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85791A - The control and management equipment of battery stack, and method there of - Google Patents

The control and management equipment of battery stack, and method there 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85791A
KR20100085791A KR1020090005269A KR20090005269A KR20100085791A KR 20100085791 A KR20100085791 A KR 20100085791A KR 1020090005269 A KR1020090005269 A KR 1020090005269A KR 20090005269 A KR20090005269 A KR 20090005269A KR 20100085791 A KR20100085791 A KR 201000857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pack
battery
current
voltage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526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득수
김래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파워트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파워트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파워트론
Priority to KR10200900052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85791A/en
Publication of KR201000857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579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75Indicating the instants of passage of current or voltage through a given value, e.g. passage through zero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58/12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responding to state of charge [SoC]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5/00Arrangements for measuring phase angle between a voltage and a current or between voltages or currents
    • G01R25/08Arrangements for measuring phase angle between a voltage and a current or between voltages or currents by counting of standard puls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ac mains by convert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2Electric energy management in electromobi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PURPOSE: A control management device of a storage battery pack and a method thereof are provided to prevent accidents in advance. CONSTITUTION: An output current sensing unit(16) senses charging/discharging current or measured current signals of the storage battery pack. A boost converter(3) is comprised of multiphase structure for increasing the output voltage of the storage battery pack. A monitoring controller(2) watches the aging condition or abnormal condition of the storage battery pack. A gate cutoff unit(18) blocks the current flow of a switching device or a cutoff switch of the boost convertor. A switch controller engages with the gate cutoff unit and controls the switching device of the boost convertor.

Description

축전지팩의 제어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The control and Management Equipment of Battery Stack, and Method there of }The control and management equipment of the battery pack and the method {The control and Management Equipment of Battery Stack, and Method there of}

또한 최근 석유자원의 고갈과 환경오염에 따른 대체에너지의 수요와 더불어 전기에너지를 축적하여 사용할 수 있는 축전지의 수요는 연료전지 등의 대체 에너지 저장시스템 등 다양한 분야로 확산되고 있다.In addition, as demand for alternative energy due to depletion of oil resources and environmental pollution, demand for accumulators that can accumulate and use electric energy is spreading to various fields such as alternative energy storage systems such as fuel cells.

최근 하이브리드(HEV) 자동차, 전기자동차, 전기자전거, 골프-카트 같은 전기차용으로는 주행속도 및 최대주행거리 증대를 목적으로 대용량의 리튬 이온, 리튬 폴리머, 니켈 수소 전지 등 전기집적도(power density)가 높은 축전지 계열이 상용화되어 지는 추세이다.Recently, electric vehicles such as hybrid (HEV) vehicles, electric vehicles, electric bicycles, golf carts, and the like have a high power density such as large-capacity lithium ion, lithium polymer, and nickel metal hydride batteries for the purpose of increasing driving speed and maximum driving distance. High battery capacity is on the rise.

2008년 IEEE 논문지에 발표(저자; Bill Kramer, Sudipta Chakraborty, Benjamin Kroposki National Renewable Energy Laboratory, 1617 Cole Blvd., Golden, CO 80401, USA)된 "A Review of Plug-in Vehicles and Vehicle-to-Grid Capability" 논문에서는 PEV(Plug-in Vehicle)이 상용전원이나 V2G 를 사용된 경우에 있어 가스값 변동을 고려할 때에도 소모 전기 비용이 낮아 앞으로 상용화가 급속도로 증가 될 것으로 주장하고 있으며 이를 증빙하는 근거자료로써 현재 NREL(국가 신재생 에너지 시험소)는 상용전원을 사용하는 데 필요한 규준을 마련하고 있다 고 보고하고 있다. Presented in the IEEE Journal in 2008 (author: Bill Kramer, Sudipta Chakraborty, Benjamin Kroposki National Renewable Energy Laboratory, 1617 Cole Blvd., Golden, CO 80401, USA), "A Review of Plug-in Vehicles and Vehicle-to-Grid Capability." "The paper argues that commercialization will increase rapidly in the future when the cost of electricity is low even when considering the fluctuation of gas value when the plug-in vehicle (PEV) is used for commercial power or V2G. The National Renewable Energy Laboratory (NREL) reports that it has established standards for using commercial power.

또한, 가솔린 차량에서 있어서 연료 게이지가 운전자에게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과 같이, 전기 자동차에서도 축전지를 다시 충전하지 않고 주행할 수 있는 거리를 정확히 예측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운전자에게는 매우 중요한 정보가 되기 때문에 축전지의 SOC나 현재 저장된 충전 잔존 용량을 정확히 측정할 수 있는 기술이 종래부터 연구되어 왔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gasoline vehicles, just as fuel gauges provide the driver with important information, it is very important for the driver to be able to accurately predict the distance that an electric vehicle can travel without recharging the battery. Techniques for accurately measuring SOC or currently stored charge remaining capacity have been studied in the past.

휴대폰이나 노트북 등 소형 이동용 기기에 사용되는 리튬계열전지는 스마트 배터리 기능을 부여하기 위하여 이미 상용화된 스마트 IC가 나와 있으나, 대용량의 경우에는 기존의 스마트 IC로는 커버 할 수 없는 영역으로 전력변환회로와 상호 시스템화된 BMS 기술을 적용해야만 한다. Lithium-based batteries used in small mobile devices such as mobile phones and laptops already have commercially available smart ICs to impart smart battery functions.However, in the case of large-capacity lithium batteries, they cannot be covered by conventional smart ICs. Systemized BMS technology must be applied.

이러한 분야의 연구보고서들을 살펴보면, 축전지의 건전상태는 매우 광범위한 의미로써 "SOH" 라고 지칭하여 사용되고 있으며, 축전지의 충전상태(State of Charge)는 SOC를 대표하는 의미로써 축전지팩(Stack)을 만(Full)충전하여 저장 가능한 최대 용량(Battery Storage Capacity Maximum) 대비한 현재 충전된 용량(충전 잔존용량)의 백분율을 "SOC(%)" 로 정의하고 있고, 소수의 문헌에서는 SOC를 잔존용량 이라고도 칭하고 있다. Looking at the research reports of these fields, the state of charge of the battery is used in a very broad sense, referred to as "SOH", the state of charge of the battery represents the SOC as the meaning of the battery pack (Stack) ( Full) The percentage of the currently charged capacity (charging remaining capacity) compared to the Battery Storage Capacity Maximum is defined as "SOC (%)", and a few documents call SOC the remaining capacity. .

최근에 출간된 논문이나 보고서에 따르면, 리튬 이온, 리튬 폴리머, 니켈 수소 전지 역시 2차 전지의 내부저항 측정법에 의해 노화진행 정도를 판별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According to a recent paper or report, lithium ion, lithium polymer, and nickel hydride batteries are also known to be able to determine the aging progress by the internal resistance measurement method of the secondary battery.

축전지 제조사에서는 정격 설계용량을 기준으로 용량 저하율이 80%인 시점을 수명종료시점으로 기준으로 하고 있으며, 실제 잔존 방전용량을 실부하 방전시험을 통해 측정할 수 있으나 이와 같은 실 부하 방전시험이 복잡하고 시간이 오래 소요된다는 단점이 있으므로 IEEE 1188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Engineers)에서는 밀폐형 납축전지의 노화상태 점검 및 유지보수 기준을 마련하여 내부 저항이 초기 기준치보다 130% 수준으로 증가한 경우 용량이 80% 수준까지 저하되었다고 판단하고 이를 교체토록 권고하고 있다.The battery manufacturers refer to the point of end of life when the capacity reduction rate is 80% based on the rated design capacity, and the actual remaining discharge capacity can be measured by the actual load discharge test, but such a real load discharge test is complicated. Due to the long time-consuming disadvantage, IEEE 1188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Engineers) has established aging status check and maintenance standards for sealed lead-acid batteries, with 80% capacity when the internal resistance is increased to 130% above the initial standard. It is deemed to have been deteriorated and it is recommended to replace it.

2006년 09월13일에 대한민국에 출원되고 2008년 03월05일 등록(등록번호 10-0812760)된 특허 "축전지 내부 임피던스 유효성분 측정연산 장치 및 그 방법 "에서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수명종료된 축전지를 선별하고자 하는 척도로 축전지를 운전계통에서 분리하지 않고 축전지의 내부 저항값을 측정하는 방법의 일 실시 예를 제시하고 있으며, 특히 비교적 생성이 용이한 구형파 측정전류를 발생하여 축전지팩이나 단위 셀에 흐르게 하고, 상기 측정신호에 의하여 축전지의 단자전압에서 발생하는 전압신호를 연산 알고리즘을 통해 내부 저항 또는 내부 임피던스 성분을 연산할 수 있는 회로 및 이의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In the patent application "Measurement device and method for measuring internal impedance effective components", filed with the Republic of Korea on September 13, 2006 and registered on March 05, 2008 (Registration No. 10-0812760), the life is terminated as described above. An example of a method of measuring an internal resistance value of a battery without separating the battery from the operating system as a measure for screening the battery is provided. Particularly, a battery pack or a unit cell is generated by generating a square wave measurement current that is relatively easy to generate.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circuit and a method for calculating an internal resistance or an internal impedance component through a calculation algorithm of a voltage signal generated from a terminal voltage of a battery by the measured signal.

또한, 가솔린 자동차의 경우에는 연료의 양을 측정하는 데 큰 어려움이 없지만, 전기 자동차의 운전 환경상 가솔린 차량보다 재충전에 소요되는 시간이 매우 길기 때문에 전기 자동차의 운전자에게 현재 얼마만큼의 에너지가 남아 있고 앞으로 어느 정도 더 주행할 수 있는가에 대한 정보는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축전지의 충전상태 또는 잔존 용량을 정확히 파악하여 주행 가능 거리 등의 정보를 운전자에 게 알려주고자 하는 여러 기술이 종래부터 많이 연구되어 왔다. In addition, in the case of gasoline cars, it is not difficult to measure the amount of fuel, but due to the driving environment of the electric vehicle, it takes much longer to recharge than the gasoline vehicle, so how much energy is left in the driver of the electric vehicle now and in the future Information about how much longer you can drive is very important. Therefore, many techniques have been studied in the past to accurately determine the state of charge or remaining capacity of the battery to inform the driver of the driving distance and the like.

축전지의 잔량 (잔존 용량)측정 알고리즘은 그간의 다각적으로 연구결과를 토대로, 그 대표적인 것이 축전지의 팩 전압을 측정하여 직류전압과 SOC(State Of Charge)간의 상관 관계 그래프에 의존하여 잔존 용량을 계산하는 방법이며, 둘째는 축전지에 충전된 총 전기량과 주행 등을 통해 방전된 총 전기량의 가감을 통해 축전지의 잔존 용량을 산출하는 방식을 들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두 가지 방식을 혼합하여 사용하기도 하였다. Residual capacity (alternative capacity) measurement algorithm of battery is based on the results of various studies, and the representative one measures the pack voltage of battery and calculates remaining capacity based on correlation graph between DC voltage and SOC (State Of Charge). The second method is a method of calculating the remaining capacity of the battery by adding or subtracting the total amount of electricity charged in the battery and the total amount of electricity discharged through driving and the like. In some cases, a mixture of the two methods was used.

2005년 01월31일에 대한민국에 출원되고 2007년 04월06일 등록된 특허(등록번호 10-0704944, 전기 자동차용 배터리 관리 시스템)에서는, 전기 자동차용 배터리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각각의 배터리에 연결되어 온도 및 전압을 측정하는 센서 모듈과; 상기 각각의 배터리와 연결되어 외부의 제어 신호에 따라 연결된 배터리를 충·방전시키는 충·방전회로; 및 상기 충·방전 회로를 제어하여 상기 각각의 배터리를 충전하고, 상기 각각의 배터리의 잔존 용량을 체크하는 시점에서 상기 충·방전 회로를 제어하여 각각의 배터리를 일정 시간 동안 방전시켜 허전압을 제거하고, 상기 센서 모듈로부터 출력되는 정보에 의해 배터리 전압이 회복되는 곡선의 기울기를 계산하여 각각의 배터리의 잔존 용량을 계산하는 배터리 관리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The patent filed in the Republic of Korea on January 31, 2005 and registered on April 06, 2007 (Registration No. 10-0704944, Battery Management System for Electric Vehicles) relates to a battery management system for electric vehicles. A sensor module connected to measure temperature and voltage; A charge / discharge circuit connected to each of the batteries to charge and discharge the connected battery according to an external control signal; And controlling the charge / discharge circuit to charge the respective batteries, and control the charge / discharge circuit to discharge the respective batteries for a predetermined time to remove the stray voltage at the time of checking the remaining capacity of the respective batteries. And a battery management device for calculating a remaining capacity of each battery by calculating a slope of a curve in which the battery voltage is recovered by the information output from the sensor module.

또한 2005년 10월20일에 대한민국에 출원되어 2007년 04월25일에 공개된 배터리의 SOC추정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 관리시스템(출원번호 10-2005-0099088)의 특허는, 총방전 누적량에 대응되는 총 배터리 용량을 이용하여 현재 배터리의 SOC를 추정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In addition, the patent for SOC estimation method of the battery filed in the Republic of Korea on October 20, 2005 and published on April 25, 2007 and the battery management system (Application No. 10-2005-0099088) using the same correspond to the cumulative total discharge amount. A method for estimating the SOC of a current battery using the total battery capacity that is present is presented.

즉, 배터리 관리 시스템은 전기를 이용하는 자동차의 ECU로 배터리의 SOC를 출력하는 배터리를 관리하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으로서, 감지부, SOH 추정부, SOC 추정부, 총 배터리 용량 결정부 및 출력부를 포함하며, 감지부는 배터리의 팩전류 및 팩전압을 측정하고, SOH 추정부는 팩전류 및 팩전압을 이용하여 SOH를 출력하며, SOC 추정부는 팩전류 및 배터리의 총 배터리 용량을 이용하여 SOC를 산출하여 출력한다. That is, the battery management system is a battery management system that manages a battery that outputs the SOC of the battery to the ECU of the vehicle using electricity, and includes a detector, an SOH estimator, an SOC estimator, a total battery capacity determiner, and an output unit. The detector measures the pack current and the pack voltage of the battery, the SOH estimator outputs the SOH using the pack current and the pack voltage, and the SOC estimator calculates and outputs the SOC using the pack current and the total battery capacity of the battery.

총 배터리 용량 결정부는 팩전류를 이용하여 총방전 누적량을 누계하고, 누산된 총방전 누적량에 따라 총 배터리 용량을 결정하여 SOC 추정부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으며, SOC는 팩전류를 방전기간 동안 적산하여 더욱 정확하게 배터리의 SOC를 추정할 수 있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 관리시스템을 제공하고 있다.The total battery capacity determining unit accumulates the total discharge accumulation amount using the pack current, and determines the total battery capacity according to the accumulated total discharge accumulation amount and delivers the total battery capacity to the SOC estimator. It provides a method to estimate the SOC of a battery more accurately by integration and a battery management system using the same.

상기 인용특허에서 제시된 시험 데이터에서는 배터리의 충·방전시의 주위 온도가 낮게 되면 배터리의 총 배터리 용량은 감소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배터리의 충·방전 효율에 대해서 구체적인 기술이 전혀 없어 이 분야의 통상의 종사자는 이에 대하여 알 수 없으므로 상기 SOC(%) 추정 방법이 정확하다고 신뢰하기 어려울 것이다. 또한 축전지팩(Stack)의 실지 사용중에 충·방전 사이클 증가에 따라 용량이 감소하므로 이를 보정하기 위한 방안으로써, 장시간 방전(예로 40,000 ~ 100,000 사이클)시험으로 얻어지는 총방전누적량에 의한 총 배터리 용량(TAC 라고 함)을 테이블화하여 총 배터리 용량(TAC)과 팩전류에 기초하여 SOC를 산출하는 방 법을 사용하고 있다.In the test data presented in the cited patent, the total battery capacity of the battery is shown to decrease when the ambient temperature during the charging and discharging of the battery is low, but there is no specific technique regarding the charging and discharging efficiency of the battery. The practitioner would not know about this and would be difficult to trust that the SOC (%) estimation method is accurate. In addition, as the capacity decreases as the charge and discharge cycle increases during actual use of the battery pack, the total battery capacity (TAC) based on the total amount of discharge accumulated in the long-term discharge (for example, 40,000 to 100,000 cycles) test is used as a way to compensate for this. A method of calculating SOC based on the total battery capacity (TAC) and pack current is used.

그러나 상기와 같은 SOC를 산출하는 방법은, 각 사용온도에 따른 장시간 방전(예로 40,000~100,000 사이클) 시험을 통해서 총방전 누적량 대비 총 배터리 용량(TAC)의 테이블화된 정보를 도출하기가 매우 어렵다. SOH 추정부는 팩전류, 팩전압, 온도 등을 기초하여 축전지의 SOC를 출력하는 것으로 기재되어 있으나, 축전지의 노화상태에 따른 상관 요소를 감안하지 않고서는 정확한 SOH 를 추정할 수 없다.However, in the method of calculating the SOC as described above, it is very difficult to derive the tabled information of the total battery capacity (TAC) relative to the total discharge amount through a long time discharge (for example, 40,000 to 100,000 cycles) test according to each use temperature. Although the SOH estimator is described as outputting the SOC of the battery based on the pack current, the pack voltage, the temperature, and the like, the SOH estimator cannot accurately estimate the SOH without considering the correlation factors according to the aging state of the battery.

