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73476A - 마그네슘 합금에 알루미늄, 칼슘, 희토류원소가 첨가된 고강도 합금 - Google Patents

마그네슘 합금에 알루미늄, 칼슘, 희토류원소가 첨가된 고강도 합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73476A
KR20100073476A KR1020080132164A KR20080132164A KR20100073476A KR 20100073476 A KR20100073476 A KR 20100073476A KR 1020080132164 A KR1020080132164 A KR 1020080132164A KR 20080132164 A KR20080132164 A KR 20080132164A KR 20100073476 A KR20100073476 A KR 201000734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uminum
magnesium
added
calcium
magnesium allo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21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설
손현택
김대근
박슬기
김영모
Original Assignee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산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801321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73476A/ko
Publication of KR201000734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347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23/00Alloys based on magnesium
    • C22C23/02Alloys based on magnesium with aluminium as the next major constituent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2202/00Physical propert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wder Metallur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그네슘, 알루미늄, 칼슘, 희토류 원소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희토류 원소는 이트륨, 네오디뮴, 사마륨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마그네슘(Mg), 알루미늄(Al), 칼슘(Ca)를 주재료로 하는 마그네슘 합금에 희토류 원소인 이트륨(Y), 네오디뮴(Nd), 사마륨(Sm)을 소량 첨가하여 강도 및 연성이 현저히 상승되었기 때문에, 항공기 및 자동차의 동력계통 핵심부품으로 사용가능한 장점이 있고, 이로 인한 항공기 및 자동차의 경량화에 상당한 기여를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마그네슘, 합금, 희토류 원소, 고강도, 고연성

Description

마그네슘 합금에 알루미늄, 칼슘, 희토류원소가 첨가된 고강도 합금{HIGH STRENGTH ALLOY INCLUDING Al, Ca, RE TO MAGNESIUM ALLOY}
본 발명은 마그네슘 합금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마그네슘 합금에 알루미늄, 칼슘, 희토류 원소가 첨가된 고강도 합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마그네슘 합금은 비중이 비교 경량제인 알루미늄의 2/3수준인 약 1.74g/㎤으로서, 우수한 비강도, 절삭가공성 및 진동흡수성능을 가지고 있으며, 자원 측면에서도 부족함이 없는 해수를 원료로 하는 금속이다.
또한, 자원의 재활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마그네슘 합금은 자동차 산업에서 철강 및 알루미늄 합금을 대체할 수 있는 친환경적인 초경량 소재로 주목받고 있으며, 경량화를 통한 연비향상이 기대되는 항공기 및 자동차 산업 등에 사용이 급격히 증대되고 있다.
항공기 및 자동차 산업등에 주로 사용되는 마그네슘 합금은 Mg-Al계, Mg-Al-Mn계가 있는데, 상기의 마그네슘 합금은 항공기 및 자동차의 동력계통 부품들에 적용하기에는 상당한 제약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항공기 및 자동차의 동력계통 핵심부품들은 구동특성상 대부분이 고온에 서 작동되면서 고회전력을 부여받기 때문에, 알루미늄 합금에 비해 고온강도, 인장강도 및 연성이 상대적으로 낮은 마그네슘 합금을 적용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이에, 마그네슘 합금에 저가의 칼슘을 첨가하여 알루미늄 합금에 비해 고온 강도를 상대적으로 높인 마그네슘(Mg), 알루미늄(Al), 칼슘(Ca)를 주재료로하는 마그네슘 합금이 개발되었다. 그러나, 여전히 항공기 및 자동차의 동력계통 핵심부품으로 사용하기에는 인장강도 및 연성이 상대적으로 낮은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마그네슘(Mg), 알루미늄(Al), 칼슘(Ca)를 주재료로하는 마그네슘 합금에 다양한 원소를 첨가하여 고강도와 고연성을 갖는 마그네슘 합금의 개발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고강도와 고연성을 갖는 마그네슘 합금에 알루미늄, 칼슘, 희토류원소가 첨가된 고강도 합금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마그네슘, 알루미늄, 칼슘, 희토류 원소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희토류 원소는 이트륨, 네오디뮴, 사마륨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희토류 원소로서 이트륨을 사용한 마그네슘 합금의 중량비율로는 마그네슘 87∼93wt%, 알루미늄 4∼6wt%, 칼슘 2∼4wt%, 이트륨 1∼3wt%로 이루어진다.
