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79644A - 안테나 방사특성 측정방법 - Google Patents

안테나 방사특성 측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79644A
KR20100079644A KR1020080138180A KR20080138180A KR20100079644A KR 20100079644 A KR20100079644 A KR 20100079644A KR 1020080138180 A KR1020080138180 A KR 1020080138180A KR 20080138180 A KR20080138180 A KR 20080138180A KR 20100079644 A KR20100079644 A KR 201000796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asuring
antenna
measurement
signal
frequ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81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종명
Original Assignee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801381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79644A/ko
Priority to US12/568,732 priority patent/US8284108B2/en
Publication of KR201000796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964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or indicating electric quantities not covered by groups G01R19/00 - G01R27/00
    • G01R29/08Measuring electro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 G01R29/10Radiation diagrams of antenna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Variable-Direction Aerials And Aerial Arrays (AREA)

Abstract

빠른 시간내에 충분한 전력을 확보하여 안정적으로 전력을 공급하므로 측정용 주파수에 관계없이 항상 측정신호의 강도를 높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주파수의 신호가 수신되면 위치에 대한 정보 및 측정된 값을 처리하여 측정 신호를 전송하며 자체적으로 유도전력을 발생시켜 충전하도록 측정안테나와 축전지가 내부에 구성되는 측정모듈이 다수 배열 설치된 측정체를 향하여 수백MHz∼수백GHz의 충전용 고주파를 주사하고, 소스 안테나를 통하여 측정용 주파수의 신호를 측정체를 향하여 전송하면서 각 측정모듈의 측정 안테나로부터 전송되는 측정 신호를 측정제어기에서 수신하여 데이터처리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안테나 방사특성 측정방법을 제공한다.
안테나, 방사특성, 측정, 고주파, 충전, 축전지, 콘덴서, 전력, 공급, 강도

Description

안테나 방사특성 측정방법 {Measuring Method of Radiation Characteristic for Antenna}
본 발명은 안테나 방사특성 측정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충전용 주파수와 측정용 주파수를 별도로 주사하여 측정신호의 강도를 크게 향상시킨 안테나 방사특성 측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안테나의 방사특성(위상, 크기 또는 세기 등)을 측정하는 데 사용되는 시설을 안테나 측정장(antenna range)이라고 하며, 소스 안테나(source antenna)와 측정 안테나(test antenna 또는 receive antenna)가 멀리 떨어진 상태에서 측정을 행하는 원거리 측정장(far-field range), 소스 안테나는 송신기 역할을 하고 프로브(probe)를 이용하여 소스 안테나의 근거리장에서 일정 간격으로 표본화하여 측정하는 근거리 측정장(near-field range), 측정 안테나인 반사기 안테나 가까이에 소스 안테나를 두는 단축 측정장(compact range) 등이 있다.
상기 원거리 측정장은 소스 안테나와 측정 안테나를 탑이나 건물, 언덕 등에 설치하여 측정하는 방식인 고층 측정장(elevated range), 소스 안테나 또는 측정 안테나 중 하나는 높이 설치하고 하나는 지면에 설치하여 측정하는 방식인 경사 측 정장(slant range), 반사를 제거하기 위하여 벽을 흡수체로 배열한 방에서 측정하는 방식인 무반사실(anechoic chamber) 등으로 나뉘어진다. 고층 측정장과 경사 측정장은 설치 및 측정 비용이 적게 소요되는 반면에, 실제로 넓은 토지와 탑이 필요하며 외부 날씨에 영향을 많이 받는다는 단점이 있다. 무반사실은 실내에서 측정이 이루어지므로 외부 날씨에 영향을 받지 않는 반면에, 흡수체와 큰 실험실(예를 들면 대략 가로 10m X 세로 10m X 높이 5m 정도의 크기로 제작함) 설치에 비용이 많이 든다는 단점이 있다.
