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85161A - 사용자 모드 최적화 및 제어를 위해 사용자-선택 가능한 프로그램 가능 하우징 스킨 센서를 위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사용자 모드 최적화 및 제어를 위해 사용자-선택 가능한 프로그램 가능 하우징 스킨 센서를 위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85161A
KR20100085161A KR1020107012361A KR20107012361A KR20100085161A KR 20100085161 A KR20100085161 A KR 20100085161A KR 1020107012361 A KR1020107012361 A KR 1020107012361A KR 20107012361 A KR20107012361 A KR 20107012361A KR 20100085161 A KR20100085161 A KR 201000851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sensors
interaction
data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123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28646B1 (ko
Inventor
라치드 알라메흐
토마스 이. 기트진거
Original Assignee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000851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51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86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86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5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local events, e.g. events related to user activity
    • H04W52/0254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local events, e.g. events related to user activity detecting a user operation or a tactile contact or a motion of the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3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38
    • G06F2203/0381Multimodal input, i.e. interface arrangements enabling the user to issue commands by simultaneous use of input devices of different nature, e.g. voice plus gesture on digitiz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실시예는 일반적으로 장치를 동작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방법은 복수개 센서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데, 각각의 센서는 사용자에 의한 장치와의 상호 작용과 연관된 데이터 값을 감지하고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복수개 센서 중 센서의 서브세트는 장치의 하우징에서의 개개 면과 연관된다. 또한, 본 방법은 복수개 센서를 동작시켜 사용자에 의한 장치와의 상호 작용을 검출하는 단계 및 복수개 센서로부터 상호 작용과 연관된 센서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방법은 상호 작용과 연관된 센서 데이터에 기초해 장치의 사용자 모드를 판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Description

사용자 모드 최적화 및 제어를 위해 사용자-선택 가능한 프로그램 가능 하우징 스킨 센서를 위한 방법 및 장치{METHODS AND APPARATUS FOR USER-SELECTABLE PROGRAMMABLE HOUSING SKIN SENSORS FOR USER MODE OPTIMIZATION AND CONTROL}
본 발명은 모바일 장치에서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하는 것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구체적으로는, 사용자 모드 최적화 및 제어를 위해 모바일 장치상의 사용자 선택 가능한 프로그램 가능 하우징 스킨 센서를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휴대 전화, 호출기, 휴대용 게임, 원격 제어 등과 같은, 모바일 통신 장치 및 핸드헬드 휴대용 장치는 끊임없이 활동 중인 사용자에게 통신 및 다른 기능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휴대 전화를 가진 사용자는, 걷는 것과 같은, 다른 활동을 하는 동안에 전화를 걸 수 있다.
사용자마다 휴대 전화를 약간씩 다르게 쥘 수도 있다. 이는 마이크로폰 및 스피커 성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침으로써, 각각, 사용자 음성의 불량한 검출 및 스피커로부터의 최적화되지 않은 볼륨 출력을 초래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사용자는 휴대 전화를 안테나가 사용자의 머리에서부터 다른 거리에 위치하도록 쥘 수도 있다. 이는 안테나 정합 회로의 준최적 튜닝(sub-optimal tuning)으로 인해 안테나 및 전송 성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다른 활동에 종사하고 있으므로, 사용자가 핸드헬드 휴대용 장치의 적당한 동작 모드를 선택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운전하는 동안 장치를 통화 모드에서 이미지 캡처 모드로 전환하는 것이 일례일 수 있다. 안전 문제는 모든 관심이 운전 활동에 기울여져야 할 것을 요구한다. 더 나아가, 핸드헬드 휴대용 장치의 동작 모드를 전환하는 단계의 일부로서, 기존의 장치는 흔히, 모드 또는 기능(예를 들어, 텍스트 메시징, 카메라, 게임 등)을 선택하기 위해 사용자가 다양한 메뉴를 통해 이동(navigate)할 것을 요구한다.
따라서, 업계에서는 휴대 전화의 기능을 사용자의 사용 습관에 따라 개인화하여 휴대 전화의 성능을 최적화할 수 있는 것이 필요하다. 더 나아가, 휴대 전화가 좀더 효율적인 방식으로 모드를 전환하기 위한 메커니즘을 찾아내는 것이 필요하다.
일 실시예는 일반적으로 장치를 동작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방법은, 각각의 센서가 사용자에 의한 장치와의 상호 작용에 연관된 데이터 값을 감지하고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복수개 센서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복수개 센서 중 센서의 서브세트(subset)는 장치의 하우징에서의 개개 면(respective facing)과 연관된다. 또한, 본 방법은 복수개 센서를 동작시켜 사용자에 의한 장치와의 상호 작용을 검출하는 단계 및 복수개 센서로부터 상호 작용과 연관된 센서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더 나아가, 본 방법은 장치의 상호 작용 및/또는 핸들링과 연관된 센서 데이터에 기초해 장치의 사용자 모드를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는 일반적으로 사용자 경험을 커스터마이징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장치는 컨트롤러 및 컨트롤러를 둘러싸도록 구성된 하우징을 포함한다. 또한, 본 장치는, 각각의 센서가 사용자에 의한 장치와의 상호 작용에 응답하여 데이터 값을 감지하고 그것을 컨트롤러쪽으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복수개 센서를 포함하는데, 복수개 센서 중 적어도 하나의 센서는 하우징의 한 면과 연관된다. 본 장치는 컨트롤러에 결합되며 복수개 사용자 모드를 저장하는 것에 의해 장치를 개인화하도록 구성되는 사용자 개인화 모듈을 더 포함한다. 컨트롤러는 복수개 센서로부터 상호 작용과 연관된 센서 데이터를 수신하고, 복수개 센서로부터 수신되는, 상호 작용과 연관된 센서 데이터에 기초해, 복수개 사용자 모드로부터 선택된 사용자 모드를 판정하도록 구성된다.
