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79715A - 레이더 모의신호 발생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레이더 모의신호 발생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79715A
KR20100079715A KR1020080138267A KR20080138267A KR20100079715A KR 20100079715 A KR20100079715 A KR 20100079715A KR 1020080138267 A KR1020080138267 A KR 1020080138267A KR 20080138267 A KR20080138267 A KR 20080138267A KR 20100079715 A KR20100079715 A KR 201000797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signals
simulation
generating
simul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82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27242B1 (ko
Inventor
김동규
Original Assignee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382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7242B1/ko
Publication of KR201000797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97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72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72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7/00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 G01S7/02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 G01S13/00
    • G01S7/28Details of pulse systems
    • G01S7/282Transmit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3/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waves whose nature or wavelength is irrelevant or unspecified
    • G01S13/02Systems using reflection of radio waves, e.g. primary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9/00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 G09B9/54Simulation of rad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Radar Systems Or Detail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적어도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더 모의신호 발생장치 및 방법은 하나 이상의 모의신호들 각각의 신호구간이 서로 중첩되지 않는 그 모의신호들을 생성하고, 생성된 모의신호들을 송신함으로써, 광대역 수신기의 성능을 올바르게 시험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레이더 모의 신호들을 발생할 수 있다.

Description

레이더 모의신호 발생장치 및 방법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radar simulation signal}
본 발명은 레이더(radar) 신호 모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레이더 신호를 감지하는 광대역 수신기의 성능 시험을 위한 레이더 모의신호를 발생하는 레이더 모의신호 발생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레이더 신호를 감지하는 광대역 수신기가 정상 동작하는지 시험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광대역 수신기에 모의신호를 최적화하여 송신하고 광대역 수신기가 그 모의신호를 제대로 수신가능한지 여부를 예측하고 시험자가 시험환경을 검사 및 레이다 모의신호의 제원을 조정하는 방안을 제공하여야한다.
이러한 방안에 따라 광대역 수신기에 모의신호를 송신함에 있어 다수의 모의신호를 송신할 수 있는데, 이와 같이 다수의 모의신호를 송신하다 보면 다수의 모의신호 중 어떤 모의신호의 신호구간 및 다른 모의신호의 신호구간이 서로 중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다른 모의신호의 신호구간이 어떤 모의신호의 신호구간과 중첩된다면, 광대역 수신기는 그 어떤 모의신호를 그 다른 모의신호로서 오인하거나 그 어떤 모의신호의 송신 사실 조차도 인식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보이게 된다.
본 발명의 적어도 일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과제는, 광대역 수신기의 성능을 올바르게 시험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모의신호들을 발생하는 레이더 모의신호 발생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이루기 위해, 본 발명의 적어도 일 실시예에 의한 레이더 모의신호 발생장치는 하나 이상의 모의신호들 각각의 신호구간이 서로 중첩되지 않는 상기 모의신호들을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생성된 모의신호들을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의신호들간에 시간 영역에서 인접한 신호구간들간의 무신호구간이 기 설정된 임계시간 이상인 상기 모의신호들을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임계시간은 조정 가능한 시간이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의신호들 각각의 신호 속성값을 설정하고 상기 모의신호들 각각의 신호구간이 서로 겹치지 않도록 상기 설정된 속성값을 고려하여 상기 모의신호들 각각의 신호 개시시각을 연산하고, 연산된 신호 개시시각에 상기 모의신호들을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모의신호들 각각의 신호 속성값은 재설정 가능하다. 또한 상기 모의신호들 각각의 신호 속성값은 신호의 주파수, 크기, 주기, 각 신호구간의 길이(펄스폭) 등을 포함한다. 한편, 제어부는 상기 모의신호들간의 우선 순위를 설정하고, 상기 모의신호들 각각의 신호구간이 서로 겹치지 않도록 상기 설정된 속성값과 우선 순위를 고려하여, 상기 모의신호들 각각의 신호 개시시각을 연산하고, 연산된 신호 개시시각에 상기 모의신호들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레이더 모의신호 발생장치는 상기 생성된 모의신호들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생성된 모의신호들의 시간 영역에서의 밀도를 연산하고, 상기 레이더 모의신호 발생장치는 상기 연산된 밀도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모의신호들 각각은 기 설정된 주기와 펄스폭을 갖는 펄스변조 신호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어도 일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광대역 수신기의 성능을 올바르게 시험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모의신호들을 발생하는 레이더 모의신호 발생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다른 과제를 이루기 위해, 본 발명의 적어도 일 실시예에 의한 레이더 모의신호 발생방법은 하나 이상의 모의신호들 각각의 신호구간이 서로 중첩되지 않는 상기 모의신호들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모의신호들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모의신호들간에 시간 영역에서 인접한 신호구간들간의 무신호구간이 기 설정된 임계시간 이상인 상기 모의신호들을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임계시간은 조정 가능한 시간이다.
