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83201A - 인덱션 렌지 - Google Patents

인덱션 렌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83201A
KR20100083201A KR1020090002466A KR20090002466A KR20100083201A KR 20100083201 A KR20100083201 A KR 20100083201A KR 1020090002466 A KR1020090002466 A KR 1020090002466A KR 20090002466 A KR20090002466 A KR 20090002466A KR 20100083201 A KR20100083201 A KR 201000832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container
heat
induction
heat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24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종목
Original Assignee
허종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종목 filed Critical 허종목
Priority to KR10200900024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83201A/ko
Publication of KR201000832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32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06Control, e.g. of temperature, of power
    • H05B6/062Control, e.g. of temperature, of power for cooking plates or the like
    • H05B6/065Control, e.g. of temperature, of power for cooking plates or the like using coordinated control of multiple induction coi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H05B6/1209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H05B6/1209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 H05B6/1245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with special coil arrang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lectric Stoves And Ran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이 편리하고 에너지가 절약되는 전자유도가열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전원부와, 상기 전원부로부터 소정의 전력을 입력받아서 조리용기에 와전류를 발생시키는 워킹코일을 갖는 유도가열부와, 상기 유도가열부의 워킹코일에 의해 가열되는 1차 가열부와 1차 가열부에 의해 2차 용기의 가열이 이루어져 어떤 용기든 사용 가능한 인덱션 렌지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이 편리하고 어떤 용기든 높은 에너지 효율로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다.
인덱션 렌지 , 전자 유도가열기,

