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82043A - 어상자 - Google Patents

어상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82043A
KR20100082043A KR1020090001331A KR20090001331A KR20100082043A KR 20100082043 A KR20100082043 A KR 20100082043A KR 1020090001331 A KR1020090001331 A KR 1020090001331A KR 20090001331 A KR20090001331 A KR 20090001331A KR 20100082043 A KR20100082043 A KR 201000820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corner
box
fish
wal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13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운모
Original Assignee
정운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운모 filed Critical 정운모
Priority to KR10200900013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82043A/ko
Publication of KR201000820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204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05Small buildings erected in the open air

Abstract

본 발명은 어상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바닥면에 다수의 배수공이 천공되고 상기 바닥면의 전, 후측 외면과의 사이에 제 1 절곡부를 두고 일체로 연결되되 양측부에 보강편이 각각 형성된 전, 후벽과, 상기 바닥면의 좌, 우측 외면과의 사이에 제 2 절곡부를 두고 일체로 연결되는 좌, 우측벽으로 이루어진 어상자에 있어서, 상기 전, 후벽 및 보강편의 모서리 영역에 각각 형성한 제 1 및 제 2 삽입공과; 상기 제 2 삽입공과 접촉되어 대향하도록 상기 좌, 우측벽의 모서리 영역에 형성한 제 3 삽입공을 포함하며; 표면 형상이 "ㄴ" 자 형상의 직각으로 형성된 돌출벽과 상기 돌출벽의 외측으로부터 연결 절곡되어 하측 방향으로 연장된 후벽과 상기 돌출벽으로부터 직각으로 형성된 턱과 상기 턱으로부터 하부 방향을 향하여 절곡 형성된 내벽과 상기 후벽과 내벽 사이에 마련된 협지홈과 상기 후벽의 내측면에 복수의 돌기가 형성된 코너클립을 포함하여; 상기 코너클립을 상기 전, 후벽 및 좌, 우측벽이 세워진 어상자의 사방 모서리에 삽입하면 상기 돌기가 상기 제 1 내지 제 3 삽입공에 삽입 걸림되어 상기 코너클립이 상기 어상자에 사방 모서리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어상자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이점과 아울러 어상자를 적층할 때 어상자를 상측을 향하여 바르도록 쉽게 적층할 수 있으며 특히 적층된 어상자가 전후좌우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어상자, 적층, 코너클립

