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80282A - 이중화 과금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이중화 과금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80282A
KR20100080282A KR1020090027672A KR20090027672A KR20100080282A KR 20100080282 A KR20100080282 A KR 20100080282A KR 1020090027672 A KR1020090027672 A KR 1020090027672A KR 20090027672 A KR20090027672 A KR 20090027672A KR 20100080282 A KR20100080282 A KR 201000802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ing unit
data packet
charging
unit
communication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76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17502B1 (ko
Inventor
김형식
이성호
이성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ublication of KR201000802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02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75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75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4Charging, meter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data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66Arrangements for connecting between networks having differing types of switching systems, e.g. gatew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6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 H04L41/0654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using network fault recovery
    • H04L41/0668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using network fault recovery by dynamic selection of recovery network elements, e.g. replacement by the most appropriate element after fail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이중화 과금 시스템 및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이중화 과금 시스템은 제1 통신망으로 전송되는 데이터 패킷을 전달받아 소정의 과금 규칙에 따라 과금 처리를 수행하는 제1 과금부; 상기 제1 과금부와 직렬로 배치되어, 상기 제1 과금부가 동작 불능인 경우에 액티브 모드로 전환하여 상기 과금 처리를 수행하는 제2 과금부; 및 상기 제1 과금부가 동작 불능인 경우에는 상기 제1 과금부로 통과하는 데이터 패킷을 바이패스 시켜, 상기 제2 과금부로 전달하는 스위칭부를 포함한다.
과금 이중화, 바이패스(bypass), 과금 시스템

Description

이중화 과금 시스템 및 방법{Duplicate billing system and method in a communication network}
본 발명은 이중화 과금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과금 시스템의 동작 불능 상태에 대응하여 서비스 제공이 단절되지 않으면서, 과금 처리를 계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이중화 과금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정보 통신 서비스의 보편화와 다양한 멀티미디어 서비스들의 등장, 고품질 서비스의 출현 등 통신 서비스에 대한 요구가 급속히 증대되고 있다. 이러한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해 다양한 이동통신 기술들이 대두되고 있다.
통신 시장의 경쟁 및 기술 발전에 의하여 이동통신에서는 패킷 기반의 다양한 서비스가 제공되며, 이와 함께 나날이 패킷 서비스를 기반으로 하는 다양한 서비스가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다양한 서비스에 대하여는 적절한 과금 시스템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과금 시스템이 다운 되거나 또는 과금 시스템의 오동작에 의하여 전체 시스템의 동작을 방해하거나, 사용자 트래픽(Traffic)을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데이터 패킷을 통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중에 안정적이고 신뢰성 있는 과금 처리에 대하여 다양한 연구 및 개발이 시도되고 있다. 통신망을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자 입장에서는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에 대하여 안정적이고 신뢰성 있게 과금하는 시스템 및 방법이 필요하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과금 시스템의 동작 불능 상태에 대응하여 서비스 제공이 단절되지 않으면서, 과금 처리를 계속적으로 수행하여 안정적이고 신뢰성 있는 과금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이중화 과금 시스템의 일 양태는 제1 통신망으로 전송되는 데이터 패킷을 전달받아 소정의 과금 규칙에 따라 과금 처리를 수행하는 제1 과금부; 상기 제1 과금부와 직렬로 배치되어, 상기 제1 과금부가 동작 불능인 경우에 액티브 모드로 전환하여 상기 과금 처리를 수행하는 제2 과금부; 및 상기 제1 과금부가 동작 불능인 경우에는 상기 제1 과금부로 통과하는 데이터 패킷을 바이패스 시켜, 상기 제2 과금부로 전달하는 스위칭부를 포함한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이중화 과금 방법의 일 양태는 제1 통신망 및 제2 통신망 사이의 전송로를 통과하는 데이터 패킷에 대하여 과금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1 과금부의 동작 불능 상태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제1 과금부가 동작 불능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1 통신망으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 패킷을 제1 스위칭부에 의하여 제1 과금부를 통과하지 않도록 바이패스 시키는 단 계; 상기 바이패스된 데이터 패킷을 제2 스위칭부에 의하여 제2 과금부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과금부에 의하여 과금 처리 후에 상기 데이터 패킷을 상기 제2 통신망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WCDMA 통신망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WCDMA 통신망(일명, UMTS 망)은 단말(10), 무선 접속망(UTRAN; UMTS Terrestrial RAN, 20) 및 무선 접속망에 연결되며 외부망(80)과의 접속에 응답하는 코어망(Core Network; 6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도 1의 WCDMA 통신망은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시스템 등으로 이해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WCDMA 통신망 뿐만 아니라 IMS 통신망 또는 기타 차세대 통신망에서도 적용될 수 있다.
