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70591A - 유비쿼터스 기술을 활용한 도서 재배치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유비쿼터스 기술을 활용한 도서 재배치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70591A
KR20100070591A KR1020080129212A KR20080129212A KR20100070591A KR 20100070591 A KR20100070591 A KR 20100070591A KR 1020080129212 A KR1020080129212 A KR 1020080129212A KR 20080129212 A KR20080129212 A KR 20080129212A KR 20100070591 A KR20100070591 A KR 201000705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book
shortest path
location
book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92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69040B1 (ko
Inventor
안재명
Original Assignee
(주)리테일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리테일테크 filed Critical (주)리테일테크
Priority to KR10200801292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9040B1/ko
Publication of KR201000705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05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90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90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 G06K17/0022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arrangements or provisious for transferring data to distant stations, e.g. from a sensing device
    • G06K17/0025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arrangements or provisious for transferring data to distant stations, e.g. from a sensing device the arrangement consisting of a wireless interrogation device in combination with a device for optically marking the record carri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4Forecasting or optimisation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or management purposes, e.g. linear programming or "cutting stock problem"
    • G06Q10/043Optimisation of two dimensional placement, e.g. cutting of clothes or woo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RFID 태그가 삽입된 도서로부터 도서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도서 정보로부터 도서 회수 수단 내에서 자동적으로 도서 배열 순서 정보를 제공하며, 도서가 비치되어야 할 하나 이상의 서가에 대한 배가 위치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도서의 효율적인 재배치 관리가 가능한 유비쿼터스 기술을 활용한 도서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이 개시된다.
배가 위치 정보, 최단 경로, RFID, ESI, 위치 맵

Description

유비쿼터스 기술을 활용한 도서 재배치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AND METHOD FOR RELOCATING BOOKS ON SHELFS USING UBIQUTIOUS TECHNOLOGY}
유비쿼터스 기술을 활용한 도서 재배치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이 개시된다. 특히, 사용자에게 하나 이상의 도서를 하나 이상의 서가에 비치하기 위한 도서를 도서 회수 수단에 정렬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서가로의 최단 경로를 제공하여 하나 이상의 도서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도서 재배치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이 개시된다.
최근 RF(Radio Frequency)를 활용한 관련 기술이 발전하면서, RF를 활용한 기술을 이용한 다양한 관리 시스템이 등장하고 있다. 특히, RFID는 일정한 주파수 대역을 이용해 무선 방식으로 각종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는 기술을 일컫는 것으로서, 마그네틱이나 바코드 등은 이를 인식하기 위해서는 특정 표시가 필요하고, 훼손이나 파손 등으로 시간이 지날수록 인식률이 점차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으나, RFID는 이러한 문제들을 극복할 수 있다.
따라서 RFID는 기존의 바코드 및 마그네틱 카드 시장을 급속히 대체하면서 출입 통제를 비롯해 출퇴근 관리, 물류 관리 및 주차 관리 분야 등 다양한 분야에 서 새로운 솔루션으로 급부상하고 있다.
종래의 도서관 등에서 도서를 관리하는 방법은 사서와 같은 사용자가 반납된 도서를 서가에 비치하기 위해서는 도서 회수 수단에 무작위로 도서를 정렬시키고, 정렬된 도서에 부착된 카테고리 정보를 일일이 보고 분석하여, 해당 서가를 배회하면서 반납된 도서를 카테고리 정보에 대응하여 비치시켜, 인력 및 시간 면에서 비효율적으로 관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최근에 각종 무선 통신 기술의 발전으로 인하여 이를 이용하여 도서를 식별하는 용이성 및 도서 관리 전반에 걸쳐 효율적으로 도서를 관리할 수 있는 연구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RFID 태그가 삽입된 도서로부터 도서 식별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도서 식별 정보로부터 도서 정보 및 배가 위치 정보를 분석하여 도서 회수 수단 내에서 자동적으로 도서 배열 순서 정보를 제공하며, 도서가 비치되어야 할 하나 이상의 서가에 대한 배가 위치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도서의 효율적인 재배치 관리가 가능한 도서 재배치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지그비 기반의 통신을 통해 배가 위치정보 및 선정된 배가 시작 위치 정보로부터 도서가 비치되어야 할 하나 이상의 서가로의 최단 경로 정보를 제공하여 경제적 측면에서 효율적으로 도서를 재배치 관리할 수 있는 도서 재배치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하나 이상의 도서에 대응하는 상기 하나 이상의 도서가 비치되어야 할 하나 이상의 서가를 식별할 수 있는 ESI(Electronic Shelf Information)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이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비쿼터스 기술을 활용한 도서 재배치 관리 시스템은 RFID 태그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도서로부터 상기 RFID 태그에 기반한 도서 식별 정보를 수신하여 도서 정보를 분석하고, 상기 분석된 도서 정보로부터 상기 하나 이상의 도서에 대한 배가 위치 정보를 분석하는 도서 정보 분석부, 상기 배가 위치 정보 및 선정된 배가 시작 위치 정보로부터 상기 하나 이상의 도서에 대 한 하나 이상의 서가로의 최단 경로 정보를 생성하는 최단 경로 분석부, 상기 배가 위치 정보 및 상기 