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80176A - Appratus for receiving and dispensing notes in an automated teller machine - Google Patents

Appratus for receiving and dispensing notes in an automated teller machi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80176A
KR20100080176A KR1020080138822A KR20080138822A KR20100080176A KR 20100080176 A KR20100080176 A KR 20100080176A KR 1020080138822 A KR1020080138822 A KR 1020080138822A KR 20080138822 A KR20080138822 A KR 20080138822A KR 20100080176 A KR20100080176 A KR 201000801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sh plate
lifting
teller machine
main gear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882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057299B1 (en
Inventor
박창호
정윤석
황진용
신경주
서정욱
Original Assignee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388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7299B1/en
Publication of KR201000801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017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72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729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05Housing aspects of ATM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01Accessories of ATM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2211/00Paper-money handling de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ile Receivers (AREA)

Abstract

PURPOSE: A paper money paying-in and paying-out device of an automatic teller machine is provided to prevent the elevation at the rotation at a going up and coming down process of a push plate of a temporary storage unit or a rotation process by establishing a lock device. CONSTITUTION: A temporary storage unit comprises a push plate(22) for the paper money being loaded and ascending and descend, and an isolation stack unit for the separation of the paper money or a stack and a case(25). A supplement fetching unit comprises the push plate ascending and descend the paper money. The push plate of the temporary storage unit is pushed in the separation of the paper money through the supplement fetching unit or the stack process. The push plate of the supplement fetching unit rises to the isolation stack unit of the temporary storage unit in order to perform the stack operation or the separation of the paper money. The elevating movement and rotational motion of the push plate operate with one motor and the gear mechanism connected to the motor.

Description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입출금장치 {Appratus for receiving and dispensing notes in an automated teller machine}Banknote teller machine {Appratus for receiving and dispensing notes in an automated teller machine}

본 발명은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입출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통상 아래위로 위치되는 지폐입출금장치의 일시저장부와 보충회수부에서 분리스택부를 공용으로 사용함으로써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입출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nknote deposit and withdrawal device of the automatic teller machine.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per money deposit and withdrawal device of the automated teller machine, which can reduce the cost by using a separate stack unit in the temporary storage unit and the supplemental collection unit of the paper money deposit and withdrawal device usually located up and down.

일반적으로 금융자동화기기(ATM; Automated Teller Machine)에는 정보를 입력하는 입력부와, 금융서비스 메뉴 및 거래상황이 디스플레이되는 화면부와 함께 고객이 입출금거래를 위해 지폐를 투입하거나 수취할 수 있는 지폐입출금장치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지폐입출금장치를 통해 고객이 현금 입출금을 수행하게 된다.In general, an automated teller machine (ATM) includes an input unit for inputting information, a financial service menu, and a screen unit on which a transaction status is displayed. Is provided, the customer is to carry out cash withdrawal through the banknote withdrawal device.

도 1은 일반적인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입출금장치(1)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banknote deposit and withdrawal device 1 of a general automatic teller machine.

지폐입출금장치(1)는 지폐의 입출금을 비롯한 기기 전체를 제어하는 제어부(도시 안됨), 고객이 입출금을 위하여 지폐를 투입하거나 수취하기 위한 입출금부(2), 상기 입출금부를 통해 입출금되는 지폐가 이송되는 반송로(5), 상기 반송 로(5) 상에 구비되어 지폐의 이상유무를 감별하는 감별부(6), 입금된 지폐가 적재되고 출금 요청이 있을 경우 지폐를 반출하는 다수 개의 지폐저장박스(7; 7a, 7b, 7c, 7d)가 구비된다. Banknote deposit and withdrawal device 1 is a control unit (not shown) for controlling the entire device, including the deposit and withdrawal of banknotes, the deposit and withdrawal unit (2) for the customer to put or receive banknotes for withdrawal and withdrawal, the banknotes withdrawal and withdrawal through the withdrawal and withdrawal transfer Is provided on the conveying path (5), the conveying path (5) to discriminate whether there is an abnormality of the bill (6), a plurality of bill storage box for loading the bills, and to take out the bills when there is a withdrawal request (7; 7a, 7b, 7c, 7d) are provided.

또한, 지폐입출금장치(1)는 지폐의 일시 저장을 위한 일시저장부(20), 지폐저장박스(7)로 지폐를 보충하거나 지폐저장박스로부터 지폐를 회수하기 위한 보충회수부(10), 이상 지폐 등이 저장되는 리젝트박스(8)를 추가로 포함한다.In addition, the banknote entry and withdrawal device 1 is a temporary storage unit 20 for temporarily storing the banknotes, supplementary recovery unit 10 for replenishing the bills with or retrieving the banknotes from the banknote storage box, or more It further includes a reject box 8 in which bills and the like are stored.

입금 거래에 있어서, 고객이 입금 공간(a)으로 지폐를 투입하면, 분리부(3)에서는 지폐를 한 장씩 분리해서 반송로(5) 상으로 이송한다. 반송로(5)에 반출된 지폐는 감별부(6)를 거치면서 지폐의 이상유무 등이 판별된다. 감별부(6)를 통과한 후, 감별부에서 정상권으로 판별된 지폐[이하, 정상 지폐]는 일시저장부(20)에 보관되고, 이상권으로 판별된 지폐[이하, 리젝트 지폐]는 출금 공간(b)으로 스택 및 정렬된 후, 고객이 다시 입금할 수 있다. In a deposit transaction, when a customer puts a banknote into the deposit space a, the separation part 3 separates a banknote one by one and transfers it to the conveyance path 5. The banknotes carried out to the conveyance path 5 go through the discriminating part 6, and the presence or absence of abnormality of a banknote is determined. After passing through the discriminating unit 6, the banknotes (hereinafter referred to as "normal banknotes") determined as normal tickets by the discriminating unit are stored in the temporary storage unit 20, and the banknotes (hereinafter referred to as "reject banknotes") identified as abnormal tickets are withdrawn spaces. After stacking and sorting in (b), the customer can deposit again.

감별부(6)에서 정상 지폐로 판정된 지폐는 일시저장부(20)에 있다가, 고객의 입금 요구에 의해 반송로(5)를 통과하여 지폐저장박스(7)에 보관된다.Banknotes determined as normal banknotes in the discriminating unit 6 are stored in the temporary storage unit 20, and are stored in the banknote storage box 7 by passing through the conveying path 5 at the request of a customer's deposit.

출금 거래에 있어서, 고객이 출금을 요구하면 지폐저장박스(7)에 보관된 지폐는 반송로(5)로 보내져 감별부(6)를 통과하게 된다. 정상 지폐는 스택부(4)에 의해 출금 공간(b)으로 스택되어 정렬된 후, 고객에 의해 출금된다. 이때, 감별부(6)에서 리젝트 지폐로 판정된 지폐는 일시저장부(20)에 있다가 리젝트박스(8)로 보내져 보관된다. In the withdrawal transaction, when a customer requests withdrawal, the banknotes stored in the banknote storage box 7 are sent to the conveying path 5 to pass through the discriminating unit 6. The normal banknotes are stacked and aligned by the stack section 4 into the withdrawal space b, and then withdrawn by the customer. At this time, the banknotes determined as reject banknotes in the discriminating unit 6 are stored in the temporary storage unit 20 and then sent to the reject box 8.

상기 다수 개의 지폐저장박스(7a, 7b, 7c, 7d)에는 각기 다른 권종의 지폐 또는 동일 권종의 지폐가 적재되고, 제어부의 신호에 의해 고객이 요청하는 해당 권종의 지폐가 지폐저장박스로(7)부터 출금되거나 고객이 입출금부(2)를 통해 투입한 지폐가 입금되어 상기 지폐저장박스(7)에 적재된다.The plurality of bill storage boxes 7a, 7b, 7c, and 7d are loaded with different kinds of bills or banknotes of the same kind, and the bills of the corresponding kind requested by the customer by a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are stored in the bill storage box (7 Banknotes withdrawn from the customer or put through the deposit and withdrawal unit 2 are deposited and loaded into the banknote storage box 7.

