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75194A - 액정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액정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75194A
KR20100075194A KR1020080133826A KR20080133826A KR20100075194A KR 20100075194 A KR20100075194 A KR 20100075194A KR 1020080133826 A KR1020080133826 A KR 1020080133826A KR 20080133826 A KR20080133826 A KR 20080133826A KR 20100075194 A KR20100075194 A KR 201000751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electrode
layer
crystal display
delay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38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96374B1 (ko
Inventor
김진환
유재호
세라피모비치
황성모
김재창
윤태훈
이각석
이정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338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6374B1/ko
Publication of KR201000751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51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63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63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3Birefringent elements, e.g. for optical compens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30/00Nanotechnology for materials or surface science, e.g. nanocomposit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53Reflect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6Liquid crystal cell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semi-conducting layer or substrate, e.g. cells forming part of an integrated circuit
    • G02F1/1362Active matrix addressed cel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1/00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 G02F2201/12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electrode
    • G02F2201/121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electrode common or background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 위상차 지연층을 포함하는 반투과형 액정 표시 장치에서 구동 전압의 증가를 방지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액정 표시 장치는 반사 영역 및 투과 영역을 포함하는 제1 기판, 제1 기판 위에 형성되어 있는 게이트선 및 데이터선, 게이트선 및 데이터선에 연결되어 있는 박막 트랜지스터, 박막 트랜지스터에 연결되어 있으며, 반사 전극과 투명 전극을 포함하는 화소 전극, 그리고 화소 전극 위에 형성되어 있는 위상차 지연층을 포함하고, 위상차 지연층에는 나노 파티클이 도핑되어 있다.
이와 같이, 내부 위상차 지연층에 유전 상수가 5 이상인 나노 파티클을 도핑하여 반투과형 액정 표시 장치의 구동 전압의 증가를 방지할 수 있다.
반투과형 액정 표시 장치, 내부 위상차 지연층, 나노 파티클, 유전상수

Description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본 발명은 반투과형 액정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액정 표시 장치는 현재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평판 표시 장치 중 하나로서, 전극이 형성되어 있는 두 장의 표시판과 그 사이에 삽입되어 있는 액정층으로 이루어져 전극에 전압을 인가하여 액정층의 액정 분자들을 재배열시킴으로써 투과되는 빛의 양을 조절하는 표시 장치이다.
이러한 액정 표시 장치는 스스로 발광하지 못하는 수광형 표시 장치이므로, 백라이트(Backlight)나 자연광 등의 외부광을 이용하여 화상을 표시한다. 백라이트에서 발산된 빛이 액정층을 투과하여 화상을 표시하는 방식을 투과형(transmission) 액정 표시 장치라고 하고, 외부광이 액정층으로 입사하였다가 반사되어 화상을 표시하는 방식을 반사형(reflective) 액정 표시 장치라고 한다. 그리고, 투과 및 반사의 방식을 모두 사용하는 방식을 반투과형(transrelective) 액정 표시 장치라 한다.
일반적으로 반투과형 액정 표시 장치에서는 반사부에서의 빛이 액정을 통과하는 길이가 투과부에서의 빛이 액정을 통과하는 길이보다 더 길기 때문에 이러한 차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반사 전극과 투과 전극에 단차를 형성하게 되는데, 이러한 경우에 공정이 복잡하게 되므로, 단차를 없애기 위하여 위상차 지연층을 액정 셀 내부에 형성한다.
하지만, 위상차 지연층을 액정 셀 내부에 형성할 경우 액정 표시 장치의 구동 전압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내부 위상차 지연층을 포함하는 반투과형 액정 표시 장치에서 구동 전압의 증가를 방지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액정 표시 장치는 반사 영역 및 투과 영역을 포함하는 제1 기판, 제1 기판 위에 형성되어 있는 게이트선 및 데이터선, 게이트선 및 데이터선에 연결되어 있는 박막 트랜지스터, 박막 트랜지스터에 연결되어 있으며, 반사 전극과 투명 전극을 포함하는 화소 전극, 그리고 화소 전극 위에 형성되어 있는 위상차 지연층을 포함하고, 위상차 지연층에는 나노 파티클이 도핑되어 있다.
반사 전극은 반사 영역에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나노 파티클의 유전 상수는 5 이상일 수 있다.
나노 파티클은 TiO2 또는 MoSiO2 일 수 있다.
위상차 지연층은 TiO2 가 5 wt% 도핑되어 있을 수 있다.
위상차 지연층의 유전 상수는 17.2 일 수 있다.
제1 기판에 대향하며, 공통 전극을 포함하는 제2 기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내부 위상차 지연층에 유전 상수가 5 이상인 나노 파티클을 도핑하여 반투과형 액정 표시 장치의 구동 전압의 증가를 방지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 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없는 것을 뜻한다.