선정된 배가 시작 위치 정보로부터 도서 회수 수단 상에서의 상기 하나 이상의 도서에 대한 도서배열 정보를 분석하는 도서배열정보 분석부, 상기 최단 경로 정보 및 상기 도서배열 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위치 맵(location map)을 생성하여 제공하는 위치 맵 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도서 관리 시스템은 RFID 태그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도서로부터, 상기 RFID 태그에 기반한 도서 식별 정보를 수신하여 도서 정보를 분석하고, 상기 분석된 도서 정보로부터 상기 하나 이상의 도서에 대한 배가 위치 정보를 분석하며, 상기 배가 위치 정보 및 선정된 배가 시작 위치 정보로부터 상기 하나 이상의 도서에 대한 하나 이상의 서가로의 최단 경로 정보 및 도서 회수 수단 상에서의 상기 하나 이상의 도서에 대한 도서배열 정보를 분석 및 생성하여 상기 최단 경로 정보 및 상기 도서배열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위치 맵을 제공하는 도서 재배치 관리부, 및 상기 도서 재배치 관리부로부터 상기 배가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수신된 배가 위치 정보로부터 상기 하나 이상의 도서에 대응하는 상기 하나 이상의 서가에 대한 ESI(Electronic Shelf Information) 정보를 제공하는 ESI 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도서 재배치 관리 방법은 RFID 태그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도서로부터 상기 RFID 태그에 기반한 도서 식별 정보를 수신하여 도서 정보를 분석하는 단계, 상기 분석된 도서 정보로부터 상기 하나 이상의 도서에 대한 배가 위치 정보를 분석하는 단계, 상기 배가 위치 정보 및 선정 된 배가 시작 위치 정보로부터 상기 하나 이상의 도서에 대한 하나 이상의 서가로의 최단 경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배가 위치 정보 및 상기 선정된 배가 시작 위치 정보로부터 도서 회수 수단 상에서의 상기 하나 이상의 도서에 대한 도서배열 정보를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최단 경로 정보 및 상기 도서배열 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위치 맵(location map)을 생성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들에 따르면, RFID 태그가 삽입된 도서로부터 도서 식별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도서 식별 정보로부터 도서 정보 및 배가 위치 정보를 분석하여 도서 회수 수단 내에서 자동적으로 도서 배열 순서 정보를 제공하며, 도서가 비치되어야 할 하나 이상의 서가에 대한 배가 위치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도서의 효율적인 재배치 관리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들에 따르면, 지그비 기반의 통신을 통해 배가 위치정보 및 선정된 배가 시작 위치 정보로부터 도서가 비치되어야 할 하나 이상의 서가로의 최단 경로 정보를 제공하여 효율적으로 도서를 재배치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들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도서에 대응하는 상기 하나 이상의 도서가 비치되어야 할 하나 이상의 서가를 식별할 수 있는 ESI(Electronic Shelf Information)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유비쿼터스 기술을 활용한 도 서 재배치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terminology)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서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한 도서 관리 시스템에서의 하나 이상의 도서에는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태그가 삽입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서 관리 시스템은 도서 재배치 관리부(100) 및 ESI(Electronic Shelf Information) 제공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서 재배치 관리부(100)는 RFID 태그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도서로부터 하나 이상의 도서 식별 정보를 수신하여 분석하고, 상기 분석된 도서 정보로부터 상기 하나 이상의 도서에 대한 배가 위치 정보를 분석한다. 이를 통해, 도서 재배치 관리부(100)는 상기 배가 위치 정보 및 선정된 배가 시작 위치 정보로부터 상기 하나 이상의 도서에 대한 하나 이상의 서가로의 최단 경로 정보 및 도서 회수 수단 상에서의 상기 하나 이상의 도서에 대한 도서배열 정보를 분석 및 생성하여 상기 최단 경로 정보 및 상기 도서배열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위치 맵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도서 회수 수단(160)은 카트(cart) 형태 또는 Book Truck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도서를 서가에 배치하기 위한 이동 수단 및 도서배열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수단이면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ESI 제공부(200)는 도서 재배치 관리부(100)로부터 상기 배가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수신된 배가 위치 정보로부터 상기 하나 이상의 도서에 대응하는 상기 하나 이상의 서가에 대한 ESI(Electronic Shelf Information)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ESI 제공부(200)는 상기 ESI 정보를 기반으로, 도서 재배치 관리부(100)과 지그비(Zigbee) 기반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기반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고, 무선 통신을 통하여 도서 회수 수단(160)으로부터 회수된 하나 이상의 도서가 비치되어야 할 배가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배가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서가에 대한 서가 식별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ESI 제공부(200)는 싱크 노드(Sink node)를 거쳐 도서 재배치 관리부(100)와 지그비 기반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그비(Zigbee) 기반의 통신은 저속 전송 속도를 갖는 홈 오토메이션 및 데이터 네트워크를 위한 표준 기술을 의미하는 것으로 IEEE 802.15.4에서 표준화가 진행되고 있으며, 듀얼 PHY 형태로 주파수 대역은 2.4GHz, 868/915MHz를 사용하고, 모뎀 방식은 직접 시퀀스 확산 스펙트럼(DS-SS)이며, 데이터 전송 속도는 20~250kbps인 통신 방식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서가 식별 정보는 LED를 통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ESI 정보는 상기 하나 이상의 도서가 비치되어야 할 상기 하나 이상의 서가에 대한 서가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잇고, 상기 서가 식별 정보는 상기 하나 이상의 도서가 비치되어야 할 상기 하나 이상의 서가에 대한 위치 정보 또는 상기 도서가 비치되어야 할 상기 하나 이상의 서가에서의 선반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서가 식별 정보는 상기 하나 이상의 서가에 대한 식별 코드를 포함할 수도 있다.
