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84240A - 교량용 조명장치 - Google Patents

교량용 조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84240A
KR20100084240A KR1020090003606A KR20090003606A KR20100084240A KR 20100084240 A KR20100084240 A KR 20100084240A KR 1020090003606 A KR1020090003606 A KR 1020090003606A KR 20090003606 A KR20090003606 A KR 20090003606A KR 20100084240 A KR20100084240 A KR 201000842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bridge
lighting
fixing frame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36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31325B1 (ko
Inventor
김순호
Original Assignee
(주) 이미지라이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이미지라이트 filed Critical (주) 이미지라이트
Priority to KR10200900036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1325B1/ko
Publication of KR201000842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42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13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13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08Suspending from a cable or suspension li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9/00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 F21S9/02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 F21S9/03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rechargeable by exposure to l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04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using feather joints, e.g. tongues and grooves, with or without fri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2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by screw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transformers, impedances or power supply units, e.g. a transformer with a rectifier
    • F21V23/023Power supplies in a ca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10Outdoor ligh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62/00Illumination
    • Y10S362/80Light emitting dio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량용 조명장치를 개시한다. 상기 교량용 조명장치는 교량에 설치된 포스트의 양측에 와이어를 연결할 때, 상기 와이어에 모듈화된 조명장치를 견고하게 설치한 것이며, 이에따라 교량 전체에 대한 시각적인 조명 효과를 창출하면서, 조명장치의 설치가 간편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은 물론, 유지 보수에 대한 편리함을 얻게 되는 것이다.
교량, 포스트, 와이어, 조명장치, 서스밴드, LED

Description

교량용 조명장치{Illuminating system for bridge}
본 발명은 교량용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교량의 와이어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교량용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은 단순히 강이나 하천을 건너기 위한 수단으로 이용되어 간단하고 단순한 형태의 교량을 설계 시공하였으나, 근래에는 교량의 미학적 가치를 중시하여 교량의 형태를 다양하게 시공하고 있으며, 교량의 주변 또는 교량의 상면에 조형물을 설치하거나, 조명장치를 설치하여 미려한 교량을 시공하고 있다.
특히, 교량에 조형물을 설치함에 있어서는 교량의 총길이에 따라 하나 또는 복수의 포스트를 세우고 그 양측에 대칭 형태의 와이어(스틸 재질)를 연결함으로써, 상기 와이어가 조형물이 설치되는 포스트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종래 교량에 설치되는 조명장치는 포스트나 난간에 설치하는 경우가 대부분이고, 상기의 포스트를 지지하는 와이어에 설치되는 경우는 거의 없다.
이에따라, 종래에는 교량에 대한 야간의 시각적인 조명 효과가 포스트 또는 난간에 국부적으로 집중되면서, 교량 전체에 대한 조명 효과를 얻을 수는 없었다.