통상 금융자동화기기를 통해 입출금되는 지폐의 비율은 평균적으로 7:3 정도로 출금이 많으므로, 상기와 같은 입출금 과정을 반복하게 되면 상기 지폐저장박스(7)에 적재된 지폐가 부족한 경우가 발생한다. 이와 같이 지폐저장박스(7)에 지폐가 부족한 경우를 대비해서 보충회수부(10)가 추가로 설치되는데, 상기 보충회수부는 지폐입출금에는 사용되지 않고 상기 지폐저장박스(7)에 필요한 지폐를 보충하거나, 지폐저장박스에 저장된 지폐를 회수하기 위한 용도로만 사용된다.Since the ratio of banknotes to be withdrawn and withdrawn through the automated teller machine on average is about 7: 3, withdrawal is large, and if the above-mentioned withdrawal and withdrawal process is repeated, the banknotes loaded on the banknote storage box 7 may be insufficient. In this case, a supplementary collection unit 10 is additionally installed in case the banknote storage box 7 is insufficient, and the supplementary collection unit is not used for the withdrawal and withdrawal of banknotes, and supplements the banknotes required for the banknote storage box 7. Or, it is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collecting the bill stored in the bill storage box.

도 2는 일시저장부(20)와 보충회수부(10)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the temporary storage unit 20 and the supplemental recovery unit 10.

금융자동화기기에 따라서 다르기는 하지만, 상기 일시저장부(20)와 보충회수부(10)는 도시된 것처럼 지폐입출금장치(1) 내에서 아래위로 위치되는 경우가 많다. Although different depending on the automatic teller machine, the temporary storage unit 20 and the supplemental collection unit 10 are often located up and down in the banknote device 1 and 2 as shown.

상기 보충회수부(10)와 일시저장부(20)는 픽업롤러, 피드롤러 및 가이드롤러로 이루어진 각각의 분리스택부(11, 21)를 갖고 있고, 지폐를 분리할 때는 각각의 푸시플레이드(push plate)(12, 22)를 분리스택부(11, 21) 쪽으로 승강시켜서 지폐의 분리를 행한다. The replenishment recovery unit 10 and the temporary storage unit 20 has separate stack portions 11 and 21, each consisting of a pick-up roller, a feed roller, and a guide roller. Push plates) 12 and 22 are pulled up and down to the separating stack portions 11 and 21 to separate banknotes.

그러나, 3개의 롤러로 이루어진 분리스택부(11, 21)는 비교적 고가의 장치이므로, 아래위로 위치된 상기 일시저장부(20)와 보충회수부(10)에 분리스택부를 하 나만 설치하고, 이를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면 금융자동화기기의 원가절감에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However, since the separation stacks 11 and 21 consisting of three rollers are relatively expensive devices, only one separation stack is installed in the temporary storage unit 20 and the supplemental recovery unit 10 located up and down, and If it can be used publicly, it will help a lot in reducing the cost of the automated teller machine.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발명한 것으로,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입출금장치에서 통상 아래위로 위치되는 일시저장부와 보충회수부의 분리스택부를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어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금융자동화기기를 제공하고자 함에 목적이 있다.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invented in view of the above circumstances, and it is possible to use a separate stack part of a temporary storage part and a supplementary recovery part which are normally located up and down in a banknote deposit and withdrawal device of the automatic teller machine. The purpose is to provide a device.

본 발명의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입출금장치는, 입금되는 지폐 또는 출금을 위한 지폐를 저장하는 복수의 지폐저장박스; 지폐의 입금 또는 출금과정에서 지폐를 일시적으로 저장하기 위한 일시저장부; 상기 일시저장부의 하부에 위치되어 지폐저장박스로 지폐를 보충하거나 상기 지폐저장박스로부터 지폐를 회수하는 보충회수부(10)를 갖고, 상기 일시저장부(20)는 지폐를 적재하여 승강하기 위한 푸시플레이트(22)와, 지폐의 분리 또는 스택을 위한 분리스택부(21)와, 케이스(25)를 포함하고, 상기 보충회수부는 지폐를 적재하여 승강하기 위한 푸시플레이트(12)를 포함하고, 상기 보충회수부를 통해 지폐의 분리 또는 스택을 할 때는 상기 일시저장부의 푸시플레이트(22)는 회전되어 퇴피되고, 상기 보충회수부의 푸시플레이트(12)가 상기 일시저장부의 분리스택부(21) 쪽으로 상승하여 지폐의 분리 또는 스택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Banknote withdrawal device of the automated teller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banknote storage box for storing the banknotes or banknotes for withdrawal; Temporary storage for temporarily storing the bill during the deposit or withdrawal process of the bill;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temporary storage unit has a replenishment recovery unit 10 for replenishing the bills in the bill storage box or recover the bills from the bill storage box, the temporary storage unit 20 is pushed for loading and lifting bills A plate 22, a separation stack 21 for separating or stacking banknotes, and a case 25, wherein the replenishing and collecting section includes a push plate 12 for lifting and lifting banknotes. When separating or stacking banknotes through the replenisher, the push plate 22 of the temporary storage unit is rotated and evacuated, and the push plate 12 of the replenisher collection unit is lifted toward the separation stack 21 of the temporary storage unit. It is characterized by separating or stacking banknotes.

또한, 상기 푸시플레이트(22)의 승강운동과 회전운동은 하나의 모터(51)와, 상기 모터와 연결된 기어장치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lifting and rotating movement of the push plate 22 is characterized in that made by one motor 51, a gear device connected to the motor.

또한, 상기 기어장치는 모터(51)와 연결된 구동기어(52)와, 상기 구동기어(52)와 맞물리는 주기어(53)를 포함하고, 상기 모터(51)의 회전력이 상기 주기어(53)에 전달되어, 상기 주기어(53)가 주기어 축을 중심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푸시플레이트(22)의 승강운동이 일어나고, 상기 모터(51)의 회전력이 상기 주기어(53)에 전달되어, 상기 주기어(53)가 구동기어 축(52a)을 중심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푸시플레이트(22)의 회전운동이 일어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gear device includes a drive gear 52 connected to the motor 51 and a main gear 53 meshing with the drive gear 52, and the rotational force of the motor 51 is the main gear 53. ), The main gear 53 rotates about the main axis of the shaft, and the lifting motion of the push plate 22 occurs, and the rotational force of the motor 51 is transmitted to the main gear 53, As the main gear 53 rotates about the drive gear shaft 52a, a rotational movement of the push plate 22 occurs.

또한, 상기 푸시플레이트(22)의 최하측 위치에서, 상기 모터(51)가 상기 푸시플레이트(22)를 하강시키는 방향으로 더 회전하면, 푸시플레이트(22)는 구동기어 축(52a)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in the lowermost position of the push plate 22, if the motor 51 further rotates in the direction of lowering the push plate 22, the push plate 22 is centered on the drive gear shaft 52a.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rotated.

또한, 상기 푸시플레이트(22)의 승강운동과 회전운동이 함께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는 락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lock device for preventing the lifting and rotating movement of the push plate 22 to occur together.

또한, 상기 기어장치는, 모터(51)와 연결된 구동기어(52)와, 상기 구동기어(52)와 맞물리는 주기어(53)와, 상기 주기어(53)와 맞물리는 복수의 기어와, 상기 복수의 기어 중 어느 하나와 부기어 사이에서 회전하는 벨트와, 상기 벨트 및 푸시플레이트(22)에 고정된 승강부(60)를 포함하고, 상기 모터(51)의 회전력은 상기 구동기어(52), 주기어(53), 복수의 기어, 벨트 및 승강부(60)에 차례로 전달되어 상기 푸시플레이트(22)를 승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gear device includes a drive gear 52 connected to the motor 51, a main gear 53 for meshing with the drive gear 52, a plurality of gears for meshing with the main gear 53, A belt that rotates between any one of the plurality of gears and the sub-gear, and a lifting unit 60 fixed to the belt and the push plate 22, wherein the rotational force of the motor 51 is the drive gear 52. ), The main gear 53, the plurality of gears, the belt and the lifting unit 60 in tur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ush plate 22 to elevate.

