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78091A - 상수도 관망도 검증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상수도 관망도 검증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78091A
KR20100078091A KR1020080136242A KR20080136242A KR20100078091A KR 20100078091 A KR20100078091 A KR 20100078091A KR 1020080136242 A KR1020080136242 A KR 1020080136242A KR 20080136242 A KR20080136242 A KR 20080136242A KR 20100078091 A KR20100078091 A KR 201000780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network
error
network
water supply
verif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62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93798B1 (ko
Inventor
김동홍
김성한
손동완
송인재
Original Assignee
한국수자원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수자원공사 filed Critical 한국수자원공사
Priority to KR10200801362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3798B1/ko
Publication of KR201000780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80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37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37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conomics (AREA)
  • Geometr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산화된 상수도 관망도 검증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전산화된 상수도 관망도를 구성하는 적어도 두 개의 구성요소 중에서 특정 구성요소에 존재하는 연결오류를 탐색하여 수정하고, 상수도 관망도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요소들의 연결오류를 검증하며 상수도 관망도를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에 대한 입력오류를 검증한 후 검증된 연결오류 및 입력오류를 수정하여 상수도 관망도에 존재하는 오류의 수정을 완료함으로써 전산화된 상수도 관망도에 존재하는 오류발생 시설물을 보다 쉽게 확인하여 수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수도, 관망도, 관망도 전산화, 상수도 검증, 오류수정, 오류 검증, 상수도관망도 검증

Description

상수도 관망도 검증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Verifying of Water Distribution Networks}
본 발명은 전산화된 상수도 관망도 검증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전산화된 상수도 관망도에 존재하는 연결오류 및 입력오류를 검증하여 검증된 각각의 오류를 수정하는 상수도 관망도 검증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신도시의 건설, 인구의 도시집중화 등 도시화의 팽창으로 인하여 상수도 수요의 증가추세에 따라 상수도 시설을 새로이 설치를 하고, 기존의 상수도 시설을 정비 및 확충을 수행하여 안정적인 급수체계를 갖추는 일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일반적으로 현재 공공기관에서의 상수도 시설의 유지 보수 및 관리를 실행할 때는 상수도 시설 관련 설계용역, 광역상수도 수도시설의 기본 및 실시설계, 상수도 시설의 확장 기본 및 실시설계, 수도정비 기본계획 및 실시설계용역, 송수관로 실시설계, 배수지설계 등에 해당하는 보고서와 상수도 관리대장 도면 등의 문서형태들을 토대로 하는 수작업 형태의 상수도 시설운영을 하고 있는 것이 현 실태이 다.
그러나, 상수도 시설은 시설망 자체가 복잡한 다단계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상수도 시설의 속성상 어떤 특정부위의 변화에 따라 이를 육안으로 식별하여 그에 알맞은 조치를 취하기가 곤란하다.
체계적인 상수도 시설의 관리를 위해 상수도 관망도의 전산화를 추진하고 있으나, 전산화의 경험부족으로 인하여 전산화를 위한 시간이 과다하게 소요되고, 전산화된 상수도 관망도에 대하여 검수를 수행하고 있으나, 검수시간이 과다소요, 인력의 소모 등으로 인한 업무 효율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전산화된 상수도 관망도에 오류가 많이 발생하기 때문에 상수도 관망도에 대한 신뢰도가 결여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전산화된 상수도 관망도에 존재하는 오류를 검증하고, 검증된 오류를 수정하는 상수도 관망도 검증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상수도 관망도 검증 방법은 상수도 관망도 검증 시스템에서 CAD 프로그램과 ArcGI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전산화된 상수도 관망도에 존재하는 오류 수정의 기반이 되는 관망도 기초 데이터를 생성하는 생성단계, 상기 상수도 관망도 검증 시스템이 상기 ArcGI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기 생성된 기초 데이터를 기준으로 상기 상수도 관망도를 구성하는 적어도 두 개의 특정 구성요소에 대한 연결오류를 탐색하여 탐색된 상기 연결오류를 수정하는 제1 수정단계, 상기 상수도 관망도 검증 시스템이 상기 ArcGI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기 연결오류가 수정된 상기 