또 다른 실시예는 일반적으로 휴대 전화를 개인화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방법은 복수개 센서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데, 각각의 센서는 사용자에 의한 휴대 전화와의 상호 작용과 연관된 데이터 값을 감지하고 전송하도록 구성되고, 복수개 센서 중 센서의 서브세트는 휴대 전화의 하우징에서의 개개 면과 연관된다. 또한, 본 방법은 휴대 전화를 위한 복수개 사용자 모드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데, 각각의 사용자 모드는 복수개 센서로부터의 한 세트의 센서 값과 연관된다. 본 방법은 복수개 센서를 동작시켜 사용자에 의한 휴대 전화와의 현재의 상호 작용을 검출하는 단계 및 현재의 상호 작용과 연관된 복수개 센서로부터의 센서 데이터에 기초해 휴대 전화의 사용자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사용자의 개개 사용 습관에 따라 휴대 전화를 개인화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사용자는 다른 활동에 종사하는 동안 휴대 전화를 좀더 효율적으로 그리고 좀더 안전한 방식으로 사용할 수 있다.
첨부 도면과 관련하여 고려될 때 실시예에 대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관해서 동일한 내용이 좀더 잘 이해될 것이므로, 실시예의 다양한 사양이 좀더 완전하게 이해될 수 있다.
도 1a 내지 도 1c는, 집합적으로,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화의 하우징에서의 스킨 센서 분포를 도시하는 도면.
도 2a 내지 도 2d는, 집합적으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 센서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화의 블록도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러 및 센서 네트워크의 블록도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컨트롤러에 의해 실행되는 예시적 흐름도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또 하나의 예시적 흐름도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또 다른 예시적 흐름도를 도시하는 도면.
단순화 및 예시적 목적을 위해, 본 발명의 원리는 주로 그것에 관한 예시적 실시예를 참조하는 것에 의해 설명된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동일한 원리가 모든 유형의 모바일 통신 장치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모든 유형의 모바일 통신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는 것과 그러한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다는 것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더 나아가,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에 대한 참조가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실시예에 대한 전기적, 기계적, 논리적, 및 구조적 변화가 이루어질 수도 있다. 따라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이 제한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 및 그것의 등가물에 의해 정의된다.
실시예는 일반적으로 휴대 전화를 개인화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좀더 구체적으로, 컨트롤러는 센서의 네트워크와 결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센서는 휴대 전화의 하우징상에 분산될 수 있다. 각각의 센서에는 하우징의 영역이 할당될 수 있고, 각각의 센서는 용량성, 압력, 도전성, 또는 다른 터치 감응 센서로서 구현될 수 있다.
컨트롤러는 휴대 전화를 사용자에 따라 개인화하거나 프로그램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개인화 모듈(personalization module)을 실행할 수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개인화 모듈은 사용자가 캘리브레이션(또는 구성, 프로그램 등) 모드에서 에뮬레이트하기 위한 휴대 전화의 모드, 예를 들어, 말하기(talking)에 대한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된 이미지를 에뮬레이트함에 따라, 개인화 모듈은 컨트롤러를 통해 센서의 네트워크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하여 소정 시간량 동안의 한 세트의 데이터를 센서 프로파일로서 획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수신된 센서 프로파일은 모드와 연관되고 저장된다. 그후, 사용자가 휴대 전화를 조작함에 따라, 휴대 전화는 저장된 센서 프로파일을 현재의 센서 프로파일과 비교하는 것에 의해 사용 모드를 판정할 수 있다.
또한, 개인화 모듈은 (사용) 모드와 연관된 구성 데이터를 업데이트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최종적으로는 프로그래밍 모드, 즉, 촉각 상호 작용 동안에 데이터 수집에 의해 캡처된 초기 위치로부터 벗어날 수도 있다. 따라서, 개인화 모듈은 선택된 모드 동안 센서의 네트워크로부터의 데이터를 현재의 센서 프로파일로서 주기적으로 수집하고 사용 데이터를 연관된 구성 데이터, 즉, 저장된 센서 프로파일과 비교할 수 있다. 현재의 센서 프로파일과 저장된 센서 프로파일 사이의 차이가 소정 임계치를 초과하면, 개인화 모듈은 선택된 모드에 대한 프로그래밍 모드를 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 개인화 모듈은 저장된 센서 프로파일을 현재의 센서 프로파일로써 업데이트할 수 있다.
도 1a 내지 도 1c는 집합적으로 휴대 전화 하우징상의 예시적 센서 분포를 나타낸다. 표시된 실시예에 대해, 당업자라면, 센서의 수 및 센서의 배치는 청구된 발명의 범위 및 외연을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을 분명히 알 수 있어야 한다. 더 나아가, 도 1a 내지 도 1c는 일부 공통 사양을 공유한다. 따라서, 후자 도면에서의 공통 사양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고 첫번째 도면에 관한 이들 사양의 설명에 의존하여 공통 사양에 대한 적당한 설명이 제공될 것이다.
도 1a는 휴대 전화(100)의 정면도를 나타내고, 도 1b는 휴대 전화(100)의 후면도를 묘사한다. 휴대 전화(100)는 외부 디스플레이(105) 및 하우징(110)을 포함한다. 하우징(110)은 "클램쉘(clamshell)" 구성일 수 있다. 하우징(110)의 다른 실시예는 "캔디바(candy-bar)", 슬라이더 구성, 또는 다른 휴대 전화 하우징일 수 있다. 하우징(110)은 센서 영역(115)으로 분할될 수 있다. 각각의 센서 영역(115)은 단일 센서 또는 여러 센서(예를 들어, 촉각, 거리, 자이로스코프(gyroscope), 가속도 센서(accelerometer) 등)에 의해 서비스될 수 있다.
도 1c는 측면 센서 영역(120)을 갖춘 휴대 전화(100)의 측면도를 나타낸다. 일부 실시예에서, 측면 센서 영역(120)은 하우징(110)의 상단 및 하단으로부터의 개개 센서 영역(115)의 일부일 수 있다.