상기 원거리 측정장에 있어서 고층 측정장이나 경사 측정장의 경우에는 소스 안테나와 측정 안테나 사이가 매우 멀리 위치하게 되고, 소스 안테나와 측정 안테나 사이에 다양한 지형에 따른 나무나 숲, 언덕, 산, 강이나 시내, 건물이나 조형물 등이 존재하게 되어 정확한 측정이 어려우며, 그때그때의 측정상황에 따른 신속한 대응이 매우 어렵고, 온도나 날씨 등의 차이도 존재하여 측정값의 산포가 크다. 더욱이 원거리 측정장의 경우에는 정확한 측정값을 얻기 위하여 소스 안테나를 외부에 노출시키게 되는 데, 레이더나 군사용 안테나 등에 있어서는 비밀이 유지되어야 하므로 측정에 곤란함이 있다.
상기 단축 측정장은 작은 공간에 설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에, 대형 반사기가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다.
상기 근거리 측정장은 소스 안테나의 최소 1파장내의 거리만 있으면 측정이 가능하므로 아주 작은 공간에 설치할 수 있는 반면에, 이 거리에 소정의 평면(소스 안테나의 중심축에 수직한 평면)을 정확하게 그릴 수 있도록 프로브를 X축 및 Y축 으로 정밀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하여야 하므로 프로브(측정 안테나)를 이동시키기 위한 장비의 가격이 고가이며 측정에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는 단점이 있다.
상기 무반사실의 경우에도 근거리 측정장과 마찬가지로 프로브를 이용하여 측정을 행하므로 동일한 문제점이 추가로 존재한다.
즉 근거리 측정장 및 무반사실의 경우에는 프로브에서 측정한 데이터를 전부 원거리 측정장 데이터로 변환하게 되므로 상기 프로브는 매우 정확한 이동을 하여야만 정확한 데이터를 얻을 수 있으며, 상기 프로브의 이동정밀도는 수∼수십㎛이내의 정밀도가 요구된다. 이와 같이 고도한 정밀도로 프로브를 이동시켜야 하므로 프로브를 이동시키는 장치의 가격이 수억원대로 매우 고가이어서 소규모 업체에서는 안테나 개발에 있어 필수적인 안테나의 방사특성에 대한 측정실험을 충분하게 행하는 것이 매우 어렵다.
그리고 프로브가 매우 미세한 이동간격으로 이동하면서 측정을 행하므로 1회의 측정에 소요되는 시간이 수시간으로 장시간이 소요되므로, 측정 도중에 측정환경이 변하여 측정값에 오차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으며, 생산되는 안테나에 대한 전수검사를 행하는 것이 불가능하여 샘플링 검사를 행하게 된다.
또 보다 정확한 원거리 측정장 데이터를 얻기 위해서는 프로브의 이동범위(평면의 면적)을 크게 할 필요성이 있지만, 프로브를 이동시키기 위한 장치의 한계때문에 제한이 따르게 된다.
그리고 프로브를 이동시키기 위한 장치로부터 전자파의 반사가 발생하여 측정값에 잡음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나아가 근거리 측정장 및 무반사실의 경우에는 소스 안테나의 정면쪽에 대한 측정만을 행하므로, 후엽(back lobe)에 대한 정확한 표현이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으며, 후엽을 정확하게 표현하기 위해서는 소스 안테나의 방향을 반대로 하여 다시 측정을 행하여야 하므로 측정시간이 2배로 소요된다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특허 제10-0543725호에는 초소형으로 형성되는 측정 안테나와 IC칩을 이용하여 단시간에 소스 안테나의 방사특성을 측정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한 안테나 방사특성 측정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기술이 공개되어 있다.
상기 특허 제10-0543725호에 의하면, 소스 안테나를 작동시킴과 동시에 측정체의 전체 면적에 대한 측정값을 얻을 수 있으므로, 실시간으로 안테나의 방사특성을 측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특허 제10-0543725호에 의하면, 프로브방식에 비하여 원가점감효과가 매우 크고, 날씨나 온도변화에 따른 오차없이 측정이 이루어진다.