상수도 관망도에서 상기 연결오류에 대한 탐색이 불가능하여 수정되지 않은 연결오류, 상기 상수도 관망도를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에 대한 입력사항들의 입력오류를 검증하는 검증단계, 상기 상수도 관망도 검증 시스템이 상기 CAD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기 검증된 연결오류와 입력오류를 수정하여 상기 상수도 관망도에 존재하는 오류의 수정을 완료하는 제2 수정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수정단계는 상기 상수도 관망도 검증 시스템이 상기 ArcGI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기 상수도 관망도를 구성하는 구성요소 중 특정 구성요소들에 대한 연결오류가 존재하면 상기 연결오류를 수정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수도 관망도 검증 시스템이 상기 검증단계에서 상기 연결오류의 검증은 상기 상수도 관망도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요소들에 대한 연결오류를 검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수도 관망도 검증 시스템은 상기 제2 수정단계 이전에 상기 CAD 프로그램에서 상기 연결오류와 입력오류에 대한 검증결과를 특정 확장자를 갖는 파일로 생성하여 저장하고 상기 파일을 호출하는 호출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특정 구성요소들에 대한 연결오류는 적어도 두 개의 특정 구성요소가 연결되지 않은 거리가 임계값 이하일 경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상수도 관망도 검증 시스템은 외부로부터 전산화된 상수도 관망도에 존재하는 오류를 수정하기 위한 신호를 입력받아 전송하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로부터 상기 오류를 수정하기 위한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상수도 관망도에 존재하는 연결오류를 탐색하여 상기 탐색된 연결오류를 수정하고, 상기 상수도 관망도에서 탐색이 불가능하여 수정되지 않은 연결오류를 검증하고, 상기 상수도 관망도를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에 대한 입력사항들의 입력오류를 검증하여 검증된 오류를 수정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오류가 수정된 상수도 관망도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수도 관망도를 구성하는 구성요소 중에서 특정 구성요소들에 대한 연결오류가 탐색되면 상기 특정 구성요소들을 연결하여 상기 연결오류를 수정하는 오류수정부와, 상기 상수도 관망도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요소들에 대한 연결오류를 검증하고, 상기 상수도 관망도를 구성하는 구성요소들에 대한 입력사항들의 입력오류의 검증을 수행하는 검증부를 포함하는 검증확인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검증확인부는 상기 연결오류 및 입력오류에 대한 검증결과를 특정 확장자를 갖는 파일로 생성하여 저장부에 저장하는 파일생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파일생성부에서 변환된 검증결과의 파일을 호출하는 파일호출부와, 상기 검증확인부에서 검증된 연결오류 및 입력오류를 수정하여 상기 상수도 관망도에 존재하는 오류 수정을 완료하는 관망도수정부를 포함하는 관망도확인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관망도확인부는 상기 상수도 관망도에 존재하는 오류를 수정하는 기반이 되는 전산화된 상수도 관망도를 생성하는 관망도생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검증확인부는 상기 관망도생성부에서 생성된 특정 확장자를 갖는 파일로 변환된 상기 전산화된 상수도 관망도를 이용하여 관망도 기초 데이터를 생성하는 데이터생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검증확인부와 상기 관망도확인부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각각 ArcGIS 프로그램과 CAD 프로그램을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오류수정부는 상기 상수도 관망도를 구성하는 구성요소 중에서 적어도 두 개의 특정 구성요소가 연결되지 않은 거리가 임계값 이하인 경우를 연결오류로 탐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전산화된 상수도 관망도에 존재하는 오류를 검증하고, 검증된 오류를 수정함으로써, 전산화된 상수도 관망도의 검수시간 및 검수인력의 소모를 감소할 수 있고, 상수도 관망도에 존재하는 오류수정 시 소모되는 시간을 감소할 수 있으며, 상수도 관망도에 대한 신뢰도를 향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수도 관망도에 존재하는 오류의 위치와 종류를 표시함으로써, 오류발생 시설물을 보다 쉽게 확인하여 수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다만,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잘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가급적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핵심을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관망도"는 상수도가 형성된 지형을 따라 상수도를 이루는 사업장, 상수관로, 급수관로, 밸브류, 수도계량기, 소방시설, 유량계, 수압계 등이 표시되는 도면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수도 관망도 검증 시스템의 주요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수도 관망도 검증 시스템(100)은 입력부(110), 표시부(120), 제어부(130), 저장부(160)를 포함한다.
