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73832A - 스팀발생기를 구비한 의류 건조기 - Google Patents

스팀발생기를 구비한 의류 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73832A
KR20100073832A KR1020080132609A KR20080132609A KR20100073832A KR 20100073832 A KR20100073832 A KR 20100073832A KR 1020080132609 A KR1020080132609 A KR 1020080132609A KR 20080132609 A KR20080132609 A KR 20080132609A KR 20100073832 A KR20100073832 A KR 201000738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ervoir
steam generator
water
clothes dryer
ste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26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21930B1 (ko
Inventor
송성호
배상훈
최철진
김민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326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1930B1/ko
Publication of KR201000738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38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19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19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3Laundry condition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22Condition of the washing liquid, e.g. turbidit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58/04Detail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0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 D06F58/12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having conveying means for moving clothes, e.g. along an endless trac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05Drying-steam generating mea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6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related to auxiliary conditioning or finishing agents, e.g. filling level of perfume tanks
    • D06F2103/62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related to auxiliary conditioning or finishing agents, e.g. filling level of perfume tanks related to systems for water or steam used for conditioning or finish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28Electric heat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30Blow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의류건조기는 외관을 이루는 본체; 상기 본체의 상부를 이루는 탑플레이트; 상기 본체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드럼; 상기 드럼 내부로 공급되는 스팀을 발생시키는 스팀발생기; 및 상기 탑플레이트에 설치되고 상기 스팀발생기에 공급되는 물을 저장하는 저장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저장조는 상면이 개방된 형상이며 상기 개방된 상면 전체를 덮을 수 있도록 상기 저장조에 탈착가능한 캡을 구비하고, 캡의 상부에는 커버가 구비된 의류건조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구성에 의해서 드럼 내부로 공급되는 스팀을 발생시키는 스팀발생기 및 스팀발생기에 물을 공급하는 저장조의 구성을 효과적으로 구성할 수 있다.
스팀발생기, 저장조, 밸브, 펌프, 탑플레이트

Description

스팀발생기를 구비한 의류 건조기{CLOTHES DRYER HAVING STEAM GENERATER}
본 발명은 의류건조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의류 건조기의 드럼 내부로 스팀을 분사할 수 있도록 스팀을 발생시키는 스팀발생기와 스팀발생기로 공급되는 물을 저장하는 저장조를 구비한 의류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 건조기라 함은 세탁이 완료되어 탈수 과정이 종료된 상태의 세탁물을 건조기의 드럼 내부로 투입하고, 드럼 내부로 열풍을 공급하여 세탁물의 수분을 증발시켜서 세탁물을 건조하는 기기이다.
이러한 건조기의 구성을 보면, 건조기는 세탁물이 투입되는 건조기 내부의 드럼과, 드럼을 구동하는 구동 모터와, 드럼 내부로 공기를 불어 넣는 송풍팬과, 드럼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가열수단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가열수단은 전기저항을 이용하여 발생되는 고온의 전기저항열을 이용하거나 혹은 가스를 연소시켜서 발생하는 연소열을 이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건조기의 드럼을 빠져 나가는 공기는 드럼 내부 세탁물의 수분을 가지게 되어 고온 다습한 상태의 공기가 된다. 이때 이 고온 다습한 공기를 처리하는 방식에 따라서 건조기를 분류할 수 있는데, 고온 다습한 공기가 건조기 외부로 배 출되지 않고 순환하면서 응축기에서 외부 공기와 열교환이 일어나도록 하여 고온 다습한 공기 중에 포함된 수분을 응축시키는 응축식 건조기와, 드럼을 통과하고 나오는 고온 다습한 상태의 공기를 외부로 직접 배출시켜 버리는 배기식 건조기로 나뉘어진다.
그런데, 세탁이 완료되어 건조기로 투입된 세탁물에는 많은 주름이 존재하게 되고 이러한 주름은 건조과정에서도 제거되지 않아서 건조기에서 건조 후 다시 다림질을 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세탁 후의 이러한 주름 뿐만이 아니라 의류 등을 보관하는 도중에도 주름이나 냄새가 발생하게 되고 또는 세균이 번식하게 되는 등의 문제가 있다. 종래에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의류건조기에 스팀발생기를 장착하여 드럼 내부에서 건조 중인 의류에 스팀을 분사하여 주름이나 냄새를 제거하고 또한 살균 기능까지 하도록 하였다.
