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70179A - 방송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방송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70179A
KR20100070179A KR1020080128794A KR20080128794A KR20100070179A KR 20100070179 A KR20100070179 A KR 20100070179A KR 1020080128794 A KR1020080128794 A KR 1020080128794A KR 20080128794 A KR20080128794 A KR 20080128794A KR 20100070179 A KR20100070179 A KR 201000701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ice
voice guidance
broadcast
broadcast signal
image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87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엄기웅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287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70179A/ko
Publication of KR201000701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017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61Arrangements for services using the result of monitoring, identification or recognition covered by groups H04H60/29-H04H60/54
    • H04H60/65Arrangements for services using the result of monitoring, identification or recognition covered by groups H04H60/29-H04H60/54 for using the result on users' si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44008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operations for analysing video streams, e.g. detecting features or characteristics in the video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requesting additional data associated with the cont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60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the sound sig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음성정보의 전달을 목적으로 하는 음성안내모드의 경우에, 영상데이터의 표시를 중단하고, 방송처리장치와 관련된 음성안내를 제공하는 방송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방송처리장치는, 입력되는 방송신호에 포함된 영상데이터를 처리하는 영상처리부와; 상기 영상처리부에서 처리된 상기 영상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방송처리장치와 관련된 음성안내를 제공하는 음성안내제공부와; 상기 방송신호에 포함된 음성데이터 및 상기 음성안내를 출력하는 음성출력부; 및 상기 음성안내를 출력하는 음성안내모드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음성안내모드인 경우, 상기 영상데이터의 표시를 중단하도록 상기 영상처리부 및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고, 상기 음성안내를 제공하도록 상기 음성안내제공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방송처리장치, 음성, 안내

Description

방송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BROADCAST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방송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음성정보의 전달을 목적으로 하는 음성안내모드의 경우에, 영상데이터의 표시를 중단하고, 방송처리장치와 관련된 음성안내를 제공함으로써, 불필요하게 낭비되는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영상데이터가 표시되지 않는 경우에도 영상처리장치와 관련된 변동사항을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는 방송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방송처리장치, 가령 디지털TV(DTV)는 수신되는 방송신호를 처리하여 이를 액정 등으로 구현되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에 표시한다. 디지털TV는 소비자의 기대에 부흥하기 위하여, 점차 대형화, 고화질화, 다기능화되는 추세에 있다. 최근의 디지털TV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통하여 영상정보를 표시하는 용도뿐만이 아니라, 디지털 라디오, 인터넷 라디오, 또는 음악채널 등과 같이 음성정보를 전달하는 용도로도 흔히 이용되고 있다. 가령, 소비자가 가사일 등을 하면서 음악을 청취하고자 할 때, 디지털TV는 인터넷, 또는 외부장치로부터 음성데이터를 수신하고, 이를 스피커 를 통해 출력하는 용도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디지털TV가 음성정보의 전달을 목적으로 이용되는 경우, 영상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이 켜져 있게 되면, 디스플레이 패널을 통하여 불필요한 에너지가 소비된다. 더 나아가, 에너지를 절약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을 오프 시킨 경우에는, 사용자가 채널의 변경, 볼륨의 조정을 비롯하여 디지털TV와 관련된 변동사항을 확인할 방법이 없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송처리장치는, 입력되는 방송신호에 포함된 영상데이터를 처리하는 영상처리부와; 상기 영상처리부에서 처리된 상기 영상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방송처리장치와 관련된 음성안내를 제공하는 음성안내제공부와; 상기 방송신호에 포함된 음성데이터 및 상기 음성안내를 출력하는 음성출력부; 및 상기 음성안내를 출력하는 음성안내모드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음성안내모드인 경우, 상기 영상데이터의 표시를 중단하도록 상기 영상처리부 및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고, 상기 음성안내를 제공하도록 상기 음성안내제공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방송신호에 영상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방송신호에 영상데이터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음성안내모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방송신호의 주파수가 기설정된 소정의 주파수 대 역 내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방송신호에 영상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방송신호의 채널이 기설정된 소정의 채널에 해당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방송신호에 영상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방송신호에 포함된 부가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방송신호에 영상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방송신호가 라디오 방송에 해당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방송신호에 영상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음성안내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메뉴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메뉴를 통해 상기 음성안내모드가 선택된 경우, 상기 음성안내모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송처리장치와 관련된 음성안내는, 상기 방송처리장치의 조작에 관한 음성안내를 포함하고, 상기 방송처리장치의 조작에 관한 음성안내는, 상기 방송처리장치의 채널 및 볼륨의 조정에 관한 음성안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송처리장치와 관련된 음성안내는, 상기 방송신호에 포함된 부가데이터에 관한 음성안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방송신호에 포함된 부가데이터에 관한 음성안내는, 상기 방송신호에 포함된 음성데이터의 종류 및 출력방식에 관한 음성안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송처리장치와 관련된 음성안내는, 상기 방송처리장치의 부가서 비스에 관한 음성안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방송처리장치의 부가서비스에 관한 음성안내는, 상기 방송처리장치에 수신된 메일 및 뉴스에 관한 음성안내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방송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은 입력되는 방송신호에 포함된 영상데이터를 처리하여,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방송처리장치와 관련된 음성안내를 제공하는 음성안내모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음성안내모드인 경우, 상기 영상데이터의 표시를 중단하고, 상기 음성안내를 제공받는 단계; 및 상기 방송신호에 포함된 음성데이터 및 상기 음성안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음성안내모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방송신호에 영상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방송신호에 영상데이터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음성안내모드인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송신호에 영상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방송신호의 주파수가 기설정된 소정의 주파수 대역 내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송신호에 영상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방송신호의 채널이 기설정된 소정의 채널에 해당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송신호에 영상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방송신호에 포함된 부가데이터에 기초하여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 다.
