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82447A - 기록매체, 기록매체의 기록/재생방법 및 기록/재생장치 - Google Patents

기록매체, 기록매체의 기록/재생방법 및 기록/재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82447A
KR20100082447A KR1020090001764A KR20090001764A KR20100082447A KR 20100082447 A KR20100082447 A KR 20100082447A KR 1020090001764 A KR1020090001764 A KR 1020090001764A KR 20090001764 A KR20090001764 A KR 20090001764A KR 20100082447 A KR20100082447 A KR 201000824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ording
user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data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17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훈
서정교
이재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017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82447A/ko
Publication of KR201000824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244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9/00Driving, starting, stopp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Driving both disc and head
    • G11B19/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11B19/1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by sensing distinguishing features of or on records, e.g. diameter end mark
    • G11B19/12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by sensing distinguishing features of or on records, e.g. diameter end mark involving the detection of an identification or authentication mark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527Audio or video recording; Data buffering arrangemen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04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methods; Read, write or erase circuits therefor
    • G11B7/0045Recording
    • G11B7/00458Verification, i.e. checking data during or after record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07Arrangement of the information on the record carrier, e.g. form of tracks, actual track shape, e.g. wobbled, or cross-section, e.g. v-shaped; Sequential information structures, e.g. sectoring or header formats within a track
    • G11B7/00772Arrangement of the information on the record carrier, e.g. form of tracks, actual track shape, e.g. wobbled, or cross-section, e.g. v-shaped; Sequential information structures, e.g. sectoring or header formats within a track on record carriers storing information in the form of optical interference patterns, e.g. holograms
    • G11B7/00781Auxiliary information, e.g. index marks, address marks, pre-pits, gray cod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2007/0003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r type of the carrier
    • G11B2007/0016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r type of the carrier for carriers adapted to have label information written on the non-data side by the optical head used for data recording, e.g. lightscribe, labelflas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데이터 기록층과 사용자정보 기록층을 포함하는 기록매체를 기록/재생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입력받은 사용자정보와 기록매체의 사용자정보 기록층에 기록된 사용자정보의 일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판단 결과에 따라서 기록매체의 데이터 기록층에 데이터를 기록 또는 데이터 기록층의 데이터를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록매체의 기록/재생방법을 제공한다.
사용자정보 기록층, 데이터 기록층, 재생신호, 사용자 지문정보

Description

기록매체, 기록매체의 기록/재생방법 및 기록/재생장치{THE RECORDING MEDIUM, THE METHOD FOR RECORDING/REPRODUCING OF THE RECORDING MEDIUM AND THE APPARATUS FOR THE SAME}
본 발명은 기록매체, 기록매체의 기록/재생방법 및 기록/재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보안성이 확보된 기록매체, 기록매체의 기록/재생방법 및 기록/재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록매체는 다양한 기술의 발달로 현재 한 층(layer)당 25GB를 저장할 수 있는 수준에 있다. 또한, 드라이브만 있다면 개개인은 쉽게 기록매체에 접근하여 데이터를 열람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접근성과 호환성 때문에 기록매체의 보안성 면에서는 취약점이 지적되고 있다. 누구라도 기록매체 내의 데이터 열람 및 복사 가능하게 되었으며, 기록매체의 폐기시에도 기록매체 내의 데이터를 완전히 삭제해야하는 불편함이 존재하게 되었다.
컨텐츠를 기록매체에 저장하여 배포하는 경우에는 이와 같은 보안의 중요성은 더 크다. 컨텐츠를 제공하는 자는 컨텐츠를 정식으로 구매한 사람에게만 정보를 제공하길 원한다. 하지만 기록매체의 쉬운 접근성과 호환성으로 인해 복제되어 다 수의 사람들에게 배포되기도 용이하다.
