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75080A -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00075080A KR20100075080A KR1020080133691A KR20080133691A KR20100075080A KR 20100075080 A KR20100075080 A KR 20100075080A KR 1020080133691 A KR1020080133691 A KR 1020080133691A KR 20080133691 A KR20080133691 A KR 20080133691A KR 20100075080 A KR20100075080 A KR 2010007508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outdoor unit
- air conditioner
- condensate
- bottom plate
- condensate receiv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13/2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46—Component arrangements in separate outdoor uni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13/2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2013/227—Condensate pipe for drainage of condensate from the evapora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ther Air-Conditioning Systems (AREA)
- Devices For Blowing Cold Air, Devices For Blowing Warm Air, And Means For Preventing Water Condensation In Air 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응축수를 집수하여 배출할 수 있는 응축수받이가 구비된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에 관한 것으로, 실외기 케이스의 저면측 부재로서 그 상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압축기와 실외 열교환기가 설치될 수 있는 바닥면을 형성하고 그 바닥면에 응축수 배수공이 관통 형성된 베이스팬과, 상기 베이스팬의 저면 쪽에 고정되어 상기 베이스팬을 지면으로부터 이격시켜 지지해주는 한 쌍의 레그와, 상기 레그의 마주보는 각각의 내측벽면 상에 상기 레그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한 쌍의 가이드레일과,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레그 사이의 베이스팬 저면쪽 이격공간부에 수납되도록 상기 각 가이드레일 상에 안착되는 한 쌍의 가이드가 형성된 용기 형상의 응축수받이를 포함하는 응축수 집수배출장치를 제공한다.
공기조화기, 실외기, 베이스팬, 레그, 응축수받이, 집수공, 스토퍼
Description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실외기 케이스의 하부를 형성하는 베이스팬의 저면에 슬라이딩 방식의 응축수받이를 구비하여 쉽게 착탈 가능한 집수배출구조를 이룸으로써 실외기의 유지 관리가 용이하고 실외기를 실내에 설치하는 경우에도 응축수가 실내 바닥에 고이지 않도록 된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실내 공기를 쾌적한 조건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흡입공기를 처리하여 건물의 실내에 공급하는 장치로서, 크게 일체형(Window Type)과 분리형(Separate Type 또는 Split Type)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한 일체형과 분리형 공기조화기는, 기능적으로는 같지만 일체형은 냉각 및 방열 기능을 일체화하여 가옥의 벽에 구멍을 뚫거나 창에 장치를 걸어서 직접 설치한 것이고, 분리형은 실내측에 냉각장치를 설치하고 실외측에 방열 및 압축장치를 설치하여 서로 분리된 두 장치간을 냉매배관으로 연결시킨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공기조화기 중 분리형은 크게 실내 열교환기 및 실내 팬을 포함하는 실내기와, 압축기와 실외 열교환기 및 실외 팬을 포함하는 실외기와, 실내기 와 실외기를 연결하는 냉매배관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기존의 공기조화기용 실외기의 경우, 상기 실외기 저면 쪽에는, 레그(Leg)에 의해 지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지지되고 응축수를 지면 쪽으로 배출하기 위한 다수의 배수공이 형성된 베이스팬이 장착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의 실외기는 건물의 발코니 등과 같은 실내에 설치 시 베이스팬에 모여진 응축수가 다수의 배수공을 통해 불규칙적으로 실내 바닥으로 떨어져 고여있게 되므로 주변환경을 오염시키고, 미관을 저해한다.
한편, 기존의 공기조화기용 실외기에 있어서 베이스팬에 응축수받이가 구비되어 응축수를 모아서 배출할 수 있도록 된 선행기술로는, 본 발명의 출원인에 의해 2002년 제안된 바 있는 출원번호 제10-2002-0038433호의 '에어컨의 실외기 응축수 배출장치'가 있다.
