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85777A - 슬러시 제조 장치 - Google Patents
슬러시 제조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00085777A KR20100085777A KR1020090005242A KR20090005242A KR20100085777A KR 20100085777 A KR20100085777 A KR 20100085777A KR 1020090005242 A KR1020090005242 A KR 1020090005242A KR 20090005242 A KR20090005242 A KR 20090005242A KR 20100085777 A KR20100085777 A KR 2010008577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sing
- lid
- manufacturing apparatus
- slush manufacturing
- temperatur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31/00—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 F25D31/005—Combined cooling and heating devic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301/00—Special arrangements or features for producing ice
- F25C2301/002—Producing ice slurri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31/00—Details or arrangements of 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31/80—Type of cooled receptacles
- F25D2331/803—Bottl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 F25D2700/12—Sensors measuring the inside temperature
- F25D2700/121—Sensors measuring the inside temperature of particular compartmen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31/00—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 F25D31/006—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oling receptacles, e.g. tanks
- F25D31/007—Bottles or c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기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며, 일축을 중심으로 힌지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케이싱, 하단에 케이싱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부, 고정부의 상단에 힌지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케이싱의 개폐하는 뚜껑 및 케이싱에 설치되는 히터를 포함하여, 냉각 공간에 위치하여, 케이싱에 수용되는 병에 담긴 액체를 과냉각 상태로 저장할 수 있는 슬러시 제조 장치를 제공한다.
과냉각, 슬러시, 자동 뚜껑 개폐, 분리막, 온도 영역
Description
본 발명은 슬러시 제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냉장고 내에 구비되어 액체가 들어있는 병을 수납하여, 병 내의 액체를 과냉각 상태로 저장하며, 병을 쉽게 슬러시 제조 장치 내외로 쉽게 출입할 수 있는 슬러시 제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과냉각이란, 용융체 또는 고체가 평형상태에서의 상전이 온도 이하까지 냉각되어도 변화를 일으키지 않는 현상을 의미한다. 물질에는 각각 그때의 온도에 따른 안정상태가 있어서, 온도를 서서히 변화시켜 가면 이에 따라 그 물질의 구성원자가 각 온도에서 안정상태를 유지하면서 온도의 변화를 따라갈 수가 있다. 그러나 온도가 갑자기 변하면 구성원자가 각 온도에 따른 안정상태로 변화할 만한 여유가 없기 때문에, 출발점 온도에서의 안정상태를 그대로 지니거나, 또는 일부분이 종점 온도에서의 상태로 변화하다가 마는 현상이 일어난다.
예를 들어, 물을 서서히 냉각하면, 0℃ 이하의 온도가 되어도 일시적으로 응고하지 않는다. 그러나, 물체가 과냉각상태로 되면 일종의 준안정 상태가 되어, 사소한 자극에 의해서도 그 불안정한 평형상태가 깨져서 보다 안정된 상태로 옮아가 기 쉽다. 즉, 과냉각된 액체에 그 물질의 작은 조각을 투입하거나, 액체를 갑자기 흔들면 즉시 응고하기 시작하여 액체의 온도가 응고점까지 올라가고, 그 온도에서 안정된 평형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종래에 정전장 분위기를 냉장고 내에 만들고, 이 냉장고 내에서 육류, 어류의 해동을 마이너스 온도에서 하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 또, 육류, 어류에 더하여 과일류의 선도를 유지하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
이러한 기술은 과냉각(supercooling) 현상을 이용한 것으로, 이 과냉각 현상은 용융체 또는 고체가 평형상태에서의 상전이 온도 이하까지 냉각되어도 변화를 일으키지 않는 현상을 지칭한다.
이러한 기술로서는, 국내공개특허공보 특2000-0011081호인 정전장 처리 방법, 정전장 처리장치 및 이들에 사용되는 전극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해동 및 선도유지장치의 실시의 형태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보냉고(1)는 단열재(2), 외벽(5)에 의해 구성되고, 고내 온도조절기구(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다. 고내에 설치된 금속선반(7)은 2단 구조이고, 각 단에 야채류, 육류, 어개류의 해동 또는 선도 유지 및 숙성 대상물이 탑재된다. 금속선반(7)은 절연체(9)에 의해 고의 바닥면으로부터 절연되어 있다. 그리고, 고전압 발생장치(3)는 직류 및 교류전압을 0∼5000V까지 발생시킬 수 있어, 단열재(2)의 내측은 염화 비닐 등의 절연판(2a)으로 피복되어 있다. 상기 고전압 발생장치(3)의 전압을 출력하는 고압 케이블(4)은 외벽(5), 단열재(2)를 관통하여 금속선반(7)에 접속되어 있다.