이에 간혹, 교량 전체에 대한 조명 효과를 창출하도록 와이어에 조명장치를 설치하는 경우도 있으나, 이는 단순히 램프가 일정간격으로 배열되는 전선을 와이어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늘어뜨리는 경우로, 설치가 어렵고, 고정상태가 견고하지 못해 외부요인(예; 강한 바람)에 의해 흔들리면서 오히려 교량을 바라보는 사람들이 흔들리는 조명으로 인해 눈의 피로를 느끼는 경우가 많았으며, 특히 유지 보수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교량에 설치된 포스트의 양측으로 연결되는 와이어에 일정길이로서 모듈화된 조명장치를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교량용 조명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 교량용 조명장치는, 교량에 설치되는 와이어의 길이방향으로 고정 설치되는 고정부재; 상기 고정부재에 고정 설치되는 조명부재; 를 포함하여 구성하며, 상기 고정부재와 조명부재는 조임부재의 조임압력으로부터 고정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는, 와이어가 끼워지는 제 1 홈부를 외측에 형성하는 제 1 고정프레임; 조명부재가 끼워지는 제 2 홈부를 외측에 형성하는 제 2 고정프레임; 으로 분할 구성하고, 상기 제 1 고정프레임의 양측 끝단부에는 상기 제 2 고정프레임과의 결합 고정이 가능하도록 제 1 걸림부와 제 1 고리부를 형성하며, 상기 제 2 고정프레임의 양측 끝단부에는 상기 제 1 고정프레임과의 결합 고정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 1 걸림부에 대응하는 제 2 고리부, 그리고 상기 제 1 고리부에 대응하는 제 2 걸림부를 형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제 1 고정프레임에는 제 2 고정프레임과의 결합 고정을 위해 끼움홈부를 형성하는 한 쌍의 제 1 결합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제 2 고정프레임에는 상기 제 1 고정프레임과의 결합 고정을 위해 끼움홈부를 형성하면서 상기 제 1 결합돌기와 대응되는 한 쌍의 제 2 결합돌기를 형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제 1 결합돌기와 제 2 결합돌기에는 각각 서로 엇갈리는 끼움홈부로의 삽입시 이탈이 방지되도록 다수의 엠보싱돌기를 형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제 1 고정프레임의 내측으로는 상기 제 1 결합돌기를 경계로 하는 한 쌍의 제 3 홈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 2 고정프레임의 내측으로는 상기 제 3 홈부와 대칭 구조를 이루도록 상기 제 2 결합돌기를 경계로 하는 한 쌍의 제 4 홈부를 형성하며, 상기 제 3,4 홈부의 사이에 한 쌍의 와이어가 위치하여 고정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제 1,2 고정프레임의 일측단은 회전축부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제 1 고정프레임 또는 제 2 고정프레임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제 1,2 고정프레임의 타측단에는 고리와 걸림쇠로 이루어지는 록킹부를 형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제 1 고정프레임의 양측 끝단부에는 상기 제 2 고정프레임과의 슬라이드 결합을 위해 레일홈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 2 고정프레임의 양측 끝단부에는 상기 제 1 고정프레임과의 슬라이드 결합을 위해, 상기 레일홈부에 대응하는 레일돌기를 형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제 1,2 고정프레임에는 각각 제 1,2 홈부에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지는 와이어나 조명부재가 끼워지도록, 상기 제 1,2 홈부에 관통홀을 형성하고, 상기 관통홀에는 와이어나 조명부재의 직경에 대응하여 움직임이 발생하는 직경대응부재; 를 결합 구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직경대응부재는, 상기 제 1,2 홈부에 각각 형성되는 관통홀을 관통하는 로드; 상기 로드의 양끝단부에 각각 형성되는 제 1,2 걸림프레임; 및, 상기 제 1,2 걸림프레임 중 어느 하나가 위치하는 상기 로드의 일측에 결합되고, 상기 와이어나 조명부재의 직경에 따라 상기 로드의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압축 또는 신장되는 스프링; 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조명부재는, 투명체로서 파이프 형상을 가지는 램프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램프고정부의 내부에는 전원부; 및, 상기 전원부의 전원공급으로부터 발광이 이루어지는 LED모듈부; 를 포함한 것이다.
또한, 상기 전원부는 전원케이블을 통해 외부 전원을 공급받도록 구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전원부는 태양에너지를 이용하여 상기 LED모듈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솔라셀 모듈(Solar Cell Module)인 것이다.
또한, 상기 조임부재는, 상기 제 1 고정프레임의 제 1 홈부에 와이어가 설치될 때 상기 와이어를 고정시키도록 조임볼트와 너트를 포함하면서 상기 제 1 고정프레임에 결합되는 제 1 서스밴드 및, 상기 제 2 고정프레임의 제 2 홈부에 조명부재가 설치될 때 상기 조명부재를 고정시키도록 조임볼트와 너트를 포함하면서 상기 제 2 고정프레임에 결합되는 제 2 서스밴드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조임부재는, 상기 제 1,2 고정프레임의 제 1,2 홈부에 각각 와이어와 조명부재가 설치될 때 상기 제 1,2 고정프레임과 와이어 및 조명부재의 외곽을 감싸도록 조임볼트와 너트를 포함하는 하나의 서스밴드이거나, 또는 상기 제 1,2 고정프레임의 제 3,4 홈부에 한 쌍의 와이어가 위치할 때 상기 제 1,2 고정프레임의 외곽을 감싸도록 조임볼트와 너트를 포함하는 하나의 서브밴드로 구성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교량용 조명장치는 교량에 설치된 포스트의 양측에 와이어를 연결할 때, 상기 와이어에 모듈화된 조명장치를 견고하게 설치한 것으로, 이를 통해 교량 전체에 대한 시각적인 조명 효과를 창출하면서, 조명장치의 설치가 간편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은 물론, 유지 보수에 대한 편리함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로 교량용 조명장치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로 교량용 조명장치의 구조를 보인 설치 상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로 교량용 조명장치의 설치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로 조명부재의 구성에 대한 개략적인 블럭도를 도시한 것이다.