단말(10)은 무선 통신에 사용되는 사용자 기기뿐만 아니라 무선 통신을 할 수 있는 개인 휴대 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s), 컴퓨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10)은 호 요청, 메시지 전송 요청, 데이터 패킷 전송 요청을 하는 발신 단말 및 호, 메시지, 데이터 패킷 전송 등의 목적지가 되는 착신 단말로 구분될 수 있다.
무선 접속망(RAN: Radio Access Network, 20)은 WCDMA를 지원하기 위해 3GPP 규격의 무선 접속 규격을 수용한 기지국(22) 및 기지국 제어기(24)를 포함한다. 무선 접속망(20)은 단말(100)로부터의 호 요청 신호, 데이터 전송 신호 등을 코어망으로 전송한다.
기지국(22)은 기지국 제어기(24)에서 전달된 제어 정보에 따라 단말(10)과 데이터 교환에 필요한 무선 물리채널을 설정하고, 상위 계층 프로토콜로부터 전달된 데이터들을 무선 환경에 맞게 단말(10)로 전송한다.
기지국 제어기(Radio network controller; 24)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무선 자원을 동적으로 할당하며, 기지국(22)을 제어한다.
회선 교환기(Mobile switching center, 31)는 기지국(22)에서 착신 또는 발신되는 신호를 전달하며, 이동통신 가입자 상호 간의 교환, 이동통신 가입자와 PSTN, ISDN 등의 고정망 가입자와의 교환 기능을 제공한다. 회선 교환기(31)는 가입자로부터 호를 처리하기 위하여 일시적으로 단말(10)의 위치 정보 등의 가입자 정보를 가지는 방문자 위치 등록기(VLR)을 포함할 수 있다.
회선교환 게이트웨이(GMSC; 32)는 회선 교환기(31)를 통하여 외부망(80)과 연결되는 지점에서의 게이트웨이(Gateway)이다. 모든 회선교환 접속은 회선교환 게이트웨이(32)를 거쳐서 이루어진다.
상기 회선 교환기(31)와 회선교환 게이트웨이(32)를 포함하여 회선 교환부(30)로 칭할 수 있고, 회선 교환부(30)는 회선교환 접속을 통하여 단말(10)과의 통화로를 개설한다.
패킷교환 지원 노드는(SGSN; Serving GPRS Support Node, 45)은 GPRS 서비스를 위하여 단말의 이동성 관리, 발/착신호 처리 절차 및 패킷 데이터의 송수신을 처리하기 위한 세션(Session) 관리, 인증 및 과금 기능 등을 지원한다. 또한, 패킷 데이터의 라우팅 처리 기능을 가진다.
패킷 교환 게이트웨이(GGSN; Gateway GPRS Support Node, 46)는 GPRS의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고속의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IP(Internet Protocol) 기반 패킷망의 서빙 노드(Serving Node)로서,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위하여 세션을 관리하고 패킷 데이터의 라우팅 처리 기능을 하며 WDCMA망과 다른 네트워크 망(300)을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상기 패킷교환 지원 노드(45)와 패킷 교환 게이트웨이(46)를 포함하여 패킷 교환부(40)로 칭할 수 있다. 패킷 교환부(40)는 단말(10)의 데이터 송수신에 있어 패킷(Packet) 단위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한다.
홈 위치 등록기(HLR; Home location register; 53)는 가입자의 위치 정보를 저장 관리하며, 인증센터(AuC; 미도시됨)는 인증 벡터를 생성하며 가입자 인증 기 능을 수행한다.
이와 함께, 가입자 데이터베이스 서버(52)는 가입자 정보, 가입자 단말 정보 등을 포함하며, 가입자 정보 또는 가입자 단말 정보 등을 요구하는 다른 구성요소에 제공한다.
외부망(80)은 회선교환부(30) 또는 패킷교환부(40)를 통하여 외부로 연결되는 망이다. 회선교환부(30)는 음성 통화 등 회선(circuit)의 송수신에 관련된다. 회선교환부(30)는 공중 교환 전화망(PSTN), 종합 정보 통신망(ISDN: 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 또는 공중 육상 이동 통신망(PLMN)일 수 있다. 패킷교환부(30)는 데이터 패킷(Packet)의 송수신과 관련된다. 패킷교환부(40)에 의하여 접속되는 다른 네트워크(300)는 예를 들어, 인터넷(Internet)과 같은 IP(Internet Protocol)망, IMS 망, 서비스 제공자 구축 망 등일 수 있다.