보냉고(1)의 앞면에 설치된 도어(6)를 열면, 도시하지 않은 안전스위치(13)(도 2 참조)가 오프되어, 고전압 발생장치(3)의 출력이 차단되도록 되어 있다.
도 2는 고전압 발생장치(3)의 회로 구성을 나타낸 회로도이다. 전압조정트랜스(15)의 1차측에는 AC 100V가 공급된다. 부호 (11)은 전원램프, 부호 (19)는 작동상태를 나타낸 램프이다. 전술한 도어(6)가 닫혀 있고 안전스위치(13)가 온상태에서는 릴레이(14)가 작동하고 있으며, 이 상태가 릴레이동작램프(12)에 의해 표시되고 있다, 릴레이의 동작에 의해 릴레이 접점(14a,14b,14c)이 닫히고, AC 100V 전원이 전압조정트랜스(15)의 1차측에 인가된다.
인가전압은 전압조정트랜스(15)의 2차측의 조정노브(15a)에 의해 조정되고, 조정된 전압치는 전압계에 표시된다. 조정노브(15a)는 전압조정트랜스(15)의 2차측 승압트랜스(17)의 1차측에 접속되고, 이 승압트랜스(17)에서는, 예를 들면 1 : 50의 비율로 승압되어, 예를 들면 60V의 전압이 가해지면 3000V로 승압된다.
승압트랜스(17)의 2차측 출력의 일단(O1)은 고압 케이블(4)을 통해 보냉고로부터 절연되어 있는 금속선반(7)에 접속되고, 출력의 타단(O2)는 어스된다. 또, 외벽(5)은 어스되므로, 보냉고(1)의 사용자가 보냉고의 외벽에 접촉해도 감전되는 것이 아니다. 또, 금속선반(7)은 도 1에서는 고내에서 노출되어 있으면,금속선반(7)은 고내에서 절연상태로 유지될 필요가 있으므로, 고내 벽으로부터 이간시킬 필요가 있다(공기가 절연작용을 함). 또, 금속선반(7)으로부터 대상물(8)이 돌출하여 고내 벽에 접하면 전류가 고벽을 통해 그라운드로 흐르므로, 상기 절연판(2a)을 내 벽에 붙이면 인가되는 전압의 드롭이 방지된다. 그리고, 상기 금속선반(7)을 고내에서 노출시키지 않고 염화 비닐재 등으로 피복해도 고내 전체가 전장 분위기로 된다.
이러한 종래 기술의 경우, 냉각 수납되는 수납물에 전기장 또는 자기장을 인가하여, 수납물이 과냉각 상태에 진입하도록 하기 때문에, 수납물의 과냉각 상태에서의 보관을 위해, 전기장 또는 자기장을 생성하기 위한 복잡한 장치가 구비되어야 하며, 이러한 전기장 또는 자기장의 생성을 위한 높은 전력소비가 요구된다. 또한, 이러한, 전기장 또는 자기장을 생성하는 장치는 고전력으로 인하여, 전기장 또는 자기장의 생성시, 차단시에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장치(예를 들면, 전기장 또는 자기장 차폐구조, 차단 장치 등)가 추가적으로 구비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기존의 냉각 장치인 냉장고의 구조를 크게 변경하지 않고도 액체가 들어있는 병을 수납하여, 병 내의 액체를 과냉각 상태로 저장할 수 있는 슬러시 제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장치의 일부분이 틸팅되어 액체를 저장하는 병을 쉽게 인출 또는 투입할 수 있는 슬러시 제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케이싱을 기울이면 뚜껑이 자동으로 개방되어, 액체를 저장하는 병을 용이하게 케이싱 내로 투입할 수 있는 슬러시 제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용기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며, 일축을 중심으로 힌지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케이싱, 하단에 케이싱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부, 고정부의 상단에 힌지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케이싱의 개폐하는 뚜껑 및 케이싱에 설치되는 히터를 포함하여, 냉각 공간에 위치하여, 케이싱에 수용되는 병에 담긴 액체를 과냉각 상태로 저장할 수 있는 슬러시 제조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태양으로서, 케이싱의 후방에 설치되며, 케이싱의 일단부로부터 높이 방향으로 연장된 뚜껑 개방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시 제조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태양으로서, 고정부는, 케이싱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는 경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시 제조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태양으로서, 케이싱의 후방에 설치되고, 케이싱의 최대로 회전한 때 뚜껑 개방 부재의 일단이 뚜껑과 접촉할 수 있도록 케이싱의 일단부로부터 높이 방향으로 연장된 뚜껑 개방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시 제조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태양으로서, 뚜껑의 하단 또는 케이싱의 상단에 설치되며, 케이싱 내부 공기와 뚜껑 내부의 공기를 분리하는 분리막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시 제조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태양으로서, 분리막은 반경 방향으로 복수 개의 절개부가 형성된 도넛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시 