또한 2006년 06월29일에 대한민국에 출원되어 2007년 01월05일에 공개된 배터리 상태 추정방법 및 장치(등록번호 10-0756837)의 특허는, 배터리의 SOH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패러미터로 작용한다고 알려져 있는 내부 저항을 이용하여 SOH를 추정하는 SOH 추정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atent of the battery state estimation method and device (Registration No. 10-0756837), filed in the Republic of Korea on June 29, 2006 and published on January 05, 2007, serves as a parameter that has the greatest effect on the SOH of the batter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SOH estim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estimating SOH using an internal resistance known to be known.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상기 인용발명의 배터리의 SOH 추정방법은, 온도별 및 SOC별로 다양한 내부저항에 대응되는 SOH 값을 구성한 SOH 추정 테이블을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단계; SOH 추정 요구시, 온도를 측정하고 배터리의 SOC를 추정하는 단계; 상기 배터리의 내부저항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측정된 온도, 상기 추정된 배터리의 SOC, 상기 검출된 배터리의 내부저항에 대응되는 SOH 값을 상기 SOH 추정 테이블로부터 독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method of estimating the SOH of the battery of the cited invention includes: storing an SOH estimation table configured with an SOH value corresponding to various internal resistances by temperature and SOC; Upon requesting an SOH estimate, measuring temperature and estimating the SOC of the battery; Detecting an internal resistance of the battery; And reading an SOH value corresponding to the measured temperature, the estimated SOC of the battery, and the detected internal resistance of the battery, from the SOH estimation table.

배터리의 SOH을 기준으로 온도별 및 SOC별 배터리 내부저항을 측정하는 것은 SOH를 5단계로 구분하고, 각 단계에서 온도별 및 SOC별 배터리 내부저항을 측정하는 것을 반복하고 다수의 단계를 가지는 SOH의 각 단계에서 온도별 및 SOC별 배터 리 내부저항의 측정을 완료하여 각 측정결과를 토대로 SOH 추정 테이블을 구성한다. 상기 SOH 추정 테이블은 온도별, SOC별, 배터리 내부저항별 각기 상이한 SOH 값이 맵핑되어 있으므로 상기 검출된 배터리의 내부저항에 대응되는 SOH 값을 상기 SOH 추정 테이블로부터 독출하는 것이다.Measuring the battery internal resistance by temperature and SOC based on the SOH of the battery divides the SOH into five stages, and repeats the measurement of the battery internal resistance by temperature and SOC at each step. In each step, measurements of battery internal resistance by temperature and SOC are completed, and an SOH estimation table is constructed based on each measurement result. Since different SOH values are mapped to temperature, SOC, and battery internal resistance, the SOH estimation table reads an SOH value corresponding to the detected internal resistance of the battery from the SOH estimation table.

상기 인용특허는 축전지팩(Stack)마다 온도별 및 SOC별로 대응되는 SOH 값이 상이하므로 여러 단계의 실험에 의해 온도별, SOC별, 배터리 내부저항별로 대응되어 각기 맵핑되어 있는 SOH 값을 얻어내야 하므로 맵핑 작업 시험량이 많아지는 번거로움이 있다.Since the cited patents have different SOH values corresponding to temperature and SOC for each battery pack, the SOH values corresponding to temperature, SOC, and battery internal resistance must be obtained according to various stages of experiment. There is a hassle of mapping work test volume.

또한 2000년 12월13일에 대한민국에 출원되어 2001년 05월07일에 공개된 2차전지 잔량 측정 방법 및 그 장치(등록번호 10-0372879)의 특허는, 개별적인 전지의 실제 열화도에 따른 총잔량 변화량 산출의 정확도를 보정하여, 전지의 사용 상태에In addition, the patent of the method for measuring the remaining amount of a secondary battery and its device (Registration No. 10-0372879), which was filed in the Republic of Korea on December 13, 2000, and published on May 7, 2001, is based on the total remaining amount of the individual battery according to the actual degree of deterioration. By correcting the accuracy of the variation calculation,

따라 변화하는 사이클 카운트 데이터로 활용함으로써 전지의 특성 변화를 반영할 수 있는 2차 전지 잔량 측정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고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the remaining amount of a secondary battery, which may be used as cycle count data that changes accordingly, to reflect a change in battery characteristics.

상기 인용발명은 전지의 사이클 카운트에 기초하여 2차 전지의 잔량을 측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 2차 전지의 충방전 전류치를 측정하는 단계; 전지의 사이클별 전력량 감소치(EPA)의 오차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충방전 전류치를 이용하여 충전 전압 변화에 따른 충전 전류 변화치(CCA)의 오차를 측정하는 단계; 사이클 카운트별 평균 온도 보정 계수(K)의 산출 단계; 상기 전지 사이클별 전력량 감소치의 오차(EPA), 충전 전압 변화에 따른 충전 전류 변화치(CCA)의 오차 및 사이클 카운트별 평균 온도 보정 계수(K)를 잔량제어퍼지(RCF:REMAINING CONTROL FUZZY)값으로 생성하는 단계;및 상기 충방전 전류치 및 잔량제어퍼지값을 이용하여 2차 전지의 사이클을 카운트하는 단계; 와 같은 매우 복잡한 알고리즘 단계를 포함하고 있다.The cited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measuring a residual amount of a secondary battery based on a cycle count of a battery, the method comprising: measuring a charge / discharge current value of a secondary battery; Measuring an error of an electric power decrease value (EPA) of each battery; Measuring an error of a charge current change value (CCA) according to a charge voltage change using the charge / discharge current value; Calculating a mean temperature correction coefficient K for each cycle count; An error (EPA) of the decrease in power amount of each battery cycle, an error of the charge current change value (CCA)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charging voltage, and an average temperature correction coefficient (K) for each cycle count are generated as a residual control purge (RCF) value. And counting cycles of a secondary battery using the charge / discharge current value and the remaining amount control purge value. It contains very complex algorithmic steps such as

이와 같이 전기집적도가 높은 Li-Ion, Li-PB 등의 축전지는 셀전압 불균형, 과충전 또는 과방전이나 사용 온도조건에 매우 약하므로, 이의 안전한 사용을 위해서는 축전지팩(Stack)을 구성하는 단위 셀의 전압, 내부 저항, 셀의 온도 등과 같은 특성 파라미터는 물론 축전지팩(Stack)의 충·방전 전압, 전류, 충·방전상태(과전압 또는 과전류), 출력측 단락유무를 총체적으로 관리하며, 충.방전시 이의 출력을 제어하는 전력변환장치(승압 컨버터)를 축전지팩(Stack)의 출력단에 구비하여 이상징후가 발견될 시에는 충·방전을 즉시 정지케 하여 축전지팩(Stack)을 보호해야 할 필요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high density of Li-Ion and Li-PB batteries are very weak against cell voltage imbalance, overcharge, overdischarge, or use temperature conditions. Therefore, the unit cells of the battery pack may be used for safe use. In addition to the characteristic parameters such as voltage, internal resistance, and cell temperature, the charge / discharge voltage, current, charge / discharge state (overvoltage or overcurrent) of the battery pack, and the presence or absence of output short-circuit are collectively managed. It is necessary to protect the battery pack by immediately stopping charging and discharging when an abnormal symptom is found by providing a power converter (step-up converter) controlling its output at the output stage of the battery pack. .

또한 전기자동차에 있어서 모터 구동장치 등 전기변환장치는 이의 제조 원가 및 변환. 구동에 따른 시스템의 효율 향상 측면에서 현실적으로 300V 이상의 직류전압을 요구하고 있는 추세이나, 현실적으로 요구되는 300V 이상의 직류전압을 출력할 수 있는 축전지팩(Stack)은 많은 단위 셀들이 직렬 연결되어 구성되므로, BMS회로와 단위 셀간의 구성회로가 더욱 복잡하여 지고, 이에 따라 복잡하여 지는 만큼 고장 확률도 높아지기 때문에 가급적 단위 셀의 직렬 연결된 숫자를 적게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n the electric vehicle, an electric converter such as a motor driving device is manufactured at cost and conversion thereof. In the aspect of improving the efficiency of the system due to the driving, the trend is actually requiring a DC voltage of 300V or more, but the battery pack (Stack) capable of outputting a DC voltage of 300V or more actually required, because many unit cells are configured in series, BMS Since the circuit between the circuit and the unit cell becomes more complicated, and as the complexity increases, the probability of failure increases, so it is desirable to design as few series-connected numbers of unit cells as possible.

또한, 하이브리드(HEV) 자동차, 전기자동차, 전기자전거용 등으로 사용되는 전기차용의 축전지팩(Stack)은 보충 전에 소요되는 대기시간을 단축할 수 있어야 하므로 가능한 한 급속충전이 필요로 하게 된다. 이와 같은 급속 충·방전에 따라 축전지팩(Stack)이 과충전, 과열상태나 셀간 불균형이 될 수 있는 조건에 쉽게 노출되기 때문에 셀 전압 불균형, 과전압, 온도상승 등의 원인으로 폭발할 수 있는 위험이 커질 수 있다. 따라서 이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축전지팩(Stack)의 제어 관리(BMS)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이 필연적으로 요구될 것이다.In addition, a battery pack (Stack) for an electric vehicle used for a hybrid (HEV) vehicle, an electric vehicle, an electric bicycle, etc., needs to be able to shorten the waiting time before replenishing, and thus needs a fast charging as possible. This rapid charging and discharging increases the risk of explosion due to cell voltage imbalance, overvoltage, and temperature rise because the battery pack is easily exposed to conditions that may be overcharged, overheated, or cell imbalance. Can be. Therefore, a control management (BMS) system of a battery pack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capable of preventing this inevitably will be required.

또한, 가솔린 차량에서 있어서 연료 게이지가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과 같이, 전기 자동차의 특성상 축전지를 새롭게 충전하지 않은 상태에서 추가 주행할 수 있는 거리를 정확히 예측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운전자에게는 매우 중요한 정보가 되기 때문에, 축전지의 노화상태에 따른 상관 요소를 감안하여 축전지의 경년 사용에 따른 정확한 SOH를 추정하고 파악된 SOH를 감안하여 현재 남아 있는 용량을 정확히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SOC(%)산출 방법이 필요할 것이다.In addition, as fuel gauge plays an important role in gasoline vehicles, it is very important information for the driver to be able to accurately predict the distance that can be additionally driven without newly charging the battery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electric vehicle. Considering the correlation factors according to the aging condition of the battery, SOC (%) calculation method is needed to estimate the exact SOH of the battery's aging use and to accurately measure the remaining capacity in consideration of the identified SOH.

본 발명은, 축전지 셀의 직렬연결 수가 많아지면 BMS의 회로구조가 복잡하여 지고 연결점이 증가하여 연결 구조 또한 복잡하여 지게 되고 이의 신뢰도가 저하될 수 있으므로, 직렬연결 축전지 셀 수를 최적으로 결정하고 축전지 스트링의 출력단에 승압형(Boost) 컨버터를 두어 전기자동차 전기시스템에서 흔히 요구되는 300V급 이상의 높은 직류전압을 공급하면서, 축전지팩(Stack)의 감시제어 계통에서 이상이 감지될 경우에 승압형(Boost)컨버터 회로의 스위칭 소자 게이트 드라이브 신호를 즉시 차단(Blocking)하여 충·방전을 정지케 함으로써 축전지팩(Stack)의 파손이나 폭팔 등의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BMS의 기능이 내장된 축전지팩(Stack)의 제어 관리장치 및 이의 제어 관리방법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number of series cells of the battery cells increases, the circuit structure of the BMS becomes complicated and the connection points increase, so that the connection structure also becomes complicated and the reliability thereof may be degraded. A boost converter is installed at the output of the string to supply a high DC voltage of 300V or more, which is commonly required in electric vehicle electric systems, and boosts when an abnormality is detected in the supervisory control system of a battery pack. A battery with a built-in BMS function that prevents accidents such as breakage or explosion of the battery pack by blocking the gate element signal of the converter circuit and stopping the charging and discharging immediately.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pose a control management apparatus for a stack and its control management method.

또한 축전지팩(Stack) 출력단에 구비되는 승압형(Boost) 컨버터의 회로 구조에 있어서, 전기자동차에서 필요로 하는 수백 KW 이상의 직류전력을 300V 이상으로 변환하고 또한 변환 손실 및 방전시의 백리플을 최소화할 수 있는 승압형 컨버터의 구성 및 그 제어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in the circuit structure of a boost converter provided at the output stage of a battery pack, a DC power of several hundred KW or more required by an electric vehicle is converted to 300 V or more, and the back loss during conversion loss and discharge is minimize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sent a preferred embodiment of a boost converter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또한 전기차의 회생제동이 가능하며 상용 교류전원을 다이오드 정류회로로써 직류로 정류하는 단순한 구조형태의 플러그인 충전기로 축전지팩(Stack)의 충전이 가능토록 양방향 제어가 가능한 승압형 컨버터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제시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referred embodiment of a boost type converter capable of regenerative braking of an electric vehicle and a bi-directional control to charge a battery pack as a plug-in charger having a simple structure of rectifying a commercial AC power source using a diode rectifier circuit. do.

또한 각 단위 셀 전압을 측정하여 다른 셀의 전압보다 높거나 최대 허용전압보다도 높아 불균형 상태에 있는 경우 각 단위 셀의 전압을 균일화 시키도록 하는 셀 균등화 방안의 일실시 예를 제시한다.In addition, an embodiment of a cell equalization scheme for measuring the voltage of each unit cell to equalize the voltage of each unit cell when the voltage is higher than the other cell or higher than the maximum allowable voltage is in an unbalanced state.

또한 축전지팩(Stack)의 건전상태(SOH) 또는 교체시점을 판정하기 위하여 노화상태와 상관 요소가 되는 축전지 내부 저항값을 충·방전상태에서 측정하여야 하는 데, 축전지팩(Stack)의 제어 관리장치 구성요소의 구체적인 실시 예로써 내부 저항을 측정하는 데 필요한 측정전류 발생수단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determine the SOH or replacement time of the battery pack, the internal resistance value of the battery, which is a factor correlated with the aging state, must be measured in the charge / discharge stat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measurement current generating means required to measure the internal resistance as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component.

또 다른 목적으로는 충·방전 전압, 전류 등 충·방전(사용)량의 이력을 지속적으로 측정하고 축전지 단위 셀의 온도, 전압, 내부 저항값을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등 잔존 충전용량(SOC)산출에 필요한 및 건전상태와 상관되는 요소성분을 실 시간으로 측정하거나 모니터링하여 이를 기초로 충·방전 사이클에 따른 축전지의 최대 저장 용량( Battery Storage Capacity)을 산출할 수 있는 방법 및 축전지의 노화상태에 따른 상관 요소(내부 저항, 주위 사용온도)를 감안하여 건전상태(SOH)을 정확히 측정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한다. Another purpose is to calculate the remaining charge capacity (SOC) by continuously measuring the history of charge / discharge (usage) such as charge / discharge voltage and current, and by measuring the temperature, voltage and internal resistance of the battery unit cell in real time. The method to calculate the battery storage capacity of the battery according to the charging and discharging cycle based on the real-time measurement or monitoring of urea components that are required and correlated with the health status and according to the aging state of the battery Given the correlation factors (internal resistance, ambient operating temperature), we present a method to accurately measure SOH.

또한, 본 발명은 축전지의 충·방전시의 내부 저항, 온도, 셀 전압등의 특성 파라미터, 충·방전 사이클횟수, 충·방전 이력이 저장될 수 있는 메모리수단을 축전지팩(Stack)에 설치함으로써 축전지의 성능, 잔여수명 및 보충 전 필요 여부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여 전기자동차 축전지의 충전관리소에서 축전지팩(Stack)을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attery pack by installing a memory means that can store the characteristics parameters such as internal resistance, temperature, cell voltage, charge and discharge cycles, charge and discharge history of the battery during charging and discharging It is possible to provide a way to easily manage the battery pack (Stack) in the charging station of the battery storage of the electric vehicle by being able to determine the performance, remaining life and need before replenishment.

본 발명에 의하면, 급속 충·방전중에 흔히 나타날 수 있는 축전지팩(Stack)의 과열이나 셀전압 불균형으로 인한 폭발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전기차의 전기장치시스템에서 요구되는 높은 직류전압을 안전하게 얻을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explosion due to overheating of a battery pack or cell voltage imbalance which may occur frequently during rapid charging and discharging, and to safely obtain a high DC voltage required in an electric system of an electric vehicle. have.

또한 전기자동차, 전기자전거용 사이클 서비스용 축전지의 축전에 필요한 집적도(Density)가 매우 높은 리튬 계열의 단위 셀을 백 개 이상으로 직렬로 연결하여 급속 충전할 수 있게 사용할 수 있는 BMS기능이 내장된 축전지 충·방전 제어 및 관리장치 및 이의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a battery with a built-in BMS function that can be used for rapid charging by connecting more than a hundred lithium-based unit cells having a high density to accumulate the battery for cycle service batteries for electric vehicles and electric bicycles in series.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harge and discharge control and management apparatus and a method thereof.