입력부(110)는 사용자의 입력행위를 감지하여 감지된 입력에 대응되는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130)로 제공하는 장치로서, 통상적인 키보드, 마우스 등 이들에 상응하는 입력장치들이 사용된다.
표시부(120)는 제어부(130)의 제어에 의해 상수도 관망도 검증 시스템(100)에서 수행되는 일련의 과정들을 표시하는 장치로서, 통상적인 모니터 등이다. 아울러, 표시부(120)가 터치스크린(touch screen)의 형태일 경우, 표시부(120)는 입력부(110)의 역할도 같이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부(130)는 상수도 관망도를 검증하고 상수도 관망도를 수정하기 위한 상수도 관망도 검증 시스템(100)의 각 구성요소에 대한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30)는 검증확인부(140)와 관망도확인부(150)를 포함한다. 이때, 검증확인부(140)는 데이터생성부(141), 오류수정부(142), 검증부(143), 파일생성부(144)를 포함하고, 관망도확인부(150)는 관망도생성부(151), 파일호출부(152), 관망도수정부(153)를 포함한다. 아울러, 제어부(130)는 검증확인부(140)와 관망도확인부(150)를 제어하여 각각 CAD 프로그램과 ArcGIS 프로그램을 구동하도록 한다.
관망도확인부(150)의 관망도생성부(151)는 저장부(160)에 저장된 CAD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상수도 관망도에 존재하는 오류 수정의 기반이 되는 전산화된 상수 도 관망도를 생성하고 이를 저장부(160)에 저장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관망도생성부(151)는 상수도 원도를 표준코드 등을 이용하여 상수도 관망도 입력기준에 따라 입력, 편집하거나 상수도 시설물(이하, 도형이라함)의 수정, 보완을 수행하도록 하기 위해 다수의 상수도 원도를 상수도 관망도에 해당하는 표준 레이어로 변경한다. 이때, 표준코드는 건설교통부에서 제시된 지방자치단체의 상,하수도의 시설물관리를 위한 범용프로그램의 기본설계서 및 품질인증기준을 참고한다.
그리고 관망도생성부(151)는 변경된 표준 레이어에 해당하는 상수도 관망도를 이용하여 ArcGIS 프로그램에서 검증할 수 있도록 특정 확장자(예컨대, shape 형태의 파일, .shp)를 갖는 파일로 변환하여 저장부(160)에 저장한다.
그리고 검증확인부(140)의 데이터생성부(141)는 저장부(160)에 저장된 ArcGIS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저장부(160)에 저장된 특정 확장자를 갖는 파일로 변환된 상수도 관망도를 호출한다. 그리고 데이터생성부(141)는 호출된 상수도 관망도에 존재하는 오류를 유형별로 검출하기 위해 위상구조(이하, 토폴로지라 함)를 생성하여 저장부(160)에 저장한다. 이때, 토폴로지는 각각 분리된 도형들을 통합시켜 하나의 도형으로 인식하기 위한 피쳐 데이터셋(feature dataset)을 포함하고, 기초 데이터는 토폴로지를 의미한다.
아울러, 데이터생성부(141)는 토폴로지 생성 시에 허용오차(예컨대, 0.01meter)를 설정하는데 이 허용오차는 피쳐 데이터셋을 생성할 때에 각각 분리된 도형들의 거리가 허용오차만큼인 경우에는 분리된 것으로 인식하지 않고 연결된 것으로 인식하도록 하는 오차범위이다.
검증확인부(140)의 오류수정부(142)는 일반적으로 시작점 도형과 끝점 도형으로 서로 연결되어 구성된 도형들에서 이러한 연결관계에 벗어나는 도형을 오류로 판단한다. 그리고 오류수정부(142)는 연결관계에서 벗어나는 시설물을 연결시킴으로써 상수도 관망도에 존재하는 오류를 수정한다. 결과적으로, 오류수정부(142)는 토폴로지에 존재하는 오류를 수정함으로써 상수도 관망도를 수정한다.