과금 시스템(200)은 패킷 교환부(40)를 통하여 출입하는 패킷 데이터를 분석하여 과금 처리를 수행하는 역할을 한다. 과금 시스템(200)은 패킷 데이터의 출입하는 경로에 인라인(inline) 상으로 배치되어, 패킷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분석하거나 임시로 저장하여 각 단말(10) 또는 서비스 제공자에 대하여 과금 처리를 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화 과금 시스템을 포함하는 소정의 망 구성도를 보여준다. 도 2를 참조하면, 과금 시스템을 포함하는 통신망의 구조는 도1 에서 이미 도시한 바와 같이 과금 시스템(2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네트워크(300)는 도 1에서 개시되어 있는 일반적인 이동 통신망에 연결 되어, 패킷 단위 또는 IP를 매개로 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네트워크를 지칭할 수 있다. 여기서, 다른 네트워크(300)는 소정의 코어망을 경우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서비스 서버(150)에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무선 접속망(20) 및 패킷 교환부(40)를 포함하는 일반적인 이동 통신망을 제1 통신망이라고 하고, 다른 네트워크(300)를 제2 통신망이라 칭하기로 한다.
서비스 서버(Service Server; 150)는 제2 통신망의 코어망에 연결되어, IP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하여 음성, 오디오, 비디오 및 데이터 등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이다. 따라서 서비스 서버(150)는 서비스하는 내용 및 종류에 따라 복수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VOD(Video on demand)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VOD 서비스 서버가 필요하며, 실시간 교통상황을 제공하는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하여는 교통상황 제공 서버를 필요로 하는 등 다른 네트워크(300)을 통하여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들에 대한 컨텐츠 서버 및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부가서비스 서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과금 시스템(200)은 패킷교환 게이트웨이(GGSN, 46) 및 다른 네트워크(300) 사이에서 소정의 인터페이스 상으로 통과하는 패킷 데이터 신호를 분석한다. 여기서, 소정의 인터페이스(41)는 패킷교환 게이트웨이(46) 및 다른 네트워크(300) 사이를 지원하는 인터페이스를 말한다.
예를 들어, 발신 단말(11)로부터 착신 단말(12)에 화상 회의 등을 지원하는 경우에 다른 네트워크(300) 망으로서 IMS 코어망을 경유하여 서비스 서버(150)를 통과한다고 가정하자. 이러한 경우에는 발신 단말(11)로부터의 패킷 데이터는 무선 접속망(20), 패킷교환 지원노드(45), 패킷교환 게이트웨이(46), IMS 코어망 및 서비스 서버(150)를 거치고, 다시 IMS 코어망, 패킷교환 게이트웨이(46), 패킷교환 지원노드(45), 무선 접속망(20)을 거쳐서 착신 단말(12)에 도달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아이피(IP)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의 통신망(IMS망)과 같이, 외부 망에 서의 서비스 서버(150)를 통하여 서비스를 수행하는 경우에는 소정의 인터페이스 상으로 통과하는 데이터 패킷을 분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과금 시스템(200)에서는 상기 인터페이스 상으로 통과하는 데이터 패킷을 분석하여, 각 단말(11, 12) 또는 서비스 제공자에 대한 과금 처리를 할 수 있다.
이러한 과금 시스템(200)은 다른 네트워크(300)로 이전되는 통신망 사이에서 인라인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과금 시스템(200)의 전원이 오프되거나, 동작 불능에 따른 시스템이 다운 되거나, 시스템의 일부 가능이 정지되는 등의 동작 불능 상태에 빠지는 경우에는, 패킷교환 게이트웨이(GGSN, 46) 및 다른 네트워크(300) 사이에서 소정의 인터페이스 상으로 통과하는 사용자 트래픽을 처리할 수 없어, 제공되는 서비스가 단절될 수 있다.
따라서, 소정의 과금 시스템(200)의 일부가 동작 불능 상태로 전환되더라도, 사용자 트래픽을 지속적으로 처리하면서 데이터 패킷에 대한 과금을 손실 없이 처리하는 시스템 및 방법이 필요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화 과금 시스템의 블록도를 보여준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화 과금 시스템(200)은 게 이트웨이(110, 111), 제1 과금부(210), 제2 과금부(220), 스위칭부(230, 231, 240, 241), 라우터(120, 121) 및 시스템 진단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과금 시스템(200)은 서로 다른 통신망인 제1 통신망 및 제2 통신망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이와 함께, 과금 시스템(200)은 제1 통신망에 포함되는 구성이 될 수도 있고, 제2 통신망에 포함되는 구성이 될 수도 있다.
