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75829A - 광 커넥터 조립체 - Google Patents

광 커넥터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75829A
KR20100075829A KR1020107004391A KR20107004391A KR20100075829A KR 20100075829 A KR20100075829 A KR 20100075829A KR 1020107004391 A KR1020107004391 A KR 1020107004391A KR 20107004391 A KR20107004391 A KR 20107004391A KR 20100075829 A KR20100075829 A KR 201000758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lice
ferrule
fiber
optical connector
cond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043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에릭 웨이난트
로랑 뷔파드
Original Assignee
파스옵트스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스옵트스 인크. filed Critical 파스옵트스 인크.
Publication of KR201000758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582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1Permanent connections, i.e. wherein fibres are kept aligned by mechanical mea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1Permanent connections, i.e. wherein fibres are kept aligned by mechanical means
    • G02B6/3806Semi-permanent connections, i.e. wherein the mechanical means keeping the fibres aligned allow for removal of the fibr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chanical Coupling Of Light Guid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해결책은 2개의 광 파이버들을 상호 연결하기 위한 광 커넥터 조립체의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광 커넥터 조립체는 2개의 광 파이버들의 나선 단부들을 함께 유지하기 위하여 파이버 도관을 구비한 스플라이스를 갖는다. 추가로, 광 커넥터는 2개의 대응 페룰들을 갖는다. 2개의 대응 페룰들은, 에지를 붙잡지 않으면서 광 파이버의 나선 단부를 스플라이스 내로 정렬시키고 광 파이버를 고정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 방법은 제1 페룰의 안내 부재를 스플라이스의 제1 개구 내로 가압하도록 스플라이스에 대하여 제1 페룰을 종방향 축을 따라 압축시키는 단계와, 이에 따라 제1 개구에서 스플라이스의 도관을 개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광 파이버가 삽입되면, 이 방법은 스플라이스가 파이버 상에 반경 방향 보유력을 인가시키게 하도록 스플라이스에 대하여 제1 페룰의 종방향 축을 따른 압축을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광 커넥터 조립체의 커넥터 본체를 형성하는 외피는 페룰과 상호 연결된다.

Description

광 커넥터 조립체{OPTICAL CONNECTOR ASSEMBLY}
본 발명은 광 파이버 커넥터(optical fiber connector)의 분야에 관한 것이고, 특히 재사용가능한 광 파이버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광 파이버 커넥터의 분야에서 현재의 기술 상태로는 광 연결부를 설치하거나 수리하는 것이 광 파이버 커넥터의 분야에서 일하는 기술자에게 용이하지 않다. 일반적으로는 2가지 형태의 커넥터, 즉 융합식 커넥터(fusion connector) 및 기계식 커넥터(mechanical connector)가 있다.
융합식 커넥터의 경우에, 결합하는 2개의 파이버 단부들은 각각의 코어들이 정렬된 상태로 서로 인접한 2개의 파이버들의 정밀한 정렬을 허용하는 도구 내에 장착된다. 이 지점에서, 코어들을 용해하고 함께 융합하도록 충분한 가열이 제공된다. 융합 공정 동안에, 가열 공정의 결과로서의 파이버 코어(fiber core)들 사이의 오정렬 또는 심지어 가열 공정 중의 2개의 코어들의 접합 실패와 같은, 파이버들 사이에서의 열악한 광 연결부(optical connection)를 초래할 수 있는 많은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광 파이버 커넥터의 분야에서 융합을 이용하여 파이버 연결부를 이루는 것의 실패율은 종종 50%보다 크다.
기계식 커넥터의 경우에, 많은 형태의 커넥터들에서 단부 대 단부 접합(end-to-end abutment) 상태로 기판 상의 단일 "V"자 홈 내에 파이버 단부들을 위치시키고 이어서 연결부를 완성하도록 광학 젤(gel) 및/또는 접착제를 사용하여 파이버들 둘레로 패키징(packaging)을 형성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파이버들이 동일한 직경으로 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기판 내의 홈(groove)에서의 파이버들의 정렬은 양호하지 않다. 종래의 기계식 스플라이싱 기술(splicing technology)에 있어서, 광 파이버 커넥터 분야에서 성공적인 연결부 조립 가능성은 3번에 한번일 수 있다.
