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79370A - 연결문서를 이용한 문서의 히스토리관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 Google Patents

연결문서를 이용한 문서의 히스토리관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79370A
KR20100079370A KR1020080137831A KR20080137831A KR20100079370A KR 20100079370 A KR20100079370 A KR 20100079370A KR 1020080137831 A KR1020080137831 A KR 1020080137831A KR 20080137831 A KR20080137831 A KR 20080137831A KR 20100079370 A KR20100079370 A KR 201000793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cument
connection
server
terminal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78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75023B1 (ko
Inventor
정대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글과 컴퓨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글과 컴퓨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글과 컴퓨터
Priority to KR10200801378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5023B1/ko
Publication of KR201000793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93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50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50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03Formatting, i.e. changing of presentation of documents
    • G06F40/106Display of layout of documents; Preview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Marketing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래의 문서파일과는 달리, 문서가 수정될 때마다의 연결관계를 나타낼수 있는 정보를 해더부에 추가한 연결문서를 활용해서 문서의 히스토리를 관리할 수 있는 방법 및 이를 활용한 시스템에 관한 발명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연결문서를 이용한 문서이력관리 시스템은 서버와 네트워크로 연결된 한 개 이상의 단말기로 이루어진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저장하기명령을 입력받은 경우, 연결문서를 단말기에 저장함과 동시에 상기 서버에 상기 연결문서의 작성정보 및 문서내용을 업로드하는 저장하기모듈; 불러오기명령을 입력받은 경우,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연결문서의 작성정보 및 문서내용을 다운로드하는 불러오기 모듈; 및 상기 다운로드한 작성정보 및 문서내용을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표시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서버는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연결문서의 작성정보 및 문서내용을 송수신하는 통신모듈; 및 상기 작성정보 및 문서내용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모듈;을 포함한다.
연결문서, 작성정보, 문서편집, 최신문서, 히스토리, 문서이력

Description

연결문서를 이용한 문서의 히스토리관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Method for Managing history of document using Link Document and System thereof}
본 발명은 종래의 문서파일과는 달리, 연결관계를 나타낼수 있는 정보를 해더부에 추가한 연결문서를 활용해서 문서가 수정될 때마다의 문서의 히스토리를 관리할 수 있는 방법 및 이를 활용한 시스템에 관한 발명이다.
본 발명은, 1명 이상의 사용자가 하나의 문서파일을 전달받으면서 작업할 경우 해당 문서의 히스토리를 관리함으로써, 사용자가 자신이 현재 작업하는 문서의 버젼을 확인할 수 있으며 문서가 언제 누구에 의해서 수정되었는지를 알 수 있도록 하는 문서의 히스토리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위한 방법에 관한 발명이다.
많은 사람들이 하나의 문서파일을 이용해서 공동작업을 수행할 때, 이러한 문서를 이메일의 첨부파일이나 USB드라이버등의 저장매체를 이용해서 주고 받게 된다. 이렇게 복사된 문서파일을 각자가 수정하게 될 경우 관리가 매우 어렵고 최종본 관리가 안된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예를 들어 A,B 및 C라는 세 사람이 공통작업을 하면서 하나의 보고서를 작성한다고 가정하자. 이 때 만약 A가 최초로 보고서를 작성한 후 B에게 보내주면, B는 여기서 자신의 작업내용을 추가하고 C에게 문서를 보내주고, 다시 C가 자신의 작업내용을 추가하는 방식으로 하게 된다.
이 때 작업자들간에 문서를 주고받는 수단으로 가장 많이 활용되는 방법은 이메일을 들 수 있다. 즉 A가 자신이 작업한 문서를 첨부해서 B에 발송하고, B가 작업을 한 문서를 다시 C에게 첨부해서 보내주는 방식이다. 이렇게 하면 사용자들은 수신한 이메일에 첨부된 문서를 열어서 작업하게 되는 것이다.
