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82510A - 버스관제 장치와 연계된 컨텐츠 출력 방법 및 버스 단말과 이를 위한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버스관제 장치와 연계된 컨텐츠 출력 방법 및 버스 단말과 이를 위한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82510A
KR20100082510A KR1020090001845A KR20090001845A KR20100082510A KR 20100082510 A KR20100082510 A KR 20100082510A KR 1020090001845 A KR1020090001845 A KR 1020090001845A KR 20090001845 A KR20090001845 A KR 20090001845A KR 20100082510 A KR20100082510 A KR 201000825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
control device
bus control
radio frequency
frequency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18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형
홍종철
권봉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Priority to KR10200900018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82510A/ko
Publication of KR201000825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251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Devices For Checking Fares Or Tickets At Control P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버스관제 장치와 연계된 컨텐츠 출력 방법 및 버스 단말과 이를 위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버스 노선 상에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버스정류장에 구비된 버스관제 장치로부터 송출된 무선 주파수 신호를 수신하는 무선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버스에 승차하는 고객의 교통카드로부터 카드정보를 리딩하는 비접촉 카드리더의 전면에 부착되는 디스플레이장치를 구비한 버스 단말을 통해 컨텐츠를 출력하는 방법은, 버스 노선 상에 위치하는 N(N>=2)개의 버스정류장 중 제n(1<=n<=N) 버스정류장에 구비된 제n 버스관제 장치에서 송출하는 무선 주파수 신호를 판독하여 상기 제n 버스관제 장치를 인식하기 위한 제n 버스관제 장치 인식 정보를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메모리부로부터 제n 버스정류장에 구비된 제n 버스관제 장치를 인식하기 위한 제n 버스관제 장치 인식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버스의 노선 운행에 따라 상기 무선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무선 주파수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n 버스관제 장치 인식 정보를 통해 상기 수신된 무선 주파수 신호를 판독하여 제n 버스관제 장치로부터 송출된 무선 주파수 신호를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제n 버스관제 장치로부터 송출된 무선 주파수 신호가 인식되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해 컨텐츠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컨텐츠

Description

버스관제 장치와 연계된 컨텐츠 출력 방법 및 버스 단말과 이를 위한 기록매체{Displaying Method for Content with Bus Control Device, Bus Terminal and Recording Medium}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버스관제 장치와 연계된 광고 컨텐츠를 출력하는 승차단말의 기능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승차단말에 구비된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해 출력할 광고 컨텐츠(또는 맞춤형 광고 컨텐츠)를 확인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승차단말에 구비된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해 광고 컨텐츠(또는 맞춤형 광고 컨텐츠)를 출력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른 광고 컨텐츠(또는 맞춤형 광고 컨텐츠) 출력 제어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른 광고 컨텐츠(또는 맞춤형 광고 컨텐츠) 출력 제어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100 : 승차단말 105 : 제어부
110 : 비접촉 카드 인터페이스부 115 : 디스플레이장치
120 : 화면 출력부 125 : 정보 출력부
130 : 사운드 출력부 135 : 운전자 조작부
140 : 전원 공급부 145 : 무선 인터페이스부
150 : 출입문 개폐 센서부 153 : 하차요청 센서부
155 : 승하차 인터페이스부 157 : 하차단말
160 : 보안응용모듈 163 : 메모리부
165 : 교통요금 결제부 167 : 장치 정보 확인부
170 : 장치 인식 처리부 175 : 컨텐츠 확인부
180 : 컨텐츠 출력부 185 : 장치 인식 확인부
190 : 컨텐츠 초기화부 195 : 컨텐츠 출력 제어부
본 발명은 버스 노선 상에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버스정류장에 구비된 버스관제 장치로부터 송출된 무선 주파수 신호를 수신하는 무선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버스에 승차하는 고객의 교통카드로부터 카드정보를 리딩하는 비접촉 카드리더의 전면에 부착되는 디스플레이장치를 구비한 버스 단말을 통해 컨텐츠를 출력하는 방 법에 있어서, 버스 노선 상에 위치하는 N(N>=2)개의 버스정류장 중 제n(1<=n<=N) 버스정류장에 구비된 제n 버스관제 장치에서 송출하는 무선 주파수 신호를 판독하여 상기 제n 버스관제 장치를 인식하기 위한 제n 버스관제 장치 인식 정보를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메모리부로부터 제n 버스정류장에 구비된 제n 버스관제 장치를 인식하기 위한 제n 버스관제 장치 인식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버스의 노선 운행에 따라 상기 무선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무선 주파수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n 버스관제 장치 인식 정보를 통해 상기 수신된 무선 주파수 신호를 판독하여 제n 버스관제 장치로부터 송출된 무선 주파수 신호를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제n 버스관제 장치로부터 송출된 무선 주파수 신호가 인식되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해 컨텐츠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버스관제 장치와 연계된 컨텐츠 출력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정보통신 기술의 지속적인 발전으로 대중 교통요금은 종래 현금 또는 토큰(승차권)을 통해 교통요금을 지불하는 방식에서 최근 비접촉 IC카드 형태의 교통카드를 통해 교통요금을 결제하는 방식으로 교통요금 지불 방식이 발전하였다.
교통카드를 통해 교통요금을 결제하는 방식은, 상기 교통카드와 교통단말 사이에 비접촉식 카드 인터페이스를 형성하고, 상기 교통단말의 내부 인증절차에 따라 통신망을 통한 서버 승인 없이 상기 교통카드를 통해 교통요금을 지불하는 것을 인증한 후, 상기 인증 결과에 따라 교통요금을 결제하도록 하는 것으로서, 상기 교 통카드는 선불식 교통카드, 후불식 교통카드, 무임 교통카드를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교통카드를 통해 교통요금을 결제하는 승차 고객은, 교통요금 결제 결과 확인을 위해 일시적으로 상기 교통단말을 집중적으로 주시하게 되는데, 상기 교통단말의 LED 출력장치를 통한 교통요금 결제가 승인된 경우, 상기 고객은 비로서 승차를 인정받게 된다.
