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74362A - 자동식 소화기용 노즐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식 소화기용 노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74362A
KR20100074362A KR1020080132762A KR20080132762A KR20100074362A KR 20100074362 A KR20100074362 A KR 20100074362A KR 1020080132762 A KR1020080132762 A KR 1020080132762A KR 20080132762 A KR20080132762 A KR 20080132762A KR 20100074362 A KR20100074362 A KR 201000743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fire extinguisher
hole
automatic fire
nozzl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27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50483B1 (ko
Inventor
이기원
Original Assignee
이기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기원 filed Critical 이기원
Priority to KR10200801327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0483B1/ko
Publication of KR201000743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43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04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04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02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28Accessories for delivery devices, e.g. supports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식 소화기용 노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노즐장치는 외주면에 나사부가 형성되고 내부 관통공의 도중에는 걸림턱이 형성되는 노즐몸체와, 상기 노즐몸체에 나사 결합되는 노즐캡 사이로 내부에 나선형 안내면이 형성된 스크류가 삽입되고 내측과 외측에는 회전작동이 가능한 방향전환볼과 소화약재를 분사하는 분사구가 일체로 형성되는 회전분사체를 이탈방지되게 삽입하되, 상기 걸림턱과 회전분사체의 사이에는 앵글 플레이트나 고정 플레이트를 장착하여 회전분사체를 통해 분사되는 소화약재의 분사방향 및 설치상태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자동식 소화기용 노즐장치, 노즐몸체, 노즐캡, 회전분사체, 앵글 플레이트, 고정 플레이트, 스크류.

Description

자동식 소화기용 노즐장치{A NOZZLE DEVICE OF A AUTOMATIC FIRE EXTINGUISHER}
본 발명은 자동식 소화기용 노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화재 예상지역에 따라 노즐장치의 내부에 앵글 플레이트나 고정 플레이트를 장착하여 회전분사체를 통해 분사되는 소화약재의 분사방향의 조절 및 설치상태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 자동식 소화기용 노즐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일반 가정이나 고층 아파트의 주방 또는 영업장의 주방 등에서 가스레인지 등과 같은 화기 사용지역에는 자동식 소화기를 설치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자동식 소화기를 도시된 도 1을 참조하여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가스레인지(2) 등의 과열된 상태와 실제 화재를 단계적으로 감지하는 1,2차 화재감지센서(3)(4)와, 소화노즐(5)이 설치되는 블럭(6)을 가스레인지(2)의 상부의레인지후드(1)상에 설치하되, 상기 소화노즐(5)은 소화기(7)와 분사관(8)으로 연결하고, 상기 화재감지센서(3)(4)는 제어기(9)에 연결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어기(9)는 상기 소화기의 작동장치(7a), 가스레인지(2)의 배관 에 설치되는 가스차단기(2a) 및 별도의 가스누설경보기(2b)에 연결 설치된다.
이러한 자동식 소화기는 상기 1차 화재감지센서(3)에 의해 가스레인지(2) 등의 과열을 감지하여 제어기(9)에 의해 가스차단기(2a)를 차단하여 화재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2차 화재감지센서(4)에 의해 가스레인지(2)의 실제 화재를 감지하여 제어기(9)에 의해 소화기(7)의 작동장치(7a)를 작동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소화기(7)의 작동장치(7a) 작동으로 소화기(7)의 소화약재가 분사관(8)을 통해 공급되어 소화노즐(5)을 통해 가스레인지(2)상부로 확산 분사되므로 화재를 조기에 진화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자동식 소화기는 소화노즐(5)이 대개 가스레인지(2)의 상부 중앙(레인지 후드중앙)에서 일측으로 치우치게 설치되기 때문에 도시된 도 2와 같이 그 노즐공(5a)이 가스레인지(2)의 일측으로만 향하게 되어 소화약재가 가스레인지(2) 전체로 분사되지 못하여 화재를 효과적으로 진화할 수 없는 문제를 갖게 된다.