문제는 이런식으로 작업을 하게 되면 A,B 및 C 각자의 단말기에 문서가 생기게 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A가 최초 작업한 문서를 버전1, B가 이후 수정한 문서를 버전2 그리고 C가 마지막에 작업한 문서를 버전3이라고 가정하다. 결과적으로 동일한 파일명을 가진 동일한 문서임에도 A의 단말기에는 버전1인 문서, B의 단말기에는 버전2인 문서 그리고 C의 단말기에는 버전3인 문서가 저장된다.
이후 A가 다시 문서를 수정하고자 하면, 다시 C에게 버전3인 문서를 요청해서 받은 후에 여기다 작업을 해야 한다. 만약 A가 바로 자신의 단말에 있는 문서를 열고 나서 작업을 하면, B 및 C의 수정사항이 전혀 반영되지 않게 된다.
결과적으로 각각의 사용자는 최신의 작업본으로 작업을 해야 하는데, 문서가 여러 공동 작업자들간에 이동되면서 사본이 많이 발생하게 되면 쉽지 않게 된다.
따라서 문서가 여러 사용자들에 의해서 수정될 경우, 해당 문서의 히스토리를 관리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문서를 여러 사람이 이메일의 첨부파일, USB메모리등의 저장매체 및 기타 어떤 수단을 통해 주고받아서 여러 사본이 생기더라도 이러한 해당 문서의 변경 이력 히스토리를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이를 통해서 사용자가 자신이 받은 사본 문서의 전체 히스토리를 보거나, 다른 참여자의 작업 내용을 확인하거나, 내가 가진 파일이 히스토리 상의 어느 버전인지를 확인하거나 또는 이전 버전을 복구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연결문서를 이용한 문서이력관리 시스템은 서버와 네트워크로 연결된 한 개 이상의 단말기로 이루어진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저장하기명령을 입력받은 경우, 연결문서를 단말기에 저장함과 동시에 상기 서버에 상기 연결문서의 작성정보 및 문서내용을 업로드하는 저장하기모듈; 불러오기명령을 입력받은 경우,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연결문서의 작성정보 및 문서내용을 다운로드하는 불러오기 모듈; 및 상기 다운로드한 작성정보 및 문서내용을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표시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서버는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연결문서의 작성정보 및 문서내용을 송수신하는 통신모듈; 및 상기 작성정보 및 문서내용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모듈; 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표시모듈은 상기 다운로드한 작성정보를 나열해서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작성정보 중에서 어느 하나에 대해서 선택받은 기능을 더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표시모듈은 상기 다운로드한 작성이력을 나열해서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작성이력 중에서 어느 한 버전을 선택하는 기능을 더 포함하며,
상기 불러오기모듈은 상기 선택된 작성정보에 대응하는 문서내용을 다운로드하여 불러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저장하기모듈은 저장하기명령을 입력받은 경우, 연결문서형태로 저장할지 여부를 입력받는 기능을 더 포함하며, 연결문서 형태로 입력받은 경우에는 상기 서버에 작성정보 및 문서내용을 업로드하고, 그외의 경우에는 단말기에만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불러오기모듈은 상기 서버와 네트워크 접속이 불가능한 경우,단말기내에 있는 연결문서파일 자체로부터 문서내용을 불러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데이터베이스모듈은 연결문서의 작성정보 및 문서내용이 수신된 경우, 상기 연결문서가 기저장되었는지를 체크한 후, 기저장되지 않는 경우에는 문서내용 전부를 저장하고, 기저장된 경우에는 문서내용 중에서 변경내용만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작성정보는 연결문서별로 하나씩 생성되는 문서ID 및 저장을 수행할때마다 새로 생성되는 버전ID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결문서는 상기 문서ID 및 서버의 주소 정보가 포함되는 해더부; 및 문서의 내용이 저장되는 컨텐츠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작성정보에는 문서를 저장한 단말기를 나타내는 작성자ID, 저장한 시점을 나타내는 수정일자 및 저장하기전의 이전의 문서를 나타내는 이전LINK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표시모듈은 상기 작성정보에 포함된 작성자ID, 수정일자 및 이전LINK를 이용하여 상기 연결문서가 문서가 누구에 의해서 어느 시점에 수정되었는지 여부를 그래픽화해서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저장하기모듈은 상기 서버에 업로드하기 전에 암호화하는 기능을 더 포함하고, 상기 불러오기모듈은 상기 서버로부터 다운로드받은 후에 복호화하하는 기능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문서를 이용한 문서이력관리가 가능한 단말기는 문서편집이 가능한 단말기에 있어서, 