최근, 정책적으로 상기 교통단말이 구비된 대중교통의 이용을 적극적으로 권장함에 따라, 상기 대중교통수단의 내부를 이용한 광고 노출이 주요한 광고수단의 하나로 부각되고 있으나, 종래의 지면 광고 방식은 승차고객의 특성을 전혀 고려하지 않은 일방향적 광고 제공에 한정되는 문제점을 포함하고 있고, 광고 제공 이외에 다른 용도로는 사용하기 난해한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버스 노선 상에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버스정류장에 구비된 버스관제 장치로부터 송출된 무선 주파수 신호를 수신하는 무선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버스에 승차하는 고객의 교통카드로부터 카드정보를 리딩하는 비접촉 카드리더의 전면에 부착되는 디스플레이장치와, 버스 노선 상에 위치하는 N(N>=2)개의 버스정류장 중 제n(1<=n<=N) 버스정류장에 구비된 제n 버스관제 장치에서 송출하는 무선 주파수 신호를 판독하여 상기 제n 버스관제 장치를 인식하기 위한 제n 버스관제 장치 인식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와, 상기 메모리부로부터 제n 버스정류장에 구비된 제n 버스관제 장치를 인식하기 위한 제n 버스관제 장치 인식 정보를 확인하는 장치 정보 확인부와, 상기 버스의 노선 운행에 따라 상기 무선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무선 주파수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n 버스관제 장치 인식 정보를 통해 상기 수신된 무선 주파수 신호를 판독하여 제n 버스관제 장치로부터 송출된 무선 주파수 신호를 인식하는 장치 인식 처리부 및 상기 제n 버스관제 장치로부터 송출된 무선 주파수 신호가 인식되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해 컨텐츠를 출력하는 컨텐츠 출력부를 구비하는 버스 단말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버스 노선 상에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버스정류장에 구비된 버스관제 장치로부터 송출된 무선 주파수 신호를 수신하는 무선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버스에 승차하는 고객의 교통카드로부터 카드정보를 리딩하는 비접촉 카드리더의 전면에 부착되는 디스플레이장치를 구비한 버스 단말을 통해 컨텐츠를 출력하는 방법은, 버스 노선 상에 위치하는 N(N>=2)개의 버스정류장 중 제n(1<=n<=N) 버스정류장에 구비된 제n 버스관제 장치에서 송출하는 무선 주파수 신호를 판독하여 상기 제n 버스관제 장치를 인식하기 위한 제n 버스관제 장치 인식 정보를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메모리부로부터 제n 버스정류장에 구비된 제n 버스관제 장치를 인식하기 위한 제n 버스관제 장치 인식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버스 의 노선 운행에 따라 상기 무선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무선 주파수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n 버스관제 장치 인식 정보를 통해 상기 수신된 무선 주파수 신호를 판독하여 제n 버스관제 장치로부터 송출된 무선 주파수 신호를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제n 버스관제 장치로부터 송출된 무선 주파수 신호가 인식되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해 컨텐츠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버스관제 장치와 연계된 컨텐츠 출력 방법은, 상기 제n 버스관제 장치 인식 정보와, 상기 제n 버스관제 장치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맞춤형 컨텐츠를 연계하여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제n 버스관제 장치로부터 송출된 무선 주파수 신호가 인식되면, 상기 메모리부로부터 상기 인식된 제n 버스관제 장치와 연계된 하나 이상의 맞춤형 컨텐츠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버스관제 장치와 연계된 컨텐츠 출력 방법은, 상기 버스의 노선 운행에 따라 상기 인식된 제n 무선 주파수 신호가 더 이상 인식되지 않으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해 상기 컨텐츠를 출력하는 것을 초기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버스관제 장치와 연계된 컨텐츠 출력 방법은, 상기 버스의 노선 운행에 따라 상기 인식된 제1 무선 주파수 신호가 더 이상 인식되지 않으면, 상기 메모리부로부터 제(n+1) 버스정류장에 구비된 제(n+1) 버스관제 장치를 인식하기 위한 제(n+1)버스관제 장치 인식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버스관제 장치와 연계된 컨텐츠 출력 방법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해 출력 가능한 광고 컨텐츠, 복권 컨텐츠, 이벤트 컨텐츠, 경품 컨텐츠를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전술한 버스관제 장치와 연계된 컨텐츠 출력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버스 단말은, 버스 노선 상에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버스정류장에 구비된 버스관제 장치로부터 송출된 무선 주파수 신호를 수신하는 무선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버스에 승차하는 고객의 교통카드로부터 카드정보를 리딩하는 비접촉 카드리더의 전면에 부착되는 디스플레이장치와, 버스 노선 상에 위치하는 N(N>=2)개의 버스정류장 중 제n(1<=n<=N) 버스정류장에 구비된 제n 버스관제 장치에서 송출하는 무선 주파수 신호를 판독하여 상기 제n 버스관제 장치를 인식하기 위한 제n 버스관제 장치 인식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와, 상기 메모리부로부터 제n 버스정류장에 구비된 제n 버스관제 장치를 인식하기 위한 제n 버스관제 장 치 인식 정보를 확인하는 장치 정보 확인부와, 상기 버스의 노선 운행에 따라 상기 무선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무선 주파수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n 버스관제 장치 인식 정보를 통해 상기 수신된 무선 주파수 신호를 판독하여 제n 버스관제 장치로부터 송출된 무선 주파수 신호를 인식하는 장치 인식 처리부 및 상기 제n 버스관제 장치로부터 송출된 무선 주파수 신호가 인식되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해 컨텐츠를 출력하는 컨텐츠 출력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과 설명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에 도시되는 도면과 후술되는 설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대한 것이며, 본 발명이 하기의 도면과 설명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에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이하 실시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본 발명을 이루는 기술적 구성요소를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각각의 시스템 기능구성에 기 구비되어 있거 나,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구비되는 시스템 기능구성은 가능한 생략하고, 본 발명을 위해 추가적으로 구비되어야 하는 기능구성을 위주로 설명한다. 만약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에 도시하지 않고 생략된 기능구성 중에서 종래에 기 사용되고 있는 구성요소의 기능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며, 또한 상기와 같이 생략된 구성요소와 본 발명을 위해 추가된 구성요소 사이의 관계도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하 실시예는 본 발명의 핵심적인 기술적 특징을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용어를 적절하게 변형, 또는 통합, 또는 분리하여 사용할 것이나,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니다.
예컨대, 이하 실시예는 버스 승차단말의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해 출력 가능한 광고 컨텐츠, 복권 컨텐츠, 이벤트 컨텐츠, 경품 컨텐츠 증, 광고 컨텐츠를 그 대상으로 하여 본원의 기술적 특징을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에서 버스 승차단말의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해 출력 가능한 컨텐츠가 상기 광고 컨텐츠로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니며, 당업자의 의도에 따라 상기 광고 컨텐츠는 물론, 복권 컨텐츠, 이벤트 컨텐츠, 경품 컨텐츠 이외에 모든 종류의 용도 별 비디오 컨텐츠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함을 명벡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면1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버스관제 장치와 연계된 광고 컨텐츠를 출력하는 승차단말(100)의 기능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1은 기 설정된 버스 노선을 따라 운행하는 버스의 운전석 근처에 구비되며, 상기 버스의 전문의 개폐 센서와 연계하여 승차 고객의 승차 관리 및 승차 고객의 교통카드(예컨대, 선불식 교통카드, 후불식 교통카드, 무임 교통카드 등)를 통한 교통요금을 결제 처리를 수행하고, 상기 버스의 후문에 구비된 개폐 센서 및 상기 버스 내 구비된 하나 이상의 하차버튼 및 하차단말(157)과 연계하여 하차 고객의 하차 관리 기능을 수행하는 승차단말(100)에 버스관제 장치와 연계된 광고 컨텐츠를 출력하도록 처리하는 기능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1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버스관제 장치와 연계된 광고 컨텐츠를 출력하는 승차단말(100)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 본 도면1의 광고 컨텐츠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당업자의 의도에 따라 상기 광고 컨텐츠는 물론, 복권 컨텐츠, 이벤트 컨텐츠, 경품 컨텐츠 이외에 모든 종류의 용도 별 비디오 컨텐츠를 포함하는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명백하게 가능함 을 밝혀두는 바이다.
예컨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도면1에 도시된 버스 승차단말의 기술구성을 참조하여, 버스 하차단말에 버스관제 장치와 연계된 광고 컨텐츠를 출력하도록 처리하는 기능 구성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며, 본 발명의 버스 단말은 상기 버스 승차단말과 버스 하차단말을 모두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버스관제 장치와 연계된 광고 컨텐츠를 출력하는 승차단말(100)은, 상기 승차단말(100)의 전체 동작 기능 및 상기 버스관제 장치와 연계된 컨텐츠 출력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부(105)와, 및 승차 고객의 교통카드(예컨대, 선불식 교통카드, 후불식 교통카드, 무임 교통카드 등)를 통해 교통요금을 결제하기 위한 비접촉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비접촉 카드 인터페이스부(110)와, 상기 승차단말(100) 운영 및 상기 버스관제 장치와 연계된 컨텐츠 출력 기능을 제어를 위해 필요한 정보(또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부(163)와, 상기 승차단말(100) 운영에 필요한 운전자 조작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운전자 조작부(135)와, 상기 승차단말(100) 운영 과정에서 출력되는 정보(또는 메시지)를 출력하는 정보 출력부(125) 및 사운드 출력부(130)와, 상기 버스 내 구비된 전문/후문에 구비된 개폐 센서로부터 전문/후문 개폐 센싱 정보를 센싱하는 출입문 개폐 센서부(150)와, 상기 버스 내 구비된 하나 이상의 하차 버튼으로부터 하차요청 센싱 정보를 센 싱하는 하차요청 센서부(153)와, 상기 교통요금 결제를 위한 보안응용 기능을 제공하는 보안응용모듈(160)(Secure Application Module; SAM) 및 상기 승차단말(100)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당업자의 의도에 따른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 기능부(도시생략)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승차단말(100)은, 상기 승차단말(100)과 후문 근처에 구비된 하차단말(157) 간 데이터 통신 인터페이스를 연결하는 승하차 인터페이스부(155)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당업자의 의도에 따라 상기 승하차 인터페이스부(155)는 생략 가능하다.