이에 따라서, 데이터에 대한 보안성을 부여하는 다양한 방법이 제안되어 왔다.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된 암호 해독기로 보안성을 부여하는 방법 및 하드웨어적으로 PC 상에 보안키를 설치하는 방법이 그 예이다. 하지만 소프트웨어적인 방법은 쉽게 크랙이 가능한 점과 하드웨어적인 방법은 추가장치가 필요하다는 점 등이 문제점으로서 지적되고 있다. 이에 간단한 방법으로 기록매체의 보안성을 강화하는 방법 및 장치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정을 반영한 것으로, 본 발명은 기록매체의 데이터를 간단한 방법 및 장치를 이용하여 보안성 확보가 가능한 기록매체, 기록매체의 기록/재생방법 및 기록/재생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데이터 기록층과 사용자정보 기록층을 포함하는 기록매체를 기록/재생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입력받은 사용자 정보와 기록매체의 사용자정보 기록층에 기록된 사용자정보의 일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판단 결과에 따라서 기록매체의 데이터 기록층에 데이터를 기록 또는 데이터 기록층의 데이터를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록매체의 기록/재생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사용자정보는 사용자 지문정보인 기록매체의 기록/재생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사용자정보를 입력받는 단계는 기록매체 상에 지문을 표시하는 단계인 기록매체의 기록/재생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는 사용자정보 입력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지문을 입력하는 기록매체의 기록/재생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데이터 기록층과 사용자정보 기록층을 포함하는 기록매체를 기록/재생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정보를 기록매체의 사용자정보 기록층에 기록하는 단계, 기록매체의 데이터 기록/재생시에 현재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및 기록매체의 사용자정보 기록층에 기록된 사용자정보와 입력된 상기 현재 사용자정보의 일치 여부에 따라서 기록매체의 데이터 기록층에 데이터를 기록 또는 데이터 기록층의 데이터를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록매체의 기록/재생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사용자정보는 사용자 지문정보인 기록매체의 기록/재생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사용자정보를 기록하는 단계는 사용자정보 입력장치를 이용하여 사용자 지문정보를 입력하고, 입력된 지문정보를 기록매체의 사용자정보 기록층에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록매체의 기록/재생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사용자 지문정보를 기록하는 단계는 기록매체 상에 지문을 표시하고, 표시된 지문을 신호처리하여 지문정보를 획득하고, 지문정보를 기록매체의 사용자정보 기록층에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록매체의 기록/재생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표시된 지문을 신호처리하여 지문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재생 신호(RF signal)를 이용하는 기록매체의 기록/재생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데이터 기록층과 사용자정보 기록층을 포함하는 기록매체를 기록/재생하는 장치에 있어서, 데이터와 사용자정보를 기록/재생하고, 기록매체 상에 입력된 사용자정보를 독출하는 픽업부 및 입력된 사용자정보와 기록매체의 사용자정보 기록층에 기록된 사용자정보의 일치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서 기록매체의 데이터 기록층에 데이터를 기 록 또는 데이터 기록층의 데이터를 재생하도록 픽업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기록매체의 기록/재생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사용자정보는 사용자 지문정보인 기록매체의 기록/재생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데이터 기록층과 사용자정보 기록층을 포함하는 기록매체를 기록/재생하는 장치에 있어서, 데이터와 사용자정보를 기록/재생하는 픽업부, 사용자정보를 입력받는 사용자정보 입력부 및 사용자정보 입력부로부터 입력된 사용자정보와 기록매체의 사용자정보 기록층에 기록된 사용자정보의 일치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서 기록매체의 데이터 기록층에 데이터를 기록 또는 데이터 기록층의 데이터를 재생하도록 픽업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기록매체의 기록/재생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사용자정보는 사용자 지문정보인 기록매체의 기록/재생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데이터 기록층과 사용자정보 기록층을 포함하는 기록매체를 기록/재생하는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정보 및 데이터를 기록/재생하는 픽업부 및 기록매체의 사용자정보 기록층에 기록된 사용자정보와 입력된 사용자정보의 일치 여부에 따라서 픽업부를 제어하여 기록매체의 데이터 기록층에 데이터를 기록 또는 데이터 기록층의 데이터를 재생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기록매체의 기록/재생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사용자정보는 사용자 지문정보인 기록매체의 기록/재생장치를 제공한 다.
또한, 사용자정보를 입력받는 사용자정보 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기록매체의 기록/재생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제어부는 픽업부를 제어하여 사용자정보 입력장치를 이용하여 사용자 지문정보를 입력하고, 입력된 지문정보를 기록매체의 사용자정보 기록층에 기록하는 기록매체의 기록/재생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제어부는 픽업부를 제어하여 기록매체 상에 표시된 지문을 신호처리하여 지문정보를 획득하고, 지문정보를 기록매체의 사용자정보 기록층에 기록하는 기록매체의 기록/재생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복수개의 기록층으로 구성된 기록매체에 있어서, 데이터를 기록/재생하는 데이터 기록층과 사용자정보를 기록/재생하는 사용자정보 기록층을 포함하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또한, 사용자정보는 사용자 지문정보인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기록매체, 기록매체 기록/재생방법 및 기록/재생장치는 사용자 개인만의 고유 특성을 이용함으로서 보안의 안정성을 더 보장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시스템을 일부 변경 또는 일부 장치만을 추가하여 보안성 확보가 가능함에 따라 비용면에서 유리하다.
