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70453A - 웨빙 롤러 - Google Patents

웨빙 롤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70453A
KR20100070453A KR1020080128999A KR20080128999A KR20100070453A KR 20100070453 A KR20100070453 A KR 20100070453A KR 1020080128999 A KR1020080128999 A KR 1020080128999A KR 20080128999 A KR20080128999 A KR 20080128999A KR 20100070453 A KR20100070453 A KR 201000704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bbing
roller
stator
webbing roller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89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88551B1 (ko
Inventor
백지숙
Original Assignee
백지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지숙 filed Critical 백지숙
Priority to KR10200801289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8551B1/ko
Priority to US12/465,856 priority patent/US20100155521A1/en
Publication of KR201000704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04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85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85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04Kinds or types
    • B65H75/06Flat cores, e.g. card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30Straps; Band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0Travelling or camp articles;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4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by means of two straps passing over the two should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0Travelling or camp articles;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4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by means of two straps passing over the two shoulders
    • A45F3/047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by means of two straps passing over the two shoulders with adjustable fastenings for the shoulder straps or waist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18Constructional details
    • B65H75/28Arrangements for positively securing ends of material
    • B65H75/285Holding devices to prevent the wound material from unwinding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0Travelling or camp articles;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2003/001Accessories

Landscapes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웨빙 롤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방, 배낭 또는 아기띠 등의 사용자가 자기 몸에 맞도록 웨빙을 조절한 후 남게 되는 여분의 웨빙을 깔끔하게 정리할 수 있도록 하는 웨빙 롤러에 관한 것이다.
웨빙의 길이를 단순히 가방 등의 버클 부재 등으로 조절할 경우 조절되고 남게 되는 여분의 웨빙이 사용자의 신체 주변으로 늘어나게 되고, 이로 인한 미관상 보기가 안 좋으며 정돈하기가 쉽지 않아 버클 부재 등을 이용하여 길이 조절시 웨빙이 급격히 그 길이가 변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웨빙을 조절한 후 남게 되는 여분의 웨빙을 깔끔하게 정리하여 사용자의 신체부위나 가방, 배낭 등의 외관미 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조절되고 남은 여분의 웨빙과 결합하는 웨빙 롤러(100)에 있어서, 한 쌍의 웨빙 롤러 몸체(190), 상기 한 쌍의 웨빙 롤러 몸체(190)의 일측에 형성되며 고정자(200)와 결합하는 개구부(110), 상기 한 쌍의 웨빙 롤러 몸체(190)의 타측에 형성되며 고정자(200)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 돌기(120)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빙 롤러(100)를 제공하여 웨빙을 조절한 후 남게 되는 여분의 웨빙을 깔끔하게 정리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여분의 웨빙이 간편하게 정리됨으로써 늘어진 웨빙으로 인하여 주위의 눈살을 찌푸리게 하거나 외관미가 저하되는 것 을 미리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버클 부재 등을 이용하여 웨빙의 길이를 조절시 급격히 그 길이가 변할 수 있는 문제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웨빙, 웨빙 롤러, 고정자, 배낭, 가방, 버클 부재

Description

웨빙 롤러{Webbing roller}
본 발명은 웨빙 정리용 롤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방, 배낭 또는 아기띠 등의 사용자가 자기 몸에 맞도록 웨빙을 조절한 후 남게 되는 여분의 웨빙을 깔끔하게 정리할 수 있도록 하는 웨빙 롤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방, 배낭 및 아기띠에는 사용자의 편리를 위한 웨빙이 부착되어 있다.
웨빙(webbing)이란 소폭 직물로서 쉽게 말하면 자동차 안전밸트, 가방끈, 안전모자 안의 턱끈, 개목걸이 줄, 의류, 가방, 신발 등에 쓰이는 부자재로서 우리 생활에 밀접하게 쓰이는 각종 끈을 말한다.
웨빙은 가방 및 배낭 등에 일체형으로 부착되어 길이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도 있으며,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따라 그 길이를 자유로이 조절할 수 있도록 버클 부재 등의 요소로 이루어진 조절장치를 웨빙에 장착하여 웨빙의 길이를 조절해 사용하고 있다.
