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81264A - Vehicle body structure - Google Patents
Vehicle body structur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00081264A KR20100081264A KR1020090069802A KR20090069802A KR20100081264A KR 20100081264 A KR20100081264 A KR 20100081264A KR 1020090069802 A KR1020090069802 A KR 1020090069802A KR 20090069802 A KR20090069802 A KR 20090069802A KR 20100081264 A KR20100081264 A KR 2010008126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ehicle body
- center
- center chamber
- body structure
- width direc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17/00—Construction details of vehicle bodies
- B61D17/04—Construction details of vehicle bodies with bodies of metal; with composite, e.g. metal and wood body structures
- B61D17/10—Floo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F—RAIL VEHICLE SUSPENSIONS, e.g. UNDERFRAMES, BOGIES OR ARRANGEMENTS OF WHEEL AXLES; RAIL VEHICLES FOR USE ON TRACKS OF DIFFERENT WIDTH; PREVENTING DERAILING OF RAIL VEHICLES; WHEEL GUARDS, OBSTRUCTION REMOVERS OR THE LIKE FOR RAIL VEHICLES
- B61F1/00—Underframes
- B61F1/02—Underframes with a single central sil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F—RAIL VEHICLE SUSPENSIONS, e.g. UNDERFRAMES, BOGIES OR ARRANGEMENTS OF WHEEL AXLES; RAIL VEHICLES FOR USE ON TRACKS OF DIFFERENT WIDTH; PREVENTING DERAILING OF RAIL VEHICLES; WHEEL GUARDS, OBSTRUCTION REMOVERS OR THE LIKE FOR RAIL VEHICLES
- B61F1/00—Underframes
- B61F1/08—Detai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F—RAIL VEHICLE SUSPENSIONS, e.g. UNDERFRAMES, BOGIES OR ARRANGEMENTS OF WHEEL AXLES; RAIL VEHICLES FOR USE ON TRACKS OF DIFFERENT WIDTH; PREVENTING DERAILING OF RAIL VEHICLES; WHEEL GUARDS, OBSTRUCTION REMOVERS OR THE LIKE FOR RAIL VEHICLES
- B61F1/00—Underframes
- B61F1/08—Details
- B61F1/12—Cross bear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언더프레임에 장여(bolster)와 그것에 교차하는 센터실(center sill)을 구비하고 있는 차체 구조에 관한 것이다. 특히, 당해 바닥 밑에 배선이나 배관이 부설되는 차체 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body structure having a bolster and a center sill intersecting the underframe. In particular, it relates to a vehicle body structure in which wiring and piping are laid under the floor.
최근, 철도차량용으로, 압출성, 내식성, 용접성이 우수한 알루미늄합금이 개발되어 있다. 그것에 따라, 철도차량에서는, 경량화와 제작의 합리화의 면에서, 알루미늄합금제의 대형 형재를 유효하게 활용한 차체가, 현재 주류로 되어 있다. 특히, 철도차량의 바닥부를 구성하는 언더프레임은 큰 차끝 압축 하중을 부담할 필요가 있어, 강도적으로 유리한 알루미늄합금제 중공 압출형재(이하, 중공 압출형재라 한다.)로 언더프레임을 구성한 차체 구조가 고안되어 있다. 이와 같은 차체 구조로서는, 예를 들면 비특허문헌 1에 기재된 차체 구조를 들 수 있다.In recent years, for the rolling stock, an aluminum alloy having excellent extrusion property, corrosion resistance and weldability has been developed. Therefore, in the railroad car, the vehicle body which effectively utilized the large shape material made of aluminum alloy currently becomes mainstream in light of weight reduction and rationalization of manufacture. In particular, the underframe constituting the bottom of the railroad vehicle needs to bear a large end compression load, and the body structure in which the underframe is made of a hollow extruded member made of aluminum alloy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hollow extruded member) which is advantageous in strength. Is designed. As such a vehicle body structure, the vehicle body structure of
차체는, 측면 구조체, 박공 구조체, 지붕 구조체 및 언더프레임으로 구성된다. 이 중, 언더프레임은, 차체 길이방향의 양쪽 끝부에 구비되는 엔드빔(end beam)과, 이 엔드빔에 접속함과 동시에, 차량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기를 구비하는 센터실과, 철도차량의 주행장치인 대차와의 결합을 행하기 위한 장여와, 좌석 등을 구비하기 위한 바닥과, 차체 폭 방향의 양쪽 끝부에 구비되는 사이드빔으로 구성된다.The vehicle body is composed of side structures, gable structures, roof structures and underframes. Among these, the underframe includes an end beam provided at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a center room including a connector for connecting the end beam and connecting the vehicle, and a traveling device for railway vehicles. And a side beam provided at both end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and a floor for providing a seat, and the like.
그리고, 상기한 차단 압축 하중을 부담하기 위하여, 언더프레임의 차체 길이방향의 양 차단부(車端部)에 구비된 센터실과 장여를 조합하고, 센터실에 설치한 연결기를 거쳐 차체에 작용하는 큰 하중을 부담할 수 있는 강도를 구비한 차체 구조가 채용되어 있다.And in order to bear the above-mentioned blocking compressive load, the center chamber and the donor which are provided in the both-blocking part of the vehicle body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underframe are combined, and the large acting on the vehicle body via the connector provided in the center chamber is carried out. The vehicle body structure provided with the strength which can bear a load is employ | adopted.