이전 기술 상태와 관련된 성공률보다 높은 성공률로 파이버들을 연결하는 더 용이한 방법을 제공하는 광 파이버용 기계식 스플라이스가 본 발명의 출원인에 의해 개발되었다. 국제출원공개공보 제WO 2003/071328호로서 공개된 제PCT/CA03/00232호에 기초하여 2005년 10월 6일자로 공개된 미국 특허출원공보 제2005/0220418호에서는, 광 파이버 단부를 수용하도록 팽창 가능한 축방향 통로 또는 도관을 갖는 형상 기억 합금 구조로 이루어진 기계식 스플라이스를 개시하고 있다. 이러한 스플라이스는, 축방향 통로에서 고정되게 중심 설정된 광 파이버를 보유하도록 그리고 2개의 광 파이버 단부들 사이에서 단부 대 단부(end-to-end) 결합을 보장하도록 적당한 반경 방향 압력을 작용시킬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술은, 양호한 광 커플링(optical coupling)을 제공하도록 광 파이버 단부들을 제어가능하게 고정하고 해제하기 위해서 축방향 통로를 개방하고 폐쇄하는 특정한 공구작업을 필요로 한다. 기계식 스플라이스에서 축방향 통로의 제어된 팽창 및 수축을 허용하도록 구성된 도구의 예들은 출원인 소유의 2004년 2월 19일자로 공개된 국제출원공개공보 제WO 2004/015473호와 2005년 5월 6일자로 공개된 국제출원공개공보 제WO 2005/040876호에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축방향 도관이 제어가능하게 팽창 및 수축하게 하기 위한 특정한 공구 또는 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는, 반경 방향 보유 및 정렬 힘을 파이버 옵틱 단부(fiber optic end) 상에 작용시키도록 구성된 축방향 도관을 갖는 형태의 기계식 스플라이스를 이용하는 광 커넥터 조립체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계식 스플라이스의 축방향 통로와 광 파이버 사이의 정밀한 정렬이 필요하지 않은, 광 커넥터 조립체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르면, 광 커플링 상태로 파이버들의 나선 단부(bare end)들을 함께 유지하기 위한 스플라이스와, 스플라이스 내로 인도되도록 파이버들을 고정하기 위한 2개의 대응 페룰(corresponding ferrule)들을 구비하고 2개의 광 파이버들을 상호 연결하는 광 커넥터 조립체가 제공되어 있으며, 페룰들은 커넥터 본체를 형성하도록 외피(sheath)에 의해 상호 연결된다. 이들 실시예들에서, 스플라이스는, 파이버 단부들 중 제1 단부를 수용하기 위한 제1 말단(extremity)과 파이버 단부들 중 제2 단부를 수용하기 위한 제2 말단을 갖는 제1 파이버 도관 또는 축방향 통로를 갖는다. 제1 파이버 도관은 제1 파이버 도관 내에 단부 대 단부 정렬되도록 파이버 단부들을 유지시키고 제한하며, 제1 말단은 하나 이상의 개구를 갖는다. 페룰들 중 하나 이상의 페룰은, 에지(edge)를 붙잡지 않으면서, 제1 파이버 도관 및 제2 파이버 도관을 정렬시키기 위하여 그리고 제1 파이버 도관 내로 제1 파이버 단부를 안내하기 위하여 제1 파이버 도관의 제1 말단의 개구 내에 끼워 맞춰지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파이버 안내 부재를 갖는다.
다른 실시예에서, 광 커넥터 조립체는 2개의 광 파이버들을 상호 연결하기 위해 제공되고, 파이버들의 나선 단부들을 광 커플링시키면서 함께 유지하기 위한 스플라이스와, 스플라이스 내로 인도되도록 파이버들을 고정하기 위한 2개의 대응 페룰들을 갖는다. 2개의 페룰들은 커넥터 본체를 형성하도록 외피에 의해 상호 연결된다. 이들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페룰은, 외피 사이에서 작용하는 조정 너트와 같은 적합한 기구에 의해 스플라이스에 대하여 페룰의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스플라이스의 제1 파이버 도관의 기계식 팽창 및 수축을 허용하는 내부 결합 부재(inter-engaging member)와 기계식 스플라이스를 결합하도록 구성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 파이버 옵틱이 스플라이스의 제1 파이버 도관 내에 위치되면, 제1 페룰은 스플라이스에 대해 작용한 압축을 해제하여 제1 페룰과 스플라이스 사이의 제1 갭(gap)을 형성한다. 제1 갭을 유지하기 위해서, 스페이서(spacer)가 제1 페룰과 스플라이스 사이에 위치된다.