저장하기명령을 입력받은 경우, 연결문서를 상기 단말기에 저장함과 동시에 네트워크를 통해서 외부 서버에 상기 연결문서의 작성정보 및 문서내용을 업로드하는 저장하기모듈; 불러오기명령을 입력받은 경우,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연결문서의 작성정보 및 문서내용을 다운로드하는 불러오기 모듈; 및 상기 다운로드한 작성정보 및 문서내용을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표시모듈;을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문서를 이용한 문서이력관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서버는 외부 단말기로부터 연결문서의 작성정보 및 송수신하는 통신모듈; 및 상기 작성정보 및 문서내용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모듈;을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링크문서를 이용한 문서이력관리방법은 서버와 네트워크로 연결된 다수의 사용자 단말기로 이루어진 시스템에 있어서, 단말기에서 문서파일을 작성한 후 문서파일을 작성한 후 사용자로부터 저장명령을 입력받은 경우, 작성정보 및 작성된 문서내용을 서버에 업로드하는 문서작성단계; 단말기가 상기 문서파일의 오픈명령을 입력받은 경우, 상기 서버로부터 해당 문서의 작성정보 및 문서내용을 다운로드하고, 상기 작성정보 및 문서내용을 표시하는 문서표시단계; 및 상기 단말기가 상기 문서파일을 수정한 후 사용자로부터 저장명령을 입력받은 경우, 수정정보 및 수정된 문서내용을 서버에 업로드하는 문서수정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다운로드받은 작성정보들중에서 단말기가 어느 한 작성정보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작성정보에 해당하는 문서내용을 다운로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연결문서를 저장하는 경우, 연결문서형태로 저장할지 여부를 입력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연결문서 형태로 입력받은 경우에는 상기 서버에 작성정보 및 문서내용을 업로드하고, 그외의 경우에는 단말기에만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서버가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연결문서가 기저장되었는지를 체크한 후, 기저장되지 않는 경우에는 문서내용 전부를 저장하고, 기저장된 경우에는 문서내용 중에서 변경내용만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결문서는 상기 문서ID 및 서버의 주소 정보가 포함되는 해더부; 및 문서의 내용이 저장되는 컨텐츠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작성정보에는 문서를 저장한 단말기를 나타내는 작성자ID, 저장한 시점을 나타내는 수정일자 및 저장하기전의 이전의 문서를 나타내는 이전LINK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작성정보에 포함된 작성자ID, 수정일자 및 이전LINK를 이용하여 상기 연결문서가 문서가 누구에 의해서 어느 시점에 수정되었는지 여부를 그래픽화해서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는, 저장하기명령을 입력받은 경우, 연결문서를 단말기에 저장함과 동시에 상기 서버에 상기 연결문서의 작성정보 및 문서내용을 업로드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불러오기명령을 입력받은 경우, 연결문서의 포함된 해더정보를 토대로 외부의 네트워크로부터 서버로부터 상기 연결문서의 작성정보 및 문서내용을 다운로드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다운로드한 작성정보 및 문서내용을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시스템 또는 방법을 이용하면, 문서를 여러 사람이 주고받아서 여러 사본이 생기더라도 이러한 해당 문서의 변경 이력 히스토리를 관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를 통해서 사용자가 자신이 받은 사본 문서의 전체 히스토리를 보거나, 다른 참여자의 작업 내용을 확인하거나, 내가 가진 파일이 히스토리 상의 어느 버전인지를 확인하거나 또는 이전 버전을 복구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다수의 단말기와 서버로 구성된 일반적인 네트워크상의 시스템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A단말기(110)에서 문서를 저장하고, 이렇게 작성된 문서를 USB메모리(140)에 저장해서, 다시 B단말기(120)로 복사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이 경우 A단말기(110)에서 문서를 저장하기 버튼을 누를 때, A단말기에 문서가 저장됨과 동시에, 문서의 작성정보 및 문서내용이 서버(130)에도 업로드된다. 한편 A단말기에 저장되는 문서파일에는 문서내용이 저장되는 컨텐츠부와 문서ID, 버전ID 및 서버의 주소가 포함된 해더부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문서를 링크문서로 호칭한다. A단말기에 저장된 링크문서를 USB장치로 복사한 후, 다시 B단말기에 전달한다. 물론 USB등의 저장매체를 통해 전달하는 것 뿐만 아니라, 이메일이나 기타 어떤 수단으로 복사해서 전달하더라도 무방하다.