또한, 상기 승차단말(100)은, 상기 버스관제 장치와 연계된 광고 컨텐츠를 출력을 위해, 상기 비접촉 카드 인터페이스부(110)의 전면(즉, 승차 고객이 승차하는 전문 입구 방향)에 부착되는 디스플레이장치(115)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115)를 통해 화면출력 정보를 출력하는 화면 출력부(120)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승차단말(100)은, 상기 버스관제 장치와 연계된 광고 컨텐츠를 출력을 위해, 버스 노선 상에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버스정류장에 구비된 버스관제 장치에서 송출하는 무선 주파수 신호를 수신하는 무선 인터페이스부(145)를 구비하 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105)는, 기능 구성 상 승차단말(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각 구성요소 간 정보 또는 데이터의 흐름을 관리하며, 상기 버스관제 장치와 연계된 광고 컨텐츠를 출력하기 위해 승차단말(100)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를 상호 연동 및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하드웨어적으로 CPU(Central Processing Unit)/MPU(Micro Processing Unit)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와 실행 메모리(예컨대, 레지스터 및/또는 RAM(Random Access Memory)) 및 데이터를 입출력하는 버스(BUS)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소프트웨어적으로 승차단말(100) 특유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승차단말(100)에 구비된 기록매체로부터 상기 실행 메모리로 로딩(Loading)되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연산 처리되는 프로그램 루틴(Routine) 또는 프로그램 데이터를 포함(따라서, 상기 버스관제 장치와 연계된 광고 컨텐츠를 출력하기 위해 상기 승차단말(100)에 구비된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및/또는 상기 승차단말(100)에 구비되는 기능구성 중에서 소프트웨어적으로 처리가 가능한 구성요소를 본 제어부(105) 내에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105)는 상기 승차단말(100)에 구비되는 구성요소를 상호 연동하여 상기 승차단말(100)에 구비된 교통요금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제어 및 관리함은 물론, 상기 버스관제 장치와 연계된 광 고 컨텐츠를 출력하기 위해 상기 승차단말(100)에 구비되는 상기 구성요소를 상호 연동하여 제어하거나, 또는 상기 승차단말(100)에 구비된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메모리부(163)는, 승차단말(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 루틴(또는 코드) 또는 프로그램 데이터(예컨대, 상기 프로그램 루틴(또는 코드)에 입출력되는 정보(또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비휘발성 메모리의 총칭으로서,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FM(Flash Memory), HDD(Hard Disk Drive)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저장수단의 기능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어부(105)의 제어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요구되는 프로그램 루틴 또는 프로그램 데이터가 저장하는 기록매체의 기능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메모리부(163)는 상기 교통카드가 선불식 충전형 교통카드이고, 상기 선불식 충전형 교통카드를 통해 교통요금이 결제된 경우, 상기 선불식 충전형 교통카드 정보와 교통요금 정보 및 교통요금 결제일시 정보를 하나 이상 연계하여 저장하는 선불식 결제내역 저장영역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메모리부(163)는 상기 교통카드가 후불식 교통카드이고, 상기 후 불식 교통카드를 통해 교통요금이 결제된 경우, 상기 후불식 교통카드 정보와 교통요금 정보를 연계하여 저장하는 후불식 결제정보 저장영역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메모리부(163)는 상기 교통카드가 무임 교통카드이고, 상기 무임 교통카드를 통해 교통요금이 결제된 경우, 상기 무임 교통카드 정보와 교통요금 정보를 연계하여 저장하는 무임 결제정보 저장영역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메모리부(163)는 교통요금을 결제할 수 없는 하나 이상의 교통카드 정보를 저장하는 BL(Black List) 저장영역(도시생략), 또는 교통요금을 결제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교통카드 정보를 저장하는 PL(Positive List) 저장영역(도시생략)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메모리부(163)는 버스 노선 상에 위치하는 N(N>=2)개의 버스정류장 중 제n(1<=n<=N) 버스정류장에 구비된 제n 버스관제 장치에서 송출하는 무선 주파수 신호를 판독하여 상기 제n 버스관제 장치를 인식하기 위한 제n 버스관제 장치 인식 정보를 N개의 버스관제 장치 별로 분류하여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제n 버스관제 장치가 무선 주파수 신호를 송출하는 송신기이거나, 또는 무선 주파수 신호를 송출 및 수신하는 송수신기인경우, 상기 제n 버스관제 장치 인식 정보는 상기 제n 버스관제 장치에서 송출하는 무선 주파수 신호를 수신 및 복조하여 생성되는 신호 데이터 중 상기 제n 버스관제 장치를 식별할 수 있는 고유한 인식 값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제n 버스관제 장치가 무선 주파수 신호에 반응하여 응답 신호를 송출하는 수신기이거나, 또는 무선 주파수 신호를 송출 및 수신하는 송수신기인경우, 상기 제n 버스관제 장치 인식 정보는 상기 제n 버스관제 장치에서 응답 신호를 포함하여 송출하는 무선 주파수 신호를 수신 및 복조하여 생성되는 신호 데이터 중 상기 제n 버스관제 장치를 식별할 수 있는 고유한 인식 값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메모리부(163)는 상기 제n 버스관제 장치가 인식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장치(115)를 통해 출력할 하나 이상의 광고 컨텐츠를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메모리부(163)는 상기 제n 버스관제 장치 인식 정보와 상기 제n 버스관제 장치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맞춤형 광고 컨텐츠를 연계하여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맞춤형 광고 컨텐츠는, 상기 제n 버스관제 장치가 구비된 제n 버스정류장에서 승차하는 고객을 주요 광고 대상 고객으로 하는 광고 컨텐츠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제n 버스정류장이 중.고등학교 근처인 경우, 상기 맞춤형 광고 컨텐츠는 중.고등학생을 주요 광고 대상으로 하는 학원 내지 학습교재(또는 부교재) 관련 광고 컨텐츠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제n 버스정류장이 주택가 또는 아파트 밀집 지역인 경우, 상기 맞춤형 광고 컨텐츠는 상기 주택가 또는 아파트 근처의 지역 광고 컨텐츠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제n 버스관제 장치 인식 정보와, 상기 제n 버스관제 장치와 연계된 하나 이상의 광고 컨텐츠(또는 맞춤형 광고 컨텐츠)는, 상기 버스의 운행 전 상기 버스에 상기 승차단말(100)이 탑재(또는 운행 설정)되기 전에 통신망(또는 이동식 저장장치)를 통해 상기 메모리부(163)에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비접촉 카드 인터페이스부(110)는, 금융IC칩과 안테나를 구비하여 이루 어진 선불식 교통카드, 후불식 교통카드, 무임 교통카드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교통카드와 비접촉식 카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비접촉 카드 인터페이스부(110)는 ISO/IEC 14443을 포함하는 비접촉 IC카드 규격에 근거하는 비접촉 인터페이스부로서, 정전결합(Capacitive Coupling) 또는 전자유도(Inductive Coupling) 등을 이용하여 교통카드와 비접촉식으로 전기적 접점을 이루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안테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안테나를 통해 상기 교통카드의 IC칩으로 전원을 공급하고, 반이중(Half Duplex) 방식의 트랜잭션을 통해 상기 IC칩으로부터 교통요금 결제에 필요한 정보(또는 데이터)를 리딩하거나, 상기 교통요금 결제에 대응하는 정보(또는 데이터)를 상기 교통카드에 반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비접촉 