본 발명의 이들 및 다른 장점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양호한 실시예의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더욱 잘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서로 직각인 대향 단부들에서 팽창 슬롯(expansion slot)을 갖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기계식 스플라이스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는, 하나의 페룰이 원통형 플러그이면서 다른 하나의 페룰이 광 파이버 케이블을 종결하도록 구성된 형태로 되어 있는, 2개의 페룰과 스플라이스의 상호 연결의 측단면도를 예시한다.
도 3은 도 2의 구성요소를 갖고, 외피 및 축방향 위치설정 너트를 포함하고, 축방향 위치설정 너트는 3개의 부품 모두를 축방향 정렬로 강제하도록 스플라이스와 접촉하여 2개의 페룰을 고정시키는, 광 커넥터 조립체의 측단면도이다.
도 4a는, 탭(tab)과 슬롯을 사용하여 페룰이 스플라이스와 정합하는, 외피가 없는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4b는 도 4a의 실시예의 스플라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5a는, 십자형 형상인 탭과 대응 슬롯을 사용하여 페룰이 스플라이스와 정합하는, 외피가 없는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5b는 도 5a의 실시예의 스플라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5c는 도 5a의 실시예의 페룰의 사시도이다.
도 6a는, 돌출 중심부(protruding center portion) 및 대응 채널(corresponding channel)을 사용하여 페룰이 스플라이스와 정합하는, 외피가 없는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6b는 도 6a의 실시예의 스플라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6c는 도 6a의 실시예의 페룰의 사시도이다.
도 7a는, 페룰이 v자 형상인 채널과 대응 v자 형상인 탭을 사용하여 스플라이스와 정합하는, 외피가 없는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7b는 도 7a의 실시예의 스플라이스의 사시도와, 도 7a의 실시예의 페룰의 사시도이다.
도 8은 스플라이스를 제 위치에 고정시키는 스페이서의 사시도와, 스플라이스 위로 슬립된(slipped) 스페이서를 갖는 광 커넥터 조립체의 측단면도이다.
도 9는 스플라이스를 제 위치에 고정시키는 위치로 이동된 스페이서를 갖는 광 커넥터 조립체의 측단면도이다.
도 10a는, 스플라이스와 페룰 사이에서, 외피의 본체를 통하여 위치된 핀을 갖는 광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10b는 스플라이스와 페룰 사이에 핀을 갖는 광 커넥터의 일부분의 측단면도이다.
도 11은 페룰을 고정시키도록 플랜지 접합부(flange abutment)를 구비한 클램프를 갖는 광 커넥터 조립체의 측단면도이다.
도 12는 2개의 광 커넥터들을 연결시키는 어댑터(adaptor)의 측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기계식 스플라이스(20)는 축방향 통로인 파이버 도관(22)을 갖는다. 스플라이스(20)는 형상 기억 재료로 이루어지고 대체로 원통형 구조를 갖는다. 그러나, 스플라이스(20)는 만곡면, 선형면 또는 만곡면과 선형면의 조합을 가질 수 있는 다른 적합한 다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추가로, 스플라이스(20)의 형상은 스플라이스(20)의 길이를 따라 변화할 수 있다. 형상 기억 재료는 고 레벨의 탄성을 제공하면서, 동시에 옵틱 파이버 커플링에 적합한 양호한 레벨의 강성(rigidity)을 제공한다.
이러한 재료에 관한 당업자라면, 이러한 스플라이스를 만들기에 적합한 형상 기억 재료가 광범위하고 다양한 다른 형상 기억 재료와 함께, 폴리머계(polymer based), 구리 및 알루미늄의 합금일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파이버 도관 내의 파이버 단부들을 광 정렬(optical alignment) 상태로 보유하는 기계식 스플라이스를 만들기에 적합한 재료를 위한 필수적인 특성은 재료가 팽창할 수 있고 수축할 수 있는 특성이다. 몇몇 형상 기억 재료의 경우에는, 8% 내지 10%까지의 변형이 달성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많은 형상 기억 합금에 대한 경우에서와 같이, 변형이 대략 5%를 초과할 때, 파이버 도관 내에서 축방향 정렬로 파이버를 위치설정하고 고정시키기 위해서 제어가능하게 팽창되고 수축되도록 이러한 재료들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출원인은 파이버 상의 이러한 기계식 스플라이스의 유지력은 어떠한 접착제보다 더 양호하고, 파이버가 손상 없이 유지되고 해제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은, 기계식 스플라이스는 광 커넥터 조립체가 재사용될 수 있게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스플라이스(20)의 원뿔형 확장부(conical enlargement)(26)는 이중 목적을 만족시킨다. 한편으로, 원뿔형 확장부는, 페룰에 대하여 스플라이스(20)를 중심 설정하여서 각각의 페룰(30)로부터 스플라이스(20) 내로 삽입되는 파이버들을 안내할 목적을 위해, 페룰(30a 또는 30b)의 원통형 칼라 연장부(cylindrical collar extension)인 파이버 안내 부재(fiber-guiding member)(27)를 스플라이스(20)로 하여금 수용하게 한다.