게이트웨이(110, 111)은 제1 통신망으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 패킷을 상기 제2 통신망으로 전달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제1 통신망이 WCDMA 통신망이라면, 게이트웨이(110, 111)은 패킷교환 게이트웨이일 수 있다. 게이트웨이(110, 111)는 데이터 패킷의 목적지까지의 이동 경로를 알려주는 라우터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게이트웨이는 제1 게이트웨이(110) 및 제2 게이트웨이(111)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게이트웨이(110)는 액티브(active) 모드로 소정의 동작을 수행하는 게이트웨이이며, 제2 게이트웨이(110)는 스탠바이(standby) 모드로 소정의 동작을 중지하고 대기 중인 게이트웨이이다. 따라서, 제1 게이트웨이(110)가 동작 불능 상태가 되는 경우에, 제2 게이트웨이(110)가 액티브 모드로 변환되어 제1 게이트웨이(110)를 대신하여 소정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동작 불능 상태는 게이트웨이(110, 111)의 전원이 꺼지거나, 과부하 또는 이상 동작에 의한 시스템 다운 등의 게이트 웨이의 역할을 수행하지 못하는 상태를 말한다.
과금부(210, 220)는 게이트웨이(110, 111) 및 후술할 라우터(120, 121) 사이를 통과하는 데이터 패킷에 대하여 소정의 규칙에 따라 과금 처리를 수행하는 역할 을 한다. 과금부(210, 220)는 서비스 제공자의 과금 정책 또는 패킷 망의 과금 정책에 따라 과금 처리를 달리할 수 있다. 과금부(210, 220)는 후술할 스위칭부(230, 231, 240, 241)로부터 데이터 패킷을 전달받아, 분석하여 과금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과금부(210, 220)는 제1 과금부(210) 및 제2 과금부(220)의 전송로(115, 125)를 따라 직렬로 배열되어 이중화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과금부(210)는 액티브(active) 모드로 동작하여, 전송로(115, 125)를 통과하는 데이터 패킷에 대하여 과금 처리를 수행한다. 이때, 제2 과금부(220)는 스탠바이 모드로 동작하며, 후술할 제3 스위칭부(240)에 의하여 데이터 패킷은 제2 과금부(220)를 거치지 않고 곧바로 전송된다.
제1 과금부(210)가 동작 불능 상태가 되는 경우에는 제2 과금부(220)가 액티브 모드로 전환하여 동작할 수 있다. 여기서, 동작 불능 상태는 제1 과금부(210)의 전원이 꺼지거나, 과부하 또는 이상 동작에 의한 시스템 다운 등의 과금부의 역할을 수행하지 못하는 상태를 말한다. 제1 과금부(210)가 동작 불능 상태가 되는 경우에는, 후술할 제1 스위칭부(230)에 의한 바이패스에 의하여 데이터 패킷이 제1 과금부(210)로 거치지 않고, 제2 과금부(220)로 전송된다. 제2 과금부(220)는 제1 과금부(210)의 과금 처리를 대신하여 수행함으로써, 제1 과금부(210)가 작동 불능이 되더라도 서비스 단절 없이 서비스 수행을 계속하면서, 과금 처리를 할 수 있다.
스위칭부(230, 231, 240, 241)는 소정의 스위치에 의하여 데이터 패킷이 경 로를 조정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제1 스위칭부(230)는 제1 과금부(210)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경우에는 제1 게이트웨이(110)로부터 전송된 데이터 패킷을 제1 과금부(210)로 전달한다. 제1 과금부(210)는 소정의 과금 처리를 한 후에 데이터 패킷을 제2 스위칭부(240)로 전달하고, 제2 스위칭부(240)는 데이터 패킷을 제2 과금부(220)를 거치지 않도록 바이패스 시켜 제1 라우터(120)로 전송한다.