또한, 상기 방송신호에 영상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방송신호가 라디오 방송에 해당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성안내모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음성안내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메뉴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입력메뉴를 통해 상기 음성안내모드가 선택된 경우, 상기 음성안내모드인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송처리장치와 관련된 음성안내는, 상기 방송처리장치의 조작에 관한 음성안내를 포함하고, 상기 방송처리장치의 조작에 관한 음성안내는, 상기 방송처리장치의 채널 및 볼륨의 조정에 관한 음성안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송처리장치와 관련된 음성안내는, 상기 방송신호에 포함된 부가데이터에 관한 음성안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방송신호에 포함된 부가데이터에 관한 음성안내는, 상기 방송신호에 포함된 음성데이터의 종류 및 출력방식에 관한 음성안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송처리장치와 관련된 음성안내는, 상기 방송처리장치의 부가서비스에 관한 음성안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방송처리장치의 부가서비스에 관한 음성안내는, 상기 방송처리장치에 수신된 메일 및 뉴스에 관한 음성안내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처리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처리장치(100)는 입력되는 방송신호를 처리하여 이를 액정 등으로 구현되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에 표시하며, 가령 디지털TV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음성안내모드는, 가령 디지털 라디오, 인터넷 라디오, 또는 음악채널 등의 출력과 같이 방송처리장치(100)가 음성정보의 전달을 목적으로 이용되는 모드(이하, '음성안내모드'라 함)를 의미하며, 이와 같은 음성안내모드의 경우에, 방송처리장치(100)는 표시부(120)를 통한 영상데이터의 표시를 중단하고, 음성출력부(140)를 통하여 방송처리장치(100)와 관련된 음성안내를 출력한다. 여기서, 방송처리장치(100)와 관련된 음성안내는, 채널 및 볼륨의 조정과 같은 방송처리장치(100)의 조작에 관한 음성안내를 비롯하여, 방송신호에 포함된 부가데이터, 또는 방송처리장치(100)의 부가서비스에 관한 음성안내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처리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되는 방송신호에 포함된 영상데이터를 처리하는 영상처리부(110)와, 영상처리부(110)에서 처리된 영상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부(120)와, 방송처리장치(100)와 관련된 음성안내를 제공하는 음성안내제공부(160)와, 방송신호에 포함된 음성데이터를 처리하는 음성처리부(130)와, 음성데이터 및 음성안내를 출력하는 음성출력부(140), 및 음성안내모드인 경우, 영상데이터의 표시를 중단하고, 음성안내를 제공하도록 각 부를 제어하는 제어부(150)를 포함한다.
이하, 각각의 세부 구성요소에 관하여 설명한다.
영상처리부(110)는 방송신호에 포함된 영상데이터를 방송신호 전송 시의 인코딩 포맷에 대응하는 디코딩 포맷으로 복원하고, 이를 표시부(120)의 출력 규격에 맞는 수직주파수, 해상도, 화면비율 등에 맞도록 변환 및 처리한다. 이를 위하여, 영상처리부(110)는 스케일러 등의 영상처리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120)는 영상처리부(110)에 의해 처리된 영상이 표시되며, 영상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패널(미도시)과, 디스플레이패널의 구동을 제어하는 패널구동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부(120)는 DLP(Digital Light Processing), LCD(Liquid Crystal Display), PDP(Plasma Display Panel) 등과 같이 다양한 유형의 디스플레이모듈이 이용 가능하다.
