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77697A - 리프트 수단을 가지는 자동차 정비용 공구대 - Google Patents

리프트 수단을 가지는 자동차 정비용 공구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77697A
KR20100077697A KR1020080135719A KR20080135719A KR20100077697A KR 20100077697 A KR20100077697 A KR 20100077697A KR 1020080135719 A KR1020080135719 A KR 1020080135719A KR 20080135719 A KR20080135719 A KR 20080135719A KR 20100077697 A KR20100077697 A KR 201000776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l
column
screw
lift means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57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63868B1 (ko
Inventor
왕종문
Original Assignee
왕종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왕종문 filed Critical 왕종문
Priority to KR10200801357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3868B1/ko
Publication of KR201000776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76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38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38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HWORKSHOP EQUIPMENT, e.g. FOR MARKING-OUT WORK; STORAGE MEANS FOR WORKSHOPS
    • B25H1/00Work benches; Portable stands or supports for positioning portable tools or work to be operated on thereby
    • B25H1/0007Work benches; Portable stands or supports for positioning portable tools or work to be operated on thereby for engines, motor-vehicles or bicy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HWORKSHOP EQUIPMENT, e.g. FOR MARKING-OUT WORK; STORAGE MEANS FOR WORKSHOPS
    • B25H1/00Work benches; Portable stands or supports for positioning portable tools or work to be operated on thereby
    • B25H1/0021Stands, supports or guiding devices for positioning portable tools or for securing them to the work
    • B25H1/0035Extensible supports, e.g. telescop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HWORKSHOP EQUIPMENT, e.g. FOR MARKING-OUT WORK; STORAGE MEANS FOR WORKSHOPS
    • B25H1/00Work benches; Portable stands or supports for positioning portable tools or work to be operated on thereby
    • B25H1/12Work benches; Portable stands or supports for positioning portable tools or work to be operated on thereby with storage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HWORKSHOP EQUIPMENT, e.g. FOR MARKING-OUT WORK; STORAGE MEANS FOR WORKSHOPS
    • B25H3/00Storage means or arrangements for workshops facilitating access to, or handling of, work tools or instru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HWORKSHOP EQUIPMENT, e.g. FOR MARKING-OUT WORK; STORAGE MEANS FOR WORKSHOPS
    • B25H3/00Storage means or arrangements for workshops facilitating access to, or handling of, work tools or instruments
    • B25H3/02Boxes
    • B25H3/021Boxes comprising a number of connected storag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HWORKSHOP EQUIPMENT, e.g. FOR MARKING-OUT WORK; STORAGE MEANS FOR WORKSHOPS
    • B25H3/00Storage means or arrangements for workshops facilitating access to, or handling of, work tools or instruments
    • B25H3/02Boxes
    • B25H3/021Boxes comprising a number of connected storage elements