도 1을 보면, 종래의 스팀기능이 구비된 의류건조기의 일반적인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도 1을 참고하면, 의류건조기는 외관을 이루는 전면커버(11)와 측면커버(12) 등으로 이루어진 본체(10)를 구비하고, 상기 전면커버(11)에는 내부를 개폐하는 도어(12)가 설치되고 전면커버의 상부에는 건조기의 운전을 조작하는 조작패널(13)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의 내부에는 세탁물을 수용하여 건조시키는 드럼(14)이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또한, 의류건조기는 상기 드럼(14)의 외부 일측에 장착되어 스팀을 발생시켜서 상기 드럼(14) 내부로 스팀을 공급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스팀발생기(24)를 포함한다. 상기 스팀발생기(24)는 내부에 히터(미도시)를 구비하고 있어서 히터에 의해 서 스팀발생기 내부에 저장된 물이 가열되어 스팀이 발생하고 발생한 스팀은 일정 압력이 되면 호스(25)를 통해서 배출되어 상기 드럼의 후면에서 드럼 내부로 분사된다. 그리고, 상기 스팀발생기(24)로 스팀발생을 위한 물을 공급하기 위해서 물을 저장하고 있다가 필요시 스팀발생기로 물을 배출하는 카트리지(21)가 구비되고 상기 카트리지(21)의 물은 카트리지와 스팀발생기 사이에 구비된 펌프(23)에 의해서 스팀발생기로 공급된다. 그리고, 상기 카트리지(21)는 건조기 본체의 전면으로 인출가능한 드로워(drawer, 20)에 탈착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드로워(20)는 건조기에서 인입 혹은 인출될 때에는 건조기 내부에 이를 안내하는 가이드(22)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해서, 상기 카트리지(21)의 물이 모두 소모되어 보충할 경우에는, 상기 드로워(20)를 앞으로 당겨서 인출한 후 상기 드로워(20)에 장착된 카트리지(21)를 꺼내서서 물을 보충한 다음 이를 다시 장착하여 사용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스팀발생수단은 물을 저장하기 위한 카트리지를 별도로 구비하여야 하고, 또한 상기 카트리지를 장착하기 위한 드로워, 상기 드로워를 안내하는 가이드 등의 수단이 필요하여 구조가 복잡해지고 제조비용이 많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의류건조기에서 드럼 내부로 스팀을 발생시켜서 공급하는 효과적인 수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외관을 이루는 본체; 상기 본체의 상부를 이루는 탑플레이트; 상기 본체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드럼; 상기 드럼 내부로 공급되는 스팀을 발생시키는 스팀발생기; 및 상기 탑플레이트에 설치되고 상기 스팀발생기에 공급되는 물을 저장하는 저장조;를 포함하는 의류건조기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저장조는 상면이 개방된 형상이며, 상기 개방된 상면 전체를 덮을 수 있도록 상기 저장조에 탈착가능한 캡을 구비한 의류건조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캡의 중앙에는, 상기 저장조로 투입되는 물을 안내하는 투입구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투입구에는 필터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캡은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져서 상기 저장조 내부에 저장된 물의 용량을 확인할 수 있는 의류건조기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저장조의 상측에는, 상기 탑플레이트의 상측으로 개방되어 저장조를 개폐하는 커버가 구비되고, 상기 커버는 상기 저장조의 일측과 회동가능한 힌지 결합을 이루고 상기 저장조의 다른 일측에 후크 체결되는 의류건조기를 제공한다.
상기 저장조와 상기 스팀발생기 사이에는 상기 저장조의 물을 상기 스팀발생 기로 공급하는 펌프가 구비되거나, 혹은 상기 저장조와 상기 스팀발생기 사이에는 상기 저장조에서 상기 스팀발생기로 공급되는 물의 유량을 조절하는 밸브가 구비되어 있는 의류건조기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스팀발생기의 내부에는, 저장된 물의 용량을 측정하는 수위센서가 구비되어 있어서 스팀발생기 내부에는 항상 일정 수위의 물이 저장되어 있는 의류건조기를 제공한다.