제조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태양으로서, 히터는, 고정부와 케이싱의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를 통해 전원을 공급부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시 제조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태양으로서, 케이싱 내에 설치되어 케이싱 내부 온도를 감지하는 센서가 더 포함되고, 고정부와 케이싱의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를 통해 센서에 전원이 공급되고, 센서가 감지한 정보가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시 제조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태양으로서, 뚜껑은, 뚜껑 내부의 공기를 가열하는 상부 히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시 제조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태양으로서, 뚜껑은, 뚜껑 내부의 공기의 온도를 감지하 는 상부 센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시 제조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태양으로서, 뚜껑은 단열재가 내장되어 외부와 단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시 제조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태양으로서, 뚜껑과 고정부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를 통해 뚜껑으로 전원 공급부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시 제조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태양으로서, 케이싱 내부의 상부 온도와 하부 온도를 독립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시 제조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태양으로서, 용기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며, 일축을 중심으로 힌지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케이싱, 하단에 케이싱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부, 고정부의 상단에 힌지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케이싱의 개폐하는 뚜껑 및 고정부에 설치되는 히터를 포함하여, 냉각 공간에 위치하여, 케이싱에 수용되는 병에 담긴 액체를 과냉각 상태로 저장할 수 있는 슬러시 제조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태양으로서, 케이싱은, 고정부에 설치된 히터와 맞닿는 부분이 금속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시 제조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태양으로서, 고정부에 설치되며, 케이싱의 온도를 측정하는 센서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시 제조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태양으로서, 케이싱 내부의 상부 온도와 하부 온도를 독 립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시 제조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슬러시 제조 장치는 기존의 냉각 장치인 냉장고의 구조를 크게 변경하지 않고도 액체가 들어있는 병을 수납하여, 병 내의 액체를 과냉각 상태로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슬러시 제조 장치는 슬러시 제조 장치의 일부분이 쉽게 틸팅되어 사용자가 수납된 병을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슬러시 제조 장치는 슬러시 제조 장치의 상부 공간과 하부 공간의 공기층을 분리할 수 있는 분리막을 구비하여, 상부 공간의 온도와 하부 공간의 온도를 서로 다른 온도로 보다 확실히 구획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슬러시 제조 용기, 슬러시 제조 장치 및 냉각 장치(이하, 슬러시 제조 용기, 슬러시 제조 장치 및 냉각 장치를 통칭하여 '슬러시 제조 장치'라고 한다)에 적용되는 과냉각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각 공간(S) 내에 액체(L)를 수용하는 용기(C)가 냉각된다.
냉각 공간(S)의 냉각 온도가 예를 들면, 상온에서부터 0도(물의 상전이 온도) 또는 액체(L)의 상전이 온도 이하로 냉각된다고 가정한다. 이러한 냉각이 진행될 때, 예를 들면, 물의 경우 -1 ~-5℃ 정도에서 얼음 결정이 최대로 생성되는 물 의 최대 빙결정 생성대의 온도(약 -1~ -5℃) 이하에서 또는 액체(L)의 최대 빙결정 생성대 이하에서의 냉각 온도에서도 물 또는 액체(L)의 과냉각 상태를 유지시키려 한다.