즉, 사용자가 가방 및 배낭 등을 어깨에 메거나 손으로 잡고 휴대하는 과정 에서 그 길이가 길어 휴대에 불편함을 느낄 경우 버클 부재 등을 이용하여 웨빙의 길이를 조절한 후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도 1을 참고로 설명하면, 여분으로 남아 있는 웨빙(10)이 기다랗게 노출된 상태로 남아 있게 되어 미관상 좋지 않고, 정돈하기가 쉽지 않으며, 버클 부재 등을 이용하여 웨빙의 길이 조절시 급격히 웨빙 길이가 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웨빙의 끝 단부에 밸크로(찍찍이) 테이프 등을 봉제하여 웨빙을 말아 감은 상태에서 밸크로 테이프의 양단부를 이용하여 웨빙을 접착 고정하는 방법을 사용하고는 있으나 장시간 사용시 밸크로 테이프의 가장자리 부분이 떨어져 주변의 미관을 해치는 경우가 발생하고, 장시간 사용시 밸크로 테이프의 접착력이 감소하여 웨빙의 고정이 힘든 경우가 발생한다. 또한 밸크로 테이프가 옷감 등에 달라붙어 옷감 등이 상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 등이 있다.
그러나, 웨빙의 길이를 단순히 가방 등의 버클 부재 등으로 조절할 경우 조절되고 남게 되는 여분의 웨빙이 사용자의 신체 주변으로 늘어나게 되고, 이로 인한 미관상 보기가 안 좋으며 정돈하기가 쉽지 않아 버클 부재 등을 이용하여 길이 조절시 웨빙이 급격히 그 길이가 변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웨빙을 조절한 후 남게 되는 여분의 웨빙을 깔끔하게 정리하여 사용자의 신체부위나 가방, 배낭 등의 외관미 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조절되고 남은 여분의 웨빙과 결합하는 웨빙 롤러(100)에 있어서, 한 쌍의 웨빙 롤러 몸체(190), 상기 웨빙 롤러 몸체(190)의 일측에 형성되며 고정자(200)와 결합하는 개구부(110), 상기 웨빙 롤러 몸체(190)의 타측에 형성되며 고정자(200)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 돌기(120)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빙 롤러를 제공하여 웨빙을 조절한 후 남게 되는 여분의 웨빙을 깔끔하게 정리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여분의 웨빙이 간편하게 정리됨으로 써, 늘어진 웨빙으로 인하여 주위의 눈살을 찌푸리게 하거나 외관미가 저하되는 것을 미리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버클 부재 등을 이용하여 웨빙의 길이를 조절시 급격히 그 길이가 변할 수 있는 문제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조절되고 남은 여분의 웨빙과 결합하는 웨빙 롤러(100)에 있어서, 한 쌍의 웨빙 롤러 몸체(190), 상기 웨빙 롤러 몸체(190)의 일측에 형성되며 고정자(200)와 결합하는 개구부(110), 상기 웨빙 롤러 몸체(190)의 타측에 형성되며 고정자(200)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 돌기(120)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빙 롤러로 구성되어 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 웨빙 롤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있어서, 고정자가 결합된 상태의 웨빙 롤러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있어서, 웨빙 롤러의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예를 나타낸 것으로, 조절되고 남은 여분의 웨빙과 결합된 웨빙 롤러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6은 웨빙 롤러를 이용하여 웨빙을 정리한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웨빙 롤러를 배낭에 적용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 2는 본 발명의 전체적인 구성을 사시도로 나타낸 것으로, 조절되고 남은 여분의 웨빙과 결합하는 웨빙 롤러(100)를 나타낸 것이며, 도 3은 고정자(200)가 결합된 웨빙 롤러(100)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와 같은 도 2와 도 3를 살펴보면, 조절되고 남은 여분의 웨빙과 결합하는 웨빙 롤러(100)는 웨빙 롤러의 중앙에 평행한 한 쌍의 웨빙 롤러 몸체(19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웨빙 롤러 몸체(190)의 일 측에는 고정자(200)와 결합하는 개구부(110)가 형성되며, 상기 웨빙 롤러 몸체(190)의 타 측에는 고정자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 돌기(12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웨빙 롤러 몸체(190) 사이에는 웨빙 개구부(13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웨빙 개구부(130)를 통하여 웨빙 롤러(100)는 웨빙 단부와 봉제하여 결합된다. 상기 웨빙 롤러 몸체(190)에는 웨빙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요철이 형성될 수도 있다. 조절되고 남은 여분의 웨빙의 단부를 상기 웨빙 개구부(130)를 통하여 웨빙 롤러 몸체(190)에 고정하며 웨빙 롤러(100)를 회전시켜 웨빙을 웨빙 롤러(100)에 감는다.