충·방전상태에서 축전지팩(Stack)의 노화와 관련된 내부저항을 정확히 측정하여 축전지팩(Stack)의 건전상태(SOH) 또는 교체시점을 판정할 수 있고 또한 축전지의 충·방전에 따른 각종 이력 정보를 축전지팩(Stack)에 내장된 메모리수단에 저장할 수 있기 때문에 별도의 측정 장비나 절차를 사용하지 않고서 축전지팩(Stack)의 효율적인 관리를 할 수 있다.Accurately measures the internal resistance associated with aging of the battery pack in the charged and discharged state to determine the SOH or replacement time of the battery pack. Also, various historical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charge and discharge of the battery pack. Because it can be stored in the memory means built in the battery pack (Stack)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manage the battery pack (Stack) without using a separate measurement equipment or procedures.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축전지팩(Stack)의 출력전압을 변환하여 전기시스템에서 필요한 높은 직류전압으로 공급하는 승압형(Boost) 컨버터와, 각 단위 셀의 BMS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임베디드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감시제어수단 및 이의 관련회로를 포함한다.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boost converter for converting the output voltage of the battery pack (Stack) to supply a high DC voltage required in the electrical system, and the BMS function of each unit cell It includes a supervisory control means and an associated circuit configured to include an embedded device for performing.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기술용어로써 "축전지"는 물리적, 화학적 및 생물학적 등의 변환을 통해 충전시에 전기에너지를 화학에너지 또는 기타 형식의 에너지로 변환시켜 저장할 수 있으며 방전시에는 저장된 화학 또는 기타 형식의 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시켜 출력할 수 있는 대상을 가리킨다. 여기서 사용하는 "축전지"는 광의상의 축전지를 가리키며, 2차 전지의 대표적인 것으로 납산(lead-acid)축전기, 니켈-카드뮴전지, 리튬전지, 니켈-수소전지 등을 포함한다.In addition, as a technical term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storage battery" may be converted into electrical energy into chemical energy or other forms of energy during charging, and may be stored and stored in chemical or other forms during discharge. Points to an object that can convert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and output it. As used herein, the term "battery battery" refers to a battery of a broad range, and is representative of secondary batteries, including lead-acid capacitors, nickel-cadmium batteries, lithium batteries, and nickel-hydrogen batteries.

이하 본 발명을 그 실시 예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아래 상세한 설명에서는 축전지팩(Stack)의 제어 관리 장치 및 이의 제어 관리 방법에 대한 실시 예로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는 것이지만, 본 기술분야의 기술자들은 여기서 공개한 내용에 따라 본 발명을 이용하여 기타 형태의 제어 관리방법에 따라 축전지팩(Stack)을 충·방전 제어하면서 이를 안전하게 관리시킬 수 있다는 것을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다. In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the princip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as an embodiment of a control management apparatus of a battery pack and a control management method thereof, but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use other forms according to the disclosure herein. It can be clearly understood that the battery pack can be safely managed while charging and discharging the battery pack according to the control management method.

도 1은 BMS 기능이 내장된 축전지팩(Stack)의 충·방전 전기장치 블록도이 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charge and discharge electric device of a battery pack (Stack) with a built-in BMS function.

전기자동차의 전기시스템이나 비상전원에 있어서 이에 필요한 직류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축전지팩(Stack)의 충·방전 제어 관리장치의 기본 구성은, 축전지팩(Stack)의 이상상태 또는 노화상태 및 충·방전상태를 감시하고 각 단위 셀의 특성요소를 연산 분석하는 임베디드장치를 가진 감시제어수단(2); 과, The basic configuration of the charge / discharge control management device of the battery pack for supplying the DC power required for the electric system or the emergency power supply of the electric vehicle includes the abnormal state or the aging state of the battery pack and the charge / discharge. Supervisory control means (2) having an embedded device for monitoring the state and calculating and analyzing the characteristic elements of each unit cell; and,

축전지팩(Stack)의 출력측 단락시에 소손되어 이를 보호하거나 전기시스템 회로로 부터 인위적으로 축전지팩(Stack)을 분리하는 라인휴우즈(4); A line fuse 4 which burns out at the output short-circuit of the battery pack and protects it or artificially separates the battery pack from the electrical system circuit;

DA/AC 인버터장치를 통해 모터와 같은 전기구동시스템에 직류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축전지팩(Stack)의 출력전압을 높은 직류전압으로 승압하고 충·방전기능를 수행하기 위해 양방향 제어가 가능한 승압형(Boost) 컨버터(3);로 구성된다.Boosting output voltage of battery pack to high DC voltage and supplying / discharging function to supply DC power to electric drive system such as motor through DA / AC inverter device. A converter 3;

상기 감시제어수단은, 축전지팩(Stack)의 이상상태 또는 노화상태 및 충·방전상태에 있어 이상이 감지되거나 예상될 경우에 감시제어수단 내에 구성된 임베디드장치의 게이트차단수단을 통해 게이트차단신호(Cut off)를 발생케 하여 상기 승압형 컨버터의 스위칭 소자 및 차단 스위치의 게이트를 즉시 블로킹(차단)시킴으로써 충전 및 방전이 즉시 정지되게 하여 축전지가 이상 상태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The monitoring control means may include a gate blocking signal (Cut) through a gate blocking means of an embedded device configured in the monitoring control means when an abnormality or an aging state or a charge / discharge state of a battery pack is detected or expected. off) to immediately block (block) the switching element of the boost converter and the gate of the cutoff switch so that charging and discharging can be stopped immediately so that the battery can be protected from abnormal conditions.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인 축전지팩(Stack)의 승압 제어 및 BMS 관리를 하는 제어회로 블럭도이다.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trol circuit for boosting control and BMS management of a battery pa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축전지팩(Stack)의 각 단위 셀의 +,- 양측단자에 각각 연결되는 셀선택수단(12)는 임베디드장치의 순차적 선택신호에 따라 축전지팩(Stack)의 각 단위 셀(모노블록)의 전압, 온도, 내부 임피던스전압신호를 신호센싱수단(13)으로 연결되 게 한다. 셀선택수단(12)의 내부 구체적 회로는 기계적 접점의 릴레이나 FET 릴레이 등 기타 전자식 릴레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cell selecting means 12 connected to the positive and negative terminals of each unit cell of the battery pack 12 may include the voltage of each unit cell (monoblock) of the battery pack according to the sequential selection signal of the embedded device. Temperature, internal impedance voltage signal is connected to the signal sensing means (13). The internal specific circuit of the cell selection means 12 may comprise other electronic relays such as relays of mechanical contacts or FET relays.

신호센싱수단(13)은 차동증폭기 및 이의 주변회로 등으로 구성되어 축전지 단위 셀로부터 얻어지는 셀 전압, 온도신호를 축전지시스템 전압으로부터 절연시키거나 아날로그신호일 경우 이를 적절한 레벨 신호로 증폭시킨다. 특히 내부 임피던스전압신호는 축전지 극주단자에서 측정되는 직류전압성분을 포함하여 얻어 지게 되며 또한 미세한 신호이므로 해상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파형여과회로(필터)를 통해 직류전압을 여과한 후에 다단으로 증폭되어 질 수 있다.The signal sensing means 13 is composed of a differential amplifier and a peripheral circuit thereof to insulate the cell voltage and the temperature signal obtained from the battery unit cell from the battery system voltage or to amplify it to an appropriate level signal in the case of an analog signal. In particular, the internal impedance voltage signal is obtained by including the DC voltage component measured at the battery pole terminal. Since it is a minute signal, it can be amplified in multiple stages after filtering the DC voltage through the waveform filtration circuit (filter) to improve the resolution. have.

인터페이스수단(14)는 출력전류센싱수단(16)으로부터 얻어진 충·방전 전류신호, 및 신호센싱수단(13)으로부터 얻어지는 셀 전압, 온도에 해당되는 전압신호, 내부 임피던스전압신호, 및/또는 축전지팩(Stack)으로부터 센싱되는 측정전류신호를 감지하여 임베디드장치(15)에서 축전지의 각종 데이터를 연산할 수 있도록 이에 적합한 신호로 변환한다. 예로써 임베디드장치(15)내의 A/D컨버터의 허용입력 전압범위가 ±12V 이면 이러한 크기에 적합하도록 증폭하거나 버퍼링하고 또한 연산에 불필요한 고조파 성분의 신호 및 리플성분을 여과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interface means 14 may be a charge / discharge current signal obtained from the output current sensing means 16, a cell voltage obtained from the signal sensing means 13, a voltage signal corresponding to a temperature, an internal impedance voltage signal, and / or a battery pack. The sensing current signal sensed by the stack is sensed and converted into a signal suitable for this so that the embedded device 15 can calculate various data of the battery. For example, if the allowable input voltage range of the A / D converter in the embedded device 15 is ± 12V, it is preferable to amplify or buffer the signal to fit this size, and to filter the signal and ripple component of the harmonic component that are unnecessary for operation.

출력전류센싱수단(16)은 축전지시스템(팩)의 충·방전시에 흐르는 출력전류 또는 측정전류신호를 감지하여 전압신호로 변환하고 또한 버퍼링하거나 증폭한다. 구체적으로 출력전류센싱수단(16)은 홀(Hall)소자를 이용하여 직류전류를 측정할 수 있고 측정된 전류에 대응되는 아날로그 전압신호로 출력할 수 있다.The output current sensing means 16 senses the output current or the measured current signal flowing during charging and discharging of the battery system (pack), converts it into a voltage signal, and buffers or amplifies it. In detail, the output current sensing means 16 may measure a DC current using a Hall element and output the analog current signal corresponding to the measured current.

내부 저항 연산에 필요한 비교적 높은 레벨의 임피던스 전압신호가 축전지 팩(Stack)의 단위 셀 단자에서 유기될 수 있도록, 피측정 축전지팩(Stack)에 수십 A 크기의 측정전류신호를 생성하는 측정전류발생수단(17)이 더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Measurement current generating means for generating a measurement current signal having a magnitude of tens A in the battery pack under test so that the impedance voltage signal of a relatively high level required for calculating the internal resistance can be induced at the unit cell terminal of the battery pack. It is preferable that (17) is further contained.

또한 각 단위 셀 전압을 측정하여 다른 셀의 전압보다 높거나 최대 허용전압보다도 높아 불균형 상태에 있는 경우, 각 단위 셀을 균일화 시키도록 제어하는 셀균등제어수단(11)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cell equalization control means 11 for measuring the unit cell voltage and controlling the unit cell to be uniform when the voltage is higher than the voltage of other cells or higher than the maximum allowable voltage.

임베디드장치(15)는 기본적으로 셀 전압, 온도 데이터 값을 입력받아 저장하거나 셀 전압, 온도의 아날로그신호를 받아 연산하고 또한 전류센싱수단(16)으로부터 얻어지는 측정전류신호와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14)에서 얻어지는 내부 임피던스전압신호를 기초로 하여 내부 저항 또는 내부 임피던스 값을 실시간 주기 설정에 의해 연산하며 이의 연산결과에 측정시각을 포함시켜 내부에 있는 메모리수단 내에 순차적으로 저장한다. 또한 상기 전류센싱수단(16)으로부터 얻어지는 충·방전전류의 크기 및 패턴을 분석하여 충·방전횟수(사이클), 충·방전 이력에 관한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DB)화 하여 상기 메모리수단 내에 날짜정보와 함께 순차적으로 저장한다.The embedded device 15 basically receives and stores a cell voltage and temperature data value or calculates and receives an analog signal of cell voltage and temperature, and also measures the measured current signal obtained from the current sensing means 16 and the interface means 14. Based on the obtained internal impedance voltage signal, the internal resistance or internal impedance value is calculated by setting the real time period, and the measurement time is included in the calculation result and stored sequentially in the internal memory means. In addition, by analyzing the magnitude and pattern of the charge and discharge current obtained from the current sensing means 16, data on the number of charge and discharge cycles (cycles), the charge and discharge history into a database (DB) to date and information in the memory means; Store them together sequentially.

현재 상용화되고 있는 리튬 이온 축전지는 2차 전지 중에서 전기집적도가 매우 높고 비교적 가격도 저렴하지만, 소용량에 한해 BMS IC칩을 연결하여 3~4개를 직렬 연결한 구조 (스마트 배터리)로 사용되고 있을 뿐이다. 다른 2차 축전지팩과 같이 수십개 이상의 단위 셀을 직렬시스템으로 연결하여 사용하기에는 특성상 폭발 의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기 때문에, 전기자동차와 같은 대용량 축전지팩으로 직렬 연결(특히 DC 300V 급이상)하여 실용화하는 데는 해결해야 할 기술적 과제를 가지고 있는 것이다.Lithium ion accumulators that are currently commercialized are very high in electrical integration and relatively inexpensive among secondary batteries, but are only used as a structure (smart battery) in which 3 to 4 units are connected in series by connecting BMS IC chips to small capacity. Like other secondary battery packs, dozens or more of unit cells are connected to a series system, so the risk of explosion is inherent. Therefore, it is not practical to use them in series connection (especially DC 300V or more) with a large capacity battery pack such as an electric vehicle. You have a technical problem to solve.

즉, 리튬계열의 축전지팩에 대해서는 타 2차 전지보다 위험성이 많기 때문에 폭발의 위험도를 줄이기 위해 셀 보호감시제어(Cell Protection)기능 및 충전 잔존용량 측정등 기본관리 기능 외에 추가적으로 셀균등제어(Cell Balancing)기능을 우선적으로 수행토록 설계하는 것이 대용량화의 필수적 해결 방안이 될 수 있다.In other words, lithium-based battery packs are more dangerous than other rechargeable batteries, so in addition to basic management functions such as cell protection and charge remaining capacity measurement, the cell balancing control (Cell Balancing) is used to reduce the risk of explosion. Designing to perform the function first can be an essential solution to the large capacity.

수십개 이상의 단위 셀을 직렬 연결 구성한 축전지팩을 장기간 사용함으로써 충.방전 사이클이 증가하게 되면, 각각의 단위 셀이 가지는 특성인자가 서로 동일하지 못하므로 단위 셀의 충전 전압이 불균형상태가 되게 된다. 이를 방지하는 수단으로 셀 균등제어(Cell Balancing)기능이 필수적 요건이 되는 것이다.If the charge / discharge cycle is increased by using a battery pack having several tens of unit cells connected in series for a long time, the characteristic voltages of each unit cell are not equal to each other, resulting in an unbalanced charging voltage of the unit cells. As a means to prevent this, cell balancing control is an essential requirement.

타 2차 전지의 경우에도 셀 전압이 불균형상태가 되면 축전지시스템의 노화를 촉진되어 용량감소등 수명이 단축되는 요인이 되나, 특히 리튬계열의 축전지팩에 대해서는 셀 전압이 불균형상태가 되면 급격한 특성변화로 폭발이 발생될 수 있으므로 셀균등제어(Cell Balancing)기능은 매우 중요한 제어 관리동작의 필수사항이 되는 것이다.. Even in the case of other secondary batteries, if the cell voltage is imbalanced, it accelerates aging of the battery system and shortens the lifespan such as capacity reduction.In particular, when lithium cell battery packs are imbalanced, a sudden characteristic change is caused. As cell explosion can occur, Cell Balancing is a very important control management operation.

따라서, 우선하여 상기 감시제어수단(2)은 피측정 대상의 단위 셀 전압을 측정 연산하여 이 값이 타 단위 셀의 전압정보와 수시로 비교하여 높다거나 셀의 최대 허용전압보다도 높다고 판단되면, 상기 임베디드장치(15)는 셀균등제어수단(11)으로 하여금 상기 불균형 상태에 있는 감시 대상 셀을 균일화 시키도록 제어 명령하게 된다. 이 명령은 각 셀의 내부저항과 같이 축전지 관리상 중요도가 낮다고 판 단되는 특성요소의 측정이나 기타 분석 동작보다 항상 우선적으로 처리된다. Therefore, first, the monitoring control means 2 measures and calculates the unit cell voltage to be measured,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value is higher than the voltage information of the other unit cell from time to time or is higher than the maximum allowable voltage of the cell, the embedded control means The device 15 causes the cell equalization control means 11 to control to equalize the monitored cell in the imbalanced state. This command always takes precedence over the measurement or other analysis of characteristic elements that are considered to be of low importance for battery management, such as the internal resistance of each cell.

상기 임베디드장치(15)의 제어 명령에 따라 불균형 상태에 있는 대상 셀이 셀선택수단(12)를 통해 상기 셀균등제어수단(11)에 연결되어 지면 셀균등제어수단(11)이 작동되고, 축전지팩의 충전전류중 일부 량(하드웨어의 용량을 고려한다면 50% 이하가 바람직함)은 불균형 상태에 있는 셀을 충전하지 않고 셀균등제어수단(11)을 통해 분산(바이패스)되도록 제어됨으로써 불균형 상태에 있는 셀 전압은 다른 정상 셀에 비해 추가적인 충전이 정지되거나 과충전된 셀 전압은 방전되어 안정되게 된다.According to a control command of the embedded device 15, when the target cell in an unbalanced state is connected to the cell equalization control means 11 through a cell selection means 12, the cell equalization control means 11 is operated, and the storage battery is operated. A part of the charging current of the pack (50% or less is preferable if the capacity of the hardware is considered) is controlled to be distributed (bypassed) through the cell equalization control unit 11 without charging a cell in an unbalanced state. The cell voltage at is more stable than other normal cells when the additional charging is stopped or the overcharged cell voltage is discharged.

상기의 셀균등제어(Cell Balancing)기능은 충전기간 동안 지속적으로 작동되고 축전지 단위 셀의 타 파라미터 측정 또는 분석 관리보다 우선적으로 행하여 진다.The Cell Balancing function is continuously operated between chargers and is prioritized over other parameter measurement or analysis management of the battery unit cell.

상기 셀균등제어수단(11)은 회로구성 및 제어를 단순화시키는 목적으로 1개의 능동스위치 소자와 부하저항기로써 회로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능동스위치 소자가 온(ON)되면 상기 능동스위치 소자와 직렬로 연결된 부하저항기로 축전지팩의 충전전류가 분산되어 충전량이 감소되거나 과충전된 셀 전압은 방전되게 된다.The cell equalization control means 11 preferably constitutes a circuit with one active switch element and a load resistor for the purpose of simplifying the circuit configuration and control. When the active switch element is turned on, the charging current of the battery pack is distributed to a load resistor connected in series with the active switch element so that the amount of charge is reduced or the overcharged cell voltage is discharged.

