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83653A - 에너지 절감 및 사용의 편의성이 도모된 자동 전력 차단 시스템 - Google Patents

에너지 절감 및 사용의 편의성이 도모된 자동 전력 차단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83653A
KR20100083653A KR1020090003139A KR20090003139A KR20100083653A KR 20100083653 A KR20100083653 A KR 20100083653A KR 1020090003139 A KR1020090003139 A KR 1020090003139A KR 20090003139 A KR20090003139 A KR 20090003139A KR 20100083653 A KR20100083653 A KR 201000836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home server
home
mobile communication
cutof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31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11017B1 (ko
Inventor
육상조
김지혜
Original Assignee
육상조
김지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육상조, 김지혜 filed Critical 육상조
Priority to KR10200900031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1017B1/ko
Publication of KR201000836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36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10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10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F21V23/0471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the sensor detecting the proximity, the presence or the movement of an object or a pers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Abstract

본 발명은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이용하여 대기전력을 차단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거주자가 거주지 밖으로 이동하게 되면 자동으로 거주지에 설치되어 있는 가정용 전기기기의 대기전력이 차단되는 사용의 편의를 도모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기전력 차단 시스템은 분전반을 통해 구역별로 가정내에 설치되어 있는 가정용 전기기기의 대기전원 차단하는 시스템으로, 11%정도 불필요하게 낭비되는 에너지 소비를 막아주는 시스템이다.
그리고 이러한 대기전력 차단 시스템은 현재 홈네트워크 시스템과 연계되어 각 가정용 전기기기의 대기전력을 차단하여 줄 수 있는 시스템이 제시된 바 있으나, 상기와 같은 시스템은 홈서버를 통해 사용자가 직접 일일이 각각의 차단기를 작동시켜 줘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고, 또한 외출하고 돌아왔을 때에도 전기기기의 사용을 위하여 해당 차단기의 작동을 해지시켜 줘야만 해당 가정용 전기기기를 사용할 수 있다는 불편한 점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과 맞물려 거주자가 외출한 사실을 감지하게 되면 자동으로 거주지에 설치되어 있는 가정용 전기기기의 대기전력을 차단 또는 해지토록하여 에너지 절감 및 사용의 편의를 도모한 것이다.
홈네트워킹 시스템,