원뿔형 확장부(26)와 안내 부재(27) 사이의 상호 작용의 다른 목적은, 스플라이스(20)와 페룰(30a 또는 30b)들 중 하나의 페룰 사이의 상대적인 축방향 변위가 외향 반경 방향 팽창력이 스플라이스(20) 상에 작용되게 할 수 있다는 점이다. 스플라이스(20)는 적합한 팽창 슬롯(24 또는 25)을 구비하고, 변위 작용은 기계적인 힘에 의해 스플라이스(20)가 팽창되게 하여 파이버가 도관(22) 내로 삽입되게 한다.
페룰(30a, 30b)과 스플라이스(20) 사이의 상호작용 부재가 다른 형상을 취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4a 및 도 4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탭(44)은 대응 채널(42) 내로 끼워 맞춰질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스플라이스(20)의 단부에서 형성된 채널(42)은 팽창 슬롯(24, 25)과 정렬된다. 그러나, 채널(42)은 큰 개구를 갖지만 팽창 슬롯(24, 25)만큼 깊지는 않다. 페룰(30a, 30b)의 대응 탭(44)은 파이버 안내 부재로서 작용하며, 스플라이스(20)의 채널(42)은 대응 탭(44)을 수용한다.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에서, 도 5a 및 도 5b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추가적인 슬롯(52)이 페룰(30a, 30b)의 대응 탭을 수용하기 위하여 스플라이스(20)의 단부에서 형성된다. 스플라이스(20)의 각각의 단부 상에는, 그 중심을 관통하여 단부 표면을 가로질러 연장하고 제한된 깊이를 갖는 슬롯(52)이 형성되어 있다. 형성된 슬롯(52)은 팽창 슬롯(24) 또는 팽창 슬롯(25)과 직각으로 되어 있다. 당업자라면, 슬롯(52)이 팽창 슬롯(24) 또는 팽창 슬롯(25)으로부터 임의의 다른 적합한 각도에서 적절히 위치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5c에서, 페룰(30a, 30b)에는 스플라이스(20) 상의 슬롯(52)에 대한 대응 탭(54)이 제공된다. 대응 탭(54)은 십자형으로 형성되고 단부의 표면을 가로질러 완전히 연장하지는 않는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이러한 탭(54)이 페룰(30a, 30b)의 단부면을 가로질러 완전히 연장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페룰(30a, 30b)의 대응 탭(54)은 파이버 안내 부재로서 작용하면서, 슬롯(52)은 대응 탭(54)을 수용한다.
또한,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에서, 도 6a 및 도 6b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팽창 슬롯(24, 25) 축을 따른 돌출 중심부(62)는 스플라이스(20)의 각각의 단부에 형성된다. 도 6c에서, 페룰(30a, 30b)에는 스플라이스(20)의 돌출 중심부(62)에 대한 대응 채널(64)이 형성된다.
도 7a에서는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가 예시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 팽창 슬롯(24, 25) 축을 따른 v자 형상인 채널(72)은 스플라이스(20)의 각각의 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도 7b에서, 페룰(30a, 30b)에는 스플라이스(20)의 대응 v자 형상인 채널(72)에 대한 대응 v자 형상인 탭(74)이 형성되어 있다.
