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82484A - 다기능 음료 용기 - Google Patents

다기능 음료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82484A
KR20100082484A KR1020090001811A KR20090001811A KR20100082484A KR 20100082484 A KR20100082484 A KR 20100082484A KR 1020090001811 A KR1020090001811 A KR 1020090001811A KR 20090001811 A KR20090001811 A KR 20090001811A KR 20100082484 A KR20100082484 A KR 201000824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unit
reactant
beverage
user
sto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18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79398B1 (ko
Inventor
이강욱
Original Assignee
이강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강욱 filed Critical 이강욱
Priority to KR10200900018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9398B1/ko
Priority to PCT/KR2009/007642 priority patent/WO2010079905A2/ko
Publication of KR201000824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24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93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93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foodstuffs or other articles intended to be cooked or heated within the package
    • B65D81/3484Packages having self-contained heating means, e.g. heating generated by the reaction of two chemic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0External fit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ackages (AREA)
  • Cookers (AREA)
  • Packging For Living Organisms, Food Or Medicinal Products That Are Sensitive To Environmental Conditiond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다기능 음료 용기가 제공된다. 본 용기는, 식용물질이 저장되는 제1 저장부와 제1 저장부의 외곽을 둘러싸며 열반응을 발생시키는 물질이 저장되는 제2 저장부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보다 편리하고 보다 적은 비용으로, 원하는 시점에 적정한 온도의 음료를 섭취할 수 있게 된다.
음료, 발열반응, 흡열반응, 휴대용 난로, 휴대용 쿨러

Description

다기능 음료 용기{Multifunctional drink vessel}
본 발명은 음료 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음료를 저장하여 휴대할 수 있도록 한 음료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음료 용기에 저장된 음료는 옥내에서 섭취되는 경우도 있지만, 옥외에서 섭취되는 경우도 상당히 많다. 음료는 날씨에 따라 따뜻하게 데워서 섭취하거나, 차갑게 냉각시켜서 섭취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한편, 음료 판매점에서는 음료가 저장된 음료 용기를 냉장고 보관하거나 온장고에 보관한 상태로 판매하고 있어, 소비자들이 따뜻하거나 시원한 음료를 섭취하는데 별 지장이 없다.
하지만, 등산과 같은 야외 활동을 할때 판매점이 없는 경우를 대비하여 사용자는 음료를 미리 사서 장시간 휴대하게 된다. 이 경우, 따뜻했거나 시원했었던 음료가 점차 미지근해져, 이를 섭취할 때에 느끼는 미감은 많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소비자가 음료 용기를 보온이나 보냉이 가능한 장비(예를 들면, 아이스 박스)에 담아 휴대하여야 하는데, 이는 소비자에게 많은 비 용과 수고를 발생시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보다 편리하고 보다 적은 비용으로, 원하는 시점에 적정한 온도의 음료를 섭취할 수 있도록 하는 음료 용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음료의 가열하거나 가냉하는 기능 외에, 용기 자체가 휴대용 손난로나 휴대용 쿨러로도 기능할 수 있는 음료 용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용기는, 식용물질이 저장되는 제1 저장부; 및 상기 제1 저장부의 외곽을 둘러싸며, 열반응을 발생시키는 물질이 저장되는 제2 저장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식용물질은, 음료이고, 상기 용기는, 음료용기이며, 상기 열반응은, 발열반응 및 흡열반응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용기는, 상기 제2 저장부의 외곽에 마련되며, 상기 제2 저장부의 