도 1d는 휴대 전화(100)의 도면을 열린 구성으로 나타낸다. 도 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센서 영역(125)은 스피커(130), 내부 디스플레이(135), 키패드(140), 및 마이크로폰(145) 주변에 배치될 수 있다. 특정 표면과 연관된 센서가 크기 및 형태에서 상당히 균일한 것으로 예시되고 있지만, 당업자라면, 개별 센서의 크기, 형태, 및 집중 상태는, 본 발명의 가르침을 벗어나지 않으면서, 핸드헬드 장치의 특정 하우징 표면의 상이한 영역과 관련하여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하우징과 상호 작용할 가능성이 좀더 높은 영역 가까이에서, 개별 센서의 밀도 증가 및 대응되는 센서 수의 증가가 존재할 수도 있다.
각각의 센서 영역(115, 120, 및 125)을 서비스 중인 (도 1a 내지 도 1d에 도시되지 않은) 센서(들)는 센서 증착물(sensor deposits)로서 구현될 수 있다. 센서는 하우징 제조 단계 동안 탄소 페인트로서 증착될 수 있고, 그 다음에 (만일 외부 스킨 증착물이 발생한다면) 하우징 재료의 안쪽에 배치된 내부 감지 증착물까지 가로질러(over to) 도료된다. 센서 증착물은 구리, 탄소, 또는 일정 수준의 도전성을 갖춘 다른 재료와 같은 재료로부터 준비될 수 있다.
외부 표면에 도전성 재료를 도포하는 다른 방법은 플렉스 회로, 도전성 페인트, 도전성 라벨(conductive label), 도금, 진공 금속화, 플라즈마 코팅, IMD(in mold decoration)(도전성 잉크), 필름 삽입 몰딩(도전성 잉크), 금속 삽입(예를 들어, 글랍 라벨(glob label) 또는 장식성 금속 베젤), 도전성 플라스틱 몰딩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센서 증착물은 센서를 컨트롤러와 접속하는 센서 네트워크의 하드웨어 접촉과 접촉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컨트롤러는 다수의 집적된 전기 스위치로써 구성될 수 있고, 이는 감지 하드웨어를 구동한다. 스위치는 휴대 전화의 프로세서에 의해 제어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재-프로그램될 수 있다. 센서 증착물과 센서 네트워크 사이의 전기 인터페이스의 일례가 도 2a 내지 도 2d에 표시된다.
도 2a는 외부 도전성 재료(205A)와 내부 도전성 재료(210A) 사이의 용량성 상호 접속(200A)을 나타낸다. 외부 도전성 재료(205A)는 내부 도전성 재료(210A)상에 증착될 수 있고, 이는 (표시되지 않은) 외부 센서 플레이트에 결합된다.
도 2b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삽입 몰딩된 접촉 구성(insert molded contact configuration;200B)을 묘사한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200B)은 플라스틱(210B)쪽으로 삽입 몰딩될 수 있는 금속 클립(205B)을 가진다. 플라스틱(210B)은 하우징(110)의 외부 표면과 같은 높이일 수 있다. 인몰드/필름 장식(in mold/film decoration;215B)은 장식/보호 오버코트(220B)와 함께 도전성 표면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몰드/필름 장식(215)은 도전성 페인트로써 도료될 수 있다.
도 2c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 접촉 구성(200C)을 예시한다. 도 2c에 표시된 바와 같이, 구성(200C)은 장식층(210C) 위쪽에 그리고 휴대 전화의 하우징 아래쪽에 증착된 보호 표면(205C)을 구비할 수 있다. 장식층(210C)은 하우징(110)의 월(220C)과 접촉하는 도전성 센서 재료(215C)와 인접할 수 있다. 그 다음, 월(220C)은 휴대 전화의 내부와 이웃하게 배치될 수 있다.
장식층(210C)은 도전성 센서 재료(215C)를 노출시키는 빈 영역을 가질 수 있다. 그 다음으로는, 스프링 클립이 외부 접촉 구역을 전화기의 내부 부분과 접속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구성(200C)은 하우징(110)에 개구부를 요구할 수 있다.
도 2d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축성/도전성 라벨 접촉 구성(flex/conductive label contact configuration;200D)을 나타낸다. 도 2d에 표시된 바와 같이, 구성(200D)은 하우징 월(215D)내에 임베디드된 신축성 회로(210D)상에 증착된 장식 오버레이층(205D)을 구비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신축성 회로(210D)의 꼬리 부분은 접촉을 위해 하우징 개구부를 통해 내부 전자 장치에 결합될 수 있다. 압력 접촉(220D)이 용량성 터치 센서 회로(225D)에 결합될 수 있다. 사용자가 하우징 월의 외부를 누르거나 감싸 쥠에 따라, 하우징 월은 신축성 회로(210D)와 접촉하여 신축성 회로(210D), 압력 접촉(220D), 및 용량성 터치 센서 회로(225D)의 회로를 완성할 수 있다.
도 3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화(100)의 블록도(300)를 도시한다. 당업자라면, 도 3에 묘사된 블록도가 일반화된 개략적 실례를 표현한다는 것과 다른 컴포넌트가 추가될 수 있거나 기존 컴포넌트가 제거되거나, 조합되거나, 변경될 수도 있다는 것을 쉽게 알 수 있어야 한다.