이 때문에 상기 소화노즐(5)은 도 3에서와 같이 그 노즐공(5b)이 일측으로 경사를 이루도록 형성하여 소화노즐(5)이 레인지후드(1)의 일측으로 설치되어도 소화약재가 가스레인지(2)에 전체적으로 분사되도록 하였으나, 상기 노즐공(5b)의 경사측면이 일정 방향으로 향하도록 하는 설치 작업이 불편함은 물론 이러한 노즐공(5b)의 변형만으로는 소화약재의 분사방향을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없고, 이는 결국 화재를 효과적으로 진화할 수 없는 문제를 초래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화재 예상지역에 따라 노즐장치의 내부에 일측에 경사면이 형성되는 앵글 플레이트나 직각으로 형성되는 고정 플레이트를 장착하여 회전분사체를 통해 분사되는 소화약재의 분사방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또한, 상기 노즐장치의 점검이나 기종의 선택시 상기 노즐장치에 장착되는 앵글 플레이트나 고정 플레이트를 통해 회전분사체의 경사, 수직, 수평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자동식 소화기용 노즐장치에 있어서 상기 노즐장치는 외주면에 나사부가 형성되고 내부 관통공의 도중에는 걸림턱이 형성되는 노즐몸체와, 상기 노즐몸체에 나사 결합되는 노즐캡 사이로 내부에 나선형 안내면이 형성된 스크류가 삽입되고 내측과 외측에는 회전작동이 가능한 방향전환볼과 소화약재를 분사하는 분사구가 일체로 형성되는 회전분사체를 이탈방지되게 삽입하되, 상기 걸림턱과 회전분사체의 사이에는 양측에 수직면과 경사면이 각각 형성되고 내부에 관통공이 형성되는 앵글 플레이트를 고정장착하여, 상기 앵글 플레이트의 경사면과 맞닿는 상기 회전분사체 방향전환볼이 경사면을 따라 회동하여 소정의 각도로 소화약재가 분사구를 통해 분사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 다.
또한, 자동식 소화기용 노즐장치에 있어서 상기 노즐장치는 외주면에 나사부가 형성되고 내부 관통공의 도중에는 걸림턱이 형성되는 노즐몸체와, 상기 노즐몸체에 나사 결합되는 노즐캡 사이로 내부에 나선형 안내면이 형성된 스크류가 삽입되고 내측과 외측에는 회전작동이 가능한 방향전환볼과 소화약재를 분사하는 분사구가 일체로 형성되는 회전분사체를 이탈방지되게 삽입하되,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수직면과 맞닿는 상기 회전분사체 방향전환볼의 회동을 방지하고 상기 회전분사체의 분사구에서 분사되는 소화약재를 수직 또는 수평방향으로만 분사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화재 예상지역에 따라 노즐장치의 내부에 일측에 경사면이 형성되는 앵글 플레이트나 직각으로 형성되는 고정 플레이트 장착하여 회전분사체를 통해 분사되는 소화약재의 분사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노즐장치의 점검이나 기종의 선택시 상기 노즐장치에 장착되는 앵글 플레이트나 고정 플레이트를 통해 회전분사체의 경사, 수직, 수평 등의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노즐장치의 내부에 장착되는 앵글 플레이트나 고정 플레이트의 변화를 통해 손쉽게 용도와 목적에 따라 회전분사체를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식 소화기의 노즐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식 소화기의 노즐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앵글 플레이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자동식 소화기용 노즐장치(10)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내부가 관통형성되며 외주면에는 나사부가 형성되는 노즐몸체(20)와, 상기 노즐몸체(20)와 나사결합되는 노즐캡(30)과, 상기 노즐몸체(20)와 노즐캡(30) 사이에 장착되는 회전분사체(40)와, 상기 노즐몸체(20)의 내부 걸림턱에 지지되면서 상기 회전분사체(40)에 가압되어 고정되는 앵글 플레이트(50a)로 구성된다.