그런데, 상기의 선행기술은 드레인파이프(집수배출관)가 형성된 용기형상의 응축수받이를 베이스팬의 저면에 나사로 체결한 구조로 된 것으로서 실질적으로 상기 베이스팬과 일체형을 이루며, 특히 상기 베이스팬에 응축수받이를 고정하기 위해서는 실외기를 상하 반전시켜 지면에 안정적으로 놓은 후 드라이버 등의 공구로 조립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응축수의 집수 후 배출이 가능하여 실외기를 실내에 설치하는 경우에도 응축수가 실내 바닥에 고이지 않으므로 주변환경을 청결히 할 수 있고, 실외기를 상하 반전시키지 않고도 조립 가능함은 물론이고 베이스팬으로부터 쉽게 분리 가능한 응축수받이의 착탈구조를 이룸으로써 설치 및 유지 관리가 용이한 응축수의 집수배출구조를 갖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는, 실외기 케이스의 저면측 부재로서 그 상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압축기와 실외 열교환기가 설치될 수 있는 바닥면을 형성하고 그 바닥면에 응축수 배수공이 관통 형성된 베이스팬과, 상기 베이스팬의 저면 쪽에 고정되어 상기 베이스팬을 지면으로부터 이격시켜 지지해주는 한 쌍의 레그와, 상기 레그의 마주보는 각각의 내측벽면 상에 상기 레그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한 쌍의 가이드레일과,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레그 사이의 베이스팬 저면쪽 이격공간부에 수납되도록 상기 각 가이드레일 상에 안착되는 한 쌍의 가이드가 형성된 용기 형상의 응축수받이를 포함하는 응축수 집수배출장치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팬의 상면은 상기 압축기와 실외 열교환기가 안착될 수 있는 요철면으로 형성되고, 그 요철 형상에 의해 응축수가 고이지 않도록 적소마다 배수공이 다수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레그는 구조의 경량화를 위해 내측에 중공부가 형성될 수 있도록 판재를 절곡 및 블랭킹 가공하여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레그는 상기 베이스팬의 저면을 따라 가로질러 배치되는 레그프레임에 의해 연결되어 보강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이드레일은 상기 레그의 내측벽면에 점용접으로 결합되어지되 상기 응축수받이의 가이드가 걸려진 채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전체 길이에 걸쳐 상향 절곡된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는 응축수받이 양측의 주위벽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지되 그 단부가 상기 가이드레일에 걸릴 수 있도록 전체 길이에 걸쳐 하향 절곡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응축수받이는, 장방형의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4면 둘레를 따라 소정높이로 형성된 주위벽을 포함하는 사각 용기형상을 이루고, 상기 4면의 주위벽 중 대향되는 어느 양측 주위벽의 상단부에 상기 가이드가 연장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응축수받이의 주위벽은, 그 슬라이딩 수납방향을 기준할 때 사용자가 파지하는 후방측 주위벽의 높이와 이에 대향되는 전방측 주위벽의 높이간에 높이편차를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주위벽의 하단 둘레를 따라 상기 바닥판의 둘레가 밀접하여 결합됨으로써 상기 바닥판이 전후방 중 어느 일방으로 경사편차를 형성하며, 상기 바닥판의 경사 저위측에 집수공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후방측 주위벽은 상기 전방측 주위벽의 높이에 비해 큰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바닥판이 사용자의 파지부위인 후방측 주위벽을 향해 하향 경사져 있고, 상기 후방측 주위벽과 인접한 위치의 바닥판 상에 집수공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바닥판의 저면에는 상기 응축수받이에 모인 응축수의 배출을 유도할 수 있도록 상기 집수공으로부터 