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82138A - 전력선 통신망을 이용한 긴급호출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전력선 통신망을 이용한 긴급호출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82138A
KR20100082138A KR1020090001481A KR20090001481A KR20100082138A KR 20100082138 A KR20100082138 A KR 20100082138A KR 1020090001481 A KR1020090001481 A KR 1020090001481A KR 20090001481 A KR20090001481 A KR 20090001481A KR 20100082138 A KR20100082138 A KR 201000821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rol
identifier
power line
emergency call
lin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14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29302B1 (ko
Inventor
정강식
이강세
김홍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0900014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9302B1/ko
Publication of KR201000821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21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93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93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06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power transmission lin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08B21/0438Sensor means for detecting
    • G08B21/0453Sensor means for detecting worn on the body to detect health condition by physiological monitoring, e.g. electrocardiogram, temperature, breathing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08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communication transmission lin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Card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hysi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개시된 본 발명의 전력선 통신망을 이용한 긴급호출 관리 시스템은, 순찰자의 리모콘 입력신호에 응답하여 리모콘식별자, 순찰상태정보 및 관리식별자를 포함하는 순찰신호를 생성하여 전력선 통신망으로 전송하는 입간판과, 전력선 통신망을 통하여 순찰신호를 수신하고, 관리식별자에 해당하는 순찰 관련 데이터 레코드에 리모콘식별자와 순찰상태정보를 저장하여 관리하는 긴급호출 관리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력선 통신망을 이용한 긴급호출 관리 시스템{SYSTEM FOR MANAGING EMERGENCY CALL USING POWER LINE COMMUNICATION}
본 발명은 긴급호출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력선 통신망을 이용한 긴급호출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력선 통신(PLC; Power Line Communication)이란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선을 매개체로 음성과 데이터를 수백 Khz 내지 수십 Mhz 이상의 고주파 신호에 실어 통신하는 기술을 의미한다. 전력선 통신은 전기·가스·수도 통합검침, 에너지 관리, 홈 네트워크, 헬스케어, 중저속 인터넷 등에 이용될 수 있다.
1999년부터 지식경제부와 본 출원인의 주도하에 진행된 PLC 기술 개발에 따라, 우리나라는 세계적 수준의 고속 PLC 기술을 확보하게 되었으며, 2007년부터 전력 사용량 원격검침을 목적으로 전국 모든 가구를 대상으로 원격검침용 PLC망이 구축되고 있다. 이러한 전력선 통신은 이미 설치된 전력선을 이용할 수 있어 인프라 구축이 저렴할 뿐아니라 통신요금이 저렴하여 지역간 정보격차 해소와 IT(Information Technology) 네트워크화를 촉진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한편, 우리나라는 개발도상국을 넘어 선진국 대열로 들어서게 되면서 맞벌이 부부의 증가, 핵가족화 현상의 가속화 등으로 인해, 유아 또는 어린이를 일상적으로 보살피는 부모 및 가족들이 줄어들고, 이로 인해 유아 또는 어린이의 납치, 유괴, 실종, 미아 사건에 대한 위험이 급증하고 있다. 이러한 위험에 노출된 어린이들을 보호하고자 최근 경찰청에서는 유치원, 초등학교, 놀이터, 공원, 아파트 밀집지역 주변에 위치하고 있는 문구점, 편의점 등 약 2만 5천개소를 "아동안전지킴이 집"으로 지정하여 운영하고 있다. 