상기 노즐몸체(20)는 외주면에 나사부(22)가 형성되고, 내부에 형성되는 관통공(24)의 도중에는 걸림턱(26)이 형성되며, 일측 끝단에는 곡면형상의 곡면지지부(28)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노즐몸체(20)는 상기 걸림턱(26)을 기준으로 상기 노즐캡(30)과 결합되는 부분의 지름이 크게 형성되는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노즐몸체(20)와 나사결합되는 노즐캡(30)은 내면 일측에 나사부(32)가 형성되고 반대 측에는 곡면형상의 곡면지지부(34)가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곡면지지부(34)는 상기 노즐몸체(20)의 곡면지지부(28)와 같은 지름을 가지고 형성된다.
상기 노즐몸체(20)와 노즐캡(30) 사이에 장착되는 회전분사체(40)는 내부가 관통형성되고, 일측에는 구 형상으로 상기 곡면지지부(28, 34)에서 회전작동하는 방향전환볼(42)이 형성되며, 반대 측에는 노즐몸체(20)의 관통공(24)을 통해 전달되는 소화약재를 분사하는 분사구(44)가 일체로 형성된다.
즉, 상기 회전분사체(40)는 곡면지지부(28)에 위치한 방향전환볼(42)의 회전작동을 통해 화재 예상지역으로 방향조절된 후 상기 분사구(44)를 통해 소화약재를 분사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회전분사체(40)의 내부에는 스크류(60)가 장착되는데, 상기 스크류(60)는 외면에 형성되는 나선형 안내면(62)을 이용해서 전달되는 소화약재에 와류를 발생시켜 상기 분사구(44)를 통해 소화약재가 신속하게 분사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노즐몸체(20)의 내부 걸림턱(26)에 지지되면서 상기 회전분사체(40)에 가압되어 고정되는 앵글 플레이트(50a)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고 일측에 수직면(52a)이 형성되고 반대 측에 경사면(54a)이 형성되며 내부에는 관통공(56a)이 형성된다.
즉, 상기 앵글 플레이트(50a)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고 내부가 관통형성되는 원판의 일측을 경사지게 형성한 것이다.
이때, 상기 경사면(54a)은 화재 예방에 효율적인 17°이내의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관통공(56a)은 회전작동하는 회전분사체(40)의 내부 통로를 고려하여 편심형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자동식 소화기용 노즐장치(10)는 도시된 도 7 내지 9를 참 조로 설명하면, 상기 자동식 소화기용 노즐장치(10)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내부가 관통형성되며 외주면에는 나사부가 형성되는 노즐몸체(20)와, 상기 노즐몸체(20)와 나사결합되는 노즐캡(30)과, 상기 노즐몸체(20)와 노즐캡(30) 사이에 장착되는 회전분사체(40)와, 상기 노즐몸체(20)의 내부 걸림턱에 지지되면서 상기 회전분사체(40)에 가압되어 고정되는 고정 플레이트(50b)로 구성된다.
상기 노즐몸체(20)는 외주면에 나사부(22)가 형성되고, 내부에 형성되는 관통공(24)의 도중에는 걸림턱(26)이 형성되며, 일측 끝단에는 곡면형상의 곡면지지부(28)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노즐몸체(20)는 상기 걸림턱(26)을 기준으로 상기 노즐캡(30)과 결합되는 부분의 지름이 크게 형성되는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노즐몸체(20)와 나사결합되는 노즐캡(30)은 내면 일측에 나사부(32)가 형성되고 반대 측에는 곡면형상의 곡면지지부(34)가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곡면지지부(34)는 상기 노즐몸체(20)의 곡면지지부(28)와 같은 지름을 가지고 형성된다.
상기 노즐몸체(20)와 노즐캡(30) 사이에 장착되는 회전분사체(40)는 내부가 관통형성되고, 일측에는 구 형상으로 상기 곡면지지부(28, 34)에서 회전작동하는 방향전환볼(42)이 형성되며, 반대 측에는 노즐몸체(20)의 관통공(24)을 통해 전달되는 소화약재를 분사하는 분사구(44)가 일체로 형성된다.
