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1858B1 - 과냉각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냉장고 - Google Patents

과냉각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1858B1
KR100981858B1 KR1020080081573A KR20080081573A KR100981858B1 KR 100981858 B1 KR100981858 B1 KR 100981858B1 KR 1020080081573 A KR1020080081573 A KR 1020080081573A KR 20080081573 A KR20080081573 A KR 20080081573A KR 100981858 B1 KR100981858 B1 KR 1009818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ing
bottle
supercooling
supercooling device
rotatably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15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22861A (ko
Inventor
오상호
김주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815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1858B1/ko
Publication of KR201000228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28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18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18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31/00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 F25D31/006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oling receptacles, e.g. tanks
    • F25D31/007Bottles or c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4Doors; Covers with special compartments, e.g. butter conditio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31/00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 F25D31/005Combined cooling and heat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301/00Special arrangements or features for producing ice
    • F25C2301/002Producing ice slur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 F25D2323/023Door in door constru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31/00Details or arrangements of 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31/80Type of cooled receptacles
    • F25D2331/803Bott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과냉각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냉장고 내에 구비되어 액체가 들어있는 병을 수납하여, 병 내의 액체를 과냉각 상태로 저장하며, 병을 쉽게 과냉각 장치 내외로 쉽게 출입할 수 있는 과냉각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병이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며, 일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케이싱; 케이싱의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케이싱이 수용되는 고정부; 및 고정부 및 케이싱 중 어느 한 곳에 설치되는 히터;를 포함하여, 냉각 공간에 위치하여, 케이싱에 수용되는 병에 담긴 액체를 과냉각 상태로 저장할 수 있는 과냉각 장치를 제공한다.
과냉각 장치, 냉장고, 과냉각수, 회전 케이싱

Description

과냉각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냉장고{APPARATUS FOR SUPERCOOLING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과냉각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냉장고 내에 구비되어 액체가 들어있는 병을 수납하여, 병 내의 액체를 과냉각 상태로 저장하며, 병을 쉽게 과냉각 장치 내외로 쉽게 출입할 수 있는 과냉각 장치에 관한 것이다.
과냉각이란, 용융체 또는 고체가 평형상태에서의 상전이 온도 이하까지 냉각되어도 변화를 일으키지 않는 현상을 의미한다. 물질에는 각각 그때의 온도에 따른 안정상태가 있어서, 온도를 서서히 변화시켜 가면 이에 따라 그 물질의 구성원자가 각 온도에서 안정상태를 유지하면서 온도의 변화를 따라갈 수가 있다. 그러나 온도가 갑자기 변하면 구성원자가 각 온도에 따른 안정상태로 변화할 만한 여유가 없기 때문에, 출발점 온도에서의 안정상태를 그대로 지니거나, 또는 일부분이 종점 온도에서의 상태로 변화하다가 마는 현상이 일어난다.
예를 들어, 물을 서서히 냉각하면, 0℃ 이하의 온도가 되어도 일시적으로 응고하지 않는다. 그러나, 물체가 과냉각상태로 되면 일종의 준안정 상태가 되어, 사소한 자극에 의해서도 그 불안정한 평형상태가 깨져서 보다 안정된 상태로 옮아가 기 쉽다. 즉, 과냉각된 액체에 그 물질의 작은 조각을 투입하거나, 액체를 갑자기 흔들면 즉시 응고하기 시작하여 액체의 온도가 응고점까지 올라가고, 그 온도에서 안정된 평형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종래에 정전장 분위기를 냉장고 내에 만들고, 이 냉장고 내에서 육류, 어류의 해동을 마이너스 온도에서 하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 또, 육류, 어류에 더하여 과일류의 선도를 유지하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
이러한 기술은 과냉각(supercooling) 현상을 이용한 것으로, 이 과냉각 현상은 용융체 또는 고체가 평형상태에서의 상전이 온도 이하까지 냉각되어도 변화를 일으키지 않는 현상을 지칭한다.
