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73619A -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리프레쉬 회로 - Google Patents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리프레쉬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73619A
KR20100073619A KR1020080132335A KR20080132335A KR20100073619A KR 20100073619 A KR20100073619 A KR 20100073619A KR 1020080132335 A KR1020080132335 A KR 1020080132335A KR 20080132335 A KR20080132335 A KR 20080132335A KR 20100073619 A KR20100073619 A KR 201000736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charge
signal
bank active
pulse
refre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23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03121B1 (ko
Inventor
김경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to KR10200801323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3121B1/ko
Priority to US12/480,962 priority patent/US7881109B2/en
Publication of KR201000736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36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31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31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2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 G11C11/34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 G11C11/4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 G11C11/40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forming cells needing refreshing or charge regeneration, i.e. dynamic cells
    • G11C11/406Management or control of the refreshing or charge-regeneration cycles
    • G11C11/40618Refresh operations over multiple banks or interleav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2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 G11C11/34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 G11C11/4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 G11C11/40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forming cells needing refreshing or charge regeneration, i.e. dynamic cells
    • G11C11/406Management or control of the refreshing or charge-regeneration cycl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2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 G11C11/34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 G11C11/4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 G11C11/40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forming cells needing refreshing or charge regeneration, i.e. dynamic cells
    • G11C11/4063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 G11C11/407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for memory cells of the field-effect type
    • G11C11/4076Timing circui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2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 G11C11/34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 G11C11/4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 G11C11/40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forming cells needing refreshing or charge regeneration, i.e. dynamic cells
    • G11C11/4063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 G11C11/407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for memory cells of the field-effect type
    • G11C11/408Address circui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2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 G11C11/34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 G11C11/4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 G11C11/40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forming cells needing refreshing or charge regeneration, i.e. dynamic cells
    • G11C11/4063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 G11C11/407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for memory cells of the field-effect type
    • G11C11/409Read-write [R-W] circuits 
    • G11C11/4094Bit-line management or control circui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8/00Arrangements for selecting an address in a digital store
    • G11C8/12Group selection circuits, e.g. for memory block selection, chip selection, array selec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221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igital stores characteriz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2211/401Indexing scheme relating to cells needing refreshing or charge regeneration, i.e. dynamic cells
    • G11C2211/406Refreshing of dynamic cells
    • G11C2211/4065Low level details of refresh oper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Dra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프레쉬 신호가 인에이블될 경우 파일드 신호에 응답하여 복수개의 뱅크 액티브 신호를 선택적으로 인에이블시키며, 복수개의 프리차지 펄스에 응답하여 상기 복수개의 뱅크 액티브 신호를 디스에이블시키는 뱅크 액티브 신호 생성부, 상기 복수개의 뱅크 액티브 신호에 응답하여 복수개의 예비 프리차지 펄스를 생성하는 프리차지 펄스 생성부, 상기 복수개의 예비 프리차지 펄스를 지연시켜 복수개의 예비 지연 프리차지 펄스를 생성하는 지연부, 및 상기 파일드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복수개의 예비 프리차지 펄스 또는 상기 복수개의 예비 지연 프리차지 펄스를 상기 복수개의 프리차지 펄스로서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선택부를 포함한다.
2 파일드 리프레쉬, 4 파일드 리프레쉬, 프리차지

Description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리프레쉬 회로{Refresh Circuit of Semiconductor Memory Apparatus}
본 발명은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리프레쉬 회로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장치로 데이터를 유지 보존하는 동작을 수행해 주어야 한다. 반도체 메모리 장치가 데이터를 유지 보존하는 동작이 리프레쉬 동작이다.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리프레쉬 동작을 수행할 때 피크 전류(peak current)를 감소시키기 위해 모든 뱅크를 동시에 활성화시키지 않는다. 예를 들어, 8 뱅크 기준으로 한번에 4개 뱅크씩 뱅크를 활성화시키는 방식(2 파일드 리프레쉬; 2 piled refresh), 한번에 2개 뱅크씩 뱅크를 활성화시키는 방식(4 파일드 리프레쉬; 4 piled refresh) 등이 있다.
일반적인 리프레쉬 회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뱅크 액티브 신호 생성부(10), 및 프리차지 펄스 생성부(20)를 포함한다. 8뱅크를 갖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예로 한다.