온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온도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 저장부의 열전도도는, 상기 제2 저장부 외곽의 열전도도 보다 클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저장부에는, 혼합되는 경우에 열반응이 발생되는 제1 반응물질 및 제2 반응물질이 저장되며, 상기 제2 저장부의 일부가 사용자에 의해 눌러진 경우, 상기 제2 저장부의 일부가 상기 사용자에 의해 돌려진 경우 및 상기 제2 저장부의 일부에 상기 사용자의 물리적인 힘이 작용된 경우 중 적어도 하나의 경우에, 상기 제1 반응물질과 상기 제2 반응물질이 혼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반응물질은 밀폐된 백에 담겨진 상태로 상기 제2 저장부에 저장되고, 상기 제2 저장부의 일부가 사용자에 의해 눌러지면, 상기 백이 터져 상기 제2 반응물질이 유출되어 상기 제1 반응물질과 혼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저장부는, 자신의 온도를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열반응은, 발열반응 및 흡열반응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저장부에 가해지는 사용자 힘의 방향에 따라, 상기 제2 저장부에서 발생되는 열반응이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용물질은 액체이며, 상기 액체는, 상기 열반응을 발생시키는 물질과 혼합되면 응고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목적은, 보다 편리하고 보다 적은 비용으로, 원하는 시점에 적정한 온도의 음료를 섭취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음료 용기 자체를 휴대용 손난로나 휴대용 쿨러로도 활용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의 편의가 보다 증대된다. 그리고, 음료 용기 자체를 휴대용 손난로나 휴대용 쿨러로도 활용하는 것은, 음료를 모두 섭취하고 난 후에도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진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용기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료 용기는 음료 뚜껑(110), 음료 저장부(120) 및 열반응 물질 저장부(130)를 구비한다.
음료 저장부(120)는 내부에 음료가 저장되는 용기이다. 음료는 물, 콜라와 같은 탄산 음료, 커피와 같은 기호 음료 등을 포함한다. 음료의 종류에 대해서는 제한 없이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다.
열반응 물질 저장부(130)는 음료 저장부(120)의 외곽을 둘러싸고 있다. 열반응 물질 저장부(130) 내에서는 발열반응이 일어난다. 이때, 발열반응은 열반응 물질 저장부(130)의 외부에 표시된 조작 가이드(140)가 사용자에 의해 눌러진 경우에 개시된다. 한편, 도 1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조작 가이드(140)가 표시된 음료 용기의 반대 편에도 조작 가이드(140)와 동일한 것이 표시되어 있다.
열반응 물질 저장부(130) 내에는 발열반응을 발생시키는 물질들이 저장되어 있는데, 이는 도 2와 도 3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음료 용기를 z~z'를 따라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음료 용기를 고정부(240)와 회전부(250)의 경계면인 x~x'를 따라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반응 물질 저장부(130) 내에는 제1 반응물질(170)이 저장되어 있다. 또한, 열반응 물질 저장부(130)의 중앙 높이에는 밀폐된 2개의 백(161, 162)이 마련되어 있는데, 이 2개의 백(161,162)에는 제2 반응 물질(165)이 담겨져 있다.
제2 반응물질(165)이 담겨진 2개의 백(161, 162)의 위치는 조작 가이드(140)의 바로 안쪽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조작 가이드(140)를 손가락으로 누르면 2개의 백(161, 162)은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한 물리적 압력으로 인해 터지게 된다.
그러면, 2개의 백(161,162)에 담겨 있던 제2 반응물질(165)이 유출되어 제1 반응물질(170)과 혼합되는데, 제1 반응물질(170)과 제2 반응물질(165)이 혼합되면, 발열반응이 일어난다. 제1 반응물질(170)과 제2 반응물질(165)은 혼합되는 경우에, 발열반응이 일어나는 물질들이기 때문이다.
발열반응을 위해, 제1 반응물질(170)은 물로 구현하고, 제2 반응물질(165)은 염화칼슘 또는 수산화나트륨 등으로 구현가능하다.
열반응 물질 저장부(130) 내에서의 발열반응으로 인해 발생되는 열은, 음료 저장부(120)로 전달된다. 이에 따라, 음료 저장부(120)에 저장된 음료는 가열된다. 음료를 보다 효과적으로 가열하기 위해서, 음료 저장부(120)는 열전도도가 높은 물질(예를 들면,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성 물질)로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열반응 물질 저장부(130) 내에서의 발열반응으로 인해 발생되는 열은, 열반응 물질 저장부(130) 외곽으로도 전달된다. 열반응 물질 저장부(130) 외곽은 사용자가 음료 용기를 손으로 들게 되는 경우에, 사용자의 손이 맞닿는 부분이다.