이러한 냉각 중에 액체(L)로부터 증발이 이루어져서, 수증기가 용기(C) 내의 기체(또는 공간)(Lg) 내로 유입된다. 용기(C)가 뚜껑(Ck)에 의해 폐쇄된 경우, 증발된 수증기로 인하여, 기체(Cg)는 과포화 상태가 될 수 있다. 다만, 본 명세서에서 용기(C)는 뚜껑(Ck)을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으며, 포함된 경우 냉각 공간의 냉기가 직접적으로 유입되거나, 액체(L)의 표면 또는 표면 상의 기체(Lg)의 온도가 냉기에 의해 냉각되는 것을 어느 정도 방지할 수도 있다.
냉각 온도가 액체(L)의 최대 빙결정 생성대의 온도에 도달하거나 통과하면서 기체(Lg) 내의 수증기 또는 용기의 내측벽의 물방울이 결빙될 수 있다. 또는, 액체(L)의 표면(Ls)과, 용기(C)의 내측벽(냉각 공간(S)의 냉각 온도에 거의 일치함)이 접하는 부분에서 응축이 일어나고 이러한 응축된 액체(L)가 얼음 결정인 빙결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체(Lg) 내의 빙결핵이 하강하여 액체(L)의 표면(Ls)을 통하여 액체(L)에 침투하게 되면, 액체(L)의 과냉각 상태가 해제되어, 액체(L)에 결빙 현상이 야기되어, 액체(L)의 과냉각이 해제된다.
또는, 빙결핵이 액체(L)의 표면(Ls)과 접하게 됨으로써, 액체(L)의 과냉각 상태가 해제되어, 액체(L)에 결빙 현상이 야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인 슬러시 제조 장치는 냉각 공간(S)에 수납된 용기(C) 및 액체(L)에 에너지(예를 들면, 열에너지)를 인가 또는 공급하여, 기체(Lg) 및 액체(L)의 온도를 제어하여, 액체(L)가 액체의 상전이 온도 이하에서도 무동결 상태 즉, 과냉각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여기서, 기체(Lg)는 액체(L)에 접하면서 액체(L)의 상층부에 위치하는 것으로, 본 명세서에서는 액체 상층부(또는 수납물 상층부)로 정의되며, 이러한 액체 상층부는 기체(Lg) 이외에도, 액체(L)에 부유할 수 있는 기름층 또는 플라스틱 또는 기타 수지를 포함하는 물체가 될 수 있다. 아울러, 본 실시예에서 편의상, 액체(L)로 기재되어 있으나, 액체(L)뿐만 아니라, 육류 및 어류, 야채, 과일 등과 같은 일반 수납물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온도 제어에 의한 과냉각 상태의 유지는 도 4 및 5에서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슬러시 제조 장치에 적용되는 빙결핵 생성을 방지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기체(Lg) 내의 수증기(W1)의 결빙을 방지하여, 즉, 지속적으로 수증기(W1) 상태가 유지되도록, 적어도 기체(Lg) 또는 액체(L)의 표면(Ls) 상에 에너지를 인가하여, 기체(Lg) 또는 액체(L)의 표면(Ls)상의 온도를 액체(L)의 최대 빙결정 생성대의 온도보다 높도록, 더욱 바람직하게는, 액체(L)의 상전이 온도 이상으로 한다. 또한, 액체(L)의 표면(Ls)이 용기(C)의 내측벽에 접촉하더라도 결빙이 되지 않도록, 액체(L)의 표면(Ls)의 온도를 액체(L)의 최대 빙결정 생성대의 온도보다 높도록, 더욱 바람직하게는, 액체(L)의 상전이 온도 이상으로 한다.