이들 차체 구조예로서, 중공 압출형재의 하면판에 센터실을 용접하는 구조를 들 수 있다(특허문헌 1 참조). 또, 본 출원인은, 복수의 형재에 의해 구성되는 언더프레임을 효율적으로 제작 가능하게 한 언더프레임의 제작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특허문헌 2 참조). 또한, 중공 압출형재의 하면에 장여를 접합한 구조예로서, 상기 비특허문헌 1의 제308페이지에 기재된 차체 구조를 들 수 있다. As these vehicle body structure examples, the structure which welds a center chamber to the lower plate of a hollow extruded shape member is mentioned (refer patent document 1). Moreover, this applicant proposes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underframe which made it possible to manufacture the underframe comprised by the several shape member efficiently (refer patent document 2). Moreover, the vehicle body structure as described in the page 308 of said
종래, 철도차량의 바닥 밑에는, 전원계, 제어계, 고압 공기계 등의 각종 기기가 복잡하게 모인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상황 하에서, 차체 바닥 밑에는, 이들 기기를 연결하는 배선이나 배관이 배치되어 있으나, 특히 대차의 주위에 있어서, 이들 배선이나 배관을 위한 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없다. 배선이나 배관을 정리하여 통과시키는 관통관은 바닥 밑 구조를 간소화하는 데 유효한 수단이다. 현재는, 장여에 관통관을 설치하고, 배선이나 배관을 이 관통관을 통하여 뻗어가게 하고 있으나, 장여의 강성과 강도의 저하나 부품점수나 제작비용의 증가 등에 대한 대처까지 충분히는 고려되어 있지 않다. Conventionally, under the floor of a railway vehicle, various apparatuses, such as a power supply system, a control system, and a high-pressure air system, are installed in the state which complicatedly gathered. Under such a situation, although the wiring and piping which connect these apparatuses are arrange | positioned under the floor of a vehicle body, in particular around a trolley | bogie, the space for these wiring and piping cannot be fully secured. Through-tubes that route and route wiring and piping are effective means to simplify the subfloor structure. At present, through-pipes are provided in the barriers, and wiring and piping are allowed to extend through the through-tubes. However, it is not sufficiently considered to cope with the decrease in the rigidity and strength of the barriers and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parts and the manufacturing cost. .
도 14 내지 도 16에, 종래의 차체 구조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14는 종래의 차체 구조의 저면도, 도 15 및 도 16은 각각 도 14에 나타내는 차체 구조의 E-E 단면도와 F-F 단면도이다. 이 차체 구조는, 차체 폭방향으로 늘어선 2개의 센터실(7, 7)을 가지고 있다. 언더프레임(1)에서 2는 바닥, 3은 사이드빔, 4는 엔드빔, 5는 장여, 6은 공기스프링 받침, 8은 연결기 받침, 9는 안티롤링장치 받침이다. 장여(5)의 하면에는, 중심핀 받침(20)이 구비되어 있다. 안티롤링장치는, 차체의 롤링 진동을 억제하기 위한 장치로, 차체와 대차의 사이에 설치된다. 언더프레임(1)의 바닥(2)의 하면에는, 차체 끝부와 차체 중앙부를 연결하는 차체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배선·배관(11)이 배치되어 있고, 배선·배관(11)은, 스트레이트로 배치하여 차체 높이방향으로 부피가 커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도, 차체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장여(5)를 관통하여 통과시킬 필요가 있다. 배선·배관(11)은, 장여(5)에 따로 설치되는 관통관(15)을 통하여 배치된다. 특히 안티롤링장치로부터 높은 하중을 받는 안티롤링장치 받침(9)을 구비하는 장여(5)는 높은 강성과 강도를 필요로 한다. 이 때문에, 장여(5)에는 개구부를 설치하지 않는 쪽이 바람직하나, 관통관(15)을 통과시키는 것에 기인하여 장여(5)의 강성과 강도가 저하한다. 관통관(15)의 갯수가 많을수록 장여(5)의 강성 저하의 경향이 크고, 관통관(15)의 위치가 안티롤링장치 받침(9)에 가까울수록 장여(5)의 강도가 저하한다. 또, 관통관(15)의 설치나 장여(5)의 강성과 강도의 저하에 따르는 보강부재의 설치에 의하여, 부품점수가 증가함과 동시에, 바닥 밑 구조가 복잡해지고, 또 바닥 밑 높이가 커져, 제작비용이 상승한다. 14 to 16 show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vehicle body structure. 14 is a bottom view of a conventional vehicle body structure, and FIGS. 15 and 16 are E-E cross-sectional views and F-F cross-sectional views, respectively, of the vehicle body structure shown in FIG. This vehicle body structure has two
[특허문헌 1][Patent Document 1]
일본국 실공소57-56929호 공보JP-A 57-56929
[특허문헌 2][Patent Document 2]
일본국 특허 제3624527호 공보Japanese Patent No. 3624527
[비특허문헌 1][Non-Patent Document 1]
알루미늄합금과 차량의 경량화(1990년, 니혼 알루미늄 연맹발행), 제308페이지, 320페이지 내지 제368페이지 Weight reduction of aluminum alloys and vehicles (1990, issued by Nihon Aluminum Federation), pp. 308, pp. 320 to 368
본 발명의 목적은, 차체 바닥 밑에 각종 기기와 그것들을 연결하는 배선이나 배관이 배치되어 있는 차체 구조에 있어서, 장여를 관통한 배선이나 배관의 부설처리를 용이하게 하고, 부품점수나 제작비용의 증가 등의 종래의 차체 구조가 안고 있는 문제를 해소함과 동시에, 장여의 강성과 강도를 효율적으로 확보할 수 있는 차체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acilitate laying of wiring or pipes through an impediment in a vehicle body structure in which various devices and wirings or pipes connecting them are arranged under the floor of the vehicle body, thereby increasing component scores and manufacturing costs. It is to provide a vehicle body structure that can solve th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vehicle body structures such as the above and at the same time efficiently secure the stiffness and strength of the obstruction.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차체 구조는, 언더프레임에 차체 폭방향으로 설치된 장여와, 상기 장여와 교차하고 또한 차체 끝부측를 향하여 차체 길이방향으로 연장하여 설치된 센터실을 구비한 차체 구조에 있어서, 상기 센터실은, 상기 장여의 차체 끝부측으로부터 차체 중앙부측으로 관통하여 교차하는 교차부를 가지고 있고, 상기 센터실의 상기 교차부는, 그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단면 내의 대각선을 따라 연장되는 격벽을 가지는 각이 진 통형상 형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MEANS TO SOLVE THE PROBLEM In order to solve the said subject, the vehicle body structure by this invention is a vehicle body structure provided with the provision provided in the underframe in the vehicle body width direction, and the center chamber which intersected the said provision and extended in the vehicle body longitudinal direction toward the vehicle body end side. In the center chamber, the center chamber has an intersection that passes through and intersects from the end of the vehicle body to the center of the vehicle body, and the intersection of the center chamber has a partition wall extending along a diagonal line in a cross s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It is characterized by an angled cylindrical shape member.