또한, 상기 일시저장부는 상기 푸시플레이트(22)의 양측에 수직으로 세워지 는 측부판(3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승강부(60)에는 수직보어(61)가 연결되고, 상기 수직보어(61)에는 상기 측부판(30)의 상단부 및 하단부와 연결되어 그 사이에서 연장되는 수직기둥(62)이 삽입되어, 상기 승강부(60)의 승강운동이 상기 수직기둥(62)에 의해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temporary storage unit further includes a side plate 30 that is vertically erected on both sides of the push plate 22, the vertical bore 61 is connected to the lifting unit 60, the vertical bore 61 ) Is inserted into the vertical column 62 is connected to the upper end and the lower end of the side plate 30 extending therebetween, the lifting movement of the lifting unit 60 is guided by the vertical column 62 It features.

또한, 상기 기어장치는 주기어(53)에 고정된 주기어 핀(53a)을 더 포함하고, 상기 푸시플레이트(22)가 승강되는 동안, 상기 주기어 핀(53a)은 상기 측부판(30)에 형성된 라운드홈(31)에 삽입되어 상기 라운드홈(31)의 궤적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gear device further includes a main gear pin 53a fixed to the main gear 53, and the main gear pin 53a is the side plate 30 while the push plate 22 is lifted. Is inserted into the round groove 31 formed in the characterized in that to move along the trajectory of the round groove (31).

또한, 상기 푸시플레이트(22)의 최하측 위치에서 상기 주기어 핀(53a)은 상기 측부판(30)의 라운드홈(31)의 단부에 의해 차단되고, 상기 모터(51)가 상기 푸시플레이트(22)를 하강시키는 방향으로 더 회전하면, 상기 주기어 핀(53a)에 전달된 힘이 상기 측부판(30)과 푸시플레이트(22)를 상기 구동기어 축(52a)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lowermost position of the push plate 22, the main gear pin 53a is blocked by the end of the round groove 31 of the side plate 30, the motor 51 is the push plate ( 22, further rotating in the downward direction, the force transmitted to the main gear pin 53a rotates the side plate 30 and the push plate 22 about the drive gear shaft 52a. It is done.

또한, 상기 푸시플레이트(22)의 승강운동과 회전운동이 함께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는 락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lock device for preventing the lifting and rotating movement of the push plate 22 to occur together.

또한, 상기 락 장치는 상기 푸시플레이트(22)의 승강운동 중에 상기 푸시플레이트(22)가 전방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전방 락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lock devic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ront lock device for preventing the push plate 22 from moving forward during the lifting movement of the push plate (22).

또한, 상기 전방 락 장치는 상기 케이스(25)에 형성되는 V홈 차단부(70)를 포함하고, 상기 푸시플레이트(22)의 승강운동 중에는 상기 측부판(30)의 단부가 상 기 V홈 차단부(70)의 V홈에 삽입되어 상기 측부판(30) 및 푸시플레이트(22)의 전방 이동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ront lock device includes a V-groove blocking portion 70 formed in the case 25, the end of the side plate 30 is blocked the V-groove during the lifting movement of the push plate 22. Is inserted into the V-groove of the portion 70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ront plate 30 and the push plate 22 of the front movement is prevented.

또한, 상기 락 장치는 상기 푸시플레이트(22)의 승강운동 중에 상기 푸시플레이트(22)가 후방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후방 락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lock devic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rear lock device for preventing the push plate 22 is moved to the rear during the lifting movement of the push plate (22).

또한, 상기 후방 락 장치는 상기 측부판(30)의 단부에 부착되는 제1 마그네트(86)와, 상기 제1 마그네트에 대향되는 제2 마그네트(87)를 포함하고, 상기 푸시플레이트(22)의 승강운동 중에는 상기 제1 및 제2 마그네트(87)가 접촉되어 상기 측부판(30) 및 푸시플레이트(22)의 후방 이동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rear lock device includes a first magnet 86 attached to an end of the side plate 30, and a second magnet 87 opposite to the first magnet, the push plate 22 of the During the lifting movement, the first and second magnets 87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so that the rear plate of the side plate 30 and the push plate 22 is prevented.

또한, 상기 후방 락 장치는 상기 측부판(30)에 연결되는 갈고리(80)와, 상기 케이스에 연결되는 돌출핀(26)을 포함하고, 상기 푸시플레이트(22)의 승강운동 중에는 상기 갈고리(80)는 상기 돌출핀에 걸려있어 상기 측부판(30)의 후방 이동이 방지되고, 상기 푸시플레이트(22)의 회전운동 중에는 상기 갈고리(80)가 돌출핀(26)으로부터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rear lock device includes a hook 80 connected to the side plate 30, and a protruding pin 26 connected to the case, the hook 80 during the lifting movement of the push plate 22 ) Is caught by the protruding pin to prevent the rear movement of the side plate 30, and during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push plate 22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hook 80 is released from the protruding pin 26.

또한, 상기 후방 락 장치는 상기 갈고리(80)와 일체로 형성된 수평 연장부(82)와, 상기 갈고리(80)를 하방으로 가압하는 스프링(81)을 더 포함하고, 상기 푸시플레이트(22)가 승강운동에서 회전운동으로 전환되기 직전에 상기 푸시플레이트(22)의 하단부가 상기 수평 연장부(82)를 가압함으로써, 상기 갈고리(80)는 상기 돌출핀(26)으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되어 락이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rear lock device further comprises a horizontal extension portion 82 formed integrally with the hook 80, and a spring 81 for pressing the hook 80 downward, the push plate 22 is The lower end of the push plate 22 presses the horizontal extension portion 82 immediately before switching from the lifting movement to the rotational movement, so that the hook 80 is spaced upwardly from the protruding pin 26 to release the lock. It is characterized by.

또한, 상기 후방 락 장치는 상기 푸시플레이트(22)와 연결된 후방돌출핀(65) 과, 상기 후방돌출핀과 대향되게 상기 푸시플레이트(22)의 승강 경로를 따라 수직으로 형성된 수직턱(91)을 포함하고, 상기 푸시플레이트(22)의 승강운동 중의 후방 이동은 상기 후방돌출핀(65)과 상기 수직턱(91)의 접촉에 의해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rear lock device has a rear projection pin 65 connected to the push plate 22, and a vertical jaw 91 formed vertically along the lifting path of the push plate 22 to face the rear projection pin. It includes, the rear movement during the lifting movement of the push plate 22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blocked by the contact of the rear protrusion pin 65 and the vertical jaw (91).

또한, 상기 락 장치는 상기 푸시플레이트(22)의 회전운동 중에 상기 푸시플레이트(22)가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는 상승 락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lock devic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lift lock device for preventing the push plate 22 to rise during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push plate (22).

또한, 상기 상승 락 장치는 상기 푸시플레이트(22)의 회전 궤적을 따라 형성된 라운드턱(92)을 포함하고, 상기 푸시플레이트(22)의 회전운동 중의 상승은 상기 푸시플레이트의 단부와 상기 라운드턱(92)의 접촉에 의해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lift lock device includes a round jaw 92 formed along the rotational trajectory of the push plate 22, the rising during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push plate 22 is the end of the push plate and the round jaw ( 92) is blocked by the contact.

본 발명에 따르면,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입출금장치에서 통상 아래위로 위치되는 일시저장부와 보충회수부의 분리스택부를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어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use a separate stack of the temporary storage unit and the supplementary collection unit which is usually located up and down in the banknote device of the automatic teller machine can reduce the cost.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대해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기되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ere,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elem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elem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시저장부(20)와 보충회수부(10)의 푸시플레이트(12, 22) 및 일시저장부(20)의 분리스택부(21)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일시저장부(20)의 푸시플레이트(22)는 퇴피되고, 보충회수부(10)의 푸시플레이트(12)는 상승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여기서, 일시저장부(20)의 푸시플레이트(22)가 퇴피된 상태는 보충회수부(10)의 푸시플레이트(12)의 상승에 방해되지 않도록 회전된 상태를 말하고, 복귀된 상태는 푸시플레이트가 퇴피 전으로 복귀된 상태를 말한다. 3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push plates 12 and 22 of the temporary storage unit 20 and the supplemental recovery unit 10 and the separation stack 21 of the temporary storage unit 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ush plate 22 of the temporary storage unit 20 is retracted and the push plate 12 of the refill recovery unit 10 is raised. Here, the state in which the push plate 22 of the temporary storage unit 20 is retracted refers to a state in which the push plate 22 is rotated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rise of the push plate 12 of the replenishment recovery unit 10, and the returned state of the push plate 22 is The state of returning before retreat.