또한, 셀의 보호감시제어(Cell Protection)기능은 각각의 셀에 대하여 여러 가지 보호(과충전 차단 및 해지, 과전압 차단 및 해지, 과전류 차단 또는 해지, 과 방전 차단 또는 해지, 셀 온도 과열 차단 또는 해지, 단위 셀의 내부 저항과다 경고)기능을 수행하여 단위 셀을 폭발로부터 보호하는 기능이다.In addition, the cell protection function (Cell Protection) for each cell has a variety of protection (overcharge blocking and termination, overvoltage blocking and termination, overcurrent blocking or termination, over-discharge blocking or termination, cell temperature overheating or termination, It protects the unit cell from explosion by performing the function of warning of excessive internal resistance of the unit cell.

상기 감시제어수단(2)은 전류센싱수단(16)으로부터 축전지팩의 충.방전전류를 감지하여 충.방전사이클의 회수를 파악하고 이의 크기를 연산한다. 또한 셀선택수단(12)를 통해 각 단위 셀의 셀전압, 온도, 임피던스전압신호를 감지받아 이하 축전지팩의 건전상태 또는 충전상태를 추정하고 보호 기능이 수행되도록 관리한다.The monitoring control means (2) detects the charge and discharge current of the battery pack from the current sensing means 16 to determine the number of charge and discharge cycles and calculate the size thereof. In addition, the cell selection means 12 detects the cell voltage, the temperature, and the impedance voltage signal of each unit cell, estimates the health state or the charge state of the battery pack, and manages the protection function to be performed.

상기 감시제어수단(2)은 임베디드장치(15)에 의해 연산되어 얻어지는 셀 전압, 온도 값이나 내부 저항값을 소정의 설정 값과 비교 분석하여 축전지팩(Stack)의 해당 단위 셀(모노블록)에 이상이 발생되거나 예상되었다고 판단되면, 즉시 임베디드장치(15)는 우선적 신호를 출력하고 게이트 차단수단(18)으로 하여금 게이트 차단신호를 만들어 승압형 컨버터(3)로 송출된다. 이와 같이 송출된 상기 게이드 차단신호는 상기 승압형 컨버터(3)의 차단 스위치(304)의 게이트를 즉시 차단(블로킹)하여 충전 또는 방전을 정지시킬 수 있으므로 축전지팩(Stack)은 잘못된 충·방전조건이나 환경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될 수 있다.The supervisory control means 2 compares and analyzes the cell voltage, temperature value, or internal resistance value calculated by the embedded device 15 with a predetermined set value to the corresponding unit cell (monoblock) of the battery pack. If it is determined that an abnormality has occurred or is expected, the embedded device 15 immediately outputs a preferential signal and causes the gate blocking means 18 to generate a gate blocking signal and send it to the boost type converter 3. The gate cut signal transmitted as described above may immediately stop (blocking) the gate of the cutoff switch 304 of the boost type converter 3 to stop charging or discharging. Thus, a battery pack may have an incorrect charge / discharge condition. It can be safely protected from the environment.

충.방전전류의 적산량은 축전지팩의 충전 잔존 용량 (SOC)를 추정하는 데 필수적 자료이다. 충전 잔존용량 측정 기능은 축전지팩의 충.방전시 측정된 전류량을 적산을 토대로 하여 충.방전 Cycle회수, 단위 셀의 건전상태, 셀 온도, 셀 전압 등 셀 특성 데이터를 연산 알고리즘에 접목시켜 충전 잔존 용량(SOC)을 연산할 수 있다.Accumulation of charge and discharge current is essential data for estimating charge remaining capacity (SOC) of battery pack. The charge remaining capacity measurement function integrates the cell characteristic data such as the number of charge / discharge cycles, unit cell health, cell temperature, and cell voltage into a calculation algorithm based on the integration of the amount of current measured during charge / discharge of the battery pack. Capacity (SOC) can be calculated.

또한 임베디드장치(15)의 출력포트에 연결되어 있는 표시장치(19)는 LCD나 LED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표시장치(19)에 의하여 상기 축전지팩(Stack)의 동작상태나 이상유무 상태를 감시할 수 있고 필요시에는 상기 임베디드장치(15)의 메모 리수단에 저장되어 있는 축전지팩(Stack)의 상태 및 이력 데이터베이스를 검출하여 축전지팩(Stack)의 성능이나 수명에 관한 특성 및 충·방전에 대한 이력 데이터를 열람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splay device 19 connected to the output port of the embedded device 15 may be configured in the form of LCD or LED and monitors the operation state or abnormal state of the battery pack by the display device 19. If necessary, if necessary, by detecting the state and history database of the battery pack (Stack) stored in the memory means of the embedded device 15, and the characteristics and charge and discharge of the battery pack (Stack) performance or life History data can be viewed.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로써 축전지팩의 BMS 회로 및 충·방전회로 블록도이며, 셀선택수단(12)이 각 단위 셀마다 설치되는 측정제어모듈 (21a, 21b ...21n)로 구성된 신호선택수단(21)으로 대치될 수 있다. 상기 각 측정제어모듈 (21a, 21b ...21n)에서 축전지 각 단위 셀의 특성 파라미터를 측정하고 필요시 이를 MCU(37)의 내부 메모리에 저장한다. 측정된 데이터가 순차적으로 아날로그스위치(MUX) 또는 통신회로(38)의 직렬통신선로(39)를 통해 임베디드장치(15)에 연결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임베디드장치(15)는 축전지팩의 충.방전전류크기와 각 측정제어모듈 (21a, 21b ...21n)에서 측정되어 제어신호에 의해 전송된 각 단위 셀의 특성요소 파라미터를 입력받아 분석한다. 3 is a block diagram of a BMS circuit and a charge / discharge circuit of a battery pac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the cell selecting means 12 is provided for each unit cell, and the measurement control module 21a, 21b ... 21n. It can be replaced by a signal selection means 21 composed of. Each measurement control module 21a, 21b ... 21n measures the characteristic parameters of each unit cell of the battery and stores them in the internal memory of the MCU 37 when necessary. The measured data is sequentially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the embedded device 15 through the serial communication line 39 of the analog switch (MUX) or the communication circuit 38, the embedded device 15 is charged and discharged of the battery pack The current magnitude and the characteristic element parameter of each unit cell measured by each measurement control module 21a, 21b ... 21n and transmitted by the control signal are inputted and analyzed.

도 1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 상기 측정제어모듈 (21a, 21b ...21n)의 세부 구성 블럭도이다. 축전지 단위 셀에서 얻어지는 전압신호는 차동증폭기1(31)을 통해 임피던스 전압측정회로(32) 및 셀전압감지회로(33)를 통해 A/D 변환기(36)로 입력된다. 또한 측정전류발생수단(17)에서 발생된 측정전류신호가 라인(34)에 따라 A/D 변환기(36)에 입력되고 온도센서(30)에서 감지된 온도신호는 차동증폭기회로2(버퍼)(35)를 통해 A/D 변환기(36)로 입력되어 셀 전압, 온도, 내부 저항 등 단위 셀의 특성 파라미터가 MCU(37)의 연산프로그램에 의해 연산된다.12 is a detailed block diagram of the measurement control module 21a, 21b ... 21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oltage signal obtained from the battery unit cell is input to the A / D converter 36 through the differential voltage amplifier 1 31 through the impedance voltage measurement circuit 32 and the cell voltage detection circuit 33. In addition, the measurement current signal generated by the measurement current generating means 17 is input to the A / D converter 36 along the line 34 and the temperature signal detected by the temperature sensor 30 is differential amplifier circuit 2 (buffer) ( Inputted to the A / D converter 36 through 35), characteristic parameters of the unit cell, such as cell voltage, temperature, and internal resistance, are calculated by the calculation program of the MCU 37.

상기 MCU(37)에서 연산된 상기 특성 파라미터는 통신회로(38)를 통해 직렬 통신방식으로 상기 임베디드장치(15)에 전송되게 되어 종합적으로 분석 관리될 수 있다.The characteristic parameter calculated by the MCU 37 may be transmitted to the embedded device 15 through a communication circuit 38 in a serial communication manner, and thus may be comprehensively analyzed and managed.

또한 상기 통신회로(38)는 수.송신 양방향으로 통신을 할 수 있게 설계되고 상기 임베디드장치(15)의 감시관리에 의해 불균형 상태에 있는 대상 셀이 발견되어 지면, 상기 임베디드장치(15)의 제어 명령은 상기 통신회로(38)을 통해 셀균등제어회로(42)에 전달되어 축전지팩의 충전전류 중 일부(하드웨어의 용량을 고려한다면 수 A 이하가 바람직함)성분은 불균형 상태에 있는 셀을 더 이상 충전하지 않고 상기 셀균등제어수단(42)을 통해 바이패스되도록 제어됨으로써 불균형 상태에 있는 셀 전압은 충전량이 감소되어 전압이 안정되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circuit 38 is designed to communicate in both a transmission and a transmission direction, and when the target cell is found to be in an imbalanced state by the monitoring management of the embedded device 15, the control of the embedded device 15 is controlled. The command is transmitted to the cell equalization control circuit 42 through the communication circuit 38 so that a part of the charging current of the battery pack (preferably a few A or less in consideration of the capacity of the hardware) is added to the cell in an unbalanced state. The cell voltage in an unbalanced state is controlled to be bypassed through the cell equalization control means 42 without charging abnormally so that the charge amount is reduced and the voltage is stabilized.

한편, 상기 측정전류발생수단(17)에서 발생하는 측정전류가 피 측정 축전지팩(Stack)에 흐르게 되면 단위 셀(모노블록)의 내부 임피던스에 의해 임피던스 전압신호가 피 측정 축전지팩(Stack)의 단자에서 축전지의 기전력에 혼합되어 나타나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measured current generated by the measurement current generating means 17 flows in the battery pack under test (Stack), the impedance voltage signal is caused by the internal impedance of the unit cell (monoblock) to the terminal of the battery pack under test (Stack). At this time, it is mixed with the electromotive force of the battery.

내부 임피던스 또는 내부 저항을 측정하는 기술은 이미 공지된 바와 같이 교류전류 주입방식(AC current injection method)과 순간-부하 방전방식(Momentary Load Test, DC Measurement)등 몇 가지 방법들이 있으며 측정전류신호의 흐름에 의하여 축전지 단위 셀에서 얻어지는 임피던스 전압신호와 측정전류신호의 관계 수식으로부터 내부 임피던스 또는 내부 저항값을 도출한다.As a technique for measuring internal impedance or internal resistance, there are several methods, such as AC current injection method and momentary load discharge method (DC measurement), as is known in the art. The internal impedance or internal resistance value is derived from the relational expression between the impedance voltage signal and the measured current signal obtained in the battery unit cell.

이와 같이 상기 임피던스 전압신호를 얻기 위해서는 측정전류신호를 생성하여 피측정 축전지팩(Stack)에 흐르도록 하여야 하는 데, 이때 충·방전전류에 의한 리플전압이나 또한 외부로부터 유도될 수 있는 잡음 전압의 영향을 받지 않기 위해서는 축전지 단자전압에서 얻어지는 임피던스 전압신호가 훨씬 커야 하므로 수십 암페어(Ampere) 이상의 비교적 큰 측정전류가 필요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in order to obtain the impedance voltage signal, a measurement current signal must be generated and flowed to the battery pack under test. In this case, the influence of the ripple voltage caused by the charge / discharge current or the noise voltage that can be induced from the outside can be obtained. In order not to receive the signal, the impedance voltage signal obtained from the battery terminal voltage must be much larger, and therefore a relatively large measurement current of several tens of amperes is required.

도 4는 측정전류발생수단(17)의 일 실시 예이다. 비교적 큰 측정전류를 용이하게 생성할 수 있도록 설계된 바람직한 실시 예로써 축전지팩의 출력단자와 직렬로 연결된 인덕터와 2개의 스위칭소자로 측정전류발생수단(17)이 구성되어 진다.4 shows an embodiment of the measurement current generating means 17. As a preferred embodiment designed to easily generate a relatively large measurement current, the measurement current generating means 17 is composed of an inductor and two switching elements connected in series with the output terminal of the battery pack.

스위칭 레그는 상단 스위치 소자(901)와 하단 스위칭 소자(902)의 극성 방향에 맞추어 직렬로 구성하여 상단(910), 중단(920) 및 하단(930) 결선 노드가 형성되도록 구성한다. 상단 결선 노드(910)는 출력 커패시터(306)의 양극(+) 단자와 결선되고 하단 결선 노드(930)는 출력 커패시터(306)의 음극(-) 단자와 결선 되며 중단 결선 노드(920)는 인덕터(907)의 한쪽 단자와 결선 된다. 또한 인덕터(907)의 다른 단자는 축전지팩(Stack)의 양극(+)단자와 결선 된다.The switching legs are configured in series according to the polarity direction of the upper switch element 901 and the lower switching element 902 so that the upper 910, the interruption 920, and the lower 930 connection nodes are formed. The upper connection node 910 is connected with the positive terminal of the output capacitor 306, the lower connection node 930 is connected with the negative terminal of the output capacitor 306, and the interrupt connection node 920 is connected to the inductor. It is connected to one terminal of (907). In addition, the other terminal of the inductor 907 is connected to the positive terminal (+) of the battery pack (Stack).

상기 측정전류 발생수단(17)은 축전지팩(Stack)의 단자와 연결된 수동소자인 인덕터와 2개의 능동소자인 스위칭 소자로 구성되어, 선형제어방법에 비해 효율이 높고 또한 큰 측정전류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단 스위치 소자(901)와 하단 스위칭 소자(902)는 임베디드장치(15)에서 출력된 신호에 의하여 동기 되게 구동시킴으로써 결과적으로 측정전류 주파수는 임베디드장치에서 결정되게 되고 이에 따라 내부 저항값을 연산하는 단계가 간략하여 질 수 있다.The measuring current generating means 17 is composed of an inductor, which is a passive element connected to a terminal of a battery pack, and a switching element, which is two active elements, and can generate a high measurement current signal with higher efficiency than a linear control method. Can be. In addition, the upper switch element 901 and the lower switching element 902 are driven synchronously by the signal output from the embedded device 15, and as a result, the measurement current frequency is determined in the embedded device, thereby calculating the internal resistance value. The steps can be simplified.

도 5은 상기 측정전류발생수단(15)의 심뮤레이션에 의한 동작 파형의 일 예로, 측정전류 및 축전지시스템(팩) 출력전류의 시뮬레이션 파형을 도시하고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하여 측정 전 전류 200 Hz(헤르츠), 최대치 50 A(암페어) 크기의 정현파 측정전류가 임베디드장치의 구동신호에 의해 용이하게 생성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FIG. 5 shows simulation waveforms of the measurement current and the battery system (pack) output current as an example of the operation waveform by the simu- lation of the measurement current generating means 15.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illustrated in FIG. 4, it can be seen that the sine wave measurement current having a magnitude of 200 Hz (Hertz) and a maximum value of 50 A (Amp) before measurement is easily generated by the drive signal of the embedded device.

도 6는 본 발명에서 제시하고 있는 승압형 컨버터(3)의 일 실시 예로, 주회로의 스위칭 레그가 4상으로 구성된 경우이다. 각 상의 개별 스위칭 레그들은 구성 및 동작원리가 동일하므로 이하 내용의 반복 설명을 피하기 위해 기준 스위칭 레그(301)을 중심으로 설명한다.FIG. 6 illustrates an embodiment of the boost converter 3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switching legs of the main circuit are configured in four phases. Since the individual switching legs of each phase are the same in configuration and operation principle, description will be made with reference to the reference switching leg 301 in order to avoid repeated description of the following description.

스위칭 레그(301)는 상단 스위치 소자(302), 하단 스위칭 소자(303) 그리고 차단 스위치(304)를 극성 방향에 맞추어 직렬로 구성하여 상단(310), 중단(320) 및 하단(330) 결선 노드가 형성되도록 구성한다. 상단 결선 노드(310)는 출력 커패시터(306)의 양극(+) 단자와 결선 되고, 하단 결선 노드(330)는 출력 커패시터(306)의 음극(-) 단자 또는 축전지팩(Stack)의 음극(-)단자와 결선 되고, 중단 결선 노드(320)는 인덕터(307)의 한쪽 단자와 결선 된다. 인덕터(307)의 다른 단자는 축전지팩(Stack)의 양극(+)단자와 결선 된다.The switching leg 301 is formed by connecting the upper switch element 302, the lower switching element 303, and the cutoff switch 304 in series in the polar direction to connect the upper 310, interrupt 320, and lower 330 connection nodes. It is configured to be formed. The upper connection node 310 is connected to the positive terminal of the output capacitor 306, and the lower connection node 330 is connected to the negative terminal of the output capacitor 306 or the negative terminal of the battery pack. ) Is connected to the terminal, and the interruption connection node 320 is connected to one terminal of the inductor 307. The other terminal of the inductor 307 is connected to the positive terminal (+) of the battery pack (Stack).

상단 스위칭 소자(302)와 하단 스위칭 소자(303)의 영전압 스위칭 구현을 위해 설계자의 판단에 따라 스너버 커패시터(305)가 각 스위칭 소자에 병렬로 구성될 수도 있다.In order to implement zero voltage switching of the upper switching element 302 and the lower switching element 303, a snubber capacitor 305 may be configured in parallel to each switching element according to a designer's decision.

또한 스위칭 소자의 보호를 위해 설계자의 판단에 따라 차단 스위치(304)와 상단 스위칭 소자(302) 사이의 결선 노드(340)에 다이오드(351)의 양극(+)이 결선 되고, 다이오드(351)의 음극(-)단자는 커패시터(352)와 결선 되고, 커패시터의 또 다른 단자는 출력 커패시터(306)의 음극(-)단자 또는 축전지팩(Stack)의 음극(-)단자와 결선 되고, 커패시터(352)에 저항(353)이 병렬로 결선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류패스회로(35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for protection of the switching element, the anode (+) of the diode 351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node 340 between the cutoff switch 304 and the upper switching element 302 at the designer's discretion. The negative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capacitor 352, and the other terminal of the capacitor is connected to the negative terminal of the output capacitor 306 or the negative terminal of the battery pack, and the capacitor 352 ) May further comprise a current pass circuit 350, characterized in that the resistor 353 is connected in parallel.