본 발명에 의한 차체 구조는, 센터실이 장여를 관통하여 교차하는 교차부를 가지고 있고, 이 교차부의 내부 공간을 이용하여 배선이나 배관을 통과시키는 관통부로 하고 있기 때문에, 종래의 배선·배관 전용의 관통관을 설치할 필요가 없어짐 과 동시에, 안티롤링장치 받침에 작용하는 하중을 센터실 내부에 대각선을 따라 연장되는 상태로 설치한 격벽으로 부담하기 때문에, 장여의 강성과 강도를 확보하기 위한 보강부재의 설치나 센터실의 판 두께 증가를 불필요하게 할 수 있다. Since the vehicle body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intersection where the center chamber penetrates through the donor and intersects, and is used as a penetrating portion through which wiring or piping passes through the internal space of the intersection, a pipe dedicated for conventional wiring and piping is used. It eliminates the need for a customs clearance, and at the same time loads the load on the anti-rolling device support into the partition wall installed along the diagonal line in the center room, so that a reinforcement member is installed to secure the rigidity and strength of the barrier. It may be unnecessary to increase the thickness of the center room.
본 발명의 차체 구조에 의하면, 센터실이 장여를 관통하여 교차하는 교차부를 가지고 있고, 이 교차부의 내부 공간을 이용하여 배선이나 배관을 통과시키는 관통부로 하고 있기 때문에, 종래의 배선·배관 전용의 관통관을 설치할 필요가 없어짐과 동시에, 안티롤링장치 받침에 작용하는 하중을 센터실의 길이방향 수직 단면 내의 대각선을 따라 연장되는 상태로 설치한 격벽으로 부담하기 때문에, 장여의 강성과 강도를 확보하기 위하여 보강부재를 설치할 필요나 센터실의 판 두께를 증가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장여를 관통한 배선이나 배관의 부설처리를 용이하게 하고, 부품점수나 제작비용의 증가 등의 종래의 차체 구조가 안고 있는 문제를 해소함과 동시에, 장여의 강성과 강도를 효율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vehicle body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center chamber has an intersection portion that passes through an obstruction, and is used as a penetration portion that allows wiring and piping to pass through the interior space of the intersection portion, the pipe for dedicated wiring and piping is conventional. In order to secure the rigidity and strength of the barrier, there is no need to install a clearance, and at the same time, the load applied to the anti-rolling device support is applied to the partition wall installed along the diagonal line in the longitudinal vertical section of the center chamber. There is no need to install reinforcing members or to increase the thickness of the center chamber. Therefore, it is easy to lay the wiring and piping through the barrier, and solve th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vehicle body structure such as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parts and the manufacturing cost, and secure the rigidity and strength of the barrier efficiently. have.
이하,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차체 구조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차체 구조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저면도(차체의 하면을 대차측에서 본 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차체 구조의 A-A 단면도, 도 3은 도 1에 나타내는 차체 구조의 B-B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내는 차체 구조는, 도 14 내지 도 16에 나타낸 차체 구조와 마찬가지로 2개의 센터실을 가지고 있다. 도 1에서는, 길이방향의 한쪽 끝부를 포함하는 부분도로서 차체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embodiment of the vehicle body structure by this invention is described based on an accompanying drawing. 1: is a bottom view (FIG. Which looked at the lower surface of the vehicle body from the bogie side) which shows one Embodiment of the vehicle body structure by this invention, FIG. 2 is AA sectional drawing of the vehicle body structure shown in FIG. 1, FIG. 3 is shown in FIG. BB sectional view of the vehicle body structure. The vehicle body structure shown in FIGS. 1-3 has two center chambers similarly to the vehicle body structure shown in FIGS. 14-16. In FIG. 1, the vehicle body structure is shown as a partial view including one end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내는 차체 구조에 있어서, 언더프레임(1)은, 복수의 부재를 평면으로 나란히 접합하여 구성한 바닥(2)과, 바닥(2)의 차체 폭방향의 양쪽 끝부에 구비되는 사이드빔(3)과, 바닥(2)의 차체 길이방향의 양쪽 끝부에 구비되는 엔드빔(4), 그리고, 바닥(2)의 하면에 설치한 장여(5) 및 센터실(7)로 구성된다. 