본 발명에서는 일시저장부(20)와 보충회수부(10)에 각각의 분리스택부를 설치하지 않고, 일시저장부(20)의 분리스택부(21)를 이용하여 보충회수부(10)의 지폐를 분리 또는 스택할 수 있게 하는 구성을 제공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eparate stack portion of the temporary storage portion 20 and the supplementary recovery portion 10 are not provided, but the bills of the supplementary recovery portion 10 are used by using the separate stack portion 21 of the temporary storage portion 20. It provides a configuration that allows to separate or stack.

일시저장부(20)는 고객이 지폐를 입금하거나 출금할 때 지폐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역할을 하므로, 입금 또는 출금 작업이 종료된 후에는 일시저장부(20)에는 지폐가 남아있지 않게 된다. 따라서, 보충회수부(10)를 이용한 지폐의 분리 또는 스택을 행할 때에 일시저장부(20)의 푸시플레이트(22)에는 지폐가 없는 상태가 된다. The temporary storage unit 20 serves to temporarily store the banknotes when the customer deposits or withdraws the banknotes, so that the banknotes do not remain in the temporary storage unit 20 after the deposit or withdrawal operation is completed. Therefore, when separating or stacking banknotes using the supplemental collection section 10, the push plate 22 of the temporary storage section 20 is in a state where no banknote is present.

보충회수부(10)의 지폐를 분리하거나 보충회수부(10)에 지폐를 스택할 때는, 일시저장부(20)의 푸시플레이트(22)는 퇴피되고(도 4 참조), 보충회수부(10)의 푸시플레이트(12)가 일시저장부(20)의 분리스택부(21) 쪽으로 상승하여 지폐의 분리 또는 스택 작업을 하게 된다. When the banknotes of the supplementary collection unit 10 are separated or the banknotes are stacked in the supplementary collection unit 10, the push plate 22 of the temporary storage unit 20 is evacuated (see FIG. 4), and the supplementary collection unit 10 is stored. ) Push plate 12 is lifted toward the separation stack 21 of the temporary storage unit 20 to separate or stack the bills.

도 5는 본 발명의 일시저장부(20)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푸시플레이트(22)가 퇴피위치로 회전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7은 일시저장부(20)의 기어장치와 모터(51)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the temporary storage unit 20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ush plate 22 is rotated to the retracted position, Figure 7 is a temporary storage unit 20 It is a figure which shows the structure of the gear unit and the motor 51 of this.

상기 일시저장부(20)는 푸시플레이트(22), 측부판(30), 기어장치, 모터(51) 등을 포함한다. 상기 푸시플레이트(22)는 일시저장부(20) 자체의 지폐의 분리 또는 스택 작업을 할 때는 상하로 승강된다. 한편, 보충회수부(10)의 지폐의 분리 또는 스택 작업을 할 때에는, 상기 푸시플레이트(22)는 상승하는 보충회수부(10)의 푸시플레이트(12)의 이동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회전하여 퇴피된다(도 6에 도시된 상태). The temporary storage unit 20 includes a push plate 22, a side plate 30, a gear device, a motor 51, and the like. The push plate 22 is lifted up and down when separating or stacking banknotes of the temporary storage unit 20 itself. On the other hand, when separating or stacking the bills of the refill recovery unit 10, the push plate 22 is rotated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movement of the push plate 12 of the replenishment recovery unit 10 to be retracted (State shown in FIG. 6).

이하에서는, 상기 푸시플레이트(22)의 상하운동을 위한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for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push plate 22 will be described.

모터(51)는 구동기어(52)와 연결되어 상기 구동기어를 회전시킨다. 상기 구동기어(52)는 주기어(53)와 연결되고, 상기 주기어(53)는 제1, 제2 및 제3 기어(54, 55, 56)와 연결되어 모터(51)로부터의 구동력을 전달한다. 상기 제3 기어(56)와 보조 기어(57) 사이에는 타이밍벨트(58)가 연결된다. 상기 타이밍벨트(58)에는 푸시플레이트(22)와 연결된 승강부(60)가 고정된다. 상기 승강부(60)에는 수직보어(61)가 일체로 연결되고, 상기 수직보어(61)에는 상기 측부판(30)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 연결되어 그 사이에서 연장되는 수직기둥(62)이 삽입되어, 상기 승강부(60)의 승강운동이 상기 수직기둥(62)에 의해 안내된다. The motor 51 is connected to the drive gear 52 to rotate the drive gear. The drive gear 52 is connected to the main gear 53, the main gear 53 is connected to the first, second and third gears 54, 55, 56 to drive the driving force from the motor 51 To pass. The timing belt 58 is connected between the third gear 56 and the auxiliary gear 57. The elevating unit 60 connected to the push plate 22 is fixed to the timing belt 58. The vertical bore 61 is integrally connected to the elevating part 60, and the vertical bore 61 is inserted into the vertical bore 61 and is connected to the upper end and the lower end of the side plate 30 and extends therebetween. As a result, the lifting movement of the lifting unit 60 is guided by the vertical column 62.

모터(51)의 회전에 의해 구동기어(52)가 회전하면, 구동기어(52)의 회전력은 차례로 주기어(53), 제1, 제2, 제3 기어(54, 55, 56) 및 타이밍벨트(58)로 전달된다. 타이밍벨트(58)가 제3 기어(56) 및 보조 기어(57) 사이에서 회전함에 따라, 상기 승강부(60)와 연결된 푸시플레이트(22)가 상하로 승강한다. When the drive gear 52 is rotated by the rotation of the motor 51, the rotational force of the drive gear 52 is in turn the main gear 53, the first, second, third gears 54, 55, 56 and timing Delivered to the belt 58. As the timing belt 58 rotates between the third gear 56 and the auxiliary gear 57, the push plate 22 connected to the lifting unit 60 moves up and down.

상기 주기어(53)에는 주기어 핀(53a)이 일체로 연결되고, 상기 주기어 핀(53a)은 측부판(30)에 형성된 라운드홈(31)에 삽입된다. 모터(51)가 구동되어 주기어(53)가 회전하면, 주기어 핀(53a)도 함께 라운드홈(31)을 따라 회전한다. 상기 주기어 핀(53a)이 라운드홈(31)의 최하측에 위치할 때는 푸시플레이트(22)도 가장 낮은 위치에 있고, 상기 주기어 핀(53a)이 라운드홈(31)의 최상측에 위치할 때는 푸시플레이트(22)도 가장 높은 위치에 있게 된다. 도면에서, 주기어(53)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푸시플레이트(22)는 상승하고,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푸시플레이트(22)는 하강한다. The main gear pin 53a is integrally connected to the main gear 53, and the main gear pin 53a is inserted into the round groove 31 formed in the side plate 30. When the motor 51 is driven and the main gear 53 rotates, the main gear pin 53a also rotates along the round groove 31. When the main gear pin 53a is located at the lowermost side of the round groove 31, the push plate 22 is also at the lowest position, and the main gear pin 53a is positioned at the uppermost side of the round groove 31. Push plate 22 is also at the highest position. In the figure, when the main gear 53 rotates counterclockwise, the push plate 22 rises, and when rotated clockwise, the push plate 22 descends.

이하에서는, 상기 푸시플레이트(22)의 퇴피시의 회전운동을 위한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for the rotational motion at the time of evacuation of the push plate 22 will be described.