따라서, 열반응 물질 저장부(130)이 마련된 음료 용기는 휴대용 난로로 기능할 수 있다. 이때, 열반응 물질 저장부(130) 외곽의 열전도도는 열전도도가 낮은 물질(예를 들면, 비금속성 물질)로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너무 높은 온도로 인해 사용자가 손에 화상을 입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장시간 휴대용 손난로나 휴대용 쿨러 역할을 위해 인체(피부 등)에 접촉해도 피해를 주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열반응 물질 저장부(130)에서 발생되는 열의 상당 부분이 음료 저장부(120)에 저장된 음료를 가열하는데 이용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반응 물질 저장부(130)의 외곽에는 조작 가이드(140)와 온도 표시부(150)가 마련된다.
이미 전술한 바 있는 조작 가이드(140)는 사용자가 이를 누를 경우에 열이 발생한다는 의미의 단어들(PUSH, "HOT")이 기재되어 있는 사용자 안내 표시이다.
온도 표시부(150)는 열반응 물질 저장부(130)의 온도를 나타낸다. 이를 위해, 온도 표시부(150)는 온도에 따라 색이 변하는 물질로 구현하여, 색을 통해 사용자가 음료 용기의 온도를 인지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지금까지, 사용자가 원하는 시점부터 저장된 음료를 가열함과 동시에, 휴대용 난로로도 기능할 수 있는 다기능 음료 용기에 대해,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였다.
본 실시예에서는, 음료 용기의 열반응 물질 저장부(130)에서 발열반응이 일어나는 경우를 상정하였으나, 이와 반대의 경우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다.
즉, 열반응 물질 저장부(130)에 저장되어 있는 제1 반응물질(170)과 밀폐된 2개의 백(161, 162)에 담겨진 제2 반응물질(165)을, 혼합되는 경우에 흡열반응이 일어나는 물질들로 대체하여, 열반응 물질 저장부(130)에서 흡열반응이 일어나도록 구현할 수 있다.
흡열반응을 위해, 예를 들어, 1) 제1 반응물질(170)은 물로 구현하고 제2 반응물질(165)은 질산암모늄 또는 염화암모늄으로 구현하거나, 2) 제1 반응물질(170)은 수산화바륨으로 구현하고 제2 반응물질(165)은 염화암모늄으로 구현하거나, 3) 제1 반응물질(170)은 물로 구현하고 제2 반응물질(165)은 시트르산과 탄산수소나트륨의 혼합물로 구현가능하다.
이에 따르면, 사용자가 조작 가이드(140)를 손가락으로 눌러 2개의 백(161, 162)을 터트리면, 2개의 백(161, 162)으로부터 유출된 제2 반응물질(165)과 제1 반응물질(170)과 혼합되어 흡열반응이 일어난다.
따라서, 음료 저장부(120)에 저장된 음료는 열반응 물질 저장부(130) 내에서의 흡열반응으로 냉각된다. 그리고, 열반응 물질 저장부(130)의 외곽도 냉각된다. 따라서, 열반응 물질 저장부(130)이 마련된 음료 용기는 휴대용 쿨러(냉각기)로 기능할 수 있다.
이 경우도, 열반응 물질 저장부(130) 외곽을 열전도도가 낮은 물질(예를 들면, 비금속성 물질)로 구현하면, 너무 낮은 온도가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음료 저장부(120)를 열전도도가 높은 물질(예를 들면, 금속성 물질)로 구현하면, 음료의 냉각 효율을 보다 높일 수 있다.
한편, 제1 백(161)에는 제1 반응물질(170)과 혼합되는 경우에 발열반응이 일어나는 반응물질을 담고, 제2 백(162)에는 제1 반응물질(170)과 혼합되는 경우에 흡열반응이 일어나는 반응물질을 담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반응물질(170)은 물로 구현하고, 제1 백(161)에는 물과 혼합되면 발열반응을 일으키는 반응물질인 염화칼슘을 담고, 제2 백(162)에는 물과 혼합되면 흡열반응을 일으키는 반응물질인 질산암모늄을 담을 수도 있다.