상단 스위칭 소자(302)와 하단 스위칭 소자(303)는 스위치 제어수단(20)에 의해 동작하며 하단 스위칭 소자(303)가 스위치 온이 되면 상단 스위칭(302)는 스위치 오프가 되는 것과 같이, 상보적으로 온/오프 스위칭 된다. 하단 스위칭 소자(303)가 온 되는 경우, 인덕터(307)에 인가된 축전지시스템(팩)의 전압으로 인해 인덕터 전류는 선형적으로 증가하고 인덕터(307)내의 자기 에너지는 증가된다.The upper switching element 302 and the lower switching element 303 are operated by the switch control means 20 and when the lower switching element 303 is switched on, the upper switching 302 is complementary, such as to be switched off. Is switched on / off. When the lower switching element 303 is turned on, the inductor current increases linearly and the magnetic energy in the inductor 307 increases due to the voltage of the battery system (pack) applied to the inductor 307.

이후 하단 스위칭 소자(303)이 오프되면, 인덕터(307)에 인가된 전압의 극성이 반전되어 인덕터 전류는 선형적으로 감소하고 인덕터 내의 자기 에너지는 출력 캐패시터(306)로 방출되게 된다.Then, when the lower switching element 303 is turned off, the polarity of the voltage applied to the inductor 307 is inverted so that the inductor current decreases linearly and magnetic energy in the inductor is released to the output capacitor 306.

따라서, 하단 스위칭 소자(303)의 스위치 온/오프 시간을 제어하는 펄스 폭 변조(PWM; Pulse Width Modulation)에 의해 인덕터(307)에 자기적으로 저장되는 에너지 양이 제어되고 축전지시스템(팩)의 출력전압을 전기시스템에서 요구하는 높은 직류전압으로 변환하게 되는 것이다.Accordingly, the amount of energy stored magnetically in the inductor 307 is controlled by Pulse Width Modulation (PWM), which controls the switch on / off time of the lower switching element 303, and the The output voltage is converted to the high DC voltage required by the electrical system.

차단 스위치(304)는, 승압형(Boost) 컨버터(3)의 동작시 또는 축전지팩의 충전시와 같은 평상 동작의 경우, 스위치 온 되어 축전지시스템(팩)의 전력이 부하측으로 공급되거나 또는 충전되는 것을 허용한다.The disconnection switch 304 is switched on in the normal operation such as when the boost converter 3 is operating or when the battery pack is being charged, so that the power of the battery system (pack) is supplied or charged to the load side. To allow.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감시제어수단(2)에서 충·방전전압, 충방전전류, 셀 전압, 온도 값이나 내부 임피던스 또는 내부 저항값을 실시간으로 연산하거나 모니터한 결과를 분석하여 축전지팩(Stack) 또는 해당 단위 셀(모노블록)에 이상이 발생되었다고 판단될 경우, 차단 스위치(304)는 게이트 차단수단(18)에서 송출된 차단신호에 의해 즉시 스위치 오프되고 전력의 공급을 중지시켜 축전지팩(Stack)을 보호하게 된다.However, as described above, the supervisory control means 2 analyzes the result of calculating or monitoring the charge / discharge voltage, the charge / discharge current, the cell voltage, the temperature value, the internal impedance or the internal resistance value in real time, and accumulate the battery pack. Alternatively, when it is determined that an abnormality has occurred in the unit cell (monoblock), the cutoff switch 304 is immediately switched off by the cutoff signal sent from the gate cutoff means 18 and stops the supply of power. ) Will be protected.

또한 충전중에도 이상이 감지되면 축전지팩(Stack)을 보호하기 위해 차단 스위치(304)를 스위치 오프(off) 시킴으로써 승압형(Boost) 컨버터(3)의 제어동작을 중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when abnormality is detected during charging, it is preferable to stop the control operation of the boost converter 3 by switching off the cutoff switch 304 to protect the battery pack.

또한 상기 차단 스위치(304)는 현실적으로 상용화된 IGBT 같은 전력 반도체 소자가 바람직하나, 기계식 접점구조인 릴레이나 스위치로 대치될 수도 있고 이 경우에는 게이트 차단수단(18)에서 송출된 차단신호는 여자코일의 여자전류를 차단시켜 상기 릴레이나 스위치를 오프시켜 축전지팩(Stack)을 보호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utoff switch 304 is preferably a commercially available power semiconductor device such as an IGBT, but may be replaced by a relay or a switch having a mechanical contact structure, and in this case, the cutoff signal sent from the gate cutoff means 18 may be applied to the excitation coil. By blocking the excitation current, the relay or the switch may be turned off to protect the battery pack.

상기 단계에서 이상이 감지되어 차단 스위치(304)를 스위치 오프하거나 승압형(Boost) 컨버터(3)의 동작을 급히 정지시키면 인덕터(307)에 흐르고 있는 인덕터 전류의 환류(Free wheeling)통로가 차단되어 상기 인덕터(307) 양단에는 높은 전압이 유기되고 이로 인해 상기 스위칭 소자(302,303) 또는 차단 스위치(304) 양단에 과전압이 발생하여 이들이 파손될 수 있다.When an abnormality is sensed in the above step, when the cutoff switch 304 is switched off or the operation of the boost converter 3 is suddenly stopped, the free wheeling passage of the inductor current flowing in the inductor 307 is blocked. High voltages are induced across the inductor 307, which may cause overvoltages at both ends of the switching elements 302 and 303 or the cutoff switch 304, thereby damaging them.

이와 같은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는 상기 인덕터(307)에 흐르는 전류가 -음 (-)방향으로 흐르는 구간에 상기 차단 스위치(304)를 스위치 오프하거나 승압형 컨버터(3)의 동작을 중지시키면, 상기 인덕터(307)의 전류는 스위치 소자(303)의 다이오드를 통해 우회(바이패스)되어 흐르게 되어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제어방법은 게이트 구동신호를 제어하는 단계에서 이루어지므로 제어가 다소 복잡하게 될 수 있다.In order to prevent such damage, when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inductor 307 flows in a negative-negative direction, the cutoff switch 304 is switched off or the operation of the boost converter 3 is stopped. The current of the inductor 307 is bypassed (bypassed) through the diode of the switch element 303 to prevent damage. However, since the control method is performed at the step of controlling the gate driving signal, the control may be somewhat complicated.

따라서 상단 스위치 소자(302)와 차단 스위치(304)의 결선 노드(340)와 출력 커패시터(306의 음극(-)단자 또는 축전지팩(Stack)의 음극(-)단자와 연결점인 결선 노드(330) 사이에 하드웨어 회로인 전류패스회로(350)를 설치하여 상기 인덕터(307)에 흐르고 있는 전류가 상기 전류패스회로(350)를 통해 우회(바이패스)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Therefore, the connection node 330 which is a connection point of the connection node 340 of the upper switch element 302 and the disconnect switch 304 and the negative terminal of the output capacitor 306 or the negative terminal of the battery pack Stack. It is preferable to provide a current pass circuit 350, which is a hardware circuit, so that current flowing in the inductor 307 is bypassed through the current pass circuit 350.

도 7 은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 예인 주회로의 스위칭 레그가 6상으로 구성된 승압형(Boost) 컨버터 회로의 예이다. 각 스위칭 레그의 하드웨어 구조와 동작원리는 도 6의 경우와 일치하므로 이의 동작 과정에 관하여 기재를 하지 않더라도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종사자는 이를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FIG. 7 is an example of a boost converter circuit having six switching phases of a main circuit, which is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hardware structure and operation principle of each switching leg are the same as those of FIG. 6, a person skilled in the art may easily understand this even if the operation process thereof is not described.

스위칭 레그가 단상으로 구성된 통상의 승압형(Boost) 컨버터의 경우, 축전지시스템(팩)의 출력 전류와 인덕터 전류가 동일하다. 반면 4상 또는 6상으로 구성된 도 6 또는 도 7의 승압형 컨버터에서 축전지시스템(팩)의 출력전류(Ibat)는 각 상의 인덕터 전류의 전체 합으로 나타나게 되므로, 출력전류(Ibat)내의 고조파 리플 전류또한 각상의 인덕터 전류 내의 고조파 리플 전류의 합으로 나타나게 된다.In the case of a typical boost converter having a switching leg composed of a single phase, the output current of the battery system (pack) and the inductor current are the same. On the other hand, in the boost type converter of FIG. 6 or 7 composed of four or six phases, the output current Ibat of the battery system pack is represented by the total sum of the inductor currents of each phase, and thus the harmonic ripple current in the output current Ibat. It is also represented by the sum of the harmonic ripple currents in the inductor current of each phase.

승압형(boost) 컨버터의 스위칭 소자를 제어하는 펄스 폭 변조의 한 주기를 360˚로 정의할 때, 주 회로의 각 레그가 (360˚/상수)의 위상차를 각각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펄스 폭 변조를 통해 제어되는 경우, 인덕터 전류 역시 고조파 리플은 (360˚/상수)의 위상차를 가지게 된다. 이러한 위상차를 가진 고조파 리플 은 출력전류(Ibat)내에서 서로 상쇄되고 결과적으로 축전지시스템(팩)의 출력 전류(Ibat)의 고조파 리플은 크기는 감소하고 고조파 주파수는 (스위칭 주파수 * 상수) 배로 증가하게 되는 것이다.Pulse width modulation characterized in that each leg of the main circuit has a phase difference of (360 ° / constant) when defining one period of pulse width modulation for controlling the switching element of a boost converter as 360 °. When controlled by, the inductor current also has harmonic ripple phase difference of (360 ° / constant). Harmonic ripples with this phase difference cancel each other out in the output current Ibat, so that the harmonic ripple of the output current Ibat of the battery system (pack) decreases in magnitude and the harmonic frequency increases by (switching frequency * constant) times. Will be.

도 8은 6상으로 구성된 승압형(Boost) 컨버터가 60˚의 위상차 (360˚/6상)를 가진 펄스 폭 변조에 의해 제어되는 경우로써, 전기차에 사용되는 전기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는 경우의 각 상 인덕터 전류와 축전지시스템(팩) 출력 전류 파형을 도시하고 있다. 각 상 인덕터 전류들은 서로 60˚의 상대적 위상차를 가지고 있으며 그 개별 리플 전류의 피크치가 200 A(암페어)수준에 달할 수 있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축전지시스템(팩) 출력 전류내에서는 상이한 위상을 가진 인덕터 전류들 간의 상쇄 효과로 인해 리플 전류의 피크치가 60A(암페어) 정도로 감소하게 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뿐만 아니라 축전지팩(Stack)의 리플 전류의 주파수는 인덕터 전류 리플의 6배(즉, 상의 배수)에 해당함을 알 수 있다.FIG. 8 shows a case in which a boost converter composed of six phases is controlled by pulse width modulation having a phase difference (360 ° / 6 phases) of 60 °, and is applicable to an electric system used in an electric vehicle. Each phase inductor current and battery system (pack) output current waveform is shown. Each phase inductor current has a relative phase difference of 60 ° to each other, and its individual ripple current peaks can reach 200 A (amps). In this case, as described above, it can be seen that the peak value of the ripple current is reduced to about 60 amps ( Amp) due to a cancellation effect between inductor currents having different phases in the battery system (pack) output current. In addition, it can be seen that the frequency of the ripple current of the battery pack corresponds to 6 times the inductor current ripple.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로써 4상 또는 6상에 대하여 동작 모드 및 전류 파형을 도시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3상으로 적용이 가능하고 스위칭 레그의 상이 더 증가하면 축전지팩(Stack)에서 발생되는 스위칭 리플의 주파수가 상수에 비례하여 높아지고 리플전류 크기가 감소하므로, 설계자의 판단에 따라 유리한 점을 찾을 수 있다면 회로의 상수을 최적인 조건으로 증가시켜 승압형(Boost)컨버터의 주회로를 구성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n operation mode and a current waveform are illustrated for four or six phases, but it is applicable to three phases, and when the phase of the switching leg is further increased, the switching is generated in the battery pack. Since the frequency of the ripple increases in proportion to the constant and the magnitude of the ripple current decreases, it is possible to construct the main circuit of the boost converter by increasing the constant of the circuit to an optimum condition if an advantage can be found according to the designer's judgment. .

또한, 상기와 같이 상수가 증가됨에 따라 1개의 전력 스위칭 소자의 전류용량이 감소할 수 있으므로, 전기자동차용과 같은 대용량의 축전지팩(Stack)에 사용 되는 승압형(Boost) 컨버터 회로의 스위칭 소자로써 속도도 매우 빠르며 병렬 연결이 비교적 용이한 FET소자를 채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다상 구조의 승압형(Boost)컨버터의 경우 산업적 이용 효과가 높아질 수 있다.In addition, as the constant is increased as described above, the current capacity of one power switching element can be reduced, so that the speed as a switching element of a boost converter circuit used in a large-capacity battery pack such as for an electric vehicle. It is also possible to adopt a FET device which is very fast and relatively easy in parallel connection. Therefore, in the case of the boost converter of the multiphase structure, the industrial use effect can be increased.

또한, 상기와 같이 병렬운전 상수가 많아지면 일부 상수에 고장이 발생하여 고장난 상의 스위칭 레그를 동작회로 모드에서 분리시키고 나머지 건전한 상으로써 동작되게 하드웨어 및 제어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으므로, 이와 같은 다상 구조 형태로 구성된 승압형(Boost) 컨버터는 전기시스템의 운전 신뢰도를 향상시키는 데 기여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parallel operation constant increases as described above, a part of the constant occurs, so that the hardware and the control system can be configured to separate the switching legs of the failed phase from the operation circuit mode and operate as the remaining healthy phase. Boost converters can be configured to improve the operating reliability of the electrical system.

한편, 도 6 또는 도 7에 도시된 승압형 컨버터는 인덕터의 크기(인덕턴스)를 줄임에 따라 인덕터 전류의 리플 크기가 증가한다. 도 9는 인덕턴스 감소에 따른 인덕터 전류를 도시하고 있다. 인덕턴스 감소로 인해 스위칭 레그의 하단 스위치가 오프 (상단 스위치는 온) 되는 구간 동안, 인덕터 전류를 영전류를 지나 마침내 그 방향이 반대로 바뀌는 음 극성의 전류가 된다. 상기 음 극성의 인덕터 전류 구간에서, 도 10 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 스위치와 상단 스위치를 동시에 오프시키면 음 극성의 인덕터 전류는 하단 스위치의 역병렬 다이오드를 통해 흐르게 된다. 이후 도 10의 (c)와 같이 하단 스위치를 턴 온 시킴으로써, 스위치의 턴 온 손실이 없는 영전압 스위칭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Meanwhile, in the boost converter shown in FIG. 6 or 7, the ripple size of the inductor current increases as the size (inductance) of the inductor is reduced. 9 shows inductor current with decreasing inductance. During the period when the lower switch of the switching leg is turned off (the upper switch is on) due to the reduced inductance, the inductor current passes through zero current and finally becomes the negative polarity current which reverses direction. In the negative inductor current section, as shown in FIG. 10B, when the lower switch and the upper switch are turned off at the same time, the negative inductor current flows through the antiparallel diode of the lower switch. Then, by turning on the lower switch as shown in (c) of FIG. 10, zero voltage switching without turn-on loss of the switch can be implemented.

한편, 전 부하 영역에서 상기와 같은 영전압 스위칭을 구현을 위해서는 최대 부하시 하단 스위치의 오프 구간 동안 인덕터 전류가 그 방향이 반대로 바뀌어 음 극성의 전류가 될수 있도록 승압형 컨버터의 인덕터를 충분히 작은 값으로 선정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승압형 컨버터가 일정한 스위칭 주파수를 가지는 펄스폭 변조에 의해 제어되는 경우, 전 부하 영역에서 상기 영전압 스위칭을 구현은 경부하시 과도한 음 극성의 인덕터 전류를 야기하게 되고, 이는 승압형 컨버터의 경부하시 전력 변환 효율을 떨어뜨리는 주요한 원인이 된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implement the above zero voltage switching in the full load region, the inductor of the boost type converter is set to a sufficiently small value so that the inductor current is reversed in the off period of the lower switch at the maximum load so that the current becomes a negative polarity. It needs to be selected. However, when the boost converter is controlled by pulse width modulation having a constant switching frequency, the implementation of the zero voltage switching in the full load region causes an inductor current of excessive negative polarity at light load, which is the neck of the boost converter. This is a major cause of lowering the power conversion efficiency.

따라서 일정한 스위칭 주파수를 가지는 펄스폭 변조에 의해 제어시, 승압형 컨버터는 에너지 변환 효율을 고려하여 경부하시에 영전압 스위칭되고, 중 부하시에는 하드 스위칭되도록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refore, when controlled by pulse width modulation having a constant switching frequency, the boost converter is preferably designed to be zero voltage switched at light load and hard switched at heavy load in consideration of energy conversion efficiency.