희토류 원소로서 네오디뮴을 사용한 마그네슘 합금의 중량비율로는 마그네슘 87∼93wt%, 알루미늄 4∼6wt%, 칼슘 2∼4wt%, 네오디뮴 1∼3wt%로 이루어진다.
희토류 원소로서 사마륨을 사용한 마그네슘 합금의 중량비율로는 마그네슘 87∼93wt%, 알루미늄 4∼6wt%, 칼슘 2∼4wt%, 사마륨 1∼3wt%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마그네슘(Mg), 알루미늄(Al), 칼슘(Ca)를 주재료로 하는 마그네슘 합금에 희토류 원소인 이트륨(Y), 네오디뮴(Nd), 사마륨(Sm)을 소량 첨가하여 강도 및 연성이 현저히 상승되었기 때문에, 항공기 및 자동차의 동력계통 핵심부품으로 사용가능한 장점이 있고, 이로 인한 항공기 및 자동차의 경량화에 상당한 기여를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마그네슘, 알루미늄, 칼슘을 주재료로 하는 Mg-Al-Ca계 마그네슘 합금에 희토류 원소(이트륨(Y), 네오디뮴(Nd), 사마륨(Sm))를 첨가하여 Mg-Al-Ca계 마그네슘 합금에서 생성되는 거칠고 불규칙적인 조직인
Figure 112008088308032-PAT00001
의 공정상(C36)의 형성을 억제시키고, 균일하고 미세한 층상조직(lamella structure)인
Figure 112008088308032-PAT00002
의 공정상의 형성을 증대시킬 뿐만 아니라 희토류 원소 첨가에 의한
Figure 112008088308032-PAT00003
금속간 화합물을 형성시키고, 결정립 미세화에 의한 고강도와 고연성이 향상되는 고강도 합금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마그네슘, 알루미늄, 칼슘을 주재료로 하는 마그네슘 합금(비교예)과, 여기에 희토류 원소(이트륨, 네오디뮴, 사마륨)를 첨가한 마그네슘 합금(실시예)을 비교하여 비교예에 비해 실시예가 고강도 및 고연성을 갖고 있음을 설명한다.
비교예와 실시예의 조성비율은 아래의 표 1과 같다.
Al(wt%) Ca(wt%) Y(wt%) Nd(wt%) Sm(wt%) Mg(wt%)
비교예 5 3 92
실시예1 5 3 1 91
실시예2 5 3 2 90
실시예3 5 3 3 89
실시예4 5 3 1 91
실시예5 5 3 2 90
실시예6 5 3 3 89
실시예7 5 3 1 91
실시예8 5 3 2 90
실시예9 5 3 3 89
Figure 112008088308032-PAT00004
Figure 112008088308032-PAT00005
분위기하의 전기로에서 상기 표 1에 표시된 중량비율로 비교예 및 여러 실시예를 750℃로 가열하여 용해시키고, 몰드온도를 200℃로 하여 주조한 다음 380℃에서 압출비 20:1로 열간압출하여 비교예 및 여러 실시예의 시편을 얻었다.
도 1, 도 2는 비교예의 시편조직을 전자현미경인 FESEM장비 및 EDS장비를 이용하여 비교예의 시편조직을 보인 사진과 비교예의 시편조직에서 생성된 공정상의 원소를 분석한 스펙트럼이다.
도 1, 도 2를 참조하면, 비교예의 공정상인 C36은 마그네슘, 알루미늄, 칼슘이 다량 검출됨을 알 수 있다. 즉, 조대하고 불규칙적인 조직인
Figure 112008088308032-PAT00006
의 공정상(C36)이 형성된다.