Description

에너지 절감 및 사용의 편의성이 도모된 자동 전력 차단 시스템{The system which the energy-reduction and the convenience of utility is schemed.}
본 발명은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이용하여 대기전력을 자동으로 차단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해당 거주자가 거주지 밖으로 외출하여 설정거리 밖에 있게 되면 자동으로 거주지에 설치되어 있는 가정용 전기기기의 대기전력을 차단하여 홈 네트워크 시스템과 발맞춰 사용의 편의를 도모하면서 에너지 낭비를 막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기전력 차단 시스템은 분전반을 통해 구역별로 설치되어 있는 가정용 전기기기의 대기전원 차단하여 불필요하게 소모되는 에너지 낭비를 막아 에너지를 절감 시스템이다.
그리고 이러한 대기전력 차단 시스템은 현재 홈네트워크 시스템과 연계되어 각 가정용 전기기기 마다 대기전력을 차단하여 줄 수 있는 시스템이 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시스템은 외출시에 홈서버를 통해 일일이 각각의 전기기기마다 사용자가 직접 차단기를 작동시켜 줘야하는 불편함이 있는 한편, 외출하고 돌아왔을 때에도 해당 전기기기의 차단기 작동을 해지시켜야만 전기기기를 사용할 수 있다는 불편한 점이 있던 것이다.
더욱이 상기 대기전력 차단 시스템과 연계되어 있는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은, 집안 내에서 혹은 외부에서 원터치로 집안의 가정용 전기기기를 편리하게 사용하기 위한 것이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상기 대기전력 차단시스템은 사용 실정에 맞지 않는 것이다.
따라서 대기전력 차단 시스템은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과 발맞춰 외출시에 자동으로 거주지에 설치되어 있는 가정용 전기기기의 대기전력을 차단하여 줄 수 있는 사용의 편의성이 도모된 시스템이 요구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거주자 거주지 밖으로 설절거리 이상 이동하게 되면 외출한 것으로 파악하여 자동으로 설정된 가정용 전기기기의 대기전력을 차단토록 하는 에너지 절감 및 사용의 편의성 확보된 시스템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홈 서버와 연결된 도어락 시스템을 통해 도어 오픈시기에 거주자 거주지 밖으로 이동한 것으로 파악하여 거주자의 이동통신단말기에 호출신호를 전송하는 한편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응답신호에 의해 홈 서버가 이동통신단말기를 소지한 거주자의 위치정보를 취득하여 설정거리 이상 벗어났는지 확인함으로서, 그 확인된 결과에 따라 설정된 가정용 전기기기의 대기전력을 차단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거주자가 거주지 밖으로 설정거리 이상 이동하였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고 그 결과에 따라 자동으로 거주지의 설정된 가정용 전기기기의 대기전력을 차단하도록 함으로써, 불편하게 일일이 가정용 전기기기의 코드를 빼거나 혹은 차단기를 내릴 필요없이 편리하고 안전하게 사용하면서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외출한 거주자가 거주지 안으로 들어오게 되면 확인한 결과에 따라 자동으로 가정용 전기기기의 대기전력 차단을 해지함으로써, 일일이 차다 니의 작동을 해지할 필요 없이 자동으로 편리하게 해당 가정용 전기기기를 사용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는 것이다.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1내지 도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 전력차단시스템의 블럭도이고, 도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 전력차단시스템의 작동과저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가정용 전기기기 및 도어락 장치(10)와 연결되어 직접 혹은 전송장치(40)를 통해 외부에서 원격적으로 상기 전자기기 및 도어락 장치(10)를 제어할 수 있는 홈서버(20)를 포함한 홈네트워크 시스템에 있어서,
본 발명은 도어락 장치(10) 작동시 생성된 락신호를 홈서버(20)를 통해 수취하여 상기 홈서버(20)와 전송장치(40)를 통해 거주자의 이동통신단말기(50)에 생성된 호출신호를 전송하도록 하는 한편, 이에 대한 응답으로 생성된 이동통신단말기(50)의 응답신호를 전송받아 위치정보를 확인한 후 설정된 거리 이내에 해당 이동통신단말기(50)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고 그 결과에 따라 차단신호를 생성하는 전력차단장치(3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전력차단장치(30)는 생성된 차단신호를 바탕으로 직접 가정용 전기기기의 대기전력을 차단하여 줄 수 있으나, 상기 홈서버(20)가 직접 가정용 전기기기의 대기전력을 차단할 수 있는 경우에는 상기 전력차단장치(30)가 생성한 차단신호를 홈서버(20)에 인가하여 대기전력을 차단하여 줄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력차단장치(30)는 선택적으로 가정용 전기기기의 대기전력을 차단하여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어신호를 생성후 이를 홈서버(20)에 인가하여 호출신호를 생성하는 설정시간과, 거주자가 밖으로 외출하였는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설정거리 역시 설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전력차단장치(30)에는 홈 서버(20)와 연결되어 상기 홈서버(20)가 취득한 락신호와 응답신호를 득취하는 리딩부(31)와, 외부에 노출되어 설정시간과 설정거리를 조작할 수 있는 제어판(34), 그리고 상기 제어판(34)에 의해 조장된 설정시간과 설정거리를 포함하는 운영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운영정보 저장부(35), 그리고 상기 운영정보 저장부(35)에 저장되어 있는 운영정보와, 상기 리딩부(31)가 취득한 응답신호를 바탕으로 위치정보를 취득하여 거주자가 외출하였는지의 여부를 파악하고 차단신호 혹은 차단해지신호를 생성하는 대기전력 차단 제어부(32)와, 상기 대기전력 차단 제어부(32)가 생성한 차단신호 혹은 차단해지신호를 인가받아 가정용 전기기기의 대기전력을 차단하는 분전판(3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전력차단장치(30)는 상기 홈서버(20)가 평상시 도어락 장치(10)가 작동하면서 생성된 락신호를 확인한 후 이를 수취하여 제어신호를 생성하게 된다. 이 생성된 제어신호는 설정된 시간 이후에 상기 홈서버(20)에 인가되어 지게 되고, 이를 인가받은 홈서버(20)는 거주자의 이동통신단말기(50)를 호출하는 호출신호를 생성토록 되어 있다.
이때, 홈서버(20)는 인가받은 제어신호를 바탕으로 특정인의 이동통신단말 기(50)를 호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저장된 식별정보를 바탕으로 다수의 이동통신단말기(51)를 순차적으로 호출할 수도 있다.
이는 상기 홈서버(20)가 특정인이 외출하고 없더라도 거주지 안에 식별가능한 사람이 있는지 경우 가정용 전기기기의 대기전력 차단을 막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이렇게 홈서버(20)에 의해 생성된 호출신호는 전송장치(40)에 의해 도어를 열고 밖으로 나간 거주자 혹은 거주지 안으로 들어온 거주자의 이동통신단말기(50)에는 상기 호출신호가 전송되어 확인토록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거주자는 이동통신단말기(50)에 전송된 호출신호를 확인하고 이에 대응하는 응답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전송장치(40) 전송하게 되면, 상기 전송장치(40)는 전송된 응답신호를 확인하고 이를 상위의 홈서버(20)에 전송하게 된다.
이때, 호출신호를 전송받은 이동통신단말기(50)는 간단하게 응답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전송장치(40)에 전송할 수도 있으나, 홈서버(20)에 의해 제어되는 가정용 전기기기의 사용상태가 아이콘화되어 표시되어 지고 사용자에 의해 선택적으로 가정용 전기기기의 대기전력을 차단하여 줄 수도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전송장치(40)는 이동통신단말기(50)에 장착된 GPS모듈을 통해 위치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되어 있어 호출신호를 이동통신단말기(50)에 전송하고 그 결과 응답신호를 전송받아 위치정보를 취득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위치정보는 응답신호와 함께 상위의 홈서버(20)에 인가되어 가정용 전자기기를 제어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때 전력차단장치(30)는 홈서버(20)로부터 응답신호를 득취하고, 상기 홈서 버(20)와 전송장치(40)를 통해 이동통신단말기(50)의 위치정보를 취득하게 된다. 그리고 이때 취득한 위치정보를 바탕으로 거주자가 도어를 열고 설정거리 밖으로 이탈하였는지 혹은 도어를 열고 거주지 안으로 들어왔는지 파악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렇게 파악된 정보를 바탕으로 차단신호, 혹은 차단해지신호를 생성하여게 되고, 이렇게 전력차단장치(30)를 통해 생성된 차단신호 혹은 차단해지신호에 의해 외출시 자동으로 홈서버(20) 혹은 전력차단장치(30)와 연결되어 있는 가정용 전기기기의 대기전력을 차단해 주거나, 혹은 반대로 방문시 자동으로 홈서버(20) 혹은 전력차단장치(30)와 연결되어 있는 가정용 전기기기의 대기전력의 차단을 자동으로 해지하여 편리하여 가정용 전기기기를 사용할 수 있게 해 주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 전력 차단시스템의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 전력 차단시스템의 블럭도.
도 3은 상기 자동 전력 차단시스템의 전력차단장치의 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 전력 차단시스템의 작동과정을 보여주는 순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도어락 장치, 20:홈 서버
30:전력 차단장치 31:리딩부
32:대기전력 차단 제어부 33:분전반
34:제어판 35:운영정보 저장부
40:전송장치 50,51:이동통신단말기