한편, 상기 승압형 컨버터에서 경부하시 과도한 음 극성의 인덕터 전류를 생성 없이 전 부하 영역에서 영전압 스위칭이 구현은 가변 스위칭 주파수를 갖는 펄스폭 변조 제어를 통해 달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zero voltage switching in the full load region without generating excessive negative polarity inductor current at light load in the boost converter can be achieved through pulse width modulation control having a variable switching frequency.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로써, 도 11(a)에 도시된 스위칭 주파수가 낮은 경우와 도 11(b)에 도시된 경부하시 가변 주파수에 따라 해당주파수를 높이는 경우의 인덕터 전류의 리플 파형을 서로 비교하여 보여주고 있다. 인덕터의 평균 전류(부하 전류)는 동일함에도 불구하고 스위칭 주파수를 증가시킴에 따라 인덕터 전류의 리플 크기가 감소하게 되어 음 극성의 인덕터 전류의 크기가 줄어들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펄스 폭 변조의 주파수를 가변함으로써 컨버터의 경부하 운전시의 에너지 변환 효율이 상승하게 되는 것이다.11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ipple waveform of the inductor current when the switching frequency shown in Figure 11 (a) is low and when the corresponding frequency is increased according to the variable frequency at light load shown in Figure 11 (b) Are compared to each other. Although the average current (load current) of the inductor is the same, as the switching frequency increases, the ripple magnitude of the inductor current decreases, indicating that the magnitude of the negative inductor current decreases. Therefore, the energy conversion efficiency during light load operation of the converter is increased by varying the frequency of pulse width modulation.

도 13는 리튬계열의 축전지 단위 셀의 내부 저항과 방전 종지전압까지의 방전전류(Discharge Current)의 상관관계를 도시한다.FIG. 13 illustrates a correlation between an internal resistance of a lithium-based battery unit cell and a discharge current up to a discharge termination voltage.

가변할 수 있는 부하 저항기로써 부하 저항을 변화하여 방전전류를 증가시키 면서 부하전류와 축전지 셀의 단자 전압을 측정해 보면 도 13와 같은 그래프를 얻을 수 있다. 도 13 에서 전압계에 나타난 전압은 축전지에 방전전류가 흐를 때 축전지의 두 극 단자 사이의 전위차이고 이것은 축전지의 단자 전압을 표시한다. As a load resistor that can be varied, the load current and the terminal voltage of the battery cell are measured while increasing the discharge current to obtain a graph as shown in FIG. 13. The voltage shown in the voltmeter in FIG. 13 is the potential difference between two pole terminals of the battery when a discharge current flows in the battery, which indicates the terminal voltage of the battery.

방전전류가 증가함에 따라 축전지 단자 전압이 낮아지는 이유는 축전지의 내부 저항에 의한 전압 강하가 일어나기 때문이다. 도 13의 그래프에서 직선의 기울기는 축전지가 가지고 있는 내부 저항과 동일하다. 이렇게 하여 방전전류가 흐르면 축전지 내부 저항에 의한 전압강하가 일어나 축전지 셀의 단자 전압이 내려가는 것이다.The reason why the battery terminal voltage decreases as the discharge current increases is that a voltage drop due to the internal resistance of the battery occurs. The slope of the straight line in the graph of FIG. 13 is equal to the internal resistance of the battery. In this way, when the discharge current flows, a voltage drop occurs due to the internal resistance of the battery, thereby lowering the terminal voltage of the battery cell.

방전전류가 0일 경우에는 내부 저항에 의한 전압 강하가 전혀 없고, 이때의 전압을 축전지의 기전력이라고 한다. 도 13 그래프에서 직선을 연장해서 전압 V축과 만날 때의 단자 전압이 축전지의 기전력이다. 리튬계열의 축전지는 충전 후의 기전력은 충전조건에 관계되는 인자에 따라 변화되므로 안정기간이 지난 다음에 측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the discharge current is 0, there is no voltage drop due to the internal resistance, and the voltage at this time is called the electromotive force of the battery. In the graph of FIG. 13, the terminal voltage when the straight line is extended to meet the voltage V axis is the electromotive force of the storage battery. In the lithium-based storage battery, since the electromotive force after charging is changed depending on the factors related to the charging conditions, it is preferable to measure after the stable period.

축전지의 기전력을 E, 실지 방전 중의 축전지 단자 전압을 V, 축전지의 내부 저항을 r, 축전지에 흐르는 방전전류를 I 라고 한다면, 식 1와 같은 관계가 성립한다.If E is the electromotive force of the battery, V is the terminal voltage of the battery during actual discharge, r is the internal resistance of the battery, and I is the discharg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battery.

Figure 112009004117972-PAT00001
(식 1)
Figure 112009004117972-PAT00001
(Equation 1)

여기서 축전지 단자 전압 V는 부하저항 R에 걸리는 전압이므로 축전지의 방전 전류를 I 는 식 2과 같이 표시될 수 있다.Since the battery terminal voltage V is a voltage applied to the load resistance R, the discharge current of the battery I can be expressed as Equation 2 below.

Figure 112009004117972-PAT00002
(식 2)
Figure 112009004117972-PAT00002
(Equation 2)

만충전된 피측정 대상의 축전지를 정격부하 크기로 방전 종지전압에 도달될 때까지 방전시켜 방전기간 동안의 방전 전류량을 적산한 값(Ah 단위)은 경년변화된 피측정 대상의 축전지가 가지는 건전상태(SOH)조건에서 감당할 수 있는 최대 방전량(Ah)에 해당된다. 또한 방전 말기 시점에서의 방전 전류의 크기는 최대 방전량(Ah)에 비례하게 된다.Discharge the fully charged battery under test at the rated load until the discharge end voltage is reached, and the accumulated current of the discharge current during the discharge period (in units of Ah) is the healthy state of the battery under test. It corresponds to the maximum discharge amount Ah that can be handled under SOH) conditions. In addition, the magnitude of the discharge current at the end of discharge is proportional to the maximum discharge amount Ah.

또한 식 2 에서 기전력 E 는 만충전시의 축전지의 단자전압(기전력)에 해당되고 V 는 방전 말기 시점에서의 방전 종지전압에 해당하므로 방전 말기 시점에서의 방전전류의 크기는 축전지 내부 저항성분 r 에 비례하게 됨을 알 수 있다. In addition, in Equation 2, the electromotive force E corresponds to the terminal voltage (electromotive force) of the battery at full charge, and V corresponds to the discharge end voltage at the end of discharge, so the magnitude of the discharge current at the end of discharge is proportional to the internal resistance component r of the battery. It can be seen that.

따라서 피측정 대상 축전지의 최대 방전량은 축전지 내부 저항값에 비례하게 된다. 만약 축전지가 노화로 인하여 축전지 내부 저항성분 r 이 증가하면 상기 최대 방전량은 비례하여 감소하게 된다.Therefore, the maximum discharge amount of the battery under test is proportional to the internal resistance of the battery. If the internal resistance component r of the battery increases due to aging of the battery, the maximum discharge amount decreases proportionally.

도 14는 축전지팩(Stack)의 사용기간에 따라 충·방전 사이클(t)의 증가됨에 따른 내부 저항의 추이와 초기 정격 용량(Rated AH, RAH)을 기준점으로 하여 최대로 방전 가능한 최대 저장 용량(BSCM, Battery Storage Capacity Maximum)의 추이를 나타 내고 있다. 축전지팩(Stack)은 다소의 안정화 기간을 지나면 충·방전 사이클(t)이 50% 이내 구간에서는 내부 저항이 거의 직선적으로 상승하고 축전지가 충·방전 사이클(t)의 증가로 인해 노화되면 총 방전가능한 최대 저장 용량(BSCM)이 80% 이하 수준(A 점)에 도달되고, 이후 내부 저항도 급격히 상승하게 되어 축전 지는 내구수명이 종료되게 된다.14 shows the maximum storage capacity that can be discharged to the maximum based on the trend of the internal resistance and the initial rated capacity Rated AH and RAH according to the increase of the charge / discharge cycle t according to the service life of the battery pack (Stack). It shows the trend of BSCM, Battery Storage Capacity Maximum. When the battery pack (Stack) has passed some stabilization period, the internal resistance increases almost linearly within 50% of the charge / discharge cycle (t), and when the battery ages due to the increase of the charge / discharge cycle (t), the total discharge The maximum possible storage capacity (BSCM) reaches a level of 80% or less (point A), after which the internal resistance also rises sharply, causing the battery to end its service life.

충·방전 사이클이 진행된 t1 시점에서 축전지팩(Stack)이 가진 최대로 방전 가능한 최대 저장 용량(Battery Storage Capacity Maximum)인 BSCMt1 (at t= t1)은 식 3과 같이 내부 저항 r 의 1차 함수로 표시할 수 있다.BSCMt 1 , the maximum discharge capacity of the battery pack that can be discharged at the battery pack at the time t 1 after the charge and discharge cycle. (at t = t 1 ) can be expressed as the first-order function of the internal resistance r as in Equation 3.

Figure 112009004117972-PAT00003
(식 3)
Figure 112009004117972-PAT00003
(Equation 3)

여기서, RAH 는 축전지 제조사에서 설계된 정격 용량 (Rated AH)을 표시하며, BSCMt1 은 충·방전사이클(시간)이 t= t1 인 시점에서의 상기 축전지팩(Stack)이 최대로 방전가능한 최대 저장 용량(Battery Storage Capacity Maximum)이고,

Figure 112009004117972-PAT00004
는 t= t1 인 시점에서의 상기 축전지팩(Stack)의 내부 저항값이고,
Figure 112009004117972-PAT00005
는 상기 신품 축전지팩(Stack)의 사용 개시 시점의 초기 기준 내부 저항값이다.Where RAH represents the rated capacity (Rated AH) designed by the battery manufacturer, and BSCM t1 is the charge / discharge cycle (time) t = t 1 The battery pack at a time point of time is the maximum discharge capacity (Battery Storage Capacity Maximum),
Figure 112009004117972-PAT00004
T = t 1 Internal resistance value of the battery pack at a time point,
Figure 112009004117972-PAT00005
Is an initial reference internal resistance value at the start of use of the new battery pack Stack.

축전지 제조회사에서 제시되는 축전지 단위 셀 또는 축전지팩(Stack)의 정격 용량(Rated AH)값은 축전지 개개별로 다소 차이가 있으므로, 처음 축전지팩(Stack)의 사용을 개시하는 시점에서 만충전을 실시한 후에 방전 종지전압까지 연속된 방전과정을 통해 방전전류 적산방법에 의하여 초기 정격 용량(Rated AH, RAH)을 정확히 산출하여 이의 결과값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rated AH value of a battery unit cell or a battery pack (Stack) presented by a battery manufacturer varies slightly from one battery to another, so full charge is performed when the battery pack is first used. After that, it is preferable to accurately calculate the initial rated capacity Rated AH and RAH by using the discharge current integration method through the continuous discharge process up to the discharge end voltage, and use the resultant value thereof.

또한

Figure 112009004117972-PAT00006
는, 축전지팩(Stack)이 제조사로부터 출하될 시 표시된 내부 저항 기준값으로 사용될 수 있으나 신품 축전지일 경우라도 각 단위 셀마다 ±15%의 오차를 가질 수 있으므로, 사용 개시 시점에서 축전지팩(Stack)을 구성하는 각 단위 셀의 내부 저항을 측정하여 이의 평균값을 축전지팩(Stack)의 초기 기준 내부 저항값으로 결정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Figure 112009004117972-PAT00007
역시 t= t1 인 시점에서 각 단위 셀의 내부 저항을 측정하여 이의 평균값을 축전지팩(Stack)의 t1 인 시점에서의 내부 저항값으로 결정한다.Also
Figure 112009004117972-PAT00006
When the battery pack is shipped from the manufacturer, the battery pack may be used as an internal resistance reference value. However, even when the battery pack is new, the battery pack may have an error of ± 15% for each unit cell. It is preferable to measure the internal resistance of each unit cell to be configured to determine the average value thereof as the initial reference internal resistance value of the battery pack. Also
Figure 112009004117972-PAT00007
T = t 1 The internal resistance of each unit cell is measured at the point of time and the average value thereof is calculated as t 1 of the battery pack. Determined by the internal resistance value at

또한, k1 은 축전지 단위 셀을 구성하는 축전지의 극판 재질, 두께 또는 전해질 및 더 나아가서는 제조방법에 따라 달라 지는 상수이며 예로서 밀폐형 납축전지인 경우에는 0.9 내외이다. 리튬 이온이나 리튬 포리머 축전지의 최대 저장 용량의 저하 정도는 충·방전사이클(시간)이 진행됨에 따라 수 % 수준이나 이에 대응되어 내부 저항은 두배 정도 변화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바, k1 은 0.5 수준이라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K 1 Is a constant that depends on the pole plate material, thickness or electrolyte of the battery unit constituting the battery unit cell, and furthermore, the manufacturing method. For example, the sealed lead acid battery is about 0.9. Lithium ions and lowering the maximum amount of storage capacity of the Li-Polymer battery has charge-discharge cycles (times), the progress of the number percent and that this response is the internal resistance is known to be changed twice as bar, k 1, depending It will be understood that is 0.5 level.

kt 는 충·방전시 주위온도에 따른 용량 저감(Derating)요소에 해당되는 상수이며 축전지 제조회사에서는 이에 대한 저감요소를 그래프나 기술자료(Data Sheet)로 공개하고 있다. k t Is a constant corresponding to the derating factor according to the ambient temperature during charging and discharging, and the battery manufacturer discloses the derating factor in graphs or data sheets.

식 3 에서 보인 바와 같이, 충·방전 사이클(t)이 증가되는 시점의 축전지팩(Stack)이 가질 수 있는 최대 저장 용량(BSCM, Battery Storage Capacity Maximum)은, 충·방전 사이클(t) 진행됨에 따라 실시간으로 내부 저항을 측정하여 이를 기초로 식 3 으로부터 산출할 수 있다.As shown in Equation 3, the battery storage capacity maximum (BSCM) that the battery pack at the point of time when the charge / discharge cycle (t) is increased is the charge / discharge cycle (t). Therefore, the internal resistance can be measured in real time and calculated from Equation 3 based on this.

한편, 전기자동차와 같은 실부하 조건 사용 환경중에서는 축전지팩(Stack)이 만충전상태로 부터 방전을 개시되어 종지전압까지 완전히 방전하는 패턴인 완전 방전(Full discharge)사이클 구간이 충·방전 상태를 모니터하는 알고리즘의 수행을 통해 쉽게 얻을 수 있다. 상기의 완전 방전 사이클 구간이 종료되는 시점에서 이 방전기간 동안의 방전 전류량을 적산하여 피측정 축전지팩(Stack)의 실부하 방전실험에 의한 2)최대 저장 용량(BSCM)을 산출한다.On the other hand, in an environment where actual load conditions such as an electric vehicle are used, a full discharge cycle section, which is a pattern in which a battery pack starts to discharge from a fully charged state and completely discharges to a final voltage, displays a charge / discharge state. This can be easily achieved by performing the monitoring algorithm. 2) Maximum storage capacity (BSCM) by the actual load discharge test of the battery pack under test is calculated by integrating the amount of discharge current during this discharge period at the end of the complete discharge cycle section.

즉, 도 14 에서 점선으로 표시된 t(i-1), t(i), t(i+1), t(i+2),t(n) 시점은 상기 완전 방전 사이클 구간이 종료되는 점을 표시한다. 이때 실부하 방전량의 적산으로 산출된 2)최대 저장 용량(BSCM)과 식 3 에 따라 산술적으로 산출된 1)최대 저장 용량과는 충·방전조건의 특성인자에 의해 4)차이(차)를 가지게 된다. 따라서 식 3으로부터 얻어지는 1)최대 저장 용량 결과값에 상기에서 구해진 4)차를 보정함으로써 t(i-1) 시점에서의 3)최대 저장 용량 보정값에 대한 그래프(도 13에 점선 표시)를 얻을 수 있다. 이후 차기의 완전 방전 사이클 패턴을 얻어 지는 t(i+1) 시점 까지의 구간(예로써, t(i)~ t(i+1) )중에는 직전 구간의 보정 단계와 같은 방식에 따라 5)최대 저장 용량값을 보정하여 채택한다.That is, the time points t (i-1) , t (i) , t (i + 1) , t (i + 2) and t (n) indicated by dotted lines in FIG. The point at which the complete discharge cycle section ends is indicated. In this case, 2) the maximum storage capacity (BSCM) calculated by the integration of the actual load discharge amount and 1) the maximum storage capacity calculated arithmetically according to Equation 3, 4) the difference (difference ) by the characteristic factors of the charge and discharge conditions. To have. Thus, by correcting the above-mentioned 4) difference to the result of 1) the maximum storage capacity obtained from Equation 3, a graph of the 3) maximum storage capacity correction value at time t (i-1 ) is obtained (indicated by a dotted line in FIG. 13). Can be. After full discharge interval of the cycle pattern until t (i + 1), the time obtained for the next (for example, t (i) ~ t (i + 1)) during according to the same manner as the calibration phase of the immediately preceding interval 5) max The storage capacity value is corrected and adopted.

상기에서 내부 저항 및 최대 저장 용량(BSCM)의 측정값은 측정시의 온도에 따라 변화하므로, 측정 시점에서 축전지팩(Stack) 주위온도를 동시에 측정하여 측정된 값을 표준온도로 환산하여 사용하는 것이 필수적이다.Since the measured values of the internal resistance and the maximum storage capacity (BSCM) change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at the time of measurement, it is recommended to measure the ambient temperature of the battery pack at the same time and convert the measured values into standard temperatures. It is essential.

이러한 보정을 완전 방전 사이클 패턴이 행해지는 구간의 종료 시점마다 반복적으로 시행하게 되면, 실부하 방전시험에 의하지 않고도 축전지팩(Stack)의 년수경과에 따라 충·방전사이클이 증가되는 모든 사용기간 동안에 매우 정확한 최대 저장 용량(BSCM)의 특성곡선을 얻을 수 있다.If this correction is repeatedly performed at the end of the section in which the complete discharge cycle pattern is performed, during the period of use during which the charge / discharge cycle increases with the age of the battery pack without the actual load discharge test. A very accurate characteristic curve of the maximum storage capacity (BSCM) can be obtained.