연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돌출 형성된 집수배출관을 더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응축수받이의 일측벽부에는, 가이드레일을 따라 슬라이딩시켜 상기 레그 사이의 베이스팬 저면쪽 이격공간부에 수납 시 상기 응축수받이가 상기 베이스팬의 전면에 걸쳐 더 이상 진입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스토퍼가 더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토퍼 및 상기 스토퍼와 접하는 베이스팬의 둘레 일측에는, 체결구를 체결하여 상기 응축수받이의 수납 상태를 고정하기 위한 체결공이 각각 관통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응축수 집수배출장치를 구비한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에 의하면, 실외기 케이스의 하부를 형성하는 베이스팬의 저면 쪽을 지지하는 레그에 가이드레일을 형성하고 상기 레그에 의해 형성되는 베이스팬 저면쪽 이격공간부 내에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응축수받이가 수용되어 쉽게 착탈 가능한 집수배출구조를 이룸으로써, 실외기의 유지 관리가 용이하고, 실외기를 실내에 설치 하는 경우에도 상기 응축수받이의 저면 쪽에 형성된 집수배출관에 별도의 배수관을 연결하기만 하면 상기 응축수받이 내에 응축수가 모여진 후 집수공을 통해 집수배출관 및 배수관을 따라 하수구로 배출될 수 있으므로 실내 바닥에 고이지 않게 되고, 따라서 주변환경을 청결히 유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응축수받이는 언제라도 그 이동 조작이 간편한 슬라이딩 서랍식의 구조를 이루고 또한 상기 응축수받이에 수납 고정용의 스토퍼가 구비된 경우 상기 스토퍼에 체결된 체결구를 풀어 응축수받이를 인출해내기만 하면 되므로, 기존의 경우와 같이 실외기 전체를 상하 반전시키는 등의 번거로운 작업을 수행하지 않고도 상기 응축수받이를 실외기 본체로부터 분리해내어 청소하는데 아무런 제한이 없어 매우 편리함은 물론이고, 응축수의 처리와 관련한 사용자의 불만사항을 상당부분 해소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에 적용되는 실외기(9)(10)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에 적용되는 실외기(9)(10)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용 실외기(9)(10)의 베이스팬(Base Pan)(110)쪽에 구비되는 응축수 집수배출장치(100)의 결합사시도 및 그 주요부에 대한 부분확대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용 실외기(9)(10)에 적용된 집수배출장치(100)를 응축수받이(130)가 개 방된 상태로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집수배출장치(100)에 적용된 베이스팬(110)의 내부구조를 도시한 저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집수배출장치(100)에 적용된 응축수받이(130)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집수배출장치(100)의 도립상태 사시도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실내기(1 내지 8)와, 상기 실내기(1 내지 8)와 연결된 다수의 실외기(9)(10)를 포함하는 멀티형 공기조화기로서, 냉방과 난방이 선택적으로 실시되는 히트펌프-멀티형 공기조화기로 이루어진다.
다수의 실내기(1 내지 8)와 다수의 실외기(9)(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냉매가 통과하는 액냉매관(15)과 가스 냉매가 통과하는 가스냉매관(16)이 병렬로 연결된다.
각각의 실내기(1 내지 8)는 냉매가 실내공기와 열교환되면서 실내공기를 냉각하거나 가열하는 실내 열교환기(11)와, 실내기 내부로 실내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실내 열교환기(11)와 열교환되게 한 후 실내기 외부로 토출시키는 실내 송풍기(12)와, 실내 열교환기(11)를 향해 유동되는 냉매를 팽창시키는 실내 팽창기구(13)를 포함한다.
실내 팽창기구(13)는 냉매의 팽창을 조절할 수 있는 LEV나 EEV 등의 전자팽창밸브로 이루어진다.