여기서, 상기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모의신호들 각각의 신호 속성값을 설정하고 상기 모의신호들 각각의 신호구간이 서로 겹치지 않도록 상기 설정된 속성값 을 고려하여 상기 모의신호들 각각의 신호 개시시각을 연산하고, 연산된 신호 개시시각에 상기 모의신호들을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모의신호들 각각의 신호 속성값은 재설정 가능하다. 또한, 상기 모의신호들 각각의 신호 속성값은 신호의 크기, 주기, 각 신호구간의 길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모의신호들간의 우선 순위를 설정하고, 상기 모의신호들 각각의 신호구간이 서로 겹치지 않도록 상기 설정된 속성값과 우선 순위를 고려하여, 상기 모의신호들 각각의 신호 개시시각을 연산하고, 연산된 신호 개시시각에 상기 모의신호들을 생성한다.
여기서, 상기 레이더 모의신호 발생방법은 상기 생성된 모의신호들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레이더 모의신호 발생방법은 상기 생성된 모의신호들의 시간 영역에서의 밀도를 연산하는 단계; 및 상기 연산된 밀도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모의신호들 각각은 기 설정된 주기와 펄스폭을 갖는 펄스파 신호일 수 있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그 첨부 도면을 설명하는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적어도 일 실시예에 의한 레이더 모의신호 발생장치와 방법 을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적어도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더 모의신호 발생장치의 블록도이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레이더 신호를 감지하는 광대역 수신기가 정상 동작하는지 시험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광대역 수신기에 모의신호를 최적화하여 송신하고 광대역 수신기가 그 모의신호를 제대로 수신가능한지 여부를 예측하고 시험자가 시험환경을 검사 후 조정하는 방안을 제공하여야한다. 본 발명의 적어도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더 모의신호 발생장치는, 그러한 하나 이상의 모의신호들을 생성하여 광대역 수신기로 송신하는 장치이다.
제어부(100)는 하나 이상의 모의신호들 각각의 신호구간이 서로 중첩되지 않는 그 모의신호들을 생성한다. 본 명세서에서 신호구간이란 0이 아닌 신호가 존재하는 (시간 영역상의) 구간을 의미하고 무신호구간이란 0인 신호가 존재하는 (시간 영역상의) 구간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모의신호의 신호 속성값은 다양할 수 있으나, 이하 설명의 편의상 모의신호는 기 설정된 주기와 펄스폭을 갖는 펄스변조신호라 가정한다. 여기서, 모의신호의 신호 속성값이란 모의신호의 주파수, 크기, 주기, 각 신호구간의 길이(펄스폭) 등을 포함한다. 이 때, 모의신호의 주파수는 펄스내에 존재하는 고주파신호(Radio Frequency)의 주파수 제원을 의미하고, 크기란 모의신호에 존재하는 신호구간들 각각의 크기(amplitude)를 의미한다. 그리고, 신호구간의 길이(펄스폭)란 신호구간의 시간 영역상의 길이를 의미한다. 이처럼 모의신호를 펄스변조 신호라 가정하면 신호구간은 펄스가 존재하는 구간을 의미 한다. 한편, 모의신호들 각각마다 하나 이상의 신호구간이 존재하며, M이라는 모의신호의 어떤 신호구간(m3)과 N이라는 모의신호의 어떤 신호구간(n2)이 서로 중첩된다 함은, 신호구간(m3)이 신호구간(n2)에 모두 포함되거나, 신호구간(n2)이 신호구간(m3)에 모두 포함되거나, 신호구간(m3)의 일부와 신호구간(n2)의 일부가 서로 겹치는 것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00)는 모의신호를 생성하는 신호원을 구비하며, 하나 이상의 모의신호들 각각의 신호 속성값을 설정하고 그 모의신호들 각각의 신호구간이 서로 겹치지 않도록(예를 들어, M이라는 모의신호의 신호구간들(m1, m2, m3, m4)이 N이라는 모의신호의 신호구간들(n1, n2, n3, n4, n5)과 중첩되지 않도록) 그 설정된 속성값을 고려하여 