그런데 특허 제10-0543725호의 경우에는 측정모듈에서 측정을 위하여 수신하는 주파수신호를 구동전력으로 사용하도록 이루어지므로, 측정하고자 하는 주파수신호의 레벨이 낮은 경우에는 충분한 구동전력을 얻기가 어려울 수도 있다. 따라서 측정모듈로부터 송신되는 측정신호가 미약하여 이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과정에서 여러번의 증폭을 해야 한다는 번거로움이 있다. 나아가 증폭과정에서 신호의 왜곡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특허 제10-0543725호를 개량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충전용 고주파를 이용하여 빠른 시간내에 충분한 전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전송하고 측정모듈 내에 축전지를 설치하여 안정적으로 전력을 공급하므로 측정용 주파수의 레벨에 관계없이 항상 측정신호의 강도를 높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한 안테나 방사특성 측정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제안하는 안테나 방사특성 측정방법은 측정용 주파수의 신호가 수신되면 위치에 대한 정보 및 측정된 값을 처리하여 측정 신호를 전송하며 자체적으로 유도전력을 발생시켜 충전하도록 측정안테나와 축전지가 내부에 구성되는 측정모듈이 다수 배열 설치된 측정체를 향하여 수백MHz∼수백GHz의 충전용 고주파를 주사하고, 소스 안테나를 통하여 측정용 주파수의 신호를 측정체를 향하여 전송하면서 각 측정모듈의 측정 안테나로부터 전송되는 측정 신호를 측정제어기에서 수신하여 데이터처리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 방사특성 측정방법에 의하면, 에너지가 큰 고주파를 이용하여 전력을 공급하여 축전지를 충전시키므로, 빠른 시간에 충분한 전력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고, 상대적으로 주파수의 레벨이 낮은 신호를 이용하여 측정하는 경우에도 충분한 강도로 신호가 측정되고, 항상 안정적이고 확실한 측정이 이루 어진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 방사특성 측정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 방사특성 측정방법의 일실시예에 사용되는 안테나 방사특성 측정시스템은 도 2∼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수의 측정모듈(20)이 측정체(10)에 배열 설치되고, 상기 측정체(10)로부터 일정한 거리를 두고 소스 안테나(2)가 설치되고, 상기 측정체(10)의 각 측정모듈(20)로부터 전송되는 측정 신호를 수신하여 데이터처리하는 측정제어기(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측정모듈(20)은 상기 측정체(10)에 소정의 패턴으로 배열되어 설치된다.
상기 측정모듈(20)에는 위치에 대한 정보 및 측정된 값을 처리하여 신호를 발생하는 IC칩(22)과, 상기 IC칩(22)으로부터 발생하는 신호를 송출하고 소스 안테나(2)로부터 송신되는 주파수신호를 수신하여 IC칩(22)이 구동전력으로 사용하기 위한 유도전력을 발생시키며 수신되는 주파수신호를 측정한 값을 IC칩(22)으로 전송하는 측정 안테나(24)와, 상기 측정 안테나(24)에서 발생되는 유도전력에 의하여 충전이 이루어지는 축전지(28)가 설치된다.
상기 측정제어기(30)는 상기 측정모듈(20)의 측정 안테나(24)로부터 송신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각 측정모듈(20)의 위치정보와 측정값을 처리하도로 이루어진다.
상기 측정제어기(30)에는 상기 측정 안테나(24)로부터 송신되는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 안테나(32)가 설치된다. 상기 측정제어기(30)에서는 측정값을 원거리 측정장의 데이터로 변환하는 작업을 소정의 소프트웨어에 의하여 수행한다.
상기 측정체(10)는 소스 안테나(2)로부터 송신되는 주파수 신호에 대하여 산란이나 반사 등의 영향이 작은 재질을 이용하여 평면형상으로 형성한다.