도 1, 도 2 및 도 3에서 예시된 실시예에서, 페룰(30)과 스플라이스(20) 사이의 축방향 압축력은 파이버 도관(22)을 대칭적으로 팽창시키거나 수축시킬 의도로 대칭적이다. 그러나, 일부의 경우에는, 일단부에서만 스플라이스를 팽창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으며, 이 경우, 팽창력이 발생되는 단부로부터 접합 및 광 정렬의 지점까지 파이버가 자유롭게 삽입될 수 있으면서, 반대쪽 단부에서는 광 파이버가 파이버 도관 내에 고정된 상태로 잔류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몇몇 형상 기억 재료의 경우에, 특정 온도의 인가는, 파이버 단부들이 광 정렬로 위치설정되고 이어서 파이버들이 광 정렬로 보유되도록 충분한 반경 방향 힘으로 파이버 도관 내에 유지시키기 위해서, 필요에 따라 재료를 팽창시키거나 수축시키게 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3은 커넥터의 한가지 일반적 형태, 즉 케이블 대 광 플러그를 예시한다. 커넥터는 케이블 대 케이블, 광 장치 대 케이블, 광 플러그 대 소켓 등과 같은 다양한 구성으로 연결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피(32)는 페룰(30b)과 페룰(30a)을 상호 연결한다. 외피는 페룰(30b)에 연결하기 위한 적응부(adaptation), 즉 플랜지 접합부(35)를 구비하면서, 페룰(30a) 부근의 단부에서, 외향 연장 플랜지(36)는 페룰(30a)에 의해 형성된 원통형 광 커넥터 플러그를 위한 한정 접합을 형성하도록 제공된다. 플러그(30a)는 광 플러그인 소켓 배열의 부품을 형성하는 다른 형태의 정합 부재 또는 큰 원주 덮개(circumference shroud)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축방향 보유 너트(34)는 너트(34)의 회전이 도 3에 예시된 위치에서 페룰(30b)을 고정시키거나 작용하게 하는 나사(도시 생략)에 의해 페룰(30b)의 슬리브 상에 장착될 수 있다.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은 광 커넥터 조립체를 조립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플랜지(31) 및 플랜지 접합부(35)가 접촉할 때까지 외피(32) 내로 페룰(30b)을 위치시킨다. 이어서, 스플라이스(20)는 원뿔형 확장부(26)가 파이버 안내 부재(27) 위로 끼워 맞춰지는 상태로 페룰(30b) 상에 위치설정된다. 페룰(30a)은 스플라이스(20)와 결합하도록 외피(32) 내로 삽입된다. 외피(32)에 대해 페룰(30a)을 가압함으로써, 스플라이스(20)가 개방되게 한다. 이 위치에서, 파이버 피스(fiber piece)는 페룰(30a)의 도관 내로 스플라이스(20)의 중간으로 삽입될 수 있다. 이어서, 가압 작용이 해제된다. 그 후에, 이러한 파이버의 피스는 페룰(30a)의 도관 내에 유지되고, 그 노출 단부는 페룰(30a)의 외부 표면과 같은 높이로 연마된다.
보유 너트(34)를 느슨하게 함으로써, 페룰(30b)은 스플라이스(20) 상에 축방향 힘을 작용하도록 사용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도관(22)이 개방될 수 있다. 짧은 길이의 노출된 파이버를 갖는 파이버 케이블은, 케이블로부터의 파이버 단부가 페룰(30a)과 결속된 파이버의 피스의 단부와 스플라이스(20)에서 접촉할 때까지 페룰(30b) 내로 삽입된다. 축방향 힘은 해제되고, 광 커플링이 시험 될 수 있다. 만약 케이블과 페룰(30a) 사이의 광 커플링이 정상적이라면, 보유 너트(34)는 조여질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조립체는 파이버 케이블이 페룰(30b) 내에 삽입되는 작업만을 남겨두고, 페룰(30a) 내에 고정되고 연마된 광 파이버와 미리 조립될 수 있다. 현장에서, 파이버 케이블은 위에서 기술한 바와 같은 조립체 내로 처리 및 삽입된다. 파이버 케이블이 수리되거나 교체될 필요가 있다면, 너트(34)가 해제되고, 이어서 축방향 압력이 페룰(30b)을 이용하여 스플라이스(20) 상에 작용될 수 있고, 파이버 케이블이 페룰(30b)로부터 해제될 수 있고 새로운 케이블로 교체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도 8 및 도 9에 예시된 바와 같이, 광 커넥터가 조립되면, 스페이서(82)는 제 위치에 스플라이스(20)를 고정시키도록 제공된다. 스페이서(82)는 스페이싱 단부(spacing end)(88)를 구비한 연장 핑거(86)를 갖는 칼라(84)로 이루어진다. 스페이서(82)가 하나 이상의 연장 핑거(86)를 필요로 하지만, 당업자는 추가적인 연장 핑거(86)가 제공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페이서(82)는 짧은 길이를 갖고, 외피(30) 내에 위치되는 경우에 스플라이스(20) 위로 슬립되도록 스플라이스(20)를 개방시키는 약간 큰 칼라(84)를 갖는다.