상세하게 도시는 하지 않으나, 바닥(2)은 복수개의 중공 압출형재로 이루어지는 부재의 길이방향을 차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평면으로 나열하여, 인접하는 부재끼리의 폭방향의 끝부를 접합함으로써 구성된다. 통상, 바닥(2)은, 인접하는 부재의 상면 및 하면, 즉 양면을 용접하여 접합된다. 사이드빔(3, 3)은, 바닥(2)의 차체 폭방향 양쪽 끝부에 차체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각 사이드빔(3)은 중공 압출형재이고,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바닥(2)보다 수직치수가길게 구성되어 있다. 엔드빔(4)은, 그 길이방향을 바닥(2)의 차체 길이방향 끝부를 따르게 하여 배치되어 있다. In the vehicle body structure shown in FIGS. 1 to 3, the
장여(5)는, 바닥(2) 하면의 엔드빔(4)으로부터 소정거리만큼 떨어진 차체 길이방향 중앙부 근처에 구비되고 있다. 장여(5)는, 대차에 의해 차체가 지지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고, 사이드빔(3, 3) 사이에, 차체 폭방향의 전체 길이에 걸쳐 구성되어 있다. 장여(5)는, 차체 길이방향으로 소정 폭을 가지고 있고, 그 양쪽 끝부분에는 공기 스프링 받침(6)이 배치되어 있다. 차체 중량은, 바닥(2)의 하면에 설치된 장여(5)에 구비된 공기 스프링 받침(6)의 위치에서, 대차가 구비하는 공기 스프링(도시 생략)을 거쳐 대차에 지지된다. The
엔드빔(4)과 장여(5)의 사이에는, 2개의 센터실(7, 7)이 차체 폭 중심선에 대하여 대칭 배치된 상태에서, 차체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설치되어 있다. 센터실(7, 7)의 차체 길이방향 끝부 위치에는, 인접한 차량과 연결하기 위한 연결기(도시 생략)가 설치되는 연결기 받침(8)이 설치된다. 센터실(7, 7)의 차체 길이방향 중앙부측의 끝부는, 장여(5)와 교차하여 결합된다. 장여(5)에는, 공기 스프링 받침(6, 6)의 근방, 이 예에서는 공기 스프링 받침(6, 6)의 차체 길이방향 중앙 근처의 공간에, 차체의 롤링 진동을 억제하는 안티롤링장치(도시 생략)를 고정하기 위한 안티롤링장치 받침(9, 9)이 설치되어 있다. 연결기를 거쳐 작용하는 차단 압축 하중은, 연결기 받침(8)을 유지하는 센터실(7, 7)을 지나 바닥(2)과, 센터실(7, 7)에 결합되는 장여(5)에 전달된다. Between the
본 실시형태에서는, 센터실(7)은 장여(5)를 관통하여 교차하고 있고, 센터실(7)과 장여(5)의 교차부가 관통부(10)로 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관통부(10)의 위치에서의 센터실(7)은,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단면에서 보아 대각선을 따라 연장되는 격벽(13)을 일체물로서 내부에 가지는 중공의 직사각형 단면의 중공 압출형재로 구성되어 있다. 격벽(13)은, 센터실(7)의 바닥(2)측의 차체 폭방향 중앙부측의 모서리부(7a)에서 바닥(2)과 반대측의 차체 폭방향 끝부측의 모서리부(7b)를 향하여 대각선형상으로 설치되어 있다. 즉, 센터실(7)의 장여(5)와의 교차부인 관통부(10)의 내부 공간은, 장여(5)의 차체 길이방향 끝부측과 차체 길이방향 중앙부측을 연통하는 공간을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분단된 복수의 장여(5)와 이들 센터실(7, 7)을 접합함으로써, 차체 폭방향 전체 길이에 걸쳐 장여가 형성되어 있다. 이 구조에 의하여, 차체 길이방향으로 관통되는 배선·배관(11)은, 관통부(10)의 부분을 포함하여 센터실(7)의 중공이 된 내부 공간을 이용하여 차체 길이방향으로 뻗어가고 있다. 관통부(10)의 차체 길이방향 중앙부측은, 개구단(12)으로서 개방되어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장여(5)와 센터실(7)은, 그것들의 상면이 바닥(2)의 하면에 접합되어 있고, 센터실(7)의 바닥(2)측의 모서리부(7a, 7a')는 바닥(2)의 중공 압출형재의 면판(2a)과 리브(2b)의 교점 근방에 접합되어 있다. 그리고, 장여(5)와 센터실(7)의 양쪽의 하면에 걸쳐 중심핀 받침(20)을 구비하기 위하여, 장여(5)의 두께 치수(차체 높이방향의 치수)와 센터실(7)의 두께 치수(차체 높이방향의 치수)를 일치시켜 평면을 구성하고 있다. 여기서 표시되는 센터실(7)을 장여(5)에 관통시킨 구성은, 센터실(7)의 길이방향 수직단면 형상과 갯수에 의하지 않고, 대략 동일한 두께 치수의 센터실(7)과 장여(5)를 접합함으로써 차체 폭방향의 전체 길이에 걸쳐, 센터실(7)과 장여(5)의 양쪽에 걸치는 연속면을 가지는 장여를 이룬다. 또, 이 예에서는, 관통부(10)의 위치를 제외한 센터실(7)은 관통부(10)의 위치에서의 센터실(7)을 그대로 연장하여 한쪽의 측면과 격벽(13)을 제거한 ㄷ형 단면이나, ㄷ형 단면, 일부에 개구를 가지는 중공단면, I형 단면 등의 다른 부재를 관통부(10)의 위치에서의 센터실(7)에 접합하여도 된다. 또한, 센터실(7)의 두께 치수(차체 높이방향의 치수)가 장여(5)의 두께치수(차체 높이방향의 치수)보다 작은 경우에도, 센터실(7)과 장여(5)의 교차부를 상기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배선·배관(11)이 센터실(7)의 내부를 관통하는 관통부로 할 수 있다.The upper surface of the
이와 같은 구성에서는, 장여(5)에 배선·배관 전용의 관통관을 구비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부품점수나 제작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또, 관통부(10)의 위치 에서의 센터실(7)의 내부에 대각선을 따라 연장되는 상태로 설치한 격벽(13)이 안티롤링장치 받침(9)에 작용하는 하중을 부담하기 때문에, 장여(5)의 강성과 강도를 확보하기 위한 보강부재의 설치나 센터실(7)의 판 두께 증가를 불필요하게 할 수 있고, 장여(5)의 강성과 강도를 효율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 이 원리는, 이하와 같이 설명할 수 있다. In such a structure, since it is not necessary to provide the penetrating pipe | tube dedicated for wiring and piping in the