그 모의신호들 각각의 신호 개시시각을 연산하고, 그 모의신호들 각각을 해당되는 (그 연산된) 신호 개시시각에 생성하기 시작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적어도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더 모의신호 발생장치는 하나 이상의 키(key)나 버튼(button)으로 구현된 조작부(미도시)를 구비하며, 사용자는 조작부를 조작하고, 제어부(100)는 그 조작된 결과에 따라 하나 이상의 모의신호들 각각의 신호 속성값(예를 들어, 펄스변조 신호의 주파수, 주기, 펄스폭, 펄스의 크기)을 설정하고 그 하나 이상의 모의신호들간의 우선 순위(여기서 ‘우선 순위’란 제어부(100)가 그 하나 이상의 모의신호들 중 어떤 모의신호를 기준으로 지정하고, 나머지 모의신호들 각각의 신호구간이 그 어떤 모의신호의 신호구간과 중첩되지 않도록 하며 그 하나 이상의 모의신호들을 생성함에 있어, 그 ‘어떤 모의신호’가 무엇이고 ‘나머지 모의신호들’이 무엇인지를 의미함)를 설정 하고, 그 하나 이상의 모의신호들 각각의 신호구간이 서로 겹치지 않도록 그 설정된 속성값과 우선 순위를 고려하여 그 하나 이상의 모의신호들 각각의 신호 개시시각을 연산하고, 그 하나 이상의 모의신호들 각각을 해당 신호 개시시각에 생성하기 시작한다. 표시부(110)는 그 생성된 하나 이상의 모의신호들을 표시하고 사용자는 이를 확인할 수 있다. 제어부(100)가 하나 이상의 모의신호들 각각의 신호구간이 서로 중첩되지 않는 그 모의신호들을 생성했을 것이 기대되지만, 설정된 신호 속성값과 우선 순위에 따라서는 그와 같은 모의신호들을 생성할 수 없을 수도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표시부(110)의 표시 내용을 통해 이를 확인할 수 있고 이에, 조작부(미도시)를 조작하여 제어부(100)가 하나 이상의 모의신호들 각각의 신호 설정값과 그 모의신호들간의 우선 순위를 재설정하도록 하고, 제어부(100)는 그 재설정된 사항을 바탕으로 그 모의신호들 각각의 신호구간이 서로 중첩되지 않는 그 모의신호들을 생성한다.
한편, 제어부(100)는 하나 이상의 모의신호들 각각의 신호구간이 서로 중첩되지 않는 그 모의신호들을 생성함에 있어, 그 모의신호들간에 시간 영역에서 인접한 신호구간들간의 무신호구간이 기 설정된 임계시간 이상인 그 모의신호들을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임계시간은 제어부(100)에 있는 고주파 신호원(RF source)이 어떤 레이더 신호(또는, 모의신호)의 어떤 신호구간의 종료를 감지한 뒤 새로운 신호구간의 개시를 위해 요구되는 준비(ready) 시간(settling time이라 명명하기도 함) 이상의 기 설정된 시간을 의미한다. 이 임계시간은 고주파 신호원처럼 준비시간이 필요한 고주파소자의 시간응답특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임계시간은 기 설정된 이후라 하더라도, 사용자에 의한 조작부(미도시)의 조작된 결과에 따라 변경 설정될 수 있다.
어떤 모의신호(M)의 어떤 신호구간(m2)과 또 어떤 모의신호(N)의 어떤 신호구간(n3)이 서로 중첩되지는 않는다 하더라도(이 때, m2와 n3는 시간 영역상에서 인접해 있으며, 구체적으로 n3의 개시시점은 m2의 종료시점 이후임), 신호구간(m2)의 종료시점과 신호구간(n3)의 개시시점간의 간격이 임계시간 이하라면(예컨대, m2의 종료시점과 n3의 개시시점간의 간격이 0이라면), 광대역 수신기는 n3까지도 m2로 인식(오인)하게 되고, 시험자가 원하는 올바른 레이더 모의환경은 제공될 수 없다. 따라서, 제어부(100)는 하나 이상의 모의신호들 각각의 신호구간이 서로 중첩되지 않는 그 모의신호들을 생성함에 있어, 그 모의신호들간에 시간 영역에서 인접한 신호구간들간의 무신호구간이 기 설정된 임계시간 이상인 그 모의신호들을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제어부(100)는 제어부(100)가 생성한 하나 이상의 모의신호들의 시간 영역에서의 밀도(density)를 연산할 수 있다. 이 경우, 표시부(110)는 그 연산된 밀도도 사용자에게 표시한다. 사용자는 이러한 표시된 밀도를 보고, 현재 생성된 하나 이상의 모의신호들 이외에 모의신호를 추가로 더 생성할 수 있을지 판단할 수도 있고, 그 하나 이상의 모의신호들 각각의 신호 속성값을 재설정할지 판단할 수도 있다. 그 판단 결과에 따라 사용자가 조작부(미도시)를 조작하여 제어부(100)가 재차 동작할 수도 있다.