그러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에 대하여 도 1 및 도 2를 참고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배치도이고, 도 2는 도 1 의 액정 표시 장치를 II-II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는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100) 및 이와 마주하는 공통 전극 표시판(200), 그리고 두 표시판(100, 200) 사이에 있는 액정층(3)을 포함한다.
먼저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100)에 대하여 설명한다.
투명한 유리 또는 플라스틱 따위의 절연 물질로 만들어진 기판(110) 위에 복수의 게이트선(121)이 형성되어 있다. 그 위에는 게이트 절연막(140), 복수의 반도체(154), 복수의 저항성 접촉 부재(ohmic contact)(163, 165), 복수의 데이터선(171) 및 복수의 드레인 전극(175)이 차례로 형성되어 있다.
게이트선(121)은 게이트 신호를 전달하며 주로 가로 방향으로 뻗어 있다. 각 게이트선(121)은 위로 돌출한 복수의 게이트 전극(124)을 포함한다.
데이터선(171)은 데이터 신호를 전달하며 주로 세로 방향으로 뻗어 게이트선(121)과 교차한다. 각 데이터선(171)은 게이트 전극(124)을 향하여 뻗은 복수의 소스 전극(173)을 포함한다. 드레인 전극(175)은 데이터선(171)과 분리되어 있으며 게이트 전극(124)을 중심으로 소스 전극(173)과 마주한다.
반도체(154)는 게이트 전극(124) 위에 위치하며 그 위의 저항성 접촉 부재(163, 165)는 반도체(154)와 데이터선(171) 및 드레인 전극(175) 사이에 배치되어 이 둘 사이의 접촉 저항을 낮추어 준다.
하나의 게이트 전극(124), 하나의 소스 전극(173) 및 하나의 드레인 전극(175)은 반도체(154)와 함께 하나의 박막 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TFT)를 이루며, 박막 트랜지스터의 채널(channel)은 소스 전극(173)과 드레인 전극(175) 사이의 반도체(154)에 형성된다.
게이트 절연막(140), 데이터선(171) 및 드레인 전극(175) 위에는 보호막(180)이 형성되어 있다. 보호막(180)에는 드레인 전극(175)을 노출하는 접촉구(185)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표면에는 요철(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될 수 있다.
보호막(180) 위에는 화소 전극(191)이 형성되어 있다. 화소 전극(191)은 투명 전극(192) 및 그 위의 반사 전극(194)을 포함한다. 반사 전극(194)은 보호막(180) 표면의 요철을 따라 우툴두툴하게 형성될 수 있다.
투명 전극(192)은 ITO 또는 IZO 등의 투명한 도전 물질로 만들어지고, 반사 전극(194)은 알루미늄, 은, 크롬 또는 그 합금 등의 반사성 금속으로 만들어진다. 그러나 반사 전극(194)은 알루미늄, 은 또는 그 합금 등 저저항 반사성 상부막(도시하지 않음)과 몰리브덴 계열 금속, 크롬, 탄탈륨 및 티타늄 등 ITO 또는 IZO와 접촉 특성이 좋은 하부막(도시하지 않음)의 이중막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화소 전극(191) 위에는 위상차 지연층(14)이 형성되어 있다. 위상차 지연층(14)은 유전 상수를 높이기 위하여 TiO2 또는 MoSiO2 같은 유전 상수가 5 이상인 나노 파티클이 도핑되어 있다.
이어서, 공통 전극 표시판(200)에 대해 설명한다.
유리 또는 플라스틱 따위의 절연 물질로 만들어진 기판(210) 위에 블랙 매트릭스(black matrix)라고 하는 복수의 차광 부재(220)가 형성되어 있다.
절연 기판(210) 및 차광 부재(220) 위에는 색필터(23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색필터(230) 위에는 공통 전극(270)이 형성되어 있다.
두 기판(110, 210)의 바깥쪽 면에는 각각 편광판(12, 22)이 구비되어 있다.