ESI 제공부(200)는 도서 재배치 관리부(100)로부터 수신된 배가 위치 정보를 로부터, 도서 회수 수단(160)에 배열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도서가 특정 서가에 비치되어야 할 도서임을 판단한 후, 하나 이상의 도서가 비치될 특정 서가에 대한 식별 정보를 디스플레이 한다.
예를 들면, ESI 제공부(200)는 도서 회수 수단(160)이 하나 이상의 도사가 비치될 특정 서가에 접근한다고 가정하면, 도서 회수 수단(160)에 배열되어 있는 상기 하나 이상의 도서가 상기 특정 서가에 비치되어야 할 도서임을 나타내는 서가 식별 정보를 LED를 통해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상기 서가 식별 정보는 순차적인(Sequential) 식별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상기 서가 식별 정보는 바코드, 청구기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ESI 제공부(200)는 도서 회수 수단(160)이 상기 특정 서가에 접근하면 LED를 온(on)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상기 특정 서가가 상기 하나 이상의 도서가 비치되어야 할 서가임을 알릴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ESI 제공부(200)는 하나 이상의 서가에 비치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도서에 대한 분류 코드 정보 및 지그비 기반의 통신을 위한 어드레스(address) 정보 또는 작업 일자 정보 등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기 작업 일자 정보는 도서 재고 조사일 또는 상기 서가에 비치된 도서의 오배열 여부 조사일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ESI 제공부(200)는 소정의 관리 서버(도시 되지 아니함)로부터 하나 이상의 도서에 대한 분류 코드 정보 등을 수신할 수 있고, 도서 재배치 관리부(100)와 지그비 기반의 통신을 통하여 상기 작업 일자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서 재배치 관리부의 구성을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서 재배치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서 재배치 관리 시스템(100)은 도서 정보 분석부(110), 최단 경로 분석부(120), 도서배열정보 분석부(130), 및 위치 맵 제공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서 정보 분석부(110)는 RFID 태그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도서로부터 상기 RFID 태그에 기반한 도서 식별 정보를 수신하여 도서 정보를 분석할 수 있다. 또한, 도서 정보 분석부(110)는 상기 분석된 도서 정보로부터 상기 하나 이상의 도서에 대한 배가 위치 정보를 분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최단 경로 분석부(120)는 상기 분석된 배가 위치 정보 및 선정된 배가 시작 위치 정보로부터 상기 하나 이상의 서가로의 최단 경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선정된 배가 시작 위치 정보는 상기 도서 회수 수단이 위치하는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서배열정보 분석부(130)는 상기 분석된 도서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상기 배가 위치 정보 및 상기 선정된 배가 시작 위치 정보로부터 도서 회수 수단 상에서의 상기 하나 이상의 도서에 대한 도서배열 정보를 분석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도서배열정보 분석부(130)는 상기 도서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도서 카테고리 정보에 따라 상기 도서배열 정보를 분석하여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최단 경로 분석부(120)는 도서배열정보 분석부(130)로부터 상기 도서배열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최단 경로 정보를 분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최단 경로 분석부(120)는 상기 선정된 배가 시작 위치 정보로부터 상기 배가 위치 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서가로의 상기 최단 경로 정보를 분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서배열정보 분석부(130)는 최단 경로 분 석부(120)로부터 상기 최단 경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최단 경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도서배열 정보를 분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서배열정보 분석부(130)를 통하여 분석된 상기 도서배열 정보는 상기 도서 정보 및 배가 순서 정보가 설정된 자료구조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서배열정보 분석부(130)는 상기 자료구조 정보에 기 설정된 도서 정보와 추가 설정되는 도서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배가 순서 정보를 재분석하고, 상기 추가 설정되는 도서 정보 및 상기 재분석된 배가 순서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도서배열 정보를 재생성할 수 있다. 또한, 최단 경로 분석부(120)는 상기 재생성된 도서배열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최단 경로 정보를 재생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위치 맵 제공부(140)는 상기 최단 경로 정보 및 상기 도서배열 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위치 맵(location map)을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위치 맵 제공부(140)는 상기 도서배열 정보, 상기 배가 위치 정보, 및 상기 최단 경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위치 맵(location map)을 생성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위치 맵은 상기 도서 회수 수단이 이동 가능한 경로 정보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서가에 