직물 및 제2 직물을 포함하는 내부 직물층을 사용하여 형성된 예시적 의복 또는 의복 패널의 층의 단면도이다.
도 6은 상이한 연신 특성을 갖는 직물 라이너를 사용하여 형성된 의복 또는 의복 일부의 평면도이다.
도 7은 상이한 통기성을 갖는 내부 직물 조각을 사용하여 형성된 의복 또는 의복 패널의 측면도이다.
도 8은 기능층을 갖는 접착성 외피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는 내부 직물층을 형성하는 복수의 상이한 직물 조각들을 갖는 의복 또는 의복 일부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다수의 상이한 직물을 포함하는 라이너에 접착성 외피를 고정시킴으로서 형성된 예시적인 솔기 봉합 의복 또는 의복 패널의 측면도이다.
도 10은 드로스트링(drawstring) 터널의 횡단면을 도시한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은, 의복 제조에 있어 디자인 자유성이 개선된, 지속적으로 방수성이고 고도로 통기성인 다층 의복 구조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이들 의복 구조체 및 이로부터 의복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접착성 외피"는 내부 라이닝 또는 다른 층에 본딩될 수 있는 1 이상의 직물 또는 비직물 재료를 의미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접합성 외피는 기능층 및 접착제를 더 포함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의복 구조체"는 조립시 완성된 의복을 구성하는 직물 적층체의 하나 또는 복수의 접합된 패널을 의미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직물 적층체"는 기능층에 부착된 직물 또는 복수의 직물 조각을 의미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직물"은 임의의 직조, 부직, 펠트, 니트, 천연 섬유 재료, 합성 섬유 재료이며 가죽, 비닐 또는 의복 구성에 유용한 다른 보호 재료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상이한 직물 조각"은 재료 함량, 두께, 통기성, 방수성, 단열성 및 기타 측정 가능한 직물 특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 상이한 직물 특성을 나타내는 2 이상의 직물 조각을 의미한다. 복수의 상이한 직물 조각은 2 이상이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불균일 표면"은 2 이상의 상이한 직물 조각의 접합에서 기인하는 표면 형태를 의미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불연속 접착제"는 접착제가 기능층 직물 또는 직물층의 소정 면을 완전히 커버 또는 코팅하지 않는 임의의 방식으로 배치됨을 의미하며, 구분된 접착제 도트, 접착제 라인, 접착제 그리드 패턴, 랜덤 접착제 패턴 또는 기능층의 임의의 두 인접 본딩점 사이의 최대 거리가 2 cm 미만이 되도록 제1 면에 내부 직물 조각을 접착시키는 임의의 다른 배열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딩점의 근접성은 접합층 사이에 긴밀한 접촉을 보장한다.
본 발명의 의복의 제조에 유용한 의복 구조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의복 또는 의복 패널은 기능층을 포함한다. 기능층(7)은 바람직하게는 방수성 또는 방수 통기성인 1 이상의 재료를 포함하며, 기능층(7)은 단일 재료 또는 재료들의 조합일 수 있다. 기능층에 존재할 수 있는 재료의 예는 미세공성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멤브레인, 치밀 PTFE 또는 폴리우레탄과 같은 보호 코팅으로 코팅된 PTFE 멤브레인 또는 폴리올레핀 필름, 폴리우레탄 필름, 실리콘 및 실리콘-함유 필름,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다른 불소중합체 함유 필름, 예컨대 스카이브 PTFE 및 불화 에틸렌 프로필렌(FEP), 복합재 배리어 멤브레인, 미세공성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멤브레인을 갖는 복합재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기능층(7)은 바람직하게는 무봉형 층이거나 또는 의복 구조체의 겉감 또는 내부층보다 더 적은 조각으로 되어 필요한 솔기 봉합을 감소시킨 멤브레인 층이다.
본 발명의 의복 또는 의복 패널은 내부 직물층을 더 포함한다. 내부 직물층은 복수의 직물 조각을 포함하며, 이 중 2 이상은 상이하여 불균일 표면을 형성한다. 이러한 층에 유용한 상이한 직물 조각의 예는 직물, 예컨대 가벼운 니트, 무거운 니트, 플리스, 직조물, Primaloft® 단열재와 같은 배팅, 또는 퀼트를 포함하거나 포함하지 않는 다운필 배플 챔버, 다른 단열성 재료 및 발포체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내부 직물층의 상이한 직물 조각은 서로 인접하거나 또는 서로 접촉하지 않을 수 있다. 의복 또는 의복 패널의 내부층은 기능층의 전부 또는 일부를 커버할 수 있다.
본 발명 의복 구조체의 내부층에 상이한 직물 조각을 사용할 수 있는 것은 의복의 제조시 의복에 통합되는 통기성, 연신성, 보온성, 부드러움 및/또는 심미성의 목표 분야에 있어서 더 유연하고 멋진 디자인의 의복을 제공한다.
의복 또는 의복 패널은 내부 직물층을 기능층의 제1면에 부착시키는 불연속 접착제(10) 층을 더 포함한다. 의복 또는 의복 패널의 상기 불연속 접착제(10) 층은 바람직하게는 재용융성 접착제이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접착제는 불연속 또는 연속 패턴으로 도포될 수 있다. 연속 접착제 패턴이 사용될 경우 통기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접착제는 통기성이어야 한다. 불연속 접착제(10) 패턴이 사용될 경우, 접착제(10)는 통기성이거나 또는 비통기성일 수 있다. 고온 용융될 수 있는 접착제 도트의 불연속 패턴은 다양한 방법으로 적용될 수 있으므로, 레올로지 특성이 적용 방법 및 최종 용도에 요구되는 것에 부합하도록 특정 고온 용융 접착제를 선택하여야 한다. 예컨대, 의복 용도에서, 핫멜트 접착제는 가정에서의 세탁, 가정에서의 건조, 드라이 클리닝 및 다림질과 같은 소비자의 의복 가열 사이클의 온도보다 더 높은 재용융 온도를 가져야 한다. 또한, 핫멜트 접착제는 직물에 대한 손상(예컨대, 광택, 화학적 분해, 염료 전이 또는 색상 변화)을 최소화하기에 충분히 낮은 재용융 온도를 가져야 한다. 이들 온도 상한 및 하한을 고려하여, 핫멜트 접착제의 연화점은 170℉ 내지 350℉인 것이 이상적이다. 이러한 용도에 적합할 수 있는 용융성 폴리우레탄 접착제는 미국 특허 4,814,412호에 따라 제조되거나 또는 Bostick, Noveon 및 기타 폴리우레탄 접착제 공급자와 같은 여러 공급자로부터 시중에서 구입할 수 있다.