푸시플레이트(22)의 최하측 위치[주기어 핀(53a)의 최하측 위치]에서는, 주기어(53)가 시계방향으로 더 회전해도, 상기 주기어(53)와 일체로 연결된 주기어 핀(53a)이 상기 라운드홈(31) 내에서 차단되어 더 이상 이동할 수 없다. 따라서, 주기어(53)는 주기어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이 아니라, 구동기어(52) 치형부의 외면을 따라서 구동기어 축(52a)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주기어(53)의 회전력은 주기어 핀(53a)에 전달되고, 상기 주기어 핀(53a)은 측부판(30)을 들어올 려 상기 구동기어 축(52a)을 중심으로 회전시킨다. 이때, 상기 측부판(30)은 승강부(60) 및 푸시플레이트(22)도 함께 들어올려, 푸시플레이트(22)도 상기 구동기어 축(52a)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주기어(53)는 주기어 축을 중심으로 회전되지 않고 구동기어 축(52a)을 중심으로 회전되므로, 나머지 기어들[제1, 제2 및 제3 기어(54, 55, 56)]도 각각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되지 않고, 주기어(53)와 한몸으로 구동기어 축(52a)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In the lowermost position of the push plate 22 (lowest position of the main gear pin 53a), even if the main gear 53 further rotates clockwise, the main gear pin (which is integrally connected with the main gear 53) 53a) is blocked in the round groove 31 and can no longer be moved. Therefore, the main gear 53 does not rotate about the main gear axis, but rotates about the drive gear shaft 52a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teeth of the drive gear 52. At this time, the rotation force of the main gear 53 is transmitted to the main gear pin 53a, and the main gear pin 53a lifts up the side plate 30 to rotate about the drive gear shaft 52a. At this time, the side plate 30 also lifts the lifting unit 60 and the push plate 22 together, so that the push plate 22 also rotates about the drive gear shaft 52a. Since the main gear 53 is not rotated about the main gear axis but rotates about the drive gear shaft 52a, the remaining gears (first, second and third gears 54, 55, 56) are also separated from each other. Instead of rotating about the axis, the main gear 53 and the body rotate about the drive gear shaft 52a.

상기 푸시플레이트(22)가 완전히 퇴피된 후에는, 상기 보충회수부(10)의 푸시플레이트(12)가 승강할 수 있다. 상기 푸시플레이트(22)가 복귀할 때는, 주기어(53)가 구동기어 축(52a)을 중심으로 반대로(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주기어 핀(53a)이 최하측 위치에 온 상태(도 5에 도시된 상태)에서 모터(51)의 구동력이 주기어(53)에 계속 전달되면, 상기 주기어 핀(53a)은 다시 측부판(30)의 라운드홈(31)을 따라 이동할 수 있게 되고, 여기서부터 주기어(53)는 주기어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어, 푸시플레이트(22)는 다시 승강운동을 시작한다. After the push plate 22 is completely retracted, the push plate 12 of the replenishment recovery unit 10 may be elevated. When the push plate 22 returns, the main gear 53 rotates counterclockwise about the drive gear shaft 52a. When the driving force of the motor 51 is continuously transmitted to the main gear 53 in the state in which the main gear pin 53a is in the lowest position (shown in FIG. 5), the main gear pin 53a returns to the side plate. It is possible to move along the round groove 31 of (30), from which the main gear 53 is rotated about the main gear axis, the push plate 22 starts the lifting movement again.

이와 같이, 상기 일시저장부(20)의 푸시플레이트(22)는 승강운동과 회전운동을 모두 할 수 있지만, 승강운동과 회전운동은 함께 일어나서는 안 된다. 예를 들어, 푸시플레이트(22)의 승강운동 중에 회전운동이 일어나서는 안 되고, 회전운동 중에 승강운동이 일어나서는 안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푸시플레이트(22)의 승강운동과 회전운동이 개별적으로 일어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락(lock) 장치가 제공된다.As such, the push plate 22 of the temporary storage unit 20 may perform both the lifting and rotating movements, but the lifting and rotating movements should not occur together. For example, the rotational motion should not occur during the lifting motion of the push plate 22, and the lifting motion should not occur during the rotational motion. Accordingly, in the present invention, a lock device is provided for allowing the lifting and rotating movements of the push plate 22 to occur separately.

도 8은 푸시플레이트(22)의 승강운동 중에 측부판(30)이 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전방 락 구조를 도시한다.8 shows a front lock structure for preventing the side plate 30 from moving forward during the lifting motion of the push plate 22.

상기 일시저장부(20)의 케이스(25)에는 V홈 차단부(70)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푸시플레이트(22)의 승강운동 중에는 상기 측부판(30)의 단부가 상기 V홈 차단부(70)의 V홈에 삽입되어 상기 측부판(30) 및 푸시플레이트(22)의 전방 이동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 V홈 차단부(70)는 측부판(30)이 좌우로 요동하는 것도 방지한다. The case 25 of the temporary storage unit 20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V-groove blocking unit 70, and the end of the side plate 30 is the V-groove blocking unit during the lifting motion of the push plate 22. It is inserted into the V-groove of the 70 to prevent the side plate 30 and the push plate 22 to move forward. In addition, the V-groove blocking portion 70 also prevents the side plate 30 from swinging from side to side.

도 9는 푸시플레이트(22)의 승강운동 중에 측부판(30)이 후방(도 8에서 아래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후방 락 구조를 도시한다.9 shows a rear lock structure that prevents the side plate 30 from moving backwards (down in FIG. 8) during the lifting motion of the pushplate 22.

상기 측부판(30)의 하부에는 갈고리(80)가 연결된다. 상기 갈고리(80)에는 스프링(81)이 연결되어 있어, 갈고리(80)를 항상 아래로 누르고 있다. 푸시플레이트(22)의 승강 중에는 상기 갈고리(80)는 스프링력에 의해 케이스(25)에 형성된 돌출핀(26)에 걸려 있어, 상기 측부판(30)이 후방으로 이동하는 것이 방지된다[도 9의 (a) 참조]. A hook 80 is connected to the lower side of the side plate 30. Spring 81 is connected to the hook 80, the hook 80 is always pressed down. While the push plate 22 is being raised and lowered, the hook 80 is caught by the protruding pin 26 formed on the case 25 by a spring force, thereby preventing the side plate 30 from moving backward (Fig. 9). See (a) of].

상기 갈고리(80)의 대향 단부는 수평 연장부(82)로 구성된다. 푸시플레이트(22)의 하단부가 상기 수평 연장부(82)를 위에서 누르면 상기 갈고리(80)는 축(84)을 중심으로 위로 회전하여 갈고리(80)는 돌출핀(26)으로부터 벗어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측부판(30)은 후방(도 8에서 아래쪽)으로 이동할 수 있다[도 9의 (b) 참조].The opposite end of the hook 80 is composed of a horizontal extension 82. When the lower end of the push plate 22 presses the horizontal extension portion 82 from above, the hook 80 rotates up about the shaft 84 so that the hook 80 is released from the protruding pin 26. In this state, the side plate 30 can move to the rear (downward in Fig. 8) (see Fig. 9 (b)).

푸시플레이트(22)가 하강하여 주기어 핀(53a)이 측부판(30)의 라운드홈(31)의 최하측 위치에 있는 상태(도 5에 도시된 상태)에서도, 상기 주기어 핀(53a)은 라운드홈(31)에 완전히 접촉되지 않아서, 상기 주기어(53)는 주기어 축을 중심으로 약간 더 회전할 수 있다(약 5~10°정도). 따라서, 상기 푸시플레이트(22)는 약간의 하강운동을 할 수 있고, 상기 푸시플레이트(22)의 하단부가 상기 수평 연장부(82)를 위에서 누르면, 상기 갈고리(80)는 돌출핀(26)에서 해제된다. 이 상태에서 모터(51)의 구동력이 가해지면, 주기어(53)는 구동기어 축(52a)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어 푸시플레이트(22)의 퇴피가 이루어진다. Even when the push plate 22 is lowered and the main gear pin 53a is at the lowermost position of the round groove 31 of the side plate 30 (state shown in FIG. 5), the main gear pin 53a is provided. Silver is not completely in contact with the round groove 31, so that the main gear 53 can be rotated slightly further about the main gear axis (about 5 to 10 degrees). Thus, the push plate 22 may be a slight downward movement, and the lower end of the push plate 22 presses the horizontal extension portion 82 from above, the hook 80 is the protruding pin 26 Is released. When the driving force of the motor 51 is applied in this state, the main gear 53 is rotated about the drive gear shaft 52a, and the push plate 22 is evacuated.

도 10은 푸시플레이트(22)의 승강운동 중에 측부판(30)이 후방(도 8에서 아래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다른 후방 락 구조를 도시한다.FIG. 10 shows another rear lock structure that prevents the side plate 30 from moving backwards (down in FIG. 8) during the lifting motion of the pushplate 22.