카드 인터페이스부(110)의 카드 인터페이스 동작은 보안응용모듈(160)에 의해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비접촉 카드 인터페이스부(110)는 상기 교통카드로부터 교통요금 결제를 위한 교통카드 정보를 리딩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교통카드에 가치가 충전된 경우, 상기 교통카드로부터 상기 교통요금에 대응하는 가치를 차감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운전자 조작부(135)는, 운전자 출력장치와 운전자 입력장치를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운전자 출력장치를 통해 운전자 입력에 필요한 하나 이상의 인터페이스 화면을 출력하고,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을 기반으로 운전자 입력장치로부터 입력되는 정보(또는 신호)를 검출하고, 상기 제어부(105)에 의해 제어되는 상기 승차단말(100)의 특정 운전자 입력모드에서 상기 운전자 입력장치에 구비된 키 버튼으로부터 정보(또는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정보(또는 신호)에 대응하는 키 이벤트를 발생하고, 상기 발생된 키 이벤트를 상기 제어부(105)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운전자 조작부(135)는 상기 승차단말(100)에 구비된 교통요금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에서 운전자 조작이 필요한 인터페이스 화면을 출력하고, 상기 운전자로부터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에 대응하는 운전자 입력 정보를 입력 처리하여 상기 제어부(105)로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정보 출력부(125)는, 상기 승차단말(100)에 구비된 교통요금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에서 고객에게 출력할 하나 이상의 고객 출력 정보(또는 메시지)가 확인(또는 생성)되면, 상기 확인(또는 생성)된 고객 출력 정보(또는 메시지)를 LED 출력장치를 통해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사운드 출력부(130)는 상기 확인(또는 생성)된 고객 출력 정보(또는 메시지)를 스피커를 통해 음성 출력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출입문 개폐 센서부(150)는, 상기 버스 내 구비된 전문에 구비된 개폐 센서로부터 전문 개폐 여부에 대응하는 전문 개폐 센싱 정보를 센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전문 개폐 센싱 정보를 상기 운전자 조작부(135)를 통해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출입문 개폐 센서부(150)는, 상기 버스 내 구비된 후문에 구비된 개폐 센서로부터 후문 개폐 여부에 대응하는 후문 개폐 센싱 정보를 센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후문 개폐 센싱 정보를 상기 운전자 조작부(135)를 통해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차요청 센서부(153)는, 상기 버스 내 구비된 하나 이상의 하차 버튼으로부터 하차요청 센싱 정보를 센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하차요청 센싱 정보를 상기 운전자 조작부(135)를 통해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안응용모듈(160)(Secure Application Module; SAM)은 상기 승차단말(100)이 상기 교통카드를 이용한 교통요금 결제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요구되는 기밀성(Confidentiality), 인증(Authentication), 무결성(Integrity) 및 부인방지(Nonrepudiation) 등을 포함하는 보안 요구사항을 통신망 상의 서버 인증을 이용 하지 않고 상기 승차단말(100) 내에서 안전하고 신뢰 가능한 구조로 수행하기 위한 안전장치로서, 상기 승차단말(100)이 보안 요구 기능(예컨대, 교통요금 결제 기능)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처리되는 메시지(예컨대, 정보 또는 데이터)를 암호화하거나 복호화하고, 상기 메시지의 위조(또는 변조)를 방지하는 인증자를 부가하거나, 또는 상기 보안 요구 기능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중요한 핵심정보를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상기 보안응용모듈(160)은 보안응용모듈(160) 삽입기와 보안응용모듈(160) 칩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안응용모듈(160) 칩은 적어도 8비트 이상의 CPU를 내장한 칩으로서 2MIPS(Million Instructions Per Second) 이상의 성능을 갖춘 주문형 반도체(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칩(예컨대, PLCC 44핀 칩) 및/또는 IC칩(예컨대, SIM(Subscriber Identity Module) 형태의 IC카드)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보안응용모듈(160)은 상기 승차단말(100)이 보안 요구 기능을 수행하는데 요구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안응용 데이터(예컨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식별자, 버전, 만기일, 발급일, 코드값 등) 및/또는 키(예컨대, 하나의 마스터 키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 키) 및/또는 프로토콜(예컨대, 거래 프로토콜, 재거래 프로토콜, 직전 거래 취소 프로토콜, 수집 프로토콜, SAM 발급 프로토콜, (전자화폐사/카드사)등록 프로토콜, 권한 획득 프로토콜, 모드 전환 프로토콜, 키 다운로드 프로토콜, SAM 폐기 프로토콜) 및/또는 명령(예컨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읽기/인증/전송/등록/설정/모드전환/수집/삭제/폐기/초기화/재처리/취소 명령)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디스플레이장치(115)는, 비트맵 형태의 화상/영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출력장치의 총칭으로서, LCD(Liquid Crystal Display) 장치, PDP(Plasma Display Panel) 장치,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장치를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비접촉 카드 인터페이스부(110)의 전면에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화면 출력부(120)는, 상기 버스관제 장치와 연계된 광고 컨텐츠를 출력하기 위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115)로 출력되도록 미리 정의되거나 또는 실시간 정의되는 화면출력 정보 내지 각종 인터페이스 화면을 비트맵 형태의 화상/영상 데이터로 처리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장치(115)를 통해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화면출력 정보는, 제n 버스관제 장치로부터 송출되는 무선 주파수 신호가 인식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장치(115)를 통해 출력할 하나 이상의 광고 컨텐츠, 또는 제n 버스관제 장치 인식 정보와 연계된 하나 이상의 맞춤형 광고 컨텐츠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무선 인터페이스부(145)는, 상기 버스관제 장치와 연계된 광고 컨텐츠를 출력하기 위해, 버스 노선 상에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버스정류장에 구비된 버스관제 장치와 무선 주파수 신호를 송수신하거나, 또는 상기 버스관제 장치로부터 송출되는 무선 주파수 신호를 검출하는 장치로서, 상기 버스관제 장치로부터 송출되는 주파수 대역의 무선 주파수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무선 주파수 신호를 복조하여 수신 신호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제어부(105)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만약 상기 무선 인터페이스부(145)가 상기 버스관제 장치와 무선 주파수 신호를 송수신하는 경우, 상기 무선 인터페이스부(145)는 상기 제어부(105)에 의해 생성되는 송신 신호 데이터를 확인하고, 상기 송신 신호 데이터를 변조하여 상기 버스관제 장치로 송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승차단말(100)은, 상기 비접촉 카드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해 상기 고객의 교통카드로부터 교통요금 결제를 위한 교통카드 정보를 리딩하고, 상기 교통카드를 통해 결제할 교통요금 정보를 산출(또는 확인)하고, 상기 교통카드를 통해 상기 교통요금을 결제 처리하는 교통요금 결제부(165)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교통요금 