음성처리부(130)는 방송신호에 포함된 음성데이터를 방송신호 전송 시의 인코딩 포맷에 대응하는 디코딩 포맷으로 복원하고 처리하여, 이를 음성출력부(140)를 통해 출력한다.
음성출력부(140)는 음성처리부(130)에서 처리된 음성을 출력하며, 복수의 채널로 마련되는 복수의 스피커(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음성출력부(14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음성안내제공부(160)로부터 방송처리장치(100)와 관련된 음성안내를 제공받고, 이를 출력한다.
음성안내제공부(16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음성안내모드인 경우, 후술하는 제어부(150)의 제어에 따라, 방송처리장치(100)와 관련된 음성안내를 음성출력부(140)로 제공하여 출력한다. 즉, 방송처리장치(100)가 음성정보의 전달을 목적으로 이용되는 음성안내모드의 경우에,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어부(150)는 표시부(120)를 통한 영상데이터의 표시를 중단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방송처리장치(100)의 채널이나 볼륨이 조정된 경우, 그 조정 내용이 무엇인지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가 없게 된다. 음성안내제공부(160)는 이와 같은 방송처리장치(100)의 조작에 관한 음성안내를 음성출력부(140)로 제공하여, 사용자가 그 조정 내용을 청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음성안내제공부(160)는 방송신호에 포함된 음성데이터의 종류 및 출력방식과 같은 부가데이터에 관한 정보를 음성으로 안내할 수도 있다. 즉, 방송신호에는 현재 송출되는 음성데이터가 스테레오, 음성다중, 또는 5.1채널을 지원하는지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며, 음성안내제공부(160)는 부가데이터로부터 이를 독출하여 사용자에게 음성으로 안내함으로써, 사용자는 음성안내에 따라 방송처리장치(100)의 설정을 변경하여 최적의 상태에서 음성데이터를 청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음성안내제공부(160)는 방송처리장치(100)의 부가서비스에 관한 정보를 음성으로 안내할 수도 있다. 즉, 사용자가 방송처리장치(100)를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에 연결하여 메일 또는 뉴스 서비스와 같은 부가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 음성안내제공부(160)는 메일 또는 뉴스의 수신 여부를 사용자에게 음성으로 안내함으로써, 사용자는 음성데이터를 청취하는 중에도 메일 또는 뉴스의 수신 여부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제어부(150)는 전술한 각 부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음성안내를 출력하는 음성안내모드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음성안내모드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영상처리부(110) 및 표시부(120)를 제어하여 영상데이터의 표시를 중단하고, 음성안내제공부(160)를 제어하여 음성안내를 제공한다. 제어부(150)는 음성안내모드인 경우, 영상데이터의 표시를 중단함으로써, 영상데이터의 처리와 관련하여 불필요하게 소모되는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50)는 입력되는 방송신호에 영상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방송신호에 영상데이터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음성안내모드인 것으로 판단한다. 즉, 입력되는 방송신호에 영상데이터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디지털 라디오, 인터넷 라디오, 또는 음악채널 등과 같이 음성정보의 전달을 목적으로 하는 방송신호가 입력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으며, 이 때는 영상데이터의 표시가 무의미하므로, 제어부(150)는 영상데이터의 표시를 중단하고, 음성안내를 제공한다.
여기서, 제어부(150)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방송신호에 영상데이터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음성안내모드를 크게 세 가지 방법으로 판단한다.
첫째, 영상데이터가 포함된 방송신호와 음성정보의 전달을 목적으로 하는 방송신호의 반송주파수는 그 주파수 대역이 서로 상이하므로, 제어부(150)는 입력되는 방송신호의 주파수가 기설정된 음성정보의 전달을 목적으로 하는 방송신호의 주파수 대역 내에 포함되는 경우, 방송신호에 영상데이터가 포함되지 않은 음성안내모드인 것으로 판단한다.
둘째, 방송방식에 따라 일정 채널을 음성정보의 전달을 목적으로 하는 방송신호에 할당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제어부(150)는 입력되는 방송신호의 채널이 기설정된 음성정보의 전달을 목적으로 하는 방송신호의 채널에 해당되는 경우, 방송신호에 영상데이터가 포함되지 않은 음성안내모드인 것으로 판단한다.