    • B25H3/023Boxes comprising a number of connected storage elements movable relative to one another for access to their interiors
    • B25H3/025Boxes comprising a number of connected storage elements movable relative to one another for access to their interiors by rotation about a common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HWORKSHOP EQUIPMENT, e.g. FOR MARKING-OUT WORK; STORAGE MEANS FOR WORKSHOPS
    • B25H5/00Tool, instrument or work supports or storage means used in association with vehicles; Workers' supports, e.g. mechanics' creep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프트 수단을 가지는 자동차 정비용 공구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부피가 큰 복수의 공구들을 수납하는 수납공간들을 가지는 제1 공구함(110)과 제1 공구함(110)의 상측에 탈착 가능하게 결속되며 부피가 작은 복수의 공구들을 수납하는 복수의 서랍장(121)들이 피봇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 공구함(120)을 가지는 공구대(100)와, 공구대(100)의 중심축부에 구비되어 자동차로부터 부품들의 탈착시 그 부품들을 지지하여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리프트수단(200)을 포함하는 리프트 수단을 가지는 자동차 정비용 공구대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공구를 수납하거나 걸이형식으로 보관하는 공구함이 복층으로 구성되는 공구대의 중앙부에 유압 등에 의해 승강 동작되는 리프트수단이 구비됨으로써, 리프트 기능과 공구함 또는 공구대 및 작업대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여 공간의 절약과 편리한 자동차 정비작업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공구대, 작업대, 자동차, 공구, 리프트, 유압잭, 쟉키, 서랍

Description

리프트 수단을 가지는 자동차 정비용 공구대{Worktable for automotive repair having lifter}
본 발명은 자동차 정비용 공구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의 공구들을 수납하는 복층의 공구함을 가지는 공구대의 중앙부에 리프트 수단을 구비하여 리프트 용도와 공구함을 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리프트 수단을 가지는 자동차 정비용 공구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그 자동차의 작동 및 구동을 위한 엔진, 트랜스미션 등과 같은 다양한 장치가 탑재되어 있으며, 상기 차량을 정비하기 위해서는 여건에 따라 상기 엔진 등과 같은 기타 무거운 부품을 분리한 상태에서 수리 및 보수 또는 교체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러한 경우 지금까지의 정비를 위한 장비로는 주로 엔진이나 트랜스미션 등과 같은 무거운 부품을 분리해 내는 경우 소형으로 된 리프트를 별도 구비하여 부품을 분리해내고 별도의 공구함 또는 공구대에 수납된 공구를 이용하여 상기 부품을 교환하거나 수리하는 등의 소정의 작업을 수행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기존의 리프트는 단일의 물품으로서 개별 구비되어 사용 되기 때문에 리프트의 구비에 따른 경비가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고, 또한 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되는 것에 비해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공구함 또는 공구대는 주로 입방체의 박스타입으로 구성되어 서랍을 결합한 것들이 대부분 사용되고 있으나, 이와 같은 종래의 공구함 또는 공구대는 상기 공구들을 수납하거나 걸이형식으로 진열 보관하는 바, 공구함 또는 공구대로서의 기능은 충분히 달성할 수 있으나, 이 역시도 단일의 공구함 또는 공구대의 기능 이외에 별도의 기능이 부가되지 못하여 작업대 등을 필요로 하는 여러 작업 여건의 발생시 이에 부합되는 별도의 작업대가 구비되어야 하므로 이에 따른 경비가 지출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의 공구를 수납하거나 걸이형식으로 보관하는 공구함이 복층으로 구성되는 공구대의 중앙부에 유압 등에 의해 승강 동작되는 리프트수단이 구비되어 리프트 기능과 공구함 또는 공구대 및 작업대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여 공간의 절약과 편리한 자동차 정비작업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리프트 수단을 가지는 자동차 정비용 공구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하면, 부피가 큰 복수의 공구들을 수납하는 수납공간들을 가지는 제1 공구함과 그 제1 공구함의 상측에 탈착 가능하게 결속되며 부피가 작은 복수의 공구들을 수납하는 복수의 서랍장들이 피봇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 공구함을 가지는 공구대와, 그 공구대의 중심축부에 구비되어 자동차로부터 부품들의 탈착시 그 부품들을 지지하여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리프트수단을 포함하는 리프트 수단을 가지는 자동차 정비용 공구대가 제공된다.