상기 안테나 방사특성 측정시스템에서는 측정체(10)를 평면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소정의 곡률을 갖는 원호면형상, 반원형상, 원추면형상, 사각뿔형상, 혼(horn)형상 등의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하여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측정모듈(20)은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판(21)에 IC칩(22)과 측정 안테나(24), 축전지(28) 등을 표면실장기술을 이용하여 부착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기판(21)은 한변의 길이 또는 최대 지름이 대략 2∼4㎜ 정도인 사각형, 원형, 타원형 등으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기판(21)에는 측정 안테나(24)에서 수신되는 주파수 신호를 DC로 정류하는 DC 정류기(27)를 더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DC 정류기(27)를 통하여 정류된 전류가 상기 축전지(28)에 충전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IC칩(22), 측정 안테나(24), DC 정류기(27), 축전지(28) 등은 인쇄기술이나 사진식각기술 등을 이용하여 기판(21)에 직접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IC칩(22)에는 설치지점에 대한 고유번호가 저장된다. 상기 IC칩(22)에 저장되는 설치지점에 대한 고유번호의 예로서는 좌표값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제1행에 설치되는 측정모듈(20)의 경우에는 (X1,Y1), (X2,Y1),…,(Xm,Y1)으로 고유번호를 부여하고, 마지막행에 설치되는 측정모듈(20)의 경우에는 (X1,Yn), (X2,Yn),…,(Xm,Yn)으로 고유번호를 부여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상기 IC칩(22)은 상기 측정 안테나(24)에서 수신되는 주파수 신호의 위상과 세기 등에 대한 값을 디지털신호로 변환하여 측정 안테나(24)를 통하여 송신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에서 IC칩(22)은 제조기술의 발달로 미크론(㎛) 단위까지 제조가 가능하므로, 미크론(㎛) 단위의 크기로 이루어지는 기판(21)에 장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IC칩(22)은 상기 측정 안테나(24)를 통하여 측정된 값과 고유번호를 일정한 순서로 조합하여 소정의 측정신호를 발생시켜 상기 측정 안테나(24)를 통하여 트리거신호와 함께 전송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측정 안테나(24)로는 아주 작은 기판(21)에 장착될 수 있도록 밀리미터(mm) 단위의 소형 안테나 또는 미크론(㎛) 단위의 초소형 안테나를 사용한다.
상기에서 측정 안테나(24)의 크기가 커지게 되면 측정모듈(20)의 크기가 커지게 되고, 미세한 간격으로 측정하는 것이 불가능해지며, 이에 따라 원거리 측정장 데이터로 변환하는 경우에 정확한 값을 얻을 수 없다. 또한 측정 안테나(24)의 크기가 큰 경우에는 이웃하는 안테나끼리의 상호 커플링에 의한 임피던스 변화에 의하여 측정값에 오차가 발생할 우려가 높으므로, 정확한 측정값을 얻기 위해서는 측정 안테나(24)의 크기를 초소형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측정제어기(30)에는 상기 측정 안테나(24)로부터 송신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안테나(32)가 설치되고, 상기 측정제어기(30)에서는 상기 수신 안테나(32)에서 수신된 신호를 변환하여 모니터 등의 표시장치로 표시하거나 프린터 등의 출력장치로 출력하고, 측정모듈(20)의 위치에 대한 정보와 함께 측정값을 저장한다.
상기에서 측정 안테나(24)에서 측정하여 측정제어기(30)로 송출하는 측정값은 소스 안테나(2)로부터 전송된 측정용 주파수 신호에 대한 위상(phase)과 세기(amplitude) 등이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안테나 방사특성 측정시스템을 이용하여 소스 안테나(2)의 방사특성을 측정하는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 방사특성 측정방법을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고유의 위치에 대한 정보가 입력된 IC칩(22)과 측정 안테나(24), 축전지(28)가 장착된 측정모듈(20)을 측정체(10)의 설정된 위치에 배열하여 장착한다.
상기와 같이 측정체(10)의 제작이 완료되면, 측정체(10)를 규정된 위치(소스 안테나(2)에서 송신하는 주파수의 1파장의 거리)에 설치한 상태에서 소스 안테나(2)의 작동을 개시한다.