아래의 표 2는 C36을 구성하는 마그네슘, 알루미늄, 칼슘의 성분비율이다.
성분 wt% at%
Mg 41.13 47.35
Al 34.05 35.32
Ca 24.82 17.33
도 3, 도 4는 FESEM장비 및 EDS장비를 이용하여 실시예2의 시편조직사진 및 공정상의 원소를 분석한 스펙트럼이고, 도 5, 도 6은 실시예6의 시편조직사진 및 공정상의 원소를 분석한 스펙트럼이며, 도 7, 도8은 실시예9의 시편조직사진 및 공정상의 원소를 분석한 스펙트럼이다.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실시예2의 이트륨 첨가에 의한 금속간화합물은 알루미늄, 이트륨이 상대적으로 다량 검출되고, 실시예6의 네오디뮴 첨가에 의한 금속간화합물은 알루미늄, 네오디뮴이 상대적으로 다량 검출되며, 실시예9의 사마륨 첨가에 의한 금속간화합물은 알루미늄, 사마륨이 다량 검출됨을 알 수 있다.
또한, 실시예1,2,3은
Figure 112008088308032-PAT00007
로서
Figure 112008088308032-PAT00008
상이 형성되고, 실시예4,5,6은
Figure 112008088308032-PAT00009
상이 형성되며, 실시예7,8,9는
Figure 112008088308032-PAT00010
상이 형성된다. 또한, 실시예1~9에서 이트륨, 네오디뮴 및 사마륨 첨가에 의한 공정상은 미세한 층상조직(C14 lamella structure)으로 변화된다. Mg-Al-Ca합금에 희토류원소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미세 층상상조직의 공정상의 분율이 증가하였다.
아래의 표 3은 실시예2, 실시예6, 실시예9에서 생성된
Figure 112008088308032-PAT00011
금속간화합물의 성분비율이다.

실시예 2 실시예 6 실시예 9
wt% at% wt% at% wt% at%
Mg 02.72 04.98 04.00 09.48 02.77 06.92
Al 40.30 66.49 29.48 62.87 28.65 64.38
Ca 01.09 01.56 00.93 01.41
Y 56.98 28.53
Nd 65.43 26.10
Sm 67.64 27.28
이와 같이, Mg-Al-Ca계 마그네슘 합금에 첨가된 희토류 원소(이트륨, 네오디뮴, 사마륨)는 알루미늄과 결합되어 균일한
Figure 112008088308032-PAT00012
금속간화합물이 형성되며, 미세한 층상조직(lamella structure)인
Figure 112008088308032-PAT00013
공정상(C14)을 형성함으로서, 거칠고 불규칙적인 조직인
Figure 112008088308032-PAT00014
의 공정상(C36)의 형성을 억제시키는 것을 알 수가 있다.
도 9는 EBSD장비를 이용하여 측정된 비교예 및 상기 여러 실시예의 시편조직의 입자 크기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10 내지 도 13은 EBSD장비를 이용하여 비교예, 실시예 2, 실시예 5, 실시예 8의 시편조직의 나타낸 이미지이다.
도 9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Mg-Al-Ca계 마그네슘 합금에 희토류 원소(이트륨, 네오디뮴, 사마륨)를 첨가하면, 입자크기가 현저히 작아지고 균일해짐을 알 수 있다.
즉, Mg-Al-Ca계 마그네슘 합금은 입자크기가 대략 264㎛인 반면에, 이트륨이 첨가된 Mg-Al-Ca계 마그네슘 합금은 이트륨이 중량비율 3wt%가 첨가될 때, 입자크기가 대략 100㎛로 가장 작은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네오디뮴이 첨가된 Mg-Al-Ca계 마그네슘 합금은 네오디뮴이 중량비율 2wt%가 첨가될 때 입자크기가 대략 72㎛로 가장 작으며, 사마륨이 첨가된 Mg-Al-Ca계 마그네슘 합금은 사마륨이 중량비율 3wt%가 첨가될 때 입자크기가 대략 50㎛로 가장 작음을 알 수 있다.