이렇게 링크문서를 전달받은 B단말기(120)에서 링크문서를 불러오기를 하면, 우선 링크문서의 해더부에 포함되어 있는 서버의 주소를 이용해서 서버(130)와 접속한다. 그리고 해더부에 포함된 문서ID와 버전ID를 이용해서 본 문서의 히스토리 정보를 읽어오게 된다. 이러한 히스토리 정보는 A단말기(110)에서 저장할 때 업로드된 작성정보에 의해 누적된 정보들이다.
이를 통해 B단말기는 상기 링크문서가 이전에 A단말기에 의해서 작성되었음을 알게 된다.
이러한 과정은 도2에서 다시 자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링크문서를 이용한 문서이력관리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우선 A단말기(110)에서 문서를 작성한다(S210). 이 후 작성된 문서에 대해서 A단말기(110)에 저장을 수행한다(S220). 저장을 수행할 때, 사용자에게 링크문서로 설정할지 여부에 대해서 문의한다(S230). 만약 링크문서(S230-N)로 설정하지 않는다면 이 후 해당 문서는 우리가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문서로서 사용되고, 링크문서로 설정한다면(S230-Y), 서버로 문서를 업로드한다(S235). 이때 문서내용이외에 작성정보도 같이 업로드한다. 서버(130)는 이렇게 업로드된 작성정보 및 문서내용을 데이터베이스로 관리한다. 여기서 문서내용을 전부다 서버에서 관리해도 무방하고 또는 맨 처음 작성된 경우의 버전만 전체 문서를 저장하고, 그 이후부터는 문서 내 변경된 부분만 저장하여도 무방하다.
한편 링크문서의 일 실시예는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서내용이외에 따로 해더부가 존재하여, 여기에 문서ID, 버전ID 및 서버위치URL 정보가 포함된다. 이러한 해더부 정보를 통해서 차후에 다른 사용자가 문서를 불러오기 수행시 링크문서로 활용이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작성정보는 A단말기(110)에서 문서를 작성할 때, 이에 대한 히스토리를 저장하기 위한 기초정보로서 예를 들어, 상기 문서를 특정하는 문서ID, 작성한 단말기(또는 작성자)를 나타내는 작성자ID 및 저장시점을 나타내는 수정일자등이 포함된다.
문서ID는 해당 문서별로 할당되는 것으로, 최초 문서가 생성될 때 할당되고 계속 수정이 되더라도 계속 유지된다. 문서가 수정된 경우라면 기존에 링크문서의 해더부에 있는 문서ID를 그대로 이용하면 되고, 문서가 새로 생성된 경우라면 단말기에서 새로 문서ID를 생성해서 서버로 업로드할 수 있다. 또는 단말기에서는 문서가 새로 생성되었음을 알 수 있는 정보를 작성정보에 포함해서 서버에 업로드하면, 서버에서 새로 문서ID를 할당해서 다시 단말이 이 정보를 받아서 링크문서에 기재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작성자ID는 단말기별로 기저장된 ID를 활용함으로써 누구에 의해서 수정 또는 새로 작성되었는지를 알 수 있는 정보를 의미한다.
다시 도2로 돌아와서, A단말기(110)에서 B단말기(120)로 저장된 문서를 넘겨준다. 앞서도 말한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어떠한 방식으로 넘겨주더라도 적용할 수 있다.
이후 B단말기(120)가 넘겨받은 문서를 불러오기(오픈)을 수행한다. 이 경우 B단말기(120)는 상기 문서의 해더부에서 서버의 주소를 참조한 후, 해당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문서의 문서ID에 속하는 필요한 정보를 다운로드한다(S250).