이에 따라, 용기(C) 내의 액체(L)가 상전이 온도 이하에서, 또는 액체(L)의 최대 빙결정 생성대 온도 이하에서도 과냉각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저장고(S) 내의 냉각 온도가 예를 들면, -20℃와 같이, 상당히 저온일 경우, 용기(C)의 상부에만 에너지를 인가하는 것만으로는, 수납물인 액체(L)가 과냉각 상태를 유지할 수 없을 수도 있기에, 용기(C)의 하부에도 어느 정도의 에너지를 공급할 필요가 있다. 용기(C)의 상부에 인가되는 에너지가 용기(C)의 하부에 인가되는 에너지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크게 하여, 용기(C)의 상부 온도를 상전이 온도 또는 최대빙결정 생성대의 온도보다 높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용기(C)의 하부에 인가되는 에너지와, 용기(C)의 상부에 인가되는 에너지에 의해 액체(L)의 과냉각 상태에서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술된 도 3 및 4의 경우, 액체(L)의 경우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액체를 포함하는 수납물의 경우에도 수납물 내의 액체를 지속적으로 과냉각시킴으로써 수납물의 신선한 장기 보관이 가능하게 되므로, 위의 과정을 적용하여 수납물이 상전이 온도 이하에서 과냉각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여기에서의 수납물은 액체 뿐만 아니라, 육류, 야채, 과일, 기타 식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적용되는 에너지는 열 에너지, 전기 또는 자기 에너지, 초음파 에너지, 광 에너지 등의 적용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슬러시 제조 장치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5의 슬러시 제조 장치는 냉각이 이루어지는 저장고(S) 내에 장착되며, 내부에 수납 공간을 지닌 케이스(Sr)와, 케이스(Sr)의 상면 내측에 장착되어 열을 발생하는 발열 코일(H1)과, 수납 공간의 상부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C1)과, 케 이스(Sr)의 하면 내측에 장착되어 열을 발생하는 발열 코일(H2)과, 수납 공간의 하부 또는 수납물(P)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C2)를 구비한다.
슬러시 제조 장치는 저장고(S) 내에 설치되어, 냉각이 이루어지게 됨에 따라, 온도센서(C1)과, (C2)로부터의 온도를 감지하여, 발열 코일(H1), (H2)이 온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여, 열을 수납 공간의 상부 및 하부에서 수납공간으로 공급하게 된다. 이러한 열의 공급량을 조절하여, 수납 공간의 상부(또는 수납물(P)의 상의 공기)를 최대 빙결정 생성대의 온도보다 높도록,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전이 온도보다 높게 제어한다.
도 5의 발열 코일(H1), (H2)의 위치는 수납물(P) 및 수납 공간에 열(또는 에너지)를 공급하기 적절한 위치로 결정될 수 있으며, 케이스(Sr)의 측면 내부에도 삽입 형성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러시 제조 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러시 제조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슬러시 제조 장치는 냉장고 등의 기존의 냉각 장치 내에 장착되며, 슬러시 제조 장치의 장착 또는 제어를 위한 구조 이외에 냉각 장치의 구조를 크게 변경하지 않고, 액체를 과냉각 상태로 저장할 수 있으며, 과냉각 상태의 액체를 꺼내어 쉽게 슬러시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슬러시 제조 장치는 앞에서 개략적으로 설명한 바와 같이 액체를 저장하는 용기의 상부와 하부가 다른 온도 영역에 노출되게 하여 액체가 동결되지 않고 과냉각 상태를 유지하게 한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러시 제조 장치는 냉각 장치에 고정되는 고정부(100)와 고정 부(1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용기의 하부가 위치되는 케이싱(200), 케이싱(200)을 상부에서 개폐하며 용기의 상부가 위치되는 뚜껑(300), 용기의 상부 주위 공기와 하부 주위 공기의 열교환을 방지하는 분리막(400), 케이싱(200)의 움직임에 뚜껑(300)이 연동되도록 하는 뚜껑 개방 부재(500)를 포함한다.
고정부(100)는 케이싱(200)과 뚜껑(300)을 지지하는 지지부(110)와 케이싱(200)의 개방을 허용하는 동시에 개방 각도를 제한하는 경사부(130)를 포함한다. 지지부(110)의 양단에는 케이싱(200)과 뚜껑(300)이 지지부(11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게하는 힌지(122, 124)가 형성된다. 고정부(100)는 냉각 장치로부터 고정부(100) 내로 전원을 전달할 수 있는 터미널이 형성되거나, 전원 케이블이 연결된다. 전원 케이블은 힌지(122, 124)를 통해 각각 케이싱(200) 및 뚜껑(300) 내의 전장품으로 전달된다.
케이싱(200)은 액체를 저장하는 용기의 하부가 위치되는 곳으로, 대략 원통형으로 되어 있으며, 상부가 개방되어 있어 개방된 상부를 통해 액체를 저장하는 용기가 투입된다. 케이싱(200)은 케이싱(200)의 외형을 형성하는 외관부(210), 케이싱(220)을 고정부(10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며, 케이블이 고정부(100)로부터 케이싱(200)으로 연결되도록 안내하는 힌지(220), 외관부(210) 내에 설치되는 하부 히터(240) 및 하부 센서(240)를 포함한다. 하부 히터(240) 및 하부 센서(250)는 케이블을 통해 제어부(미도시)에 연결되며, 제어부(250)는 하부 센서(250)가 감지한 온도 정보를 바탕으로 하부 히터(240)의 발열량을 조절하여 케이싱(200) 내의 온도를 조절한다.