이 경우, 사용자에 의해 제1 백(161)이 터지게 되면 열반응 물질 저장부(130) 내에서 발열반응이 일어난다. 따라서, 음료는 가열되고, 음료 용기는 사용자에게 온기를 전달하게 된다.
하지만, 사용자에 의해 제2 백(162)이 터지게 되면 열반응 물질 저장부(130) 내에서 흡열반응이 일어난다. 이 경우, 음료는 냉각되고, 음료 용기는 사용자에게 냉기를 전달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료 용기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료 용기는 음료 뚜껑(210), 음료 저장부(220), 열반응 물질 저장부(230)를 구비한다.
열반응 물질 저장부(230)는 음료가 저장되는 음료 저장부(220)의 외곽을 둘러싸고 있으며, 고정부(240)와 회전부(250)로 나누어진다.
고정부(240)는 음료 저장부(220)의 외곽에 고정적인데 반해, 회전부(250)는 음료 저장부(220)를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다. 도 4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회전부(250)의 외곽에는 회전부(250)가 회전가능함을 알리는 문구 "ROTATE"와 회전가능한 방향을 안내하는 기호 "→"가 표시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열반응 물질 저장부(230)에는 혼합되면 발열반응이 일어나는 물질들이 저장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240)에는 제1 반응물질(270)이 저장되어 있고, 회전부(250)에는 제2 반응물질(280)이 저장되어 있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음료 용기를 z~z'를 따라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회전부(250)가 회전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고정부(240)에 저장된 제1 반응물질(270)과 회전부(250)에 저장된 제2 반응물질(280)이 분리되어 있다. 하지만, 회전부(250)가 회전되면, 고정부(240)에 저장된 제1 반응물질(270)과 회전부(250)에 저장된 제2 반응물질(280)이 혼합된다.
도 6은 도 4와 도 5에 도시된 음료 용기를 x~x'를 따라 절단한 경우에 생성되는 2개의 절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절단면들 중 위에 도시된 절단면은 고정부(240)의 하부 면에 해당하고, 아래에 도시된 절단면들은 회전부(250)의 상부 면에 해당한다.
그리고, 도 6의 (a)는 회전부(250)가 회전되지 않은 상태에서 음료 용기를 x~x'를 따라 절단한 경우이고, 도 6의 (b)는 회전부(250)가 회전된 상태에서 음료 용기를 x~x'를 따라 절단한 경우이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절단면에서 빗금친 부분은 막힌 부분으로, 반응물질이 통과할 수 없는 부분이다. 도 6의 (a)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고정부(240) 하부 면의 좌측 부분이 막혀 있고, 회전부(250)의 상부 면의 우측 부분이 막혀 있다.
따라서, 고정부(240)에 저장된 제1 반응물질(270)이 회전부(250)로 이동하거나, 회전부(250)에 저장된 제2 반응물질(280)이 고정부(240)로 이동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그 결과, 제1 반응물질(270)과 제2 반응물질(280)이 혼합되지 않아, 열반응 물질 저장부(230)에서 발열반응은 일어나지 않는다.
하지만, 회전부(250)가 180도 회전되어 고정부(240)의 하부 면과 회전부(250)의 상부 면이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치되면, 우측 부분을 통해 고정부(240)에 저장된 제1 반응물질(270)과 회전부(250)에 저장된 제2 반응물질(280)이 혼합되어, 열반응 물질 저장부(230)에서 발열반응이 일어나게 된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240)의 외곽에는 온도 표시부(260)가 마련된다. 온도 표시부(260)는 열반응 물질 저장부(230)의 온도를 나타내며, 온도에 따라 색이 변하는 물질로 구현가능하다.
지금까지, 사용자가 원하는 시점으로부터 저장된 음료를 가열함과 동시에, 휴대용 난로로도 기능할 수 있는 다기능 음료 용기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다.