상기 뱅크 액티브 신호 생성부(10)는 리프레쉬 신호(REF), 및 파일드 신호(T2PILE)에 응답하여 제 1 내지 제 8 뱅크 액티브 신호(BA<0:7>)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상기 뱅크 액티브 신호 생성부(10)는 상기 리프레쉬 신호(REF)가 인에이블되고 상기 파일드 신호(T2PILE)가 인에이블되면 상기 제 1 내지 제 8 뱅크 액티브 신호(BA<0:7>) 중 상기 제 2, 제 4, 제 5, 제 7 뱅크 액티브 신호(BA<1>, BA<3>, BA<4>, BA<6>)를 먼저 인에이블시키고, 그 이후에 상기 제 1, 제 3, 제 6, 제 8 뱅크 액티브 신호(BA<0>, BA<2>, BA<5>, BA<7>)를 인에이블시킨다. 또한, 상기 뱅크 액티브 신호 생성부(10)는 상기 리프레쉬 신호(REF)가 인에이블되고, 상기 파일드 신호(T2PILE)가 디스에이블되면 상기 제 1 내지 제 8 뱅크 액티브 신호(BA<0>~BA<7>) 중 첫번째로 상기 제 4 및 제 5 뱅크 액티브 신호(BA<3>, BA<4>)를, 두번째로 상기 제 3 및 제 6 뱅크 액티브 신호(BA<2>, BA<5>)를 인에이블시키며, 세번째로 상기 제 2 및 제 7 뱅크 액티브 신호(BA<1>, BA<6>)를 인에이블시키고, 마지막으로 상기 제 1 및 제 8 뱅크 액티브 신호(BA<0>, BA<7>)를 인에이블시킨다. 또한, 상기 뱅크 액티브 신호 생성부(10)는 제 1 내지 제 8 프리차지 펄스(pre_pulse<0:7>)가 입력되면 해당하는 뱅크 액티브 신호(BA<0:7>)를 디스에이블시킨다. 예를 들어, 상기 뱅크 액티브 신호 생성부(10)는 상기 제 1 프리차지 펄스(pre_pulse<0>)가 입력되면 상기 제 1 뱅크 액티브 신호(BA<0>)를 디스에이블시킨다.
상기 프리차지 펄스 생성부(20)는 상기 제 1 내지 제 8 뱅크 액티브 신호(BA<0:7>) 각각이 인에이블된 시점으로부터 설정 시간 이후 제 1 내지 제 8 프리 차지 펄스(pre_pulse<0:7>)를 각각 생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일반적인 리프레쉬 회로는 뱅크 액티브 신호가 인에이블되면 설정된 시간 이후 뱅크 액티브 신호가 디스에이블되도록 구성되며, 8뱅크를 2개의 뱅크씩 활성화시켜 리프레쉬 동작을 수행하는 4파일드 리프레쉬 방식 또는 4개의 뱅크씩 활성화시켜 리프레쉬 동작을 수행하는 2파일드 리프레쉬 방식으로 동작한다. 이때, 8뱅크를 2개의 뱅크씩 활성화시키는 4 파일드 리프레쉬 방식은 8뱅크를 4개의 뱅크씩 활성화시키는 2 파일드 리프레쉬 방식보다 리프레쉬 동작시간이 길다. 이유는 4 파일드 리프레쉬 방식과 2 파일드 리프레쉬 방식은 하나의 뱅크 그룹들이 활성화된 이후 동일한 시간이 경과하면 다른 뱅크 그룹이 활성화되기 때문이다.