그런데 지정된 "안전지킴이 집"의 대부분은 편의점, 문구점 등 생업과 함께 아동안전지킴이 업무를 수행하여야 하므로 실질적으로 아동안전지킴이 역할을 제대로 수행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아동안전지킴이 집들의 주변에 긴급상황이 발생한 경우 경찰서 등에 긴급호출할 수 있는 새로운 시스템의 개발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에 따라 안출된 것으로서, 순찰자가 아동안전지킴이 집들의 주변을 순찰하고 긴급상황이 발생한 경우 전력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경찰서 등에 긴급호출할 수 있는 전력선 통신망을 이용한 긴급 호출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순찰자가 아동안전지킴이 집들의 주변을 순찰하고 순찰상태 를 전력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동사무소 등에 전송하는 전력선 통신만을 이용한 긴급 호출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전력선 통신망을 이용한 긴급호출 관리 시스템은, 순찰자의 리모콘 입력신호에 응답하여, 리모콘식별자, 순찰상태정보 및 관리식별자를 포함하는 순찰신호를 생성하여 전력선 통신망으로 전송하는 입간판; 및 상기 전력선 통신망을 통하여 순찰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관리식별자에 해당하는 순찰 관련 데이터 레코드에 상기 리모콘식별자와 순찰상태정보를 저장하여 관리하는 긴급호출 관리서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입간판은, 다중 이용시설 건물 외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리모콘식별자는 복수의 리모콘 중 특정 리모콘을 식별하는 식별자이고, 상기 순찰상태정보는 상기 순찰자의 순찰결과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관리식별자는 복수의 입간판 중 특정 입간판을 식별하는 식별자이고, 상기 순찰 관련 데이터 레코더는 상기 리모콘식별자, 순찰상태정보 및 관리식별자 필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긴급호출 관리서버는, 상기 순찰신호를 수신하면, 미리 저장된 연락처 정보를 이용하여 호출을 시행(施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력선 통신망을 이용한 긴급호출 관리 시스템은, 상기 리모콘식별자에 복수의 순찰자 중 특정 순찰자를 식별하는 순찰자식별자가 연계되어 저 장되며, 상기 긴급호출 관리서버로부터 상기 순찰 관련 데이터를 제공받아 상기 리모콘식별자에 해당하는 순찰자식별자를 액세스하여 해당하는 순찰자의 순찰업무에 대한 비용산정자료로 사용하는 순찰자 관리서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전력선 통신망을 이용한 긴급호출 관리 시스템은, 순찰자가 아동안전지킴이 집들의 주변을 순찰하고 긴급상황이 발생한 경우 전력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경찰서 등에 긴급호출할 수 있기 때문에, 긴급상황이 발생한 곳으로 신속하게 경찰 등의 인력을 출동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순찰자가 아동안전지킴이 집들의 주변을 순찰하고 순찰상태를 전력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동사무소 등으로 전송할 수 있기 때문에, 아동안전지킴이 업무를 수행하는 순찰자에게 순찰에 대한 비용을 지급하는 자료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긴급호출 관리 시스템을 포함한 망 구성 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긴급호출 관리 시스템은 긴급호출 관리서버(100), 전력선 통신망(200), 전력량계(120), 전력선 통신커플러(130), 리모콘(30) 및 입간판(110)을 포함한다.
여기서, 입간판(110)은 불특정 다수인이 이용하는 다중 이용시설(10)의 건물 외부에 설치된다. 다중 이용시설(10)은 경찰청에서 지정한 "안전지킴이 집"으로서 문구점, 편의점 등일 수 있다.
상기 긴급호출 관리서버(100)는 입간판(110)에서 생성된 순찰신호를 전력선 통신망(200)을 통하여 수신한다. 긴급호출 관리서버(100)는 순찰신호에 응답하여, 통신망(300)을 통해 경찰서(410) 등을 호출함으로써 해당 다중 이용시설(10)로 경찰차 등을 출동시킬 수 있다. 긴급호출 관리서버(100)는 순찰신호에 응답하여 순찰 관련 데이터를 저장하여 관리하고, 통신망(300)을 통하여 순찰 관련 데이터를 순찰자 관리서버(400)로 전송할 수 있다. 통신망(300)은 인터넷, 이동통신망 또는 공중전화교환망(PSTN;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을 포함한다. 긴급호출 관리서버(100)는 전력선 통신망(200)을 이용하여 다중 이용시설(10)의 전력 사용량을 검침하는 원격 검침 서버일 수 있다.
상기 전력선 통신망(200)은 다중 이용시설(10)의 건물 외부에 설치된 입간판(110)과 긴급호출 관리서버(100)간의 데이터 통신 경로를 제공한다. 전력선 통신망(200)은 송배전 선로, 전력선 통신 라우터, 전력선 통신 게이트 웨이를 포함하며, 다중 이용시설(10)의 전력 사용량을 원격 검침하는 통신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전력량계(120)는 다중 이용시설(10)에서 사용한 전력량을 측정하여 전력선 통신망(200)을 통하여 긴급호출 관리서버(100)로 제공한다. 상기 전력선 통신커플러(130)는 전력량계(120)를 바이패스(ByPass)하여 통신신호를 입간판(110)으로 배분한다.