상기 측부판(30)의 측면에는 제1 마그네트(86)가, 상기 측면에 대향되는 케이스(25)의 면에는 제2 마그네트(87)가 부착된다. 상기 푸시플레이트(22)의 승강운동시에는 상기 2개의 마그네트(86, 87)가 접촉되어 측부판(30)이 후방으로 이동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푸시플레이트(22)가 회전하도록 모터(51)가 구동되면, 모터(51)의 구동력이 마그네트의 자력을 능가하여 2개의 마그네트(86, 87)는 떨어져서 푸시플레이트(22)가 회전할 수 있다. The first magnet 86 is attached to the side surface of the side plate 30, and the second magnet 87 is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case 25 opposite to the side plate. During the lifting movement of the push plate 22, the two magnets 86 and 87 are contacted to prevent the side plate 30 from moving backward. When the motor 51 is driven to rotate the push plate 22, the driving force of the motor 51 exceeds the magnetic force of the magnet so that the two magnets 86 and 87 may be separated and the push plate 22 may rotate. .

도 11은 푸시플레이트(22)의 승강운동 중에 측부판(30)이 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또 다른 후방 락 구조[후방 차단부(90)]를 도시한다. 후방 차단 부(90)에는 수직턱(91)이 형성된다. 상기 푸시플레이트(22)에는 승강부(60)를 통해 후방돌출핀(65)이 연결되어 있어, 푸시플레이트(22)가 승강함에 따라 상기 후방돌출핀(65)도 함께 승강된다. 상기 수직턱(91)은 상기 후방돌출핀(65)의 수직이동경로로부터 약간 이격되어 수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푸시플레이트(22)가 승강 중에 회전될 경우, 상기 후방돌출핀(65)이 수직턱(91)에 접촉되어 더이상의 푸시플레이트(22)의 회전은 방지된다. 한편, 상기 후방 차단부(90)에는 라운드턱(92)이 제공된다. 푸시플레이트(22)의 회전 중에 푸시플레이트(22)가 상승할 경우, 푸시플레이트(22)의 상부면은 라운드턱(92)에 의해 차단되어 푸시플레이트의 상승이 방지된다. FIG. 11 shows another rear lock structure (rear block 90) which prevents the side plate 30 from moving rearward during the lifting motion of the push plate 22. A vertical jaw 91 is formed at the rear blocking portion 90. The rear protrusion pin 65 is connected to the push plate 22 through the lifting unit 60, and as the push plate 22 moves up, the rear protrusion pin 65 is also lifted. The vertical jaw 91 is vertically spaced slightly from the vertical movement path of the rear protrusion pin (65). Therefore, when the push plate 22 is rotated during the lifting, the rear protrusion pin 65 is in contact with the vertical jaw 91 to prevent the further rotation of the push plate 22. On the other hand, the rear blocking portion 90 is provided with a round tuck 92. When the push plate 22 rises during the rotation of the push plate 22, the upper surface of the push plate 22 is blocked by the round tuck 92 to prevent the push plate from rising.

상기 후방 차단부(90)를 도 11에 도시된 위치보다 약간 더 아래에 형성하면[수직턱(91)이 후방돌출핀(65)과 직접 대향되는 위치], 상기 푸시플레이트(22)가 최하측에 있을 때에도 후방돌출핀(65)이 수직턱(91)에 의해 차단되어, 푸시플레이트(22)의 회전이 방지된다. 대신에, 푸시플레이트(22)가 회전할 때에는 푸시플레이트가 약간 아래로 하강한 다음에 회전되어야 한다. If the rear blocking portion 90 is formed slightly lower than the position shown in FIG. 11 (a position where the vertical jaw 91 directly faces the rear protruding pin 65), the push plate 22 is the lowermost side. Even when in the rear protrusion pin 65 is blocked by the vertical jaw 91, the rotation of the push plate 22 is prevented. Instead, when the pushplate 22 rotates, the pushplate should be lowered slightly down and then rotated.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일시저장부(20)는 푸시플레이트(22)의 승강운동과 회전운동이 모두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보충회수부(10)의 지폐의 분리 또는 스택을 위해서는 일시저장부(20)의 푸시플레이트(22)는 회전하여 퇴피되어 있고, 보충회수부(10)의 푸시플레이트(12)가 일시저장부(20)의 분리스택부(21) 쪽으로 상승하여 지폐의 분리 또는 스택을 행한다. 따라서, 일시저장부(20)의 분리스 택부(21)를 이용하여 보충회수부(10)의 지폐의 분리 또는 스택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비교적 고가의 장치인 분리스택부(21)를 일시저장부(20)와 보충회수부(10)에 모두 설치할 필요없이, 일시저장부(20)에만 설치하면 되므로 금융자동화기기의 제작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temporary storage unit 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enable both the lifting motion and the rotational motion of the push plate 22. The push plate 22 of the temporary storage unit 20 is rotated and retracted to separate or stack the banknotes of the supplemental recovery unit 10, and the push plate 12 of the supplemental recovery unit 10 is temporarily stored ( 20 is lifted toward the separation stack portion 21 to separate or stack banknotes. Therefore, it is possible to separate or stack the banknotes of the replenishment recovery unit 10 by using the separation stack 21 of the temporary storage unit 20. In this way, the separate stack 21, which is a relatively expensive device, does not need to be installed in both the temporary storage unit 20 and the supplemental recovery unit 10, but only in the temporary storage unit 20. Can reduce the cost.

또한, 일시저장부(20)의 푸시플레이트(22)가 승강 중에 회전되거나 회전중에 승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락 장치가 제공되어, 각각의 운동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In addition, a lock device for preventing the push plate 22 of the temporary storage unit 20 from being rotated or lifted during the rotation is provided, so that each movement can be made stable.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한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will be.

도 1은 일반적인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입출금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1 is a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banknote withdrawal device of a general automatic teller machine.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일시저장부와 보충회수부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2 is a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temporary storage unit and a supplemental recovery unit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시저장부와 보충회수부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3 is a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temporary storage unit and a supplemental recovery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시저장부의 푸시플레이트는 퇴피되고, 분리스택부의 푸시플레이트는 상승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4 is a view showing a push plate of the temporary storage unit is evacuated and the push plate of the separation sta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raised.

도 5는 본 발명의 일시저장부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the temporary storag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푸시플레이트가 퇴피위치로 회전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ush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otated to the retracted position.

도 7은 본 발명의 일시저장부의 기어장치와 모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gear unit and the motor of the temporary storage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푸시플레이트의 승강운동 중에 측부판이 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전방 락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8 is a view showing a front lock structure for preventing the side plate from moving forward during the lifting motion of the push plate.

도 9는 푸시플레이트의 승강운동 중에 측부판이 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후방 락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9 is a view showing a rear lock structure to prevent the side plate from moving backward during the lifting movement of the push plate.

도 10은 푸시플레이트의 승강운동 중에 측부판이 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다른 후방 락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10 shows another rear lock structure to prevent side plates from moving backward during the lifting motion of the pushplates.