Description

어상자{FISH BOX}
본 발명은 각종 생선을 담을 수 있는 어상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 어상자의 사방 모서리에 코너클립을 삽입 고정함으로써 어상자의 사방 모서리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고, 아울러 어상자를 적층할 때 어상자를 상측을 향하여 바르게 적층할 수 있으며, 특히 적층된 어상자가 전후좌우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어상자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어상자는 바닥판과 전, 후벽 및 좌, 우측벽을 형성함에 있어서 주로 나무를 때고 못으로 박아 만든 나무상자이다. 이와 같은 나무로 된 어상자는 물이 내부로 스며들면 빠른 시간내에 건조되지 않고 항상 젖어 있게 된다. 따라서 어상자에 세균의 번식이 용이하고, 이로 인해 어류를 담아 운송 보관시 어류의 선도를 저하시키는 한편, 깨끗하게 세척하는 것이 쉽지 않음으로 매우 비위생적이며 사용 및 운반 적층시 쉽게 파손되고 절첩이 되지않아 보관상의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이에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근래에는 합성수지를 사용하여 어상자를 형성한 것이 다수 제안된바 있다. 이와 같은 어상자는 바닥면(11)에 다수의 배수공(12)이 천공되고, 상기 바닥면의 전, 후측 외주연과의 사이에 제 1 절곡 부(13)(13')를 두고 일체로 연결되되 양측부에 보강편(14)(14')이 각각 형성된 전, 후벽(15)(15')과, 상기 바닥면의 좌, 우측 외면과의 사이에 제 2 절곡부(16)(16')를 두고 일체로 연결되는 좌, 우측벽(17)(17')을 갖고 있으며 이와 같은 어상자는 전, 후벽을 세워 제 1 보강편을 내측으로 둔 후 좌, 우측벽을 세워 사방 모서리를 스테플러용 철핀으로 고정하여 어상자를 형성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어상자를 제조할 때에는, 작업자가 일일이 스테플러용 철핀으로 어상자의 사방 모서리를 고정하므로 작업이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어상자를 자주 사용하다 보면 스테플러용 철핀이 박힌 부분이 마모되고 파손되어 쉽게 빠지게 되면 어상자는 본래의 형상을 잃어 사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특히 종래의 어상자를 적층할 때는 작업자가 일일이 적층된 어상자의 사방 모서리를 맞춰가며 바르게 적층한다는 것이 매우 힘들기 때문에 바르게 적층할 수 없는 폐단이 있으며, 특히 적층된 어상자가 전후좌우로 유동되어 쓰러지고 따라서 높게 적층하는 것이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 등을 해결하기 위하여, 어상자의 사방 모서리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이점과 아울러 어상자를 적층할 때 어상자를 상측을 향하여 바르게 적층할 수 있으며, 특히 적층된 어상자가 전후좌우로 유동되어 쉽게 쓰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어상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바닥면에 다수의 배수공이 천공되고 상기 바닥면의 전, 후측 외면과의 사이에 제 1 절곡부를 두고 일체로 연결되되 양측부에 보강편이 각각 형성된 전, 후벽과, 상기 바닥면의 좌, 우측 외면과의 사이에 제 2 절곡부를 두고 일체로 연결되는 좌, 우측벽으로 이루어진 어상자에 있어서, 상기 전, 후벽 및 보강편의 모서리 영역에 각각 형성한 제 1 및 제 2 삽입공과; 상기 제 2 삽입공과 접촉되어 대향하도록 상기 좌, 우측벽의 모서리 영역에 형성한 제 3 삽입공을 포함하며; 표면 형상이 "ㄴ" 자 형상의 직각으로 형성된 돌출벽과 상기 돌출벽의 외측으로부터 연결 절곡되어 하측 방향으로 연장된 후벽과 상기 돌출벽으로부터 직각으로 형성된 턱과 상기 턱으로부터 하부 방향을 향하여 절곡 형성된 내벽과 상기 후벽과 내벽 사이에 마련된 협지홈과 상기 후벽의 내측면에 복수의 돌기가 형성된 코너클립을 포함하여; 상기 코너클립을 상기 전, 후벽 및 좌, 우측벽이 세워진 어상자의 사방 모서리에 삽입하면 상기 돌기가 상기 제 1 내지 제 3 삽입공에 삽입 걸림되어 상기 코너클립이 상기 어상자에 사방 모서리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상자에 의해 달성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어상자는, 어상자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이점과 아울러 어상자를 적층할 때 어상자를 상측을 향하여 바르도록 쉽게 적층할 수 있으며 특히 적층된 어상자가 전후좌우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어상자의 외관을 보인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어상자의 전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코너클립을 어상자의 모서리로부터 분리시킨 상태를 보인 분리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에 따른 조립상태를 보인 확대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어상자(10)는, 다양한 합성수지판재로 형성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가볍고 견고할 수 있도록 합성수지골판재로 형성하고 있다.