반도체 메모리 장치가 리프레쉬 동작을 수행함에 있어서, 뱅크의 활성화 시간이 길면 길수록 리프레쉬 특성이 좋아진다. 하지만 일반적인 리프레쉬 회로는 4파일드 리프레쉬 방식은 2 파일드 리프레쉬 방식보다 리프레쉬 동작 시간이 긴 반면, 각 뱅크의 활성화 시간은 동일하다.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세계 반도체 표준 협회(JEDEC; Join Electron Device Engineering Council) 규정에 따라 리프레쉬 동작 시간이 결정되어야 하므로, 종래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2 파일드 리프레쉬 방식보다 리프레쉬 동작 시간이 긴 4 파일드 리프레쉬 방식에 따른 리프레쉬 동작 시간이 JEDEC 규정에 적합하도록 설계되었다. 따라서 종래의 2 파일드 리프레쉬 방식은 JEDEC 규정보다 짧은 리프레쉬 동작 시간을 적용 받아왔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종래의 2 파일드 리프레쉬 동작시 리프레쉬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리프레쉬 회로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리프레쉬 회로는 리프레쉬 신호가 인에이블될 경우 파일드 신호에 응답하여 복수개의 뱅크 액티브 신호를 선택적으로 인에이블시키며, 복수개의 프리차지 펄스에 응답하여 상기 복수개의 뱅크 액티브 신호를 디스에이블시키는 뱅크 액티브 신호 생성부, 상기 복수개의 뱅크 액티브 신호에 응답하여 복수개의 예비 프리차지 펄스를 생성하는 프리차지 펄스 생성부, 상기 복수개의 예비 프리차지 펄스를 지연시켜 복수개의 예비 지연 프리차지 펄스를 생성하는 지연부, 및 상기 파일드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복수개의 예비 프리차지 펄스 또는 상기 복수개의 예비 지연 프리차지 펄스를 상기 복수개의 프리차지 펄스로서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선택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리프레쉬 회로는 2 파일드 리프레쉬 동작시 4 파일드 리프레쉬 동작시보다 각 뱅크의 활성화 시간을 더 늘릴 수 있어,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좋은 리프레쉬 특성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리프레쉬 회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뱅크 액티브 신호 생성부(10), 프리차지 펄스 생성부(20), 지연부(100), 및 선택부(200)를 포함한다.
상기 뱅크 액티브 신호 생성부(10)는 리프레쉬 신호(REF)가 인에이블될 경우, 파일드 신호(T2PILE)에 응답하여 제 1 내지 제 8 뱅크 액티브 신호(BA<0:7>)를 선택적으로 인에이블시키며, 제 1 내지 제 8 프리차지 펄스(pre_pulse<0:7>)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내지 제 8 뱅크 액티브 신호(BA<0:7>)를 디스에이블시킨다.
예를 들어, 상기 뱅크 액티브 신호 생성부(10)는 상기 리프레쉬 신호(REF)가 인에이블되고 상기 파일드 신호(T2PILE)가 인에이블되면 상기 제 1 내지 제 8 뱅크 액티브 신호(BA<0:7>) 중 상기 제 2, 제 4, 제 5, 제 7 뱅크 액티브 신호(BA<1>, BA<3>, BA<4>, BA<6>)로 이루어진 제 1 그룹과, 상기 제 1, 제 3, 제 6, 제 8 뱅크 액티브 신호(BA<0>, BA<2>, BA<5>, BA<7>)로 이루어진 제 2 그룹을 순차적으로 인에이블시킨다. 또한, 상기 뱅크 액티브 신호 생성부(10)는 상기 리프레쉬 신호(REF)가 인에이블되고, 상기 파일드 신호(T2PILE)가 디스에이블되면 상기 제 1 내지 제 8 뱅크 액티브 신호(BA<0>~BA<7>) 중 첫번째로 상기 제 4 및 제 5 뱅크 액티브 신호(BA<3>, BA<4>)로 이루어진 제 1 그룹, 두번째로 상기 제 3 및 제 6 뱅크 액티브 신호(BA<2>, BA<5>)로 이루어진 제 2 그룹, 세번째로 상기 제 2 및 제 7 뱅크 액티브 신호(BA<1>, BA<6>)로 이루어진 제 3 그룹으로서, 마지막으로 상기 제 1 및 제 8 뱅크 액티브 신호(BA<0>, BA<7>)로 이루어진 제 4 그룹을 순차적으로 인에이블시킨다. 또한, 상기 뱅크 액티브 신호 생성부(10)는 제 1 내지 제 8 프리차지 펄스(pre_pulse<0:7>)가 입력되면 해당하는 뱅크 액티브 신호(BA<0:7>)를 디스에이블시킨다. 예를 들어, 상기 뱅크 액티브 신호 생성부(10)는 상기 제 1 프리차지 펄스(pre_pulse<0>)가 입력되면 상기 제 1 뱅크 액티브 신호(BA<0>)를, 상기 제 2 프리차지 펄스(pre_pulse<1>)가 입력되면 상기 제 2 뱅크 액티브 신호(BA<1>)를, 상기 제 3 프리차지 펄스(pre_pulse<2>)가 입력되면 상기 제 3 뱅크 액티브 신호(BA<2>)를, 상기 제 4 프리차지 펄스(pre_pulse<3>)가 입력되면 상기 제 4 뱅크 액티브 신호(BA<3>)를, 상기 제 5 프리차지 펄스(pre_pulse<4>)가 입력되면 상기 제 5 뱅크 액티브 신호(BA<4>)를, 상기 제 6 프리차지 펄스(pre_pulse<5>)가 입력되면 상기 제 6 뱅크 액티브 신호(BA<5>)를, 상기 제 7 프리차지 펄스(pre_pulse<6>)가 입력되면 상기 제 7 뱅크 액티브 신호(BA<6>)를, 상기 제 8 프리차지 펄스(pre_pulse<7>)가 입력되면 상기 제 8 뱅크 액티브 신호(BA<7>)를 디스에이블시킨다.