Claims (4)

  1. 가정용 전기기기 및 도어락 장치와 연결되어 직접 혹은 전송장치를 통해 외부에서 원격적으로 상기 전기기기 및 도어락 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홈서버를 포함한 홈네트워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홈네트워크 시스템은 도어락 장치 작동시 생성된 락신호를 홈서버를 통해 수취하고 상기 홈서버와 전송장치를 통해 거주자의 이동통신단말기에 생성된 호출신호를 전송토록 하는 한편, 이에 대한 응답으로 생성된 이동통신단말기의 응답신호를 전송받아 위치정보를 확인한 후 설정된 거리 이내에 해당 이동통신단말기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여 차단신호 혹은 차단해지신호를 생성토록 되어 있는 전력차단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절감 및 사용의 편의성이 도모된 자동 전력 차단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차단장치에는 홈 서버와 연결되어 상기 홈서버가 취득한 락신호와 응답신호를 득취하는 리딩부와, 외부에 노출되어 설정시간 또는 설정거리를 설정할 수 있는 제어판, 그리고 상기 제어판에 의해 설정된 설정시간과 설정거리를 포함하는 운영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운영정보 저장부와, 상기 운영정보 저장부의 운영정보와 상기 리딩부가 취득한 응답신호를 바탕으로 위치정보를 취득하여 거주자가 설정거리 이상벗어 났는지의 여부를 파악하여 차단신호 혹은 차단해지신호를 생성토 록 하는 대기전력 차단 제어부와, 상기 대기전력 차단 제어부가 생성한 차단신호 혹은 차단해지신호를 인가받아 설정된 가정용 전기기기의 대기전력을 차단하는 분전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절감 및 사용의 편의성이 도모된 자동 전력 차단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홈서버는 특정인의 식별정보뿐만 아니라 다수의 식별정보를 함께 저장하고 있어 전력차단장치로부터 인가받은 제어신호를 바탕으로 특정인의 이동통신단말기(50)에 호출신호를 전송할 뿐만 아니라, 설정된 시간 이후 순차적으로 저장된 다수의 이동통신단말기(51)를 호출하여 확인하도록 함으로써, 특정인이 거주지 밖으로 외출하고 없더라도 거주지 안에 해당 이동통신단말기(51)를 소지한 사람이 있는지 없는지 확인하여 대기전력을 차단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절감 및 사용의 편의성이 도모된 자동 전력 차단 시스템.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호출신호를 전송받은 이동통신단말기는, 홈서버에 의해 제어되는 가정용 전기기기의 사용상태가 아이콘화되어 디스플레이창에 표시되어 지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절감 및 사용의 편의성이 도모된 자동 전력 차단 시스템.
KR1020090003139A 2009-01-14 2009-01-14 에너지 절감 및 사용의 편의성이 도모된 자동 전력 차단 시스템 KR1011110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3139A KR101111017B1 (ko) 2009-01-14 2009-01-14 에너지 절감 및 사용의 편의성이 도모된 자동 전력 차단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3139A KR101111017B1 (ko) 2009-01-14 2009-01-14 에너지 절감 및 사용의 편의성이 도모된 자동 전력 차단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3653A true KR20100083653A (ko) 2010-07-22
KR101111017B1 KR101111017B1 (ko) 2012-02-13