송신부(120)는 제어부(100)가 생성한 하나 이상의 모의신호들을 광대역 수신 기로 송신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더 모의신호 발생방안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에서, 제어부(100)는 모의신호 A와 B를 생성하고, 도 2의 (a) 내지 (d) 각각은 표시부(110)에 의해 표시된 ‘제어부(100)에 의해 생성된 모의신호 A, B 및 그 A, B의 조합인 A+B’의 파형도를 의미한다. 여기서, A는 주기가 a(단,a는 양수)인 펄스변조 신호이고, B는 주기가 b+c(단, b, c는 양수)인 펄스변조 신호이다. 한편, 도시된 바에서, A와 B 중 기준이 되는 모의신호는 A이다. 즉, 이는 모의신호 A가 B보다 우선순위가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따라, 어떤 시간영역에서 A의 신호구간과 B의 신호구간이 모두 존재한다면, 도 2의 (a), (c), (d)에 도시된 A+B 신호에서의 그 어떤 시간영역에서 B의 신호구간은 누락되고 A의 신호구간만이 존재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도 2의 (a) 내지 (d) 중, 제어부(100)가 생성하는 모의신호 A와 B의 바람직한 모습은 도 2의 (b)에 도시된 모습이다. 도 2의 (a), (c), (d)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모의신호 A의 어떤 신호구간과 모의신호 B의 또 어떤 신호구간이 서로 중첩되기 때문이다.
도 3a와 도 3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레이더 모의신호 발생방안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들이다. 도 3a와 도 3b에 도시된 바에서, 제어부(100)는 모의신호 C 및 D를 생성하고, 도 3a 및 도 3b 각각은 표시부(110)에 의해 표시된 ‘제어부(100)에 의해 생성된 모의신호 C, D 및 그 C, D의 조합인 C+D’의 파형도를 의미한다. 여기서, C, D 각각은 펄스파 신호이다. 한편, 도시된 바에서 C와 D 중 기 준이 되는 모의신호는 C이다(모의신호 C가 D보다 우선순위가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어떤 시간영역에서 C의 신호구간(310)과 D의 신호구간(320)이 모두 존재한다면, 도 3a에 도시된 C+D 신호에서의 그 어떤 시간영역에서 D의 신호구간은 누락되고 C의 신호구간만이 존재하게 된다(식별번호 330 참조).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제어부(100)는 모의신호들 각각의 신호구간이 서로 중첩되지 않는 그 모의신호들을 생성함에 있어, 그 모의신호들간에 시간 영역에서 인접한 신호구간들간의 무신호구간이 기 설정된 임계시간 이상인 그 모의신호들을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를 도 3a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어부(100)에 있는 고주파 신호원(RF source)은 레디 시간(370)동안 올바른 레이더 모의신호(또는 모의신호)를 발생할 수 없으며, 이에 따라, 모의신호 C의 신호구간(340)과 모의신호 D의 신호구간(350)은 서로 중첩되지는 않지만, 신호구간(340)의 종료시점과 신호구간(350)의 개시시점간의 간격이 무시할 수 있을 정도로 너무 짧아 광대역 수신기는 C+D를 감지함에 있어 D의 신호구간(350)을 온전히 감지할 수 없고 신호구간(360)과 같이 엉뚱하게 인식하므로, 제어부(100)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의신호 C, D간에 시간 영역에서 인접한 신호구간들(예를 들어, 380, 382)간의 무신호구간(384)이 기 설정된 임계시간(예컨대, 식별번호 384) 이상인 그 모의신호들을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3a와 도 3b 중, 제어부(100)가 생성하는 모의신호 C와 D의 바람직한 모습은 도 3b에 도시된 모습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적어도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더 모의신호 발생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로서, 광대역 수신기의 성능을 올바르게 시험하기 위한 하나 이 상의 모의신호들을 발생하는 단계들(제410 및 제420 단계들)을 포함한다. 이를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적어도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더 모의신호 발생장치는 하나 이상의 모의신호들 각각의 신호구간이 서로 중첩되지 않는 그 모의신호들을 생성한다(제410 단계).