이러한 기술로서는, 국내공개특허공보 특2000-0011081호인 정전장 처리 방법, 정전장 처리장치 및 이들에 사용되는 전극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해동 및 선도유지장치의 실시의 형태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보냉고(1)는 단열재(2), 외벽(5)에 의해 구성되고, 고내 온도조절기구(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다. 고내에 설치된 금속선반(7)은 2단 구조이고, 각 단에 야채류, 육류, 어개류의 해동 또는 선도 유지 및 숙성 대상물이 탑재된다. 금속선반(7)은 절연체(9)에 의해 고의 바닥면으로부터 절연되어 있다. 그리고, 고전압 발생장치(3)는 직류 및 교류전압을 0∼5000V까지 발생시킬 수 있어, 단열재(2)의 내측은 염화 비닐 등의 절연판(2a)으로 피복되어 있다. 상기 고전압 발생장치(3)의 전압을 출력하는 고압 케이블(4)은 외벽(5), 단열재(2)를 관통하여 금속선반(7)에 접속되어 있다.
보냉고(1)의 앞면에 설치된 도어(6)를 열면, 도시하지 않은 안전스위치(13)(도 2 참조)가 오프되어, 고전압 발생장치(3)의 출력이 차단되도록 되어 있다.
도 2는 고전압 발생장치(3)의 회로 구성을 나타낸 회로도이다. 전압조정트랜스(15)의 1차측에는 AC 100V가 공급된다. 부호 (11)은 전원램프, 부호 (19)는 작동상태를 나타낸 램프이다. 전술한 도어(6)가 닫혀 있고 안전스위치(13)가 온상태에서는 릴레이(14)가 작동하고 있으며, 이 상태가 릴레이동작램프(12)에 의해 표시되고 있다, 릴레이의 동작에 의해 릴레이 접점(14a,14b,14c)이 닫히고, AC 100V 전원이 전압조정트랜스(15)의 1차측에 인가된다.
인가전압은 전압조정트랜스(15)의 2차측의 조정노브(15a)에 의해 조정되고, 조정된 전압치는 전압계에 표시된다. 조정노브(15a)는 전압조정트랜스(15)의 2차측 승압트랜스(17)의 1차측에 접속되고, 이 승압트랜스(17)에서는, 예를 들면 1 : 50의 비율로 승압되어, 예를 들면 60V의 전압이 가해지면 3000V로 승압된다.
승압트랜스(17)의 2차측 출력의 일단(O1)은 고압 케이블(4)을 통해 보냉고로부터 절연되어 있는 금속선반(7)에 접속되고, 출력의 타단(O2)는 어스된다. 또, 외벽(5)은 어스되므로, 보냉고(1)의 사용자가 보냉고의 외벽에 접촉해도 감전되는 것이 아니다. 또, 금속선반(7)은 도 1에서는 고내에서 노출되어 있으면,금속선반(7)은 고내에서 절연상태로 유지될 필요가 있으므로, 고내 벽으로부터 이간시킬 필요가 있다(공기가 절연작용을 함). 또, 금속선반(7)으로부터 대상물(8)이 돌출하여 고내 벽에 접하면 전류가 고벽을 통해 그라운드로 흐르므로, 상기 절연판(2a)을 내 벽에 붙이면 인가되는 전압의 드롭이 방지된다. 그리고, 상기 금속선반(7)을 고내에서 노출시키지 않고 염화 비닐재 등으로 피복해도 고내 전체가 전장 분위기로 된다.