본 실시예에서는, 음료 용기의 열반응 물질 저장부(230)에서 발열반응이 일어나는 경우를 상정하였으나, 이와 반대의 경우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다.
즉, 고정부(240)에 저장되어 있는 제1 반응물질(270)과 회전부(250)에 저장된 제2 반응물질(280)을, 혼합되는 경우에 흡열반응이 일어나는 물질들로 대체하여, 열반응 물질 저장부(230)에서 흡열반응이 일어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해,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료 용기의 외관 사시 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료 용기는 음료 뚜껑(310), 음료 저장부(320) 및 열반응 물질 저장부(330)를 구비한다.
열반응 물질 저장부(330)는 음료가 저장되는 음료 저장부(320)의 외곽을 둘러싸고 있으며, 고정부(340)와 회전부(350)로 나누어짐은, 도 4에 도시된 음료 용기와 동일하다.
하지만, 도 7에 도시된 음료 용기의 회전부(350)는 양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고, 회전 방향에 따라 열반응 물질 저장부(330)에서 발생되는 열반응이 다르다는 점에서, 도 4에 도시된 음료 용기의 회전부(250)와 차이가 있다.
이는, 도 7에 도시된 회전부(350)의 외곽에 표시된 문구 "ROTATE"와 양 방향으로 회전가능함을 안내하는 기호 "←→"를 통해, 회전부(350)는 양 방향으로 이동가능함을 짐작할 수 있다.
또한, "←→"의 상부에 표기된 문자들 "HOT" 및 "COOL"을 통해 회전부(350)가 우측으로 회전되면 발열반응이 일어나고, 좌측으로 회전되면 흡열반응이 일어날 것임을 짐작할 수 있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음료 용기를 고정부(340)와 회전부(350)의 경계면인 x1~x1'을 따라 절단한 경우에 생성되는 절단면들과 음료 용기의 회전부(350)를 x2~x2'를 따라 절단한 경우에 생성되는 절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절단면들 중 맨 위에 도시된 절단면은 x1~x1'을 따라 절단한 경우에 생성되는 절단면들 중 윗면인 고정부(340)의 하부 면에 해당하고, 중앙에 도시된 절단면은 x1~x1'을 따라 절단한 경우에 생성되는 절단면들 중 아랫면인 회전부(350)의 상부 면에 해당한다. 또한, 맨 아래에 도시된 절단면은 회전부(350)의 절단면에 해당한다.
그리고, 도 8의 (a)는 회전부(350)가 회전되지 않은 상태에서의 절단면들이고, 도 8의 (b)는 회전부(350)가 우측("HOT" 방향)으로 회전된 상태에서의 절단면들이며, 도 8의 (c)는 회전부(350)가 좌측("COOL" 방향)으로 회전된 상태에서의 절단면들이다.
도시된 바에 따르면, 회전부(350)는 칸막이를 통해 2부분으로 나누어져, 2개의 저장소(351, 352)가 마련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제1 저장소(351)에는 발열-반응물질(381)이 저장되어 있고, 제2 저장소(352)에는 흡열-반응물질(382)이 저장되어 있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절단면들에서 빗금친 부분은 막힌 부분으로, 반응물질이 통과할 수 없는 부분이다. 도 8의 (a)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고정부(340) 하부 면의 좌측 부분이 막혀 있고, 회전부(350)의 상부 면의 우측 부분이 막혀 있다.
따라서, 고정부(340)에 저장된 반응물질(370)이 회전부(350)로 이동하거나, 회전부(350)에 저장된 반응물질(381, 382)이 고정부(340)로 이동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그 결과, 고정부(340)에 저장된 반응물질(370)과 회전부(350)에 저장된 반응물질(381, 382)이 혼합되지 않아, 열반응 물질 저장부(330)에서 열반응은 일어나지 않는다.
한편, 회전부(350)가 우측("HOT" 방향)으로 90도 회전되어 절단면들이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치되면, 우측 하부를 통해 고정부(340)에 저장된 반응물질(370)과 회전부(350)의 제1 저장소(351)에 저장된 발열-반응물질(381)이 혼합되어, 열반응 물질 저장부(330)에서 발열반응이 일어나게 된다.