도 3에 표시된 바와 같이, 휴대 전화(100)는 컨트롤러(310), 입/출력(I/O) 회로(320), 전송기 회로(330), 수신기 회로(340), 및 버스(350)를 포함할 수 있다. 동작시에, 버스(350)는 휴대 전화(100)의 다양한 회로 및 컴포넌트가 서로 통신할 수 있게 한다. I/O 회로(320)는 외부 디스플레이(105), 스피커(130), 디스플레이(135), 키패드(140), 및 마이크로폰(145)와 같은 I/O 장치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전송기 회로(330)는 다른 모바일 통신 장치, 기지국 등으로의 통신 신호 전송을 제공한다. 수신기 회로(340)는 다른 휴대 전화, 기지국 등으로부터의 통신 신호 수신을 제공한다. 컨트롤러(310)는 휴대 전화(100)의 동작을 제어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컨트롤러(310)는 도 4에 표시된 바와 같은 센서 네트워크와 인터페이스될 수 있다. 도 4에 표시된 바와 같이, 컨트롤러(310)는 스위치(410)를 통해 센서 네트워크(405)에 결합될 수 있다. 센서 네트워크(405)는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은 스킨 센서로써 구현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스킨 센서가 휴대 전화(100) 하우징(110)상의 센서 영역(도 1a 내지 도 1d, 영역 110,115, 120, 및 125 참고)에 구현될 수 있다. 스위치(410)는 센서 네트워크(405)로부터의 데이터를 처리를 위해 컨트롤러(310)쪽으로 유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컨트롤러(310)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인화 모듈(500)의 예시적 블록도를 묘사하는 도 5에 표시된 바와 같은 개인화 모듈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당업자라면, 도 5에 묘사된 블록도(500)가 일반화된 개략적 실례를 표현한다는 것과 다른 컴포넌트가 추가될 수 있거나 기존 컴포넌트가 제거되거나 변경될 수도 있다는 것을 쉽게 알 수 있어야 한다.
도 5에 표시된 바와 같이, 개인화 모듈(500)은 관리자 모듈(505), 센서 모듈(510), 모드 라이브러리 모듈(515), 및 센서 프로파일 모듈(520)을 구비할 수 있다. 관리자 모듈(505)은, 앞서 설명되었으며 다음에서 좀더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은 개인화 모듈(500)의 기능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관리자 모듈(505)은 센서 모듈(510)에 결합될 수 있다. 센서 모듈(510)은 스위치(410)를 통해 센서 네트워크(405)와 인터페이스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 다음, 센서 모듈(510)은 관리자 모듈(505)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센서 네트워크(405)의 개개 센서(415)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관리자 모듈(505)은 모드 라이브러리 모듈(515)과도 결합될 수 있다. 모드 라이브러리 모듈(515)은 휴대 전화의 개개 모드와 연관된 이미지 또는 아이콘을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미지(525A)는 사용자가 전화기를 쥐고 있는 것을 표현하기 위한 이미지일 수 있고, 이미지(525B)는 사용자가 전화기를 스피커폰 모드로 사용 중인 이미지일 수 있다. 따라서, 관리자 모듈(505)이 캘리브레이션(또는 개인화, 프로그램 등) 모드인 경우, 관리자 모듈(505)은 사용자가 에뮬레이트하기 위한 사용자 모드의 선택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된 이미지를 에뮬레이트함에 따라, 관리자 모듈(505)은 다음에 센서 모듈(510)을 통해 센서 네트워크(405)의 센서(415)로부터 한 세트의 구성/캘리브레이션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그후, 관리자 모듈(505)은 수신된 센서 프로파일을 선택된 모드와 연관지어 센서 프로파일 모듈(520)에 저장할 수 있다. 휴대 전화의 동작 모드 각각을 위해 센서 프로파일을 저장한 결과로서, 사용자는 단순히 사용자가 휴대 전화를 감싸 쥐는 방법을 변경하는 것에 의해 휴대 전화를 상이한 모드로 동작시킬 수 있다.
센서 프로파일 모듈(520)은 예상 모드(anticipation modes)와 같은 사용 모드를 저장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휴대 전화가 집어 올려지고 있다는 것을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휴대 전화가 완전 파워온(full power on)을 개시할 수 있는 것, 디스플레이가 턴온되는 것 등이 예상 모드의 일례일 수 있다. 휴대 전화가 테이블에 놓여지고 있다는 것을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휴대 전화가 링톤(ring tone)을 변경하는 것, 볼륨을 높이는 것, 디스플레이를 턴오프하는 것 등이 예상 모드의 다른 일례일 수 있다. 휴대 전화가 충전기에 연결되는 것을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휴대 전화가 휴지 모드를 인에이블하는 것이 예상 모드의 또 다른 일례일 수 있다.
도 6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리자 모듈(505)에 의해 실행되는 흐름도(600)를 나타낸다. 당업자라면, 도 6에 묘사된 흐름도(600)가 일반화된 개략적 실례를 표현한다는 것과 다른 단계가 추가될 수 있거나 기존 단계가 제거되거나 변경될 수도 있다는 것을 쉽게 알 수 있어야 한다.
도 6에 표시된 바와 같이, 관리자 모듈(505)은, 단계 600에서, 캘리브레이션 모드이도록 구성될 수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는, 사용자가 구성/캘리브레이션 모드에 진입하도록 휴대 전화(100)의 키패드(140)를 조작했을 수도 있다. 관리자 모듈(505)은 휴대 전화의 각 모드를 표현하는 소정 갯수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키패드(140)의 적합한 버튼을 조작하는 것에 의해 이미지를 통해 스크롤할 수 있다. 그 다음, 관리자 모듈(505)은 사용자가 캘리브레이션 또는 프로그램할 모드를 선택할 때까지 대기 상태에 진입할 수 있다.
단계 610에서, 관리자 모듈(505)은 프로그램할 모드의 선택을 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관리자 모듈(505)은 선택된 이미지를 LCD(14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단계 615에서, 관리자 모듈(505)은 소정 양의 시간 동안 센서 네트워크(405)의 센서(415)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관리자 모듈(505)은 센서 네트워크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버퍼링할 수 있다.
단계 620에서, 관리자 모듈(505)은 수집된 데이터를 선택된 모드를 위한 한 세트의 구성 데이터, 즉, 센서 프로파일로서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 다음, 관리자 모듈(505)은 선택된 모드와 링크된 센서 프로파일을 센서 프로파일 모듈(520)에 저장할 수 있다. 그후, 관리자 모듈(505)은 캘리브레이션/프로그래밍 모드를 벗어날 수 있다.