이러한 종래 기술의 경우, 냉각 수납되는 수납물에 전기장 또는 자기장을 인가하여, 수납물이 과냉각 상태에 진입하도록 하기 때문에, 수납물의 과냉각 상태에서의 보관을 위해, 전기장 또는 자기장을 생성하기 위한 복잡한 장치가 구비되어야 하며, 이러한 전기장 또는 자기장의 생성을 위한 높은 전력소비가 요구된다. 또한, 이러한, 전기장 또는 자기장을 생성하는 장치는 고전력으로 인하여, 전기장 또는 자기장의 생성시, 차단시에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장치(예를 들면, 전기장 또는 자기장 차폐구조, 차단 장치 등)가 추가적으로 구비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기존의 냉각 장치인 냉장고의 구조를 크게 변경하지 않고도 액체가 들어있는 병을 수납하여, 병 내의 액체를 과냉각 상태로 저장할 수 있는 과냉각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과냉각 장치의 일부분이 틸팅되는 과냉각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무선 전력 수신부를 구비하는 과냉각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병이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며, 일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케이싱; 케이싱의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케이싱이 수용되는 고정부; 및 고정부 및 케이싱 중 어느 한 곳에 설치되는 히터;를 포함하여, 냉각 공간에 위치하여, 케이싱에 수용되는 병에 담긴 액체를 과냉각 상태로 저장할 수 있는 과냉각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태양으로서, 케이싱은, 고정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부, 회전부에 결합되는 수용부, 수용부의 상측에 위치하며 상하 이동가능한 상부 캡, 상부 캡과 수용부를 탄성적으로 연결하는 신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냉각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태양으로서, 신축부는, 천연고무, 합성고무, 합성 수지와 같이 유연한 소재로 제조되는 원통막, 원통막의 상,하부에 원통막이 고정되며 원통형상을 유지시키는 링 및 링에 양단이 고정되어 신축될 수 있는 스프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냉각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태양으로서, 상, 하부 링은 각각 상부 캡 및 수용부와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냉각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태양으로서, 케이싱의 상부에는, 병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냉각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태양으로서, 고정부는, 삽입홀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돌출된 고정 돌기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냉각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태양으로서, 고정부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히터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냉각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태양으로서, 고정부는, 무선 전력 수신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냉각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태양으로서, 케이싱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히터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냉각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태양으로서, 케이싱은, 무선 전력 수신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냉각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태양으로서, 고정부는, 냉각 공간으로부터 착탈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냉각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태양으로서, 케이싱은, 단열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냉각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태양으로서, 고정부는, 케이싱의 회전 각도를 제한할 수 있는 경사면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냉각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태양으로서, 냉기가 제공되는 냉각 공간; 냉각 공간을 개폐하는 도어; 도어를 개방하지 않고 도어의 일부만을 개폐할 수 있는 홈바; 및 병이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며, 일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케이싱, 케이싱의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케이싱이 수용되는 고정부 및 고정부 및 케이싱 중 어느 한 곳에 설치되는 히터를 포함하며, 홈바 내에 위치하는 과냉각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태양으로서, 과냉각 장치의 케이싱은, 고정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부, 회전부에 결합되는 수용부, 수용부의 상측에 위치하며 상하 이동가능한 상부 캡, 상부 캡과 수용부를 탄성적으로 연결하는 신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태양으로서, 냉장고는 무선 전력 송신부를 구비하고, 과냉각 장치는 무선 전력 수신부를 구비하여, 과냉각 장치가 무선으로 전력을 전송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과냉각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는 