셋째, 방송신호의 부가데이터에는 해당 방송신호가 음성정보의 전달을 목적으로 하는지, 즉 라디오 방송에 해당되는지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제어부(150)는 입력되는 방송신호의 부가데이터로부터 관련 정보를 독출하여, 방송신호에 영상데이터가 포함되지 않은 음성안내모드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50)는 음성안내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메뉴를 표시부(120)에 표시하고, 사용자가 음성안내모드를 선택한 경우, 영상데이터의 표시를 중단하고, 음성안내를 제공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음성안내모드가 반드시 음성정보의 전달을 목적으로 할 필요는 없으며,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방송신호에 영상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도, 영상데이터를 표시하지 않고, 음성데이터만을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입력되는 방송신호에는 영상데이터가 포함되어 있으나, 사용자가 화면을 볼 수 없는 상황 등과 같은 경우에,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영상데이터의 표시를 중단하고, 음성안내를 제공하도록 한다.
상술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처리장치(100)에서 음성안내가 출력되는 과정에 대하여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50)는 영상처리부(110)와 표시부(120)를 제어하여, 입력되는 방송신호에 포함된 영상데이터를 처리하여 표시한다(S110).
제어부(150)는 입력되는 방송신호에 영상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방송신호에 영상데이터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음성안내모드인 것으로 판단한다(S120). 여기서, 제어부(15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방송신호의 주파수, 방송신호의 채널, 또는 방송신호의 부가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방송신호에 영상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한편, 제어부(150)는 음성안내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사용자 입력메뉴를 표시부(120)에 표시하고, 사용자가 음성안내모드를 선택한 경우, 음성안내모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음성안내모드인 경우, 제어부(150)는 영상처리부(110)와 표시부(120)를 제어하여, 영상데이터의 표시를 중단한다(S130). 이에 따라, 음성안내모드인 경우 영상데이터의 표시와 관련하여 불필요하게 낭비되는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다.
아울러, 음성안내모드인 경우, 제어부(150)는 음성안내제공부(160)를 제어하여, 영상처리장치(100)와 관련된 음성안내를 음성출력부(140)를 통하여 출력하도록 한다(S140). 영상처리장치(100)와 관련된 음성안내는, 상술한 바와 같이, 방송처리장치(100)의 조작에 관한 음성안내, 방송신호에 포함된 부가데이터에 관한 음성안내, 또는 방송처리장치(100)의 부가서비스에 관한 음성안내가 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처리장치(100)는, 음성정보의 전달을 목적으로 하는 음성안내모드의 경우에, 영상데이터의 표시를 중단하고, 방송처리장치(100)와 관련된 음성안내를 제공함으로써, 불필요하게 낭비되는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영상데이터가 표시되지 않는 경우에도 영상처리장 치(100)와 관련된 변동사항을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가 있다.
상기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처리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처리장치에서 음성안내가 출력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방송처리장치 110 : 영상처리부
120 : 표시부 130 : 음성처리부
140 : 음성출력부 150 : 제어부
160 : 음성안내제공부

Claims (20)

  1. 방송처리장치에 있어서,
    입력되는 방송신호에 포함된 영상데이터를 처리하는 영상처리부와;
    상기 영상처리부에서 처리된 상기 영상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방송처리장치와 관련된 음성안내를 제공하는 음성안내제공부와;
    상기 방송신호에 포함된 음성데이터 및 상기 음성안내를 출력하는 음성출력부; 및
    상기 음성안내를 출력하는 음성안내모드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음성안내모드인 경우, 상기 영상데이터의 표시를 중단하도록 상기 영상처리부 및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고, 상기 음성안내를 제공하도록 상기 음성안내제공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방송신호에 영상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방송신호에 영상데이터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음성안내모드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처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방송신호의 주파수가 기설정된 소정의 주파수 대역 내 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방송신호에 영상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처리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방송신호의 채널이 기설정된 소정의 채널에 해당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방송신호에 영상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처리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방송신호에 포함된 부가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방송신호에 영상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처리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방송신호가 라디오 방송에 해당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방송신호에 영상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처리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음성안내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메뉴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메뉴를 통해 상기 음성안내모드가 선택된 경우, 상기 음성안내모드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처리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처리장치와 관련된 음성안내는, 상기 방송처리장치의 조작에 관한 음성안내를 포함하고,
    상기 방송처리장치의 조작에 관한 음성안내는, 상기 방송처리장치의 채널 및 볼륨의 조정에 관한 음성안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처리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처리장치와 관련된 음성안내는, 상기 방송신호에 포함된 부가데이터에 관한 음성안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방송신호에 포함된 부가데이터에 관한 음성안내는, 상기 방송신호에 포함된 음성데이터의 종류 및 출력방식에 관한 음성안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처리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처리장치와 관련된 음성안내는, 상기 방송처리장치의 부가서비스에 관한 음성안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방송처리장치의 부가서비스에 관한 음성안내는, 상기 방송처리장치에 수신된 메일 및 뉴스에 관한 음성안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처리장치.