광 커넥터의 조립 동안에, 페룰(30a)은 스플라이스(20)와 결합하도록 외피(32) 내로 삽입된다. 외피(30)에 대하여 페룰(30a)을 가압함으로써, 스플라이스(20)는 개방되어 진다. 스페이서(82)의 연장 핑거(86)는 또한 위로 개방된다. 파이버 피스가 스플라이스(20)의 중간까지 페룰(30a)의 도관 내로 삽입되면, 스플라이스(20)에 대한 압축 작용이 해제된다. 스페이서(82)는 페룰(30a)을 향하여 스플라이스(20)를 따라 이동하여, 도 9에 제공된 바와 같이, 스페이싱 단부(88)가 스플라이스(20)의 단부와 페룰(30a)의 단부 사이에서 클립(clip)된다. 스페이서(82)는 로드가 외부로부터 외피(32)를 관통하는 위치로 이동된다. 스페이서(82)가 제 위치에 위치되면, 로드가 제거된다.
스페이서(82)는, 제 위치에 위치되면, 페룰(30a)이 스플라이스(20)의 도관으로 하여금 개방하게 하는 것을 방지한다. 유사하게, 페룰(30b)이 스플라이스(20)의 도관으로 하여금 개방하게 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도 10a 및 도 10b에서는 핀(102)이 제공된다. 핀(102)은 스플라이스(20)와 페룰(30b) 사이의 외피(32)의 본체를 통해 위치된다.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에서, 도 11에 제공된 바와 같이, 페룰(30b)을 제 위치에 고정시키기 위해서, 파이버 도관(113)을 갖는 클램프(112)는 페룰(30b)과 스플라이스(20) 사이의 인터페이스로서 제공된다. 클램프(112)는 외피(32)의 플랜지 접합부(35) 내부에서 제 위치에 클램프(112)를 유지시키는 플랜지(114)를 갖는다. 또한, 클램프(112)는 스플라이스(20)의 원뿔형 확장부(26) 내로 끼워 맞춤되는 파이버 안내 부재(116)를 갖는다.
도 12에서는, 2개의 광 커넥터(10)가 어댑터(122) 내에 어떻게 함께 연결되는지에 관한 예시가 제공되어 있다. 양쪽 페룰(30b)들의 파이버 도관은 파이버 옵틱 신호가 지나가게 하도록 정렬된다.

Claims (16)

  1. 광 커플링 상태로 파이버들의 나선 단부들을 함께 유지하기 위한 스플라이스와, 상기 스플라이스 내로 인도되도록 상기 파이버들을 고정하기 위한 2개의 대응 페룰들을 구비하고, 2개의 광 파이버들을 상호 연결하는 광 커넥터 조립체이며,
    상기 페룰들은 커넥터 본체를 형성하도록 외피에 의해 상호 연결되고,
    상기 스플라이스는, 상기 파이버 단부들 중 제1 파이버 단부를 수용하기 위한 제1 말단과 상기 파이버 단부들 중 제2 파이버 단부를 수용하기 위한 제2 말단을 갖는 제1 파이버 도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파이버 도관은 상기 제1 파이버 도관에서 단부 대 단부 정렬되도록 상기 파이버들을 유지시키고 제한하고, 상기 제1 말단은 하나 이상의 개구를 포함하며,
    상기 페룰들 중 제1 페룰은, 상기 제1 파이버 도관 및 제2 파이버 도관을 정렬시키기 위하여 그리고 에지를 붙잡지 않으면서 상기 제1 파이버 도관 내로 상기 제1 파이버 단부를 안내하기 위하여, 상기 제1 파이버 도관의 상기 제1 말단의 상기 하나 이상의 개구 내에서 끼워 맞춤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파이버 안내 부재를 포함하는
    광 커넥터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파이버 안내 부재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개구는 상기 제1 파이버 도관의 확장부를 포함하는
    광 커넥터 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 및 상기 개구는 상기 제1 말단 상에 분리력을 작용시키도록 상호 작용하고, 상기 스플라이스는 상기 돌출부와 상기 개구 사이에서의 축방향 변위를 통하여 상기 제1 말단에서 상기 제1 파이버 도관의 팽창을 허용하도록 슬롯을 포함하는
    광 커넥터 조립체.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환형 돌출부인
    광 커넥터 조립체.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축방향 변위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스플라이스와 상기 대향 페룰 사이에서 하나 이상의 스페이서를 더 포함하는
    광 커넥터 조립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스플라이스에 의해 지지되는
    광 커넥터 조립체.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외피에 의해 지지되는
    광 커넥터 조립체.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스플라이스를 따라 슬립되고 상기 페룰과 상기 스플라이스 사이에서 클립되는 스페이싱 단부를 구비한 연장 핑거를 갖는 칼라인
    광 커넥터 조립체.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외피의 반경 방향을 따라 외부측으로부터 관통 슬립되고 상기 페룰과 스플라이스 사이에서 수용되는 핀인
    광 커넥터 조립체.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페룰은 하나 이상의 부착부에 의해 외피에 고정되는
    광 커넥터 조립체.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부착부는 외피의 외측면에 대하여 페룰을 따라 변위되는 축방향 위치설정 너트인
    광 커넥터 조립체.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플라이스는 형상 기억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광 커넥터 조립체.