대한 서가 정보를 위치 플래그(location flag) 기반으로 형성된 경로 좌표계(path coordinates)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위치 맵을 통한 최단 경로 정보의 생성 과정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위치 맵을 통한 최단 경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도록 도서 재배치 관리 시스템을 통하여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서배열 정보는 도서 정보 및 배가 순서 정보가 설정된 자료구조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도서배열정보 분석부(130)는 상기 자료구조 정보에 기 설정된 도서 정보와 추가 설정되는 도서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배가 순서 정보를 재분석하고, 상기 추가 설정되는 도서 정보 및 상기 재분석된 배가 순서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도서배열 정보를 재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최단 경로 분석부는 상기 재생성된 도서배열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최단 경로 정보를 재생성할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6d를 참고하면, 도서 재배치 관리 시스템(100)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RFID 태그를 통하여 식별된 도서 리스트(610)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도서 리스트(610)에 리스팅(listing)된 도서 목록은 도서배열 정보에 대응할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6d 에서 하이라이트되어 리스팅되는 목록은 RFID 태그를 통한 추가 입력되는 도서 정보를 식별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또한, 도서 재배치 관리 시스템(100)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사용자로부터 RFID 태그를 통하여 서가에 비치가 필요한 도서에 대한 선택 입력 정보 를 수신하면, 도서 정보 및 배가 순서 정보를 고려하여, 식별된 도서들에 대해서 기 설정된 도서 정보와 추가 입력되는 도서 정보를 비교하여 배가 순서 정보를 재분석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추가 설정되는 도서 정보 및 재분석된 배가 순서 정보를 포함하는 도서배열 정보를 재생성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위치 맵을 통한 최단 경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도록 도서 재배치 관리 시스템을 통하여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도서 재배치 관리 시스템(100)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RFID 태그를 통하여 식별된 도서 리스트(710)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도서 리스트(710)에 리스팅(listing)된 도서 목록은 도서배열 정보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서 재배치 관리 시스템(100)은 하나 이상의 서가에 비치할 도서에 대한 선택 입력을 위한 소정의 선택 버튼(720)과 선택된 도서를 해제할 수 있는 해제 버튼(730)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선택 버튼(720)을 통하여 상기 사용자로부터 서가에 비치가 필요한 도서에 대한 선택 입력 정보를 수신하면, 도서 정보 및 배가 순서 정보가 설정된 자료구조 정보라 할 도서 큐 리스트(740)에 선택 입력된 도서가 리스팅 된다. 이는 상기 도서배열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도서 정보가 도서배열 정보(자료구조 정보)에 설정되는 과정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해제 버튼(730)을 통하여 도서배열 정보에 대응하는 도서 큐 리스트(740)에 리스팅된 도서를 해제하 는 해제 입력 정보를 수신하면, 도서 큐 리스트(740)에 리스팅되었던 도서는 도서 리스트(710)로 제거될 수 있다. 이는 도서배열 정보(자료구조 정보)에 설정되었던 도서 정보를 해제하는 과정일 수 있고, 도서 큐 리스트(740)에 리스팅되는 도서 목록은 재생성된 도서배열 정보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도서 재배치 관리 시스템(100)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최단 경로를 제공할 수 있는 최단 경로 생성 버튼(750)을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로부터 최단 경로 생성에 대한 선택 입력을 수신하면, 도서 큐 리스트(740)에 리스팅된 도서에 대한 하나 이상의 서가로의 최단 이동 경로 정보를 생성한다. 이는 재생성된 도서배열 정보에 대응하는 최단 경로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일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서배열 정보는 도서 정보 및 배가 순서 정보가 설정된 자료구조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도서배열정보 분석부(130)는 상기 자료구조 정보에 기 설정된 도서 정보와 추가 설정되는 도서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배가 순서 정보를 재분석하고, 상기 추가 설정되는 도서 정보 및 상기 재분석된 배가 순서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도서배열 정보를 재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최단 경로 분석부(120)는 상기 재생성된 도서배열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최단 경로 정보를 재생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최단 경로 분석부(120)는 도서 회수 수 단(160)에 대응하는 선정된 배치 시작 위치 정보로부터 상기 배가 위치 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서가로까지의 상기 최단 경로 정보를 분석할 수 있고, 상기 선정된 배가 시작 위치 정보는 도서 회수 수단(160)이 위치하는 위치 정보이거나 임의로 설정된 특정 위치에 대한 특정 위치 정보 일 수 있다.