하지만, 제1 과금부(210)가 동작 불능 상태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제1 스위칭부(230)는 제1 과금부(210)로 데이터 패킷을 전달하지 않고 스위칭에 의하여 바이패스 시킬 수 있다. 바이패스된 데이터 패킷은 제2 스위칭부(240)에 의하여 제2 과금부(220)를 거치도록 스위칭되고, 제2 과금부(220)는 데이터 패킷을 분석하여 과금 처리를 수행한다. 과금 처리된 데이터 패킷은 라우터(120)에 의하여 제2 통신망으로 전송될 수 있다. 여기서, 스위칭이란 기존의 데이터 통과 경로를 스위칭 소자에 의하여 변경하는 것을 말한다.
만일, 제1 통신망과 연결된 제1 게이트웨이가 동작 불능 상태인 경우에는 제2 게이트웨이(111)가 액티브 모드로 전환하여 동작한다. 이 때, 제2 게이트웨이(111)는 제1 통신망으로부터의 데이터 패킷을 제3 스위칭부(231)에 의하여 제1 과금부(210)로 전달한다. 하지만, 제1 과금부(210)가 동작 불능 상태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제3 스위칭부(231)는 제1 과금부(210)로 데이터 패킷을 전달하지 않고 스위칭에 의하여 데이터 패킷을 바이패스 시킨다. 바이패스 된 데이터 패킷은 제4 스위칭부(241)에 의하여 제2 과금부(220)에서 과금 처리된 후에 제2 통신망으로 전송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제1 과금부(210)가 동작 불능 상태로 전환되는 경우에 바이패스 기능을 수행하는 스위칭부(230, 231)에 의하여 데이터 패킷을 바이패스 시키고, 이후 제2 과금부(220)를 거치도록 함으로써 인라인으로 구성되는 과금부(210, 220)의 갑작스런 동작 불능에 대응하여, 서비스 단절 없이 연속적인 과금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라우터(120, 121)는 제2 통신망의 서비스 서버로의 목적지에 대한 데이터 패킷의 전송 경로를 설정하는 역할을 한다. 라우터(120, 121)는 액티브 모드로 동작하는 제1 라우터(120) 및 스탠바이 모드로 대기 중인 제2 라우터(121)로 구성될 수 있다. 제2 라우터(121)는 제1 라우터(120)의 동작 불능 또는 전송로(125)의 동작 불능에 대응하여, 액티브 모드로 전환하여 제2 통신망의 소정의 서비스 서버로 데이터 패킷을 전송할 수 있다.
시스템 진단부(250)는 제1 과금부(210), 제2 과금부(220), 스위칭부(230, 231, 240, 241), 전송로(115, 117, 125, 127), 게이트웨이(110, 111) 및 라우터(120, 121) 중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의 동작 상태를 진단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제1 과금부(210)의 동작 상태를 진단하는 경우에는 시스템 진단부(250)는 소정의 테스트 패킷을 제1 과금부(210)에 전송하여, 제1 과금부의 작동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또는 제1 과금부(210), 제2 과금부(220), 스위칭부(230, 231, 240, 241), 전송로(115, 117, 125, 127), 게이트웨이(110, 111) 및 라우터(120, 121) 등으로부터 각 구성요소의 동작을 감지하거나 각 구성요소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패킷을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전송받아 각 구성요소의 작동 상태를 감지할 수 도 있다. 다만, 상기의 방법에 한정하지 않으며 다양한 방법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동작 상태를 감지하거나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시스템 진단부(250)는 각 구성요소의 감지된 동작 상태를 바탕으로, 각 구성요소의 작동 모드를 액티브 모드 또는 스탠바이 모드로 변환시키는 역할도 할 수 있다.
동작 상태 감지에 의하여, 제1 게이트웨이(110)가 작동 불능 상태인 경우에는 제2 게이트웨이(111)를 액티브 모드로 전환시켜 제1 게이트웨이(110) 대신에 동작하게 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제1 과금부(210)가 작동 불능 상태인 경우에는 제1 스위칭부(230)로 하여금 스위칭을 하여 제1 통신망으로 전달되는 데이터 패킷을 바이패스 시켜 제1 과금부(210)를 거치지 않고, 제2 과금부(220)를 통과하여 제2 통신망으로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또다른 예로서, 제1 게이트웨이(110) 및 제1 스위칭부(230) 사이에 데이터 패킷의 이동 통로인 제1 전송로(115)가 작동 불능 상태인 경우에는, 이를 대체하는 제2 전송로(116)를 통하여 데이터 패킷을 전송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제2 게이트웨이(111) 및 제3 스위칭부(231) 사이에 데이터 패킷의 이동 통로인 제3 전송로(117)가 작동 불능 상태인 경우에는, 이를 대체하는 제4 전송로(118)를 통하여 데이터 패킷을 전송할 수 있다.