뚜껑(300)은 액체를 저장하는 용기의 상부가 위치되며, 케이싱(200)의 개방된 상부를 개폐한다. 뚜껑(300)은 뚜껑(300)의 외형을 형성하는 외관부(310), 뚜껑(300)을 고정부(10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며, 케이블이 고정부(100)로부터 뚜껑(300)으로 연결되도록 안내하는 힌지(320), 그리고 뚜껑(300) 내에 위치되는 용기의 상부에 빙결정이 생성되지 않도록 뚜껑(300) 내의 온도 조절을 위한 상부 히터(340) 및 상부 센서(350)를 구비한다. 한편 용기 상부 주변 온도가 용기 하부 주변온도보다 높아야 하므로, 용기 상부 주변에는 단열이 더 잘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다. 이는 슬러시 생성 장치가 위치한 냉각 장치로부터 전해지는 냉기의 영향을 막는 것과 뚜껑(300) 내에 설치된 상부 히터(340)의 열이 냉각 장치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두 가지 필요에 의한 것이다. 따라서 뚜껑(300)에는 단열재(330)가 더 구비된다. 뚜껑(300) 내의 온도 조절은 상부 센서(350)가 감지한 온도 정보에 따라 제어부(미도시)에서 상부 히터(340)의 발열량을 조절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케이싱(200) 내의 온도와 뚜껑(300) 내의 온도가 제어되며, 각각 상, 하부 센서(250, 350)이 감지한 온도에 따라 상, 하부 히터(240, 340)의 발열량을 조절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케이싱(200) 내의 온도와 뚜껑(300) 내의 온도는 서로 다르게 제어되며, 케이싱(200) 내의 온도는 최대 빙결정 생성대(-1℃ ~ -5℃)의 온도로, 뚜껑(300) 내의 온도는 그보다 높은 온도로 제어되어야 액체를 안정적으로 과냉각로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케이싱(200) 내의 공기와 뚜껑(300) 내의 공기를 통해 케이싱(200)과 뚜껑(300) 사이에 열전달이 이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분리막(400)이 구비된다. 분리막(400)은 뚜껑(300) 측에 설치 되어도 좋고, 케이싱(200) 측에 설치되어도 좋으나, 용기의 삽입을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해 실시예에서는 뚜껑(300) 측에 설치되었다. 분리막(400)은 뚜껑(300) 내에 고정되는 부분이며, 탄성막(320)을 잡아주는 역할을 하는 프레임(310)과 프레임(310)에 의해 고정되는 탄성막(320)을 포함한다. 탄성막(320)은 실리콘 등의 탄성 재질로 형성되며, 도넛 형상으로 중앙에 용기 상부의 삽입을 위한 개구부가 형성되며, 개구부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슬릿이 복수 개 형성되어 개구부보다 용기의 상부가 큰 경우에도 분리막(400)을 관통하여 뚜껑(300)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사용자의 편의를 돕기 위해, 케이싱(200)을 잡고 케이싱(200)을 전방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뚜껑(300)이 자동 개방되도록 뚜껑을 미는 뚜껑 개방 부재(500)가 구비된다. 뚜껑 개방 부재(500)는 케이싱(200)에 고정되는 케이싱 장착부(510) 및 뚜껑(300)을 미는 푸싱 부(520)를 포함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케이싱(200)이 회전함에 따라 뚜껑 개방 부재(500)도 케이싱(200)과 함께 회전하며, 푸싱 부(520)가 뚜껑(300)에 힘을 전달함으로써, 뚜껑(300)은 힌지(320)를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케이싱(200)을 회전시키면서, 뚜껑(300)을 따로 개방할 필요없이 자동으로 뚜껑이 개방되므로, 보다 쉽게 케이싱(200)으로부터 용기를 인출할 수 있다. 반면 뚜껑(300)을 회전시켜 개방할 경우, 뚜껑(300)으로부터 뚜껑 개방 부재(500)로는 힘이 전달되지 않으므로, 뚜껑(300)이 개방되며 케이싱(200)은 회전하지 않는다. 한편 뚜껑 개방 부재(500)는 고정부(100)에 케이싱(200)을 고정하기 위한 후크 부(512)를 더 구비한다. 케이싱(200) 내에 용기가 투입되면 액체의 무게 에 의해 케이싱(200)이 외부에서 힘을 가하지 않아도 힌지(122, 220)에 의해 회전하여 개방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뚜껑 개방 부재(500)는 뚜껑 장착부(510)의 후방에 후크 부(512)를 구비하며, 고정부(100)는 후크 부(512)가 삽입되는 걸림부(112)를 구비한다.