그러면 해당 문서ID 즉 해당 문서가 언제 누구에 의해서 어떻게 수정되었는 지를 알 수 있다. 사용자는 이 때 해당 문서의 히스토리를 그래픽화된 내용으로 볼 수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이하 도4a 및 도4b에서 자세히 후술한다.
그리고 B단말기(120)에서 문서를 수정하면(S255), B단말기(120)는 해당 문서가 연결문서인지를 판별한다(S260). 문서를 최초 작성시에 A단말기에서 링크문서로 설정(S230-Y)하였다면, 상기 문서는 현재 링크문서이며(S260-Y) 따라서 앞서 설명한 S235단계와 유사하게 서버로 업로드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265).
물론, B단말기(120)의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상기 링크 문서를 일반 문서로 전환하는 것 역시도 가능하며, 이 경우에는 B단말기(120)내부에만 저장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각 단말기가 최초 문서를 작성하고 저장하는 시점에 링크문서여부를 설정하는 것으로 예를 들었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다. 시스템 구현자의 의도에 따라 사용자가 문서 작성시 옵션등을 이용해서 상기 문서를 링크문서 또는 일반문서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문서를 저장하는 시점에 문서가 링크문서로 설정되었는지 여부를 판별한 후, 문서를 서버에 업로드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 역시도 일 실시예에 불과하다. 따라서 저장시뿐만 아니라 애플리케이션이 종료될 때라던가 또는 일정간격을 두고, 서버에 업로드하는 것 역시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서버에 저장된 작성정보들의 일 예이다.
도 4a의 내용은 aa라는 문서에 대해서 우선 2008년 8월 5일에 AA라는 단말기(또는 AA라는 사용자)가 최초로 작성한 후, BB 및 CC라는 사람들과 서로 작업하 면서 수정이 이루어진 경우를 나타낸다.
도 4b는 2008년 9월 4일자에 CC가 최후로 수정된 문서를 넘겨받은 사용자가 단말기를 통해서 불러오기를 한 경우, 상기 문서 즉 링크문서의 히스토리 정보를 나타내는 그래픽 화면의 일 예이다.
상기 링크문서의 경우 CC가 2008년 9월4일에 수정한 링크문서인바, 해더부에는 문서ID로 aa, 버전ID로 04, 작성자ID로 CC라는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이 경우 문서를 불러오기 하면, 단말기는 우선 문서ID가 aa인 정보를 전부 검색한 후 이를 다운로드하여, 도 4b와 같이 그래픽화하여 보여준다.
도 4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자신이 받은 파일이 다른 사용자 즉 BB(ID를 직접 표시하는것도 무방하고 또는 ID와 대응되는 사용자명등을 따로 데이터베이스화해서 관리 한후에, 작성자ID에 대응되는 사용자명등을 표시하는 것도 무방하다.)가 2008년 9월 6일에 새로 수정된 사항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이 받은 문서에서 바로 수정하는 대신, 05번을 클릭하고 이렇게 되면 다시 05번에 해당하는 즉 2008년 9월 6일에 BB에 의해서 새로 작업된 최종본을 다운로드 받아서 이 문서로 작업을 할 수도 있다.
도 5a는 4b이후 AA가 05번 즉 2008년 9월 6일자 문서에서, 2008년 9월 10일에 새로 수정한 경우이다.
이전link 필드에는 본 링크문서가 어떤 문서에서 수정된 것인지를 나타내는 역활을 수행한다. 따라서 5a에서 AA가 2008년 9월 10일에 수정한 문서는 05번정보 즉 2008년 9월 6일자에 BB가 수정했던 문서에서 수정된 것임을 알 수 있다. 만약에 도 4b에 대한 설명에서 사용자가 05번을 클릭해서 최종본으로 작업하지 않고 그냥 작업하였다면 해당 이전link 필드는 05대신 04로 기록되고, 후술할 도5b 그림에서도 06번 그림은 04번하고 연결되었을 것이다.