첨부된 도 1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조명장치는 교량(1)의 포스트(2) 양측으로 연결되는 와이어(W)에 설치되는 것으로, 고정부재(100), 조명부재(200), 그리고 조임부재(300)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부재(100)는 상기 와이어(W)의 길이방향을 따라 하나 또는 일정간 격을 두고 다수개가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 제 1,2 고정프레임(10)(20)으로 분할 구성된다.
상기 제 1 고정프레임(10)은 외측부위에 하나의 와이어(W)가 끼워질 수 있는 반원형상의 제 1 홈부(11)가 형성됨은 물론, 내측부위에는 한 쌍을 이루는 제 1 결합돌기(15)를 경계로 하여 대칭 구조를 이루면서 한 쌍의 와이어가 끼워질 수 있도록 하는 한 쌍의 제 3 홈부(12)가 형성된 것이다.
이때, 상기 제 1 고정프레임(10)의 양측 끝단부에는 상기 제 2 고정프레임(20)과의 결합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 1 걸림부(13)와 제 1 고리부(14)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 1 결합돌기(15)는 제 1,2 고정프레임(10)(20)의 결합 고정을 위해 한 쌍으로서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지는 상태에서 끼움홈부를 형성한 것이다.
상기 제 2 고정프레임(20)은 외측부위에 조명부재(200)가 끼워질 수 있는 반원형상의 제 2 홈부(21)가 형성됨은 물론, 내측부위에는 한 쌍을 이루는 제 2 결합돌기(25)를 경계로 하여 대칭 구조를 이루면서 한 쌍의 와이어가 끼워질 수 있도록 하는 한 쌍의 제 4 홈부(22)가 형성된 것이다.
이때, 상기 제 2 고정프레임(20)의 양측 끝단부에는 상기 제 1 고정프레임(10)과의 결합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제 1 걸림부(13) 및 제 1 고리부(14)와 대응되는 위치에 제 2 고리부(23)와 제 2 걸림부(24)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 2 결합돌기(25)는 제 1,2 고정프레임(10)(20)의 결합 고정을 위해 한 쌍으로서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지는 상태에서 끼움홈부를 형성한 것이다.
즉, 상기 한 쌍을 이루는 제 1 결합돌기(15)와 제 2 결합돌기(25)는 서로 엇갈리는 형태로서 각각의 끼움홈부에 하나의 돌기가 삽입되는 것으로, 이를 통해 상기 제 1,2 고정프레임(10)(20)은 상기 한 쌍을 이루는 제 1,2 결합돌기(15)(25), 상기 제 1 걸림부(13)와 제 2 고리부(23), 그리고 상기 제 1 고리부(14)와 제 2 걸림부(24)의 체결력으로부터 결합관계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 1,2 결합돌기(15)(25)에는 각각 다수의 엠보싱돌기(M)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상기 제 1,2 결합돌기(15)(25)가 각각 한 쌍을 이루면서 형성하는 끼움홈부로 서로 엇갈리는 끼움결합이 이루어질 때, 상기 엠보싱돌기(M)가 걸림작용을 하여 상기의 끼움 결합상태가 쉽게 해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제 1,2 고정프레임(10)(20)에는 상기 조임부재(300)가 관통할 수 있도록 하는 홀(H1)이 형성된다.
상기 조명부재(200)는 상기 고정부재(100)에 포함되는 제 2 고정프레임(20)의 제 1 홈부(21)에 끼움 결합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는 투명체로서 파이프 형상을 가지는 램프고정부(30)를 포함하고, 상기 램프고정부(30)의 내부에는 전원부(31)와, 상기 전원부(31)의 전원공급으로부터 발광이 이루어지는 LED모듈부(32)가 수납된 것이다.