도 4에 관통부(10)의 위치에서의 센터실(7)의 내부에 격벽(13)이 설치되지 않는 경우의 도 1에 나타내는 차체 구조에 있어서의 A-A 단면도를 나타내고, 도 5에 도 4에 나타내는 차체 구조에 안티롤링장치로부터의 하중(14)이 작용한 경우의 변형도(도 1에서 視G)를 나타낸다. 센터실(7)의 바닥(2)측의 모서리부(7a', 7a')가 바닥(2)의 중공 압출형재의 면판(2a)과 리브(2b)의 교점 근방에 접합되어 있다. 차체의 롤링 진동이 발생하였을 때, 이 진동을 억제하기 위하여, 한쪽의 안티롤링장치 받침(9)에는 상방향, 다른쪽의 안티롤링장치 받침(9)에는 하방향의 하중이 작용한다. 즉, 바닥(2), 장여(5), 관통부(10)의 위치에서의 센터실(7)에는 두께방향(차체 높이방향)의 전단 하중이 작용한다. 그 때, 차체 길이방향으로 연속된 공동을 가지고 있는 관통부(10)의 위치에서의 센터실(7)은, 전단 하중을 충분히 지지할 수 없어 크게 전단 변형되고, 그 주변의 장여(5)는 강도적으로 심각한 상태가 된다. 이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보강부재의 설치나 관통부(10)의 위치에서의 센터실(7)의 판 두께 증가가 필요하게 되어, 부품점수나 제작비용의 증가로 연결된다. 한편, 도 6에, 도 2에 나타내는 차체 구조에 안티롤링장치로부터의 하중(14)이 작용한 경우의 변형도(視G)를 나타낸다. 두께 방향(차체 높이방향)의 선단 하 중에 대한 주응력 방향인 45도에 가까운 각도로 배치된 격벽(13)이, 관통부(10)의 위치에서의 센터실(7)의 전단 변형을 효율적으로 억제한다. 또, 안티롤링장치 받침(9)의 근방과 바닥(2)의 중공 압출형재의 면판(2a)과 리브(2b)의 교점 근방을 격벽(13)으로 결합하고 있기 때문에, 안티롤링장치로부터의 하중(14)을 원활하게 바닥(2)에 전달할 수 있다. 즉, 장여(5)의 강성과 강도를 효율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In FIG. 4, AA sectional drawing in the vehicle body structure shown in FIG. 1 when the
또,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장여(5)의 차체 길이방향 끝부측의 근방 위치에서의 센터실(7)은 ㄷ형 단면이고, 센터실(7)을 따라 뻗어가게 되어 있는 배선·배관(11)은, ㄷ형 단면의 개방면으로부터 끌어 넣어지고, 관통부(10)의 위치에 서의 센터실(7)의 내부를 관통하여, 관통부(10)의 차체 길이방향 중앙부측의 개구단(12)(도 1 참조)으로부터 언더프레임(1)의 차체 길이방향 중앙부측으로 연장하여 설치된다. 즉, 이들 배선·배관(11)은, 관통부(10)의 위치에서의 센터실(7)의 내부를 통하여, 장여(5)의 차체 길이방향 끝부측으로부터 차체 길이방향 중앙부측까지 연장되도록 뻗어가고 있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3, the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차체 구조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1에 나타내는 차체 구조의 A-A 단면도이다. 도 7에 나타내는 실시예는 관통부(10)의 위치에서의 센터실(7)의 격벽(13)이 도 2에 나타내는 실시예와 반대의 대각선을 따라 연장되는 상태로 설치되어 있고, 도 8에 나타내는 실시예는 관통부(10)의 위치에서의 센터실(7)의 격벽(13)이 양쪽의 대각선을 따라 연장되는 상태로 동시에 설치되어 있다. 모두, 도 2에 나타내는 실시예와 동일한 효과를 가지 는 것이다. 7 and 8 are views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vehicle body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sectional views A-A of the vehicle body structure shown in FIG. 1.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7, the
또, 도 9 내지 도 11도에 나타내는 차체 구조는, 차체 폭방향의 중앙에 1개의 센터실을 가지는 실시형태이다. 도 9는 차체 폭방향의 중앙에 1개의 센터실을 가지는 차체 구조의 저면도, 도 10 및 도 11은 각각 도 9에 나타내는 차체 구조의 C-C 단면도와 D-D 단면도이다. 도 9 내지 도 11에 나타내는 차체 구조는, 센터실과 그것에 관한 장여의 구조 이외의 다른 차체 구조에 대해서는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차체 구조와 바뀐 곳은 없기 때문에,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차체 구조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In addition, the vehicle body structure shown in FIGS. 9-11 is embodiment which has one center room in the center of the vehicle body width direction. 9 is a bottom view of a vehicle body structure having one center chamber in the center of the vehicle body width direction, and FIGS. 10 and 11 are C-C cross-sectional views and D-D cross-sectional views of the vehicle body structure shown in FIG. 9, respectively. Since the vehicle body structure shown in FIGS. 9-11 does not change with the vehicle body structure shown in FIGS. 1-3 with respect to other vehicle body structures other than the center chamber and the structure of the grant concerning it, the vehicle body structure shown in FIGS.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ame components as will be omitted.