제410 단계 후에, 본 발명의 적어도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더 모의신호 발생장치는 제410 단계에서 생성된 모의신호들을 송신한다(제420 단계).
이상에서 언급된 본 발명의 적어도 일 실시예에 의한 레이더 모의신호 발생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ROM),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및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CD-ROM), 디브이디(DVD: Digital Versatile Disc))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이제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들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적어도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더 모의신호 발생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a 내지 도 2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더 모의신호 발생방안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들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레이더 모의신호 발생방안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들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적어도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더 모의신호 발생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

Claims (21)

  1. 하나 이상의 모의신호들 각각의 신호구간이 서로 중첩되지 않는 상기 모의신호들을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생성된 모의신호들을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더 모의신호 발생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의신호들간에 시간 영역에서 인접한 신호구간들간의 무신호구간이 기 설정된 임계시간 이상인 상기 모의신호들을 생성하는 레이더 모의신호 발생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임계시간은 조정가능한 시간인 레이더 모의신호 발생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의신호들 각각의 신호 속성값을 설정하고 상기 모의신호들 각각의 신호구간이 서로 겹치지 않도록 상기 설정된 속성값을 고려하여 상기 모의신호들 각각의 신호 개시시각을 연산하고, 연산된 신호 개시시각에 상기 모의신호들을 생성하는 레이더 모의신호 발생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모의신호들 각각의 신호 속성값은 재설정가능한 레이더 모의신호 발생장치.
  6.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모의신호들 각각의 신호 속성값은 신호의 크기, 주기, 각 신호구간의 길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레이더 모의신호 발생장치.
  7.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의신호들간의 우선 순위를 설정하고, 상기 모의신호들 각각의 신호구간이 서로 겹치지 않도록 상기 설정된 속성값과 우선 순위를 고려하여, 상기 모의신호들 각각의 신호 개시시각을 연산하고, 연산된 신호 개시시각에 상기 모의신호들을 생성하는 레이더 모의신호 발생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더 모의신호 발생장치는
    상기 생성된 모의신호들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레이더 모의신호 발생장치.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생성된 모의신호들의 시간 영역에서의 밀도를 연산하고,
    상기 레이더 모의신호 발생장치는
    상기 연산된 밀도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레이더 모의신호 발생장 치.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모의신호들 각각은 기 설정된 주기와 펄스폭을 갖는 펄스파 신호인 레이더 모의신호 발생장치.
  11. 하나 이상의 모의신호들 각각의 신호구간이 서로 중첩되지 않는 상기 모의신호들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모의신호들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더 모의신호 발생방법.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모의신호들간에 시간 영역에서 인접한 신호구간들간의 무신호구간이 기 설정된 임계시간 이상인 상기 모의신호들을 생성하는 레이더 모의신호 발생방법.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임계시간은 조정가능한 시간인 레이더 모의신호 발생방법.
  14.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모의신호들 각각의 신호 속성값을 설정하고 상기 모의신호들 각각의 신 호구간이 서로 겹치지 않도록 상기 설정된 속성값을 고려하여 상기 모의신호들 각각의 신호 개시시각을 연산하고, 연산된 신호 개시시각에 상기 모의신호들을 생성하는 레이더 모의신호 발생방법.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모의신호들 각각의 신호 속성값은 재설정가능한 레이더 모의신호 발생방법.
  16.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모의신호들 각각의 신호 속성값은 신호의 주파수, 크기, 주기, 각 신호구간의 길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레이더 모의신호 발생방법.
  17.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모의신호들간의 우선 순위를 설정하고, 상기 모의신호들 각각의 신호구간이 서로 겹치지 않도록 상기 설정된 속성값과 우선 순위를 고려하여, 상기 모의신호들 각각의 신호 개시시각을 연산하고, 연산된 신호 개시시각에 상기 모의신호들을 생성하는 레이더 모의신호 발생방법.
  18.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더 모의신호 발생방법은
    상기 생성된 모의신호들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레이더 모의신호 발 생방법.
  19.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더 모의신호 발생방법은
    상기 생성된 모의신호들의 시간 영역에서의 밀도를 연산하는 단계; 및
    상기 연산된 밀도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레이더 모의신호 발생방법.
  20.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모의신호들 각각은 기 설정된 주기와 펄스폭을 갖는 펄스파 신호인 레이더 모의신호 발생방법.