Description

인덱션 렌지{INDUCTION RANGE}
본 발명은 유도가열조리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이 편리하고 에너지가 절약되고 용기 제약이 없이 어떤 용기나 사용 가능한 인덱션 렌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 렌지는 전기가 전열판에 공급되면 전열판은 전류의 제곱과 저항의 곱으로 나타나는 전력을 소모하게 되며, 상기 소모 되는 전력은 전열판을 데우고 이것이 열의 형태로 피가열체에 전해져 최종적으로 피가열체를 가열하게 된다. 유도가열기에 있어서 열을 발생시키는 원리 자체는 다른 전열기 들과 다를 바가 없지만, 유도가열기에서는 자력선을 차단하는 물체에 직접 전기가 발생, 소모되면서 가열이 되는 점이 다르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서, 유도가열기의 열효율은 가스 렌지나 전열기에 비하여 월등히 높다.
구체적으로, 전자유도가열기는 도체에 전류의 변화가 발생하면 자기장이 발생하고, 도체에 변화하는 자기장을 가하면 전류가 흐르게 되는 원리를 이용한 것이다. 먼저 워킹코일에 고주파 전류를 공급하여 자기장을 발생시키고, 상기 자기장을 상기 워킹코일에 대응되는 조리용기에 가하여 와전류를 유도시키면, 조리용기의 전 기적 고유저항에 의하여 상기 와전류가 열로 변환된다. 따라서, 전자유도가열기는 상기의 특유한 가열방식으로 인해 사용하는 조리용기의 재질에 제한이 있다. 즉, 상기 전자유도가열기는 전자유도가열이 가능한 용기를 사용해야만 발열이 가능하고 구리나 알루미늄 등의 재질은 전자유도의 효율이 매우 저조하여 전자유도가열로는 효율적인 발열을 기대할 수 없다. 특히, 스테인리스 재질의 경우 철의 함유율이 낮을 경우 마찬가지로 전자유도 가열로는 적절한 발열이 불가능하다. 한편, 용기의 재질에 따른 전자유도 가열의 적합 여부는 육안으로는 구분하기가 쉽지 않으며 전자 유도가열에 적합하지않는 재질의 용기를 무리하게 사용할 경우 전력의 낭비와 장치의 손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사용가능한 용기의 제약이 있어 그 사용에 제약이 있어 효율이 좋아 에너지를 많이 절약 할 수 있어도 사용이 크게 늘지 않고 있다. 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알미늄이나 유리 스텐용기의 밑바닥을 전자유도 가열이 가능한 재질을 덧붙여서 용기를 제작 시중에 인덕션 전용 용기로 상대적 고가로 유통되고 있다. 하지만 이것은 근본적 문제점 해결이 못된다.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어떠한 용기도 사용 가능한 편리한 전자유도가열기인 인덕션 렌지를 제공 함에 있다.
도 4을 참조하여, 종래의 전자유도가열기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종래의 전자유도가열기는 전원부와, 상기 전원부로부터 소정의 전력을 입력받아서 전기유도 효과에 의해 조리용기에 와전류를 발생시키는 워킹코일(7)을 갖는 유도가 열부와, 상기 전원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압을 스위칭 제어신호에 따라 스위칭하여 상기 워킹코일에 공진전압을 제공하는 인버터부와,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로 구성된다. 상기 전원부는 입력되는 교류전원(AC)을 정류한 맥동 직류전압을 일정한 직류전압으로 변환하여 상기 전압을 인버터부로 공급한다. 이때, 사용자가 조리하고자 하는 음식물을 조리용기에 넣은후 조작부(62)를 통해 해당 버튼을 선택하면 조리가 시작된다.
한편, 인버터부의 스위칭 소자로 흐르는 전류는 제어부로 부터 발생하는 스위칭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구동되므로, 워킹코일 과 공진용 콘덴서가 상기 인버터부에서 입력된 직류전압에 의해 연속적인 공진상태로 되어진다. 따라서, 상기 워킹코일에는 큰 공진전류가 흐르게 된다.
상기 공진전류에 의해 워킹코일에서는 자기장이 발생하고 그 자기장에 의한 전자기 유도효과로 인해 가열되어질 조리용기에 와전류가 유도되어 상기 조리용기가 가열되어지고, 상기 조리용기 내의 음식물이 가열온도로 가열된다.
이때, 제어부는 부하에 공급되는 신호를 검출하여 소정의 기준값과 비교하여, 인버터부를 스위칭 소자를 교번해서 구동하여 워킹코일과 공진용 콘덴서가 공진을 일으키게 된다. 상기에서와 같은 동작을 반복해서 조리용기 내의 음식물을 가열하면서 조리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조리용기의 재질에 따라 공진회로내의 코일에 전류의 변화가 발생하게 되는데, 상기 제어부는 전원부와 유도가열부(7)에서 출력된 신호를 사용하여 조리용기의 적합성을 판단하게 된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전자유도가열기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있다.
첫째, 종래의 전자유도가열기는 세라믹 플레이트가 워킹코일을 덮고 있어서 조리용기를 워킹코일이 있는 정확한 위치에 놓기 어렵고, 조리용기의 재질의 종류에 따라 사용하지 못하는 것과 철 성분이 작게 포함 되어 있는 용기는 효율이 떨어지는 현상을 육안과 감각적으로 느낌이 어렵다.
둘째, 상기에서 서술된 현상에 의한 전자파 방출은 인체에 해로운 또 하나의 문제점이라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용기에 제약 없는 사용이 편리하고 전자파 차단기능과 원적외선이 방출이 되는 전자유도가열기인 인덕션 렌지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원부와, 상기 전원부로부터 소정의 전력을 입력받아서 유도가열부의 워킹코일이 와전류를 발생시키고, 이와전류로 고정된 1차 가열부를 가열 시키고 조리용기를 1차 가열부 위의 올려 놓으면 1차가열부에 의한 전도 열을 받으며 유도 가열이 동시에 이루어 지는 전자유도가열기를 제공한다.
또한 1차 가열부가 상판위에 위치하여 시야로 학연이 식별 가능하고 그 크기가 뚜렷하게 나타나 위치 잘못으로 인한 열 효율이 떨어짐을 방지한다.
또한 일차 가열부는 그 하부를 유도 가열이 일어나지 않는 스텐이나 이와 동등 이상의 재료에 황토,운모,무기질 세라믹등의 재료를 사용해 단열하여 원적외선 방사 효과와 전자파 차단 효과를 나타내게 한다.
이것으로 인체에 유익하지 못했던 인덕션 렌지의 단점을 최소화시키고 용기 재질에 따라 사용 못 하는 사용 불편 한점을 해소시키고 비효율적인 용기 위치에 대한 문제점도 해소하여 효율 좋은 기구의 사용을 늘려 에너지 절약에도 큰 효과를 볼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원부와, 상기 전원부로부터 소정의 전력을 입력받아서 유도가열부의 워킹코일(7)이 와전류를 발생시키고, 와전류로 고정된 1차 가열부를 가열 시키고 조리용기를 1차 가열부 위의 올려 놓으면 1차가열부에 의한 전도 열을 받으며 유도 가열이 동시에 이루어 지는 전자유도가열기를 제공한다. 또한 일차 가열부(1,2,3,4)는 그하부를 유도 가열이 일어나지 않는 스텐이나 이와 동등 이상의 재료로 이루어진 케이싱(4)과 그 단열재(3)로 황토,무기질 세라믹등의 재료를 사용해 도포하여 소성 경화 시키고 그위에 유도 가열이 쉬운 철이나 유도 가열이 되는 스텐레스 강종을 구멍이나 형상 가공하여 만든 가열재(2)를 엊어 그상부를 고온에서 소성된 무기질 투명 유약, 내열 강화 유리, 내열 세라믹등 무기질 재료이나 열전도율이 높은 알루미늄,마그네슘 등으로이루어진 용기 접촉부(1)와 케이싱(4)과 결합 시킨 구조로이루어 진 일차 가열부(1,2,3,4)이며 그 실시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유도 가열부의 워킹 코일에서 발생시킨 와전류가 일차 가열부(1,2,3,4)를 가열 시키며 일차 가열부의 케이싱(4) 과 단열부(3)가 일차 가열부를 워킹 코일과 단열 시켜 내부로의 열 전달및 손실을 최소화 시키며 가열재(2)는 유도 가열이 잘 일어나고 열 전도율이 높아 쉽게 가열되어 져 가열에 따른 색상 변화가 쉽게 일어나 사용자들이 식별 용이하게 하여 화상 위험에서 안전하게 할 것이다. 용기 접촉부와 단열재(3)와 밀착성을 높이기 위해 천공 또는 형상 가공 되어져 있고 용기 접촉부(1)는 내마모성 코팅을 한 알루미늄(AL)이나 내 열 유리등의 물질로 알미늄(AL)일경우 천공할 필요도 있다.
이러한 일차 가열부(1,2,3,4)가 가열되어 져 단열재(3)인 황토,무기질 세라믹인 알루미나와 그화합물, 산화 지르콘,이산화 규소등으로 이루져 그물질들의 원적외선 방사의 효과와 전자파 차단 효과를 갖게 되고 이것이 상판(6)에 조립되어진 고정링(5)에 끼워져 어떤 용기도 사용 가능한 인덕션 렌지가 제공되어 진다.
도 1은 샤시도
도 2는 정면도
도 3은 평면도
도 4는 종래의 유도가열기 샤시도
도 5는 케이싱(4)없이 이루어진 일차 가열부 샤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용기 접촉부
2. 가열체
3.단열재
4.케이싱
5.고정링
6.상판
7.워킹코일
8.워킹코일받침대
9.본체
62. 조작부