도 11은 푸시플레이트의 승강운동 중에 측부판이 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 지하는 또 다른 후방 락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FIG. 11 shows another rear lock structure preventing the side plates from moving backward during the lifting motion of the pushplate. FIG.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보충회수부 20 : 일시저장부10: supplementary recovery unit 20: temporary storage unit

21 : 분리스택부 22 : 푸시플레이트21: separation stack 22: push plate

25 : 케이스 30 : 측부판25 case 30 side plate

31 : 라운드홈 51 : 모터31: round groove 51: motor

52 : 구동기어 52a : 구동기어 축52: drive gear 52a: drive gear shaft

53 : 주기어 53a : 주기어 핀53: main gear 53a: main gear pin

57 : 보조기어 58 : 타이밍벨트57: auxiliary gear 58: timing belt

60 : 승강부 61 : 수직보어60: lifting portion 61: vertical bore

62 : 수직기둥 70 : V홈 차단부62: vertical pillar 70: V groove blocking portion

80 : 갈고리 86, 87 : 마그네트80: hook 86, 87: magnet

90 : 후방 차단부90: rear blocking part

Claims (19)

입금되는 지폐 또는 출금을 위한 지폐를 저장하는 복수의 지폐저장박스; 지폐의 입금 또는 출금과정에서 지폐를 일시적으로 저장하기 위한 일시저장부; 상기 일시저장부의 하부에 위치되어 지폐저장박스로 지폐를 보충하거나 상기 지폐저장박스로부터 지폐를 회수하는 보충회수부(10)를 갖는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입출금장치에 있어서,A plurality of bill storage boxes for storing bills to be deposited or bills for withdrawal; Temporary storage for temporarily storing the bill during the deposit or withdrawal process of the bill; In the paper money deposit and withdrawal device of the automated teller machine, which is located at the lower part of the temporary storage part and has a supplementary recovery part 10 for replenishing the bill with the bill storage box or recovering the bill from the bill storage box, 상기 일시저장부(20)는 지폐를 적재하여 승강하기 위한 푸시플레이트(22)와, 지폐의 분리 또는 스택을 위한 분리스택부(21)와, 케이스(25)를 포함하고,The temporary storage unit 20 includes a push plate 22 for loading and lifting bills, a separation stack 21 for separating or stacking bills, and a case 25. 상기 보충회수부는 지폐를 적재하여 승강하기 위한 푸시플레이트(12)를 포함하고,The replenishment recovery unit includes a push plate 12 for loading and lifting bills, 상기 보충회수부를 통해 지폐의 분리 또는 스택을 할 때는 상기 일시저장부의 푸시플레이트(22)는 회전되어 퇴피되고, 상기 보충회수부의 푸시플레이트(12)가 상기 일시저장부의 분리스택부(21) 쪽으로 상승하여 지폐의 분리 또는 스택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입출금장치. When separating or stacking banknotes through the replenisher, the push plate 22 of the temporary storage unit is rotated and evacuated, and the push plate 12 of the replenisher collection unit is lifted toward the separation stack 21 of the temporary storage unit. Banknote automatic teller machine, characterized in that for separating or stacking the banknot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플레이트(22)의 승강운동과 회전운동은 하나의 모터(51)와, 상기 모터와 연결된 기어장치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입출금장치. 2. The banknote deposit and withdrawal device of the automated teller machin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ifting and rotating movements of the push plate are made by one motor and a gear device connected to the moto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장치는 모터(51)와 연결된 구동기어(52)와, 상기 구동기어(52)와 맞물리는 주기어(53)를 포함하고,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gear device includes a drive gear 52 connected to the motor 51, and the main gear 53 for engaging the drive gear 52, 상기 모터(51)의 회전력이 상기 주기어(53)에 전달되어, 상기 주기어(53)가 주기어 축을 중심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푸시플레이트(22)의 승강운동이 일어나고,The rotational force of the motor 51 is transmitted to the main gear 53, and the main gear 53 rotates about the main gear axis, thereby raising and lowering the push plate 22, 상기 모터(51)의 회전력이 상기 주기어(53)에 전달되어, 상기 주기어(53)가 구동기어 축(52a)을 중심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푸시플레이트(22)의 회전운동이 일어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입출금장치. The rotational force of the motor 51 is transmitted to the main gear 53, so that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push plate 22 occurs by rotating the main gear 53 about the drive gear shaft 52a. Banknote machine withdrawal device of the automatic teller machin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플레이트(22)의 최하측 위치에서, 상기 모터(51)가 상기 푸시플레이트(22)를 하강시키는 방향으로 더 회전하면, 푸시플레이트(22)는 구동기어 축(52a)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입출금장치. 4. The drive plate shaft 52a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in the lowermost position of the push plate 22, if the motor 51 further rotates in the direction of lowering the push plate 22, the push plate 22 is driven gear shaft 52a. Banknote automatic teller machine, characterized in that rotated about).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플레이트(22)의 승강운동과 회전운동이 함께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는 락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입출금장치. The banknote deposit and withdrawal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4, further comprising a lock device for preventing the lifting and rotating movements of the push plate 22 from occurring togethe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장치는,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gear device, 모터(51)와 연결된 구동기어(52)와, 상기 구동기어(52)와 맞물리는 주기 어(53)와, 상기 주기어(53)와 맞물리는 복수의 기어와, 상기 복수의 기어 중 어느 하나와 부기어 사이에서 회전하는 벨트와, 상기 벨트 및 푸시플레이트(22)에 고정된 승강부(60)를 포함하고,Any one of a drive gear 52 connected to the motor 51, a main gear 53 engaged with the drive gear 52, a plurality of gears engaged with the main gear 53, and a plurality of gears; And a belt rotating between the gear and the sub-gear, and a lifting unit 60 fixed to the belt and the push plate 22, 상기 모터(51)의 회전력은 상기 구동기어(52), 주기어(53), 복수의 기어, 벨트 및 승강부(60)에 차례로 전달되어 상기 푸시플레이트(22)를 승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입출금장치. The rotational force of the motor 51 is transmitted to the driving gear 52, the main gear 53, the plurality of gears, the belt and the lifting unit 60 in turn to raise and lower the push plate 22 Banknotes withdrawal device of automated machin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일시저장부는 상기 푸시플레이트(22)의 양측에 수직으로 세워지는 측부판(30)을 더 포함하고,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temporary storage portion further comprises a side plate (30) perpendicular to both sides of the push plate 22, 상기 승강부(60)에는 수직보어(61)가 연결되고, The vertical bore 61 is connected to the lifting unit 60, 상기 수직보어(61)에는 상기 측부판(30)의 상단부 및 하단부와 연결되어 그 사이에서 연장되는 수직기둥(62)이 삽입되어, 상기 승강부(60)의 승강운동이 상기 수직기둥(62)에 의해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입출금장치. The vertical bore 61 is inserted into the vertical column 62 which is connected to the upper end and the lower end of the side plate 30 and extends therebetween, and the elevating motion of the elevating unit 60 is the vertical column 62. Banknotes withdrawal device of the automated teller machine, characterized in that guided by.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장치는 주기어(53)에 고정된 주기어 핀(53a)을 더 포함하고,According to claim 7, wherein the gear device further comprises a main gear pin (53a) fixed to the main gear (53), 상기 푸시플레이트(22)가 승강되는 동안, 상기 주기어 핀(53a)은 상기 측부판(30)에 형성된 라운드홈(31)에 삽입되어 상기 라운드홈(31)의 궤적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입출금장치. While the push plate 22 is raised and lowered, the main gear pin 53a is inserted into the round groove 31 formed in the side plate 30 to move along the trajectory of the round groove 31. Banknote machine withdrawal device of the automatic teller machin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플레이트(22)의 최하측 위치에서 상기 주기어 핀(53a)은 상기 측부판(30)의 라운드홈(31)의 단부에 의해 차단되고, According to claim 8, wherein the main gear pin (53a) in the lowermost position of the push plate 22 is blocked by the end of the round groove 31 of the side plate 30, 상기 모터(51)가 상기 푸시플레이트(22)를 하강시키는 방향으로 더 회전하면, 상기 주기어 핀(53a)에 전달된 힘이 상기 측부판(30)과 푸시플레이트(22)를 상기 구동기어 축(52a)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입출금장치. When the motor 51 further rotates in the direction of lowering the push plate 22, the force transmitted to the main gear pin 53a causes the side plate 30 and the push plate 22 to rotate on the drive gear shaft. Banknotes deposit and withdrawal device of the automatic teller machine, characterized in that the rotation about 52a.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플레이트(22)의 승강운동과 회전운동이 함께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는 락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입출금장치. 10. The banknote deposit and withdrawal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7 to 9, comprising a lock device for preventing the lifting and rotating movements of the push plate 22 from occurring together.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락 장치는 상기 푸시플레이트(22)의 승강운동 중에 상기 푸시플레이트(22)가 전방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전방 락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입출금장치. The banknote device according to claim 10, wherein the lock device includes a front lock device to prevent the push plate 22 from moving forward during the lifting motion of the push plate 22. Devic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락 장치는 상기 케이스(25)에 형성되는 V홈 차단부(70)를 포함하고,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front lock device includes a V groove blocking portion 70 formed in the case 25, 상기 푸시플레이트(22)의 승강운동 중에는 상기 측부판(30)의 단부가 상기 V홈 차단부(70)의 V홈에 삽입되어 상기 측부판(30) 및 푸시플레이트(22)의 전방 이 동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입출금장치. During the lifting motion of the push plate 22, the end of the side plate 30 is inserted into the V groove of the V groove blocking part 70 to prevent the front plate 30 from moving forward. Banknotes deposit and withdrawal device of the automatic teller machine characterized in that it becomes.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락 장치는 상기 푸시플레이트(22)의 승강운동 중에 상기 푸시플레이트(22)가 후방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후방 락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입출금장치. 11.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0, wherein the lock device comprises a back lock device for preventing the push plate 22 from moving backward during the lifting movement of the push plate 22 Device.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락 장치는 상기 측부판(30)의 단부에 부착되는 제1 마그네트(86)와, 상기 제1 마그네트에 대향되는 제2 마그네트(87)를 포함하고,14. The rear lock device according to claim 13, wherein the rear lock device includes a first magnet (86) attached to an end of the side plate (30), and a second magnet (87) opposite to the first magnet, 상기 푸시플레이트(22)의 승강운동 중에는 상기 제1 및 제2 마그네트(87)가 접촉되어 상기 측부판(30) 및 푸시플레이트(22)의 후방 이동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입출금장치. During the lifting movement of the push plate 22, the first and second magnets 87 are in contact to prevent the rear plate movement of the side plate 30 and the push plate 22, characterized in that the banknote of the automated teller machine Teller machine.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락 장치는 상기 측부판(30)에 연결되는 갈고리(80)와, 상기 케이스에 연결되는 돌출핀(26)을 포함하고,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rear lock device includes a hook 80 connected to the side plate 30, and a protruding pin 26 connected to the case, 상기 푸시플레이트(22)의 승강운동 중에는 상기 갈고리(80)는 상기 돌출핀에 걸려있어 상기 측부판(30)의 후방 이동이 방지되고, 상기 푸시플레이트(22)의 회전운동 중에는 상기 갈고리(80)가 돌출핀(26)으로부터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입출금장치. During the lifting motion of the push plate 22, the hook 80 is caught by the protruding pin to prevent the rear movement of the side plate 30, and the hook 80 during the rotation of the push plate 22. Banknotes withdrawal device of the automated teller machine, characterized in that is released from the protruding pin (2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락 장치는 상기 갈고리(80)와 일체로 형성된 수 평 연장부(82)와, 상기 갈고리(80)를 하방으로 가압하는 스프링(81)을 더 포함하고,The method of claim 15, wherein the rear lock device further comprises a horizontal extension portion 82 formed integrally with the hook 80, and a spring 81 for pressing the hook 80 downward, 상기 푸시플레이트(22)가 승강운동에서 회전운동으로 전환되기 직전에 상기 푸시플레이트(22)의 하단부가 상기 수평 연장부(82)를 가압함으로써, 상기 갈고리(80)는 상기 돌출핀(26)으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되어 락이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입출금장치. The lower end of the push plate 22 presses the horizontal extension portion 82 immediately before the push plate 22 is switched from the lifting movement to the rotational movement, so that the hook 80 is removed from the protruding pin 26. Banknotes withdrawal device of the automated teller machine, characterized in that the lock is released spaced upward.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락 장치는 상기 푸시플레이트(22)와 연결된 후방돌출핀(65)과, 상기 후방돌출핀과 대향되게 상기 푸시플레이트(22)의 승강 경로를 따라 수직으로 형성된 수직턱(91)을 포함하고,The vertical lock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13, wherein the rear lock device comprises a rear protrusion pin (65) connected to the push plate (22) and a vertical jaw formed vertically along a lifting path of the push plate (22) to face the rear protrusion pin (15). Including 91, 상기 푸시플레이트(22)의 승강운동 중의 후방 이동은 상기 후방돌출핀(65)과 상기 수직턱(91)의 접촉에 의해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입출금장치. The back and forth movement during the lifting movement of the push plate 22 is blocked by the contact of the rear protrusion pin (65) and the vertical jaw (9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락 장치는 상기 푸시플레이트(22)의 회전운동 중에 상기 푸시플레이트(22)가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는 상승 락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입출금장치. 11. The banknote deposit and withdrawal device of an automatic teller machine according to claim 10, wherein the lock device comprises a lift lock device which prevents the push plate from rising during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push plate.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상승 락 장치는 상기 푸시플레이트(22)의 회전 궤적을 따라 형성된 라운드턱(92)을 포함하고,The method of claim 18, wherein the rising lock device comprises a round jaw 92 formed along the rotational trajectory of the push plate 22, 상기 푸시플레이트(22)의 회전운동 중의 상승은 상기 푸시플레이트의 단부와 상기 라운드턱(92)의 접촉에 의해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입출금장치. The rising and lowering during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push plate 22 is blocked by the contact of the end of the push plate and the round tuck 92, characterized in that the automatic teller machine withdrawal device.
KR1020080138822A 2008-12-31 2008-12-31 Banknotes deposit and withdrawal device of automatic teller machine KR10105729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8822A KR101057299B1 (en) 2008-12-31 2008-12-31 Banknotes deposit and withdrawal device of automatic teller mach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8822A KR101057299B1 (en) 2008-12-31 2008-12-31 Banknotes deposit and withdrawal device of automatic teller machi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0176A true KR20100080176A (en) 2010-07-08
KR101057299B1 KR101057299B1 (en) 2011-08-16