또한, 기존의 기록재생장치의 호환성에 큰 영향을 주지않고 제품화가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기록매체의 기록재생방법 및 기록재생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는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하였으므로,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용어가 가지는 의미로서 본 발명을 파악해야 한다.
관련하여, 본 발명에서 "기록재생장치"는 기록장치, 재생장치 및 기록하고 재생가능한 장치를 모두 포괄하는 의미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기록재생방법"은 기록방법, 재생방법 및 기록하고 재생하는 방법을 모두 포괄하는 의미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기록매체"는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거나, 기록가능한 모든 매체를 의미하며, 예를 들어, 디스크, 자기테이프 등 기록방식에 상관없이 모든 매체를 포괄하는 의미이다. 이하, 본 발명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기록매체로서 디스크, 특히 근접장 기록매체를 예로 하여 설명하고자 하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은 다른 기록매체에도 동일하게 적용가능함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기록매체 상에 사용자 지문정보를 입력하는 방법 중 하나를 도시한다. 본 발명에서는 다양한 방법의 사용자정보를 입력할 수 있으나, 이 중 사용자 지문을 기록매체에 표시함으로서 간단한 방법으로 보안성 확보가 가능한 일 실시예를 기재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록매체의 기록재생장치의 구성을 도시 한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록재생장치는 픽업부(10)와 제어부(50)를 포함한다. 또한, 기록재생장치는 신호생성부(30), 스핀들 서보(70) 및 갭 서보(40)를 포함하는 서보부(80), 슬레드 모터(20), 스핀들 모터(60), 메모리(90) 및 센서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픽업부(10)는 광을 기록매체에 조사하고, 조사된 광이 기록매체에서 반사 또는 회절된 광을 집광하여 전기신호를 생성한다. 전기신호는 기록매체(100)와 픽업부(10)간의 수직거리에 관한 신호정보, 픽업부(10)가 기록매체(100)의 트랙에서 수평으로 균형을 유지하는 지 여부에 관한 신호정보 및 픽업부(10)가 기록매체(10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기울어졌는가에 관한 신호정보 등을 생성할 수 있다.
픽업부(10)에 관한 자세한 구성은 추후 도 3을 참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신호생성부(30)는 픽업부(10)에서 생성된 전기신호를 이용하여 재생 신호(RF Signal), 갭 에러신호(GES, Gap Error Signal), 포커스 에러신호(Focus Error Signal, 이하 FES) 및 트래킹 에러신호(TES, Tracking Error Signal) 등을 생성한다. 갭 에러신호(GES)는 기록매체(100)와 픽업부(10) 간의 수직거리를 나타내는 신호정보이고, 포커스 에러신호(FES)는 기록매체(100)의 면진동 등에 의해 픽업부(10)와 기록매체(100)의 간격이 변화하면 광이 조사되는 위치가 변경되므로 이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정보이며, 트래킹 에러신호(TES)는 기록매체(100)와 픽업부(10)간의 트랙상의 위치를 나타내는 신호정보이다.
갭서보(40)는 신호생성부(30)에서 생성된 갭 에러 신호(GES)를 기초로 제어부(50)의 제어에 의해 액츄에이터(미도시)를 구동시켜, 픽업부(10)와 기록매체(100)의 간격을 실시간으로 조절한다. 스핀들 서보(70)는 제어부(50)에서 재생 신호(RF signal)를 기초로 제어부(50)의 제어에 의해 스핀들 모터(60)를 구동하여 기록매체(100)를 회전을 조절한다. 슬레드 모터(20)는 슬레드 서보(미도시)에 의해 구동되며, 픽업부(10)를 반경 방향으로 조절한다. 즉, 서보부(80)는 신호생성부(30)에서 생성된 신호정보를 이용하여 제어부(50)의 제어에 따라 픽업부(10) 또는 기록매체(100)의 거리, 위치 및 방향 등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센서부(110)는 사용자정보를 입력받는 역할을 한다. 사용자정보는 사용자 지문정보, 사용자 동공정보 등을 포함하여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 지문정보를 예로서 설명한다. 하지만, 사용자정보가 사용자 지문정보로서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센서부(110)는 사용자 지문정보를 입력받아 제어부(50)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센서부(110)는 사용자 지문정보를 입력받아 메모리(90)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센서부(110)는 사용자 지문정보를 신호처리하여 데이터로서 전환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센서부(110)는 사용자정보 입력부로 기재될 수 있다.