여기서, 제2 공구함의 복수의 서랍장들은 한 쌍으로 대향되도록 설치되며 피봇축을 통하여 90도 각도로 피봇 회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복수의 서랍장들은 교체 또는 분리가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리프트수단은, 공구대의 중심축부의 공간 하부에 구비되는 고정지주와 고정지주에 연결된 외부의 조작페달과 언락킹페달에 의해 고정지주에 대해 승강 동작하는 승강지주로 구성된 쟉키, 그 쟉키의 승강지주 상단에 결합되어 중심축부의 공간 상부에 구비되는 연결지주, 연결지주의 중공에 조절레버에 의해 연결 높이가 조절되는 스크류 및 스크류의 상단에 각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작업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쟉키의 승강지주와 연결되는 연결지주 사이에는 완충부재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작업수단은 안치프레임의 하부측 저면에 스크류의 상단에 결합되는 결합구가 형성되고 안치프레임의 표면에는 복수개의 걸림대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구 의 일측에는 안치프레임의 거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핀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 공구함의 상단 일측에는 개폐도어에 의해 상하 개폐되는 복수개의 수납공간을 가지는 제3 공구함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공구를 수납하거나 걸이형식으로 보관하는 공구함이 복층으로 구성되는 공구대의 중앙부에 유압 등에 의해 승강 동작되는 리프트수단이 구비됨으로써, 리프트 기능과 공구함 또는 공구대 및 작업대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여 공간의 절약과 편리한 자동차 정비작업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단일의 리프트수단이 구비된 공구대를 통하여 다양한 기능을 발휘하게 함으로써, 비치공간의 차지를 최소화 할 수 있고, 각각의 기능을 위한 장비들을 구입하지 않아도 되어 경비의 소요를 최소화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수단을 가지는 자동차 정비용 공구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자동차 정비용 공구대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자동차 정비용 공구대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수단을 가지는 자동차 정비용 공구대는, 부피가 큰 복수의 공구들을 수납하는 수납공간들을 가지는 제1 공구함(110)과 제1 공구함(110)의 상측에 탈착 가능하게 결속되며 부피가 작은 복수의 공구들을 수납하는 복수의 서랍장(121)들이 피봇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 공구함(120)을 가지는 공구대(100)와, 공구대(100)의 중심축부에 구비되어 자동차로부터 부품의 탈착시 그 부품들을 지지하여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리프트수단(200)을 포함한다.
여기서, 공구대(100)는 통상적으로 박스타입의 프레임에 제1 공구함(110)과 제2 공구함(120)이 수납 거치되도록 구성되거나, 제1 공구함(110)의 상측에 제2 공구함(120)이 결속편(미도시) 등과 같은 결속부재를 통하여 복층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공구함(110)은 개폐도어(111)의 내부에 수납대(112)를 통해 구획된 복수의 수납공간들을 가지며 상기 수납공간들에는 각각 부피가 크고 무게가 무거운 콤프레셔 등과 같은 공기주입기나 라이프렌치나 스패너 등과 같은 공구들이 수납되거나 상기 공구들을 키트(Kit) 형태로 수납하는 공구세트박스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공구함(110)의 바닥면에는 복수개의 캐스터(113)가 구비되어 상기 공구대(100)의 이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제2 공구함(120)은 피봇축(122)을 통하여 90도 각도로 피봇 회동되는 복수개의 서랍장(121)들이 한 쌍으로 대향되도록 설치되어 공구대(100)의 정면에 대하여 양측으로 개폐되며, 상기 서랍장(121)들의 수납공간에는 각각 부피가 작고 무게가 가벼운 송곳, 니들, 드라이버, 펜치, 렌치 등과 같은 공구들이 수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서랍장(121)은 필요에 따라 교체 또는 분리가 가능하도록 피봇축(122)에 순차적으로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부채꼴(Circular sector)의 형상을 가져 개폐가 용이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제2 공구함(120)의 상단 일측에는 개폐도어(131)에 의해 상하 개폐되는 복수개의 수납공간에 볼트 등과 같은 작업시 분리되는 정비부품이나 육각렌치 등과 같은 공구들이 수납되는 제3 공구함(130)이 형성된다.
또한, 제2 공구함(120)의 상부 판넬은 상기 공구나 해당 부품 등을 올려놓을 수 있는 거치공간(123)을 형성하여 정비 작업을 가능하게 하는 작업대의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공구대(100)가 복수의 공구를 수납하거나 걸이형식으로 보관하는 공구함이 복층으로 구성됨으로써, 필요한 제반 공구를 용이하고 질서 정연하게 정렬시킬 수 있고, 또한, 각종 정비부품 등을 함께 보관 가능하여 정비 작업시 필요한 정비부품을 즉각 조달할 수 있다.
리프트수단(200)은 공구대(100)의 중심축부의 공간 하부 즉, 제1 공구함(110)의 높이에 대응되도록 구비되는 고정지주(211)와 고정지주(211)에 연결된 외부의 조작페달(212)과 언락킹페달(213)에 의해 고정지주(211)에 대해 승강 동작하는 승강지주(214)로 구성된 쟉키(210), 쟉키(210)의 승강지주(214) 상단에 결합되어 중심축부의 공간 상부 즉, 제2 공구함(220)의 높이에 대응되도록 구비되는 연 결지주(220), 연결지주(220)의 중공에 조절레버(231)에 의해 연결 높이가 조절되는 스크류(230) 및 스크류(230)의 상단에 각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작업수단(240)을 포함한다.