Claims (3)

  1. 인덕션 렌지에 있어서 워킹코일 상부에 가열체(2)를 두어 워킹코일이 가열체를 1차 가열하고 가열체(2)가 용기를 2차 가열하게 하여 어떤 용기든 사용할 수 있게 한 인덕션 렌지
  2.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한 바와 같이 케이싱(4)과 황토및 무기질 세라믹으로 된 단열재(3)와 가열체(2)와 용기 접촉부(1)로 이루어져 있는 일차 가열부의 구조체
  3. 청구항1에 있어서 도 5와 같이 케이싱(4)이 없고 황토및 무기질 세라믹으로 된 단열재(3)가 소성 되어 적정한 강도를 가지고 가열체(2)에 천공 또는 형상 가공되어 조립하고 투명 무기질세라믹이나 내열 유리로 이루어진 용기 접촉부(1)로 이루어진 일차 가열부의 구조체
KR1020090002466A 2009-01-13 2009-01-13 인덱션 렌지 KR2010008320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2466A KR20100083201A (ko) 2009-01-13 2009-01-13 인덱션 렌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2466A KR20100083201A (ko) 2009-01-13 2009-01-13 인덱션 렌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3201A true KR20100083201A (ko) 2010-07-22

Family

ID=426429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2466A KR20100083201A (ko) 2009-01-13 2009-01-13 인덱션 렌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8320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3848B1 (ko) * 2010-07-23 2011-05-16 (주) 사람과나눔 휴대용 용기 보온 장치 및 용기 가열 장치
CN110383943A (zh) * 2017-03-30 2019-10-25 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感应加热烹调器以及感应加热烹调器的制造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3848B1 (ko) * 2010-07-23 2011-05-16 (주) 사람과나눔 휴대용 용기 보온 장치 및 용기 가열 장치
CN110383943A (zh) * 2017-03-30 2019-10-25 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感应加热烹调器以及感应加热烹调器的制造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33797B1 (ko) 사용 편의성이 개선된 유도 가열 방식의 쿡탑
KR20180040611A (ko) 가열 조리 시스템, 유도가열 조리기, 및 전기기기
KR101307594B1 (ko) 유도가열 히터가 구비된 전기 조리기기
KR20100120015A (ko) 조리기기 및 그에 대한 제어방법
CN201368497Y (zh) 电热电磁一体炉
KR20110092071A (ko) 유도가열 조리기기
JP2909979B2 (ja) 高周波誘導加熱調理器
KR20100083201A (ko) 인덱션 렌지
CN105509107A (zh) 一种可自动调节火力的电磁炉
KR102633700B1 (ko) 사용 편의성이 개선된 유도 가열 방식의 쿡탑
KR20110092069A (ko) 유도가열 조리기기
CN205332283U (zh) 一种可自动调节火力的电磁炉
CN105066194B (zh) 一种具有磁感应档位的电磁小炒炉
CN206630435U (zh) 具有组合加热方式的电烹饪器具
CN112272422A (zh) 电磁炉原理感应式隔离供电电源及其应用方法
JP4843460B2 (ja) 誘導加熱調理器
TWI834997B (zh) 電磁加熱體、電磁加熱爐及電磁加熱裝置
KR102633707B1 (ko) 사용 편의성이 개선된 유도 가열 방식의 쿡탑
CN209726279U (zh) 烹饪炉具
CN209672391U (zh) 一种可检测电磁辐射的电磁炉
CN207622085U (zh) 一种具有光感触摸控制面板的电磁炉
CN207486889U (zh) 一种电磁炉的保护装置
CN202993288U (zh) 一种新型高效能电热炉灶
CN207486885U (zh) 一种便于固定的电磁炉
CN211575189U (zh) 单炤机械式防电磁辐射红外线电陶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