화소 전극(191)은 접촉 구멍(185)을 통하여 드레인 전극(175)과 물리적ㅇ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드레인 전극(175)으로부터 데이터 전압을 인가 받는다. 데이터 전압이 인가된 화소 전극(191)은 공통 전압(common voltage)을 인가 받는 공통 전극 표시판(200)의 공통 전극(common electrode)(270)과 함께 전기장을 생성함으로써 두 전극(191, 270) 사이의 액정층(3)의 액정 분자의 방향을 결정한다. 이와 같이 결정된 액정 분자의 방향에 따라 액정층(3)을 통과하는 빛의 편광이 달라진다. 화소 전극(191)과 공통 전극(270)은 축전기[이하 "액정 축전기(liquid crystal capacitor)"라 함]를 이루어 박막 트랜지스터가 턴 오프된 후에도 인가된 전압을 유지한다.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100), 컬러 필터 표시판(200) 및 액정층(3) 등을 포함하는 반투과형 액정 표시 장치는 투명 전극(192) 및 반사 전극(194)에 의하여 각각 정의되는 투과 영역(TA) 및 반사 영역(RA)으로 구획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투명 전극(192) 중 반사 전극(194)으로 덮여 있지 않은 부분 아래위에 위치하는 부분은 투과 영역(TA)이 되고, 반사 전극(194) 아래위에 위치하는 부분은 반사 영역(RA)이 된다.
투과 영역(TA)에서는 액정 표시 장치의 뒷면, 즉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100) 쪽에서 입사된 빛이 액정층(3)을 통과하여 앞면, 즉 컬러 필터 표시 판(200) 쪽으로 나옴으로써 표시를 수행한다. 반사 영역(RA)에서는 앞면에서 들어온 빛이 액정층(3)으로 들어왔다가 반사 전극(194)에 의하여 반사되어 액정층(3)을 다시 통과하여 앞면으로 나옴으로써 표시를 수행한다. 이때, 반사 전극(194)의 우툴두툴한 표면(도시하지 않음)은 빛의 난반사를 유도하여 화면에 물체가 비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은 식 1, 도 3 및 도 4를 참고하여, 내부 위상차 지연층과 액정 표시 장치의 구동 전압과의 관계에 대해서 설명한다.
식 1은 액정 표시 장치의 총 구동 전압을 구하는 식이다. 식 1에 의하면 액정 표시 장치의 총 구동 전압은 액정층의 구동 전압과 내부 위상차 지연층의 구동 전압의 합으로 구할 수 있으며, 내부 위상차 지연층의 유전 상수의 값(εretarder)을 증가 시키면, 총 구동 전압이 감소됨을 알 수 있다.
[식 1]
Figure 112008088995089-PAT00001
여기서, S는 액정층과 내부 위상차 지연층의 면적, Q는 전하 밀도, dLC는 액정층의 셀갭, dretarder는 내부 위상차 지연층의 두께, ε0는 공기의 유전 상수, εLC는 액정층의 유전 상수, εretarder는 내부 위상차 지연층의 유전 상수를 나타낸다.
도 3는 반사부에서의 내부 위상차 지연층에 따른 구동 전압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4는 투과부에서의 내부 위상차 지연층에 따른 구동 전압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 및 도 4는 내부 위상차 지연층이 없는 경우, 내부 위상차 지연층에 나노 파티클을 도핑하지 않은 경우 및 내부 위상차 지연층에 나노 파티클을 도핑한 경우에 따른 구동 전압의 변화를 나타내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나노 파티클로 TiO2를 사용하였으며, 5 wt%를 도핑하였다.
TiO2를 도핑하지 않은 내부 위상차 지연층의 유전 상수는 3.5를 나타내었지만, TiO2를 도핑한 내부 위상차 지연층의 유전 상수는 17.2를 나타내어, 내부 위상차 지연층에 TiO2를 도핑함으로써, 유전 상수가 5배 이상 증가함을 알 수 있다.
도 3에 의하면, 반사율이 약 27% 에서 내부 위상차 지연층에 TiO2를 도핑하지 않은 경우에 구동 전압은 약 4.4V를 나타내지만, 내부 위상차 지연층에 TiO2를 도핑한 경우에 구동 전압은 약 3.4V를 나타내었다. 또한, 내부 위상차 지연층이 없는 경우에 구동 전압은 약 2.7V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TiO2를 도핑한 내부 위상차 지연층을 사용하면 반사부에서의 구동 전압 증가량은 1.4V에서 0.7V로 감소함을 알 수 있다.
도 4에 의하면, 투과율이 약 27%에서 내부 위상차 지연층에 TiO2를 도핑하지 않은 경우에 구동 전압은 약 8V를 나타내지만, 내부 위상차 지연층에 TiO2를 도핑한 경우에 구동 전압은 약 5.2V를 나타내었다. 또한, 내부 위상차 지연층이 없는 경우에 구동 전압은 약 4.5V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TiO2를 도핑한 내부 위상차 지연층을 사용하면 투과부에서의 구동 전압 증가량은 2.8V에서 0.7V로 감소함을 알 수 있다.
또한, 반사부 및 투과부에서 TiO2를 도핑에 따른 반사율 및 투과율의 변화는 거의 없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반투과형 액정 표시 장치에서 유전 상수가 5 이상인 나노 파티클이 도핑된 위상차 지연층을 액정 셀 내에 형성하면, 반사율 및 투과율의 변화 없이 구동 전압의 증가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배치도이다.