도 7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리자 모듈(505)에 의해 실행되는 흐름도(700)를 나타낸다. 당업자라면, 도 7에 묘사된 흐름도(700)가 일반화된 개략적 실례를 표현한다는 것과 다른 단계가 추가될 수 있거나 기존 단계가 제거되거나 변경될 수도 있다는 것을 쉽게 알 수 있어야 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인화 모듈(500)의 관리자 모듈(505)은, 단계 705에서, 사용자에 의한 촉각 상호 작용을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센서 모듈(510)은 센서(405)의 활성 센서(415)로부터 한 세트의 동작 데이터를 현재의 센서 프로파일로서 수신할 수 있다.
단계 710에서, 관리자 모듈(505)은 센서 모듈(510)로부터의 현재의 센서 프로파일을 처음에 버퍼링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단계 715에서, 관리자 모듈(505)은 센서 프로파일 모듈(520)에 저장되어 있는 수집된 센서 프로파일에 기초해 모드를 판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관리자 모듈(505)은 현재의 센서 프로파일을 저장된 센서 프로파일과 비교할 수 있다.
단계 720에서, 현재의 센서 프로파일과 저장된 센서 프로파일 사이에 정합이 존재하면, 단계 725에서, 관리자 모듈(505)은 휴대 전화를 정합 모드에서 동작시킬 것을 컨트롤러(310)에 통지할 수 있다. 그후, 관리자 모듈(505)은 단계 730에서 모니터링 상태에 진입할 수 있다.
그렇지 않고, 단계 720에서, 정합이 존재하지 않으면, 관리자 모듈(505)은, 단계 735에서, 현재의 센서 프로파일이 저장된 센서 프로파일 중 하나의 소정 임계치 이내에 해당되는지를 판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저장된 센서 프로파일 중 하나가 소정 임계치 이내이면, 관리자 모듈(505)은, 단계 750에서, 정합하는 센서 프로파일을 현재의 센서 프로파일로써 업데이트하도록 구성됨으로써, 더 이상 원래 저장된 상호 작용과 정합하지 않을 수도 있는, 사용자 상호 작용에서의 시간에 걸쳐 미묘하게 이동하는 여러 변화의 집합체를 수용하기 위해, 기존 모드와 연관될 새로운 상호 작용이 반드시 명시적으로 검출되고 저장될 것을 요구하지 않으면서, 특정 모드와 연관되어 앞서 저장된 상호 작용이 시간에 걸쳐 이동 및/또는 변화하게 할 수 있다. 그후, 관리자 모듈(505)은, 단계 755에서, 모니터링 상태에 진입할 수 있다.
단계 735에서, 저장된 센서 프로파일 중 어떤 것도 소정 임계치 이내에 해당되지 않으면, 관리자 모듈(505)은, 단계 740에서, 휴대 전화(100)의 동작 파라미터를 수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 다음, 관리자 모듈(505)은 현재의 센서 프로파일을 새로운 모드로서 휴대 전화(100)의 현재의 동작 파라미터와 연관짓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 다음, 관리자 모듈(505)은 센서 프로파일을 센서 프로파일 모듈(520)에 저장할 수 있다. 그후, 관리자 모듈(505)은 단계 730의 모니터링 상태에 진입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수행될 수도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활성 및 비활성의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 프로그램은 소스 코드, 객체 코드, 실행 가능 코드, 또는 다른 포맷의 프로그램 명령으로 이루어진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 펌웨어 프로그램(들); 또는 HDL(hardware description language) 파일로서 존재할 수 있다. 상기한 것 중 어떤 것도 저장 장치 및, 압축 또는 비압축 형태의, 신호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로 구체화될 수 있다. 예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장치로는 기존의 컴퓨터 시스템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only memory), EPROM (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및 자기 또는 광학 디스크 또는 테이프를 들 수 있다. 예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신호로는, 캐리어를 사용해 변조되는지의 여부와 상관없이, 인터넷 또는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다운로드되는 신호를 포함하여, 본 발명을 호스팅하거나 실행하는 컴퓨터 시스템이 액세스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신호를 들 수 있다. 상기한 것의 구체적 실례는 컴퓨터 프로그램 중 실행 가능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의 CD-ROM에 의한 또는 인터넷 다운로드를 통한 분산을 포함한다. 어떤 의미에서, 인터넷 자체는, 추상적 실체로서,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이다. 일반적으로 컴퓨터 네트워크도 마찬가지이다.
본 발명이 그것에 관한 예시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당업자라면, 해당되는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설명된 실시예에 대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용어 및 설명은 단지 예시로써 기술될 뿐이며 제한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특히, 방법이 실례로써 설명되었지만, 방법의 단계는 예시된 것과 다른 순서로 또는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다. 당업자라면, 다음의 청구항 및 그것의 등가물에서 정의되는 정신 및 범위내에서 이들 및 다른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Claims (20)

  1. 장치를 동작시키는 방법으로서,
    복수개 센서를 제공하는 단계 - 각각의 센서는 사용자에 의한, 상기 장치와의 상호 작용과 연관된 데이터 값들을 감지하고 전송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복수개 센서 중 센서들의 서브세트는 상기 장치의 하우징에서의 개개 면(facing)과 연관됨 -;
    상기 복수개 센서를 동작시켜 상기 사용자에 의한, 상기 장치와의 상기 상호 작용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복수개 센서로부터 상기 상호 작용과 연관된 센서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상호 작용과 연관된 상기 센서 데이터에 기초해 상기 장치의 사용자 모드를 판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장치를 동작시키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의 사용자 모드를 판정하는 단계는 상기 상호 작용과 연관된 상기 센서 데이터를 미리 저장된 센서 데이터와 비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장치를 동작시키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에 의한, 상기 장치와의 제2 상호 작용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복수개 센서로부터 상기 제2 상호 작용과 연관된 센서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상호 작용과 연관된 상기 센서 데이터에 기초해 상기 장치의 제2 사용자 모드를 판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장치를 동작시키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데이터의 변화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변화된 센서 데이터에 기초해 상기 장치의 동작 파라미터를 변경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장치를 동작시키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학습 모드(learning mode)에 진입하는 단계;
    제1 사용자 모드와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트레이닝 이미지(training image)를 제공하는 단계; 및
    사용자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트레이닝 이미지를 구현할 때 소정 양의 시간 동안 상기 복수개 센서로부터의 센서 데이터 값들을 제1 사용자 모드 구성 데이터로서 수집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장치를 동작시키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 모드 구성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장치를 동작시키는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 모드 동안 상기 복수개 센서로부터의 센서 데이터를 동작 데이터로서 수신하는 것을 계속하는 단계; 및
    상기 동작 데이터를 상기 제1 사용자 모드 구성 데이터와 비교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장치를 동작시키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 모드와 연관된 상기 동작 데이터가 상기 제1 사용자 모드 구성 데이터에 대한 소정 편차 임계치를 초과하고 상기 장치가 상기 제1 사용자 모드에 있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트레이닝 이미지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장치를 동작시키는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데이터가 상기 구성 데이터에 대한 소정 편차 임계치를 초과하지 않고 상기 장치가 상기 제1 사용자 모드에 있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사용자 모드 구성 데이터를 상기 동작 데이터를 이용하여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장치를 동작시키는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상기 장치와의 상호 작용에 기초해 상기 사용자를 식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장치를 동작시키는 방법.