메모리(90)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는 사용자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며, 사용자 지문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90)는 기록매체(100)에 기록될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으며, 기록매체(100)에 기록되는 데이터 중 사용자정보 이외의 정보들도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50)는 신호생성부(30)에서 생성된 신호정보 중 재생신호(RF signal)를 이용하여, 기록매체(100)에 표시된 지문으로부터 획득한 사용자 지문정보와 기록매체(100)의 사용자정보 기록층에 기록된 사용자 지문정보를 비교하여 적법한 사용자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결과에 따라 기록매체(100)의 데이터 기록층에 기록된 데이터를 재생 또는 기록매체(100)의 데이터 기록층에 데이터를 기록하도록 픽업부를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센서부(110)에서 입력된 사용자 지문정보를 기록매체(100)의 사용자정보 기록층에 기록된 사용자 지문정보와 비교하여 사용자의 적법성 여부를 판단하고, 이에 따라 픽업부(10)를 제어하여 데이터를 기록 또는 재생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제어부(50)는 사용자 지문정보를 사용자정보 기록층에 기록하기 위하여, 기록매체(100)의 표면 상에 지문을 표시하면, 픽업부(10)와 기록매체(100) 사이의 재생신호 변화의 패턴으로 데이터 처리하고, 이를 기록매체(100)의 사용자정보 기록층에 기록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50)는 사용자 지문정보를 사용자정보 기록층에 기록하기 위하여, 센서부(110)를 통하여 사용자 지문정보를 입력받고, 이를 기록매체(100)의 사용자정보 기록층에 기록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50)는 기록매체(100)의 표면 상에 표시된 지문을 데이터처리하지 않고 그 형상을 그대로 기록매체(100)의 사용자정보 기록층에 동일하게 기록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라이트-스크라이브(light scribe) 방식을 이용한다. 추후에 적법한 사용자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때, 사용자 지문의 형상을 대조하는 방법도 가능하다.
또한, 제어부(50)는 사용자정보 기록층과 데이터 기록층에 조사하는 광의 종류를 다르게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정보 기록층은 파장이 큰 적색광을 이용하고 데이터 기록층은 파장이 작은 청색광을 이용하여 각각의 정보를 기록 또는 재생할 수 있다. 이는 각 층간의 노이즈 및 간섭 등의 영향을 초점이 상이한 광원을 사용함으로서 감소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록재생장치의 픽업부(10)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에서는 픽업부(10) 내부의 광원에서 방출된 광의 진행 방향을 기준으로, 그 외에는 신호의 흐름을 기준으로 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픽업부(10)는 광원(113), 제 1 분리합성부(120), 제 2 분리합성부(130), 렌즈부(140), 제 1 수광부(170) 및 제 2 수광부(18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픽업부(10)는 콜리메이터 렌즈(115)를 포함할 수 있다. 콜리메이터 렌즈(115)는 입사하는 광을 평행광으로 바꾸어 내보내는 역할을 한다. 광원(113)에서 방출된 광은 제 1 분리합성부(120)로 입사하여 일부는 반사되고 일부는 통과되어 제 2 분리합성부(130)로 입사된다. 제 2 분리합성부(130)는 선편광된 광에서 수직 편광 성분은 통과시키고 수평 편광 성분은 반사시킨다. 제 2 분리합성부(130)를 통과한 광은 렌즈부(140)로 입사한다. 렌즈부의 대물렌즈(미도시)로 입사한 광은 근접장 형성렌즈(미도시)를 통과하면서 소산파를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임계각 이상의 각도로 근접장 형성렌즈(미도시)에 입사한 광은 근접장 형성렌즈(미도시)의 표면과 기록매체의 표면에서 전반사한다. 임계각 이하의 각도로 근접장 형성렌즈(미도시)에 입사한 광은 기록매체의 기록층에 반사된다. 이 과정에서 생성되는 소산파 는 기록매체의 기록층에 도달하여 기록재생을 수행한다. 기록매체(100)로부터 반사된 광은 다시 렌즈부(140)를 통하여 제 2 분리합성부(130)로 입사한다. 