일 실시양태에서, 의복 또는 의복 패널은 기능층의 제2면에 부착되는 외부 직물층(15)을 더 포함한다. 외부 직물층의 예는 직포, 니트, 부직포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외부 직물층(15)은 의복 또는 의복 패널의 무봉형 층이거나 또는 함께 인접하여 불균일 표면을 형성하는 복수의 상이한 직물 조각을 포함할 수 있다. 의복 또는 의복 패널의 기능층(7) 및 외부 직물층(15)은 바람직하게는 기능층(7)의 외부 둘레와 외부 직물층(15)의 외부 둘레가 서로 일치하도록 정렬된다.
본 발명의 의복 또는 의복 패널은 바람직하게는 경중량이고 방수성이며 통기성이고 의복 내부도 외부도 심미적으로 보기 좋은 간단하고 멋진 의복의 제조에 유용하다. 내부층에 상이한 직물 조각들을 사용할 수 있으면 예컨대 다운필 배플, 폴리에스테르 배팅 단열재, 플리스, 가벼운 니트, 무거운 니트, 직조물의 상이한 직물 부분의 사용을 통해 및/또는 직물을 전혀 사용하지 않고 통기성 및/또는 보온성의 목표 분야에서 의복 제조의 융통성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의복 또는 의복 패널은 또한 특정 기능 영역을 갖는 의복의 제조에 유용하다. 예컨대, 내부 직물층은 의복 또는 의복 패널 및/또는 완성된 의복에 낮은 윅킹을 제공하기 위하여 선택된 영역에 위치되는 저-윅킹(low-wicking) 특성의 상이한 직물 조각을 포함할 수 있다. 슬리브 커프, 의복 단 및 칼라 부분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 의복 개구부 주위에서는 낮은 윅킹이 바람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변형에서는, 겨드랑이 및 다른 높은 발한 부위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 특정 부위에서 냄새가 억제되는 의복을 얻도록 항균제 또는 방취제를 함유하는 내부 직물 조각들을 내부 직물층에 통합시킬 수 있다.
또다른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의복 구조체에 가변 연신 특성을 부여하는 데 유용할 수 있다. 내부 직물층의 부분으로서 연신 직물 조각을 제공함으로써, 의복 구조체에 상이한 연신 특성을 갖는 의복 또는 의복 패널이 제조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디자이너는 일부 영역에 종방향 연신, 다른 영역에 횡방향 연신, 또 다른 영역에 양방향 연신 및 또 다른 영역에 불연신을 갖는 보호 의복을 제조할 수 있다. 따라서, 보호층에 솔기(23)의 사용 없이 다양한 영역 연신을 갖는 보호 의복을 제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의복의 내부층을 의복의 겉감과 무관하게 의복의 완성된 라이닝에 조립시킬 수 있다. 이에 대한 이점은 라이닝 및 겉감을 이후 서로 상대적으로 접촉시킬 수 있고 열과 압력을 사용하여 겉감에 라이너를 셋팅할 수 있다는 것이다. 방수성 또는 방액성 솔기(23) 및 주문 제작할 수 있는 라이닝을 갖는 의복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는 것이 놀라운 결과이다. 다른 이점은 쾌적성/단열성의 내부 맵핑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낮은 마모 특성 및 높은 마모 특성을 갖는 재료를 사용하는 것에 의한 의복 외부의 성능 맵핑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의복 또는 의복 패널의 제조에 유용한 예시적 접착성 외피(5) 중의 층의 측면도이다. 이 실시양태에서, 접착성 외피(5)는 기능층(7)의 제2면(9)에 부착된 외부 직물층(15)을 포함한다. 이 실시양태에서는, 복수의 직물(이 중 2 이상은 상이함)을 갖는 내부 직물층을 더 부착시키기 위해 기능층(7)의 제1면에 도트 형태의 불연속 접착제(10) 층을 도포한다.
도 2는 접착성 외피(5)의 제조 방법 및 층의 측면도로서, 여기서 불연속 접착제(10) 층은 도트로서 도시되고 먼저 박리층(17)에 도포된 다음 기능층(7)의 제1면(8)으로 옮겨지고, 상기 기능층의 제2면(9)은 임의로 외부 직물층(15)에 부착된다. 박리층은 불연속 접착제가 기능층에 부착된 후 제거된다.
도 3은 내부 직물층(20)을 부착시키는 데 유용한 불연속 접착제(10)를 갖고 외부 직물층(15) 및 기능층(7)을 포함하는 예시적 접착성 외피(5)의 층의 측면도이다. 이 실시양태에서는, 복수의 상이한 직물 조각으로 이루어진 내부 직물층(20)을 불연속 접착제(10)를 통하여 기능층(7)의 제1면(8)에 부착시킨다.
도 4는 봉합된 포켓(22)을 포함하고 내부 직물층(20)으로 형성된 예시적인 의복 부분의 층의 측면도이다. 이후 내부 직물층(20)을 불연속 접착제(10)를 통하여 기능층(7)의 제1면에 부착시킨다. 접착제 도트를 갖는 기능층 및 외부 직물층(15)을 접합시켜 접착성 외피(5)를 형성한다. 이러한 의복 또는 의복 패널의 구성에 의하면 포켓(22)을 내부 직물층에 봉합시킨 다음 기능성 또는 방액성 멤브레인 층에 침투하는 스티치(21)가 필요 없이 이것을 접착성 외피(5)에 접합시킬 수 있다.
도 5는 복수의 상이한 직물 조각, 즉 단열재-충전 직물(18) 및 제2 직물(19)로 이루어지는 내부 직물층(20)을 사용하여 형성된 의복 또는 의복 패널의 층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단열재-충전 직물(18)은 다수의 단열재-충전 챔버(24)를 갖도록 형성된다. 챔버(24)는 단열재를 수용하기 위하여 박거나, 붙이거나 또는 용접될 수 있는 솔기(23)를 갖는 2 이상의 유사 또는 비유사 직물로 형성된다. 이후 단열재-충전 라이너를 불연속 접착제(10)를 통하여 기능층(7)의 일면에 부착시킴으로써 챔버를 형성하기 위하여 사용된 솔기가 기능층(7)에 침투하는 것을 회피하고 접착성 외피(5)에 챔버 라이너를 통합시켜 소정의 의복 또는 의복 패널을 형성한다.
도 6은 상이한 연신 특성을 갖는 직물(19)을 사용하여 형성된 내부 직물층(20)을 갖는 예시적인 의복 또는 의복 일부의 평면도이다. 직물층을 형성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상이한 직물 조각을 얻기 위해 비연신 직물 및 연신 직물을 통합함으로써, 상이한 연신량 및 상이한 연신 배향을 갖는 내부 직물 라이너를 제조할 수 있다. 이 실시양태에서 형성된 내부 직물층(20)을 이후 불연속 접착제(10)를 통하여 기능층(7)의 제1면에 부착시킴으로써 기능층의 침투를 회피한다. 기능층은 외부 직물층(15)에 본딩된 것으로 도시된다.