반면, 회전부(350)가 좌측("COOL" 방향)으로 90도 회전되어 절단면들이 도 8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치되면, 우측 상부를 통해 고정부(340)에 저장된 반응물질(370)과 회전부(350)의 제2 저장소(352)에 저장된 흡열-반응물질(382)이 혼합되어, 열반응 물질 저장부(330)에서 흡열반응이 일어나게 된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340)의 외곽에는 온도 표시부(360)가 마련된다. 온도 표시부(360)는 열반응 물질 저장부(330)의 온도를 나타내며, 온도에 따라 색이 변하는 물질로 구현가능하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음료 저장부(320) 내에 저장된 음료를 가열하거나 냉각시킬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사용자는 자신의 선택에 따라, 음료 용기를 휴대용 난로로 사용하거나 휴대용 쿨러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본 실시예들에서 언급한 반응물질들은 음료 저장부(120,220,320) 내에 저장된 음료를 응고시킬 수 있는 물질 또는 이러한 물질을 포함하는 물질로 구현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음료 저장부(120,220,320)가 파손되어 음료 저장 부(120,220,320) 내부로 인체에 유해할 수도 있는 반응물질이 유입된 경우, 음료가 응고된다. 그 결과, 사용자는 음료에 반응물질이 유입되었음을 인지하여 음료를 마시지 않을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는 음료를 저장하는 음료 용기를 상정하였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다. 음료 이외의 다른 식용물질을 저장하는 용기의 경우에도 전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용기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음료 용기를 z~z'를 따라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음료 용기를 x~x'를 따라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료 용기의 외관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음료 용기를 z~z'를 따라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도 4와 도 5에 도시된 음료 용기를 x~x'를 따라 절단한 경우에 생성되는 2개의 절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료 용기의 외관 사시도, 그리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음료 용기를 x1~x1'과 x2~x2'을 따라 절단한 경우에 생성되는 절단면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210, 310 : 음료 뚜껑
120, 220, 320 : 음료 저장부
130, 230, 330 : 열반응 물질 저장부
140 : 조작 가이드
150, 260, 360 : 온도 표시부
161, 162 : 백
240, 340 : 고정부
250, 350 : 회전부
351, 352 : 저장소
165, 170, 180, 270, 280, 370. 381, 382 : 반응물질

Claims (9)

  1. 식용물질이 저장되는 제1 저장부; 및
    상기 제1 저장부의 외곽을 둘러싸며, 열반응을 발생시키는 물질이 저장되는 제2 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식용물질은, 음료이고,
    상기 용기는, 음료용기이며,
    상기 열반응은, 발열반응 및 흡열반응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저장부의 외곽에 마련되며, 상기 제2 저장부의 온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온도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저장부의 열전도도는,
    상기 제2 저장부 외곽의 열전도도 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저장부에는, 혼합되는 경우에 열반응이 발생되는 제1 반응물질 및 제2 반응물질이 저장되며,
    상기 제2 저장부의 일부가 사용자에 의해 눌러진 경우, 상기 제2 저장부의 일부가 상기 사용자에 의해 돌려진 경우 및 상기 제2 저장부의 일부에 상기 사용자의 물리적인 힘이 작용된 경우 중 적어도 하나의 경우에, 상기 제1 반응물질과 상기 제2 반응물질이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반응물질은 밀폐된 백에 담겨진 상태로 상기 제2 저장부에 저장되고,
    상기 제2 저장부의 일부가 사용자에 의해 눌러지면, 상기 백이 터져 상기 제2 반응물질이 유출되어 상기 제1 반응물질과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저장부는,
    자신의 온도를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열반응은, 발열반응 및 흡열반응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저장부에 가해지는 사용자 힘의 방향에 따라, 상기 제2 저장부에서 발생되는 열반응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식용물질은 액체이며,
    상기 액체는, 상기 열반응을 발생시키는 물질과 혼합되면 응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KR1020090001811A 2009-01-09 2009-01-09 다기능 음료 용기 KR1010793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1811A KR101079398B1 (ko) 2009-01-09 2009-01-09 다기능 음료 용기