상기 구성에 의해서, 의류건조기의 드럼 내부로 공급되는 스팀을 발생시키는 수단을 단순화할 수 있어서 스팀발생장치의 제작이 용이하며, 스팀발생기에 저장된 물의 보충이 필요한 경우 사용자는 상기 저장조로 용이하게 물을 보충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종래의 건조기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팀발생수단을 구비한 의류건조기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의류건조기에 장착된 저장조와 스팀발생기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조에서 커버가 닫힌 모습이며, 도 5는 도 4의 저장조에서 커버가 개방된 모습이며, 도 6은 도 4의 저장조에서 캡이 제거된 모습이며, 도 7은 도 5의 저장조에 장착되는 캡의 사시도이며, 도 8은 도 2의 의류 건조기에 장착된 스팀발생기의 단면도이다.
상기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의류 건조기(50)는 전면을 이루는 전면 커버(51) 및 건조기 상면을 이루는 탑플레이트(도 4의 52) 등으로 이루어져 외관을 이루는 본체와, 상기 본체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의류 등을 건조하는 드럼(55)와 상기 드럼(55)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도어(53)를 포함된다. 다만, 도 2에서는 의류건조기의 내부를 도시하기 위해서 탑플레이트를 제거한 형상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도면에서 상세히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의류건조기는 상기 드럼(55) 내부로 공급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와 건조기 내부에서 공기가 순환하도록 하는 송풍팬과, 건조기 내부를 순환하는 공기가 다시 드럼 내부로 유입되도록 순환 공기의 흐름을 안내하는 건조 덕트 등을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건조기는 상기 드럼(55)의 내부로 공급되는 스팀을 발생시키는 스팀 발생기(110)와 상기 스팀발생기(110)에서 스팀을 발생시키기 위한 물을 저장하는 저장조(100)를 포함한다.
도 2에서는 편의상 건조기 구성을 단순화하여 탑플레이트와 측면 플레이트를 제거하고 스팀발생수단을 보여주고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조(100)는 스팀발생기(110)로 공급되어 가열되어 스팀으로 변화하는 물을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용기이며, 상기 저장조(100)의 상측이 의류건조기의 상면을 이루는 탑플레이트(도 4의 52)에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저장조(100)는 상면이 개방된 용기의 형상이며 바람직하게는 단면이 사각형인 용기형상이다.
그리고, 상기 저장조(100)의 상부에는 커버(101)가 구비되어 있어서 저장조의 내부를 개폐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커버(101)는 건조기의 탑플레이트(52) 상에서 일측 방향으로 슬라이드 되어 개방될 수도 있고, 또는 상기 저장조의 일측과 힌지 결합되어 회동가능한 구조로 되고 커버와 저장조의 다른 일측에는 후크와 후크 걸림홈이 각각 형성되어서 상기 힌지 결합된 부위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저장조(100)의 내부를 개폐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조(100)의 구성을 보면, 상기 커버(101)에 의해서 밀폐되는 저장조(100)의 상부에 캡이 탈착가능하게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저장조의 개방된 상면에는 캡(103)이 탈착가능하게 구비되어 있어서 저장조의 상면 전체를 덮을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캡(103)은 상기 저장조(100)의 개방된 상면의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된 외곽 테두리를 가지고 가운데 부분에는 상기 저장조(100)로 투입되는 물을 안내하는 투입구(104)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투입구(104)는 외곽에서 중앙으로 갈수록 테이퍼진 형상으로 이루어져서 공급되는 물이 용이하게 흘러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캡(103)의 투입구(104)에는 필터(105)가 구비되어 있어서 상기 저장조(100)로 투입되는 물에 함유된 불순물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필터(105)는 메쉬망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캡(103)은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져서 상기 저장조(100) 내부에 저장된 물의 용량을 확인할 수 있는 것이 좋다. 사용자는 투명한 캡을 통해서 저장된 물의 용량을 판단한 후 필요시 상기 캡으로 물을 보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캡(103)은 상기 저장조에 탈착가능하게 장착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저장조(100) 내부를 청소하는 경우와 같이 캡(103)을 저장조로부터 분리할 필요가 있는 경우 이를 쉽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캡(103)의 테두리에서 상기 저장조와 맞닿는 부위는 실링부재(도 7의 106)가 구비되어 있을 수 있고, 또한 상기 캡의 상측에는 손잡이부(미도시)가 형성되어 있어서 사용자가 캡을 저장조에서 분리하는 경우에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저장조(100)와 상기 스팀발생기(110) 사이에는 상기 저장조의 물을 상기 스팀발생기로 공급하는 통로가 되는 파이프(120)가 구비된다. 상기 파이프(120)에는 파이프 내부의 물 흐름을 차단하거나 물을 흘러가게 하는 펌프(130)가 구비된다. 상기 펌프(130)는 스팀발생기에 물이 부족한 경우에 스팀발생기로 물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의류건조기의 실시예에 따라서는 펌프를 사용하지 않고 물이 저장되는 저장조(100)와 스팀발생기(110) 사이의 높이차를 이용하여 저장조의 물이 파이프를 통해서 스팀발생기로 흘러가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건조기의 컴팩트한 구조나 스팀발생기에서 필요로하는 물의 양을 정확하게 공급하기 위해서는 펌프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펌프(130)는 스팀발생기의 내부에 저장된 물이 부족한 경우 의류건조기의 제어부에서 신호를 받아서 스팀발생기로 물을 공급하는 역할을 하며, 이를 위해서 상기 스팀발생기(110)에는 저장된 물의 용량을 측정하는 수위센서가 구비되어 있다. 스팀발생기의 형상에 대해서는 도 8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한다.