결제부(165)는 상기 비접촉 카드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해 상기 고객의 교통카드로부터 교통요금 결제를 위한 교통카드 정보를 리딩하고, 상기 리딩된 교통카드 정보를 판독하여 상기 교통카드가 선불식 충전형 교통카드인지, 또는 후불식 교통카드인지, 또는 무임 교통카드인지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만약 상기 메모리부(163)에 BL 저장영역 또는 PL 저장영역이 구비된 경우, 상기 교통요금 결제부(165)는 상기 리딩된 교통카드 정보가 상기 BL 저장영역에 포함되어 있는지, 또는 상기 PL 저장영역에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만약 상기 BL 저장영역에 상기 리딩된 교통카드 정보가 저장된 경우, 상기 교통요금 결제부(165)는 상기 정보 출력부(125)와 사운드 출력부(130)를 통해 교통요금 결제오류 정보(메시지)를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교통카드가 선불식 충전형 교통카드인 경우, 상기 교통요금 결제부(165)는, 상기 교통카드를 통해 결제할 교통요금 정보를 산출(또는 확인)하고, 상기 비접촉 카드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해 상기 교통카드에 충전된 가치 중 상기 교통요금 정보에 대응하는 가치를 차감함으로써, 상기 교통요금을 결제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선불식 충전형 교통카드 정보와 교통요금 정보 및 교통요금 결제일시 정보를 하나 이상 연계하여 상기 메모리부(163)에 구비된 선불식 결제내역 저장영역에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교통카드가 후불식 교통카드인 경우, 상기 교통요금 결제부(165)는, 상기 교통카드를 통해 결제할 교통요금 정보를 산출(또는 확인)하고, 상기 교통카드 정보와 교통요금 정보를 연계하여 상기 메모리부(163)에 구비된 후불식 결제정보 저장영역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후 상기 후불식 결제정보 저장영역에 저장된 후불식 교통카드 정보와 교통요금 정보는 상기 후불식 교통카드를 발급한 카드사로 제공되어 상기 교통요금을 후불로 정산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교통카드가 무임 교통카드인 경우, 상기 교통요금 결제부(165)는, 상기 교통카드를 통해 결제할 교통요금 정보를 산출(또는 확인)하고, 상기 교통카드 정보와 교통요금 정보를 연계하여 상기 메모리부(163)에 구비된 무임 결제정보 저장영역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후 상기 무임 결제정보 저장영역에 저장된 무임 교통카드 정보와 교통요금 정보는 상기 무임 교통카드를 발급한 카드사(또는 금융사)로 제공되어 상기 교통요금을 무임으로 정산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승차단말(100)은, 상기 버스의 노선 운행이 개시되면, 상기 버스관제 장치와 연계된 광고 컨텐츠를 출력하기 위해, 상기 버스 노선 상에 위치하는 제1 버스정류장에 구비된 제1 버스관제 장치에서 제N 버스정류장에 구비된 제N 버스관제 장치 중, 상기 버스가 정차할 제n(1<=n<=N) 버스정류장에 구 비된 제n 버스관제 장치를 인식하기 위한 제n 버스관제 장치 인식 정보를 상기 메모리부(163)로부터 확인하는 장치 정보 확인부(167)와, 상기 버스의 노선 운행에 따라 상기 무선 인터페이스부(145)를 통해 제n 버스관제 장치에서 송출하는 주파수 대역의 무선 주파수 신호를 주기적으로 수신하고, 상기 제n 버스관제 장치 인식 정보를 통해 상기 수신된 무선 주파수 신호를 판독하여 제n 버스관제 장치로부터 송출된 무선 주파수 신호를 인식하는 장치 인식 처리부(170)와, 상기 제n 버스관제 장치가 인식되면, 상기 메모리부(163)로부터 상기 제n 버스관제 장치와 연계된 광고 컨텐츠(또는 맞춤형 광고 컨텐츠)를 확인하는 컨텐츠 확인부(175)와, 상기 화면 출력부(120)와 연계하여 상기 확인된 광고 컨텐츠(또는 맞춤형 광고 컨텐츠)를 상기 디스플레이장치(115)를 통해 출력하는 컨텐츠 출력부(180)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승차단말(100)은, 상기 출입문 개폐 센서부(150)와 연계하여 승차고객이 승차한 버스의 전문이 닫히는지 확인하고, 상기 버스의 전문이 닫힌 후 상기 버스의 노선 운행에 따라 상기 제n 버스관제 장치로부터 송출되는 무선 주파수 신호가 더 이상 인식되지 않는지 확인하는 장치 인식 확인부(185)와, 상기 제n 버스관제 장치로부터 송출되는 무선 주파수 신호가 더 이상 인식되지 않으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115)를 통해 상기 제n 버스관제 장치와 연계된 광고 컨텐츠(또는 맞춤형 광고 컨텐츠)를 출력하는 것을 초기화하는 컨텐츠 초기화부(190)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장치 인식 확인부(185)를 통해 상기 제n 버스관제 장치로부터 송출되는 무선 주파수 신호가 더 이상 인식되지 않으면, 상기 장치 정보 확인부(167)는 상기 버스 노선 상에 위치하는 제1 버스정류장에 구비된 제1 버스관제 장치에서 제N 버스정류장에 구비된 제N 버스관제 장치 중, 상기 버스가 제n 버스정류장의 다음 버스정류장인 제(n+1) 버스정류장에 구비된 제(n+1) 버스관제 장치를 인식하기 위한 제(n+1) 버스관제 장치 인식 정보를 인식 대상 버스관제 장치 인식 정보로 결정하고, 상기 메모리부(163)로부터 상기 제(n+1) 버스관제 장치 인식 정보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장치 인식 처리부(170)는, 제(n+1) 버스관제 장치로부터 송출된 무선 주파수 신호를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컨텐츠 확인부(175)는, 상기 메모리부(163)로부터 상기 제(n+1) 버스관제 장치와 연계된 광고 컨텐츠(또는 맞춤형 광고 컨텐츠)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컨텐츠 출력부(180)는, 상기 제(n+1) 버스관제 장치와 연계된 광고 컨텐츠(또는 맞춤형 광고 컨텐츠)를 상기 디스플레이장치(115)를 통해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승차단말(100)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115)를 통해 상기 제n 버스관제 장치와 연계된 광고 컨텐츠(또는 맞춤형 광고 컨텐츠)를 출력한 후 제(n+1) 버스관제 장치와 연계된 광고 컨텐츠(또는 맞춤형 광고 컨텐츠)를 순차적으로 출력하는 것을 제어하는 컨텐츠 출력 제어부(195)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승차단말(100)의 메모리부(163)에 상기 제1 버스정류장에 구비된 제1 버스관제 장치에서 제N 버스정류장에 구비된 제N 버스관제 장치에 대응하는 복수의 버스관제 장치 인식 정보와, 상기 버스관제 장치와 연계된 복수의 광고 컨텐츠(또는 맞춤형 광고 컨텐츠)가 저장된 후, 상기 버스의 노선 운행이 개시되면, 상기 장치 정보 확인부(167)는, 상기 버스 노선 상에 위치하는 제1 버스정류장에 구비된 제1 버스관제 장치에서 제N 버스정류장에 구비된 제N 버스관제 장치 중, 상기 버스 노선으로부터 상기 버스가 정차할 제n(1<=n<=N) 버스정류장(또는 제n 버스관제 장치)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제n 버스관제 장치를 인식하기 위한 제n 버스관제 장치 인식 정보를 상기 메모리부(163)로부터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위한 제n 버스관제 장치 인식 정보가 확인되면, 상기 장치 인식 처리부(170)는, 상기 버스의 노선 운행에 따라 상기 무선 인터페이스부(145)를 통해 제n 버스관제 장치에서 송출하는 주파수 대역의 무선 주파수 신호를 주기적으로 검출 및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무선 주파수 신호로부터 복조된 신호 데이터와 상기 제n 버스관제 장치 인식 정보를 비교 및 분석하여 제n 버스관제 장치로부터 송출된 무선 주파수 신호를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제n 버스관제 장치가 무선 주파수 신호를 송출하는 송신기이거나, 또는 무선 주파수 신호를 송출 및 수신하는 송수신기인경우, 상기 장치 인식 처리부(170)는 상기 무선 인터페이스부(145)를 통해 상기 제n 버스관제 장치에서 송출하는 무선 주파수 신호를 수신 및 복조하여 생성되는 신 호 데이터와 상기 제n 버스관제 장치 인식 정보를 비교 및 분석하여 제n 버스관제 장치로부터 송출된 무선 주파수 신호를 인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제n 버스관제 장치가 무선 주파수 신호에 반응하여 응답 신호를 송출하는 수신기이거나, 또는 무선 주파수 신호를 송출 및 수신하는 송수신기인경우, 상기 장치 인식 처리부(170)는 상기 무선 인터페이스부(145)를 통해 상기 제n 버스관제 장치에서 응답 신호를 포함하여 송출하는 무선 주파수 신호를 수신 및 복조하여 생성되는 신호 데이터와 상기 제n 버스관제 장치 인식 정보를 비교 및 분석하여 제n 버스관제 장치로부터 송출된 무선 주파수 신호를 인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n 버스관제 장치가 인식되면, 상기 컨텐츠 확인부(175)는, 상기 메모리부(163)로부터 상기 제n 버스관제 장치와 연계된 광고 컨텐츠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만약 상기 메모리부(163)에 상기 제n 버스관제 장치 인식 정보와 연계된 맞춤형 광고 컨텐츠가 저장된 경우, 상기 컨텐츠 확인부(175)는 상기 맞춤형 광고 컨텐츠를 더 