도 2는 도 1의 액정 표시 장치를 II-II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3는 반사부에서의 내부 위상차 지연층에 따른 구동 전압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투과부에서의 내부 위상차 지연층에 따른 구동 전압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주요 도면 부호의 설명>
14: 위상차 지연층 191: 화소 전극
192: 투명 전극 194: 반사 전극
TA: 투과 영역 RA: 반사 영역

Claims (7)

  1. 반사 영역 및 투과 영역을 포함하는 제1 기판,
    제1 기판 위에 형성되어 있는 게이트선 및 데이터선
    상기 게이트선 및 상기 데이터선에 연결되어 있는 박막 트랜지스터,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에 연결되어 있으며, 반사 전극과 투명 전극을 포함하는 화소 전극, 그리고
    상기 화소 전극 위에 형성되어 있는 위상차 지연층을 포함하고
    상기 위상차 지연층에는 나노 파티클이 도핑되어 있는 액정 표시 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반사 전극은 상기 반사 영역에 형성되어 있는 액정 표시 장치.
  3. 제2항에서,
    상기 나노 파티클의 유전 상수는 5 이상인 액정 표시 장치.
  4. 제3항에서,
    상기 나노 파티클은 TiO2 또는 MoSiO2 인 액정 표시 장치.
  5. 제4항에서,
    상기 위상차 지연층은 TiO2 가 5 wt% 도핑되어 있는 액정 표시 장치.
  6. 제5항에서,
    상기 위상차 지연층의 유전 상수는 17.2인 액정 표시 장치.
  7. 제6항에서,
    상기 제1 기판에 대향하며, 공통 전극을 포함하는 제2 기판을 더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KR1020080133826A 2008-12-24 2008-12-24 액정 표시 장치 KR1015963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3826A KR101596374B1 (ko) 2008-12-24 2008-12-24 액정 표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3826A KR101596374B1 (ko) 2008-12-24 2008-12-24 액정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5194A true KR20100075194A (ko) 2010-07-02
KR101596374B1 KR101596374B1 (ko) 2016-02-29

Family

ID=426376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3826A KR101596374B1 (ko) 2008-12-24 2008-12-24 액정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637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42119A (ja) * 1997-11-28 1999-09-07 Sumitomo Chem Co Ltd 位相差フィルム
KR20060066356A (ko) * 2004-12-13 2006-06-16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 장치와 표시 장치용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 및 그제조 방법
KR20060128727A (ko) * 2005-06-09 2006-12-14 산요 엡슨 이미징 디바이스 가부시키가이샤 액정 장치 및 전자 기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42119A (ja) * 1997-11-28 1999-09-07 Sumitomo Chem Co Ltd 位相差フィルム
KR20060066356A (ko) * 2004-12-13 2006-06-16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 장치와 표시 장치용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 및 그제조 방법
KR20060128727A (ko) * 2005-06-09 2006-12-14 산요 엡슨 이미징 디바이스 가부시키가이샤 액정 장치 및 전자 기기
JP2007017943A (ja) * 2005-06-09 2007-01-25 Sanyo Epson Imaging Devices Corp 液晶装置及び電子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6374B1 (ko) 2016-0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27607B2 (en) Array substrate for transflectiv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KR101197051B1 (ko)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
KR20070000109A (ko)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KR20060136079A (ko)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JP2007206557A (ja) 液晶表示装置
KR20060118153A (ko) 반투과형 액정 표시 장치, 이를 위한 표시판 및 그 제조방법
JP2007004182A (ja) 液晶表示装置
KR20060114921A (ko) 액정 표시 장치
KR20070059295A (ko) 반투과형 액정 표시 장치
KR20060112286A (ko) 색필터 표시판,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반투과형액정 표시 장치
KR20060125239A (ko) 표시 장치
US7876402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7746426B2 (en) Liquid crystal display comprising a wide view polarizer
US8023073B2 (en) Color filter display panel, thin film transistor array panel, liquid crystal display thereof, and method thereof
KR20110068563A (ko) 액정표시장치
US6999144B2 (en) Transflectiv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particular angles between optical axes
TWI403809B (zh) 邊緣電場切換模式液晶顯示器及其製造方法
US20060001806A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20070084851A (ko) 반투과형 액정 표시 장치 및 이를 위한 표시판
US20090128765A1 (en) Display device
KR20080070419A (ko) 반투과형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1596374B1 (ko) 액정 표시 장치
KR20080048622A (ko) 액정 표시 장치
JP2004109797A (ja) 半透過型液晶表示装置
KR20080057914A (ko) 액정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