상기 파일드 신호(T2PILE)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가 리프레쉬 동작을 수행할 때, 복수개의 뱅크 액티브 신호를 2개의 그룹으로 나누어서 각 그룹들을 순차적으로 인에이블시키는 2 파일드 리프레쉬 모드와 복수개의 뱅크 액티브 신호를 4개의 그룹으로 나누어 각 그룹들을 순차적으로 인에이블시키는 4 파일드 리프레쉬 모드를 선택하는 신호이다.
상기 프리차지 펄스 생성부(20)는 상기 제 1 내지 제 8 뱅크 액티브 신호(BA<0:7>) 각각이 인에이블된 시점으로부터 설정 시간 이후 제 1 내지 제 8 예비 프리차지 펄스(pre_pre<0:7>)를 각각 생성한다.
예를 들어, 상기 프리차지 펄스 생성부(20)는 상기 제 1 뱅크 액티브 신호(BA<0>)가 인에이블된 시점으로서부터 상기 설정 시간 이후 상기 제 1 예비 프리차지 펄스(pre_pre<0>)를, 상기 제 2 뱅크 액티브 신호(BA<1>)가 인에이블된 시점으로서부터 상기 설정 시간 이후 상기 제 2 예비 프리차지 펄스(pre_pre<1>)를, 상기 제 3 뱅크 액티브 신호(BA<2>)가 인에이블된 시점으로서부터 상기 설정 시간 이후 상기 제 3 예비 프리차지 펄스(pre_pre<2>)를, 상기 제 4 뱅크 액티브 신호(BA<3>)가 인에이블된 시점으로서부터 상기 설정 시간 이후 상기 제 4 예비 프리차지 펄스(pre_pre<3>)를, 상기 제 5 뱅크 액티브 신호(BA<4>)가 인에이블된 시점으로서부터 상기 설정 시간 이후 상기 제 5 예비 프리차지 펄스(pre_pre<4>)를, 상기 제 6 뱅크 액티브 신호(BA<5>)가 인에이블된 시점으로서부터 상기 설정 시간 이후 상기 제 6 예비 프리차지 펄스(pre_pre<5>)를, 상기 제 7 뱅크 액티브 신호(BA<6>)가 인에이블된 시점으로서부터 상기 설정 시간 이후 상기 제 7 예비 프리차지 펄스(pre_pre<6>)를, 상기 제 8 뱅크 액티브 신호(BA<7>)가 인에이블된 시점으로서부터 상기 설정 시간 이후 상기 제 8 예비 프리차지 펄스(pre_pre<7>)를 각각 생성한다.
상기 지연부(100)는 상기 제 1 내지 제 8 예비 프리차지 펄스(pre_pre<0:7>)를 지연시켜 제 1 내지 제 8 예비 지연 프리차지 펄스(pre_pred<0:7>)를 생성한다. 상기 지연부(100)는 상기 제 1 내지 제 8 예비 프리차지 펄스(pre_pre<0:7>)를 각 지연시키는 지연 회로를 구비하는 데, 상기 지연부(100)에 구비된 지연 회로는 일반적인 지연 회로로 구현 가능함으로 도면 제시, 구성, 및 동작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선택부(200)는 상기 파일드 신호(T2PILE)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내지 제 8 예비 프리차지 펄스(pre_pre<0:7>) 또는 상기 제 1 내지 제 8 예비 지연 프리차지 펄스(pre_pred<0:7>)를 상기 제 1 내지 제 8 프리차지 펄스(pre_pulse<0:7>)로서 출력한다.