  11. 사용자 경험을 커스터마이징(customizing)하는 장치로서,
    컨트롤러;
    상기 컨트롤러를 둘러 싸도록 구성된 하우징;
    복수개 센서 - 각각의 센서는 사용자에 의한, 상기 장치와의 상호 작용에 응답하여 데이터 값들을 감지하고 상기 데이터 값들을 상기 컨트롤러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복수개 센서 중 적어도 하나의 센서는 하우징의 한 면과 연관됨 -; 및
    상기 컨트롤러와 결합되어 복수개 사용자 모드를 저장하는 것에 의해 상기 장치를 개인화(personalize)하도록 구성되는 사용자 개인화 모듈 -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복수개 센서로부터 상기 상호 작용과 연관된 센서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상호 작용과 연관되는, 상기 복수개 센서로부터의 상기 수신된 센서 데이터에 기초해 상기 복수개 사용자 모드로부터 선택된 사용자 모드를 판정하도록 구성됨 -
    을 포함하는, 사용자 경험을 커스터마이징하는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개인화 모듈은 또한, 구성 모드에 진입하고, 상기 복수개 사용자 모드 중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모드와 연관된 소정 그래픽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사용자가 상기 소정 그래픽 이미지를 구현하는 것에 기초해 상기 복수개 센서로부터 한 세트의 구성 데이터를 수집하도록 구성되는, 사용자 경험을 커스터마이징하는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개인화 모듈은 복수개 센서로부터의 한 세트의 동작 데이터를 상기 선택된 사용자 모드로서 수집하고 상기 한 세트의 동작 데이터를 상기 한 세트의 구성 데이터와 비교하도록 구성되는, 사용자 경험을 커스터마이징하는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개인화 모듈은 또한, 상기 사용자 모드와 연관된 상기 한 세트의 동작 데이터가 상기 한 세트의 구성 데이터에 대한 소정 편차 임계치를 초과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구성 모드에 진입하도록 구성되는, 사용자 경험을 커스터마이징하는 장치.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개인화 모듈은 또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모드와 연관된 상기 소정 그래픽 이미지를 구현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구성 데이터를 상기 복수개 센서로부터 수집된 제2 세트의 구성 데이터로 대체하도록 구성되는, 사용자 경험을 커스터마이징하는 장치.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개인화 모듈은, 상기 한 세트의 동작 데이터가 소정 편차 임계치를 초과하지 않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한 세트의 구성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모드와 연관된 상기 한 세트의 동작 데이터를 이용하여 업데이트하도록 구성되는, 사용자 경험을 커스터마이징하는 장치.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개인화 모듈은 또한, 상기 사용자에 의한, 상기 장치와의 제2 상호 작용을 검출하고; 상기 복수개 센서로부터 상기 제2 상호 작용과 연관된 센서 데이터를 수신하며; 상기 제2 상호 작용과 연관된 상기 센서 데이터에 기초해 상기 장치의 제2 사용자 모드를 판정하도록 구성되는, 사용자 경험을 커스터마이징하는 장치.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개인화 모듈은 또한, 상기 사용자에 의한, 상기 장치와의 제2 상호 작용을 검출하고; 상기 복수개 센서로부터 상기 제2 상호 작용과 연관된 센서 데이터를 수신하며; 상기 제2 상호 작용과 연관된 상기 센서 데이터에 기초해 상기 장치의 동작 파라미터를 변경하도록 구성되는, 사용자 경험을 커스터마이징하는 장치.
  19. 휴대 전화를 개인화하는 방법으로서,
    복수개 센서를 제공하는 단계 - 각각의 센서는 사용자에 의한, 상기 휴대 전화와의 상호 작용에 연관된 데이터 값들을 감지하고 전송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복수개 센서 중 센서의 서브세트는 상기 휴대 전화의 하우징에서의 개개 면과 연관됨 -;
    상기 휴대 전화를 위한 복수개 사용자 모드를 저장하는 단계 - 각각의 사용자 모드는 상기 복수개 센서로부터의 한 세트의 센서 값과 연관됨 -;
    상기 복수개 센서를 동작시켜 상기 사용자에 의한, 상기 휴대 전화와의 현재의 상호 작용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현재의 상호 작용과 연관된, 상기 복수개 센서로부터의 상기 센서 데이터에 기초해 상기 휴대 전화의 사용자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휴대 전화를 개인화하는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전화를 위한 구성 모드에 진입하는 단계;
    선택된 사용자 모드와 연관된 그래픽 이미지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그래픽 이미지에 의해 디스플레이되는 바와 같은, 상기 휴대 전화와의 사용자 상호 작용에 응답해 상기 복수개 센서로부터의 센서 데이터 값들을 구성 데이터로서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구성 데이터를 상기 선택된 사용자 모드와 연관짓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휴대 전화를 개인화하는 방법.