다수의 실외기(9)(10)는 이들이 함께 구동될 때 균등한 압력을 유지하도록 균압관(14)으로 연결된다. 참고로, 이하에서는, 상기 균압관(14)과 액냉매관(15) 및 가스냉매관(16)을 냉매배관(14)(15)(16)으로 통칭하여 설명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실외기(9)(10)는, 압축기(20)(21)(22)와, 실외 열교환기(30)와, 실외 송풍기(40)와, 실외 팽창기구(미도시)와, 냉난방 절환밸브(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다수의 압축기(20)(21)(22)는 냉매를 압축시키기 위한 장치로서, 각각의 냉매유로 상에 병렬로 배치되며, 그 중 어느 하나는 인버터 압축기 등과 같은 용량 가변형 압축기로, 나머지들은 정속 압축기로 각각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압축기(20)(21)(22)는 흡입측이 어큐뮬레이터(26)와 연결되고, 그 토출측이 각각의 오일분리기(23)(24)(25) 및 체크밸브(미도시)와 연결된다.
상기 실외 열교환기(30)는 냉방운전 시에는 응축기로, 난방운전 및 제상 시에는 증발기로 작용하고, 상기 실외 열교환기(30)의 주변에는 실외공기를 실외 열교환기(30)로 유동시키기 위한 실외 송풍기(40)가 설치된다.
상기 실외 송풍기(40)는 실외 팬모우터(41)와, 실외 팬(42)으로 이루어진다.
실외 팽창기구는 실외 열교환기(30)를 통과한 냉매가 통과할 때는 냉매를 팽창시키지 않고, 실외 열교환기(30)를 향해 냉매가 통과할 때는 냉매를 팽창시키는 것으로서, 실외 열교환기(30)의 냉매유로와 실내 팽창기구(13) 사이에 위치되도록 설치되고, 병렬로 연결된 실외 팽창밸브(미도시) 및 체크밸브(미도시)로 이루어진다.
상기 냉난방 절환밸브는 냉방운전 시에는 압축기(20)(21)(22)에서 압축된 냉 매가 실외 열교환기(30)로 유동되게 함과 아울러 실내 열교환기(11)를 통과한 냉매가 압축기(20)(21)(22)를 향해 유동되게 하고, 난방운전 시에는 상기 압축기(20)(21)(22)에서 압축된 냉매가 실내 열교환기(11)로 유동되게 함과 아울러 실외 열교환기(30)를 통과한 냉매가 압축기(20)(21)(22)를 향해 유동되게 한다.
상기 실내 팽창기구(13)와 실외 팽창기구 사이의 액냉매관(15)에는 공기조화기의 냉방운전 시 실외 열교환기(30)에서 응축된 냉매를 과냉시키는 과냉각장치(50)가 설치된다.
상기 과냉각장치(50)는 냉방운전 시에는 실외 열교환기(30)를 통과하면서 응축된 냉매가 실내 팽창기구(13)에서 팽창되기 이전에 과냉되도록 액냉매관(15) 중 실외기(9)(10) 내부에 위치된 부분에 설치된다.
한편, 상기 실외기(9)(10)는 그 외관을 형성하는 실외기 케이스에, 실외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그릴(81)과, 상기 실외 열교환기(30)와 열교환된 내부공기를 외부로 토출하기 위한 토출그릴(92)이 각각 마련되어 있다.
상기의 실외기 케이스는, 레그(120)에 의해 지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지지되는 저면 쪽의 베이스팬(110)과, 상기 베이스팬(110) 상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전면 쪽의 프론트패널(60)과, 배면 쪽의 리어패널(70)과, 양측면 쪽의 측면패널(80)과, 상면 쪽의 탑패널(9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프론트패널(60)은 실외기(9)(10)의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그 하부에 냉매배관(14)(15)(16)을 내측으로 수용하기 위한 배관공(61)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배관공(61)에는 차폐판(62)이 착탈되는 구조를 이룰 수 있다. 상기 차 폐판(62)은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로 프론트패널(60)에 결합됨으로써 작업자가 드라이버 등의 공구로 차폐판(62)을 착탈시킬 수 있다.
상기 리어패널(70)은 실외기(9)(10)의 배면 외관을 형성한다.