이때, 상기 전원부(31)는 첨부된 도 4에서와 같이 전원케이블(31a)을 통해 외부 전원을 공급받거나, 또는 태양열을 이용하는 솔라셀 모듈(33)을 통해 자체적인 전원공급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 조임부재(300)는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별도의 결착부를 구성하지 않고 순수하게 와이어의 권선력으로부터 고정되는 방식을 사용할 수 있는데, 이 경우에는 와이어의 권선력이 약화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조임부재(300)는 한 쌍으로 구성되는 제 1,2 서스밴드(41)(42)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 상기의 제 1,2 서스밴드(41)(42)에는 각각 조임볼트(41a)(42a)와 너트(41b)(42b)가 구성된다.
즉, 상기 제 1 서스밴드(41)는 상기 제 1 고정프레임(10)에 마련되는 홀(H1)을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제 1 고정프레임(10)의 제 1 홈부(11)에 와이어(W)가 설치될 때, 상기 와이어(W)를 감싸면서 상기 와이어(W)가 움직이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제 1 서스밴드(41)의 조임력은 너트(41b)에 체결되는 조임볼트(41a)의 조임력으로부터 가능한 것이다.
또한, 상기 제 2 서스밴드(42)는 상기 제 2 고정프레임(20)에 마련되는 홀(H1)을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제 2 고정프레임(20)의 제 2 홈부(21)에 조명부재(200)에 포함되는 파이프형상의 램프고정부(30)가 설치될 때, 상기 램프고정부(30)를 감싸면서 상기 램프고정부(30)가 움직이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제 2 서스밴드(42)의 조임력은 너트(42b)에 체결되는 조임볼트(42a)의 조임력으로부터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와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조명장치는 교량(1)에 하나 또는 여러개의 포스트(2)를 설치한 후, 상기 포스트(2)의 양측에 와이어(W)를 연결할 때, 상기 와이어(W)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와이어(W)에 하나 또는 여러개의 고정부재(100)를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한다.
그러면, 상기 고정부재(100)에 고정 설치되는 조명부재(200)내의 LED모듈부(32)가 전원부(31)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발광시, 상기 발광에 따른 조명이 투명체를 이루는 램프고정부(30)를 통해 외부로 확산되는 것이며, 이에따라 교량(1)에서는 난간과 포스트(2)에 설치되는 조명과 더불어 와어어(W)를 따라 표현되는 조명으로 인해 전체적으로 미려한 조명 효과를 창출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첨부된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로, 이는 제 1,2 고정프레임(10)(20)의 제 1,2 홈부(11)(21)에 직경이 다른 와이어와 파이프형상의 램프고정부(30)가 결합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상기 제 1,2 홈부(11)(21)는 가변적이지 않고 일정크기로서 반원형상을 가지는 것인 바, 상기 제 1,2 홈부(11)(21)의 반원형상보다 작은 직경의 와이어(W') 또는 램프고정부(30')가 안착될 때, 상기 와이어(W') 또는 램프고정부(30')의 직경에 대응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1,2 홈부(11)(21)에 각각 일정길이의 관통홀(H2)을 하나 또는 여러개를 제 1,2 고정프레임(10)(2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시킨 상태에서, 상기 관통홀(H2)에 상기 와이어(W')나 램프고정부(30')의 직경에 대응하여 움직임이 발생하는 직경대응부재(50)를 결합시킨 것이다.
이때, 상기 직경대응부재(50)는 상기 관통홀(H2)을 관통하는 로드(51)와, 상기 로드(51)의 양끝단부에 각각 형성되는 제 1,2 걸림프레임(52)(53), 그리고 상기 제 1,2 걸림프레임(52)(53) 중 어느 하나가 위치하는 상기 로드(51)의 일측에 압축 또는 신장력을 발휘하는 스프링(54)을 결합 구성한 것이다.