도 14 내지 도 16은 비교예 및 여러 실시 예를 인장시험을 하여 그 결과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인장시험은 상온에서 수행하였고, 인장시험에는 ASTM규격에 따른 16㎜의 표점거리와 직경이 4㎜인 봉상 시편이 사용되었다.
도 14를 참조하면, Mg-Al-Ca계 마그네슘 합금에 이트륨이 첨가될 때, 첨가되는 이트륨의 중량비율(1∼3wt%)에 따라 항복강도, 최대인장강도, 연신율을 비교예와 함께 그래프로 나타낸 것으로, 3wt%의 이트륨이 첨가될 때 비교예에 비해 항복강도와 최대인장강도가 각각 326MPa, 331MPa로 증가하나, 연신율이 감소되는 특성을 보였다.
그러나, 1wt%의 이트륨이 첨가될 때에는 비교예에 비해 항복강도에는 별차이가 없으나, 최대인장강도가 증가됨과 아울러 연신율이 크게 증가되는 특성을 보였다.
따라서, 고강도를 얻고자 할 경우에는 Mg-Al-Ca계 마그네슘 합금에 3wt%의 이트륨을 첨가하고, 고연성을 얻고자 할 경우에는 1wt%의 이트륨을 첨가하여 마그네슘합금을 제조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Mg-Al-Ca계 마그네슘 합금에 중량비율(1∼3wt%)에 따라 네오디뮴을 첨가하여 항복강도, 최대인장강도, 연신율을 비교예와 비교하여 그래프로 나타낸 것으로, 2wt%의 네오디뮴이 첨가될 때 비교예에 비해 항복강도와 최대인장강도가 각각 322MPa, 335MPa로 증가하나, 연신율이 감소되는 특성을 보였다.
그러나, 1wt%의 네오디뮴이 첨가될 때, 비교예에 비해 항복강도, 최대인장강도, 연신율이 함께 증가되는 특성을 보였다.
도 16을 참조하면, Mg-Al-Ca계 마그네슘 합금에 중량비율(1∼3wt%)에 따라 사마륨을 첨가하여 항복강도, 최대인장강도, 연신율을 비교예와 비교하여 그래프로 나타낸 것으로, 2wt%의 사마륨이 첨가될 때 비교예에 비해 항복강도와 최대인장강도가 각각 313MPa, 330MPa로 증가하나, 연신율이 감소되는 특성을 보였다.
그러나, 1wt%의 네오디뮴이 첨가될 때, 비교예에 비해 항복강도, 최대인장강도, 연신율이 함께 증가되는 특성을 보였다.
이와 같이, Mg-Al-Ca계 마그네슘 합금에 희토류 원소(이트륨, 네오디뮴, 사마륨)가 첨가되어 균일한
Figure 112008088308032-PAT00015
금속간화합물이 형성되며, 미세한 층상조직(lamella structure)인
Figure 112008088308032-PAT00016
의 공정상을 형성한 본 발명의 마그네슘 합금은 3wt%d의 이트륨, 2wt%의 네오디뮴, 2wt%의 사마륨이 각각 첨가될 때 비교예에 비해 항복강도 및 최대인장강도가 현저히 증가되고, 1wt%d의 이트륨, 1wt%의 네오디뮴, 1wt%의 사마륨이 각각 첨가될 때 비교예에 비해 연신율이 크게 증가되는 특성을 보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마그네슘 합금은 비교예에 비해 고강도 및 고연성의 특성을 갖기 때문에, 항공기 및 자동차의 동력계통 핵심부품으로 사용가능하고, 이로 인한 항공기 및 자동차의 경량화에 상당한 기여를 할 수가 있다.