상기 측면패널(80)은 실외기(9)(10)의 좌우 양측면의 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실외공기가 실외기(9)(10) 내부로 흡입될 수 있도록 격자구조의 흡입그릴(8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탑패널(90)은 실외기(9)(10)의 상면 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상기 프론트패널(60)과 리어패널(70) 및 측면패널(80)의 상부에 배치되며, 실외 송풍기(40)로부터 송풍된 공기가 외부로 통과되도록 하기 위한 토출구(91)가 형성되고, 상기 토출구(91) 상부에는 토출그릴(92)이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실외 송풍기(40)는 실외기 케이스의 내측에 구비된 브래킷(93) 상에 설치되고, 상기 브래킷(93)과 탑패널(90) 사이에는 그 실외 팬(42)의 토출유로를 형성하는 슈라우드(94)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팬(110)은 도 3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상부에 다수의 압축기(20)(21)(22)와, 오일분리기(23)(24)(25)와, 어큐뮬레이터(26)와, 실외 열교환기(30) 등의 부품을 설치할 수 있는 지지용 바닥면으로 작용하는 케이스 부재의 일부로서, 응축수를 지면 쪽으로 배출하기 위한 응축수 배수공(112)이 상기 베이스팬(110)의 바닥면에 다수 형성되고, 그 하부에는 상기 배수공(112)을 통해 지면 쪽으로 낙하되는 응축수를 모아 배출할 수 있는 집수배출장치(100)가 더 구비된다.
상기 응축수 집수배출장치(100)는 도 4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팬(110)과, 상기 베이스팬(110)의 저면 쪽에 고정되어 상기 베이스팬(110)을 지면으로부터 이격시켜 지지해주는 한 쌍의 레그(120)와, 상기 레그(120)의 마주보는 각각의 내측벽면 상에 상기 레그(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한 쌍의 가이드레일(125)과, 상기 가이드레일(125)을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레그(120) 사이의 베이스팬(110) 저면쪽 이격공간부에 수납되도록 상기 각 가이드레일(125) 상에 안착되는 한 쌍의 가이드(135)가 형성된 용기 형상의 응축수받이(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베이스팬(110)의 상면은 상기 압축기(20)(21)(22)와 실외 열교환기(30) 등이 안착될 수 있는 요철면으로 형성되고, 그 요철 형상에 의해 응축수가 고이지 않도록 적소마다 상기 배수공(112)이 다수 형성되도록 한 것이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레그(120)는, 상기 베이스팬(110)의 저면 쪽에 고정되어 상기 베이스팬(110)을 지면으로부터 이격시켜 지지해주는 한 쌍의 지지부재로서, 상기 베이스팬(110)의 저면 쪽에 일체로 돌출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고, 베이스팬(110)과 별도로 제작한 후 상기 베이스팬(110)의 저면 쪽에 나사 등의 체결구로 체결하여 일체화할 수도 있다.
상기 레그(120)는, 냉매배관(14)(15)(16)이 베이스팬(110)과 지면의 사이의 이격공간을 통해 배치될 수 있도록 상기 냉매배관(14)(15)(16)의 직경 보다 큰 높이를 갖는 정도가 적당하다.
상기 레그(120)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조의 경량화를 위해 내측에 중공부가 형성될 수 있도록 판재를 절곡 및 블랭킹 가공하여 형성되고, 한 쌍의 레그(120)는 베이스팬(110)의 저면을 따라 가로질러 배치되는 레그프레임(123)에 의해 연결되는 구조로 보강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레일(125)은, 상기 레그(120)의 내측벽면에 점용접(Spot Welding)으로 결합되어지되 상기 응축수받이(130)의 가이드(135)가 걸려진 채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전체 길이에 걸쳐 상향 절곡된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응축수받이(130)는 도 5와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방형의 바닥판(131)과, 상기 바닥판(131)의 4면 둘레를 따라 소정높이로 형성된 주위벽(132)을 포함하는 사각 용기형상을 이루고, 상기 4면의 주위벽(132) 중 대향되는 좌우 양측 주위벽(132)의 상단부에 상기 가이드(135)가 연장 형성된 구조를 이룬다.