즉, 상기 로드(51)는 상기 제 1,2 홈부(11)(21)에 구조물이 안착되지 않을 경우에는 스프링(54)의 신장력으로부터 제 1,2 홈부(11)(21)에서 최대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지만, 상기 제 1,2 홈부(11)(21)에 안착되는 와이어(W')와 램프고정부(30')의 직경에 따라서는 상기 스프링(54)을 압축시키면서 첨부된 도 6의 화살표방향(P)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와이어(W')와 램프고정부(30')의 안착위치를 안내하게 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와 동일부분에 대하여는 동일부호로 표시하여 그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였다.
한편, 첨부된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로, 이는 한 쌍을 이루는 제 1,2 고정프레임(10)(20)이 한 쌍의 와이어(W)를 감싸도록 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는, 상기 제 1,2 고정프레임(10)(20)가 서로 맞닿을 때, 상기 제 1,2 고정프레임(10)(20)의 내측으로 각각 형성되는 한 쌍의 제 3,4 홈부(12)(22)가 제 1,2 결합돌기(15)(25)를 경계로 하면서 한 쌍의 와이어(W)를 감싸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한 쌍의 제 3,4 홈부(12)(22)가 한 쌍의 와이어(W)를 감싼 상태에서 상기의 감싼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상기 제 1,2 고정프레임(10)(20)의 외곽을 조임볼트(41a)와 너트(41b)를 포함하는 서스밴드(41)로 조여주도록 하였다.
이하, 본 발명의 제 1,2 실시예에서와 동일부분에 대하여는 동일부호로 표시하여 그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였다.
또한, 첨부된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로, 이는 제 1,2 고정프레임(10)(20)의 일측단을 회전축부(61)를 연결한 상태에서, 상기 제 1,2 고정프레임(10)(20)의 타측단부에는 고리와 걸림쇠로 이루어지는 록킹부(62)를 통해 록킹시키도록 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는 상기 제 1 고정프레임(10) 또는 제 2 고정프레임(20)이 회전축부(61)를 통해 회전하도록 하면서, 상기 제 1,2 고정프레임(10)(20)에 형성되는 한 쌍의 제 3,4 홈부(12)(22)가 한 쌍의 와이어(W)를 감싸도록 한 것이고, 더불어 상기 록킹부(62)의 록킹동작으로부터 상기 한 쌍의 와이어(W)에 대한 견고한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제 1,2,3 실시예에서와 동일부분에 대하여는 동일부호로 표시하여 그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였다.
또한, 첨부된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로, 이는 상기 제 1,2 고정프레임(10)(20)의 양끝단부에 각각 레일홈부(71)와 레일돌기(72)를 형성하여, 상기 제 1,2 고정프레임(10)(20)이 슬라이드 방식으로 결합되도록 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는 상기 제 1 고정프레임(10)의 양측 끝단부에 상기 제 2 고정프레임(20)과의 슬라이드 결합이 가능하도록 하는 레일홈부(71)를 형성하고, 상기 제 2 고정프레임(20)의 양측 끝단부에는 상기 제 1 고정프레임(10)과의 슬라이드 결합이 가능하도록 상기 레일홈부(71)에 끼움 결합되는 레일돌기(72) 를 형성한 것이다.
이에따라, 상기 제 1 고정프레임(10)의 내측에 위치하는 한 쌍의 제 3 홈부(12)에 한 쌍의 와이어(W)를 안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 1 고정프레임(10)의 레일홈부(71)에 제 2 고정프레임(20)의 레일돌기(72)를 끼움 결합시킨 후, 상기 제 2 고정프레임(20)을 상기 와이어(W)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시킨다.