Family

ID=426411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8822A KR101057299B1 (en) 2008-12-31 2008-12-31 Banknotes deposit and withdrawal device of automatic teller machi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7299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12348A (en) * 2017-12-26 2020-08-07 晓星Tns株式会社 ATM with media storage part and control method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5229Y1 (en) 2004-11-10 2005-03-11 인터내셔날 커런시 테크놀로지 코포레이션 Bill box for bill acceptor
KR100650350B1 (en) 2005-07-29 2006-11-29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Apparatus for stacking paper money
KR200407198Y1 (en) 2005-11-10 2006-01-25 이철한 Cash dispenser
KR100656809B1 (en) 2005-11-10 2006-12-14 이철한 Cash dispense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12348A (en) * 2017-12-26 2020-08-07 晓星Tns株式会社 ATM with media storage part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11512348B (en) * 2017-12-26 2022-04-05 晓星Tns株式会社 ATM with media storage part and control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57299B1 (en) 2011-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2288B1 (en) Apparatus of bill receiving and dispensing
EP2600322B1 (en) Medium storage box
JP5294959B2 (en) Paper sheet processing equipment
US9633529B2 (en) Medium pick-up apparatus, medium process apparatus and financial device
JP2005010967A (en) Bill depositing and dispensing device and automatic teller machine
KR101543468B1 (en) Appratus for receiving and dispensing notes in automated teller machine
KR101171460B1 (en) Push plate up and down structure in bill stacking box
US10861274B2 (en) Multi-denomination banknote cassette including variable stopper
KR101016245B1 (en) Apparatus of drawing bills in a cash transaction machine
KR101467581B1 (en) Appratus for receiving and dispensing notes in automated teller machine
KR101057299B1 (en) Banknotes deposit and withdrawal device of automatic teller machine
KR100946125B1 (en) Apparatus for receiving and dispensing money and the method thereof
KR20100080115A (en) Appratus for receiving and dispensing notes in automated teller machine
JP3766002B2 (en) Paper sheet processing apparatus and paper sheet storage unit
JP2007041826A (en) Paper money receiving/paying machine and automatic cash transaction device
JP6259725B2 (en) Paper sheet separating and accumulating equipment
WO2018221000A1 (en) Medium intake device and medium processing device
JP2008033422A (en) Replenishment/collection cassette and paper handling apparatus therewith
JP6028398B2 (en) Medium separation apparatus and medium handling apparatus
JP3490318B2 (en) Banknote handling machine
JP3754620B2 (en) Paper handling equipment
JP3844696B2 (en) Banknote deposit and withdrawal machine
JPH1125318A (en) Automatic teller machine
JP2015088137A (en) Medium bundle storage device and medium processor
KR101016494B1 (en) Device for drawing bills in cash transaction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