웨빙 롤러 몸체(190)의 일 측에는 개구부(11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개구부(110)를 통하여 여분의 웨빙을 고정시켜주는 고정자(200)와 결합된다. 상기 개구부(110)는 하나 또는 두 개 이상일 수 있다.
상기 개구부(110)는 고정자(200)가 충분히 결합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며 비교적 타원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개구부(110)에서 웨빙 롤러(100)의 가운데 방향으로 제 1 둔턱(140)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1 둔턱 의 상, 하측에는 제 1 날개(150)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1 둔턱(140)은 고정자(200)의 탄성을 유지하여 웨빙 결합시 고정자(200)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구실을 하며, 상기 제 1 날개(150)는 웨빙 결합시 고정자(200)의 움직임 및 이탈을 방지하는 구실과 비행기의 날개처럼 웨빙 롤러의 중심을 잡아주는 역할을 한다.
웨빙 롤러 몸체(190)의 타 측에는 고정 돌기(12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 돌기(120)를 통하여 개구부(110)와 결합한 고정자(200)를 고정한다. 상기 고정 돌기(120)는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어 고정자(200)의 타측 방향 일부분과 결합하며, 상기 고정 돌기(120)를 통하여 고정자(200)가 주위 물체 등과의 접촉 또는 충격에 의해 쉽게 웨빙 롤러(100)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고정 돌기(120)는 고정자(200)와 결합하는 부분이 오목하게 형성되는 오목부(18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 돌기(120)는 고정자(200)와 결합하는 부분은 오목하고 결합하지 않는 부분은 고정자(200)가 이탈하지 않도록 폭이 넓은 버섯 모양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 돌기(120)에서 웨빙 롤러(100)의 가운데 방향으로 제 2 둔턱(160)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2 둔턱의 상, 하측에는 제 2 날개(170)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2 둔턱(160)은 고정자(200)의 탄성을 유지하여 웨빙 결합시 고정자(200)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구실을 하며, 상기 제 2 날개(170)는 웨빙 결합시 고정자(200)의 움직임 및 이탈을 방지하는 구실과 함께 상기 제 1날개(150)와 함께 비행기의 양측 날개처럼 웨빙 롤러(100)의 중심을 잡아주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제 1 날개(150)와 상기 제 2 날개(17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웨빙 롤러(100)가 흔들리지 않도록 중심을 잡아주는 역할을 한다.
또한 실시 예로, 상기 고정 돌기(120) 주위에 고정자(200)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 홀더가 더 포함되어 질 수 있다. 상기 고정 홀더는 웨빙 롤러(100)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고정자(200)가 고정 돌기(120)와 결합시 고정자(200)가 고정 돌기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여 준다.
도 3을 살펴보면, 고정자(200)는 웨빙 롤러(100)의 개구부(110)와 결합하며, 고정자(200)가 웨빙 롤러(100)의 개구부(110)에 결합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고정자(200)의 일측을 웨빙 롤러(100)의 개구부(110)에 삽입하여 고정자(200)의 일측이 절반 정도 들어가면 고정자(200)의 타측을 고정자(200)의 일측 개구 사이로 삽입한 후 고정(200)자의 타측을 잡아당기면 고정자(200)의 일측이 개구부(110)에 고정(210)된다.
상기 고정자(200)는 신축성 있는 소재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고정자(200)가 신축성 있는 소재로 되어있으면 고정자(200)가 고정 돌기(120)에 단단하게 결합하여 고정자(200)가 고정 돌기(120)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웨빙 롤러(100)의 양측에 형성되는 제 1 둔턱(140)과 제 2 둔턱(160)은 신축성 있는 고정자(200)의 탄력을 유지시키는 역할을 하며 이러한 제 1 둔턱(140)과 제 2 둔턱(160)을 도 4에 나타냈다.
도 4는 웨빙 롤러(100)의 평면도를 나타낸 것으로, 개구부(110)의 근처에 형성된 제 1 둔턱(140)은 1.5 내지 2.5 mm의 높이(400)로 형성되는 것이 고정자(200) 의 탄력을 유지하는데 이상적이며, 바람직하게는 1.7 내지 1.8 mm의 높이로 형성한다. 제 2 둔턱(160)은 상기 제 1 둔턱(140)의 높이와 동일하게 형성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조절되고 남은 여분의 웨빙과 결합된 웨빙 롤러(100)를 나타낸 것이다.