도 8에서 보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팀발생기(110)의 일측에는, 저 장조(100)에서 나온 물이 공급되는 파이프(120)가 연결되고, 타측에는 발생한 스팀이 배출되는 배출호스(150)가 연결된다. 상기 스팀발생기(110)의 구성을 보면, 공급된 물을 저장하는 스팀발생기 본체(111), 상기 스팀발생기 본체(111) 내부에 구비되어 저장된 물을 가열하는 히터(115), 상기 스팀발생기 본체(111)에 저장된 물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112), 상기 스팀발생기 본체(111)에 저장된 물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센서(113)를 포함한다. 상기 수위센서(113)는 공통전극(113a), 저수위전극(113b) 및 고수위전극(113c)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상기 공통전극(113a)과 저수위전극(113b)의 통전으로 저수위를 감지하고, 상기 공통전극(113a)과 고수위전극(113c)의 통전으로 고수위를 감지한다. 그리고, 상기 배출호스(150)의 끝단에는 스팀이 분사되는 노즐(160)이 연결되어 있어서, 상기 노즐(160)에서 분사된 스팀이 건조기 내부의 드럼으로 분사되어 의류에 증착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10)에서 향 분사 건조 과정에 대하여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가 세탁물을 상기 드럼(55)에 투입한 후, 상기 조작패널의 입력부를 통하여 스팀 건조 코스를 입력한다. 건조 과정이 시작되면, 건조기 드럼(55) 내부로 열풍이 유입되어 의류를 가열하여 건조하게 되고, 상기 스팀발생기(110)에서는 내부의 히터(115)에 의해서 저장된 물이 가열되어 스팀이 발생하고, 발생한 스팀은 상기 스팀 노즐(160)을 통해서 상기 드럼(55)의 내부로 분사된다. 스팀이 분사되어야 하는 시점은, 사용자가 수동으로 조작패널을 조작하여 분사되게 할 수도 있고, 또는 건조기에는 미리 프로그램되어 존재하는 다양한 건조 코스 중 사용자가 선택한 건조 코스에 따라 스팀이 분사될 시점이 건조 기 제어부에 의해서 자동으로 조절될 수도 있다.
건조기가 복수 회의 건조 과정을 거친 후, 저장조(100)에 저장된 물이 소모되어 보충이 필요한 경우, 사용자는 상기 저장조의 커버(101)를 열고 저장조 상부에 구비된 캡(103)의 투입구(104)로 물을 부어서 보충할 수 있다. 상기 저장조에 물이 부족한지 여부는 투명한 캡을 통해 사용자가 직접 육안으로 확인할 수도 있고, 상기 스팀발생기(110) 내부에 구비된 수위센서(113)가 저장된 물의 용량을 측정하여 물이 부족한 것을 감지하여 이를 제어부를 통해서 사용자에게 알리는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스팀발생기수단을 구비한 의류건조기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팀발생수단을 구비한 의류건조기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의류건조기에 장착된 저장조와 스팀발생기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조에서 커버가 닫힌 모습이며,
도 5는 도 4의 저장조에서 커버가 개방된 모습이며,
도 6은 도 4의 저장조에서 캡이 제거된 모습이며,
도 7은 도 5의 저장조에 장착되는 캡의 사시도이며,
도 8은 도 2의 의류건조기에 장착된 스팀발생기의 단면도이다.