상기 입간판(110)은 다중 이용시설(10)의 건물 외부에 설치되며, 외부에 경찰청이 지정한 "안전지킴이 집"임을 나타내는 표지가 부착되거나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입간판(110)은 순찰자(20)의 리모콘(30) 입력신호에 응답하여 순찰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순찰신호를 전력선 통신망(200)을 통하여 긴급호출 관리서버(100)로 전송한다. 리모콘 입력신호는 복수의 리모콘 중 특정 리모콘(20)를 유일하게 식별하는 리모콘 식별자와 순찰상태정보를 포함한다. 순찰상태정보는 "양호" 또는 "긴급"일 수 있다. 순찰신호는 관리 식별자, 리모콘 식별자 및 순찰상태 정보를 포함한다. 관리 식별자는 전력선 통신망(200)에 연결된 복수의 입갑판 중 특정 입간판(110)을 유일하게 식별하는 식별자이다.
상기 리모콘(30)은 적어도 두개의 입력버튼을 포함하고 리모콘 식별자가 할당되어 저장된다. 두개의 입력버튼은 각각 제1 주파수 신호 또는 제2 주파수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제1 주파수 신호와 제2 주파수 신호는 "양호"의 순찰상태정보와 "긴급"의 순찰상태정보에 각각 대응될 수 있다. 리모콘(30)은 안전지킴이 집으로 지정된 복수의 다중 이용시설(10)을 순찰하는 순찰자(20)가 소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리모콘(30)은 입간판(110)에 입력신호를 제공하는 단방향 통신뿐 아니 라 이동통신망(도시되지 않음) 등 다른 통신망을 통하여 순찰자에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거나 문자정보 등을 받을 수 있는 손목 시계형으로 구현될 수 있다. 순찰자에 관련된 정보는 손목시계형 리모콘이 측정한 순찰자의 맥박 또는 혈압 등 순찰자 건강 정보일 수 있다. 문자정보는 순찰상태정보 입력에 대한 확인 메시지일 수 있다.
리모콘(30)을 소지한 순찰자(20)가 다중 이용시설(10)의 건물 외부 주위를 순찰한 결과 통상적인 상황인 경우, 양호로 판단하고 이에 해당하는 하나의 입력버튼을 입간판(110)을 향하여 누르면, 리모콘(30)은 리모콘 식별자와 함께 제1 주파수 신호를 입간판(110)으로 입력한다. 리모콘(30)을 소지한 순찰자(20)가 다중 이용시설(10)의 건물 외부 주위를 순찰한 결과 긴급호출을 요구하는 상황인 경우, 긴급으로 판단하고 이에 해당하는 다른 하나의 입력버튼을 입간판(110)을 향하여 누르면, 리모콘(30)은 리모콘 식별자와 함께 제2 주파수 신호를 입간판(110)으로 입력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긴급호출 관리서버(100)는 통신망(300)을 통하여 순찰자 관리서버(400)에 연결될 수 있다. 순찰자 관리서버(400)는 순찰자들의 순찰이력을 관리하는 서버로, 순찰자들에게 순찰업무를 부여한 관공서 등에 설치될 수 있다. 순찰자 관리서버(400)는 긴급호출 관리서버(100)로부터 수신된 순찰신호 및 순찰 관련 데이터를 이용하여 순찰자의 순찰업무에 대한 비용을 산정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입간판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입간판(110)은 카메라(112), 스위칭부(113), 수신부(114), 제어부(116), 저장부(117), 전력선 통신 모뎀(118) 및 표시부(119)를 포함한다.
상기 카메라(112)는 입간판(110)이 설치된 다중 이용시설(10) 건물의 외부 주위를 촬영하여 촬영된 영상 신호를 전력선 통신 모뎀(118)으로 전송한다. 상기 스위칭부(113)는 제어부(116)의 제어에 따라 스위칭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위칭 소자를 포함한다. 상기 수신부(114)는 안테나(115)를 통해 리모콘(30)으로부터 리모콘 입력신호를 수신하여 제어부(116)로 전달한다. 상기 저장부(117)에는 입간판(110)에 할당되는 관리 식별자가 저장된다. 상기 표시부(119)는 제어부(116)의 제어에 따라, 양호 상태와 긴급 상태를 각각 표시하는 적색 LED 또는 녹색 LED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116)는 수신부(114)로부터 리모콘 입력신호가 전달되면, 리모콘 입력신호로부터 리모콘 식별자와 순찰상태정보를 추출하고, 저장부(117)로부터 관리 식별자를 독출한다. 제어부(116)는 추출된 리모콘 식별자, 순찰상태정보, 및 독출된 관리 식별자를 포함하는 순찰신호를 생성하여 전력선 통신 모뎀(118)으로 제공한다.