여분의 웨빙(500)이 웨빙 롤러(100)의 웨빙 개구부(130)를 통하여 결합하여 있으며, 고정자(200)는 개구부(110)와 결합하여 있다. 상기 여분의 웨빙(500)이 웨빙 개구부(130)를 통하여 결합하는 방법은 웨빙의 단부를 웨빙 개구부(130)에 삽입한 후 웨빙의 단부를 일정부분 추출 후 웨빙 롤러 몸체(190)에 고정한 후 웨빙의 단부를 웨빙에 봉제하여 여분의 웨빙이 웨빙 롤러(100)와 결합한다.
상기 고정자(200)는 장시간 사용시 탄성이 감소하여 느슨해 질 수 있으며, 이럴 경우 고정자는 교체하여 사용이 가능하다.
도 6은 웨빙 롤러(100)를 이용하여 웨빙을 정리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여분의 웨빙을 웨빙 개구부(130)를 통하여 웨빙 롤러 몸체(190)에 고정하고, 이 상태에서 웨빙 롤러(100)를 회전하여 여분의 웨빙을 감는다. 웨빙 롤러(100)에 감겨진 웨빙을 개구부(110)에 일측이 고정된 고정자(200)의 타측을 고정 돌기(120)에 결합하여 웨빙을 고정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웨빙 롤러(100)를 배낭에 적용한 것을 나타내고 있다. 배낭에서 웨빙의 길이를 조절하고 남은 여분의 웨빙을 웨빙 롤러(100)를 이용하여 정리한 것(700)으로, 여분의 웨빙이 지저분하여 이곳저곳 흩트려져 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배낭을 맨 상태에서 웨빙의 길이 조절시 웨빙이 급격히 길어질 수 있는 문제점을 웨빙 롤러가 있으므로 해서 웨빙의 길이가 급격히 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도 1은 종래의 정리가 안 된 웨빙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 웨빙 롤러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있어서, 고정자가 결합된 상태의 웨빙 롤러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있어서, 웨빙 롤러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조절되고 남은 여분의 웨빙과 결합된 웨빙 롤러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웨빙 롤러를 이용하여 웨빙을 정리한 것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웨빙 롤러를 배낭에 적용한 것을 나타낸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웨빙 롤러 110 : 개구부
120 : 고정돌기 130 : 웨빙 개구부
140 : 제 1둔턱 150 : 제 1날개
160 : 제 2둔턱 170 : 제 2날개
180 : 오목부 190 : 웨빙 롤러 몸체
200 : 고정자

Claims (16)

  1. 조절되고 남은 여분의 웨빙과 결합하는 웨빙 롤러(100)에 있어서,
    한 쌍의 웨빙 롤러 몸체(190);
    상기 웨빙 롤러 몸체(190)의 일측에 형성되며 고정자(200)와 결합하는 개구부(110);
    상기 웨빙 롤러 몸체(190)의 타측에 형성되며 고정자(200)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 돌기(120)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빙 롤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웨빙 롤러(100)는, 상기 웨빙 롤러 몸체(190) 사이에 웨빙의 단부와 결합하는 웨빙 개구부(130)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빙 롤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웨빙 롤러 몸체(190)는, 웨빙을 고정하기 위한 요철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빙 롤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웨빙 롤러(100)는, 회전하면서 웨빙과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빙 롤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웨빙 롤러(100)는, 상기 개구부(110)에서 웨빙 롤러의 가운데 방향으로 제 1 둔턱(140)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빙 롤러.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둔턱(140)은, 좌우측에 고정자의 움직임 및 이탈을 방지하는 제 1 날개(150)가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빙 롤러.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날개(150)는, 웨빙 롤러의 중심을 잡아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빙 롤러.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둔턱(140)은, 1.5 내지 2.5 mm의 높이, 바람직하게는 1.7 내지 1.8 mm의 높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빙 롤러.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웨빙 롤러(100)는, 상기 고정 돌기(120)에서 웨빙 롤러의 가운데 방향으로 제 2 둔턱(160)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빙 롤러.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둔턱(160)은, 좌우측에 고정자의 움직임 및 이탈을 방지하는 제 2 날개(17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빙 롤러.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날개(170)는, 웨빙 롤러의 중심을 잡아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빙 롤러.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둔턱(160)은, 1.5 내지 2.5 mm의 높이, 바람직하게는 1.7 내지 1.8 mm의 높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빙 롤러.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자(200)는, 신축소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빙 롤러.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자(200)는, 제 1 둔턱(150) 및 제 2 둔턱(160)에 의하여 탄성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빙 롤러.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돌기(120)는, 고정자와 결합하는 부분이 오목하게 형성된 오목부(18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빙 롤러.