  11. 방송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입력되는 방송신호에 포함된 영상데이터를 처리하여,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방송처리장치와 관련된 음성안내를 제공하는 음성안내모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음성안내모드인 경우, 상기 영상데이터의 표시를 중단하고, 상기 음성안내를 제공받는 단계; 및
    상기 방송신호에 포함된 음성데이터 및 상기 음성안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안내모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방송신호에 영상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방송신호에 영상데이터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음성안내모드인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신호에 영상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 기 방송신호의 주파수가 기설정된 소정의 주파수 대역 내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신호에 영상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방송신호의 채널이 기설정된 소정의 채널에 해당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신호에 영상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방송신호에 포함된 부가데이터에 기초하여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신호에 영상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방송신호가 라디오 방송에 해당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안내모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음성안내모드를 선택 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메뉴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입력메뉴를 통해 상기 음성안내모드가 선택된 경우, 상기 음성안내모드인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처리장치와 관련된 음성안내는, 상기 방송처리장치의 조작에 관한 음성안내를 포함하고,
    상기 방송처리장치의 조작에 관한 음성안내는, 상기 방송처리장치의 채널 및 볼륨의 조정에 관한 음성안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처리장치와 관련된 음성안내는, 상기 방송신호에 포함된 부가데이터에 관한 음성안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방송신호에 포함된 부가데이터에 관한 음성안내는, 상기 방송신호에 포함된 음성데이터의 종류 및 출력방식에 관한 음성안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처리장치의 제어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처리장치와 관련된 음성안내는, 상기 방송처리장치의 부가서비스에 관한 음성안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방송처리장치의 부가서비스에 관한 음성안내는, 상기 방송처리장치에 수신된 메일 및 뉴스에 관한 음성안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1020080128794A 2008-12-17 2008-12-17 방송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0007017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8794A KR20100070179A (ko) 2008-12-17 2008-12-17 방송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8794A KR20100070179A (ko) 2008-12-17 2008-12-17 방송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0179A true KR20100070179A (ko) 2010-06-25

Family

ID=423680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8794A KR20100070179A (ko) 2008-12-17 2008-12-17 방송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7017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38353A1 (zh) * 2020-05-29 2021-12-02 海信视像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方法及显示设备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38353A1 (zh) * 2020-05-29 2021-12-02 海信视像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方法及显示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61904B1 (ko) 헤드폰 사운드 출력장치
CN106488302A (zh) 具有多屏应用的音频系统
EP3373591B1 (en) Adaptive bluetooth volume adjustment method and apparatus
US8522296B2 (en)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figuring the same according to configuration setting values received from outside
KR20080033639A (ko) 영상 재생 장치 및 영상 재생 장치에서의 음량 조절 방법
EP2224732B1 (en) Video device
US2008005505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dicating status of display device and program information by generating audio signal
US20100157151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20090110373A1 (en) Information Playback Apparatus
KR20100070179A (ko) 방송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02970617B (zh) 播放装置以及视频播放方法
JP4580821B2 (ja) 緊急警報放送受信装置、及び緊急警報放送受信方法
USRE46713E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110125301A1 (en) Sound reproduction apparatus
US20080151123A1 (en) Broadcasting receiver
EP1763245A1 (en) Digital broadcasting system and method of outputting digital broadcasting data therefor
US20100050224A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40012463A (ko) 방송 수신기 및 오디오 신호 처리 방법
KR101719978B1 (ko) 소비 전력을 표시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디지털 방송 수신기
KR20080061456A (ko) 티브이 및 라디오 방송 수신기에서의 오디오 출력 제어장치및 방법
KR20090075231A (ko) 텔레비전의 비디오 뮤트 처리장치 및 방법
KR100835791B1 (ko) 티브이 및 라디오 방송 수신기와 비디오 및 오디오 출력 제어방법
KR200346508Y1 (ko) 오디오출력제어장치
KR100806865B1 (ko) 해상도 표시가 가능한 영상표시장치 및 해상도 표시 방법
JP2008177893A (ja) 多画面表示テレビジョン受像機およびリモコン装置及びヘッドフォ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