도 1은 FESEM장비를 이용하여 비교예의 시편조직의 사진,
도 2는 EDS장비를 이용하여 비교예의 시편조직에서 생성된 공정상의 원소를 분석한 스펙트럼,
도 3은 FESEM장비를 이용하여 실시예 2의 시편조직의 사진,
도 4는 EDS장비를 이용하여 실시예 2의 시편조직에서 생성된 공정상의 원소를 분석한 스펙트럼,
도 5는 FESEM장비를 이용하여 실시예 6의 시편조직의 사진,
도 6은 EDS장비를 이용하여 실시예 6의 시편조직에서 생성된 공정상의 원소를 분석한 스펙트럼,
도 7은 FESEM장비를 이용하여 실시예 9의 시편조직의 사진,
도 8은 EDS장비를 이용하여 실시예 9의 시편조직에서 생성된 공정상의 원소를 분석한 스펙트럼,
도 9는 EBSD장비를 이용하여 측정된 비교예 및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9의 시편조직의 입자 크기를 나타낸 그래프,
도 10은 EBSD장비를 이용하여 비교예의 시편조직의 나타낸 이미지,
도 11은 EBSD장비를 이용하여 실시예 2의 시편조직의 나타낸 이미지,
도 12는 EBSD장비를 이용하여 실시예 5의 시편조직의 나타낸 이미지,
도 13은 EBSD장비를 이용하여 실시예 8의 시편조직의 나타낸 이미지,
도 14는 Mg-Al-Ca계 마그네슘 합금에 이트륨이 첨가될 때, 첨가되는 이트륨 의 중량비율(1∼3wt%)에 따라 항복강도, 최대인장강도, 연신율을 비교예와 함께 나타낸 그래프,
도 15는 Mg-Al-Ca계 마그네슘 합금에 네오디뮴이 첨가될 때, 첨가되는 네오디뮴의 중량비율(1∼3wt%)에 따라 항복강도, 최대인장강도, 연신율을 비교예와 함께 나타낸 그래프,
도 16은 Mg-Al-Ca계 마그네슘 합금에 사마륨이 첨가될 때, 첨가되는 사마륨의 중량비율(1∼3wt%)에 따라 항복강도, 최대인장강도, 연신율을 비교예와 함께 나타낸 그래프.

Claims (5)

  1. 마그네슘, 알루미늄, 칼슘, 희토류 원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슘 합금에 알루미늄, 칼슘, 희토류원소가 첨가된 고강도 합금.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희토류 원소는 이트륨, 네오디뮴, 사마륨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슘 합금에 알루미늄, 칼슘, 희토류원소가 첨가된 고강도 합금.
  3. 제 2항에 있어서,
    마그네슘 87∼93wt%, 알루미늄 4∼6wt%, 칼슘 2∼4wt%, 이트륨 1∼3wt%의 중량비율로 이루어진 마그네슘 합금에 알루미늄, 칼슘, 희토류원소가 첨가된 고강도 합금.
  4. 제 2항에 있어서,
    마그네슘 87∼93wt%, 알루미늄 4∼6wt%, 칼슘 2∼4wt%, 네오디뮴 1∼3wt%의 중량비율로 이루어진 마그네슘 합금에 알루미늄, 칼슘, 희토류원소가 첨가된 고강 도 합금.
  5. 제 2항에 있어서,
    마그네슘 87∼93wt%, 알루미늄 4∼6wt%, 칼슘 2∼4wt%, 사마륨 1∼3wt%의 중량비율로 이루어진 마그네슘 합금에 알루미늄, 칼슘, 희토류원소가 첨가된 고강도 합금.