위치 맵 제공부(140)는 상기 최단 경로 정보 및 상기 도서배열 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위치 맵(location map)을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위치 맵 제공부(140)는 상기 도서배열 정보, 상기 배가 위치 정보, 및 상기 최단 경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위치 맵(location map)을 생성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서 재배치 관리 시스템(100)은 사용자가 회수된 하나 이상의 도서가 비치되어야 할 하나 이상의 서가의 위치를 잘못 판단하여, 상기 회수된 도서가 비치되어야 할 서가가 아닌, 다른 장소로 이동하는 경우, 도서 재배치 관리 시스템(100)은 상기 사용자의 이동 경로가 잘못된 위치 임을 판단하여 이를 알리는 알림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위치 맵은 상기 도서 회수 수단이 이동 가능한 경로 정보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서가에 대한 서가 정보를 위치 플래그(location flag) 기반으로 형성된 경로 좌표계(path coordinates)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위치 맵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a 및 도 3b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위치 맵(location)을 통하여 도서 재배치 관리 시스템에서 제공되는 최단 경로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3a를 참고하면, 상기 위치 맵은 도서가 배치되어 관리되어야 할 서가가 위치하는 서가 맵(shelf map, 310)을 포함할 수 있다. 서가 맵(310)은 상기 하나 이상의 서가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서가 정보를 반영한 맵일 수 있고, 상기 서가 정보는 서가를 식별하기 위한 서가 식별 정보 및 상기 도서가 배치될 수 있는 카테고리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a 에서의 '1F01' 내지 '1F09'는 서가 맵(310)에서의 서가를 식별하기 위해 편의상 도시한 것이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는 상기 위치 맵은 생성된 서가 맵(310)을 기반으로 선정된 배가 시작 위치(310)로부터 도서 회수 수단이 이동 가능한 경로 정보(330)를 포함할 수도 있다.
즉, 상기 위치 맵은 상기 위치 맵에 선정된 배가 시작 위치(320), 서가 위치 정보가 반영된 서가 맵(310), 및 생성된 서가 맵(310)을 기반으로 상기 도서 회수 수단이 이동 가능한 경로 정보(330)를 맵핑 시켜 생성될 수 있다.
또한, 도 3b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위치 맵은 상기 도서 회수 수단이 이동 가능한 경로 정보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서가에 대한 서가 정보를 위치 플래그(location flag) 기반으로 형성된 경로 좌표계(path coordinates)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도 3b에서의 서가 맵 및 경로 정보가 맵핑된 위치 맵 상에서, 각각의 작은 사각형들과 상기 작은 사각형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큰 사각형은 경로 좌표계를 의미할 수 있고, 상기 경로 좌표계는 도서 회수 수단이 이동 가 능한 경로에 대한 경로 정보와 하나 이상의 서가의 위치에 대한 서가 정보에 대한 위치 플래그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위치 플래그는 상기 이동 가능한 경로 정보에 대한 도서 회수 수단 및 상기 서가 정보에 대한 서가의 위치와의 최단 인접 거리를 고려하여 형성될 수 있다.
도 3b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위치 맵은 이동 가능한 경로 정보에 대응하는 제1 상태의 위치 플래그를 포함하는 경로 좌표계로 구성된 위치 맵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위치 맵 제공부(140)는 도서배열 정보, 배가 위치 정보 및 최단 경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반영되지 아니한 최초 상태일 경우에, 도서 회수 수단이 이동가능 하지 않는 경로에 대해서는 제1 상태의 위치 플래그는 '0' 으로 표시될 수 있고, 상기 도서 회수 수단이 이동 가능한 경로 정보일 경우에는 제1 상태의 위치 플래그는 "1"로 표시하여 위치 맵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위치 맺은 상기 최단 경로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상태의 위치 플래그를 제2 상태의 위치 플래그로 반전한 상기 경로 좌표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위치 맵 제공부(140)는 최단 경로 분석부(120)로부터 최단 경로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에는, 상기 수신한 최단 경로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경로 좌표계 상의 제1 상태의 위치 플래그를 제2 상태의 위치 플래그로 반전함으로써, 상기 최단 경로 정보에 대응하는 제2 상태의 위치 플래그를 포함하는 위치 맵을 생성할 수 있다.