즉, 상기 회전분사체(40)는 곡면지지부(28)에 위치한 방향전환볼(42)의 회전작동을 통해 화재 예상지역으로 방향조절된 후 상기 분사구(44)를 통해 소화약재를 분사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회전분사체(40)의 내부에는 스크류(60)가 장착되는데, 상기 스크류(60)는 외면에 형성되는 나선형 안내면(62)을 이용해서 전달되는 소화약재에 와류를 발생시켜 상기 분사구(44)를 통해 소화약재가 신속하게 분사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노즐몸체(20)의 내부 걸림턱(26)에 지지되면서 상기 회전분사체(40)에 가압되어 고정되는 고정 플레이트(50b)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고 양측면(52b)이 수직형성되고 내부에는 관통공(56b)이 형성된다.
즉, 상기 노즐몸체(20)의 걸림턱(26)에 지지되는 고정 플레이트(50b)는 상기 회전분사체(40)에서 분사되는 소화약재를 지정된 방향으로만 분사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자동식 소화기용 노즐장치(10)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외주면에 나사부(22)가 형성되고, 내부에 형성되는 관통공(24)의 도중에는 걸림턱(26)이 형성되며, 일측 끝단에는 곡면형상의 곡면지지부(28)가 일체로 형성되는 노즐몸체(20)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노즐몸체(20)의 걸림턱(26)에 소정의 두께를 가지고 일측면(52a)이 수직형성되고 반대 측면(54a)이 경사지게 형성되며 내부에는 관통공(56a)이 형성되는 앵글 플레이트(50a)를 장착한다.
이때, 상기 걸림턱(26)에 고정지지되는 앵글 플레이트(50a)는 상기 회전분사 체(40)가 회동 없이 고정될 경우에는 고정 플레이트(50b)를 대신 장착한다.
이를 좀더 보충설명하면, 상기 걸림턱(26)과 회전분사체(40)의 사이에 앵글 플레이트(50a)를 고정장착할 경우에는 상기 앵글 플레이트(50a)의 경사면(54a)과 맞닿는 상기 회전분사체 방향전환볼(42)이 경사면(54a)을 따라 회동하여 소정의 각도로 소화약재가 분사구(44)를 통해 분사될 수 있는 것이고, 상기 걸림턱(26)과 회전분사체(40)의 사이에 고정 플레이트(50b)를 고정장착할 경우에는 상기 고정 플레이트(50b)의 수직면(52b)과 맞닿는 상기 회전분사체 방향전환볼(42)의 회동을 방지하면서 상기 회전분사체(40)의 분사구(44)에서 분사되는 소화약재를 수직 또는 수평방향으로만 분사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앵글 플레이트(50a)의 외측으로 내부가 관통형성되고, 일측에는 구 형상으로 상기 곡면지지부(28, 34)에서 회전작동하는 방향전환볼(42)이 형성되며, 반대 측에는 노즐몸체(20)의 관통공(24)을 통해 전달되는 소화약재를 분사하는 분사구(44)가 일체로 형성되는 회전분사체(40)를 장착한다.
이때, 상기 회전분사체(40)의 내부에는 외면에 나선형 안내면(62)이 형성되는 스크류(60)를 삽입장착한다.
그리고 상기 노즐몸체(20)에 나사부(32)와 곡면형상의 곡면지지부(34)가 일체로 형성되는 노즐캡(30)를 결합하면 자동식 소화기용 노즐장치(10)의 조립은 완료된다.