도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어상자(10)는, 바닥면(11)에 다수의 배수공(12)이 천공되어 있고, 바닥면(11)의 전, 후측 외면에는 제 1 절곡부(13)(13')를 두고 양측부에 보강편(14)(14')이 형성된 전, 후벽(15)(15')를 형성하고 있으며, 바닥면(11)의 좌, 우측 외면에는 제 2 절곡부(16)(16')를 두고 좌, 우측벽(17)(17')을 형성하고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어상자(10)의 전, 후벽(15)(15')의 모서리에는 제 1 삽입공(18")을 형성하고 보강편(14)(14')의 모서리 영역에는 제 2 삽입공(18)(18')을 각각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제 1 삽입공(18)(18')과 접촉되어 대향하도록 좌, 우측벽(17)(17')의 모서리 영역에는 제 3 삽입공(19)(19')을 각각 형성하고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어상자(10)의 사방 모서리에는 코너클립(20)을 각각 삽입 고정하고 있는데, 상기 코너클립(20)은 표면 형상이 "ㄴ" 자 형상의 직각으로 형성된 돌출벽(21)과 돌출벽(21)의 외측으로부터 연결 절곡되어 하측 방향으로 연장된 후벽(22)과 돌출벽(21)으로부터 직각으로 형성된 턱(23)과 턱(23)으로부터 하부 방향을 향하여 절곡 형성된 내벽(24)과 후벽(22)과 내벽(24) 사이에 마련된 협지홈(25)과 후벽(22)의 내측면에 복수의 돌기(26)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협지홈(25) 또한 코너클립(20)의 표면 형상과 같이 "ㄴ" 자 형상으로 마련되어 있다.
이와 같은 코너클립(20)은 어상자(10)의 전, 후벽(15)(15')과 좌, 우측벽(17)(17')을 세운 후 어상자(10)의 사방 모서리에 삽입하는데, 이때 내벽(24)은 외측으로 벌어진다. 내벽(24)이 외측으로 벌어지는 것은 어상자(10)를 이루는 전, 후벽(15)(15') 및 좌, 우측벽(17)(17')의 표면 두께가 협지홈(25)으로 삽입될 때 자체 탄성력을 가지고 있는 내벽(24)이 외측으로 벌어지기 때문에 가능하며, 협지홈(25)에 끼움되는 전, 후벽(15)(15')과 좌, 우측벽(17)(17')에 형성되어 대향하게 접촉하고 있는 제 1 내지 제 3 삽입공(18")(18)(18')(19)(19')에는 돌기(26)가 삽입되는 것으로서 어상자(10)의 사방 모서리는 스테플러용 철핀 없이도 형상 고정이 견고하게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어상자(10)의 모서리를 더욱 견고하게 고정하려면, 종래와 같이 전, 후벽(15)(15')을 세워 보강편(14)(14')을 내측으로 둔 후 좌, 우측벽(17)(17')을 세워 사방 모서리를 스테플러용 철핀으로 고정한 후 어상자(10)의 사방 모서리에 위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코너클립(20)을 삽입 고정하면 어상자(10)의 형상을 더욱 견고하게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 4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코너클립(20)의 턱(23) 에 어상자(10)를 올려 적층할 수 있으며 적층된 어상자(10)는 돌출벽(21)에 의해 전후좌우 측으로 유동되는 것이 방지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어상자의 외관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어상자의 전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코너클립을 어상자의 모서리로부터 분리시킨 상태를 보인 분리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따른 조립상태를 보인 확대 단면도이다.
- 도면 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어상자 11 : 바닥면
12 : 배수공 13, 13': 제 1 절곡부
14, 14': 보강편 15, 15': 전, 후벽
16, 16': 제 2 절곡부 17, 17': 좌, 우측벽
18, 18': 제 2 삽입공 18" : 제 1 삽입공
19, 19': 제 3 삽입공 20 : 고정클립
21 : 돌출벽 22 : 후벽
23 : 턱 24 : 내벽
25 : 협지홈 26 : 돌기