도 4는 도 1의 자동차 정비용 공구대에 있어서 리프트 수단의 쟉키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쟉키(210)는 조작페달(212)에 의해 수직 상승하는 승강지주(214)가 고정지주(211)로부터 상승 동작하게 되고 언락킹페달(213)에 의해 수직 상승된 승강지주(214)가 고정지주(211)의 내부로 하강 동작되는 유압 또는 공압 실린더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쟉키(2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지주(211)의 내부에 구비되어 조작페달(212)에 의해 수직상승하는 제1 피스톤(211a), 제1 피스톤(211a)을 탄력 지지하기 위한 스프링(211b)이 설치되고 피스톤(211a)이 삽지된 실린더공간(211c), 실린더공간(211c)으로부터 승강지주(214)에 유체(211d)를 유입시키고 승강지주(214)의 유체(211d)를 유체저장실로 복귀시키는 관로를 형성하여 승강지주(214)에 삽지되는 제2 피스톤(214a), 제2 피스톤(214a)을 통해 유입된 유체(211d)에 의해 수직 승강되며 상부 내부에 유체(211d)의 유출을 막기 위한 막음단(214b)이 구비되고 하방은 자유단으로 개방 구성된 승강지주(214) 및 승강지주(214)가 삽지되어 승강되며 실린더공간(211c)과 일체로 유체저장실이 형성되고 승강지주(214)가 결속되는 상단부가 유체(211d)의 누설이 방지되도록 구성된 고정지주(211)를 포함한다.
따라서 쟉키(210)는, 조작페달(212)에 의해 제1 피스톤(211a)이 상승되면 실린더공간(211c) 내부의 유체(211d)가 제2 피스톤(214a)의 관로를 타고 승강지주(214) 내부로 유입되면서 승강지주(214)가 상승하게 되어 승강지주(214)에 고정된 연결지주(220)가 상승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조작페달(212)에 의해 제1 피스톤(211a)이 최대한 상승하게 된 상태 또는 상승 동작을 멈춘 상태에서 언락킹페달(213)이 조작되면 제1 피스톤(211a)이 제2 피스톤(214a)을 밀어 올리게 되고, 승강지주(214)의 유체(211d)가 유체저장실이 되는 고정지주(211)의 내부공간으로 하강하면서 승강지주(214)가 최저 위치까지 하강하게 된다.
쟉키(210)의 승강지주(214)와 연결되는 연결지주(220) 사이에는 고무 패킹 등과 같은 완충부재(221)가 구비되어 쟉키(210)의 조작페달(212) 또는 언락킹페달(213)에 의한 승강지주(214)의 상승 또는 하강 동작시 연결지주(220)의 상측부에 구비되는 작업수단(240)에 리프팅된 부품 등의 하중에 의해 승강지주(214) 또는 연결지주(220)의 내구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크류(230)는 연결지주(220)의 중공에 조절레버(231)에 의해 연결 높이가 조절되도록 구비되어 쟉키(210)의 승강 동작이 자동차의 탈착 부품의 높이에 대응되지 못하는 경우 상기 조절레버(231)의 회전을 통하여 스크류(230)를 상승시키거나 하강시켜 스크류(230)의 상단에 결합되는 안치대나 오일받이 등과 같은 작업수단(240)의 높이 조절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스크류(230) 대신에 길이 방향에 대해 일측 또는 양측으로 나 사산이 형성된 래크기어가 사용되어도 무방하다.