도 9 내지 도 11에 나타내는 언더프레임(1)은, 1개의 센터실(7)이 장여(5)와 차체 폭방향 중앙부 위치에서 교차하고 있다. 센터실(7)은 장여(5)를 관통하여 연장되어 있고, 센터실(7)과 장여(5)의 교차부는 관통부(10)로 되어 있다. 이 관통부(10)의 위치에서의 센터실(7)은,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단면에서 보아 대각선을 따라 모서리부(7a)와 모서리부(7b)에 걸쳐 연장되는 격벽(13)을 일체물로 하여 내부에 가지는 중공의 직사각형 단면의 중공 압출형재로 구성되어 있다. 즉, 센터실(7)의 장여(5)와의 교차부인 관통부(10)의 내부 공간은, 장여(5)의 차체 길이방향 끝부측과 차체 길이방향 중앙부측을 연통하는 공간을 구성하고 있다. 센터실(7)은, 관통부(10)의 위치에서 장여(5)에 용접으로 결합되어 있다. 차체 길이방향으로 관통되는 배선·배관(11)은, 관통부(10)의 부분을 포함하여 센터실(7)의 중공이 된 내부 공간을 이용하여 뻗어가고 있다. 장여(5)와 센터실(7)은, 그것들의 상면이 바닥(2)의 하면에 접합되어 있고, 센터실(7)의 바닥(2)측의 모서리부(7a, 7a')는 바닥(2)의 중공 압출형재의 면판(2a)과 리브(2b)의 교점 근방에 접합되어 있다. In the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장여(5)의 차체 길이방향 끝부측의 근방 위치에서의 센터실(7)에는 그 양 측면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고, 센터실(7)의 바깥쪽으로 뻗어가고 있는 배선·배관(11)은, 개구부를 통하여 관통부(10)의 위치에서의센터실(7)의 내부를 관통하고, 관통부(10)의 차체 길이방향 중앙부측의 개구단(12)(도 9 참조)으로부터 언더프레임(1)의 차체 길이방향 중앙부측으로 연장하여 설치된다. 즉, 이들 배선·배관(11)은, 관통부(10)의 위치에서의 센터실(7)의 내부를 통하여, 장여(5)의 차체 길이방향 끝부측으로부터 차체 길이방향 중앙부측까지 연장되도록 뻗어가고 있다. 또한, 도 9 내지 도 11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에서는, 격벽(13)은 한쪽의 대각선을 따라서만 설치되어 있으나, 상기한 실시형태에서 도 7 또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른쪽의 대각선을 따라 연장되는 상태로 설치하여도, 또는 양쪽의 대각선을 따라 연장되는 상태로 설치하여도 되는 것은 분명하다.As shown in FIG. 11, openings are formed in both side surfaces of the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차체 구조의 또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1의 A-A 단면도 및 B-B 단면도이다. 도 12 및 도 13에 나타내는 언더프레임(1)은, 센터실(7) 및 장여(5)의 상면이 바닥(2)의 면판(2c)까지 들어 올려져 있고, 철도차량의 바닥부가 센터실(7), 장여(5) 및 바닥(2)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구성 이외의 다른 차체 구조에 대해서는,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차체 구조와 바뀐 곳은 없기 때문에,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차체 구조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12 and 13 are views showing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vehicle body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are A-A cross-sectional view and B-B cross-sectional view of FIG. In the
센터실(7)의 바닥(2)측의 차체 폭방향 중앙부측의 모서리부(7a, 7a')와 바닥(2)의 면판(2c)은 용접에 의해 접합되어 있고, 바닥부가 형성되어 있다. 또, 장여(5)의 상면도, 그 차체 길이방향 끝부에서, 바닥(2)의 면판(2c)과 용접에 의해 접합되어 있고, 바닥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하여,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센터실(7)의 교차부의 길이방향으로 수직한 단면 전체를 관통부(10)로 하여, 배선·배관(11)을 그 내부에 설치하고 있다.The
또,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장여(5)의 차체 길이방향 끝부측의 근방 위치에서의 센터실(7)은 ㄷ형 단면이다. 그리고, 센터실(7)을 따라 뻗어가고 있는 배선·배관(11)은, 장여(5)의 근방에서, 센터실(7)의 ㄷ형 단면의 개방면과 바닥(2)과의 간극(7c)으로부터 센터실(7)의 내부로 끌어 넣어져, 관통부(10)의 위치에서의 센터실(7)의 내부를 관통하고, 관통부(10)의 차체 길이방향 중앙부측의 개구단(12)(도 1 참조)으로부터 언더프레임(1)의 차체 길이방향 중앙부측으로 연장되어 설치된다. 즉, 이들 배선·배관(11)은, 관통부(10)의 위치에서의 센터실(7)의 내부를 통하여, 장여(5)의 차체 길이방향 끝부측으로부터 차체 길이방향 중앙부측까지 연장되도록 뻗어가고 있다.Moreover, as shown in FIG. 13, the
이와 같은 구성에서는, 장여(5)에 배선·배관 전용의 관통관을 구비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부품점수나 제작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또, 관통부(10)의 위치에서의 센터실(7)의 내부에 대각선을 따라 연장되는 상태로 설치한 격벽(13)이 안티롤링장치 받침(9)에 작용하는 하중을 부담하기 때문에, 장여(5)의 강성과 강도를 확보하기 위한 보강부재의 설치나 센터실(7)의 판 두께 증가를 불필요하게 할 수 있어, 장여(5)의 강성과 강도를 효율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언더프레임(1)의 두께를 작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 언더프레임(1)의 두께가 도 1에 나타낸 차체 구조와 동일하면, 관통부(10)의 위치에서의 센터실(7)의 공간을 언더프레임(2)의 두께에 상당하는 정도 넓게 할 수 있어, 관통부(10)의 위치에서의 센터실(7)의 내부를 통과시키는 배선·배관(11)의 양을 늘릴 수 있다. In such a structure, since it is not necessary to provide the penetrating pipe | tube dedicated for wiring and piping in the
플랫폼의 높이가 낮은 경우에는, 차량측에서도 바닥 높이가 낮아진다. 바닥높이가 낮은 차량에서는, 장여의 두께 치수(차체 높이방향의 치수)를 크게 취할 수 없는 경향이 있다. 장여에만 차체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관통관을 설치하는 것만으로는 충분한 수의 배선이나 배관을 통과시킬 수 없으나, 본 발명에 의하면, 충분한 단면 넓이를 가지는 센터실을 통하여 배선이나 배관을 뻗어가게 할 수 있다. 또, 관통관과 센터실의 관통부를 병용함으로써, 더욱 많은 배선이나 배관을 뻗어가게 할 수도 있다. When the height of the platform is low, the floor height is also lowered on the vehicle side. In vehicles with low floor height, there is a tendency that the thickness thickness (the dimension in the vehicle body height direction) of the obstruction cannot be largely taken. It is not possible to pass a sufficient number of wirings or pipes only by providing a through tube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only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Howe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wiring or pipes can be extended through a center chamber having a sufficient cross-sectional area. have. In addition, by using the through tube and the through portion of the center chamber together, more wirings and piping can be extended.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특허청구 범위의 각 청구항에 기재된 문언 또는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의 항에 기재된 문언에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가 그것으로부터 용이하게 치환되는 범위에도 미치는 것이다.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words described in the claims of the claims or the means for solving the problems, but also to the range easily replac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차체 구조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저면도,1 is a bottom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vehicle body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차체 구조의 A-A 단면도,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A-A of the vehicle body structure shown in FIG. 1; FIG.