상기 가이드(135)는 응축수받이(130) 양측의 주위벽(132)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지되 그 단부가 상기 레그(120)의 가이드레일(125)에 걸릴 수 있도록 응축수받이(130)의 측면 전체 길이에 걸쳐 하향 절곡되어 형성된다.
상기 응축수받이(130)의 주위벽(132)은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슬라이딩 수납방향을 기준할 때 사용자가 파지하는 후방측 주위벽의 높이(h1)와 이에 대향되는 전방측 주위벽의 높이(h2)간에 높이편차, 즉, 경사편차(dh)를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주위벽(132)의 하단 둘레를 따라 상기 바닥판(131)의 둘레가 밀접하여 결합됨으로써 상기 바닥판(131)이 전후방 중 어느 일방으로 경사편차(dh)를 형성하며, 상기 바닥판(131)의 경사 저위측에 집수공(134)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후방측 주위벽(h1)을 상기 전방측 주위벽의 높이(h2)에 비해 큰 높이로 형성하여 상기 바닥판(131)이 사용자의 파지부위인 후방측 주위벽을 향해 하향 경사지도록 하고 상기 후방측 주위벽과 인접한 위치의 바닥판(131) 상에 집수공(134)이 구비되도록 구성할 수 있는데, 이는, 응축수받이(130)에 응축수가 채워진 상태에서 상기 응축수받이(130)를 베이스팬(110)으로부터 분리하여 운반하고자 할 때 무게중심이 작업자의 손 쪽에 인접하게 놓여지도록 함으로써 작업자가 응축수를 흘리지 않고 보다 안정적으로 운반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바닥판(131)의 저면에는 상기 응축수받이(130)에 모인 응축수의 배출을 유도할 수 있도록 상기 집수공(134)으로부터 연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돌출 형성된 집수배출관(133)이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집수배출관(133)에 유연한 배수유도용 호스(미도시)를 연결하여 발코니 등에 마련된 배수구로 연장 인출하면 상기 응축수받이(130)의 수납 또는 분리동작 없이 응축수를 지속적으로 배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응축수받이(130)의 일측벽부(후방측 주위벽(132))에는, 가이드레일(125)을 따라 상기 응축수받이(130)를 슬라이딩시켜 상기 레그(120) 사이의 베이스팬(110) 저면쪽 이격공간부에 수납 시, 상기 응축수받이(130)가 상기 베이스팬(110)의 전면에 걸쳐 더 이상 진입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스토퍼(137)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토퍼(137) 및 상기 스토퍼(137)와 접하는 베이스팬(110)의 둘레 일측에는, 체결구(139)를 체결하여 상기 응축수받이(130)의 수납 상태를 고정하 기 위한 체결공(138)이 각각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응축수받이(130)는 실외기(9)(10)의 보급 시 사용자가 별도로 구매하여 장착할 수 있는 별매품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이루는 본 발명에 따른 집수배출장치는, 베이스팬(110)의 배수공(112)을 통해 응축수받이(130)로 떨어진 응축수가 그 바닥판(131)의 경사편차(dh)에 의해 저위측의 집수공(134)쪽으로 집수되고, 집수된 응축수는 집수공(134)과 집수배출관(133) 및 배수유도용 호스를 통해 발코니 등에 마련된 배수구로 원활히 배출되도록 해준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기준하여 설명되어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라 할 수 있고,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들을 생각해 낼 수 있으므로 이러한 균등한 실시예들 또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보아야 함은 극히 당연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결정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에 적용되는 실외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에 적용되는 실외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용 실외기의 베이스팬(Base Pan)쪽에 구비되는 응축수 집수배출장치의 결합사시도 및 그 주요부에 대한 부분확대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용 실외기에 적용된 집수배출장치를 응축수받이가 개방된 상태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집수배출장치에 적용된 베이스팬의 내부구조를 도시한 저면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집수배출장치에 적용된 응축수받이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집수배출장치의 도립상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h1 : 후방측 주위벽 높이 h2 : 전방측 주위벽 높이