제 2 분리합성부(130)로 입사하는 경로상에 편광변환면에 마련될 수 있다. 편광변환면은 기록매체로 입사하는 광과 반사된 광의 편광 방향을 변환한다. 따라서, 제 2 분리합성부(130)에 의해 수평 편광 성분만 통과되어 입사된 광은 기록매체(100)에 반사되어 다시 제 2 분리합성부(130)에 입사될 때 수직 편광 성분을 가지게 된다. 그러므로, 수직 편광 성분의 반사된 광은 제 2 분리합성부(130)에 반사되고, 반사된 광은 제 2 수광부(180)로 입사하게 된다. 제 2 분리합성부(130)로 입사되는 반사광의 일부는 편광 방향의 왜곡에 의하여 수평 편광 성분을 가지며, 제 2 분리합성부(130)를 통과하게 된다. 통과된 반사광은 제 1 분리합성부(120)로 입사한다. 그리고 제 1 분리합성부(120)는 입사된 광의 일부를 통과시키고 일부를 반사시킨다. 제 1 분리합성부(120)에서 반사된 광은 제 1 수광부(170)로 입사하게 된다. 수광부(170,180)는 분리합성부(120,130)를 통과한 광량을 수신하여 그 광량에 해당하는 전기 신호를 출력한다. 수광부(170,180)는 다분할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기록매체(100)의 신호트랙 방향이나 반경 방향으로 특정 분할, 예를 들면 2 분할한 2개의 광 검출 소자(PDA, PDB)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각각의 광 검출소자(PDA, PDB)는 수광된 광량에 비례하는 전기신호 a, b를 생성한다. 또는 수광부(170,180)는 기록매체(100)의 신호트랙 방향과 반경 방향으로 각각 4 분할한 4개의 광 검출소자(PDA, PDB, PDC, PDD)로 구성될 수도 있다. 수광부(170,180)를 구성하는 광 검출소자는 본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다양한 변형과 선택이 가능 하다.
앞서 언급한 제 1 수광부(170)를 구성하는 4 개의 광 검출 소자는 각각 수광된 광량에 상응하는 전기적 신호 a, b, c, d를 출력한다. 이때, 데이터를 기록재생하는 재생신호(RF signal)는 광 검출 소자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모두 가산하여 생성된다. 이와 같이 생성되는 재생신호(RF signal)를 식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Figure 112009001334026-PAT00001
여기서 재생 신호(RF signal)는 광량에 상응하는 전기신호들의 총합에 해당하므로, 제 1 수광부(170)에 수광된 반사광의 광량에 비례하게 된다.
도 4는 픽업부(10)를 기록매체(100)에 접근시킬 때, 재생신호값의 변화를 도시한 것이다. 재생신호(RF signal)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데이터의 기록/재생 중에 기록매체에서 반사 또는 회절된 광에 근거한 신호값이다. 구체적으로는 수광부(170)에 수광된 광량의 합에 해당한다.
도 4를 참조하면, 픽업부(10)와 기록매체(100)가 일정 거리 이상의 간격을 유지할 때, 즉, 광의 초점이 공기 중에 존재하는 경우에는 수광부(170)로 반사 또는 회절되는 광이 일정한 값을 갖는다. 이는 광의 초점이 공기 중에 있는 동안에는 동일하다. 광의 초점이 지문에 접하면, 낮은 회절율로 인하여 초점이 공기 중에 있을 때 보다 반사 또는 회절되는 광이 적어 수광부(170)에 수광되는 광량도 줄어든다. 이로 인하여, 재생신호의 값이 낮아진다. 광의 초점이 기록매체의 표면층에 접 하면, 기록매체(100)의 표면층의 물질 특성으로 인하여 일시적으로 광의 반사 또는 회절량이 증가된다. 이로 인하여 기록매체의 표면층에서는 재생신호 값이 일시적으로 급증한다. 이후, 표면층을 통과하면 원래의 일정한 값을 유지하다 기록매체의 기록층에 초점이 접하게 되면, 기록매체의 기록층에서 반사 또는 회절된 광으로 인하여 재생신호의 값이 급증하게 된다.
즉, 갭 에러신호(GES)와 포커스 에러신호(FES)를 포함한 다양한 신호정보를 이용하여 광의 초점을 기록매체의 표면층에 접하도록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러한 방법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기록매체의 표면층에서의 돌출된 재생신호의 신호값을 기준값으로 결정을 하게되면, 지문의 돌출부에서는 재생신호값이 기준값과 비교하여 마이너스 값을 기록층 및 표면층에서는 기준값과 동일한 값을 가지게 됨을 알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재생신호의 특성으로서 지문의 돌출부와 표면층의 구분이 가능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사용자 지문정보가 존재하는 기록매체의 표면층을 스캐닝하면, 재생신호의 신호값이 도 5와 같은 형상의 패턴으로 나타남을 알 수 있다.