도 3은 도 1에 나타내는 차체 구조의 B-B 단면도,3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the vehicle body structure shown in FIG. 1;
도 4는 본 발명에 의하지 않은 차체 구조인 언더프레임의 A-A 단면도,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A-A of the underframe which is a vehicle body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도 4에 나타내는 차체 구조의 변형도(視G),FIG. 5 is a modified view (VIIG) of the vehicle body structure shown in FIG. 4; FIG.
도 6은 도 2에 나타내는 차체 구조의 변형도(視G),FIG. 6 is a modified view (VIIG) of the vehicle body structure shown in FIG. 2; FIG.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차체 구조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A-A 단면도,7 is a sectional view A-A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vehicle body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차체 구조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A-A 단면도,8 is a sectional view A-A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vehicle body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차체 구조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저면도,9 is a bottom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vehicle body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도 9에 나타내는 차체 구조의 C-C 단면도,10 is a C-C cross-sectional view of the vehicle body structure shown in FIG. 9;
도 11은 도 9에 나타내는 차체 구조의 D-D 단면도,FIG. 11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D-D of the vehicle body structure shown in FIG. 9; FIG.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차체 구조의 또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A-A 단면도,12 is a sectional view A-A showing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vehicle body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차체 구조의 또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B-B 단면도,Fig. 13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showing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vehicle body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4는 종래의 차체 구조인 언더프레임의 저면도,14 is a bottom view of an underframe that is a conventional vehicle body structure;
도 15는 도 14에 나타내는 차체 구조의 E-E 단면도,FIG. 15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E-E of the vehicle body structure shown in FIG. 14;
도 16은 도 14에 나타내는 차체 구조의 F-F 단면도이다.FIG. 1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F-F of the vehicle body structure shown in FIG. 14.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Drawings]
1 : 언더프레임 2 : 바닥1: underframe 2: floor
2a, 2c : 면판 2b : 리브2a, 2c:
3, 3 : 사이드빔 4 : 엔드빔3, 3: side beam 4: end beam
5 : 장여 6, 6 : 공기 스프링 받침5: 6, 6: air spring bearing
7, 7 : 센터실 7a, 7a', 7b, 7b' : 모서리부7, 7:
7c : 간극 8 : 연결기 받침7c: clearance 8: connector support
9, 9 : 안티롤링장치 받침 10, 10 : 관통부9, 9:
11 : 배선·배관 12, 12 : 개구단 11: wiring and piping 12, 12: opening end
13 : 격벽 14 : 하중13
15 : 관통관 20 : 중심핀 받침15: through tube 20: center pin bearing
Claims (14)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09-000346 | 2009-01-05 | ||
JP2009000346 | 2009-01-05 | ||
JP2009086051A JP5227234B2 (en) | 2009-01-05 | 2009-03-31 | Body structure for railway vehicles |
JPJP-P-2009-086051 | 2009-03-31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81264A true KR20100081264A (en) | 2010-07-14 |
KR101111713B1 KR101111713B1 (en) | 2012-03-15 |
Family
ID=420262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69802A KR101111713B1 (en) | 2009-01-05 | 2009-07-30 | Vehicle body structure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EP (1) | EP2204309B1 (en) |
JP (1) | JP5227234B2 (en) |
KR (1) | KR101111713B1 (en) |
CN (1) | CN101767595B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5685494B2 (en) * | 2011-06-14 | 2015-03-18 | 株式会社日立製作所 | Railway vehicle body structure with wiring and piping modules |
BR112015003057A2 (en) * | 2012-09-20 | 2017-07-04 | Hitachi Ltd | vehicle body structure |
GB2567931B (en) * | 2012-09-20 | 2019-11-27 | Hitachi Ltd | Railway vehicle body structure |
JP6462534B2 (en) * | 2015-08-28 | 2019-01-30 | 株式会社日立製作所 | Rail vehicle structure |
JP5977879B1 (en) * | 2015-12-07 | 2016-08-24 | 川崎重工業株式会社 | Railcar frame structure |