또다른 예로서, 제1 라우터(120)가 작동 불능 상태인 경우에는, 제2 라우터(121)를 액티브 모드로 전환시키면서 제5 전송로(125) 대신에 제6 전송로(126)를 통하여 데이터 패킷을 전송시킬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게이트웨이(111)를 통하 여 데이터 패킷이 전송되는 과정에서 제2 라우터(121)가 동작 불능 상태인 경우에는, 제1 라우터(120)을 액티브 모드로 전환시켜 제7 전송로(127) 대신에 제8 전송로(128)를 통하여 데이터 패킷을 전송시킬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제2 과금부(220), 제2 스위칭부(240), 제4 스위칭부(241) 등에 대하여도 작동 불능 상태인 경우에, 이를 대체하여 다른 구성요소가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과금부(210, 220)를 포함하는 과금 시스템의 구성요소 중 일부가 작동 불능 상태인 경우에 대비하여 대체 구성요소를 액티브 모드로 변환시켜 작동시킴으로써 서비스 단절 없이, 과금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화 과금 방법의 흐름도를 보여준다.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제1 과금부(210)의 동작 불능 상태를 시스템 진단부(250)에 의해 감지한다(S400). 동작 불능으로 판단된 경우, 데이터 패킷을 제1 스위칭부(230)에 의하여 제1 과금부(210)를 거치지 않고 곧바로 바이패스 시킨다(S410).
바이패스된 데이터 패킷은 전송로(115, 125) 상에 직렬 이중화된 구조로 배치되어 있는 제2 과금부(220)로 전송된다(S420). 제2 과금부(220)로의 전송은 제2 스위칭부(240)의 스위칭에 의하여 바이패스를 시키지 아니하고, 제2 과금부(220)로 데이터 패킷을 전달함에 의해 이루어진다.
제2 과금부(220)는 전달된 데이터 패킷을 소정의 규칙에 의하여 과금 처리를 한 후에, 제1 라우터(120)를 통하여 제2 통신망의 서비스 서버로 전송할 수 있 다(S430).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제1 과금부(210)가 동작 불능인 경우에도 스위칭부(230, 240)에 의하여 직렬로 이중화된 제2 과금부(22)로 데이터 패킷을 통과하여, 서비스 단절 없이 과금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중화 과금 방법의 흐름도를 보여준다.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시스템 진단부(250)에 의하여 제1 게이트웨이(110)가 동작 불능 상태인지를 판단한다(S500). 제1 게이트웨이(110)가 동작 불능 상태이면, 제2 게이트웨이(111)를 액티브 모드로 전환하여, 제2 게이트웨이(111)를 통하여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도록 한다(S505).
이어, 제1 전송로(115)가 동작 불능 상태인지를 판단한다(S510). 제1 전송로(115)가 동작 불능 상태라면 제2 전송로(116)를 통하여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도록 한다(S515).
이어, 제1 과금부(210)가 동작 불능 상태인지를 판단한다(S520). 제1 과금부(210)가 동작 불능 상태로 판단되며, 제1 스위칭부(230)에 의하여 데이터 패킷을 제1 과금부(210)를 통과하지 않도록 바이패스 시킨다(S525). 제2 스위칭부(240)는 바이패스된 데이터 패킷을 제2 과금부(220)로 전달하며, 제2 과금부(220)는 소정의 과금 규칙에 따라 해당 데이터 패킷에 대한 과금 처리를 수행한다(S527, S530).
한편, 제1 과금부(210)가 정상 동작 중이면, 소정의 규칙에 따라 데이터 패킷에 대하여 과금 처리를 수행한다(S530).
과금 처리된 데이터 패킷은 목적지인 제2 통신망의 서비스 서버로 전송된 다(S540).