도 3b을 참조하면, 제2 상태의 위치 플래그는 반전된 '1' 로 표시될 수 있다. 즉, 최단 경로 정보를 포함하는 위치 맵은 제2 상태의 위치 플래그가 '1' 로 반전되어 표시될 수 있는 경로 좌표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위치 맵은 상기 배가 위치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상태의 위치 플래그를 제3 상태의 위치 플래그로 반전한 상기 경로 좌표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위치 맵 제공부(140)는 도서 정보 분석부(110)로부터 배가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에는, 상기 수신한 배가 위치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경로 좌표계 상의 제1 상태의 위치 플래그를 제3 상태의 위치 플래그로 반전된 경로 좌표계를 포함하는 위치 맵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도 3b을 참조하면, 제3 상태의 위치 플래그는 반전된 '1' 과 도서 식별 정보가 병기되어 표시될 수 있다. 즉, 배가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위치 맵은, 제3 상태(330)의 위치 플래그가 '1' 로 반전되어 표시될 수 있고, '1'로 반전되어 표시된 제3 상태(330)의 위치 플래그는 도서 식별 정보('a', 'b', 'c', 'd')가 적용(병기)되어 표시될 수 있는 경로 좌표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서 재배치 관리 시스템(100)은 상기 하나 이상의 도서의 상기 RFID 태그를 스캔(scan)하고, 상기 스캔된 RFID 태그로부터 획득된 상기 도서 식별 정보를 도서 정보 분석부(110)로 전송하는 도서 식별 정보 획득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서 식별 정보 획득부(150)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폰(smart phone), 핸드헬드(handheld) PC, 핸드폰, MP3 플레이어,RFID 리더 등과 같이 CDMA(code division multiplexing access) 모듈, 블루투스 모듈, 적외선 통신 모듈(IrDA), 유무선 랜카드와 같은 소정의 통신 모듈을 구비할 수 있으며, 소정의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탑재함으로써 소정의 연산 능력을 갖춘 단말기를 통칭하는 개념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서 재배치 관리 시스템(100)은 상기 도서 정보, 상기 배가 위치 정보, 상기 선정된 배가 시작 위치 정보, 상기 도서배열 정보, 및 상기 최단 경로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는 정보 관리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a 내지 4j를 참조하여 정보 관리부(170)를 통하여 저장되어 유지되는 데이터베이스 구조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a 내지 4j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보 관리부를 통하여 저장되어 유지되는 데이터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4a 는 RFID 태그를 스캔하여 분석된 도서 정보에 대응하는 데이터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서에 대한 식별 정보(BookId), 바코드 정보(Barcode), 도서명 정보(Title), 대출 상태 정보(Status), 상기 도서가 배치되어야 할 서가의 선반 식별 정보(ShelfID), 경로 좌표계 상의 위치 정보(X, Y)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도 4b 는 도서의 카테고리 정보에 대응하는 데이터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서, 카테고리명(Name), 카테고리 정보(Category), 서브 클래스 정보(Subclass)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도 4c 는 도서가 배치되어야 할 서가에 대한 데이터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서, 선반 식별 정보(ShelfId), 선반명 정보(ShelfName)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도 4d 는 선반 내에서의 층(layer) 정보에 데이터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서, 층 식별 정보(LayerId), 관련된 서가의 선반 식별 정보(ShelfId)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도 4e 는 ESI 정보에 대한 데이터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서, ESI 제공부의 식별 정보(ESIId), ESI 제공부가 위치하는 선반 내의 층에 대한 층 식별 정보(LayerId)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도 4f 는 도서의 ESI 정보에 대한 데이터 구조를 도시한 것이고, 도 4g 는 도서관 정보에 대한 데이터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4h 는 위치 맵의 경로 좌표계 상에서의 위치 정보에 대한 데이터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서, 가로축에 대한 정보(X), 세로축에 대한 정보(Y)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도 3의 경우 도서 a 는 (2,4), 도서 b 는 (5,4) , 도서 c는 (5,1) ,도서 d는 (3,1)의 형태로서 저장될 수 있다.
도 4i 는 이동가능 경로 정보를 포함하는 위치 맵의 정보에 대한 데이터 구조이고, 도 4j 는 위치 맵 상에서의 배가 위치 정보에 대한 데이터 구조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서 재배치 관리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서 재배치 관리 방법은 RFID 태그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도서로부터 상기 RFID 태그에 기반한 도서 식별 정보 를 수신하여 도서 정보를 분석할 수 있다(S410).
또한, 단계 (S410)은 상기 RFID 리더를 통하여 상기 RFID 태그를 스캔하여 상기 도서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서 재배치 관리 방법은 상기 분석된 도서 정보로부터 상기 하나 이상의 도서에 대한 배가 위치 정보를 분석할 수 있다(S420).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서 재배치 관리 방법은 상기 배가 위치 정보 및 선정된 배가 시작 위치 정보로부터 상기 하나 이상의 도서에 대한 하나 이상의 서가로의 최단 경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S430).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서 재배치 관리 방법은 상기 배가 위치 정보 및 상기 선정된 배가 시작 위치 정보로부터 도서 회수 수단 상에서의 상기 하나 이상의 도서에 대한 도서배열 정보를 분석할 수 있다(S440).
또한, 단계 (S440)는 상기 도서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도서 카테고리 정보에 따라 상기 도서배열 정보를 분석하여 생성하는 단계일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서 재배치 관리 방법은 상기 최단 경로 정보 및 상기 도서배열 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위치 맵(location map)을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S450).
본 발명에 따른 유비쿼터스 기술을 활용한 도서 재배치 관리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 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 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상기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구조 등을 지정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반송파를 포함하는 광 또는 금속선, 도파관 등의 전송 매체일 수도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계층으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서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서 재배치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a 및 도 3b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위치 맵(location)을 통하여 도서 재배치 관리 시스템에서 제공되는 최단 경로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4a 내지 4j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보 관리부를 통하여 저장되어 유지되는 데이터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서 재배치 관리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a 내지 도 6d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위치 맵을 통한 최단 경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도록 도서 재배치 관리 시스템을 통하여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위치 맵을 통한 최단 경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도록 도서 재배치 관리 시스템을 통하여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도시한 것이다.