도 5는 기록매체의 표면에 입력된 지문을 재생신호를 이용하여 데이터처리한 실험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기록매체의 표면에 입력된 지문은 기록매체의 표면층과 동일한 지문의 홈부와 기록매체의 표면층 상으로 돌출된 지문의 돌출부로 분류될 수 있다. 도 5의 지문에서는 흰 영역이 지문의 돌출부, 검은 영역이 지문의 홈부로 볼 수 있다. 지문의 돌출부는 기록매체의 표면층과 다른 물질로 구성되며, 이러한 물 질들은 조사된 광의 회절율을 낮추는 특성이 있다. 따라서, 재생신호값은 지문의 홈부에서는 기록매체의 표면층과 동일한 값을 가지나 지문 돌출부에서는 수광되는 광량이 감소로 재생신호값도 줄어든다. 이러한, 재생신호값의 패턴을 정렬하면 특정 데이터값으로 변환하는 것이 가능하다. 일 실시예로서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기록매체의 표면층에서의 재생신호 값을 기준값으로 설정하고, 신호값이 기준값 이하로 내려가는 값들의 패턴을 정렬하여 데이터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록매체(100)의 기록재생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정보를 사용자 지문정보를 예를들어 설명하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자명하다.
기록재생을 위하여 기록매체(100)의 표면에 사용자 지문정보를 입력하고(S10), 기록매체(100)를 기록재생장치에 로딩하면(S20), 기록재생장치의 제어부(50)는 기록매체의 사용자정보 기록층(200)에 저장된 사용자 지문정보와 기록매체의 표면에 입력된 사용자 지문정보와의 동일성 여부를 판단한다(S30). 동일성 여부가 확인되면, 제어부(50)는 픽업부(10)를 제어하여 기록매체의 데이터 기록층(220)에 기록된 데이터를 재생하거나, 기록매체의 데이터 기록층(220)에 데이터를 기록한다(S40).
기록매체(100)에 입력된 사용자 지문정보는 앞서 언급한 재생신호(RF signal)를 이용하여 신호처리되어 데이터화된다. 즉, 사용자 지문정보에서 지문의 홈부는 기록매체의 표면층과 동일하고 지문의 돌출부는 이물질 등으로 인하여 기록매체의 표면층에서 돌출된 형상을 가진다. 지문의 돌출부는 기록매체의 표면층과 비교하여 광의 회절율이 낮은 특성이 있다. 이로 인하여, 재생신호값이 지문의 홈부에서는 기록매체의 표면층과 동일한 값을 가지나 지문의 돌출부에서는 회절율의 저하로 수광되는 광량이 줄어들어 재생신호 값이 감소하게 된다. 이러한 감소 패턴들의 배열을 이용하여 데이터처리가 가능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기록매체(100)의 재생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기록재생을 위하여 기록재생장치의 센서부(110)에 사용자 지문정보를 입력하고(S12), 기록매체(100)를 기록재생장치에 로딩하면(S22), 기록재생장치의 제어부(50)는 기록매체의 사용자정보 기록층(200)에 저장된 사용자 지문정보와 센서부(110)로 입력된 사용자 지문정보를 비교하여 동일성 여부를 판단한다(S32). 동일성 여부가 확인되면, 제어부는 픽업부를 제어하여 기록매체의 데이터 기록층(220)에 기록된 데이터를 재생하거나, 기록매체의 데이터 기록층(220)에 데이터를 기록한다(S42).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정보의 등록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정보를 사용자 지문정보를 예를들어 설명하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자명하다.