이와 같은 최대 저장 용량(BSCM) 산출 방법은, 건전상태(SOC)에 상관된 파라미터요소를 시험적으로 모두 구하지 않고, 임베디드장치(15)에서 연산한 내부 저항값을 축전지 제조회사에서 제시하는 온도저감 특성데이터를 고려하여 표준 온도 기준으로 보정한 값을 산출하고 상기에서 구한 내부 저항값에 대응된 최대 저장 용량(BSCM)을 상관 함수식을 이용하여 구하고, 소정의 구간동안 상관 함수식에서 구해지는 최대 저장 용량(BSCM)을 일차적으로 구해지는 보정방법에 따라 보정하면, 축전지팩(Stack)의 충·방전사이클이 진행되어 지는 모든 구간에서의 보정된 최대 저장 용량(BSCM)값을 용이하게 구할 수 있다.In this method of calculating the maximum storage capacity (BSCM), the temperature reduction that the battery manufacturer presents the internal resistance value calculated by the embedded device 15 without experimentally obtaining all the parameter elements related to the SOC.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 data, the correction value is calculated based on the standard temperature, and the maximum storage capacity (BSCM) corresponding to the internal resistance value obtained above is obtained by using the correlation function, and the maximum storage capacity obtained from the correlation function for a predetermined period. If the BSCM is corrected according to a correction method that is primarily obtained, the corrected maximum storage capacity (BSCM) value in all sections in which the charge and discharge cycles of the battery pack are performed can be easily obtained.

또한, 일정 충·방전사이클 기간 동안의 충·방전 전류량을 적산하여 얻은 결과값을 분석하여 현재까지의 충전된 량을 알 수 있으므로 현재 충전된 량을 상기 단계에서 얻은 최대 저장 용량(BSCM)으로 나누어 축전지팩(Stack)의 노화가 진행된 상태를 감안하여 현재의 충전상태를 알 수 있는 SOC(%)를 정확히 산출할 수 있다.In addition, by analyzing the result obtained by integrating the charge and discharge current amount during a certain charge and discharge cycle period, it is possible to know the charged amount up to now, so that the current charged amount is divided by the maximum storage capacity (BSCM) obtained in the above step In consideration of the aging state of the battery pack (Stack)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calculate the SOC (%) that can know the current state of charge.

축전지팩(Stack)의 충·방전 사이클이 진행됨에 따른 최대 저장 용량(BSCM)을 산출하는 세부적인 과정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detailed process of calculating the maximum storage capacity (BSCM) as the charge and discharge cycle of the battery pack (Stack) proceeds will be described below.

우선 처음 사용을 개시하는 시점에서 정확한 초기 정격 용량(Rated AH, RAH)을 산출한다(S201). 다음 단계로 사용 개시 시점에서 축전지팩(Stack)을 구성하는 각 단위 셀의 내부 저항을 측정하여 이의 평균값을 축전지팩(Stack)의 초기 기준 내부 저항값

Figure 112009004117972-PAT00008
로 결정한다(S202). 다음 단계로는, 상기 초기 기준 내부 저항값
Figure 112009004117972-PAT00009
을 표준온도로 환산한다(S203). 다음 단계로는, t= t1 인 시점에서 각 단위 셀의 내부 저항을 측정하여 이의 평균값을 축전지팩(Stack)의 t1 인 시점의 내부 저항값
Figure 112009004117972-PAT00010
로 결정하고 이를 표준온도로 환산한다(S204). 다음 단계로 실부하 충·방전사이클이 이루어 지는를 판단하여 완전 실부하 구간을 구한다(S205). 상기 단계 S205 에서 실부하 방전전류의 적산에 의해 구해진 2)최대 저장 용량(BSCM)을 산출하고 이를 표준온도로 환산한다(S206). 다음 단계로 산술적으로 1)최대 저장 용량을 식 3에 의해 산출하고 단계 S206 에서 구한 값과의 차를 구한다(S207). 다음으로는 상기에서 구해진 차를 이용하여 3)최대 저장 용량을 보정한다(S208). 끝으로 상기 단계에서 보정된 3)최대 저장 용량으로부터 노화가 진행된 상태에 따른 SOC(%)를 산출한다(S209).First, at the time of starting use for the first time, the correct initial rated capacity Rated AH and RAH is calculated (S201). In the next step, the internal resistance of each unit cell constituting the battery pack is measured at the time of starting use, and the average value thereof is determined based on the initial reference internal resistance value of the battery pack.
Figure 112009004117972-PAT00008
Determine (S202). Next step, the initial reference internal resistance value
Figure 112009004117972-PAT00009
Convert to the standard temperature (S203). The next step is t = t 1 The internal resistance of each unit cell is measured at the point of time and the average value thereof is calculated as t 1 of the battery pack. Internal resistance value at
Figure 112009004117972-PAT00010
Determine and convert it to the standard temperature (S204). In the next step, it is determined whether a real load charging / discharging cycle is performed to obtain a complete actual load section (S205). In step S205, 2) the maximum storage capacity BSCM obtained by integration of the actual load discharge current is calculated and converted into a standard temperature (S206). In the next step, arithmetic 1) the maximum storage capacity is calculated by the equation 3 and the difference with the value obtained in step S206 is obtained (S207). Next, 3) the maximum storage capacity is corrected using the difference obtained above (S208). Finally, the SOC (%) of the aging progressed is calculated from the 3) maximum storage capacity corrected in the above step (S209).

상기에서 구해진 SOC(%)는 표준온도로 환산된 값이므로, 실지 사용 온도조건에서 SOC(%)가 필요할 경우에는 단계 S206 에서 채택한 환산계수를 사용하여 다시실 사용온도 조건의 값으로 할 수 있다.Since SOC (%) obtained above is the value converted into standard temperature, when SOC (%) is needed in actual use temperature conditions, it can be made into the value of a real use temperature condition using the conversion factor adopted by step S206.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 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which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modifi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Accordingly,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only by the claims set forth below, and all equivalent or equivalent modifications thereof will belong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 해결 방법이나 실시 예들은, 전기차와 같은 사이클 서비스용 축전지 시스템뿐만 아니라, 각종 산업시설의 비상전원용 고정형 축전지 설비에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만을 가하여 그대로 적용할 수 있다.The technical problem solving method an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the stationary battery equipment for emergency power of various industrial facilities as well as cycle service storage battery system such as an electric vehicle by applying only equal or equivalent modifications.

또한 축전지의 노화상태(SOH)와 상관되는 내부 저항과 같은 등가 회로 요소 성분값을 측정하여 파악하고 더불어 충·방전 전류 전압 등 충·방전(사용)량 이력을 지속적으로 모니터하여 충전 잔존 용량(SOC)에 상관되는 내부 저항 및 셀 온도를 기초로 하여 잔존 용량을 정확히 측정(SOC)할 수 있는 방안은, 이미 제시된 적용 분야인 전기자동차, 전기자전거의 남은 주행거리를 정확히 판단해 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종 산업용 축전지 설비의 충전 잔존 용량(SOC)을 파악하는 수단으로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by measuring the equivalent circuit component values such as internal resistance correlated with the aging state (SOH) of the battery, and continuously monitoring the charge and discharge (use) amount history such as charge and discharge current voltage, the charge remaining capacity (SOC) The ability to accurately measure remaining capacity (SOC) based on internal resistance and cell temperature correlated to) can not only accurately determine the remaining mileage of electric vehicles and electric bicycles, which are already proposed.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pplied as a means for determining a charge remaining capacity (SOC) of various industrial storage battery facilities.

도 1은 전기자동차 축전지팩의 충·방전 제어 및 BMS 기능이 내장된 장치 블록도. 1 is a block diagram of the built-in charge and discharge control and BMS function of an electric vehicle battery pack.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인 축전지팩의 BMS 회로 및 충·방전회로 블록도.2 is a block diagram of a BMS circuit and a charge / discharge circuit of a battery pa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또 다른 실시 예인, 축전지팩의 BMS 회로 및 충·방전회로 블록도.3 is a block diagram of a BMS circuit and a charge / discharge circuit of a battery pack according to still another embodiment;

도 4는 본 발명의 측정전류발생수단의 일 실시 예.Figure 4 is an embodiment of the measurement current generat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측정전류발생수단에 의한 동작 파형의 일 예.Figure 5 is an example of the operation waveform by the measurement current generat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승압형 컨버터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Figure 6 i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boost convert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승압형 컨버터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 예.Figure 7 is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boost convert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승압형 컨버터에 의한 개별 인덕터 전류와 축전지팩(Stack) 출력 전류의 동작 파형의 일 예.8 is an example of an operating waveform of an individual inductor current and a stack output current by a boost converter.

도 9는 승압형 컨버터의 인덕터 감소에 따른 인덕터 전류의 동작 파형.9 is an operation waveform of the inductor current with decreasing the inductor of the boost converter.

도 10은 승압형 컨버터의 스위칭 소자의 동작에 따른 인덕터 전류의 파형.10 is a waveform of inductor current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switching element of the boost converter.

도 11은 승압형 컨버터의 스위칭 가변시 인덕터 전류의 리플 파형.11 is a ripple waveform of the inductor current during the variable switching of the boost converter.

도 1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 측정제어모듈의 세부 구성 블록도.12 is a detailed block diagram of a measurement control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 은 축전지 단위 셀의 내부 저항과 방전 종지전압까지의 방전전류와의 상관관계 그래프.FIG. 13 is a graph of correlation between discharge resistance up to discharge termination voltage and internal resistance of a storage unit cell; FIG.

도 14 는 축전지팩의 충·방전 사이클 경과에 따른 내부 저항의 상승 추이와 최대 저장 용량(BSCM)의 감소 추이 그래프.FIG. 14 is a graph showing an increase in internal resistance and a decrease in maximum storage capacity (BSCM) as a result of charge and discharge cycles of a battery pack. FIG.

Claims (17)

전기자동차의 전기시스템이나 비상전원장치의 직류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축전지팩(Stack)을 제어하고 관리하는 장치에 있어서,In the device for controlling and managing a battery pack (Stack) for supplying the DC power of the electric system or emergency power supply of the electric vehicle, 축전지팩(Stack)의 충.방전전류 또는 측정전류신호를 감지하는 출력전류센싱수단;Output current sensing means for sensing a charge / discharge current or a measurement current signal of a battery pack; 전기시스템에서 요구하는 높은 직류전압을 얻기 위하여 축전지팩(Stack)의 출력전압을 상승키 위한 다상 구조로 구성된 승압형 컨버터;A boost converter having a multi-phase structure for increasing an output voltage of a battery pack to obtain a high DC voltage required by an electrical system; 상기 축전지팩(Stack)의 노화상태 또는 충.방전상태의 이상(비정상)상태를 감시 분석하는 감시제어수단; Monitoring control means for monitoring and analyzing an abnormal (abnormal) state of the aging state or the charge / discharge state of the battery pack; 상기 감시제어수단에서 축전지팩(Stack)의 이상이 감지되거나 예견될 경우에 상기 승압형 컨버터의 스위칭 소자 또는 차단 스위치의 전류 흐름을 차단케 하여 충전 또는 방전을 정지시키는 게이트 차단수단; 및 A gate blocking means for stopping the current flow of the switching element or the disconnecting switch of the boost type converter when an abnormality of the battery pack is sensed or predicted in the monitoring control means; And 상기 게이트 차단수단과 연계하여 상기 승압형 컨버터의 스위칭 소자를 제어하기 위한 스위치 제어수단를 포함하는 축전지팩(Stack) 장치.And a switch 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the switching element of the boost type converter in association with the gate blocking means.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축전지팩(Stack)의 각 단위 셀의 출력단자를 감시제어수단으로 순차적으로 연결시키는 셀선택수단을 더 포함하는 축전지팩(Stack) 장치.And a cell selecting means for sequentially connecting the output terminals of the unit cells of the battery pack to the supervisory control means.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축전지팩(Stack)의 각 단위 셀의 특성을 측정하는 측정제어모듈군(21a~21n)의 출력신호를 상기 감시제어수단으로 순차적으로 연결시키는 신호선택수단(21)을 더 포함하는 축전지팩(Stack) 장치.The battery pack further comprising a signal selecting means (21) for sequentially connecting the output signal of the measurement control module groups (21a ~ 21n) for measur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unit cell in the monitoring and control means of the storage battery pack (Stack) ( Stack devic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각 단위 셀 전압을 측정하여 다른 셀의 전압보다 높거나 최대 허용전압보다도 높아 불균형 상태에 있는 경우, 각 단위 셀을 균일화 시키도록 제어하는 셀균등제어수단을 더 포함하는 축전지팩(Stack) 장치.And a cell equalization control means for measuring the unit cell voltages and controlling the unit cell to be uniform when the voltage is higher than the voltage of other cells or higher than the maximum allowable voltage. 제 1항 내지 제 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상기 축전지팩(Stack)의 또는 내부 저항 또는 내부 임피던스 측정에 필요한 측정전류신호를 발생시키는 측정전류발생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축전지팩 (Stack) 장치.And a measurement current generating means for generating a measurement current signal required for measuring the internal resistance or the internal impedance of the battery pack. 제 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측정전류발생수단에 의해 흐르는 측정전류에 의하여 각 단위 축전지 셀에서 검출되는 내부 임피던스전압을 측정하여 각 단위 축전지 셀의 내부 저항 또는 내부 임피던스 성분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전지팩(Stack) 장치. A battery pack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measuring internal resistance or internal impedance of each unit battery cell by measuring the internal impedance voltage detected in each unit battery cell by the measurement current flowing by the measurement current generating means. 제 1항 내지 제 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상기 감시제어수단은,The monitoring control means, 상기 전류센싱수단으로 부터 얻어진 충·방전전류와 상기 인터페이스회로의 출력신호로 부터 축전지팩(Stack)의 이상유무에 상관된 각 단위셀의 특성요소를 연산 분석하여 이상이 감지되거나 예견될 경우에 게이트 차단신호를 우선적으로 발생하는 인베디드 장치를 포함하는 축전지팩(Stack) 장치.When an abnormality is detected or predicted by calculating and analyzing the characteristic elements of each unit cell correlated with the abnormality of the battery pack from the charge / discharge current obtained from the current sensing means and the output signal of the interface circuit. A battery pack device including an embedded device that preferentially generates a blocking signal. 제 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인베디드장치는, The embedded device, 충·방전횟수(사이클), 충.방전 이력, 내부저항 또는 내부 임피던스값, 및 축전지팩의 충.방전 사이클에 따른 보정된 최대 저장 용량(BSCM)이 저장된 메모리 수단을 가지는 특징을 가진 축전지팩(Stack) 장치.A battery pack having a memory means having a charge / discharge frequency (cycle), a charge / discharge history, an internal resistance or an internal impedance value, and a corrected maximum storage capacity (BSCM) according to a charge / discharge cycle of the battery pack. Stack device. 축전지팩의 노화나 수명진행 상태를 감시하는 요소인 내부 임피던스 또는 내부 저항을 측정하는 데 있어서 필요한 측정전류발생수단의 구성에 있어서In the configuration of the measurement current generating means necessary for measuring the internal impedance or the internal resistance, which is an element that monitors the aging of the battery pack or the progress of the life of the battery pack. 측정전류발생수단은,Measuring current generating means, 축전지시스템(팩)의 인입 단자와 연결된 인덕터;An inductor connected to a lead terminal of a battery system (pack); 2개의 스위칭 소자를 포함하여 구성된 풀 브리지의 스위칭 레그;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전지팩(Stack) 장치.A switching leg of a full bridge comprising two switching elements; Battery pack (Stack)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제 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각 단위셀의 특성요소를 연산하는 인베디드 장치에서 주파수신호를 받아 상기 측정전류발생수단의 출력주파수가 제어됨을 특징으로 하는 축전지팩(Stack) 장치.A battery pack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put frequency of the measuring current generating means is controlled by receiving a frequency signal from an embedded device that calculates a characteristic element of each unit cell.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승압형 컨버터는,The boost converter, 1개 차단 스위치와 2개의 스위칭 소자가 극성 방향에 맞추어 직렬로 연결된 브리지 구조의 스위칭 레그를 3상 이상의 다상 병렬 형태로 결선됨을 특징으로 하는 축전지팩(Stack) 장치. A battery pack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one switching switch and two switching elements are connected in a multi-phase parallel form in which a switching leg of a bridge structure connected in series in a polarity direction is formed. 제 1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승압형 컨버터의 스위칭 레그에 다이오드의 음극(-)단자가 커패시터와 결선되고, 커패시터의 다른 단자는 축전지팩(Stack)의 음극단자와 결선되고, 커패시터에 저항이 병렬로 결선된 전류패스회로를 더 포함하는 브리지 구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축전지팩(Stack) 장치. A negative current (-) terminal of the diode is connected to the capacitor in the switching leg of the boost converter, the other terminal of the capacitor is connected to the negative terminal of the battery pack (Stack), and a current path circuit having a resistance connected in parallel to the capacitor. Battery pack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as a bridge structure including more. 축전지팩(Stack)의 출력전압을 승압하는 목적으로, 1개 차단 스위치와 2개의 스위칭 소자가 극성 방향에 맞추어 직렬로 연결된 브리지 구조의 스위칭 레그를 다상 병렬 형태로 결선한 승압형 컨버터를 제어함에 있어서,In order to boost the output voltage of a battery pack, in the control of a boost converter in which a single switching switch and two switching elements are connected in series with a bridge structure in a bridge structure connected in series in a polarity direction. , 각 상의 2개의 스위칭 소자의 해당 스위칭 레그가 (360도/상수)의 상대적인 위상차를 각각 가지도록 펄스폭 변조에 의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전지팩(Stack)의 승압형 컨버터 제어 방법.A method for controlling a boost type converter of a battery pack (Stack), characterized in that the switching legs of the two switching elements of each phase are controlled by pulse width modulation so as to each have a relative phase difference of (360 degrees / constant). 제 1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3, 상기 펄스폭 변조는, The pulse width modulation is, 경부하시에 영전압 스위칭되고, 중부하시에는 하드 스위칭되는 일정한 스위칭 주파수를 가지는 펄스폭 변조로 동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전지팩(Stack) 의 승압형 컨버터 제어 방법.A step-up converter control method for a battery pack (Stack) characterized in that it is operated by a pulse width modulation having a constant switching frequency of zero voltage switching at light load, and hard switching at heavy load. 제 1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3, 상기 펄스폭 변조는,The pulse width modulation is, 전 부하 영역에서 영전압 스위칭이 구현되도록 스위칭 주파수를 가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펄스폭 변조로 동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전지팩(Stack)의 승압형 컨버터 제어 방법.A step-up converter control method for a battery pack (Stack) characterized in that the operation is operated by pulse width modula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switching frequency is changed so that zero voltage switching is implemented in the full load region. 제 1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3, 해당 상의 인덕터에 흐르는 전류가 음 (-)방향으로 흐르는 구간에 승압형 컨버터의 차단 스위치가 스위치 오프되어 상기 승압형 컨버터가 동작을 중지 또는 고장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전지팩(Stack)의 승압형 컨버터 제어 방법.The boost type of the battery pack (Stack) characterized in that the cut-off switch of the boost converter is switched off in a section in which the current flowing in the inductor flows in the negative (-) direction, so that the boost converter stops or malfunctions. How to control the converter. 축전지팩의 건전상태에 따른 충전상태(SOC)를 구하는 방법에 있어서, In the method for obtaining the state of charge (SOC) according to the healthy state of the battery pack, 사용 개시 시점에서 각 단위 셀의 내부 저항을 측정하여 이의 평균값을 초기 기준 내부 저항값
Figure 112009004117972-PAT00011
로 결정하는 단계(S202),
Measure the internal resistance of each unit cell at the start of use and determine the average
Figure 112009004117972-PAT00011
Determining as (S202),
상기 초기 기준 내부 저항값
Figure 112009004117972-PAT00012
을 표준온도로 환산하는 단계(S203).
The initial reference internal resistance value
Figure 112009004117972-PAT00012
Converting to a standard temperature (S203).
측정을 요하는 시점에서 각 단위 셀의 내부 저항을 측정하여 이의 평균값을 축전지팩(Stack)의 내부 저항값
Figure 112009004117972-PAT00013
로 결정하고 이를 표준온도로 환산하는 단계(S204).
The internal resistance of each unit cell is measured at the point where measurement is required, and the average value thereof is measured.
Figure 112009004117972-PAT00013
Determine and convert it to the standard temperature (S204).
방전 종지 전압까지 실부하 충·방전사이클이 이루어 지는 구간을 판단하는 단계(S205).Step (S205) to determine the section in which the real load charge and discharge cycle is made up to the discharge end voltage. 상기 단계 S205 에서 실부하 방전전류의 적산에 의해 구해진 2)최대 저장 용량(BSCM)을 산출하고 이를 표준온도로 환산하는 단계(S206). 2) calculating the maximum storage capacity (BSCM) obtained by integrating the actual load discharge current in step S205 and converting it to a standard temperature (S206). 산술적으로 1)최대 저장 용량을 식 3에 의해 산출하고 상기 단계에서 구한 값과의 차를 구하는 단계(S207). Arithmetic 1) calculating the maximum storage capacity by the equation 3 and calculating the difference from the value obtained in the above step (S207). 상기에서 구해진 차를 이용하여 3)최대 저장 용량을 보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축전지팩(Stack)(팩)의 SOC(%)를 산출하는 방법. 3) correcting the maximum storage capacity using the difference obtained above; Method for calculating the SOC (%) of the battery pack (Stack) (pack) comprising a.
KR1020090005269A 2009-01-21 2009-01-21 The control and management equipment of battery stack, and method there of KR2010008579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5269A KR20100085791A (en) 2009-01-21 2009-01-21 The control and management equipment of battery stack, and method there 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5269A KR20100085791A (en) 2009-01-21 2009-01-21 The control and management equipment of battery stack, and method there 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5791A true KR20100085791A (en) 2010-07-29