그러면, 상기 제 1,2 고정프레임(10)(20)은 상기 레일홈부(71) 및 레일돌기(72)에 의해 별도의 서스밴드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이에따라 상기 한 쌍의 와이어(W)는 상기 제 3,4 홈부(12)(22)내에서 그 고정이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레일홈부(71)와 레일돌기(72)는 그 설치 위치가 각각 제 2 고정프레임(10)과 제 1 고정프레임(10)으로 변경될 수도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제 1,2,3,4 실시예에서와 동일부분에 대하여는 동일부호로 표시하여 그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였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면으로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의 조임부재(300)는 상기 제 1,2 고정프레임(10)(20)의 제 1,2 홈부(11)(21)에 각각 와이어(W)와 램프고정부(30)가 안착될 때, 상기 제 1,2 고정프레임(10)(20)과 와이어(W) 및 램프고정부(30)의 외곽을 감싸도록 조임볼트와 너트를 포함하는 하나의 서스밴드를 사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로 교량용 조명장치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로 교량용 조명장치의 구조를 보인 설치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로 도 2에 대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로 조명부재의 구성에 대한 개략적인 블럭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로 고정부재에 직경대응부재가 적용된 상태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로 도 5에 대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로 하나의 서스밴드와 고정부재를 통해 한 쌍의 와이어를 고정시키는 상태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의 록킹부와 회전축부를 적용한 고정부재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로 도 8에 대한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로 한 쌍의 고정부재를 슬라이드 방식으로 결합시키는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로 도 10에 대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교량 2 ; 포스트
10,20; 제 1, 고정프레임 11,21; 제 1,2 홈부
12,22; 제 3,4 홈부 13,24; 제 1,2 걸림부
14,23; 제 1,2 고리부 15,25; 제 1,2 결합돌기
30,30'; 램프고정부 31; 전원부
32; LED모듈부 33; 솔라셀 모듈
41,42; 제 1,2 서스밴드 41a,42a; 조임볼트
41b,42b; 너트 50; 직경대응부재
51; 로드 52,53; 제 1,2 걸림프레임
54; 스프링 61; 회전축부
62; 록킹부 71; 레일홈부
72; 레일돌기 100; 고정부재
200; 조명부재 300; 조임부재
H1; 홀 H2; 관통홀
M; 엠보싱돌기 W,W'; 와이어

Claims (13)

  1. 교량에 설치되는 와이어의 길이방향으로 고정 설치되는 고정부재;
    상기 고정부재에 고정 설치되는 조명부재; 를 포함하여 구성하며,
    상기 고정부재와 조명부재는 조임부재의 조임압력으로부터 고정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조명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와이어가 끼워지는 제 1 홈부를 외측에 형성하는 제 1 고정프레임;
    조명부재가 끼워지는 제 2 홈부를 외측에 형성하는 제 2 고정프레임; 으로 분할 구성하고,
    상기 제 1 고정프레임의 양측 끝단부에는 상기 제 2 고정프레임과의 결합 고정이 가능하도록 제 1 걸림부와 제 1 고리부를 형성하며,
    상기 제 2 고정프레임의 양측 끝단부에는 상기 제 1 고정프레임과의 결합 고정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 1 걸림부에 대응하는 제 2 고리부, 그리고 상기 제 1 고리부에 대응하는 제 2 걸림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조명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고정프레임에는 제 2 고정프레임과의 결합 고정을 위해 끼움홈부를 형성하는 한 쌍의 제 1 결합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제 2 고정프레임에는 상기 제 1 고정프레임과의 결합 고정을 위해 끼움홈부를 형성하면서 상기 제 1 결합돌기와 대응되는 한 쌍의 제 2 결합돌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량용 조명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제 1 결합돌기와 제 2 결합돌기에는 각각 서로 엇갈리는 끼움홈부로의 삽입시 이탈이 방지되도록 다수의 엠보싱돌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조명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제 1,2 고정프레임으로 분할 구성하고,
    상기 제 1 고정프레임의 내측으로는 상기 제 1 결합돌기를 경계로 하는 한 쌍의 제 3 홈부를 형성하며,
    상기 제 2 고정프레임의 내측으로는 상기 제 3 홈부와 대칭 구조를 이루도록 상기 제 2 결합돌기를 경계로 하는 한 쌍의 제 4 홈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 3,4 홈부의 사이에 한 쌍의 와이어가 위치하여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조명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2 고정프레임의 일측단은 회전축부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제 1 고정프레임 또는 제 2 고정프레임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제 1,2 고정프레임의 타측단에는 고리와 걸림쇠로 이루어지는 록킹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조명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고정프레임의 양측 끝단부에는 상기 제 2 고정프레임과의 슬라이드 결합을 위해 레일홈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 2 고정프레임의 양측 끝단부에는 상기 제 1 고정프레임과의 슬라이드 결합을 위해, 상기 레일홈부에 대응하는 레일돌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조명장치.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2 고정프레임에는 각각 제 1,2 홈부에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지는 와이어나 조명부재가 끼워지도록, 상기 제 1,2 홈부에 관통홀을 형성하고,