도 5b는 서버의 작성정보가 도 5a와 같은 상황에서 최종본이 아닌 CC가 9월 4일에 수정한 파일을 받아서 열었을 때의 화면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이 가지고 있는 연결문서가 최종본이 아니고 9월4일에 편집된 문서이고, 이 이후에도 두번이나 수정되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가장 최신본을 클릭해서 이를 다운로드받아서 문서를 작성할 수도 있으며, 물론 이전버전을 다운로드 받아서 작성하더라도 무방하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한 네트워크상의 시스템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링크문서를 이용한 문서이력관리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링크문서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에 저장된 작성정보들과 단말기에서 표시되는 히스토리 정보의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5a 및 도 5b는 도 4a 및 도 4b에서 수정을 한번 더 한 경우의 작성정보들과 히스토리 정보의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Claims (20)

  1. 서버와 네트워크로 연결된 한 개 이상의 문서편집이 가능한 단말기로 이루어진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문서를 연결문서 형태로 단말기에 저장하고, 상기 서버에 상기 연결문서의 작성정보 및 문서내용을 업로드하는 저장하기모듈;
    문서 불러오기명령을 입력받은 경우, 상기 문서가 연결문서 형태인지 판단하고, 연결문서 형태인 경우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연결문서의 작성정보 및 문서내용을 다운로드하는 불러오기 모듈; 및
    상기 다운로드한 작성정보 및 문서내용을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표시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서버는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연결문서의 작성정보 및 문서내용을 송수신하는 통신모듈; 및
    상기 작성정보 및 문서내용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문서를 이용한 문서이력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모듈은
    상기 다운로드한 작성정보를 나열해서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작성정보 중에서 어느 하나에 대해서 선택하는 기능을 더 포함하며,
    상기 불러오기모듈은
    상기 선택된 작성정보에 대응하는 문서내용을 다운로드하여 불러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문서를 이용한 문서이력관리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하기모듈은
    상기 문서가 연결문서로 설정되었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서버에 상기 연결문서의 작성정보 및 문서내용을 업로드하는 기능은, 상기 문서가 연결문서로 설정된 경우에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문서를 이용한 문서이력관리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불러오기모듈은
    상기 서버와 네트워크 접속이 불가능한 경우,
    단말기내에 있는 연결문서파일 자체로부터 문서내용을 불러오는 것을 특징으 로 하는 연결문서를 이용한 문서이력관리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모듈은
    연결문서의 작성정보 및 문서내용이 수신된 경우,
    상기 연결문서가 기저장되었는지를 체크한 후,
    기저장되지 않는 경우에는 문서내용 전부를 저장하고,
    기저장된 경우에는 문서내용 중에서 변경내용만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문서를 이용한 문서이력관리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성정보는
    연결문서별로 하나씩 생성되는 문서ID 및 저장을 수행할때마다 새로 생성되는 버전ID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문서를 이용한 문서이력관리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문서는
    상기 문서ID 및 서버의 주소 정보가 포함되는 해더부; 및
    문서의 내용이 저장되는 컨텐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문서를 이용한 문서이력관리 시스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작성정보에는
    문서를 저장한 단말기를 나타내는 작성자ID, 저장한 시점을 나타내는 수정일자 및 저장하기전의 이전의 문서를 나타내는 이전LINK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문서를 이용한 문서이력관리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모듈은
    상기 작성정보에 포함된
    작성자ID, 수정일자 및 이전LINK를 이용하여
    상기 연결문서가 문서가 누구에 의해서 어느 시점에 수정되었는지 여부를 그래픽화해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문서를 이용한 문서이력관리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하기모듈은
    상기 서버에 업로드하기 전에 암호화하는 기능을 더 포함하고,
    상기 불러오기모듈은
    상기 서버로부터 다운로드받은 후에 복호화하하는 기능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문서를 이용한 문서이력관리 시스템.
  11. 문서편집이 가능한 단말기에 있어서,
    문서를 연결문서 형태로 상기 단말기에 저장함과 동시에 네트워크를 통해서 외부 서버에 상기 연결문서의 작성정보 및 문서내용을 업로드하는 저장하기모듈; 및
    문서 불러오기명령을 입력받은 경우,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연결문서의 작성정보 및 문서내용을 다운로드하는 불러오기 모듈; 및
    상기 다운로드한 작성정보 및 문서내용을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표시모듈;을 포함하는 문서편집이 가능한 단말기.