도 7은 각각 상이한 공기 투과율을 갖는 직물 조각을 갖는 내부 직물층(20)을 구비하여 형성된 예시적 의복 또는 의복 패널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직물층의 형성에 사용되는 상이한 직물 조각으로서 저 공기 투과성 직물 및 고 공기 투과성 직물을 통합함으로써, 내수성 멤브레인 배리어 또는 기능층(7) 및 외부 직물층(15)에 고정되는 상이한 공기 투과율을 갖는 영역을 포함한 내부 직물 라이너가 생성되어 상이한 공기 투과성 영역을 갖는 의복 또는 의복 부분을 형성한다.
도 8A 및 8B는 기능층을 갖는 접착성 외피(5)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는 내부 직물층(20)을 형성하는 복수의 상이한 직물 조각을 갖는 예시적인 의복 또는 의복 부분의 도면이다. 특정 의류에서는 접착성 외피(5)의 반 이상이 내부 직물층(20)으로 커버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도 8은 접착성 외피(5)의 대략 70%가 내부 직물층으로 커버된 실시양태를 예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의복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접착성 외피(5)는 롤로서 또는 시트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의복 구조체는 접착성 외피(5) 적층체로부터 형성된다. 내부 직물층을 위해 롤에 2 이상의 상이한 직물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어서 상이한 직물 조각들은 소정의 내부 직물로 조립된다. 내부 직물층이 고정되는 겉감 의복 구조체는 내부층 구성과 무관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와는 다르게, 패널이 의복 또는 물품을 형성하는 최종 형태로 조립될 수 있도록, 적어도 내부 직물층 및 외부 직물층을 포함하는 패널을 구성할 수 있다. 임의로, 직물층은 보더 부근 또는 보더 부분에서 봉합되지 않고 남아 있어 보더 상에 봉합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방수성 의복 구성을 위하여, 솔기 테이프를 의복 구조체의 접합부에 봉합 영역에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구성 모델의 이점은 외부 디자인과 분리된 내부 디자인을 창출하는 바람직성을 포함한다. 솔기 테이프가 덜 필요하며 이것은 임의의 소정량의 라이너 조각에 대한 최종 의복에서 중량이 더 가벼워지고 부피가 덜 나가게 된다.
도 9는 다수의 상이한 직물을 포함하는 라이너 또는 내부 직물층(20)에 접착성 외피(5)를 고정시킴으로써 형성된 예시적인 솔기 봉합 의복 또는 의복 패널의 측면도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접착성 외피(5)를 봉합한 다음 솔기 봉합 보강물(26) 또는 테이프를 솔기(23) 상에 적용하였다. 내부 직물층(20)이 솔기 테이프에 중첩하고 이웃하는 내부 직물층(20)에 인접하게 접합됨으로써 내부 직물층을 볼 때 솔기 테이프가 보이지 않도록 (접착제를 사용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직물층(20)을 고정하였다. 이러한 구성 기술은 내부 직물층(20) 쪽에서 볼 때 솔기 봉합 수단이 보이지 않는 솔기 봉합 물품의 제조를 가능하게 한다.
도 10은 의복의 내부에 드로 코드(100)를 위한 드로 코드 터널 및 포켓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 악세사리를 확보하기 위해 유용한 수단을 도시한다. 악세사리(예컨대, 포켓(22) 또는 드로 코드 터널 등)를 직물 조각(19)에 고정시키고 이어서 이 내부 직물 조각을 내부 직물층에 통합시킴으로써, 악세사리를 의복 구조체의 내부 직물층에 (여기 도시된 바와 같이 스티치(21)를 통하여) 내부 직물층(20)을 구성하는 복수의 상이한 직물 조각의 하나로서 고정할 수 있다. 이어서 내부 직물층(20)을 불연속 접착제(10) 도트를 통하여 접착성 외피(5)의 적어도 일부에 접착시킨다. 접착성 외피는 바람직하게는 적층 접착제(150)를 통하여 외부 직물층(15)에 적층되는 기능층(7)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기능층의 어느 한 쪽에 악세사리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통한 악세사리 부착에 의하면 직물 적층체에 악세사리를 봉합하기 위하여 종래 사용될 수 있었던 임의의 스티칭이 솔기 봉합에 필요하지 않다. 또한, 내부 직물층(20)의 보강성으로 인하여 기능층에 직접 부착되는 경우보다 악세사리가 더 큰 내구성을 가질 수 있다.
테스트
수터(Suter) 방액성 솔기 테스트
보호 배리어 직물 또는 보호 배리어 직물로부터 제조된 의복의 솔기가 방수성인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수터 테스트 절차를 사용하는데, 이것은 일반적으로 ISO 811-1981의 개시를 기초로 한다. 이 절차는 테스트 샘플의 한 쪽에 물을 강제로 투입하고 물이 샘플을 통해 침투한 증거를 다른 쪽에서 관찰함으로써 테스트할 샘플에 저압 챌린지를 제공한다.
직경 3 인치(7.62 cm)의 샘플 영역에 물이 도포될 수 있도록 봉합된 솔기 테스트 샘플을 클램핑하여 샘플을 유지하는 고정부의 고무 개스킷 사이에서 봉합한다. 샘플의 한 쪽에 1 psig(0.07 bar)의 공기압 하에 물을 적용한다. 직물 적층체 테스트에서, 겉면 또는 외면에 물을 적용한다. 봉합된 솔기의 테스트에서, 샘플의 겉면에 물을 도포하고 반대면 또는 솔기 이면층에서 누수를 관찰한다.
3분 동안 솔기 에지에서 (액적의 출현 또는 윅킹에 의한) 물 출현의 임의의 신호에 대하여 샘플의 반대쪽을 육안으로 관찰한다. 물이 관찰되지 않을 경우, 샘플은 테스트를 통과하며 방액성인 것으로 간주된다.
솔기 지속적 방액성 테스트
방액성 솔기의 지속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솔기 샘플을 일반적으로 ISO 6330:1984 절차 3B호에 개요된 조건에 따라 세척하고 건조시킨다. 구체적으로는, 샘플을 90 g의 TIDE® 분말형 세탁 세제를 사용하여 4 파운드(약 2 Kg) 로드의 세탁으로 중수 레벨(18 갤론 또는 이에 상당하게 0.0681 m3), 열수 온도(140℉ 또는 상당치 6O℃), 온수 헹굼 사이클 및 10분으로 설정된 집중 세탁 사이클로 셋팅된 탑로딩 세탁기에 로딩한다. 이어서 35∼45분 건조 시간 동안 고온 세팅에서 회전 건조기에서 로딩을 건조시킨다. 이 세척/건조 방식을 5회 반복한다.
이어서 솔기 샘플을 상기 개시된 솔기 방액성에 대한 Suter 테스트로 테스트하였다. 테스트시 물이 관찰되지 않으면, 샘플은 테스트를 통과하며 지속적 방액성인 것으로 간주된다.