KR1020107012361A 2007-11-07 2008-10-27 사용자 모드 최적화 및 제어를 위해 사용자-선택 가능한 프로그램 가능 하우징 스킨 센서를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12286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936,198 2007-11-07
US11/936,198 US8107878B2 (en) 2007-11-07 2007-11-07 Methods and apparatus for user-selectable programmable housing skin sensors for user mode optimization and control
PCT/US2008/081285 WO2009061629A1 (en) 2007-11-07 2008-10-27 Methods and apparatus for user-selectable programmable housing skin sensors for user mode optimization and contro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5161A true KR20100085161A (ko) 2010-07-28
KR101228646B1 KR101228646B1 (ko) 2013-01-31

Family

ID=405886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2361A KR101228646B1 (ko) 2007-11-07 2008-10-27 사용자 모드 최적화 및 제어를 위해 사용자-선택 가능한 프로그램 가능 하우징 스킨 센서를 위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8107878B2 (ko)
EP (1) EP2215733B1 (ko)
KR (1) KR101228646B1 (ko)
CN (1) CN101855837A (ko)
BR (1) BRPI0820442B1 (ko)
MX (1) MX2010005150A (ko)
RU (1) RU2498502C2 (ko)
WO (1) WO200906162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16831B2 (en) * 2007-11-29 2012-02-14 Motorola Mobility, Inc.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 with auxiliary input apparatus, and method
US8913991B2 (en) 2008-08-15 2014-12-16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User identification in cell phones based on skin contact
US20100039214A1 (en) * 2008-08-15 2010-02-18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Cellphone display time-out based on skin contact
US20100042564A1 (en) * 2008-08-15 2010-02-18 Beverly Harrison Techniques for automatically distingusihing between users of a handheld device
US8131322B2 (en) * 2008-09-19 2012-03-06 Apple Inc. Enabling speaker phone mode of a portable voice communications device having a built-in camera
US20100224205A1 (en) * 2008-12-09 2010-09-09 Shekhar Mitra Device and methods for modifying keratinous surfaces
EP2502475B1 (en) * 2009-11-19 2018-07-04 Parker-Hannifin Corporation Conductive plastic overmold on shielded plastic window
KR101771284B1 (ko) * 2010-12-03 2017-08-24 베르-헬라 테르모콘트롤 게엠베하 차량 부품용 제어 장치
US8937735B2 (en) 2011-03-31 2015-01-20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Non-transitory storage medium storing image-forming-data transmitting program,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for transmitting movement and orientation information of mobile terminal
US8630963B2 (en) 2011-07-01 2014-01-14 Intel Corporation Automatic user identification from button presses recorded in a feature vector
US9354698B2 (en) 2012-11-30 2016-05-31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Differential proximity sensing and side detection for an electronic device
US9423418B2 (en) 2013-02-25 2016-08-23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Capacitive sensor
US9091715B2 (en) 2013-02-25 2015-07-28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Wearable device with capacitive sensor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for

Family Cites Families (5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71691A (en) * 1976-08-24 1978-01-31 Peptek, Inc. Human-machine interface apparatus
US4103252A (en) * 1976-11-26 1978-07-25 Xerox Corporation Capacitive touch-activated transducer system including a plurality of oscillators
US4495485A (en) * 1980-12-12 1985-01-22 General Electric Company Touch control arrangement for data entry
DE3340782C2 (de) * 1983-11-11 1985-12-05 Mauser-Werke Oberndorf Gmbh, 7238 Oberndorf Kapazitive Längen- und Winkelmeßeinrichtung
US4740781A (en) * 1985-02-08 1988-04-26 Itt Gilfillan Touch panel data entry device for thin film electroluminescent panels
US5012124A (en) * 1989-07-24 1991-04-30 Hollaway Jerrell P Touch sensitive control panel
US5036321A (en) * 1989-08-31 1991-07-30 Otis Elevator Company Capacitive sensing, solid state touch button system
US5337353A (en) * 1992-04-01 1994-08-09 At&T Bell Laboratories Capacitive proximity sensors
US5543590A (en) * 1992-06-08 1996-08-06 Synaptics, Incorporated Object position detector with edge motion feature
US5861875A (en) * 1992-07-13 1999-01-19 Cirque Corporation Methods and apparatus for data input
US5565658A (en) * 1992-07-13 1996-10-15 Cirque Corporation Capacitance-based proximity with interference rejection apparatus and methods
US5559504A (en) * 1993-01-08 1996-09-24 Kabushiki Kaisha Toshiba Surface shape sensor, identification device using this sensor, and protected system using this device
JPH07168930A (ja) 1993-01-08 1995-07-04 Toshiba Corp 表面形状センサ、並びにそれを用いた個体認証装置および被起動型システム
US5463388A (en) * 1993-01-29 1995-10-31 At&T Ipm Corp. Computer mouse or keyboard input device utilizing capacitive sensors
US5541609A (en) * 1995-03-08 1996-07-30 Virginia Polytechnic Institute And State University Reduced operator emission exposure antennas for safer hand-held radios and cellular telephones
JP3081524B2 (ja) 1995-06-23 2000-08-28 三洋電機株式会社 通信機
JP3253607B2 (ja) 1995-06-23 2002-02-04 三洋電機株式会社 通信機
US5710400A (en) * 1996-02-23 1998-01-20 Eaton Corporation Rotary multiple capacitive switch
US6222528B1 (en) * 1997-03-07 2001-04-24 Cirque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data input
US5923522A (en) * 1997-06-27 1999-07-13 Eaton Corporation Capacitive switch with elastomeric membrane actuator
US7800592B2 (en) * 2005-03-04 2010-09-21 Apple Inc. Hand held electronic device with multiple touch sensing devices
US6297811B1 (en) * 1999-06-02 2001-10-02 Elo Touchsystems, Inc. Projective capacitive touchscreen
SE9902339L (sv) 1999-06-21 2001-02-20 Ericsson Telefon Ab L M Anordning omfattande en kapacitiv närhetsavkännande sensor