이를 위해, 오류수정부(142)는 입력부(110)의 입력에 의해 저장부(160)에 저장된 ArcGIS 프로그램을 구동하고 저장부(160)에 저장된 상수도 관망도의 토폴로지를 호출하여 호출된 토폴로지를 표시부(120)에 표시한다. 오류수정부(142)는 기설정된 특정 구성요소(이하, 특정 도형이라함)들에 존재하는 연결오류만을 수정한다. 이때, 기설정된 특정 도형들은 상수관로-급수관로, 급수관로-수도계량기, 상수관로-밸브를 나타내고, 일반적으로 특정 도형들은 사용자의 입력실수에 의해 발생되기 때문에 오류수정부(142)는 이러한 오류를 자동으로 수정한다.
이때, 오류수정부(142)는 임계값을 갖고, 기설정된 특정 도형들이 연결되지 않은 거리가 임계값 이하일 경우에만 연결관계에 벗어나는 도형으로 인식한 후 연결관계에 벗어나는 도형을 연결함으로써 연결오류를 수정한다. 오류수정부(142)는 연결오류가 수정되면 수정결과를 파일생성부(144)로 제공한다.
검증확인부(140)의 검증부(143)는 상수도 관망도의 토폴로지를 구성하는 모든 도형들에 대해 연결관계를 검증하고, 검증이 완료된 이후에 연결관계에 대한 검증결과를 파일생성부(144)로 제공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검증부(143)는 상수관로, 급수관로, 누수지점, 수원지 등 상수도를 구성하는 14개의 도형에 대하여 26개의 연결오류에 대한 검증을 수행한다. 이때, 26개의 연결오류는 10개의 면형(Polygon)연결오류, 12개의 선형(Line)연결오류, 4개의 점형(Point)연결오류를 의미한다.
또한, 검증부(143)는 각 도형별 입력사항들의 입력여부를 검증하고, 검증이 완료된 이후에 입력여부에 대한 검증결과를 파일생성부(144)로 제공한다. 이때, 각 도형별 입력사항은 지물부호, 관리번호, 행정구역 등을 포함하는 입력데이터로서, 상수도를 구성하는 14개의 도형들 각각의 특징에 맞는 입력데이터를 의미한다.
검증확인부(140)의 파일생성부(144)는 오류수정부(142)에서 연결오류가 수정된 이후에 입력부(110)를 통해 파일 생성신호가 수신되면 상수관로-급수관로, 급수관로-수도계량기, 상수관로-밸브에 존재하는 연결오류가 수정된 수정결과에 해당하는 파일을 특정 확장자를 갖는 파일로 생성하여 저장부(160)에 저장한다.
또한, 파일생성부(144)는 검증부(143)에서 연결관계 검증 또는 입력여부 검증이 완료된 이후에 입력부(110)를 통해 파일 생성신호를 수신하면 연결관계 검증결과 또는 입력여부 검증결과에 해당하는 파일을 특정 확장자를 갖는 파일로 생성하여 저장부(160)에 저장한다.
관망도확인부(150)의 파일호출부(152)는 저장부(160)에 저장된 CAD 프로그램을 구동하고 입력부(110)로부터 저장부(160)에 저장된 특정 확장자를 갖는 파일 중 검증결과에 대한 파일호출신호가 입력되면 수신된 파일호출신호에 대응되는 파일을 저장부(160)에서 호출한다. 파일호출부(152)는 호출된 파일을 표시부(120)에 표시하되, 오류가 존재하는 부분에 입력부(160)에서 선택된 특정 표식을 표시한다.
관망도확인부(150)의 관망도수정부(153)는 입력부(110)로부터 오류가 존재하 는 도형에 입력이 발생하거나, 표식에 입력이 발생하면 입력에 해당하는 도형에 존재하는 오류를 수정한다. 예컨대, 도형들의 연결관계에 존재하는 오류에 입력이 발생하면, 연결관계에 오류가 존재하는 도형을 연결하여 오류를 수정한다. 또한, 입력사항이 입력되지 않은 오류가 존재하는 도형에 입력이 발생하면, 입력사항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하여 오류를 수정한다.