즉, 상기 노즐몸체(20)의 나사부(22)에 노즐캡(30)의 나사부(32)가 결합되면서 사이에 위치한 상기 회전분사체(40)와 앵글 플레이트(50a)를 가압하게 되는 것 이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자동식 소화기용 노즐장치(10)는 가스레인지 등과 같은 화재예상지역의 상부 중앙에 설치되는데, 여기서는 상기 노즐몸체(20)의 나사부(22)에 1,2차 화재감지센서(미도시)가 내장된 케이스(70)의 삽입공(72)을 삽입하여 일체로 결합되는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자동식 소화기용 노즐장치(10)가 설치 완료되면, 화재예상지역에 대해 상기 회전분사체(40)의 분사구(44)의 방향을 조절하게 된다. 즉, 상기 노즐캡(30)의 나합 상태를 풀어 상기 노즐캡(30)과 노즐몸체(20)사이로 설치된 방향전환볼(42)의 고정 상태를 해지하고, 이 상태에서 상기 방향전환볼(42)과 일체로 형성되는 분사구(44)를 화재예상지역을 향해 방향조절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방향전환볼(42)은 노즐몸체(20)와 노즐캡(30)의 곡면지지부(28)(34)에서 구름작동하면서 상기 분사구(44)의 소화약재 분사방향을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상태에서 상기 분사구(44)의 조절작업이 완료되면, 다시 상기 노즐캡(30)을 나합하므로 상기 노즐캡(30)과 노즐몸체(20)의 곡면지지부(28)(34)가 방향전환볼(42)을 가압하여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분사구(44)를 화재예상지역으로 방향조절하면서 설치하기 때문에 상기 화재예상지역(가스레인지)에 화재가 발생되면, 상기 분사구(44)로 분사 공급되는 소화약재가 가스레인지의 화재지역에 전체적으로 분사되므로 화재진압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자동식 소화기용 노즐장치(10)는 상기 분사구(44)의 내부에 나선형 안내면(62)을 형성하는 스크류(60)를 삽입 설치하기 때문에 상기 분사구(44)를 통과하는 소화약재는 상기 스크류(60)의 안내면(62)에 안내되면서 와류를 발생하게 되므로 신속하게 분사되어 화재진압에 더욱 효과적이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자동식 소화기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구성도.
도 2 및 3은 종래의 노즐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식 소화기의 노즐장치를 나타낸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식 소화기의 노즐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앵글 플레이트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식 소화기의 노즐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도 7을 나타낸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 플레이트를 나타낸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자동식 소화기용 노즐장치, 20 : 노즐몸체,
22 : 나사부, 24 : 관통공,
26 : 걸림턱, 30 : 노즐캡,
40 : 회전분사체, 42 : 방향전환볼,
44 : 분사구, 50a : 앵글 플레이트,
50b : 고정 플레이트, 60 : 스크류.

Claims (2)

  1. 자동식 소화기용 노즐장치에 있어서,
    상기 노즐장치(10)는 외주면에 나사부(22)가 형성되고 내부 관통공(24)의 도중에는 걸림턱(26)이 형성되는 노즐몸체(20)와, 상기 노즐몸체(20)에 나사 결합되는 노즐캡(30) 사이로 내부에 나선형 안내면(62)이 형성된 스크류(60)가 삽입되고 내측과 외측에는 회전작동이 가능한 방향전환볼(42)과 소화약재를 분사하는 분사구(44)가 일체로 형성되는 회전분사체(40)를 이탈방지되게 삽입하되,
    상기 걸림턱(26)과 회전분사체(40)의 사이에는 양측에 수직면(52a)과 경사면(54a)이 각각 형성되고 내부에 관통공(56a)이 형성되는 앵글 플레이트(50a)를 고정장착하여, 상기 앵글 플레이트(50a)의 경사면(54a)과 맞닿는 상기 회전분사체 방향전환볼(42)이 경사면(54a)을 따라 회동하여 소정의 각도로 소화약재가 분사구(44)를 통해 분사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식 소화기용 노즐장치.
  2. 자동식 소화기용 노즐장치에 있어서,
    상기 노즐장치(10)는 외주면에 나사부(22)가 형성되고 내부 관통공(24)의 도중에는 걸림턱(26)이 형성되는 노즐몸체(20)와, 상기 노즐몸체(20)에 나사 결합되는 노즐캡(30) 사이로 내부에 나선형 안내면(62)이 형성된 스크류(60)가 삽입되고 내측과 외측에는 회전작동이 가능한 방향전환볼(42)과 소화약재를 분사하는 분사구(44)가 일체로 형성되는 회전분사체(40)를 이탈방지되게 삽입하되,
    상기 걸림턱(26)과 회전분사체(40)의 사이에는 원판 형상으로 양측에 수직면(52b)이 형성되고 내부에 관통공(54b)이 형성되는 고정 플레이트(50b)를 고정장착하여, 상기 고정 플레이트(50b)의 수직면(52b)과 맞닿는 상기 회전분사체 방향전환볼(42)의 회동을 방지하고 상기 회전분사체(40)의 분사구(44)에서 분사되는 소화약재를 수직 또는 수평방향으로만 분사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식 소화기용 노즐장치.