KR100353460B1 (ko) * 1999-12-29 2002-09-19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단말기의 전력 제어 방법
JP2001311946A (ja) 2000-02-22 2001-11-0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液晶表示装置
US6546101B1 (en) * 2000-06-02 2003-04-08 Motorola, Inc. Communication device having illuminated audio indicator
JP2002082914A (ja) 2000-09-08 2002-03-22 Nippon Telegraph & Telephone East Corp 本人認証装置及び本人認証方法
GB2367530B (en) * 2000-10-03 2003-07-23 Nokia Mobile Phones Ltd User interface device
US6853850B2 (en) * 2000-12-04 2005-02-08 Mobigence, Inc. Automatic speaker volume and microphone gain control in a portable handheld radiotelephone with proximity sensors
KR20030018523A (ko) 2001-08-30 2003-03-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의 키 패드 감지 장치
JP2005507083A (ja) * 2001-10-24 2005-03-10 プレッシャー・プロファイル・システムズ・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アレイ・センサ電子回路
US6888532B2 (en) * 2001-11-30 2005-05-03 Palmone, Inc. Automatic orientation-based user interface for an ambiguous handheld device
US20040204000A1 (en) * 2002-05-30 2004-10-14 Aaron Dietrich Mobile communication device including an array sensor
US7769353B2 (en) * 2002-05-30 2010-08-03 Motorola, Inc. Mobile communication device including an extended array sensor
RU2339081C2 (ru) * 2002-09-10 2008-11-20 АйВиАй СМАРТ ТЕКНОЛОДЖИЗ, ИНК. Интеллектуальная идентификационная карта
US20090177068A1 (en) * 2002-10-09 2009-07-09 Stivoric John M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derived glucose information utilizing physiological and/or contextual parameters
WO2004081751A2 (en) * 2003-03-12 2004-09-23 Cirque Corporation Method of determining orientation and manner of holding a mobile telephone
US6985113B2 (en) * 2003-04-18 2006-01-10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Radio antenna apparatus provided with controller for controlling SAR and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using the same radio antenna apparatus
US7088220B2 (en) * 2003-06-20 2006-08-08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using biometric sensors for controlling access to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8896725B2 (en) * 2007-06-21 2014-11-25 Fotonation Limited Image capture device with contemporaneous reference image capture mechanism
US20050132047A1 (en) * 2003-07-10 2005-06-16 University Of Florida Research Foundation, Inc. Targeted messaging system and related methods
US7401300B2 (en) 2004-01-09 2008-07-15 Nokia Corporation Adaptive user interface input device
US20050219228A1 (en) * 2004-03-31 2005-10-06 Motorola, Inc. Intuitive user interface and method
KR100608820B1 (ko) * 2004-07-22 2006-08-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의 볼륨 조절 방법
KR20060035833A (ko) 2004-10-20 2006-04-27 주식회사 팬택 플래쉬의 광도 조절을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US20060097992A1 (en) * 2004-10-25 2006-05-11 Motorola, Inc. Apparatus and method of determining a user selection in a user interface
US7478237B2 (en) * 2004-11-08 2009-01-13 Microsoft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of allowing user mode applications with access to file data
KR100608576B1 (ko) * 2004-11-19 2006-08-03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제어 장치 및 방법
US8046030B2 (en) * 2005-07-29 2011-10-25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Methods, device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operating mobile devices responsive to user input through movement thereof
KR20070077528A (ko) 2006-01-24 2007-07-27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단말의 키패드 백 라이트 제어 장치 및 방법
US9049302B2 (en) * 2007-01-07 2015-06-02 Apple Inc. Portable multifunction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anaging communications received while in a locked state
US7821500B2 (en) * 2007-05-11 2010-10-26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Inductive joystic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9061629A1 (en) 2009-05-14
RU2010122984A (ru) 2011-12-20
KR101228646B1 (ko) 2013-01-31
CN101855837A (zh) 2010-10-06
EP2215733A4 (en) 2012-05-02
US8107878B2 (en) 2012-01-31
US20090117951A1 (en) 2009-05-07
MX2010005150A (es) 2010-06-02
BRPI0820442A2 (pt) 2015-05-26
EP2215733A1 (en) 2010-08-11
BRPI0820442B1 (pt) 2020-10-13
EP2215733B1 (en) 2018-04-04
RU2498502C2 (ru) 2013-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8646B1 (ko) 사용자 모드 최적화 및 제어를 위해 사용자-선택 가능한 프로그램 가능 하우징 스킨 센서를 위한 방법 및 장치
EP2171989B1 (en) Dynamic routing of audio among multiple audio devices
EP2637393B1 (en) Automated Response to and Sensing of User Activity in Portable Devices
US8914559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automatic configuration of peripherals
US20090179765A1 (en) Signal adaptation in response to orientation or movement of a mobile electronic device
US8036724B2 (en) Portable data terminal and function selecting and starting method used therein
JP2001111661A (ja) タッチ・センス・スクリーンを備える通信デバイス
US20090256861A1 (en) Device and Method for Managing the Orientation of Information Being Displayed on the Screen of a Device
CN106873834A (zh) 识别按键被触发的方法及装置和移动终端
CN108834206B (zh) 电子装置的控制方法及电子装置
CN104866353B (zh) 显示按钮的方法及装置
JP2021531519A (ja) タッチ信号の処理方法、装置および媒体
CN107272946A (zh) 一种屏幕控制方法和装置
CN105657199A (zh) 建立通话连接的方法、装置及交换设备
CN107168567A (zh) 应用程序处理方法、装置及终端电子设备
CN106793029A (zh) 定位控制方法、装置及终端
CN210927706U (zh) 终端设备
KR20050019174A (ko) 터치스크린 엘씨디를 구비한 단말기의 엘씨디 전원 제어방법 및 그 방법을 채택한 단말기
CN112995398A (zh) 终端设备、控制终端设备的方法及存储介质
CN106293700A (zh) 一种虚拟功能键的设置方法、装置及移动设备
WO2010078877A1 (en) Signal adaptation in response to orientation or movement of a mobile electronic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