한편 하부 히터(240)은 케이싱(200) 내부가 아니라 고정부(100)에 설치될 수도 있으며, 고정부(100)에 하부 히터(미도시)가 설치된 경우, 케이싱(200)이 고정부(100) 내로 회전하여 삽입되었을 때 고정부(100)와 케이싱(200)이 맞닿는 면에 설치된다. 하부 히터(미도시)가 고정부(100)에 설치는 경우, 케이싱(200)의 외관부(210) 중에서 하부 히터(미도시)와 맞닿는 부분이 금속으로 형성되어 케이싱(200) 내로 하부 히터(미도시)의 열을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미도시)는 슬러시 제조 장치 자체 내에 마련되어도 좋으며, 슬러시 제조 장치가 장착되는 냉장고 등의 냉각 장치의 메인 제어부에 기능이 통합되어도 무방하다. 제어부(미도시)는 하부 센서가 측정한 온도를 이용하여 하부 히터(미도시)의 발열량을 제어하고, 상부 센서(미도시)가 측정한 온도를 이용하여 상부 히터(미도시)의 발열량을 제어하여, 용기 내에 저장된 액체에 빙결정이 생성되지 않도록 하여 과냉각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해동 및 선도유지장치의 실시의 형태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고전압 발생장치의 회로 구성을 나타낸 회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과냉각 장치에 적용되는 과냉각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과냉각 장치에 적용되는 빙결핵 생성을 방지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과냉각 장치의 개략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러시 제조 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러시 제조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러시 제조 장치의 개방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Claims (17)
- 용기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며, 일축을 중심으로 힌지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케이싱;하단에 케이싱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부;고정부의 상단에 힌지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케이싱의 개폐하는 뚜껑; 및케이싱에 설치되는 히터;를 포함하여,냉각 공간에 위치하여, 케이싱에 수용되는 병에 담긴 액체를 과냉각 상태로 저장할 수 있는 슬러시 제조 장치.
- 제1항에 있어서,케이싱의 후방에 설치되며, 케이싱의 일단부로부터 높이 방향으로 연장된 뚜껑 개방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시 제조 장치.
- 제1항에 있어서,고정부는, 케이싱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는 경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시 제조 장치.
- 제3항에 있어서,케이싱의 후방에 설치되고, 케이싱의 최대로 회전한 때 뚜껑 개방 부재의 일단이 뚜껑과 접촉할 수 있도록 케이싱의 일단부로부터 높이 방향으로 연장된 뚜껑 개방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시 제조 장치.
- 제1항에 있어서,뚜껑의 하단 또는 케이싱의 상단에 설치되며, 케이싱 내부 공기와 뚜껑 내부의 공기를 분리하는 분리막;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시 제조 장치.
- 제3항에 있어서,분리막은 반경 방향으로 복수 개의 절개부가 형성된 도넛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시 제조 장치.
- 제1항에 있어서,히터는, 고정부와 케이싱의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를 통해 전원을 공급부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시 제조 장치.
- 제1항에 있어서,케이싱 내에 설치되어 케이싱 내부 온도를 감지하는 센서;가 더 포함되고,고정부와 케이싱의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를 통해 센서에 전원이 공급되고, 센서가 감지한 정보가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시 제조 장치.
- 제1항에 있어서,뚜껑은, 뚜껑 내부의 공기를 가열하는 상부 히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시 제조 장치.
- 제1항에 있어서,뚜껑은, 뚜껑 내부의 공기의 온도를 감지하는 상부 센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시 제조 장치.
- 제1항에 있어서,뚜껑은 단열재가 내장되어 외부와 단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시 제조 장치.
- 제1항에 있어서,뚜껑과 고정부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를 통해 뚜껑으로 전원 공급부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시 제조 장치.