저장부(160)는 상수도 관망도 검증 시스템(100)의 동작 및 상태 또는 제어부(130)의 제어 시 필요한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한다. 특히, 저장부(160)는 검증확인부(140)에서 구동되는 ArcGIS 프로그램과 관망도확인부(150)에서 구동되는 CAD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아울러, 저장부(160)는 데이터생성부(141)에서 생성된 상수도 관망도에 존재하는 오류의 수정 기반이 되는 관망도 기초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망도생성부(151)에서 생성된 표준 레이어로 변경된 전산화된 상수도 관망도를 저장한다. 저장부(160)는 파일생성부(144)에서 생성된 특정 확장자를 갖는 파일을 저장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수도 관망도 검증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S201단계는 상수도 관망도 검증을 위한 기초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S201단계에서 관망도확인부(150)의 관망도생성부(151)는 CAD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상수도 관망도에 존재하는 오류 수정의 기반이 되는 전산화된 상수도 관망도를 생성하고 이를 저장부(160)에 저장한다. 이때, 관망도생성 부(151)는 상수도 원도를 표준코드 등을 이용하여 상수도 관망도 입력기준에 따라 입력, 편집하거나 상수도 도형들의 수정, 보완을 수행하기 위해 다수의 상수도 원도를 상수도 관망도에 해당하는 표준 레이어로 변경하고, 변경된 표준 레이어를 특정 확장자를 갖는 파일로 변환하여 저장부(160)에 저장한다.
그리고 검증확인부(140)의 데이터생성부(141)는 ArcGIS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저장부(160)에 저장된 특정 확장자를 갖는 파일로 변환된 상수도 관망도에 대한 오류를 유형별로 검출하기 위한 기초 데이터인 토폴로지를 생성하여 저장부(160)에 저장한다.
이어서, S202단계 내지 S204단계는 상수도 관망도에 존재하는 연결오류를 자동으로 수정하기 위한 단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S202단계에서 오류수정부(142)는 ArcGIS 프로그램을 구동하고, 입력부(110)로부터 기초 데이터의 호출 신호가 수신되면 S203단계로 진행하며, 기초 데이터의 호출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호출 신호의 수신을 대기한다.
S203단계에서 오류수정부(142)는 입력부(110)로부터 수신된 기초 데이터의 호출 신호에 따라 저장부(160)에 저장된 토폴로지를 호출하여 표시부(120)에 표시한다. 그리고 S204단계에서 오류수정부(142)는 기설정된 특정 도형들에 존재하는 연결오류를 수정한다. 이때, 기설정된 특정 도형들은 상수관로-급수관로, 급수관로-수도계량기, 상수관로-밸브를 나타낸다. 아울러, 오류수정부(142)는 임계값을 갖고, 기설정된 특정 도형들이 연결되지 않은 거리가 임계값 이하일 경우에만 연결관계에 벗어나는 도형으로 인식한 후 연결관계에 벗어나는 도형을 연결함으로써 연결 오류를 수정한다.
이후, S205단계에서 오류수정부(142)는 입력부(110)로부터 파일생성신호가 수신되면 S206단계로 진행하고, 파일생성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파일생성신호의 수신을 대기한다.
S206단계에서 오류수정부(142)는 입력부(110)로부터 수신된 파일생성신호에 응답하여 S204단계에서 연결오류가 수정된 수정결과를 파일생성부(144)로 제공하고, 이를 수신한 파일생성부(144)는 수정결과에 해당하는 파일을 특정 확장자를 갖는 파일로 생성하여 저장부(160)에 저장한다.