  21. 제11 항 내지 제20 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080138267A 2008-12-31 2008-12-31 레이더 모의신호 발생장치 및 방법 KR1011272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8267A KR101127242B1 (ko) 2008-12-31 2008-12-31 레이더 모의신호 발생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8267A KR101127242B1 (ko) 2008-12-31 2008-12-31 레이더 모의신호 발생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9715A true KR20100079715A (ko) 2010-07-08
KR101127242B1 KR101127242B1 (ko) 2012-03-29

Family

ID=426407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8267A KR101127242B1 (ko) 2008-12-31 2008-12-31 레이더 모의신호 발생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7242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5774A (ko) * 2018-01-11 2019-07-19 (주)스마트레이더시스템 능동형 레이더 모의 타겟 장치
KR102112184B1 (ko) 2019-10-31 2020-05-18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완전 디지털 능동 배열 레이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성능 시험 방법
KR102112186B1 (ko) 2019-10-31 2020-05-18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능동 배열 레이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성능 시험 방법
KR102112185B1 (ko) 2019-10-31 2020-05-18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디지털 능동 배열 레이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성능 시험 방법
KR102119487B1 (ko) 2020-01-29 2020-06-05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완전 디지털 능동 배열 레이더의 성능 확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64278A (ja) 1983-09-19 1985-04-12 Mitsubishi Electric Corp レ−ダ疑似信号発生装置
EP0587808A4 (en) 1991-06-05 1995-07-05 Commw Of Australia RADAR RETURN SIGNAL SIMULATOR.
JP3242587B2 (ja) * 1997-02-07 2001-12-25 三菱電機株式会社 レーダ模擬信号発生器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5774A (ko) * 2018-01-11 2019-07-19 (주)스마트레이더시스템 능동형 레이더 모의 타겟 장치
KR102112184B1 (ko) 2019-10-31 2020-05-18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완전 디지털 능동 배열 레이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성능 시험 방법
KR102112186B1 (ko) 2019-10-31 2020-05-18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능동 배열 레이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성능 시험 방법
KR102112185B1 (ko) 2019-10-31 2020-05-18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디지털 능동 배열 레이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성능 시험 방법
KR102119487B1 (ko) 2020-01-29 2020-06-05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완전 디지털 능동 배열 레이더의 성능 확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27242B1 (ko) 2012-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7242B1 (ko) 레이더 모의신호 발생장치 및 방법
CN104854635A (zh) 人机接口中安全的音频播放
US20100261433A1 (en) Radio Communication Device, Program, Radio Communication Method, and Radio Communication System
CN104506268A (zh) 一种实现时间校准的方法
WO2009021575A8 (de) Verfahren zum testen von geräten für ein mobilfunksystem, signalgenerator, gerät für ein mobilfunksystem und messsystem
KR100743766B1 (ko) 색좌표 보정방법 및 장치
US10684319B2 (en) Tuning a testing apparatus for measuring skew
US20130232467A1 (en) Program generating device, program generating program, and program generating method
KR100511870B1 (ko) 소프트웨어 테스트 장치 및 방법
US8989313B2 (en) Adaptable receiver detection
KR100702895B1 (ko) 초음파센서가 구비된 기기의 테스트장치
JP2020017814A (ja) 信号発生装置および該装置を用いた周波数特性表示方法
JP5554800B2 (ja) フェージングシミュレータ、移動通信端末試験システム及びフェージングシミュレーション方法
US11940474B2 (en) Measuring device
KR102197230B1 (ko) 음향 특성을 예측하는 오디오 시스템 및 방법
US20110205917A1 (en) Signal processing system, signal processing apparatus, signal processing program
KR20180009253A (ko) 시나리오 기반의 rf 위협신호발생 방법 및 장치
JP6594470B2 (ja) Pam4分離回路及びpam4分離方法とサンプリングオシロスコープ及びサンプリング方法
JP2011117846A (ja) ガス使用状況判断システム及びガス使用状況判断方法
JP6958803B2 (ja) 電磁的情報漏洩評価装置、電磁的情報漏洩評価方法、および電磁的情報漏洩評価プログラム
KR102649576B1 (ko) 위협 신호 검출 장치 및 방법
CN103873169B (zh) 用于在射频信号测试过程中确定衰减参数的方法与设备
CN115309618B (zh) 基于RT-Linux系统的输入和输出延时检测方法及系统
US10162002B2 (en) Tuning a testing apparatus for measuring skew
US9449589B2 (en) Touch detecting device,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touch detect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