우선적으로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n 버스관제 장치와 연계된 광고 컨텐츠(또는 맞춤형 광고 컨텐츠)가 확인되면, 상기 컨텐츠 출력부(180)는 상기 출입문 개폐 센서부(150)와 연계하여 승차고객이 승차하는 버스의 전문이 열리는지 확인하고, 상기 버스의 전문이 열기 지 전(또는 전문 열림과 동시에) 상기 화면 출력부(120)와 연계하여 상기 확인된 광고 컨텐츠(또는 맞춤형 광고 컨텐츠)를 상기 디스플레이장치(115)를 통해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디스플레이장치(115)를 통해 광고 컨텐츠(또는 맞춤형 광고 컨텐츠)가 출력되면, 상기 장치 인식 확인부(185)는, 상기 출입문 개폐 센서부(150)와 연계하여 승차고객이 승차한 버스의 전문이 닫히는지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만약 상기 버스의 전문이 닫힌 후 상기 버스의 노선 운행이 개시되면, 상기 버스가 상기 제n 버스관제 장치의 주파수 도달 범위를 벗어나 제n 버스관제 장치로부터 송출되는 무선 주파수 신호가 더 이상 인식되지 않는지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만약 상기 제n 버스관제 장치로부터 송출되는 무선 주파수 신호가 더 이상 인식되지 않으면, 상기 컨텐츠 초기화부(190)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115)를 통해 상기 제n 버스관제 장치와 연계된 광고 컨텐츠(또는 맞춤형 광고 컨텐츠)를 출력하는 것을 초기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당업자의 의도에 따라 상기 컨텐츠 초기화부(190)는 생략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n 버스관제 장치로부터 송출되는 무선 주파수 신호가 더 이상 인식되지 않으면, 상기 장치 정보 확인부(167)는 상기 버스 노선 상에 위치하는 제1 버스정류장에 구비된 제1 버스관제 장치에서 제N 버스정류장에 구비된 제N 버스 관제 장치 중, 상기 버스가 제n 버스정류장의 다음 버스정류장인 제(n+1) 버스정류장에 구비된 제(n+1) 버스관제 장치를 인식하기 위한 제(n+1) 버스관제 장치 인식 정보를 인식 대상 버스관제 장치 인식 정보로 결정하고, 상기 메모리부(163)로부터 상기 제(n+1) 버스관제 장치 인식 정보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장치 인식 처리부(170)는, 제(n+1) 버스관제 장치로부터 송출된 무선 주파수 신호를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컨텐츠 확인부(175)는, 상기 메모리부(163)로부터 상기 제(n+1) 버스관제 장치와 연계된 광고 컨텐츠(또는 맞춤형 광고 컨텐츠)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컨텐츠 출력부(180)는, 상기 제(n+1) 버스관제 장치와 연계된 광고 컨텐츠(또는 맞춤형 광고 컨텐츠)를 상기 디스플레이장치(115)를 통해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컨텐츠 출력 제어부(195)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115)를 통해 상기 제n 버스관제 장치와 연계된 광고 컨텐츠(또는 맞춤형 광고 컨텐츠)를 출력한 후 제(n+1) 버스관제 장치와 연계된 광고 컨텐츠(또는 맞춤형 광고 컨텐츠)를 순차적으로 출력하는 것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컨텐츠 출력 제어부(195)는 상기 장치 정보 확인부(167)를 통해 상기 제n 버스관제 장치 인식 정보가 확인된 후 상기 제n 버스관제 장치와 연계된 광고 컨텐츠(또는 맞춤형 광고 컨텐츠)를 상기 디스플레이장치(115)에 출력하지 않고 상기 버스가 제n 버스정류장을 지나친 경우, 상기 장치 인식 처리부(170)를 통해 제n 버스관제 장치로부터 송출되는 무선 주파수 신호가 더 이상 인식되지 않으면, 상기 장치 정보 확인부(167)를 통해 상기 제(n+1) 버스 관제 장치 인식 정보를 자동 확인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컨텐츠 출력 제어부(195)는 일시적 노선 변경(예컨대, 천재지변, 시위 등)에 대응하여 상기 장치 인식 처리부(170)를 통해 상기 제n 버스관제 장치 인식 정보에 대응하는 무선 주파수 신호 이외에 제(n+1) 내지 제N 버스관제 장치 인식 정보에 대응하는 무선 주파수 신호가 인식되는지 주기적으로 확인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상기 디스플레이장치(115)를 통해 상기 버스가 정차하는 버스정류장에 구비된 버스관제 장치와 연계된 광고 컨텐츠(또는 맞춤형 광고 컨텐츠)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2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승차단말(100)에 구비된 디스플레이장치(115)를 통해 출력할 광고 컨텐츠(또는 맞춤형 광고 컨텐츠)를 확인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2는 상기 버스 노선 상에 위치하는 제1 버스정류장에 구비된 제1 버스관제 장치에서 제N 버스정류장에 구비된 제N 버스관제 장치 중, 상기 버스가 정차할 제n(1<=n<=N) 버스정류장에 구비된 제n 버스관제 장치와 연계된 광고 컨텐츠(또는 맞춤형 광고 컨텐츠)를 확인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2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광고 컨텐츠(또는 맞춤형 광고 컨텐츠) 확인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2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2를 참조하면, 상기 승차단말(100)의 메모리부(163)에 상기 제1 버스정류장에 구비된 제1 버스관제 장치에서 제N 버스정류장에 구비된 제N 버스관제 장치에 대응하는 복수의 버스관제 장치 인식 정보와, 상기 버스관제 장치와 연계된 복수의 광고 컨텐츠(또는 맞춤형 광고 컨텐츠)가 저장된 후, 상기 버스의 노선 운행이 개시되면, 상기 승차단말(100)은 상기 버스 노선 상에 위치하는 제1 버스정류장에 구비된 제1 버스관제 장치에서 제N 버스정류장에 구비된 제N 버스관제 장치 중, 상기 버스 노선으로부터 상기 버스가 정차할 제n(1<=n<=N) 버스정류장에 구비된 제n 버스관제 장치를 인식 대상 제n 버스관제 장치로 결정하고(200), 상기 결정된 제n 버스관제 장치를 인식하기 위한 제n 버스관제 장치 인식 정보를 상기 메모리부(163)로부터 확인한다(205).
예컨대, 상기 제n 버스관제 장치가 무선 주파수 신호를 송출하는 송신기이거나, 또는 무선 주파수 신호를 송출 및 수신하는 송수신기인경우, 상기 제n 버스관제 장치 인식 정보는 상기 제n 버스관제 장치에서 송출하는 무선 주파수 신호를 수신 및 복조하여 생성되는 신호 데이터 중 상기 제n 버스관제 장치를 식별할 수 있는 고유한 인식 값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제n 버스관제 장치가 무선 주파수 신호에 반응하여 응답 신호를 송출하는 수신기이거나, 또는 무선 주파수 신호를 송출 및 수신하는 송수신기인경우, 상기 제n 버스관제 장치 인식 정보는 상기 제n 버스관제 장치에서 응답 신호를 포함하여 송출하는 무선 주파수 신호를 수신 및 복조하여 생성되는 신호 데이터 중 상기 제n 버스관제 장치를 식별할 수 있는 고유한 인식 값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인식 대상 제n 버스관제 장치에 대응하는 제n 버스관제 장치 인식 정보가 확인되면(210), 상기 승차단말(100)은 상기 버스의 노선 운행에 따라 제n 버스관제 장치에서 송출하는 주파수 대역의 무선 주파수 신호를 주기적으로 검출하고(215), 만약 상기 제n 버스관제 장치에서 송출하는 무선 주파수 신호가 검출되면(220), 상기 승차단말(100)은 상기 검출된 무선 주파수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무선 주파수 신호로부터 복조된 신호 데이터와 상기 제n 버스관제 장치 인식 정보를 비교 및 분석하여 제n 버스관제 장치로부터 송출된 무선 주파수 신호를 인식한다(225).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제n 버스관제 장치가 무선 주파수 신호를 송출하는 송신기이거나, 또는 무선 주파수 신호를 송출 및 수신하는 송수신기인경우, 상기 승차단말(100)은 상기 무선 인터페이스부(145)를 통해 상기 제n 버스관 제 장치에서 송출하는 무선 주파수 신호를 수신 및 복조하여 생성되는 신호 데이터와 상기 제n 버스관제 장치 인식 정보를 비교 및 분석하여 제n 버스관제 장치로부터 송출된 무선 주파수 신호를 인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제n 버스관제 장치가 무선 주파수 신호에 반응하여 응답 신호를 송출하는 수신기이거나, 또는 무선 주파수 신호를 송출 및 수신하는 송수신기인경우, 상기 승차단말(100)은 상기 무선 인터페이스부(145)를 통해 상기 제n 버스관제 장치에서 응답 신호를 포함하여 송출하는 무선 주파수 신호를 수신 및 복조하여 생성되는 신호 데이터와 상기 제n 버스관제 장치 인식 정보를 비교 및 분석하여 제n 버스관제 장치로부터 송출된 무선 주파수 신호를 인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제n 버스관제 장치로부터 송출된 무선 주파수 신호가 인식되면(230), 상기 승차단말(100)은 상기 메모리부(163)로부터 상기 제n 버스관제 장치와 연계된 광고 컨텐츠를 확인하며, 만약 상기 메모리부(163)에 상기 제n 버스관제 장치 인식 정보와 연계된 맞춤형 광고 컨텐츠가 저장된 경우, 상기 컨텐츠 확인부(175)는 상기 맞춤형 광고 컨텐츠를 더 우선적으로 확인한다(235).