Claims (9)

  1. 외관을 이루는 본체;
    상기 본체의 상부를 이루는 탑플레이트;
    상기 본체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드럼;
    상기 드럼 내부로 공급되는 스팀을 발생시키는 스팀발생기; 및
    상기 탑플레이트에 설치되고 상기 스팀발생기에 공급되는 물을 저장하는 저장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조는 상면이 개방된 형상이며, 상기 개방된 상면 전체를 덮을 수 있도록 상기 저장조에 탈착가능한 캡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캡의 중앙에는, 상기 저장조로 투입되는 물을 안내하는 투입구가 필터를 구비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캡은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져서 상기 저장조 내부에 저장된 물의 용량을 확인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조의 상측에는, 상기 탑플레이트의 상측으로 개방되어 저장조를 개폐하는 커버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저장조의 일측과 회동가능한 힌지 결합을 이루고 상기 저장조의 다른 일측에 후크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조와 상기 스팀발생기 사이에는, 상기 저장조의 물을 상기 스팀발생기로 공급하는 펌프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조와 상기 스팀발생기 사이에는, 상기 저장조에서 상기 스팀발생기로 공급되는 물의 유량을 조절하는 밸브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발생기의 내부에는, 저장된 물의 용량을 측정하는 수위센서가 구비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
KR1020080132609A 2008-12-23 2008-12-23 스팀발생기를 구비한 의류 건조기 KR1015219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2609A KR101521930B1 (ko) 2008-12-23 2008-12-23 스팀발생기를 구비한 의류 건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2609A KR101521930B1 (ko) 2008-12-23 2008-12-23 스팀발생기를 구비한 의류 건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3832A true KR20100073832A (ko) 2010-07-01
KR101521930B1 KR101521930B1 (ko) 2015-05-20

Family

ID=426367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2609A KR101521930B1 (ko) 2008-12-23 2008-12-23 스팀발생기를 구비한 의류 건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193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1445B1 (ko) * 2020-02-20 2021-07-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8531B1 (ko) * 2006-07-28 2012-1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기
KR101265617B1 (ko) * 2006-07-28 2013-05-24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기
KR101342367B1 (ko) * 2006-12-19 2013-12-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팀건조기
KR20080107787A (ko) * 2007-06-08 2008-12-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1445B1 (ko) * 2020-02-20 2021-07-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21930B1 (ko) 2015-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6942B1 (ko) 진동자를 이용한 향 공급장치를 구비한 의류 건조기
KR101028275B1 (ko) 향 공급모듈이 구비된 의류 건조기
CN101629379B (zh) 具有芳香物质供应模块的干衣机
KR100765278B1 (ko) 향분사 세탁기
KR101020417B1 (ko) 건조기의 향 분사 제어방법
KR101072107B1 (ko) 향 공급모듈이 구비된 의류 건조기
KR20080058590A (ko) 건조기의 제어방법
KR20080025519A (ko) 건조기
KR101376605B1 (ko) 의류처리장치
KR20060095302A (ko) 리프레쉬 장치
KR101114103B1 (ko) 열풍히터를 이용한 스팀발생기를 구비한 의류건조기
KR20100073832A (ko) 스팀발생기를 구비한 의류 건조기
KR101036038B1 (ko) 드로워 타입의 미스트 공급장치를 가진 건조겸용 세탁기
KR101208531B1 (ko) 건조기
KR101540664B1 (ko) 스팀발생기를 구비한 의류 건조기
KR101023897B1 (ko) 오목부를 가진 스팀발생기 및 이를 구비한 의류건조기
KR101028237B1 (ko) 향 공급모듈이 구비된 의류 건조기
KR101036075B1 (ko) 회동형 카트리지 타입의 미스트 공급장치를 가진 의류 건조기
KR101072029B1 (ko) 향 공급모듈이 구비된 의류 건조기
KR101414622B1 (ko) 건조기
KR101265617B1 (ko) 건조기
KR101076576B1 (ko) 드로워 타입의 미스트 공급장치를 가진 의류 건조기
KR101020408B1 (ko) 압력홀이 형성된 향 공급장치를 구비한 의류 건조기
KR20230075750A (ko) 스티머 및 이를 포함하는 스팀 공급장치, 스팀 제어방법
KR100999275B1 (ko) 향 공급모듈이 구비된 의류 건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