사용자 지문정보를 등록하기 위하여 기록매체(100)의 표면에 사용자 지문정보를 입력한다(S15). 재생신호를 이용하여 사용자 지문정보의 패턴 신호값을 특정한다(S25). 특정된 패턴 신호값을 기록매체의 사용자정보 기록층(200)에 기록한다(S35). 재생신호를 이용하여 사용자 지문정보를 데이터처리하는 방법은 앞서 언 급한 바와 동일하다. 또한, 본 발명은 재생신호를 기준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신호정보를 이용하여 데이터처리가 가능함은 자명하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정보의 등록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사용자 지문정보를 센서부(110)를 통하여 입력하면(S17), 센서부(110)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지문정보를 기록매체의 사용자정보 기록층(200)에 기록한다(S27).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록매체를 도시한 것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기록매체는 복수개의 기록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복수개의 기록층에는 데이터를 기록하고 재생할 수 있는 데이터 기록층(220)과 기록매체의 보안성 확보를 위한 사용자정보 기록층(200)을 포함한다. 사용자정보 기록층(200)에는 사용자 지문정보가 동일한 모양으로 라이트 스크라이브(light-scribe) 방식에 의해 기록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정보 기록층(200)은 사용자 지문정보가 데이터 처리되어 데이터로서 기록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정보 기록층(200)이 별도로 존재하지 않고 데이터 기록층(220)에 사용자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기록매체를 이용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공인인증서 등을 포함한 보안성이 필요한 데이터의 경우에는 사용자 정보의 인증방법이 더욱 중요하다. 데이터 기록층에 공인인증서를 포함한 보안성이 필요한 데이터를 기록하고, 사용자 기록층에 인증된 사용자의 사용자 지문정보를 기록하면, 공인인증서를 포함한 보안성을 필요로하는 데이터에 안정성이 확보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기록층에 다수의 사용자 지문정보를 기록하면, 다수의 인증된 사용자의 접근도 가능하여 호환성 확보에도 유리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지문정보의 입력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록매체의 기록재생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록재생장치의 픽업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픽업부를 기록매체에 접근시킬 때, 재생신호값의 변화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기록매체의 표면에 입력된 지문을 재생신호를 이용하여 데이터처리한 실험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록매체의 기록재생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기록매체의 재생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정보의 등록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정보의 등록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록매체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기록매체를 이용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Claims (20)

  1. 데이터 기록층과 사용자정보 기록층을 포함하는 기록매체를 기록/재생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입력받은 사용자 정보와 상기 기록매체의 사용자정보 기록층에 기록된 사용자정보의 일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서 상기 기록매체의 데이터 기록층에 데이터를 기록 또는 데이터 기록층의 데이터를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록매체의 기록/재생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정보는 사용자 지문정보인 기록매체의 기록/재생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정보를 입력받는 단계는 상기 기록매체 상에 지문을 표시하는 단계인 기록매체의 기록/재생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는 사용자정보 입력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지문을 입력하는 기록매체의 기록/재생방법.
  5. 데이터 기록층과 사용자정보 기록층을 포함하는 기록매체를 기록/재생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정보를 상기 기록매체의 사용자정보 기록층에 기록하는 단계;
    상기 기록매체의 데이터 기록/재생시에 현재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기록매체의 사용자정보 기록층에 기록된 사용자정보와 입력된 상기 현재 사용자정보의 일치 여부에 따라서 상기 기록매체의 데이터 기록층에 데이터를 기록 또는 데이터 기록층의 데이터를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록매체의 기록/재생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정보는 사용자 지문정보인 기록매체의 기록/재생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정보를 기록하는 단계는 사용자정보 입력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지문정보를 입력하고, 상기 입력된 지문정보를 상기 기록매체의 사용자정보 기록층에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록매체의 기록/재생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지문정보를 기록하는 단계는 상기 기록매체 상에 지문을 표시하고, 상기 표시된 지문을 신호처리하여 지문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지문정보를 상기 기록매체의 사용자정보 기록층에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록매체의 기록/재생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된 지문을 신호처리하여 지문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재생 신호(RF signal)를 이용하는 기록매체의 기록/재생방법.
  10. 데이터 기록층과 사용자정보 기록층을 포함하는 기록매체를 기록/재생하는 장치에 있어서,
    데이터와 사용자정보를 기록/재생하고, 상기 기록매체 상에 입력된 사용자정보를 독출하는 픽업부; 및
    상기 입력된 사용자정보와 상기 기록매체의 사용자정보 기록층에 기록된 사용자정보의 일치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서 상기 기록매체의 데이터 기록층에 상기 데이터를 기록 또는 데이터 기록층의 데이터를 재생하도록 상기 픽업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기록매체의 기록/재생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정보는 사용자 지문정보인 기록매체의 기록/재생장치.
  12. 데이터 기록층과 사용자정보 기록층을 포함하는 기록매체를 기록/재생하는 장치에 있어서,
    데이터와 사용자정보를 기록/재생하는 픽업부;
    상기 사용자정보를 입력받는 사용자정보 입력부; 및
    상기 사용자정보 입력부로부터 입력된 사용자정보와 상기 기록매체의 사용자정보 기록층에 기록된 사용자정보의 일치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서 상기 기록매체의 데이터 기록층에 상기 데이터를 기록 또는 데이터 기록층의 상기 데이터를 재생하도록 상기 픽업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기록매체의 기록/재생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정보는 사용자 지문정보인 기록매체의 기록/재생장치.