- 제1항 내지 제 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케이싱 내부의 상부 온도와 하부 온도를 독립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시 제조 장치.
- 용기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며, 일축을 중심으로 힌지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케이싱;하단에 케이싱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부;고정부의 상단에 힌지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케이싱의 개폐하는 뚜껑; 및고정부에 설치되는 히터;를 포함하여,냉각 공간에 위치하여, 케이싱에 수용되는 병에 담긴 액체를 과냉각 상태로 저장할 수 있는 슬러시 제조 장치.
- 제14항에 있어서,케이싱은, 고정부에 설치된 히터와 맞닿는 부분이 금속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시 제조 장치.
- 제15항에 있어서,고정부에 설치되며, 케이싱의 온도를 측정하는 센서;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시 제조 장치.
- 제14항 내지 제 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케이싱 내부의 상부 온도와 하부 온도를 독립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시 제조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05242A KR101040804B1 (ko) | 2009-01-21 | 2009-01-21 | 슬러시 제조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05242A KR101040804B1 (ko) | 2009-01-21 | 2009-01-21 | 슬러시 제조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85777A true KR20100085777A (ko) | 2010-07-29 |
KR101040804B1 KR101040804B1 (ko) | 2011-06-13 |
Family
ID=426446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05242A KR101040804B1 (ko) | 2009-01-21 | 2009-01-21 | 슬러시 제조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040804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01489U (ko) * | 2019-05-27 | 2020-07-06 | 오현주 | 액상 음료 과냉각 장치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74634B1 (ko) | 2014-11-24 | 2016-11-09 | 김영현 | 과냉각 슬러시 제조기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50002345Y1 (ko) * | 1990-07-21 | 1995-03-31 | 대우전자 주식회사 | 냉장고의 도아포켓 |
KR960034941A (ko) * | 1995-03-21 | 1996-10-24 | 구자홍 | 과냉각수 제조장치 |
KR20070075677A (ko) * | 2006-01-14 | 2007-07-24 | 삼성전자주식회사 | 냉장고 및 이를 이용한 과냉각액 제조방법 |
KR101176455B1 (ko) * | 2006-01-14 | 2012-08-30 | 삼성전자주식회사 | 과냉각장치와 냉장고와 그 제어방법 |
-
2009
- 2009-01-21 KR KR1020090005242A patent/KR101040804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01489U (ko) * | 2019-05-27 | 2020-07-06 | 오현주 | 액상 음료 과냉각 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040804B1 (ko) | 2011-06-1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43972B1 (ko) | 냉각 장치 | |
KR101019879B1 (ko) | 슬러시 제조 용기, 슬러시 제조 장치 및 이들을 포함하는냉각 장치 | |
KR101330335B1 (ko) | 과냉각 장치 | |
US20110219805A1 (en) | Non-freezing storage unit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 |
KR101040804B1 (ko) | 슬러시 제조 장치 | |
KR20100082258A (ko) | 무동결 보관고 | |
KR100951525B1 (ko) | 과냉각 시스템 | |
KR20100082261A (ko) | 과냉각 시스템 | |
KR101023355B1 (ko) | 슬러시 제조 장치 | |
KR101023357B1 (ko) | 슬러시 제조 용기, 슬러시 제조 장치 및 이들을 포함하는냉각 장치 | |
KR101120317B1 (ko) | 슬러시 제조 장치 | |
KR100981858B1 (ko) | 과냉각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냉장고 | |
KR20100082259A (ko) | 과냉각 시스템 | |
KR100961794B1 (ko) | 과냉각 장치 | |
KR100872236B1 (ko) | 과냉각 장치 | |
WO2009038425A2 (en) | Apparatus for supercooling | |
KR20100082260A (ko) | 무동결 보관고 | |
KR20100082257A (ko) | 과냉각 장치 | |
KR100901898B1 (ko) | 과냉각 장치 | |
KR20090028361A (ko) | 과냉각 장치 | |
WO2010044498A2 (en) | Apparatus for supercooling | |
KR101448652B1 (ko) | 과냉각 장치 | |
KR101520678B1 (ko) | 과냉각 장치 | |
WO2009038423A2 (en) | Apparatus for supercooling | |
WO2010079970A2 (ko) | 냉각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523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522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524 Year of fee payment: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