  1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자(200)는, 일측을 웨빙 롤러의 개구부(110)에 삽입하여 고정자의 일측이 절반 정도 들어가면 고정자의 타측을 고정자의 일측 개구 사이로 삽입한 후 고정자의 타측을 잡아당기면 고정자의 일측이 개구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빙 롤러.
KR1020080128999A 2008-12-18 2008-12-18 웨빙 롤러 KR1010885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8999A KR101088551B1 (ko) 2008-12-18 2008-12-18 웨빙 롤러
US12/465,856 US20100155521A1 (en) 2008-12-18 2009-05-14 Webbing roll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8999A KR101088551B1 (ko) 2008-12-18 2008-12-18 웨빙 롤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0453A true KR20100070453A (ko) 2010-06-28
KR101088551B1 KR101088551B1 (ko) 2011-12-05

Family

ID=422645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8999A KR101088551B1 (ko) 2008-12-18 2008-12-18 웨빙 롤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00155521A1 (ko)
KR (1) KR10108855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168487A1 (en) * 2010-01-13 2011-07-14 Steck Jeremy A Strap Management Apparatus and Arrangement
US8707523B2 (en) * 2012-01-04 2014-04-29 Duraflex Hong Kong Limited Device for securing webbing
JP7104403B2 (ja) * 2018-05-30 2022-07-21 拓明 植田 平紐巻付留具
AT17245U3 (de) * 2021-04-14 2021-12-15 Isola Sandro Vorrichtung, Kombination und Satz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472300A (en) * 1946-01-05 1949-06-07 Ray V Kemplin Self-fastening cord holder
US3631568A (en) * 1970-11-30 1972-01-04 Richard W Wolfe Baler and holder for folding chairs
US4335490A (en) * 1978-10-23 1982-06-22 Teachout Donald O Band and clip article
KR100609209B1 (ko) 2005-02-23 2006-08-02 주식회사 키프코 가방 끈 정리용 버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88551B1 (ko) 2011-12-05
US20100155521A1 (en) 2010-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67289B2 (en) Wearable wallet
US8393505B2 (en) Dual function protective baby carrier
US6443339B1 (en) Baby carrier used for holding baby in both face-to-face and forward-facing manners
KR101757955B1 (ko) 접힘가능한 헤드 크래들을 구비한 호흡기 하니스
USRE43766E1 (en) Bra strap retainer
US7340804B2 (en) Strap assembly capable of rotational engagement with an objec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US20040031827A1 (en) Backpack for carrying an umbrella and/or child hands free
KR101088551B1 (ko) 웨빙 롤러
KR200472872Y1 (ko) 마스크가 부착된 차양모자
US6808099B2 (en) Sternum strap attachment
KR101188212B1 (ko) 이동식 보조백이 구비된 배낭
JP3200050U (ja) マスク保持具
JP3207786U (ja) 傘支持具
JP2015029859A (ja) 肩掛けベルトのずり落ち防止具、及びそれを用いたショルダーバッグ
US9045203B1 (en) Paddleboard storage and seat support assembly
JP6355911B2 (ja) ベルト型ポーチ
JP2000070079A (ja) 子守帯
JP2015019979A (ja) 杖装着機構付き物入れ
CN220360182U (zh) 一种独臂人士专用雨伞
KR102194550B1 (ko) 인명 구조용 배낭
KR100763412B1 (ko) 아기보호기능이 구비된 아기용 캐리어
CN209769425U (zh) 一种三用背包
JP5765703B2 (ja) 帯結び用保持具と帯結び用補助具と帯結び方法
KR200218790Y1 (ko) 다용도 아기받침
KR101070515B1 (ko) 밴드의 조절장치 및 조절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