다만, 제2 게이트웨이(111)에 의하여 데이터 패킷이 전송되는 경우에는 제1 과금부(210)의 동작 불능 상태에 따라 제3 스위칭부(231) 및 제4 스위칭부(241)의 역할을 달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과금부(210)가 동작 불능 상태인 경우에는 제3 스위칭부(231)는 데이터 패킷을 바이패스 시켜 제4 스위칭부(241)에 곧바로 전달하며, 제4 스위칭부(241)는 제2 과금부(220)에 데이터 패킷을 전달하여 소정의 과금 처리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비하여, 제1 과금부(210)가 정상 동작하는 경우에는 제3 스위칭부(231)는 제1 과금부(210)로 데이터 패킷을 전달하고, 제4 스위칭부(241)는 데이터 패킷을 바이패스 시켜 제2 라우터(121)로 전송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인라인으로 배치되는 과금부의 동작 불능이거나 과금 시스템의 일부 구성요소가 동작 불능인 경우에 있어서, 대체 구성요소를 활성화시키거나, 스위칭부에 의하여 이중화된 과금 시스템에 의하여 서비스 단절을 방지하면서, 손실 없이 과금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 또는 '~부'는 메모리 상의 소정 영역에서 수행되는 태스크, 클래스, 서브 루틴, 프로세스, 오브젝트, 실행 쓰레드, 프로그램과 같은 소프트웨어(software)나, FPGA(field-programmable gate array)나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과 같은 하드웨어(hardware)로 구현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구성요소 또는 '~부'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포함되어 있을 수도 있고, 복수의 컴퓨터에 그 일부가 분산되어 분포될 수도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WCDMA 통신망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과금 시스템을 포함하는 소정의 망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화 과금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화 과금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중화 과금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11: 발신 단말 12: 착신 단말
22: 기지국 24: 기지국 제어기
45: 패킷교환 지원노드 46: 패킷교환 게이트웨이
200: 과금 시스템
110, 111: 게이트웨이
115, 116, 117, 118, 125, 126, 127, 128: 전송로
230, 231, 240, 241: 스위칭부
120, 121: 라우터
210, 220: 과금부 250: 시스템 진단부

Claims (14)

  1. 제1 통신망으로 전송되는 데이터 패킷을 전달받아 소정의 과금 규칙에 따라 과금 처리를 수행하는 제1 과금부;
    상기 제1 과금부와 직렬로 배치되어, 상기 제1 과금부가 동작 불능인 경우에 액티브 모드로 전환하여 상기 과금 처리를 수행하는 제2 과금부; 및
    상기 제1 과금부가 동작 불능인 경우에는 상기 제1 과금부로 통과하는 데이터 패킷을 바이패스 시켜, 상기 제2 과금부로 전달하는 스위칭부를 포함하는, 이중화 과금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제1 과금부가 동작 불능인 경우에는 상기 제1 과금부로 통과하는 데이터 패킷을 바이패스 시키는 제1 스위칭부; 및
    상기 제1 과금부가 정상 동작하는 경우에는 제2 과금부로 향하는 데이터 패킷을 바이패스 시키는 제2 스위칭부를 포함하는, 이중화 과금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과금부가 동작 불능 상태인지를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감지하는 시스템 진단부를 더 포함하는, 이중화 과금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망으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 패킷을 제2 통신망으로 전달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제1 게이트웨이; 및
    상기 데이터 패킷을 상기 제2 통신망으로의 전송 경로를 조정하는 제1 라우터를 더 포함하는, 이중화 과금 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게이트웨이가 동작이 불능인 경우, 상기 제1 통신망으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 패킷을 상기 제2 통신망으로 전달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제2 게이트웨이를 더 포함하는, 이중화 과금 시스템.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게이트웨이 및 상기 제1 스위칭부 사이에 상기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는 통로를 제공하는 제1 전송로; 및
    상기 제1 전송로로 데이터 패킷 전송이 불능인 경우, 상기 제1 게이트웨이 및 상기 제1 스위칭부 사이에 상기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는 통로를 제공하는 제2 전송로를 포함하는, 이중화 과금 시스템.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라우터가 동작이 불능인 경우, 전송하려는 데이터 패킷의 상기 제2 통신망으로 전송 경로를 설정하는 제2 라우터를 더 포함하는, 이중화 과금 시스템.
  8.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제2 게이트웨이의 동작에 의하여 전달된 상기 데이터 패킷을 상기 제1 과금부에 전달하며, 상기 제1 과금부가 동작 불능인 경우에는 상기 제1 과금부로 통과하는 데이터 패킷을 바이패스 시키는 제3 스위칭부; 및
    상기 제1 과금부가 정상 동작하는 경우에는 제2 과금부로 향하는 데이터 패킷을 바이패스 시키는 제4 스위칭부를 포함하는, 이중화 과금 시스템.