  12. 외부 단말기로부터 연결문서의 작성정보 및 문서내용을 송수신하는 통신모 듈; 및
    상기 작성정보 및 문서내용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문서를 관리하는 서버.
  13. 서버와 네트워크로 연결된 다수의 사용자 단말기로 이루어진 시스템에 있어서,
    단말기가 문서 저장하기 명령을 입력받은 경우, 상기 단말기가 문서를 단말기내에 저장하는 로컬저장단계;
    상기 문서를 연결문서형태로 설정하는 연결문서설정단계;
    상기 연결문서의 작성정보 및 작성된 문서내용을 서버에 업로드하는 문서작성단계;
    단말기가 문서 불러오기 명령을 입력받은 경우, 상기 문서가 연결문서 형태인 경우, 상기 단말기가 서버로부터 상기 연결문서의 작성정보 및 문서내용을 다운로드하고, 상기 작성정보 및 문서내용을 표시하는 문서표시단계; 및
    상기 단말기가 상기 다운로드받은 연결문서를 수정한 후, 상기 연결문서를 단말기내에 저장하고, 상기 연결문서의 작성정보 및 문서내용을 서버에 업로드하는 문서수정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크문서를 이용한 문서이력관리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다운로드받은 작성정보들중에서
    단말기가 어느 한 작성정보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작성정보에 해당하는 문서내용을 다운로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크문서를 이용한 문서이력관리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문서수정단계는
    상기 연결문서가 연결문서형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연결문서판단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문서의 작성정보 및 문서내용을 서버에 업로드는 상기 연결문서판단단계에서 연결문서가 연결문서형태로 판단된 경우에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문서를 이용한 문서이력관리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가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연결문서가 기저장되었는지를 체크한 후,
    기저장되지 않는 경우에는 문서내용 전부를 저장하고,
    기저장된 경우에는 문서내용 중에서 변경내용만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문서를 이용한 문서이력관리방법.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문서는
    상기 문서ID 및 서버의 주소 정보가 포함되는 해더부; 및
    문서의 내용이 저장되는 컨텐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문서를 이용한 문서이력관리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작성정보에는
    문서를 저장한 단말기를 나타내는 작성자ID, 저장한 시점을 나타내는 수정일자 및 저장하기전의 이전의 문서를 나타내는 이전LINK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문서를 이용한 문서이력관리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작성정보에 포함된
    작성자ID, 수정일자 및 이전LINK를 이용하여
    상기 연결문서가 문서가 누구에 의해서 어느 시점에 수정되었는지 여부를 그래픽화해서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문서를 이용한 문서이력관리방법.
  20. 단말기에 설치되는 문서편집이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에 있어서,
    상기 문서를 연결문서 형태로 단말기에 저장하고, 상기 서버에 상기 연결문서의 작성정보 및 문서내용을 업로드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문서 불러오기명령을 입력받은 경우, 상기 문서가 연결문서 형태면 연결문서에 포함된 해더정보를 토대로 외부의 네트워크로부터 서버로부터 상기 연결문서의 작성정보 및 문서내용을 다운로드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다운로드한 작성정보 및 문서내용을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080137831A 2008-12-31 2008-12-31 연결문서를 이용한 문서의 히스토리관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KR1010750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7831A KR101075023B1 (ko) 2008-12-31 2008-12-31 연결문서를 이용한 문서의 히스토리관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7831A KR101075023B1 (ko) 2008-12-31 2008-12-31 연결문서를 이용한 문서의 히스토리관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9370A true KR20100079370A (ko) 2010-07-08
KR101075023B1 KR101075023B1 (ko) 2011-10-20

Family

ID=426404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7831A KR101075023B1 (ko) 2008-12-31 2008-12-31 연결문서를 이용한 문서의 히스토리관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502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37620A1 (en) * 2014-03-12 2015-09-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alendar displaying work history of document
WO2016018096A1 (en) * 2014-07-31 2016-02-04 Fasoo. Com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document synchronization in a distributed server-client environment
KR101716741B1 (ko) * 2016-05-17 2017-03-17 (주)쿠쿠닥스 모바일 메신저 상의 문서 공유 방법 및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7255B1 (ko) * 2012-11-08 2019-03-1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 내 폰북데이터 생성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93142B1 (en) 1996-12-25 2001-02-27 Nissan Motor Co., Ltd. Assembling apparatus assembling body side of automotive vehicle and assembling method thereof