수증기 투과 테스트
방수성 수증기 투과성 멤브레인에 대한 개방 공극 ePTFE 및 염으로서 아세트산칼륨을 사용하는 미국 특허 4,862,730호에 개시된 절차를 사용하여 수증기 투과율(MVTR)을 측정하였다. 이들 멤브레인의 공칭 다공도는 75% 내지 80%였고, 평균 공극 크기는 0.2 ㎛였으며, 두께는 약 0.04 mm였다. 50% 상대 습도 환경을 유지하였다. 수조를 23 ± 0.5℃로 유지하였다. 샘플을 3" (약 7.5 cm) 직경의 플라스틱 후프에 제한하고 직조된 겉감이 앞으로 오도록 배스 상에 두었다. 플라스틱 후프를 사용하는 목적은 샘플의 임의의 버클링을 회피하는 것이었다. 샘플을 약 15분 동안 상부에 염 컵을 구비한 배스 내에서 상태조절한 다음 테스트를 개시하였다. MVTR 수를 g/m2/일 단위로 기록하였다.
이하의 비제한적인 실시예는 본 발명을 더 예시하기 위하여 제공된다.
실시예
실시예 1:
수증기 투과성이 상이한 복수의 상이한 직물을 갖는 라이너층을 구비한 무봉형 의복 또는 의복 패널을 하기 방식으로 형성하였다:
직물층에 적층된 기능층으로서 복합 배리어 멤브레인을 포함하는 2층 직물 적층체를 형성하였다. 이 예시적 실시양태에서, 복합 배리어 멤브레인은 ePTFE 상의 수증기 투과성 비공질 폴리우레탄을 사용하여 미국 특허 4,194,041호에 따라 제조된, 폴리우레탄으로 코팅된 미세공성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멤브레인의 복합재였다. 이 멤브레인의 한 쪽을 복수의 수분 경화성 폴리우레탄 접착제 도트를 사용하여 m2당 약 100 g의 중량을 갖고 두께가 약 0.4 mm인 폴리에스테르 직물층에 적층하였다. 상기 멤브레인의 다른 쪽은 복수의 도트를 사용하여 불연속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접착제(10)로 코팅하였다. 이어서 약 0.6 m x 0.6 m의 대략적인 치수를 갖는 제1 패널을 이러한 접착제(10)로 지지된 적층체로부터 컷팅하였다.
0.306 m x 0.3 m의 대략적인 치수를 갖는 제2 패널을 m2당 약 160 g의 중량을 갖고 두께가 약 1.3 mm인 폴리에스테르 플리스 직물로부터 컷팅하였다.
0.306 m x 0.3 m의 대략적인 치수를 갖는 제3 패널을 m2당 약 80 g의 중량을 갖고 두께가 약 0.2 mm인 폴리에스테르 트리코 니트 직물로부터 컷팅하였다.
이어서 각 에지에서 Sonobond 초음파 용접기(Model No. SM86, 미국 펜실베이니아주 소노본드)를 사용하여 패널 에지로부터 6 mm에서 직선으로 초음파 용접하여 제2 패널 및 제3 패널을 접합시켜 제4 패널을 형성한다.
이어서 제1 패널 및 제4 패널의 에지가 일치하도록 제1 직물 적층체 패널의 열가소성 접착제(10) 쪽에 두 구분된 영역으로 이루어지는 제4 패널을 배치하였다. 이 패널을 대형 히트 프레스(Maxipress Automatic Air Operated Large Format Press, Model MAXI-3048AP, 미국 메사추세츠주 브록톤 소재 Geo Knight and Co Inc사)에 두고 165℃에서 2분 동안 압착하여 라이너 쪽에 두 구분된 상이한 직물을 갖는 하나의 무봉형 의복 또는 의복 패널을 제조하였다. 이어서 이러한 시트의 각 직물 영역을 수증기 침투 테스트에 의하여 테스트하였더니, 2개의 뚜렷한 수증기 침투 영역을 갖는 것으로 밝혀졌다.
실시예 2:
수증기 투과성이 상이한 복수의 상이한 직물을 갖는 라이너층, 복합재 멤브레인 베리어를 포함하는 기능층(7) 및 봉합 영역을 구비한 무봉형 의복 또는 의복 패널을 실질적으로 실시예 1에 개시된 바와 같은 방식으로 형성하되, 이하를 예외로 하였다:
제2 패널은 0.289 m x 0.283 m의 대략적인 치수를 갖도록 형성되었다.
제3 패널은 0.289 m x 0.283 m의 대략적인 치수를 갖도록 형성되었다.
제1 및 제4 패널의 에지가 일치하지 않도록 제1 직물 적층체 패널의 열가소성 접착제(10) 면에 두 구분된 직물 영역으로 이루어지는 제4 패널을 배치하였다. 구체적으로, 제4 패널의 에지는 제1 패널의 에지로부터 17 mm이고, 본원에서 봉합 영역이라 불리는 본딩 패널의 주위에 17 mm 폭으로 제1 패널의 복합재 배리어 멤브레인의 노출 영역을 남긴다. 이후 이 시트의 각 직물 영역을 수증기 투과성 테스트에 의하여 테스트하였더니 두 구분된 수증기 투과성 영역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3:
수증기 투과성을 달리한 복수의 상이한 직물을 갖는 라이너층을 구비한 두 의복 구조체 사이에 방수 솔기를 이하의 방식으로 형성하였다:
복합재 멤브레인 베리어를 포함하는 기능층(7) 및 각각 수증기 투과성을 달리한 복수의 상이한 직물을 갖는 두 무봉형 의복 구조체를 실시예 2에 개시된 방법으로 형성하였다.
이어서 cm당 5.1 스티치로 셋팅된 Juki 재봉기(Model No. DLN-415- 5, Juki Corporation, 일본 도쿄)를 사용하여 패널 에지로부터 6 mm에서 직선으로 박아 각 봉합 영역 중 하나에서 직물 적층체 패널들을 접합시킨 다음 시접을 4 mm 다듬어 얻어지는 2 mm 시접의 에지가 비봉합 영역에서 직물 적층체 패널의 에지로부터 4 mm 이상이도록 하였다.
솔기 테이프를 폴리우레탄 접착체(10)를 용융시키기에 충분한 온도로 가열하고 한 쌍의 압력 롤러의 닙에 테이프와 솔기를 통과시켜 기능층 표면에 테이프가 양호히 접착되도록 기능층(7) 표면에서 용융 접착제(10)를 압박함으로써, 고온 용융 폴리우레탄 접착제를 갖는 폭 22 mm의 솔기 테이프(미국 매릴랜드주 엘크톤 소재 W.L. Gore and Associates사에서 입수한 GORE SEAM® 솔기 테이프)를 봉합 영역에 적용하였다. 테이프 폭은 이것이 전체 봉합 영역을 커버하고 각 적층체 패널 상의 봉합 영역을 약 5 mm 초과하여 연장되는 정도의 폭이었다. 두 적층체 패널 사이에서 얻어지는 솔기를 수터 방액성 솔기 테스트를 이용하여 테스트하고 3분당 0.07 bar의 패스를 기초로 방액성인지를 확인하였다. 이어서 솔기에 대하여 방액성 적층체 지속성 테스트를 하고 세척한 후 샘플을 다시 0.07 bar/3 분 챌린지에 통과시켰다. 테스트 방법을 기술한 섹션이 필요한가? 그렇다면, 경계 특허로부터 인용할 수 있는가?