    상기 관통홀에는 와이어나 조명부재의 직경에 대응하여 움직임이 발생하는 직경대응부재; 를 결합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조명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직경대응부재는,
    상기 제 1,2 홈부에 각각 형성되는 관통홀을 관통하는 로드;
    상기 로드의 양끝단부에 각각 형성되는 제 1,2 걸림프레임; 및,
    상기 제 1,2 걸림프레임 중 어느 하나가 위치하는 상기 로드의 일측에 결합 되고, 상기 와이어나 조명부재의 직경에 따라 상기 로드의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압축 또는 신장되는 스프링; 을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조명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재는,
    투명체로서 파이프 형상을 가지는 램프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램프고정부의 내부에는 전원부; 및, 상기 전원부의 전원공급으로부터 발광이 이루어지는 LED모듈부; 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조명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는 전원케이블을 통해 외부 전원을 공급받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조명장치.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는 태양에너지를 이용하여 상기 LED모듈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솔라셀 모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조명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임부재는 조임볼트와 너트를 포함하는 서스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조명장치.
KR1020090003606A 2009-01-16 2009-01-16 교량용 조명장치 KR1010313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3606A KR101031325B1 (ko) 2009-01-16 2009-01-16 교량용 조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3606A KR101031325B1 (ko) 2009-01-16 2009-01-16 교량용 조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4240A true KR20100084240A (ko) 2010-07-26
KR101031325B1 KR101031325B1 (ko) 2011-04-29

Family

ID=426436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3606A KR101031325B1 (ko) 2009-01-16 2009-01-16 교량용 조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132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9581B1 (ko) * 2012-04-05 2013-01-09 주식회사 이티스 태양전지를 이용한 난간용 엘이디 조명장치
KR20190112071A (ko) * 2017-02-03 2019-10-02 소레탄체 프레씨네트 내부 하우징이 있는 구조 케이블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21033A (ja) 1997-05-19 1998-12-04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ロープ固定灯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9581B1 (ko) * 2012-04-05 2013-01-09 주식회사 이티스 태양전지를 이용한 난간용 엘이디 조명장치
KR20190112071A (ko) * 2017-02-03 2019-10-02 소레탄체 프레씨네트 내부 하우징이 있는 구조 케이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31325B1 (ko) 2011-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1325B1 (ko) 교량용 조명장치
JP4644297B2 (ja) 携帯用ランプ
KR101086489B1 (ko) 헤드의 각도 조절 기능을 갖는 가로등
KR100883895B1 (ko) 교통신호 구조물 설치용 철주 조립장치
KR200415524Y1 (ko) 조립식 연꽃등
WO2005124290A3 (en) Indirect illumination system and method
CN207421943U (zh) 一种用于树木景观照明的新型灯具
KR100749064B1 (ko) 조립식 구조물용 조명트러스
CN101177982A (zh) 灯饰立柱
US10976016B2 (en) Elevated structure-mounted lighting system
CN211084009U (zh) 一种舞台灯光固定装置
CN209445239U (zh) 一种市政工程用组装式路灯
CN202884713U (zh) 可转动的led水晶灯具
KR200459957Y1 (ko) 십자가 조형물
JPH07140914A (ja) 内照式立体看板
KR102253822B1 (ko) 일자형 엘이디 조명장치
CN111120941A (zh) 一种园林照明用led路灯
CN219083026U (zh) 一种可拼接的风动灯光装置及风动灯光系统
CN219451188U (zh) 一种依靠风力的灯光动态幕墙装置
CN202177049U (zh) 安装在绳子上的警示灯
CN202012823U (zh) 一种照明设备
CN201547606U (zh) Led过街隧道灯
CN201152502Y (zh) 灯饰立柱
CN210004165U (zh) 一种led灯具发光部分的安装结构
CN108916709B (zh) 一种灯具售卖用展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