Claims (22)

  1. RFID 태그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도서로부터 상기 RFID 태그에 기반한 도서 식별 정보를 수신하여 도서 정보를 분석하고, 상기 분석된 도서 정보로부터 상기 하나 이상의 도서에 대한 배가 위치 정보를 분석하는 도서 정보 분석부;
    상기 배가 위치 정보 및 선정된 배가 시작 위치 정보로부터 상기 하나 이상의 도서에 대한 하나 이상의 서가로의 최단 경로 정보를 생성하는 최단 경로 분석부;
    상기 배가 위치 정보 및 상기 선정된 배가 시작 위치 정보로부터 도서 회수 수단 상에서의 상기 하나 이상의 도서에 대한 도서배열 정보를 분석하는 도서배열정보 분석부; 및
    상기 최단 경로 정보 및 상기 도서배열 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위치 맵(location map)을 생성하여 제공하는 위치 맵 제공부
    를 포함하는 도서 재배치 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
    상기 도서 재배치 관리 시스템은
    상기 하나 이상의 도서의 상기 RFID 태그를 스캔(scan)하고, 상기 스캔된 RFID 태그로부터 획득된 상기 도서 식별 정보를 상기 도서 정보 분석부로 전송하는 도서 식별 정보 획득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서 재배치 관리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서배열정보 분석부는 상기 도서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도서 카테고리 정보에 따라 상기 도서배열 정보를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서 재배치 관리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최단 경로 분석부는 상기 도서배열정보 분석부로부터 상기 도서배열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최단 경로 정보를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서 재배치 관리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최단 경로 분석부는
    상기 선정된 배가 시작 위치 정보로부터 상기 배가 위치 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서가로의 상기 최단 경로 정보를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서 재배치 관리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서배열정보 분석부는 상기 최단 경로 분석부로부터 상기 최단 경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최단 경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도서배열 정보를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서 재배치 관리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서 재배치 관리 시스템은
    상기 도서 정보, 상기 배가 위치 정보, 상기 선정된 배가 시작 위치 정보, 상기 도서배열 정보, 및 상기 최단 경로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는 정보 관리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서 재배치 관리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최단 경로 분석부는 상기 정보 관리부로부터 상기 배가 위치 정보, 상기 선정된 배가 시작 위치 정보, 및 상기 도서배열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최단 경로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정보 관리부는 상기 최단 경로 분석부로부터 상기 최단 경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저장된 최단 경로 정보를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서 재배치 관리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서배열 정보는
    상기 도서 정보 및 배가 순서 정보가 설정된 자료구조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서 재배치 관리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도서배열정보 분석부는
    상기 자료구조 정보에 기 설정된 도서 정보와 추가 설정되는 도서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배가 순서 정보를 재분석하고, 상기 추가 설정되는 도서 정보 및 상기 재분석된 배가 순서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도서배열 정보를 재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서 재배치 관리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최단 경로 분석부는
    상기 재생성된 도서배열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최단 경로 정보를 재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서 재배치 관리 시스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정된 배가 시작 위치 정보는 상기 도서 회수 수단이 위치하는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서 재배치 관리 시스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맵은 상기 도서 회수 수단이 이동 가능한 경로 정보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서가에 대한 서가 정보를 위치 플래그(location flag) 기반으로 형성된 경로 좌표계(path coordinates)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서 재배치 관리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 좌표계는
    상기 이동 가능한 경로 정보에 대응하는 제1 상태의 위치 플래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서 재배치 관리 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맵은,
    상기 최단 경로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상태의 위치 플래그를 제2 상태의 위치 플래그로 반전한 상기 경로 좌표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서 재배치 관리 시스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맵은,
    상기 도서 배열 정보 및 상기 배가 위치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상태의 위치 플래그를 제3 상태의 위치 플래그로 반전한 상기 경로 좌표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서 재배치 관리 시스템.
  17. RFID 태그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도서로부터, 상기 RFID 태그에 기반한 도서 식별 정보를 수신하여 도서 정보를 분석하고, 상기 분석된 도서 정보로부터 상기 하나 이상의 도서에 대한 배가 위치 정보를 분석하며, 상기 배가 위치 정보 및 선정된 배가 시작 위치 정보로부터 상기 하나 이상의 도서에 대한 하나 이상의 서가로의 최단 경로 정보 및 도서 회수 수단 상에서의 상기 하나 이상의 도서에 대한 도서배열 정보를 분석 및 생성하여 상기 최단 경로 정보 및 상기 도서배열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위치 맵을 제공하는 도서 재배치 관리부; 및
    상기 도서 재배치 관리부로부터 상기 배가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수신된 배가 위치 정보로부터 상기 하나 이상의 도서에 대응하는 상기 하나 이상의 서가에 대한 ESI(Electronic Shelf Information) 정보를 제공하는 ESI 제공부
    를 포함하는 도서 관리 시스템.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ESI 정보는 상기 하나 이상의 도서가 비치되어야 할 상기 하나 이상의 서가에 대한 서가 식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서가 식별 정보는 상기 하나 이상의 서가에 대한 식별 코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서 관리 시스템.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ESI 제공부는 상기 도서 재배치 관리부와 무선 통신 기반으로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서 관리 시스템.