dh ; 주위벽간 경사편차 1 내지 8 : 실내기
9, 10 : 실외기 11 : 실내 열교환기
12 : 실내 송풍기 13 : 실내 팽창기구
14 : 균압관(냉매배관) 15 : 가스냉매관(냉매배관)
16 : 액냉매관(냉매배관) 20, 21, 22 : 압축기
23, 24, 25 : 오일분리기 26 : 어큐뮬레이터
30 : 실외 열교환기 40 : 실외 송풍기
41 : 실외 팬모우터 42 : 실외 팬
50 : 과냉각장치 60 : 프론트패널
61 : 배관공 62 : 차폐판
70 : 리어패널 80 : 측면패널
81 : 흡입그릴 90 : 탑패널
91 : 토출구 92 : 토출그릴
93 : 브래킷 94 : 슈라우드
100 : 집수배출장치 110 : 베이스팬(Base Pan)
112 : 배수공 120 : 레그(Leg)
123 : 레그프레임 125 : 가이드레일
130 : 응축수받이 131 : 바닥판
132 : 주위벽 133 : 집수배출관
134 : 집수공 135 : 가이드
137 : 스토퍼 138 : 체결공
139 : 체결구
Claims (10)
- 실외기 케이스의 저면측 부재로서 그 상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압축기와 실외 열교환기가 설치될 수 있는 바닥면을 형성하고 그 바닥면에 응축수 배수공이 관통 형성된 베이스팬;상기 베이스팬의 저면 쪽에 고정되어 상기 베이스팬을 지면으로부터 이격시켜 지지해주는 한 쌍의 레그;상기 레그의 마주보는 각각의 내측벽면 상에 상기 레그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한 쌍의 가이드레일; 및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레그 사이의 베이스팬 저면쪽 이격공간부에 수납되도록 상기 각 가이드레일 상에 안착되는 한 쌍의 가이드가 형성된 용기 형상의 응축수받이;를 포함하는 응축수 집수배출장치를 구비하여서 된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베이스팬의 상면은 상기 압축기와 실외 열교환기가 안착될 수 있는 요철면으로 형성되고, 그 요철 형상에 의해 응축수가 고이지 않도록 적소마다 배수공이 다수 형성되어 이루어진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레그는 구조의 경량화를 위해 내측에 중공부가 형성될 수 있도록 판재를 절곡 및 블랭킹 가공하여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레그는 상기 베이스팬의 저면을 따라 가로질러 배치되는 레그프레임에 의해 연결되어 보강된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가이드레일은 상기 레그의 내측벽면에 점용접으로 결합되어지되 상기 응축수받이의 가이드가 걸려진 채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전체 길이에 걸쳐 상향 절곡된 형태로 형성되고,상기 가이드는 응축수받이 양측의 주위벽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지되 그 단부가 상기 가이드레일에 걸릴 수 있도록 전체 길이에 걸쳐 하향 절곡되어 이루어진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응축수받이는, 장방형의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4면 둘레를 따라 소정높이로 형성된 주위벽을 포함하는 사각 용기형상을 이루고,상기 4면의 주위벽 중 대향되는 어느 양측 주위벽의 상단부에 상기 가이드가 연장 형성되어 이루어진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 제 5 항에 있어서,상기 응축수받이의 주위벽은, 그 슬라이딩 수납방향을 기준할 때 사용자가 파지하는 후방측 주위벽의 높이와 이에 대향되는 전방측 주위벽의 높이간에 높이편차를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주위벽의 하단 둘레를 따라 상기 바닥판의 둘레가 밀접하여 결합됨으로써 상기 바닥판이 전후방 중 어느 일방으로 경사편차를 형성하며, 상기 바닥판의 경사 저위측에 집수공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 제 6 항에 있어서,상기 후방측 주위벽은 상기 전방측 주위벽의 높이에 비해 큰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바닥판이 사용자의 파지부위인 후방측 주위벽을 향해 하향 경사져 있고, 상기 후방측 주위벽과 인접한 위치의 바닥판 상에 집수공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상기 바닥판의 저면에는 상기 응축수받이에 모인 응축수의 배출을 유도할 수 있도록 상기 집수공으로부터 연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돌출 형성된 집수배출관을 더 구비하여 이루어진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응축수받이의 일측벽부에는, 가이드레일을 따라 슬라이딩시켜 상기 레 그 사이의 베이스팬 저면쪽 이격공간부에 수납 시 상기 응축수받이가 상기 베이스팬의 전면에 걸쳐 더 이상 진입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스토퍼가 더 형성되어 