작업수단(24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류(230)의 상단에 각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안치대 또는 오일받이 등을 포함하며, 안치프레임(241)의 하부측 저면에 스크류(230)의 상단에 결합되는 결합구(242)가 형성되고 안치프레임(241)의 표면에는 복수개의 걸림대(243)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구(242)의 일측에는 안치프레임(241)의 거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핀(244)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각도핀(244)이 결합구(242)에 형성된 복수개의 각도조절공(미부호)과의 결합을 통하여 안치프레임(241)에 자동차로부터 탈착된 부품의 리프팅시 상기 부품의 바닥면이 고르지 못할 경우 상기 걸림부재와 안치프레임(241)의 거치각도 조절을 통하여 균형있는 리프팅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걸림대(243)는 안치프레임(241)의 표면에 대하여 설치 각도와 위치가 자유자재로 변형 또는 가변되도록 구성되어 탈착되는 부품들의 형상에 부합되도록 하여 상기 부품의 안정적인 지지를 가능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작업수단(24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치프레임(241)을 'ㄴ'자 형상으로 형성하도록 하는 거치편(245)과 거치블록(246)을 더 구비하고 안치프레임(241)의 표면에 형성된 걸림대(243)를 제거하는 형상을 가지도록 하여, 정비작업서 등과 같은 서적을 거치하는 책받침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리프트 수단을 가지는 자동차 정비용 공구대의 작용과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호이스트나 X자 리프팅수단(미도시)을 통하여 자동차를 적정 높이 만큼 리프팅한 상태에서 자동차의 하부에 공구대(100)의 캐스터(113)를 통하여 공구대(100)를 이동시킨다.
이때, 리프트수단(200)의 스크류(230)의 상단부에는 상기 안치대 또는 오일받이 등과 같은 작업수단(240)이 결합된 상태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리프트수단(200) 쟉키(210)의 조작페달(212)을 이용하여 상기 안치대 또는 오일받이 등과 같은 작업수단(240)이 자동차의 탈착 부품의 높이에 대응되도록 승강 동작시킨다.
이후, 공구대(100)의 제1 공구함(110), 제2 공구함(120) 및 제3 공구함(130) 에 수납된 해당 공구들과 부품들을 이용하여 상기 자동차의 탈착 부품을 탈착 시켜 상기 작업수단(240)에 안치시키거나 리프팅 시킨다.
이때, 상기 탈착된 부품의 형상에 따라 작업수단(240)의 거치 각도를 자유자재로 변형하여 상기 부품의 안정적인 리프팅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후, 작업 종료후 리프트수단(200) 쟉키(210)의 언락킹페달(213)을 이용하여 상기 작업수단(240)의 높이를 원상태로 회복시킨다.
도 5는 본 발명의 변형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정비용 공구대에 있어서 리프트 수단의 쟉키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변형 실시예는 자동차 정비용 공구대에 있어서 작업수단(240)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한 리프트수단(200)으로 쟉키(210)와 연결지주(220)를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변형 실시예는 작업수단(240)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한 리 프트수단(200)의 쟉키(210)와 연결지주(220) 대신에 다수의 기어와 스크류 및 너트부재 등을 포함하는 승강수단(250)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변형 실시예는 상기 승강수단(250)을 제외하고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므로 그 요부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변형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정비용 공구대에 있어서, 리프트수단(200)의 승강수단(250)은, 외부의 손잡이(251)에 회전축(252)에 의해 연결되어 손잡이(251)의 회전시 회전되는 제1 기어(253), 제1 기어(253)에 맞물려 손잡이(251)의 회전에 따라 동시에 회전되는 제2 기어(254) 및 제2 기어(254)의 회전에 따라 회동되는 스크류기어(255)를 포함하는 고정지주(256)와, 스크류기어(255)의 나사산에 당접되어 스크류기어(255)의 회동시 스크류기어(255)의 나사산을 따라 승강하는 너트(257)에 의해 고정지주(256)의 내경을 따라 승강하며 상단부에 스크류(230)가 결속되는 승강지주(258)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리프트수단(200)의 승강수단(250)은, 손잡이(251)의 정/역회전에 따라 상호 맞물려 있는 제1 기어(253)와 제2 기어(254)가 정/역회전하게 되면 제2 기어(254)의 정/역회전에 따라 스크류기어(255)가 정/역회동하게 되고, 스크류기어(255)의 나사산을 따라 너트(257)가 승강하게 되어 승강지주(256)에 고정된 