  20. RFID 태그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도서로부터 상기 RFID 태그에 기반한 도서 식별 정보를 수신하여 도서 정보를 분석하는 단계;
    상기 분석된 도서 정보로부터 상기 하나 이상의 도서에 대한 배가 위치 정보를 분석하는 단계;
    상기 배가 위치 정보 및 선정된 배가 시작 위치 정보로부터 상기 하나 이상의 도서에 대한 하나 이상의 서가로의 최단 경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배가 위치 정보 및 상기 선정된 배가 시작 위치 정보로부터 도서 회수 수단 상에서의 상기 하나 이상의 도서에 대한 도서배열 정보를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최단 경로 정보 및 상기 도서배열 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위치 맵(location map)을 생성하여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서 관리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RFID 태그에 기반한 도서 식별 정보를 수신하여 도서 정보를 분석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RFID 태그를 스캔하여 상기 도서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서 관리 방법.
  22. 제20항 및 제21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KR1020080129212A 2008-12-18 2008-12-18 유비쿼터스 기술을 활용한 도서 재배치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0690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9212A KR101069040B1 (ko) 2008-12-18 2008-12-18 유비쿼터스 기술을 활용한 도서 재배치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9212A KR101069040B1 (ko) 2008-12-18 2008-12-18 유비쿼터스 기술을 활용한 도서 재배치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0591A true KR20100070591A (ko) 2010-06-28
KR101069040B1 KR101069040B1 (ko) 2011-09-29

Family

ID=423683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9212A KR101069040B1 (ko) 2008-12-18 2008-12-18 유비쿼터스 기술을 활용한 도서 재배치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904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2439B1 (ko) * 2016-06-07 2017-01-03 주식회사 미래엔 보유 도서 기반 중고 거래 지원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180124527A (ko) * 2017-05-12 2018-11-21 이세희 정리 및 검색이 용이한 매핑 실내지도를 이용한 기록물 서고 관리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55103A (ja) * 2001-11-19 2003-05-27 Nec Infrontia Corp 図書検索方法および装置
JP2003182820A (ja) 2001-12-12 2003-07-03 Mitsubishi Electric Corp 書籍および文書ファイルロケーション自動探索装置
KR20070102040A (ko) * 2006-04-13 2007-10-18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내비게이션 시스템과 무선주파수식별 시스템을 이용한 쇼핑도우미 시스템 및 방법
KR100931246B1 (ko) * 2007-08-17 2009-12-11 주식회사 이엠따블유안테나 알에프아이디를 이용한 도서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2439B1 (ko) * 2016-06-07 2017-01-03 주식회사 미래엔 보유 도서 기반 중고 거래 지원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180124527A (ko) * 2017-05-12 2018-11-21 이세희 정리 및 검색이 용이한 매핑 실내지도를 이용한 기록물 서고 관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69040B1 (ko) 2011-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9093B1 (ko) 유비쿼터스 도서 관리 시스템
US20150189067A1 (en) System for Data Card Emulation
CN1969573A (zh) 对通过无线数据通信链路获得的信息进行自动应用程序选择处理
WO2005081183A1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automated context information based selective data provision by identification means
CN109040461A (zh) 一种基于对象识别的业务处理方法和装置
CN103136608A (zh) 智能书架管理方法及系统
RU2006130300A (ru) Устройство записи данных, способ и программа для запоминающего устройства портативного терминала
CN103390149A (zh) 一种图书馆书籍快速搜索定位系统
US7175082B2 (en) Contactless data communication system, position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contactless identification tag, data communication system, contactless identification tag control program, and data communication system control program
CN202662037U (zh) 图书快速检索系统
KR20060088481A (ko) 무선 주파수 식별 태그, 무선 주파수 식별 태그를 이용한물품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2253945A (zh) 掌上物品管理器
KR101069040B1 (ko) 유비쿼터스 기술을 활용한 도서 재배치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5228146A (ja) 書籍管理方法および書籍管理システム
CN101010678B (zh) 用于查找对象的方法、读取器和系统
JP2001114405A (ja) 物品探索支援システム
FR2869437A1 (fr) Dispositif de lecture/ecriture pour un porteur d'information ses procedes et appareils associes
US8198987B2 (en) Radio tag reading device and radio tag recognition method using the device
EP3489870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llecting and/or retrieving information relating to objects
CN206133811U (zh) 一种基于rfid技术的自助图书借还系统
US20180285607A1 (en) Tracking of assets
KR20120128864A (ko) 근접장통신 알에프아이디 리더가 장착된 스마트폰 기반 물품관리시스템
CN103049719A (zh) 射频识别系统中读取大规模标签的系统及方法
WO2014115216A1 (ja) 物品検索システム、ハンディーターミナル、及び物品検索方法
KR102192682B1 (ko) 초근접 직접통신 기반 nfc 리더를 이용한 문서 및 물품 수납장 및 이를 이용한 문서 및 물품 수납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