Claims (1)

  1. 바닥면에 다수의 배수공이 천공되고 상기 바닥면의 전, 후측 외면과의 사이에 제 1 절곡부를 두고 일체로 연결되되 양측부에 보강편이 각각 형성된 전, 후벽과, 상기 바닥면의 좌, 우측 외면과의 사이에 제 2 절곡부를 두고 일체로 연결되는 좌, 우측벽으로 이루어진 어상자에 있어서,
    상기 전, 후벽 및 보강편의 모서리 영역에 각각 형성한 제 1 및 제 2 삽입공과;
    상기 제 2 삽입공과 접촉되어 대향하도록 상기 좌, 우측벽의 모서리 영역에 형성한 제 3 삽입공을 포함하며;
    표면 형상이 "ㄴ" 자 형상의 직각으로 형성된 돌출벽과 상기 돌출벽의 외측으로부터 연결 절곡되어 하측 방향으로 연장된 후벽과 상기 돌출벽으로부터 직각으로 형성된 턱과 상기 턱으로부터 하부 방향을 향하여 절곡 형성된 내벽과 상기 후벽과 내벽 사이에 마련된 협지홈과 상기 후벽의 내측면에 복수의 돌기가 형성된 코너클립을 포함하여;
    상기 코너클립을 상기 전, 후벽 및 좌, 우측벽이 세워진 어상자의 사방 모서리에 삽입하면 상기 돌기가 상기 제 1 내지 제 3 삽입공에 삽입 걸림되어 상기 코너클립이 상기 어상자에 사방 모서리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상자.
KR1020090001331A 2009-01-08 2009-01-08 어상자 KR2010008204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1331A KR20100082043A (ko) 2009-01-08 2009-01-08 어상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1331A KR20100082043A (ko) 2009-01-08 2009-01-08 어상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2043A true KR20100082043A (ko) 2010-07-16

Family

ID=426422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1331A KR20100082043A (ko) 2009-01-08 2009-01-08 어상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82043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0429B1 (ko) * 2013-05-09 2013-12-11 대성피에이티(주) 포장 박스용 덮개 조립체
KR200474657Y1 (ko) * 2014-01-15 2014-10-07 지창호 용이한 조립성을 갖는 조립식 박스
KR101481638B1 (ko) * 2013-12-12 2015-01-14 이용찬 현장 조립이 가능한 포장박스
KR102021387B1 (ko) * 2019-07-05 2019-09-16 서덕환 포장 박스용 코너 유닛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0429B1 (ko) * 2013-05-09 2013-12-11 대성피에이티(주) 포장 박스용 덮개 조립체
KR101481638B1 (ko) * 2013-12-12 2015-01-14 이용찬 현장 조립이 가능한 포장박스
KR200474657Y1 (ko) * 2014-01-15 2014-10-07 지창호 용이한 조립성을 갖는 조립식 박스
KR102021387B1 (ko) * 2019-07-05 2019-09-16 서덕환 포장 박스용 코너 유닛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82043A (ko) 어상자
KR101787722B1 (ko) 박스용 테두리보강재와 더블원터치 클립을 포함하는 수납상자.
JP5877340B2 (ja) 見切具
KR20100001479U (ko) 수납박스 결합용 모서리프레임 및 이를 구비한 수납박스
JP5796224B2 (ja) 見切接続具
JP2011111176A (ja) 厚紙製トレー
KR100617964B1 (ko) 방습용 및 아트용 벽체 블록 및 이를 이용한 블록 조립체
KR101597738B1 (ko) 수납박스
JP5627143B2 (ja) 猫用爪研ぎ器
KR101056522B1 (ko) 장식용 조립식상자
KR101471353B1 (ko) 장례용 관
KR200334987Y1 (ko) 서랍식 보관함
KR20090004873U (ko) 조립식 서랍
JP3199354U (ja) 紙弁当箱の構造
KR200371138Y1 (ko) 결속판형 조립식 상자
JP4231818B2 (ja) スタッキングおよびネスティングが可能な容器のカード差し取付構造
JP7194959B2 (ja) 運搬用容器
KR20120036041A (ko) 원터치 조립식 피티오 전선용 금속재 케이스
JP6696755B2 (ja) 引き出し
JP4280372B2 (ja) リードフレーム用ケース
KR20050099953A (ko) 포도주 보관용 조립식 상자
JP4715313B2 (ja) 合成樹脂製パレット
KR100478262B1 (ko) 서랍식 소품수납함
JP3008409U (ja) 新聞または雑誌等の組立て式収納ケース
KR200164273Y1 (ko) 멀티비젼 적층용 조립식 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