스크류(230)가 승강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손잡이(251)는 제2 공구함(220)의 후방에 별도의 통공을 통해 외부로부터 제1 기어(253)에 연결되는 회전축(252)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공구를 수납하거나 걸이 형식으로 보관하는 공구함이 복층으로 구성되는 공구대의 중앙부에 유압 등에 의해 승강 동작되는 리프트수단이 구비됨으로써, 필요한 제반 공구를 용이하고 질서 정연하게 정렬시킬 수 있고, 리프트 기능과 공구함 또는 공구대 및 작업대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여 공간의 절약과 편리한 자동차 정비작업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단일의 리프트수단이 구비된 공구대를 통하여 다양한 기능을 발휘하게 함으로써, 비치공간의 차지를 최소화 할 수 있고, 각각의 기능을 위한 장비들을 구입하지 않음으로써, 경비의 소요를 최소화 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수단을 가지는 자동차 정비용 공구대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자동차 정비용 공구대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도 1의 자동차 정비용 공구대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4는 도 1의 자동차 정비용 공구대에 있어서 리프트 수단의 쟉키를 나타낸 단면도; 및
도 5는 본 발명의 변형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정비용 공구대에 있어서 리프트 수단의 쟉키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 부호 설명*
100 : 공구대 110 : 제1 공구함
120 : 제2 공구함 130 : 제3 공구함
200 : 리프트수단 210 : 쟉키
220 : 연결지주 230 : 스크류
240 : 작업수단 250 : 승강수단

Claims (10)

  1. 부피가 큰 복수의 공구들을 수납하는 수납공간들을 가지는 제1 공구함(110)과 상기 제1 공구함(110)의 상측에 탈착 가능하게 결속되며 부피가 작은 복수의 공구들을 수납하는 복수의 서랍장(121)들이 피봇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 공구함(120)을 가지는 공구대(100)와,
    상기 공구대(100)의 중심축부에 구비되어 자동차로부터 부품들의 탈착시 그 부품들을 지지하여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리프트수단(2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수단을 가지는 자동차 정비용 공구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공구함(120)의 복수의 서랍장(121)들은 한 쌍으로 대향되도록 설치되며 피봇축(122)에 의해 90도 각도로 피봇 회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수단을 가지는 자동차 정비용 공구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서랍장(121)들은 피봇축(122)에 의해 교체 또는 분리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수단을 가지는 자동차 정비용 공구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수단(200)은,
    상기 공구대(100)의 중심축부의 공간 하부에 구비되는 고정지주(211)와, 상기 고정지주(211)에 연결된 외부의 조작페달(212)과 언락킹페달(213)에 의해 상기 고정지주(211)에 대해 승강 동작하는 승강지주(214)로 구성된 쟉키(210);
    상기 쟉키(210)의 승강지주(214) 상단에 결합되어 중심축부의 공간 상부에 구비되는 연결지주(220);
    상기 연결지주(220)의 중공에 조절레버(231)에 의해 연결 높이가 조절되는 스크류(230); 및
    상기 스크류(230)의 상단에 차량의 밋숀, 엔진의 정비작업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작업수단(2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수단을 가지는 자동차정비용 공구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쟉키(210)의 승강지주(214)와 연결되는 상기 연결지주(220) 사이에는 완충부재(221)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수단을 가지는 자동차정비용 공구대.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쟉키(210)는
    상기 고정지주(211)의 내부에 구비되어 조작페달(212)에 의해 수직상승하는 제1 피스톤(211a);
    상기 제1 피스톤(211a)을 탄력 지지하기 위한 스프링(211b)이 설치되고 피스톤(211a)이 삽지된 실린더공간(211c);
    상기 실린더공간(211c)으로부터 승강지주(214)에 유체(211d)를 유입시키고 승강지주(214)의 유체(211d)를 유체저장실로 복귀시키는 관로를 형성하여 승강지주(214)에 삽지되는 제2 피스톤(214a);
    상기 제2 피스톤(214a)을 통해 유입된 유체(211d)에 의해 수직 승강되며 상부 내부에 유체(211d)의 유출을 막기 위한 막음단(214b)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수단을 가지는 자동차정비용 공구대.