실시예 4:
방수성 의복 또는 의복 패널의 방액성을 갖지 않는, 한 쪽에 포켓이 봉합된 무봉형 방수성 의복 또는 의복 패널을 이하의 방식으로 형성하였다:
직물층에 적층된 복합재 베리어 멤브레인의 기능층(7)을 포함하는 2층 직물 적층체를 형성하였다. 복합재 베리어 멤브레인은, ePTFE 상의 수증기 투과성 비공질 폴리우레탄을 사용하여 미국 특허 4,194,041호에 따라 제조된, 폴리우레탄으로 코팅된 미세공성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멤브레인의 복합재였다. 이 멤브레인의 한 쪽을 복수의 수분 경화성 폴리우레탄 접착제 도트를 사용하여 m2당 약 100 g의 중량을 갖고 두께가 약 0.4 mm인 폴리에스테르 직물층에 적층하였다. 상기 멤브레인의 다른 쪽은 복수의 도트를 포함하는 불연속성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접착제(10)로 코팅하였다. 이어서 약 0.6 m x 0.6 m의 대략적인 치수를 갖는 제1 패널을 이러한 접착제(10)로 지지된 적층체로부터 컷팅하였다.
0.6 m x 0.6 m의 대략적인 치수를 갖는 제2 패널을 m2당 약 160 g의 중량을 갖고 두께가 약 1.3 mm인 폴리에스테르 플리스 직물로부터 컷팅하였다.
0.1 m x 0.15 m의 대략적인 치수를 갖는 제3 패널을 동이한 폴리에스테르 플리스 직물로부터 컷팅하였다.
이어서 cm당 5.1 스티치로 셋팅된 Juki 재봉기(Model No. DLN-415- 5, Juki Corporation, 일본 도쿄)를 사용하여 패널 에지로부터 6 mm에서 제3 패널의 주위 3 에지에서 직선으로 박아 제2 패널에 상기 제3 패널을 부착시켰다.
이어서 제1 패널 및 제3 패널의 에지가 일치하도록 제1 직물 적층체 패널의 열가소성 접착제(10) 쪽에 제3 패널을 배치하였다. 이 패널을 대형 히트 프레스(Maxipress Automatic Air Operated Large Format Press, Model MAXI-3048AP, 미국 메사추세츠주 브록톤 소재 Geo Knight and Co Inc사)에 두고 165℃에서 2분 동안 압착하여 플리스 쪽에 갖는 무봉형 방수성 패널을 제조하였다. 부착물을 갖는 얻어지는 적층체 패널을 수터 방액성 솔기 테스트를 이용하여 테스트하고 3분당 0.07 bar의 패스를 기초로 방액성인지를 확인하였다.
실시예 5:
방수성의 다운필 의복 또는 의복 패널을 이하의 방법으로 형성하였다:
직물층에 적측된 복합재 베리어 멤브레인의 기능층(7)을 포함하는 2층 직물 적층체를 형성하였다. 복합재 베리어 멤브레인은, ePTFE 상의 수증기 투과성 비공질 폴리우레탄을 사용하여 미국 특허 4,194,041호에 따라 제조된, 폴리우레탄으로 코팅된 미세공성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멤브레인의 복합재였다. 이 멤브레인의 한 쪽을 복수의 수분 경화성 폴리우레탄 접착제 도트를 사용하여 m2당 약 100 g의 중량을 갖고 두께가 약 0.4 mm인 폴리에스테르 직물층에 적층하였다. 상기 멤브레인의 다른 쪽은 복수의 도트를 포함하는 불연속성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접착제(10)로 코팅하였다. 이어서 약 0.6 m x 0.6 m의 대략적인 치수를 갖는 제1 패널을 이러한 접착제(10)로 지지된 적층체로부터 컷팅하였다.
0.6 m x 0.6 m의 대략적인 치수를 갖는 제2 패널을 m2당 약 80 g의 중량을 갖고 두께가 약 0.2 mm인 폴리에스테르 트리코 니트 직물로부터 컷팅하였다.
0.6 m x 0.6 m의 대략적인 치수를 갖는 제3 패널을 m2당 약 50 g의 중량을 갖고 두께가 약 0.15 mm인 나일론 "다운 프루프" 직물로부터 컷팅하였다.
이어서 cm당 5.1 스티치로 셋팅된 Juki 재봉기(Model No. DLN-415- 5, Juki Corporation, 일본 도쿄)를 사용하여 제2 패널 및 제3 패널 각 둘레를 부착시켜 제4 패널을 형성하되, 약 0.1 m 길이를 미봉합 둘레 부분으로 남겨 제2 패널 및 제3 패널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였다.
이어서 제2 패널 및 제3 패널 사이의 공간을 다운 페더로 채우고 두 패널 사이에 다운 페더를 함유하도록 둘레의 나머지 0.1 미터를 봉합하여 막았다.
이어서, 약 0.1 m의 간격을 두고, cm당 5.1 스티치로 셋팅된 Juki 재봉기(Model No. DLN-415- 5, Juki Corporation, 일본 도쿄)를 사용하여 이 새로운 패널을 통해 직선으로 스티치하여 다운필 배플을 형성하였다.
이어서, 제1 패널 및 제4 패널의 에지가 일치되도록 열가소성으로 한 트리코트 니트를 갖는 제1 적층체 패널의 열가소성 접착제(10) 쪽에 다운필 배플 제4 패널을 배치하였다. 이 패널을 대형 히트 프레스(Maxipress Automatic Air Operated Large Format Press, Model MAXI-3048AP, 미국 메사추세츠주 브록톤 소재 Geo Knight and Co Inc사)에 두고 165℃에서 2분 동안 압착하여 다운필 의복 구조체를 제조하였다.