기존의 냉각 장치인 냉장고의 구조를 크게 변경하지 않고도 액체가 들어있는 병을 수납하여, 병 내의 액체를 과냉각 상태로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과냉각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는 과냉각 장치의 일부분이 쉽게 틸팅되어 사용자가 수납된 병을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과냉각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는 무선 전력 수신부를 구비하여 냉각 공간으로부터 쉽게 착탈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과냉각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과냉각 장치는 크게 병이 수납되는 케이싱(100)과 케이싱(100)의 하단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고정부(200)를 포함한다. 케이싱(100)은 고정부(200)와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회전부(110), 회전부(110)에 결합되는 수용부(120), 수용부(120)의 상측에 위치하며 상하 이동가능한 상부 캡(130), 상부 캡(130)과 수용부(120)를 탄성적으로 연결하는 신축부(140)를 포함한다. 회전부(110)는 회전축(113)을 포함하며, 회전부(110)의 회전축은 고정부(200)에 형성된 회전축(203)과 회전가능한 형태로 결합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과냉각 장치가 구비하는 고정부의 절단 사시도이다. 고정부(200)는 케이싱(100)이 수용될 수 있도록, 상면, 하면 및 상면과 하면을 연결하는 벽면을 구비한다. 또한 케이싱(100)이 전방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고정부(200)의 전면에는 벽면이 형성되지 않는다. 벽면에는 무선 전력 수신부(250)가 구비되고, 병에 저장된 액체가 동결되지 않도록 가열하는 히터(210)가 구비될 수도 있다. 히터(210)는 벽면과 상면에 각각 구비될 수도 있고, 벽면 또는 상면 중 어느 한 곳어 설치될 수도 있다. 고정부(200)의 벽면에 히터(210)가 설치 되는 경우, 수용부(120) 내에는 금속으로 이루어진 전도체가 수용부(120) 내에 전체적으로 형성되어 히터(210)의 열을 수용부(120) 내에 수납된 병으로 골고루 전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면에는 케이싱(100)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 돌기(220)가 형성된다. 상면에서 하방으로 약간 돌출한 형태로, 후술할 케이싱(100)의 삽입홀(132) 내로 삽입되어, 케이싱(100)을 고정하고, 케이싱(100) 내의 공간을 밀봉할 수 있다. 고정부(200)의 하면에는 케이싱(100)의 회전축(113)과 결합할 수 있는 회전축(203)이 형성된다. 또한 회전축(203)의 전방에는 소정의 경사각을 가지는 경사면(205)이 형성된다. 경사면(205)은 케이싱(100)이 고정부(200)의 전방으로 회전될 때, 회전 각도가 경사면(205)의 경사각으로 제한되도록 한다. 따라서 케이싱(100)이 고정부(200)로 삽입될 때 뿐만 아니라, 고정부(200)로부터 인출될 때도 소정각도에서 회전이 멈추어 병을 쉽게 케이싱(100) 내로 수납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과냉각 장치가 구비하는 케이싱의 회전부 및 수용부의 절단 사시도이다. 회전부(110)는 고정부(200)의 회전축(203)과 결합하는 회전축(113)이 형성된다. 회전부(110) 내부에는 수용부(120)가 결합된다. 수용부(120)는 병의 하부가 수용되며, 히터(122) 또는 전도체가 설치될 수 있다. 히터(122) 또는 전도체는 수용부(120)와 회전부(110) 사이에 설치되며, 수용부(120)의 하부를 완전히 감쌀 수 있도록 설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고정부(200)에 히터가 설치된 경우, 수용부(120)에는 전도체만 설치되어도 무방하고, 고정부(200)에 히터가 설치되지 않은 경우, 수용부(120)에는 히터(122)가 설치된다. 수용부(120)에 히터가 설치되는 경우, 수용부(120)에 무선 전력 수신부를 설치하여, 과냉각 장치가 위치하는 냉각 장치(냉장고)로부터 전력을 무선으로 전송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고정부(200)가 무선 전력 수신부를 구비하는 경우 고정부(200)의 전원과 수용부(120)의 히터를 전선으로 연결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과냉각 장치가 구비하는 케이싱의 상부 캡의 절단 사시도이다. 상부 캡(130)은 수용부(120)와 결합되며, 수용부(120)의 높이 방향으로 상, 하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를 통해 케이싱(100)이 고정부(200)에 수용될 때, 케이싱(100)의 높이가 고정부(200)의 높이에 맞게 조절될 수 있다. 상부 캡(130)에는 병을 삽입할 수 있도록 삽입홀(132)이 형성된다. 또한 병의 상부에는 병 내에 담긴 액체와 병 내의 공기층이 이루는 계면에 해당하는 부분이 급속하게 차가워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단열재(134)가 삽입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과냉각 장치가 구비하는 케이싱의 신축부이다. 신축부(140)는 각각, 수용부(120) 및 상부 캡(130)에 결합되는 상, 하부 링(142), 탄성을 가지거나 유연하게 접힐 수 있는 원통막(144) 및 상, 하부 링(142)에 각각 일단이 연결되고, 신축 가능하여 상 하부 링(142)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스프링(146)을 포함한다. 이러한 신축부(140)를 통해, 상부 캡(130)을 눌러 케이싱(10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상부 캡(130)을 누르면, 스프링(146)이 수축되고, 케이싱(100)이 고정부(200)로 삽입되면, 스프링(146)의 복원력이 상부 캡(130)을 밀어 고정부(200)와 케이싱(100) 사이의 틈이 밀봉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과냉각 장치에 병을 수납하 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케이싱(100)이 회전축(113, 203)을 기준으로 회전하며 전방으로 인출될 때, 고정부(200)가 구비하는 경사면(205)에 의해 회전 각도가 제한되며 케이싱(100)의 위치가 고정된다. 