PCT/KR2009/007642 WO2010079905A2 (ko) 2009-01-09 2009-12-21 다기능 음료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1811A KR101079398B1 (ko) 2009-01-09 2009-01-09 다기능 음료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2484A true KR20100082484A (ko) 2010-07-19
KR101079398B1 KR101079398B1 (ko) 2011-11-02

Family

ID=423169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1811A KR101079398B1 (ko) 2009-01-09 2009-01-09 다기능 음료 용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079398B1 (ko)
WO (1) WO2010079905A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03706A (zh) * 2020-06-30 2020-09-25 雄县飞洋塑料包装有限公司 一种自冷式产品包装盒
CN111703707A (zh) * 2020-06-30 2020-09-25 雄县飞洋塑料包装有限公司 一种快速制冷的自冷式产品包装盒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18410828B2 (en) * 2018-03-02 2024-04-04 Michael Mark ANTHONY Humidification and dehumidification process and apparatus for chilling beverages and other food products and process of manufactur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99563U (ko) * 1985-12-09 1987-06-25
JPS633970U (ko) * 1986-06-27 1988-01-12
KR200171304Y1 (ko) * 1999-09-06 2000-03-15 김환현 냉장적정 상태 표시부를 갖는 식품용기
US6564558B1 (en) 2000-10-05 2003-05-20 Seymour Michael L Disposable self-cooling, self-heating container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03706A (zh) * 2020-06-30 2020-09-25 雄县飞洋塑料包装有限公司 一种自冷式产品包装盒
CN111703707A (zh) * 2020-06-30 2020-09-25 雄县飞洋塑料包装有限公司 一种快速制冷的自冷式产品包装盒
CN111703706B (zh) * 2020-06-30 2022-02-25 雄县飞洋塑料包装有限公司 一种自冷式产品包装盒
CN111703707B (zh) * 2020-06-30 2022-02-25 雄县飞洋塑料包装有限公司 一种快速制冷的自冷式产品包装盒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079905A3 (ko) 2010-09-23
KR101079398B1 (ko) 2011-11-02
WO2010079905A2 (ko) 2010-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34894A (en) Method of making beverage container with heating or cooling insert
US8534345B1 (en) Insulated beverage housing with temperature maintenance
KR101079398B1 (ko) 다기능 음료 용기
WO2010100773A1 (ja) 携帯断熱容器
US20080283538A1 (en) Insulated retainer having thermometer for beverage container
EP2946152A1 (en) A system for externally cooling a beverage holder
US11597582B1 (en) Double wall insulated beverage housing system with temperature maintenance
JP2008239246A (ja) 飲料容器
CN107232921A (zh) 一种双温杯
KR20160026273A (ko) 상변화물질을 이용한 휴대용 쿨링팩
KR101187880B1 (ko) 팩 내장형 보온용기
KR200419874Y1 (ko) 변온수단을 구비한 이중컵
EP2015008A1 (en) Cooling device
CN206735007U (zh) 一种饮料包装装置
KR100874565B1 (ko) 흡열 반응을 이용한 자가 냉각 보틀
JP2007130384A (ja) 携帯用簡易加熱器
WO2014166867A1 (en) A system for externally cooling a beverage holder and a method of externally cooling a beverage holder
GB2316159A (en) Cooling packaged beverages
WO2010068112A1 (en) Stirrer
KR101590312B1 (ko) 열전소자를 이용한 냉온 보온용기용 회전식 스위치 장치
EP1213227A1 (en) Beverage container with means to keep the contents warm or cold
EP4048964A1 (en) Device for regulating the temperature of beverages in a bottle
CN212678866U (zh) 保温器具
JP2000146391A (ja) 容器入り食品の保冷・保温具
US20240017909A1 (en) Container for retrievably storing substances and retaining temperatures of the substan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