이루어진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 제 9 항에 있어서,상기 스토퍼 및 상기 스토퍼와 접하는 베이스팬의 둘레 일측에는, 체결구를 체결하여 상기 응축수받이의 수납 상태를 고정하기 위한 체결공이 각각 관통 형성되어 이루어진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133691A KR101515949B1 (ko) | 2008-12-24 | 2008-12-24 |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133691A KR101515949B1 (ko) | 2008-12-24 | 2008-12-24 |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75080A true KR20100075080A (ko) | 2010-07-02 |
KR101515949B1 KR101515949B1 (ko) | 2015-05-04 |
Family
ID=426375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133691A KR101515949B1 (ko) | 2008-12-24 | 2008-12-24 |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15949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9974278A (zh) * | 2019-04-30 | 2019-07-05 | 宁波奥克斯电气股份有限公司 | 一种底盘储水结构及空调器 |
CN114646105A (zh) * | 2022-03-24 | 2022-06-21 | 青岛海尔空调电子有限公司 | 空调系统及其顶出风空调室外机 |
-
2008
- 2008-12-24 KR KR1020080133691A patent/KR101515949B1/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9974278A (zh) * | 2019-04-30 | 2019-07-05 | 宁波奥克斯电气股份有限公司 | 一种底盘储水结构及空调器 |
CN114646105A (zh) * | 2022-03-24 | 2022-06-21 | 青岛海尔空调电子有限公司 | 空调系统及其顶出风空调室外机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515949B1 (ko) | 2015-05-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2995873B1 (en) | Outdoor device for an air conditioner | |
CN106196332B (zh) | 空调机的室外机 | |
EP1248049A2 (en) | Room air-conditioner | |
CN101101139A (zh) | 空调器 | |
US20080000251A1 (en) | Air conditioner | |
US20080000252A1 (en) | Air conditioner | |
KR20100075080A (ko) |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 |
KR20070075614A (ko) | 공기조화기의 진동방지구조 | |
KR102094901B1 (ko) |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 |
CN101273241A (zh) | 用于蒸发器单元的凝结水排水配置 | |
KR20160073606A (ko) |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 |
KR100947165B1 (ko) | 증발기 유닛을 위한 응축액 배수 호스 배열체 | |
KR20160073605A (ko) |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 |
KR20170002349A (ko) |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 |
KR101280689B1 (ko) | 공기조화기 | |
KR20160031394A (ko) |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 |
KR20160031231A (ko) |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 |
EP2373200B1 (en) | Refrigerated case defrost water evaporation | |
KR20170085896A (ko) | 공기 조화기 | |
KR20070078250A (ko) |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
CN101283228A (zh) | 用于蒸发器单元的凝结水排水盘 | |
KR100652803B1 (ko) |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
JP2012013404A (ja) | 冷凍サイクル装置の熱源ユニット及びドレンパン | |
KR20130043431A (ko) |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및 그의 조립방법 | |
KR101973205B1 (ko) |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314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314 Year of fee payment: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