사용자는 케이싱(100) 상부의 삽입홀(132)을 통해 병을 삽입하고, 상부 캡(130)을 하방으로 누른채로 고정부(200) 내로 회전시켜 삽입한다. 고정부(200) 내로 삽입한 후, 상부 캡(130)을 누르는 힘을 제거하면, 스프링(146)의 복원력에 의해 상부 캡(130)이 다시 상부로 이동하며, 스프링(146)이 상부로 밀어주는 힘 때문에 고정부(200)의 상면과 상부 캡(130) 사이가 밀봉된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과냉각 장치를 포함하는 냉장고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본체 내부에 냉각 공간에 형성되고, 냉각 공간을 개폐하는 도어(300)와 도어에 구비되는 홈바(400)를 포함한다. 홈바(400)는 도어(300)에 형성되는 냉각 공간의 일부를 차지하는 홈바 공간(410)과 홈바 도어(420)를 포함한다. 홈바(400) 내에는 액체를 저장하는 병을 쉽게 수납하고 인출할 수 있으며, 케이싱(100) 및 고정부(200)를 구비하는 과냉각 장치가 설치된다. 홈바(400) 내에 과냉각 장치가 설치되는 경우, 케이싱(100) 내에 과냉각수를 저장하는 병을 용이하게 인출하여, 과냉각수를 흔드는 등의 소정의 물리적 자극을 가하여 과냉각수를 슬러시 형태로 만들어 이용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해동 및 선도유지장치의 실시의 형태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고전압 발생장치의 회로 구성을 나타낸 회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과냉각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과냉각 장치가 구비하는 고정부의 절단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과냉각 장치가 구비하는 케이싱의 회전부 및 수용부의 절단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과냉각 장치가 구비하는 케이싱의 상부 캡의 절단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과냉각 장치가 구비하는 케이싱의 신축부;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과냉각 장치에 병을 수납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과냉각 장치를 포함하는 냉장고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

Claims (16)

  1. 병이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며, 일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케이싱;
    케이싱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케이싱이 수용되는 고정부; 및
    고정부 및 케이싱 중 어느 한 곳에 설치되는 히터;를 포함하는 과냉각 장치로,
    케이싱은 고정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부, 회전부에 결합되는 수용부, 수용부의 상측에 위치하며 상하 이동가능한 상부 캡으로 구성되고, 과냉각 장치는 냉각 공간에 위치하여, 케이싱에 수용되는 병에 담긴 액체를 과냉각 상태로 저장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냉각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케이싱은, 상부 캡과 수용부를 탄성적으로 연결하는 신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냉각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신축부는, 원통막, 원통막의 상,하부에 원통막이 고정되며 원통형상을 유지시키는 링 및 링에 양단이 고정되어 신축될 수 있는 스프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냉각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 하부 링은 각각 상부 캡 및 수용부와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냉각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부 캡에는, 병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냉각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고정부는, 삽입홀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돌출된 고정 돌기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냉각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고정부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히터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냉각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고정부는, 무선 전력 수신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냉각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케이싱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히터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냉각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케이싱은, 무선 전력 수신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냉각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고정부는, 냉각 공간으로부터 착탈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냉각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케이싱은, 단열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냉각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고정부는, 케이싱의 회전 각도를 제한할 수 있는 경사면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냉각 장치.