예를 들어, 상기 선택부(200)는 상기 파일드 신호(T2PILE)가 디스에이블되면 상기 제 1 내지 제 8 예비 프리차지 펄스(pre_pre<0:7>)를 상기 제 1 내지 제 8 프리차지 펄스(pre_pulse<0:7>)로서 출력한다. 또한 상기 선택부(200)는 상기 파일드 신호(T2PILE)가 인에이블되면 상기 제 1 내지 제 8 예비 지연 프리차지 펄스(pre_pred<0:7>)를 상기 제 1 내지 제 8 프리차지 펄스(pre_pulse<0:7>)로서 출력한다.
상기 선택부(2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내지 제 8 펄스 선택부(210~280)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펄스 선택부(210)는 상기 파일드 신호(T2PILE)가 디스에이블되면 상기 제 1 예비 프리차지 펄스(pre_pre<0>)를 상기 제 1 프리차지 펄스(pre_pulse<0>)로서 출력하고, 상기 파일드 신호(T2PILE)가 인에이블되면 상기 제 1 예비 지연 프리차지 펄스(pre_pred<0>)를 상기 제 1 프리차지 펄스(pre_pulse<0>)로서 출력한다.
상기 제 2 펄스 선택부(220)는 상기 파일드 신호(T2PILE)가 디스에이블되면 상기 제 2 예비 프리차지 펄스(pre_pre<1>)를 상기 제 2 프리차지 펄스(pre_pulse<1>)로서 출력하고, 상기 파일드 신호(T2PILE)가 인에이블되면 상기 제 2 예비 지연 프리차지 펄스(pre_pred<1>)를 상기 제 2 프리차지 펄스(pre_pulse<1>)로서 출력한다.
상기 제 3 펄스 선택부(230)는 상기 파일드 신호(T2PILE)가 디스에이블되면 상기 제 3 예비 프리차지 펄스(pre_pre<2>)를 상기 제 3 프리차지 펄스(pre_pulse<2>)로서 출력하고, 상기 파일드 신호(T2PILE)가 인에이블되면 상기 제 3 예비 지연 프리차지 펄스(pre_pred<2>)를 상기 제 3 프리차지 펄스(pre_pulse<2>)로서 출력한다.
상기 제 4 펄스 선택부(240)는 상기 파일드 신호(T2PILE)가 디스에이블되면 상기 제 4 예비 프리차지 펄스(pre_pre<3>)를 상기 제 4 프리차지 펄스(pre_pulse<3>)로서 출력하고, 상기 파일드 신호(T2PILE)가 인에이블되면 상기 제 4 예비 지연 프리차지 펄스(pre_pred<3>)를 상기 제 4 프리차지 펄스(pre_pulse<3>)로서 출력한다.
상기 제 5 펄스 선택부(250)는 상기 파일드 신호(T2PILE)가 디스에이블되면 상기 제 5 예비 프리차지 펄스(pre_pre<4>)를 상기 제 5 프리차지 펄스(pre_pulse<4>)로서 출력하고, 상기 파일드 신호(T2PILE)가 인에이블되면 상기 제 5 예비 지연 프리차지 펄스(pre_pred<4>)를 상기 제 5 프리차지 펄스(pre_pulse<4>)로서 출력한다.
상기 제 6 펄스 선택부(260)는 상기 파일드 신호(T2PILE)가 디스에이블되면 상기 제 6 예비 프리차지 펄스(pre_pre<5>)를 상기 제 6 프리차지 펄스(pre_pulse<5>)로서 출력하고, 상기 파일드 신호(T2PILE)가 인에이블되면 상기 제 6 예비 지연 프리차지 펄스(pre_pred<5>)를 상기 제 6 프리차지 펄스(pre_pulse<5>)로서 출력한다.
상기 제 7 펄스 선택부(270)는 상기 파일드 신호(T2PILE)가 디스에이블되면 상기 제 7 예비 프리차지 펄스(pre_pre<6>)를 상기 제 7 프리차지 펄스(pre_pulse<6>)로서 출력하고, 상기 파일드 신호(T2PILE)가 인에이블되면 상기 제 7 예비 지연 프리차지 펄스(pre_pred<6>)를 상기 제 7 프리차지 펄스(pre_pulse<6>)로서 출력한다.