제어부(116)는 수신부(114)로부터 리모콘 입력신호가 전달되면, 스위칭부(116)를 제어하여 카메라(112)로부터 영상신호가 전력선 통신 모뎀(118)으로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116)는 수신부(114)로부터 리모콘 입력신호가 전달 되면, 카메라(112)를 구동시켜 촬영된 영상 신호를 전력선 통신 모뎀(118)으로 직접(스위칭부를 거치지 않고) 전송하도록 할 수도 있다.
제어부(116)는 리모콘 입력신호에 포함된 순찰상태정보가 "양호"이면, 표시부(119)를 제어하여 녹색 LED가 점등(點燈) 또는 점멸(點滅)되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116)는 리모콘 입력신호에 포함된 순찰상태정보가 "긴급"이면, 표시부(119)를 제어하여 적색 LED가 점등 또는 점멸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전력선 통신 모뎀(118)은 제어부(116)로부터 제공되는 순찰신호 및 카메라(112)로부터 전송되는 영상신호를 통신신호로 변조하여 전력선 통신망(200)을 통해 긴급호출 관리서버(100)로 전송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긴급호출 관리서버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긴급호출 관리서버(100)는 저장부(102), 제어부(104), 및 송수신부(106)를 포함한다.
상기 저장부(102)에는 순찰 관련 데이터 및 연락처 정보가 저장된다. 예를 들면, 순찰 관련 데이터는 관리자, 관리식별자, 설치위치, 리모콘식별자, 날짜, 시간 및 순찰상태를 표시하는 정보를 포함한다. 관리자는 입간판이 설치된 다중 이용시설의 사업자 이름 또는 상호명일 수 있다. 관리식별자는 복수의 입간판 중 특정 입간판을 식별하는 식별자로서, 숫자 또는 문자의 조합일 수 있다. 설치위치는 입간판이 설치된 다중 이용시설의 주소일 수 있다. 리모콘식별자는 복수의 리모콘 중 특정 리모콘을 식별하는 식별자로서, 숫자 또는 문자의 조합일 수 있다. 날짜 및 시간은 순찰자가 특정 입간판으로 입력신호를 입력한 날짜 및 시간을 말하며, 순찰신호가 긴급호출 관리서버에 수신된 날짜 및 시간일 수 있다. 순찰상태는 순찰자가 리모콘을 통하여 입력한 순찰상태정보이다. 연락처 정보(도시되지 않음)는 경찰서 전화번호이거나 경찰서에 설치된 서버의 아이피 주소일 수 있다.
상기 제어부(104)는 송수신부(106)로부터 순찰신호를 제공받고 순찰신호에 포함된 관리식별자를 키로 저장부(102)를 액세스하여, 순찰신호에 포함된 리모콘식별자 및 순찰상태를 관리식별자에 해당하는 순찰 관련 데이터 레코드의 리모콘식별자 필드 및 순찰상태 필드에 각각 저장한다. 이때, 제어부(104)는 송수신부(106)로부터 순찰신호를 제공받은 날짜 및 시간을 해당 순찰 관련 데이터 레코드의 날짜 필드 및 시간 필드에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104)는 순찰상태정보가 "긴급"인 경우, 저장부(102)에 저장된 연락처 정보를 액세스하고, 액세스된 연락처 정보에 따라 송수신부(106)를 통하여 경찰서 등을 호출한다. 제어부(104)는 경찰서 등을 호출시, 설치 위치 정보를 경찰서 등에 음성 데이터 또는 문자 데이터 등의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104)는 송수신부(106)로 부터 카메라(112)에서 촬영된 영상 신호를 수신하면 이를 모니터로 출력하여 긴급호출 관리서버(100)의 관리자가 인식하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104)는 순찰자 관리서버(400)로부터의 요청 또는 미리 설정된 주기에 의해 저장부(102)에 저장된 순찰 관련 데이터를 통신망(400)을 통하여 순찰자 관련서버(40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송수신부(106)는 전력선 통신망(200)과 인터페이싱을 지원하며 전력선 통신망(200)을 통하여 수신되는 순찰신호 등을 제어부(104)로 제공하고, 제어부(104)의 제어에 따라 경찰서 등을 호출할 수 있도록 통신망(400)과 인터페이싱을 지원한다.