  9. 제1 통신망 및 제2 통신망 사이의 전송로를 통과하는 데이터 패킷에 대하여 과금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1 과금부의 동작 불능 상태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제1 과금부가 동작 불능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1 통신망으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 패킷을 제1 스위칭부에 의하여 제1 과금부를 통과하지 않도록 바이패스 시키는 단계;
    상기 바이패스된 데이터 패킷을 제2 스위칭부에 의하여 제2 과금부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과금부에 의하여 과금 처리 후에 상기 데이터 패킷을 상기 제2 통신망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중화 과금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과금부가 정상 동작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2 스위칭부에 의하여 상기 제2 과금부로 통과하는 데이터 패킷을 바이패스 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중화 과금 방법.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과금부가 정상 동작하는 경우, 상기 제1 통신망으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 패킷을 전달받아 소정의 규칙에 따라 과금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중화 과금 방법.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망의 제1 게이트웨이 및 제1 스위칭부 사이에 상기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는 통로를 제공하는 제1 전송로를 통한 데이터 패킷 전송이 불능인 경우, 상기 제1 게이트웨이 및 상기 제1 스위칭부 사이의 다른 전송로인 제2 전송로를 통하여 상기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중화 과금 방법.
  13.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통신망으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라우터가 동작이 불능인 경우, 제2 라우터를 액티브 모드로 전환하여 상기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중화 과금 방법.
  14.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망의 제1 게이트웨이의 동작이 불능으로 판단된 경우, 제2 게이트웨이를 액티브 모드로 전환시켜 동작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중화 과금 방법.
KR1020090027672A 2008-12-31 2009-03-31 이중화 과금 시스템 및 방법 KR1010175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8540 2008-12-31
KR20080138540 2008-12-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0282A true KR20100080282A (ko) 2010-07-08
KR101017502B1 KR101017502B1 (ko) 2011-02-25

Family

ID=426412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7672A KR101017502B1 (ko) 2008-12-31 2009-03-31 이중화 과금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750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635203A (zh) * 2014-10-29 2016-06-01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一种电子数据的转移方法和设备
WO2017022905A1 (ko) * 2015-07-31 2017-02-09 (주)멀린 환경 감시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64125B1 (ko) * 1995-12-22 1998-12-01 양승택 전전자 교환기의 패킷 및 공통선 신호 처리장치
KR20010019817A (ko) * 1999-08-31 2001-03-15 김진찬 자동과금처리 시스템의 이중화 제어 방법
KR100400351B1 (ko) * 2001-11-15 2003-10-04 주식회사 케이티 게이트웨이와 과금 서버간의 과금 패킷 전송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635203A (zh) * 2014-10-29 2016-06-01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一种电子数据的转移方法和设备
CN105635203B (zh) * 2014-10-29 2018-12-14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一种电子数据的转移方法和设备
WO2017022905A1 (ko) * 2015-07-31 2017-02-09 (주)멀린 환경 감시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17502B1 (ko) 2011-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17819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subscriber database using group services in a telecommunication system
US8897747B2 (en) Long-term evolution (LTE) policy control and charging rules function (PCRF) selection
US8223720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handoff of a mobile telephone call in a VOIP environment
US9198222B2 (en) Telecommunication network
CN103109502B (zh) 对毫微微小区簇接入进行负载平衡的方法和装置
CN101159981B (zh) 呼叫路由建立方法、网元设备及网络系统
US10033820B2 (en) Method and system for opportunistic delivery of less-than-best-effort application data over communication networks
KR101017502B1 (ko) 이중화 과금 시스템 및 방법
US7630387B2 (en) Gateway apparatus and method of protection switching thereof
KR101043163B1 (ko) 바이패스 과금 시스템 및 방법
JP2008541597A (ja) ターミナルアイデンティティを使用して非常セッションを確立するためのターミナル、非常センター、ネットワーク、ネットワーク要素、システム及び方法
JP4221200B2 (ja) 移動体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負荷分散システム及び交換装置
US20080090555A1 (en) Managing Faults and Filters in Providing Foreign Services
US2015000332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transitioning a telephony communication between connection paths to preserve communication quality
US771088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curity protection of service interruption in switch network
US20030048789A1 (en) Packet call routing i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CN112653661B (zh) 一种VoIP网络限制下的媒体恢复方法和系统
US7061886B1 (en) Packet voting in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s
US7088695B1 (en) Packet voting in wireless mobile devices
WO2006058464A1 (fr) Systeme en grappes de centre de message court et son procede de commande
JP2005073256A (ja) データ通信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およびその構成方法
JP6387268B2 (ja) 通信制御装置、通信制御システム、及び通信制御方法
KR100918694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가입자 데이터베이스 서버 시스템및 코어망 시스템
JP2016165072A (ja) 切替システム
CN101686448A (zh) 被叫语音业务的切换方法与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