  14. 냉기가 제공되는 냉각 공간;
    냉각 공간을 개폐하는 도어;
    도어를 개방하지 않고 도어의 일부만을 개폐할 수 있는 홈바; 및
    병이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며, 일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케이싱, 케이싱의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케이싱이 수용되는 고정부 및 고정부 및 케이싱 중 어느 한 곳에 설치되는 히터를 포함하며, 홈바 내에 위치하는 과냉각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5. 제14항에 있어서,
    과냉각 장치의 케이싱은, 고정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부, 회전부에 결합되는 수용부, 수용부의 상측에 위치하며 상하 이동가능한 상부 캡, 상부 캡과 수용부를 탄성적으로 연결하는 신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6. 제14항에 있어서,
    냉장고는 무선 전력 송신부를 구비하고, 과냉각 장치는 무선 전력 수신부를 구비하여, 과냉각 장치가 무선으로 전력을 전송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KR1020080081573A 2008-08-20 2008-08-20 과냉각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냉장고 KR1009818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1573A KR100981858B1 (ko) 2008-08-20 2008-08-20 과냉각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1573A KR100981858B1 (ko) 2008-08-20 2008-08-20 과냉각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2861A KR20100022861A (ko) 2010-03-03
KR100981858B1 true KR100981858B1 (ko) 2010-09-13

Family

ID=421752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1573A KR100981858B1 (ko) 2008-08-20 2008-08-20 과냉각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185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2345Y1 (ko) * 1990-07-21 1995-03-31 대우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도아포켓
KR960034941A (ko) * 1995-03-21 1996-10-24 구자홍 과냉각수 제조장치
KR100755143B1 (ko) * 2006-06-02 2007-09-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품 저장상태 감지용 센서에 무선으로 에너지를 공급하는냉장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2345Y1 (ko) * 1990-07-21 1995-03-31 대우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도아포켓
KR960034941A (ko) * 1995-03-21 1996-10-24 구자홍 과냉각수 제조장치
KR100755143B1 (ko) * 2006-06-02 2007-09-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품 저장상태 감지용 센서에 무선으로 에너지를 공급하는냉장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2861A (ko) 2010-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9879B1 (ko) 슬러시 제조 용기, 슬러시 제조 장치 및 이들을 포함하는냉각 장치
US8572990B2 (en) Supercooling apparatus
WO2010079944A2 (ko) 슬러시 제조 장치
US8616008B2 (en) Non-freezing refrigerator
KR100981858B1 (ko) 과냉각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냉장고
US20110214448A1 (en) Non-freezing storage unit
KR101040804B1 (ko) 슬러시 제조 장치
KR101023355B1 (ko) 슬러시 제조 장치
KR100951525B1 (ko) 과냉각 시스템
KR101127183B1 (ko) 무동결 보관고
KR100911268B1 (ko) 과냉각 장치
KR101120317B1 (ko) 슬러시 제조 장치
KR20100022860A (ko) 무동결 보관고, 과냉각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023357B1 (ko) 슬러시 제조 용기, 슬러시 제조 장치 및 이들을 포함하는냉각 장치
KR101101817B1 (ko) 냉장고
KR100872236B1 (ko) 과냉각 장치
KR20100082261A (ko) 과냉각 시스템
KR100901898B1 (ko) 과냉각 장치
KR100857328B1 (ko) 무동결 보관고
WO2009038423A2 (en) Apparatus for supercooling
KR20090028361A (ko) 과냉각 장치
KR20100082260A (ko) 무동결 보관고
KR100961794B1 (ko) 과냉각 장치
WO2010044498A2 (en) Apparatus for supercooling
KR20100082257A (ko) 과냉각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4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