긴급호출 관리서버(100)가 다중 이용시설(10)의 전력 사용량을 검침하는 원격 검침 서버인 경우, 원격 검침을 위한 다중 이용시설 관련 정보들은 순찰 관련 정보로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다중 이용시설(10)의 관리자 및 주소는 순찰 관련 정보의 관리자 및 설치위치 정보 등으로 이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긴급호출 관리서버(100)가 순찰신호에 응답하여 순찰 관련 데이터를 업데이트하여 관리하고 순찰자 관리서버(400)로 전송하는 경우를 예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예를 들면, 긴급호출 관리서버(100)는 순찰신호를 순찰자 관리서버(400)로 바로 전달하고, 순찰자 관리서버(400)가 상기에 기술된 긴급호출 관리서버(100)의 기능을 구현하도록 할 수 있다. 순찰자 관리서버(400)가 상기에 기술된 긴급호출 관리서버(100)의 기능을 구현하도록 하는 경우, 순찰자 관리서버(400)는 긴급호출 관리서버(100)의 중계를 거치지 않고 전력선 통신망(200)을 통하여 입간판(110)으로부터 직접 순찰신호를 수신할 수 도 있다.
한편, 순찰자 관리서버(400)는 리모콘식별자를 키로 액세스될 수 있는 순찰자식별자를 가질 수 있다. 순찰자식별자는 순찰자 이름, 주민등록번호, 지문 등 순찰자를 유일하게 식별한다. 예를들면, 순찰자 관리서버(400)가 설치된 관공서 등은 순찰자에게 특정 지역의 순찰업무를 부여하고 특정 리모콘을 주는 경우, 특정 리모콘에 할당된 리모콘식별자는 리모콘을 소지한 순찰자의 순찰자식별자와 연계되어 순찰자 관리서버(400)에 저장된다. 그러므로 순찰자 관리서버(400)는 리모콘식별자가 포함된 순찰 관련 데이터를 수신하면 리모콘식별자에 해당하는 순찰자식별자를 액세스할 수 있다.
순찰 관련 데이터는 순찰자식별자에 해당하는 순찰자의 순찰비용을 산정하는 자료로 이용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순찰 관련 데이터를 참조하면, 리모콘식별자 "ID13"의 리모콘을 소지한 순찰자는 2009년 1월 1일 역삼동 10번지 내지 30번지에 위치한 다중 이용시설 주변을 일정시간 동안 순차적으로 순찰하였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순찰자에게 특정 지역의 순찰업무를 부여한 관공서 등은 이러한 자료를 근거로 하여 순찰자에게 순찰업무에 대한 비용을 지급할 수 있다.
순찰 관리서버(400)는 순찰자식별자에 연계된 순찰자 휴대폰 번호 등 순찰자연락처정보를 더 가질 수 있다. 순찰자 관리서버(400)는 순찰 관련 데이터를 수신하면, 순찰자가 입력한 순찰상태정보가 정상적으로 순찰 관리서버(400) 등에 수신되었음을 알리는 문자정보를 순찰자 휴대폰 번호로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긴급호출 관리 시스템을 포함한 망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입간판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긴급호출 관리서버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다중 이용시설 20: 순찰자
30: 리모콘 100: 긴급호출 관리서버
110: 입간판 120: 전력량계
130: 전력선 통신 커플러 200: 전력선 통신망
300: 통신망 400: 순찰자 관리서버
410: 경찰서

Claims (5)

  1. 순찰자의 리모콘 입력신호에 응답하여, 리모콘식별자, 순찰상태정보 및 관리식별자를 포함하는 순찰신호를 생성하여 전력선 통신망으로 전송하는 입간판;
    상기 전력선 통신망을 통하여 순찰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관리식별자에 해당하는 순찰 관련 데이터 레코드에 상기 리모콘식별자와 순찰상태정보를 저장하여 관리하는 긴급호출 관리서버;를 포함하는 전력선 통신망을 이용한 긴급호출 관리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간판은,
    다중 이용시설 건물 외부에 설치되는 전력선 통신망을 이용한 긴급호출 관리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콘식별자는 복수의 리모콘 중 특정 리모콘을 식별하는 식별자이고, 상기 순찰상태정보는 상기 순찰자의 순찰결과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관리식별자는 복수의 입간판 중 특정 입간판을 식별하는 식별자이고,
    상기 순찰 관련 데이터 레코더는 상기 리모콘식별자, 순찰상태정보 및 관리 식별자 필드를 포함하는 전력선 통신망을 이용한 긴급호출 관리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긴급호출 관리서버는,
    상기 순찰신호를 수신하면, 미리 저장된 연락처 정보를 이용하여 호출을 시행(施行)하는 전력선 통신망을 이용한 긴급호출 관리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콘식별자에 복수의 순찰자 중 특정 순찰자를 식별하는 순찰자식별자가 연계되어 저장되며, 상기 긴급호출 관리서버로부터 상기 순찰 관련 데이터를 제공받아 상기 리모콘식별자에 해당하는 순찰자식별자를 액세스하여 해당하는 순찰자의 순찰업무에 대한 비용산정자료로 사용하는 순찰자 관리서버를 더 포함하는 전력선 통신망을 이용한 긴급호출 관리 시스템.