  13. 광 커넥터를 조립하는 방법이며,
    제1 페룰의 대응 돌출부 위로 스플라이스의 제1 개구를 정렬시키는 단계와,
    상기 제1 페룰의 돌출부를 상기 스플라이스의 상기 제1 개구 내로 가압하여 상기 제1 개구에서 상기 스플라이스의 도관을 개방시키도록 상기 제1 페룰을 상기 스플라이스에 대하여 종방향 축을 따라 압축시키는 단계와,
    상기 제1 페룰의 도관을 통하여, 상기 스플라이스의 상기 제1 개구를 통하여 그리고 상기 스플라이스의 상기 도관 내로 옵틱 파이버를 삽입시키는 단계와,
    상기 스플라이스가 상기 파이버 상에 반경 방향 보유력을 인가하게 하도록 상기 스플라이스에 대한 상기 제1 페룰의 종방향 축을 따른 압축을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광 커넥터 조립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제2 페룰의 돌출부를 상기 스플라이스의 대응 제2 개구와 정렬시키는 단계와,
    상기 제2 페룰의 상기 돌출부를 상기 스플라이스의 상기 제2 개구 내로 가압하여 상기 제2 개구에서 상기 스플라이스의 상기 도관을 개방시키도록 상기 제2 페룰을 상기 스플라이스에 대하여 종방향 축을 따라 압축시키는 단계와,
    상기 제2 페룰의 도관을 통하여, 상기 스플라이스의 상기 제2 개구를 통하여 그리고 상기 스플라이스의 상기 도관 내로 옵틱 파이버를 삽입시키는 단계와,
    상기 스플라이스가 상기 파이버 상에 반경 방향 보유력을 인가하게 하도록 상기 스플라이스에 대한 상기 제2 페룰의 종방향 축을 따른 압축을 해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광 커넥터 조립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시키는 단계는, 상기 제1 페룰이 부착되는 외피 내에 상기 스플라이스가 위치되고 나서 수행되는
    광 커넥터 조립 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하는 단계는, 상기 스플라이스와 상기 제1 페룰 사이에 제1 갭을 제공하고, 상기 스플라이스에 대하여 상기 제2 페룰을 압축시킬 때 상기 제1 갭을 유지하도록 상기 제1 페룰과 상기 스플라이스 사이에 스페이서가 위치되는
    광 커넥터 조립 방법.