CN106553659B (en) * | 2016-11-18 | 2019-02-19 | 中车齐齐哈尔车辆有限公司 | A kind of rolling stock and its pipeline protective device |
CN108657202B (en) * | 2017-03-31 | 2023-10-17 | 比亚迪股份有限公司 | Train intermediate vehicle |
JP2018171937A (en) * | 2017-03-31 | 2018-11-08 | 三菱重工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 Underfloor double skin structure, vehicle underfloor structure and vehicle |
RU184141U1 (en) * | 2017-06-21 | 2018-10-16 | РЕЙЛ 1520 АйПи ЛТД | REMOVABLE BODY FRAME FOR CARGO TRANSPORTATION |
DE102017210478B3 (en) * | 2017-06-22 | 2018-07-26 | Siemens Aktiengesellschaft | Railway vehicle |
JP6916125B2 (en) * | 2018-02-01 | 2021-08-11 | 株式会社日立製作所 | Rail vehicle structure |
JP7258738B2 (en) * | 2019-12-23 | 2023-04-17 | 株式会社日立製作所 | Rail vehicle struc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CN112874556A (en) * | 2021-02-26 | 2021-06-01 | 中车齐齐哈尔车辆有限公司 | Center sill of flat car and flat car with center sill |
Family Cites Families (1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132232A (en) * | 1936-07-30 | 1938-10-04 | Duryea O C Corp | Car body bolster |
US2504113A (en) * | 1945-04-17 | 1950-04-18 | Budd Co | Underframe for vehicles, fspecially railway cars |
US2804024A (en) * | 1953-05-20 | 1957-08-27 | Pullman Standard Car Mfg Co | Welded bolster construction |
JPS55160970U (en) * | 1979-05-08 | 1980-11-19 | ||
JPS5756929Y2 (en) * | 1980-04-11 | 1982-12-07 | ||
JPS5756929U (en) | 1980-09-19 | 1982-04-03 | ||
JPS62238160A (en) * | 1986-04-09 | 1987-10-19 | 株式会社日立製作所 | Car-body underframe for car |
JPH0645411Y2 (en) * | 1988-07-12 | 1994-11-24 | 東急車輌製造株式会社 | Anti-roll device with sway pillow effect |
JPH02127586U (en) * | 1989-03-31 | 1990-10-22 | ||
JPH0558288A (en) * | 1991-09-06 | 1993-03-09 | Toshiba Corp | Vehicle body frame of rolling stock |
JP3624527B2 (en) * | 1996-03-19 | 2005-03-02 | 株式会社日立製作所 | Railway car body |
KR20000014889U (en) * | 1998-12-31 | 2000-07-25 | 추호석 | Structure of passage-type cable duct for locomotive |
JP3563045B2 (en) * | 2000-09-11 | 2004-09-08 | 株式会社日立製作所 | Railcar |
JP4673092B2 (en) * | 2005-03-03 | 2011-04-20 | 株式会社日立製作所 | Railway car body |
-
2009
- 2009-03-31 JP JP2009086051A patent/JP5227234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9-07-03 CN CN2009101425972A patent/CN101767595B/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9-07-10 EP EP09251772.1A patent/EP2204309B1/en active Active
- 2009-07-30 KR KR1020090069802A patent/KR101111713B1/en active IP Right Gr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2204309B1 (en) | 2014-02-26 |
JP2010173628A (en) | 2010-08-12 |
CN101767595B (en) | 2012-04-25 |
KR101111713B1 (en) | 2012-03-15 |
JP5227234B2 (en) | 2013-07-03 |
EP2204309A1 (en) | 2010-07-07 |
CN101767595A (en) | 2010-07-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11713B1 (en) | Vehicle body structure | |
KR101047523B1 (en) | Body structure for rolling stock | |
CN109109891B (en) | Railway vehicle's chassis subassembly and railway vehicle | |
GB2567545B (en) | Rail vehicle body structure | |
CN102381330B (en) | Railway flatcar body with adaptive high weight concentration capacity | |
JP5685494B2 (en) | Railway vehicle body structure with wiring and piping modules | |
CN107249960B (en) | Rail truck | |
JP6791706B2 (en) | Rail vehicle structure | |
JP6916125B2 (en) | Rail vehicle structure | |
CN104787072A (en) | Low-floor railway vehicle chassis structure | |
CN109109892B (en) | Railway vehicle's chassis subassembly and railway vehicle | |
JP6837182B2 (en) | Underframe structure of rail vehicle and rail vehicle | |
WO2021114346A1 (en) | Rail vehicle, and vehicle body and end underframe thereof | |
WO2020133934A1 (en) | Railway car, car body thereof, and end underframe | |
CN214215794U (en) | Rail vehicle chassis structure and rail vehicle | |
JP7419607B1 (en) | rail vehicle | |
CN220183922U (en) | Soil pick-up car frame and soil pick-up car for track | |
CN115009315B (en) | Front end underframe structure, car underframe and rail vehicle | |
CN113232687B (en) | Railway vehicle and underframe assembly thereof | |
WO2022062093A1 (en) | Rail vehicle, and vehicle body and vehicle coupler bearing structure thereof | |
CN118478914A (en) | Car body structure of railway car | |
CN116552588A (en) | Railway flatcar and car body of railway flatcar | |
US20230249089A1 (en) | Truss-type rail and roller coaster arrangement comprising same | |
CN116427340A (en) | Soil pick-up car frame and soil pick-up car for track | |
CN115354529A (en) | Assembled suspension track bea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105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105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103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104 Year of fee payment: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