상기 제 8 펄스 선택부(280)는 상기 파일드 신호(T2PILE)가 디스에이블되면 상기 제 8 예비 프리차지 펄스(pre_pre<7>)를 상기 제 8 프리차지 펄스(pre_pulse<7>)로서 출력하고, 상기 파일드 신호(T2PILE)가 인에이블되면 상기 제 8 예비 지연 프리차지 펄스(pre_pred<7>)를 상기 제 8 프리차지 펄스(pre_pulse<7>)로서 출력한다. 이때, 상기 제 1 내지 제 8 펄스 선택부(210~280) 각각은 멀티 플렉서로 구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리프레쉬 회로는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뱅크 액티브 신호 생성부(10)는 리프레쉬 신호(REF)가 인에이블되고 파일드 신호(T2PILE)가 인에이블되면 상기 제 1 내지 제 8 뱅크 액티브 신호(BA<0:7>) 중 상기 제 2, 제 4, 제 5, 제 7 뱅크 액티브 신호(BA<1>, BA<3>, BA<4>, BA<6>)로 이루어진 제 1 그룹과, 상기 제 1, 제 3, 제 6, 제 8 뱅크 액티브 신호(BA<0>, BA<2>, BA<5>, BA<7>)으로 이루어진 제 2 그룹을 순차적으로 인에이블시킨다. 또 한, 상기 뱅크 액티브 신호 생성부(10)는 상기 리프레쉬 신호(REF)가 인에이블되고, 상기 파일드 신호(T2PILE)가 디스에이블되면 상기 제 1 내지 제 8 뱅크 액티브 신호(BA<0>~BA<7>) 중 첫번째로 상기 제 4 및 제 5 뱅크 액티브 신호(BA<3>, BA<4>)로 이루어진 제 1 그룹, 두번째로 상기 제 3 및 제 6 뱅크 액티브 신호(BA<2>, BA<5>)로 이루어진 제 2 그룹, 세번째로 상기 제 2 및 제 7 뱅크 액티브 신호(BA<1>, BA<6>)로 이루어진 제 3 그룹, 마지막으로 상기 제 1 및 제 8 뱅크 액티브 신호(BA<0>, BA<7>)로 이루어진 제 4 그룹을 순차적으로 인에이블시킨다.
프리차지 펄스 생성부(20)는 상기 제 1 뱅크 액티브 신호(BA<0>)가 인에이블된 시점으로서부터 설정 시간 이후 상기 제 1 예비 프리차지 펄스(pre_pre<0>)를, 상기 제 2 뱅크 액티브 신호(BA<1>)가 인에이블된 시점으로서부터 상기 설정 시간 이후 상기 제 2 예비 프리차지 펄스(pre_pre<1>)를, 상기 제 3 뱅크 액티브 신호(BA<2>)가 인에이블된 시점으로서부터 상기 설정 시간 이후 상기 제 3 예비 프리차지 펄스(pre_pre<2>)를, 상기 제 4 뱅크 액티브 신호(BA<3>)가 인에이블된 시점으로서부터 상기 설정 시간 이후 상기 제 4 예비 프리차지 펄스(pre_pre<3>)를, 상기 제 5 뱅크 액티브 신호(BA<4>)가 인에이블된 시점으로서부터 상기 설정 시간 이후 상기 제 5 예비 프리차지 펄스(pre_pre<4>)를, 상기 제 6 뱅크 액티브 신호(BA<5>)가 인에이블된 시점으로서부터 상기 설정 시간 이후 상기 제 6 예비 프리차지 펄스(pre_pre<5>)를, 상기 제 7 뱅크 액티브 신호(BA<6>)가 인에이블된 시점으로서부터 상기 설정 시간 이후 상기 제 7 예비 프리차지 펄스(pre_pre<6>)를, 상기 제 8 뱅크 액티브 신호(BA<7>)가 인에이블된 시점으로서부터 상기 설정 시간 이 후 상기 제 8 예비 프리차지 펄스(pre_pre<7>)를 각각 생성한다.
지연부(100)는 상기 제 1 내지 제 8 예비 프리차지 펄스(pre_pre<0:7>)를 지연시켜 제 1 내지 제 8 예비 지연 프리차지 펄스(pre_pred<0:7>)를 생성한다.