KR1020080132164A 2008-12-23 2008-12-23 마그네슘 합금에 알루미늄, 칼슘, 희토류원소가 첨가된 고강도 합금 KR2010007347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2164A KR20100073476A (ko) 2008-12-23 2008-12-23 마그네슘 합금에 알루미늄, 칼슘, 희토류원소가 첨가된 고강도 합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2164A KR20100073476A (ko) 2008-12-23 2008-12-23 마그네슘 합금에 알루미늄, 칼슘, 희토류원소가 첨가된 고강도 합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3476A true KR20100073476A (ko) 2010-07-01

Family

ID=426364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2164A KR20100073476A (ko) 2008-12-23 2008-12-23 마그네슘 합금에 알루미늄, 칼슘, 희토류원소가 첨가된 고강도 합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73476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230117A (zh) * 2011-08-01 2011-11-02 重庆大学 一种含稀土钕的镁-铝-钙变形镁合金及其制备方法
WO2013100427A1 (ko) * 2011-12-29 2013-07-04 한국기계연구원 마그네슘 비활성화제 및 마그네슘 비활성화제를 이용한 마그네슘 합금의 제조방법
KR20160136829A (ko) 2015-05-21 2016-11-30 한국기계연구원 저온 및 저속의 압출공정을 이용한 고강도 마그네슘 합금 압출재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마그네슘 합금 압출재
KR101692261B1 (ko) * 2016-08-16 2017-01-03 에스씨엠주식회사 마그네슘 합금으로 이루어진 양궁핸들의 제조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230117A (zh) * 2011-08-01 2011-11-02 重庆大学 一种含稀土钕的镁-铝-钙变形镁合金及其制备方法
CN102230117B (zh) * 2011-08-01 2012-10-10 重庆大学 一种含稀土钕的镁-铝-钙变形镁合金及其制备方法
WO2013100427A1 (ko) * 2011-12-29 2013-07-04 한국기계연구원 마그네슘 비활성화제 및 마그네슘 비활성화제를 이용한 마그네슘 합금의 제조방법
KR20160136829A (ko) 2015-05-21 2016-11-30 한국기계연구원 저온 및 저속의 압출공정을 이용한 고강도 마그네슘 합금 압출재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마그네슘 합금 압출재
KR101692261B1 (ko) * 2016-08-16 2017-01-03 에스씨엠주식회사 마그네슘 합금으로 이루어진 양궁핸들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102013012259B3 (de) Aluminium-Werkstoff mit verbesserter Ausscheidungshärtung,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und Verwendung des Aluminium-Werkstoffes
KR101159790B1 (ko) 고연성 및 고인성의 마그네슘 합금 및 이의 제조방법
US10138535B2 (en) Magnesium allo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Heard et al. Metallurgical assessment of a hypereutectic aluminum–silicon P/M alloy
EP2915890A1 (en) Copper alloy and process for manufacturing same
JP6432344B2 (ja) マグネシウム合金及びその製造方法
US10427216B2 (en) Method for producing liquid phase sintered aluminum alloy member, and liquid phase sintered aluminum alloy member
KR20100073476A (ko) 마그네슘 합금에 알루미늄, 칼슘, 희토류원소가 첨가된 고강도 합금
KR20210018155A (ko) 3d 프린팅 또는 적층 제조용 알루미늄 합금, 이를 이용한 3d 프린팅 또는 적층 제조 방법 및 3d 프린팅 또는 적층 제조된, 알루미늄 합금의 제품 또는 부품
KR102373916B1 (ko) 다결정 텅스텐 소결체 및 다결정 텅스텐 합금 소결체 그리고 그것들의 제조 방법
DE112017001307T5 (de) Magnesiumlegierung
KR20170049084A (ko) 고압출성 마그네슘 합금 및 마그네슘 합금의 압출 방법
KR20170049083A (ko) 고열전도 마그네슘 주조 합금 및 그 제조방법
JP2009242883A (ja) 液相焼結アルミニウム合金
KR20100021563A (ko) Mg기 합금
KR102284492B1 (ko) 고강도 난연성 마그네슘 합금 압출재 및 그 제조방법
EP3670691B1 (de) Magnesiumbasislegierun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derselben
JP2016160523A (ja) 銅−モリブデン複合材料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70049082A (ko) 고열전도 마그네슘 주조 합금 및 그 제조방법
JP6649665B2 (ja) マグネシウム合金製造方法、マグネシウム合金圧延材、およびマグネシウム合金成形体
KR20160140238A (ko) 마그네슘 합금판의 제조방법
KR101191438B1 (ko) 석출분산형 고강도 마그네슘 합금
Sugamata et al. Properties of mechanically alloyed P/M composites of Al–Mg2Si–oxide systems
WO2017177244A1 (de) Anode für eine hochdruck-entladungslampe
KR101787550B1 (ko) 마그네슘 합금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