Claims (31)

  1. (a) 제1면 및 제2면을 갖는 기능층;
    (b) 불균일 표면을 형성하는 복수의 상이한 직물 조각을 포함하는 내부 직물층; 및
    (c) 상기 기능층의 제1면에 상기 내부 직물층을 고정시키는 불연속 접착제 층
    을 포함하는 의복 또는 의복 패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직물층의 2 이상의 상이한 직물 조각은 서로 인접해 있는 것인 의복 또는 의복 패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직물층의 2 이상의 상이한 직물 조각은 서로 접촉하지 않는 것인 의복 또는 의복 패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층의 제2면에 부착된 외부 직물층을 더 포함하는 것인 의복 또는 의복 패널.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직물층은 무봉형(seamless)인 것인 의복 또는 의복 패널.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직물층은 서로 인접하여 불균일 표면을 형성하는 복수의 상이한 직물 조각을 포함하는 것인 의복 또는 의복 패널.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층 및 상기 외부 직물층은 각각 외부 둘레를 더 포함하는 것인 의복 또는 의복 패널.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층의 외부 둘레 및 상기 외부 직물층의 외부 둘레는 서로 일치하는 것인 의복 또는 의복 패널.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직물층은 상기 기능층의 일부를 커버하는 것인 의복 또는 의복 패널.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층은 방수성인 것인 의복 또는 의복 패널.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층은 통기성인 것인 의복 또는 의복 패널.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층은 무봉형인 것인 의복 또는 의복 패널.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불연속 접착제 층은 재용융 가능한 접착제인 것인 의복 또는 의복 패널.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불연속 접착제 층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는 박리지를 더 포함하는 것인 의복 또는 의복 패널.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박리지는 상기 불연속 접착제 층의 둘레 봉합 영역을 커버하는 것인 의복 또는 의복 패널.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직물층은 다운필 배플(down filled baffle)을 포함하는 것인 의복 또는 의복 패널.
  17. (a) 제1면 및 제2면을 갖는 기능층;
    (b) 불균일 표면을 형성하는 복수의 상이한 직물 조각을 포함하는 내부 직물층;
    (c) 상기 기능층의 제1면에 상기 내부 직물층을 고정시키는 불연속 접착제 층; 및
    (d) 불연속 접착제 층을 통하여 상기 기능층의 제2면에 부착되고, 인접하여 불균일 표면을 형성하는 복수의 상이한 조각을 갖는 외부 직물층
    을 포함하는 의복 또는 의복 패널.
  18. 제1항의 의복 또는 의복 패널을 포함하는 의복.
  19. 제18항에 있어서, 별도의 포켓을 더 포함하는 의복.
  20. 제17항의 의복 또는 의복 패널을 포함하는 의복.
  21. 제20항에 있어서, 별도의 포켓을 더 포함하는 의복.
  22. (a) 제1면 및 제2면을 갖는 방수 통기성 무봉형 기능층;
    (b) 단열재-충전 내부 직물층을 형성하는 단열재가 사이에 채워진 2 이상의 직물 조각;
    (c) 상기 기능층의 제1면에 상기 내부 직물층을 고정시키는 불연속 접착제 층; 및
    (d) 불연속 접착제를 통하여 상기 기능층의 제2면에 고정되는 외부 직물층
    을 포함하는 단열재-충전 의복.
  23. (a) 제1면과 제2면 및 외부 둘레를 갖는 기능층을 제공하는 단계; 및
    (b) 불연속 접착제 층을 통하여 상기 기능층의 제1면에 복수의 직물 조각을 포함하는 내부 직물층을 부착시켜 불균일 표면을 형성하는 단계(여기서, 내부 직물층의 2 이상의 직물 조각은 상이함)
    를 포함하는 의복 또는 의복 패널의 제조 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외부 둘레를 갖는 외부 직물층을 상기 기능층의 제2면에 불연속 접착제 층으로 고정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방법.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층 및 상기 외부 직물층 사이에 실질적으로 일치하는 외부 둘레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방법.
  26.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층은 불균일층을 형성하는 복수의 직물 조각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27.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직물층은 균일한 것인 방법.
  28.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직물층은 상기 기능층의 일부를 커버하는 것인 방법.
  29. (a) 제1면 및 제2면을 갖는 기능층을 제공하는 단계;
    (b) 상기 기능층의 제2면에 외부 직물층을 고정시켜 겉감 재료를 형성하는 단계;
    (c) 상기 겉감 재료를 컷팅하여 의복 패턴 조각을 형성하는 단계;
    (d) 상기 의복 패턴 조각을 솔기를 통해 접합시켜 겉감 의복 구조체를 형성하는 단계;
    (e) 의복의 내부층을 위한 복수의 직물 조각을 제공하는 단계(여기서, 상기 직물 조각 중 2 이상은 상이함);
    (f) 상기 내부 직물층 조각을 컷팅하고 봉합하여 소정의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및
    (g) 소정 패턴의 내부 직물 조각을 불연속 접착제 층을 통하여 겉감 재료의 기능층의 제1면에 부착시켜 완성된 의복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의복의 제조 방법.
  30. 제29항에 있어서, 내부 직물 조각을 열 및 압력에 의하여 겉옷에 접합시켜 완성된 의복을 형성하는 것인 방법.
  31. 제29항에 있어서, 겉옷의 1 이상의 솔기를 따라 솔기 테이프를 배치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인 방법.
KR1020107009933A 2007-10-05 2008-09-16 쾌적한 보호 의복 KR2010008596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867,921 US20090089911A1 (en) 2007-10-05 2007-10-05 Comfortable Protective Garments
US11/867,921 2007-10-0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5963A true KR20100085963A (ko) 2010-07-29

Family

ID=400922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9933A KR20100085963A (ko) 2007-10-05 2008-09-16 쾌적한 보호 의복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20090089911A1 (ko)
EP (1) EP2200462A2 (ko)
JP (1) JP2010540793A (ko)
KR (1) KR20100085963A (ko)
CN (1) CN101815447A (ko)
CA (1) CA2701064C (ko)
WO (1) WO2009048504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800491A4 (en) * 2012-01-06 2016-01-20 Amer Sports Canada Inc THERMAL INSULATION STRUCTURE AND PRODUCTS MANUFACTURED THEREFROM
US11606992B2 (en) 2012-04-18 2023-03-21 Nike, Inc. Vented garment
US10111480B2 (en) 2015-10-07 2018-10-30 Nike, Inc. Vented garment
US9392825B2 (en) * 2012-04-18 2016-07-19 Nike, Inc. Cold weather vented garment
CN102631034B (zh) * 2012-04-23 2014-06-25 杭州笑雪服饰有限公司 一种羊绒、羊毛衫保暖内衣制作方法
US9586435B2 (en) * 2013-10-08 2017-03-07 Paul Weedlun Performance fabric appliqués
CN106715115A (zh) * 2014-06-11 2017-05-24 约瑟夫·柯利瑞·道凯蒂 层压材料
US9717289B1 (en) * 2014-06-27 2017-08-01 Spanx, Inc. Garments having targeted compressive area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the same
TWI592532B (zh) * 2015-05-13 2017-07-21 立紡實業有限公司 防絨雙層織物
US9982370B2 (en) 2015-05-13 2018-05-29 Hop Pin Enterprise Co., Ltd Down-proof double-layer fabric
US11406148B2 (en) 2015-10-07 2022-08-09 Nike, Inc. Vented garment
CN105544060A (zh) * 2016-01-29 2016-05-04 上海仪耐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嵌入式缝合三维防弹织物