Family

ID=426433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3139A KR101111017B1 (ko) 2009-01-14 2009-01-14 에너지 절감 및 사용의 편의성이 도모된 자동 전력 차단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1017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17730A (ko) * 2010-08-19 2012-02-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대기전력 제어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한 제어장치
KR101361834B1 (ko) * 2012-03-23 2014-02-12 삼우에레코 주식회사 홈 에너지 세이빙 컨트롤 유닛
KR101381912B1 (ko) * 2012-10-31 2014-04-10 레이디오펄스 주식회사 스마트폰을 이용한 홈 전력 제어 시스템
WO2014092260A1 (ko) * 2012-12-14 2014-06-19 주식회사 노키온 디지털 도어락과 연계되는 스마트 그리드를 포함한 에너지 통제용의 홈네트워크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20190051614A (ko) * 2017-11-07 2019-05-15 주식회사 케이티 통합 펨토셀에서의 IoT 디바이스 제어 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71453B2 (en) 2012-06-11 2015-06-30 Apple Inc. Location-based device automation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0385A (ko) * 2000-03-25 2001-10-18 진종섭 휴대폰을 이용한 원격 관리장치 및 그를 이용한정보제공방법
KR100393574B1 (ko) * 2000-12-28 2003-08-02 엘지전자 주식회사 홈 네트워크의 대기전력 절감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17730A (ko) * 2010-08-19 2012-02-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대기전력 제어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한 제어장치
KR101361834B1 (ko) * 2012-03-23 2014-02-12 삼우에레코 주식회사 홈 에너지 세이빙 컨트롤 유닛
KR101381912B1 (ko) * 2012-10-31 2014-04-10 레이디오펄스 주식회사 스마트폰을 이용한 홈 전력 제어 시스템
WO2014092260A1 (ko) * 2012-12-14 2014-06-19 주식회사 노키온 디지털 도어락과 연계되는 스마트 그리드를 포함한 에너지 통제용의 홈네트워크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20190051614A (ko) * 2017-11-07 2019-05-15 주식회사 케이티 통합 펨토셀에서의 IoT 디바이스 제어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11017B1 (ko) 2012-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1017B1 (ko) 에너지 절감 및 사용의 편의성이 도모된 자동 전력 차단 시스템
JP4740232B2 (ja) サーキット・ブレーカのための電子的保護デバイス及び対応するプログラミング方法
US20180034274A1 (en) Power monitoring system
US20090167547A1 (en) Utility disconnect monitor node with communication interface
AU2012100135A4 (en) Power sensor
AU2012100197A4 (en) Power sensor
CN103473915A (zh) 一种基于手机蓝牙技术的家电遥控装置
CN106444454A (zh) 用电系统的能源控制方法及控制装置
JP2018055293A (ja) 見守りシステム、見守り方法、及び見守り用プログラム
US20150222497A1 (en) Information terminal, information display method, control program and server
US7068765B2 (en) External bilateral telephone interface remote control system
CN202797911U (zh) 一种基于地理位置信息的五防系统
CN103019188A (zh) 基于物联网的水塔水位远程智能控制系统及其控制方法
JP2009025911A (ja) 宅内エネルギー管理システム
KR20110064516A (ko) 무선 원격검침 단말기 및 활성화 방법
KR100720901B1 (ko) 유무선 원격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205121853U (zh) 一种多功能遥控器
KR20090044651A (ko) 카 오디오 기기에서의 차량 원격 제어장치 및 방법
Zaman et al. A user-friendly low-cost mobile app based home appliance control and circuit breaker
CN212105491U (zh) 一种电控开锁的控制盒
JP6275547B2 (ja) 施解錠通知システム
KR101764356B1 (ko) 리모컨 신호 자동 설정이 가능한 자동 절전 제어 장치
CN203894816U (zh) 用于停车场控制系统的嵌入式主板
CN203012462U (zh) 基于物联网的水塔水位远程智能控制系统
KR101110919B1 (ko) 알에프아이디 태그가 장착되어 대기전력을 절감할 수 있는 전선 플러그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