  7. 제4항에 있어서,
    작업수단(240)은,
    안치프레임(241)의 하부측 저면에 스크류(230)의 상단에 결합되는 결합구(242)가 형성되고, 안치프레임(241)의 표면에는 복수개의 걸림대(243)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구(242)의 일측에는 안치프레임(241)의 거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핀(244)이 형성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수단을 가지는 자동차정비용 공구대.
  8. 제4항에 있어서,
    작업수단(240)은,
    안치프레임(241)의 하부측 저면에 스크류(230)의 상단에 결합되는 결합구(242)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구(242)의 일측에는 안치프레임(241)의 거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핀(244)이 형성되며,
    상기 안치프레임(241)의 일측에 안치프레임(241)을'ㄴ'자 형상으로 형성하도록 하는 거치편(245)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수단을 가지는 자동차정비용 공구대.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공구함(120)의 상단 일측에는 개폐도어(131)에 의해 상하 개폐되는 복수개의 수납공간을 가지는 제3 공구함(13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수단을 가지는 자동차정비용 공구대.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 수단(200)은
    외부의 손잡이(251)에 회전축(252)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손잡이(251)의 회전시 회전되는 제1 기어(253);
    상기 제1 기어(253)에 맞물려 손잡이(251)의 회전에 따라 동시에 회전되는 제2 기어(254) 및 제2 기어(254)의 회전에 따라 회동되는 스크류기어(255)를 포함하는 고정지주(256); 및
    상기 스크류기어(255)의 나사산에 당접되어 스크류기어(255)의 회동시 스크류기어(255)의 나사산을 따라 승강하는 너트(257)에 의해 고정지주(256)의 내경을 따라 승강하며 상단부에 스크류(230)가 결속되는 승강지주(25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수단을 가지는 자동차정비용 공구대.
KR1020080135719A 2008-12-29 2008-12-29 리프트 수단을 가지는 자동차 정비용 공구대 KR1010638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5719A KR101063868B1 (ko) 2008-12-29 2008-12-29 리프트 수단을 가지는 자동차 정비용 공구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5719A KR101063868B1 (ko) 2008-12-29 2008-12-29 리프트 수단을 가지는 자동차 정비용 공구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7697A true KR20100077697A (ko) 2010-07-08
KR101063868B1 KR101063868B1 (ko) 2011-09-14

Family

ID=426390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5719A KR101063868B1 (ko) 2008-12-29 2008-12-29 리프트 수단을 가지는 자동차 정비용 공구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3868B1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9041Y1 (ko) * 2011-06-02 2013-09-12 유동길 게시물이 회전될 수 있는 검사대
CN104209937A (zh) * 2013-06-03 2014-12-17 昆山飞达磨具制造有限公司 一种砂轮柜
CN105936034A (zh) * 2016-06-15 2016-09-14 国家电网公司 一种水电站设备维修辅助装置
CN107627270A (zh) * 2017-08-22 2018-01-26 安徽明瑞智能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充电桩用检修装置
CN110977902A (zh) * 2019-10-28 2020-04-10 哈尔滨普华电力设计有限公司 一种电力检修装置
CN112025658A (zh) * 2020-09-25 2020-12-04 贵州电网有限责任公司 一种便于使用的工具箱
CN112076811A (zh) * 2020-06-12 2020-12-15 南京医科大学康达学院 一种化学检验工作台
CN112192533A (zh) * 2020-09-30 2021-01-08 国家电网有限公司 变电站安全工器具开闭锁管理装置
CN113880017A (zh) * 2021-09-29 2022-01-04 重庆三峡学院 一种大数据监控设备的便于维修调节装置
CN113879666A (zh) * 2021-10-09 2022-01-04 长虹美菱股份有限公司 一种美妆箱