이어서, S207단계 내지 S210단계는 상수도 관망도에 존재하는 도형연결 오류와 객체데이터 오류를 검증하기 위한 단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S207단계에서 검증부(143)는 상수도 관망도를 구성하는 모든 도형들에 대해 연결관계를 검증하고, S208단계에서 검증부(143)는 각 도형의 객체 데이터에 대한 오류를 검증한다. 즉, S208단계에서 검증부(143)는 각 도형별 입력사항들의 입력여부를 검증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검증부(143)는 상수관로, 급수관로, 누수지점, 수원지 등 상수도를 구성하는 14개의 도형들에 대하여 26개의 연결오류에 대한 검증을 수행한다. 그리고 검증부(143)는 상수도를 구성하는 14개의 도형들 각각의 특징에 맞는 지물부호, 관리번호, 행정구역 등의 입력사항들에 대한 입력여부를 검증한다.
S209단계에서 검증부(143)는 입력부(110)로부터 파일생성신호가 수신되면 S210단계로 진행하고, 파일생성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파일생성신호의 수신을 대 기한다.
S210단계에서 검증부(143)는 입력부(110)로부터 수신된 파일생성신호에 응답하여 S207단계와 S208단계에서 검증된 연결관계 검증결과, 입력여부 검증결과에 대한 파일을 파일생성부(144)로 제공하고, 이를 수신한 파일생성부(144)는 검증결과에 해당하는 파일을 특정 확장자를 갖는 파일로 생성하여 저장부(160)에 저장한다.
이어서, S211단계 내지 S214단계는 상수도 관망도에 존재하는 오류내역을 확인하여 수정하는 단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S211단계에서 파일호출부(152)는 입력부(110)로부터 저장부(160)에 저장된 특정 확장자를 갖는 파일 중 검증결과에 대한 파일호출신호가 수신되면 S212단계로 진행하고, 파일호출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파일호출신호의 수신을 대기한다.
S212단계에서 파일호출부(152)는 수신된 파일호출신호에 따라 저장부(160)에 저장된 검증결과의 파일 중 파일호출신호에 해당하는 파일을 호출하여 표시부(120)에 표시한다. 이때, 파일호출부(152)는 호출된 파일을 표시부(120)에 표시하되, 검증결과 오류가 존재하는 부분에 오류가 존재함을 알리는 표식을 표시한다.
그리고 S213단계에서 관망도수정부(153)는 입력부(110)로부터 오류가 존재하는 도형 또는 오류를 나타내는 표식에 신호가 발생하면 오류를 수정하기 위한 수정신호로 인식한다. 관망도수정부(153)는 입력부(110)로부터 수정신호가 수신되면 S214단계로 진행하며, 수정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수정신호의 수신을 대기한다.
S214단계에서 관망도수정부(153)는 입력부(110)로부터 수신되는 수정신호에 의해 오류가 존재하는 도형의 오류를 수정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관망도수정부(153)는 도형의 연결관계에 존재하는 오류에 입력이 발생하면, 연결관계에 오류가 존재하는 도형을 연결하여 오류를 수정한다. 또한, 필수입력사항 또는 표준명칭이 입력되지 않은 오류가 존재하는 도형에 입력이 발생하면, 필수입력사항 또는 표준명칭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하여 오류를 수정한다.