KR102136668B1 (ko) 2016-02-03 2020-07-23 더블유.엘. 고어 앤드 어소시에이트스, 인코포레이티드 텍스처 가공된, 통기성의 텍스타일 라미네이트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의류
US10595570B1 (en) 2016-03-10 2020-03-24 Under Armour, Inc. Apparel with body mapped waterproof-breathable portions
US11019865B2 (en) 2016-10-06 2021-06-01 Nike, Inc. Insulated garment
US10743596B2 (en) 2016-10-06 2020-08-18 Nike, Inc. Insulated vented garment formed using non-woven polymer sheets
US10519349B2 (en) 2017-09-18 2019-12-31 Bemis Associat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forming and using an adhesive tape
US11690417B2 (en) 2018-10-03 2023-07-04 Nike, Inc. Woven breathable textile
CN109674124A (zh) * 2019-03-01 2019-04-26 李宁(中国)体育用品有限公司 应用无缝点胶工艺的服装及制作方法
TWI784351B (zh) * 2019-11-25 2022-11-21 美商北面服飾公司 包括具有膜之複合材料的遮護物
CN116056883A (zh) * 2020-09-04 2023-05-02 北面服饰股份有限公司 可透气挡板
JP7279111B2 (ja) 2021-06-21 2023-05-22 デサントジャパン株式会社 積層布地製造方法
KR102431765B1 (ko) * 2021-08-24 2022-08-16 (주)브리즈텍스 투습방수성 의류의 일괄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투습방수성 의류

Family Cites Families (8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646569A (en) * 1951-06-29 1953-07-28 Western Garment Company Apparel garment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US3219514A (en) * 1952-11-21 1965-11-23 Otto George Johan Stru Roysanc Heat insulating textile material and method of making same
US2855005A (en) * 1953-06-23 1958-10-07 Kufner Georg Interlining fabric for wearing apparel
US2781820A (en) * 1953-08-05 1957-02-19 Celanese Corp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insulating laminates and product
US3026225A (en) * 1957-09-09 1962-03-20 Us Rubber Co Waterproof garment and method of making
DE6920948U (de) * 1969-05-23 1969-11-27 Winkler Greiff Werke Sakko
JPS4817018U (ko) * 1971-06-08 1973-02-26
US3771170A (en) * 1972-07-17 1973-11-13 G Leon Inflatable insulating material
US3812540A (en) * 1972-09-11 1974-05-28 R Pagano Form fitting coat construction
US4076881A (en) * 1975-09-02 1978-02-28 Sanyo Shokai Ltd. Interlining structure for apparel and method for its production
US4136222A (en) * 1977-04-18 1979-01-23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Thermally insulating sheet material
US4194041A (en) * 1978-06-29 1980-03-18 W. L. Gore & Associates, Inc. Waterproof laminate
FR2516950B1 (fr) * 1981-11-26 1985-10-11 Picardie Lainiere Perfectionnement aux etoffes de renfort a base tricotee pour entoilages de vetements, procedes de fabrication et applications a la constitution d'entoilages
GB2125734B (en) * 1982-02-12 1986-01-15 Arthur L Fingerhut A composite insulation material
FI73011C (fi) * 1983-09-12 1987-08-10 Lasse Liukko Foerfarande foer tillverkning av en soem.
US4569874A (en) * 1985-04-17 1986-02-11 Lawrence Kuznetz Sportswear fabric for cold climates
US4734306A (en) * 1986-06-26 1988-03-29 Burlington Industries, Inc. Cold weather garment with skin foam and method of making same
US4807303A (en) * 1986-07-14 1989-02-28 Burlington Industries, Inc. Protective clothing system for cold weather
US4737396A (en) * 1987-02-04 1988-04-12 Crown Textile Company Composite fusible interlining fabric
US4739522A (en) * 1987-02-18 1988-04-26 Burlington Industries, Inc. Cold weather garment with improved buoyancy
US4761324B1 (en) * 1987-06-24 1991-05-07 Elastic,laminated,water-proof,moisture-permeable fabric
US4868928A (en) * 1987-10-21 1989-09-26 W. L. Gore & Associates, Inc. Windproof weather-resistant lined garment material
US4816328A (en) * 1987-11-13 1989-03-28 W. L. Gore & Associates, Inc. Breathable, non-linting laminate
US4783858A (en) * 1987-12-14 1988-11-15 Chevalier Jack W Sweater having windbreaking characteristics
US4814412A (en) * 1987-12-17 1989-03-21 W. L. Gore & Associates, Inc. Two component polyurethane system for casting expanded polytetrafluoroethylene
US4946453A (en) * 1988-04-14 1990-08-07 Monson Demetrius A Weight reducing athletic garment
US4843646A (en) * 1988-04-18 1989-07-04 Grilliot William L Firefighter's garments having enhanced flexibility and minimum weight
AU3586589A (en) * 1988-06-13 1989-12-14 W.L. Gore & Co., Gmbh Wearing apparel with ventilation material
US4862730A (en) * 1988-10-03 1989-09-05 W. L. Gore & Associates, Inc. Test method for determination of moisture vapor transmission rate
FR2637919B1 (fr) * 1988-10-14 1991-06-28 Picardie Lainiere Textile composite anti-feu impermeable vetement et siege comportant un tel textile
US4897886A (en) * 1988-11-30 1990-02-06 Grilliot William L Firefighter's garments having minimum weight and excellent protective qualities
US5063101A (en) * 1988-12-23 1991-11-05 Freudenberg Nonwovens Limited Partnership Interlining
FR2644043B1 (fr) * 1989-03-08 1992-03-20 Picardie Lainiere Textile thermocollant destine a l'entoilage et son procede de fabrication
US4935287A (en) * 1989-08-30 1990-06-19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Stretchable laminate constructions
US5001781A (en) * 1989-10-16 1991-03-26 Grilliot William L Firefighter's garments having enhanced thermal insulation while having minimum weight
US5268212A (en) * 1989-10-17 1993-12-07 Malden Mills Industries, Inc. Windproof and water resistant composite fabric with barrier layer
US5204156A (en) * 1989-10-17 1993-04-20 Malden Mills Industries, Inc. Windproof and water resistant composite fabric with barrier layer
FR2673207B1 (fr) * 1991-02-25 1994-07-22 Picardie Lainiere Doublure composite anti-feu de vetement.