상기와 같이 소스 안테나(2)의 작동을 개시하여 충전용 고주파(예를 들면 수백MHz∼수백GHz의 주파수 신호)를 전송하면, 측정체(10)에 설치된 측정모듈(20)의 측정 안테나(24)에서는 송신되는 소스 안테나(2)의 충전용 고주파 신호(전자파)를 수신하게 되고, 수신된 주파수 신호(전자파)는 DC 정류기(27)에서 유도전력으로 변 환되고, 상기 축전지(28)에 충전된다.
상기와 같이 IC칩(22)을 구동하기 위한 별도의 전원을 설치하지 않고 충전용 고주파로부터 얻은 전력을 사용하면, 대형의 측정체(10)를 제작하거나 매우 많은 수의 측정모듈(20)을 측정체(10)에 장착하는 경우에도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배선이 불필요하므로, 구조가 간단하고, 제조가 매우 용이해진다.
상기 충전용 고주파는 소스 안테나(2)를 사용하지 않고 별도의 충전용 안테나(도면에 나타내지 않음)를 설치하여 측정체(10)를 향하여 전송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축전지(28)에 충전이 이루어지면, 상기 IC칩(22)을 구동하여 충분한 세기로 측정 신호를 측정 안테나(24)를 통하여 전송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소스 안테나(2)를 작동시켜 소정의 측정용 주파수 신호를 전방향으로 전송하면, 측정체(10)에 설치된 측정모듈(20)의 측정 안테나(24)에서는 송신되는 소스 안테나(2)의 측정용 주파수 신호(전자파)를 수신하게 된다.
상기 측정모듈(20)의 IC칩(22)에서는 상기 측정 안테나(24)로부터 수신되는 주파수의 세기(amplitude), 위상(phase) 등을 샘플링하여 저장 및 변조(PSK 및/또는 FSK 변조 방식 또는 CDMA 방식 등을 이용)하고, 위치에 대한 정보와 함께 변조된 신호를 측정 안테나(24)를 통하여 송출한다.
상기에서 측정 안테나(24)에서 측정용 주파수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에도 일부의 신호는 DC 정류기(27)를 통하여 유도전력으로 변화되어 축전지(28)에 충전된 다. 즉 상기 측정 안테나(24)로 수신되는 신호가 어떠한 주파수 신호(예를 들면 충전용 고주파 또는 측정용 주파수 신호)인지에 관계없이, 상기 측정 안테나(27)로 주파수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DC 정류기(27)를 통한 정류 작업과 상기 축전지(28)에의 충전 작업이 항상 이루어지도록 구성한다.
상기 측정제어기(30)에서는 상기 측정 안테나(24)로부터 송출되는 신호를 수신 안테나(32)를 통하여 수신하고, 수신된 각 측정모듈(20)의 위치에 대한 정보와 변조된 신호를 데이터 처리하여 측정값을 계산하여 저장하고, 이를 표시장치나 프린터 등으로 출력한다.
상기 측정제어기(30)는 소정의 소프트웨어를 내장하여 상기 측정모듈(20)로부터 수신된 측정값을 원거리 측정장의 데이터로 변환하고, 이를 표시장치나 프린터 등으로 출력하도록 구성한다.
상기와 같이 소스 안테나(2)의 정면에 대한 측정을 행한 다음, 후엽에 대한 정확한 특성을 필요로 하는 경우에는 소스 안테나(2)의 방향을 180°회전시키거나 측정체(20)의 설치 위치를 180° 대칭 지점으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다시 한번 측정을 행하면 된다. 이 경우에도 측정시간이 순간적으로 이루어지므로 종래 수시간에 걸쳐 행해지는 것에 비하여 크게 단축된다.