지금까지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상수도 관망도 검증 방법 및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수도 관망도 검증 시스템의 주요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수도 관망도 검증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입력부 120: 표시부
130: 제어부 140: 검증확인부
141: 데이터생성부 142: 오류수정부
143: 검증부 144: 파일생성부
150: 관망도확인부 151: 관망도생성부
151: 파일호출부 153: 관망도수정부
160: 저장부

Claims (13)

  1. 상수도 관망도 검증 시스템에서 CAD 프로그램과 ArcGI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전산화된 상수도 관망도에 존재하는 오류 수정의 기반이 되는 관망도 기초 데이터를 생성하는 생성단계;
    상기 상수도 관망도 검증 시스템이 상기 ArcGI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기 생성된 기초 데이터를 기준으로 상기 상수도 관망도를 구성하는 적어도 두 개의 특정 구성요소에 대한 연결오류를 탐색하여 탐색된 상기 연결오류를 수정하는 제1 수정단계;
    상기 상수도 관망도 검증 시스템이 상기 ArcGI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기 연결오류가 수정된 상기 상수도 관망도에서 상기 연결오류에 대한 탐색이 불가능하여 수정되지 않은 연결오류, 상기 상수도 관망도를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에 대한 입력사항들의 입력오류를 검증하는 검증단계;
    상기 상수도 관망도 검증 시스템이 상기 CAD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기 검증된 연결오류와 입력오류를 수정하여 상기 상수도 관망도에 존재하는 오류의 수정을 완료하는 제2 수정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 관망도 검증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정단계는
    상기 상수도 관망도 검증 시스템이 상기 ArcGI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기 상수도 관망도를 구성하는 구성요소 중 특정 구성요소들에 대한 연결오류가 존재하면 상기 연결오류를 수정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 관망도 검증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수도 관망도 검증 시스템이 상기 검증단계에서 상기 연결오류의 검증은 상기 상수도 관망도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요소들에 대한 연결오류를 검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 관망도 검증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수정단계 이전에
    상기 상수도 관망도 검증 시스템은 상기 CAD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기 연결오류와 입력오류에 대한 검증결과를 특정 확장자를 갖는 파일로 생성하고 저장한 후 상기 파일을 호출하는 호출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 관망도 검증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구성요소들에 대한 연결오류는
    적어도 두 개의 특정 구성요소가 연결되지 않은 거리가 임계값 이하일 경우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 관망도 검증 방법.
  6. 외부로부터 전산화된 상수도 관망도에 존재하는 오류를 수정하기 위한 신호를 입력받아 전송하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로부터 상기 오류를 수정하기 위한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상수도 관망도에 존재하는 연결오류를 탐색하여 상기 탐색된 연결오류를 수정하고, 상기 상수도 관망도에서 탐색이 불가능하여 수정되지 않은 연결오류를 검증하고, 상기 상수도 관망도를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에 대한 입력사항들의 입력오류를 검증하여 검증된 오류를 수정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오류가 수정된 상수도 관망도를 표시하는 표시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 관망도 검증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수도 관망도를 구성하는 구성요소 중에서 특정 구성요소들에 대한 연결오류가 탐색되면 상기 특정 구성요소들을 연결하여 상기 연결오류를 수정하는 오류수정부와, 상기 상수도 관망도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요소들에 대한 연결오류를 검증하고, 상기 상수도 관망도를 구성하는 구성요소들에 대한 입력사항들의 입력오류의 검증을 수행하는 검증부를 포함하는 검증확인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 관망도 검증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검증확인부는
    상기 연결오류 및 입력오류에 대한 검증결과를 특정 확장자를 갖는 파일로 생성하여 저장부에 저장하는 파일생성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 관망도 검증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생성부에서 변환된 검증결과의 파일을 호출하는 파일호출부와, 상기 검증확인부에서 검증된 연결오류 및 입력오류를 수정하여 상기 상수도 관망도에 존재하는 오류 수정을 완료하는 관망도수정부를 포함하는 관망도확인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 관망도 검증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관망도확인부는
    상기 상수도 관망도에 존재하는 오류를 수정하는 기반이 되는 전산화된 상수도 관망도를 생성하는 관망도생성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 관망도 검증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검증확인부는
    상기 관망도생성부에서 생성된 특정 확장자를 갖는 파일로 변환된 상기 전산화된 상수도 관망도를 이용하여 관망도 기초 데이터를 생성하는 데이터생성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 관망도 검증 시스템.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검증확인부와 상기 관망도확인부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각각 ArcGIS 프로그램과 CAD 프로그램을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 관망도 검증 시스템.
  13.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오류수정부는
    상기 상수도 관망도를 구성하는 구성요소 중에서 적어도 두 개의 특정 구성요소가 연결되지 않은 거리가 임계값 이하인 경우를 연결오류로 탐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 관망도 검증 시스템.