  14. 데이터 기록층과 사용자정보 기록층을 포함하는 기록매체를 기록/재생하는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정보 및 데이터를 기록/재생하는 픽업부; 및
    상기 기록매체의 사용자정보 기록층에 기록된 사용자정보와 입력된 사용자정보의 일치 여부에 따라서 상기 픽업부를 제어하여 상기 기록매체의 데이터 기록층 에 데이터를 기록 또는 데이터 기록층의 상기 데이터를 재생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기록매체의 기록/재생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정보는 사용자 지문정보인 기록매체의 기록/재생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정보를 입력받는 사용자정보 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기록매체의 기록/재생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픽업부를 제어하여 상기 사용자정보 입력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지문정보를 입력하고, 상기 입력된 지문정보를 상기 기록매체의 사용자정보 기록층에 기록하는 기록매체의 기록/재생장치.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픽업부를 제어하여 상기 기록매체 상에 표시된 지문을 신호처리하여 지문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지문정보를 상기 기록매체의 사용자정보 기록층에 기록하는 기록매체의 기록/재생장치.
  19. 복수개의 기록층으로 구성된 기록매체에 있어서,
    데이터를 기록/재생하는 데이터 기록층과 사용자정보를 기록/재생하는 사용자정보 기록층을 포함하는 기록매체.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정보는 사용자 지문정보인 기록매체.
KR1020090001764A 2009-01-09 2009-01-09 기록매체, 기록매체의 기록/재생방법 및 기록/재생장치 KR2010008244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1764A KR20100082447A (ko) 2009-01-09 2009-01-09 기록매체, 기록매체의 기록/재생방법 및 기록/재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1764A KR20100082447A (ko) 2009-01-09 2009-01-09 기록매체, 기록매체의 기록/재생방법 및 기록/재생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2447A true KR20100082447A (ko) 2010-07-19

Family

ID=426425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1764A KR20100082447A (ko) 2009-01-09 2009-01-09 기록매체, 기록매체의 기록/재생방법 및 기록/재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8244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34530B2 (ja) 検索方法
US6636689B1 (en) Data disc modulation for minimizing pirating and/or unauthorized copying and/or unauthorized access of/to data on/from data media including compact discs and digital versatile discs
KR20110118588A (ko) 광 저장 장치에서 무단 복제를 방지하는 시스템 및 방법
JP2001273650A (ja) 光ピックアップ装置
US6466531B1 (en) Disc discriminator of optical disc player system
US20080225670A1 (en) Optical pickup, optical information recording apparatus and optical information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using the optical pickup
KR100573533B1 (ko) 광정보 기록 매체를 이용하는 시큐리티 시스템
JP4813458B2 (ja) 位置検出装置、位置検出方法、位置検出制御装置、位置検出制御方法、位置検出制御プログラム、アクセス認証装置、アクセス認証方法、アクセス認証制御装置、アクセス認証制御方法、アクセス認証制御プログラム、情報記憶装置及び光ディスク
KR20100082447A (ko) 기록매체, 기록매체의 기록/재생방법 및 기록/재생장치
US20090010133A1 (en) Recording medium using reference pattern, recording/reproducing method of the same and apparatus thereof
WO2002080172A1 (fr) Appareil d'enregistrement ou de reproduction de support d'enregistrement et procede de commande de sortie de donnees
WO2009154389A2 (ko) 기록매체, 기록매체 기록재생방법 및 기록재생장치
JP4730815B2 (ja) 記録方法、再生方法、及び光情報再生装置
US20080137515A1 (en) Optical information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and optical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JP4680225B2 (ja) 光情報処理装置及び光情報処理方法
US8077580B2 (en) Optical information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JP3872326B2 (ja) 不正複写防止機能付き光ディスクおよび光ディスク装置
KR100765922B1 (ko) 홀로그래픽 저장장치
KR100569399B1 (ko) 홀로그래픽 롬 디스크 및 이를 이용한 재생 방법
JP2011187101A (ja) 光情報記録再生装置、及び光情報再生方法
JP4062965B2 (ja) 情報記録媒体、情報記録/再生方法及び情報記録/再生装置
JPWO2009090905A1 (ja) 光学的情報再生装置、光ヘッド装置、光学的情報再生方法および情報再生プログラム
KR20080010826A (ko) 데이터 기록/재생 방법, 데이터 기록/재생 장치, 그리고기록매체
KR20100115978A (ko) 기록매체의 기록재생방법 및 기록재생장치
JP2007080369A (ja) 光ディスク判別方法、光ディスク判別プログラム及び光ディス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