도면3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승차단말(100)에 구비된 디스플레이장치(115)를 통해 광고 컨텐츠(또는 맞춤형 광고 컨텐츠)를 출력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3은 상기 도면2에 도시된 광고 컨텐츠(또는 맞춤형 광고 컨텐츠) 확인 과정을 통해 상기 승차단말(100)에 구비된 디스플레이장치(115)를 통해 출력할 광고 컨텐츠(또는 맞춤형 광고 컨텐츠)가 확인되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115)를 통해 승차 고객에게 상기 확인된 광고 컨텐츠(또는 맞춤형 광고 컨텐츠)를 출력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3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광고 컨텐츠(또는 맞춤형 광고 컨텐츠) 출력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3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3을 참조하면, 상기 도면2에 도시된 광고 컨텐츠(또는 맞춤형 광고 컨텐츠) 확인 과정을 통해 상기 승차단말(100)에 구비된 디스플레이장치(115)를 통해 출력할 광고 컨텐츠(또는 맞춤형 광고 컨텐츠)가 확인되면, 상기 승차단말(100)은 상기 버스에서 승차 고객이 승차하는 전문이 열리는지 확인하고(300), 만약 상기 승차 고객이 승차할 전문이 열리면(305), 상기 승차단말(100)은 디스플레이장치(115)를 통해 상기 도면2에 도시된 광고 컨텐츠(또는 맞춤형 광고 컨텐츠) 확인 과정을 통해 확인된 광고 컨텐츠(또는 맞춤형 광고 컨텐츠)를 출력하고(310), 상기 승차 고객의 교통카드를 통해 교통요금을 결제한다(315).
이후, 상기 승차단말(100)은 상기 승차 고객이 승차하는 전문이 닫히는지 확인하고(320), 만약 상기 전문이 닫힌 것이 확인되고 상기 버스의 노선 운행이 개시되면(325), 상기 승차단말(100)은 상기 버스가 상기 제n 버스관제 장치의 주파수 도달 범위를 벗어나 제n 버스관제 장치로부터 송출되는 무선 주파수 신호가 더 이상 인식되지 않는지 확인한다(330).
만약 상기 제n 버스관제 장치로부터 송출되는 무선 주파수 신호가 더 이상 인식되지 않으면(335), 상기 승차단말(100)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115)를 통해 상기 제n 버스관제 장치와 연계된 광고 컨텐츠(또는 맞춤형 광고 컨텐츠)를 출력하는 것을 초기화하며(340), 당업자의 의도에 따라 상기 광고 출력 초기화 과정은 생략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n 버스관제 장치로부터 송출되는 무선 주파수 신호가 더 이상 인식되지 않으면(335), 상기 승차단말(100)은 상기 승차단말(100)은 상기 버스 노선 상에 위치하는 제1 버스정류장에 구비된 제1 버스관제 장치에서 제N 버스정류장에 구비된 제N 버스관제 장치 중, 상기 버스가 제n 버스정류장의 다음 버스정류장인 제(n+1) 버스정류장에 구비된 제(n+1) 버스관제 장치를 인식 대상 제n(n=n+1) 버스관제 장치로 결정한 후(345), 상기 도면2에 도시된 광고 컨텐츠(또는 맞춤형 광고 컨텐츠) 확인 과정과 본 도면3에 도시된 광고 컨텐츠(또는 맞춤형 광고 컨텐츠) 출력 과정을 버스 운행 종료 시점까지 반복한다.
도면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른 광고 컨텐츠(또는 맞춤형 광고 컨텐츠) 출력 제어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4는 상기 도면2에 도시된 광고 컨텐츠(또는 맞춤형 광고 컨텐츠) 확인 과정을 통해 제n 버스관제 장치와 연계된 광고 컨텐츠(또는 맞춤형 광고 컨텐츠)가 확인되었으나, 상기 도면3에 도시된 광고 컨텐츠(또는 맞춤형 광고 컨텐츠) 출력 과정 중 상기 버스가 상기 제n 버스정류장을 정차(또는 고객 승차) 없이 통과한 경우, 상기 제n 버스정류장의 다음 버스정류장인 제(n+1) 버스정류장에 구비된 제(n+1) 버스관제 장치를 인식 대상 제n(n=n+1) 버스관제 장치로 결정하도록 제어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4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광고 컨텐츠(또는 맞춤형 광고 컨텐츠) 출력 제어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4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4를 참조하면, 상기 도면2에 도시된 광고 컨텐츠(또는 맞춤형 광고 컨텐 츠) 확인 과정을 통해 제n 버스관제 장치와 연계된 광고 컨텐츠(또는 맞춤형 광고 컨텐츠)가 확인되었으나, 상기 도면3에 도시된 광고 컨텐츠(또는 맞춤형 광고 컨텐츠) 출력 과정 중 상기 버스가 상기 제n 버스정류장을 정차(또는 고객 승차) 없이 통과한 경우, 상기 승차단말(100)은 상기 버스가 상기 제n 버스관제 장치의 주파수 도달 범위를 벗어나 제n 버스관제 장치로부터 송출되는 무선 주파수 신호가 더 이상 인식되지 않는지 확인한다(400).
만약 상기 제n 버스관제 장치로부터 송출되는 무선 주파수 신호가 더 이상 인식되지 않으면(405), 상기 승차단말(100)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115)를 통해 상기 제n 버스관제 장치와 연계된 광고 컨텐츠(또는 맞춤형 광고 컨텐츠)를 출력하는 것을 초기화하며(410), 당업자의 의도에 따라 상기 광고 출력 초기화 과정은 생략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n 버스관제 장치로부터 송출되는 무선 주파수 신호가 더 이상 인식되지 않으면(405), 상기 승차단말(100)은 상기 승차단말(100)은 상기 버스 노선 상에 위치하는 제1 버스정류장에 구비된 제1 버스관제 장치에서 제N 버스정류장에 구비된 제N 버스관제 장치 중, 상기 버스가 제n 버스정류장의 다음 버스정류장인 제(n+1) 버스정류장에 구비된 제(n+1) 버스관제 장치를 인식 대상 제n(n=n+1) 버스관제 장치로 결정한 후(415), 상기 도면2에 도시된 광고 컨텐츠(또는 맞춤형 광고 컨텐츠) 확인 과정과 본 도면4에 도시된 광고 컨텐츠(또는 맞춤형 광고 컨텐 츠) 출력 과정을 버스 운행 종료 시점까지 반복한다.
도면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른 광고 컨텐츠(또는 맞춤형 광고 컨텐츠) 출력 제어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5는 상기 도면2에 도시된 광고 컨텐츠(또는 맞춤형 광고 컨텐츠) 확인 과정을 통해 제n 버스관제 장치에서 송출하는 무선 주파수 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제n 버스관제 장치 인식 정보가 확인되었으나, 상기 제n 버스관제 장치 인식 정보에 대응하는 무선 주파수 신호가 검출되지 않는 경우(예컨대, 일시적 노선 변경), 상기 제n 버스정류장의 다음 버스정류장인 제(n+1) 내지 제N 버스정류장에 구비된 제(n+1) 내지 제N 버스관제 장치 중 무선 주파수 신호가 검출되는 버스관제 장치를 인식 대상 제n(n=n+1) 버스관제 장치로 결정하도록 제어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5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광고 컨텐츠(또는 맞춤형 광고 컨텐츠) 출력 제어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5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5를 참조하면, 상기 도면2에 도시된 광고 컨텐츠(또는 맞춤형 광고 컨텐 츠) 확인 과정을 통해 제n 버스관제 장치에서 송출하는 무선 주파수 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제n 버스관제 장치 인식 정보가 확인되었으나, 상기 제n 버스관제 장치 인식 정보에 대응하는 무선 주파수 신호가 검출되지 않는 경우(예컨대, 일시적 노선 변경), 상기 승차단말(100)은 상기 제n 버스정류장의 다음 버스정류장인 제(n+1) 내지 제N 버스정류장에 구비된 제(n+1) 내지 제N 버스관제 장치로부터 송출되는 제(n+1) 내지 제N 무선 주파수 신호가 검출되는지 주기적으로 확인하고(500), 만약 제(n+1) 내지 제N 버스관제 장치로부터 송출되는 제(n+1) 내지 제N 무선 주파수 신호 중 어느 하나의 무선 주파수 신호가 검출되면(505), 상기 승차단말(100)은 상기 무선 주파수 신호가 검출된 버스관제 장치를 인식 대상 제n(n=n+1) 버스관제 장치로 결정한 후(510), 상기 도면2에 도시된 광고 컨텐츠(또는 맞춤형 광고 컨텐츠) 확인 과정과 본 도면5에 도시된 광고 컨텐츠(또는 맞춤형 광고 컨텐츠) 출력 과정을 버스 운행 종료 시점까지 반복한다.