US5150476A (en) * 1991-03-22 1992-09-29 Southern Mills, Inc. Insulating fabric and method of producing same
US5413837A (en) * 1992-06-30 1995-05-09 Malden Mills Industries, Inc. Three-dimensional knit fabric
US5415924A (en) * 1993-02-05 1995-05-16 Aquatic Design Waterproof, breathable fabric for outdoor athletic apparel
US5499663A (en) * 1993-03-12 1996-03-19 Marcanada Inc. Textile material for inner lining of firefighter protective garment
US5924134A (en) * 1993-09-10 1999-07-20 Lion Apparel, Inc. Protective garment with apertured closed-cell foam liner
US5640718A (en) * 1993-11-12 1997-06-24 Lion Apparel, Inc. Firefighter garment with combination facecloth and moisture barrier
CA2116081C (en) * 1993-12-17 2005-07-26 Ann Louise Mccormack Breathable, cloth-like film/nonwoven composite
CA2116996C (en) * 1994-03-04 1998-08-18 Ronnie Reuben Thin down-fill inner lining fabric and method of manufacture
US5593754A (en) * 1994-04-04 1997-01-14 Blauer Manufacturing Company, Inc. Breathable fabric construction for outerwear
US5529830A (en) * 1994-05-25 1996-06-25 W. L. Gore & Associates, Inc. Two-way stretchable fabric laminate and articles made from it
US5742936A (en) * 1994-08-18 1998-04-28 Tronc; Nicolas Tight-fitting garment, notably for sportswear such as diving suits
US5860163A (en) * 1996-05-21 1999-01-19 Lion Apparel, Inc. Garment thermal liner having insulating beads
US5669072A (en) * 1996-07-23 1997-09-23 Hart Schaffner & Marx Coat construction
US5692245A (en) * 1996-12-19 1997-12-02 Reuben; Ronnie Thin down-fill inner lining fabric and method of manufacture
DE19733591A1 (de) * 1997-04-08 1998-10-15 Pactland Ltd Textiles Material
US5935878A (en) * 1997-07-08 1999-08-10 Glasser; Bruce Scott Micromesh laminate
US6192520B1 (en) * 1998-01-30 2001-02-27 Safety Components Fabric Technologies, Inc. Water resistant protective garment for fire fighters
US6018819A (en) * 1998-04-15 2000-02-01 Bha Technologies, Inc. Garment with moisture vapor transmissive wind barrier panels
US6112328A (en) * 1998-04-20 2000-09-05 Spector; Donald Water-resistant outerwear
US7560399B2 (en) * 1998-08-28 2009-07-14 Mmi-Ipco, Llc Multi-layer composite fabric garment
AU748805B2 (en) * 1998-09-08 2002-06-13 Brookwood Companies Incorporated Breathable waterproof laminate and method for making same
US6319864B1 (en) * 1999-03-10 2001-11-20 Rbh Designs, Llc Triple layer, laminated fabric with waterproof, non-breathable inner layer
DE19917369A1 (de) * 1999-04-16 2000-10-26 Gore W L & Ass Gmbh Bekleidungsteil
DE19932165A1 (de) 1999-07-13 2001-01-18 Vaude Sport Albrecht Von Dewit Regenbekleidungsstück
ES2346037T3 (es) * 1999-07-27 2010-10-08 Claude Q.C. Hayes Revestimiento termicamente protector.
US6495229B1 (en) * 1999-09-17 2002-12-17 Avery Dennison Corporation Pattern coated adhesive article
US6397401B2 (en) * 2000-05-02 2002-06-04 Timothy A. Belcher 2-layer firefighter garment
KR100412205B1 (ko) * 2001-02-01 2003-12-24 김순선 양복용 심지와 그것을 이용한 양복의 제조방법
US6565702B1 (en) * 2001-10-22 2003-05-20 Dashamerica, Inc. Chamois for cycling pants and method of making
US7162746B2 (en) * 2001-12-12 2007-01-16 Reynolds Eric M Body form-fitting rainwear
US6874337B2 (en) * 2002-06-05 2005-04-05 Mizuno Corporation Underpant garment
US6893453B2 (en) * 2002-12-17 2005-05-17 Kimberly-Clark Worldwide, Inc. Thermal therapy pad with variable heat control
US7191720B2 (en) * 2003-02-03 2007-03-20 Hbi Branded Apparel Enterprises, Llc Method of manufacture for stitchless garment
WO2004108410A2 (en) * 2003-06-02 2004-12-16 Kappler, Inc. Outdoor fabric
US20040259442A1 (en) * 2003-06-19 2004-12-23 Li Yick Lap Waterproof insulated products
US7013496B2 (en) * 2003-09-05 2006-03-21 Southern Mills, Inc. Patterned thermal liner for protective garments
US7117545B2 (en) * 2003-10-15 2006-10-10 Gore Enterprise Holdings Inc. Liquidproof seam for protective apparel
US7094714B2 (en) * 2004-01-21 2006-08-22 Li Yick Lap Stitchless waterproof insulated products
DE102004006485A1 (de) * 2004-02-10 2005-08-25 Adidas International Marketing B.V. Bekleidungsstück
US7757311B2 (en) * 2004-03-29 2010-07-20 Louis Garneau Sports Inc. Seat pad for cyclist garment and method of manufacture
US7707659B2 (en) * 2004-08-23 2010-05-04 Dashamerica, Inc. Chamois for athletic shorts having relatively elastic portion and relatively inelastic portion
US7581258B2 (en) * 2004-10-14 2009-09-01 Nike, Inc. Article of apparel incorporating a flocked material
JP2006144210A (ja) * 2004-10-19 2006-06-08 Onyone Kk スポーツウェア
US20060195964A1 (en) * 2005-03-04 2006-09-07 Robert Bury Quilted cold-weather garment
US7748056B2 (en) * 2005-06-06 2010-07-06 Under Armour, Inc. Garment having improved contact areas
FR2889033B1 (fr) * 2005-07-29 2007-12-28 Salomon Sa Vetement ajuste
US7395553B2 (en) * 2006-02-03 2008-07-08 Patagonia, Inc. Wetsuit
GB2444804B (en) * 2006-12-15 2009-04-01 Speedo Int Ltd Elasticated sports garments
US7934267B2 (en) * 2007-05-31 2011-05-03 Nike, Inc. Articles of apparel providing enhanced body position feedback
US20100199406A1 (en) * 2009-02-06 2010-08-12 Nike, Inc. Thermoplastic Non-Woven Textile Elemen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0540793A (ja) 2010-12-24
WO2009048504A3 (en) 2010-02-25
US20090089911A1 (en) 2009-04-09
CA2701064A1 (en) 2009-04-16
WO2009048504A2 (en) 2009-04-16
US20130340916A1 (en) 2013-12-26
CN101815447A (zh) 2010-08-25
EP2200462A2 (en) 2010-06-30
CA2701064C (en) 2013-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85963A (ko) 쾌적한 보호 의복
US10750805B2 (en) Adhesive fabrication process for garments and other fabric products
RU2437601C1 (ru) Шовная соединительная структура, предмет одежды с шовной соединительной структурой и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шовной соединительной структуры
US9017505B2 (en) Waterproof garment with invisible barrier seam
CN1886257B (zh) 用于防护服的防液体接缝
JP6721519B2 (ja) 衣服およびその他生地製品の製作方法
EP1673220B1 (en) Liquidproof seam for protective footwear
EP1173327B1 (en) Clothing part
US9981448B2 (en) Waterproof garment with invisible barrier seam
US5442818A (en) Inner lining and process for making 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