KR1020090001481A 2009-01-08 2009-01-08 전력선 통신망을 이용한 긴급호출 관리 시스템 KR1010293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1481A KR101029302B1 (ko) 2009-01-08 2009-01-08 전력선 통신망을 이용한 긴급호출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1481A KR101029302B1 (ko) 2009-01-08 2009-01-08 전력선 통신망을 이용한 긴급호출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2138A true KR20100082138A (ko) 2010-07-16
KR101029302B1 KR101029302B1 (ko) 2011-04-18

Family

ID=426423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1481A KR101029302B1 (ko) 2009-01-08 2009-01-08 전력선 통신망을 이용한 긴급호출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930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423785A2 (en) 2010-08-24 2012-02-29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KR101385211B1 (ko) * 2013-03-14 2014-04-15 한재용 스마트형 통합 안전 지킴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0154U (ko) * 1998-04-27 1999-11-25 주식회사 일진 순찰 점검 시스템의 리모콘
KR19980033634A (ko) * 1998-04-27 1998-07-25 임정섭 전자 순찰방법 및 그 장치.
KR100717400B1 (ko) * 2005-10-31 2007-05-11 한국전력공사 순찰확인 시스템
KR100773021B1 (ko) 2006-10-13 2007-11-02 (주)에이스안테나 Rfid를 이용한 순찰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423785A2 (en) 2010-08-24 2012-02-29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KR101385211B1 (ko) * 2013-03-14 2014-04-15 한재용 스마트형 통합 안전 지킴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29302B1 (ko) 2011-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369006B (zh) 一种社区消防动态管控系统及管控方法
CN206472151U (zh) 一种智能小区管理系统
CN103561043A (zh) 一种服务信息推送方法及系统
CN103179212A (zh) 智慧社区管理服务方法和网络构架
CN201828978U (zh) 银行二道门系统
CN107452178A (zh) 火灾智能报警系统及火灾智能报警方法
CN114153343A (zh) 一种健康码显示方法及电子设备
CN105491102A (zh) 一种基于云计算技术的智能监控系统及其装置
CN201583991U (zh) 一种点钞机
CN111068228A (zh) 一种高层智慧数字灭火系统、灭火器监管系统及监管方法
CN102184602B (zh) 银行atm及野外设施窄带监控警告系统
WO2009043065A2 (en) Remote monitoring system
CN203870675U (zh) 校园管理系统
KR101029302B1 (ko) 전력선 통신망을 이용한 긴급호출 관리 시스템
CN102817635A (zh) 一种电力隧道有线应急通信指挥人员定位系统
CN106657414A (zh) 一种基于物联网的智能社区管理系统
Tsai et al. A service of home security system on intelligent network
CN103078951A (zh) 基于移动应用的环保数据采集器
KR20070032526A (ko) 공동주택 통합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N209659462U (zh) 一种基于人工智能及物联网的人脸识别云对讲系统
CN111489479A (zh) 智能物业管理系统
CN204733268U (zh) 基于云服务的全数字可视对讲系统
KR20100080695A (ko) 전력선 통신망을 이용한 제세동기 관리 시스템
JP3688575B2 (ja) 遠隔監視・管理システム
JP2006209589A (ja) 認証用住居情報取得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7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