선택부(200)는 상기 파일드 신호(T2PILE)가 디스에이블되면 상기 제 1 내지 제 8 예비 프리차지 펄스(pre_pre<0:7>)를 제 1 내지 제 8 프리차지 펄스(pre_pulse<0:7>)로서 출력하고, 상기 파일드 신호(T2PILE)가 인에이블되면 상기 제 1 내지 제 8 예비 지연 프리차지 펄스(pre_pred<0:7>)를 상기 제 1 내지 제 8 프리차지 펄스(pre_pulse<0:7>)로서 출력한다.
상기 뱅크 액티브 신호 생성부(10)는 제 1 내지 제 8 프리차지 펄스(pre_pulse<0:7>)가 입력되면 해당하는 뱅크 액티브 신호(BA<0:7>)를 디스에이블시킨다. 예를 들어, 상기 뱅크 액티브 신호 생성부(10)는 상기 제 1 프리차지 펄스(pre_pulse<0>)가 입력되면 상기 제 1 뱅크 액티브 신호(BA<0>)를, 상기 제 2 프리차지 펄스(pre_pulse<1>)가 입력되면 상기 제 2 뱅크 액티브 신호(BA<1>)를, 상기 제 3 프리차지 펄스(pre_pulse<2>)가 입력되면 상기 제 3 뱅크 액티브 신호(BA<2>)를, 상기 제 4 프리차지 펄스(pre_pulse<3>)가 입력되면 상기 제 4 뱅크 액티브 신호(BA<3>)를, 상기 제 5 프리차지 펄스(pre_pulse<4>)가 입력되면 상기 제 5 뱅크 액티브 신호(BA<4>)를, 상기 제 6 프리차지 펄스(pre_pulse<5>)가 입력되면 상기 제 6 뱅크 액티브 신호(BA<5>)를, 상기 제 7 프리차지 펄스(pre_pulse<6>)가 입력되면 상기 제 7 뱅크 액티브 신호(BA<6>)를, 상기 제 8 프리차지 펄스(pre_pulse<7>)가 입력되면 상기 제 8 뱅크 액티브 신호(BA<7>)를 디스 에이블시킨다.
결국,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리프레쉬 회로는 파일드 신호가 인에이블되면(2 파일드 리프레쉬 모드; 복수개의 뱅크 액티브 신호를 2개의 그룹으로 나누어 순차적을 인에이블시키는 모드) 파일드 신호가 디스에이블되었을 때(4 파일드 리프레쉬 모드; 복수개의 뱅크 액티브 신호를 4 그룹으로 나누어 순차적으로 인에이블시키는 모드)보다 프리차지 펄스를 더 늦은 타이밍에 발생시킴으로써, 파일드 신호가 인에이블되었을 때(2 파일드 리프레쉬 모드) 뱅크 액티브 신호를 파일드 신호가 디스에이블되었을 때보다 더 늦은 타이밍에 디스에이블시킨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리프레쉬 회로는 2 파일드 리프레쉬 모드일 경우 종래보다 충분한 뱅크 활성화 시간을 확보하여 리프레쉬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리프레쉬 회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리프레쉬 회로의 구성도,
도 3은 도 2의 선택부의 상세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지연부 200: 선택부

Claims (6)

  1. 리프레쉬 신호가 인에이블될 경우 파일드 신호에 응답하여 복수개의 뱅크 액티브 신호를 선택적으로 인에이블시키며, 복수개의 프리차지 펄스에 응답하여 상기 복수개의 뱅크 액티브 신호를 디스에이블시키는 뱅크 액티브 신호 생성부;
    상기 복수개의 뱅크 액티브 신호에 응답하여 복수개의 예비 프리차지 펄스를 생성하는 프리차지 펄스 생성부;
    상기 복수개의 예비 프리차지 펄스를 지연시켜 복수개의 예비 지연 프리차지 펄스를 생성하는 지연부; 및
    상기 파일드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복수개의 예비 프리차지 펄스 또는 상기 복수개의 예비 지연 프리차지 펄스를 상기 복수개의 프리차지 펄스로서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선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리프레쉬 회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드 신호는
    2 파일드 리프레쉬 모드 또는 4 파일드 리프레쉬 모드로 반도체 메모리 장치가 리프레쉬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선택하는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리프레쉬 회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뱅크 액티브 신호 생성부는
    상기 리프레쉬 신호가 인에이블되고 상기 파일드 신호가 인에이블되면 상기 복수개의 뱅크 액티브 신호를 두 그룹으로 나누어 각 그룹들을 순차적으로 인에이블시키며,
    상기 리프레쉬 신호가 인에이블되고 상기 파일드 신호가 디스에이블되면 상기 복수개의 뱅크 액티브 신호를 네 그룹으로 나누어 각 그룹들을 순차적으로 인에이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리프레쉬 회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뱅크 액티브 신호 생성부는
    상기 복수개의 프리차지 펄스를 입력 받도록 구성되며, 입력된 상기 프리차지 펄스에 해당하는 상기 뱅크 액티브 신호를 디스에이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리프레쉬 회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차지 펄스 생성부는
    상기 복수개의 뱅크 액티브 신호를 입력 받도록 구성되며, 입력된 상기 뱅크 액티브 신호에 해댕하는 상기 예비 프리차지 펄스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리프레쉬 회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부는
    상기 파일드 신호가 인에이블되면 상기 복수개의 예비 지연 프리차지 펄스를 상기 복수개의 프리차지 펄스로서 출력하고, 상기 파일드 신호가 디스에이블되면 상기 복수개의 예비 프리차지 펄스를 상기 복수개의 프리차지 펄스로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리프레쉬 회로.