반면 제(n+1) 내지 제N 버스관제 장치로부터 송출되는 제(n+1) 내지 제N 무선 주파수 신호 중 어느 하나의 무선 주파수 신호가 검출되지 않으면(505), 상기 승차단말(100)은 상기 버스가 정상적인 버스 노선에 진입했는지 확인하기 위해 상기 도면2에 도시된 광고 컨텐츠(또는 맞춤형 광고 컨텐츠) 확인 과정을 통해 확인된 제n 버스관제 장치로부터 송출되는 무선 주파수 신호가 검출되는지 주기적으로 확인하고(515), 만약 제n 버스관제 장치로부터 송출되는 제n 무선 주파수 신호가 검출되면(520), 상기 승차단말(100)은 상기 무선 주파수 신호가 검출된 버스관제 장치를 인식 대상 제n(n=n+1) 버스관제 장치로 결정한 후(510), 상기 도면2에 도시된 광고 컨텐츠(또는 맞춤형 광고 컨텐츠) 확인 과정과 본 도면5에 도시된 광고 컨텐츠(또는 맞춤형 광고 컨텐츠) 출력 과정을 버스 운행 종료 시점까지 반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버스정류장에 구비된 버스관제 장치를 통해 승차 고객이 승차하는 버스정류장을 확인하고, 버스 승차단말에 구비된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해 상기 버스정류장에서 승차하는 고객(예컨대, 학교 근처 버스정류장)에게 최적화된 광고 컨텐츠, 복권 컨텐츠, 이벤트 컨텐츠, 경품 컨텐츠를 출력하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승차고객이 교통카드를 통해 교통요금을 결제하고 승차하는 과정에서 최소한 한번 이상 주시하는 교통단말을 컨텐츠 출력수단으로 이용하여 상기 컨텐츠 출력에 의한 광고 효과, 복권 효과, 이벤트 효과, 경품 효과를 극대화하는 이점이 있다.

Claims (7)

  1. 버스 노선 상에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버스정류장에 구비된 버스관제 장치로부터 송출된 무선 주파수 신호를 수신하는 무선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버스에 승차하는 고객의 교통카드로부터 카드정보를 리딩하는 비접촉 카드리더의 전면에 부착되는 디스플레이장치를 구비한 버스 단말을 통해 컨텐츠를 출력하는 방법에 있어서,
    버스 노선 상에 위치하는 N(N>=2)개의 버스정류장 중 제n(1<=n<=N) 버스정류장에 구비된 제n 버스관제 장치에서 송출하는 무선 주파수 신호를 판독하여 상기 제n 버스관제 장치를 인식하기 위한 제n 버스관제 장치 인식 정보를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메모리부로부터 제n 버스정류장에 구비된 제n 버스관제 장치를 인식하기 위한 제n 버스관제 장치 인식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버스의 노선 운행에 따라 상기 무선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무선 주파수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n 버스관제 장치 인식 정보를 통해 상기 수신된 무선 주파수 신호를 판독하여 제n 버스관제 장치로부터 송출된 무선 주파수 신호를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제n 버스관제 장치로부터 송출된 무선 주파수 신호가 인식되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해 컨텐츠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관제 장치와 연계된 컨텐츠 출력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n 버스관제 장치 인식 정보와, 상기 제n 버스관제 장치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맞춤형 컨텐츠를 연계하여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제n 버스관제 장치로부터 송출된 무선 주파수 신호가 인식되면, 상기 메모리부로부터 상기 인식된 제n 버스관제 장치와 연계된 하나 이상의 맞춤형 컨텐츠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관제 장치와 연계된 컨텐츠 출력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의 노선 운행에 따라 상기 인식된 제n 무선 주파수 신호가 더 이상 인식되지 않으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해 상기 컨텐츠를 출력하는 것을 초기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관제 장치와 연계된 컨텐츠 출력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의 노선 운행에 따라 상기 인식된 제1 무선 주파수 신호가 더 이상 인식되지 않으면, 상기 메모리부로부터 제(n+1) 버스정류장에 구비된 제(n+1) 버스관제 장치를 인식하기 위한 제(n+1)버스관제 장치 인식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관제 장치와 연계된 컨텐츠 출력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해 출력 가능한 광고 컨텐츠, 복권 컨텐츠, 이벤트 컨텐츠, 경품 컨텐츠를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출력 방법.
  6. 제 1항 내지 제 4항의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7. 버스 노선 상에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버스정류장에 구비된 버스관제 장치로부터 송출된 무선 주파수 신호를 수신하는 무선 인터페이스부;
    상기 버스에 승차하는 고객의 교통카드로부터 카드정보를 리딩하는 비접촉 카드리더의 전면에 부착되는 디스플레이장치;
    버스 노선 상에 위치하는 N(N>=2)개의 버스정류장 중 제n(1<=n<=N) 버스정류 장에 구비된 제n 버스관제 장치에서 송출하는 무선 주파수 신호를 판독하여 상기 제n 버스관제 장치를 인식하기 위한 제n 버스관제 장치 인식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상기 메모리부로부터 제n 버스정류장에 구비된 제n 버스관제 장치를 인식하기 위한 제n 버스관제 장치 인식 정보를 확인하는 장치 정보 확인부;
    상기 버스의 노선 운행에 따라 상기 무선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무선 주파수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n 버스관제 장치 인식 정보를 통해 상기 수신된 무선 주파수 신호를 판독하여 제n 버스관제 장치로부터 송출된 무선 주파수 신호를 인식하는 장치 인식 처리부; 및
    상기 제n 버스관제 장치로부터 송출된 무선 주파수 신호가 인식되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해 컨텐츠를 출력하는 컨텐츠 출력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단말.
KR1020090001845A 2009-01-09 2009-01-09 버스관제 장치와 연계된 컨텐츠 출력 방법 및 버스 단말과 이를 위한 기록매체 KR2010008251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1845A KR20100082510A (ko) 2009-01-09 2009-01-09 버스관제 장치와 연계된 컨텐츠 출력 방법 및 버스 단말과 이를 위한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1845A KR20100082510A (ko) 2009-01-09 2009-01-09 버스관제 장치와 연계된 컨텐츠 출력 방법 및 버스 단말과 이를 위한 기록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2510A true KR20100082510A (ko) 2010-07-19

Family

ID=426425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1845A KR20100082510A (ko) 2009-01-09 2009-01-09 버스관제 장치와 연계된 컨텐츠 출력 방법 및 버스 단말과 이를 위한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8251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2733A (ko) * 2014-12-29 2016-07-11 (주)에이텍티앤 차량 내부의 영상 확인 기능을 갖는 버스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버스 안전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2733A (ko) * 2014-12-29 2016-07-11 (주)에이텍티앤 차량 내부의 영상 확인 기능을 갖는 버스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버스 안전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56024B2 (en) Determining companion and joint cards in transit
US8991699B2 (en) Association of contactless payment card primary account number
US20140108256A1 (en) Electronic System for Quickly and Securely Processing Transactions Using Mobile Devices
KR102300078B1 (ko) 범용 요금 지불 및 징수 시스템
KR100355975B1 (ko) 무선 기록 매체, 개찰 시스템, 및 거래 시스템
RU2656960C2 (ru) Проверка пользователя транспортной системы
KR20200113649A (ko) Qr 승차권을 이용한 대중교통요금 처리 방법 및 시스템
CN111462368A (zh) 一种地铁进出站的识别方法、识别系统和计算机设备
CN103824190A (zh) 支付方法、客户端、接收端及系统
CN107426215A (zh) 一种信息发送方法及车辆设备
JP5813435B2 (ja) 発行装置、改札機、及び駅務システム
JP5455464B2 (ja) 駅務システム、発行機、管理サーバ、入札機及び自動改札機
KR20100082510A (ko) 버스관제 장치와 연계된 컨텐츠 출력 방법 및 버스 단말과 이를 위한 기록매체
CN108921543B (zh) 一种基于移动电话网络的近场支付终端、系统及方法
JP2011175550A (ja) 自動改札機、及び改札システム
KR100432935B1 (ko) 대중 교통수단의 운임 징수 시스템 및 방법
JP2001236385A (ja) 無線式記憶媒体システムと駅務システム
KR100831406B1 (ko) 정보 처리방법 및 시스템
JP3821348B2 (ja) 携帯端末を使用した電子乗車券システム
US20240005436A1 (en) Backend System for a Passenger Transport System
JP7074098B2 (ja) 決済システム、通行制御システム、決済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7179542B2 (ja) 駅務システム、サーバ装置、駅務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925788B1 (ko) 결제 중계 장치 및 결제 중계 시스템
KR20160147694A (ko) 마이크로 sd카드를 이용한 nfc 결제 방법
JP2018010342A (ja) 携帯端末、券売機、券売システム、誘導方法、および誘導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