KR1020107004391A 2007-07-27 2008-07-23 광 커넥터 조립체 KR2010007582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829,185 2007-07-27
US11/829,185 US7490995B1 (en) 2007-07-27 2007-07-27 Optical connector assembl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5829A true KR20100075829A (ko) 2010-07-05

Family

ID=402954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4391A KR20100075829A (ko) 2007-07-27 2008-07-23 광 커넥터 조립체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7490995B1 (ko)
EP (1) EP2171511A1 (ko)
KR (1) KR20100075829A (ko)
AU (1) AU2008281264A1 (ko)
CA (1) CA2694717A1 (ko)
MX (1) MX2010001102A (ko)
RU (1) RU2010104982A (ko)
WO (1) WO200901546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41163A1 (ja) * 2011-04-11 2012-10-18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光コネクタ及びフェルール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61537A (en) * 1981-12-24 1984-07-24 Molex Incorporated Fiber optic connector assembly
US4934785A (en) * 1983-08-29 1990-06-19 American Telephone And Telegraph Company Optical fiber connector
US4743084A (en) * 1986-05-14 1988-05-10 Amp Incorporated Optical fiber connector for field application
JPS63202702A (ja) 1987-02-19 1988-08-22 Sumitomo Electric Ind Ltd パワ−レ−ザ伝送用フアイバの入出力端末ホルダ
US5390270A (en) * 1989-11-28 1995-02-14 Kel Corporation Optical fiber ferrule assemblies
SG52490A1 (en) * 1992-04-21 1998-09-28 Minnesota Mining & Mfg Adhesiveless connector for optical fibres
EP0590586A1 (en) 1992-09-29 1994-04-06 Tosoh Corporation Optical fiber connector parts formed of zirconia
JP2776312B2 (ja) * 1995-07-21 1998-07-16 日本電気株式会社 光モジュール装置及び光コネクタ接続装置
US5737464A (en) * 1995-08-31 1998-04-07 Siecor Corporation Monolithic optical fiber coupler including sleeve with flexible flap
US5857046A (en) * 1997-02-12 1999-01-05 The Whitaker Corporation Strain relief
US6173097B1 (en) * 1998-07-01 2001-01-09 Siecor Operations, Llc Field installable multifiber connector
US6357933B1 (en) * 1999-03-30 2002-03-19 Lucent Technologies Inc. Quick connect optical fiber ferrule connector
EP1115014A1 (de) * 2000-01-06 2001-07-11 Diamond SA Steckerteil für eine optische Steckverbindung und Verfahren zu seiner Montage
JP3886312B2 (ja) 2000-01-14 2007-02-28 株式会社日新化成 光コネクタ用変換スリーブ
US6409393B1 (en) * 2000-02-18 2002-06-25 Molex Incorporated Fiber optic connector assembly and method of assembly
CN100489582C (zh) * 2000-09-22 2009-05-20 美国西蒙公司 机械接合的光纤连接器
US6616462B2 (en) * 2001-09-04 2003-09-09 Tonami Electronics Corporation Convertible multi-diameter sleeve for optical fiber connectors
MXPA04008111A (es) * 2002-02-22 2005-06-17 Le Berger Du Savoir Inc Conector para fibras opticas.
CA2397280A1 (en) * 2002-08-09 2004-02-09 Le Savoir Du Gardien Inc. Optical fiber connector assembly
CA2446533A1 (en) 2003-10-24 2005-04-24 9134-9001 Quebec Inc. Flexible ferrule device for connection of optical fiber and use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694717A1 (en) 2009-02-05
MX2010001102A (es) 2010-08-31
RU2010104982A (ru) 2011-09-10
US20090028508A1 (en) 2009-01-29
US7490995B1 (en) 2009-02-17
AU2008281264A1 (en) 2009-02-05
WO2009015462A1 (en) 2009-02-05
EP2171511A1 (en) 2010-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382236A1 (en) Optical fiber connection system
JP5420393B2 (ja) メカニカルスプライス型コネクタ用の二重機能スプライスコンポーネント
EP3198316B1 (en) Pushable multi-fiber connector
RU2577388C2 (ru) Оптический коннектор с элементом сплайса для оконцовки кабеля с защитной оболочкой на месте эксплуатации
RU2137164C1 (ru) Исполнительный инструмент и крышка для волоконно-оптического соединителя
US5142602A (en) Fiber optic connectors
JP5474142B2 (ja) スタブファイバコネクタおよびツールアッセンブリ
US7192194B2 (en) Universal adapter for fiber optic connectors
KR101203509B1 (ko) 광섬유 커넥터
JPH073494B2 (ja) 光ファイバコネクタ
KR20000029527A (ko) 파이버광케이블커넥터장치및방법
US6357933B1 (en) Quick connect optical fiber ferrule connector
EP2171510A1 (en) Fusion-splice fiber optic connectors and related tools
US6282348B1 (en) Optical ferrule and method for installing fiber without adhesives
JP3404340B2 (ja) クィック接続光ファイバ・コネクタ
KR100906489B1 (ko) 현장조립형 광커넥터
JP2005208220A (ja) 光コネクタの組立方法
KR20100075829A (ko) 광 커넥터 조립체
JP7201276B2 (ja) 光ファイバベンディングを防止する現場組み立て型光コネクター
JP2005345753A (ja) 光コネクタ及びその組み立て方法
JP4255803B2 (ja) 光コネクタ
JP4192748B2 (ja) 光ファイバ接続部材及び光ファイバ接続方法
EP0636910B1 (en) Quasi-hermaphroditic-type optical fiber connection
EP0417507A1 (en) Fiber optic connectors
KR19990020828A (ko) 광화이버 접속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