KR1020080132762A 2008-12-24 2008-12-24 자동식 소화기용 노즐장치 KR1010504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2762A KR101050483B1 (ko) 2008-12-24 2008-12-24 자동식 소화기용 노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2762A KR101050483B1 (ko) 2008-12-24 2008-12-24 자동식 소화기용 노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4362A true KR20100074362A (ko) 2010-07-02
KR101050483B1 KR101050483B1 (ko) 2011-07-20

Family

ID=426368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2762A KR101050483B1 (ko) 2008-12-24 2008-12-24 자동식 소화기용 노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048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2369B1 (ko) * 2016-02-03 2016-11-03 (주)에스알디코리아 스크류 노즐
KR101672406B1 (ko) * 2016-02-03 2016-11-03 (주)에스알디코리아 스크류 노즐이 구성된 제설액 분사 시스템
KR102193164B1 (ko) 2020-03-17 2020-12-18 이기원 자동식 소화기의 노즐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3599Y1 (ko) * 1992-11-26 1995-05-09 최창암 농약분무용 삼두 다용도 노즐
KR200302317Y1 (ko) * 2002-09-27 2003-01-30 이기원 자동식 소화기용 노즐장치
KR200392373Y1 (ko) * 2005-05-11 2005-08-10 주식회사 파워텍 자동식소화기용 노즐
KR200420209Y1 (ko) * 2006-03-28 2006-06-29 주식회사 다임코 자동식 소화기의 노즐 어셈블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2369B1 (ko) * 2016-02-03 2016-11-03 (주)에스알디코리아 스크류 노즐
KR101672406B1 (ko) * 2016-02-03 2016-11-03 (주)에스알디코리아 스크류 노즐이 구성된 제설액 분사 시스템
KR102193164B1 (ko) 2020-03-17 2020-12-18 이기원 자동식 소화기의 노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50483B1 (ko) 2011-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5990B1 (ko) 소방기능이 향상된 소방용 제연장치
KR101737005B1 (ko) 연기확산 방지 소방용 분사 노즐
KR102152545B1 (ko) 목조건물 소방방재시스템
KR101761721B1 (ko) 소화 및 제연기능을 갖춘 소방용 방재장치
KR101050483B1 (ko) 자동식 소화기용 노즐장치
KR20120065594A (ko) 화재진압용 노즐장치
KR102348873B1 (ko) 화재진압을 위한 소방스프링클러 연결장치
KR100679675B1 (ko) 소화약재 방출헤드 자동개방장치
KR200302317Y1 (ko) 자동식 소화기용 노즐장치
KR200400018Y1 (ko) 소화약재 방출헤드 자동개방장치
KR20100054939A (ko) 360° 회전 분사노즐을 갖는 자동소화장치
EP3209391B1 (en) Fire suppression system
KR101771981B1 (ko) 건축공간 자동 화재감지 및 소방장치
KR102176066B1 (ko) 건축물의 공동주택 소방용 스프링클러 시스템
KR200344303Y1 (ko) 소화기용 분사노즐
RU2471525C1 (ru) Система водяного пожаротушения
KR200318374Y1 (ko)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스프링클러헤드
KR102159957B1 (ko) 주방용 자동 방재 시스템
KR102187037B1 (ko) 공동주택의 소방용 스프링클러 고정장치
KR200388089Y1 (ko) 미세 물분무형 자동 소화장치
KR200259786Y1 (ko) 소화기 자동 동작장치
KR100679670B1 (ko) 전기 배전반 및 패널용 자동소화장치
KR100297918B1 (ko) 가스레인지용 자동 소화기의 소화재 확산장치
RU2536226C2 (ru) Система водяного пожаротушения
KR200312628Y1 (ko) 천정부착형 소화기의 약제 확산 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