KR100414406B1 (ko) 2001-08-09 2004-01-14 주식회사 핸디소프트 문서 버전 관리가 가능한 워크플로우 시스템 및 이를이용한 문서 버전 관리 방법
JP4329319B2 (ja) * 2002-09-20 2009-09-09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ファイル管理システム、ファイル管理方法
JP2007272777A (ja) * 2006-03-31 2007-10-18 Canon Inc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37620A1 (en) * 2014-03-12 2015-09-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alendar displaying work history of document
US10540428B2 (en) 2014-03-12 2020-01-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alendar displaying work history of document
US10540429B2 (en) 2014-03-12 2020-01-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alendar displaying work history of document
US11222173B2 (en) 2014-03-12 2022-01-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alendar displaying work history of document
WO2016018096A1 (en) * 2014-07-31 2016-02-04 Fasoo. Com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document synchronization in a distributed server-client environment
KR20160015786A (ko) * 2014-07-31 2016-02-15 주식회사 파수닷컴 문서 동기화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그 기록매체
JP2016035746A (ja) * 2014-07-31 2016-03-17 ファスー ドット コム 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Fasoo. Com Co., Ltd 文書同期化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およびその記録媒体
CN105453127A (zh) * 2014-07-31 2016-03-30 飞索科技有限公司 分布式服务器-客户端环境中的文档同步的方法和系统
US10248624B2 (en) 2014-07-31 2019-04-02 Fasoo.Com, Inc. Method and system for document synchronization in a distributed server-client environment
KR101716741B1 (ko) * 2016-05-17 2017-03-17 (주)쿠쿠닥스 모바일 메신저 상의 문서 공유 방법 및 시스템
US9794763B1 (en) 2016-05-17 2017-10-17 Kukudocs Inc. Method and system for sharing documents on mobile messenger
WO2017200176A1 (ko) * 2016-05-17 2017-11-23 (주)쿠쿠닥스 모바일 메신저 상의 문서 공유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75023B1 (ko) 2011-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907110B (zh) 一种用于文档协作的方法及系统
US1143828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email attachments management including changing attributes
US8751926B2 (en) Intelligent rendering on a mobile computing device
JP5503648B2 (ja) 構造化共同オーサリング
US8005710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caching and synchronizing project data
JP6002211B2 (ja) ファイルの共有バージョンの参照のためのファイル内へのメタデータの格納
US8037146B2 (en) Email annotation
US9986032B2 (en) Client calculation of links to network locations of files to upload
US20100174656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ordinating Building And Construction Activities
US20110191688A1 (en) Network system, server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US20080235681A1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retrieving schedule information from a remote location for an electronic calendar
CN105474206A (zh) 支持按需数据传输的虚拟同步
TWI446808B (zh) 訊息管理方法、系統與行動裝置及所使用之電腦程式產品
EP2461615A1 (en) Method for backing up terminal data and system thereof
KR100590982B1 (ko) 메모 및 일정관리 시스템
US20100017694A1 (en)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 for creating and annotating content
US20110202574A1 (en) Document management device, document management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KR101075023B1 (ko) 연결문서를 이용한 문서의 히스토리관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CN107710189B (zh) 文档间的内容多模式共享
US20090228427A1 (en) Managing document work sets
JP2005267614A (ja) 情報処理システム、サーバ装置、サーバ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CN113238997A (zh) 终端设备用的云端数据操作方法、存储介质和终端设备
US8230354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dynamic branding in a computer program or suite
CA2608802C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dynamic branding in a computer program or suite
JP2004086366A (ja) 文書表示システム、文書表示方法及び文書表示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