CN116638486A (zh) * 2023-07-10 2023-08-25 苏州旷特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工业机器人用维修台及其使用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286761A (zh) * 2013-06-21 2013-09-11 苏州速腾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工具盒
CN106181932A (zh) * 2016-08-27 2016-12-07 安徽机电职业技术学院 一种汽车零部件的存储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5736Y1 (ko) * 1996-05-23 1998-10-15 김영귀 차량용 공구박스
KR20010074570A (ko) * 2001-05-08 2001-08-04 지견신 자동차 정비용 작업대
KR200302332Y1 (ko) * 2002-10-12 2003-01-30 김성현 타이어 수리용 공구 세트
KR20070077498A (ko) * 2007-07-04 2007-07-26 이진재 소형 회전 수납 방식 반찬통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9041Y1 (ko) * 2011-06-02 2013-09-12 유동길 게시물이 회전될 수 있는 검사대
CN104209937A (zh) * 2013-06-03 2014-12-17 昆山飞达磨具制造有限公司 一种砂轮柜
CN105936034A (zh) * 2016-06-15 2016-09-14 国家电网公司 一种水电站设备维修辅助装置
CN107627270A (zh) * 2017-08-22 2018-01-26 安徽明瑞智能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充电桩用检修装置
CN110977902A (zh) * 2019-10-28 2020-04-10 哈尔滨普华电力设计有限公司 一种电力检修装置
CN112076811A (zh) * 2020-06-12 2020-12-15 南京医科大学康达学院 一种化学检验工作台
CN112025658A (zh) * 2020-09-25 2020-12-04 贵州电网有限责任公司 一种便于使用的工具箱
CN112025658B (zh) * 2020-09-25 2024-04-19 贵州电网有限责任公司 一种便于使用的工具箱
CN112192533A (zh) * 2020-09-30 2021-01-08 国家电网有限公司 变电站安全工器具开闭锁管理装置
CN113880017A (zh) * 2021-09-29 2022-01-04 重庆三峡学院 一种大数据监控设备的便于维修调节装置
CN113880017B (zh) * 2021-09-29 2024-02-02 重庆三峡学院 一种大数据监控设备的便于维修调节装置
CN113879666A (zh) * 2021-10-09 2022-01-04 长虹美菱股份有限公司 一种美妆箱
CN116638486A (zh) * 2023-07-10 2023-08-25 苏州旷特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工业机器人用维修台及其使用方法
CN116638486B (zh) * 2023-07-10 2023-11-03 苏州旷特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工业机器人用维修台及其使用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63868B1 (ko) 2011-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3868B1 (ko) 리프트 수단을 가지는 자동차 정비용 공구대
KR20200094279A (ko) 리프트 수단을 갖고있는 편리한 자동차 정비 공구대
KR101489481B1 (ko) 변속기용 작업대
US10362865B2 (en) Securable and collapsible work station
US6149144A (en) Movable work bench
US8033620B2 (en) Toolbox with elevating display backwall
US7464978B1 (en) Pickup truck toolbox with an extensible platform
EP1283190A1 (en) An arrangement for handling a load
JPH07266177A (ja) ねじ立て盤用折畳み式スタンド
CN103706988A (zh) 公交车用桥壳与上推力杆支座焊接用工装夹具
CN210634469U (zh) 一种新型车载抽拉式设备存放架及车载工作台
KR20220004360A (ko) 리프트 수단을 가지는 자동차 정비용 공구대
US7878129B2 (en) Swing-out workbench extension apparatus
US20140263935A1 (en) Automotive Engine Support Stand
KR20210040235A (ko) 리프트 수단을 가지는 자동차 정비용 공구대
KR20230109340A (ko) 부품의 리프팅 기능을 가진 차량 정비용 공구대
CN202726901U (zh) 组合式汽车修理工具车
CN203664986U (zh) 公交车用桥壳与上推力杆支座焊接用工装夹具
KR20170104680A (ko) 테이블 리프트
KR20010074570A (ko) 자동차 정비용 작업대
CN115178945A (zh) 一种流体阀门加工用焊接装置
JP3200633B2 (ja) ドアキープスタンド
JP6132758B2 (ja) タイヤサービスカーにおけるジャッキ昇降装置
CN209831616U (zh) 一种工具车
CN218398058U (zh) 一种工具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