KR1020080136242A 2008-12-30 2008-12-30 상수도 관망도 검증 방법 및 시스템 KR1009937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6242A KR100993798B1 (ko) 2008-12-30 2008-12-30 상수도 관망도 검증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6242A KR100993798B1 (ko) 2008-12-30 2008-12-30 상수도 관망도 검증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8091A true KR20100078091A (ko) 2010-07-08
KR100993798B1 KR100993798B1 (ko) 2010-11-12

Family

ID=426393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6242A KR100993798B1 (ko) 2008-12-30 2008-12-30 상수도 관망도 검증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3798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95041A (zh) * 2016-08-18 2017-01-04 淮安市水利勘测设计研究院有限公司 区域水利规划中的水系网络图绘制方法
US9582775B2 (en) 2012-12-10 2017-02-2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Techniques for iterative reduction of uncertainty in water distribution networks
KR101896059B1 (ko) * 2018-06-18 2018-09-06 지오로그(주) Gis와 통합된 상수관망 시스템
KR102313603B1 (ko) * 2021-04-28 2021-10-18 (주)삼안 상수도 및 하수도 관망 및 관로 설계 방법 및 장치
KR20220121063A (ko) * 2021-02-24 2022-08-31 주식회사 삼안 하수도 관망 및 관로 설계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261933B (zh) * 2011-04-19 2015-11-25 上海城市水资源开发利用国家工程中心有限公司 一种大用户用水模式确定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34573A (ja) 2003-05-08 2004-11-25 Hitachi Ltd Gisシステム及びgisシステムとcadシステムのデータ交換方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82775B2 (en) 2012-12-10 2017-02-2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Techniques for iterative reduction of uncertainty in water distribution networks
US10387590B2 (en) 2012-12-10 2019-08-2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Techniques for iterative reduction of uncertainty in water distribution networks
CN106295041A (zh) * 2016-08-18 2017-01-04 淮安市水利勘测设计研究院有限公司 区域水利规划中的水系网络图绘制方法
CN106295041B (zh) * 2016-08-18 2019-06-11 淮安市水利勘测设计研究院有限公司 区域水利规划中的水系网络图绘制方法
KR101896059B1 (ko) * 2018-06-18 2018-09-06 지오로그(주) Gis와 통합된 상수관망 시스템
KR20220121063A (ko) * 2021-02-24 2022-08-31 주식회사 삼안 하수도 관망 및 관로 설계 방법 및 장치
KR102313603B1 (ko) * 2021-04-28 2021-10-18 (주)삼안 상수도 및 하수도 관망 및 관로 설계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93798B1 (ko) 2010-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3798B1 (ko) 상수도 관망도 검증 방법 및 시스템
US9470591B2 (en) GIS enabled pipeline upgrading system
CN101702182A (zh) 发电厂设计中管道名称自动生成系统及方法
CN111814203B (zh) 一种环境数据的处理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03559399A (zh) 一种基于贝叶斯决策理论和遗传算法的输水管网漏失定位方法
CN105302709A (zh) 测试数据生成方法及设备
CN102203821A (zh) 综合基础设施管理支持系统
US2024011434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ecurity of a hydrocarbon system
US20130030778A1 (en)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 for Predicting Impact on a Pipeline Delivery Infrastructure
JP5503361B2 (ja) 導管網の故障原因予測システム
CN109840609B (zh) 拣货点数据校验方法及装置、存储介质、电子设备
JP6811102B2 (ja) 水道の維持管理支援システム及び水処理システム
KR20220003388A (ko) 전력 계통을 분석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CN110390725A (zh) 一种管道竣工图生成方法、装置和系统
KR102493362B1 (ko) Ai를 이용한 상수도 실시간 사고감지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3985154A (zh) 具有电压电流相序切换和智能感知功能的环保采集装置及采集方法
WO2020149074A1 (ja) プラント保守支援装置
Wu et al. Isolation Valve Placement Strategy for Resilience Improvement of Water Distribution Systems
US20240084975A1 (en) Method, internet of things system, and storage medium for assessing smart gas emergency plan
CN113591477B (zh) 基于关联数据的故障定位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Klein et al. Management of safe operations of natural gas assets in the digital age: New models to improve your safety performance
JP2018072195A (ja) ポンプ健全度評価装置、ポンプ健全度評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arpio et al. Effective Condition Assessment: Washington Suburban Sanitary Commission’s Industry Leading PCCP Management Program
CN118096440A (zh) 水系统管网管理方法、装置、存储介质和电子设备
KR20160076571A (ko) 가로등 상태 모니터링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