Family

ID=426446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5269A KR20100085791A (en) 2009-01-21 2009-01-21 The control and management equipment of battery stack, and method there 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85791A (en)

Cited By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46628A (en) * 2010-11-02 2012-05-10 (주)세성유니버스 Recycling device for rechargeable battery
KR20120075758A (en) * 2010-12-29 2012-07-09 한국과학기술원 Recovery system and method for buck boost converter malfunction
KR101322528B1 (en) * 2011-12-09 2013-10-28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High Voltage Cell Of An Electric Vehicle
WO2013176379A1 (en) * 2012-05-25 2013-11-28 (주)피엠그로우 System and method for aging battery unit of battery pack
KR101405001B1 (en) * 2013-05-27 2014-06-13 자동차부품연구원 The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Bi-directional converter with age estimation of Battery
KR101423961B1 (en) * 2012-05-23 2014-07-31 주식회사 피엠그로우 System and method for replacing battery unit from battery pack
KR101460248B1 (en) * 2013-05-21 2014-11-10 주식회사 라스텔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degradation of battery and equipment for reproducing battery
KR101463394B1 (en) * 2012-10-31 2014-11-21 한국전기연구원 Batter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of estimating battery's state of charge using the same
KR101530679B1 (en) * 2014-03-07 2015-06-22 (주)누리텔레콤 Apparatus for energy management considering degration of battery and method thereof
KR101590442B1 (en) * 2015-07-17 2016-02-01 주식회사 케이디파워 Device for Detecting Aging of DC Link Capacitor in Bi-directional Hybrid Solar Power Conditioning System
CN105539183A (en) * 2015-12-30 2016-05-04 河南顺之航能源科技有限公司 All-intelligent battery pack management system
KR20160058281A (en) * 2014-11-14 2016-05-25 한국전기연구원 Apparatus for forecasting life cycle of battery based on AC impedance by using very low current
US9413182B2 (en) 2012-12-18 2016-08-09 Hyundai Motor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periodically charging sub-battery for an electric vehicle based on the SOC discharge rate
CN106208177A (en) * 2014-12-18 2016-12-07 神华集团有限责任公司 A kind of battery electron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WO2017016747A1 (en) * 2015-07-28 2017-02-02 Robert Bosch Gmbh Method and device for operating an electric system
KR20170083490A (en) * 2016-01-07 2017-07-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ower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hybrid vehicle
CN107264332A (en) * 2017-07-25 2017-10-20 上海蔚来汽车有限公司 Crossover sub for Vehicular charging, for the charging system to Vehicular charging
CN107677969A (en) * 2017-10-25 2018-02-09 福州福光电子有限公司 The charge/discharge test device of distributed complete online batteries
KR101856628B1 (en) * 2012-09-10 2018-05-11 한국전력공사 Apparatus and Method for Emergency Controlling Energy Storage System
US10116154B2 (en) 2014-12-03 2018-10-30 Samsung Sdi Co., Ltd. Battery pack
WO2019088500A1 (en) * 2017-11-06 2019-05-09 주식회사 엘지화학 Cell module equalization and precharge device and method
CN109917302A (en) * 2019-04-11 2019-06-21 国网江苏省电力有限公司泰州供电分公司 Novel storage battery group core holds test equipment and its test method
US10404077B2 (en) 2016-11-29 2019-09-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balancing battery
KR20190106061A (en) * 2018-03-07 2019-09-18 주식회사 엘지화학 Apparatus and method for estimating state of health of battery rack
KR102103089B1 (en) * 2018-12-24 2020-04-21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Life Cycle Measurement Circuit of Ground-disconnected series-connected Multiple Batteries
US10931128B2 (en) 2017-04-28 2021-02-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to predict capacity fade rate of battery
CN112834936A (en) * 2021-02-03 2021-05-25 智光研究院(广州)有限公司 Battery charging and discharging test method, device and system and battery management system
CN113567862A (en) * 2021-07-13 2021-10-29 珠海朗尔电气有限公司 SOH estimation method and device for lithium battery standby system
CN113595205A (en) * 2021-08-14 2021-11-02 晟曼电力科技有限公司 Direct-current V2V electric vehicle charging and discharging device and method thereof
CN113954692A (en) * 2021-09-07 2022-01-21 东风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Battery charging control method, device and equipment
KR20220042005A (en) * 2020-09-25 2022-04-04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Device for measuring impedance of electrochemical device stack
US11366167B2 (en) 2020-07-08 2022-06-21 Hyundai Motor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battery of vehicle
US11378626B2 (en) 2020-07-08 2022-07-05 Hyundai Motor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battery of vehicle
KR20220156692A (en) * 2021-05-18 2022-11-28 주식회사 휴네이트 Electrochemical impedance based batter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thereof
US11602975B2 (en) 2020-06-30 2023-03-14 Hyundai Motor Company Vehicle battery management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US11697357B2 (en) 2020-07-08 2023-07-11 Hyundai Motor Company System and method of managing battery of vehicle
CN116488316A (en) * 2023-04-21 2023-07-25 国网浙江省电力有限公司建设分公司 On-line nuclear capacity direct current power supply system
CN116674425A (en) * 2023-06-07 2023-09-01 湖南文理学院 Coordinated control method and system for power battery pack based on total amount consistency
CN117353430A (en) * 2023-12-04 2024-01-05 南京中电科能技术有限公司 Energy storage operation control method based on energy storage temperature rise characteristic constraint

Cited By (4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46628A (en) * 2010-11-02 2012-05-10 (주)세성유니버스 Recycling device for rechargeable battery
KR20120075758A (en) * 2010-12-29 2012-07-09 한국과학기술원 Recovery system and method for buck boost converter malfunction
KR101322528B1 (en) * 2011-12-09 2013-10-28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High Voltage Cell Of An Electric Vehicle
KR101423961B1 (en) * 2012-05-23 2014-07-31 주식회사 피엠그로우 System and method for replacing battery unit from battery pack
WO2013176379A1 (en) * 2012-05-25 2013-11-28 (주)피엠그로우 System and method for aging battery unit of battery pack
KR101856628B1 (en) * 2012-09-10 2018-05-11 한국전력공사 Apparatus and Method for Emergency Controlling Energy Storage System
KR101463394B1 (en) * 2012-10-31 2014-11-21 한국전기연구원 Batter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of estimating battery's state of charge using the same
US9413182B2 (en) 2012-12-18 2016-08-09 Hyundai Motor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periodically charging sub-battery for an electric vehicle based on the SOC discharge rate
KR101460248B1 (en) * 2013-05-21 2014-11-10 주식회사 라스텔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degradation of battery and equipment for reproducing battery
KR101405001B1 (en) * 2013-05-27 2014-06-13 자동차부품연구원 The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Bi-directional converter with age estimation of Battery
KR101530679B1 (en) * 2014-03-07 2015-06-22 (주)누리텔레콤 Apparatus for energy management considering degration of battery and method thereof
KR20160058281A (en) * 2014-11-14 2016-05-25 한국전기연구원 Apparatus for forecasting life cycle of battery based on AC impedance by using very low current
US10116154B2 (en) 2014-12-03 2018-10-30 Samsung Sdi Co., Ltd. Battery pack
CN106208177A (en) * 2014-12-18 2016-12-07 神华集团有限责任公司 A kind of battery electron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KR101590442B1 (en) * 2015-07-17 2016-02-01 주식회사 케이디파워 Device for Detecting Aging of DC Link Capacitor in Bi-directional Hybrid Solar Power Conditioning System
WO2017016747A1 (en) * 2015-07-28 2017-02-02 Robert Bosch Gmbh Method and device for operating an electric system
CN105539183A (en) * 2015-12-30 2016-05-04 河南顺之航能源科技有限公司 All-intelligent battery pack management system
KR20170083490A (en) * 2016-01-07 2017-07-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ower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hybrid vehicle
US10293807B2 (en) 2016-01-07 2019-05-21 Hyundai Motor Company Power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hybrid vehicle
US10404077B2 (en) 2016-11-29 2019-09-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balancing battery
US10931128B2 (en) 2017-04-28 2021-02-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to predict capacity fade rate of battery
CN107264332A (en) * 2017-07-25 2017-10-20 上海蔚来汽车有限公司 Crossover sub for Vehicular charging, for the charging system to Vehicular charging
CN107677969A (en) * 2017-10-25 2018-02-09 福州福光电子有限公司 The charge/discharge test device of distributed complete online batteries
US11342009B2 (en) 2017-11-06 2022-05-24 Lg Energy Solution, Ltd. Cell module equalization and precharge device and method
KR20190051323A (en) * 2017-11-06 2019-05-15 주식회사 엘지화학 Cell module balancing and precharging apparatus and method
CN110679055B (en) * 2017-11-06 2023-02-17 株式会社Lg新能源 Single module equalization and pre-charge apparatus and method
CN110679055A (en) * 2017-11-06 2020-01-10 株式会社Lg化学 Single module equalization and precharge apparatus and method
WO2019088500A1 (en) * 2017-11-06 2019-05-09 주식회사 엘지화학 Cell module equalization and precharge device and method
KR20190106061A (en) * 2018-03-07 2019-09-18 주식회사 엘지화학 Apparatus and method for estimating state of health of battery rack
KR102103089B1 (en) * 2018-12-24 2020-04-21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Life Cycle Measurement Circuit of Ground-disconnected series-connected Multiple Batteries
CN109917302A (en) * 2019-04-11 2019-06-21 国网江苏省电力有限公司泰州供电分公司 Novel storage battery group core holds test equipment and its test method
US11602975B2 (en) 2020-06-30 2023-03-14 Hyundai Motor Company Vehicle battery management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US11378626B2 (en) 2020-07-08 2022-07-05 Hyundai Motor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battery of vehicle
US11697357B2 (en) 2020-07-08 2023-07-11 Hyundai Motor Company System and method of managing battery of vehicle
US11366167B2 (en) 2020-07-08 2022-06-21 Hyundai Motor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battery of vehicle
KR20220042005A (en) * 2020-09-25 2022-04-04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Device for measuring impedance of electrochemical device stack
CN112834936A (en) * 2021-02-03 2021-05-25 智光研究院(广州)有限公司 Battery charging and discharging test method, device and system and battery management system
KR20220156692A (en) * 2021-05-18 2022-11-28 주식회사 휴네이트 Electrochemical impedance based batter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thereof
CN113567862A (en) * 2021-07-13 2021-10-29 珠海朗尔电气有限公司 SOH estimation method and device for lithium battery standby system
CN113595205A (en) * 2021-08-14 2021-11-02 晟曼电力科技有限公司 Direct-current V2V electric vehicle charging and discharging device and method thereof
CN113595205B (en) * 2021-08-14 2024-05-03 晟曼电力科技有限公司 Charging and discharging device and method for direct-current V2V electric automobile
CN113954692A (en) * 2021-09-07 2022-01-21 东风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Battery charging control method, device and equipment
CN113954692B (en) * 2021-09-07 2023-08-22 东风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Battery charging control method, device and equipment
CN116488316A (en) * 2023-04-21 2023-07-25 国网浙江省电力有限公司建设分公司 On-line nuclear capacity direct current power supply system
CN116488316B (en) * 2023-04-21 2024-04-05 国网浙江省电力有限公司建设分公司 On-line nuclear capacity direct current power supply system
CN116674425A (en) * 2023-06-07 2023-09-01 湖南文理学院 Coordinated control method and system for power battery pack based on total amount consistency
CN116674425B (en) * 2023-06-07 2023-12-01 湖南文理学院 Coordinated control method and system for power battery pack based on total amount consistency
CN117353430A (en) * 2023-12-04 2024-01-05 南京中电科能技术有限公司 Energy storage operation control method based on energy storage temperature rise characteristic constraint
CN117353430B (en) * 2023-12-04 2024-02-23 南京中电科能技术有限公司 Energy storage operation control method based on energy storage temperature rise characteristic constrai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85791A (en) The control and management equipment of battery stack, and method there of
US10048322B2 (en) Method of measuring battery pack current and correcting offsets of a current sensor
EP2770606B1 (en) Battery system monitoring device and charge storage device equipped with same
JP5621818B2 (en) Power storage system and equalization method
US9641011B2 (en) Battery control device adapting the battery current limit by decreasing the stored current limit by comparing it with the measured battery current
US9557388B2 (en) Battery control device
JP5274110B2 (en) Power supply for vehicle
WO2012091076A1 (en) Battery degradation level detection method
JP5386443B2 (en) Power supply, railway vehicle
JP2015073429A (en) Method for detecting cell state-of-charge and state-of-discharge divergence of series string of batteries or capacitors
JP2014102078A (en) Power storage system and full charge capacity calculation method
JP2013094032A (en) Battery system monitoring device and power storage device with the same
US11258113B2 (en) Management device, and electricity storage system
CN112384405B (en) Method of controlling battery system in vehicle
CN110024212B (en) Composite battery, motor vehicle provided with same, and railroad regenerative power storage device
WO2022224681A1 (en) Battery monitoring device and electric vehicle having same installed therein
JP5999048B2 (en) Power storage system
Bartek Passive and Active Battery Balancing Methods Implemented on Second Use Lithium-ion Batteries
JP2013127440A (en) Power storage system
WO2022224682A1 (en) Battery monitoring device
CN109075402A (en) The flash-over characteristic computing device of composite battery
Goud et al. A System Complete of Li-Ion Battery Batteries Management in Electric Vehicle Applications
Goud et al. A Complete Battery Management System of Li-Ion Batteries in Electric Vehicle Applications
JP2020156148A (en) Secondary battery control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