상기에서는 충전용 고주파를 먼저 송신하여 축전지(28)를 충전시킨 다음에 측정용 주파수 신호를 송신하여 측정을 행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충전용 고주파와 측정용 주파수 신호를 동시에 송신하여 축전지(28)에 대한 충전과 신호의 측정을 동시에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충전용 고주파와 측정용 주파수 신호의 주파수 대역에 큰 차이가 있는 경우에는 상기 IC칩(22)에 대역필터(도면에 나타내지 않음)를 설치하는 것에 의하여 충전용 고주파에 대해서는 필터링을 행하여 측정 신호에 포함되지 않도록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충전용 고주파와 측정용 주파수 신호의 주파수 대역이 크게 차이가 나지 않는 경우에는 대역필터를 사용하게 되면 측정 신호의 일부까지 필터링될 우려가 있기 때문에, 대역필터를 사용하지 않고 상기 축전지(28)에 대한 충전을 먼저 행하고 측정을 나중에 행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측정체(12)를 구면형상으로 형성하고, 측정체(12)의 내면쪽에 상기 측정모듈(20)을 소정의 패턴으로 배열 설치하여 측정을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에서는 측정모듈(20)의 IC칩(22)에 저장되는 설치지점에 대한 고유번호를 z축과 이루는 각(θ) 및 x축과 이루는 각(φ)을 이용한 극좌표값(θ,φ)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측정체(12)를 구면형상으로 형성하는 경우에는 상하로 2분할하여 상반구와 하반구를 분리가능하게 조립식으로 구성하는 것이 내부에 소스 안테나(2)의 설치 및 교체가 용이하므로 바람직하다.
상기 소스 안테나(2)는 측정체(12)의 하반구에 설치되는 지지대(3)에 고정 설치된다. 상기 지지대는 소스 안테나(2)가 구형상의 중앙지점에 위치하도록 하반구에 설치하며, 소스 안테나(2)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상하높이의 조절이 가 능한 방식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측정체(12)를 구면형상으로 형성하면 1회의 측정으로 소스 안테나(2)의 360° 전방향에 대한 방사특성을 정확하게 측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측정체(12)에 설치하는 측정모듈(20)은 측정 안테나(24)가 측정거리인 반지름(r)에 대하여 수직한 평면으로 위치하여 전자파의 진행방향과 수직하게 위치하도록 구성한다.
또 상기 측정체(12)는 소스 안테나(2)로부터 측정모듈(20)까지의 측정거리인 반지름(r)이 가능한 한 크게 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보다 정확한 원거리장에 대한 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안테나 방사특성 측정시스템을 구성하여 소스 안테나(2)에 대한 안테나 방사특성을 측정하게 되면, 한번의 측정으로 전방향에 대한 방사특성을 정확하게 알 수 있고, 닫혀진 공간인 실내에서 효과적으로 측정이 이루어지며, 안테나의 생산현장에서 전수검사를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에서는 측정체(12)를 구면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반구면형상, 육면체형상, 밑면이 없는 육면체형상, 팔면체형상, 십이면체형상, 이십면체형상, 원추면형상, 사각뿔형상, 혼(horn)형상 등의 다양한 형상으로 측정체(12)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 방사특성 측정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 방사특성 측정방법의 일실시예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 방사특성 측정방법의 일실시예에 사용되는 측정모듈의 일예를 기능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 방사특성 측정방법의 일실시예에 사용되는 측정모듈의 일예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 방사특성 측정방법의 일실시예에 사용되는 안테나 방사특성 측정시스템의 일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 방사특성 측정방법의 일실시예에 사용되는 안테나 방사특성 측정시스템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Claims (3)

  1. 측정용 주파수의 신호가 수신되면 위치에 대한 정보 및 측정된 값을 처리하여 측정 신호를 전송하며 자체적으로 유도전력을 발생시켜 충전하도록 측정안테나와 축전지가 내부에 구성되는 측정모듈이 다수 배열 설치된 측정체를 향하여 수백MHz∼수백GHz의 충전용 고주파를 주사하고,
    소스 안테나를 통하여 측정용 주파수의 신호를 측정체를 향하여 전송하면서 각 측정모듈의 측정 안테나로부터 전송되는 측정 신호를 측정제어기에서 수신하여 데이터처리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안테나 방사특성 측정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충전용 고주파를 주사하여 축전지에 충전하는 과정과 측정용 주파수의 신호를 전송하여 측정을 행하는 과정을 동시에 진행하는 안테나 방사특성 측정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충전용 고주파를 주사하여 축전지에 충전하는 과정을 먼저 진행하고, 나중에 측정용 주파수의 신호를 전송하여 측정을 행하는 과정으로 진행하는 안테나 방사특성 측정방법.