KR1020080132335A 2008-12-23 2008-12-23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리프레쉬 회로 KR1010031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2335A KR101003121B1 (ko) 2008-12-23 2008-12-23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리프레쉬 회로
US12/480,962 US7881109B2 (en) 2008-12-23 2009-06-09 Refresh circuit of semiconductor memory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2335A KR101003121B1 (ko) 2008-12-23 2008-12-23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리프레쉬 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3619A true KR20100073619A (ko) 2010-07-01
KR101003121B1 KR101003121B1 (ko) 2010-12-22

Family

ID=422658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2335A KR101003121B1 (ko) 2008-12-23 2008-12-23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리프레쉬 회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881109B2 (ko)
KR (1) KR10100312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014767A1 (en) * 2007-06-15 2009-01-14 Centro di Ricerca E. Menni T cell immunomodulation by placenta cell preparations
KR102405241B1 (ko) 2015-12-18 2022-06-07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베이스 칩 및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패키지
KR102491689B1 (ko) * 2016-03-03 2023-01-26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반도체장치
KR102480629B1 (ko) 2018-08-02 2022-12-2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및 출력 버퍼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2414B1 (ko) 2004-04-20 2006-11-03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제어 회로
KR100596443B1 (ko) 2004-04-27 2006-07-05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다수 뱅크 구조 디램을 위한 리프레시 제어회로 및 그 방법
KR100608370B1 (ko) 2004-11-15 2006-08-08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리프레쉬 수행 방법
KR100772110B1 (ko) * 2006-06-30 2007-11-01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로우 어드레스 제어 장치
KR100834394B1 (ko) 2007-01-03 2008-06-04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리프레쉬신호 공급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881109B2 (en) 2011-02-01
US20100157712A1 (en) 2010-06-24
KR101003121B1 (ko) 2010-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529047B (zh) 半导体器件及驱动该半导体器件的方法
KR102133380B1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그의 동작방법
KR101003121B1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리프레쉬 회로
US8823426B2 (en) Deserializers
CN105719685A (zh) 半导体装置和驱动该半导体装置的方法
KR101138832B1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그 동작방법
US9953688B1 (en) Precharge control device and semiconductor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140002182A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
US9183919B2 (en) Semiconductor device
CN107395198B (zh) 一种时钟数据恢复装置和方法
CN111383677B (zh) 半导体器件
US9257170B2 (en) Semiconductor devices
KR100915825B1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펌핑 전압 감지 회로
US523757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vely switching between input signals
JPWO2004102217A1 (ja) 試験装置
US7705651B2 (en) Delay circuit of semiconductor memory apparatus
US20120170394A1 (en) Column address circuit of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method of generating column addresses
US9236109B1 (en) Semiconductor device
US6704243B2 (en) Apparatus for generating memory-internal command signals from a memory operation command
JP2013072797A (ja) 半導体テスト回路
KR100935601B1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어드레스 버퍼 제어회로
KR101998287B1 (ko) 반도체 장치의 리프레쉬 제어 회로
US7623984B2 (en) Test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KR20070109640A (ko) 반도체 메모리의 칼럼 선택 신호 생성 장치
US20100327917A1 (en) Output device and test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