KR1020080138180A 2008-12-31 2008-12-31 안테나 방사특성 측정방법 KR20100079644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8180A KR20100079644A (ko) 2008-12-31 2008-12-31 안테나 방사특성 측정방법
US12/568,732 US8284108B2 (en) 2008-12-31 2009-09-29 Method of measuring radiation characteristic of antenna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8180A KR20100079644A (ko) 2008-12-31 2008-12-31 안테나 방사특성 측정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9644A true KR20100079644A (ko) 2010-07-08

Family

ID=422842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8180A KR20100079644A (ko) 2008-12-31 2008-12-31 안테나 방사특성 측정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284108B2 (ko)
KR (1) KR20100079644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854409A (zh) * 2011-06-30 2013-01-02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电磁干扰测试装置
EP3312619B1 (en) * 2016-10-19 2022-03-30 Rohde & Schwarz GmbH & Co. KG Test system and method for testing a device under test
US10620250B2 (en) * 2018-01-17 2020-04-14 Kymeta Corporation Localized free space tester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74466A (en) * 1995-03-31 1996-11-12 Motorola, Inc. Method fo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planning
US7006038B2 (en) * 2002-04-05 2006-02-28 The Liberty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optimal broadcast area of an antenna
AU2003286971A1 (en) 2002-12-20 2004-07-14 Amplet Inc. System and method for measuring radiation characteristic of antenna
US7280078B2 (en) * 2004-11-20 2007-10-09 Scenterra, Inc. Sensor for detecting high frequency signals
KR100692920B1 (ko) 2005-11-08 2007-03-12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전자파흡수율 측정 시스템 및 그 방법
US7925253B2 (en) * 2006-09-08 2011-04-12 Qualcomm Incorporated Radiated performance of a wireless device
JP5427606B2 (ja) * 2007-09-28 2014-02-26 アンリツ株式会社 放射電力測定方法及び放射電力測定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284108B2 (en) 2012-10-09
US20100164815A1 (en) 2010-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43725B1 (ko) 안테나 방사특성 측정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9142890B (zh) 太赫兹漏波天线测量系统
CN104101786A (zh) 全空域有源多波束球面相控阵天线方向图测量系统
CN107677895B (zh) 用于确定辐射图的系统和方法
CN110568413A (zh) 集雷达标定、有源收发和测量参数一体的测试系统和方法
CN112505435B (zh) 大型圆柱形相控阵天线等效远场测试装置和方法
JP2021035058A (ja) 高速ota生産ラインテストプラットフォーム
JP5033187B2 (ja) アンテナ結合器
CN104833863A (zh) 一种高频相控阵天线的远场暗室测试系统及方法
CN113419116A (zh) 一种适用于整车级天线的无源性能测试系统及测试方法
CN109061322A (zh) 一种基于无人机的天线远场测量方法
CN106154345A (zh) 椭球面被动毫米波成像系统
KR20100079644A (ko) 안테나 방사특성 측정방법
CN106291145B (zh) 无线终端的测试系统
Fordham An introduction to antenna test ranges, measurements and instrumentation
KR101049789B1 (ko) 전자파흡수율 측정방법
CN115079112B (zh) 一种航空发动机近地动态rcs试验测试系统及测试方法
CN109470938B (zh) 大规模mimo设备辐射吞吐量的测量系统与测量方法
Dzuris et al. Measuring the Radiation Pattern of Large FM Antenna System
CN207164169U (zh) 大规模mimo设备辐射吞吐量的测量系统
CN115166050B (zh) 一种手持式激光超声检测系统及方法
CN218629999U (zh) 支持实现etc无线电环境监测的设备
CN117783698A (zh) Vhf天线双无人机测试系统及方法
CN208143227U (zh) 一种移动终端的测试系统
CN113219244B (zh) 一种超宽频带平面波生成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